KR100861649B1 -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649B1
KR100861649B1 KR1020070005202A KR20070005202A KR100861649B1 KR 100861649 B1 KR100861649 B1 KR 100861649B1 KR 1020070005202 A KR1020070005202 A KR 1020070005202A KR 20070005202 A KR20070005202 A KR 20070005202A KR 100861649 B1 KR100861649 B1 KR 100861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ser
map
team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102A (ko
Inventor
박현희
서은영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70005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649B1/ko
Priority to JP2008007518A priority patent/JP4639239B2/ja
Publication of KR2008008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제1 및 제2 팀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팀원에게 복수의 게임 맵을 각각 제공하는 단계, 게임 맵에 포함되어 있는 게임 패를 선택함에 따라 소정의 게임 패 제거 규칙에 기초하여 게임 패를 제거하는 단계, 제1 팀원으로부터의 맵 이동 요청에 따라 복수의 게임 맵 중 제1 팀원이 위치하고 있는 게임 맵과 다른 게임 맵을 제1 팀원에게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복수의 팀원이 제거한 게임 패의 수효에 기초하여 게임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팀전 방식의 온라인 게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관심과 흥미를 일으킬 수 있다.
온라인 게임, 게임 맵, 게임 패, 팀전, 게임 패 제거 규칙

Description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ONLINE GAME METHOD AND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게임 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의 게임방 초기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의 게임 패 제거 규칙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의 팀전 게임 진행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의 개인전 게임 진행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의 게임 결과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온라인 게임 시스템, 110: 웹 서버,
120: 채널 리스트 서버, 130: 데이터베이스,
140: 게임 서버, 142: 채널 관리 모듈,
144: 정보 전송 모듈, 146: 게임 진행 모듈,
200: 통신망, 300: 사용자 단말기,
900: 범용 컴퓨터 장치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 관련 정보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게임 산업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종래의 컴퓨터 게임은 단순한 줄거리의 아케이드 게임이나 비디오 게임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나, 멀티미디어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재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게임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특히,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은 다중 사용자(multi-user) 온라인 게임이라는 새로운 게임 분야를 탄생시킴으로써 게임 산업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온라인 게임은 원격지에 있는 불특정의 사람들이 공간적인 제약 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어서 대중적으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그 중에서 "사천성", "퍼즐 마작", "상하이 마작" 등과 같은 짝맞추기 퍼즐 게임은 간단한 게임 방식으로 사용 자들이 쉽게 게임을 진행할 수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온라인 게임이다.
짝맞추기 퍼즐 게임은 게임 맵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게임 패 중 동일한 두 패를 선택하여 제거하는 게임으로서, 게임에 참가한 사용자 중 모든 패를 가장 먼저 제거하는 사용자가 승리하는 게임이다. 이러한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게임 참가 요청을 하면 게임 채널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게임 채널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게임방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게임을 진행하거나 새로운 게임방을 생성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게임방에 둘 이상의 사용자가 참가하여 게임을 시작하면 게임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동일한 게임 맵을 제공하고, 게임 맵을 제공받은 사용자는 게임 맵에서 게임 패를 제거하며 게임을 진행한다. 이때, 각 사용자의 게임 맵에 있는 게임 패를 누가 먼저 모두 제거하느냐에 따라 게임의 승패가 결정된다.
그런데 사용자는 오랜 동안 지속적으로 같은 방식으로 게임을 하게 되면 게임에 식상할 수 있고 게임에 흥미를 잃을 수 있으며, 짝맞추기 퍼즐 게임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새로운 게임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관심과 흥미를 일으킬 수 있는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은, 제1 및 제2 팀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팀원에게 복수의 게임 맵을 각각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게임 맵에 포함되어 있는 게임 패를 선택함에 따라 소정의 게임 패 제거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패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팀원으로부터의 맵 이동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게임 맵 중 상기 제1 팀원이 위치하고 있는 게임 맵과 다른 게임 맵을 상기 제1 팀원에게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팀원이 제거한 게임 패의 수효에 기초하여 게임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게임 맵 중 어느 하나의 게임 맵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팀원이 함께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팀원이 상기 게임 패를 선택하거나 제거하면 상기 제2 팀원의 게임 화면에서 상기 게임 패가 선택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 팀원에 의하여 상기 게임 패가 선택되거나 제거될 때와 상기 제2 팀원에 의하여 상기 게임 패가 선택되거나 제거될 때 표현되는 효과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팀원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게임 맵을 표시하는 팀원 위치 정보 창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팀원이 상기 복수의 게임 맵에서 이동을 하면 상기 제1 팀원을 가리키는 표지가 상기 팀원 위치 정보 창에서 이동할 수 있다.
연속하여 선택된 한 쌍의 게임 패가 동일한 모양을 가지고 있고 다른 게임 패를 피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경로가 존재하며 상기 경로를 잇는 직선이 2회 이하로 꺾여 있으면 상기 선택된 한 쌍의 게임 패는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게임 패를 가장 많이 제거한 사용자에게 팀의 순위와 상관없이 최고 점 수 보너스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은, 온라인 게임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제1 및 제2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웹 서버,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팀원에게 복수의 게임 맵을 각각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가 상기 게임 맵에 포함되어 있는 게임 패를 선택함에 따라 소정의 게임 패 제거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패를 제거하며,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의 맵 이동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게임 맵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게임 맵과 다른 게임 맵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팀원이 제거한 게임 패의 수효에 기초하여 게임 순위를 결정하는 게임 서버를 포함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게임 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 템(100)은 웹 서버(110), 채널 리스트 서버(120), 데이터베이스(130),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게임 서버(140)를 포함하며, 통신망(200)을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게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게임 시스템(100)과 교신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200)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웹 브라우저(도시하지 않음), 게임 클라이언트 런칭부(도시하지 않음) 및 게임 클라이언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는 웹 정보를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웹 서버(110)에 접근하여 웹 서버(110)가 제공하는 게임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게임 페이지에 표시되어 있는 게임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웹 브라우저는 게임 클라이언트 런칭부를 실행시킨다.
게임 클라이언트 런칭부는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시키며 액티브 X(active X) 컴포넌트로 구현될 수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 런칭부는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를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으로부터 받아온다. 또한, 게임 클라이언트 런칭부는 게임 클라이언트가 구 버전일 경우 새로운 버전의 게임 클라이언트를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으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는 채널 리스트 서버(120)에 접속하여 채널 리스트 서버(120)가 제공하는 채널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채널 리스트로부터 임의의 채널을 선택하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게임 서버(140)에 접속하여 게임을 수행한다. 게임 클라이언트는 게임 서버(140)로부터 게임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받고 이에 기초한 게임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한다.
한편 웹 서버(110)가 복수의 채널로 이루어진 경기장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가 하나의 경기장을 선택하면 게임 클라이언트는 선택된 경기장에서 접속 가능한 임의의 채널에 접속하여 게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게임 클라이언트는 채널 리스트의 표시를 생략한다.
통신망(20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망뿐만 아니라 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웹 서버(110)는 온라인 게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게임 관련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한다. 웹 서버(11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사용자 인증 처리, 경기장 선택 및 게임 시작 등의 동작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한 후 채널 리스트 서버(120) 및 게임 서버(14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웹 서버(110)는 게임 클라이언트가 채널 리스트 서버(120) 및 게임 서버(140)에 접속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300)에 게임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게임 클라이언트를 설치하고, 게임 클라이언트가 구 버전인 경우에는 신 버전의 게임 클라이언트로 업데이트 한다. 물론, 게임 클라이언트는 웹 서버(110)가 아닌 전용 다운로드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온라인 게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기억하고, 웹 서버(110), 채널 리스트 서버(120) 및 게임 서버(140)의 요청에 따라 이들(110, 120, 140)에게 이러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에는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관련 정보, 채널 관련 정보, 게임방 관련 정보, 사용자 정보, 게임 정보 등이 있다.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관련 정보는 게임의 버전, 게임 서버(140)의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등과 같이 게임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채널 관련 정보는 채널 리스트와 각 채널에 접속할 수 있는 최대 사용자 수 및 현재 접속한 사용자 수, 그리고 각 채널에 현재 어느 사용자가 접속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게임방 관련 정보는 각 채널별로 개설된 게임방 리스트 및 각 게임방에 어느 사용자가 입장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자, 별명, 아바타, 나이, 성별, 등급, 전적 등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현재 어느 게임 서버(140)에 접속해 있는지에 대한 사용자 접속 정보 등을 포함한다. 게임 정보는 게임 패 제거 규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1에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30)만을 도시하였으나 기억되는 정보에 따라 각각 별개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도 있다.
채널 리스트 서버(120)는 게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게임 서비스 요청 에 따라, 경기장 또는 채널 변경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를 참조하여 게임 채널 리스트를 게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또한, 채널 리스트 서버(120)는 각 채널별로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 수와 각 채널별 최대 접속 가능 사용자 수를 게임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게임 서버(140)는 채널 관리 모듈(142), 정보 전송 모듈(144) 및 게임 진행 모듈(146)을 포함하며, 게임 클라이언트와 교신하여 사용자들이 온라인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채널 관리 모듈(142)은 사용자가 게임 서버(140)에 접속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알려 데이터베이스(130)가 사용자 접속 정보를 갱신하도록 하고, 데이터베이스(130)를 참조하여 해당 게임 서버(140)에 개설되어 있는 게임방 리스트 및 각 게임방의 현재 상태, 즉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거나("게임중"이라고 표시), 다른 사용자의 참여를 기다리거나("대기중"이라고 표시), 비어 있는 상태("만들기"라고 표시)에 대한 정보를 게임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게임방은 온라인 게임이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사이버 공간을 의미하며, 하나의 게임 서버(140)에 대응하는 하나의 게임 채널은 복수의 게임방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게임방을 만들거나 게임방에 참여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채널 관리 모듈(142)은 이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반영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채널 서버 모듈(142)이 게임 서버(140)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게임 서버(140)의 채널 서버 모듈(142)과 채널 리스트 서버(120)를 모아 하나의 채널 서버(도시하지 않음)로 구현할 수도 있다.
정보 전송 모듈(144)은 게임 클라이언트가 게임 서버(140)에 접속하면 해당 게임 채널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게임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사용자 정보 중 일부, 예를 들면 사용자 식별자, 아바타, 성별, 등급을 우선 제공하고 나머지 상세 정보는 별도로 사용자가 요청을 하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전송 모듈(144)은 사용자들이 서로 채팅을 할 수 있도록 채팅 데이터를 게임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다.
게임 진행 모듈(146)은 사용자가 게임방에 입장하여 게임 시작 요청을 하면 소정의 게임 맵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게임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소정 방식에 따라 온라인 게임을 진행한다. 게임이 종료되면 게임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게임의 승부 또는 순위에 따른 보상을 하고, 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기억되어 있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갱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게임 서버(140)가 3개의 모듈(142, 144, 146)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3개의 모듈은 기능적으로 서로 통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게임 서버(140)는 3개 대신 하나 이상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면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게임을 실행한다(S210). 그러면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복 수의 게임방을 제공하고(S220), 사용자는 게임방에 참가한다(S230).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가 생성한 게임방에 참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자신이 참가한 게임방에서 게임이 진행 중이면 해당 게임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하거나 연습 게임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직접 게임방을 생성하여 다른 사용자의 참가를 기다릴 수 있다. 게임방을 생성한 사용자는 방장이 된다.
방장은 게임방에 참가할 수 있는 최대 게임 인원수, 게임 맵 등의 게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이 있고, 게임방에 참가한 사용자는 개인전이나 팀전(어느 팀에 속할 것인가를 포함함)을 선택할 수 있다(S230). 물론 방장이 게임방의 대전 방식을 개인전 및 팀전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하고, 다른 사용자는 개설된 게임방의 대전 방식을 보고 자신이 원하는 게임방에 참가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최대 게임 인원수는 2인, 4인, 6인이 될 수 있다. 최대 게임 인원수를 2인으로 결정하면 방장 이외의 다른 사용자가 게임방에 참가하면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최대 게임 인원수가 4인 또는 6인으로 결정되는 경우 방장을 제외한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가 게임방에 참가하면 게임을 시작할 수 있다. 방장을 포함하여 게임방에 참가한 사용자가 최대 게임 인원수에 도달하면 다른 사용자의 참가를 더 이상 허용하지 않는다. 물론 최대 게임 인원수를 필요에 따라 더 늘릴 수도 있다.
방장은 특정 게임 맵을 선택하거나 소정 분류에 따라 나뉘어 있는 랜덤 맵 집합(예를 들면, 전체 맵, 신규 맵, 쉬운 맵, 어려운 맵)을 선택할 수 있다.
하나의 게임 맵은 복수의 게임 패를 포함한다. 게임 패는 그 특성에 따라 일반 패, 방해 패 및 아이템 패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 패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 라 제거될 수 있는 게임 패이다. 개개의 일반 패는 다양한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쌍을 이루어 동일한 모양을 가진다. 방해 패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으며 게임 맵 상에서 일반 패가 제거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한 게임 패이다. 아이템 패는 특정 모양을 가지고 있는 일반 패로서, 아이템 패를 제거한 사용자는 소정 기능을 가지는 아이템을 게임 진행 중에 사용할 수 있다. 방해 패 및 아이템 패를 특정 게임 맵에 포함시킬지 여부는 선택적이다.
게임 패는 게임 맵이 그 이름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가지도록 해당 게임 맵에 분포된다. 하나의 게임 맵에서 전체 게임 패가 위치하는 자리는 일정하지만 각 자리에 놓이는 개개의 게임 패는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게임 패가 단층으로 되어 게임 맵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게임 패가 복수의 층으로 되어 게임 맵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이템 패를 제거하여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아이템은 얼리기 아이템, 폭탄 아이템, 조커 아이템 등을 포함한다. 얼리기 아이템은 소정 시간 동안 소정 영역의 게임 패를 비활성화하여 게임 상대방이 해당 게임 패를 선택할 수 없도록 하는 아이템이고, 폭탄 아이템은 소정 시간 동안 소정 영역의 게임 패를 식별할 수 없게 하여 게임 상대방이 해당 영역의 게임 패를 선택할 수 없도록 하는 아이템이다. 조커 아이템은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임의의 게임 패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같은 모양을 가지는 게임 패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제거되는 아이템으로서 게임 패 제거 규칙에 상관없이 한 쌍의 게임 패를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게임을 수행하면서 아이템 패 이외의 특정 게임 패를 삭제하라는 등의 미션을 부여받을 수 있으며, 미 션을 달성하면 조커 아이템 등을 획득할 수 있다.
하나의 게임방에 참가한 사용자가 4명 또는 6명인 경우에는 팀전을 선택할 수 있다. 4명인 경우에는 2:2로 팀을 나누어 게임을 진행할 수 있고, 6명인 경우에는 2:2:2 또는 3:3으로 팀을 나누어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편의를 위하여 각 팀을 A팀, B팀, C팀(2:2:2인 경우)이라 부를 수 있다. 물론 더 많은 사용자가 참가하여 팀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최대 게임 인원수를 8인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게임 모드로서 경쟁 모드 및 비경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비경쟁 모드 및 경쟁 모드의 선택은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고, 디폴트로 비경쟁 모드로 게임이 진행될 수 있다.
비경쟁 모드에서 게임방에 참가한 각 사용자의 게임 화면은 서로 독립적이다. 사용자는 게임 상대방이 제거하는 게임 패와 무관하게 각자 자신의 게임 패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동일한 게임 맵이 각 사용자의 게임 화면에 개별적으로 표시되고, 각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 패가 제거되더라도 다른 사용자의 게임 맵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신의 조작에 의하여만 자신의 게임 맵의 게임 패가 제거된다. 이 모드에서는 방해 패를 제외한 전체 게임 패를 가장 먼저 모두 제거하는 사용자가 승자가 된다.
이와 달리 경쟁 모드에서는 게임방에 참가한 각 사용자의 게임 화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자신이 선택하여 제거되는 게임 패가 자신의 게임 화면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게임 화면에서 사라지고, 게임 상대방이 선택하여 제거되는 게임 패도 자신의 게임 화면에서 사라진다. 따라서 게임 상대방이 먼저 제거한 게임 패는 더 이상 자신이 제거할 수 없게 된다. 이 모드에서는 게임 패를 가장 많이 제거한 사용자가 승자가 된다. 특히 경쟁 모드에서는 아이템 패를 이용하여 게임을 수행하면 보다 다양한 재미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쟁 모드는 대전 방식이 개인전인 경우에 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의 게임방 초기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게임 화면을 보고 게임을 수행하는 사용자 자신의 캐릭터 및 사용자 정보가 화면 하단 좌측에 표시되어 있고, 게임을 함께 수행하는 다른 사용자의 캐릭터 및 사용자 정보가 화면 우측에 표시되어 있다. 게임을 수행하기 위하여 게임방에 참가하는 각 사용자에게는 게임 플레이어 번호(1P 내지 6P)가 부여된다.
도 4에서는 게임방에 참가한 사용자는 6명이고, 2:2:2 팀전으로 선택되어 있다. 팀전의 경우 같은 팀원은 동일한 색으로 표시되어 구별하기 쉽다. 개인전의 경우는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색으로 표시된다. 화면 하단 중앙 우측에는 게임 패의 모양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표시되어 있으며, 개인전 선택 버튼("개인") 및 팀전을 위한 팀 선택 버튼("A", "B", "C")이 표시되어 있다. 화면 중앙 부분에는 맵 선택을 위한 메뉴가 표시되며, 여기서 선택된 맵은 "전체 랜덤"이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방장이 게임 시작 버튼을 눌러 게임 시작을 요청하 면(S250)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은 선택된 맵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각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여 게임 맵을 제공하고(S260), 각 사용자는 게임을 진행한다.
각 사용자는 게임 패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제거한다(S270). 게임 패의 선택은 사용자의 마우스 클릭 또는 키보드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선택된 게임 패의 색을 변화시키거나 선택된 게임 패에 별도의 표식을 하여 해당 게임 패가 선택된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연속하여 선택된 한 쌍의 게임 패가 소정의 게임 패 제거 규칙에 부합하면 한 쌍의 게임 패는 게임 맵에서 제거된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제거되지 않으며, 한 쌍의 게임 패 중 두 번째로 선택된 게임 패와 그 이후에 선택되는 게임 패가 다시 한 쌍의 게임 패가 되어 소정의 게임 패 제거 규칙에 부합하는지 판단된다. 한 쌍의 게임 패가 제거된 후 사용자는 다시 새로운 게임 패를 선택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모든 게임 패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게임 패 제거 규칙에 대하여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의 게임 패 제거 규칙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선택된 한 쌍의 게임 패가 제거되기 위하여 한 쌍의 게임 패는 동일한 모양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한 쌍의 게임 패가 다른 게임 패를 피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경로가 존재하고 그 경로를 잇는 직선이 2회 이하로 꺾여 있어야 한다. 게임 패를 연결하는 직선은 수평 또는 수직으로 뻗는다. 이러한 게임 패 제거 규칙은 게임 패가 단층으로 되어 있는 게임 맵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한 쌍의 게임 패가 한 번도 꺾이지 않고 직선으로 연결되 는 ①의 게임 패, 한 번 꺾인 직선으로 연결되는 ②의 게임 패, 두 번 꺾인 직선으로 연결되는 ③의 게임 패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거될 수 있으나, 세 번 꺾인 직선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는 ④의 게임 패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더라도 제거되지 않는다. 동일한 모양을 가지는 한 쌍의 게임 패가 상하 또는 좌우로 붙어 있는 경우 ①의 게임 패와 동일하게 취급한다.
한편 또 다른 게임 패 제거 규칙은 선택된 게임 패가 제거되기 위하여 한 쌍의 게임 패가 동일한 모양을 가져야 하며, 각 게임 패의 좌우 적어도 어느 한 쪽은 다른 게임 패에 막혀 있지 않아야 하며, 각 게임 패의 위에 다른 패가 놓여 있지 않아야 한다. 좌우 양쪽에 다른 게임 패가 놓여 있거나 위에 다른 게임 패가 놓여 있는 게임 패는 마우스 클릭 및 키보드 조작에도 불구하고 선택되지 않는다. 이러한 게임 패 제거 규칙은 게임 패가 단층으로 이루어진 경우뿐만 아니라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게임 맵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예시한 두 가지 규칙 이외에도 게임 패를 제거하는 규칙은 다른 방식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게임 패 제거 규칙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연산의 신속성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의 게임 클라이언트에도 저장될 수 있고 게임 클라이언트가 게임 패 제거 규칙에 따라 선택된 게임 패의 제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전 방식이 팀전인 경우에 대하여 도 6a 내지 도 6e를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의 팀전 게임 진행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2:2 팀전의 게임 화면이고, 도 6c는 2:2:2 팀전의 게임 화면이며, 도 6d 및 도 6e는 3:3 팀전의 게임 화면이다.
팀전의 경우 방장이 선택한 게임 맵이 게임에 참가한 각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제공되며 같은 팀원의 게임 맵은 해당 팀원이 서로 이동하며 게임 패를 제거할 수 있다. 팀원이 2명이면 팀에게 주어지는 게임 맵은 2개이고, 팀원이 3명이면 팀에게 주어지는 게임 맵은 3개이다. 같은 팀에게 주어진 모든 게임 맵에 포함되어 있는 게임 패를 가장 먼저 모두 제거한 팀이 승리한다.
방장이 선택한 게임 맵이 특정 게임 맵이건 랜덤 게임 맵이건 팀전에 참가한 전체 사용자는 동일한 게임 맵을 가지고 게임을 수행한다. 그러나 게임 맵은 동일하더라도 각 게임 패는 서로 다른 자리에 놓일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를 참고하면, 게임 화면 중앙 넓은 부분에 게임 맵이 표시되고 게임 화면의 상단에 게임 정보 창이 표시되어 있다. 게임 정보 창은 남은 패 정보 창, 팀원 위치 정보 창, 맵 이동 버튼, 등수 정보 창을 포함하며, 왼쪽부터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남은 패 정보 창은 현재 사용자 자신이 게임을 수행하고 있는 게임 맵에서 남아 있는 게임 패의 수효를 알려준다.
팀원 위치 정보 창은 팀원이 2명이면 2개(도 6a 내지 도 6c 참조), 3명이면 3개가 구비되며(도 6d 및 도 6e 참조), 각 창은 팀원이 게임 시작 시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으로부터 각각 받은 게임 맵에 대응한다. 첫 번째 정보 창은 사용자 자신이 받은 게임 맵에 대응하고, 두 번째 및 세 번째 정보 창은 같은 팀원이 받은 게임 맵에 대응한다. 팀원 위치 정보 창은 자신을 포함하여 같은 팀원이 어느 맵에 있는지 알려주며, 이를 위하여 각 창에는 미니 아바타가 표시된다. 사용자 자신의 미니 아바타에는 "나"라고 표시되어 있어 자신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팀원 위치 정보 창에 표시되어 있는 1P 내지 6P는 게임을 시작할 때 해당 게임 맵을 받은 팀원의 게임 플레이어 번호를 나타낸다.
맵 이동 버튼은 자신이 위치한 게임 맵에서 같은 팀에게 주어진 다른 게임 맵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이다. 맵 이동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하거나 예를 들면 키보드 기능키 F3 버튼을 누르면 다음 맵으로 이동한다. 맵 이동 버튼을 누름에 따라 게임 맵이 두 개인 경우에는 첫 번째 맵에서 두 번째 맵으로, 두 번째 맵에서 첫 번째 맵으로 이동하게 되고, 게임 맵이 세 개인 경우에는 첫 번째 맵에서 두 번째 맵으로, 두 번째 맵에서 세 번째 맵으로, 세 번째 맵에서 첫 번째 맵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동하기를 원하는 게임 맵에 대응하는 팀원 위치 정보 창을 클릭하면 해당 게임 맵으로 바로 이동할 수도 있다.
맵 이동 버튼을 누르면 자신이 게임을 수행하고 있던 게임 맵 대신에 이동하려는 다음 게임 맵이 자신의 게임 화면에 표시되고, 자신의 미니 아바타도 팀원 위치 정보 창에서 이동하여 해당 게임 맵에 대응하는 창에 표시된다. 이동한 게임 맵은 현재 상태 그대로 자신의 게임 화면에 표시된다. 즉 해당 게임 맵으로 이동하기 전에 해당 게임 맵에서 이미 게임 패가 제거되어 있었다면 게임 패가 제거되 어 있는 채로 자신의 게임 화면에 표시된다.
자신이 게임을 수행하고 있는 게임 맵에서 게임 패를 모두 제거하지 않아도 다른 게임 맵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하나의 게임 맵에서 게임 패를 모두 제거하면 "우리 팀 도와주러 가기" 또는 "다른 맵 도와주러 가기"라는 버튼이 게임 화면 중앙에 크게 표시되어 다른 게임 맵으로 이동하기 쉽게 한다. 또는 하나의 게임 맵에서 게임 패를 모두 제거하면 게임 패가 남아있는 게임 맵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의 팀원 위치 정보 창을 참고하면, 도 6a의 경우 두 개의 게임 맵에 자신과 팀원이 각각 위치해 있고, 도 6b의 경우 자신과 팀원이 같은 게임 맵에 위치하고 있으며 팀원이 자신의 게임 맵으로 이동하여 게임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d 및 도 6e의 팀원 위치 정보 창을 참고하면, 도 6d의 경우 자신과 두 명의 팀원이 한 명씩 세 개의 게임 맵에 각각 위치해 있고, 도 6e의 경우 첫 번째 게임 맵에는 자신과 한 명의 팀원이 위치하고 있고 두 번째 게임 맵에는 또 다른 한 명의 팀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세 번째 게임 맵에는 당연히 아무도 없다.
사용자 자신과 팀원 한 명이 하나의 게임 맵에서 함께 게임을 수행하면 자신의 게임 화면에 표시되는 게임 패와 해당 팀원의 게임 화면에 표시되는 게임 패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자신이 제거하는 게임 패는 자신의 게임 화면에서 사라질 뿐만 아니라 해당 팀원의 게임 화면에서도 사라지고, 해당 팀원이 제거하는 게임 패도 자신의 게임 화면에서 사라진다. 세 명의 팀원이 하나의 게임 맵에서 함께 게임을 수행할 때도 한 명이 제거하는 게임 패는 다른 두 명의 게임 화면에서도 사라진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은 게임 패가 선택되거나 제거되면 해당 정보를 해당 팀원에게 전송한다.
하나의 게임 패를 자신과 팀원이 함께 선택하더라도 게임 패 제거 규칙에 부합하는 게임 패를 먼저 선택한 사용자에게 우선권이 주어지게 되어 해당 게임 패가 제거된다. 따라서 먼저 선택되어 제거된 한 쌍의 게임 패 중 어느 하나와 다른 게임 패가 선택된 경우 다른 게임 패는 제거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팀전 방식에 의하면 사용자 각자 자신의 게임 맵의 게임 패를 제거하고 게임 패를 모두 제거한 사용자가 아직 제거할 게임 패가 남아 있는 팀원을 도우러 가든지, 서로 힘을 합하여 차례로 각 게임 맵의 게임 패를 모두 제거해 나가는 등의 전략적인 협동이 가능하다.
하나의 게임 맵에서 사용자 자신과 팀원이 함께 게임을 진행할 때 자신이 선택한 게임 패와 팀원이 선택한 게임 패가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자신의 게임 패를 선택할 때 표현되는 효과와 팀원이 게임 패를 선택할 때 표현되는 효과를 서로 다르게 한다. 또한 도 6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자신이 선택하여 제거되는 게임 패와 팀원이 선택하여 제거되는 게임 패도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게임 패가 제거될 때 표현되는 효과도 서로 다르게 한다. 자신이 선택하여 제거되는 게임 패는 밝고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고, 같은 팀원이 선택하여 제거되는 게임 패는 상대적으로 어둡게 표현할 수 있다.
게임 패가 모두 제거된 게임 맵으로는 맵 이동 버튼을 눌러도 이동을 할 수 없도록 하고 해당 게임 맵에 대응하는 팀원 위치 정보 창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등수 정보 창은 게임을 수행하는 전체 사용자 중에서 자신의 현재 등수를 표시한다. 현재 등수는 각 사용자가 현재 제거한 게임 패의 수효에 따라 결정되며 게임 패를 가장 많이 제거한 사용자가 1등으로 표시된다.
게임 화면의 하단에는 채팅 창을 구비하고 있어서 다른 사용자와의 채팅 내용을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입장/퇴장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대전 방식이 개인전인 경우 앞서 설명한 비경쟁 모드 또는 경쟁 모드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의 개인전 게임 진행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게임 화면의 상단의 게임 정보 창은 팀전의 경우와는 조금 다르게 표시되는데, 팀원 위치 정보 창 대신에 현재 제거 가능한 게임 패의 수효를 나타낼 수 있다. 각 사용자 정보를 나타내는 색상이 모두 동일하여 개인전을 치르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면서 소정 시간 내에 소정 수효의 게임 패를 제거하면 콤보 이벤트를 부여할 수 있다. 콤보 이벤트는 앞서 설명한 조커 아이템과 유사한 효과를 내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5초 이내에 5쌍의 게임 패를 제거하면 마우스 포인터가 특정 모양(예를 들면 요술봉)으로 변환되고, 그 후 사용자가 이 요술봉으로 삭제를 원하는 하나의 게임 패를 선택하면 이와 동일한 모양을 가지는 한 임의의 게임 패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게임 패 제거 규칙과 무관하게 선택된 게임 패와 함께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5초 이내에 5쌍의 게임 패를 제거하여 이러한 요술봉을 1회 부여받고, 이와 동시에 총 7초 이내에 10쌍의 게임 패를 제거하 면 그 후 요술봉으로 선택된 게임 패와 동일한 모양을 가지는 모든 게임 패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및 수효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콤보 이벤트의 효과도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콤보 이벤트는 팀전의 경우 게임 맵을 이동하면서 게임 패를 제거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게 힌트 및 패섞기 아이템이 부여될 수 있다. 힌트 및 패섞기 아이템의 수효는 게임 맵의 난이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나 임의로 결정될 수도 있다. 게임 화면 하단 우측에 표시되어 있는 힌트 버튼을 누르거나 키보드의 기능키(F1)를 누르거나 마우스의 우측 버튼을 누르면 제거 가능한 한 쌍의 게임 패가 게임 화면에 표시되고, 또한 패섞기 버튼을 누르거나 키보드의 기능키(F2)를 누르거나 마우스의 휠 버튼을 누르면 현재 게임 패가 남아있는 자리에 게임 패가 재배치되어 표시된다. 사용자가 게임 도중 동일한 모양을 가지는 게임 패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 힌트 및 패섞기 아이템을 이용하면 게임을 용이하게 풀어갈 수 있다.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힌트 및 패섞기의 수효는 게임 화면 하단 우측에 표시되며 이를 사용함에 따라 아이템 수효가 줄어든다.
팀전의 경우 사용자가 게임 맵을 이동하더라도 힌트 및 패섞기 아이템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패섞기 아이템은 같은 게임 맵에 있는 전체 팀원에게 영향을 미치나 힌트 아이템은 이를 사용한 팀원에게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패섞기 아이템은 같은 게임 맵에서 복수의 팀원이 게임을 함께 수행할 때 같은 팀원이 혼동하지 않도록 사용할 필요가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각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게 임 패를 선택하여 제거하며 게임을 수행하면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은 해당 데이터를 기록하고 각 사용자 또는 팀 단위로 게임 패를 제거한 개수를 카운트한다.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은 소정의 게임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 게임 맵 내의 게임 패가 모두 제거되었는지 판단한다(S280). 판단 결과 소정의 게임 시간이 경과하지 않고 모든 게임 패가 제거되지 않았다면 사용자가 게임 패 선택을 계속하도록 하고 소정의 게임 시간이 경과되었거나 그 이전에 모든 게임 패가 제거되었다면 승부를 결정하고(S290) 게임을 종료한다(S295).
도 6a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게임 화면 좌측에 용머리 형상을 가지고 있는 기둥은 남은 시간 및 게임 패 제거율을 표시한다. 게임 시작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푸른색으로 표시된 기둥은 짧아지고 소정 게임 시간이 경과하면 푸른색 기둥이 바닥까지 짧아지고 게임이 종료된다. 한편 각 사용자 또는 각 팀이 제거한 게임 패의 수효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또는 각 팀의 게임 패 제거율이 기둥에 표시된다. 게임 패를 많이 제거할수록 제거율이 높아지며 해당 사용자 또는 팀을 가리키는 표지가 기둥을 타고 오른다. 게임 패가 모두 제거되면 해당 표지가 기둥의 꼭대기까지 이르게 되고 게임이 종료된다. 이러한 표지에 의하면 각 사용자 또는 각 팀의 현재 순위도 파악할 수 있다.
게임의 승자는 소정의 게임 시간 내에 게임 맵의 모든 게임 패를 가장 먼저 제거한 사용자 또는 팀이 된다. 그리고 게임 패가 적게 남은 순서대로 게임의 순위가 결정된다. 게임의 순위에 따라 각 사용자에게 게임 레벨을 올릴 수 있는 내공을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팀전의 활성화를 위하여 팀전의 경우 게임 결과 에 따른 보상을 개인전에 비하여 더 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게임의 공정성을 위하여 팀전 보상을 개인전 보상에 비하여 덜 할 수도 있다. 또한 팀전의 경우 게임 패를 가장 많이 제거한 사용자에게는 팀의 승패 여부와는 무관하게 최고 점수 보너스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보너스 내공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에 더욱 몰입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자신은 다른 사용자에 비하여 가장 많은 게임 패를 제거하였으나 같은 팀원이 부진하여 팀이 패배한 경우라도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어느 사용자 및 어느 팀도 소정의 게임 시간 안에 게임 패를 모두 제거하지 못한 경우에는 게임 패를 제거한 개수에 따라 게임 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따른 보상은 게임 패를 모두 제거하여 게임을 종료한 경우에 비하여 적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의 게임 결과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2:2 팀전의 결과 화면으로서 아이디가 "anycall385"인 사용자가 속한 A팀이 승리한 화면이다. 각 팀별로 순위가 표시되고, 각 사용자의 아이디, 팀별로 남은 게임 패의 개수 및 각 사용자가 제거한 게임 패의 개수가 표시되며, 각 사용자의 현재 내공 및 해당 게임으로 인하여 부여받은 내공이 표시된다. 아이디가 "anycall624"인 A팀의 팀원이 가장 많은 126개를 제거하여 최고 점수 보너스를 받은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 명한 온라인 게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9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920)과 롬(ROM: Read Only Memory)(9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9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9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920) 및 롬(9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9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9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 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9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9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9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9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9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팀원이 각각 게임 맵을 받아 게임 패를 제거하되 같은 팀원의 게임 맵으로 이동하면서 게임 패를 제거할 수 있으며 같은 팀 전체의 게임 맵에서 게임 패를 제거한 개수에 따라 게임 순위를 결정하는 새로운 팀전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관심과 흥미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팀원 모두 팀 전체 게임 맵을 이동하며 게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한 팀이라는 유대감을 느낄 수 있으며, 팀 전체 게임 맵의 게임 패를 제거하여야 승리할 수 있으므로 승부를 결정하는 데 불합리함을 없앨 수 있다.

Claims (13)

  1.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게임 서버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방법으로서,
    상기 게임 서버가 제1 및 제2 팀원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에 복수의 게임 맵에 대응하는 게임 맵 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제1 및 제2 팀원이 상기 게임 맵에 포함되어 있는 게임 패를 선택함에 따라 소정의 게임 패 제거 규칙에 부합하는 게임 패 정보를 기억하는 단계,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제1 팀원으로부터의 맵 이동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게임 맵 중 상기 제1 팀원이 위치하고 있는 게임 맵과 다른 게임 맵에 대응하는 게임 맵 정보를 상기 제1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기억된 게임 패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팀원이 제거한 게임 패의 수효를 산출하여 온라인 게임의 등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게임 맵 중 어느 하나의 게임 맵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팀원이 함께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팀원이 상기 게임 패를 선택하거나 제거하면 상기 제2 팀원의 게임 화면에서 상기 게임 패가 선택되거나 제거되는 온라인 게임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제1 팀원에 의하여 상기 게임 패가 선택되거나 제거될 때와 상기 제2 팀원에 의하여 상기 게임 패가 선택되거나 제거될 때 표현되는 효과는 서로 다른 온라인 게임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게임 서버가 상기 제1 및 제2 팀원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게임 맵을 표시하는 팀원 위치 정보 창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팀원이 상기 복수의 게임 맵에서 이동을 하면 상기 제1 팀원을 가리키는 표지가 상기 팀원 위치 정보 창에서 이동하는 온라인 게임 방법.
  5. 제1항에서,
    연속하여 선택된 한 쌍의 게임 패가 동일한 모양을 가지고 있고 다른 게임 패를 피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경로가 존재하며 상기 경로를 잇는 직선이 2회 이하로 꺾여 있으면 상기 선택된 한 쌍의 게임 패는 제거되는 온라인 게임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게임 패를 가장 많이 제거한 사용자에게 팀의 순위와 상관없이 최고 점수 보너스를 부여하는 온라인 게임 방법.
  7. 컴퓨터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 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8. 온라인 게임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제1 및 제2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웹 서버,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팀원에게 복수의 게임 맵을 각각 제공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가 상기 게임 맵에 포함되어 있는 게임 패를 선택함에 따라 소정의 게임 패 제거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패를 제거하며,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의 맵 이동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게임 맵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게임 맵과 다른 게임 맵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팀원이 제거한 게임 패의 수효에 기초하여 게임 순위를 결정하는 게임 서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9. 제8항에서,
    상기 복수의 게임 맵 중 어느 하나의 게임 맵에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가 함께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게임 패를 선택하거나 제거하면 상기 제2 사용자의 게임 화면에서 상기 게임 패가 선택되거나 제거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10. 제8항에서,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게임 패가 선택되거나 제거될 때와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게임 패가 선택되거나 제거될 때 표현되는 효과는 서로 다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
  11. 제8항에서,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복수의 팀원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게임 맵을 표시하는 팀원 위치 정보 창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게임 맵에서 이동을 하면 상기 제1 사용자를 가리키는 표지를 상기 팀원 위치 정보 창에서 이동시키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12. 제8항에서,
    상기 게임 서버는 연속하여 선택된 한 쌍의 게임 패가 동일한 모양을 가지고 있고 다른 게임 패를 피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경로가 존재하며 상기 경로를 잇는 직선이 2회 이하로 꺾여 있으면 상기 선택된 한 쌍의 게임 패를 제거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13. 제8항에서,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게임 패를 가장 많이 제거한 사용자에게 팀의 순위와 상관없이 최고 점수 보너스를 부여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KR1020070005202A 2007-01-17 2007-01-17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100861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202A KR100861649B1 (ko) 2007-01-17 2007-01-17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JP2008007518A JP4639239B2 (ja) 2007-01-17 2008-01-17 オンラインゲーム方法及びオンラインゲーム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202A KR100861649B1 (ko) 2007-01-17 2007-01-17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102A KR20080085102A (ko) 2008-09-23
KR100861649B1 true KR100861649B1 (ko) 2008-10-02

Family

ID=3970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202A KR100861649B1 (ko) 2007-01-17 2007-01-17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39239B2 (ko)
KR (1) KR1008616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205B1 (ko) * 2008-10-14 2011-08-11 엔에이치엔(주) 블록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A53747U (ru) * 2010-08-03 2010-10-11 Олег Леонидович Савчук Способ построения геосоциальных игр с помощью терминалов участников, интернета 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с учетом результирующего коллективного хода
CN103297446B (zh) * 2012-02-23 2016-10-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游戏资源分配的方法及服务器
JP5372212B2 (ja) * 2012-05-25 2013-12-18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012020B1 (ko) * 2013-02-08 2019-10-21 주식회사 네오위즈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N104784930B (zh) * 2015-05-08 2017-11-10 四川天上友嘉网络科技有限公司 显示游戏角色的方法
KR101708862B1 (ko) * 2015-08-26 2017-02-22 (주)모션블루 디지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사물 인터넷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49603B1 (ko) * 2017-06-27 2019-02-19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퍼즐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430B1 (ko) 2018-01-18 2019-09-23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온라인 기반의 프로버블리티 페어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102049004B1 (ko) 2018-01-18 2019-11-26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온라인 기반의 프로버블리티 페어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101984808B1 (ko) 2018-01-18 2019-05-31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온라인 기반의 프로버블리티 페어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427B1 (ko) 2018-01-18 2019-09-23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온라인 기반의 프로버블리티 페어 게임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2821A (ko) * 2004-08-04 2006-02-09 주식회사 네오위즈 인터넷을 이용한 우선 순위 블록 맞추기 게임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20060021534A (ko) * 2004-09-03 2006-03-08 엔에이치엔(주) 멀티플레이를 지원하는 온라인 마작 게임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60099634A (ko) * 2005-03-14 2006-09-20 엔에이치엔(주) 블록 매칭 게임 시스템, 블록 매칭 게임 방법 및 그 방법실행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649A (ja) * 1996-10-09 1998-06-23 Sega Enterp Ltd ゲーム処理装置、ゲーム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3317956B2 (ja) * 2000-04-14 2002-08-26 コナミ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2239246A (ja) * 2001-02-19 2002-08-27 Square Co Ltd ビデオゲー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ビデオゲーム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4229848A (ja) * 2003-01-29 2004-08-19 Aruze Corp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サーバ
JP2004329662A (ja) * 2003-05-09 2004-11-25 Nintendo Co Ltd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2821A (ko) * 2004-08-04 2006-02-09 주식회사 네오위즈 인터넷을 이용한 우선 순위 블록 맞추기 게임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KR20060021534A (ko) * 2004-09-03 2006-03-08 엔에이치엔(주) 멀티플레이를 지원하는 온라인 마작 게임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60099634A (ko) * 2005-03-14 2006-09-20 엔에이치엔(주) 블록 매칭 게임 시스템, 블록 매칭 게임 방법 및 그 방법실행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39239B2 (ja) 2011-02-23
JP2008173482A (ja) 2008-07-31
KR20080085102A (ko) 2008-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649B1 (ko)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JP5255452B2 (ja) 段階的アチィーブメントシステム
KR100742129B1 (ko) 온라인 고스톱 게임 시스템 및 고스톱 게임 제공 방법
Chu Yew Yee et al. Investigating narrative in mobile games for seniors
JP2011083597A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9165562A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制御方法
JP7302989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343128B2 (ja) 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964349B2 (ja) ゲーム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7377601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JP2019217216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9217213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Goodbrey Game comics: Theory and design
KR20000036826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토탈 스포츠 게임 제공 방법
Duh et al. Playing different games on different phones: an empirical study on mobile gaming
JP6640322B1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934345B1 (ko) 온라인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24430A (ko)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스포츠 게임 구현방법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40052733A (ko) 인터넷을 이용한 고도리포커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1534A (ko) 멀티플레이를 지원하는 온라인 마작 게임 제공 방법 및시스템
JP7348556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JP7304481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
JP6613002B1 (ja) 抽選ゲーム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84944B2 (ja) 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704481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