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385B1 -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385B1
KR100850385B1 KR1020070107654A KR20070107654A KR100850385B1 KR 100850385 B1 KR100850385 B1 KR 100850385B1 KR 1020070107654 A KR1020070107654 A KR 1020070107654A KR 20070107654 A KR20070107654 A KR 20070107654A KR 100850385 B1 KR100850385 B1 KR 100850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ewing machine
seal
plate
pres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1425A (ko
Inventor
신지 카마쿠라
지로 이시바시
츠구오 노무라
마사히코 사토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60885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5038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1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05B27/06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workpie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28Applications of servo devices for tool-positio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일련의 제어부로 축결량이 변화해도 늘 최적인 실장력에서의 봉제가 가능한 재봉틀의 실텐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윗천을 보내는 상이송 수단과, 밑천을 보내는 하이송 수단을 구비하고, 양 이송수단의 이송량의 차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피봉제물에 실시하는 줄임량을 조절하는 상하이송 재봉틀이다. 전기적인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실장력을 변경가능한 실텐션 장치와, 실장력을 상기 축결량에 따라 변경하기 위해 실텐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축결량에 따른 실장력의 설정치를 설정가능한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제어수단은 설정수단으로 설정된 설정치의 실장력이 되도록 축결량에 따라 실텐션 장치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THREAD-TENSION DEVICE OF A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축결(縮結)(축결이라함은 줄여 꿰매어 박음을 말함 - easing, 이하 축결이라 함)을 실시하면서 봉제를 행하는 재봉틀의 실텐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평 4-66598호 또는 특허공고공보 평 3-37958호 공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소매를 달 때 등에 상기 축결을 실시하면서 봉제하기 위한 상하이송 재봉틀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축결을 실시함」이라 함은 예를들면 양복의 소매 등의 입체형상 부분을 봉제할 때 2장 겹쳐 꿰매는 옷감 중 바깥측이 되는 옷감(윗천)의 이송량을 내측이 되는 옷감(밑천)보다도 많게 하는 것으로 외측의 옷감에 여유를 갖도록 맞추어 꿰매는 것이다.
축결은 일련의 봉제부 전체에서 균일하게 실시하는 데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소매를 달 경우에는 소매산(-> sleeve cap) 근처에서는 축결량을 많게 하고 역으로 소매밑(겨드랑이 밑)에서는 축결을 실시하지 않고 봉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이와같은 축결을 행하는 상하이송 재봉틀에서는 축결양의 많고 적음에 구애되지 않고 일련의 봉제를 일정한 실장력으로 행하도록 되어있다.
또 재봉틀의 실텐션장치의 한 종류로서 실을 협지가능한 환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실텐션 접시와, 접시누름부를 부착하는 구동로드를 구비하여 접시누름부를 실텐션 접시로 밀어붙이기 위한 구동기구를 구비한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가 알려져있다. 이와같은 재봉틀의 실텐션장치에 있어서는 접시누름부를 실텐션 접시로 밀어부친 경우 접시누름부와 실텐션 접시와의 접촉부위가 원환상을 이루는 선접촉 또는 원환상을 이루는 면접촉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축결을 실시하는 봉제는 밑실과 윗실을 2장의 옷감 사이에서 얽히게 하도록 하여 행하지만 축결량이 많은 경우 즉 결과적으로 2장의 옷감의 겹친 두께가 커질 경우에는 윗실로 밑실을 강하게 끌어올리지 않으면 상하의 실이 서로 얽히는 위치를 상하 옷감 사이의 적당한 위치로 할 수 없게 된다.
즉 축결을 실시하는 일련의 봉제를 일정한 실장력으로 행하면 축결량이 많은 부분을 봉제할 때에는 실의 긴장성이 좋지 않게 되어(실장력이 부족하여) 봉제후 옷감을 펼쳐보면 옷감과 옷감 사이에 틈이 생기는 현상(속칭「웃는다」)이 관찰되거나 한다.
역으로 소매산 부분에 있어서 상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실의 긴장을 강하게 하면(실장력을 높임) 축결을 실시하지 않은 소매밑 부분에서는 필요이상의 실장력으로 봉제가 행해지므로 의복을 착용할 때 소매를 지나 팔을 올리면 소매밑의 실이 끊어지거나 한다. 따라서 늘 최적인 실 장력을 부여하는 실텐션 장치에 의해 축결량에 따른 실장력을 부여하면서 행하는 봉제가 필요하게 된다.
또 상술한 종래의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에 있어서는 실의 장력이 불안정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에 있어서는 실텐션 접시와 대향하는 접시누름부에 의해 실텐션 접시의 안쪽 구멍의 모서리부를 구동로드의 축심을 법선으로 하는 평면에서 밀어부치도록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접시누름부가 기울어졌을 때 실텐 션 접시를 밀어부치는 접시누름부의 누르는 힘이 불균일하게 된다. 그 결과 실의 장력이 불안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일련의 봉제부로 줄임량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도 늘 최적인 실장력에서의 봉제가 가능한 상하이송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늘 안정된 실의 장력을 얻을 수 있는 재봉틀의 실텐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윗천을 보내는 상이송수단과, 밑천을 보내는 하이송수단을 구비하고, 양 이송수단의 이송량의 차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피봉제물에 실시하는 축결량을 조절하는 상하이송 재봉틀에 있어서,
전기적인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실장력을 변경할 수 있는 실텐션장치와,
상기 실장력을 상기 축결량에 따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실텐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텐션 장치가 축결량에 따라 제어되는 결과 실장력이 축결량에 따라 변경된다.
따라서 일련의 봉제부로 축결량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도 축결량의 정도에 따라 적당한 실장력으로 제어하여 늘 최적인 실장력에서의 봉제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련의 봉제 중 축결량이 많은 부분의 봉제시는 실장력을 높여 축결량이 적고, 또한 축결을 실시하지 않은 부분의 봉제시에는 실장력을 낮추는 제어를 함으로써 늘 최적인 실장력에서의 봉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축결량에 따른 실장력의 설정치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설정치의 실장력이 되도록 축결량에 따라 상기 실텐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원칙적으로서 축결량은 봉제구간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 이와는 별도로 본 발명에서는 설정수단을 구비하므로 축결량에 따라 실장력의 설정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은 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설정치 중 축결량에 따른 설정치의 실장력이 되도록 봉제구간마다 실텐션 장치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 설정수단을 구비하므로 실장력의 설정치를 축결량에 따라 봉제전에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이 실텐션 장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 설정된 설정치가 되도록 실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결과적으로 실장력을 축결량에 따라 변경하는 제어가 행해진다.
즉 축결의 정도에 따라 원하는 실장력에서의 봉제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왕복이동하는 재봉틀 바늘이 피봉제물로부터 멀어질 때(실이 펼치는 방향으로 재봉틀 바늘이 이동할 때)에는 실텐션 장치에 의해 부여하는 장력이 일정해도 실제의 실장력은 증대하므로 봉제가 너무 강한 실장력에서 행해지거나 실이 끊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재봉틀 바늘을 왕복이동시키는 재봉틀 주축의 회전위치를 검출하는 회전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회전위치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실텐션 장치가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재봉틀 바늘의 위치에 따라 실텐션 장치에 의해 부여하는 장력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여하는 장력을 재봉틀 바늘의 위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는 것으로 실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적절한 실장력에서의 봉제가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재봉틀 바늘이 피봉제물로부터 먼 경우에는 부여하는 장력을 내리고(장력 0을 포함함), 재봉틀 바늘이 피봉제물에 가까운 경우에는(피봉제물에 재봉틀 바늘이 꽂혀있는 경우를 포함함) 부여하는 장력을 높이는 제어를 행하면 좋다.
청구항 1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접시누름부는 구동기구의 구동로드에 자유롭게 목부분을 흔들 수 있도록 부착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접시누름부를 실텐션 접시에 대해 밀어부치면 실텐션 접시를 밀어부치는 접시누름부는 그 자세를 실텐션 접시의 자세에 따라 실텐션 접시를 밀어부치는 접시누름부의 누르는 힘이 균일하게 되도록 자동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늘 안정된 실의 장력을 얻을 수 있다.
또 청구항 2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시누름부의 회 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이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한쌍의 실텐션 접시의 상호간을 통과하는 실이 실텐션 접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접시누름부가 실텐션 접시로 밀어부치지 않는 접시개방상태에서의 상기 접시누름부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제어수단이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접시개방상태에서의 접시누름부의 자세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기재에 관한 본 발명의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에 의하면 접시 누름부를 실텐션 접시에 대해 밀어부치면 실텐션 접시를 밀어부치는 접시누름부는 그 자세를 실텐션 접시의 자세에 따라 실텐션 접시를 밀어부치는 접시누름부의 누르는 힘이 균일하게 되도록 자동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늘 안정된 실의 장력을 얻을 수 있는 등의 극히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또 청구항 2기재에 관한 본 발명의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에 의하면 한쌍의 실텐션 접시의 서로의 사이를 통과하는 실이 실텐션 접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등의 극히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또 청구항 3기재에 관한 본 발명의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에 의하면 접시개방상태에서의 접시누름부의 자세를 일정하게 할 수 있는 등의 극히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우선 본 발명에 관한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5에 의해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실시예의 실텐션장치(1)는 윗실(도 2)을 협지가능한 환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실텐션 접시(2)(2A, 2B)를 갖고 있다. 이들 실텐션 접시(2)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실텐션봉(3)에 의해 지지된다. 이 실텐션봉(3)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외주면이 4단의 단이 있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외주면은 도 4에 있어 우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회전멈춤 부착부(3a), 접시 부착부(3b), 스프링 부착부(3c) 및 받침부착부(3d)로 되어있다. 또 실텐션봉(3)의 외주면은 스프링 부착부(3c)가 가장 대경으로 형성되고 접시부착부(3b), 회전멈춤 부착부(3a)의 순으로 소경으로 형성되며 받침부착부(3d)가 가장 소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5와 같이 각 실텐션 접시(2)의 중심부에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각각의 접시내공(2a)(2b)(도 3)을 실텐션봉(3)의 접시부착부(3b)에 삽입함으로써 실텐션 접시(2)는 접시부착부(3b)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또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부착된다. 또 실텐션봉(3)의 내공에는 도 2와 같이 구동로드(4)가 축방향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이 구동로드(4)는 뒤에 상술한 것과 같이 재봉틀(M)의 재봉틀 머리부(AH)의 양 측벽(RW)(LW)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설된다.
상기 실텐션봉(3)의 스프링 부착부(3c)에는 종래 공지한 실테이크업 스프링(5)이 장착된다. 이 실테이크업 스프링(5)은 도 4와 같이 전체로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있고 좌단에는 계지팔(5a)이 내부로 돌출형성된다. 이 계지팔(5a)은 선단이 실테이크업 스프링(5)의 내부에서 우측을 향해 축방향을 따라 뻗는 대략 L자모양으로 형성되고, 이 계지팔(5a)을 스프링 부착부(3c) 외주면의 좌단면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계지홈(3e)에 장착함으로써 실테이크업 스프링(5)이 스프링 부착부(3)의 외주면상에 계지된다. 또 실테이크업 스프링(5)의 우단에는 실거는부(5b)가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 뻗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은 실로서의 윗실(T)(도2)이 걸리도록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와 같이 상기 실텐션봉(3)의 받침부착부(3d)에는 실텐션봉받침(6)이 장착된다. 이 실텐션봉받침(6)은 전체로서 내공(2)이 2단의 단이 있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소경부(6a)가 좌단에 배치되고 이 소경부(6a)의 우측위치에는 스프링 부착부(3c)에 장착되는 실테이크업 스프링(5)을 피복하는 크기의 대경부(6b)가 동축에 형성된다. 또 도 2 및 도 5와 같이 실텐션봉받침(6)의 외주면의 좌측에서 소경부(6a)를 향해 나입(螺入)되는 제 1멈춤나사(7)의 선단을 받침부착부(3d)의 외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실텐션봉받침(6)의 내측에 실텐션봉(3)이 고착된다. 또 도 4와 같이 실텐션봉받침(6)의 외주면의 우측에는 실테이크업 스프링(5)의 실거는 부(5b)가 삽통되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스프링 삽통공(6c)이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실거는 부(5b)는 스프링 삽통공(6c)의 도 4에 있어 위쪽의 단면에 실테이크업 스프링(5)의 부세력에 의해 늘 밀어부치도록 부착되고 실거는 부(5b)에 가해지는 외력(윗실 T)에 의해 스프링 삽통공(6c)의 형성범위내에 있어서 둘레방향으 로 이동가능하게 되어있다. 이 실테이크업 스프링(5)이 스프링 삽통공(6c)의 단면으로 밀어부치는 힘은 제 1멈춤나사(7)를 느슨하게 하여 실텐션봉(3)을 실텐션봉받침(6)에 대해 회전하는 것으로 조정된다. 즉 실텐션봉(3)을 실텐션봉받침(6)에 대해 도 4에 있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실거는 부(5b)의 부세력은 커지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작아진다.
상기 실텐션봉받침(6)의 도 2의 우단면에는 실텐션 접시(2B)의 좌단면의 대략 지름방향 중앙부분이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실텐션 접시(2)가 실텐션봉(3)의 접시부착부(3b)에 있어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도 2 왼쪽을 향하는 축방향 좌측으로의 최대 이동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또한 실텐션봉받침(6)의 좌단부는 뒤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재봉틀(M)의 재봉틀 머리부(AH)의 우측벽(RW)에 돌설된 부착부(41)의 대경부(41ab)에 고착된다.
상기 회전멈춤 부착부(3a)에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멈춤부(8)가 장착된다. 이 회전멈춤부(8)의 외주면에는 도 3과 같이 축방향으로 뻗는 3개의 갈고리 계지홈(8a)이 중심으로부터 서로 같은 각도로 떨어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갈고리 계지홈(8a)의 저부에 나입되는 제 2멈춤나사(9)의 선단을 회전멈춤 부착부(3a)의 외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회전멈춤부(8)가 회전멈춤 부착부(3a)에 고착된다. 또 회전멈춤부(8)의 우단면에는 스프링 장착홈(8b)이 전체적으로 환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이 스프링 장착홈(8b)에는 접시누름부(1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스프링(압축 스프링)(10)이 장착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회전멈춤부(8)의 외주면에는 대략 바닥이 있는 통모양으로 형성되는 보호커버(11)의 개구측이 제 3 멈춤나사(12)에 의해 부착되고 회전멈춤부(8) 및 회전멈춤부(8)의 우측에 배치되는 부분을 피복하고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구동로드(4)의 실텐션 봉(3)측의 단부에는 접시누름부(13)가 배설된다. 도 3과 같이 이 접시누름부(13)는 원환상으로 형성된 기체부(13a)를 갖고 있고 이 기체부(13a)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내공(13aa)이 구동로드(4)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기체부(13a)의 도 2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단면에는 고정스프링(10)의 우단이 접촉되고 접시누름부(13)는 고정스프링(10)의 부세력에 의해 평소에는 도 2의 우측에 도시하는 실텐션봉(3)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된다. 이 때문에 구동로드(4)에는 위치결정넛트(14)가 나착되고 이에 따라 구동로드(4)에 부착되는 접시누름부(13)의 구동로드(4)상에서의 도 2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단측으로의 이동위치가 규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 위치결정넛트(14)는 도 2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단측의 외주면이 머리부를 원추모양으로 자른 모양으로 형성되고, 좌단면을 형성하는 얇은 환상면은 기체부(13a)의 도 2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단면의 내주연부에 대략 선접촉을 이루도록 접촉된다. 또 기체부(13a)의 내공(13aa)은 구동로드(4)의 외주면에 완만히 삽입됨과 동시에 접시누름부(13)는 회전멈춤부(8)로부터 소정간격 이간하고 있기 때문에 구동로드(4)의 외주면에 접시누름부(13)를 지지한 상태에서 그 자세를 변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접시누름부(13)는 구동로드(4)에 자유롭게 목부분을 흔들 수 있도록 부착된다.
또 상술과 같이 고정스프링(10)은 접시누름부(13)의 기체부(13a)의 외주연상 에 접촉하고, 접시누름부(13)를 위치결정넛트(14)에 압착하고 있기 때문에 접시누름부(13)의 자유상태(접시누름부(13)의 후술하는 갈고리부(13b)가 실텐션 접시(2a)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자세는 기체부(13a)의 면방향이 구동로드(4)의 축선에 대해 직교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구동로드(4)의 우단측에는 위치결정넛트(14)와 협동하여 2중넛트를 형성하기 위한 지지넛트(15)가 위치결정넛트(14)의 우단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나착되어 구동로드(4)에 대한 위치결정넛트(14)의 부착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접시누름부(13)를 구동로드(4)에 자유롭게 목을 흔들수 있도록 부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구동로드(4)에 종래 공지한 구면 미끄럼 베어링조립을 적용해도 좋다. 즉 구모양의 내륜을 부착하고, 접시누름부(13)에 내륜과 대략 같은 지름의 오목부를 갖는 외륜을 부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고정스프링(10)은 본 실시예의 접시누름부(13)가 실텐션 접시(2)로 밀어부치지 않은 접시개방상태에서의 접시누름부(13)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제어수단(16)을 구성한다.
상기 접시누름부(13)의 기체부(13a)의 외주연에는 접촉 돌기로서의 3개의 갈고리부(13b)가 형성된다. 이들 갈고리부(13b)는 대략 평판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중심으로부터 서로 같은 각도를 벌리도록 배치된다. 또한 각 갈고리부(13b)는 고정스프링(10)의 외주면을 피복하도록 하여 기체부(13a)의 두께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뻗어나오고 각 갈고리부(13b)를 상기 회전멈춤부(8)의 갈고리 계지홈(8a)의 내부에 배치하는 것으로 접시누름부(13)가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갈고리 계지홈(8a)의 측면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각 갈고리부(13b)의 길이는 회전멈춤부(8)의 두께보다도 길게 형성되고 통상은 각 갈고리부(13b)의 선단부는 실텐션 접시(2A)로부터 이간하고 있지만 접시누름부(13)는 고정스프링(10)의 스프링압에 맞서 회전멈춤부(8)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각 갈고리부(13b)의 선단부는 회전멈춤부(8)의 좌단면을 넘어 실텐션 접시(2A)의 우단면의 대략 지름방향 중앙부분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또 각 갈고리부(13b)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멈춤부(8)의 외주면보다 지름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접촉돌기로서는 평판모양의 갈고리부(13b)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원, 반원, 타원, 사각, 다각 등의 각 종 형상의 기둥모양의 돌기 등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접촉돌기의 수로서는 3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접시누름부(13)의 각 갈고리부(13b)를 상기 회전멈춤부(8)의 갈고리 계지홈(8a)의 내부에 배치하는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의 접시누름부(13)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17)이 구성된다.
도 2와 같이 상기 구동로드(4)의 좌단면에는 구동기구(18)의 구동원으로서의 전자솔레노이드(20)가 배치된다. 이 전자솔레노이드(20)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과 같이 재봉틀(M)의 재봉틀 머리부(AH)의 좌측벽(LW)에 배치된 솔레노이드 지지부(43)에 부착되고, 축방향으로 진퇴운동하는 출력축(20a)의 선단부에는 평판모양 판의 양 단부를 두께방향을 따라 위쪽으로 절곡한 형상을 이루는 넛트홀더(21)의 도 2의 좌측에 도시하는 왼쪽 절곡부(21L)가 고정나사(22)에 의해 부착된다. 또 넛트홀더(21)의 도 2의 우측에 도시하는 오른쪽 절곡부(21R)에는 구동로 드(4)의 좌단부가 삽통되고 구동로드(4)의 오른쪽 절곡부(R)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단부에 위치결정넛트(23)가 나착된다. 또 전자솔레노이드(20)의 출력축(20a)의 구동로드(4)와 대향하는 면의 반대측의 단부에는 스토퍼 칼라(24)가 나사(25)(도 8, 도 9)에 의해 고착되고, 스토퍼칼라(24)의 부착위치에 의해 출력축(20a)의 스트로크를 규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 구동원으로서의 전자솔레노이드(20)는 전원입력이 온일 때 출력축(20a)이 후퇴하고, 고정스프링(10)의 부세력에 맞서 접시누름부(13)의 갈고리부(13b)가 실텐션 접시(2A)에 접촉하여 한쌍의 실텐션 접시(2)를 도 2의 좌측으로 밀어부침에 따라 한쌍의 실텐션 접시(2)의 대향면이 접촉하고 한쌍의 실텐션 접시(2)의 대향면에 있어 윗실(T)을 협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솔레노이드(20)는 끄는 동작의 단순이동 타입의 것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전자솔레노이드(20)로서는 전원입력이 오프일 때 출력축(20a)이 전진하는 미는 동작의 단순이동 타입의 것을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전자솔레노이드(20)가 도 2에 도시하는 우측에 배치하고 구동로드(4)의 우단을 출력축(20a)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며, 전원입력이 온되는 것에 의해 구동로드(4)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구동한다. 또 구동원으로서는 다소 고가이지만 출력축(20a)의 전진과 후퇴를 제어할 수 있는 왕복이동 타입의 것을 이용해도 좋다.
상기 구동로드(4), 접시누름부(13) 및 전자솔레노이드(20)에 의해 본 실시예의 접시누름부(13)를 실텐션 접시(2)로 밀어붙이기 위한 구동기구(18)가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위치결정넛트(23)는 상기 위치결정넛트(14)와 동일 형상으 로 형성된다. 즉 위치결정넛트(23)는 도 2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단측의 외주면이 머리부를 원추모양으로 자른 모양으로 형성되고 우단면을 형성하는 가는 환상면은 넛트홀더(21)의 오른쪽 절곡부(21R)의 구동로드(4)가 삽통되는 삽통구멍(21Ra)(도 2)의 주연부에 대략 선접촉을 이루도록 접촉된다. 또 오른쪽 절곡부(21R)에 형성되는 구동로드(4)가 삽통되는 삽통구멍(21Ra)은 구동로드(4)의 외주면에 헐겁게 삽입되고, 구동로드(4)의 외주면에 넛트홀더(21)를 지지한 상태에서 넛트홀더(21)의 자세를 변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넛트홀더(21)가 자유롭게 목을 흔들수 없는 경우에는 전자솔레노이드(20)의 출력축(20a)의 축심이 구동로드(4) 축심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부착위치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필요가 있어 부착에 대단한 번거로움을 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넛트홀더(21)는 구동로드(4)에 자유롭게 목을 흔들수 있도록 부착되므로 넛트홀더(21)와 구동로드(4)와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로드(4)의 좌단부에는 위치결정넛트(23)와 협동하여 2중넛트를 형성하기 위한 지지넛트(26)가 위치결정넛트(23)의 좌측단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나착되고, 구동로드(4)에 대한 위치결정넛트(23)의 부착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넛트홀더(21)를 구동로드(4)에 자유롭게 목을 흔들수 있도록 부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구동로드(4)에 종래 기술의 구면 미끄럼 베어링조립을 적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1)를 구비한 재봉틀의 실시예에 대해 도 8 내지 도 9에 의해 설명한다.
도 8과 같이 본 실시예의 실텐션장치(1)를 구비한 재봉틀(M)의 재봉틀 프레임(MF)은 하부에 베드부(MB)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베드부(MB)와 평행하게 뻗는 암부(MA)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베드부(MB)와 암부(MA)는 베드부(MB)의 기단부측(도 8우측)으로부터 기립하는 암 지지부(MC)에 의해 연결되고, 전체로서 정면은 대략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의 실텐션 장치(1)는 암부(MA)의 자유단측(도 8좌측)에 위치하는 재봉틀 머리부(AH)에 배치되고, 천칭(31)에 의해 윗실공급원측에 있어서 윗실(T)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되어있다.
또 실시예의 실텐션장치(1)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천칭(31)의 오른쪽 밑에 배치됨과 동시에 실텐션장치(1)로부터의 윗실(T)이 직접 천칭(31)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즉 윗실(T)의 장력에 더욱 영향을 주는 부분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재봉틀(M)에 있어서는 도 8과 같이 암부(MA) 상세하게는 재봉틀 머리부(AH)의 도 8의 우측에 도시하는 우측벽(RW)에, 실텐션봉받침(6)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41)가 형성되고, 좌측벽(LW)의 내측단면에는 홀더 배치부(42)가 배치되며 또한 외측단면에는 솔레노이드 지지부(43)가 배치된다.
상기 부착부(41)는 재봉틀(M)의 암부(MA) 상세하게는 재봉틀 머리부(AH)의 우측벽(RW)에 돌설된 중공원통형상을 하고 있으며 이 부착부(41)의 내공(중공부)(41a)은 2단의 단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부착부(41)의 도 2좌측단면을 형성하는 재봉틀 머리부(AH)의 단면에는 내공(41a)과 동일 축선상에 소경부(41aa)가 형성되고, 구동로드(4)의 우단부측이 삽통된다. 또 부착부(41)의 내공(41a)내면은 대 경부(41ab)로 하여 실텐션봉받침(6)의 좌단부측의 외주면이 장착된다. 그리고 부착부(41)의 외주부로부터 나입된 도시하지 않은 멈춤나사의 선단을 실텐션봉받침(6)의 외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부착부(41)의 대경부(41ab)의 내부에 실텐션봉받침(6)이 고착된다.
상기 홀더배치부(42)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재봉틀(M)의 암부(MA) 상세하게는 재봉틀 머리부(AH)의 좌측벽(LW)의 내면에 배치된다. 홀더 배치부(42)에는 도 2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구동로드(4)의 좌단부가 삽입되는 수평방향으로 뻗는 삽통공(42a)이 형성된다. 또 도 2와 같이 홀더배치부(42)의 좌측면에는 전자솔레노이드(20)가 오프일 때 우측으로의 이동위치에 있는 넛트홀더(21)의 오른쪽 절곡부(21R)가 접촉하지 않도록 오목모양의 후퇴부(42b)가 형성된다.
또한 부착부(41)의 소경부(41aa)와, 홀더배치부(42)의 삽통공(42a)은 동 축상에 형성되어 구동로드(4)를 수평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지지부(43)는 도 8과 같이 재봉틀(M)의 암부(MA), 상세하게는 재봉틀 머리부(AH)의 좌측벽(LW)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전자솔레노이드(20)를 부착하기 위한 평판모양의 부착베이스(44)와, 부착베이스(44)와 좌측벽(LW) 사이에 개재되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베이스를 갖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고정베이스가 좌측벽(LW)에 원하는 고정방법으로 고정되고, 이 고정베이스에 대해 부착베이스(44)가 여러개의 나사(44a)에 의해 고정되며 또 부착베이스(44)에는 여러개의 나사(45)에 의해 전자솔레노이드(20)가 고착된다.
그 외의 구성은 종래의 재봉틀(M)과 마찬가지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도시하는 재봉틀(M)은 소매를 달거나, 가방 등의 입체봉제에 이용되는 포스트형 재봉틀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한 실텐션 장치는 전자사이클 재봉틀, 락스티치 재봉틀 등의 종래 공지한 각 종의 재봉틀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0에 주요한 블록구성을 도시하는 상하이송 재봉틀은 기동페달(106)의 조작을 기초로 구동하는 것으로 암부(MA)내에 배치된 재봉틀 주축(도시생략)을 회전시키기 위한 재봉틀 모터(110)가 암부(MA) 좌단(도 6)에 배치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재봉틀 주축은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구(변환수단)를 통해 재봉틀 머리부(AH)에 배치된 바늘봉과 연결되고, 이 바늘봉의 선단에는 재봉틀바늘이 배치된다. 그리고 재봉틀 모터(110)에 의해 재봉틀 주축이 회전되면 바늘봉에 따라 재봉틀 바늘이 상하이동되고, 재봉틀 바늘에 통과된 윗실(T)이 도시하지 않은 밑실과 교락(交絡)되어 후술하는 상하이송판에 의해 보내지는 피봉제물(후술한 윗천 및 밑천)에 솔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윗실(T)의 실장력이 강한 만큼 윗실(T)에 의해 밑실이 강하게 끌어당겨지게된다.
또한 상하이송 재봉틀은 윗천을 보내는 상이송판(도시생략)을 구동하는 상이송 펄스모터(112)와, 밑천을 보내는 하이송판(도시생략)을 구동하는 하이송 펄스모터(114)를 구비하고, 봉제시에는 윗천 및 밑천이 각각 소정속도(소정의 이송량)로 보내지도록 되어있으며 이에 따라 상이송 수단 및 하이송 수단이 구성된다.
여기서 윗천의 이송량을 밑천의 이송량보다도 많게 하여 봉제하는 것으로 윗 천을 축결할 수 있고 또 상하의 옷감의 이송량의 차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축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윗천의 이송량을 밑천의 이송량보다 많게하면 할 수록 축결량을 많게할 수 있다.
또 축결량은 봉제의 종류별로 또한 봉제구간마다 미리 설정된다.
상하이송 재봉틀에서는 이 설정을 기초로 축결데이터를 입력해 두는 것으로 자동적으로 봉제구간마다 상하천의 이송량의 차를 변화시킨 봉제가 행해지며 따라서 축결량을 조절한 봉제가 행해지게 된다.
또 천이송은 재봉틀 바늘이 천위에 위치하는 타이밍에 동기시켜 행하도록 되어있다.
상하이송 재봉틀은 재봉틀 바늘의 소정의 상하이동 위치를 검출하는 바늘위치 검출센서(101)와, 재봉틀 주축의 회전위치(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위치 검출센서(예를들면 엔코더로 각도검출을 행한 것)(10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재봉틀 주축의 회전각도는 재봉틀 바늘의 상사점을 회전위상 0도로 한다.
또 재봉틀 바늘이 소정의 바늘 위 위치에 도달한 것이 바늘위치 검출센서(101)에 의해 검출된 후 이 검출의 타이밍으로부터 기산하여 재봉틀 주축이 몇도(0도 ~ 360도) 회전했는 지를 회전위치 검출센서(102)가 검출하도록 되어있으며 이 검출각도를 기초로 재봉틀 바늘이 천 위쪽(바늘판 위쪽)에 위치할 때 천이송이 행해진다. 즉 바늘위치 검출센서(101)와 회전위치 검출센서(102)에 의해 회전위치 검출수단이 구성된다.
전자솔레노이드(20)는 후술한 CPU(107)의 제어하에서 실텐션 조정회로(115)(후술)에 의해 구동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그 구동로드(4)가 소정량 이동하게 된다.
또 상하이송 재봉틀은 이 상하이송 재봉틀을 총괄제어하는 CPU(107)(제어수단을 구성)와, 이 CPU(107)의 제어프로그램 등을 격납한 ROM(103)과, 실장력의 설정치의 기억영역이나 CPU(107)의 작업영역을 구비하는 RAM(104)을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서 상하이송 재봉틀은 재봉틀 모터(110)를 구동제어하는 드라이버인 재봉틀 모터 구동회로(109), 상이송 펄스모터(112)를 구동제어하는 드라이버인 상이송 구동회로(111), 하이송 펄스모터(114)를 구동제어하는 드라이버인 하이송 구동회로(113), 실텐션 장치(1)(전자솔레노이드(20))를 동작제어하는 드라이버인 실장력 조정회로(115)를 구비하고 있다.
CPU(107)는 기동페달(106)로부터의 기동신호를 받아들이면 재봉틀 모터구동회로(109), 상이송 구동회로(111), 하이송 구동회로(113), 실장력 조정회로(115)를 통해 재봉틀 모터(110), 상이송 펄스모터(112), 하이송 펄스모터(114), 실텐션 장치(1)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의 구성 중 ROM(103), RAM(104), CPU(107), 재봉틀 모터 구동회로(109), 상이송 구동회로(111), 하이송 구동회로(113) 및 실장력 조정회로(115)는 전장박스(108)내에 수용된다.
상하이송 재봉틀은 축결 레벨(축결량)에 따른 실 장력의 설정치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패널(105)을 구비함과 동시에 CPU(107)는 설정된 설정치가 되도록 실텐션 장치(1)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조작패널(105)은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입력용의 보턴 등을 구비함)와, 설정화면 표시용의 표시부를 구비하고, 본 발명의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설정치의 설정은 구체적으로는 예를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설정화면(G1)에 따라 행해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축결레벨(예를들면 레벨 0, 레벨 1, 레벨 2, 레벨 3…, 레벨 16) 마다 실장력의 증가량(예를들면 0%, 5%, 8%, 12%, …35%)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축결레벨마다 실장력의 증가량이 입력되면 즉 축결레벨마다의 설정치가 입력되면 이 입력된 설정치는 RAM(104)에 기억된다.
또한 여기서는 축결레벨은 레벨 0으로부터 수치가 커짐에 따라 축결량이 증대하는 것이라고 하자. 또 실장력의 증가량은 축결레벨이 최소일 때 실텐션장치(1)에 의해 부여되는 장력과 비교한 증가율로 나타낸다.
또 축결레벨에 따라 실장력을 제어하는 것은 윗실만으로 하고 밑실의 실장력은 상시 일정하게 한다.
또한 조작패널(105)에서는 예를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설정화면(G2)에 따라 실텐션 장치(1)에 의해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각도범위(재봉틀 주축의 회전각도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구체적으로는 실텐션 장치(1)에 의한 장력의 부여를 개시하는 각도(장력부여 개시각도)와, 장력의 부여를 종료하는 각도(장력부여 종료각도)와의 입력(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 입력된 값은 RAM(104)에 기억되도록 되어있다.
또 CPU(107)는 설정(입력)된 장력부여 개시각도가 되면 실텐션장치(1)를 제어하여 장력의 부여를 개시하도록 하고 장력부여 종료각도가 되면 장력의 부여를 종료시킨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실텐션장치(1)에서의 한쌍의 실텐션 접시(2)의 대향면에 있어 윗실(T)을 협지하여 윗실(T)에 적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접시닫음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접시닫음상태에 있어서는 전자솔레노이드(20)에 대한 전원입력은 온이 되고 출력축(20a)이 후퇴하여 구동로드(4)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로드(4)의 이동과 함께 위치결정넛트(14)도 좌측으로 이동하고, 접시누름부(13)가 고정스프링(10)의 부세력에 맞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접시누름부(13)의 좌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접시누름부(13)의 접촉돌기로서의 3개의 갈고리부(13b)가 실텐션 접시(2A)에 접촉하여 한쌍의 실텐션 접시(2)를 도 2의 좌측으로 밀어부쳐 실텐션봉받침(5)의 우단에 접촉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한쌍의 실텐션 접시(2)의 대향면 사이에 있어 윗실(T)을 협지하여 적정한 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실텐션장치(1)에 의하면 접시누름부(13)는 구동기구(18)의 구동로드(4)에 자유롭게 목을 흔들 수 있도록 부착되므로 접시누름부(13)를 실텐션 접시(2A)에 대해 밀어부치면 실텐션 접시(2A)를 밀어부치는 접시누름부(13)는 그 자세를 실텐션 접시(2)의 자세에 따라 실텐션 접시(2A)를 밀어부치는 접시누름부(13)의 누르는 힘이 균일하게 되도록 자동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늘 안정된 실의 장력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실텐션장치(1)에 의하면 접시누름부(13)의 실텐션 접시(2A)와 대향하는 부위에, 실텐션 접시(2)에 접촉되는 접촉돌기로서의 3개의 갈고리부(13b)가 중심에서 서로 같은 각도를 벌리도록 배치되고, 실텐션 접시(2A)에 대해 반드시 3점 접촉하므로 실텐션 접시(2A)를 밀어부치는 접시누름부(13)의 누르는 힘을 실텐션 접시(2)의 전 둘레에 걸쳐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어 늘 안정된 실의 장력이 얻어진다.
또 본 실시예의 실텐션장치(1)에 의하면 접시누름부(13)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17), 상세하게는 접시누름부(13)의 각 갈고리부(13b)를 회전멈춤부(8)의 갈고리 계지홈(8a)의 내부에 배치하는 구성이 배치되므로 실텐션 접시(2)가 회전하지 않고 안정된 실의 장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실텐션 접시(2)가 회전함으로써 윗실(T)이 실텐션접시(2) 사이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자솔레노이드(20)에 대한 전원입력을 오프하면 출력축(20a)이 전진하여 구동로드(4)는 도 2의 상태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구동로드(4)의 우측으로의 이동은 고정스프링(10)의 부세력에 의해 행해진다. 즉 출력축(20a)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이에 고정되는 넛트홀더(21)가 우측으로 이동하지만 넛트홀더(21)의 오른쪽 절곡부(21R)에는 구동로드(4)가 이동가능하게 삽통하고 있기 때문에 넛트홀더(21)의 이동에 의한 힘은 구동로드(4)로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고정스프링(10)은 접시누름부(13)를 통해 위치결정넛트(14)를 오른쪽으로 부세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솔레노이드(20)에 대한 전원입력이 오프되면 위치결정넛트(14)를 통 해 구동로드(4)를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 접시누름부(13)의 우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접시누름부(13)의 접촉돌기가 실텐션 접시(2)로부터 이간하여 한쌍의 실텐션 접시(2)의 대향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고, 접시누름부(13)가 실텐션 접시(2A)로 밀어부치지 않은 접시개방상태가 된다.
이 때 본 실시예의 실텐션장치(1)에 의하면 접시누름부(13)가 실텐션 접시(2)로 밀어부쳐지지 않는 접시개방상태에서의 접시누름부(13)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제어수단(16), 자세하게는 접시누름부(13)의 기체부(13a)를 위치결정넛트(14)를 향해 밀어부치는 고정스프링(10)이 배치되므로 접시개방상태에서의 접시누름부(13)의 자세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시누름부(13)를 실텐션 접시(2)로 밀어부칠 때의 접시누름부(13)의 자세를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시누름부(13)의 각 갈고리부(13b)가 실텐션 접시(2A)에 거의 동시에 접촉하므로 각 갈고리부(13b)가 실텐션 접시(2)에 한쪽에 닿아 불균일한 누름이 발생하지 않아 실텐션 접시(2A)에 닿은 직후부터 균일한 누르는 힘을 부여할 수 있어 늘 안정된 장력을 윗실(T)에 부여할 수 있다. 또 접시개방상태에 있어서 갈고리부(13b)가 실텐션 접시(2A)에 접촉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접시개방상태에서의 실에 거는 장력을 확실하게 없앨 수 있다.
다음 플로우챠트(도 1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하이송 재봉틀에 의한 봉제작업을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에서 소매에 대한 「축결데이터」를 조작패널(105)의 조작에 의해 입력한다. 즉 봉제구간마다의 축결레벨을 입력한다. 그러면 이 축결데이터가 RAM(104)에 기억된다.
다음 스텝 S2로 이행하여 축결레벨마다의 실장력의 증가량을 조작패널(105)의 조작에 의해 설정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예를들면 도 9와 같이 축결레벨이 레벨 0, 레벨 1, 레벨 2, 레벨 3, …,레벨 16인 경우의 실 장력의 증가량을 각각 0%, 5%, 8%, 12%, …,35%로 설정한다.
여기서 축결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실장력의 증가량을 늘리는 설정으로 한다. 이것은 축결량이 많은 경우에는 2장의 옷감의 겹친 두께가 커지기 때문에 윗실의 실장력을 강하게 하여 윗실에 의해 밑실을 강하게 당겨올리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스텝 S2에 계속해서는 스텝 S3으로 이행하여 장력부여 각도범위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예를들면 도 12와 같이 장력부여 개시각도를 50도, 장력부여 종료각도를 270도로 설정한다. 즉 재봉틀 주축의 회전각도가 270도 ~ 50도까지의 범위내 즉 재봉틀 바늘이 상사점 부근에 위치하는 기간에는 실텐션 장치(1)에 의해 윗실에 장력을 부여하지 않는 설정으로 한다. 실텐션장치(1)에 의한 장력의 부여가 없어도 상사점 부근에서는 재봉틀 바늘이 피봉제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실이 당겨지지만 이와 같이 상사점 부근에서 장력을 부여하지 않는 설정으로 하는 것으로 상사점 부근에서의 실장력 증대가 방지된다.
다음 스텝 S4에서 기동페달(106)이 밟혀졌다고 판정될 때 까지 재봉틀 모터(110)를 구동대기시키고, 밟혔다고 판정되면 스텝 S5로 이행하여 기동페달(106) 의 밟은 양에 따른 재봉틀 모터(110)의 구동제어를 행한다.
계속해서 스텝 S6에서는 스텝 S1에서 설정된 축결데이터의 축결레벨을 읽어들여 스텝 S7로 이행하고, 스텝 S7에서는 봉제를 개시한다.
이 스텝 S7에서의 봉제시에는 먼저의 스텝 S1에서 입력한 축결데이터의 축결레벨(축결량)이 되도록 상하이송 펄스 모터(112)(14)의 구동제어를 행한다.
계속해서 스텝 S8에서는 재봉틀 주축의 회전각도가 장력부여 개시각도,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50도가 되었는 지 여부를 판정하여 장력부여 개시각도가 되었다고 판정될 경우에는 스텝 S9로 이행한다.
스텝 S9에서는 실텐션 장치(1)를 제어하는 것으로 축결레벨에 따라 실장력을 부여한다. 즉 축결레벨이 레벨 1이면 실장력의 증가량을 5%로 한다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축결레벨에 따라 즉 축결량에 따라 미리 설정한 대로 실장력이 제어된다.
스텝 S9에 계속하여 또는 스텝 S8에서 장력부여 개시각도로 되어있지 않다고 판정될 경우에는 스텝 S10으로 이행하여 장력부여 종료각도,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70도가 되었는 지의 판정을 행하여 장력부여 종료가 되었다고 판정될 경우에는 스텝 S11로 이행하여 실텐션 장치(1)에 의한 장력의 부여를 종료한다.
스텝 S11에 계속하여 또는 스텝 S10에서 장력부여 종료각도로 되어있지 않다고 판정될 경우에는 스텝 S12로 이행하여 기동페달이 밟혀져 있는 지의 판정을 행한다.
스텝 S12에서 밟혀져 있다고 판정될 경우에는 스텝 S5이하의 처리를 행하는 한편 밟혀 있지 않다고 판정될 경우에는 봉제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하이송 재봉틀에 의하면 실텐션장치(1)의 전자솔레노이드(20)를 주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봉제구역마다 미리 설정한 축결레벨에 따라 실장력을 제어하여 봉제할 수 있기 때문에 늘 최적인 실장력에서의 봉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일련의 봉제부로 축결량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도 축결량의 정도에 따라 적절히, 적당한 실장력으로 제어하여 봉제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장력은 각 축결레벨과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치가 되도록 제어된다.
또 실텐션 장치(1)에 의해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재봉틀 주축의 회전각도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사점 부근을 피하여 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설정으로 하는 것으로 재봉틀 바늘이 피봉제물로부터 멀어질 때 실장력이 너무 증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재봉틀 주축의 회전각도(회전위상)를 검출하여 회전각도에 의해 실텐션 장치에 의한 실장력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도시했지만 상하 옷감의 봉제에어리어 예를들면 소매를 달 경우는 소매산, 소매산 근처, 소매밑과 같은 봉제에어리어로 나누어 각각의 봉제에어리어에 따라 설정된 축결량과 실장력을 설정하고, 천이송 펄스모터로의 펄스를 카운트하여 그 펄스수에 따라 봉제에어리어를 검출하며 각각의 봉제에어리어의 축결량에 따라 실텐션 장치의 구동장치(전 자솔레노이드 등)를 제어하여 실장력을 증감하도록 해도 좋다.
또 실장력의 증감량을 퍼센트(비율)에 의한 설정으로 했지만 실장력치(그램)에 의한 설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전자솔레노이드를 구동원으로 한 실텐션 장치를 도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린더, 보이스 코일모터, 스텝핑모터 등을 구동원으로 한 실텐션 장치로 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이송 수단 및 하이송 수단을 펄스모터로 구동하고, 펄스모터 구동량의 차에 따라 실텐션 장치가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변경하고 있지만 각 이송수단에 의한 이송량의 설정을 기계적으로 행하는 주지의 기구를 구비한 상하이송 재봉틀에 적용할 수 도 있다. 즉 기계적인 이송량의 설정기구에 연동하는 가변저항기 등을 배치하고, 그 가변저항기의 저항치에 의해 각 이송수단에 의한 이송량을 검출하여 그 검출량의 차에 따라 실텐션 장치가 실에 부여하는 장력을 변경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위치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주축의 회전위치(회전위상)가 소정으로 된 경우에 실텐션 장치에 의한 장력의 부여를 개시 또는 종료시키고 있지만 회전위치에 따라 단계적으로 실장력을 증감하여 부여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옷감의 두께에 따라 실장력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본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옷감은 실교차 부분에서는 늘어나기 쉽기 때문에 상하이송 펄스모 터(112)(14)에 의한 이송량의 차가 같은 조건하에 있어도 실교차 부분 이외의 봉제를 행하는 경우에 비해 축결이 들어가기 쉽다는(축결량이 많아짐) 사정이 있다. 그래서 옷감의 실교차 부분에서는 실장력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행하도록 하면 실교차 부분의 봉제를 적절한 실장력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텐션 장치의 일부 절단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텐션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실텐션 장치의 실테이크업(take-up) 스프링 근방을 도시하는 확대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실텐션 장치의 실텐션 접시 근방을 도시하는 일부절단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텐션 장치를 구비한 재봉틀의 외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재봉틀 머리부 근방의 요부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재봉틀 머리부 근방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재봉틀 머리부를 기울기 왼쪽에서 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관한 상하이송 재봉틀의 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11은 축결(縮結)(easing)양에 따른 실장력의 설정화면을 설명하는 약도(略圖).
도12는 실장력을 변화시키는 재봉틀 주축의 각도범위의 설정화면을 설명하는 약도.
도13은 축결량에 따른 실장력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실텐션 장치 2,2A,2B: 실텐션 접시
3: 실텐션 봉 4: 구동로드
5: 실 테이크업(take-up) 스프링 6: 실텐션봉받침
8: 회전멈춤부 10: 접시고정스프링
13: 접시누름부 13b: (접촉돌기로서의) 갈고리부
16: 자세제어수단 17: 회전방지수단
18: 구동기구 20: 전자솔레노이드
31: 천칭 41: 부착부
42: 홀더배치부 43: 솔레노이드 지지부
44: 부착베이스 M: 재봉틀
MA: 암부 AH: 재봉틀 머리부
T: 윗실
101: 바늘위치 검출센서(회전위치 검출수단을 구성함)
102: 회전위치 검출센서(회전위치 검출수단을 구성함)
103: ROM(제어수단을 구성함) 104: RAM(설정수단을 구성함)
105: 조작패널(설정수단을 구성함) 107: CPU(제어수단을 구성함)
111: 상이송 구동회로(상이송수단을 구성함)
112: 상이송 펄스모터(상이송수단을 구성함)
113: 하이송 구동회로(하이송수단을 구성함)
114: 하이송 펄스모터(하이송수단을 구성함)
115: 실장력 조정회로(제어수단)

Claims (3)

  1. 실을 협지가능한 한쌍의 실텐션 접시와,
    상기 실텐션 접시와 접촉하는 접시 누름부와,
    접시누름부 위치결정너트를 통하여 상기 접시누름부를 압압하는 구동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접시누름부를 상기 실텐션 접시로 밀어붙이기 위한 구동기구를,
    구비한 재봉틀의 실텐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시누름부의 외주면 테두리에는 3이상의 접촉돌기를 구비하고, 이 접촉돌기에서 상기 실텐션 접시와 접촉하며,
    상기 접시누름부 위치결정너트의 상기 접시누름부와 접촉하는 단면이 원추대상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시누름부가 상기 구동기구의 구동로드에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텐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누름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텐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누름부가 상기 실텐션 접시로 밀어붙이지 않는 접시개방상태에서의 상기 접시누름부의 자세를 제어하는 자세제어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실텐션장치.
KR1020070107654A 2001-02-02 2007-10-25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 KR100850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27071 2001-02-02
JP2001027071 2001-02-02
JP2001379877A JP3836362B2 (ja) 2001-02-02 2001-12-13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JP-P-2001-00379877 2001-12-1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732A Division KR100809165B1 (ko) 2001-02-02 2002-01-28 상하이송 재봉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425A KR20070111425A (ko) 2007-11-21
KR100850385B1 true KR100850385B1 (ko) 2008-08-04

Family

ID=266088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732A KR100809165B1 (ko) 2001-02-02 2002-01-28 상하이송 재봉틀
KR1020070107654A KR100850385B1 (ko) 2001-02-02 2007-10-25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732A KR100809165B1 (ko) 2001-02-02 2002-01-28 상하이송 재봉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36362B2 (ko)
KR (2) KR100809165B1 (ko)
CN (2) CN101063258B (ko)
DE (2) DE10262180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03631B (zh) * 2018-05-14 2023-06-01 德商都寇帕鷹股份有限公司 用於縫紉機的線張緊裝置和具有線張緊裝置的縫紉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2679A (ja) * 2006-01-31 2007-08-16 Juki Corp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2007202833A (ja) * 2006-02-02 2007-08-16 Juki Corp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2008036192A (ja) * 2006-08-08 2008-02-21 Brother Ind Ltd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2008148833A (ja) * 2006-12-15 2008-07-03 Brother Ind Ltd ミシン
JP5271744B2 (ja) * 2009-02-16 2013-08-21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調子装置
WO2012095106A2 (de) 2011-01-12 2012-07-19 Xi'an Typical Europe Gmbh Oberfadenspannvorrichtung
CN102061577B (zh) * 2011-01-21 2013-04-10 佛山市源田床具机械有限公司 绗缝绣花机转盘式供线系统
JP2017192573A (ja) 2016-04-21 2017-10-26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調子装置
CN106637727B (zh) * 2016-11-30 2022-03-04 西安标准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控线张力面线线头稳定机构及其控制方法
JP6995474B2 (ja) * 2016-12-19 2022-01-14 株式会社ジャノメ ミシン
CN107956050A (zh) * 2017-12-30 2018-04-24 宁波舒普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张紧力的夹线器
CN107988723B (zh) * 2017-12-30 2023-07-28 舒普智能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缝纫机缝线张力的装置
KR102460783B1 (ko) 2020-12-11 2022-10-28 김기석 재봉틀의 윗실 장력 자동조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2577U (ko) * 1985-12-28 1987-07-17
JPH06170074A (ja) * 1992-10-08 1994-06-2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ミシンの上糸テンション制御装置
JPH09276577A (ja) * 1996-04-08 1997-10-28 Nippon Denpa Kk ミシンの上糸張力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9848C2 (de) * 1977-03-07 1983-01-05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Tokyo Elektronisch gesteuerte Musternähmaschine mit Fadenspannvorrichtung
JPS54163147A (en) * 1978-06-13 1979-12-25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upper thread on sewing machine
JPS57209752A (en) * 1981-06-17 1982-12-23 Kawasaki Heavy Ind Ltd 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JPS6192695A (ja) * 1985-09-04 1986-05-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差動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H01236088A (ja) * 1987-10-31 1989-09-20 Juki Corp ミシンの布送り制御装置
IT1217796B (it) * 1988-06-07 1990-03-30 Rockwell Rimoldi Spa Dispositivo elettronico per la gestione dell'autosetting in macchine per cucire industriali.
JPH01317477A (ja) * 1988-06-17 1989-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ミシンの上糸張力調節装置
JPH0424083A (ja) * 1990-05-18 1992-01-28 Brother Ind Ltd 糸調子装置
JP3149889B2 (ja) * 1992-02-25 2001-03-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布送り制御装置
DE19633223C2 (de) * 1996-08-17 1998-12-03 Duerkopp Adler Ag Vorrichtung zur Ansteuerung der Auslöseeinrichtung eines Fadenspanners für eine Nähmaschine
KR100259988B1 (ko) * 1997-12-31 2000-06-15 김현택 재봉틀의 봉재물 이송장치
JP4046431B2 (ja) * 1999-01-18 2008-02-13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糸調子装置
JP4043642B2 (ja) * 1999-04-20 2008-02-06 Juki株式会社 電磁ソレノイドによるミシンの糸調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2577U (ko) * 1985-12-28 1987-07-17
JPH06170074A (ja) * 1992-10-08 1994-06-2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ミシンの上糸テンション制御装置
JPH09276577A (ja) * 1996-04-08 1997-10-28 Nippon Denpa Kk ミシンの上糸張力調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03631B (zh) * 2018-05-14 2023-06-01 德商都寇帕鷹股份有限公司 用於縫紉機的線張緊裝置和具有線張緊裝置的縫紉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69587A (zh) 2002-09-18
KR20070111425A (ko) 2007-11-21
CN101063258B (zh) 2012-04-04
JP3836362B2 (ja) 2006-10-25
CN100406634C (zh) 2008-07-30
CN101063258A (zh) 2007-10-31
JP2003181182A (ja) 2003-07-02
DE10204237B4 (de) 2010-02-11
DE10204237A1 (de) 2002-08-22
DE10262180B4 (de) 2018-11-15
KR100809165B1 (ko) 2008-02-29
KR20020066963A (ko) 200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385B1 (ko) 재봉틀의 실텐션 장치
JP5339110B2 (ja) ミシンの糸供給装置
US8037834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6502699B2 (ja) ミシン
JP2007313159A (ja) 電子ミシン及びミシンモータ制御プログラム
JP6031380B2 (ja) 二本針ミシン
EP2275594B1 (en) Top and bottom feed sewing machine
JP6045392B2 (ja) ミシン
JPH01299588A (ja) 自動糸調子ミシン
JPH06170074A (ja) 刺繍ミシンの上糸テンション制御装置
CN106400320B (zh) 孔锁边缝纫机
JPS61232887A (ja) ミシンの下糸残量検出装置
JPH09327585A (ja) ミシンの糸切れ検出装置
CN111172678B (zh) 交错缝制缝纫机
JPH09276577A (ja) ミシンの上糸張力調整装置
US5680827A (en) Sewing machine having lower-thread tension changing device
JP3986318B2 (ja) 上下送りミシン
JP4903316B2 (ja) ミシン
JPH0631076A (ja) ミシンにおける自動縫い調子制御装置
US363656A (en) Take-up device for sewing-machines
JP2000024357A (ja) ミシンの上糸張力調整装置
US4926770A (en) Needle hole guide mechanism for zigzag sewing machine
Carvalho et al. An innovative device for bobbin thread consumption measurement on industrial lockstitch sewing machines
JP2008061705A (ja) ミシン
JPH0453584A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における縫目形成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