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940B1 - 여주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여주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940B1
KR102614940B1 KR1020230095450A KR20230095450A KR102614940B1 KR 102614940 B1 KR102614940 B1 KR 102614940B1 KR 1020230095450 A KR1020230095450 A KR 1020230095450A KR 20230095450 A KR20230095450 A KR 20230095450A KR 102614940 B1 KR102614940 B1 KR 102614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xture
temperatur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훈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 에이치엘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 에이치엘바이오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 에이치엘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230095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강을 증자하고, 증자 후 냉각하고, 냉각 후 유산균을 접종하여 배양하고, 배양 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여주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 of bitter mel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여주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는 왕겨층, 쌀겨층, 눈 및 배유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현작업으로 왕겨층을 제거한 것을 현미라고 하며, 현미를 도정하여 쌀눈, 과피, 종피, 호분층 등 쌀겨를 제거한 것이 백미이다.
통상적으로 미강이란 쌀눈과 호분층을 말하는데, 이러한 미강에는 각종 생리활성 물질이 약 95%가 분포하고, 나머지 생리활성 물질은 백미에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처럼 미강에 많은 생리활성 물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강이 가지는 생리활성은 다양한데, 예컨대, 중금속 해독 활성, 항변비 활성, 항콜레스테롤 활성, 피부미용 활성, 항고혈압 활성, 항저혈압 활성, 숙취 해소 활성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7011호에는 현미강을 찌고, 유산균과 배합하여 발효, 건조시켜 제조되는 현미강, 꽃송이버섯 그리고 산삼배양근에 복합발효기술을 적용한 꽃송이발효현미강버섯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기 공개된 특허에 기재된 발효 미강은 유산균 발효에 의하여 소화촉진 등의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신맛이 나고 풍미가 없기 때문에 기호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면역력, 항암효과, 용이한 배변활동, 모발 재생촉진, 피부미용, 혈관질환 예방, 피로해소, 성인병예방, 뼈건강에 효과적인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강을 증자하고, 증자 후 냉각하고, 냉각 후 유산균을 접종하여 배양하고, 배양 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강 48-52 중량부 및 물 48-52 중량부를 혼합하여 미강혼합물을 제조하고, 90-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45-75분 동안 증자하는 단계; 증자한 미강혼합물을 30-40℃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한 미강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1-5 중량부를 첨가한 후, 36-6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한 미강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여주, 고구마 및 배를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여주분말, 고구마분말 및 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여주분말, 고구마분말 및 배분말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 20 g을 물 200 ml와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1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12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2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혼합추출물 및 2차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주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은행나무열매 및 물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8-1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96-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 상황버섯, 차가버섯, 영지버섯, 동충하초 및 꽃송이버섯을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버섯혼합물 48-52 중량부 및 상기 여과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98-102℃의 온도에서 38-42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멸균된 제1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0.3-3 중량부를 첨가하고, 28-32℃의 온도 및 78-82%의 습도에서 6-8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되어 형성된 제1 발효물을 건조기에 넣고 88-9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제1 발효물을 분쇄기에 넣어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버섯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흑미, 현미, 보리, 검은깨 및 수수를 세척한 후, 세척된 흑미, 현미, 보리, 검은깨 및 수수를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200-240℃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제2 혼합물을 43-47℃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1차 건조하는 단계; 1차 건조된 제2 혼합물을 280-32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된 제2 혼합물을 68-72℃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2차 건조하는 단계; 2차 건조된 제2 혼합물을 220-260℃의 온도 및 8-12 kgf/cm2의 압력으로 8-12초 동안 퍼핑하는 단계; 및 퍼핑된 제2 혼합물의 표면에 올리고당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물시리얼을 제조하는 단계;
아로니아열매 33-37 중량부, 감초 3-7 중량부, 배 3-7 중량부 및 물 53-57 중량부를 혼합한 후, 98-10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끓여 아로니아열매를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된 아로니아열매를 꺼내어 통에 담고 아로니아열매 중량 대비 1.4-1.6 배의 설탕을 넣고 3-6개월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및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아로니아열매 발효액을 얻고, 여과되지 않고 잔여물로 남은 아로니아열매를 분쇄한 후 98-100℃의 온도에서 볶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및 아로니아열매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메리골드, 캐모마일 및 쟈스민을 세척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메리골드 33-37 중량부, 캐모마일 33-37 중량부 및 쟈스민 28-3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제3 혼합물을 115-125℃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제3 혼합물을 40-5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끓는 물 1000 중량부에 건조된 제3 혼합물 90-1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우려낸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꽃차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 38-42 중량부, 상기 여주혼합추출물 3-7 중량부, 상기 발효버섯분말 3-7 중량부, 상기 곡물시리얼 8-12 중량부,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3-7 중량부,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액 3-7 중량부 및 상기 꽃차 28-3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감, 오렌지, 살구 및 파인애플을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한 감, 오렌지, 살구 및 파인애플을 3:2:3: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과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과일 혼합물을 85-95℃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과일 혼합물을 40-5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과일 혼합물을 영하 48-52℃의 온도로 급속냉동시키고, 동결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결과일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상기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 38-42 중량부, 상기 여주혼합추출물 3-7 중량부, 상기 발효버섯분말 3-7 중량부, 상기 곡물시리얼 8-12 중량부,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3-7 중량부,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액 3-7 중량부, 상기 꽃차 28-32 중량부 및 상기 동결과일분말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 38-42 중량부, 여주혼합추출물 3-7 중량부, 발효버섯분말 3-7 중량부, 곡물시리얼 8-12 중량부,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3-7 중량부, 아로니아열매 발효액 3-7 중량부, 꽃차 28-32 중량부 및 동결과일분말 3-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은,
미강 48-52 중량부 및 물 48-52 중량부를 혼합하여 미강혼합물을 제조하고, 90-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45-75분 동안 증자하는 단계; 증자한 미강혼합물을 30-40℃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한 미강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1-5 중량부를 첨가한 후, 36-6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한 미강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여주혼합추출물은,
여주, 고구마 및 배를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여주분말, 고구마분말 및 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여주분말, 고구마분말 및 배분말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 20 g을 물 200 ml와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1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12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2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혼합추출물 및 2차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발효버섯분말은,
은행나무열매 및 물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8-1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96-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 상황버섯, 차가버섯, 영지버섯, 동충하초 및 꽃송이버섯을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버섯혼합물 48-52 중량부 및 상기 여과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98-102℃의 온도에서 38-42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멸균된 제1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0.3-3 중량부를 첨가하고, 28-32℃의 온도 및 78-82%의 습도에서 6-8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되어 형성된 제1 발효물을 건조기에 넣고 88-9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제1 발효물을 분쇄기에 넣어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곡물시리얼은,
흑미, 현미, 보리, 검은깨 및 수수를 세척한 후, 세척된 흑미, 현미, 보리, 검은깨 및 수수를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200-240℃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제2 혼합물을 43-47℃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1차 건조하는 단계; 1차 건조된 제2 혼합물을 280-32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된 제2 혼합물을 68-72℃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2차 건조하는 단계; 2차 건조된 제2 혼합물을 220-260℃의 온도 및 8-12 kgf/cm2의 압력으로 8-12초 동안 퍼핑하는 단계; 및 퍼핑된 제2 혼합물의 표면에 올리고당을 코팅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및 아로니아열매 발효액은,
아로니아열매 33-37 중량부, 감초 3-7 중량부, 배 3-7 중량부 및 물 53-57 중량부를 혼합한 후, 98-10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끓여 아로니아열매를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된 아로니아열매를 꺼내어 통에 담고 아로니아열매 중량 대비 1.4-1.6 배의 설탕을 넣고 3-6개월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및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아로니아열매 발효액을 얻고, 여과되지 않고 잔여물로 남은 아로니아열매를 분쇄한 후 98-100℃의 온도에서 볶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꽃차는,
메리골드, 캐모마일 및 쟈스민을 세척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메리골드 33-37 중량부, 캐모마일 33-37 중량부 및 쟈스민 28-3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제3 혼합물을 115-125℃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제3 혼합물을 40-5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끓는 물 1000 중량부에 건조된 제3 혼합물 90-1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우려낸 후 여과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동결과일분말은,
감, 오렌지, 살구 및 파인애플을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한 감, 오렌지, 살구 및 파인애플을 3:2:3: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과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과일 혼합물을 85-95℃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과일 혼합물을 40-5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과일 혼합물을 영하 48-52℃의 온도로 급속냉동시키고, 동결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결과일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의 유산균 발효를 이용하여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은 유산균으로 발효된 미강을 포함하여 면역력, 항암효과, 용이한 배변활동 등의 효과를 나타내며, 동시에 맛과 풍미가 우수하여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미강을 증자하고, 증자 후 냉각하고, 냉각 후 유산균을 접종하여 배양하고, 배양 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의 유산균 발효를 이용하여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은 유산균으로 발효된 미강을 포함하여 면역력, 항암효과, 용이한 배변활동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미강 48-52 중량부 및 물 48-52 중량부를 혼합하여 미강혼합물을 제조하고, 90-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45-75분 동안 증자하는 단계; 증자한 미강혼합물을 30-40℃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한 미강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1-5 중량부를 첨가한 후, 36-6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한 미강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여주, 고구마 및 배를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여주분말, 고구마분말 및 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여주분말, 고구마분말 및 배분말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 20 g을 물 200 ml와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1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12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2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혼합추출물 및 2차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주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은행나무열매 및 물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8-1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96-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 상황버섯, 차가버섯, 영지버섯, 동충하초 및 꽃송이버섯을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버섯혼합물 48-52 중량부 및 상기 여과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98-102℃의 온도에서 38-42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멸균된 제1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0.3-3 중량부를 첨가하고, 28-32℃의 온도 및 78-82%의 습도에서 6-8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되어 형성된 제1 발효물을 건조기에 넣고 88-9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제1 발효물을 분쇄기에 넣어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버섯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흑미, 현미, 보리, 검은깨 및 수수를 세척한 후, 세척된 흑미, 현미, 보리, 검은깨 및 수수를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200-240℃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제2 혼합물을 43-47℃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1차 건조하는 단계; 1차 건조된 제2 혼합물을 280-32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된 제2 혼합물을 68-72℃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2차 건조하는 단계; 2차 건조된 제2 혼합물을 220-260℃의 온도 및 8-12 kgf/cm2의 압력으로 8-12초 동안 퍼핑하는 단계; 및 퍼핑된 제2 혼합물의 표면에 올리고당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물시리얼을 제조하는 단계;
아로니아열매 33-37 중량부, 감초 3-7 중량부, 배 3-7 중량부 및 물 53-57 중량부를 혼합한 후, 98-10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끓여 아로니아열매를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된 아로니아열매를 꺼내어 통에 담고 아로니아열매 중량 대비 1.4-1.6 배의 설탕을 넣고 3-6개월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및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아로니아열매 발효액을 얻고, 여과되지 않고 잔여물로 남은 아로니아열매를 분쇄한 후 98-100℃의 온도에서 볶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및 아로니아열매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메리골드, 캐모마일 및 쟈스민을 세척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메리골드 33-37 중량부, 캐모마일 33-37 중량부 및 쟈스민 28-3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제3 혼합물을 115-125℃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제3 혼합물을 40-5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끓는 물 1000 중량부에 건조된 제3 혼합물 90-1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우려낸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꽃차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 38-42 중량부, 상기 여주혼합추출물 3-7 중량부, 상기 발효버섯분말 3-7 중량부, 상기 곡물시리얼 8-12 중량부,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3-7 중량부,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액 3-7 중량부 및 상기 꽃차 28-3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미강 48-52 중량부 및 물 48-52 중량부를 혼합하여 미강혼합물을 제조하고, 90-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45-75분 동안 증자하는 단계; 증자한 미강혼합물을 30-40℃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한 미강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1-5 중량부를 첨가한 후, 36-6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한 미강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강혼합물은 미강 49-51 중량부 및 물 49-5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미강혼합물을 가열하는 온도는 95-105℃이고, 가열시간은 55-65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하는 온도는 33-37℃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2-4 중량부를 첨가한 후, 44-52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여주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여주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여주, 고구마 및 배를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여주분말, 고구마분말 및 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여주분말, 고구마분말 및 배분말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 20 g을 물 200 ml와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1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12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2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혼합추출물 및 2차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주(Momordica charantia)는 박과(Cucurbitaceae)에 속하는 약용식물로,성분은 베타-시토스테롤-베타-D-글루코사이드(β-sitosterol-β-D-glucoside)와 5, 25-스티그마타디엔-3 베타-D-글루코사이드(5, 25-stigmastadien-3 β-D-glucoside) 등의 분자 혼합물과, 5-하이드록시트립타민(5-hydroxytryptamine)과 각종 아미노산, 예를 들면 글루탐산(glutamic acid, alanine), 베타-알라닌(β-alan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프롤린(proline), 알파-아미노부틸릭산(α-aminobutyric acid), 시트룰린(citrulline), 갈락투로닉 산(galacturonic acid), 비타민 C(vitamin C), 베타-카로틴(β-carotin), 칼륨(potassium), 철(iron), 카란틴(charantin), 식물인슐린(p-insulin), CLA(conjugated linoleic acid, 컨쥬게이티드 리놀레익 산) 및 펙틴(pectin)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주는 상기와 같은 성분에 기인하여, 갈증해소, 식욕증진, 피부건강, 면역력 증진, 항암, 해열, 항산화 및 기관지 강화 등의 효능과, 비만, 심혈관 질환, 당뇨, 피부병, 야맹증, 기생충, 류머티스, 통풍, 신체 허약 등의 개선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고구마(Ipomoea batatas (L.) Lam.)는 메꽃과(Convolvulaceae)에 속하는 쌍떡잎 식용작물로 온대에서는 일년생이지만 열대에서는 숙근성으로 분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구마의 구조는 지상부와 지하부로 나뉘며, 지하부는 덩이뿌리, 굵은 뿌리, 가는 뿌리로 구성되어 있고, 지상부는 줄기, 잎, 잎자루, 끝순, 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고구마는 필수아미노산의 균형을 이루는 단백질과 지방, 식이섬유, 무기질 등이 풍부하게 들어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비타민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고구마에 포함되어 있는 비타민 C는 열을 가하는 경우에도 손상이 없다. 고구마는 쌍떡잎 식물로서 종자의 발아 시 두 장의 떡잎이 자라고, 덩이뿌리에서 싹이 나올 시에는 떡잎이 나오지 않으며, 본엽만 나오게 된다. 잎은 줄기의 각 마디에 2/5 정도로 착생하며, 잎자루는 10 cm ~ 30 cm 정도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고구마 잎 및 잎자루는 단백질과 칼슘, 아연 및 철 등의 성분과 필수 아미노산을 매우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다.
배는 예로부터 한방의 중요 약재로 활용될 만큼 인체에 유익한 과일로 알려져 왔고, 본초강목, 동의보감 등에 의하면 배는 맛은 달고 차가우며, 무독하고, 즙을 내어 복용하면 효율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왔고 담, 가래, 기침, 해열, 진통, 배변과 이뇨 촉진(다이어트 효과), 숙취해소, 종기 등의 치료에 효능이 알려져 있고, 식품분야에서는 고기를 연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항암제로서의 효과도 발표되고 있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상기 여주혼합추출물을 포함하여 영양성분 공급 및 기호성 향상에 더욱 도움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발효버섯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효버섯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은행나무열매 및 물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8-1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96-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 상황버섯, 차가버섯, 영지버섯, 동충하초 및 꽃송이버섯을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버섯혼합물 48-52 중량부 및 상기 여과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98-102℃의 온도에서 38-42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멸균된 제1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0.3-3 중량부를 첨가하고, 28-32℃의 온도 및 78-82%의 습도에서 6-8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되어 형성된 제1 발효물을 건조기에 넣고 88-9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제1 발효물을 분쇄기에 넣어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황버섯은 예로부터 귀중하게 사용되어 온 한약재로서 중풍, 임질, 해독, 이뇨, 건위, 이질, 부인과, 지한제 등의 치료제로 이용되어 왔으며, 근자에는 매우 강력한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황버섯의 자실체(fruit body)는 초기에는 진흙덩어리가 뭉쳐진 것 같은 형태로 유지되다가 겨울이 되면 성장을 멈추고 노란부분이 진흙색으로 변하며 다시 봄이 되면 노랗게 덧 자라는 다년생 버섯으로, 다 자란 후의 모습은 나무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 이라고도 한다. 혓바닥 같은 형태의 윗부분은 진흙과 같은 색깔을 나타내기도 하고 감나무의 표피와 같이 검게 갈라진 모습 등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아랫부분은 노란 융단 같은 형태로, 윗부분은 검은색 또는 진흙색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리고 달이면 노랗거나 담황색으로 맑게 나타나며, 맛이 순하고 담백하여 먹기에 좋고 향이 없는 게 특징이다.
상기 차가버섯은 살아 있는 자작나무의 줄기나 큰 가지에서 자라나면서 자작나무의 영양분을 먹고 크며, 러시아, 북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지만 그 중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의 차가버섯이 최상의 상품가치를 지닌다. 차가버섯은 라노스테인(lanostane) 유형의 트리테르펜(triterpene), 에르고스테롤 (ergosterol)이나 글루코시톨(glucositole)과 같은 각종 전구체 화합물, 베타글루칸(β-gluca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이노시톨(Inositol), 리그닌(Lignin) 등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여러 종류의 색소원, 유기산, 탄닌, 천연 스테로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영지버섯은 분류학적으로 대부분 담자균과 자낭균류에 속하는 고등균류이며 풍미가 뛰어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비타민 및 미네랄 등이 풍부하고, polysaccharide, triterpene, polyphenol, nucleoside, steroid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도 함유하고 있어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영지버섯으로부터 추출된 다당류는 항종양 면역, 항산화 그리고 혈당감소 등과 같은 활성이 보고되었다. 특히 영지버섯의 베타글루칸(β-glucan)은 정상 세포의 면역 기능을 활성화 시켜 암세포의 증식을 저해하는 비특이적 면역 반응효과를 지니고 있다.
상기 동충하초(Vegetable Worms)는 대부분 곤충을 숙주로 하여 기생하여 상기 곤충의 시체에 자실체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버섯으로 변한다는 뜻을 지닌다. 숙주의 종류에 따라 나비를 숙주로 하는 붉은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매미를 숙주로 하는 매미동충하초(C. sobolifera), 벌을 숙주로 하는 벌동충하초(C. sphecocephala) 등이 있으며 그 밖에 딱정벌레, 메뚜기, 거미를 숙주로 하는 동충하초도 있다. 면역 기능 강화, 항암, 호흡기 기능의 회복, 노화 억제, 피로 회복, 비만이나 빈혈 억제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상기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살아있는 나무의 뿌리 근처 줄기나 그루터기에 뭉쳐서 발생한다. 하얀 꽃이 무리를 지어 핀 것처럼 보이며 송이와 비슷한 향을 낸다. 가을에 침엽수를 자른 그루터기나 고목의 언저리에서 자생한다. 꽃송이버섯은 면역 증강, 고혈압 억제, 혈당 상승 억제, 혈액 순환 개선, 조혈 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상기 발효버섯분말을 포함하여 면역력 증진에 더욱 도움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곡물시리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곡물시리얼을 제조하는 단계는, 흑미, 현미, 보리, 검은깨 및 수수를 세척한 후, 세척된 흑미, 현미, 보리, 검은깨 및 수수를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200-240℃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제2 혼합물을 43-47℃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1차 건조하는 단계; 1차 건조된 제2 혼합물을 280-32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된 제2 혼합물을 68-72℃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2차 건조하는 단계; 2차 건조된 제2 혼합물을 220-260℃의 온도 및 8-12 kgf/cm2의 압력으로 8-12초 동안 퍼핑하는 단계; 및 퍼핑된 제2 혼합물의 표면에 올리고당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곡물시리얼을 적용하여 식감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기능성과 기호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및 아로니아열매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및 아로니아열매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아로니아열매 33-37 중량부, 감초 3-7 중량부, 배 3-7 중량부 및 물 53-57 중량부를 혼합한 후, 98-10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끓여 아로니아열매를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된 아로니아열매를 꺼내어 통에 담고 아로니아열매 중량 대비 1.4-1.6 배의 설탕을 넣고 3-6개월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및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아로니아열매 발효액을 얻고, 여과되지 않고 잔여물로 남은 아로니아열매를 분쇄한 후 98-100℃의 온도에서 볶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18세기경에 북아메리카 동유럽 등지에서 재배되던 다년생의 관목으로 아로니아 베리(aronia berry), 블랙 쵸크베리(black chokeberry), 블랙베리(black berry) 등으로 불린다. 원래는 북부 아메리카지역에서 자생하는데 최근에는 국내에도 아로니아 씨앗을 들여와 일부 농가에서 높은 경제적 가치를 기대하며 재배 중에 있다. 또한 블랙 초크베리는 미국과 유럽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특히, 아로니아에는 안토시아닌 색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짙은 자주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천연 식품색소나 염료, 주스, 잼, 와인 등과 같은 식용과일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다양한 아토시아닌 계통의 물질들과 폴리페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효능이 베리류 중에서 가장 높고, 동맥경화, 심혈관질환, 암, 당뇨병, 위염, 알러지성 피부질환, 항염증, 항당뇨, 면역조절활성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상기 아로니아열매를 이용하여 발효액과 발효분말을 제조하고 이를 기능성 조성물에 적용하여 기능성과 기호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꽃차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꽃차를 제조하는 단계는, 메리골드, 캐모마일 및 쟈스민을 세척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메리골드 33-37 중량부, 캐모마일 33-37 중량부 및 쟈스민 28-3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제3 혼합물을 115-125℃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제3 혼합물을 40-5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끓는 물 1000 중량부에 건조된 제3 혼합물 90-1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우려낸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메리골드(Tagetes erecta)는 만수국의 우리말로 '성모마리아의 황금빛 꽃'이라는 성스러운 이름의 꽃이다. 노랑, 주황색 등 찬란 한 꽃색으로 인해 홍황초(紅黃草)라는 이름도 있다. 본래 멕시코 원산으로 아프리카를 거쳐 유럽에 퍼졌는데, 우리나라에 서도 많이 재배되는 꽃이다. 잔물결 같은 꽃잎모양이나 화려한 색상이 보기가 좋고, 초여름부터 서리가 내리기 전까지 긴 기간동안 꽃이 핀다. 만수국의 꽃에는 향기가 있어 방향제로 사용한다. 항균, 진정, 진경제로 이용되며, 같은 속식물인 T. minuta에는 휘발성 오일(volatile oils)이 함유되어 있어 진정, 혈압강하, 기관지확장, 진경소염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꽃의 주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flavonoid glycoside)인 타게티인(tagetiin), 남색 형광물질인 알파-터티닐(α-terthienyl), 터펜 (terpene)류 색소인 헬레니엔(helenien), 베타-카로틴(β-carotene), 플라보산틴(flavoxanthin) 등이 있으며, 잎에는 소염 작용이 있는 카엠퍼리틴(kaempferitrin)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캐모마일(Chamomilla recutita)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풀이다. 카모밀, 카모마일, 또는 카밀레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원산지는 영국이나, 현재는 전 세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캐모마일은 진정작용이 뛰어나 각종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며, 피부트러블을 진정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 또한 스트레스와 건조함으로 발생하는 홍조와 과민성 피부를 다스리는데도 좋다고 한다. 꽃에서 정유가 재배조건에 따라 0.05-1.9%까지 나타나는데 대체로 0.2-0.9%있다. 정유는 푸른색이다. 정유의 조성은 아줄렌 화합물인 캄아줄렌 약4.6%, 테르펜 화합물, 세스쿠이테르펜화합물 약 10%, 세스쿠이테르펜알코올화합물이 약 20%, 카디넨, 카프릴산, 논닐산, 이소길초산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플라보노이드로 아핀,쿠에르시메리트린, 루테올린-7-글루코시드, 파투리트린과 마트리신, 마트리카린이 있다.
상기 쟈스민(Jasminum officinale)은 물푸레나뭇과(Oleaceae) 재스민속(Jasminum)의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덩굴성 식물 또는 관목으로 특유의 향내가 나는 노란색 또는 흰색 꽃이 핀다. 열대와 아열대에 자란다. 우리의 기를 통하게 만들어 주는 쟈스민은 섭취시 위장을 편안하게 만들어주며 체내 염증을 억제하는 데에도 효과가 좋으며, 여름철 상대적으로 빈번한 결막염이나 이질, 그리고 종기나 피부염 등을 완화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상기 메리골드, 캐모마일 및 쟈스민을 우려서 꽃차를 제조하되, 볶고 건조하여 끓는 물에 우려냄으로써 영양성분과 함께 특유의 향을 끌어낼 수 있고, 이를 기능성 조성물 제조에 이용하여 풍미를 올릴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 38-42 중량부, 상기 여주혼합추출물 3-7 중량부, 상기 발효버섯분말 3-7 중량부, 상기 곡물시리얼 8-12 중량부,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3-7 중량부,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액 3-7 중량부 및 상기 꽃차 28-3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은 상기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 39-41 중량부, 상기 여주혼합추출물 4-6 중량부, 상기 발효버섯분말 4-6 중량부, 상기 곡물시리얼 9-11 중량부,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4-6 중량부,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액 4-6 중량부 및 상기 꽃차 29-31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감, 오렌지, 살구 및 파인애플을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한 감, 오렌지, 살구 및 파인애플을 3:2:3: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과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과일 혼합물을 85-95℃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과일 혼합물을 40-5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과일 혼합물을 영하 48-52℃의 온도로 급속냉동시키고, 동결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결과일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혼합은 상기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 38-42 중량부, 상기 여주혼합추출물 3-7 중량부, 상기 발효버섯분말 3-7 중량부, 상기 곡물시리얼 8-12 중량부,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3-7 중량부,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액 3-7 중량부, 상기 꽃차 28-32 중량부 및 상기 동결과일분말 3-7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동결과일분말을 적용하여 기호성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 38-42 중량부, 여주혼합추출물 3-7 중량부, 발효버섯분말 3-7 중량부, 곡물시리얼 8-12 중량부,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3-7 중량부, 아로니아열매 발효액 3-7 중량부, 꽃차 28-32 중량부 및 동결과일분말 3-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은,
미강 48-52 중량부 및 물 48-52 중량부를 혼합하여 미강혼합물을 제조하고, 90-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45-75분 동안 증자하는 단계; 증자한 미강혼합물을 30-40℃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한 미강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1-5 중량부를 첨가한 후, 36-6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한 미강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여주혼합추출물은,
여주, 고구마 및 배를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여주분말, 고구마분말 및 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여주분말, 고구마분말 및 배분말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 20 g을 물 200 ml와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1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12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2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혼합추출물 및 2차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발효버섯분말은,
은행나무열매 및 물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8-1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96-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 상황버섯, 차가버섯, 영지버섯, 동충하초 및 꽃송이버섯을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버섯혼합물 48-52 중량부 및 상기 여과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98-102℃의 온도에서 38-42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멸균된 제1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0.3-3 중량부를 첨가하고, 28-32℃의 온도 및 78-82%의 습도에서 6-8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되어 형성된 제1 발효물을 건조기에 넣고 88-9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제1 발효물을 분쇄기에 넣어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곡물시리얼은,
흑미, 현미, 보리, 검은깨 및 수수를 세척한 후, 세척된 흑미, 현미, 보리, 검은깨 및 수수를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200-240℃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제2 혼합물을 43-47℃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1차 건조하는 단계; 1차 건조된 제2 혼합물을 280-32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된 제2 혼합물을 68-72℃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2차 건조하는 단계; 2차 건조된 제2 혼합물을 220-260℃의 온도 및 8-12 kgf/cm2의 압력으로 8-12초 동안 퍼핑하는 단계; 및 퍼핑된 제2 혼합물의 표면에 올리고당을 코팅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및 아로니아열매 발효액은,
아로니아열매 33-37 중량부, 감초 3-7 중량부, 배 3-7 중량부 및 물 53-57 중량부를 혼합한 후, 98-10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끓여 아로니아열매를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된 아로니아열매를 꺼내어 통에 담고 아로니아열매 중량 대비 1.4-1.6 배의 설탕을 넣고 3-6개월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및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아로니아열매 발효액을 얻고, 여과되지 않고 잔여물로 남은 아로니아열매를 분쇄한 후 98-100℃의 온도에서 볶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꽃차는,
메리골드, 캐모마일 및 쟈스민을 세척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메리골드 33-37 중량부, 캐모마일 33-37 중량부 및 쟈스민 28-3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제3 혼합물을 115-125℃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제3 혼합물을 40-5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끓는 물 1000 중량부에 건조된 제3 혼합물 90-1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우려낸 후 여과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동결과일분말은,
감, 오렌지, 살구 및 파인애플을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한 감, 오렌지, 살구 및 파인애플을 3:2:3: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과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과일 혼합물을 85-95℃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과일 혼합물을 40-5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과일 혼합물을 영하 48-52℃의 온도로 급속냉동시키고, 동결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결과일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1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
미강 50 중량부 및 물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미강혼합물을 제조하고,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60분 동안 증자한 후, 증자한 미강혼합물을 35℃의 온도로 냉각하였다. 냉각한 미강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3 중량부를 첨가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미강혼합물을 건조하여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여주혼합추출물의 제조
여주, 고구마 및 배를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여주분말, 고구마분말 및 배분말을 제조하고, 제조된 여주분말, 고구마분말 및 배분말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 20 g을 물 200 ml와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였다.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1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12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였다.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2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1차 혼합추출물 및 2차 혼합추출물을 혼합하여 여주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발효버섯분말의 제조
은행나무열매 및 물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1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다. 이후, 98℃의 온도로 가열하여 48시간 동안 끓이고, 식히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다. 상황버섯, 차가버섯, 영지버섯, 동충하초 및 꽃송이버섯을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버섯혼합물 50 중량부 및 상기 여과액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멸균기에 넣고 100℃의 온도에서 40분 동안 멸균하였다. 멸균된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1 중량부를 첨가하고, 30℃의 온도 및 80%의 습도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켰다. 발효되어 형성된 발효물을 건조기에 넣고 8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기에 넣어 분쇄하여 분말화하여 발효버섯분말을 제조하였다.
곡물시리얼의 제조
흑미, 현미, 보리 및 수수를 세척한 후, 세척된 흑미, 현미, 보리 및 수수를 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20℃의 온도에서 3분 동안 볶고 45℃의 온도에서 60분 동안 1차 건조하였다. 1차 건조된 혼합물을 30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증숙하고 70℃의 온도에서 60분 동안 2차 건조하였다. 2차 건조된 혼합물을 240℃의 온도 및 10 kgf/cm2의 압력으로 10초 동안 퍼핑한 후, 표면에 올리고당을 코팅하여 곡물시리얼을 제조하였다.
아로니아열매 발효액 및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의 제조
아로니아열매 35 중량부, 감초 5 중량부, 배 5 중량부 및 물 55 중량부를 혼합한 후, 98-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끓여 아로니아열매를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아로니아열매를 꺼내어 통에 담고 아로니아열매 중량 대비 1.5 배의 설탕을 넣고 3개월 동안 발효시켰다. 발효시킨 후 발효물을 여과하였다.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은 아로니아열매 발효액으로 사용하고, 여과되지 않고 잔여물로 남은 아로니아열매는 분쇄한 후 98-100℃의 온도에서 볶아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로 사용한다.
꽃차의 제조
메리골드, 캐모마일 및 쟈스민을 세척하여 준비하고, 준비된 메리골드 35 중량부, 캐모마일 35 중량부 및 쟈스민 3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2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볶는다. 볶아진 혼합물을 45℃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고, 끓는 물 1000 중량부에 건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우려낸 후 여과하여 꽃차를 제조하였다.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
상기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 40 중량부, 상기 여주혼합추출물 5 중량부, 상기 발효버섯분말 5 중량부, 상기 곡물시리얼 10 중량부,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5 중량부,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액 5 중량부 및 상기 꽃차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2
동결과일분말의 제조
감, 오렌지, 살구 및 파인애플을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였다. 준비한 감, 오렌지, 살구 및 파인애플을 3:2:3: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9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볶은 후, 45℃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혼합물을 영하 50℃의 온도로 급속냉동시키고, 동결건조 및 분쇄하여 동결과일분말을 제조하였다.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 100 중량부 및 상기 동결과일분말 5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기능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남여 각각 20명(총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맛, 향, 식감, 전체적인 기호도를 분석하였으며, 9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식감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8.1 8.1 8.2 8.1
실시예 2 8.5 8.4 8.4 8.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가 우수하고, 특히 맛과 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2)

  1.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 40 중량부, 여주혼합추출물 5 중량부, 발효버섯분말 5 중량부, 곡물시리얼 10 중량부,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5 중량부, 아로니아열매 발효액 5 중량부, 꽃차 30 중량부 및 동결과일분말 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강의 유산균 발효물은,
    미강 48-52 중량부 및 물 48-52 중량부를 혼합하여 미강혼합물을 제조하고, 90-110℃의 온도로 가열하여 45-75분 동안 증자하는 단계; 증자한 미강혼합물을 30-40℃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한 미강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1-5 중량부를 첨가한 후, 36-60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한 미강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여주혼합추출물은,
    여주, 고구마 및 배를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여주분말, 고구마분말 및 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여주분말, 고구마분말 및 배분말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 20 g을 물 200 ml와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1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12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2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혼합추출물 및 2차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발효버섯분말은,
    은행나무열매 및 물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8-1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96-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 상황버섯, 차가버섯, 영지버섯, 동충하초 및 꽃송이버섯을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버섯혼합물 48-52 중량부 및 상기 여과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98-102℃의 온도에서 38-42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멸균된 제1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0.3-3 중량부를 첨가하고, 28-32℃의 온도 및 78-82%의 습도에서 6-8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되어 형성된 제1 발효물을 건조기에 넣고 88-9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제1 발효물을 분쇄기에 넣어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곡물시리얼은,
    흑미, 현미, 보리, 검은깨 및 수수를 세척한 후, 세척된 흑미, 현미, 보리, 검은깨 및 수수를 1:1: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200-240℃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제2 혼합물을 43-47℃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1차 건조하는 단계; 1차 건조된 제2 혼합물을 280-320℃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된 제2 혼합물을 68-72℃의 온도에서 30-90분 동안 2차 건조하는 단계; 2차 건조된 제2 혼합물을 220-260℃의 온도 및 8-12 kgf/cm2의 압력으로 8-12초 동안 퍼핑하는 단계; 및 퍼핑된 제2 혼합물의 표면에 올리고당을 코팅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아로니아열매 발효분말 및 아로니아열매 발효액은,
    아로니아열매 33-37 중량부, 감초 3-7 중량부, 배 3-7 중량부 및 물 53-57 중량부를 혼합한 후, 98-10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끓여 아로니아열매를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된 아로니아열매를 꺼내어 통에 담고 아로니아열매 중량 대비 1.4-1.6 배의 설탕을 넣고 3-6개월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및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아로니아열매 발효액을 얻고, 여과되지 않고 잔여물로 남은 아로니아열매를 분쇄한 후 98-100℃의 온도에서 볶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꽃차는,
    메리골드, 캐모마일 및 쟈스민을 세척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메리골드 33-37 중량부, 캐모마일 33-37 중량부 및 쟈스민 28-3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제3 혼합물을 115-125℃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제3 혼합물을 40-5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끓는 물 1000 중량부에 건조된 제3 혼합물 90-1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우려낸 후 여과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동결과일분말은,
    감, 오렌지, 살구 및 파인애플을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한 감, 오렌지, 살구 및 파인애플을 3:2:3: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과일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과일 혼합물을 85-95℃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볶는 단계; 볶아진 과일 혼합물을 40-5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과일 혼합물을 영하 48-52℃의 온도로 급속냉동시키고, 동결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결과일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
  2. 삭제
KR1020230095450A 2023-03-30 2023-07-21 여주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4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5450A KR102614940B1 (ko) 2023-03-30 2023-07-21 여주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326A KR102560149B1 (ko) 2023-03-30 2023-03-30 미강의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30095450A KR102614940B1 (ko) 2023-03-30 2023-07-21 여주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326A Division KR102560149B1 (ko) 2023-03-30 2023-03-30 미강의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940B1 true KR102614940B1 (ko) 2023-12-19

Family

ID=8742699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326A KR102560149B1 (ko) 2023-03-30 2023-03-30 미강의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30095405A KR102614938B1 (ko) 2023-03-30 2023-07-21 유산균으로 발효된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30095450A KR102614940B1 (ko) 2023-03-30 2023-07-21 여주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326A KR102560149B1 (ko) 2023-03-30 2023-03-30 미강의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30095405A KR102614938B1 (ko) 2023-03-30 2023-07-21 유산균으로 발효된 미강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60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207B1 (ko) * 2023-08-25 2024-04-01 주식회사 큰마당 도라지 농축액 발효에 의해 사포닌과 컴파운드 케이의 함량이 변화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341A (ja) * 1995-04-13 1996-10-29 Kano Shiyoujiyuan:Kk 乳酸発酵液の製造法
KR20090079346A (ko) * 2008-01-17 2009-07-22 송창선 식물성 유산균을 이용한 미강 발효 식품원료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245B1 (ko) * 2012-02-09 2012-08-24 윤선영 발효 현미 미강을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778372B1 (ko) * 2015-10-01 2017-09-14 황일심 쌀겨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1783B1 (ko) * 2015-11-23 2018-04-24 주식회사 지리산쌀 미강발효물공정
KR102448039B1 (ko) * 2022-07-22 2022-09-26 채희원 각종버섯에서 추출한 균사체를 이용하여 약성이 뛰어난 홍삼 및 인삼과 복합발효하여 분말 및 추출물로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341A (ja) * 1995-04-13 1996-10-29 Kano Shiyoujiyuan:Kk 乳酸発酵液の製造法
KR20090079346A (ko) * 2008-01-17 2009-07-22 송창선 식물성 유산균을 이용한 미강 발효 식품원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149B1 (ko) 2023-07-28
KR102614938B1 (ko)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4940B1 (ko) 여주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96755A (ko) 기능성 즉석밥 및 제조방법
KR20140030442A (ko) 새싹 발효액과 인삼열매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조성물
KR20150077483A (ko) 백색식품 및 흑색식품 재료를 이용한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01735B1 (ko) 새싹, 식물성 생약재 및 홍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202829B1 (ko) 편백 차의 제조방법
KR102168192B1 (ko) 발효 생약초, 과실류 및 표고를 이용한 건강 혼합차 개발
KR20110080817A (ko) 건강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101793230B1 (ko) 미강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100911773B1 (ko) 인삼이 포함된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된장
KR101569687B1 (ko) 딸기재배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재배용 효소 조성물
WO2013133217A1 (ja) 糖取り込み促進剤
Kishor et al. Wild food plants of Himachal Pradesh: A review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20170025300A (ko) 미네랄 가득 담긴 Re 된장·간장
KR102262551B1 (ko) 닭가슴살을 이용한 죽의 제조방법 및 닭가슴살을 이용한 죽 조성물
KR102597930B1 (ko) 은행나무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혼합발효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혼합발효분말
KR20200112527A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49965B1 (ko) 백향과 잎 부각의 제조방법
KR102491108B1 (ko) 홍삼 조청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홍삼 조청
KR102367647B1 (ko) 옻나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닭 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항산화능 및 혈액 순환 개선능을 갖는 달걀의 생산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달걀
KR102568831B1 (ko) 산양삼청의 제조방법
CN114214152B (zh) 一种半固态发酵制备刺梨黑糯米酒的方法
KR102181883B1 (ko) 청국장을 이용한 곤드레 장아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