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693B1 - 차량의 카울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카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693B1
KR100844693B1 KR1020070096431A KR20070096431A KR100844693B1 KR 100844693 B1 KR100844693 B1 KR 100844693B1 KR 1020070096431 A KR1020070096431 A KR 1020070096431A KR 20070096431 A KR20070096431 A KR 20070096431A KR 100844693 B1 KR100844693 B1 KR 100844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vehicle
coupled
cross bar
front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장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6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5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룸의 정비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소요 부품수를 저감하며, 차량의 조립시나 정비시에 상대적으로 우수한 작업성을 제공하고, 차체의 골격 강성에도 상대적으로 기여도가 큰 카울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카울구조{cowl structure of a vehicle}
도 1은 종래의 카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카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프론트커버패널을 조립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종래 카울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차량의 측방에서 본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카울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대응한 본 발명 카울구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카울베이스 3; 카울사이드패널
5; 카울프론트크로스바 7; 볼트
9; 카울탑커버 11; 결합플랜지
13; 차단플랜지 15; 카울어셈블리
17; 대쉬패널인슐레이터 19; 결합핀
21; 클립 23; 벌크헤드
본 발명은 차량의 카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강성확보에 유리하고 엔진룸의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카울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카울구조를 설명한 것으로서, 도 1은 차량의 엔진룸(500)을 형성하고 있는 카울의 모습을 차량의 상측에서 내려다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카울의 프론트커버패널(502)이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카울의 프론트커버패널(502)이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지점에서 볼트 등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은, 엔진룸(500)은 점차 축소되고 객실(504)은 점차 넓어지는 현재 차량의 개발 추세에 따라 최근의 차량은 엔진룸(500)이 매우 협소하게 이루어지므로, 엔진을 분리하거나 브레이크부스터를 수리하거나 필터를 교환하는 등의 엔진룸(500) 정비시에는 작업성의 확보를 위해 프론트커버패널(502)을 카울어셈블리(506)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프론트커버패널(502)이 카울어셈블리(506)에 결합되어 차체의 강성의 확보하는 데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론트커버패널(502)을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하여 다수의 지점에서 볼트 등으로 결합하도록 한 구조는, 다수의 결합지점 및 이 부위들에 필요한 별도의 브라켓(508; 도 3참조)들로 인해 부품수가 많고 차량의 조립시는 물론 정비시에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커버패널(502)이 카울어셈블리(506)의 전방 중간부분에 끼워 넣어지는 구 조로는 차체의 골격 강성에 큰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룸의 정비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소요 부품수를 저감하며, 차량의 조립시나 정비시에 상대적으로 우수한 작업성을 제공하고, 차체의 골격 강성에도 상대적으로 기여도가 크게 형성되도록 한 차량의 카울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카울구조는
두 패널이 결합되어 차량의 횡방향으로 길게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카울베이스와;
상기 카울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카울사이드패널과;
양단이 상기 양측의 카울사이드패널에 결합되는 ㄷ 자형 단면의 카울프론트크로스바와;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에 결합되는 카울탑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두 패널이 결합되어 차량의 횡방향으로 길게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카울베이스(1)와; 상기 카울베이스(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카울사이드패널(3)과; 양단이 상기 양측의 카 울사이드패널(3)에 결합되는 ㄷ 자형 단면의 카울프론트크로스바(5)와;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5)에 결합되는 카울탑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의 카울어셈블리의 구조를 거의 그대로 유지하지만, 종래의 프론트커버패널을 배제하고,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5)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5)의 양단은 상기 ㄷ 자형 단면의 상측변이 상기 카울사이드패널(3)에 밀착되어 볼트(7)로 결합된다.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5)의 ㄷ 자형 단면의 개방측은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카울탑커버(9)는 차량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5)의 ㄷ 자형 단면의 상측변이 끼워져서 결합되는 결합플랜지(11) 및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5)의 ㄷ 자형 단면의 개방측의 전방을 가리는 차단플랜지(13)가 일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5)는 양단이 상기 카울사이드패널(3)에 결합되고, 중간부분은 상기 카울탑커버(9)에 결합되어, 상기 카울베이스(1)와 함께 일체화된 카울어셈블리(15)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ㄷ 자형 단면의 개방측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미관이 확보된다.
한편,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5)의 중간부분의 하측은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쉬패널인슐레이터(17)에 결합되는데, 종래에 통상의 인슐레이터를 마운팅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5)의 하측면에 결합핀(19)을 다수 설치하고 대쉬패널인슐레이터(17)의 단부에 클립(21)을 형성하여 손쉽게 끼우거나 빼서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5)의 ㄷ 자형 단면의 내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자형 단면의 프로파일을 따르는 다수의 벌크헤드(23)가 설치되어, 카울프론트크로스바(5)의 강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카울구조에서는 엔진룸을 정비하기 위해서 상기 카울탑커버(9)를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5)에서 빼고,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5)의 양단에서 볼트(7)를 풀어 카울사이드패널(3)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대쉬패널인슐레이터(17)에서 분리하면서 빼내면 분리작업이 완료되므로, 종래에 비교하여 비교적 손쉽게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여, 차량 엔진룸의 정비성이 크게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벌크헤드(23)로 강성이 보강된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5)는 양단이 상기 카울사이드패널(3)에 연결되어, 종래에 스트럿바와 같은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어서, 차량의 강성 증대에 상대적으로 크게 기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룸의 정비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소요 부품수를 저감하며, 차량의 조립시나 정비시에 상대적으로 우수한 작업성을 제공하고, 차체의 골격 강성에도 상대적으로 기여도가 큰 카울구조를 제공한다.

Claims (4)

  1. 두 패널이 결합되어 차량의 횡방향으로 길게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카울베이스와;
    상기 카울베이스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카울사이드패널과;
    양단이 상기 양측의 카울사이드패널에 결합되는 ㄷ 자형 단면의 카울프론트크로스바와;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에 결합되는 카울탑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의 ㄷ 자형 단면의 개방측은 차량의 전방을 향하고;
    상기 카울탑커버는 차량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의 ㄷ 자형 단면의 상측변이 끼워져서 결합되는 결합플랜지 및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의 ㄷ 자형 단면의 개방측의 전방을 가리는 차단플랜지가 일체로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의 ㄷ 자형 단면의 내측에는 ㄷ 자형 단면의 프로파일을 따르는 다수의 벌크헤드가 설치되어, 카울프론트크로스바의 강성을 확보하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구조.
  4.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울프론트크로스바의 양단은 상기 ㄷ 자형 단면의 상측변이 상기 카울사이드패널에 밀착되어 볼트로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카울구조.
KR1020070096431A 2007-09-21 2007-09-21 차량의 카울구조 KR100844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431A KR100844693B1 (ko) 2007-09-21 2007-09-21 차량의 카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431A KR100844693B1 (ko) 2007-09-21 2007-09-21 차량의 카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693B1 true KR100844693B1 (ko) 2008-07-07

Family

ID=3982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431A KR100844693B1 (ko) 2007-09-21 2007-09-21 차량의 카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7053A (ja) * 2018-01-22 2019-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カウルブラケッ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155A (ko) * 2004-06-28 2006-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울 컴플리트 패널 어셈블리의 보강구조
JP2006062472A (ja) 2004-08-25 2006-03-09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カウル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0155A (ko) * 2004-06-28 2006-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울 컴플리트 패널 어셈블리의 보강구조
JP2006062472A (ja) 2004-08-25 2006-03-09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カウル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7053A (ja) * 2018-01-22 2019-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カウルブラケット
JP7024434B2 (ja) 2018-01-22 2022-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カウルブラケ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5252B1 (en) Motor vehicle functional front end referenced to the wing of a vehicle
JP5366242B2 (ja) サンルーフ車両のルーフラック締結装置
JP2015168421A (ja) 車両のアッパーボディフレームシステム
US8172314B2 (en) Covering part
JP2006282119A (ja) 車両のルーフサイド部取付構造
CN105691465A (zh) 多用途车辆的前盖组件
KR100844693B1 (ko) 차량의 카울구조
JP6519068B2 (ja) 車両のルーフ構造体
EP1627800B1 (de) Kraftfahrzeug-Frontend
CN113459942A (zh) 车辆照明总成和安装方法
CN115257835A (zh) 司机室头罩、司机室及轨道车辆
JPS5914576A (ja) 自動車のカウル構造
US20140197662A1 (en) Wheel opening fender/panel assembly
JP2010247610A (ja) 車体後部構造
JP2008100600A (ja) 自動車のフェンダ取付構造
JP2006007982A (ja) 車両の前部構造
KR101637602B1 (ko) 카울부 구조
RU2719076C2 (ru) Крепежны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панели приборо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JP2008049760A (ja) 車両のバックドア開口部の構造
KR101294156B1 (ko) 크래쉬패드모듈 지그장치
CN211969436U (zh) 用于轨道车辆的门立柱罩部件和具有其的轨道车辆
KR101359984B1 (ko) 차량용 범퍼의 브래킷 장치
CN210478465U (zh) 一种单人座椅护板结构及汽车
JP2009083691A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の支持構造
JP2007090946A (ja) ルーフボウ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