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723B1 -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723B1
KR102048723B1 KR1020190084478A KR20190084478A KR102048723B1 KR 102048723 B1 KR102048723 B1 KR 102048723B1 KR 1020190084478 A KR1020190084478 A KR 1020190084478A KR 20190084478 A KR20190084478 A KR 20190084478A KR 102048723 B1 KR102048723 B1 KR 102048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rmented
water
fermentation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영
Original Assignee
이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영 filed Critical 이혜영
Priority to KR1020190084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23L2/06Extraction of juices from citrus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C12R1/86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85Saccharomyces
    • C12R2001/865Saccharomyces cerevisi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Vir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배추, 적양배추, 브로콜리, 당근, 토마토 및 파프리카를 포함하는 야채에 물을 가하고 삶는 단계와, 상기 삶은 야채에 바나나, 사과 및 배를 포함하는 과일과 셀러리를 투입하여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해독 작용을 활성화시켜 체내 독소를 부작용 없이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피로회복, 다이어트, 생리통 완화,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 완화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juice}
본 발명은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해독 작용으로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다이어트, 생리통 완화,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 완화에 도움을 주는 해독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생활문화와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정신적, 육체적 활동과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체력 저하 등의 문제를 다양한 증상으로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구체적으로, 각종 환경오염과 인체 건강에 치명적인 미세먼지, 다양한 질병, 스트레스뿐 아니라 음식의 서구화, 나트륨 및 당류의 과잉섭취, 운동 부족에 따른 비만, 고혈압 등 성인병이 대중화되어가는 현실 속에서 현대인의 삶의 질은 점점 더 낮아지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다양한 기능성 건강음료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 예로 체내에 부족한 비타민을 물처럼 마시면서 보충해주는 비타민 음료, 신체 활성화와 다이어트에 도움을 주는 아미노산 음료, 지방을 연소시켜 운동 시 마시면 체내 지방분해를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피트니스 음료 등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음료는 단순히 물에 색소와 향 각종 감미료 등 화학적인 성분을 희석하고 그 용액에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마시는 사람의 체내에 축적시 건강상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독소에는 대사과정에 의해 발생하는 노폐물이나 활성산소 또는 스트레스 등으로 발생하는 여러 부산물뿐만 아니라, 세균의 침투에 의해 발생하는 외독소나 내독소, 식물 또는 동물이 가지고 있는 독성물질도 이에 해당된다.
근래에 들어 이와 같은 독소들을 제거하는 해독(DETOXIFICATION)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해독이란 유해물질이 몸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이나 신장, 폐, 피부 등을 통해 노폐물의 배출을 촉진하는 것을 일컫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지고, 구체적으로는 알콜 해독(ALCOHOL DETOXIFICATION), 약물 해독(DRUG DETOXIFICATION), 대사성 해독(METABOLIC DETOXIFICATION) 등이 있다. 이러한 해독을 위한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 식품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식품을 통한 해독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397458 B1 KR 10-1871771 B1 KR 10-2015-0093410 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야채와 과일이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되 일부를 삶아서 사용함으로써, 인체 내에서 해독 작용 시 필요한 효소들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로회복, 다이어트, 생리통 완화,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 완화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은, 양배추, 적양배추, 브로콜리, 당근, 토마토 및 파프리카를 포함하는 야채에 물을 가하고 삶는 단계와, 상기 삶은 야채에 바나나, 사과 및 배를 포함하는 과일과 셀러리를 투입하여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배추, 적양배추, 브로콜리, 당근, 토마토, 셀러리 및 파프리카를 포함하는 야채와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바나나, 사과 및 배를 포함하는 과일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삶는 단계와, 상기 삶은 야채와 과일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하는 단계는, 두유, 쑥 및 핑거루트 중 1종 이상을 더 투입하여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하는 단계는, 타이바질 발효추출물, 노니 잎 발효추출물 및 구아바 잎 발효추출물을 더 투입하여 분쇄하되, 상기 타이바질 발효추출물은 타이바질의 추출물, 물 및 당을 1:1~10:0.1~0.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에 발효 미생물을 100,000~10,000,000 cfu/L의 양으로 접종한 후, 20~40℃에서 12~60시간 발효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분리한 것이고, 상기 노니 잎 발효추출물은 노니 잎의 추출물, 물 및 당을 1:1~10:0.1~0.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에 발효 미생물을 100,000~10,000,000 cfu/L의 양으로 접종한 후, 20~40℃에서 12~60시간 발효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분리한 것이며, 상기 구아바 잎 발효추출물은 구아바 잎 추출물, 물 및 당을 1:1~10:0.1~0.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에 발효 미생물을 100,000~10,000,000 cfu/L의 양으로 접종한 후, 20~40℃에서 12~60시간 발효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분리한 것이고, 상기 발효 미생물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인체 내에서 해독 작용 시 필요한 효소들을 활성화시켜 체내 독소를 부작용 없이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피로회복, 다이어트, 생리통 완화,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 완화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주스는 각종 야채와 과일의 조합으로, 인체 내에서 해독 작용 시 필요한 효소들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물론, 니코틴, 알코올 해독에 도움을 주며, 다이어트, 생리통 완화,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 완화, 피로회복 등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을 갖는다는 데 특징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기능성 주스에 사용되는 기본 재료는, 양배추, 적양배추, 브로콜리, 당근, 토마토, 파프리카, 셀러리, 바나나, 사과 및 배로써, 이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양배추는 다른 채소에는 거의 들어 있지 않은 비타민 U의 성분으로 위궤양을 치료할 수 있으며, 위벽에 점막을 건강하게 만들어 주고 상처로 인한 위벽의 회복을 도와 궤양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양배추는 칼슘의 영양 성분이 있는데 양배추에 다량 함유된 비타민 C가 칼슘의 흡수를 도와주기 때문에 적은 양을 섭취하더라도 칼슘의 흡수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어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섬유질과 수분이 다량 함유돼 있어서 장의 운동을 도와 변비를 없애주고 콜레스테롤을 몸 밖으로 배출하게 해준다. 상기 양배추란 통상의 흰 양배추를 의미한다.
상기 적양배추는 양배추의 한 종류로, 위궤양과 노화방지, 간기능 회복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적양배추는 보통의 흰 양배추보다 포도당, 식물성 단백질인 리신, 비타민C 등의 영양성분이 더 많다. 또 비타민 U 역시 풍부하여 위궤양에 효과가 좋고, 노화방지, 수은중독 방지, 간기능 회복 등의 역할을 하는 셀레늄도 풍부하다.
상기 브로콜리는 녹황색 채소 가운데 가장 영양가가 높은 작물로 비타민 C 함유량은 레몬의 2배, 감자의 7배이며, 빈혈을 예방하는 철분함량도 100g 중 19mg으로 채소 중에 단연 으뜸이다. 또한, 비타민 U, 셀레늄, 글루코시놀레이트가 풍부하여 위장을 튼튼하게 해주며 특히 위암과 위궤양을 일으키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죽이는 설포라페인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 위궤양과 위암에 효과가 있다.
상기 당근의 붉고 노란 색소는 일명 프로비타민 A라고 불리는 카로틴 성분으로 색깔이 짙은 당근에는 약 6~10mg정도 함유되어 있어 야맹증 예방, 발육 촉진, 피부 보호, 항암 효과가 있다. 또한, 당근에는 한국인에게 부족 되기 쉬운 라이신, 스테오닌이 많고 비타민과 미네랄이 균형있게 들어 있는 알칼리성 식품으로써, 특히 칼륨은 신경의 흥분과 근육 섬유의 수축을 조절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초조함과 불안함을 없애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토마토는 풍부한 유기산이 지방의 연소를 돕고 육류의 산성을 중화시켜 소화 흡수가 쉽도록 하며, 위장의 기능을 촉진하기 때문에 식욕부진이나 헛배가 부른 증상, 더부룩한 증상 등이 있을 때 토마토를 갈아 마시면 도움이 된다. 또한, 토마토는 미네랄이 많아 몸속 수분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고 장기의 기능을 촉진시켜 신진대사를 좋게 한다. 더욱이, 섬유소가 대장 운동을 도와 배변 활동을 돕는다.
상기 파프리카는 레몬의 2배인 비타민 C 함유로 스트레스와 피로회복에 많은 도움이 된다. 상기 파프리카는 색상과 무관하게 사용 가능한데, 빨간색은 노화를 방지하고, 질병의 생성을 방지하는 리코펜이 다량 함유되어 면역력을 강화해주고, 주황색은 멜라닌 색소를 억제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하며, 노란색은 비타민이 풍부하여 감기예방, 면역력 강화에 효과적이고, 초록색은 유기질이 풍부하고, 다이어트에 좋으며, 철분 함량이 높고, 변비예방의 효과가 있다.
상기 셀러리는 비타민 B와 C가 풍부하여 신경 안정, 혈압 조절 등에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피로 해소, 면역력 강화, 피부 미용, 감기 예방 등에 효과적이며, 칼로리가 낮고 섬유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다이어트 및 변비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상기 바나나는 당질이 많아서 에너지원으로 쉽게 사용이 가능하며, 체내 흡수가 빠르다. 또한, 바나나에 포함된 식이섬유의 하나인 펜틴이 장의 기능을 활발히 하여 순간 운동력을 높여 준다. 또한, 집중력은 뇌에 충분한 에너지가 있을 때 높아지는데 뇌의 주 된 에너지원은 포도당이고 이것은 탄수화물에서 나오는 것으로 바나나에는 인체 흡수 속도가 빠른 탄수화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사과는 수분 85∼90%, 펙틴질과 섬유질 1%, 말산 0.5% 내외를 함유하며, 그 밖에 회분 단백질 등을 소량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을 과육 100g 중 비타민 A를 60mg, 비타민 B1를 0.01mg, 그리고 비타민 C를 3∼8mg 내외 함유한다. 또한, 사과에 들어있는 식물성 섬유인 펙틴은 사과의 효능의 핵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펙틴이 대장암 예방. 배변촉진. 혈당량 조절.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역할을 한다.
상기 배는 수분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사과산, 주석산,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과, 비타민 B, C, 섬유소, 지방 등이 함유되어 기관지 질환에 효과가 좋고, 배변과 이뇨작용을 돕는다. 또한, 해독 작용이 있어 숙취를 없애준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은, 양배추, 적양배추, 브로콜리, 당근, 토마토 및 파프리카를 포함하는 야채에 물을 가하고 삶는 단계와, 상기 삶은 야채에 바나나, 사과 및 배를 포함하는 과일과 셀러리를 투입하여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양배추, 적양배추, 브로콜리, 당근, 토마토 및 파프리카를 포함하는 야채 깨끗이 세척한다. 이때, 당근, 토마토 등은 껍질을 벗기지 않으며, 파프리카는 씨, 꼭지 등의 비가식 부위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한 야채에 0.5~5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80~100℃에서 5~20분간 삶아준다. 상기 야채를 삶아주는 이유는 각종 야채에 함유된 리코펜 등의 영양소가 항산화제 역할을 하여 영양소가 더 잘 흡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삶은 야채에 바나나, 사과 및 배를 포함하는 과일과 셀러리를 투입한다. 이때, 상기 바나나는 껍질을 제거하며, 사과는 꼭지, 씨, 씨방을 제거하고, 배는 껍질과 꼭지, 씨, 씨방을 모두 제거하고, 과육만을 사용한다. 또한, 사과 역시 껍질을 제거하고 과육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야채를 삶은 물, 즉 채수 역시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둔 상태에서 상기 삶은 야채에 과일 및 셀러리를 투입하는 것으로, 이는 채수에 추출된 영양성분 역시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를 믹서기 등을 이용하여 분쇄한다. 이때, 상기 분쇄는 그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바, 통상 믹서기 등을 이용하여 분쇄하는 정도면 족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 재료의 사용량은 상기 양배추 100중량부에 대하여, 적양배추 50~150중량부, 브로콜리 50~150중량부, 당근 50~150중량부, 토마토 50~150중량부, 파프리카 50~150중량부, 셀러리 50~150중량부, 바나나 50~150중량부, 사과 50~150중량부 및 배 50~150중량부임이 바람직한데, 이는 해독 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주스는 인체 내에서 해독 작용 시 필요한 효소들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피로회복, 스트레스 완화 등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주스의 알코올 및 니코틴의 해독 작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양배추, 적양배추, 브로콜리, 당근, 토마토, 셀러리 및 파프리카를 포함하는 야채와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바나나, 사과 및 배를 포함하는 과일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삶는 단계와, 상기 삶은 야채와 과일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기능성 주스를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재료의 사용량 등은 모두 대표적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양배추, 적양배추, 브로콜리, 당근, 토마토, 셀러리 및 파프리카를 포함하는 야채와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바나나, 사과 및 배를 포함하는 과일을 혼합하고, 이에 0.5~5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80~100℃에서 5~20분간 삶아준다.
이때, 상기 바나나, 사과 및 배의 껍질을 제거하지 않고 삶아 사용하는 이유는 삶은 사과의 껍질에는 폴리페놀 성분이 높아 혈관 속 노폐물 배출 효과를 높여주며, 삶은 바나나 껍질 역시 섬유소, 칼륨 등의 함량이 높으며, 사포닌, 도파민 성분의 함량 역시 높고, 삶은 배 껍질 역시 멜라로닌, 세로토닌 등의 함량이 우수하여, 특히 알코올 해독 및 니코틴 해독에 우수한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사과, 배의 꼭지, 씨, 씨방은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거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를 그대로 믹서기 등을 이용하여 분쇄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기능성 주스는 특히 알코올 해독 및 니코틴 해독에 유용하다.
한편, 상기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분쇄하는 단계에서, 두유, 쑥 및 핑거루트 중 1종 이상을 더 투입하여 분쇄할 수도 있다. 이때, 두유, 쑥 및 핑거루트는 상기 양배추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50~150중량부의 범위 내로 사용 가능하다.
상기 두유는 위가 좋지 않을 때, 추가로 혼합할 수 있는바, 위를 보호하고, 건강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쑥은 해독 작용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혼합할 수 있는바, 피가 혈액 속에서 해로운 병균을 잡아먹는 백혈구의 수를 늘려 면역 기능을 높이고, 살균효과가 있으며, 쑥의 독특한 향기인 치네올이라는 성분은 대장균, 디프테리아균을 죽이거나 발육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으며, 강력한 해독 작용이 있다. 또한, 위장과 장을 튼튼하게 해주고, 간기능 개선, 노화방지의 효과를 갖는다. 특히, 인진쑥은 베타카로틴이 더욱 풍부하여 피부미용에 도움을 주며, 생리통 완화, 해독 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사용하는 쑥의 종류는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핑거루트는 다이어트를 위해 혼합할 수 있는데, 인도네시아에서 자생하는 생강과의 식물로, 판두라틴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지방분해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면역력 역시 강화해준다. 상기 핑거루트는 시판 핑거루트 분말을 물과 혼합하고, 가열한 후, 혼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주스는 해독 작용은 물론, 피로회복, 위장보호, 다이어트, 생리통 완화,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 완화에 도움을 준다.
한편, 상기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분쇄하는 단계시, 타이바질 발효추출물, 노니 잎 발효추출물 및 구아바 잎 발효추출물을 더 투입하여 분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더욱 우수한 해독 작용을 나타낸다. 이때, 타이바질 발효추출물, 노니 잎 발효추출물 및 구아바 잎 발효추출물은 상기 양배추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0~20중량부의 범위 내로 사용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발효추출물은 각 추출물에 물 및 당을 1:1~10:0.1~0.2 중량비로 첨가하고, 여기에 발효 미생물을 100,000~10,000,000 cfu/L의 양으로 접종한 뒤, 20~40℃에서 12~60시간 발효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효된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분리하여 사용한다. 아울러, 상기 상등액은 건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건조하여 사용시에는 건조중량의 1~20배의 추출 용매를 첨가하여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여과,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어떠한 추출 용매도 이용될 수 있으나, 물, 에탄올로 구성된 군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이때, 상기 발효 미생물로는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속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를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당으로는 설탕은 물론, 올리고당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추출물은 시료, 즉 타이바질, 노니 잎, 구아바 잎 중 어느 하나 또는 이의 건조 분말에 건조 중량의 3~2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2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90℃의 추출온도에서 30분~5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1~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를 농축,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결건조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을 따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 분말이란, 상기 각 시료를 양건, 음건, 열풍 건조하는 등의 하는 방법을 통해 건조하고, 50~300mesh 정도로 파쇄하여서 된 것이면 족하다. 아울러, 덖음 및 유념 후 건조하여 파쇄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양배추 100g, 적양배추 100g, 브로콜리 100g, 당근 100g, 토마토 100g 및 파프리카 100g에 물 600g을 가하고, 90℃에서 10분간 삶아 주었다. 이때, 상기 파프리카는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을 모두 동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내부의 씨앗은 제거해주었다.
그리고 상기 야채 및 야채를 삶은 채수에 셀러리 100g, 껍질을 제거한 바나나 100g, 껍질, 씨, 씨방, 꼭지를 제거한 사과 100g 및 껍질, 씨, 씨방, 꼭지를 제거한 배 100g을 투입하고, 믹서기에서 800rpm으로 5분간 분쇄하여 주스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실시예 2)
양배추 100g, 적양배추 100g, 브로콜리 100g, 당근 100g, 토마토 100g, 파프리카 100g, 셀러리 100g,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바나나 100g, 씨, 씨방, 꼭지를 제거한 사과 100g 및 씨, 씨방, 꼭지를 제거한 배 100g에 물 600g을 가하고, 90℃에서 10분간 삶아 주었다. 이때, 상기 파프리카는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을 모두 동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내부의 씨앗은 제거해주었다.
그리고 이를 그대로 믹서기에 투입하여 800rpm으로 5분간 분쇄하여 주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시판되는 핑거루트 가루 50g을 물 50g과 혼합한 후, 80℃에서 5분간 가열하여 분쇄단계 시 더 첨가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분쇄단계 시 타이바질 발효추출물 15g, 노니 잎 발효추출물 15g 및 구아바 잎 발효추출물 15g을 더 첨가하였다.
상기 타이바질 발효추출물은, 타이바질을 깨끗이 세척한 후, 이를 음건하여 함수율이 15%가 되도록 하고, 100mesh 정도로 분쇄하였다. 다음으로, 이에 20중량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70~9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여과지로 여과하고 회전농축기로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 상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그 추출물에 물과 설탕을 1:9:0.1 중량비로 가한 후, Saccharomyces cerevisiae ATCC 18824를 100,000~10,000,000cfu/L로 접종하고, 32℃에서 24시간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을 제거하고, 여기에 에탄올을 최종 70%(V/V)가 되도록 첨가한 뒤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여과하였다. 그리고 이를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아울러, 노니 잎 발효추출물 및 구아바 잎 발효추출물 역시 상기 타이바질 발효추출물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양배추 100g, 적양배추 100g, 브로콜리 100g, 당근 100g, 토마토 100g, 파프리카 100g, 바나나 과육 100g, 배 과육 100g, 사과 과육 100g을 혼합하고, 이를 믹서기로 분쇄하였다. 이때, 상기 파프리카는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을 모두 동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내부의 씨앗은 제거해주었다.
(시험예 1) : 항산화 활성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전자공여능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전자공여능은, 전자공여활성(electron donating ability)은 Blois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의 방법에 따라 시액 0.2mL에 0.4mM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용액 0.8mL를 가하여 vortex상에서 가하고 10분간 방치 한 다음 5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계산식으로 활성도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 = 100 - [(시료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 × 100]
시험예 1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전자공여능(%) 43.25±5.87 45.48±2.31 51.48±1.25 53.24±3.21 31.24±2.15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비교예 1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레이스와 퀴논 리덕타아제의 활성
시료의 해독 작용을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레이스와 퀴논 리덕타아제의 활성 증가로 측정하였다. 상기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레이스(GST)와 퀴논 리덕타아제(QR)는 무독화 효소 중 대표적인 효소라 할 수 있다.
10%의 소태아혈청 및 1% 페니실린-스트랩토마이신이 함유된 둘베코개량 이글배지에 Hepa1c1c7 세포(ATCC CRL-2026)를 4×105개/㎖가 되도록 현탁하고, 상기 세포 현탁액을 96-well 플레이트의 각 웰에 0.2㎖씩 첨가한 뒤, 5% CO2 인큐베이터에서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새 둘베코개량 이글배지로 교환한 뒤, 한 세트의 대조군에는 증류수를, 다른 세트들에는 각각의 시료를 50㎍/㎖ 양으로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염 용액으로 세포를 세정하며, 0.1㎖의 세포 용해액을 첨가한 뒤 37℃에서 10분간 인큐베이션했다.
GST 활성의 측정을 위하여, 각군의 세포액 25㎕에 155㎕의 반응용액(인산칼륨완충액의 13mM 글루타티온)을 첨가하였으며, 측정 전에 20㎕의 반응기질 10mM CDNB(2,4-디니트로클로로벤젠)을 첨가하고, 340nm 파장에서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각 활성 분석은 3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단백량은 샘플용액을 인산완충염 용액으로 50배 희석하고, MicroBCA 단백질 분석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GST의 활성은 대조군의 GST 값에 대한 상대 값으로 아래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GST 활성 = (시험 물질 첨가 섹션의 최대 레이트 계수/시험 물질 첨가 섹션의 단백량) / (물 첨가 섹션의 최대레이트 계수/물 첨가 섹션의 단백량)
QR 활성의 측정을 위하여, 각군의 세포액 25㎕에 100㎕의 반응용액을 첨가하였다. 이때 기질 존재 및 부재를 설정하고, 기질 존재에는 반응용액에 또한 최종 농도 50μM이 되도록 메나디온을 첨가하였다. 활성분석은 각각 3회 반복 실시하였다. 또한, QR 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QR 상대 활성으로서 아래식에 의해 산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QR 활성= {[(시험 물질 첨가 섹션의 기질 존재의 흡광도) - (시험 물질 첨가 섹션의 기질 부재의 흡광도)] ÷ (시험 물질 첨가 센션의 단백량)} ÷ {[물 첨가 섹션의 기질 존재의 흡광도] - (물 첨가 섹션의 기질 없음의 흡광도)} ÷ (물 첨가 섹션의 단백량)}
시험예 2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GST 활성 1.54 1.61 1.68 2.10 1.26
QR 활성 1.75 1.81 1.80 2.53 1.42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4는 GST 효소 및 QR 효소의 활성 증가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 니코틴 분해능
시료의 니코틴 분해능을 니코틴의 직접혼합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구체적인 방법은, 에펜도르프(Eppendorf) 튜브(15ml)에 1mM의 니코틴(nicotine(-), catalog numberN3876) 200㎕와 200㎕의 시료를 잘 혼합한 후 0, 10, 30, 60, 120분 경과 후 생성된 코티닌의 양을 코니틴 정량법으로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측정온도는 25℃이었다. 코티닌 정량은 15ml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튜브에 200㎕의 샘플 및 기준시료(standard)를 완충용액 또는 증류수에 넣었다. 이때 실험결과의 신뢰성을 기하기 위하여 한 샘플 당 3개의 튜브를 사용하였다. 측정대상시료에 100㎕의 4M 염화아세테이트완충액(pH 47), 40㎕의 15M KCN, 40㎕의 0.4M 클로라민(chloramine)-T, 50부피%의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수용액에 용해한 78mM 바르비투르산(barbituric acid) 200㎕을 순서대로 넣고 10초 동안 잘 혼합하였고, 혼합물을 상온(25℃)에서 15분간 반응시킨 다음 40㎕의 1M 염화 메타바이설파이트(sodium metabisulphite)를 넣어 반응을 중지시켰다. 흡광도는 490nm에서 측정하여 기준 코티닌(standard cotinine)과 비교하여 정량하였다.
시험예 3 결과
구분 0분 10분 30분 60분 120분
0.81 0.95 0.98 1.42 1.83
비교예 1 0.81 1.01 1.12 1.51 1.98
실시예 1 0.81 1.32 2.17 2.79 3.25
실시예 2 0.81 1.51 2.38 3.24 3.58
실시예 3 0.81 1.33 2.22 2.83 3.36
실시예 4 0.81 1.41 2.35 3.10 3.41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니코틴 분해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24세 내지 25세의 연령인 젊은 대학생 20명을 선정하고 4명씩 5군으로 나누었다. 한 달간 아침 식사 전, 각 군별로 실시예 1 내지 4의 시료 200ml를 마시도록 하였다. 나머지 한 군에는 물 200ml를 마시도록 하였다. 그리고 한 달 후 점심 후 3시간 뒤 각 군에게 각 시료 200ml를 마시도록 하고, 알코올 도수 40도인 양주 200ml를 30분간 마시도록 하고,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4 결과
구분 음용 후 1시간 음용 후 2시간
0.121 0.065
실시예 1 0.082 0.027
실시예 2 0.041 0.011
실시예 3 0.081 0.025
실시예 4 0.045 0.012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알코올 해독 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30세 내지 50세의 연령인 여성 20명을 선정하고 4명씩 5군으로 나누었다. 여자들의 체중은 모두 65㎏ 이상이었다. 각 군에게 4주일 동안 저녁식사를 하지 않고 대신에 실시예 1 내지 4의 음료 200ml 섭취하게 하였으며, 대조군에는 우유 200ml를 섭취하게 하였다. 그리고 4주 후 감량 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5 결과
구분 감량 정도
대조군 2.32(%)
실시예 1 4.21(%)
실시예 2 4.02(%)
실시예 3 6.21(%)
실시예 4 5.01(%)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다이어트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20세 내지 30세의 연령인 생리통이 심한 여성 20명을 선정하고 5명씩 4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게 12주 동안 하루에 실시예 1 내지 4의 음료 200ml 섭취하게 하였다. 그리고 12주 후 생리통의 완화 정도를 5점 척도법(5: 매우 완화, 1: 효과 없음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감소)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각 군의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시험예 6 결과
구분 생리통 완화 정도
실시예 1 3.7
실시예 2 3.8
실시예 3 3.7
실시예 4 4.1
상기 표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생리통 완화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양배추, 적양배추, 브로콜리, 당근, 토마토 및 파프리카를 포함하는 야채에 물을 가하고 삶는 단계와,
    상기 삶은 야채에 바나나, 사과 및 배를 포함하는 과일과 셀러리를 투입하여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하는 단계는,
    타이바질 발효추출물, 노니 잎 발효추출물 및 구아바 잎 발효추출물을 더 투입하여 분쇄하되,
    상기 타이바질 발효추출물은 타이바질의 추출물, 물 및 당을 1:1~10:0.1~0.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에 발효 미생물을 100,000~10,000,000 cfu/L의 양으로 접종한 후, 20~40℃에서 12~60시간 발효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분리한 것이고,
    상기 노니 잎 발효추출물은 노니 잎의 추출물, 물 및 당을 1:1~10:0.1~0.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에 발효 미생물을 100,000~10,000,000 cfu/L의 양으로 접종한 후, 20~40℃에서 12~60시간 발효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분리한 것이며,
    상기 구아바 잎 발효추출물은 구아바 잎 추출물, 물 및 당을 1:1~10:0.1~0.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에 발효 미생물을 100,000~10,000,000 cfu/L의 양으로 접종한 후, 20~40℃에서 12~60시간 발효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분리한 것이고,
    상기 발효 미생물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2. 양배추, 적양배추, 브로콜리, 당근, 토마토, 셀러리 및 파프리카를 포함하는 야채와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바나나, 사과 및 배를 포함하는 과일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에 물을 가하고 삶는 단계와,
    상기 삶은 야채와 과일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하는 단계는,
    타이바질 발효추출물, 노니 잎 발효추출물 및 구아바 잎 발효추출물을 더 투입하여 분쇄하되,
    상기 타이바질 발효추출물은 타이바질의 추출물, 물 및 당을 1:1~10:0.1~0.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에 발효 미생물을 100,000~10,000,000 cfu/L의 양으로 접종한 후, 20~40℃에서 12~60시간 발효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분리한 것이고,
    상기 노니 잎 발효추출물은 노니 잎의 추출물, 물 및 당을 1:1~10:0.1~0.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에 발효 미생물을 100,000~10,000,000 cfu/L의 양으로 접종한 후, 20~40℃에서 12~60시간 발효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분리한 것이며,
    상기 구아바 잎 발효추출물은 구아바 잎 추출물, 물 및 당을 1:1~10:0.1~0.2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에 발효 미생물을 100,000~10,000,000 cfu/L의 양으로 접종한 후, 20~40℃에서 12~60시간 발효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분리한 것이고,
    상기 발효 미생물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하는 단계는,
    두유, 쑥 및 핑거루트 중 1종 이상을 더 투입하여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190084478A 2019-07-12 2019-07-12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KR102048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478A KR102048723B1 (ko) 2019-07-12 2019-07-12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478A KR102048723B1 (ko) 2019-07-12 2019-07-12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723B1 true KR102048723B1 (ko) 2019-11-27

Family

ID=6872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478A KR102048723B1 (ko) 2019-07-12 2019-07-12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7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103B1 (ko) * 2005-11-24 2008-07-18 문상욱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그 용도
JP5178630B2 (ja) * 2009-05-25 2013-04-10 株式会社 伊藤園 飲料製造方法及び搾汁液中の食物繊維含有量増加方法
KR101397458B1 (ko) 2011-11-03 2014-05-30 박수조 해독 기능성 주스 제조 방법 및 해독 기능성 주스
KR20150093410A (ko) 2014-02-07 2015-08-18 주식회사 엘앤에스컴퍼니 해독주스 및 해독기능성주스 제조방법
KR101711874B1 (ko) * 2015-07-06 2017-03-06 농업회사법인 천삼다초(주) 발효 음료의 제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음료
KR101871771B1 (ko) 2017-02-28 2018-06-27 주식회사 계림당 우렁이 유효성분과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음료 제조방법
KR20180097068A (ko) * 2017-02-22 2018-08-30 농업회사법인 명성바이오 (주)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103B1 (ko) * 2005-11-24 2008-07-18 문상욱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그 용도
JP5178630B2 (ja) * 2009-05-25 2013-04-10 株式会社 伊藤園 飲料製造方法及び搾汁液中の食物繊維含有量増加方法
KR101397458B1 (ko) 2011-11-03 2014-05-30 박수조 해독 기능성 주스 제조 방법 및 해독 기능성 주스
KR20150093410A (ko) 2014-02-07 2015-08-18 주식회사 엘앤에스컴퍼니 해독주스 및 해독기능성주스 제조방법
KR101711874B1 (ko) * 2015-07-06 2017-03-06 농업회사법인 천삼다초(주) 발효 음료의 제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음료
KR20180097068A (ko) * 2017-02-22 2018-08-30 농업회사법인 명성바이오 (주)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KR101871771B1 (ko) 2017-02-28 2018-06-27 주식회사 계림당 우렁이 유효성분과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음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6857A (ko) 오디를 이용한 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101497050B1 (ko)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101650183B1 (ko) 곡물류 및 구근류를 이용한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CN108991471B (zh) 一种具有强效抗氧化活性的天然食品添加剂
CN104939237A (zh) 一种红豆杉酵素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024238B1 (ko) 천마를 주재료로 하는 자연발효 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8888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KR102048723B1 (ko)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Akubor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juice prepared from African Bush Mango (Irvingia garbonensis Var. garbonesis) fruit pulp
KR100512322B1 (ko) 변비에 개선 효과를 갖는 식물 복발효 효소액 및 이를사용한 기능성 음료
KR100583192B1 (ko) 보라밸리 품종의 감자로부터 추출된 항산화활성 물질의 제조방법, 그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Augustin et al. A review about Pastinaca sativa L. ssp. sylvestris [Mill.] secondary metabolite diversity and inducibility
KR102129982B1 (ko) 산마늘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산마늘 장아찌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918890B1 (ko) 빙하설수를 이용한 천연 화분발효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adawarte et al. Potential food applications and health benefits of jambhul (Syzygium cumini L.)
KR20160043652A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조성물
KR101688542B1 (ko) 홍삼 발효 혼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wachukwu Nutrient, phytochemical and anti-nutrient evaluation of Jatropha tanjorensis leaf (hospital too far)
KR20140076258A (ko) 대추를 포함하는 건강음료
Prasad et al. Nutrition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Palmyra palm
KR101572580B1 (ko) 복약 순응도를 개선한 발효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4611B1 (ko) 새싹현미와 새싹보리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포스트바이오틱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5198B1 (ko) 천마, 하수오 및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