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592B1 -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592B1
KR102293592B1 KR1020210027448A KR20210027448A KR102293592B1 KR 102293592 B1 KR102293592 B1 KR 102293592B1 KR 1020210027448 A KR1020210027448 A KR 1020210027448A KR 20210027448 A KR20210027448 A KR 20210027448A KR 102293592 B1 KR102293592 B1 KR 102293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extract
jeju
s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영
이혜민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027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592B1/ko
Priority to CN202210155151.9A priority patent/CN114984063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4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artensia jejuensis and functional food comprising extract of Martensia jejuensis}
본 발명은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피부 장벽(skin barrier)은 피부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각질층으로 피부 최초의 방어막이라고 할 수 있다. 피부 장벽은 각질세포, 세라마이드와 같은 지질 및 필라그린과 같은 단백질 등으로 된 각질세포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다층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온전한 피부 장벽의 역할을 한다. 피부 장벽의 주요 기능은 체액의 손실, 독소의 공격, 병원균의 침입을 막는 것이다. 따라서 피부 장벽의 손상은 피부 바깥층의 단순한 기계적 손상만이 아니라 다양한 병원균의 침투를 통해 심각한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기존 치료방법 중의 하나인 항생제 요법의 한계는 피부 유해균(ex. Staphylococcus aureus)뿐만 아니라 피부 유익균(ex. Staphylococcus epidermidis)도 다 같이 억제하여 그 효과가 뚜렷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피부 공생 유익균은 억제하지 않으면서, 유해균만 억제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시키는 소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미생물군집을 나타내는 마이크로비오타(microbiota)와 유전체를 나타내는 게놈(genome)의 합성어이다. 마이크로비오타는 마이크로바이옴에 비해 미생물 균주 그 자체에 중점을 둔 용어로 인간의 몸에 서식하며 공생의 관계를 갖는 미생물을 뜻하고, 마이크로바이옴은 기존의 개별 미생물 분석 연구에서 벗어나 기주 생물과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을 유전체학에 기반한 연구 및 기술을 뜻한다.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인체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잘 알려졌다. 최근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과 피부 장벽에 대하여 화장품, 의학, 제약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화장품, 피부 외용제 등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공생 유익균은 억제하지 않으면서, 유해균만 억제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장벽 손상 예방에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의 독성을 완화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은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을 유지시켜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은 물,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기 용매가 탄소 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유 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클로로포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파우더, 수증유(O/W)형 및 유증수(W/O)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비단망사(Martensia jeju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세포 손상을 방지하고,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을 유지시킴으로써, 피부 장벽 손상 예방에 효과적이다.
특히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 효과적이므로, 여러 질병 중 아토피 환자의 피부와 같이 피부 장벽(skin barrier)이 손상된 상태에서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피부 손상을 크게 방지할 수 있어, 아토피 질환과 같은 피부 질환 환자에 크게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써 천연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합성 물질에 의한 부작용이나 위험도가 적다.
도 1은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에 의한 황색포도상구균의 용혈활성 저해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의 표피포도상구균(S. epidermidis)과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의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제주비단망사 추출물 농도에 따른 황색포도상구균의 독성 인자관련 유전자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의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피부세포 사멸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기재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를 기초로 해석된다.
본 발명은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주비단망사(Martensia jejuensis)는 홍조류 비단풀목에 속하는 제주 해역에 자생하는 국내 고유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으며, 10.0 중량%를 초과하면 변색, 변취 등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의 독성을 완화시켜,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인체의 피부 표면 및 모공에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상재하는 포도상구균은 정상인에게 질병을 일으키지 않지만 황색포도상구균은 정상인에 대해서도 질병을 일으킨다. 특히 상처 부위를 통해 체내에 침입할 경우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황색포도상구균의 독성 인자(virulence factor)는 크게 세포에 존재하는 독성 인자, 외부독소(external toxin), 및 효소(enzyme)로 구분된다. 세포에 존재하는 독성 인자로서 protein A, fibronectin-binding factor, teichoic acid 등이 포함된다. 외부독소로는 enterotoxin, toxic shock syndrome toxin-1(TSST-1), α-hemolysin(Hla) 등이 있으며, 효소는 혈장응집효소(coagulase), 스타필로카이네이스(staphylokinase), 단백질분해효소(protease), DNA분해효소(DNase), 지질분해효소(lipase) 등이 있다(미생물학백과).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황색포도상구균은 농양 등 다양한 표피 감염, 식중독, 폐렴, 수막염,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써 작용한다. 여러 질병 중 아토피 환자의 피부와 같이 피부 장벽(skin barrier)이 손상된 상태에서는 황색포도상구균이 군체(colony) 및 바이오필름을 잘 형성하게 되고, 그로 인한 염증 반응 및 피부세포 손상으로 증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 결과 정상적인 피부 장벽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피부 미생물 분포가 달라진다.
본 발명자들은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이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특히 황색포도상구균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피부 질환에 이해 피부 장벽이 손상되거나 약화된 피부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 및 유지할 수 있어, 피부 보습력 강화, 피부트러블 방지 및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은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을 유지시켜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은 물,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잘 알려진 통상의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용매는 탄소 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유 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추출물로는 상기 제주비단망사의 에탄올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냉침 추출법, 온침 추출법 또는 열 추출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 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 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한 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고, 상기 건조는 한 예로 동결 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제주비단망사 추출물 외에 사용방법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파우더, 수증유(O/W)형 및 유증수(W/O)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상적으로 사용하여도 천연 물질로 구성되어 피부 트러블이 없으면서도 지속적으로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여,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노화 방지 등의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 제조되는 데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수,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로션, 팩, 에센스와 같은 기초 화장품인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는 데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발효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화장료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 역시 피부 보습 강화, 피부트러블 방지 및 피부노화 방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도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 또는 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해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피부 장벽기능 개선 목적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보습강화, 피부트러블 방지 및 피부노화 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마스크 팩, 마스크 시트,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치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투여형 제형을 갖는 조성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이외에 예컨대, 점증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추가로 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주비단망사(Martensia jeju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화장료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역시 피부보습강화, 피부트러블 방지 및 피부노화 방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도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일례로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 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 류,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일 수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 식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발효추출물 이외에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중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험예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험예 및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 제주비단망사 추출물 제조
건조된 제주비단망사 전초를 분쇄하여 2배의 중량비의 95% 에탄올에 침지시킨 상태로 초음파 장치(150 w, 30℃)에 30분간 노출시켰다. 24시간 침지 후 여과지에 거른 다음 회전감압농축기로 용매를 제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균주, 세포주 및 배양조건
균주는 피부 유해균으로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 ATCC 6538), 유익 균으로 표피포도상구균(S. epidermidis, ATCC 12228)을 사용하였으며, Tryptic soy broth (TSB)에서 37℃ 온도조건으로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피부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는 10% FBS을 첨가한 무항생제 DMEM 배지에서 37℃, 5 % CO2조건으로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2: 용혈활성 저해도 측정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에 의한 황색포도상구균의 용혈활성 저해도를 측정하기위하여, rabbit blood를 이용한 hemolysis assay를 진행하였다.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에 의한 황색포도상구균의 독성 관련 실험들을 진행하기 전, 사전 실험을 통해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최소생육저해농도(MIC)가 2 ㎎/㎖ 이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 1x106 CFU/㎖에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100, 50, 25㎍/㎖로 처리하여 TSB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시킨 균액을 원심분리시켜 상층액 만을 획득하여 0.2 ㎛ 시린지 필터로 여과한 뒤 실험에 사용하였다.
PBS에 3회 세척한 rabbit blood 25㎕와 균 배양 상층액 975㎕를 1.5 ㎖ 마이크로튜브에 넣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뒤 5,500 g(중력가속도)로 1분간 원심분리시켜 상층액 200㎕를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옮긴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황색포도상구균 배양액에 의한 용혈활성이 저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피부 미생물 조절 효능 평가
TSB에 24시간 동안 배양된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과 표피포도상구균(S. epidermidis)를 새로운 배지에 각각 약 1x106 CFU/㎖로 접종하여 제주비단망사 추출물 200 ug/mL과 함께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107배로 희석된 배양액을 TSA에 도말하여 황색포도상구균과 표피포도상구균의 균체(colony)수를 계수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무처리 대조군 대비 유익균인 표피포도상구균의 비율이 증가하고 유해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의 비율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 황색포도상구균 독성 인자 발현
황색포도상구균의 독성 인자인 α-hemolysin(Hla), clumping factor A/B(ClfA, ClfB), fibronectin-binding factor A/B(FnbA, FnbB), protein A(SpA), sortase(SrtA) 유전자의 mRNA 발현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real-time PCR 실험을 진행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 약 1x106 CFU/㎖에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200, 100, 50 ㎍/㎖로 처리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균체를 회수하여 RNA를 추출하였다(TE buffer, 100℃ boiling). 추출한 RNA의 농도와 순도를 측정한 뒤 1 ㎍ RNA로 cDNA 합성 kit(Intron)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한 뒤, SYBR green을 사용하여 real-time PCR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제주비단망사 추출물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의 독성 인자인 Hla, ClfB, FnbA/B, SpA 유전자의 mRNA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 피부각질세포 보호 효과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에 의한 피부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각질형성세포(HaCaT)와 황색포도상구균의 공배양을 실시하였다.
피부각질형성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바닥면의 80%를 채울 때까지 배양한 뒤, 황색포도상구균을 약 1,000 CFU/well로 처리하여 일정 시간 공배양(co-culture) 시킨 뒤에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황색포도상구균을 처리하지 않은 피부각질형성세포(K) 대비 황색포도상구균을 처리한 피부각질형성세포(K+S)에서 세포 사멸이 일어났고,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세포 사멸이 저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이 황색포도상구균의 독성을 조절함으로써 피부 장벽 손상 예방 효과가 있는 천연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이하, 상기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이용한 여러 제형예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이들 제형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형이 이들 제형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제형예 1 내지 3: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제형예 1 로션(emulsion)
성분명 실시예(중량%)
스테아린산 0.5
에탄올 10.0
바셀린 1.0
스쿠알란 2.5
유동파라핀 6.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5
1,3-부틸렌글리콜 8.0
트리에탄올아민 0.05
향료 0.2
방부제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제주비단망사 추출물 0.05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유연 화장수(skin toner)
성분명 중량%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에탄올 5.0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0.5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제주비단망사 추출물 0.05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크림(cream)
성분명 실시예(중량%)
글리세린 5.0
스테아린산 8.0
스쿠알란 5.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5
프로필렌 글리콜 4.0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바셀린 2.0
산화방지제 적량
향료 정량
방부제 적량
제주비단망사 추출물 0.05
정제수 To 100

Claims (11)

  1. 제주비단망사(Martensia jeju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장벽 손상 예방용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의 독성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은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은 물,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가 탄소 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유 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클로로포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파우더, 수증유(O/W)형 및 유증수(W/O)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11. 제주비단망사(Martensia jeju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KR1020210027448A 2021-03-02 2021-03-02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2293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448A KR102293592B1 (ko) 2021-03-02 2021-03-02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CN202210155151.9A CN114984063B (zh) 2021-03-02 2022-02-21 皮肤外用剂组合物及功能性食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448A KR102293592B1 (ko) 2021-03-02 2021-03-02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592B1 true KR102293592B1 (ko) 2021-08-26

Family

ID=7746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448A KR102293592B1 (ko) 2021-03-02 2021-03-02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3592B1 (ko)
CN (1) CN1149840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534B1 (ko) * 2022-08-03 2023-11-24 박헌의 산삼배양근 배양 배지를 이용한 식용 달팽이용 사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770A (ko) * 2013-01-29 2014-08-0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바리 비단망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80234A1 (es) * 2010-02-25 2012-03-21 Marrone Bio Innovations Inc Cepa bacteriana aislada del genero burkholderia y metabolitos pesticidas del mismo
WO2018216744A1 (ja) * 2017-05-23 2018-11-29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乳酸菌を含有する化粧料、皮膚保護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770A (ko) * 2013-01-29 2014-08-0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바리 비단망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ean J Fish Aquat Sci 54(1), pp.111-117 *
Phycological Research 2004, 52, pp.255-265 *
이용필, 제주대학교, "제주도 해조류의 종 다양성조사 연구"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534B1 (ko) * 2022-08-03 2023-11-24 박헌의 산삼배양근 배양 배지를 이용한 식용 달팽이용 사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84063A (zh) 2022-09-02
CN114984063B (zh)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3593B1 (ko) 바다고리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0847103B1 (ko)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그 용도
CN105451751B (zh) 用于去除皮肤角质材料的、含有绿茶乳杆菌的组合物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825B1 (ko) 현미, 녹차 및 포공영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내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34668B1 (ko)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3592B1 (ko) 제주비단망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1433823B1 (ko) 부챗말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31359B1 (ko) 영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298533B1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1354B1 (ko) 계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031360B1 (ko) 자화지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031351B1 (ko) 호로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492106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2194314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녹차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1361B1 (ko) 정력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031353B1 (ko) 건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031356B1 (ko) 대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031355B1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180666B1 (ko) 애플민트, 유자 및 꽃송이버섯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1362B1 (ko) 총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190048885A (ko) 의이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031352B1 (ko) 갈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2031357B1 (ko) 비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US20220031603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microflora containing herbal medicine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