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139B1 -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139B1
KR100852139B1 KR1020070133313A KR20070133313A KR100852139B1 KR 100852139 B1 KR100852139 B1 KR 100852139B1 KR 1020070133313 A KR1020070133313 A KR 1020070133313A KR 20070133313 A KR20070133313 A KR 20070133313A KR 100852139 B1 KR100852139 B1 KR 100852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fruit
ginseng fruit
vas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인환
Original Assignee
성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인환 filed Critical 성인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팽화 및 발효 처리공정을 포함하도록 하여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이 많으며, 관능성을 향상시킨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특히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이 많으며, 관능성이 향상된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고 관능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추출물 형태로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보조식품의 원료 및/또는 첨가제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은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extract of fruit and ginseng spray puffed and fermented}
본 발명은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팽화 및 발효 처리공정을 포함하도록 하여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이 많으며, 관능성을 향상시킨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다년생 반음지성 식물로 오가피과에 속하는 것으로서 중국, 한국의 다양한 의서에서 그 효능이 널리 알려져 있어 예로부터 많은 분야의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근래 많은 연구 인력에 의해 인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인삼에 대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인삼에는 다량의 진세노사이드(Saponin)이 함유되어 있어 예로부터 사용되는 약재 이외에도 근래에는 식품에 적용하여 건강식품의 재료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인삼은 보통 재배기간이 4년 이상 소요되며, 또한 최고 품질의 인삼을 얻기 위해서는 6년간 재배하여야 하는데 재배기간이 오래 걸리고, 또한 재배하는 동안 각종 병충해, 자연재해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최초 재배량 보다 수확량이 적게 되어 가격이 비싸며, 인삼을 얻기 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인삼은 땅 밑에 뿌리와 뇌두가 있으며, 땅 위에는 줄기, 잎, 열매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땅 밑의 세근, 지근 및 주근의 뿌리와 뇌두, 뇌두에서 연결된 줄기(경), 줄기로부터 뻗은 잎, 줄기 끝의 열매(화, 과실) 및 상기 줄기와 열매사이를 이어주는 부분으로 작은 가지인 화병이 있다.
인삼은 3년차 이상에서 인삼의 꽃이 피기 시작하며, 5월경에는 초록빛 색깔의 열매가 생기게 된다. 7월 중순이 되면 인삼의 초록빛 열매가 무르익으면서 붉게 변하면서 결실하게 된다.
인삼재배 농가에서는 인삼의 뿌리를 주로 활용하기 때문에 인삼열매가 생기기 시작하면 인삼열매를 따서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인삼재배 농가에서는 화병의 일부를 절단해서 화병과 인삼열매를 같이 한덩어리 상태로 따서 버리고 있다.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인삼에 함유된 사포닌(Saponin)을 의미하며, 인삼에는 다양한 종류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인삼의 진세노사이드는 파낙사디올(Panaxadiol, PD)계, 파낙사트리올(Panaxatriol, PT)계, 올레안(Oleanane)계 등이 있다. 또한 인삼에는 상기 진세노사이드 성분 이외에도 비진세노사이드 물질로서 전분 등의 탄수화물, 폴리아세틸렌의 항산화성방향족 화합물, 간장을 보호하는 고미신(Gomisin N-A), 유사 인슐린 작용을 하는 산성 펩티드 등이 있다.
진세노사이드의 주요 약리작용은 중추신경계를 비롯하여, 내분비계,면역계,대사계등에 영향을 미쳐 신체조절기능에 다양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 이외에도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은 (1)지방분해력이 크고, 영양분흡수와 소화를 촉진시키며, (2)세포내의 효소활성화로 신진대사촉진, (3)에너지를 증가시켜 원기회복, 피로, 무력감, 식욕부진 개선, (4)혈청단백질 합성을 촉진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월등히 많은 진세노사이드 Re는 중추신경억제 작용, DNA 및 RNA 촉진작용, 프라스민 활성화 작용,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 촉진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Rd 는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촉진작용을 하며, Rb2는 중추신경억제 작용, DNA 및 RNA 합성 촉진 작용, 프라스민 활성화 작용,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 촉진작용, 항당뇨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인삼열매 및 인삼화병은 인삼뿌리의 성장을 위해 인삼에서 제거된 후 그냥 버려지고 있어 인삼열매, 인삼화병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의 이용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특히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이 많으며, 관능성이 향상된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고 관능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추출물 형태로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보조식품의 원료 및/또는 첨가제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은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추출물 제조에 있어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전처리하는 단계, 팽화시키는 단계, 발효시키는 단계 및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여 진세노이드 성분 함량이 많으며 관능성이 우수한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아 기능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아리고 쓴맛을 감소되어 관능성이 향상되어 종래 인삼재배 농가에서 그냥 버려지는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이용하여 진 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은 인삼가공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 인삼뿌리 이외에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재료로 하여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이 많으며 관능성이 우수한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어 인삼재배 농가의 수입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추출물 제조에 있어서, (1)빛을 조사 처리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증숙 후 건조하는 단계, (2)상기 건조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팽화처리하는 단계, (3)상기 팽화처리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발효시키는 단계, (4)상기 발효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빛은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에서 팽화처리는 3∼5kg/cm3, 90∼120℃, 2분∼4분의 조건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발효처리는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락토바실러스균주, 아스퍼질러 스 균주, 레디오코커스 균주, 루코노스톡 균주, 스트렙토코커스 균주, 바실러스 균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발효처리는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락토바실러스균주, 아스퍼질러스 균주, 레디오코커스 균주, 루코노스톡 균주, 스트렙토코커스 균주, 바실러스 균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균주를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0.1∼5%를 접종하고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발효처리가 끝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은 열수 추출 또는 유기용매 추출에 의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추출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3∼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75∼95℃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50%가 될 때까지 추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추출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2∼5배량의 유기용매에 첨가하고 60∼75℃에서 5∼72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유기용매는 탄소수가 1 내지 10개인 알코올 용매이다.
상기에서 유기용매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유기용매는 70∼99.9%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1)단계 후 (2)단계 전, 상기 (2)단계 후 (3)단계 전, 상기 (3)단계 후 (4)단계 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초음파 처 리, 저주파 처리, 전기장 처리, 자기장 처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공정을 추가로 더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건강보조식품은 액상 형태의 음료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건강보조식품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분말화하여 분말을 얻고 이를 정제(tablet), 환, 산제(powder), 펠렛(pellet), 캡슐제(capsul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각각의 단계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1.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전처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은 팽화, 발효 및 추출하기 전에 진세노사이드의 성분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진세노사이드의 성분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은 인삼으로부터 얻은 후 빛을 조사하여 처리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빛(light)은 자외선(ultraviolet rays), 가시광선(visible rays), 적외선(infrared ray)을 모두 포함하는 태양광선을 조사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빛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자외선은 10∼397nm 파장대인 자외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시광선은 380∼770nm 파장대인 가시광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적외선은 0.75㎛∼1000㎛ 파장대인 적외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대한 빛의 조사는 1∼24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대한 빛의 조사시간이 1시간 미만이면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증가가 미미하고, 24시간 초과하면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증가에 대한 뚜렷한 효과의 상승이 없으며, 도리어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함유된 다른 영양성분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제조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대한 빛의 조사 처리는 1∼24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빛 조사를 하기 전에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물질이 이미 제거된 상태의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이라면 이러한 이물질 제거 공정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성분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제조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진세노사이드의 성분 함량 증가하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진세노사이드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증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증숙의 일예로 80∼100℃의 열수로 20∼30분씩 수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증숙의 일예로 80∼100℃의 수증기로 20∼30분씩 수회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증숙은 1회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증숙은 1회∼10회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증숙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서 물기 및/또는 수증기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를 실시한다.
상기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건조는 열수 및/또는 수증기로 수회 증숙하는 경우 1회의 증숙이 끝난 후 바로 건조를 실시한 후 다시 열수 및/또는 수증기로 증숙 및 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증숙 후 건조는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외부의 물기 및/또는 수증기를 없앨 수 있을 정도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증숙 후 건조의 일예로 상온∼40℃의 온도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외부의 물기 및/또는 수증기를 없앨 수 있을 정도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건조는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증숙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건조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방법의 일예로 상온에서의 자연건조, 열풍을 이용한 열풍건조,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 저온에서의 냉동건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2. 전처리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팽화처리
상기 1단계에서 전처리를 마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팽화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팽화처리는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 이외에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고유의 아리고 쓴맛 등의 이취를 제거하여 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1단계에서 전처리를 마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팽화(Puffing)처리는 압력 3∼5kg/cm3, 온도 90∼120℃, 팽화시간 2분∼4분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팽화시 압력이 3kg/㎤ 미만인 경우에는 인삼열매의 풍미가 완전하지 못한 점이 있고, 5kg/㎤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화가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팽화처리시 압력은 3∼5kg/cm3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팽화시 온도 및 시간 조건 또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관능성 및 기능성 면에서 전기의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팽화처리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발효처리
상기 2단계에서 팽화처리를 실시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은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2단계에서 팽화처리를 실시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발효균주를 접종 하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발효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발효처리는 팽화처리를 실시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그대로 실시하거나 또는 팽화처리를 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거나 또는 팽화인삼열매와 팽화인삼화병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한 팽화인삼열매와 팽화인삼화병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팽화처리를 실시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0.5∼3cm×0.5∼3cm×0.5∼3cm(가로×세로×두께)로 절단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입자크기가 0.1∼1mm으로 분말화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분말화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발효균주의 접종이 어려운 경우 팽화처리 후 분쇄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물을 소량 첨가 후 이를 일정한 모양, 일예로 육면체, 구형, 원기둥 등의 모양의 용기에 넣어 발효시키거나 또는 팽화처리 후 분쇄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물을 소량 첨가하여 상기의 일정한 모양, 일예로 육면체, 구형, 원기둥 등의 모양으로 성형한 후 발효균주를 접종할 수 있다.
상기에서 팽화처리 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발효균주의 접종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0.1∼5%를 접종한 다음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발효균주를 접종한 후 30∼42℃에서 24시간∼100시간 동안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발효균주를 접종한 후 35∼42℃에서 24시간∼72시간 동안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접종하는 발효균주로서 락토바실러스(Lactobicillus sp.) 균주,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sp.) 균주,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sp.) 균주, 루코노스톡(Leuconostoc sp.) 균주,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us sp.) 균주, 바실러스(Bicillus sp.) 균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균주의 일예로 락토바실러스 아키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부크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아종) 아락토수스(Lactobacillus casei subsp. alactos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아종)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subsp. 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아종) 프세우도플란타룸(Lactobacillus casei subsp. pseudo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람노수스(Lactobacillus casei subsp.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톨레란스(Lactobacillus casei subsp. tolerans), 락토바실러스 카네나포르미스(Lactobacillus catenaformis), 락토바실러스 켈로비오수스(Lactobacillus cellobiosus), 락토바실러스 콜리노이데스(Lactobacillus collinoides), 락토바실러스 콘푸수스(Lactobacillus confusus), 락토바실러스 코리니포르미스(Lactobacillus coryniformis), 락토바실러스 코리니포르미스 (아종) 코리니포르미스(Lactobacillus coryniformis subsp. coryniformis), 락토바실러스 코리니포르미스 (아종) 토르쿠엔스(Lactobacillus coryniformis subsp. torquens), 락토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Lactobacillus licheniformis),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actobacillus crispatus),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엑끼이(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페르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프룩티보란스(Lactobacillus fructivorans), 락토바실러스 프룩토수스(Lactobacillus fructos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레테르히오키이(Lactobacillus heterohiochii), 락토바실러스 힐가르디이(Lactobacillus hilgardii), 락토바실러스 호모히오키이(Lactobacillus homohiochii), 락토바실러스 옌세니이(Lactobacillus jensenii), 락토바실러스 락티스(Lactobacillus lactis), 락토바실러스 레이크만니이(Lactobacillus leichmannii), 락토바실러스 말리(Lactobacillus mali), 락토바실러스 말타로미쿠스(Lactobacillus maltaromicus), 락토바실러스 미누투스(Lactobacillus minut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로고사이(Lactobacillus rogosae), 락토바실러스 루미니스(Lactobacillus ruminis), 락토바실러스 사케(Lactobacillus sake),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아종) 살리키니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아종) 살리바라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트리코데스(Lactobacillus trichodes), 락토바실러스 비리데스켄스(Lactobacillus viridescens), 락토바실러스 비툴리누스(Lactobacillus vitulinus), 락토바실러스 크실로수스(Lactobacillus xylosu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스퍼질러스 균주의 일예로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페디오코커스 균주의 일예로 페디오코커스 아키딜락티키(Pediococcus acidilactici), 페디오코커스 담노수스(Pediococcus damnosus), 페디오코커스 데크키트리니쿠스(Pediococcus dextrinicus), 페디오코커스 할로필루스(Pediococcus halophilus), 페디오코커스 파르불루스(Pediococcus parvulus),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케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루코노스톡 균주의 일예로 루코노스톡 크레모리스(Leuconostoc cremoris), 루코노스톡 덱스트라니쿰(Leuconostoc dextranicum), 루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루코노스톡 오이노스(Leuconostoc oenos), 루코노스톡 파라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균주의 일예로 스트렙토코커스 아키도미니무스(Streptococcus acidominimus),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이(Streptococcus agalactiae), 스트렙토코커스 앙기노수스(Streptococcus anginosus), 스트렙토코커스 보비스(Streptococcus bovis), 스트렙토코커스 콘스텔라투스(Streptococcus constellatus), 스트렙토코커스 크레모리스(Streptococcus cremoris), 스트렙토코커스 크리세투스(Streptococcus cricetus), 스트렙토코커스 에쿠이(Streptococcus equi), 스트렙토코커스 에쿠이누스(Streptococcus equinus), 스트렙토코커스 파이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스트렙토코커스 파이키움(Streptococcus faecium), 스트렙토코커스 한세니이(Streptococcus hansenii), 스트렙토코커스 이니아이(Streptococcus iniae), 스트렙토코커스 인테르메디우스(Streptococcus intermedius), 스트렙토코커스 라크리스(Streptococcus lactis),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Streptococcus mitis), 스트렙토코커스 모르빌로룸(Streptococcus morbillorum),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플레오모르푸스(Streptococcus pleomorphus), 스트렙토코커스 프네우모니아이(Streptococcus pneumoniae),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Streptococcus pyogenes), 스트렙토코커스 랍피놀락티스(Streptococcus raffinolactis), 스트렙토코커스 랏투스(Streptococcus rattus),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Streptococcus salivarius), 스트렙토코커스 상구이스(Streptococcus sanguis), 스트렙토코커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스트렙토코커스 우베리스(Streptococcus uberi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균주의 일예로 바실러스 아키도칼다리우스(Bacillus acidocaldarius), 바실러스 알칼로필루스(Bacillus alcalophilus), 바실러스 알베 이(Bacillus alvei), 바실러스 안트라키스(Bacillus anthracis), 바실러스 바디우스(Bacillus badius), 바실러스 브레비스(Bacillus brevis), 바실러스 케레우스(Bacillus cereus), 바실러스 키르쿨란스(Bacillus circulans), 바실러스 코아굴란스(Bacillus coagulans), 바실러스 파스티디오수스(Bacillus fastidiosus), 바실러스 피르무스(Bacillus firmus), 바실러스 글로비스포루스(Bacillus globisporus), 바실러스 글로비스포루스 (아종) 글로비스포루스(Bacillus globisporus subsp. globisporus), 바실러스 글로비스포루스 (아종) 마리누스(Bacillus globisporus subsp. marinus), 바실러스 인솔리투스(Bacillus insolitus), 바실러스 라르와이(Bacillus larvae), 바실러스 라테로스포루스(Bacillus laterosporus), 바실러스 렌티모르부스(Bacillus lentimorbus), 바실러스 렌투스(Bacillus lentus), 바실러스 릭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마케란스(Bacillus macerans), 바실러스 막쿠아리엔시스(Bacillus macquariens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미코이데스(Bacillus mycoides), 바실러스 판토텐티쿠스(Bacillus pantothenticus), 바실러스 파스테우리이(Bacillus pasteurii), 바실러스 플리믹크사(Bacillus polymyxa), 바실러스 포필리아이(Bacillus popilliae), 바실러스 푸밀루스(Bacillus pumilus), 바실러스 스파이리쿠스(Bacillus sphaericus), 바실러스 스테아로테르모필루스(Bacillus stearothermophil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투린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4.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추출물 제조
상기 전처리, 팽화처리 및 발효처리의 3단계를 거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은 추출단계를 거쳐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얻을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은 열수추출 또는 유기용매추출에 의해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열수추출물의 일예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3∼15배량의 정제수에 넣고 75∼95℃에서 최초 정제수의 함량이 5∼50%가 될때까지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열수추출물의 일예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3∼15배량의 정제수에 넣고 75∼95℃에서 최초 정제수의 함량이 5∼30%가 될때까지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열수추출물의 일예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3∼15배량의 정제수에 넣고 75∼95℃에서 최초 정제수의 함량이 5∼15%가 될때까지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유기용매추출물의 일예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2∼5배량의 유기용매에 넣고 60∼75℃에서 5시간∼7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한 다음 상기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추출물을 얻을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유기용매추출물을 얻을 때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탄소수가 1∼20개인 알코올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유기용매추출물을 얻을 때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헵탄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유기용매추출물을 얻을 때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유기용매추출물을 얻을 때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80∼99.9%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1단계 및 2단계 처리를 실시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대해 초음파 처리, 저주파 처리, 전기장 처리, 자기장 처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를 추가로 더 실시하여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1)단계 후 (2)단계 전, 상기 (2)단계 후 (3)단계 전, 상기 (3)단계 후 (4)단계 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대해 초음파 처리, 저주파 처리, 전기장 처리, 자기장 처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를 추가로 더 실시하여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초음파 처리는 20kHz 이상에서 10분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초음파 처리는 20∼50kHz에서 10분∼2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제조시 다양한 조건의 초음파 처리를 실시한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처리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저주파 처리는 10kHz 이하에서 30분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저주파 처리는 5∼10kHz에서 30분∼2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제조시 다양한 조건의 저주파 처리를 실시한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처리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기장 처리는 5kv 이상의 전기장에서 30초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기장 처리는 5∼20kv에서 30초∼5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제조시 다양한 조건의 전기장 처리를 실시한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처리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자기장 처리는 5가우스(Gauss) 이상의 자기장에서 30분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자기장 처리는 5∼30가우스에서 30분∼1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제조시 다양한 조 건의 자기장 처리를 실시한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처리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포함한다.
상기의 건강보조식품의 일예로 액상의 음료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건강보조식품의 일예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추출물을 분무건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분말화하고, 이러한 분말을 정제, 환, 산제, 캡슐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고상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은 구성성분으로 상기에서 제조한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추출물을 건강보조식품 전체 중량 대비 0.1∼10% 포함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성분으로 부형제, 활택제,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와 같은 부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료는 음료, 정제, 환, 산제, 캡슐제의 형태로 제공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사료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인삼으로부터 채취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파장이 100㎛인 적외선으로 10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의 적외선 조사가 끝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1kg를 100℃의 수증기로 20분 동안 증숙한 다음 65℃의 온도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표면의 수증기 및/또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시켰다.
상기의 증숙 및 건조를 3회 동안 실시한 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1kg을 압력 5kg/cm3, 95℃에서 3분 동안 팽화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 팽화처리를 실시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발효균주를 접종하고 3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이때 발효균주로서 락토바실러스 아키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3%로 접종하고 3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상기 발효처리를 실시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5배량의 정제수에 넣고 90℃에서 최초 정제수의 함량이 30%가 될때까지 열수 추출하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진세노사이드 분해물이 함유된 용액에서 침지가 끝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3배량의 80% 농도의 에탄올에 넣고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에탄올을 제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파장이 100nm인 자외선으로 5시간 동안 조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파장이 100nm인 자외선으로 5시간 동안 조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2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이 증가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파장이 500nm인 가시광선으로 7시간 동안 조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파장이 500nm인 가시광선으로 7시간 동안 조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이 증가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인삼으로부터 채취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파장이 100㎛인 적외선으로 10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의 적외선 조사가 끝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1kg를 100℃의 수증기로 20분 동안 증숙한 다음 65℃의 온도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표면의 수증기 및/또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시켰다.
상기의 증숙 및 건조를 3회 동안 실시한 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1kg을 압력 5kg/cm3, 95℃에서 3분 동안 팽화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 팽화처리를 실시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발효균주를 접종하고 3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이때 발효균주로서 락토바실러스 아키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를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3%로 접종하고 3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상기의 발효처리가 끝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1kg을 40kHz에서 1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 초음파 처리가 끝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5배량의 정제수에 넣고 90℃에서 최초 정제수의 함량이 30%가 될때까지 열수 추출하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2>
초음파 처리가 끝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3배량의 80% 농도의 에탄올에 넣고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에탄올을 제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1>
초음파 처리 대신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7kHz에서 1시간 동안 저주파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2>
초음파 처리 대신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7kHz에서 1시간 동안 저주파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1>
초음파 처리 대신 인삼열매를 15kv에서 3분 동안 전기장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2>
초음파 처리 대신 인삼열매를 15kv에서 3분 동안 전기장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1>
초음파 처리 대신 인삼열매를 20가우스에서 40분 동안 자기장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2>
초음파 처리 대신 인삼열매를 20가우스에서 40분 동안 자기장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
종래 음료 제조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 2.0중량%, 구연산 0.1중량%, 구연산나트륨 0.05중량%, 액상과당 0.1중량%, 비타민 C 0.1중량%, 비타민 B 0.05중량%, 시클로덱스트린 0.1중량%, 바나나향 0.01중량% 및 잔부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1, 실시예 2-1, 실시예 3-1, 실시예 4-1, 실시예 5-1, 실시예 6-1 및 실시예 7-1에서 제조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실험구로 하고, 시중에서 상품으로 판매하고 있는 인삼뿌리를 정제수에 넣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함량이 30%가 될때까지 추출한 추출물을 대조구로 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각각의 실험구의 추출물과 대조구의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처럼 본 발명의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은 인삼뿌리 추출물과 비교시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삼엑기스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항목 진세노사이드 함량
실시예 1-1 104.3
실시예 2-1 104.1
실시예 3-1 104.4
실시예 4-1 106.4
실시예 5-1 106.3
실시예 6-1 106.2
실시예 7-1 106.4
대조구 100
상기 표 1의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측정치는 진세노사이드 Rd을 표준품으로 하고 시료를 물과 부탄올로 층분리하여 부탄올층을 건조한 다음, 건조한 시료 및 표준품을 빙초산에 용해시키고 이에 15% 삼염화안티몬 용액을 가하여 60℃에서 30분간 가열 후 냉각하여 52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 값이다. 이때 대조구 추출물의 진세노이드 함량을 100으로 하였을 때 각 실험구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대조구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대한 환산치로 나타낸 것으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2, 실시예 2-2, 실시예 3-2, 실시예 4-2, 실시예 5-2, 실시예 6-2 및 실시예 7-2에서 제조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실험구로 하고, 시중에서 상품으로 판매하고 있는 인삼뿌리를 인삼뿌리 중량 대비 3배량의 80% 농도 에탄올에 넣고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에탄올을 제거한 인삼뿌리 추출물을 대조구로 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각각의 실험구의 추출물과 대조구의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처럼 본 발명의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은 인삼뿌리 추출물과 비교시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엑기스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항목 진세노사이드 함량
실시예 1-2 103.6
실시예 2-2 103.5
실시예 3-3 104.6
실시예 4-2 105.7
실시예 5-2 105.6
실시예 6-2 105.6
실시예 7-2 105.7
대조구 1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건강보조식품에 제공시 인삼재배 농가의 수입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은 종래의 인삼의 뿌리 부분인 인삼에 비해 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인삼뿌리와 동등 수준 이상의 진세노사이드를 섭취할 수 있어 국민건강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8)

  1.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추출물 제조에 있어서,
    (1)빛을 조사 처리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증숙 후 건조하는 단계,
    (2)상기 건조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팽화처리하는 단계,
    (3)상기 팽화처리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발효시키는 단계,
    (4)상기 발효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빛은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임을 특징으로 하는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팽화처리는 3∼5kg/cm3, 90∼120℃, 2분∼4분의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발효처리는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lus) 균주를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0.1∼5%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추출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3∼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75∼95℃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50%가 될 때까지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 추출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을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중량 대비 2∼5배량의 탄소수가 1 내지 10개인 알코올용매에 첨가하고 60∼75℃에서 5∼72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 후 (2)단계 전, 상기 (2)단계 후 (3)단계 전, 상기 (3)단계 후 (4)단계 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에 초음파 처리, 저주파 처리, 전기장 처리, 자기장 처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처리공정을 추가로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8.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20070133313A 2007-11-13 2007-12-18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제조방법 KR100852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181 2007-11-13
KR20070115181 2007-1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139B1 true KR100852139B1 (ko) 2008-08-13

Family

ID=3988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313A KR100852139B1 (ko) 2007-11-13 2007-12-18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13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770B1 (ko) 2009-08-24 2011-10-07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벤조피렌 함량이 저감된 인삼가공제품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가공제품
KR101171456B1 (ko) 2010-01-11 2012-08-07 한국식품연구원 인삼커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26495A (ko) 2014-09-01 2016-03-09 개성인삼열매영농조합법인 증포인삼열매를 활용한 인삼 열매차의 제조방법
CN105767822A (zh) * 2016-03-10 2016-07-20 大连民族大学 花瓣水果发酵饮料的制作方法
WO2018066808A1 (ko) * 2016-10-05 2018-04-12 헬스밸런스 주식회사 인삼 열매를 이용한 기능성 및 기호성이 개선된 팽화 인삼의 제조 방법
CN109475168A (zh) * 2016-07-14 2019-03-1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人参花轴提取物的细胞再生用组合物
KR102416205B1 (ko) * 2021-07-29 2022-07-05 하효철 칡 유래 푸에라린 수율증가 및 숙취해소 효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791A (ja) * 2002-07-05 2003-02-13 Itbs:Kk オタネ人参の果実エキス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0791A (ja) * 2002-07-05 2003-02-13 Itbs:Kk オタネ人参の果実エキス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770B1 (ko) 2009-08-24 2011-10-07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벤조피렌 함량이 저감된 인삼가공제품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가공제품
KR101171456B1 (ko) 2010-01-11 2012-08-07 한국식품연구원 인삼커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26495A (ko) 2014-09-01 2016-03-09 개성인삼열매영농조합법인 증포인삼열매를 활용한 인삼 열매차의 제조방법
CN105767822A (zh) * 2016-03-10 2016-07-20 大连民族大学 花瓣水果发酵饮料的制作方法
CN109475168A (zh) * 2016-07-14 2019-03-1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人参花轴提取物的细胞再生用组合物
WO2018066808A1 (ko) * 2016-10-05 2018-04-12 헬스밸런스 주식회사 인삼 열매를 이용한 기능성 및 기호성이 개선된 팽화 인삼의 제조 방법
KR102416205B1 (ko) * 2021-07-29 2022-07-05 하효철 칡 유래 푸에라린 수율증가 및 숙취해소 효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139B1 (ko)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제조방법
KR100910262B1 (ko) 발효인삼열매 및 발효인삼열매액의 제조방법
KR20080094459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7245B1 (ko) 발효 현미 미강을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696399B1 (ko) 볏짚을 이용한 숙성대상물의 발효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 흑도라지차의 제조방법
JP2011217678A (ja) 発酵食材の製造方法および発酵食品
JP5354532B2 (ja) ヤマブシタケ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532152A (ja) 山養参を用いた石鹸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石鹸
KR101914345B1 (ko) 발효콩, 발효쌀, 발효감자, 발효인삼 및 발효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72400B1 (ko) 미량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증진시킨 홍삼전분의 제조 방법
KR102614940B1 (ko) 여주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2138B1 (ko)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852137B1 (ko)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제조방법
KR100910263B1 (ko) 인삼열매 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0959496B1 (ko) 혈당강하 기능성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상엽차
KR102485367B1 (ko) 낙지 또는 오징어용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8999B1 (ko) 시리얼의 제조방법
KR100857767B1 (ko) 인삼열매로부터 인삼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2138976B1 (ko) 발효 숙성 노니 열매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용 노니 파우더의 제조방법
KR20230081771A (ko) 반려동물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간식 조성물
KR101318336B1 (ko) 압출성형 팽화 및 발효에 의한 기호성과 우수한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발효홍삼차의 제조방법
KR102172368B1 (ko) 베타글루칸 함량이 증가된 차가버섯 제조방법 및 이 차가버섯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차가버섯 추출물
KR20170038372A (ko) 인삼열매 발효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삼열매 발효차
KR20150025860A (ko) 은행외과피를 포함하는 은행식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77528B1 (ko) 홍국쌀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국쌀 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