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103B1 -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103B1
KR100847103B1 KR1020060116297A KR20060116297A KR100847103B1 KR 100847103 B1 KR100847103 B1 KR 100847103B1 KR 1020060116297 A KR1020060116297 A KR 1020060116297A KR 20060116297 A KR20060116297 A KR 20060116297A KR 100847103 B1 KR100847103 B1 KR 100847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uava
mushroom
fermente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372A (ko
Inventor
문상욱
서인수
Original Assignee
문상욱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욱,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문상욱
Publication of KR2007005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2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fung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4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그 용도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구아바 추출물을 버섯 균사체, 젖산균, 및/또는 효모로 발효시켜 얻어지는 구아바 발효 조성물과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항미생물제 조성물, 항염증제 조성물 및 아토피 개선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아바, 발효, 조성물, 항산화, 항미생물, 항염증, 아토피

Description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그 용도{FERMENTED GUAVA COMPOSITION AND US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활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iNOS 및 COX-2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NF-κB 의 생성 억제 활성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에오탁신-1의 생성 억제 활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구아바 추출물을 버섯 균사체, 젖산균, 및/또는 효모로 발효시켜 얻어지는 구아바 발효 조성물과,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항미생물제 조성물, 항염증제 조성물 및 아토피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아바(guajava)는 테르페노이드, 플라보노이드, 탄닌, 비타민, 여러 무기물질 등 여러 생리활성 물질을 지니고 있어 오래전부터 약용식물로 사용되어 온 식물이다.
특히 구아바는 항당뇨 활성, 항산화 활성, 항비만 활성, 항아토피 활성 등의 약리활성을 지닌다고 알려져 있다.
구아바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구아바의 약리활성에 착안하여 구아바를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이며, 다른 하나는 구아바의 약리활성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연구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26939호 등이 전자에 속하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119336호 등이 후자에 속한다.
본 발명은 상기 후자의 경우와 같이 구아바가 지니는 약리활성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관점에서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약리활성이 강화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미생물제 조성물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조성물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개선제 조성물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여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개시될 것이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구아바 발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보여지듯이, 구아바 잎을 극성 용매(구체적으로는 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식용버섯인 상황버섯균사체 및/또는 차가버섯균사체와 젖산균 및/또는 효모액으로 발효시켜 얻어진 구아바 발효 추출물이, 발효되기 전의 구아바 잎 추출물 보다는, 더 높은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 항미생물 활성 및 항아토피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 항미생물 활성 및/또는 항아토피 활성을 지니는 것으로서, 하기 (a) 및 (b)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것을 말한다.
(a) 구아바 잎을 극성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b) 그 추출물에 식용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구아바"란 일차적으로는 식물 분류학상 페시디움 속(Psidium sp .) 식물로서 구아바로 알려진 식물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구아바는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 사용된 페시디움 구아바(Psidium guajava L.) 뿐만 아니라, 구이사로(Guisaro; Psidium guinense SW.), 코스타 리칸 구아바(Costa Rican Guava; Psidium friendrichsthalianum Ndz.), 파라 구아바(Para Guava; Psidium acutangulum DC.)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한편, 캐틀레이 구아바(Cattley Guava), 스트로우베리 구아바(Strawberry Guava), 브라질리안 구아바(Brazilian Guava; Feijoa sellowiana Berg.). 구아바 베리(Guavaberry; Myrciaria floribunda Berg.), 파인애플 구아바(Pineapple Guava ; feijoa) 등 구아바의 유사 종으로 분류되고 있는 식물의 경우도,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기초하는 한, 상기 식물의 잎을 극성 용매로 추출하고, 그 추출물을 버섯 균사체(및/또는 젖산균, 효모)로 발효시킬 경우에, 그 발효물이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 항미생물 활성 및/또는 항아토피 활성을 가질 것인가에 대한 예측, 확인·선별이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 속하는 이상, 상기 "구아바"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 된다.
이처럼,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구아바"는 식물 분류학상 페시디움 속 식물로서 구아바로 알려진 식물 이외에 상기 열거한 구아바 유사 종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사용되고 실제 검증된 페시디움 구아바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극성 용매"란 극성을 띤 분자로 이루어진 용매를 의미하는데, 예컨대 물, 증류수, 에탄올 등의 탄소수가 5 이하의 저급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추출물"이란 액상 형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컨대, 상기 구아바 잎을 알콜을 사용하여 추출할 경우, 그 추출물에 알콜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버섯 균사체가 생육하기에 적당하지 아니하므로, 이 때는 버섯 균사체에 의한 발효에 그 알콜이 제거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사용하거나 그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물 등의 적당한 용매로 용해 또는 희석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는 극성 용매인 물을 사용하였고, 그 얻어진 추출물을 고형분 함량이 20%가 될 때까지 농축시켜 버섯 균사체의 배양에 사용하였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식용버섯"이란 사람이 식품 또는 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버섯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식용버섯에는 예컨대, 느타리 버섯, 노랑느타리버섯, 잣버섯, 벚꽃버섯(밤버섯), 붉은산무명버섯, 연기색만가닥버섯, 자주졸각버섯, 졸각버섯, 혹깔때기버섯, 하늘색깔때기버섯, 민자주방망이버섯, 왕송이버섯, 뽕나무버섯, 흰우단버섯, 굽은애기버섯, 끈적긴뿌리버섯, 긴뿌리버섯, 팽이버섯, 달걀버섯, 노란달걀버섯, 흰달걀버섯, 붉은점박이광대버섯, 우산버섯, 흰우산버섯, 흰비단털버섯, 풀버섯, 노란난버섯, 큰갓버섯, 주름버섯, 먹물버섯, 족제비눈물버섯, 개암버섯, 무리우산버섯, 붉은비단그물버섯, 기 와버섯, 젖버섯, 꾀꼬리버섯, 나팔버섯, 흰국수버섯, 좀나무싸리버섯, 노루궁뎅이버섯, 턱수염버섯, 향버섯(능이), 까치버섯, 흰굴뚝버섯, 붉은덕다리버섯, 말징버섯, 말불버섯, 말뚝버섯, 망태버섯, 노랑망태버섯, 목이버섯, 털목이버섯, 흰목이버섯, 곰보버섯, 영지버섯, 신령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복령버섯, 장주버섯, 잎새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능이버섯, 저령버섯, 표고버섯, 송이버섯, 잣버섯, 구름버섯, 꽃송이버섯, 치마버섯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상황버섯 또는 차가버섯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항산화활성"이란 활성산소종(일중항산소(singlet oxygen), 과산소음이온(superoxide anion), 슈퍼옥시라디칼,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등)을 소거시키거나 그 증가를 억제하거나 그 유해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직접적으로 검증된 전자공여활성, 지질과산화물의 생성 저해 활성, 크산틴산화효소의 억제 활성, 과산소음이온의 소거 활성 및/또는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활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항미생물 활성"이란 미생물의 종류를 불문하고 미생물을 사멸시키거나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활성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 실험에에서 그 항미생물 활성이 확인된 스타필로코쿠스(Staphylococcus sp .), 바실러스(Bacillus sp .), 서브틸러스(subtilis sp .), 비브리오(Vibro sp .) 및/또는 대장균(Escherichia sp.)을 사멸시키거나 그 증식을 억제시키는 활성을 의미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하기 실험에에서 그 항미생물 활성이 확인된 각각의 미생물을 의미한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항염증 활성"이란 염증을 치료하거나, 경감시키거나, 예방하는 활성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하기 실험예에서 직접적으로 확인된 산화질소(NO) 생성의 억제 활성, 유도성 산화질소 생성효소(iNOS)의 발현 억제 활성, 시클로옥시게나제-2(COX-2)의 발현 억제 활성 및/또는 NF-κB의 발현 억제 활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항아토피 활성"이란 아토피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의미하는데, 마찬가지로 구체적으로는 에오탁신-1의 발현 억제 활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얻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계 (b)의 추출물은 당이 첨가된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버섯 균사체에 그리고 후술하는 젖산균이나 효모에 탄소원/에너지원을 공급함으로써 발효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첨가되는 당은 버섯 균사체 등의 탄소원/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상관없는데, 예컨대, 올리고당, 유당, 포도당, 과당, 설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이 첨가되는 양은 단계 (b)의 추출물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얻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에, 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에 젖산균 및/또는 효모를 접종하여 추가로 발효시키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하기 실험예가 보여주 듯이, 구아바 잎의 추출물을 버섯 균사체만으로 발효시킨 경우보다 젖산균 및/또는 효모를 접종하여 추가로 발효시킨 경우가 그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항염증 활성 그리고 항아토피 활성이 모두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특히 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에 젖산균과 효모 모두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경우가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항염증 활성 그리고 항아토피 활성에 있어서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얻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에, 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에 젖산균 및 효모 모두를 접종하여 추가로 발효시키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얻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구아바 잎 추출물을 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키거나, 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젖산균이나 효모로 발효시킬 때, 각 발효 단계 이전에 구아바 잎 추출물 또는 그 발효물의 멸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타균에 의한 원치 않는 발효가 진행되는 것을 저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멸균 단계의 수행은 자외선 조사, 고압·고온 처리 등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얻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효 단계는 그것이 버섯 균사체에 의한 것이든, 젖산균에 의한 것이든 또는 효모에 의한 것이든 충분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충분히"란 버섯 균사체나 젖산균 또는 효모가 이미 최대로 증식함으로써 더 이상 증식하지 않는 단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발효되어야 충분히 발효된 것이냐는 발효 생물체 및 발효 온도와의 관계에서 결정되는데, 당업자라면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에서 특정 온도에서 생물체의 종류에 따라 충분히 발효되는 시간을 용이하게 확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하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섯 균사체의 경우는 25℃에서 약 15일 정도 발효를 수행하였고 젖산균 및 효모의 경우는 38℃에서 7일 정도 발효를 수행하였다.
가장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하기 <실시예 4 및 8>에 개시된 공정과 조건으로 발효시켜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하기 <실시예 4 및 8>에서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항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 항염증 활성 및/또는 항아토피 활성에 있어 가장 우수하였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하기 단계 (a) 내지 (f)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것을 말한다.
(a) 구아바 잎을 열수추출하여 그 여과액을 얻는 단계.
(b) 상기 여과액을 당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여과액과 당의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
(d) 상기 멸균된 혼합물에 상황버섯 균사체 또는 차가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상온에서 25℃에서 15일 이상 발효시키는 단계.
(e) 상기 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을 멸균하는 단계, 및
(f) 상기 멸균된 발효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를 접종하여 38℃에서 7일 이상 발효시키는 단계.
한편,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젖산균"이란 클루코스 등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젖산균은 락토바실러 스속 젖산균(Lactobacillus sp .), 스트렙토코쿠스속 젖산균(Streptococcus sp .), 페디오코쿠스속 젖산균(Pediococcus sp .), 류코노스톡속 젖산균(Leuconostoc sp .) 및 비피도박테리움속 젖산균(Bifidobacterium sp.)으로 대별되는데, 상기 젖산균은 이러한 모든 젖산균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다만, 하기 실시예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이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젖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 젖산균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특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효모"란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를 의미하며, 예컨대 사카로마이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ciae), 사카로마이세스 오비폴미스(Saccharomyces oviformis), 사카로마이세스 스테이네리(Saccharomyces steineri)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특허 실험예 1)는,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DPPH의 소거 활성,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 저해 활성, 과산소 음이온의 생성을 유발하는 크산틴산화효소의 억제 활성, 슈퍼옥사이드라디칼의 소거 활성,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발된 세포의 손상을 보호하는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항산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란 바람직한 양태를 포함하여 전술한 바의 모든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항산화"란 활성산소종, 예컨대 일중항산소, 과산소음이온, 슈퍼옥사이드라디칼, 과산화수소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거나 그 증상을 악화시키는 질병을 치료, 경감 또는 예방한다는 의미로서 정의된다. 활성산소종이 일으키거나 그 증상을 악화시키는 질병으로서는, 동맥경화, 중풍, 심근 경색, 기미, 주근깨, 잔주름, 암, 백혈병, 교원병(collagen disease)(膠原病, 피부, 관절, 혈관 등 신체의 결합조직에 이상이 생기는 모든 질병), 노화, 고지방혈증, 다발성경화증, 자가면역뇌척수염, 알츠하이머병, 장염, 남성의 생식 기능 저하 등을 들 수 있다(Harrison et al, Am J Cardiol, 2003, 2:91(3A), 7A-11A; Behrend et al, Biochem Soc Trans, 2003, 12:31, 1441-1444; Agarwal et al, Fertil Steril, 2003, 4:79(4), 829-843; Ames, B. N., Science, 1983. 221, 1256-1264; Harman, D,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1986, 3-49; Marracci GH et al., J Neuroimmunol, 2002, 131(1-2), 104-14; Perry G et al., Comp Biochem Physiol C Toxicol Phaarmacol, 2002, 133(4), 507-13; Cecchi C et al., Free Radic Biol Med, 2002, 15:33(10), 1372-9; Smith MA et al., Free Radic Biol Med, 2002, 1:33(9), 1194-9). 그러므로 상기 "항산화"란 구체적으로 상기 질병들 즉 동맥경화, 중풍, 심근 경색, 기미, 주근깨, 잔주름, 암, 백혈병, 교원병, 노화, 고지방혈증, 다발성경화증, 자가면역뇌척수염, 알츠하이머병, 장염, 남성의 생식 기능 저하 등을 치료, 경감 또는 예방한다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발명의 발효 구아바 조성물이 항산화활성을 갖는 한, 활성산소종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거나 그 증상을 악화시키는 기타의 질병에도 여전히 유효할 것이기 때문에, 상기 열거된 질병들은 어디까지나 예시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은 상기 질병들의 치료, 경감 또는 예방 목적으로 단독으로 환자에게 투여되거나, 상기 질병들의 다른 치료제 또는 다른 항산화제 예컨대, 하기 실험예에서 비교 물질로서 사용된 BHA(butylated hydroxy anisole), Trolox, WO 2004/037015에 개시된 조성물, 페닐 아미딘 유도체(대한민국 특허 제520096호) 등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인 구바아 발효 조성물은, 그 항산화제 조성물이 사용되는 용도 즉 어떠한 질병의 치료,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는가나 어떠한 담체(후술함)와 함께 사용되는가 등에 따라 그것이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양이 달라질 것인데, 통상적으로는 0.001 중량 % 내지 30 중량 %의 범위로 포함될 것이다.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 그 약리 효과는 앞서 예시한 질병을 포함하여 활성산소종이 일으키는 모든 질병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로서 파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앞서 열거한 질병들의 예방, 경 감 또는 치료 효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구아바 발효 조성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50 중량% 내지 약 9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약 0.1 중량 % 내지 약 2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것이 치료, 경감 또는 예방하고자 하는 질병의 특성에 따라 투여 방법이 결정되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항산화제 약제학적 조성물이 기미, 주근께 및/또는 피부노화를 치료, 경감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라면, 국소 투여 방식이 적합할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 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엘렉시르제,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경고, 도고제, 로션, 연고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인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포함되는 것 이외에,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또는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가 첨가될 수 있고,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콜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타우린,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감미제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는 특히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이 기미, 주근께, 피부노화 등의 치료, 경 감, 또는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구아바 발효 조성물 이외에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항산화제 화장품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율은 본 발명의 항산화제 화장품 조성물이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형태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 목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 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은 상기 화장품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그것이 기미, 주근께, 피부노화 등의 치료, 예방 또는 경감 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 등에는 비누 조성물로서도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비누 기재에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피부 보습제, 유화제, 경수연화제 등을 포함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이온 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 비누 기재나 첨가제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비누 기재는 일반적으로 비누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 중량 % 내지 99.999 중량 %로 첨가될 수 있으며, 첨가제는 1 중량 % 내지 2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항미생물"이란 미생물의 생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거나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성질을 의미한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미생물"이란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내는 모든 세균, 진균, 효모, 조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하기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본 발명자가 적용한 모든 미생물에 대해서 항미생물 활성을 보여주었다. 당업자라면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하기 실험예에 기초하는 한 하기 실험예에서 확인된 미생물 이외에도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항미생물 활성을 보이는 기타의 미생물을 확인·선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상기 "미생물"의 의미에는 하기 실시예에서 직접적으로 확인된 미생물 이외에도 당업자의 통상의 능 력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바에 기초하여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 기타의 모든 미생물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하기 상기 "미생물"은 하기 실험예가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대장균 (Escherichia sp .), 살모넬라 (Salmonella sp .), 바실러스 (Bacillus sp .), 스타필로코쿠스 (Staphylococcus sp .), 비브리오 (Vibrio sp .)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하기 실험예에서 항미생물 활성이 직접적으로 확인된 각각의 미생물들을 의미한다.
상기 본 발명의 항미생물 조성물은 바람직한 양태를 포함하여 상기 정의된 미생물이 직·간접적으로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유해한 현상들을 개선 또는 예방하는 데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항미생물제 등과 함께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상기에서 "유해한 현상"이란 그것이 개선 또는 예방된다면 인간에게 유익한 현상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그러한 것으로서는 인간, 동물, 또는 식물에게 발생하는 질병, 식품의 부패, 수질 또는 토양의 오염, 섬유의 부패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 상기에서 "미생물이 직접적으로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유해한 현상들"이란 해당 미생물의 생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면 그것으로 인하여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현상들로서 정의될 수 있는데, 그러한 것으로서는 예컨대, 살모넬라가 일으키는 티푸스성 질환이나 식중독(TAVECHIO, A.T.; GHILARDI, A.C.R.; PERESI, J.T. et al. Salmonella serotypes isolated from nonhuman sources in S Paulo, Brazil, from 1996 through 2000. J. Food protect., 65: 1041-1044, 2002), 스타필로코쿠스가 일으키는 봉와직염, 림프관염, 중이염(Steinberg, J.P., Clark, C.C., and Hackman, B.O. 1996. Nosocomial and community-acquired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s from 1980 to 1993: impact of intravascular devices and methicillin resistance. Clin. Infect. Dis. 23:255.259), 바실러스가 일으키는 동물이나 식물의 탄저병(Parkinson R, Rajic A, Jenson C. Investigation of an anthrax outbreak in Alberta in 1999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600, 138-4th Avenue Southeast, Calgary, Alberta T2G 4Z6.)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더라도 의도하는 바의 개선 또는 예방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또 상기에서 "미생물이 간접적으로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유해한 현상들"이란 그러한 현상을 개선 또는 예방하기 위해서 해당 미생물의 생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것이 바람직한(즉 더불어 요구되는) 현상들로서 정의될 수 있다. 미생물이 간접적으로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유해한 현상들의 예로서는 비브리오가 일으키는 패혈증(32. VIEIRA, R.H.S.F. & IARIA, S.T. - Vibrio parahaemolyticus in lobster Panulirus laevicauda (Latreille). Rev. Microbiol. (S. Paulo), 24: 16-21,1993), 대장균 0157이 일으키는 신장 조직 손상(Sherman P, Drumm B, Karmali M & Cutz E. Adherence of bacteria to the intestine in sporadic cases of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associated diarrhea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 prospective study.Gastroenterol, 1989;96:86-94)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이 간접적으로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인간에게 유해한 현상들에 대해서는 다른 항미생물제나 상기 현상들의 개선 또는 예방제와 함께 본 발명의 항미생물 조성물을 사용하면 상기 현상들을 보다 용이하게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패혈증의 경우 패혈증에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약물(예컨대, 릴리(Lilly Co.)사의 시그리스(Xigris)) 등과 함께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이 사용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있어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항미생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한 그 적용 양태나 항미생물성이 요구되는 정도(즉 유해한 현상의 유해한 정도) 등에 따라서 적절한 임의의 양으로 본 발명의 항미생물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충분한 항미생물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그 적용 양태나 항미생물성이 요구되는 정도를 불문하고 통상적으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그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1 중량 %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상 포함되면 무방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항미생물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구아바 발효 조성물 이외에도 분산제와 담체 그리고 기타의 항미생물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분산제로서 물, 알코올(예: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케톤(예: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 에테르(예: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셀로솔브,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등), 지방족 탄화수소(예: 헥산, 케로센 등), 방향족 탄화수소(예:벤젠, 톨루엔, 크실렌, 나프탈렌, 메틸 나프탈렌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클로로포름,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등), 산 아미드(예: 디메틸 포름아디드 등), 에스테르(예: 메틸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부틸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지방산 글리세린 에스테르 등), 니트롤(예: 아세토니트릴 등), 계면 활성제(고급 알코올 설페이트 에스테르, 알킬 설폰산, 알킬 알릴 설폰산, 4급 암모늄 염, 옥시 알킬 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알킬렌 옥시드 화합물, 안하이드로 소르비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는데, 상기 분산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본 발명의 항미생물 조성물에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담체의 경우로서는 점토(예: 카올린, 벤토나이트, 산 점토 등), 활석(예: 활석 분말, 납석 분말 등), 실리카(예: 규조토, 규산 무수물, 운모 분말 등), 알루미나, 황 분말, 활성탄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이들 담체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본 발명의 항미생물 조성물에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항미생물제의 경우는 카바크롤(carvacrol), 티몰(thymol), 시트랄(citral) (대한민국 특허 제438209호), 이소유제놀, 메틸유제놀(대한민국 특허 제427584호), 조릿대 엑기스(WO 2003/105878), 자영지(Ganoderma sinense) 추출물(대한민국 특허 제445405호), 이소디아졸론(isothiazolone) 화합물과 아미노카르복시산(WO 2000/13510)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이들 항미생물제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본 발명의 항미생물 조성물에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액체상, 고체상 및 기체상 중 임의의 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이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등 임의의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국소 투여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 방식의 제형은 정제, 환제, 분제, 액제, 식품 형태 등을 들 수 있으며, 비경구 방식의 제형은 주사제, 국소 투여제(크림, 연고 등), 좌약, 살포제(식물에 적용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국소 투여 방식의 제형은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을 천연 섬유나 합성 섬유로 된 담체에 함침시킨 것, 화장품이나 비누 등에 함유시킨 것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인간에게 유해한 현상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다면, 사람 뿐만 아니라 애완 동물이나 가축, 양식 어류 등을 포함한 동물이나 식물에도 투여/살포될 수 있으며, 방부제용으로서 식품에 첨가되어 질 수도 있고, 나아가 인간이 사용하는 섬유 제품 등에도 그 제품의 보존성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섬유 제품의 제조 시에 첨가되거나 제조 후에 도포되어 질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이 사람에 투여되기 위한 양태 즉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경우, 그 유효량, 투여방법, 제제화에 대해서는, 앞서 본 발명의 항산화제 약제학적 조성물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가 준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에, 그 약리효과는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항미생물 효과를 보이는 미생물이 일으키는 질병에 대한 치료, 경감 또는 예방 효과로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약리효과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실험예에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직접 적으로 항미생물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 대장균 (Escherichia sp .), 살모넬라 (Salmonella sp .), 바실러스 (Bacillus sp .), 스타필로코쿠스 (Staphylococcus sp.), 또는 비브리오 (Vibrio sp .)가 일으키는 질병에 대한 개선 또는 예방 효과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항미생물성 약제학적 조성물은 앞서 언급한 바 있는 대장균, 특히 대장균 0157가 일으키는 신장 조직 손상, 살모넬라가 일으키는 티푸스성 질환과 식중독, 비브리오가 일으키는 콜레라, 패혈증 및 장염, 스타필로코쿠스가 일으키는 절(癤), 봉와직염, 림프관염, 표저(felon), 중이염, 폐렴, 식중독, 및 패혈증 등에 대한 개선 또는 예방 효과를 가질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약제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구아바 조성물이 상기 미생물에 대해서 항미생물 효과를 지닌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항미생물성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미생물이 일으키는 질병들에 대해서 약리효과를 지닐 것임은 자명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약리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질병들은 어디까지나 예시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약리효과가 상기 예시된 질병들에 대한 약리효과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조성물로 파악된다.
염증은 조직 또는 세포가 손상되거나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등 외부 감염원에 감염되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이 발생할 경우에,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독소 등에 의해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의 발현이 유도됨으로서 L-아르기닌로부터 NO의 과다한 생성이 촉진되어 세포 조직의 괴사가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으며(Moncada, S et al., Pharmacol. Rev. 43: 109-142, 1991), 사이클로옥시게나제 2(cyclooxygenase 2; COX-2)는 통증 유발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을 합성함으로써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eisz A., Biochem. J., 316, pp209-215, 1996). 또한 NF-κB는 급성 염증반응의 주된 매개 인자로 알려져 있다(Oh, G. T. et al., Atherosclerosis, 159(1), pp17-26, 2001). 그러므로, 염증을 차단하는데 있어서, iNOS나 COX-2의 발현 억제나 NF-κB 생성 억제가 중요한 목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제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이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iNOS나 COX-2의 발현을 억제시킴과 함께 (간접적으로) NF-κB 생성을 저해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항염증"의 의미는 염증을 치료, 경감, 예방한다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염증,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등 외부 감염원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 또는 이 두 가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염증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며, 나아가 염증은 신체의 모든 부위 또는 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이 발생하는 부위나 기관을 불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므로 상기 "염증"의 의미에는 예컨대 관절염, 신장염, 간염, 방광염, 구강염 등이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항염증성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유효성분인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포함되는 양, 담체, 첨가제, 유효량, 투여방법, 제제화 등에 있어서는 상기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가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화장품을 제조하고 이를 아토피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사용하도록 한 결과, 아토피 증상을 개선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홀마커(hallmarker)로 여겨지고 있는 에오탁신-1(Mol. Med., 1996 May;2(3):334-348; J Immunol. 2000 Apr. 1;164(7):3847-54.) 생성을 억제함도 확인할 있었다.
본 발명의 아토피 개선제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조성물, 화장품 조성물, 또는 비누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있어서도 유효성분인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포함되는 양, 담체, 첨가제, 유효량, 투여방법, 제제화 등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본 발명의 항산화제 조성물에서 설명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1
시중에서 구입한 구아바(Psidium guajava L.)의 잎을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미세 분말을 만든 후, 분말 5 kg을 취하여 여기에 물을 100ℓ를 넣은 후, 95℃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시켜 10 ㎛ 이상의 입자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50℃에서 고형분 함량 20%가 될 때까지 농축한 후, 그 얻어진 농축물 2ℓ에 당밀 40g을 첨가하고, 120℃, 1.4기압 하에서 20분간 처리하여 농축물을 멸균하였다. 멸균된 농축물에 PDB(Potato Dextrose Broth)배지로 15일간 25℃, 110rpm 조건에서 배양된 상황버섯균사체( Phellinus linteus KCTC 4212) 배양액 100㎖를 넣은 후, 25℃에서 15일 동안 발효시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2>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2
살균 처리한 상기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약 2ℓ에 젖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ATCC8014) 배양액 100㎖를 첨가하여 38℃에서 7일 동 안 발효시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3>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3
살균 처리한 상기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약 2ℓ에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IFO0203) 배양액 100㎖를 첨가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4>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4
살균 처리한 상기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약 2ℓ에 젖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ATCC8014) 배양액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IFO0203) 배양액의 1:1 혼합물 100㎖를 첨가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5>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재료, 공정 및 조건으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되, 상황버섯균사체 배양액 대신에 차가버섯균사체(Inonotus obliquus; KCTC 18572) 배양액을 사용하여,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6
살균 처리한 상기 <실시예 5>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약 2ℓ에 젖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ATCC8014) 배양액 100㎖를 첨가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7>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7
살균 처리한 상기 <실시예 5>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약 2ℓ에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IFO0203) 배양액 100㎖를 첨가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8>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8
살균 처리한 상기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약 2ℓ에 젖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ATCC8014) 배양액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IFO0203) 배양액의 1:1 혼합물 100㎖를 첨가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 비교예 >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의 제조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은 발효 전 상태에 있는 <실시예 1>의 구아바 열수 추출물의 여과액의 농축물을 말한다. 하기 실험에서는 이 농축물을 120℃, 1.4기압 하에서 20분간 멸균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 실험예 >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실험, 항균 활성 실험, 항염증 활성 실험 및 아토피 치료 활성 실험
<실험예 1>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실험
<실험예 1-1>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전자공여능의 측정
Blois 방법(Blois, M. 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 26, 1199 ~ 1200)에 따라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의 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얻은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일정 농도별로 함유한 에탄올 용액 100㎕를 시험관에 넣고 DPPH(0.4mM) 용액을 동량으로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 공여능을 IC50값으로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는데, IC50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 값을 50%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농도(㎍/㎖)를 의미한다.
한편, 대조군으로서는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과 BHA(butylated hydroxy anisole) 및 Trolox를 사용하였다.
구분 DPPH 소거활성 RC50 (㎍/㎖)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31.4
<실시예 2>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30.9
<실시예 3>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9.6
<실시예 4>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7.2
<실시예 5>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9.5
<실시예 6>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8.7
<실시예 7>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8.5
<실시예 8>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6.8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 40.5
BHA 4.4
Trolox 4.6
상기 <표 1>은 상기 각 실시예에 의하여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DPPH 소거 활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BHA나 Trolox보다는 소거 활성이 낮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2>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 저해 활성 측정
먼저 아스코르베이트/Fe2 + 에 의한 지질 과산화를 유도하였다. 여러 농도의 시료(상기 각 실시예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 10㎕, 10mg 단백질/㎖ 농도의 쥐의 뇌 균질화물(Rat Brain Homogenate) 50㎕, 50mM의 포스페이트 버퍼(pH 7.4) 740㎕를 섞은 후, 1mM의 아스코르베이트와 0.1mM의 FeSO4·7H2O의 혼합물 200㎕를 넣어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20%의 TCA(Trichloroacetic acid) 250㎕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다음에는 Ohkawa 등의 방법(Ohkawa et al, Anal. Biochem., 95, 351, 1979)에 따라 지질과산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즉 상기 반응이 끝단 각 시험관에 8.1% sodium dodecyl sulfate 0.1㎖, 20% sodium acetate (pH 3.5)에 녹인 0.8% TBA 0.5㎖와 증류수 0.15㎖와 섞고 95℃에서 1시간 가열한 다음 식히고 의 2.5 ㎖의 n-butanol/pyridine (15:1,v/v)와 0.5㎖의 증류수를 가하여 진탕하였다 이를 3,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질 과산화물 생성 저해 활성을 IC50값으로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는데, IC50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 값을 50%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농도(㎍/㎖)를 의미한다.
한편, 대조군으로서는 상기 <실험예 1-2>와 마찬가지로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과 BHA(butylated hydroxy anisole) 및 Trolox를 사용하였다.
구분 지질과산화물 생성 저해 활성 RC50 (㎍/㎖)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7.6
<실시예 2>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5.7
<실시예 3>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6.1
<실시예 4>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7
<실시예 5>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8.9
<실시예 6>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6.5
<실시예 7>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6.3
<실시예 8>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3.2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 37.4
BHA 0.06
Trolox 0.08
상기 <표 2>도, 상기 <표 1>의 결과와 유사하게, BHA나 Trolox보다는 지질과산화물 생성 저해 활성이 낮지만, 상기 각 실시예에 의하여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과산화물 생성 저해 활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실험예 1-3> 크산틴산화효소의 억제 활성의 측정
크산틴산화효소(Xanthine oxidase)는 크산틴을 기질로 하여 요산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과산소 음이온(Superoxide anion)을 생성한다.
크산틴산화효소의 억제 활성의 측정에는 290nm에서 크산틴산화요소에 의하여 생성된 요산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실시하였다.
여러 농도의 시료(상기 각 실시예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 0.5mM 크산틴, 1mM EDTA를 200 mM 포스페이트 완충액(pH 7.5) 100 ㎕에서 준비하고, 여기에 50 mU/㎖ 크산틴 산화효소를 첨가하여 요산의 생성을 유도한 다음,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크산틴산화효소의 억제 활성을 IC50값으로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는데, IC50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 값을 50%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농도(㎍/㎖)를 의미한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BHA, Trolox 및 고요산증 치료제로서 사용되는 알로퓨리놀(Allopurinol)을 사용하였다.
구분 크산틴산화효소의 억제 활성 RC50 (㎍/㎖)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12.5
<실시예 2>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187.4
<실시예 3>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185.2
<실시예 4>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112.4
<실시예 5>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87.5
<실시예 6>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54.3
<실시예 7>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32.7
<실시예 8>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167.5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 462.5
BHA 304.2
Trolox 267.7
Allopurinol 0.46
상기 <표 3>도, 전체적으로 실시예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에 비하여 크산틴산화효소의 억제 활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BHA와 Trolox보다도 크산틴산화효소의 억제 활성이 높다. 다만, 고요산증 치료제인 알로퓨리놀 보다는 다소 낮다.
<실험예 1-4> 슈퍼옥사이드 라디칼의 소거 활성 측정
상기 <실험예 1-3>의 반응액에 NBT(Nitroblue tetrazolium)를 첨가하여 슈퍼옥사이드에 의하여 포르마잔이 생성되는 반응의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즉 상기 <실험예 1-3>의 반응액에 0.5mM의 NBT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DMSO(Dimethylsulfoxide)로 결정 형태의 포르마잔을 용해시켜 ELISA 리더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슈퍼옥사이드 라디칼의 소거 활성을 IC50값으로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는데, IC50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 값을 50%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농도(㎍/㎖)를 의미한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BHA, Trolox 및 고요산증 치료제로서 사용되는 알로퓨리놀(Allopurinol)을 사용하였다.
구분 크산틴산화효소의 억제 활성 RC50 (㎍/㎖)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185.3
<실시예 2>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127.4
<실시예 3>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112.2
<실시예 4>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54.1
<실시예 5>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45.5
<실시예 6>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21.3
<실시예 7>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194.7
<실시예 8>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86.5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 432.5
BHA >1250
Trolox 320.8
Allopurinol 0.68
상기 <표 4>는, <표 3>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실시예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에 비하여 크산틴산화효소의 억제 활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BHA와 Trolox보다도 크산틴산화효소의 억제 활성이 높다. 다만, 고요산증 치료제인 알로퓨리놀 보다는 다소 낮다.
<실험예 1-5>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활성 측정
과산화수소는 세포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실험에서는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사용하여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상기 각 실시예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보호 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HepG2 세포를 100 U/㎖ 페니실린(penicillin), 100 ㎍/㎖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 우태아혈청 (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ssential Medium)을 사용하여 5% CO2와 37℃가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 배양액에 10mM의 과산화수소(H2O2)를 처리하고, 한 시간 후에 62.5, 125, 250 및 500㎍/㎖ 농도의 시료(<실시예 4>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임)를 첨가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MTT(Sigma) 100 ㎍을 첨가하고 5% CO2와 37℃의 조건에서 4 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그리고 나서 배지를 제거하고, DMSO(dimethylsulfoxide, Sigma) 150㎕를 가하여 MTT의 환원에 의해 생성된 포르마존 침전물을 용해시킨 후 ELISA 리더를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SF는 시료를 첨가하지 아니한 대조군의 흡광도이다.
도 1은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 독성이 <실시예 4>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첨가에 의하여 회복됨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데이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실시예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보호하는 활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의 경우는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보호하는 활성이 매우 낮았다.
<실험예 2>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항균 활성 실험
먼저 각 미생물을 NB(nutrient broth)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NA(nutrient agar) 배지(Difco. USA) 또는 BHI(Brain Heart Infusion) 배지(Difco. USA)에 각 미생물을 도말하고 37℃에서 24 시간 더 배양하였다. 여기에 100㎍/㎖ 농도의 시료(상기 각 실시예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 50㎕씩 접종하고, 시료가 접종된 주변의 생육저해환(clear zone, mm)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구분 1 2 3 4 5 6 7
실시예1 6 6 5 6 5 4 5
실시예2 7 6 8 9 10 7 7
실시예3 7 8 9 9 9 8 8
실시예4 14 15 13 13 12 11 11
실시예5 5 5 4 6 4 5 4
실시예6 7 6 7 8 7 6 6
실시예7 7 7 8 7 7 6 6
실시예8 15 14 16 13 12 12 12
비교예 2 1 1 1 2 1 0.5
배지 NA NA NA BHI NA NA NA
온도(℃) 37 30 37 37 37 37 30
1: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27 2: Bacillus subtilis KCTC 1023 3: Staphylococcus epidermidis KCTC 1917 4: Sta. mutans KCTC 3065 5: Vibro parahaemolys KCTC 2471 6: Escherichia coil KCTC 1042 7: Salmonella typhimurium KCTC 2514
상기 <표 5>는 실시예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 보다는 항균 활성이 전체적으로 높음을 보여준다. 실시예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중에서는 <실시예 4 및 8>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높다.
<실험예 3>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항염증 활성 측정
<실험예 3-1> NO 생성 억제 활성 측정
쥐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10 % FBS, 100 ㎍/㎖ 페니실린 및 100 U/㎖ 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충분히 자란 후 스크래퍼(scrapper)로 분리하여 세포를 2×105cells/㎖의 농도로 48 웰 플레이트에 각각 분주한 후, 여러 농도의 시료(상기 각 실시예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를 10㎕ 씩 가한 다음, 100ng/㎖ LPS(lipopolysaccaride)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Griess 시약을 사용하여 NO2 -형태로 측정하였는데, 즉 세포배양 상등액 100㎕ 및 그리스 시약(2.5%(v/v) 인산 용액 중에 1%(w/v) 설파닐아미드 및 0.1%(w/v) 나프틸에틸렌디아민(naphtylethylenediamine)-HCl) 100㎕를 혼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IC50로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IC50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 값을 50%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농도(㎍/㎖)를 의미한다.
구분 NO 생성 억제 활성 RC50 (㎍/㎖)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162.06
<실시예 2>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133.45
<실시예 3>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141.23
<실시예 4>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78.08
<실시예 5>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182.76
<실시예 6>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132.23
<실시예 7>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143.23
<실시예 8>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89.67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 302.09
상기 <표 6>도 앞서 결과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실시예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전체적으로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 보다 NO 억제 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실시예 4 및 8>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NO 억제 활성이 가장 높았다.
<실험예 3-2> iNOS 및 COX-2 발현 양상 확인
RAW 264.7 세포에 시료 및 LPS를 처리하지 않은 군, 100 ng/㎖ LPS를 처리한 군, 그리고 LPS와 시료(<실시예 4>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62, 125, 250 및 500 ㎍/㎖ 농도로 함께 처리한 군으로 나누어,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2~3회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씻어낸 후 1㎖의 용해 버퍼(50 mM HEPES pH 7.0, 250 mM NaCl, 5 mM EDTA, 0.1% 노니뎃(Nonidet) P-40, 1 mM 페닐메틸술포닐 플로라이드(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0.5 mM 디티오트레이톨, 5 mM NaF, 0.5 mM 소디움 오르소바나데이트)로 세로를 용해시킨 후 12,000rpm에서 20분 간 원심분리하여 세포의 파편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였다. 그 상등액을 바이오-래드(Bio-Rad) 시약으로 정량하여 30~50 ㎍의 단백질을 취하고, 그 단백질을 10%의 SDS-폴리아릴아미드 겔(polyarylamide gel)에 전기영동시킨 후 니트로셀룰로오스 막(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겔의 단백질을 블롯시켰다. 5% 탈지 분유(skim milk)로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차단(blocking)한 후, 1:2000의 비율로 iNOS 및 COX-2 항체를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배양한 후 TTBS로 3회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1:4000의 비율로 희석한 래빗(rabbit)과 염소(goat) 2차 항체(secondary antibody)를 처리하여 30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뒤 다시 TTBS로 세척하여 화학발광법(chemiluminescence)로 현상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는데, 시료를 처리한 군에서는 NO를 생성시키는 효소인 iNOS 단백질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250 ㎍/㎖ 농도에서는 현저하게 단백질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iNOS 단백질 발현과 유사한 경향으로 COX-2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LPS를 처리하지 아니한 RAW 264.7 세포에서는 iNOS 와 COX-2의 단백질이 검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처리한 군에서도, 데이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iNOS 단백질 및 COX-2 단백질의 발현의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3> NF -κB 루시페라제 ( Luciferase ) 억제 활성 측정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1 x 106cells/㎖)를 24 ㅇ웰 플레이트에서 18시간 배양하였다. NF-κB 루시페라제 리포터 벡터를 슈퍼펙트 시약(Qiagen)을 이용하여 상기 세포에 형질감염시켰다. TNF-α(10 ng/㎖)를 처리하여 NF-κB 프로모터를 활성화시키고, 동시에 0.001%, 0.005%, 0.01%, 0.05% 농도의 시료(<실시예 8>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를 처리하고 16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세포를 수집하여 세포 용해물을 얻었다. 그 세포 용해물을 원심분리시켜 세포 펠릿을 제거하고 일정량의 상층액을 루시페라제의 기질과 반응시킨 후, 루미노미터(Luminometer)를 이용해 450nm에서 OD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는데, <실시예 8>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B)의 경우에는 NF-κB 루시페라제의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으나,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A)의 경우에는 NF-κB 루시페라제의 활성이 감소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자는 상기 동일한 실험을 통하여 다른 실시예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경우에도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NF-κB 루시페라제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항아토피 활성
<실험예 4-1> 에오탁신-1의 억제 활성 실험
NIH3T3 섬유 아세포(1 x 106 cells/㎖)를 24 웰 플레이트에서 18 시간 배양하고 여기에 TNF-α(10ng/ml)를 처리하여 에오탁신-1의 발현을 유도하고 동시에 0.001%, 0.005%, 0.01%, 0.05% 농도의 시료(<실시예 4>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를 처리하여, 16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세포배지를 50 ㎕씩 수집하였다. 수집된 세포배지를 이용하여 R&D systems의 protocol(Kor. J. Pharmacogn. 2003, 34(3) 228-232)에 따라 에토탁신-1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는데,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은 에오탁신-1의 발현을 억제하지 못하였으나, 실시예 4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에오탁신-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2> 아토피 치료에 대한 관능평가
먼저, 실시예의 각 구아바 발효 조성물 또는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 1.5g, 스테아린산 2.0g, 세틸알코올 2.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0.5㎖, 솔비탄세스퀴올레리트 0.5㎖,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1.0㎖, 왁스1.0 ㎖, 유동파라핀 4.0㎖, 스쿠알란 4.0㎖,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부틸글리콜 5.0㎖, 글리세린 3.0㎖, 트리에탄올아민 0.5㎖, 향료 0.01mg, 색소 0.01mg 등을 넣고 전체가 100 g 이 되도록 정제수를 넣어 발효구아바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2년 이상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5~30 세의 아토피 환자들에게 매일 저녁 세정 후 피부에 1회 30일 간 도포하게 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상태 치료 정도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30명을 1군의 실험군으로 하여 4점 척도법(4: 매우 좋아졌다, 3: 보통 좋아졌다, 2: 조금 좋아졌다, 1: 변화가 없었다, 0: 더 나빠졌다)에 따라 점수를 매기도록 하고 그 평균값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시작 후 30 일 후에 아토피 피부염 증상의 전반적 개선도를 5 단계로 구분하여 환자나 환자의 부모에게 설문지 형식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구분 관능 평가 결과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87
<실시예 2>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3.43
<실시예 3>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3.32
<실시예 4>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3.97
<실시예 5>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64
<실시예 6>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95
<실시예 7>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3.12
<실시예 8>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3.87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 1.67
상기 <표 7>은 앞서 결과들과 유사하다. 즉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은 아토피 치료 효과가 낮았으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아토피 치료 효과가 높았다. 특히 <실시예 4 및 8>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경우가 가장 높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생리 활성이 강화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항미생물제 조성물, 항염증제 조성물, 아토피 개선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Claims (30)

  1. 하기 (a) 및 (b)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항염증제 구아바 발효 조성물.
    (a) 페시디움 구아바 잎을 물, 증류수,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b) 그 추출물에 상황버섯 균사체 및 차가버섯 균사체 중 하나 이상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추출물은 당이 첨가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제 구아바 발효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에, 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에 젖산균 및 효모 중 하나 이상을 접종하여 추가로 발효시키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항염증제 구아바 발효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멸균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제 구아바 발효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 발효물은 멸균된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제 구아바 발효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젖산균은 락토바실루스속 젖산균(Lactobacillus sp.), 스트렙토코쿠스속 젖산균(Streptococcus sp.), 페디오코쿠스속 젖산균(Pediococcus sp.), 류코노스톡속 젖산균(Leuconostoc sp.) 및 비피도박테리움속 젖산균(Bifidobacterium sp.)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젖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제 구아바 발효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젖산균은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제 구아바 발효 조성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제 구아바 발효 조성물.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제 구아바 발효 조성물.
  15. 하기 (a) 내지 (f)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항염증제 구아바 발효 조성물.
    (a) 페시디움 구아바 잎을 열수추출하여 그 여과액을 얻는 단계.
    (b) 상기 여과액을 당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여과액과 당의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
    (d) 상기 멸균된 혼합물에 상황버섯 균사체 또는 차가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상온에서 25℃에서 15일 이상 발효시키는 단계.
    (e) 상기 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을 멸균하는 단계, 및
    (f) 상기 멸균된 발효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를 접종하여 38℃에서 7일 이상 발효시키는 단계.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제1항 및 제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제 구아바 발효 조성물.
  30. 제1항 및 제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제 구아바 발효 조성물.
KR1020060116297A 2005-11-24 2006-11-23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0847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774 2005-11-24
KR20050112774 2005-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372A KR20070055372A (ko) 2007-05-30
KR100847103B1 true KR100847103B1 (ko) 2008-07-18

Family

ID=382768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297A KR100847103B1 (ko) 2005-11-24 2006-11-23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20060116301A KR100847104B1 (ko) 2005-11-24 2006-11-23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301A KR100847104B1 (ko) 2005-11-24 2006-11-23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847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723B1 (ko) * 2019-07-12 2019-11-27 이혜영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453B1 (ko) * 2006-12-13 2008-06-26 농업회사법인 에스 씨 바이오텍 주식회사 겨우살이 성분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910040B1 (ko) * 2007-07-02 2009-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9605B1 (ko) * 2007-07-02 2009-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3573B1 (ko) * 2007-07-02 2014-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9606B1 (ko) * 2007-07-02 2009-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100889604B1 (ko) * 2007-07-02 2009-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백용 화장료
KR101012346B1 (ko) * 2008-09-18 2011-02-09 (주)우성바이오 꽃송이버섯 추출물과 그것의 항염증제로서의 용도
KR101138411B1 (ko) * 2009-01-29 2012-04-26 김경자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샴푸 조성물
KR101147541B1 (ko) * 2010-06-09 2012-05-2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우방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503352B1 (ko) * 2010-11-05 2015-03-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피부보호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043509B1 (ko) 2011-01-25 2011-06-23 이상권 호흡기질환 및 아토피 피부염에 효능을 가지는 무수 유산균 발효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방법
JP6009080B2 (ja) * 2012-08-16 2016-10-19 ユニバーシティ−インダストリー コオペレーション グループ オブ キョン ヒ ユニバーシティ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老化及び認知症の予防及び/または治療活性を有する乳酸菌
KR102067283B1 (ko) * 2012-12-21 2020-01-16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곰보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곰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6647B1 (ko) * 2015-09-23 2018-01-09 코웨이 주식회사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송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8187B1 (ko) * 2016-02-18 2016-08-16 주식회사 비앤에이치코스메틱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조세약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9500B1 (ko) 2018-07-27 2019-03-14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구아바 나노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2400B1 (ko) * 2019-04-30 2019-09-18 (주)진셀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129585B1 (ko) 2019-05-15 2020-07-02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734932B (zh) 2019-07-29 2021-10-22 浙江养生堂天然药物研究所有限公司 发酵的桦树汁及其生产方法
KR102190166B1 (ko) 2020-02-06 2020-12-11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2975B1 (ko) 2020-02-17 2021-08-26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3712B1 (ko) 2020-02-17 2020-12-21 (주)에이치투엠씨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6796B1 (ko) 2020-02-17 2021-11-18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2426B1 (ko) 2020-02-25 2020-08-11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미백 개선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980B1 (ko) 2020-02-25 2020-09-29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피지 조절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978B1 (ko) 2020-02-25 2020-09-29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트러블 캐어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7448B1 (ko) 2021-11-16 2024-02-15 박숙우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15998664B (zh) * 2023-02-01 2023-07-21 广州杨森药业有限公司 一种含番石榴发酵产物的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725A (ja) * 2001-03-07 2002-11-19 Ryukyu Bio Resource Kaihatsu:Kk 発酵食材、その製造方法、飲食物及び抽出エキ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725A (ja) * 2001-03-07 2002-11-19 Ryukyu Bio Resource Kaihatsu:Kk 発酵食材、その製造方法、飲食物及び抽出エキ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723B1 (ko) * 2019-07-12 2019-11-27 이혜영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104B1 (ko) 2008-07-18
KR20070055373A (ko) 2007-05-30
KR20070055372A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103B1 (ko)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2362055B1 (ko) 다당류, 효모추출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균주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4409B1 (ko) 한방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살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84194B1 (ko) 다당류, 효모추출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균주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4492B1 (ko) 신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그의 용도
KR101634668B1 (ko)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5799A (ko) 미성숙 사과 추출물 및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65185B1 (ko) 항균, 항염,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59392B1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20180071721A (ko) 발효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00007122A (ko)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1433823B1 (ko) 부챗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56020B1 (ko) 물오리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피부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92944B1 (ko)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KR101685121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1627242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541843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101928211B1 (ko) 수족구 원인균 엔테로바이러스 71을 포함한 바이러스 및 균에 대해 저해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293592B1 (ko)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2628844B1 (ko)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631A (ko)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90006285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541842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