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470A -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470A
KR20140070470A KR1020130147613A KR20130147613A KR20140070470A KR 20140070470 A KR20140070470 A KR 20140070470A KR 1020130147613 A KR1020130147613 A KR 1020130147613A KR 20130147613 A KR20130147613 A KR 20130147613A KR 20140070470 A KR20140070470 A KR 20140070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ngover
composition
hydroxymethyl furfura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9339B1 (ko
Inventor
박현제
신장우
김성규
김상호
이응
김훈
심창용
박명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한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한양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한양행
Publication of KR2014007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e.g. ranitidine, furosemide, bufetolol, muscar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2Alcohol-abu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diction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5-(Hydroxymethyl)furfural)을 지표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예방용 황칠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촉진시킴으로써, 숙취의 예방 및 해소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lieving and preventing hangover comprising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추출물 내지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 복용 후 발생하는 숙취는 술을 마신 후에 나타나는 두통, 설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오한, 식은땀 등을 의미하며, 과학적인 증상으로는 인식능력 저하, 운동능력 저하, 혈액학적 변화 및 호르몬의 변화를 일컫는다.
숙취의 원인은 알코올 및 알코올 대사물(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톤 등)의 독성, 흡수 장애에 의한 영양소 결핍(혈당, 비타민, 무기질 결핍 등) 등으로 알려져 있다. 숙취 정도는 유전에 따른 개인의 편차, 환경 상태(영양 상태, 운동 상태, 탈수 정도,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매우 심하다.
알코올은 체내에서 저장되지 못하고 인체 내의 대사작용에 의해서 분해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대사작용은 대부분 간에서 이루어지며, 간에 존재하는 알코올 분해효소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간에서 알코올 분해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경로와 마이크로좀 에탄올 산화계(microsomal ethanol-oxidizing system; MEOS) 경로의 두 가지 경로를 거쳐 대사된다. ADH 경로에서 에탄올은 ADH에 의해 독성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되고 수소원자를 방출하며, 아세트알데히드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전환된다. 이로 인하여 NA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가 NADH로 환원되며, NADH/NAD+의 비율이 변하게 된다. NADH의 높은 농도는 젖산을 축적하고, 신장에서 요산의 분비를 감소시킨다. 그 결과 저혈당과 젖산 산혈증 및 통풍이 생길 수도 있다. 또한 NADH의 증가로 간의 지방 분해를 억제하여 지방이 축적하게 된다. 적당한 에탄올의 섭취 시에는 일반적으로 에탄올이 ADH 경로에 의해 대사된다.
반면에 장기적으로 또는 과량의 에탄올의 섭취 시에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경로뿐만 아니라 MEOS 경로를 거쳐 대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MEOS의 주요 성분은 사이토크롬(cytochrome) P450 효소인데, ADH처럼 에탄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전환시킨다. 이 반응에서 NADP(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와 물이 생성되는 한편 부산물로 고반응성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생성되어 간의 손상을 일으킨다. 에탄올의 섭취가 MEOS의 활성을 유도하고, MEOS는 에탄올뿐만 아니라 다른 약물도 대사시킨다.
즉, 장기적으로 알코올을 섭취하거나 다량의 음주 시에는 알코올성 간 장애를 일으키게 되며, 급성 알코올 투여는 일시적으로 간에서 중성지방 축적을 일으키다. 특히, 에탄올의 최초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는 에탄올에 비해 월등히 반응성이 높고 독성이 강하여 알코올성 간 장해의 주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황칠 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최대 높이 15 m에 달하는 두릅나무과의 난대성 상록활엽수로서 한국 남부 해안지역과 일본의 난대, 아열대 및 타이완에 분포하고 있다. 학명은 덴드로 파낙스(Dendro-panax morbifera Nakai)이며, 황칠 나무의 수피에서 채취되는 수액인 황칠은 안식향을 함유하여 예로부터 약리효과가 탁월한 나무로 일찍이 주목 받았으며, 과거에는 천연도료로 쓰였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항암, 항산화 효과, 간세포 재생, 당뇨 치료, 경조직 세포 재생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KR0494482호에는 황칠 나무의 수지(수지액)의 알코올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 효과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특허공개 제KR2004-0107853호는 황칠 나무의 가지 또는 잎을 물 또는 알코올 용매로 추출한 간세포 보호용 추출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 제KR2012-0028119호는 황칠의 약리효과로써 당뇨예방, 간세포 재생, 숙취해소, 성장촉진, 골다공증 예방, 고혈압, 중풍, 치매 등의 예방 효과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특허공개 제KR2004-0107853호에는 황칠 수지(수지액) 중에 방향성분은 주로 세스퀴테르펜류의 β-쿠베벤(cubebene), γ-셀리넨(selinene), δ-카디넨(cadinen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성분이 신경계에 대한 진정작용과 강장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KR 10-2002-0018063, 2002. 4. 2 KR 10-2003-0038494, 2003. 6.14
본 발명은 숙취해소 효과가 탁월한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5-(Hydroxymethyl)furfural)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및 이들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황칠 나무에서 숙취해소, 간세포 재생 등의 약리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확인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황칠 나무 추출물로부터 지표 성분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5-(Hydroxymethyl)furfural) 을 분리하여 그 구조를 동정하고,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지표성분으로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이 알코올 분해 활성,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활성 및 체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감소 활성 등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이의 최적 활성을 위한 추출 방법 및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함량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분리된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5-(Hydroxymethyl)furfural) 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따라서, 본 발명은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5-(Hydroxymethyl)furfural)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황칠 나무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황칠 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지표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황칠 나무 추출물은 뛰어난 숙취해소 내지 간세포 재생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안전한 천연 제제인 황칠 나무를 이용한 것으로 부작용이 없으며 알코올 분해, 아세트알데히드 분해를 통해 숙취해소에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숙취해소의 효과로는 술을 마신 후에 나타나는 두통, 설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오한, 식은땀 등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며, 인식능력 저하 및 운동능력 저하로부터 신체를 회복시키며, 혈액학적, 호르몬적 정상 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황칠 나무는 나무의 수지, 잎, 뿌리, 과실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지와 잎을 사용한다. 황칠 나무는 한국, 일본, 타이완 등에 널리 분포하고 있어 저비용으로 원료확보가 용이하며 구입하거나 직접 채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 메탄올 수용액 또는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황칠 나무의 수지 또는 잎의 중량의 5 내지 15 배로 한다. 황칠 나무 열수(물) 추출물의 경우 90~120℃에서 6~5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칠 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60~90℃에서 6~54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은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0.02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 내지 0.65 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바람직한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함량 범위 내에서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 효소의 활성 억제 없이 알코올 탈수소 효소의 활성을 최대로 억제할 수 있으며, 체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감소 활성 등에 큰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을 추가로 분리하여 얻어진 황칠 나무 추출 분획물을 제공한다. 황칠 나무 추출물의 분획분리는 당해 분야에 알려진 분리법에 의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물에 현탁한 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황칠 나무 가용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황칠 나무 추출물에 헥산을 가하여 헥산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다시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및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수가용성 분획물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을 부탄올로 추출하여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과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순차적으로 n-헥산, 클로로포름 및 n-부탄올을 사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본 분리 방법을 통해서, 상기 바람직한 함량 범위의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분획 추출물을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용출용매로 헥산: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5 내지 11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여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얻을 수 있다. 이를 더욱 순수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20 내지 70%의 메탄올을 이동상으로 하여 분취용 액체크로마토그래피(Preparative HPLC)를 수행하여 이로부터 용출된 용출액을 합하고 농축함으로써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방법 이외에도, 본 발명의 숙취해소 활성을 가지는 황칠 나무 유래 화합물들은 통상의 치환기들의 합성 및 분획 방법을 통하여도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용 목적에 따라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식품 또는 건강기능 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결정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전분글리코산 나트륨, 싸이클로덱스트린,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잔탄검, 구어검, 한천,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패각칼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적인 보조제로 비타민 B군, 비타민 C, 비타민 E, 베타카로틴, Ca, Mg, Zn, 레시틴, 알라닌, 타우린, 말톨, 과당, 올리고당, 영지, 글루메이트, 키토산, 아스파라긴산, 동충하초, 밀크시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유당,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10 내지 20000 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0mg을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황칠 나무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캔디,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젤리 또는 음료 등이 있으며, 이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숙취 해소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첨가제로서 함유할 수 있다. 위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 말토스, 슈크로스,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사카라이드류가 있으며,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상기 향미제에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은 추가로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 1 중량부 당 0.01 내지 약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본 발명의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5-(Hydroxymethyl)furfural)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황칠 나무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는 엘라그 산(Ellagic acid)을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숙취해소 및 예방용 황칠 나무 추출물은 엘라그 산을 함유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알코올 분해, 아세트알데히드 분해가 가능하여 월등한 숙취해소 및 간세포 재생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에서 추가적으로 엘라그 산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은 상기 기술된 추출 방법 및 분리 방법에 의해 추출물에 함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엘라그 산을 함유하는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은 황칠 나무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엘라그 산을 0.01 중량% 내지 0.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0.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중량% 내지 0.4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엘라그 산(Ellagic acid)을 추출물 내에 상기 바람직한 함량 범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식품은 추가적으로 엘라그 산(Ellagic acid)을 추출물 내에 상기 바람직한 함량 범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추출물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 효소의 활성 억제 없이 알코올 탈수소 효소의 활성을 최대로 억제하여 혈중 에탄올 농도와 에탄올의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크게 감소시킴으로써 알코올 복용 등에 의한 숙취의 해소에 효과적이다.
도 1은 황칠 나무 추출물의 분획 추출 과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WE)과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5-HMF) 또는 엘라그 산(EA)의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활성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WE)과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5-HMF) 또는 엘라그 산(EA)의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 처리시, 시간에 따른 혈중 알코올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 처리시, 시간에 따른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 처리시, 혈중 GOT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 처리시, 혈중 GPT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 실시예 1>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황칠 나무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는 전남 장흥지역에서 채취한 것을 그대로 또는 건조 후 사용하였다. 채취한 황칠 나무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 건조물 100g을 부직포 재질의 추출포에 담은 후 1,300 mL(13배수)의 물과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90~100℃로 12~4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실온(1~30℃)으로 냉각시킨 후 여과액을 취하였다.
이와 같은 추출 및 여과 조작을 2번 반복하여 여과액을 합하고 농축 전 브릭스(Brix, %) 농도를 측정한 뒤 진공회전증발기(Heidolph)를 이용하여 농축 후 브릭스 농도가 15~25% 가 되게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황칠 나무 열수(물) 추출물 분말 15~25g (수율 15~25%) 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제조 방법에 따라 12시간 추출한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A, 24시간 추출한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B, 36시간 추출한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C, 48시간 추출한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 D 로 나타내었다.
< 실시예 2> 황칠 나무 에탄올 추출물 제조
상기 황칠 나무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 건조물 100g을 부직포 재질의 추출포에 담은 후 1,300 mL의 에탄올(13배수)과 함께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추출기에서 60~80℃로 6~4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실온(1~30 ℃)으로 냉각시킨 후 여과액을 취하였다. 이와 같은 추출 및 여과 조작을 2번 반복하여 여과액을 합하고 농축 전 브릭스(brix, %) 농도를 측정한 뒤 진공회전증발기(Heidolph)를 이용하여 농축 후 브릭스 농도가 15~30% 가 되게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황칠 나무 에탄올 추출물 분말 9~15g (수율 9~15%)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황칠 나무 분획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부탄올을 적정량 첨가하여 이들 용매에 대한 가용부를 순차적으로 분획하고 각 분획물들은 감압 농축하여 -30℃에서 얼린 후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황칠 나무 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황칠 나무로부터 5-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추출, 분리 및 동정
(1) 추출 및 분리
전남 장흥지역에서 직접 채취한 황칠 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의 수지(樹枝) 및/또는 잎 부위를 그대로 또는 건조 후 사용하였다. 건조물 100g을 사용하여 메탄올 2L로 24시간 동안 추출 여과하였다. 여과 추출의 개략적인 과정은 도 1에 나타내었다. 용매를 진공상태로 증발시켜 메탄올 추출물을 만들고, 이것을 물(1L)에 녹인 후, n-헥산(5X1L), 클로로포름(5X1L) 및 n-부탄올(3X1L)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n-헥산-클로로포름(기울기용리로 n-헥산 100% 에서 클로로포름 100%로), 클로로포름-메탄올(기울기용리로 클로로포름 100% 에서 메탄올 100%로)로 용리시켜 혼합물을 이동상으로 이용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한 결과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얻었다.
(2) 화합물의 동정
자외가시부흡광광도(Ultraviolet, UV) 및 적외부흡수(Infrared, IR) 스펙트럼을 Agilent 8453 UV/VIS 분광광도계 및 JASCO FT/IR-680 plus 분광광도계에 각각 기록하였다. ID 및 2D 핵자기공명스펙트럼(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실험들은 Bruker Avance 400MHz FT-NMR 장비에서 내부 표준을 테트라메틸실레인(Tetramethylsilane, TMS)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대기압 전기이온화법 질량분석 스펙트럼(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ESI-MS)은 Waters Q-TOF 고분해능 질량분석기(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er, HRMS)에서 얻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은 실리카겔(Silica gel) 60(70-230 mesh, Merck, Darmstadt, Germany)으로 수행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분석은 가열처리가 뒤따른(120℃, 5분) UV(254 및 365nm) 및 10%(v/v) 황산스프레이 조건의 시각화로 코팅된 0.25mm 두께의 Kieselgel 60 F254 (Merck, Germany) 판에서 수행하였다.
(3)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확인
분리한 화합물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은 고분해능 질량분석기(HRMS)에서 m/z 127.0410 [M+H+]의 분자 이온 피크를 보였으며, 이것은 분자식 C6H6O3에 대응된다. 자외가시부흡광광도(UV) 스펙트럼은 284 nm 에서 최대흡수를 보였다. 이 화합물의 핵자기공명 1H 스펙트럼은 d 4.72(2H, s, H-6)에서 2개의 지방족 수소의 신호를 나타냈으며. δ 6.52(1H, d), 7.22(1H, d)에서 2개의 푸란 (furan) 수소의 신호를 나타냈고, 9.57(1H, s)에서 알데히드의 수소와 3.06(1H, s)에서 수산화기(hydroxyl)의 신호를 나타내었다. 핵자기공명 13C 스펙트럼에서 δ 57.5(C-3), 110.0(C-1), 123.0(C-6), 152.3(C-2), 160.8(C-5) 및 177.7(C-4)를 나타내었다.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구조식은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 실시예 5>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의 5-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함량 확인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 중 지표성분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함량은 초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함량 분석을 위해 UPLC용 HSS T3(2.1X100 mm, 1.8 mm) 칼럼을 사용하였다. 이동상 A는 0.1% 포름산이 함유된 물·아세토니트릴 혼합액(99:1, v/v)을 사용하였고, 이동상 B는 0.1% 포름산이 함유된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조제하여 0.22 mm 막여과지로 여과하고 헬륨 가스로 10분간 탈기하여 사용하였다. 지표성분 함량 측정을 위한 UPLC용 검출기는 자외가시부흡광측정기(Ultraviolet(UV) detector)를 사용하였고,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UV 파장은 280nm 에서 측정하였다. 표준액과 검액은 각각 4 mL 씩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지표성분의 함량은 상용표준품을 이용한 외부표준법(external standard method)으로 정량하였고, 표준액 제조를 위해 5-하이드록시메틸-2-푸르알데하이드 (Aldrich, Lot BCBB2836) 상용표준품을 이용하여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 중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물·메탄올 혼합액(5:5, v/v)으로 표준액을 조제하였고 황칠 나무 열수추출물도 동일하게 물·메단올 혼합액(5:5, v/v)으로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기울기용리법(gradient)은 표 1과 같았다.
[표 1] 기울기용리법
Figure pat00004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을 상기 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에 함유된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추출시간에 따른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 중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의 함량 범위 (%)
Figure pat00005
< 실시예 6> 황칠 나무로부터 엘라그산의 추출, 분리, 동정 및 황칠 나무 수 추출물 내 함량 확인
상기 실시예 4의 방법과 동일하게 황칠 나무의 메탄올 추출, 기울기 용리를 통한 분획 분리 및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엘라그산을 얻고, 실시예 4의 동정 방법을 통해 앨라그산을 동정하였다.
분리한 화합물 엘라그 산의 구조분석은 고분해능 질량분석기(HRMS)에서 m/z 301.0094 [M-H+]의 분자 이온 피크를 보였으며, 이것은 분자식 C14H6O8에 대응된다.
엘라그 산의 자외가시부흡광광도(UV) 스펙트럼은 254 nm 에서 최대흡수를 보였고, 이것은 방향족 컨쥬게이팅 시스템 (aromatic conjugating system)의 존재를 나타낸다. 이 화합물의 핵자기공명 1H 스펙트럼은 δ 7.46(2H, s, H-5,5'에서 2개의 방향족 수소의 신호를 나타냈으며, δ 10.68(2H, s, H-2,3)에서 2개의 수산화기(hydroxyl)의 수소 신호가 나타났다. 핵자기공명 13C 스펙트럼에서 δ 107.6, 112.3(C-5,5'6'), 110.2(C-6'6'), 136.3(C-1,1'), 139.5(C-3,3'), 148.1(C-2,2',4,4') 및 159.1(C-7,7')를 나타내었다. 엘라그 산의 구조식은 화학식 2와 같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6
또한, 실시예 5의 함량 확인 방법과 UV 파장만을 254nm로 달리하고 Ellagic acid dihydrate (TCI, Lot 207-508-3) 상용표준품을 이용하여,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 내 엘라그산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 실험예 1> 황칠 추출물의 in vitro 숙취해소 효과 측정
(1)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도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36시간 열수 추출물. 5-히드록시메틸푸르프랄 함량은 0.3~0.5%) 황칠 열수 추출물과 분리한 화합물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및 엘라그 산에 대하여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알코올(alcohol)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에 의해 조효소 NAD+가 NADH로 전환되는 효소 활성을 보이는 것이 시그마-알드리치 ADH Activity Assay Kit(Cat No. MAK053)로 450nm 에서 측정되었다. ADH Activity Assay Kit 에 사용된 1 unit의 ADH 는 37℃, pH 8.0 에서 1.0 mmole 의 NADH 와 반응하는 효소의 양이다.
같은 방법으로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에 의해 조효소 NAD+가 NADH로 전환되는 효소 활성을 보이는 것이 시그마-알드리치 ALDH Activity Assay Kit(Cat No. MAK082)로 450nm 에서 측정되었다.
ALDH Activity Assay Kit 에 사용된 1 unit의 ALDH 는 실온, pH 8.0 에서 1.0 mmole 의 NADH 와 반응하는 효소의 양이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을 통한 결과를 표 3, 표 4,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3 및 도 2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3] 알코올 탈수소효소(ADH) 활성도(%)
Figure pat00007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칠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황칠에서 분리한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및 엘라그 산을 처리한 군에 대하여 ADH 활성을 비교한 결과, 각각을 처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ADH 활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열수 추출물에서 ADH 활성이 각각의 성분과 대비하여 매우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및 엘라그 산 단독 물질과 대비하여,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0.3~0.5%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에서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지표성분과 기타 구성 성분들에 의해, ADH 활성 억제에 시너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4 및 도 3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4]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 활성도(%)
Figure pat00008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칠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황칠에서 분리한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및 엘라그 산을 처리한 군에 대하여 ALDH 활성도를 비교한 결과, 각각을 처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ALDH 활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0.3~0.5%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황칠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의 지표성분보다 ALDH 활성이 억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및 엘라그 산 단독 물질과 대비하여,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0.3~0.5%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에서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지표성분과 기타 구성 성분들에 의한 시너지 효과로 ALDH 활성 억제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서,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에 포함된 구성 성분들이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및/또는 엘라그산과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알코올 탈수소효소 억제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 활성에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0.5%로 함유할 때 효과가 가장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황칠 추출물의 in vivo 숙취해소 효과 측정
(1)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동물은 평균체중 180g±5g의 Sparague-Dawley계 수컷 5주령 랫드(rat)를 사용하였으며, 각 군당 10마리로 하였다. 사육환경은 22℃, 상대습도 45±10%, 환기횟수 15~20회, 조명 12시간 간격, 조도 150~250Lux, 소음 50db 이하로 조절되는 환경에서 실험하는 동안 변화된 주변 환경과 온도, 습도, 먹이 등에 적응하게 하기 위해 실험 시작 전 1주일 간 순화시킨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2) 실험방법
1주일의 순화기간이 끝난 수컷 5주령 SD rat을 18시간 동안 절식시킨 뒤, 10마리씩 6개 군으로 나누어 음성 대조군에는 vehicle을, 실험군에는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나무 열수 추출물을, 양성 대조군에는 여명808(㈜그래미) 1500mg/BWkg을 경구 투여한다. 30분 경과 후 40% 주정을 경구 투여하고 투여 후 1, 3, 5시간에 혈액을 채취한다. 혈액은 -4℃,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했다.
(3) 혈중 에탄올 농도 측정
상기 알코올 투여 후 1시간, 3시간, 5시간 경과 후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얻은 혈청의 알코올 농도는 키트(r-biopharm, Cat. No. 10 176 290 035)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키트에 포함된 NAD 반응용액 3.0 mL에 대조군에는 증류수 0.1 mL를, 실험군에는 증류수에 1/50 희석된 혈청 0.1 mL를 큐벳(cuvette)에 넣어 섞어 주었다. 3분간 반응시킨 후에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다시 키트에 있는 효소 ADH(Alcohol Dehydrogenase)를 각각 0.05 mL씩 넣고 섞어주고 5분간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알코올 농도(mg/mL)는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한다.
[표 5] 알코올 농도 계산 식
Figure pat00009
(4)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측정
상기 알코올 투여 후 1시간, 3시간, 5시간 경과 후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얻은 혈청의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키트(r-biopharm, Cat. No. 10 668 613 035)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키트에 포함된 NAD 반응용액 3.0 mL에 대조군에는 증류수 0.2 mL를, 실험군에는 혈청원액 0.2 mL를 큐벳(cuvette)에 넣어 섞어 주었다. 3분간 반응시킨 후에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다시 키트에 있는 효소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를 각각 0.05 mL씩 넣고 섞어주고 5분간 반응시킨 후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아세트알데히드 농도(mg/mL)는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한다.
[표 6]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계산 식
Figure pat00010
(5) 실험결과
상기 실험을 통한 결과를 표 7, 표 8,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표 7 및 도 4는 혈중 에탄올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칠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음성 대조군을 비교하면, 황칠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시간 의존적 및 농도 의존적으로 혈중의 에탄올 함량이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크게 감소하는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과도 유사한 알코올 분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의 분해를 빠르게 함으로써 숙취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7] 황칠 열수 추출물 처리시 혈중 에탄올 함량의 변화
Figure pat00011
표 8 및 도 5는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칠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음성 대조군을 비교하면, 황칠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시간 의존적 및 농도 의존적으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이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크게 감소하는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보다도 우수한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열수 추출물이 숙취에 가장 큰 원인인 아세트알데히드를 빠르게 분해함으로써 기존의 숙취해소제보다 더 좋은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표 8] 황칠 열수 추출물 처리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의 변화
Figure pat00012
< 실험예 3> 혈청 중 GOT GPT 활성도 측정
(1) 실험방법
상기 in vivo 숙취 해소 동물시험을 통하여 알코올 투여 후 1시간, 3시간, 5시간 경과 후 채취한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했다. 생화학분석기(Hitachi 7020)를 이용하여 분리된 혈청으로부터 혈중 GOT와 GPT를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을 통한 결과를 표 9, 표 10,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표 9 및 도 6은 혈중 GOT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9] 황칠 열수 추출물 처리시 혈중 GOT 농도 변화
Figure pat00013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음성 대조군을 비교하면, 황칠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혈중의 GOT 농도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보다 우수한 GOT 농도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열수 추출물이 간 기능 회복을 빠르게 함으로써 숙취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0 및 도 7은 혈중 GPT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0] 황칠 열수 추출물 처리시 혈중 GPT 농도 변화
Figure pat00014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과 음성 대조군을 비교하면, 황칠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혈중의 GPT 농도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보다 우수한 GPT 농도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을 함유하는 황칠 열수 추출물이 간 기능 회복을 빠르게 함으로써 숙취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황칠 나무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정선하고 결정 셀룰로오스 유당, 전분 등과 균일하게 혼합 한 후 함께 과립화 후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자당지방산 에스테르 등과 혼합한 후 압착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정제에 사용된 구성성분과 그 사용량은 다음과 같다.
[표 11] 정제의 구성성분
Figure pat00015
< 제제예 2> 캡슐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황칠 나무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정선하고 패각칼슘, 결정셀룰로오스 등과 균일하게 혼합 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을 제조하였다.
캡슐 제조에 사용된 구성성분과 그 사용량은 다음과 같다.
[표 12] 캡슐제의 구성성분
Figure pat00016
< 제제예 3> 액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황칠 나무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 0.15중량%, 액상과당 10 중량%, 벌꿀 2 중량%, 사과농축과즙(60bx) 2 중량%, 과라나추출물분말 0.5 중량%, 함수 구연산 0.5중량%, 구연산나트륨 0.1 중량%, 타우린 0.1 중량%의 조성물을 제조한 다음 정제수를 첨가하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4> 건강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황칠 나무 추출물 및/또는 분획물을 입자 크기에 따라 정선하고 구연산, 올리고당, 모과농축액, 매실농축액, 타우린 등과 균일하게 혼합 한 후 정제수를 가하여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건강 음료 제조에 사용된 구성성분과 그 사용량은 다음과 같다.
[표 13] 건강음료의 구성성분
Figure pat00017

Claims (10)

  1.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5-(Hydroxymethyl)furfural)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황칠 나무 추출물.
  2. 제1항에 있어서, 엘라그 산(Ellagic acid)을 추가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황칠 나무 추출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은 황칠 나무(Dendropanax morbiferus)의 수지(樹枝), 잎 또는 이들 모두를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에 넣고 60~120℃에서 6~54시간 동안 추출한 것인 숙취해소 및 예방용 황칠 나무 추출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은 황칠 나무 추출물 총중량에 대하여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 0.02 중량% 내지 1.0 중량 %를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황칠 나무 추출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은 황칠 나무 추출물 총중량에 대하여 엘라그 산 0.01 중량% 내지 0.5 중량%를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황칠 나무 추출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비타민 B군, 비타민 C, 비타민 E, 베타카로틴, Ca, Mg, Zn, 레시틴, 알라닌, 타우린, 말톨, 과당, 올리고당, 영지, 글루메이트, 키토산, 아스파라긴산, 동충하초, 밀크시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엑스제의 형태인 것인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9. 제6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식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차, 젤리, 껌, 캔디 또는 음료의 형태인 숙취 해소 및 예방용 식품.
KR1020130147613A 2012-11-30 2013-11-29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209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953 2012-11-30
KR20120137953 2012-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470A true KR20140070470A (ko) 2014-06-10
KR102209339B1 KR102209339B1 (ko) 2021-01-29

Family

ID=5112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613A KR102209339B1 (ko) 2012-11-30 2013-11-29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33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180B1 (ko) * 2014-06-12 2014-12-22 장은익 황칠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황칠 음료
KR101534550B1 (ko) * 2013-11-15 2015-07-09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WO2015183027A1 (ko) * 2014-05-29 2015-12-03 주식회사유한양행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80047190A (ko) 2016-10-31 2018-05-10 제주황칠바이오테크(주) 젖산균을 이용한 항산화 효능이 있는 황칠나무 발효물 제조방법
KR20180097068A (ko) 2017-02-22 2018-08-30 농업회사법인 명성바이오 (주)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IT201700119556A1 (it) * 2017-10-23 2019-04-23 Glauco Isella Integratore alimentare energizzante e suo uso.
WO2019107619A1 (ko) * 2017-11-30 2019-06-06 영어조합법인 제인 황 칠 추출액을 첨가한 젤리 제조 방법
KR20200092692A (ko) 2019-01-25 2020-08-04 안원희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10158071A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예원황칠바이오 황칠나무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063A (ko) 2000-08-28 2002-03-07 쿵 티엔 메이 네트워크 다이얼-업 서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38494A (ko) 2001-11-08 2003-05-16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휴대용 단말기
KR20040107853A (ko) * 2003-06-14 2004-12-23 정세영 에탄올 유발 간손상을 억제하는 황칠 추출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063A (ko) 2000-08-28 2002-03-07 쿵 티엔 메이 네트워크 다이얼-업 서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38494A (ko) 2001-11-08 2003-05-16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휴대용 단말기
KR20040107853A (ko) * 2003-06-14 2004-12-23 정세영 에탄올 유발 간손상을 억제하는 황칠 추출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em. J. (2002) 363, pp.769-776* *
Metabolism, Volume 57, Issue 12, 2008, pp.1753-1759.* *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550B1 (ko) * 2013-11-15 2015-07-09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황칠나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그 제조방법
WO2015183027A1 (ko) * 2014-05-29 2015-12-03 주식회사유한양행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475180B1 (ko) * 2014-06-12 2014-12-22 장은익 황칠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황칠 음료
KR20180047190A (ko) 2016-10-31 2018-05-10 제주황칠바이오테크(주) 젖산균을 이용한 항산화 효능이 있는 황칠나무 발효물 제조방법
KR20180097068A (ko) 2017-02-22 2018-08-30 농업회사법인 명성바이오 (주) 숙취해소 음료 제조방법
IT201700119556A1 (it) * 2017-10-23 2019-04-23 Glauco Isella Integratore alimentare energizzante e suo uso.
WO2019081468A1 (en) * 2017-10-23 2019-05-02 Isella Glauco ENERGY SUPPLEMENT AND USE THEREOF
WO2019107619A1 (ko) * 2017-11-30 2019-06-06 영어조합법인 제인 황 칠 추출액을 첨가한 젤리 제조 방법
KR20200092692A (ko) 2019-01-25 2020-08-04 안원희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10158071A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예원황칠바이오 황칠나무 및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339B1 (ko) 2021-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339B1 (ko)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413705B1 (ko)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5937596B2 (ja) 活性型フラボノイド化合物の含量が増加されたウルシ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62670B1 (ko) 2,5-비스-아릴-3,4-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이엠피케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X2008012065A (es) Extractos y metodos que comprenden especies de te verde.
KR101483592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989093B1 (ko) 생강나무 가지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H08225453A (ja) リポプロテイン(a)低下剤及び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医薬
KR100898758B1 (ko) 항당뇨 활성을 나타내는 패과식물의 추출물
KR100948332B1 (ko) 큰까치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896520B1 (ko) 탈염 용암해수 및 목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핵심물질 제조공정
WO2012140894A1 (ja) 医薬用組成物
WO200506848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flavonoid compounds isolated from the extract of sedum sarmentosum bung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ypertension
KR20150088223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060015055A (ko) 고혈당 및 고지혈증 억제 활성을 갖는 감차수국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
KR101157096B1 (ko) 블렌시아 살미언티 추출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637263B1 (ko) 정공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20130082250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533487B1 (ko) 개가시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요로결석 조성물
KR101725261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 분해 효능과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20033443A (ko) 대황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피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77507B1 (ko) 감잎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892659B1 (ko) 말락시닉산을 이용한 인슐린감도개선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성식품
KR101815660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에 의해 저하된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1866372B1 (ko) 가래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