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408B1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408B1
KR100857408B1 KR1020087006869A KR20087006869A KR100857408B1 KR 100857408 B1 KR100857408 B1 KR 100857408B1 KR 1020087006869 A KR1020087006869 A KR 1020087006869A KR 20087006869 A KR20087006869 A KR 20087006869A KR 100857408 B1 KR100857408 B1 KR 100857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ink cartridge
main body
tray
consum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0119A (ko
Inventor
시게요시 히라시마
아키히토 미야자키
토시키 카가미
히로미츠 다케다
히로시 도쿠나가
카즈야스 다케나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14181A external-priority patent/JP45653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38134A external-priority patent/JP4560699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41J29/026Stac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Landscapes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인쇄 수단에 관련된 소모품, 예를 들면, 잉크 카트리지나 잉크 리본 등의 교환을 극히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이들과 프린터 본체측의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잉크 카트리지(인쇄 수단에 관련된 소모품)(19)를 프린터 본체(6)에 대하여 교환가능하게 한 프린터(1)로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상기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소모품 트레이; 8)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측 접속 커넥터(37)와 본체측 접속 커넥터(38)를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를 프린터 본체에 삽입하였을 때에 접속하도록 한다.
Figure R1020087006869
소모품 트레이, 프린터 헤드, 접속 커넥터, 가압 수단, 위치결정 수단, 가이드 부재, 레버

Description

프린터{Printer}
본 발명은 프린터, 예를 들면, 복사기, 팩시밀리, 컴퓨터에서의 주변 기기로서의 프린터처럼, 용지에 화상(문자도 포함한다)을 프린트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 수단에 관련된 소모품, 예를 들면, 잉크 카트리지나 잉크 리본 등의 교환을 극히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이들 소모품에 대한 프린터 본체측과의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컴퓨터가 보급됨에 따라, 그 주변 기기로서의 프린터도 보급되고, 이러한 프린터에 있어서는 용지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 수단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예를 들면, 잉크젯 방식, 잉크 리본 방식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잉크젯 방식, 잉크 리본 방식 등에 있어서는 잉크가 소모품이고, 잉크 카트리지나 잉크 리본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프린터 본체의 커버나 상측 덮개, 측면 덮개 등을 벗겨내고 잉크 카트리지나 잉크 리본을 노출시킨 후, 이것들을 떼어내고 교환할 필요가 있어, 교환 작업이 번거롭기도 하고, 그 작업에 관하여 노하우나 체크포인트를 알고 있는 사람 밖에 교환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는 문제가 있었다(제 1 과제).
또한, 잉크 카트리지나 잉크 리본에 부속된 부품과의 전기적 접속을 도모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잉크 카트리지나 잉크 리본의 프린터 본체측으로의 장착과는 달리, 이들을 프린터 본체측에 접속 케이블이나 접속 커넥터로 접속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번거로움이 있어, 그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제 2 과제).
그래서, 본 발명은 인쇄 수단에 관련된 소모품, 예를 들면, 잉크 카트리지나 잉크 리본 등의 교환을 극히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이들과 프린터 본체측의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프린터는 상기한 제 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쇄 수단에 관련된 소모품을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교환할 수 있게 한 프린터로서, 상기 소모품은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소모품 트레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소모품 트레이를 프린터 본체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것만으로, 그 소모품의 교환을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좋은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린터는 상기한 제 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쇄 수단에 관련된 소모품을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교환할 수 있게 한 프린터로서, 상기 소모품은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소모품 트레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모품에 설치된 접속 커넥터와 프린터 본체에 설치된 접속 커넥터가 소모품 트레이를 프린터 본체에 삽입하였을 때에 접속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소모품 트레이를 프린터 본체로부터 외부로 인출하는 것만으로, 그 소모품의 교환을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모품과 프린터 본체측의 전기적 접속을 소모품 트레이의 삽입·이탈 동작만으로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좋은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 기재한 바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린터는 인쇄 수단에 관련된 소모품을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교환가능하게 한 프린터로서, 상기 소모품은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소모품 트레이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쇄 수단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프린터 본체와 상기 인쇄 수단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기 위해 상기 소모품에 설치된 접속 커넥터와 프린터 본체에 설치된 접속 커넥터와 소모품 트레이를 프린터 본체에 삽입하였을 때에 접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소모품 트레이를 프린터 본체로부터 외부로 인출하는 것만으로, 그 소모품의 교환을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모품과 프린터 본체측의 전기적 접속을 소모품 트레이의 삽입·이탈 동작만으로 동시에 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좋은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한쪽의 접속 커넥터를 인쇄 수단에 관련된 소모품에 설치된 소모품측 접속 커넥터로 하였기 때문에, 소모품에 관한 정보 또는 소모품에 부속된 부품과의 전기적 접속을, 직접 행할 수 있고, 전기적 접속을 도모하기 위한 구조를 심플하게 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3 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본체측 커넥터를 소모품 트레이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프린터 본체에 지지하였기 때문에, 2개의 접속 커넥터의 위치 어긋남이 있는 경우라도, 그 위치 어긋남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고, 양 접속 커넥터 및 프린터 본체와 소모품 트레이의 치수 정밀도 등을 러프하게(rough)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저감에 공헌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모품 트레이를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삽입하였을 때, 본체측 접속 커넥터와 소모품측 접속 커넥터의 위치 맞춤을 행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소모품 트레이를 프린터 본체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2개의 접속 커넥터의 결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4 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결합된 2개의 접속 커넥터를 분리하는 스트로크 만큼을 소모품 트레이를 이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를 설치하 였기 때문에, 소모품 트레이의 프린터 본체로부터의 인출 동작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범위 제 5 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2개의 접속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스트로크 만큼을 소모품 트레이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프린터 본체의 중량이 비교적 가벼울 때라도, 소모품 트레이의 삽입 시에 프린터 본체가 움직이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프린터의 실시예에 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3에 본 발명의 프린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 실시예는 상기 제 1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한 제 1 실시예는 본 발명을 소위 라인 헤드 방식의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한 것이다.
프린터(1)는 직방체 형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약간 편평한 형상을 한 외측 케이스(2)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케이스(2)내에 용지(3)를 반송하는 반송계(4)를 포함하는 기구부(5)가 수납되어 프린터 본체(6)를 구성하고 있다(도 2 참조).
프린터 본체(6)의 상기 기구부(5)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분은 후술하는 급지(給紙) 트레이(7) 및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9, 10)으로 되어 있고, 외측 케이스(2)의 전면(前面)으로서 상기 수납 공간(9, 1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각각 급지 트레이(7) 및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삽입·이탈하기 위한 삽입·이탈 구멍(11, 12)이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급지 트레이(7)는 상기 공간중 하측의 공간(9)에 삽입·이탈 자유롭게 슬라이드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외측 케이스(2)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용지(3, 3,···)를 보급한다.
급지 트레이(7)의 전단 하면에는 용지(3, 3, ···)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밀어올림판(13)이 설치되고, 상기 밀어올림판(13)에 의해, 급지 트레이(7)에 수납된 용지(3, 3, ···)의 안쪽단부가 급지 트레이(7)로부터 약간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고, 후술하는 픽업 롤러(14)에 최상면의 용지(3)를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픽업 롤러(14)에 의해 보내진 용지(3)는 외측 케이스(2)내의 안쪽단부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고, 외측 케이스(2)의 안쪽단부에 있는 보내진 용지(3)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반전 롤러(15)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 방향이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는 상기 공간중 상측의 공간(10)에 삽입·이탈 자유롭게 슬라이드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안쪽 절반부(half)에는 프레임(16)에 둘러싸인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오목부(17)의 하면에는 비교적 큰 하부 개구(18)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오목부(17)에는 이것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평면 형상을 한 잉크 카트리지(19)가 거의 간극 없는 상태로 장착된다(도 3, 도 4 참조).
또한, 상기 프레임(16)중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19)의 오장착 방지를 위한 돌기(20, 20)가 형성되고, 또한, 이것에 대응하여, 잉크 카트리지(19)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돌기(20, 20)가 끼워지는 노치(21, 21)가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3, 도 4 참조).
프레임(16)의 배면부 거의 중앙에는 홈 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 부(22)를 통하여, 잉크 카트리지(19)와 프린터 본체(6)의 전기적 접속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3, 도 4 참조).
외측 케이스(2)의 상면으로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19)가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에 대응한 위치에는 상면 개구(23)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 개구(23)를 개폐하도록 상측 덮개(24)가 외측 케이스(2)에 설치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또한, 상측 덮개(24)에는 잉크 카트리지(19)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압 수단(25)이 설치되어 있고, 이로써, 상측 덮개(24)가 폐쇄된 상태에서, 잉크 카트리지(19)가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프린터 본체(6)내에 삽입하면, 상기 잉크 카트리지(19)가 가압 수단(25)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19) 및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하방으로 가압되고, 하방으로 가압된 잉크 카트리지(19) 및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고, 용지(3)와의 위치 관계가 규제된다 (도 2 참조). 또, 상기 가압 수단(25)은 상측 덮개(24)에 설치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프린터 본체(6), 혹은 외측 케이스(2)내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중요한 것은 프린터 본체(6)내에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삽입되었을 때,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 또는 잉크 카트리지(19)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으면 좋다.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삽입되는 외측 케이스(2)내 공간(10)의 안쪽 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판(26)이 프린터 본체(6)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판(26)은 상기 공간(10)내에 삽입된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안쪽단 하측면이 놓이도록 되어 있고,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안쪽단 하측면이 상기 수용판(26)에 놓여지므로써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 및 잉크 카트리지(19)는 상기 가압 수단(25)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 및 잉크 카트리지(19)는 프린터 본체(6)내에서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된다(도 3, 도 4 참조).
잉크 카트리지(19)는 잉크 탱크(28) 및 프린터 헤드(29) 일체형의 것이며(도 2 참조), 또한, 프린터 헤드(29)는 소위 라인 헤드이고, 1색마다 좌우 방향으로 다수 배열된 잉크 토출 구멍(도시 생략)이 설치되고, 예를 들면 4색분의 라인 헤드가 전후 방향(종이 이송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용지(3)가 프린터 헤드(29)를 통과할 때에 라인형의 묘화(描畵)가 인쇄되어, 용지(3)의 이송에 의해 순차로 라인형의 묘화가 원하는 문자, 화상이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잉크 카트리지(19)가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오목부(17)에 수납되면, 그 프린터 헤드(29)가 하부 개구(18)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 하면으로부터 약간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위치된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수용판(26)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R 면(26a)이 형성되고, 또한,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안쪽단 하측 가장자리에도 R 면(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상하 방향으로 다소 어긋난 위치에 삽입되더라도,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안쪽단 하측면의 R 면(8a)이 수용판(26)의 전단 가장자리의 R 면(26a)에 접촉하여,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원활하게 수용판(26)에 놓여지고,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도 5, 도 6 참조).
상기 수용판(26)의 좌우 양 단부에는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안쪽단부가 접촉하는 위치 결정판(27, 27)이 프린터 본체(6)측에 설치되어 있고,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안쪽단면이 상기 위치 결정판(27, 27)에 각각 접촉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삽입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도 5, 도 6 참조).
이로써,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는 삽입 공간(10)에 삽입되었을 때에 프린터 본체(6)에 대하여 삽입 방향 및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에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19)와 프린터 본체(6), 즉 용지(3)와의 위치 관계가 규제된다. 또,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에 장착된 후술하는 프린터 헤드는 프린터(1)에서의 용지(3) 이송 방향과의 위치 관계에서, 면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의 경사(θ)가 생기면, 프린트에 있어서 소위 색 어긋남이 생기기 때문 에,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 안쪽단부가 좌우 2개소에서 위치 결정판(27, 27)에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θ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에서의 좌우 방향으로의 위치 결정 규제는 행할 수 없지만, 상기 프린터(1)가 라인 프린터이므로, 후술하는 프린터 헤드와 용지(3)의 이송 방향이 직교하도록 되어 있으면, 프린트에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19)의 배면에는 커넥터 단자부(30)가 형성되어 있어서, 프린터 본체(6)측의 접속 커넥터(31)와 전기적 접속이 도모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프린터 헤드(29)로의 급전이 가능해지며, 프린터 헤드(29)를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잉크 카트리지(19)가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오목부(17)에 장착되면, 상기 커넥터 단자부(30)가 상기 프레임(16)의 홈 부(22)에 위치하고,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프린터 본체(6)에 삽입되면, 상기 홈 부(22)내에 상기 접속 커넥터(31)가 상대적으로 삽입되고, 커넥터 단자부(30)와 접속 커넥터(31)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반송계(4)는 프린터 본체(6)내에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19)의 거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반전 롤러(15)에 의해, 그 이송 방향이 전방으로 변환된 용지(3)를 프린터 헤드(29)의 하방으로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반송계(4)는 4개의 이송 롤러(32, 32, 32, 32)에 걸려진 이송 벨트(33)가 측방에서 보아 평행사변형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그 이송 벨트(33)의 상부(종이 이송부; 33a)가 상기 프린터 헤드(29)에 근접한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송 벨트(33)의 종이 이송부(33a)에는 보내진 용지(3)를 이송 벨트(33)와 함께 협지하는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픽업 롤러(14)에 의해 각 장마다 픽업된 용지(3)는 우선, 안쪽단 방향으로 보내지고, 상기 반전 롤러(15)에 의해 그 이송 방향이 변환되어 전방으로 방향을 바꿔, 상기 반송계(4)로 보내진다.
반송계(4)로 보내진 용지(3)는 도시하지 않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이송 벨트(33)의 종이 이송부(33a)에 협지되고, 상기 프린터 헤드(29)의 하방으로서 근접한 위치를 통과하게 되고, 그 때, 용지(3)에는 프린터 헤드(29)에 의해 프린트가 행해진다.
또,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지만,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는 상기 도시하지 않는 슬라이드 기구에 설치된 구동부에 의해, 프린터 본체(6)의 전면 패널(34)에 설치된 스위치(35)의 조작으로 외측 케이스(2)내로의 인입, 인출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삽입 완료는 도시하지 않는 센서에 의해, 구동부가 정지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6)에 대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린터(1)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9)내의 잉크가 떨어진 경우, 이것을 교환할 필요가 있지만, 그 때는, 전면 패널(34)의 스위치(35)를 조작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프린터 본체(6)로부터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인출한다. 이 상태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9)가 노출되기 때문에, 이것을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잉크 카트리지(19)를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오목 부(17)에 수납하는 것만으로, 그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도 1 참조).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에서는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인출 및 삽입 동작을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구조는 이미 알고 있는 예를 들면, 테이프 카세트나 디스크 카트리지에서의 슬라이드 기구를 그대로 유용할 수 있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9)를 잉크 탱크(28) 및 프린터 헤드(29)가 일체로 된 것에 관해서 적용하였지만, 이로써, 잉크 탱크(28)와 프린터 헤드(29)의 잉크 유로에 관해서는 폐쇄 공간(잉크 카트리지내에서 완결하기 위해서)에 의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양자가 분리(separate)된 것에 비해, 잉크 누출 등의 문제가 생기기 어렵다. 물론, 본 발명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에 프린터 헤드가 설치되고, 여기에 잉크 탱크를 교환하는 타입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 헤드와 프린터 본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상기 커넥터는 불필요해진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 헤드(29)는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분에 그곳을 통과하려는 용지(3)가 걸려, 소위 재밍(jamming: 걸림)을 일으키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도 8 참조).
이러한 때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프린터 본체(6)로부터 인출한 후, 상측 덮개(24)를 개방함으로써, 재밍된 용지(3)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즉, 재밍을 일으킨 용지(3)는 상기 프린터 헤드(29)의 하방으로의 돌출부에 걸렸기 때문이고, 그 프린터 헤드(29)는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와 함께, 프린터 본체(6)로부터 전방으로 끌려나오기 때문에, 걸리는 것이 제거되고, 또한, 그 상방의 상측 덮개(24)가 개방되기 때문에, 재밍된 용지(3)는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도 9 참조).
또한, 외측 케이스(2)의 개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덮개(24)에 한정되지 않고, 측면에 덮개를 설치하여, 상기 덮개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재밍을 일으킨 용지(3)를 제거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프린터 본체(6)에 대하여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삽입·이탈 자유롭게(인출 또는 삽입) 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린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문의 내측에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를 일체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는 프린터 본체(6)에 대하여, 회전 운동을 하면서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삽입 또는 인출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는 그 인쇄 수단으로서 라인 헤드를 사용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시리얼 주사형의 프린터 헤드여도 좋으며, 이 경우,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에 시리얼 주사형 헤드를, 종이 이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의 주변 기기로서의 프린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사기, 팩시밀리 등과 같이, 용지에 인쇄, 복사 등의 화상(문자)을 형성하는 수단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인쇄 수단에 대해서도, 잉크젯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 잉크 리본 등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그 외,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 있어서 제시한 각 부의 구체적인 형상 내지 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의 구체화의 그저 일 예를 제시한 것에 불과하며, 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 10 내지 도 32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설명 중, 제 1 실시예와 공통인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공간(10)의 약간 후방에 프린터 본체(6)측의 부재로서 고정판(36)을 설치하고, 또한, 반전 롤러(15)의 주위에는 보내진 용지(3)를 반전 롤러(15)에 권취시키도록 가이드 롤러나 가이드판을 설치하였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19)의 배면에는 접속 커넥터(이하 「카트리지측 접속 커넥터」라고 함)(37)가 설치되어 있고, 프린터 본체(6)측의 접속 커넥터(이하 「본체측 접속 커넥터」라고 함)(38)와 전기적 접속이 도모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프린터 헤드(29)로의 급전이 가능해지고, 프린터 헤드(29)를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2, 도 13 참조).
잉크 카트리지(19)가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오목부(17)에 장착되면, 상기 카트리지측 접속 커넥터(37)가 상기 프레임(16)의 홈 부(22)에 위치하고,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프린터 본체(6)에 삽입되면, 상기 홈 부(22)내에 상기 본체측 접속 커넥터(38)가 상대적으로 삽입되어, 카트리지측 접속 커넥터(37)와 본체측 접속 커넥터(38)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도 12, 도 13 참조).
잉크 카트리지(19)의 카트리지측 접속 커넥터(37)를 사이에 둔 좌우 양측에는 원추형의 오목부(이하 「원추형 오목부」라고 함)(39, 39)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원추형 오목부(39, 39)는 본체측 접속 커넥터(38)측의 후술하는 원추형 볼록부와 함께, 2개의 접속 커넥터(37)와 접속 커넥터(38)의 결합에 있어서의 가이드 부재로 되어 있다(도 14, 도 15 참조).
본체측 접속 커넥터(38)는 그 접속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을 갖는 지지 기판(40)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지 기판(40)은 상기 고정판(36)의 상면에 나사 고정된 홀더(41)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되고, 이로 인해, 본체측 접속 커넥터(38)는 상기 카트리지측 접속 커넥터(37)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체측 접속 커넥터(38)에는 신호선(42)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신호선(42)은 프린터 본체(6)의 전기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도 16, 도 17, 도 18 참조).
홀더(41)는 저면판(43)과 상기 저면판(43)의 좌우 양단부에 세워서 설치된 2개의 지주(44, 44)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44, 44)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는 슬릿(44a, 4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슬릿(44a, 44a)은 상기 지지 기판(40)의 판 두께보다 약간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8 참조).
상기 지지 기판(40)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2개의 지주(44, 44)간의 간격보다 도 길고, 또한, 2개의 지주(44, 44)의 슬릿(44a, 44a)의 저면간의 간격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도 17 참조).
그리고, 2개의 지주(44, 44)에 각각 형성된 슬릿(44a, 44a)에 상기 지지 기판(40)이 상방으로부터 맞물림으로써, 상기 본체측 접속 커넥터(38)가 홀더(41)에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 기판(40)은 2개의 접속 커넥터(37, 38)의 접속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을 갖게 된다.
지지 기판(40)에는, 본체측 접속 커넥터(38)를 끼운 좌우 양측에는, 원추형의 볼록부(이하 「원추형 볼록부」라고 함)(45, 45)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이들 원추형 볼록부(45, 4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측 접속 커넥터(37)측의 원추형 오목부(39, 39)와 함께, 2개의 접속 커넥터(37)와 접속 커넥터(38)의 결합에 있어서의 가이드 부재로 되어 있다.
즉,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프린터 본체(6)에 삽입할 때에 2개의 접속 커넥터(37)와 접속 커넥터(38)가 어긋나더라도, 본체측 원추형 볼록부(45)의 선단이 카트리지측 원추형 오목부(39)의 개구면 내에 있으면, 원추형 볼록부(45)의 선단이 원추형 오목부(39)의 내면에 접촉하여, 센터링되면서 삽입되기 때문에, 지지 기판(40)이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본체측 접속 커넥터(38)와 카트리지측 접속 커넥터(37)의 위치맞춤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프린터 본체(6)에 삽입되었을 때에, 그 잉크 카트리지(19)에 설치된 카트리지측 접속 커넥터(37)와 본체측 접속 커넥터(38)가 결합하고, 잉크 카트리지(19)의 프린터 헤드(29)로의 급전이 행해진다(도 13 참조).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접속 커넥터(37, 38)의 결합에 있어서의 가이드 수단으로서, 원추형 오목부(39)와 원추형 볼록부(45)가 요철로 맞물려지도록 하였지만, 원추형 오목부(39)는 단순한 원형의 개구라도 좋고, 또한, 요철이 카트리지측과 본체측에서 반대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측 접속 커넥터(38)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해 두고, 프린터 본체(6)에 삽입되는 카트리지측 접속 커넥터(37)에 추종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카트리지측 접속 커넥터(37)를 이동가능하게 해두고 본체측 접속 커넥터(38)를 고정해두어도 좋다. 중요한 것은 2개의 접속 커넥터(37, 38)의 어긋남을 흡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반송계(4)는 프린터 본체(6)내에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19)의 거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반전 롤러(15)에 의해, 그 이송 방향이 전방으로 변환된 용지(3)를 프린터 헤드(29)의 하방으로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다(도 11 참조).
반송계(4)는 4개의 이송 롤러(32, 32, 32, 32)에 걸려진 이송 벨트(33)가 측방에서 보아 평행 사변형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그 이송 벨트(33)의 상부(종이 이송부)(33a)가 상기 프린터 헤드(29)에 근접한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송 벨트(33)의 종이 이송부(33a)에는 보내진 용지(3)를 이송 벨트(33)와 함께 협지하는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그리고, 픽업 롤러(14)에 의해 각 장마다 픽업된 용지(3)는 우선, 안쪽단 방 향으로 보내지고, 상기 반전 롤러(15)에 의해 그 이송 방향이 변환되어 전방으로 방향을 바꿔, 상기 반송계(4)로 보내진다(도 11 참조).
반송계(4)로 보내진 용지(3)는 도시하지 않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이송 벨트(33)의 종이 이송부(33a)에 협지되고, 상기 프린터 헤드(29)의 하방으로서 근접한 위치를 통과하게 되고, 그 때, 용지(3)에는 프린터 헤드(29)에 의해 프린트가 행해진다.
프린터(1)는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프린터 본체(6)에 대하여 삽입하였을 때에 그 상태를 로크하는 로크 기구(46)를 갖는다(도 19 참조).
로크 기구(46)는 측방에서 보아 L 자형을 한 로크 레버(47)와,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에 장착되어 상기 로크 레버(47)를 계지(係止:걸어고정)하는 로크 핀(48)과, 로크 레버(47)를 소정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49)과, 로크 레버(47)를 외측 케이스(2)의 전면측에서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50)로 이루어진다(도 19 참조).
로크 레버(47)는 L 자형을 한 그 단변(短邊)(47a)이 거의 상방으로 신장하고, 그 장변(長邊)(47b)이 전방으로 신장하는 방향으로, 굴곡부(47c)가 프린터 본체(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장변(47b)의 선단에 상기 리턴 스프링(49)의 일단이 걸리고,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또한, 로크 레버(47)는 그 장변(47b)의 하측 가장자리가 프린터 본체(6)에 설치된 스토퍼 핀(51)에 접촉되어, 상기 리턴 스프링(49)에 의한 회전이 저지되고, 장변(47b)이 거의 수평이 되도록 되어 있다.
로크 레버(47)의 장변(47b)은 그 상하 폭이 비교적 크고, 그 선단부에 캠 홈(52)과 로크 폴(lock pawl)(53)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캠 홈(52)은 상기 로크 핀(48)의 축 직경과 거의 같거나 약간 큰 폭을 갖고, 거의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여, 하방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캠 홈(52)의 상하 방향의 하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고, 또한, 하단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로크 폴(53)은 상기 캠 홈(52)의 상부 전방에 형성되고, 그 전단 가장자리는 하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치우치는 경사 가장자리(53a)를 형성하고, 또한, 그 후측 가장자리는 상기 캠 홈(52)의 상부에 연속되어 있고, 로크 폴(53)의 후측 가장자리 상부, 즉 캠 홈(52)의 상부는 상기 로크 핀(48)을 계지하는 계지부(53b)로 되어 있다.
또한, 로크 폴(53)의 후측 가장자리 하부, 즉, 캠 홈(52)의 전측 가장자리 하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치우치는 경사 가장자리로 되어 있고, 상기 경사 가장자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프린터 본체(6)에 삽입할 때의 최종 단계의 인입 동작을 행하는 인입부(52a)로 되어 있다.
캠 홈(52)의 후측 가장자리 하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치우치는 경사 가장자리로 되어 있고, 상기 경사 가장자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프린터 본체(6)로부터 이탈시킬 때의 초기 단계의 압출 동작을 하는 압출부(52b)로 되어 있다.
로크 레버(47)의 단변(47a)의 선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긴 구멍(54)이 형성되고, 상기 긴 구멍(54)에는 상기 조작 레버(50)의 안쪽단에 설치된 결합 핀(55)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조작 레버(50)는 프린터 본체(6)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그 안쪽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로크 레버(47)에 결합하며, 그 전단은 프린터 본체(6)의 전면 패널(5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조작 버튼(57)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프린터 본체(6)의 수납 공간(1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도 28 참조)에서는 로크 핀(48)이 로크 레버(47)의 캠 홈(52)의 계지부(53b)내에 위치되고, 이로써,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는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접속 커넥터(37, 38)가 접속된 상태이다(도 20 참조).
다음에,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인출 동작 및 삽입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인출 동작은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삽입된 상태(도 28 참조)에서, 상기 조작 버튼(57)을 조작하여 행한다.
조작 버튼(57)을 조작하면, 조작 레버(50)가 눌려지고, 로크 레버(47)가 리턴 스프링(49)에 저항하여 도 21에 도시하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로크 핀(48)은 상대적으로 캠 홈(52)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동시 에, 그 전방에서 캠 홈(52)이 없어진 부위에 로크 핀(48)이 왔을 때,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로크가 해제되는 동시에, 로크 핀(48)은 캠 홈(52)의 하부의 압출부(52b)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고,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전방으로 압출되게 되고, 상기 2개의 접속 커넥터(37, 38)의 접속이 벗겨지고,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는 약간 전방으로 이동된다(도 21 참조).
이 상태에서, 조작 버튼(57)으로부터 손을 떼면, 로크 레버(47)는 리턴 스프링(49)에 의해 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로크 핀(48)은 로크 레버(47)의 로크 폴(53)의 경사 가장자리(53a)에 의해 가압되고(도 22 참조), 또한 로크 핀(48)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전방으로 이동된다(도 29 참조). 또, 상기 압출부(52b)에 의한 로크 핀(48)의 압출 스트로크 및 상기 경사 가장자리(53a)에 의한 로크 핀(48)에 의한 가압 스트로크는 상기 2개의 접속 커넥터(37)와 접속 커넥터(38)가 결합하고 있는 스트로크분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크게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크 핀(48)이 로크 레버(47)로부터 멀어지면, 로크 레버(47)는 리턴 스프링(49)에 의해 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상기 스토퍼 핀(51)에 로크 레버(47)의 하단 가장자리가 접촉하여 그 회전은 저지되고, 이로 인해, 로크 레버(47)는 그 장변(47b)이 수평인 상태로 유지된다(도 23, 도 30 참조).
그리고,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는 이 상태에서 자유 상태가 되고(도 23 참조),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는 사람의 손으로 용이하게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30 참조). 또, 사람의 손이 아닌, 로딩 기구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인출 동 작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인출 동작 중, 초기 단계를 조작 버튼(57)의 조작에 의해 행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인출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접속 커넥터(37)와 접속 커넥터(38)의 결합이 벗겨지기까지의 동안은 양자의 저항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인장력을 강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그 결합이 벗겨졌을 때는 저항이 없어지기 때문에, 그 인장력이 그대로 있으면, 결합이 벗겨진 순간, 기세 좋게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인출되어 버려, 생각하지 않은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접속 커넥터(37)와 접속 커넥터(38)가 분리되기 까지는 상기 조작 레버(50)에 의해 인출하고(도 20 내지 도 22 참조), 접속 커넥터(37)와 접속 커넥터(38)의 결합이 분리된 후(도 23 참조)에는 사람의 손에 의해 인출 동작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사고가 없이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인출할 수 있다(도 30 참조).
다음에,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삽입 동작은 사람의 손으로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프린터 본체(6)내에 밀어넣음으로써 행한다.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프린터 본체(6)내에 밀려들어가면, 로크 핀(48)이 로크 레버(47)의 로크 폴(53)의 경사 가장자리(53a)에 접촉된다(도 24, 도 31 참조).
또한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밀어넣으면, 로크 핀(48)은 로크 폴(53)을 상방으로 누름으로써, 로크 레버(47)가 리턴 스프링(49)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도 25 참조).
그리고, 로크 핀(48)이 로크 폴(53)의 하단을 숨기도록 하여, 캠 홈(52)측에 들어간다(도 25 참조). 이 상태에서는 상기 2개의 접속 커넥터(37)와 접속 커넥터(38)는 접속되어 있지 않고, 접속이 시작되기 직전의 상태이다(도 32 참조).
로크 핀(48)이 캠 홈(52)에 삽입되면, 로크 레버(47)가 리턴 스프링(49)에 의해 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로크 핀(48)은 캠 홈(52)의 인입부(52b)에 가압되고, 이로써, 로크 핀(48)은 상기 인입부(52b)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게 되고,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가 후방, 즉, 내부측으로 이동한다(도 26 참조).
그리고, 로크 핀(48)이 캠 홈(52)의 상부, 즉, 로크 폴(53)의 계지부(53b)에 위치되면,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는 전후 방향 평행하게 동작할 수 없는 로크 상태가 된다(도 27 참조).
또한, 이것과 동시에, 상기 2개의 접속 커넥터(37)와 접속 커넥터(38)는 결합되고, 잉크 카트리지(19)와 프린터 본체(6)의 전기적 접속이 행해진다(도 28 참조).
이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삽입 동작중 최종 단계는 사람의 손으로 행할 필요가 없고,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삽입 동작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사람의 손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삽입하여, 접속 커넥 터(37)와 접속 커넥터(38)가 결합하는 스트로크분도 인위적으로 행하려고 하면, 결합이 시작되었을 때의 그 가압 압력을 크게 해야 하고, 프린터 본체(6)가 경량인 경우, 그 가압 압력에 져 프린터 본체(6)가 움직여 버린다. 그것을 위해서는 프린터 본체(6)를 누르고 있지 않으면,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삽입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 동작의 최종 단계를 리턴 스프링(49)에 의한 로크 레버(47)의 회전력에 의한 것에 의해, 그 후에는 사람의 손에 의한 압입이 필요없고, 따라서, 프린터(1)가 움직이는 일은 없다.
그리고, 캠 홈(52)내에 상대적으로 삽입된 로크 핀(48)은 그 계지부(53b)에 위치되고, 로크 상태가 되어,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는 전방으로는 인출되지 않게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로크 기구(46)를 설치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삽입 상태의 로크와 그 인출 동작 및 삽입 동작을 안전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에 있어서는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의 인출 동작 및 삽입 동작을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구조는 이미 알고 있는 예를 들면, 테이프 카세트나 디스크 카트리지에서의 슬라이드 기구를 그대로 유용할 수 있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에 있어서는 잉크 카트리지(19)를 잉크 탱크(28) 및 프린터 헤드(29)의 일체가 된 것에 관해서 적용하였지만, 이로써, 잉크 탱크(28)와 프린터 헤드(29)의 잉크 유로에 관해서는 폐쇄 공간(잉크 카트리지(19)내에서 완결하기 위해서)에 의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양자가 세퍼레이트로 된 것에 비해, 잉크 누출 등의 문제가 생기기 어렵다. 물론, 본 발명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에 프린터 헤드가 설치되고, 이것에 잉크 탱크를 교환하는 타입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1)에 있어서는 2개의 접속 커넥터(37)와 접속 커넥터(38)의 접속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9)에 설치된 프린터 헤드(29)로의 급전을 행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잉크 카트리지(19; 소모품)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잉크의 잔량, 잉크의 종류, 잉크의 제조년월일 등 여러가지 정보에 기초하여 잉크 카트리지(19)와 프린터 본체(6)측의 통신에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8)를 프린터 본체(6)에 대하여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삽입·이탈 자유롭게(인출 또는 삽입) 한 것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린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문의 내측에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를 일체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는 프린터 본체(6)에 대하여 회전 운동을 하면서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인출 동작 또는 삽입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는 그 인쇄 수단으로서 라인 헤드를 사용한 것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시리얼 주사형의 프린터 헤드라도 좋고, 이러한 경우,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에 시리얼 주사형 헤드를, 종이 이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그리고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의 주변 기기로서의 프린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사기, 팩시밀리 등과 같이, 용지에 인쇄, 복사 등의 화상(문자)을 형성하는 수단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인쇄 수단에 대해서도, 잉크젯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 잉크 리본 등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 밖에, 상기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 제시한 각 부의 구체적인 형상 내지 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의 구체화의 단지 일 예를 제시한 것에 불과하며, 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이상에 기재한 바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린터는 인쇄 수단에 관련된 소모품을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교환 가능하게 한 프린터로서, 상기 소모품이 프린터 헤드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소모품은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소모품 트레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프린터 헤드와 프린터 본체를 접속하는 접속 커넥터가, 소모품 트레이의 프린터 본체에 대한 출입 동작에 의해 접속 또는 이탈을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소모품 트레이를 프린터 본체로부터 외부로 노출하는 것만으로, 그 소모품의 교환을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사용 편의성이 좋은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소모품과 프린터 헤드를 접속하는 수고가 불필요하며, 프린터 헤드와 프린터 본체의 전기적 접속은, 소모품 트레이의 프린터 본체로의 삽입 동작만으로 행할 수 있고, 작업성을 극히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모품 트레이를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출입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그 삽입·이탈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린터 본체에 삽입된 소모품 트레이를 용지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프린터 헤드와 용지의 위치결정을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모품 트레이의 삽입 방향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 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프린터 본체에 프린터 헤드를 설치한 경우, 용지와 프린터 헤드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모품 트레이의 용지와의 간극 방향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 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프린터 본체에 프린터 헤드를 설치한 경우, 용지와 프린터 헤드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제 1 실시예의 일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도면은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를 외측 케이스로부터 인출한 상태에서,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를 외측 케이스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프린터 내부를 나타내는 상태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태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를 외측 케이스내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가 프린터 본체내에 삽입된 상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6과 함께,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의 위치를 결정하는 양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위치결정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위치 결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프린터 헤드와 용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프린터 헤드에 용지가 걸려 재밍(jamming)을 일으킨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재밍된 용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측 덮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제 2 실시예의 일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도면은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를 외측 케이스로부터 인출하고, 또한, 상측 덮 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가 프린터 본체 내에 삽입된 형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를 외측 케이스로부터 인출한 상태로 프린터 내부를 나타낸 상태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로부터,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를 외측 케이스내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5와 함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7과 함께, 본체측 접속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체측 접속 커넥터를 홀더에 장착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로크 기구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21 내지 도 27과 함께 로크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로크 레버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가 바깥쪽으로 압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상태로부터 또한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가 바깥쪽으로 압출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가 자유롭게 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가 압입되고, 로크 핀이 로크 레버에 작용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상태로부터 더욱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를 밀어넣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로크 레버의 인입부에 의해 로크 핀이 가압되고, 또한,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가 인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로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9 내지 도 32와 함께,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의 삽입·이탈 상태를 도시하는 동시에 접속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단면도로서,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의 삽입 상태이고 접속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조작 레버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가 전방으로 압출된 상태에서, 접속 커넥터가 이탈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가 자유롭게 되고, 외측 케이스에 대하여 최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를 외측 케이스에 대하여 사람의 손으로 삽입하여 로크 레버에 로크 핀이 접촉한 상태에서, 아직, 접속 커넥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리턴 스프링에 의한 로크 레버의 회전력으로 잉크 카트리지 트레이의 삽입 동작의 최종 단계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상태로부터 접속 커넥터의 접속이 개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Claims (5)

  1. 인쇄 수단에 관련된 소모품을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교환 가능하게 한 프린터로서, 상기 소모품은 상기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소모품 트레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쇄 수단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프린터 본체와 상기 인쇄 수단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상기 소모품에 설치된 접속 커넥터와 상기 프린터 본체에 설치된 접속 커넥터가 상기 소모품 트레이를 상기 프린터 본체에 삽입하였을 때에 접속되도록 하며,
    상기 소모품 트레이를 상기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삽입하였을 때, 본체측 접속 커넥터와 소모품측 접속 커넥터의 위치 맞춤을 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접속 커넥터가 상기 인쇄 수단에 관련된 소모품에 설치된 소모품측 접속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측 커넥터가 상기 소모품 트레이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프린터 본체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된 2개의 상기 접속 커넥터를 분리시키는 스트로크 만큼 상기 소모품 트레이를 이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접속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스트로크 만큼을 상기 소모품 트레이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20087006869A 2001-01-23 2002-01-18 프린터 KR100857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14181 2001-01-23
JP2001014181A JP4565300B2 (ja) 2001-01-23 2001-01-23 プリンター
JPJP-P-2001-00038134 2001-02-15
JP2001038134A JP4560699B2 (ja) 2001-02-15 2001-02-15 プリンタ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705A Division KR100855894B1 (ko) 2001-01-23 2002-01-18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119A KR20080030119A (ko) 2008-04-03
KR100857408B1 true KR100857408B1 (ko) 2008-09-08

Family

ID=266081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869A KR100857408B1 (ko) 2001-01-23 2002-01-18 프린터
KR1020037009705A KR100855894B1 (ko) 2001-01-23 2002-01-18 프린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9705A KR100855894B1 (ko) 2001-01-23 2002-01-18 프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17699B2 (ko)
KR (2) KR100857408B1 (ko)
CN (1) CN100343071C (ko)
WO (1) WO20020589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75237B1 (en) * 2003-05-08 2008-09-17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US7806523B2 (en) * 2003-08-08 2010-10-05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container holder thereof
AR049674A1 (es) * 2003-08-08 2006-08-30 Seiko Epson Corp Recipiente contenedor de liquido a suministrar a un aparato de consumo de dicho liquido
JP4473079B2 (ja) * 2003-09-19 2010-06-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EP1650035B1 (en) * 2004-10-22 2011-01-05 Sanford, L.P. Hybrid printer
JP4277850B2 (ja) * 2005-11-30 2009-06-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リフィルユニット
JP4697453B2 (ja) * 2006-06-29 2011-06-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の着脱装置、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ATE511447T1 (de) * 2006-11-06 2011-06-15 Seiko Epson Corp Flüssigkeitsbehälter, behälterhalter und flüssigkeitsverbrauchsvorrichtung
JP4946751B2 (ja) * 2006-11-06 2012-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容器ホルダ、液体消費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US8152274B2 (en) 2007-11-30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DE102008033052A1 (de) * 2008-07-14 2010-01-28 Francotyp-Postalia Gmbh Anordnung zum Auswechseln von Tintendruckmodulen
WO2013165353A1 (en) 2012-04-30 2013-1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quid supply
US9162468B2 (en) 2012-04-30 2015-10-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quid supply
TWI483853B (zh) * 2012-09-21 2015-05-11 Cal Comp Electronics & Comm Co 多功能事務機
US8913948B2 (en) 2013-02-19 2014-12-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nector for printer accessory
JP6210268B2 (ja) * 2013-03-27 2017-10-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US10137694B2 (en) * 2014-06-16 2018-11-27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supply unit and liquid consumption system
CN205130628U (zh) 2015-11-27 2016-04-06 兄弟工业株式会社 喷墨打印机
CN108584515B (zh) * 2018-06-20 2019-11-05 林毅 一种可转换排纸路径的前端进纸前端出纸的打印机
CN114228340A (zh) * 2021-12-11 2022-03-25 杨程舒 一种印制电子喷墨打印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8633A (ja) * 1996-02-13 1997-08-1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00166C (en) * 1987-12-03 1992-05-05 Alfredo Guerrato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benzoic acid ester
JPH0288248A (ja) 1988-09-26 1990-03-28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222454B2 (ja) * 1990-02-02 2001-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JPH05221105A (ja) * 1992-02-18 1993-08-31 Sony Corp プリンタ
JP3089506B2 (ja) * 1992-02-18 2000-09-18 ソニー株式会社 プリンタ
JP3376183B2 (ja) * 1994-09-29 2003-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水性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ブリード緩和方法
JP3092696B2 (ja) 1996-04-25 2000-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357854B1 (en) * 2000-04-26 2002-03-19 Pitney Bowes Inc. Ink jet printer having waste tank overflow preven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8633A (ja) * 1996-02-13 1997-08-19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43071C (zh) 2007-10-17
US6817699B2 (en) 2004-11-16
CN1633367A (zh) 2005-06-29
KR20080030119A (ko) 2008-04-03
KR100855894B1 (ko) 2008-09-03
WO2002058936A1 (en) 2002-08-01
KR20040031692A (ko) 2004-04-13
US20040085398A1 (en) 200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408B1 (ko) 프린터
JP4632433B2 (ja) 記録装置
US7566108B2 (en) Recording apparatus with detection of improperly mounted head cartridges
JP4994648B2 (ja) インクタンクおよびこれ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560699B2 (ja) プリンター
JP4565300B2 (ja) プリンター
EP0713782B1 (en) Mechanism for mounting and removing a recording head and recording apparatus provided with such a mechanism
JP2004230803A (ja) 記録装置
US7819398B2 (en) Fee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JP200700792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7313682A (ja) プリンタ
JP3809677B2 (ja) プリンタ装置
US7584955B2 (en) Image forming device
JP3648116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02283583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4612898B2 (ja) シート給送装置並びに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4230801A (ja) 記録装置
JP2004216662A (ja) キャ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H0630337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4216660A (ja) キャ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04216659A (ja) キャ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02283548A (ja) 記録装置
JP2004216661A (ja) トレイ及び記録装置
JPH10250855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