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205B1 - 칡 유래 푸에라린 수율증가 및 숙취해소 효과 - Google Patents

칡 유래 푸에라린 수율증가 및 숙취해소 효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205B1
KR102416205B1 KR1020210099927A KR20210099927A KR102416205B1 KR 102416205 B1 KR102416205 B1 KR 102416205B1 KR 1020210099927 A KR1020210099927 A KR 1020210099927A KR 20210099927 A KR20210099927 A KR 20210099927A KR 102416205 B1 KR102416205 B1 KR 102416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erarin
pueraria
plant
yiel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효철
장민지
Original Assignee
하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효철 filed Critical 하효철
Priority to KR102021009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6Acyclic or carbocyclic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2Alcohol-ab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C07H1/06Separation; Purification
    • C07H1/08Separation; Purification from natural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7/00Preparation of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with only O, N, S, Se or Te as ring hetero atoms
    • C12P17/16Preparation of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with only O, N, S, Se or Te as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 C12P17/162Hetero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Lasalo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ddiction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유래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에 관한 것으로, 증숙된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에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을 접종하여 고체 발효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발효 추출물 중 푸에라린(Puerarin)의 수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푸에라린(Puerarin)의 수율이 향상된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발효 추출물은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바, 숙취해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칡 유래 푸에라린 수율증가 및 숙취해소 효과{Improving the yield of Puerarin derived from arrowroot and hangover relief effect}
본 발명은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유래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에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을 접종하여 고체 발효하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푸에라린(Puerarin) 수율을 향상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푸에라린(Puerarin) 수율이 향상된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은 콩과(Leguminosae)의 푸에라리아(Pueraria) 속에 일반적으로 속하는 식물로, 미로에스테롤(miroesterol), 다이드진(daidzin), 다이드 제인(daidzein), 제니스틴(genistin), 제니스테인(genistein), 푸에라린(Puerarin),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쿠메스테롤(coumesterol), 미리피쿠메스탄(mirificoumestan), 미리피신(mirificin), 캄페스테롤(campesteraol) 또는 콱후린(kwakhurin) 등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푸에라리아 속 식물에 대표적인 식물인 칡은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에 분포하는 야생식물로서, 전분질 함량이 많아 예로부터 구황식품으로도 이용되어 왔다. 칡의 열매(갈곡)와 꽃(갈화), 잎(갈엽), 덩굴줄기(갈만), 뿌리(갈근)를 모두 한약재로 사용해왔으며 약재로는 주로 뿌리부분인 갈근을 사용하였다.
전통적인 한의학에서 갈근(Pueria Radix)은 기육을 풀어주는 작용을 하므로 감기 몸살이나 발진성 질환, 항강통 등에 해표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비장과 위장의 기가 상승하게 도와주므로 진액을 만들어 갈증을 해소하고 지사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고, 동의보감에는 '갈근은 감기몸살 두통에 근육을 풀어주고 피부를 열어 땀을 나게 하며, 주독을 풀어주고 갈증과 식체를 내리는 효능이 있으며, 그 성질이 단맛이 나고 차가워 위의 경락의 열을 내려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갈근과 관련한 약리 작용으로는, 항 알콜중독(antidipsotropic) 작용(Proceeding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USA, 95(5):2198-203, 1998; Alcoholism: Clinical & Experimental Research 40(4):659-63, 1996), 간보호 작용(Planta Medica, 64(5):413-6, 1998), 숙취 억제 작용(Proceeding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USA, 94(5):1675-9, 1997), 항산화 작용(Chem. Pharm. Bull. 40 (3):721-4, 1992) 등이 밝혀져 있고, 또한 평활근의 이완 작용, 심혈관계에서 관상동맥 확장 및 혈압 강하, 심박동 조절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혈당강하작용, 해열 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며(중약현대연구여임상응용, 626-632, 1994), 노년 질환의 두통, 항강, 사지감각장애, 이롱, 당뇨 등에도 응용되고 있다 (항노쇠중약학, 186-187, 1989).
이렇게 전통적인 한약재나 구황식품으로 사용되어진 칡에 실제로는 대두보다도 훨씬 많은 이소플라본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칡의 주된 이소플라본 화합물은, 푸에라린(Puerarin), 다이드진(Daidzin),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틴(Genistin), 제니스테인(Genistein), 포르모노네틴(formononetin) 등이 잘 알려져 있고, 이러한 이소플라본 화합물은 식물체 속에서는 대부분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는데, 칡에 존재하는 이소플라본 화합물도 이소플라본 아글리콘보다는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화합물이 훨씬 많은 함량으로 존재한다. 하지만, 실제로 이소플라본이 인체 내에서 흡수되고 또 생리적 활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 아글리콘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고, 최근까지 칡(갈근) 이소플라본과 관련하여, 발효를 통하여 칡에 함유된 이소플라본 배당체를 비배당체 형태 아글리콘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10-0557006호, 한국등록특허 10-0613764호, 한국등록특허 10-0733335, 0733336호 등에는 칡 또는 칡 추출물에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함으로써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으로부터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 10-2012-0108756호에는, 칡 분말에 누룩균을 접종하여 고체 발효함으로써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으로부터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 아글리콘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한편,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푸에라린(Puerarin)은 이소플라본 (Isoflavone)계열 물질로, 다이드제인(Daidzein)의 8-글루코사이드(glucoside) 형태의 배당체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87867272-pat00001
상기 푸에라린(Puerarin)은 독성이 강한 알세트알데히드 분해를 촉진하고 간장을 보호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고, 알콜 금단 현상에 따른 불안 증상도 개선해준다는 실험결과도 알려진 바 있다.
종래 이소플라본 배당체를 비배당체 형태 아글리콘으로 전환시키는 방법 등의 연구가 선행되었으나, 상기 배당체 형태의 푸에라린(Puerarin)의 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해서는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을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으로 고체 발효하는 경우, 푸에라린(Puerarin)의 수율이 향상될 수 있고, 푸에라린(Puerarin)의 수율이 향상된 칡 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등 항산화 효능이 향상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061376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유래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율 향상방법을 포함하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유래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율 향상방법을 포함하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은 증숙된 칡에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을 접종하여 고체 발효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발효 추출물 중 푸에라린(Puerarin)의 수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푸에라린(Puerarin)을 고 함량으로 포함하는 칡 발효 추출물은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바, 숙취해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고체 발효 공정의 이미지(a 내지 c) 및 칡 원료 이미지(d)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HPLC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포함'한다는 것은 구성요소를 단독으로 사용한다는 것 역시 의미한다.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유래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을 증숙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증숙된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에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을 접종하여 고체 발효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고체 발효된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을 용매 추출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유래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은 칡일 수 있다.
상기 칡은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에 분포하는 야생식물로서, 칡의 열매(갈곡)와 꽃(갈화), 잎(갈엽), 덩굴줄기(갈만), 뿌리(갈근)를 모두 한약재로 사용해왔으며 약재로는 주로 뿌리부분인 갈근을 사용하였다.
전통적인 한의학에서 갈근(Pueria Radix)은 기육을 풀어주는 작용을 하므로 감기 몸살이나 발진성 질환, 항강통 등에 해표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비장과 위장의 기가 상승하게 도와주므로 진액을 만들어 갈증을 해소하고 지사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고, 동의보감에는 '갈근은 감기몸살 두통에 근육을 풀어주고 피부를 열어 땀을 나게 하며, 주독을 풀어주고 갈증과 식체를 내리는 효능이 있으며, 그 성질이 단맛이 나고 차가워 위의 경락의 열을 내려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갈근과 관련한 약리 작용으로는, 항 알콜중독(antidipsotropic) 작용, 간보호 작용, 숙취 억제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이 밝혀져 있고, 또한 평활근의 이완 작용, 심혈관계에서 관상동맥 확장 및 혈압 강하, 심박동 조절작용,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혈당강하작용, 해열 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며, 노년 질환의 두통, 항강, 사지감각장애, 이롱, 당뇨 등에도 응용되고 있다.
상기 칡에 포함된 이소플라본 화합물은, 푸에라린(Puerarin), 다이드진(Daidzin),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틴(Genistin), 제니스테인(Genistein), 포르모노네틴(formononetin) 등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예를 들면, 칡 또는 칡 추출물에 유산균 발효 또는 고체 발효를 이용하여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으로부터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을 제조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상기 연구의 대부분은 배당체 형태의 다이드진 및 제니스틴을 각각의 비배당체 형태인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에 해당하는 바, 상기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에 포함되는 푸에라린(Puerarin)의 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상기 푸에라린(Puerarin)은 독성이 강한 알세트알데히드 분해를 촉진하고 간장을 보호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고, 알콜 금단 현상에 따른 불안 증상도 개선해준다는 실험결과도 알려진 바 있어, 상기 푸에라린(Puerarin)의 수율을 향상시키는 칡 발효 추출물은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을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로 고체 발효하는 경우, 푸에라린(Puerarin)의 수율이 향상될 수 있고, 푸에라린(Puerarin)의 수율이 향상된 칡 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등 항산화 효능이 향상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푸에라린(Puerarin)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87867272-pat00002
상기 푸에라린(Puerarin)은 다이드제인(daidzein)의 8-글루코사이드 (glucoside) 형태의 배당체로, 화학명은 다이드제인-8-C-글루코피라노사 이드(Daidzein-8-C-glucopyranoside), 8-C-베타-D-글루코피라노실-4',7-디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8-C-beta-DGlucopyranosyl-4',7-dihydroxyisoflavone), 8-C-베타-D-글루코피라노실-7-하이드록시-3-(4-하이드록시페닐)- 4H-1-벤조피란-4-온(8-C-beta-D-Glucopyranosyl-7-hydroxy-3-(4-hydroxyphenyl)-4H-1-benzopyran-4-one)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1의 증숙하는 단계는 40 ℃ 내지 110 ℃, 예를 들면, 50 ℃ 내지 100 ℃, 예를 들면, 60 ℃ 내지 95 ℃, 예를 들면, 70 ℃ 내지 90 ℃, 예를 들면, 8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1의 증숙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계 2의 고체 발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계 1에서 증숙된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을 팽화(puffing, 퍼핑)하는 단계(단계 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상 방법이 상기 단계 1-1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계 1에서 증숙된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은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방법, 예를 들면, 열풍에 의한 건조,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한 건조 및 원적외선 복사열에 의한 건조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1-1의 팽화(퍼핑)하는 공정은 수분을 함유한 고형화된 물질의 부피를 순간적으로 팽창시켜 수분 또는 가스 등의 비체적의 증가로 인하여 원래의 구조가 파열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후속하는 고체 발효 공정(단계 2) 및 용매 추출 공정(단계 3)를 용이하기 수행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1-1의 팽화하는 공정은, 1 kg/cm2 내지 10 kg/cm2, 예를 들면, 1 kg/cm2 내지 8 kg/cm2, 예를 들면, 2 kg/cm2 내지 5 kg/cm2, 예를 들면, 3 kg/cm2의 압력 및 75 ℃내지 140 ℃예를 들면, 85 ℃내지 130 ℃예를 들면, 95 ℃내지 120 ℃예를 들면, 110 ℃에서 1 분 내지 15 분, 예를 들면, 1 분 내지 10 분, 예를 들면, 2 분 내지 7 분, 예를 들면, 3 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은 상기 단계 1 및 단계 1-1의 증숙 및 팽화된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에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을 접종하여 고체 발효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고체 발효(solid state fermentation, SSF)란, 낮은 수분을 함유한 고체 매체에 접종한 미생물이 배지 표면에서 자란 후 점차 기질 내부 입자 사이의 공간을 통해 증식하면서 목적 물질을 생산하게 하는 형태의 발효 기술을 의미한다.
상기 고체 발효는 기질 교반이 어려워 pH, 수분, 영양 조건의 변수 등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기질의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기질의 낮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공정 중 잡균의 오염가능성이 낮고, 용적량이 많으며, 생성물의 추출 분리시 적은 용매가 사용되어 폐용출수 처리 비용과 멸균 비용이 적고, 배양형태가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서식하던 환경조건에 가깝기 때문에 생성량 자체나 생성물의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2의 고체 발효 공정은 수분 함량이 30 % 내지 90 %, 예를 들면, 35 % 내지 85 %, 예를 들면, 40 % 내지 80 %, 예를 들면, 60 %이고, 15 ℃ 내지 45 ℃, 예를 들면, 20 ℃ 내지 40 ℃, 예를 들면, 25 ℃ 내지 35 ℃, 예를 들면, 30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을 고체 발효공정에 이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발효 추출물에 포함되는 푸에라린(Puerarin)의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은 상기 고체 발효된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을 용매 추출하는 단계(단계 3)을 포함한다.
상기 단계 3은 푸에라리아(Pueraria)속 식물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extract)"은 추출 대상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수득하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3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용매 추출, 수증기 증류, 압착, 유지흡수, 휘발성 유기용제 추출, 또는 초임계 유체 추출,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이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 헥산 또는 디크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발효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양태의 향상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발효 추출물 및 상기 식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발효 추출물 및 상기 식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상기 양태의 향상방법으로 제조되어, 푸에라린(Puerarin) 함량이 향상된 것으로, 상기 푸에라린(Puerarin)이 유효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고, 상기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및 푸에라린(Puerarin)에 관한 설명은 상기 양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분말제 또는 액제 형태일 수 있고,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유효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물질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 유효물질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라이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유효물질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유효물질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은 증숙된 칡에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을 접종하여 고체 발효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발효 추출물 중 푸에라린(Puerarin)의 수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푸에라린(Puerarin)의 수율이 향상된 칡 발효 추출물은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바, 숙취해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1 내지 1-4. 칡 발효 추출물의 제조
칡(Pueraria sp.) 뿌리는 경상도(거창) 인근에서 채취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정선 과정을 거친 다음 물에 세척하여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고 껍질째 분쇄기에서 마쇄하여 분말로 만든 후 원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칡 원료를 80 ℃의 온도로 증숙하여 증숙된 칡을 제조하고, 3 kg/cm2의 압력 및 110 ℃의 온도에서 5 분간 팽화 하였다. 상기 증숙 및 팽화된 칡 원료에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을 접종하고 22 일간 배양하여 고체 발효하였다. 이때, 수분 함량은 60 %이고, 온도는 30 ℃를 유지하였다.
이때, 배지조건은 무첨가(실시예 1-1), 2 % 글루코스(실시예 1-2), 0.2 % 이스트(실시예 1-3) 및 2 % 글루코스 및 0.2 % 이스트(실시예 1-4)로 하였다.
상기 고체 발효된 칡 시료 100 g당 10 배량(w/v)의 증류수를 가수하여 환류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3 시간 동안 100 ℃에서 추출한 다음, 추출액은 여과지(Whatman No. 2, England)로 여과하였다. 여액을 50 ℃수욕상에서 rotary vacuum evaporator(EYELA A, Tokyo Rikakikai Co., Tokyo, Japan)로 감압하여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수율을 계산하였으며, 4 ℃ 이하로 냉장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비교예 1-1 내지 1-4. 칡 발효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 대신 양송이 버섯균(Agaricus bisporus)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칡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내지 2-4. 칡 발효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 대신 상황버섯 균(Phellinus linteus)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칡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칡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고체 발효하는 공정을 생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칡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고체 발효 공정의 이미지(a 내지 c) 및 비교예 3의 칡 원료 이미지(d)를 도 1에 도시하였고,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칡 발효 추출물 및 칡 추출물의 Brix, pH 및 수율 (g)을 하기의 표 1에 도시하였다:
[표 1]
Figure 112021087867272-pat00003
실험예 1. HPLC 분석
분석에 사용한 이소플라본(isoflavones) 표준품은 5종으로 푸에라린(Puerarin)(Puerarin: Fluka, USA, 99 %), 다이드진(Daidzin: Sigma, USA, 99.0 %), 다이드제인(Daidzein: Sigma-Aldrich, USA, 98.3 %), 제니스틴(Genistin: Sigma, USA, 95.25 %), 제니스테인(Genistein: Sigma, USA, 99 %)이며, 이동상에 사용한 포름산(formic acid: Merck, Germany),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Merck, Germany), 물(Tedia, USA)은 HPLC grade 용매를 사용하였다.
푸에라린(Puerarin) 수율 분석을 위해 시료 0.1 g을 50 mL 용량플라스크에 정밀하게 달아 메탄올로 표선까지 채우고 1 시간 초음파 추출하였다(NXCS-1200, Kodo Technical Research Co., Ltd., Korea). 추출액을 메탄올을 이용하여 적정 농도로 희석한 다음 0.2 μm membrane syringe filter(PTFE, Chromdisc, Korea)로 여과하여 HPLC를 이용하여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분석하거나 UPLC-MS/MS로 분석하고, HPLC 프로파일을 도 2 및 도 3에 도시하였다:
[표 2]
Figure 112021087867272-pat00004
UPLC-MS/MS를 이용하여 실시예 1-1, 비교예 1-1, 비교예 2-1 및 비교예 3의 각각의 추출물의 푸에라린(Puerarin) 정량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21087867272-pat00005
상기 도 2, 도 3 및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1의 칡 발효 추출물의 푸에라린(Puerarin) 함량은 296.9 mg/g으로, 비교예 3의 칡 추출물의 푸에라린(Puerarin) 함량 86.6 mg/g과 비교하여, 푸에라린(Puerarin)의 함량이 현저히 향상되어, 고체 발효 과정에서, 푸에라린(Puerarin)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1 및 2-1의 칡 발효 추출물의 경우, 비교예 3의 칡 추출물 대비 오히려 푸에라린(Puerarin) 수율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실시예 1의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가 푸에라린(Puerarin)의 수율 향상에 영향을 주는 인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총 폴리페놀 함량 확인
기능성 물질의 대표적인 성분 중 하나인 폴리페놀계 화합물들은 한분자 내에 2개 이상의 phenolic hydroxyl(-OH)기를 가진 방향족 화합물로서 식물체에 특수한 색깔을 부여하고 충치예방, 고혈압억제, 항산화,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
폴리페놀의 함량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 각각의 추출물을 0 ppm 내지 1,000 ppm의 농도로 초음파 처리 후 전처리 하여 사용하였으며, 전처리 방법은 시험관에 증류수 7.5 mL을 취한 후 시험용액을 1 mL, Folin-denis 시약 0.5 mL, 35 % 탄산나트륨 1 mL을 순서대로 가하여 혼합한 후 암소에서 1 시간 방치 후 spectrophotometer(HITACHI, Japan)로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탄닌산(sigma, USA)을 0.01 g을 정밀히 칭량하여 100 mL 메스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로 표선까지 채운 후 이를 희석하여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 각각의 추출물의 시료 농도가 1,000 ppm일때, 총 페놀성 화합물(Total polyphenol)의 함량 측정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21087867272-pat00006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칡 발효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약 7.37 mg/g 내지 8.94 mg/g으로, 비교예 3의 칡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4.48 mg/g과 비교하여, 폴리페놀 함량이 현저히 향상되어, 고체 발효 과정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 및 2의 칡 발효 추출물의 경우, 비교예 3의 칡 추출물 대비 오히려 폴리페놀 함량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실시예 1의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가 폴리페놀 함량 증가에 영향을 주는 인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DPPH 라디칼 소거능 확인
DPPH 용액은 517 nm에서 강한 흡수를 가지는 보라색의 화합 반응물로서 DPPH 라디칼 반응은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시스테인, 글루타치온과 같은 황함유 아미노산과 아스콜빅신, 아민화합물 등에 의해 환원되어 탈색되므로 다양한 천연소재로부터 항산화 성분을 검색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자유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항산화제로부터 전자 혹은 수소를 공유 받아 1,1-diphyenyl-picrylhydrazine이 되면 보라색이 노란색으로 변화하여 517 nm에서 흡광도가 감소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쉽게 항산화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항산화 활성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이용하여 시료의 라디칼 소거능(radical scavenging effect)를 측정하는 Blois 방법(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4; 181:1198-1200)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각각의 추출물을 100 ppm 내지 500 ppm의 농도로 제조한 시료와 0.02 mM DPPH 100 μL를 혼합하여 상온 암소에서 30 분간 반응시킨 후 525 nm에서 ELISA reader(Sunrise, TECAN)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에 대한 양성 대조군은 기존에 잘 알려져 있는 수용성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하기 식 1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것이다:
[식 1]
DPPH 라디칼 소거능 (%) = [1 - (sample - blank)/control] × 100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 각각의 추출물의 100 ppm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21087867272-pat00007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칡 발효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9.71% 내지 49.89 %로, 비교예 1 내지 3의 각각의 추출물과 비교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이 현저히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ABTS 라디칼 소거능 확인
ABTS 항산화 측정법은 DPPH와 같은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는 방법이지만 항산화능을 측정하는데 적은 시간이 소모되며 DPPH와 달리 pH의 변화에 민감하게 작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Roberta Re et al. (Roberta, R, Nicoletta, P., Anna, P., Ananth, P., Min, Y. and Catherine, R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J. Free Rad. Biol. Med. 26:1231-1237)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즉,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 측정을 위해 7 mM ABTS와 2.45 mM potassium persulfate를 각각 증류수에 제조하여 1:1로 섞어 ABTS solution을 만들고,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알루미늄 포일을 씌워서 12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ABTS solution의 흡광도가 0.700 ± 0.01이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여 희석해서 사용하였다.
100 ppm 내지 500 ppm의 농도로 제조한 시료와 ABTS solution 100 μL를 혼합하여 상온 암소에서 10 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에 대한 양성 대조군은 기존에 잘 알려져 있는 수용성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하기 식 2는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것이다:
[식 2]
ABTS 라디칼 소거능(%) = [1 - (sample - blank)/control] × 100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 각각의 추출물의 100 ppm의 농도에서, ABTS 라디칼 소거능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21087867272-pat00008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칡 발효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86.15 % 내지 97.65 %로, 비교예 1 내지 3의 각각의 추출물과 비교하여, ABTS 라디칼 소거능이 현저히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강식품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건강식품으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식품 제조예 1>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유효물질 0.01-1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건강식품 제조예 2>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유효물질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유효물질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4 중량부, 율무 19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유효물질 (2 중량부),
영지(1.5 중량부), 및
지황(1.5 중량부).
건강기능성식품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건강기능성식품으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건강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기능성식품 제조예 1> 건강기능성식품의 제조
유효물질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성 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성 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건강기능성식품 제조예 2> 건강 기능 음료의 제조
유효물질 100 mg
구연산 100 mg
올리고당 100 mg
매실농축액 2 mg
타우린 100 m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5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1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을 증숙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증숙된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에 영지버섯 균(Ganoderma lucidum)을 접종하여 고체 발효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고체 발효된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을 용매 추출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유래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은 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40 ℃내지 100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수분 함량이 30 % 내지 90 %이고, 15 ℃ 내지 45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물, 탄소수 2 내지 4의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및 단계 2 사이에,
    상기 증숙된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을 팽화하는 단계(단계 1-1);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1은,
    75 ℃내지 140 ℃에서, 1 분 내지 15 분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
  8. 제 1 항의 푸에라린(Puerarin) 수율 향상방법으로 제조된 푸에라리아(Pueraria) 속 식물 발효 추출물.
  9. 제 8 항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분말제 또는 액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0210099927A 2021-07-29 2021-07-29 칡 유래 푸에라린 수율증가 및 숙취해소 효과 KR102416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27A KR102416205B1 (ko) 2021-07-29 2021-07-29 칡 유래 푸에라린 수율증가 및 숙취해소 효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27A KR102416205B1 (ko) 2021-07-29 2021-07-29 칡 유래 푸에라린 수율증가 및 숙취해소 효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205B1 true KR102416205B1 (ko) 2022-07-05

Family

ID=8240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927A KR102416205B1 (ko) 2021-07-29 2021-07-29 칡 유래 푸에라린 수율증가 및 숙취해소 효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2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161A (ko) * 2003-12-05 2005-06-13 주식회사 오엠바이오텍 한방자원을 이용한 고기능성 균사체의 제조방법 및 그균사체
KR100613764B1 (ko) 2005-01-28 2006-08-1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칡으로부터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을 제조하는 방법
KR100852139B1 (ko) * 2007-11-13 2008-08-13 성인환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제조방법
KR20120108756A (ko) * 2011-03-25 2012-10-05 (주)하이모 고농도의 피토에스트로겐을 함유하는 칡의 발효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5161A (ko) * 2003-12-05 2005-06-13 주식회사 오엠바이오텍 한방자원을 이용한 고기능성 균사체의 제조방법 및 그균사체
KR100613764B1 (ko) 2005-01-28 2006-08-1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칡으로부터 비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을 제조하는 방법
KR100852139B1 (ko) * 2007-11-13 2008-08-13 성인환 팽화 및 발효 처리된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제조방법
KR20120108756A (ko) * 2011-03-25 2012-10-05 (주)하이모 고농도의 피토에스트로겐을 함유하는 칡의 발효물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ea J. Food Preserv. 2017, 24 (3), 440-44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9356A (zh) 用于口服摄入或使用的甜菊醇糖苷化合物、组合物以及用于增强甜菊醇糖苷溶解度的方法
KR101144920B1 (ko) 홍삼 및 식물추출물이 함유된 홍삼정
CN105358168B (zh) 具有用于缓解经前期综合征及痛经的功能的组合物
WO2008147141A1 (en) A method for preparing novel black-red ginseng and the extract therefrom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isolated therefrom
KR101017594B1 (ko) 퀘르세틴 함량이 증가된 발효 양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451298B1 (ko) 이소플라본 유도체 고함량 콩잎 및 그 제조방법
KR101316091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hen et al. Traditional food, modern food and nutritional value of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A review
KR10077152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20200064501A (ko)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CN103734767B (zh) 一种保健食品
KR100555652B1 (ko) 약효가 증강된 파낙스속 식물의 가공 추출물, 그 제조방법및 그를 함유하는 암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조성물
KR102416205B1 (ko) 칡 유래 푸에라린 수율증가 및 숙취해소 효과
KR100919134B1 (ko) 항비만 효능을 나타내는 저극성 진세노사이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9168B1 (ko) 기능성분강화 홍삼추출액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230018135A (ko) 칡 유래 푸에라린 수율증가 및 숙취해소 효과
KR20030080296A (ko)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분획 및 유도체를 함유하는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121201B1 (ko) 콩 발효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217755A (zh) 罗汉松实提取物及制品的生产方法
KR20210103055A (ko) 증포 인삼열매 발효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음료
KR20170077980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0533505B1 (ko)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알레르기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건강보조식품
KR101434444B1 (ko) 진세노사이드 Rg3 성분이 강화된 홍삼 추출물 제조방법
CN105105248B (zh) 一种树莓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10081435A (ko) 원적외선 건조로 항염증 활성이 증진된 감국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