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427A -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427A
KR20170118427A KR1020160046206A KR20160046206A KR20170118427A KR 20170118427 A KR20170118427 A KR 20170118427A KR 1020160046206 A KR1020160046206 A KR 1020160046206A KR 20160046206 A KR20160046206 A KR 20160046206A KR 20170118427 A KR20170118427 A KR 20170118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ood composition
health food
improving
red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940B1 (ko
Inventor
견만종
김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인스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인스팜(주) filed Critical 한국인스팜(주)
Priority to KR1020160046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940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관문과 홍삼을 건강식품의 재료로 활용함으로써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분비가 증강되어 남성 갱년기 증후군을 개선시켜 건강에 유용한 건강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은 야관문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과, 감태 추출물과, 흑마늘추출물과, 대추 추출물과, 복합추출물을 함유하고, 상기 복합추출물은 백출, 복령, 당귀, 천궁을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추출된다.

Description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health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andropause syndrome}
본 발명은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관문과 홍삼을 건강식품의 재료로 활용함으로써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분비가 증강되어 남성 갱년기 증후군을 개선시켜 건강에 유용한 건강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은 폐경기가 오면 여성 호르몬이 급격히 감소하여 여러 가시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를 갱년기라 한다.
통상 갱년기란 용어는 여성에 한정되어 사용되었으나, 남성에서도 노화에 따라 남성 호르몬 생산의 점진적 감소로 인한 내분비 변화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1939년 Werner에 의해 50대 이후의 남성들도 갱년기 여성과 유사한 예민함, 우울감, 기억력 장애, 집중력 저하, 피로함, 불면, 안면 홍조, 근육량 및 골밀도 저하, 주기적 발한과 성적 활력의 저하 등과 같은 복합적 증상을 호소하는 것이 보고되었다. 그 후, 이를 여성갱년기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남성갱년기라 정의하고 있으며, 국제남성갱년기학회 및 국제남성과학회가 공동으로 2004년 제4차 ISSAM congress에서 이들 명칭을 후기발현남성성선기능저하증(Late-onset hypogonadism, LOH)으로 통일하였다. 현재에는 LOH가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andropause, androgen deficiency for aging male(ADAM), partial androgen deficiency for aging male(PADAM), male climateric 등과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남성갱년기 증상은 근육량 및 근력의 저하와 체질량 지수 감소, 체모 감소와 피부 변화, 지적 활동, 공간 지각 능력, 피곤, 성적 욕구의 감소와 발기, 특히 수면 중 발기 감소, 기분저하 및 불안정성을 동반하는 기분 변화, 골밀도 저하, 내장 지방의 증가 등과 같은 복합적인 증후군으로 나타난다.
치료를 위해서는 폐경기 여성에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남성 호르몬 대체 요법의 사용 가능성이 주장되고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남성 갱년기 환자들을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 40 ×2㎎/일로 치료하는 경우 상당한 개선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남성 호르몬의 투여는 간, 지질 상태, 심혈관 및 전립선 질환 등에 역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위험성 또한 보고되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약물의 치료요법에 의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천연 생약을 주성분으로 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그 예로, 옻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성기능 개선용 제약 조성물(특허출원 제10-2007-0009766호),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특허출원 제10-2006-0035437호) 등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생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종래기술은 주로 남성갱년기 복합증후군의 단편적 증상인 성기능 관련한 연구만 한정될 뿐, 골다공증, 근력저하, 의욕저하 등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제반 증상들을 근본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은 아니어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제제의 개발은 미흡한 현실이다.
또한, 종래의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제제는 주로 약제로 개발되고 있을 뿐 누구나 쉽게 일상에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의 형태의 개발은 미흡하다.
남성 갱년기와 관련 있는 남성호르몬으로는 테스토스테론을 들 수 있는데, 테스토스테론은 정소의 간질세포로서 하수체의 성선자극호르몬의 지배하에 콜레스테롤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 화합물이다. 남성의 2차 성징의 발현, 정자형성의 촉진, 정소상체, 전립선, 정낭 등의 발육작용을 가지며, 단백질의 동화작용도 가지기 때문에 체내에 질소를 저류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09766호:옻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성기능 개선용 제약 조성물 2.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35437호: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야관문과 홍삼을 건강식품의 재료로 활용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일상적으로 섭취가 가능하며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분비가 증강되어 남성 갱년기 증후군을 개선시켜 건강에 유용한 건강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은 야관문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과, 감태 추출물과, 흑마늘추출물과, 대추 추출물과, 복합추출물을 함유하고, 상기 복합추출물은 백출, 복령, 당귀, 천궁을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추출된다.
상기 추출물들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80 내지 120℃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한다.
상기 건강식품조성물은 음료, 과립, 정제, 파우더, 환, 캡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강식품조성물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강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야관문과 홍삼, 감태, 대추, 흑마늘 등을 건강식품의 재료로 활용함으로써 건강을 위해 누구나 손쉽게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으로 섭취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분비가 증강되어 근력 감소 및 피로 등과 같은 남성 갱년기로 인해 유발되는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3의 건강식품 조성물에 대한 MTT assay를 통한 세포독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실시예 3의 건강식품 조성물의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호르몬 활성 평가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야관문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과, 감태 추출물과, 흑마늘추출물과, 대추 추출물과, 복합추출물을 함유한다.
야관문은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초이며, 우리말로는 비수리(Lespedeza cuneata)라 불린다. 야관문의 성분은 피니톨(pinitol),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페놀(phenol), 탄닌(tannin) 및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등을 함유한다.
야관문의 맛은 쓰고 약간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간과 콩팥을 튼튼하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부은 것을 내리게 한다. 몽정, 대하, 설사, 타박상, 천식을 낫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근육과 힘줄을 부드럽게 하며 혈액순환이 잘 되게 한다. 또 열을 내리고 뱃속에 있는 벌레를 죽이며 유방에 생긴 종기, 뱀에 물린 상처, 눈이 빨갛게 충혈된 것을 치료하며, 위궤양, 탈항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관문은 잘게 썰어 그늘에서 말린 건조된 것을 이용하거나 신선한 것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홍삼은 4년근 이상, 바람직하게는 6년근 수삼을 정선하여 껍질째 증기로 쪄서 건조시켜 수분함량 14% 이하가 되도록 가공한 것으로, 제조과정 중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어 농다갈색의 색상을 띠며 매우 단단한 형태로 원형을 유지시킨 인삼이다.
홍삼은 제조 공정 중에 우리 몸에 유익한 여러 가지 새로운 생리활성 성분들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성분들은 수삼이나 백삼에는 없고 홍삼에만 있는 홍삼 특유 성분이다. 이들 성분으로 노화억제성분(Maltol), 암세포 증식 억제 성분, 항종양성분(Ginsenoside RH2), 암세포 전이억제성분(Ginsenoside Rg3), 홍삼 특유성분(8종)이다. 그리고, 홍삼에는 다른 어떤 인삼보다 가장 많은 종류(약 30가지)의 사포닌이 들어있는데, 이 사포닌은 항종양작용, 항 피로작용, 정신안정작용, 항염증작용, 노화억제작용 등 여러 가지 약리작용을 하는 건강에 유용한 소재이다.
감태(Ecklonia cava)는 미역과에 속하는 해조류로서 우리나라 동해 남부와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안 일대에 서식한다. 감태에는 항산화물질인 플로로탄닌(phlorotannin), 알파-토코페롤과 같은 항산화물질이 함유되어있다.
흑마늘은 생마늘을 50 내지 80℃에서 10 내지 20일 동안 숙성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마늘을 일정한 온도에서 숙성시키면 검은색의 흑마늘로 변한다. 흑마늘은 생마늘과 그 성분에 있어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 알리신의 함량을 보면 흑마늘의 경우 알리신의 함량이 거의 0에 가까우며, 알린의 함량이 중량대비 10~20%(w/w)가 된다. 또한 폴리페놀의 함량도 생마늘에 비하여 3배 이상 높은 값을 유지한다. 또한, 흑마늘은 S-알릴시스테인과 S-알릴머캅토시스테인과 같은 항산화력이 우수한 유기 황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테트라하이드로-β-카볼린 유도체들은 최근 강력한 과산화수소 제거 특성을 가진다.
흑마늘은 알리신의 함량이 줄어듦으로 인해 아린맛과 매운맛이 감소하여 단맛이 증가되고, 생마늘에 비해 폴리페놀, 항산화 효과 등의 여러 가지 기능성이 향상되는 등 영양적으로도 우수하다.
대추(Zizyphus jujuba)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강장, 강장 외에도 쇠약한 내장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전신을 튼튼하게 해주며, 신경안정, 노화방지, 신경쇠약, 식욕부진, 부인냉증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추에는 소화완화, 항알레르기, 간 보호 작용이 있으며, 그밖에 결핵, 기관지염 및 신경쇠약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술한 재료들로부터 각각 야관문 추출물, 홍삼 추출물, 감태 추출물, 흑마늘추출물, 대추 추출물을 추출한다.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방법으로 다양한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가령 야관문에 추출용매를 가해 추출할 수 있다. 추출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메탄올, 에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다가 알코올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로는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물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추출의 일 예로 추출용매를 야관문에 대하여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한 후 80 내지 120℃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환류냉각추출, 초음파 추출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추출방법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그리고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여과 후 감압농축하여 농축액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농축액을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방식 등을 통해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홍삼, 감태, 흑마늘, 대추로부터 각각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위의 야간문 추출방법과 동일하다.
복합추출물은 여러가지 한약재를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가령, 복합추출물은 백출, 복령, 당귀, 천궁을 혼합한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복합추출물의 추출방법은 상술한 야관문 추출방법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백출, 복령, 당귀, 천궁을 혼합한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한 후 80 내지 120℃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추출물들은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가령, 복합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야관문 추출물 0.5 내지 5중량부, 홍삼 추출물 5 내지 15중량부, 흑마늘 추출물 1 내지 10중량부, 대추 추출물 80 내지 120중량부, 감태 추출물 0.1 내지 2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조성물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강시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남성 갱년기 증후군으로 근육량 및 근력의 저하, 체질량 지수 감소, 체모 감소와 피부 변화, 지적 활동 및 공간 지각 능력의 저하, 피곤, 성적 욕구의 감소, 발기 감소, 골밀도 저하, 내장 지방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은 공지의 식품첨가물이 첨가될 수 있다.
공지의 식품첨가물의 예로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당알콜 등의 당류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향미제와, 영양제, 비타민, 식용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증진제(예,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알긴산,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정제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식품 조성물'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건강식품 조성물'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식품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식품 조성물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형이 가능하므로 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건강식품조성물은 음료, 과립, 정제, 파우더, 환, 캡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 과립, 정제, 파우더, 환, 캡슐 제형을 갖는 건강식품 조성물은 휴대가 간편하고 언제 어디서나 수시로 섭취하기가 용이하다.
야관문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과, 감태 추출물과, 흑마늘추출물과, 대추 추출물과, 복합추출물을 합한 양은 전체 건강식품 조성물 중 10 내지 8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음료의 일 예로 야관문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과, 감태 추출물과, 흑마늘추출물과, 대추 추출물과, 복합추출물,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제수는 20 내지 9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야관문, 홍삼, 흑마늘, 대추, 백출, 복령, 당귀, 천궁은 경일약업사에서 각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야관문 추출물, 홍삼 추출물, 흑마늘 추출물, 대추 추출물은 초고속 진공저온 추출농축기(COSMOS660, 경서기계산업, 한국)를 사용하여 각각 추출한 후 농축하였다. 즉, 각 재료 3kg에 증류수 30L를 넣고 100℃에서 5시간 추출한 후 감압농축하여 30~40brix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그리고 백출, 복령, 당귀, 천궁은 혼합한 후 초고속 진공저온 추출농축기(COSMOS660, 경서기계산업, 한국)를 사용하여 추출한 후 농축하였다. 즉, 백출, 복령, 당귀, 천궁을 동일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3kg에 증류수 30L를 넣고 100℃에서 5시간 추출한 후 감압농축하여 30~40brix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그리고 감태 추출물은 아쿠아그린텍(주)에서 판매하는 액상 추출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각 추출물들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음료 형태의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건강식품 조성물은 재료들의 혼합비율에 따라 4가지로 제조하였다. 아래의 표 1에 각 재료들의 혼합비를 정리하였다.
구분 야관문추출물(wt%) 홍삼추출물(wt%) 복합추출물(wt%) 흑마늘추출물(wt%) 대추추출물(wt%) 감태추출물(wt%) 정제수(wt%)
실시예 1 0.1 1 10 0.5 10 0.05 78.35
실시예 2 0.2 2 10 0.5 10 0.05 77.25
실시예 3 0.3 2.5 10 0.5 10 0.05 76.65
실시예 4 0.5 5 10 1.0 10 0.05 73.45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대해 관능성을 평가하였다. 훈련된 20명의 패널(남자 8명, 여자 12명)을 선정하여 쓴맛, 단맛, 신맛, 선호도 10점 척도법에 의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쓴맛 단맛 신맛 선호도
실시예 1 5.1 6.3 4.2 5.9
실시예 2 7.7 3.4 5.3 7.2
실시예 3 8.3 2.8 4.3 8.8
실시예 4 9.5 1.5 6.8 3.4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3이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4는 쓴맛이 너무 강하다는 평가가 있어 선호도가 떨어졌다. 실시예 1은 야관문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함량이 낮아 쓴맛이 적었으며, 홍삼 추출물의 특성상 적당한 쓴맛이 있어야 하므로 상업화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3이 선호도 측면에서 최적의 배합비율인 것으로 보인다.
<홍삼의 유효성분 함량 분석>
관능평가에서 가장 선호도가 우수한 실시예 3을 대상으로 홍삼의 주성분인 진세노사이드(Rg1, Rb1, Rg3)의 함량을 HPLC를 통해 분석하였다.
표준물질인 진세노사이드 Rb1, Rg1 및 Rg3을 각각 10mg씩 10mL 플라스크에 넣은 다음 메탄올을 이용하여 완전히 녹인 다음 메탄올을 표선까지 채워 표준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의 건강식품 조성물 2g을 50mL 플라스크에 취한 후 증류수를 표선까지 채운 후 멤브레인 필터(0.45um)로 여과하여 HPLC 분석용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HPLC분석 조건과 이동상 조건은 아래의 표 3 및 4와 같다.
HPLC Shimadzu LC-20AD
컬럼 Shiseido Capell-pak UG (250x4.6mm)
검출기 Diode array detector(203nm)
이동상 A:증류수, B : 아세토니트릴
유속 1.0mL/분
주입량 10uL
시간(분) A용액(%) B용액(%)
0 80 20
5 80 20
20 77 23
25 70 30
30 60 40
35 50 50
60 15 80
62 15 85
65 80 20
70 80 20
진세노이드 함량은 3회 반복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진세노이드함량(mg/g) = C ×{(a×b)/S}×(1/1,000)
C : 시험용액 중 개별 진세노사이드 농도(ug/mL)
a : 시험용액의 전량(mL)
s : 시료 채취량(g)
b : 희석배수
1/1,000 : 단위환산 계수
시험결과 실시예 3의 20mL당 진세노이드 함량은 3회 측정 평균값이 5.493mg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기능성식품 기준인 3.0m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3회 측정한 진세노이드 함량(mg/mL) 분석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Rg1(14min) Rb1(37min) Rg3(56min) 합계 1mL 당 20mL 당
실시예 3(1회) 0.1605 0.0429 0.0751 0.2785 5.5714
실시예 3(2회) 0.1585 0.0587 0.0691 0.2859 5.7194
실시예 3(3회) 0.1479 0.0460 0.0654 0.2594 5.1880
<세포 독성 평가 시험(MTT assay)>
한국세포주은행에서 TM3(BALB/cnu /+ mouse)를 분양 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배지는 DEME에 10% FBS와 1% penicillin/streptomycin을 첨가한 것을 이용하였고,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TM3 세포를 96-well plate에 2x104 cell/well이 되도록 넣고 인큐베이터에서 37℃, 5% CO2 조건으로 12시간 배양하였다. 12시간 후 배지를 모두 버린 후 실시예 3를 원액, 10배, 50배 희석하여 처리하고,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모두 버리고 MTT(Thiazoly blue tetrazolium bromide, 1 mg/ml) 시약이 포함된 배지에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모두 버리고 DMSO를 200ul씩 넣은 후 세포 내 formazan crystal을 용해시키고 흡광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구는 실시예 3 대신에 증류수로 처리한 증류수 처리구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3의 원액, 10배, 50배 희석하여 처리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호르몬 합성 관련 효능 평가 실험 진행(In vitro test)>
실시예 3의 처리에 따른 TM3 cell에 대한 testosterone 변화 정도를 실험하였다. Standard는 kit로 제공된 50,000pg/㎖ testosterone을 phosphate buffer saline(PBS)을 이용하여 0, 1.95, 7.81, 31.25, 125, 500, 2000pg/㎖의 standard를 만들었다. Assay buffer는 고순도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1:10까지 희석하고, wash buffer는 고순도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1:20까지 희석하였다. 측정방법은 6-well plate에 1×106 cells/well의 세포를 넣고 37℃, 5% CO2의 조건으로 12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well plate의 바닥에 붙인 다음, 배지를 모두 버린 후 원액, 10배 및 50배로 희석한 실시예 3 혼합물을 동일한 용량으로 넣고 37℃ 5% CO2의 조건으로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회수하여 testosterone을 측정하였다. 즉 회수된 배지 100㎕를 goat anti-mouse IgG microtiter plate(assay designs, USA)에 옮긴 후 testosterone EIA antibody를 첨가 후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wash buffer로 세척하고, 세척 후 stop solution을 첨가한 후 반응을 중지하고 405nm에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구는 실시예 3 대신에 증류수로 처리한 증류수 처리구를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조구에 비해 실시예 3을 원액 처리시 testosterone이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10배와 50배로 희석한 경우에도 testosterone 호르몬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증강시키므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을 개선시키는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야관문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과, 감태 추출물과, 흑마늘추출물과, 대추 추출물과, 복합추출물을 함유하고,
    상기 복합추출물은 백출, 복령, 당귀, 천궁을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들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80 내지 120℃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식품조성물은 음료, 과립, 정제, 파우더, 환, 캡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식품조성물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강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KR1020160046206A 2016-04-15 2016-04-15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KR101870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06A KR101870940B1 (ko) 2016-04-15 2016-04-15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206A KR101870940B1 (ko) 2016-04-15 2016-04-15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427A true KR20170118427A (ko) 2017-10-25
KR101870940B1 KR101870940B1 (ko) 2018-06-27

Family

ID=60300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206A KR101870940B1 (ko) 2016-04-15 2016-04-15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9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470A (ko) * 2018-11-23 2020-06-03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흑홍삼을 함유하는 액상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액상음료
KR20220117948A (ko) * 2021-02-17 2022-08-2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410B1 (ko) 2018-10-31 2020-02-21 주식회사 코사바이오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61565A (ko) 2018-11-26 2020-06-03 박경배 야관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겔형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KR20230172710A (ko) 2022-06-16 2023-12-26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차즈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남성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166A (ko) * 2002-12-02 2004-06-07 벤트리 주식회사 성기능 개선 조성물
KR20060035437A (ko) 2004-10-22 2006-04-26 주식회사 휴맥스 동영상 통합 코덱 장치 및 방법
KR20070009766A (ko) 2005-07-14 2007-01-19 주식회사알피엠텍 체크밸브 시스템
KR20100036820A (ko) * 2008-09-30 2010-04-08 주식회사 엔에이치한삼인 생약재를 주재로 한 환제 정력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3572A (ko) * 2013-02-18 2014-08-27 (주)엠피위즈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
KR101579845B1 (ko) * 2014-06-30 2015-12-23 이경수 남성호르몬 증가, 지구력 및 근력 증가, 체지방 및 혈중지질 감소, 정자수 및 정자운동성 증가를 통해 남성갱년기 증상인 무기력증과 활력저하, 근력저하, 체지방량 증가, 피로감 및 스트레스 증가를 개선하고 예방 및 치료하는 호로파 또는 호로파를 함유하는 복합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166A (ko) * 2002-12-02 2004-06-07 벤트리 주식회사 성기능 개선 조성물
KR20060035437A (ko) 2004-10-22 2006-04-26 주식회사 휴맥스 동영상 통합 코덱 장치 및 방법
KR20070009766A (ko) 2005-07-14 2007-01-19 주식회사알피엠텍 체크밸브 시스템
KR20100036820A (ko) * 2008-09-30 2010-04-08 주식회사 엔에이치한삼인 생약재를 주재로 한 환제 정력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3572A (ko) * 2013-02-18 2014-08-27 (주)엠피위즈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
KR101579845B1 (ko) * 2014-06-30 2015-12-23 이경수 남성호르몬 증가, 지구력 및 근력 증가, 체지방 및 혈중지질 감소, 정자수 및 정자운동성 증가를 통해 남성갱년기 증상인 무기력증과 활력저하, 근력저하, 체지방량 증가, 피로감 및 스트레스 증가를 개선하고 예방 및 치료하는 호로파 또는 호로파를 함유하는 복합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470A (ko) * 2018-11-23 2020-06-03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흑홍삼을 함유하는 액상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액상음료
KR20220117948A (ko) * 2021-02-17 2022-08-2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940B1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940B1 (ko)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593618B1 (ko) 사포닌의 생체 이용률 증진 조성물
KR101164083B1 (ko)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WO2008147141A1 (en) A method for preparing novel black-red ginseng and the extract therefrom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isolated therefrom
CN104287036B (zh) 一种中草药绿茶保健醋饮料及生产工艺
KR102448542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20110004603A (ko) 폐경기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회화나무 추출물
WO2007133054A1 (en) A novel process for preparing black ginseng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1915031B1 (ko) 석류 과실과 칡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여성 갱년기 개선용 기능성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20180010961A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4997091A (zh) 蛹虫草速溶固体饮料
KR10212383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35025B1 (ko) 식초를 이용한 인삼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00064501A (ko) 항산화능이 증가된 갱년기 증상 개선용 석류 발효물
KR102080410B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71169B1 (ko) 신규 김치유산균 Weissella cibaria MFST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대추씨 조성물
KR20150014014A (ko) 발효오디 또는 발효오디와 경옥고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7924A (ko)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210748B1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30130131A (ko) 흑마늘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34986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070047396A (ko)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KR101456127B1 (ko)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