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068A -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068A
KR20180097068A KR1020170023717A KR20170023717A KR20180097068A KR 20180097068 A KR20180097068 A KR 20180097068A KR 1020170023717 A KR1020170023717 A KR 1020170023717A KR 20170023717 A KR20170023717 A KR 20170023717A KR 20180097068 A KR20180097068 A KR 20180097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tevia
hours
finger root
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강일
박재한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명성바이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명성바이오 (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명성바이오 (주)
Priority to KR102017002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7068A/ko
Publication of KR2018009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0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혼합음료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황칠나무 잎 또는 줄기, 핑거루트, 스테비아 및 복분자를 포함하는 원료를 검수하는 원료 검수 단계; 황칠나무 잎 또는 줄기, 핑거루트, 스테비아 및 복분자를 각각 살균 추출하는 제조 단계; 농축 추출된 각각의 원액을 황칠나무 추출물 73 ~ 77질량%, 핑거루트 추출물 8 ~ 12질량%, 스테비아 추출물 8 ~ 10질량%, 복분자 추출물 5 ~ 7질량%의 비율로 섞어 혼합하는 혼합 단계; 혼합된 용액 중 일정량을 유리병에 주입하는 충진 단계; 충진된 유리병을 밀폐하는 밀폐 단계; 제품 포장 후 검사하는 포장 및 검사 단계로 이루어지는 황칠나무, 핑거루트, 스테비아, 복분자 숙성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혼합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beverage for curing a hangover}
본 발명은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황칠나무, 핑거루트, 스테비아 및 복분자로부터 최적의 조건에서 주요성분을 추출한 후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주 전후의 숙취해소를 위한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숙취는 술을 마신 후에 나타나는 두통, 설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오한, 식은땀을 뜻하여 객관적인 증상으로는 운동 능력 저하, 혈액적 변화 및 호르몬 변화 등이 있다.
숙취의 원인은 탈수, 에탄올, 메탄올, 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히드 및 아세톤 등의 독성물질과 흡수 장애에 의한 영양소 결핍으로 알려져 있으며 숙취의 정도는 개인에 따른 편차와 환경상태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매우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 음주로 인하여 알코올이 체내에 흡수되면 알코올 분해효소(ADH)가 알코올을 분해하여 아세트알데히드를 생성하게 되고 아세트알데히드는 다시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LDH)에 의해 최종적으로 아세트산과 물로 분해된 후 소변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알코올의 분해과정에서 알코올 분해효소(ADH)나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LDH)의 활성화가 억제되는 환경에서는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성작용으로 간세포와 뇌세포에 손상을 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숙취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예로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 0787633호),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한방생액제의 음료와 그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 2001-0050333호), 숙취해소 및 간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제조 방법(한국등록특허 제 0718189호),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한국등록특허 제 1301094호),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1433188호) 등이 있다.
황칠나무는 수피에 상처를 주면 황색의 수지 액이 나오는데 이것을 황칠이라고 하며, 황칠은 황금색을 비추며 안식향을 가짐으로써 진정 효과가 있는 고급도료로 삼국사기의 문헌에서는 황제의 갑옷 및 투구, 그리고 장신구 등을 황금색으로 칠하는 것으로 귀하게 이용되었다고 한다.
또한, 황칠나무는 한의학적으로 항당뇨, 고지혈증 저하, 간기능 개선 등의 다양한 효과가 밝혀지고 있다. 특히 항산화 활성 효능이 우수하다고 보고되면서 황칠나무 추출물은 독성 물질로 손상된 간 기능의 빠른 회복 이에 따른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 촉진과 같은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한국 공개특허 제 2014-0070470호),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한국 등록특허 제 1534550호),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설물(한국공개특허 제 2015-0138068호)와 같은 숙취해소와 간기능 개선을 위한 문헌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일부 특허문헌의 황칠나무의 추출물은 그 효능이 강하지 못하고, 황칠나무 고유의 향 및 맛이 강하여 복용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황칠나무 뿐만 아니라 다른 첨가물을 부가함으로써 숙취해소 효능이 극대화됨과 동시에 향미가 풍부한 숙취해소 음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 제 2014-0070470호 (2014.06.10. 공개)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 제 1534550호 (2015.07.09.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알코올의 농도를 신속히 저하시킴과 동시에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활성화하는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혼합음료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혼합음료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황칠나무 잎 또는 줄기, 핑거루트, 스테비아 및 복분자를 포함하는 원료를 검수하는 원료 검수 단계; 황칠나무 잎 또는 줄기, 핑거루트, 스테비아 및 복분자를 각각 살균 추출하는 제조 단계; 농축 추출된 각각의 원액을 황칠나무 추출물 73 ~ 77질량%, 핑거루트 추출물 8 ~ 12질량%, 스테비아 추출물 8 ~ 10질량%, 복분자 추출물 5 ~ 7질량%의 비율로 섞어 혼합하는 혼합 단계; 혼합된 용액 중 일정량을 유리병에 주입하는 충진 단계; 충진된 유리병을 밀폐하는 밀폐 단계; 제품 포장 후 검사하는 포장 및 검사 단계로 이루어지는 황칠나무, 핑거루트, 스테비아, 복분자 숙성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혼합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은 건조된 황칠나무 55 ~ 75질량% : 황칠나무 가지 및 잎 45 ~ 25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1 ~ 4cm로 잘게 분쇄하는 황칠나무 분쇄단계; 분쇄된 황칠나무 대비 물을 7 ~ 11배 가수하여 90 ~ 110℃에서 45 ~ 65분간 추출하는 황칠나무 1차 추출단계; 1차 추출된 황칠나무 추출액을 55 ~ 75℃로 5 ~ 6시간 숙성하는 황칠나무 1차 추출액 1차 숙성단계; 1차 숙성된 황칠나무 추출액을 상온에서 18 ~ 24시간 숙성하는 황칠나무 1차 추출액 2차 숙성단계; 추가적으로, 따로 황칠나무 대비 물을 5 ~ 8배 추가 가수하여 85 ~ 95℃에서 4 ~ 5시간 추출하는 황칠나무 2차 추출단계; 2차 추출된 황칠나무 추출액을 55 ~ 75℃로 2 ~ 5시간 숙성하는 황칠나무 2차 추출액 1차 숙성단계; 1차 숙성된 황칠나무 2차 추출액을 상온에서 8 ~ 12시간 숙성하는 황칠나무 2차 추출액 2차 숙성단계; 황칠나무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혼합하여 황칠나무 추출액을 완성하는 황칠나무 추출액 혼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혼합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핑거루트 추출액은 건조된 핑거루트를 0.5 ~ 1mm로 분쇄하는 핑거루트 분쇄 단계; 분쇄된 핑거루트 대비 물을 5 ~ 9배 가수하여 60 ~ 80℃에서 4 ~ 6시간 추출하는 핑거루트 1차 추출단계; 핑거루트 1차 추출액에 핑거루트 대비 7 ~ 11배 추가 가수하여 75 ~ 95℃에서 6 ~ 9시간 추출하는 핑거루트 2차 추출단계; 핑거루트 2차 추출액에 핑거루트 대비 3 ~ 5배 추가 가수하여 85 ~ 105℃에서 3 ~ 5시간 추출하는 핑거루트 3차 추출단계; 핑거루트 3차 추출액을 45 ~ 65℃에서 4 ~ 6시간 숙성하는 핑거루트 1차 숙성단계; 핑거루트 1차 숙성액을 상온에서 7 ~ 13시간 숙성하는 핑거루트 2차 숙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혼합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테비아 추출액은 건조된 스테비아를 1 ~ 2cm로 잘게 분쇄하는 스테비아 분쇄단계; 분쇄된 스테비아 대비 물을 5 ~ 9배 가수하여 65 ~ 85℃에서 3 ~ 6시간 추출하는 스테비아 1차 추출단계; 스테비아 1차 추출액에 스테비아 대비 물을 11 ~ 15배 추가 가수하여 80 ~ 100℃에서 3 ~ 6시간 추출하는 스테비아 2차 추출단계; 스테비아 2차 추출액을 45 ~ 65℃에서 2 ~ 5시간 숙성하는 스테비아 1차 숙성단계; 스테비아 1차 숙성액을 상온에서 5 ~ 9시간 숙성하는 스테비아 2차 숙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혼합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분자 추출액은 생복분자 대비 물을 3 ~ 7배 가수하여 35 ~ 55℃에서 1 ~ 3시간 추출하는 복분자 1차 추출단계; 복분자 1차 추출액을 65 ~ 85℃에서 1 ~ 3시간 추출하는 복분자 2차 추출단계; 복분자 2차 추출액을 45 ~ 65℃에서 1 ~ 4시간 숙성하는 복분자 1차 숙성단계; 복분자 1차 숙성액을 상온에서 2 ~ 5시간 숙성하는 복분자 2차 숙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혼합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은 숙쉬해소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향기로운 풍미를 주어 복용자의 입맛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을 위한 혼합음료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액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핑거루트 추출액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테비아 추출액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복분자 추출액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황칠나무, 핑거루트, 스테비아 및 복분자 추출액 혼합음료의 숙취해소 효능 중 ALDH 활성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황칠나무, 핑거루트, 스테비아 및 복분자 추출액 혼합음료의 숙취해소 효능 중 ADH 활성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을 위한 혼합음료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을 위한 혼합음료는 원료 검수 단계(S100), 제조 단계(S200), 혼합 단계(S300), 충진 단계(S400), 밀폐 단계(S500), 포장 및 검사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1) 원료 검수 단계(S100)
황칠나무의 잎 또는 줄기, 핑거루트, 스테비아 및 복분자를 포함하는 원료를 수거하고 세척 및 검수하는 단계이다.
상기 세척은 염분을 포함하지 않은 30 ~ 40℃의 흐르는 물에 상기 원료를 침지 하여 부착된 흙, 먼지의 등 오물을 5회 이상 제거한다.
상기 선별은 양품, 이물질 및 불량품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양질의 황칠나무의 잎 또는 핑거루트, 스테비아 및 복분자를 선별한다.
상기 핑거루트는 판두라틴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암세포의 성장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체지방 분해, 면역력 향상, 주름 개선에도 효과가 있어 건강 보충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스테비아는 단맛이 설탕보다 월등한데 칼로리는 설탕의 1% 정도밖에 되지 않아 체중 관리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스테비아는 그냥 단순한 단맛만 나기보다는 살짝 맵싹한 독특한 단맛으로 황칠나무 특유의 신맛을 잡아주고 풍미를 돋궈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복분자는 인, 철분, 칼륨, 비타민 A 및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어 피로회복, 체력보강, 면역력 증강에 도움을 준다. 또한,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하여 항암효과, 노화억제, 동맥경화예방, 혈전예방 및 살균 효과 등이 있다.
(2) 제조 단계(S200)
선별된 황칠나무의 잎 또는 줄기, 핑거루트, 스테비아 및 복분자를 포함하는 상기 원료를 각각의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고 추출하여 숙성시키는 단계를 통해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황칠나무 추출액의 제조는 건조된 황칠나무 55 ~ 75질량% : 황칠나무 가지 및 잎 45 ~ 25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1 ~ 4cm로 잘게 분쇄하는 황칠나무 분쇄단계; 분쇄된 황칠나무 대비 물을 7 ~ 11배 가수하여 90 ~ 110℃에서 45 ~ 65분간 추출하는 황칠나무 1차 추출단계; 1차 추출된 황칠나무 추출액을 55 ~ 75℃로 5 ~ 6시간 숙성하는 황칠나무 1차 추출액 1차 숙성단계; 1차 숙성된 황칠나무 추출액을 상온에서 18 ~ 24시간 숙성하는 황칠나무 1차 추출액 2차 숙성단계; 추가적으로, 따로 황칠나무 대비 물을 5 ~ 8배 추가 가수하여 85 ~ 95℃에서 4 ~ 5시간 추출하는 황칠나무 2차 추출단계; 2차 추출된 황칠나무 추출액을 55 ~ 75℃로 2 ~ 5시간 숙성하는 황칠나무 2차 추출액 1차 숙성단계; 1차 숙성된 황칠나무 2차 추출액을 상온에서 8 ~ 12시간 숙성하는 황칠나무 2차 추출액 2차 숙성단계; 황칠나무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혼합하여 황칠나무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핑거루트 추출액의 제조는 건조된 핑거루트를 0.5 ~ 1mm로 분쇄하는 핑거루트 분쇄 단계; 분쇄된 핑거루트 대비 물을 5 ~ 9배 가수하여 60 ~ 80℃에서 4 ~ 6시간 추출하는 핑거루트 1차 추출단계; 핑거루트 1차 추출액에 핑거루트 대비 7 ~ 11배 추가 가수하여 75 ~ 95℃에서 6 ~ 9시간 추출하는 핑거루트 2차 추출단계; 핑거루트 2차 추출액에 핑거루트 대비 3 ~ 5배 추가 가수하여 85 ~ 105℃에서 3 ~ 5시간 추출하는 핑거루트 3차 추출단계; 핑거루트 3차 추출액을 45 ~ 65℃에서 4 ~ 6시간 숙성하는 핑거루트 1차 숙성단계; 핑거루트 1차 숙성액을 상온에서 7 ~ 13시간 숙성하는 핑거루트 2차 숙성단계를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스테비아 추출액의 제조는 건조된 스테비아를 1 ~ 2cm로 잘게 분쇄하는 스테비아 분쇄단계; 분쇄된 스테비아 대비 물을 5 ~ 9배 가수하여 65 ~ 85℃에서 3 ~ 6시간 추출하는 스테비아 1차 추출단계; 스테비아 1차 추출액에 스테비아 대비 물을 11 ~ 15배 추가 가수하여 80 ~ 100℃에서 3 ~ 6시간 추출하는 스테비아 2차 추출단계; 스테비아 2차 추출액을 45 ~ 65℃에서 2 ~ 5시간 숙성하는 스테비아 1차 숙성단계; 스테비아 1차 숙성액을 상온에서 5 ~ 9시간 숙성하는 스테비아 2차 숙성단계를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복분자 추출액의 제조는 생복분자 대비 물을 3 ~ 7배 가수하여 35 ~ 55℃에서 1 ~ 3시간 추출하는 복분자 1차 추출단계; 복분자 1차 추출액을 65 ~ 85℃에서 1 ~ 3시간 추출하는 복분자 2차 추출단계; 복분자 2차 추출액을 45 ~ 65℃에서 1 ~ 4시간 숙성하는 복분자 1차 숙성단계; 복분자 1차 숙성액을 상온에서 2 ~ 5시간 숙성하는 복분자 2차 숙성단계를 거쳐 제조할 수 있다.
(3) 혼합 단계(S300)
상기 제조 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황칠나무, 핑거루트, 스테비아, 복분자 추출액을 황칠나무 추출액 73 ~ 77질량%, 핑거루트 추출물 8 ~ 12질량%, 스테비아 추출물 8 ~ 10질량%, 복분자 추출물 5 ~ 7질량%의 비율로 섞어 혼합한다.
황칠나무 추출액만으로 보편적인 사람들의 입맛을 맞추기엔 특유의 신맛이 먹기 거북하다는 평이 많았다. 이에 스테비아를 첨가하여 이를 잡아주고 특유의 단맛을 첨가한다. 또한 핑거루트의 경우에는 스테비아만 사용했을 경우에 황칠나무의 특유의 신맛과 떫은맛이 약간 남아있는데, 이러한 신맛과 떫은 맛을 부드럽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였고, 복분자의 경우 이러한 맛에 약간의 시큼함을 더하면서 감칠맛을 더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4) 충진 단계(S400)
상기 혼합된 용액을 일정량 빼내어 용기에 충진한다.
상기에서 혼합액이 충진되는 용기는 후술하는 밀폐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기의 일예로서 유리병(glass bottle) 용기, 철(Fe) 재질의 용기, 알루미늄(Al) 재질 및 레토로트(retort) 재질의 용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혼합액이 충진되는 용기는 유리병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5) 밀폐 단계(S500)
상기 용액이 충진된 용기를 최대한 밀폐시켜 외부의 이물질이 들어갈 수 없도록 한다.
(6) 포장 및 검사 단계(S600)
상기 밀폐된 용기를 일정 수량씩 상자에 넣어 포장한 후 제품을 항목별로 검사하여 제품규격 사양과 같은 적합한 제품에 한하여 완제품으로 출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황칠나무, 핑거루트 , 스테비아,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한 숙성 원액 제조
원료 검수 단계
황칠나무의 잎 또는 줄기, 핑거루트, 스테비아 및 복분자를 포함하는 원료를 양품, 이물질 및 불량품으로 분류하여 염분을 포함하지 않은 30 ~ 40℃의 흐르는 물에 상기 원료를 침지하여 부착된 흙, 먼지의 등 오물을 5회 이상 제거하여 세척한다.
제조단계
황칠나무 추출액의 제조는 건조된 황칠나무 60질량% : 황칠나무 가지 및 잎 40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2cm로 잘게 분쇄한다. 이후 분쇄된 황칠나무 대비 물을 9배 가수하여 100℃에서 55분간 가열하여 1차 추출한다. 1차 추출된 황칠나무 추출액을 65℃에서 5시간 1차 숙성한다. 1차 숙성된 황칠나무 1차 추출액을 상온에서 24시간 2차 숙성한다. 추가적으로 따로 황칠나무 대비 물을 6배 추가 가수하여 90℃에서 4시간 가열하여 2차 추출한다. 2차 추출된 황칠나무 추출액을 65℃로 3시간 1차 숙성한다. 1차 숙성된 황칠나무 2차 추출액을 상온에서 10시간 2차 숙성한다. 최종적으로 황칠나무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혼합하여 황칠나무 추출액을 완성한다.
핑거루트 추출액의 제조는 건조된 핑거루트를 1mm로 분쇄한다. 분쇄된 핑거루트 대비 물을 7배 가수하여 70℃에서 5시간 가열하여 1차 추출한다. 핑거루트 1차 추출액에 핑거루트 대비 9배 추가 가수하여 85℃에서 7시간 가열하여 2차 추출한다. 핑거루트 2차 추출액에 핑거루트 대비 4배 추가 가수하여 95℃에서 4시간 가열하여 3차 추출한다. 핑거루트 3차 추출액을 50℃에서 5시간 1차 숙성한다. 최종적으로 핑거루트 1차 숙성액을 상온에서 10시간 2차 숙성하여 핑거루트 추출액을 완성한다.
스테비아 추출액의 제조는 건조된 스테비아를 1cm로 잘게 분쇄한다. 분쇄된 스테비아 대비 물을 7배 가수하여 75℃에서 4시간 가열하여 1차 추출한다. 스테비아 1차 추출액에 스테비아 대비 물을 13배 추가 가수하여 90℃에서 5시간 가열하여 2차 추출한다. 스테비아 2차 추출액을 55℃에서 3시간 1차 숙성한다. 최종적으로 스테비아 1차 숙성액을 상온에서 7시간 2차 숙성하여 스테비아 추출액을 완성한다.
복분자 추출액의 제조는 생복분자 대비 물을 5배 가수하여 45℃에서 2시간 유지하여 1차 추출한다. 복분자 1차 추출액을 75℃에서 2시간 가열하여 2차 추출한다. 복분자 2차 추출액을 55℃에서 3시간 1차 숙성한다. 최종적으로 복분자 1차 숙성액을 상온에서 4시간 2차 숙성하여 복분자 추출액을 완성한다.
혼합 단계
상기 완성된 황칠나무, 핑거루트, 스테비아 및 복분자 농축 추출물을 각각 황칠나무 추출물 75질량%, 핑거루트 추출물 10질량%, 스테비아 추출물 9질량%, 복분자 추출물 6질량%의 비율로 섞어서 혼합한다.
충진 단계
혼합된 용액을 70ml를 덜어 75ml의 유리병에 충진한다.
밀폐 단계
충진된 유리병을 외부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밀폐한다.
포장 및 검사 단계
밀폐된 유리병을 일정수량씩 상자에 넣어 포장한 후 제품을 항목별로 검사하여 제품규격 사양과 같이 적합한 제품에 한하여 완제품으로 완성한다.
실험예
숙취해소 효과 측정
이하 본 발명의 비교예 1에서는 알코올 분해효소(ADH)와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LDH) 활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알코올 분해효소(ADH)는 간에서 생성되어 알코올을 분해하여 아세트알데히드를 만들어 내는 효소이며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LDH)는 독성을 지니는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를 아세트산과 물로 분해하는 효소이다.
숙취를 해소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들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알코올 분해효소를 생성하는 간이 정상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간의 기능을 빠르게 회복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황칠나무, 핑거루트, 스테비아, 복분자 숙성 추출 원액을 이용하여 알코올 탈분해효소(ADH)와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LDH) 활성을 측정하였는데, 이와 비교를 위해 실시예 1의 원액 시료와 시중에 나와 있는 숙취해소 음료인 H 음료, Y 음료, K 음료, M 음료 및 C 음료를 시료로 하여 알코올 탈분해효소(ADH)와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LDH)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알코올 탈분해효소(ADH)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LDH)의 활성화 평가 방법은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가 분해될 때 NAD+라는 조효소의 도움을 받아 NADH를 생성하는데, 이때 생성된 NADH의 양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결과값을 산출하였다.
상기 평가에 사용된 각 시료는 상기 시료 대비 50 중량질량%의 물을 혼합하여 희석하였다.
상기 평가는 총 3차례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각 실험결과의 평균과 편차를 비교하였다.
상기 평가를 통한 결과를 표 1, 표 2,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황칠나무, 핑거루트, 스테비아, 복분자 숙성 추출액과 시중 제품에 대하여 숙취해소 효능 중 ALDH 활성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황칠나무, 핑거루트, 스테비아, 복분자 숙성 추출액과 시중 제품에 대하여 숙취해소 효능 중 ADH 활성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표 1 및 도 2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실시예 1 H 음료 Y 음료 K 음료 M 음료 C 음료
1차 687.96 164.73 589.99 262.07 266.21 234.41
2차 723.47 171.42 592.35 269.41 274.76 235.08
3차 725.51 169.70 606.31 272.83 282.08 222.59
평균 712.31 168.61 596.22 268.10 274.35 230.69
편차 17.24 2.84 7.20 4.49 6.49 5.7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H 음료, Y 음료, K 음료, M 음료, C음료에 대하여 ALDH 활성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ALDH 활성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 및 도 3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실시예 1 H 음료 Y 음료 K 음료 M 음료 C 음료
1차 609.26 154.00 459.55 210.20 156.31 140.35
2차 628.93 153.81 460.32 234.23 157.71 153.04
3차 613.09 149.13 460.39 203.07 150.12 151.61
평균 617.09 152.31 460.08 215.84 154.71 148.33
편차 8.51 2.25 0.38 13.33 3.30 5.68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H 음료, Y 음료, K 음료, M 음료, C음료에 대하여 ADH 활성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ADH 활성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황칠나무 잎 또는 줄기, 핑거루트, 스테비아 및 복분자를 포함하는 원료를 검수하는 원료 검수 단계;
    황칠나무 잎 또는 줄기, 핑거루트, 스테비아 및 복분자를 각각 살균 추출하는 제조 단계;
    농축 추출된 각각의 원액을 황칠나무 추출물 73 ~ 77질량%, 핑거루트 추출물 8 ~ 12질량%, 스테비아 추출물 8 ~ 10질량%, 복분자 추출물 5 ~ 7질량%의 비율로 섞어 혼합하는 혼합 단계;
    혼합된 용액 중 일정량을 유리병에 주입하는 충진 단계;
    충진된 유리병을 밀폐하는 밀폐 단계;
    제품 포장 후 검사하는 포장 및 검사 단계로 이루어지는 황칠나무, 핑거루트, 스테비아, 복분자 숙성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혼합음료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은
    건조된 황칠나무 55 ~ 75질량% : 황칠나무 가지 및 잎 45 ~ 25질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1 ~ 4cm로 잘게 분쇄하는 황칠나무 분쇄단계;
    분쇄된 황칠나무 대비 물을 7 ~ 11배 가수하여 90 ~ 110℃에서 45 ~ 65분간 추출하는 황칠나무 1차 추출단계;
    1차 추출된 황칠나무 추출액을 55 ~ 75℃로 5 ~ 6시간 숙성하는 황칠나무 1차 추출액 1차 숙성단계;
    1차 숙성된 황칠나무 추출액을 상온에서 18 ~ 24시간 숙성하는 황칠나무 1차 추출액 2차 숙성단계;
    추가적으로, 따로 황칠나무 대비 물을 5 ~ 8배 추가 가수하여 85 ~ 95℃에서 4 ~ 5시간 추출하는 황칠나무 2차 추출단계;
    2차 추출된 황칠나무 추출액을 55 ~ 75℃로 2 ~ 5시간 숙성하는 황칠나무 2차 추출액 1차 숙성단계;
    1차 숙성된 황칠나무 2차 추출액을 상온에서 8 ~ 12시간 숙성하는 황칠나무 2차 추출액 2차 숙성단계;
    황칠나무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혼합하여 황칠나무 추출액을 완성하는 황칠나무 추출액 혼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혼합음료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루트 추출액은
    건조된 핑거루트를 0.5 ~ 1mm로 분쇄하는 핑거루트 분쇄 단계;
    분쇄된 핑거루트 대비 물을 5 ~ 9배 가수하여 60 ~ 80℃에서 4 ~ 6시간 추출하는 핑거루트 1차 추출단계;
    핑거루트 1차 추출액에 핑거루트 대비 7 ~ 11배 추가 가수하여 75 ~ 95℃에서 6 ~ 9시간 추출하는 핑거루트 2차 추출단계;
    핑거루트 2차 추출액에 핑거루트 대비 3 ~ 5배 추가 가수하여 85 ~ 105℃에서 3 ~ 5시간 추출하는 핑거루트 3차 추출단계;
    핑거루트 3차 추출액을 45 ~ 65℃에서 4 ~ 6시간 숙성하는 핑거루트 1차 숙성단계;
    핑거루트 1차 숙성액을 상온에서 7 ~ 13시간 숙성하는 핑거루트 2차 숙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혼합음료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비아 추출액은
    건조된 스테비아를 1 ~ 2cm로 잘게 분쇄하는 스테비아 분쇄단계;
    분쇄된 스테비아 대비 물을 5 ~ 9배 가수하여 65 ~ 85℃에서 3 ~ 6시간 추출하는 스테비아 1차 추출단계;
    스테비아 1차 추출액에 스테비아 대비 물을 11 ~ 15배 추가 가수하여 80 ~ 100℃에서 3 ~ 6시간 추출하는 스테비아 2차 추출단계;
    스테비아 2차 추출액을 45 ~ 65℃에서 2 ~ 5시간 숙성하는 스테비아 1차 숙성단계;
    스테비아 1차 숙성액을 상온에서 5 ~ 9시간 숙성하는 스테비아 2차 숙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혼합음료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자 추출액은
    생복분자 대비 물을 3 ~ 7배 가수하여 35 ~ 55℃에서 1 ~ 3시간 추출하는 복분자 1차 추출단계;
    복분자 1차 추출액을 65 ~ 85℃에서 1 ~ 3시간 추출하는 복분자 2차 추출단계;
    복분자 2차 추출액을 45 ~ 65℃에서 1 ~ 4시간 숙성하는 복분자 1차 숙성단계;
    복분자 1차 숙성액을 상온에서 2 ~ 5시간 숙성하는 복분자 2차 숙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 기능 회복 혼합음료 제조방법.
KR1020170023717A 2017-02-22 2017-02-22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KR20180097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717A KR20180097068A (ko) 2017-02-22 2017-02-22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717A KR20180097068A (ko) 2017-02-22 2017-02-22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068A true KR20180097068A (ko) 2018-08-30

Family

ID=6345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717A KR20180097068A (ko) 2017-02-22 2017-02-22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70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723B1 (ko) * 2019-07-12 2019-11-27 이혜영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0470A (ko) 2012-11-30 2014-06-10 주식회사유한양행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534550B1 (ko) 2013-11-15 2015-07-09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0470A (ko) 2012-11-30 2014-06-10 주식회사유한양행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534550B1 (ko) 2013-11-15 2015-07-09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723B1 (ko) * 2019-07-12 2019-11-27 이혜영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obo et al. Characteristics of coloured wine produced from roselle (Hibiscus sabdariffa) calyx extract
KR100701587B1 (ko)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
MX2014005609A (es) Proceso mejorado para la manufactura de bebidas alcoholicas y productos producidos por dichos procesos.
KR100746591B1 (ko) 천연 항산화 기능성 배-포도 혼합식초 및 그 제조방법
Sahu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wine from tendu (Diospyros melanoxylon L) fruits with antioxidants
Panda et al. Fermentation of sapota (Achras sapota Linn.) fruits to functional wine
KR20140032678A (ko) 아로니아열매농축액의 발효 및 그 제조방법
KR101534550B1 (ko)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6275A (ko) 황칠나무 발효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발효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 방법
KR20100042194A (ko) 숙취해소 기능을 갖는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
KR101548525B1 (ko) 여주-함유 과채 혼합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0643A (ko) 톡 쏘는 맛이 부여된 논알코올의 맥주 맛 음료
KR100648000B1 (ko) 산삼 배양근 추출액과 산삼 배양근을 함유한 리큐르의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주류
KR20180097068A (ko)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KR102149101B1 (ko) 노니 주스의 이취억제 및 유효성분이 강화된 발효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422247B1 (ko) 오미자와 벌꿀을 이용한 기능성 및 관능성이 강화된 멜로멜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오미자 멜로멜
KR102389194B1 (ko) 수박 발효농축액을 이용한 술 제조 방법
KR101698551B1 (ko) 아로니아 함유 막걸리 제조방법
Kumar et al. Bio-processing and analysis of mixed fruit wine manufactured using Aegle marmelos and Phoenix dactylifer
KR20100094015A (ko) 흑도라지 및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개선에 도움이 되는 조성물
Thakur Herbal wine preparation from agricultural wastes
CN112048414A (zh) 一种保持酒原味富含花青素的保健酒及其制造方法
Gallo et al. An overview of natural beverages
JP5894095B2 (ja) 銀杏を用いた食酢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銀杏を用いた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
Gaharwar et al. Study on preparation of roselle and fruits blended roselle wine using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