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572A -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3572A
KR20140103572A KR1020130017106A KR20130017106A KR20140103572A KR 20140103572 A KR20140103572 A KR 20140103572A KR 1020130017106 A KR1020130017106 A KR 1020130017106A KR 20130017106 A KR20130017106 A KR 20130017106A KR 20140103572 A KR20140103572 A KR 20140103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ginine
functional liquid
liquid composition
polydextrose
citric ac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주)엠피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피위즈 filed Critical (주)엠피위즈
Priority to KR1020130017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3572A/ko
Publication of KR2014010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57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4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carboxyl groups, e.g. succinic, maleic or phtha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기능성원료인 자일리톨, 엽산, 비타민 B6,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등에서 선택된 원료와 보조성분으로서 트리블러스, 사과산, 감초추출물, 생강추출분말, 흑마늘추출분말, 오자분말, 효소처리아르기닌, 아미노산믹스9종, 허브향분말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료를 첨가하며, 상기 선택된 각각의 원료를 교반탱크에 넣어 가열(100도 이상) 교반하여 멸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은 아르기닌에 의해 형성된 산화질소(Nitric oxide)는 강력한 혈관팽창 물질로서 작용하며, 상기 아르기닌은 항동맥 경화성 작용, 항산화 작용, 면역조절기능, 남성 발기부전 치료 및 정자 생성 촉진 등 다양한 효능 및 역할을 하고 있으며, 피로회복과 지방분해 및 항산화작용이 뛰어난 구연산, 대표적인 수용성 식물 섬유이자 식후 혈당 상승을 완만하게 하고, 포만감의 지속효과가 있는 폴리덱스트로스 및 성기능 향상, 정자형성 증가 및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주는 마카추출분말을 주성분으로 하여 아르기닌의 특성을 보강한 기능성 액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A functional liquid composition comprising arginine, maca powder extract, citric acid and polydextrose as main ingredients}
본 발명은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기능성원료인 자일리톨, 엽산, 비타민 B6,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등에서 선택된 원료와 보조성분으로서 트리블러스, 사과산, 감초추출물, 생강추출분말, 흑마늘추출분말, 오자분말, 효소처리아르기닌, 아미노산믹스9종, 허브향분말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료를 첨가하며, 상기 선택된 각각의 원료를 교반탱크에 넣어 가열(100도 이상) 교반하여 멸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은 아르기닌에 의해 형성된 산화질소(Nitric oxide)는 강력한 혈관팽창 물질로서 작용하며, 상기 아르기닌은 항동맥 경화성 작용, 항산화 작용, 면역조절기능, 남성 발기부전 치료 및 정자 생성 촉진 등 다양한 효능 및 역할을 하고 있으며, 피로회복과 지방분해 및 항산화작용이 뛰어난 구연산, 대표적인 수용성 식물 섬유이자 식후 혈당 상승을 완만하게 하고, 포만감의 지속효과가 있는 폴리덱스트로스 및 성기능 향상, 정자형성 증가 및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주는 마카추출분말을 주성분으로 하여 아르기닌의 특성을 보강한 기능성 액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L-아르기닌은 염기성 a-아미노산의 하나로 분자량 174.20. Arg 또는 R로 약칭하며, 1886년 E.슈타이거에 의해 박화된 콩의 싹에서 처음 단리되었다. L-아르기닌은 단백질의 구성성분으로 널리 존재하는데, 특히 어류의 정자 속에 들어있는 단백질 프로비타민에 속한다. 대표적인 프로비타민인 클루페인(Clupeine;청어), 살민(Salmine;연어) 등은 약 70%가 아르기닌이다. 식물종자 속에는 유리된 상태로 존재하는데, 아르기닌은 그 구아니디노기로 인해 강함 염기성을 나타낸다.
아르기닌이 생성하는 산화질소(NO)는 endothelium-derived relaxation factor(내피세포에서 유래된 이완인자)라고도 하며, 강력한 혈관팽창 물질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동맥을 이완시켜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어 협심증(Angina)과 같은 관상동맥 심장 질환, 간헐성 파행(Intermittent-claudication-불충분한 다리 순환) 및 고혈압 등과 같은 순환-관련 질환들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아르기닌은 항동맥 경화성 작용, 항산화 작용, 면역조절기능, 상처치유, 신장질환예방 및 방광염치료 효과, 남성 발기부전 치료, 정자 생성촉진, 아연과 카르니틴 및 Coenzyme Q10과 병용하여 불임 치료, 성장호르몬 방출 촉진작용과 근육 보존, 체지방 감소작용 등 다양한 효능 및 역할을 하고 있다.
L-아르기닌은 백색 결정 또는 결정성 분말이며, 약간 특이한 냄새와 쓴맛이 있다. 물에 잘 녹고(20℃에서 14.8%), 에탄올에 불용이며,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특히 어류 등의 정자 단백질 내에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는 천연형 L-아미노산이다. 또 가장 염기성이 강한 아미노산으로, 그 수용액은 알칼리성을 띤다. 비필수아미노산이지만 요소합성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요소회로에 관여하고 있다.
L-아르기닌의 제조방법으로는 젤라틴 등의 단백질을 가수분해, 정제해서 만든 것도 있지만, 주로 발효법으로서 Corynebacterium 속이나 Brevibacterium 속의 L-아르기닌 생산주를 사용하여 공업 생산하고 있다.
마카는 식품으로, 건강학적 이로움을 지니고 있으며, 혹독한 화경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섭취는 식품이다. 미국에서 실시된 독성 실험에서 독성이 전혀 없고 약물학적 부작용이 전혀 없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동물실험에서 마카를 더 많이 섭취할수록 더욱 강해지고 성적으로 활발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카는 아미노산 조성이 우수한 양질의 단백질, 미네랄류 등의 영양성분과 Glucosinolate와 일카로이드, 스테로이드 등의 기능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마카의 기능은 남녀 모두 성기능과 관련되어 있어서 식물성 비아그라라고도 불린다.
마카의 효능으로는 성기능 향상, 에너지원, 활력원 효과, 정자형성 증가, 폐경기 증후군 감소, 스트레스와 피로 경감, 월경주기를 정상화시키고 호르몬 밸런스를 유지시켜 주며 성장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고, 면역시스템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건조된 마카는 약 60% 탄수화물(전분 및 당분) 9% 섬유질, 약 10% 이상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기타 뿌리 식품들보다는 지질의 함량이 조금 많고, (약 2.2%) 이들 중 리놀렌산, 팔미틴산, 올레인산 등이 함유된 주요 지방산이다.
또한 마카는 Sitosterol. Campestrol, Ergosterol, Brassiacsterol 및 Ergostadienol 등의 스테롤을 포함하고 있다. 미네랄 함량을 보면 마카 제품은 감자와 당근보다도 가치가 높다. 마카는 좋은 철분, 마그네슘, 칼륨 및 요오드가 고루 분포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마카는 성기능 강화 식품으로 각광받는데 이는 동맥의 찌꺼기를 제거하여 원활한 혈행을 개선시켜 주기 때문이다.
구연산은 시트르산(Citric acid)이라고도 하며, 무색투명한 결정, 입상, 덩어리 또는 결정성분말, 분말로서 냄새가 없으며 강한 신맛을 가진다. 구연산은 귤속 과일에서 주로 발견되는 약한 유기산으로 이는 자연적인 보존제이며 음식이나 음료수에 산성 또는 신 맛을 첨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트르산은 특정 과일과 야채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레몬과 라임은 이 산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말린 무게의 8%에 해당하며, 과즙에는 47g/L이 들어있다. 카르복시산류의 일종으로 많은 동식물의 조직과 체액 속에 존재한다.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이 생리적 산화작용을 통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변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화합물들 중의 하나이다.
구연산은 1784년 스웨덴의 화학자 카를 빌헬름 셸레에 의해 레몬 즙에서 최초로 분리되어으며, 공업적으로는 사탕수수나 당밀에 아스퍼길루스 니게르균으로 발효시켜 제조한다. 구연산은 당과나 청량음료의 향료, 금속연마제의 성분으로 쓰이며, 용해된 금속염의 유해작용을 억제하여 식품이나 기타 유기물질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사용된다.
구연산의 효능으로, 구연산은 몸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구연산의 섭취를 통해 산성체질로 인한 만성피로를 개선할 수 있으며 꾸준한 구연산의 복용을 통해 체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항산화작용이 뛰어나 노화 방지 및 세포들의 노화 또한 방지하여 준다. 구연산의 노화방지 기능은 뼈를 단단하게 도와주며 칼슘이 결석화하는 것을 막아주느 기능을 갖고 있다. 이외에도 지방분해기능, 위액의 분비를 도와 소화에도 효과적이며 장내의 활동을 원활하게 해주고 고혈압 치료 및 식욕증진 등에 도움을 준다.
식이섬유는 기능적으로 보면 변비, 치질, 대장암, 충수염 등을 예방하고 비피더스 균을 증식시키며,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등의 순환기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하여 당뇨병에도 좋으며 비만방지 효과도 있다.
많은 연구 결과들은 과일, 채소와 같은 식물성 식품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식이섬유들이 "배변활동", "콜레스테롤 조절", "식후혈당상승억제", "체중 감량에 도움"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식사에서 부족한 식이섬유를 보충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될 수 있는 식이섬유의 모든 성분이 일일 영양소기준치의 20%만 넘으면 "식이섬유 보충"의 기능성 내용으로 인정하고 있다.
폴리덱스트로스는 "배변활동 원활"의 기능성이 인정되었다. 폴리덱스트로스는 구연산 등의 유기산을 사용하여 포도당과 솔비톨로부터 합성된다.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서의 폴리덱스트로스는 이렇게 합성된 것 중 평균 중합도가 12 정도가 되도록 제조된 것을 말하며, 식이섬유를 65% 이상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폴리덱스트로스는 전분을 원료로 한 포도당, 솔비톨 및 구연산을 소재로 미국의 다니스코(구 화이자)가 개발한 최초의 수용성 식이섬유이다.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식이음료로서, 다양한 식음료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삼양제넥스, 신동방CP, 다니스코코리아, 한스 등에서 시판되고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한 기능성 액상 조성물은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으며, 이는 아르기닌이 현재까지 영양강화제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상기 원료들을 혼합하여 성기능 향상 및 식이섬유 보충, 에너지원의 용도로 한 기능성 액상 조성물의 경우에는 시판된 예가 없다.
본 발명은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로, 여기에 기능성원료인 자일리톨, 엽산, 비타민 B6,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등에서 선택된 원료와 보조성분으로서 트리블러스, 사과산, 감초추출물, 생강추출분말, 흑마늘추출분말, 오자분말, 효소처리아르기닌, 아미노산믹스9종, 허브향분말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료를 첨가하며, 상기 선택된 각각의 원료를 교반탱크에 넣어 가열(100도 이상) 교반하여 멸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성분으로서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와 식품첨가물 원료 및 보조성분으로서의 원료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아르기닌 특유의 냄새와 맛을 제거시켜 주고, 항산화 작용, 식이섬유 보충 및 성기능 향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액상 조성물은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액상 조성물은 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정제수 80 내지 85 중량%, 아르기닌 0.05 내지 0.2 중량%, 구연산 0.0025 내지 0.03 중량%, 마카추출분말 0.08 내지 0.2 중량%, 폴리덱스트로스 0.025 내지 0.1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액상 조성물은 기능성원료인 자일리톨, 엽산, 비타민 B6,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등에서 선택된 원료와 보조성분으로서 트리블러스, 사과산, 감초추출물, 생강추출분말, 흑마늘추출분말, 효소처리아르기닌, 아미노산믹스9종, 허브향분말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료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점도조절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 때에 사용될 수 있는 점도조절제는 겔란검, 구아검, 알기닌산 나트륨염, CMC 소디움에서 선택된 점도조절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천연방부제 또는 비타민C의 함량을 조정하여 일반보존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그 사용량은 기능성 액상 조성물 100ml당 1mg 내지 100mg을 사용할 수 있다.
아르기닌, 구연산, 마카추출분말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은 식이섬유 보충, 에너지원 및 성기능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아르기닌은 산화질소 합성의 전구체로 사용되며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사육한 토끼에서 산화질소의 합성 증가를 통해 혈관내피 세포기능을 개선시켜 동맥경화증을 지연시키며(Bode-Boger et al. 1998), 산화질소가 아르기닌으로부터 생성되어 혈장이나 혈고나조직의 아르기닌 농도가 감소하면서 심혈관계 질환이나 혈관기능장애의 발생을 유발하였다고 보고하였다. Lubec et al. (1997)은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12주간 아르기닌을 섭취한 결과 혈중지질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4주간의 아르기닌 섭취한 당뇨 쥐의 총콜레스테롤은 아르기닌 섭취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장문정 등, 2002).
Bode-Boger et al. (1998)은 아르기닌은 산화질소 생산을 증가시켜 심폐운동능력을 향상 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산화질소는 아르기닌으로부터 산화질소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 NOS)에 의하여 생성되는 물질로 혈관의 연한 근육에서 세포 내 cGMP의 상승을 통해 강력한 혈관이완제(Vasorelaxant)로 작용한다. 따라서 아르기닌 섭취는 산화질소의 생성을 증가시켜 지구성 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유추할 수 있다. Cheng et al. (2001)은 아르기닌의 장시간 섭취는 심혈관질환자의 최대산소섭취량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으며, 아르기닌의 장기간 투여는 쥐의 운동지속시간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최성근 등, 2009).
이에 따라 아르기닌, 구연산, 마카추출분말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기능성원료, 보조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이 식이섬유 보충, 에너지원 및 성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다는 용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정제수에 아르기닌, 구연산, 마카추출분말 및 폴리덱스트로스와 같이 식이섬유 보충, 에너지원 및 성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들과 함께 투여함으로써, 상기 물질들이 가진 식이섬유 보충, 에너지원 및 성기능 향상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효 성분들의 추출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을 선정 및 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액상 조성물은 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정제수 80 내지 85 중량%, 아르기닌 0.05 내지 0.2 중량%, 구연산 0.0025 내지 0.03 중량%, 마카추출분말 0.08 내지 0.2 중량%, 폴리덱스트로스 0.025 내지 0.1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량 범위 내일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이섬유 보충, 에너지원 및 발기부전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은 식이섬유 보충, 에너지원 및 성기능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는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상기 주성분과 함께 기능성원료인 자일리톨, 엽산, 비타민 B6,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등에서 선택된 원료와 보조성분으로서 트리블러스, 사과산, 감초추출물, 생강추출분말, 흑마늘추출분말, 효소처리아르기닌, 아미노산믹스9종, 허브향분말 등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다음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원료명 함량
제로스위트*30
사과산
감초스테비렌리코에스
트리블러스
생강추출분말
오자분말
마카추출분말
흑마늘추출분말
아르기닌
효소처리아르기닌
구연산
자일리톨
엽산
비타민 B6
아미노산믹스9종
폴리덱스트로스
허브향분말
정제수
0.45g
0.15g
0.05g
0.06g
0.2g
0.5g
0.4g
0.3g
2.8g
0.16g
1.25g
0.214975g
0.002g
0.002g
0.01g
1.28g
0.025g
적량을 가하여 100ml로 함
제조방법
① 상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성분 및 함량으로 정제수에 상기 각각의 원료를 교반탱크에 넣어 가열(100도 이상) 교반하여 용해한다.
② 상기 제조한 용액에 미리 용해시켜 둔 점증제, 색소, 향료, 보존제를 첨가하여 기능성 액상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2>
원료명 함량
제로스위트*30
사과산
감초스테비렌리코에스
트리블러스
생강추출분말
오자분말
마카추출분말
흑마늘추출분말
아르기닌
효소처리아르기닌
구연산
엽산
비타민 B6
아미노산믹스9종
폴리덱스트로스
허브향분말
정제수
0.45g
0.15g
0.05g
0.06g
0.2g
0.5g
0.4g
0.3g
2.8g
0.16g
1.25g
0.002g
0.002g
0.01g
3.5g
0.025g
적량을 가하여 100ml로 함
제조방법
① 상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성분 및 함량으로 정제수에 상기 각각의 원료를 교반탱크에 넣어 가열(100도 이상) 교반하여 용해한다.
② 상기 제조한 용액에 미리 용해시켜 둔 점증제, 색소, 향료, 보존제를 첨가하여 기능성 액상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3>
원료명 함량
제로스위트*30
사과산
감초스테비렌리코에스
트리블러스
생강추출분말
오자분말
마카추출분말
흑마늘추출분말
아르기닌
효소처리아르기닌
자일리톨
구연산
엽산
비타민 B6
아미노산믹스9종
폴리덱스트로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껍질 추출물
허브향분말
정제수
0.45g
0.15g
0.05g
0.06g
0.2g
0.5g
0.4g
0.3g
2.8g
0.16g
0.1g
1.25g
0.002g
0.002g
0.01g
1.28g
0.4g
0.025g
적량을 가하여 100ml로 함
① 상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성분 및 함량으로 정제수에 상기 각각의 원료를 교반탱크에 넣어 가열(100도 이상) 교반하여 용해한다.
② 상기 제조한 용액에 미리 용해시켜 둔 점증제, 색소, 향료, 보존제를 첨가하여 기능성 액상 조성물을 제조한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인도 남서부의 열대식물인 '가르니시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열매의 껍질을 물 또는 주정(물, 주정 혼합물 포함)으로 추출하여 칼슘, 칼륨, 나트륨의 염을 단독 또는 복합으로 결합하여 식용에 적합하도록 제조하였으며, 기능성분인 총 (-)-Hydroxycitric acid[(-)-HCA]가 600mg/g 이상 함유되어 있다.
(-)-HCA는 free form과 lactone form이 있으며, free form은 제조과정 중 농축과 증발 과정에서 lactone form으로 고리화(lactonization)가 쉽게 일어난다. 따라서 (-)-HCA를 안정화하기 위해 칼슘, 나트륨, 칼륨 등의 염의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보편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껍질 추출물의 주요 효능으로는 가르니시아의 HCA성분이 구연산이 분해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malonle CoA 농도가 감소하며, 가르시니아 효과로 이 농도가 떨어지게 되면 우리 몸 안에서 지방분해 작용이 활발해져 지방이 분해되게 된다. 또한 가르니시아 추출물은 글리코겐의 형성을 도와 에너지가 생성되며, 가르시니아의 HCA 성분은 체내의 글리코겐 양이 높아지면 과량의 당이 뇌의 시상하부에 영향을 끼쳐 식욕이 억제된다.
실험예 1 : 성기능 개선효과 시험
상기와 같이 조제된 기능성 액상 조성물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40인 이상의 사람에게 성기능장애의 발병과 치료 가능 적응증을 분석하여 연령, 병력, 신체상황, 성관계여부, 결혼여부, 성기능 호전 목적 등 섭취 가능한 피험자의 선정 요건을 확립하여 선정된 피험자들에게 1일 2회 섭취시킨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1의 경우에 성기능의 정도를 나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AMS와 IIEF-5 선별검사 : 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function)를 통한 호전평가를 실시하였다. AMS scale을 정신적(Psychological), 신체적(Somatovegetative), 성적(Sexual) 3개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IIEF 설문지는 총점과 발기능력(Erectile function : EF), 성교만족도(Intercourse satisfaction : IS), 절정감(Orgasmic function : OF), 성욕(Sexual desire : SD), 성생활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Overall satisfaction : OS)의 5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혈중 총 테스토스테론치와 AMS 총점 및 3개 영역의 세부점수, IIEF 총점 및 5개 영역의 세부점수를 각각 분석하였다. 성기능의 정도와 섭취 전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섭취전 대비 성기능이 약 20% 정도 향상되었고, 6주 동안 복용하였을 경우 성기능은 약 40% 정도 향상되었다.
실험예 2 : 관능검사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1~3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에 대하여 관능검사요원 40명을 대상으로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2회 반복 실시한 결과는 표3과 같다.
검사항목 실시예
1 2 3
색상 4.2 4.0 3.9
4.3 4.1 4.0
3.9 3.8 3.8
촉감(Mouth feel) 4.1 4.0 4.0
전체적인 기호도 4.2 4.0 3.8
* 관능검사인원 : 40명
* 검사방법 : 5점 척도법
1 : 아주싫다 2 : 싫다 3 : 보통이다 4 : 좋다 5 : 아주좋다
실험예 3 : 중성지방(Triglycerides, TG) 검사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1~3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에 대하여 복용 전후의 중성지방 차이에 대해 검사요원 45명을 선정하였다. 기능성 액상 조성물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집단 구분은 실시예 1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집단 15명(A),실시예 2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집단 15명(B), 실시예 3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집단 15명(C)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은 임상적으로 질환이 없는 여성으로 하였다.
Characteristic of subjects (M±SD)
그룹 나이(yrs) 신장(cm) 체중(kg) 체지방율(%)
A 20.37±1.72 161.04±6.88 52.81±5.24 24.42±3.78
B 21.28±1.49 158.37±7.40 62.08±7.02 28.20±4.81
C 20.78±2.02 164.12±7.21 55.68±4.52 26.23±3.24
중성지방을 측정하기 위하여 tube에 혈장 2ml를 넣고 Ethanol KOH 0.5ml를 첨가한 후 마개를 막고 섞은 다음 60℃에서 30분간 incubate하였다. 그리고 tube에 1.0ml의 ,Mgso4 용액을 가하고 잘 섞은 다음 원심 분석하였다. 그런 다음 각각의 상청액 0.5ml를 Buffer 2.5ml, NADH-ATP-PEP용액 0.1ml, LDH-PK 부유액 20l를 가하고 서서히 혼합한 후 10분간 실온에 방치하였다. 증류수를 black로 하여 파장 340nm에서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PASW 18.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각 항목별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각 그룹별 시점경과에 따른 유의차와 섭취 조건과 시간경과에 따른 유의차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석분석(Repeated Measure of ANOVA)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증(post-hoc) 방법으로는 Bonferroni 기법을 적용하였고,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The Change TG according to administration condition(M±SD)
Group Pre 6weeks 12weeks F Post - Hoc
M±SD M±SD M±SD
A 126.29±2.69a 123.29±2.13b 120.43±3.30c 31.924*** a>b,c
B 125.43±2.22a 122.29±2.56b 118.43±2.44c 36.140*** a>b,c
b>c
C 124.57±2.44a 118.71±4.38b 113.1±2.61c 38.053*** a>b,c
b>c
***p<.001, a=pre, b=6weeks, c=12weeks
실시예1 섭취그룹은 실험 전 126.29±2.69mg/dl에서 6주간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후 123.29±2.13mg/dl, 12주간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후 120.43±3.30mg/dl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실시예2 섭취그룹은 실험 전 125.43±2.22mg/dl에서 6주간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후 122.29±2.56mg/dl, 12주간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후 118.43±2.44mg/dl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또한 실시예3 섭취그룹은 실험 전 124.57±2.44mg/dl에서 6주간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후 118.71±4.38mg/dl, 12주간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후 113.1±2.61mg/dl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12주간 실시예1~3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는 중성지방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중성지방은 실시예1~3 그룹에서 섭취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룹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4 : 활성산소(Malondialdehyde, MDA) 차이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1~3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에 대하여 복용 전후의 중성지방 차이에 대해 검사요원 45명을 선정하였다. 기능성 액상 조성물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집단 구분은 실시예 1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집단 15명(A),실시예 2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집단 15명(B), 실시예 3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집단 15명(C)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은 임상적으로 질환이 없는 여성으로 하였다.
Characteristic of subjects (M±SD)
그룹 나이(yrs) 신장(cm) 체중(kg) 체지방율(%)
A 20.37±1.72 161.04±6.88 52.81±5.24 24.42±3.78
B 21.28±1.49 158.37±7.40 62.08±7.02 28.20±4.81
C 20.78±2.02 164.12±7.21 55.68±4.52 26.23±3.24
소량(20чl)의 혈액과 Radical과 반응하는 색원체를 이용하여 5분 정도 혈중 과산화지질의 농도를 CR3000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The Change MDA according to administration condition(M±SD)
Group Pre 6weeks 12weeks F Post - Hoc
M±SD M±SD M±SD
A 337.43±11.08a 326.43±15.03b 310.29±22.96c 14.330*** a>b,c
B 343.43±14.58a 334.71±10.56b 324.00±12.54c 24.288*** a>b,c
b>c
C 349.57±17.18a 341.43±19.45b 326.86±20.44c 22.640*** a,b>c
***p<.001, a=pre, b=6weeks, c=12weeks
실시예1 섭취그룹은 실험 전 337.43±11.08mg/dl에서 6주간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후 326.43±15.03mg/dl, 12주간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후 310.29±22.96mg/dl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실시예2 섭취그룹은 실험 전 343.43±14.58mg/dl에서 6주간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후 334.71±10.56mg/dl, 12주간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후 324.00±12.54mg/dl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또한 실시예3 섭취그룹은 실험 전 349.57±17.18mg/dl에서 6주간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후 341.43±19.54mg/dl, 12주간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 후 326.86±20.44mg/dl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12주간 실시예1~3의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는 활성산소(MDA)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중성지방은 실시예1~3 그룹에서 섭취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룹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의한 기능성 액상 조성물 섭취는 성기능 개선, 중성지방 감소 및 에너지원 생성에 유익한 것으로 시사된다.

Claims (2)

  1.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에 있어서,
    정제수에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기능성원료인 자일리톨, 엽산, 비타민 B6,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등에서 선택된 원료와 보조성분으로서 트리블러스, 사과산, 감초추출물, 생강추출분말, 흑마늘추출분말, 효소처리아르기닌, 아미노산믹스9종, 허브향분말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기능성 액상 조성물은 그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정제수 80 내지 85 중량%, 아르기닌 0.05 내지 0.2 중량%, 구연산 0.0025 내지 0.03 중량%, 마카추출분말 0.08 내지 0.2 중량%, 폴리덱스트로스 0.025 내지 0.1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
KR1020130017106A 2013-02-18 2013-02-18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 Ceased KR20140103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106A KR20140103572A (ko) 2013-02-18 2013-02-18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106A KR20140103572A (ko) 2013-02-18 2013-02-18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572A true KR20140103572A (ko) 2014-08-27

Family

ID=5174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106A Ceased KR20140103572A (ko) 2013-02-18 2013-02-18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357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6872A (zh) * 2014-10-10 2015-01-21 宁波玛咖人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天然肠溶玛咖制剂及其生产方法
CN105213456A (zh) * 2015-11-10 2016-01-06 南京路诗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疲劳药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5795467A (zh) * 2016-03-11 2016-07-27 江苏慧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玛咖膳食纤维及其制备方法
CN106880048A (zh) * 2017-05-02 2017-06-23 青岛康迈臣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抗疲劳的保健食品
CN107156834A (zh) * 2016-03-08 2017-09-15 云南奥咖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玛咖提取物的生产工艺
KR20170118427A (ko) * 2016-04-15 2017-10-25 한국인스팜(주)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CN109567080A (zh) * 2018-11-15 2019-04-05 徐人杰 一种提高精子活力活率及数量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20200061565A (ko) 2018-11-26 2020-06-03 박경배 야관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겔형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WO2023038386A1 (ko) * 2021-09-13 2023-03-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일산화질소 생성용 조성물
KR20250045797A (ko) 2023-09-26 2025-04-02 주식회사 팜에이스 아르기닌 분말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영양 보조 식품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6872A (zh) * 2014-10-10 2015-01-21 宁波玛咖人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天然肠溶玛咖制剂及其生产方法
CN105213456A (zh) * 2015-11-10 2016-01-06 南京路诗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疲劳药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7156834A (zh) * 2016-03-08 2017-09-15 云南奥咖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玛咖提取物的生产工艺
CN105795467A (zh) * 2016-03-11 2016-07-27 江苏慧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玛咖膳食纤维及其制备方法
KR20170118427A (ko) * 2016-04-15 2017-10-25 한국인스팜(주) 야관문과 홍삼을 함유한 남성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CN106880048A (zh) * 2017-05-02 2017-06-23 青岛康迈臣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抗疲劳的保健食品
CN109567080A (zh) * 2018-11-15 2019-04-05 徐人杰 一种提高精子活力活率及数量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20200061565A (ko) 2018-11-26 2020-06-03 박경배 야관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겔형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WO2023038386A1 (ko) * 2021-09-13 2023-03-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일산화질소 생성용 조성물
KR20250045797A (ko) 2023-09-26 2025-04-02 주식회사 팜에이스 아르기닌 분말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영양 보조 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3572A (ko) 아르기닌, 마카추출분말, 구연산 및 폴리덱스트로스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액상 조성물
CN1052865C (zh) 营养补给组合物
CN103918965A (zh) 一种缓解体力疲劳的饮料
CN105054163B (zh) 维生素可吸果冻饮料及其制备方法
CN111466502A (zh) 虾青素抗疲劳运动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456415B1 (ko) 바 형상의 다이어트용 기능성 식품 제조방법
CN110584101A (zh) 爆珠燕窝、制备方法及饮品
KR100775055B1 (ko) 녹용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함유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 및그 제조 방법
KR101231781B1 (ko) 오리 주물럭용 소스와 오리 주물럭
KR101782134B1 (ko) 카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RU2609813C1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34;Амино Джем&#34;
KR102322276B1 (ko) 비만 예방 및 부종 개선용 음료 조성물
KR20160096294A (ko) 간기능개선과 간암, 숙취해소 및 피로회복 효과가 증진된 귀뚜라미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CN104757689A (zh) 一种松黄维生素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686179B1 (ko) 산화질소를 생성하는 아르기닌 함유가 증진된 귀뚜라미
RU2358564C1 (ru) Порошкообразная смесь дл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напитка &#34;бионан-в&#34;
KR101700942B1 (ko) 스포츠 음료 조성물
KR101782132B1 (ko) 은행잎 추출물 및 차전자피 분말을 함유한 혈액순환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20200043555A (ko) 다이어트용 보조식품 조성물
CN101326934B (zh) 一种雪莲果营养复合奶及其制作方法
KR20080033717A (ko) 꿀과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3549083A (zh) 一种保健养生茶
CN102640893B (zh) 一种黑麦芽全草复合营养剂及其制备方法
KR101286593B1 (ko) 비만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2446735B1 (ko) 해조류추출물을 활용한 Gel-Type 형태의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1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8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