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520B1 - 2가지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폼 및 이를 얻기 위한방법 - Google Patents

2가지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폼 및 이를 얻기 위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520B1
KR100848520B1 KR1020067015491A KR20067015491A KR100848520B1 KR 100848520 B1 KR100848520 B1 KR 100848520B1 KR 1020067015491 A KR1020067015491 A KR 1020067015491A KR 20067015491 A KR20067015491 A KR 20067015491A KR 100848520 B1 KR100848520 B1 KR 100848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orm
bottle
injection
blow molding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675A (ko
Inventor
시몬 데이비드 줄리안 힐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8097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4852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60132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84Injecting parison-lik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B29C2045/0027Gate or gate mark lo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2045/1693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shaping the first molding material before injecting the second molding material, e.g. by cutt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6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9C2949/076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overall the shape
    • B29C2949/0764Elliptic or oval cross-section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6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9C2949/0768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 B29C2949/07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characterised by the neck
    • B29C2949/0772Closure retaining means
    • B29C2949/0776Closure retaining means not containing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2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neck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4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flange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6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body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8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botto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components or b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29C45/162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using means, e.g. mould parts, for transferring an injected part between mould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29C45/1625Injecting parison-lik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35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displaceable mould parts, e.g. retractable partition between adjacent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5Opaq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가지의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제1 재료(4)와 제2 재료(22)는 동축이 아닌 중심축을 갖는 노즐에 의해 주입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리폼은 제1 재료의 측벽 내에 제2 재료의 내포부를 포함한다. 신규한 프리폼은 바람직하게는 바닥부 영역(1c)과 측벽 영역(1b)을 포함하며, 여기서 이 바닥부 영역은 전체적으로 제1 재료로 이루어지고 측벽 영역은 제2 재료(22)에 의해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체적부(14)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제1 재료(4)로 이루어진다.
프리폼, 빈 체적부, 바닥부, 측벽, 병, 중공 성형, 사출 성형

Description

2가지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폼 및 이를 얻기 위한 방법 {PREFORMS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본 발명은 사출 중공 성형(injection blow-molding) 분야에 있어서의 개선, 특히 병(bottle)(및 일반적으로는 임의의 중공형(hollow) 용품)으로의 중공 성형에 적합한 신규한 프리폼(preform), 이들 프리폼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이들 프리폼의 중공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복합 프리폼(composite preform)을 형성하기 위하여 2가지(또는 그 이상)의 재료를 사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2가지의 재료는 상이한 색상을 가지며 최종 병은 다중 착색 효과(multi-colored effect)를 나타낸다.
사출 중공 성형 및 그의 변형인 사출 연신 중공 성형(injection stretch blow-molding)은 병과 같은 고품질의 중공형 용품을 산업적인 규모로 제조하는 데에 통상 사용된다. 이 공정의 제1 단계에서, 용융된 플라스틱 재료가 내부 코어 로드(core rod)와 프리폼 주형에 의해 형성된 주형 공동 내부로 주입되어 "프리폼"으로 불리는 "시험관"(test-tube) 형상의 중간체를 형성한다. 그 후, 프리폼 주형이 개방되어 성형된 프리폼이 이어서 중공 성형 또는 연신 중공 성형된다.
사출 중공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프리폼을 지지하고 있는 코어 로드는 요망 되는 중공형 용품의 형상을 가진 병 중공 주형(bottle blow-mold)으로 즉시 전달된다. 코어 로드 내의 밸브를 통과하는 공기는 고온의 프리폼을 부풀게 하여, 이 프리폼이 팽창하여 병 중공 주형의 형태를 취한다. 요망되는 병이 취급될 수 있도록 충분하게 냉각된 후, 이 병은 중공 주형으로부터 제거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전형적으로, 이 부분은 약 24시간 동안 냉각될 수 있음). 사출 중공 성형 공정에 대한 추가의 정보는 개론서, 예컨대 문헌["The Wiley Encyclopedia of Packaging Technology", Second Edition (1997), published by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특히, 87면 참조)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사출 "연신 중공 성형" 공정(때때로, 2축 배향(biaxial-orientation) 중공 성형으로 알려짐)에서, 프리폼은 중공 성형된 병의 측벽 내에서의 2축 분자 배열(biaxial molecular alignment)이 달성되도록 프리폼이 부풀려지기에 충분히 고온인 온도로 주의 깊게 조절된다. 비교적 강한 공기압 및 통상적으로 연신 로드(stretch rod)가 프리폼을 축(수직) 방향으로 연신시키도록 사용된다. 종래의 사출 중공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병과 달리, 연신 중공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병은 프리폼보다 상당히 길다. PET, PP 및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이 연신 중공 성형 공정을 위한 우수한 재료이다. 다양한 사출 연신 중공 성형 방법, 예컨대 1단계, 2단계(이는 "재가열 및 중공 성형"(reheat and blow)으로도 알려짐)가 존재한다. 사출 연신 중공 성형 공정에 대한 추가의 정보는 개론서, 예컨대 문헌["The Wiley Encyclopedia of Packaging Technology", Second Edition (1997), published by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특히, 87 - 89면 참조)으로부터 얻을 수 있 다.
사출 중공 성형은 정밀한 목부 마무리(precise neck finish)를 갖는 비교적 작게 형상화되는 용품을 제조하는 데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며, 화장품 또는 제약 산업용의 비교적 고가의 병을 제조하는 데에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사출 연신 중공 성형은 항상 그렇지는 않지만 소다(soda) 산업용의 음료 용기와 같은 보다 큰 용품의 제조를 위하여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달리 명백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사출 중공 성형"이라는 용어는 이하에서 사출 중공 성형 및 사출 연신 중공 성형 공정 둘 모두를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압출 중공 성형과 사출 중공 성형은 상이한 공정이다. 압출 중공 성형에서, 용융된 플라스틱은 (전형적으로는 연속적으로) 압출되어 개방 단부형 연속 튜브를 형성한다. 압출된 플라스틱은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되고, 절단된 것은 바로 중공 성형되어 용품을 형성한다. 압출 중공 성형 공정에서, 용융된 플라스틱 재료는 프리폼을 형성하기 위하여 코어 재료 둘레로 미리 성형되지 않는다. 압출 중공 성형에 의해 생성된 용품의 최종 형상은 사출 중공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용품보다 정밀함이 덜하며 제어 가능성이 덜하다. 압출 중공 성형에 대한 추가의 상세 사항은 포장 관련 개론서, 예컨대 앞서 언급한 문헌["The Wiley Encyclopedia of Packaging Technology"](특히, 83-86면)에서 얻을 수 있다. 압출 중공 성형은 미적 특성 또는 개선된 물리적 (차단(barrier)) 특성을 위한 다중 층을 갖는 라미네이트된 또는 공압출된 병을 얻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비록 종래의 사출 중공 성형이 정밀한 형상을 갖는 양호한 품질의 병을 제공하지만, 이들 병은 통상적으로 단일 재료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색상만을 갖는다(예컨대, 균질하게 착색된 폴리에스테르 용기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며 과립형 PET 공급물이 염료 조성물(dyestuff composition)과 혼합되는 미국 특허 제4,988,477호 참조).
라벨 부착(labeling), 에칭(etching) 또는 각인(engraving)에 의한 병의 추가의 장식은 복잡한 형상을 갖는 병에 대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국제특허공보 WO97/21539호에서, 병을 제조하기 위하여 2가지의 상이하게 착색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사출 중공 성형된 병의 외양을 개선하려고 시도하였다. 국제특허공보 WO97/21539호의 공정에서, 상이하게 착색된 재료가 종래의 주입 주형 공동 내의 공급 게이트를 통해 연속적으로 주입된다. 국제특허공보 WO97/21539호에 따르면, 재료의 층상 분포는 주입되는 재료의 양, 이들의 주입 속도 및 주입 온도와 같은 다양한 작동 변수(operating parameters)를 주의 깊게 제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변수를 제어하는 것은 어려우며, 국제특허공보 WO97/21539호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들 사이의 경계가 불명확하여 이 공정은 재생 가능한 장식적인 특징을 갖는 프리폼의 제조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면 상이하게 착색된 재료의 수평으로 중첩된 층들을 갖는 병의 성형만이 허용된다(병의 축을 수직축으로 취함).
미국 특허 출원 제2002/0058114A1호는 적어도 2가지의 색상을 갖는 착색된 프리폼을 얻기 위한 공정을 개시한다. 이러한 공정에서, 원통형 리세스를 제공하 는 기초 프리폼이 제1 재료를 기초 프리폼의 바닥부 영역에서의 주입 지점으로부터 주입함으로써 먼저 형성된다. 기초 프리폼은 제2 주형으로 전달되고, 리세스는 제2 재료를 역시 기초 프리폼의 바닥부 영역에서의 주입 지점으로부터 주입함으로써 채워진다. 이 공정은 다중 착색된 프리폼을 얻기 위하여 반복될 수 있다. 상이하게 착색된 재료는 수평으로 중첩된 층들로서 분포된다. 이 공정은 다중 착색된 프리폼을 얻기 위하여 반복될 수 있다. 상이하게 착색된 재료는 프리폼의 중심축을 수직축으로 취할 때 수평으로 중첩된 층들로서 분포된다. 이 문헌에서 제1 재료용 노즐의 중심축과 제2 재료의 중심축은 동축이다. 본 발명에서, 노즐들의 중심축은 동심일 필요가 없으며 동축이 아닌 노즐들이 사용될 때 신규한 프리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유럽 특허 제1,180,424A1호는 모발용 염료의 전달과 같은 특정한 용도를 위하여 박리 가능하게 라미네이트된 내부 층을 갖는 병을 생성하기 위한 공정을 개시한다.
프리폼 내의 상이한 재료들의 분포가 더욱 제어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갖는 것, 예컨대 재생 가능하고 인식 가능한 디자인 또는 로고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동시에, 2가지의 재료들 사이의 접합이 충분하게 강하여 프리폼이 중공 성형될 때 파괴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은 모두 청구의 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이, 병(및 일반적으로는 임의의 중공형 용품)으로의 중공 성형에 적합한 신규한 프리폼, 이들 프리폼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이들 프리폼의 중공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용품(예컨대, 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리폼은 적어도 제1 재료 및 이 제1 재료와 상이한 제2 재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프리폼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의 연속적인 단계, 즉:
i) 제1 중심축을 갖는 제1 주입 노즐을 통하여, 내부 코어 로드와 프리폼 주형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프리폼 공동 내로의 제1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미완성 프리폼(incomplete preform)을 형성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프리폼 공동은 제1 재료가 상기 프리폼 공동 내에 완전하게 주입된 후 미완성 프리폼 내에 적어도 하나의 빈 체적부를 남겨두도록 형성됨 - 와,
ii) 제2 중심축을 갖는 제2 주입 노즐을 통하여 제2 재료를 빈 체적부 내로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중심축과 제2 중심축은 동심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닥부 영역과 측벽 영역을 포함하는 신규한 프리폼에 관한 것이며, 바닥부 영역은 전체적으로 제1 재료로 이루어지고 측벽 영역은 제2 재료에 의해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체적부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제1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제1 재료는 프리폼의 바닥부 영역 내에 주입될 수 있으며, 반면 제2 재료는 프리폼의 측벽 영역 내에 주입될 수 있다.
그 후, 프리폼은 종래의 중공 성형 또는 연신 중공 성형 기술에 의해 중공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특징, 태양 및 이점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읽음으로써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특별히 지적하고 명확하게 청구하는 청구의 범위로 끝맺고 있지만, 본 발명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는 첨부 도면과 관련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후속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 1은 3개의 영역(목부, 측벽 및 바닥부)을 나타낸 통상의 프리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2단계 주입 공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병을 제조하기 위하여 도 2의 공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프리폼의 중공 성형(예컨대, 연신 중공 성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주입 및 중공 성형 단계가 동일한 기계 상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4단계 사출 중공 성형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연신 중공 성형 스테이션에 앞서 조절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는 대안적인 4단계 사출 중공 성형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각각 2개의 도면, 즉 본 발명에 따라 2가지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폼의 예인 우측 도면 및 적합한 주형 내에서 우측의 프리폼을 중공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병의 예인 좌측의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리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리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재료가 제1 주형 공동 내에 완전하게 주입된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리폼을 제조하는 데에 유용한 제1 프리폼 주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재료가 제2 주형 공동 내에 완전하게 주입된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리폼을 제조하는 데에 유용한 제1 프리폼 주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1 재료가 제1 주형 공동 내에 완전하게 주입된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리폼을 제조하는 데에 유용한 제1 프리폼 주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 재료가 제2 주형 공동 내에 완전하게 주입된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리폼을 제조하는 데에 유용한 제1 프리폼 주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특별히 지시하고 명확하게 청구하는 청구의 범위로 끝맺고 있지만,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추가로 설명하고 입증하는 하기의 설명과 예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만 주어지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수의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인용된 모든 참고 문헌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발명에 참고로 포함된다. 어떠 한 문헌의 인용도 청구된 본 발명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의 유용성에 관한 임의의 결정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은 다른 단계 및 다른 성분들이 추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이루어진" 및 "본질적으로 이루어진"이라는 용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병"이라는 용어는 중공 성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임의의 중공형 용품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병은 바람직하게는 액체, 고체 또는 반고체와 같은 임의의 종류의 물질을 위한 용기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병이라는 용어는 용품의 특정하게 의도된 용도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병"이라는 용어는 화장용 제품(예컨대, 샴푸, 크림 등), 식용 제품(예컨대, 우유, 청량 음료(soft drink), 조미료 등), 화학 제품 등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는 용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프리폼"이라는 용어는 코어 로드와 프리폼 주형 공동 사이에서의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며 병으로 (연신) 중공 성형되도록 된 "시험관" 형상의 중간체를 지칭한다. 프리폼의 목부는 중공 성형 공정 중에 사실상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는 반면, 프리폼의 잔여부는 상당하게 팽창할 것이다. 프리폼은 때때로 "패리슨"(parison)으로 부적절하게 불리지만, 이러한 용어는 압출 공정 중에 형성되는 압출된 튜브형 중간체를 지칭하도록 남겨두어야 한다. 프리폼의 단면은 요망되는 최종 병 형상에 따라 원통형 또는 비원통형, 예컨대 타원형, 모서리가 둥근 정사각형/직사각형, 삼각형, 비대칭형 등일 수도 있다.
"주입 노즐의 중심축"이라는 용어는 상기 주입 노즐의 중심을 통해 연장하는 축을 지칭한다.
재료의 "주입 지점"이라는 용어는 재료가 노즐로부터 주형 내로 그를 통해 주입되는 완성된 프리폼의 영역을 지칭한다.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통상적으로, 이 주입 지점은 원형이며, 통상 둥근 형태이고 약간 울퉁불퉁함으로써 완성된 프리폼 및 심지어는 중공 성형된 용품에서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프리폼의 목부 영역"이라는 용어는 중공 성형 공정 중에 연신되지 않고 보통 병의 뚜껑이 부착될 프리폼의 상부 부분을 지칭한다. 목부 영역은 프리폼의 입구(mouth)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프리폼의 바닥부 영역"이라는 용어는 목부 영역과 정반대이고 일정한 단면을 갖지 않는 프리폼의 부분을 지칭한다.
"프리폼의 측벽 영역"이라는 용어는 사실상 일정한 단면을 갖는 목부 영역과 바닥부 영역 사이의 프리폼의 부분을 지칭한다.
도 1은 단일 재료로 이루어진 프리폼(1)을 도시하며, 이는 목부 영역(1a), 측벽 영역(1b) 및 바닥부 영역(1c)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미완성 프리폼"이라는 용어는 부분적으로만 성형되어 프리폼이 병으로 중공 성형되기(blown) 전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재료에 의해 이후에 충전될 수도 있는 적어도 하나의 빈 체적부를 포함하는 프리폼을 지칭한다. 빈 체적부는 프리폼의 벽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할 수도 있지만(이 경우, 이는 구멍으로 지칭될 수 있음), 체적부는 벽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이는 리세스로 지칭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리폼을 형성하기 위한 용융된 플라스틱 재료의 주입과 프리폼의 (연신) 중공 성형은 별개의 기계 상에서 수행된다.
제1 주입 스테이션(2)에서, 용융된 제1 플라스틱 재료(4)는 주입 노즐(6)을 통해 제1 주형 공동(8) 내로 주입된다. 이 주형 공동(8)은 외측이 제1 프리폼 주형(10)에 의해 그리고 내측이 프리폼 주형 내측에 중앙으로 위치된 내부 원통형 코어 로드(12)에 의해 한정된다. 제1 주입 노즐은 중심축을 가지며(도시의 명확함을 위하여 본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 이는 본 예에서 원통형 코어 로드와 동축이다. 이러한 제1 주형 공동은 제1 재료가 완전하게 주입된 후 최종 프리폼(15) 내의 적어도 하나의 체적부(14)를 빈 상태로 남겨두도록 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빈 체적부를 포함하는 이러한 프리폼은 본 명세서에서 "미완성" 프리폼(15)으로 지칭된다.
제1 재료가 완전하게 주입된 후 최종 프리폼 내의 적어도 하나의 체적부(14)를 빈 상태로 남겨두도록 된 제1 주형 공동을 얻기 위하여 다른 해결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리폼 주형의 내측에, 최종 미완성 프리폼(15) 내의 인쇄된(in-print) 하나(또는 그 이상)의 대응하는 빈 체적부에 의해 남겨질 (스테인레스강일 수도 있는) 주형 재료의 하나(또는 그 이상)의 돌출하는 체적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플라스틱 재료가 충분하게 냉각 되어 응고된 후, 제1 프리폼 주형이 개방될 수 있다. 코어 로드 및 그 상에 놓여 있는 미완성 프리폼(15)은 제2 주입 스테이션(16)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주입 스테이션(16)은 내부 코어 로드(12)와 제2 프리폼 주형(20)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 제2 프리폼 공동(1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프리폼 공동은 용융된 제2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빈 체적부(14)를 채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 프리폼 주형(20)의 폐쇄 후, 제2 재료(22)가 용융된 상태로 제2 중심축을 갖는 다른 주입 노즐(24)을 통해 빈 체적부(들)(14) 내로 주입되어 미완성 프리폼(1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성한다. 제1 주입 노즐의 중심축과 제2 주입 노즐의 중심축은 동축이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재료의 주입 시점에서의 제1 및 제2 재료의 각각의 온도는 재료의 효과적인 접합에 도움이 된다. 이는 간단한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도시 안된)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주입 단계는 동일한 프리폼 주형 내에서 수행될 수도 있는데, 상기 프리폼 주형은 용융된 제1 재료의 주입 중에 제2 재료에 의해 점유될 하나 이상의 빈 체적부를 차단시키는 가동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거 가능한 요소는 단계 ii) 전에 제거되어 상기 용융된 제2 재료가 제거 가능한 요소에 의해 이전에 점유된 적어도 하나의 빈 체적부 내에 주입될 수 있다. 그 후, 제1 및 제2 재료는 상이한 중심축을 갖는 주입 노즐을 통해 주입될 수 있다. 통상, 상이한 주입 노즐이 사용될 것인데, 이는 그렇지 않을 경우에 동일한 노즐은 프리폼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주형의 가동 요소가 교 환될 수도 있고, 따라서 동일한 주입 기계로 다양한 설계 및 형상을 얻을 수 있다는 것 또한 고려한다. 비가동식이지만, 교환 가능한 삽입체가 기계의 주형 공동 내에서 사용되어, 역시 주입 기계의 다기능성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것 또한 고려한다.
도 2의 개략적인 도면에서, 단지 하나의 빈 체적부(14)만을 도시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미완성 프리폼 내의 수개의 빈 체적부가 다중 헤드를 구비한 주입 노즐을 사용하여 제2 재료로 연속적으로 채워질 수도 있다는 것이 명확하다. 선택적으로 다중 헤드 주입 노즐이 장착된 주입 스테이션은 칫솔 손잡이 또는 이동 전화 본체와 같은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들로 이루어지는 복합 대상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출 성형 산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들 주입 스테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및/또는 제2 주입 스테이션으로서 역할하도록 본 발명에 용이하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재료(22)는 제1 재료(4)와 상이하다. 상이하다는 것은 제1 재료 조성이 제2 재료 조성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제1 및 제2 재료가 상이한 시각적 외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재료는 상이한 안료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하나의 재료는 착색되지 않은 반면 다른 하나의 재료는 안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2 재료가 주입된 때 제1 재료에 적절하게 "융접"(weld)되고 프리폼이 후속적으로 중공 성형될 때 균열이 쉽게 발생하지 않도록 제1 재료 및 제2 재료가 유사한 물리적 특성들을 갖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재료는 동일한 플라스틱 유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통상의 열가소성 재료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글리콜 개질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폴리사이클로헥실렌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글리콜 개질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G), 산 개질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A), 비스페놀-A 폴리카보네이트, 비스페놀-A 폴리카보네이트와의 폴리에스테르의 블렌드,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중합체, 폴리에틸렌(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다른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다른 합성 수지,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바람직한 재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글리콜 개질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폴리사이클로헥실렌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글리콜 개질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G), 산 개질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A), 비스페놀-A 폴리카보네이트, 비스페놀-A 폴리카보네이트와의 폴리에스테르의 블렌드,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특히 프리폼이 연신 중공 성형될 경우의 더욱 더 바람직한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글 리콜 개질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폴리사이클로헥실렌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글리콜 개질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G), 산 개질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다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A), 비스페놀-A 폴리카보네이트, 비스페놀-A 폴리카보네이트와의 폴리에스테르의 블렌드,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상이한 유형의 플라스틱 재료들이 사용될 때, 이들은 가능한 한 상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영국 특허 제2,191,145호의 도 7은 압출(사출이 아님) 환경에서 통상적인 플라스틱 재료들에 대한 상용성 표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표는 본 발명의 재료를 선택하는 데에 유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ETG는 융접 선(재료들 사이의 경계)의 강도와 관련하여 우수한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상의 결과, 특히 재료들 사이의 최상의 가능한 접합 강도를 얻기 위하여, 빈 체적부는 프리폼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하지 않는 것, 달리 말하면 빈 체적부가 리세스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 리세스는 프리폼의 외부 표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재료는 프리폼의 바닥부 영역 내에 주입되어 프리폼의 측벽 영역의 외부 표면 상에 리세스를 갖는 미완성 프리폼을 이루며, 제2 재료는 프리폼의 측벽 내의 일부 위치에 주입되어 상기 리세스를 채우고 프리폼을 완성한다. 그러면, 프리폼의 바닥부 영역이 바람직하게 전체적으로 제1 재료로 이루어진다.
프리폼은 제2 재료의 주입 후 전체적으로 완성될 수도 있지만, 프리폼은 예 컨대 제3 또는 그 이상의 재료가 남아 있는 빈 체적부 내에 추가로 주입되는 실시예에서 제2 재료의 주입 후에 부분적으로만 완성될 수도 있다는 것 또한 고려한다.
도 2의 실시예로 돌아가면, 제2 재료가 주입되고 프리폼이 완성된 후, 제2 프리폼 주형(20)이 개방되고, 완성된 프리폼(26)이 그 상에 놓여 있는 코어 로드(12)는 완성된 프리폼이 코어 로드(12)로부터 안전하게 제거되는 제거 섹션(28)으로 회전된다. 코어 로드는 새로운 사이클을 시작하도록 제1 프리폼 주형으로 되돌아 회전할 수도 있다.
이제, 완성된 프리폼은 병을 형성하도록 (연신) 중공 성형될 수 있다. 당연히, 완성된 프리폼은 동일한 제조 위치에서 (연신) 중공 성형될 수 있으며, 또는 저장되어 특화된 중공 성형 위치로 대량으로 이후 운반될 수 있다. 보통의 프리폼에 대한 표준 연신 중공 성형 공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프리폼(26)은 프리폼 컨베이어(30) 상에 배치되어 이들이 더욱 연신될 수 있도록 가열 유닛(32)에 의해 재가열되며, 그 후 종래의 중공 주형 공동(36) 내의 연신 로드(3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부풀리기 위하여 연신 로드 내의 밸브를 통과하는 압축 공기(또는 다른 기체) 및 연신 로드(34) 자체의 연속적인 작용은 프리폼 주형 내측에서 프리폼 본체를 연신시킨다. 그 후, 중공 주형이 개방되고 완성된 병(38)이 배출된다. 표준 비연신 중공 성형 공정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공정과 유사하지만 더 자동화된 4단계 공정을 도시한다. 이러한 공정에서, 제1 주입 단계 및 제2 주입 단계는 도 2에서 논의 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사한 주입 스테이션(2, 1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코어 로드 상에 놓여 있는 완성된 프리폼(26)은 제2 주입 스테이션 후 중공 성형 스테이션(40)으로 바로 회전될 수 있다. 그 후, 압축 공기 또는 다른 기체가 프리폼 본체를 부풀려서 중공 주형(36)의 형상을 취하도록 코어 로드(12) 내의 하나 이상의 밸브를 통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단계에서, 코어 로드(12)는 또한 후퇴되고, 연신 중공 성형하도록 된 연신 로드가 프리폼의 목부를 통해 프리폼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 후, 중공 주형이 개방되고 최종 병(38)이 배출 스테이션(42)에서 배출될 수 있다. 그 후, 코어 로드는 제1 주입 스테이션(2)으로 다시 회전될 수 있어, 새로운 사이클이 개시될 수 있다. 물론, 기계는 주입 단계, 중공 성형 단계 및 배출 단계가 상이한 프리폼/병으로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최대 4개의 코어 로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4단계 공정의 다른 예이다. 이러한 공정에서, 제2 주입 스테이션(16) 후에 얻어지는 완성된 프리폼(26)은 히터(46)를 포함하는 조절(conditioning) 스테이션(44)으로 회전되며, 여기서 완성된 프리폼은 중공 성형 및 배출 스테이션(48)에서의 중공 성형 단계에 앞서 재가열된다. 최종 병(38)이 중공 주형(40)으로부터 최종적으로 배출된다.
도 4 및 도 5의 공정은 프리폼이 최종 제품으로 즉시 변환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그러나, 이들 공정에 사용되는 기계는 주입 및 중공 성형 단계가 상이한 기계 상에서 수행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2단계 공정을 사용할 수 있 는 기계보다 복잡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2가지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폼 및 공정을 기술하고 있지만, 3가지 이상의 재료의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는 것 또한 고려한다. 예를 들면, 제3 또는 그 이상의 주입 스테이션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공정에 부가될 수도 있다.
완성된 프리폼 내의 제1 및 제2 재료의 분포는 사용된 프리폼 주형의 형상에 의해 양호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얻어지는 프리폼은 아주 일관되게 재생될 수도 있다. 더욱이, 제1 재료와 제2 재료 사이의 경계가 명확하다. 이러한 결과는 종래 기술의 문헌인 국제특허공보 WO97/21539호에 개시된 공정에 의해서는 얻어질 수 없었던 것이며, 본 발명에 청구된 방법에 따라 얻어질 수 있는 프리폼은 신규한 것으로 여겨진다.
전술한 바람직한 공정 외의 다른 공정이 이러한 신규한 프리폼을 얻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일한 제1 재료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완전한(완전하게 형성된) 프리폼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이 프리폼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체적부는 미완성 프리폼을 형성하도록 프리폼으로부터 밀링(milled)되며, 이어서 이러한 미완성 프리폼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주입 주형을 사용하여 빈 체적부(들) 내의 제2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미완성 프리폼이 추가의 주입을 위하여 제1 주형으로 복귀된다면, 이는 2개의 사출 성형 스테이션에 대한 필요성을 방지한다. 제2 노즐을 통한 제2 재료의 주입은 기계 비용을 증가시킬 수도 있지만, 특히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병의 측벽 상의 내포부(inclusion)를 얻기 위하여 제2 재료 내로의 제1 재료의 분포의 보다 넓은 범위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재료의 주입을 위한 제2 주형의 사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재료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에 대해 다양한 형상과 형태로 분포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 재료가 취할 수 있는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문자, 단어 등을 포함한다.
도 6은 제1 재료(4)로 이루어진 연속 매트릭스 내의 제2 재료(22)의 다수의 내포부를 갖는 병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에서, 눈금은 제2 재료(22)에 의해 형성되어, 제2 재료가 투명한 경우 병 내에 남아 있는 내용물의 비율을 더욱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게 한다.
도 8은 라벨의 틀을 만드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넓은 색상 패널을 갖는 병을 도시한다.
도 9는 표준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라벨을 적용하기 어려운 병의 영역 내에 제2 재료가 분포되는 곡선형 병을 도시한다.
도 10은 프리폼 및 병이 문자 또는 로고를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은 제2 재료의 수개의 링(ring)이 프리폼의 측벽의 외부 표면 내에 삽입된 프리폼을 도시한다. 도시된 링은 파형이지만, 이는 직선형일 수도 있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리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리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 재료가 제1 주형 공동 내에 완전하게 주입된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리폼을 제조하는 데에 유용한 제1 프리폼 주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경우에는 3개인 빈 체적부(14)가 제1 재료의 주입 후 빈 상태로 남아 있다. 제1 노즐(6)의 제1 중심축(54)은, 본 발명에서 항상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이 경우에는 내부 코어 로드(12)의 중심축과 동축이다.
도 15는 제2 재료가 제2 주형 공동 내에 완전하게 주입된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리폼을 제조하는 데에 유용한 제1 프리폼 주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제2 주입 노즐(24a, 24b, 24c)의 제2 중심축(56a, 56b, 56c)은 제1 주입 노즐의 제1 중심축(54)과 동축이 아니다.
도 16은 제1 재료가 제1 주형 공동 내에 완전하게 주입된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리폼을 제조하는 데에 유용한 제1 프리폼 주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2 재료가 제2 주형 공동 내에 완전하게 주입된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리폼을 제조하는 데에 유용한 제1 프리폼 주형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1 주입 노즐(6)의 제1 중심축(54)은 제2 주입 노즐(24a, 24b, 24c)의 제2 중심축(56a, 56b, 56c) 중 어떠한 중심축과도 동축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2가지의 재료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프리폼 및 병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재료는 병 내에서 정밀하고 재생 가능한 분포를 갖는다. 요망되는 병의 설계에서 시작하여, 필요로 하는 프리폼 및 중공 주형은 예컨대 유한 요소 해석(Finite Element Analysis; FEA) 툴(tool)과 같은 컴퓨 터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설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병은 우측에 도시된 프리폼을 중공 성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결과의 유형을 도시한다.
제1 재료의 주입 지점(50)과 제2 재료의 주입 지점(52)은 프리폼의 상이한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재료를 위한 주입 지점들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프리폼의 재료의 보다 정교한 재분할이 가능한데,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폼의 측벽 내에 제2 재료의 내포부를 얻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종래 기술에서는 개시되지 않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재료의 주입 지점(50)과 제2 재료의 주입 지점(52)은 모두 완성된 프리폼의 표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재료의 주입 지점(50)과 제2 재료의 주입 지점(52)은 서로 적어도 5 ㎜, 바람직하게는 10 ㎜ 이격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제1 재료의 주입 지점(50)이 완성된 프리폼의 바닥부 영역에 있고, 제2 재료의 주입 지점(52a, 52b, 52c)이 완성된 프리폼의 측벽에 있는 프리폼을 도시한다.
제1 및 제2 재료는 중첩되는 수평한 층들로 분포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재료는 벽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제2 재료가 벽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하지 않는 프리폼의 측벽 영역 내의 리세스를 단지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프리폼 및 병은 그들의 장식적인 기능 외에 다음과 같은 추가의 특징들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료(4)가 불투명한 반면 제2 재료(22)가 투명한 경우, 사용자는 병을 개방하지 않고 얼마나 많은 내용물이 병에 남아 있는지를 보기 위하여 제2 재료를 통해 관찰할 수도 있다.
다른 특별한 효과가 또한 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또는 제2 재료는 열색성 착색제(thermochromic colorant)를 함유하여 상기 열색성 착색제를 함유한 성형된 병 또는 프리폼의 일부가 온도 변화에 노출된 때 색상이 변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색상 변화는 사용된 착색제에 따라 가역적이거나 비가역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병은 악덕 업자에 대항하여 위조 방지 수단으로서 또한 유용할 수도 있다. 화장품과 같은 고가 제품의 위조는 증가하고 있는 문제이고, 위조자는 상이한 색상의 2가지의 내장 재료를 갖는 병을 복사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병이 단지 하나의 전체적인 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다른 가능성은 통상의 상태에서 동일한 색상을 갖는 제1 및 제2 재료를 사용하지만 이들 재료 중 하나에 UV 반응성 제제를 첨가하는 것이다. UV 반응성 제제는 위조 지폐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휴대용 검출기일 수 있는 적절한 UV 램프에 의해 조사될 때 빛을 낸다. 이는 세관 또는 시장과 같은 장소에서의 용이한 위조 통제 수단일 것이다.

Claims (13)

  1. 병으로의 중공 성형에 이용될 수 있으며 제1 재료 및 이 제1 재료와 상이한 제2 재료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i) 제1 중심축을 갖는 제1 주입 노즐을 통하여 내부 코어 로드와 프리폼 주형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프리폼 공동 내로의 제1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미완성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프리폼 공동은 제1 재료가 상기 프리폼 공동 내에 완전하게 주입된 후 미완성 프리폼 내에 빈 체적부를 남겨두도록 형성됨 - 와,
    ii) 제2 중심축을 갖는 제2 주입 노즐을 통하여 제2 재료를 빈 체적부 내로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중심축과 제2 중심축은 동심이 아닌 프리폼 제조 방법.
  2. 병으로의 중공 성형에 이용될 수 있으며 제1 재료 및 이 제1 재료와 상이한 제2 재료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폼으로서,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프리폼.
  3. 제1 재료 및 이 제1 재료와 상이한 제2 재료를 포함하는 병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i) 제1 중심축을 갖는 제1 주입 노즐을 통하여 내부 코어 로드와 프리폼 주형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프리폼 공동 내로의 제1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미완성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프리폼 공동은 제1 재료가 상기 프리폼 공동 내에 완전하게 주입된 후 미완성 프리폼 내에 빈 체적부를 남겨두도록 형성됨 - 와,
    ii) 제1 중심축과 동축이 아닌 제2 중심축을 갖는 제2 주입 노즐을 통하여 제2 재료를 빈 체적부 내로 주입하여 병으로의 중공 성형에 이용될 수 있는 프리폼을 형성하는 단계와,
    iii) 상기 프리폼을 병으로 중공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폼 제조 방법.
  4. 제1 재료 및 이 제1 재료와 상이한 제2 재료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병으로서, 제3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병.
  5. 제 2 항에 있어서,
    제1 재료의 주입 지점과 제2 재료의 주입 지점은 모두 완성된 프리폼의 표면에 있는 프리폼.
  6. 삭제
  7. 삭제
  8. 제1 재료 및 제2 재료로 이루어지는 병을 얻는 방법으로서, 제5항에 따른 프리폼을 중공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폼 제조 방법.
  9. 제1 재료 및 상이한 제2 재료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병으로서, 제5항에 따른 프리폼을 중공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병.
  10.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은 외부 표면을 갖고, 바닥부 영역과 측벽 영역을 포함하며, 바닥부 영역은 전체적으로 제1 재료로 이루어지고 측벽 영역은 제2 재료에 의해 채워지는 체적부를 제외하고는 제1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부는 측벽 영역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하지 않는 프리폼의 외부 표면 상의 리세스인 프리폼.
  12. 제1 재료 및 제2 재료로 이루어지는 병을 얻는 방법으로서, 제10항에 따른 프리폼을 중공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폼 제조 방법.
  13. 제1 재료 및 제2 재료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병으로서, 제10항에 따른 프리폼을 중공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병.
KR1020067015491A 2004-02-02 2005-02-01 2가지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폼 및 이를 얻기 위한방법 KR100848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250540.4 2004-02-02
EP04250540 2004-02-02
EP04023789.3 2004-10-06
EP04023789 2004-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675A KR20060132675A (ko) 2006-12-21
KR100848520B1 true KR100848520B1 (ko) 2008-07-25

Family

ID=348097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491A KR100848520B1 (ko) 2004-02-02 2005-02-01 2가지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폼 및 이를 얻기 위한방법
KR1020067015490A KR100808038B1 (ko) 2004-02-02 2005-02-01 2가지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폼 및 이를 얻기 위한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490A KR100808038B1 (ko) 2004-02-02 2005-02-01 2가지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폼 및 이를 얻기 위한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20050170114A1 (ko)
EP (2) EP1559529A3 (ko)
JP (2) JP2007521990A (ko)
KR (2) KR100848520B1 (ko)
CN (2) CN1914018B (ko)
AT (1) ATE450356T1 (ko)
AU (2) AU2005210653B8 (ko)
CA (2) CA2554319A1 (ko)
DE (1) DE602005017955D1 (ko)
WO (2) WO20050751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59529A3 (en) * 2004-02-02 2005-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forms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US20060165930A1 (en) * 2005-01-24 2006-07-27 Easterday Dyke T Injection-molding process and apparatus using blow-mold resin
US8734923B2 (en) * 2005-03-15 2014-05-27 Colgate-Palmolive Company Blow molded polyester container with an over-molded thermoplastic layer
US8192812B2 (en) * 2005-03-15 2012-06-05 The Coca-Cola Company Overmolded contai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US20080251492A1 (en) * 2005-03-15 2008-10-16 Colgate-Palmolive Company Overmolded Containers With Improved Gripping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7694734B2 (en) * 2005-10-31 2010-04-13 Baker Hughe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ulating a resonator downhole
ES2585358T3 (es) 2006-05-04 2016-10-05 Resilux Preforma y recipiente para productos radiosensibles y método para su fabricación
US20080118686A1 (en) * 2006-11-20 2008-05-22 Katherine Glasgow Injection blow molding process and article
JP5029879B2 (ja) * 2007-01-31 2012-09-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ブロー成形容器及びその成形方法
DE102007029508A1 (de) * 2007-06-25 2009-01-08 Andreas Brenn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Hohlkörperproduktes mit aufgespritzter zweiter Komponente
US20090162589A1 (en) * 2007-12-20 2009-06-25 Karl Buchanan Polyester compositions having reduced gas permeation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WO2009098674A2 (en) * 2008-02-09 2009-08-13 Alan Joseph Bauer Pet preform for a transiently-extant drink bottle
BE1018460A5 (nl) 2008-02-12 2010-12-07 Resilux Kleurvoorvorm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hiervan tot een polychromatische kunststofbehouder.
US8212226B2 (en) * 2008-03-13 2012-07-03 Rexam Healthcare Packaging Inc.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having molded-in-security features
JP5262313B2 (ja) * 2008-06-06 2013-08-14 凸版印刷株式会社 ブロー成型容器
EP2517792B1 (en) 2008-07-21 2013-12-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nsity phase separation device
CN104588140B (zh) 2008-07-21 2016-06-29 贝克顿·迪金森公司 密度相分离装置
MX366109B (es) 2008-07-21 2019-06-26 Becton Dickinson Co Dispositivo de separacion de fases por densidad.
JP5273528B2 (ja) * 2008-07-31 2013-08-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及びその成形方法
BR122021008555B1 (pt) 2009-05-15 2022-03-0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onjunto de separação para separar uma amostra de fluido em primeira fase e segunda fase
JP5365916B2 (ja) * 2009-05-29 2013-12-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厚肉成形品
GB0914702D0 (en) * 2009-08-22 2009-09-30 Reckitt Benckiser Nv Method
DE102010003350A1 (de) 2010-03-26 2011-09-29 Krones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Kunststoffbehältern
DE102010036103B4 (de) 2010-09-01 2018-11-08 Inotech Kunststofftechnik Gmbh Mehrkomponenten-Spritzguss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ülsenförmigen Vorformlings und Vorformling
DE102010055822B4 (de) * 2010-12-23 2013-09-26 Inotech Kunststofftechnik Gmbh Maschine und Verfahren zum Spritzblasen von Mehrkomponenten-Vorformlingen
EP2554353B1 (de) * 2011-08-05 2017-06-07 Trisa Hold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ahnbürste und Zahnbürste
US9510664B2 (en) 2011-11-22 2016-12-06 The Procter & Gamble Co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EP2782739B1 (en) 2011-11-22 2018-10-1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463593B2 (en) * 2011-11-22 2016-10-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420877B2 (en) 2011-11-22 2016-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US9756931B2 (en) 2011-11-22 2017-09-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aving an inner cavity
CA2864907C (en) 2012-02-24 2016-09-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gh thermal conductivity co-injection molding system
BE1020911B1 (nl) * 2012-11-30 2019-09-16 Resilux Werkwijze van overmoulding, i.h.b. bij voorvormelingen bestemd om omgevormd te worden tot behouders.
JP6115853B2 (ja) 2012-11-30 2017-04-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2軸延伸ブロー成形容器、その容器用プリフォーム及びそのプリフォームの射出成形装置
CA2909603C (en) 2013-05-13 2017-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constant pressure injection molding system with variable-position molding cavities
JP6415902B2 (ja) * 2014-08-28 2018-10-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リフォーム及びボトルの製造方法
US9694359B2 (en) 2014-11-13 2017-07-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chanical separator for a biological fluid
US9802347B2 (en) 2015-02-02 2017-10-31 Colgate-Palmolive Company Method of forming an oral care implement
US20160263798A1 (en) * 2015-03-09 2016-09-15 Li-Mei Liu Process of manufacturing cap of a cosmetic container by injection molding twice
WO2017012109A1 (en) 2015-07-23 2017-01-2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777446S1 (en) 2015-07-23 2017-01-3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handle
US20190315018A1 (en) 2016-11-18 2019-10-17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ed article, container and a method for the molding and recycling thereof
FR3069182A1 (fr) * 2017-07-21 2019-01-25 Ublo Machine de fabrication d'articles en plastique par soufflage.
US11040475B2 (en) 2017-09-08 2021-06-22 Graham Packaging Company, L.P. Vertically added processing for blow molding machine
EP3470195A1 (en) 2017-10-12 2019-04-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low molded article with visual effects
KR101900382B1 (ko) * 2017-11-28 2018-09-20 주식회사 정민 이중 화장품용기의 제조방법
WO2019145062A1 (en) 2018-01-23 2019-08-01 Foboha (Germany) Gmbh Injection molding device
US11046473B2 (en) 2018-07-17 2021-06-2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Blow molded article with visual effects
CN113015609B (zh) * 2018-08-30 2023-05-12 赫斯基注塑系统有限公司 具有快速连接和断开的模具
US11724847B2 (en) 2018-10-19 2023-08-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low molded article with debossing
CN113661037B (zh) 2019-04-11 2023-10-13 宝洁公司 具有视觉效果的吹塑制品
MX2022008435A (es) * 2020-01-08 2022-08-02 Procter & Gamble Articulo multicapa moldeado por soplado con gradiente de color.
CN111421741B (zh) * 2020-03-11 2022-10-04 宣城托新精密科技有限公司 汽车内饰件加工用双色注塑喷涂装置及方法
CN112238572B (zh) * 2020-08-27 2023-03-14 山东高速交通装备有限公司 一种含嵌件复合材料轨枕的注射成型设备及使用方法
CN218399382U (zh) * 2022-03-17 2023-01-31 鹿啄泉矿泉水有限公司 具有颜色渐变效果的瓶体以及瓶坯
WO2024053629A1 (ja) * 2022-09-06 2024-03-14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樹脂製容器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9011A (ja) * 1987-03-27 1988-10-05 Dainippon Printing Co Ltd 二軸延伸ブロ−成形用パリソン及びその成形方法
US20020058114A1 (en) * 2000-11-10 2002-05-16 Sung Chien Min Colored bottle blank and forming mold set with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3568A (en) * 1965-02-23 1967-09-26 Phillips Petroleum Co Extruded tubular article with clear stripe and translucent to opaque body
US4109813A (en) * 1973-03-21 1978-08-29 Valyi Emery I Composite plastic container
JPS5167361A (en) * 1974-12-06 1976-06-10 Yoshino Kogyosho Co Ltd Tatejimamoyoo jusuru burooseikeiseihinto sonoburooseikeiki
US4109579A (en) * 1976-10-29 1978-08-29 Carter Pol Development Corp. Practice ammunition device
JPS5928451B2 (ja) * 1976-12-28 1984-07-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多色の横縞模様壜体成形方法
US4347209A (en) * 1979-07-19 1982-08-31 Yoshino Kogyosho Co., Ltd. Method for molding elongated parisons
AU6757187A (en) * 1986-01-22 1987-07-23 Retief, C.T. Closure for a container
JPH0611516B2 (ja) * 1986-06-04 1994-02-16 エクセル株式会社 部分的に組成の異なる中空成形品及びその製造装置
JPS63114604A (ja) * 1986-10-31 1988-05-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壜口部の成形方法
JP2513227B2 (ja) * 1987-04-30 1996-07-03 ソニー株式会社 二色成形金型装置
NL8702312A (nl) * 1987-09-28 1989-04-17 Holland Colours Apeldoorn Bv Gekleurde houder uit polyester alsmede voorvorm voor een dergelijke gekleurde houder en e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gekleurde polyester houder.
JPH0298409A (ja) * 1988-10-04 1990-04-10 Toyo Seikan Kaisha Ltd 着色多層容器とその製造方法
JPH0376624A (ja) * 1989-08-18 1991-04-02 Kamaya Kagaku Kogyo Co Ltd 容器の射出形成方法及び容器の射出成形装置及び容器
JPH03111243A (ja) * 1989-09-14 1991-05-13 Kyoraku Co Ltd 異色材料の帯部を有する中空体
JP2999226B2 (ja) * 1990-06-19 2000-01-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二軸延伸ブロー成形容器の予備成形体の製造方法
JPH0457732A (ja) * 1990-06-25 1992-02-25 Dainippon Printing Co Ltd 耐熱ガスバリヤー性を有する二軸延伸ブロー成形容器
US5400911A (en) * 1992-07-01 1995-03-28 Mahajan; Gautam Plastic container with cup shaped integral base stand
JPH06270932A (ja) * 1993-03-15 1994-09-27 Meihoo:Kk ポリエステル成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と装置並びにインサート・ピース
DE4330451A1 (de) * 1993-09-09 1995-03-16 Werner Fro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pritzgegossenen Körpers und Spritzgußkörper
FR2730183B1 (fr) * 1995-02-07 1997-03-14 Oreal Procede d'obtention d'un recipient comportant des bandes decoratives, machine de coextrusion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et recipient obtenu par ce procede
US6217818B1 (en) * 1995-07-07 2001-04-17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king preform and container with crystallized neck finish
US5595799A (en) * 1995-12-14 1997-01-21 Dtl Technology Limited Partnership Coinjection molding of decorative preforms and containers produced from such preforms
US5965081A (en) * 1996-05-16 1999-10-12 The Coca-Cola Company Method of making side-gated preforms for use in blow molding plastic bottles
FR2754245B1 (fr) * 1996-10-07 1998-11-27 Oreal Recipient a bande(s) de couleur et/ou d'aspect differents
US6322738B1 (en) * 1997-07-24 2001-11-27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ethod of injection over-molding articles
US6352426B1 (en) * 1998-03-19 2002-03-05 Advanced Plastics Technologies, Ltd. Mold for injection molding multilayer preforms
US6649121B1 (en) 1999-10-08 2003-11-18 Taisei Kako Co., Ltd. Method of producing laminated bottles having peelable inner layer
US6682690B2 (en) * 2001-02-01 2004-01-27 Schmalbach-Lubreca Ag Core rod positioning method
US6740283B2 (en) * 2001-06-05 2004-05-25 Inoac Packaging Group Inc. Mold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using a side-gated injection mold with vacuum assist and resulting blow molded article
JP3996007B2 (ja) * 2002-07-30 2007-10-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ひび割れ模様を有する合成樹脂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EP1559529A3 (en) * 2004-02-02 2005-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forms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9011A (ja) * 1987-03-27 1988-10-05 Dainippon Printing Co Ltd 二軸延伸ブロ−成形用パリソン及びその成形方法
US20020058114A1 (en) * 2000-11-10 2002-05-16 Sung Chien Min Colored bottle blank and forming mold set with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17955D1 (de) 2010-01-14
EP1559529A2 (en) 2005-08-03
CA2554358A1 (en) 2005-08-18
CN1914018B (zh) 2012-07-11
WO2005075172A2 (en) 2005-08-18
CA2554319A1 (en) 2005-08-18
CA2554358C (en) 2011-12-06
EP1559530B1 (en) 2009-12-02
US20050170114A1 (en) 2005-08-04
US20090194915A1 (en) 2009-08-06
JP2007521991A (ja) 2007-08-09
AU2005210653B2 (en) 2008-11-13
KR20060129358A (ko) 2006-12-15
KR100808038B1 (ko) 2008-02-28
CN1914018A (zh) 2007-02-14
US20050170113A1 (en) 2005-08-04
EP1559529A3 (en) 2005-10-19
JP4562739B2 (ja) 2010-10-13
AU2005210653A1 (en) 2005-08-18
CN1914017A (zh) 2007-02-14
JP2007521990A (ja) 2007-08-09
AU2005210651A1 (en) 2005-08-18
KR20060132675A (ko) 2006-12-21
WO2005075173A1 (en) 2005-08-18
WO2005075172A3 (en) 2005-11-24
EP1559530A1 (en) 2005-08-03
AU2005210653B8 (en) 2008-12-11
ATE450356T1 (de) 2009-12-15
AU2005210651B2 (en)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520B1 (ko) 2가지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리폼 및 이를 얻기 위한방법
US8734923B2 (en) Blow molded polyester container with an over-molded thermoplastic layer
US6629834B2 (en) Apparatus for making a plastic container and closure combination
US5772056A (en) Plastic blow molded container
NZ231202A (en) Laminated plastics preform for blow moulded container; core of same material as surface layers
WO2012147501A1 (ja) プリフォームの射出成形装置、射出成形方法及び合成樹脂製壜体
EP1744962B1 (en) Method for forming a plastic article
EP2655198B1 (en) Container having a labeled textured surface
KR101682140B1 (ko) 투명유리 대용 페트 화장품용기의 제조방법
CN104822597B (zh) 合成树脂制有窗容器、预成型坯以及预成型坯的射出成型装置
EP0466947B1 (en) A process for molding a multiple layer structure and a container made therefrom
MXPA06008668A (en) Preforms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MXPA06008667A (en) Preforms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JPS60229730A (ja) 合成樹脂三層缶胴の製造方法
IE72977B1 (en) A process for molding a multiple layer structure and a container made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