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501A -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 Google Patents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501A
KR20200064501A KR1020180150691A KR20180150691A KR20200064501A KR 20200064501 A KR20200064501 A KR 20200064501A KR 1020180150691 A KR1020180150691 A KR 1020180150691A KR 20180150691 A KR20180150691 A KR 20180150691A KR 20200064501 A KR20200064501 A KR 20200064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megranate
fermentation
present application
fermentation produc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진
신민경
임희정
조남훈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8015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4501A/ko
Publication of KR20200064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6Yea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석류 발효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Fermented Pomegranate Having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for Relieving Menopausal Symptom}
본 출원은 항산화능이 증가되어 갱년기 증상의 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석류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내분비계 호르몬의 하나인 에스트로겐은 체내에서 콜레스테롤로부터 합성되며, 분비원은 주로 난소의 여포 및 황체이다. 뇌하수체전엽에서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gonadotropin)이 생식기관에 신호를 전달하면 월경주기를 조절하고 임신을 가능케 하는 호르몬인 여포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과 황체형성호르몬(Lutenizing hormone; LH)이 분비되고, 이는 다시 난소에 작용하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게 한다. 상기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라디올(estradiol), 에스트론(estrone), 에스트리올(estriol) 등을 총칭한다.
폐경 전의 여성에 있어 난소는 에스트로겐의 주요 공급원이다. 여성이 폐경기에 접어들면, 난소가 노화됨에 따라 하수체성 성선자극 호르몬(여포자극 호르몬 및 황체형성 호르몬)에 대한 반응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초기 여포기가 더욱 단축되어 월경 주기가 더욱 단축되며, 배란기가 더욱 단축되고, 프로게스테론 생성이 감소되며, 월경 주기가 더욱 불규칙하게 된다. 결국, 여포가 반응하지 못하게 되어 에스트로겐을 생성하지 못하게 된다. 에스트로겐의 분비 감소는 여성의 비뇨생식계통 뿐만 아니라 신체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배란이 중단되어 월경이 사라지는 폐경 또는 그 이전에 호르몬의 감소로 인한 폐경기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폐경기 이후 여성에서는 에스트로겐의 급속한 감소로 인하여, 심리학적 및 감성적 징후, 예컨대 피로, 흥분, 불면, 집중력 저하, 우울증, 기억 상실, 두통, 근심 및 신경과민이나 소심증 등이 발생할 우려가 현저히 높아지게 되며, 재발성 안면 홍조에 의한 수면 방해에 따른 피로와 흥분, 간헐성 현기증, 감각이상, 심계항진 및 빈맥, 메스꺼움, 변비, 설사, 관절통, 근육통, 수족 냉증 및 체중 증가 현상의 발생 우려 또한 현저히 높아지게 된다. 또한, 골다공증이 쉽게 유발될 뿐 아니라, 심장병, 고혈압, 뇌졸중 등의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도 증가하고, 피부 및 비뇨생식계통의 변화를 초래하며, 자가면역성 질환, 백내장 및 대장암 등의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현재, 상기 안면홍조 등 갱년기 증상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공지의 방법은 에스트로겐을 투여하여 결핍된 에스트로겐을 보충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합성 에스트로겐의 장기간에 걸친 투여는 유방암과 자궁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최근 들어서는 장기간에 걸친 합성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이 유방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믿을 만한 주장이 다수 제기되면서 학자들 간에는 물론, 사회 전반에 걸쳐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아직 확실히 증명된 것은 아니지만, 합성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을 받은 여성에 있어서의 유방암 발생 위험은 시간 경과에 따른 에스트로겐 노출 용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호르몬 대체 요법에 사용되는 합성 에스트로겐의 보다 안전한 대체물로서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피토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 피토에스트로겐은 동물의 체내에서 에스트로겐성 효과를 발휘하는, 식물 중에 존재하는 비스테로이드성 화합물을 지칭하며, 항암 작용과 심장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곡물, 과일, 채소들의 대부분은 피토에스트로겐을 미량 포함하고 있다. 즉, 여성의 갱년기 증상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면서도, 유방암, 자궁암 등을 유발하지 않는 등 안전한 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오고 있다(특허문헌 1).
석류(Punica granatum L., Pomegranate)는 석류과(Punicaceae)에 속하는 낙엽성 소목의 열매로 이란을 중심으로 아열대 및 열대 각지에 널리 퍼져 있는 식물이다. 석류는 그 과즙 및 종자에 피토에스트로겐 뿐만 아니라 테스토스테론, β-시토스테롤, 쿠메스테롤(coumesterol)과 같은 호르몬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오랫동안 민간요법으로 폐경 증상의 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또한, 석류는 과일과 껍질에서 많은 다양한 식물화학 물질(phytochemical)이 발견되고 있다. 이 물질 중 폴리페놀 화합물은 산성화되는 체질과 암을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넓은 범위에서 보호 효과를 줄 가능성이 높다. 석류의 주요 성분은 당질 중에 글루코오스와 프룩토오스로 약 40%, 새콤한 맛을 내는 시트르산이 약 1.5% 들어 있다. 껍질에는 탄닌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존재하고, 종자에는 갱년기 장애에 좋은 천연 식물성 피토에스트로겐이 들어 있다. 또한, 석류는 그 껍질과 과일의 여러 곳에서 안토시아닌, 갈로탄닌, 히드록시신남산, 히드록시벤조산 및 가수분해성 탄닌(ellagitannins, gallagyl esters)을 포함하는 약 50여 종의 페놀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과일 전체에서는 푸니칼라긴(punicalagin) 이성체, 엘라긴산(ellaginic acid), 안토시아닌(delphinidin, cyanidin, pelargonidin-3 glucosides, 3,5-diglucosides)과 같은 폴리페놀 화합물이 광범위하게 풍부하나, 흥미롭게도 석류 껍질은 과일의 다른 어떤 부분보다 농도 면에서 페놀 화합물(대개 탄닌의 가수분해물)의 함량이 가장 많은 유용한 저장소이다.
석류의 긍정적인 건강에 대한 효과는 주로 항산화 활성에 기인한 것이다. 석류는 폴리페놀의 함량이 높고 이로 인해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석류의 뛰어난 항산화 활성은 석류의 안토시아닌, 엘라그산 및 탄닌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체내 신진대사와 산화된 식품의 섭취로 인해 기인되는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 및 활성질소종(RNS, reactive nitrogen species)은 지질, 단백질 및 핵산과 같은 체내 주요 물질의 비가역적 손상을 야기하며 인간의 노화 및 만성질환을 유발한다.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물질은 질병예방 및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초는 식생활사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중요한 전통발효식품으로 최근 식초의 여러 가지 효능이 과학적으로 규명되면서 식초 소비량은 점차 증가되고 고급화되어 단순한 조미 용도에서 식초음료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재로뿐만 아니라 건강식품으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식초는 건강식품의 하나로 천연 과실을 원료로 발효시킨 기능성 제품으로 다양한 건강용 식초가 생산되고 있다. 특히 건강용 식초는 유기산, 향기성분, 아미노산 조성, 관능적인 맛과 품질이 우수하여 현재 생산과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식품가공 폐기물은 오랫동안 그 처분으로 유발되는 환경 영향에 대한 처치문제, 최소화 및 예방하는 문제로 많은 숙고의 대상이 되고 있다. 현재 식품가공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차원에서 이를 고부가가치화하여 건강기능성 소재로 설정하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발효를 통해 생성된 부산물은 대부분 발효에 의한 대사체로서 기능성식품으로 재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석류를 발효시킨 발효물 내에 항산화성 물질의 함량이 대폭 증가되고, 이로 인해 석류 발효물을 다양한 갱년기 증상의 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출원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3122호
본 출원은 항산화 활성과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있는 석류의 효능을 보다 개선한 석류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측면은 석류에 효모 및 초산균을 처리하여 발효시킨 석류 발효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상기 석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석류에 효모 및 초산균을 처리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석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른 석류 발효물은 높은 항산화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도 매우 뛰어나므로, 다양한 형태의 건강식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출원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의 총폴리페놀 함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의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의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석류 발효물의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출원은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은 석류에 효모 및 초산균을 처리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며, 상기 석류 발효물의 발효 후에 가라앉은 고형분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한 구현예에서, 상기 석류 발효물은 발효 후에 가라앉은 고형분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건조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건조한 형태를 추가로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석류는 석류의 과육, 종자 및 껍질 중 어느 1종 이상을 제한없이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출원의 한 구현예에서는 석류의 과육에 대해 발효를 실시할 수 있지만, 석류의 종자, 껍질, 또는 과육, 종자, 껍질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발효를 실시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석류는 임의의 형태로 발효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한 구현예에서, 석류는 가공되지 않은 석류 원물을 그대로 발효에 사용할 수 있지만, 건조된 석류, 분말화된 석류, 석류 추출물, 석류 농축물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가 제한없이 발효에 사용될 수 있고,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한 구현예에서, 상기 석류는 석류 추출물의 형태로 발효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원료로부터 임의의 방법으로 추출된 물질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 등을 제한없이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출원의 한 구현예에서, 상기 석류 추출물은 석류를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용해 추출한 추출물, 상기 추출물을 농축한 농축물 등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석류 추출물을 원료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할 때, 추출 방법으로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과 같이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비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 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득한 석류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석류 추출물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한 구현예에서, 상기 석류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구체적으로 C1-C4의 저급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벤젠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추출 용매는 물, C1-C4의 알코올 및 물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예컨대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10%(v/v) 내지 99%(v/v)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20%(v/v) 내지 70%(v/v)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30%(v/v) 내지 50%(v/v)의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은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실시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65℃ 내지 95℃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70℃ 내지 90℃에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추출은 1시간 내지 20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2시간 내지 16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3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은 1회 내지 8회 실시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회 내지 6회 실시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1회 내지 5회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은 각 추출에서 얻어진 단독 추출물 또는 각 추출에서 얻어진 추출물들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각 추출에서 얻어진 추출물들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한 구현예에서, 상기 석류는 석류 원물, 구체적으로 석류 과육을 착즙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농축한 농축물을 사용하거나, 상기 농축물을 물 또는 유기용매에 희석해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석류는 전술한 것과 같은 석류 추출물 또는 상기 석류 추출물의 농축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한 구현예에서,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은 석류에 효모를 처리하여 1차 발효시킨 1차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물에 초산균을 처리하여 2차 발효시킨 2차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은 석류에 효모와 초산균을 동시에 처리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현예에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 피키아 속(Pichia sp.), 캔디다 속(Candida sp .) 및 야로위아 속(Yarrowia sp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효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속의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초산균은 아세토박터 속(Acetobacter sp .)의 균이면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초산균은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bacter aceti)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1차 발효는 3일 내지 15일 동안 수행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5일 내지 10일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차 발효가 하한값 미만의 기간 동안 진행될 경우에는 효모에 의한 발효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2차 발효시 초산균의 배양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한값을 초과하는 기간 동안 진행될 경우에는 불필요한 배양 기간의 증가로 인해 원료의 제조 기간 및 단가가 상승하게 되며, 다른 미생물에 의한 오염이 발생하여 발효물이 부패할 위험성이 커질 수 있다.
1차 발효 후 2차 발효 진행시에는 별도로 초산균을 접종하여 발효를 진행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별도로 초산균을 접종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는 1차 발효시에 효모 발효에 의해 초산균 배양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됨과 동시에, 공기 중에 노출된 면을 통해서 자연에 존재하는 초산균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연적으로 유입되는 초산균 중에서도 아세토박터속의 초산균, 예컨대 아세토박터 아세티가 다량으로 유입되고 우점종이 된다. 이 경우에도 발효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초산균을 접종하여 2차 발효할 수 있다.
상기 2차 발효는 2일 내지 20일 동안 수행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3일 내지 15일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5일 내지 10일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한값 미만으로 발효가 진행될 경우에는 아세트산의 생성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상한값을 초과하여 발효가 진행될 경우에는 불필요한 배양 기간의 증가로 인해 제조 기간 및 비용이 상승될 수 있다.
상기 1차 발효 및 2차 발효는 상온에서, 예를 들면 15℃ 내지 35℃에서 실시될 수 있다. 상온 범위 내에서 실시됨으로써, 효모와 초산균의 생장과 물질대사가 이루어지며, 최종 산물에서 항산화 물질의 함량이 강화된다. 상기 온도 범위를 벗어나서 실시될 경우 저온에서는 미생물 생장에 문제가 생겨 발효 효율이 떨어지고, 고온에서는 미생물이 사멸하거나 열에 의한 가수분해가 진행되어 원하는 항산화 물질의 생성 정도가 낮을 수 있다.
본 출원의 한 구현예에서,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 내에 함유되는 총폴리페놀의 함량은 100 내지 800 ㎎/g, 구체적으로 200 내지 800 ㎎/g, 300 내지 800 ㎎/g, 450 내지 800 ㎎/g, 500 내지 750 ㎎/g, 550 내지 700 ㎎/g, 또는 600 내지 650 ㎎/g의 범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 내에 함유되는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0 내지 700 ㎎/g, 구체적으로 200 내지 700 ㎎/g, 300 내지 700 ㎎/g, 300 내지 600 ㎎/g, 350 내지 600 ㎎/g, 400 내지 550 ㎎/g, 또는 450 내지 500 ㎎/g의 범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 내에 함유되는 트롤록스 등가물(Trolox equivalent)의 함량은 ABTS 항산화능 분석법 기준으로 100 내지 450 ppm, 구체적으로 200 내지 450 ppm, 250 내지 450 ppm, 280 내지 450 ppm, 280 내지 430 ppm, 300 내지 400 ppm, 또는 330 내지 380 ppm의 범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 내에 함유되는 아스코르브산 등가물의 함량은 DPPH 항산화능 분석법 기준으로 10 내지 80 ppm, 구체적으로 10 내지 70 ppm, 10 내지 65 ppm, 20 내지 80 ppm, 20 내지 70 ppm, 20 내지 65 ppm, 35 내지 80 ppm, 35 내지 70 ppm, 35 내지 65 ppm, 43 내지 80 ppm, 43 내지 70 ppm, 43 내지 65 ppm, 43 내지 60 ppm, 또는 45 내지 55 ppm 의 범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은 7 내지 30%, 구체적으로 12 내지 25%, 또는 15 내지 20% 범위의 산도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구현예에서,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은 50 내지 100%, 구체적으로 60 내지 98%, 65 내지 95%, 70 내지 90%, 75 내지 88%, 또는 80 내지 85%의 고형분 함량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석류 발효물은 가열 및 냉각하는 단계, 여과하는 단계 및 농축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추가로 거칠 수 있다.
상기 석류 발효물을 가열 및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석류 발효물 내의 단백질 분해 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동시에 미생물을 살균하여 식품으로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이다. 상기 가열 단계는 90℃ 내지 150℃, 구체적으로 95℃ 내지 130℃, 더욱 구체적으로 100℃ 내지 120℃의 온도 조건으로, 10분 내지 120분, 구체적으로 20분 내지 60분, 더욱 구체적으로 30분 내지 40분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열 단계가 90℃ 미만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거나 10분 미만의 시간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단백질 분해 효소의 실활이나 미생물의 살균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150℃ 초과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거나 120분 초과의 시간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영양성분이 파괴될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열 단계 이후에는 냉각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냉각 단계는 0℃ 내지 10℃, 구체적으로 1℃ 내지 7℃, 더욱 구체적으로 3℃ 내지 5℃의 온도 조건으로, 30분 내지 120분, 구체적으로 45분 내지 90분, 더욱 구체적으로 50분 내지 70분의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단계가 0℃ 미만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거나 30분 미만의 시간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석류 발효물이 충분히 냉각되지 않을 수 있고, 10℃ 초과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거나 120분 초과의 시간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공정 경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석류 발효물을 여과하는 단계는 석류 발효물의 고형분을 수집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상기 석류 발효물에서 액체를 제외하고 고형분만을 분리하는 것인데, 필터 등과 같은 통상의 여과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석류 발효물을 0.2㎛ 내지 5㎛의 필터로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류 발효물을 농축하는 단계는 고형분의 함량을 높여 식품 소재로서의 유용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으로서, 종래 식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농축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통상의 농축기를 이용하여 40℃ 내지 60℃, 10rpm 내지 100rpm, 20mbar 내지 100mbar의 조건에서 농축할 수 있다. 상기 농축 단계는 상기 석류 발효물의 농도가 5brix 내지 40brix, 구체적으로 10brix 내지 30brix가 되도록 농축할 수 있다. 상기 범위 외로 농축할 경우 공정 경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가열 및 냉각 단계와 상기 농축 단계가 모두 수행되는 경우, 상기 석류 발효물은 90℃ 이상의 온도에서 10분 이상의 시간 동안 단백질 분해 효소만을 간단히 실활시킨 후 농축 단계를 먼저 수행하고, 가열 및 냉각 단계는 상기 농축 단계 이후에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있어서, "갱년기 증상"은 여성에게서 월경이 중단되는 시기인 갱년기에 생기는 다양한 이상 증상 또는 질환들을 제한없이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대체로 갱년기의 여성에게서 난소의 기능이 노화로 인해 저하되어 여성 호르몬을 적게 내기 때문에 이러한 성호르몬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발병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은 여성의 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 감소로 인한 증상을 나타내며, 상기 증상은 비만, 골다공증, 에너지 대사 장애 등의 증상을 부수적으로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증상의 일 예로는 여성 호르몬 저하증이 될 수 있고, 다른 예로는 에스트로겐 저하증이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는 에스트로겐의 대표적인 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 저하증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노화가 시작되면서 체내 조직과 기관에서는 산화적 손상에 의한 유리 라디칼의 축적이 증가되고, 이는 노화 단계에서 중요한 생물학적 메커니즘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내 가장 풍부한 유리 라디칼은 활성산소종인데, 이러한 산화 반응에 대한 2가지 항산화 시스템이 있다. 하나는 효소적인 항산화 시스템이고, 다른 하나는 비효소적인 항산화 시스템이며, 상기 비효소적인 항산화 시스템의 대표적인 항산화제로는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등이 있다. 노화에 의해 증가되는 세포내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식이를 통해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는 많은 피토케미컬을 섭취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본 출원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은 발효가 되기 전의 석류 농축물과 비교하여 뛰어난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갖고, 또한 항산화능도 현저히 증가되며, 뛰어난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보인다(본 출원의 표 1, 도 1 내지 도 5 참조).
이와 같이, 발효에 의해 석류의 항산화능이 증가됨을 확인함으로써, 중년 이후 노화가 급격히 진행되는 연령대에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의 보충 섭취는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2. 석류 발효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본 출원은 석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석류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상기 "1.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개선"이란 용어는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의 투여로 인하여 치료와 연관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건강 기능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 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 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적, 의료적 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이란 용어는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본 기술분야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본 출원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상기 건강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건강 기능 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혼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롬(Cr) 등의 미네랄; 및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발색제, 표백제, 조미료, 감미료, 향료, 팽창제,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 피막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출원의 건강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내지 5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석류 발효물의 함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건강식품 조성물에 함유되는 석류 발효물의 함량은 건강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예컨대, 0.0001 내지 20.0 중량%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석류 발효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양을 사용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며 조성물의 안정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석류 발효물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상기 석류 발효물 이외에도 식품 제조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향미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을 들 수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및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출원의 건강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상기 석류 발효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천연 추출액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3. 석류 발효물을 이용한 갱년기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
본 출원은 상기 석류 발효물을 갱년기 증상이 발병되거나 또는 발병될 가능성이 있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석류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상기 "1.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예방"이란 용어는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의 투여에 의해 여성 갱년기 증상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 있어서, "치료"란 용어는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의 투여에 의해 여성 갱년기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제한 없이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 있어서, "투여"란 용어는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 있어서, "개체"란 용어는 여성 갱년기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다. 구체적인 예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석류 발효물을 투여하는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석류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석류 발효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그 투여 경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구강, 직장, 국소,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경피, 비측내 또는 흡입 등을 통하여 투여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일 뿐으로서, 본 출원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석류 농축물의 제조
석류의 외피만을 제거한 후, 석류의 내피 및 종자를 포함하는 과육을 으깨어 종자와 껍질을 제거한 후 착즙액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착즙액을 감압농축한 후 여과 및 살균하여 석류 농축물(60브릭스 이상)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석류 발효물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석류 농축물(60브릭스 이상)을 물로 희석하여 12브릭스로 기준 당도를 조정한 후,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와 함께 1차 발효조에 넣어 30℃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1차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1차 발효물을 초산균(Acetobacter sp .)과 함께 2차 발효조에 넣어 30℃에서 7일 동안 초산 발효시켜 2차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발효가 끝난 석류 발효물을 스트림 필터(0.2㎛)로 여과하여 고형물을 수집하였고, 고형물을 동결건조(-20℃, -15℃, -5℃, 0℃의 온도에서 순차적으로 10시간 동안 동결건조한 후 4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실험예 1] 석류 발효물의 산도 측정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석류 농축물 및 석류 발효물의 산도를 분석하였다. 측정 방법은 식품공전 내 식초의 총산 측정법을 사용하였고, 측정을 위해 실시예 1에서 여과하기 전의 2차 발효물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의 석류 농축물 및 실시예 1의 2차 발효물을 각각 10 ㎖씩 취한 후, 여기에 끓여서 식힌 물을 가하여 100 ㎖로 하였고, 그 중 20 ㎖를 페놀프탈레인 시액을 지시약으로 하여 0.1 N 수산화나트륨액으로 적정하였다. 이 때, 0.1 N 수산화나트륨액 1 ㎖는 0.006 g 아세트산에 해당한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석류 발효물 내의 유기산 함량 측정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석류 농축물과 석류 발효물의 유기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시료로는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석류 농축물 및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석류 발효물을 각각 증류수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증류수에 용해한 각 시료를 0.45 μ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HPLC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세한 HPLC 분석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STD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포름산 0.06~0.8 g/L
아세트산, 락트산 0.01~1.2 g/L
이동상 A : 0.005N-H2SO4 + ACN 5%
B : TBAOH 0.3%
분석 조건 시스템 BIO-LC
시료주입량 25 ㎕
유속 Isocratic A : 0.6 ㎖/분 B : 1.3 ㎖/분
컬럼 Aminex HPX87H ION Exclusion Column 7.8-300mm (P/N : Bio-Rad 125-0140)
컬럼 온도 33℃
디텍터 Conductivity
구동 시간 18분
유기산
(단위: g/㎏)
시트르산 55.9
말산 1.9
숙신산 1.2
아세트산 81.4
합계 140.4
산도(%)* 15~20
고형분(%) 80~85
*발효 전 석류 농축액의 산도는 4.4~5.4% 였다.
[실험예 3] 총폴리페놀 함량 측정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석류 농축물과 석류 발효물의 총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폴린-시오칼토(Folin-Ciocalteu)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비색정량하였다. 시료의 준비를 위해 석류 발효물 분말 5 ㎎을 각각 DMSO(dimethyl sulfoxide) 1 ㎖에 용해하여 시험액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석류 농축물 및 상기 석류 발효물 시험액을 각각 100 ㎕씩 취한 후 각각을 5% 폴린-시오칼토 용액(Sigma Co. St. Louis, MO, USA) 400 ㎕ 및 2% Na2CO3 용액 180 ㎕와 혼합하여 잘 섞었고, 암소에서 1시간 방치한 후,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페놀 화합물 함량은 탄닌산(Sigma Co. St. Louis, MO, USA)을 이용한 검량선에 의해 계산하였다.
[실험예 4]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석류 농축물과 석류 발효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시료의 준비를 위해 석류 발효물 분말 0.1g을 메탄올 1 ㎖에 용해하여 시험액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의 석류 농축물 1 ㎖와 상기 석류 발효물 시험액 1 ㎖를 각각 디에틸렌 글리콜과 1N NaOH를 혼합하여 실온 암소에서 1시간 방치한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물질은 나린진(Sigma Co. St. Louis, MO, USA)을 이용하였고, 검량선으로부터 시료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계산하였다.
[실험예 5] ABTS 및 DPPH 소거능을 통한 항산화 활성 측정
비교예 1 및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석류 농축물과 석류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Sigma Co. St. Louis, MO, USA) 및 ABTS(Sigma Co. St. Louis, MO, USA)의 유리 라디칼 소거 활성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석류 발효물 분말 5 ㎎을 에탄올 1 ㎖에 용해하여 시험액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의 석류 농축물 20 ㎕와 상기 석류 발효물 시험액 20 ㎕를 각각 0.2 mM DPPH 용액 180 ㎕와 혼합하여 교반하고, 실온에서 12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물질은 아스코르브산(Sigma Co. St. Louis, MO, USA)을 사용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ABTS 7.4 mM과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phate) 2.7 mM을 24시간 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 값이 1.0 (±0.02)가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시료의 준비를 위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석류 발효물 분말 0.05 g을 메탄올 5 ㎖에 용해하여 시험액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의 석류 농축물 50 ㎕와 상기 석류 발효물 시험액 50 ㎕를 각각 ABTS 용액 1.0 ㎖와 혼합하고 30℃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 물질로 트롤록스(Trolox, Sigma Co.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예 3 내지 실험예 5로부터 측정한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의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하기 표 3 및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총폴리페놀 함량
(㎎/g)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g)
항산화능
ABTS
(ppm)
DPPH
(ppm)
석류 농축물
(비교예 1)
458.5 307.3 260.1 41.2
석류 발효물
(실시예 1)
625.3 462.0 341.2 49.6
상기 결과로부터,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은 발효되기 전의 석류 농축물과 비교하여 총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36% 및 50% 이상 대폭 증가되었고, 이와 더불어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 있어서도 각각 31% 및 20%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석류 발효물의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CF-7의 세포증식률을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5×104 세포/디쉬 농도의 유방암 세포(MCF-7, human breast adenocarcinoma cell line)를 10% 우태아 혈청(FBS, fetal bovine serum)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에 넣고 37℃로 24시간 동안 배양 후 5% Charcoal-dextran stripped-FBS(CD-FBS)와 항생제를 첨가한 페놀 레드-부재(phenol red-free) DMEM 배지로 교환하였다.
시료는 각각 실시예 1의 석류 발효물을 10, 50, 100 ㎍/㎕ 농도로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인 0.05% DMSO(dimethyl sulfoxide,sigma)와, 양성대조군인 17-β-에스트라디올(Estradiol)(E2, Sigma)은 10-7 M의 농도로 처리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후, 배지를 제거하고 5 ㎎/㎖ 농도의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oum bromide (MTT, sigma) 시약을 웰 당 50 ㎕씩 분주한 다음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시간 배양 후 상층액을 제거한 후, DMSO 400 ㎕씩 첨가하여 생성된 불용성의 포르마잔 결정을 용해시킨 뒤 분광광도계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세포증식률은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17-β-에스트라디올은 10-7 M의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141.29%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으며, 에스트로겐을 포함한 호르몬 부재 시 석류 발효물에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10 ㎍/㎕에서는 110.75%의 증식률을 보였고, 50, 100 ㎍/㎕에서 각각 122.56%, 120.72%의 증식 효과를 보였다(도 5).
상기 결과로부터, 본 출원의 석류 발효물이 호르몬 부재 시 증식하지 않는 유방암세포의 세포증식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본 시료가 에스트로겐 유사 활성 효과를 보이며, 갱년기 증상 완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3)

100 내지 800 ㎎/g 범위의 총폴리페놀 함량을 갖는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류 발효물은 300 내지 700 ㎎/g 범위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갖는 석류 발효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류 발효물은 7 내지 30% 범위의 산도를 갖는 석류 발효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증상은 비만, 골다공증 및 에너지 대사 장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석류 발효물.
석류에 효모를 처리하여 1차 발효시킨 1차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물에 초산균을 처리하여 2차 발효시킨 2차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석류 발효물의 제조 방법.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석류는 석류의 과육, 종자 및 껍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제조 방법.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 피키아 속(Pichia sp.), 캔디다 속(Candida sp .) 및 야로위아 속(Yarrowia sp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효모인 제조 방법.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인 제조 방법.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초산균은 아세토박터 속(Acetobacter sp.)의 균인 제조 방법.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초산균은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bacter aceti)인 제조 방법.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1차 발효는 15℃ 내지 35℃의 온도에서 3일 내지 15일 동안 수행되는 제조 방법.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2차 발효는 15℃ 내지 35℃의 온도에서 2일 내지 20일 동안 수행되는 제조 방법.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석류 발효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180150691A 2018-11-29 2018-11-29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KR20200064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691A KR20200064501A (ko) 2018-11-29 2018-11-29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691A KR20200064501A (ko) 2018-11-29 2018-11-29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501A true KR20200064501A (ko) 2020-06-08

Family

ID=7109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691A KR20200064501A (ko) 2018-11-29 2018-11-29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45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257B1 (ko) 2020-12-29 2021-08-12 주식회사 오가닉랩 갱년기 증상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KR102453633B1 (ko) 2022-06-21 2022-10-12 (주)스마트푸릇 체내흡수율이 증가된 엘라그산과 갈산을 고함량 포함하는 석류 발효조성물과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항산화 기능을 갖는 용도 및 efc 공법을 이용한 그의 제조방법
KR102514059B1 (ko) 2022-07-12 2023-03-27 (주)스마트푸릇 체내흡수율이 증가된 엘라그산과 갈산을 고함량 포함하는 뼈건강 또는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조성물 및 efc 공법을 이용한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122A (ko) 2010-04-08 2011-10-14 이해련 고함량의 엘라그산을 포함하는 석류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의 갱년기 증상 관련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122A (ko) 2010-04-08 2011-10-14 이해련 고함량의 엘라그산을 포함하는 석류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의 갱년기 증상 관련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257B1 (ko) 2020-12-29 2021-08-12 주식회사 오가닉랩 갱년기 증상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KR102453633B1 (ko) 2022-06-21 2022-10-12 (주)스마트푸릇 체내흡수율이 증가된 엘라그산과 갈산을 고함량 포함하는 석류 발효조성물과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항산화 기능을 갖는 용도 및 efc 공법을 이용한 그의 제조방법
KR102514059B1 (ko) 2022-07-12 2023-03-27 (주)스마트푸릇 체내흡수율이 증가된 엘라그산과 갈산을 고함량 포함하는 뼈건강 또는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조성물 및 efc 공법을 이용한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 et al. Phytochemistry, bioactivities and future prospects of mulberry leaves: A review
JPWO2006014028A1 (ja) サツマイモ茎葉抽出物およびその用途
EP3017821B1 (en) Composition having a function for alleviating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pain
KR20110004603A (ko) 폐경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회화나무 추출물
JP4684556B2 (ja) Sdgの製法およびその配合飲食物
KR20200064501A (ko)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KR101017594B1 (ko) 퀘르세틴 함량이 증가된 발효 양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JP5617110B2 (ja) 経口発毛促進剤
US1067531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limacteric disorder containing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as active ingredient
KR20170118427A (ko)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KR100872588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가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조성물
KR102137136B1 (ko) 호박 가수분해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80410B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114841A (ko) 두충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아디포넥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75554B1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96703B1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8169A (ko) 두메부추와 곤드레 추출복합물(complex)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비만 조성물
KR20170077980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80120120A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2213B1 (ko)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50928B1 (ko) 능실 캘러스 배양 추출물을 함유하는 임산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1769A (ko) 송로버섯 균사체, 산뽕나무, 배초향, 장딸기 및 대추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TWI260205B (en) A composition including isoflavones refined from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