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579B1 -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579B1
KR100841579B1 KR1020000016889A KR20000016889A KR100841579B1 KR 100841579 B1 KR100841579 B1 KR 100841579B1 KR 1020000016889 A KR1020000016889 A KR 1020000016889A KR 20000016889 A KR20000016889 A KR 20000016889A KR 100841579 B1 KR100841579 B1 KR 100841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copolymer
deactivator
polymerization
oxym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533A (ko
Inventor
나까무라다까히로
이시까와마사히꼬
미무라히로시
니시자와찌하루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1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08G65/264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08G65/264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5/2669Non-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G65/268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46Post-polymerisation treatment, e.g. recovery, purification, dry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간략하며 그리고 효율적으로 촉매를 실활시킬 수 있고, 촉매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서 열안정성이 우수한 옥시메틸렌계 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트리옥산, 또는 트리옥산과 환상 에테르 및/또는 환상 아세탈과의 혼합물을 양이온형 활성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시키고, 이어서 그 촉매의 실활제를 SP 값 (용해도 파라미터) 이 9.5 ∼ 12.5 인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첨가함으로써 중합반응을 정지시켜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Description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OXYMETHYLENE POLYMER OR OXYMETHYLENE COPOLYMER}
본 발명은 트리옥산 등의 중합촉매를 실활(失活)시켜 중합반응을 정지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트리옥산 등을 양이온형 활성촉매로 중합시키고, 이어서 실활제로 중합반응을 정지시켜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리옥산 단독 또는 트리옥산과 환상 에테르 및/또는 환상 아세탈을 양이온형 활성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시키고,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얻는 것은 공지이며 각종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들 중, 실질상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괴상(塊狀)중합 또는 모노머에 대해 20 % 이하의 용매를 이용하는 준(準)괴상중합이 공업적으로 바람직한 방법이다. 또한, 중합으로 얻어진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조(粗)중합체는 해(解)중합을 저지하기 위해 촉매를 실활시킬 필요가 있다.
촉매의 실활방법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각종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58-34819 호에는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수산화칼슘 등의 염기성 중화제를 포함하는 수용액 중 또는 유기용매 중에서 실활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중합체에 대해 동일 중량 이상의 다량의 실활제의 용매를 이용하는 것은 용매와 중합체의 분리 및 용매회수(回收)가 필요해지고, 실활화 공정이 매우 복잡해지는 결점을 갖고 있어 공업적으로 유리한 방법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 고체의 실활제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63-27519 호에는 아황산금속염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지만, 이들 고체의 실활제를 이용하여 촉매를 실활시킨 중합체의 열안정성은 만족할만한 것이 아니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57-80415 호에는 3 급 포스핀 화합물의 유기용매용액을 실활제로서 이용하는 방법이,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8-208784 호에는 특정의 힌다드아민 화합물의 유기용매용액을 이용하는 방법이 각각 제안되고 있지만, 이들 용매의 SP 값 (용해도 파라미터) 에 관해서는 전혀 기재가 없다.
본 발명자의 목적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세정에 의한 중합촉매의 제거를 실시할 필요가 없이 간략하며 그리고 효율적으로 중합촉매를 실활시켜 열안정성이 우수한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으로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중합촉매의 실 활제를 특정의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첨가함으로써 중합을 정지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트리옥산 단독 또는 트리옥산과 환상 에테르 및/또는 환상 아세탈과의 혼합물을 양이온형 활성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시키고, 이어서 그 촉매의 실활제를 첨가하여 중합반응을 정지시켜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그 촉매의 실활제를 SP 값 (용해도 파라미터) 이 9.5 ∼ 12.5 인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촉매의 실활제로서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염기성 중화제 또는 루이스염기 등을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친화성이 높은 특정한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첨가함으로써 중합촉매의 실활을 간략하며 그리고 효율적으로 실시하고, 실활시의 부(副)반응을 억제시키고, 열안정성이 우수한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활제를 용해시키기 위해 이용하는 용매가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친화성이 높은 작용을 가짐으로써 실활제가 매우 효율적으로 작용하고, 계속 중합되는 활성 양이온형 말단이 안정적인 말단기를 형성하여 봉쇄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발명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중합방법으로서는 괴상 중합법, 용융 중합법 등이 있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중합방법으로서는 실질상 용매를 이용하지 않는 괴상 중합법이거나 또는 모노머에 대해 20 % 이하의 용 매를 이용하는 준괴상 중합법이 있고, 이들 방법에 의하면 용융상태에 있는 모노머를 이용하여 중합시키고, 중합의 진행과 함께 분상(粉狀) 및 괴상화된 고체의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원료 모노머는 포름알데히드의 환상 3 량체인 트리옥산을 주체로 하는 것이고, 코모노머로서 이용되는 환상 에테르 또는 환상 아세탈로서는 다음의 일반식 (2) 로 나타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0006424549-pat00001
(식중, R1, R2, R3 및 R4 는 동일 또는 상이한 것이고,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 ∼ 5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5 는 메틸렌기 또는 옥시메틸렌기 또는 각각 알킬기로 치환된 메틸렌기 또는 옥시메틸렌기 (n 은 0 ∼ 3 의 정수) 를 나타내거나, 또는 일반식 (3) 또는 (4) 로 나타나는 2 가의 기를 나타낸다 (n 은 1 이고, m 은 1 ∼ 4 의 정수).)
-(CH2)m-O-CH2- ‥‥‥ (3)
-(O-CH2-CH2)m-O-CH2 ‥‥‥ (4)
환상 에테르 또는 환상 아세탈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1,3-디옥소란, 1,3-디옥산, 1,3- 디옥세판, 1,3,5-트리옥세판, 1,3,6-트 리옥소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코모노머로서는 1,3-디옥소란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분자량 조절을 위해 필요하다면 적당한 분자량 조절제를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의 중합촉매로서는, 일반적인 양이온형 활성촉매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양이온형 활성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루이스산, 즉 붕소, 주석, 티탄, 인, 비소 및 안티몬 등의 할로겐화물, 구체적으로는 3 불화붕소, 4 염화주석, 4 염화티탄, 5 염화인, 5 불화인, 5 불화비소 및 5 불화안티몬 및 그 착화합물 또는 염과 같은 화합물, 프로톤산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퍼클로르산, 프로톤산의 에스테르 특히 퍼클로르산과 저급 지방족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프로톤산의 산무수물 특히 퍼클로르산과 저급 지방족 카르복실산과의 혼합산무수물, 또는 트리에틸렌옥소늄헥사플루오로포스파아트, 트리페닐메틸헥사플루오로아르제나아트, 아세틸헥사플루오로보라아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3 불화붕소를 포함하는 화합물, 예를 들면 3 불화붕소의 수화물 및 배위착체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배위착체 화합물 중 에테르류와의 배위착체인 3 불화붕소디에틸에테라아트, 3 불화붕소디부틸에테라아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중합장치로서는, 배치(batch)식 및 연속식 어느 것이라도 좋다. 배치식 중합장치로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교반기가 딸린 반응조를 사용할 수 있다. 연속식 중합장치로서는, 중합시의 급격한 고화, 발열에 대처가능한 강력한 교반능력, 치밀한 온도제어, 그리고 스케일(scale)의 부착을 방지하는 셀프크리닝기능을 구비한 중합기가 좋다. 구체적으로는, 니더(kneader), 2 축 스크류식 연속압출 혼련기, 2 축의 퍼들(puddle)형 연속혼합기 등 지금까지 제안되고 있는 트리옥산의 연속중합장치가 사용가능하다. 또 2 종류 이상의 타입의 중합장치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중합온도는 중합방식, 사용촉매의 종류 및 양 등에 의해 특별히 제한이 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괴상 중합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60 ∼ 1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10 ℃ 의 온도범위이다. 또, 중합시간은 촉매량 및 중합온도와도 관계가 있으며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0.25 ∼ 120 분이 선택되고, 특히 1 ∼ 30 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을 완료한 조중합체는 중합장치로부터 배출되고, 이어서 바로 실활제와 혼합접촉시켜 중합촉매의 실활화를 실시하여 중합반응을 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합 후에 촉매의 실활제를 특정의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첨가하고, 생성조공중합체와 혼합접촉시켜 촉매의 실활 및 중합의 정지를 실시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실활제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식 (1) 으로 나타나는 3 급 포스핀 화합물,
Figure 112000006424549-pat00002
(식중, R6, R7 및 R8 은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기이고,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좋다.)
및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실활제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 (1) 중, R6, R7 및 R8 의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식 (1) 로 나타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페닐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 급, 2 급, 3 급의 지방족아민 및 방향족아민, 헤테로환아민, 힌다드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모노-n-부틸아민, 디-n-부틸아민, 트리-n-부틸아민, 아닐린, 디페닐아민, 피리딘, 피페리딘, 모르폴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실활제 중에서 3 급 포스핀 화합물 및 3 급 아민 화합물은 바람직하고, 트리페닐포스핀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활제의 첨가량은 촉매가 실활되어 반응정지가 실시되는 한에 있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사용한 중합촉매에 대해 몰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5 ∼ 30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0 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활제를 용해시키기 위해 이용하는 유기용매로서 SP 값 (용해도 파라미터) 이 9.5 ∼ 12.5 인 것이 이용된다. SP 값이 이 범위 외이면,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의 친화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실활제가 효율적으로 작용하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SP 값을 갖는 유기용매로서는, 구체적으로는 1,4-디옥산, n-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틸알코올, s-부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n-펜틸알코올, 벤질알코올, 에틸셀로솔브, 에틸카르비토올, 탄산디메틸, 아니솔, 테트랄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4-디옥산, 프로필알코올류, 부틸알코올류, 테트랄린이 바람직하다.
이들 유기용매의 사용량으로서는, 조중합체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 5 wt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1 wt % 이다.
어떤 경우도 실활처리는 조중합체가 미세한 분립체의 상태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중합반응장치로서 괴상 중합물을 충분히 분쇄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중합 후의 반응물을 별도로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에 실활제를 첨가해도 좋고, 또한 실활제의 존재하에서 분쇄와 교반을 동시에 실시해도 좋다. 또 분쇄는 분쇄 후의 입도가 표준체를 이용하여 Ro-Tap (로탭) 셰이커(shaker)로 흔들어 나누고, 100 wt % 가 10 메시(mesh)의 체를 통과하고, 그 중 90 wt % 이상이 20 메시의 체를, 60 wt % 이상이 60 메시의 체를 각각 통과할 수 있는 입도가 되도록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입도까지 분쇄가 실시되지 않을 경우는 실활제와 촉매의 반응은 완결되기 어렵고, 잔존하는 촉매에 의해 서서히 해중합이 진행되어 얻어진 폴리머의 분자량 저하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실활반응은 바람직하게는 0 ∼ 1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130 ℃ 에서 실시된다. 너무 온도가 낮으면 실활반응의 완결에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너무 높으면 해중합이 발생하여 둘 다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합촉매의 실활이 실시된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그대로 나중 단계의 안정화 공정으로 보낼 수 있다. 그러나, 한층 더 정제가 필요하다면 촉매의 실활 후, 세정, 미반응 모노머의 분리회수, 건조 등을 거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후공정에 있어서, 각종 안정제, 활제를 배합하고, 압출기 등으로 용융 혼련하고 펠릿화하여 제품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비교예 중의 용어의 의미 및 측정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연속 중합기]
2 개의 원이 일부 겹친 내단면을 갖고, 내단면의 장경(長徑)이 20 ㎝ 이고, 주위에 재킷(jacket)을 갖는 긴 케이스 내에 1 쌍의 샤프트(shaft)를 구비하고, 각각의 샤프트에는 서로 맞물리는 삼각형에 가까운 판이 다수 박히고, 삼각형에 가까운 판의 선단에서 케이스 내면 및 상대인 삼각형에 가까운 판의 표면을 크리닝할 수 있는 연속혼합기.
[멜트인덱스(melt index) (MI)]
190 ℃, 2,160 g 표준하중 하에서의 용융지수 (단위 g/10 분). 이것은 분자량에 대응하는 특성치로서 평가하였다. 즉, MI 값이 낮을수록 분자량이 높다. 단, 조중합체 분말에 일정한 안정제를 첨가하고, 토오요오세이키사 제조의 라보프라스트밀로 220 ℃, 20 분간 용융 안정화 처리를 실시한 후 측정한 값이다.
[가열중량 감소율]
조중합체 분말 2 g 에 안정제 (시바가이기사 제조 : 이가녹스 245) 4.0 wt % 를 첨가하고, 잘 혼합한 후 시험관에 넣고, 질소치환 후 10 torr 감압하, 222 ℃ 에서 2 시간 가열한 경우의 중량 감소율을 나타낸다.
실시예 1 ∼ 9 및 비교예 1 ∼ 5
연속 중합장치로서, 전술한 연속 중합기와 여기에 접속하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 연속 중합기 (샤프트에는 서로 맞물리는 삼각형에 가까운 판 대신에 스크류와 같은 날개가 다수 박혀있다) 및 정지제 혼합기 (2 단째 중합기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공급구 부분으로부터 정지제 용액을 주입하고, 연속적으로 중합체와 혼합시키는 연속 중합기) 를 3 대 직열로 접속시킨 것을 사용하여 옥시메틸렌 공중합체의 제조를 실시하였다. 1 대째의 중합기의 입구로부터 트리옥산에 대해 1,3-디옥소란 4.4 중량 % 및 분자량 조절제로서의 메티랄 500 ppm 을 함유하는 트리옥산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동시에 같은 곳으로 3 불화붕소디에틸에테라아트를 벤젠에 5 wt % 농도로 용해시킨 용액을 전 모노머 (트리옥산 + 1,3-디옥소란) 에 대해 BF3 로서 60 ppm 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공중합을 실시하였다.
또 정지제 혼합기로부터 표 1 에 나타낸 용매 (조중합체에 대해 0.5 wt % 에 상당함) 에 용해시킨 실활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중합을 정지시키고, 출구로부터 옥시메틸렌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얻어진 중합체의 성상을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를 위해, 다른 용매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중합체의 성상을 표 1 에 나타낸다.
실활제 용액 중합체의 성상
실활제의 종류 촉매량에 대한 첨가량 비율 (배 몰) 용매의 종류 SP 값 MI (g/10 분) 가열중량 감소율 (wt %)
실시예 1 트리페닐포스핀 10 n-부틸알코올 11.4 9.0 1.8
실시예 2 트리페닐포스핀 5 n-부틸알코올 11.4 9.1 1.9
실시예 3 트리페닐포스핀 2 n-부틸알코올 11.4 9.3 2.0
실시예 4 트리페닐포스핀 5 1,4-디옥산 9.9 9.4 2.1
실시예 5 트리페닐포스핀 5 이소프로필알코올 11.2 9.3 2.0
실시예 6 트리페닐포스핀 5 테트랄린 9.5 9.3 2.0
실시예 7 트리에틸아민 5 n-부틸알코올 11.4 9.4 2.1
실시예 8 트리에틸아민 5 이소프로필알코올 11.2 9.5 2.1
실시예 9 트리에틸아민 5 테트랄린 9.5 9.5 2.1
비교예 1 트리페닐포스핀 5 벤젠 9.2 12.5 3.0
비교예 2 트리페닐포스핀 5 시클로헥산 8.2 12.8 3.1
비교예 3 트리페닐포스핀 5 에탄올 12.7 12.8 3.1
비교예 4 트리에틸아민 5 벤젠 9.2 12.7 3.1
비교예 5 트리에틸아민 5 시클로헥산 8.2 13.0 3.2

본 발명에서의 중합반응의 정지 공정에 의하면, 간략하며 그리고 효율적으로 중합촉매를 실활시킬 수 있고, 세정에 의한 중합촉매의 제거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서 열안정성이 우수한 옥시메틸렌계 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트리옥산 단독 또는 트리옥산과 환상 에테르 및/또는 환상 아세탈과의 혼합물을 양이온형 활성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시키고, 이어서 그 촉매의 실활제를 첨가하여 중합반응을 정지시켜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그 촉매의 실활제를 SP 값 (용해도 파라미터) 이 9.5 ∼ 12.5 인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첨가하며, 유기용매의 사용량이 조중합체에 대해 0.01 ∼ 5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실활제가 하기식 (1) 로 나타나는 3 급 포스핀 화합물인 제조방법.
    Figure 112000006424549-pat00003
    (식중, R6, R7 및 R8 은 탄소수 1 ∼ 18 의 탄화수소기이고,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좋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실활제가 아민 화합물인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양이온형 활성촉매가 3 불화붕소 또는 그 배위 화합물인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환상 에테르가 1,3-디옥소란인 제조방법.
KR1020000016889A 1999-04-02 2000-03-31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0841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96504 1999-04-02
JP09650499A JP4247586B2 (ja) 1999-04-02 1999-04-02 重合反応の停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533A KR20000071533A (ko) 2000-11-25
KR100841579B1 true KR100841579B1 (ko) 2008-06-26

Family

ID=1416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889A KR100841579B1 (ko) 1999-04-02 2000-03-31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47586B2 (ko)
KR (1) KR100841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2110B2 (en) 2005-12-24 2010-10-12 Ticona Gmbh Process for preparation of oxymethylene polymers, selected polymers, and their use
DE102005062326A1 (de) * 2005-12-24 2007-06-28 Ticon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xymethylen-Polymeren, ausgewählte Polymere und deren Verwendung
CN108779222B (zh) 2016-03-14 2021-03-26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氧亚甲基共聚物的制造方法
EP3683247B1 (en) 2017-09-12 2024-03-27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Oxymethylene-copolymer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0415A (en) * 1980-11-10 1982-05-20 Mitsubishi Gas Chem Co Inc Production of oxymethylene copolymer
US5344911A (en) * 1992-03-06 1994-09-06 Polyplastics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polyoxymethylene copolymer having reduced amount of unstable terminal groups
JPH0859767A (ja) * 1994-06-13 1996-03-05 Mitsubishi Gas Chem Co Inc 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H08325341A (ja) * 1995-05-31 1996-12-10 Mitsubishi Gas Chem Co Inc 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US6211268B1 (en) * 1998-05-14 2001-04-03 Mitsubishi Gas Chemical Co Inc 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0415A (en) * 1980-11-10 1982-05-20 Mitsubishi Gas Chem Co Inc Production of oxymethylene copolymer
US5344911A (en) * 1992-03-06 1994-09-06 Polyplastics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polyoxymethylene copolymer having reduced amount of unstable terminal groups
JPH0859767A (ja) * 1994-06-13 1996-03-05 Mitsubishi Gas Chem Co Inc 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H08325341A (ja) * 1995-05-31 1996-12-10 Mitsubishi Gas Chem Co Inc 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US6211268B1 (en) * 1998-05-14 2001-04-03 Mitsubishi Gas Chemical Co Inc 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533A (ko) 2000-11-25
JP4247586B2 (ja) 2009-04-02
JP2000290334A (ja) 2000-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4059A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acetal copolymer
JP3087912B2 (ja) 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安定化方法
EP0999224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cetal copolymers
KR100841579B1 (ko) 옥시메틸렌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US7897672B2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oxymethylene copolymer
JP4270664B2 (ja) ポリ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及びポリ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
JP2011137087A (ja) ポリアセタール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4610805B2 (ja) ポリアセタール共重合体の製造方法
US5728798A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acetal copolymer
JPS5851014B2 (ja) 重合反応の停止方法
KR100753387B1 (ko) 옥시메틸렌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0614024B1 (ko) 옥시메틸렌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JP2000119356A (ja) 安定化ポリ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製造用原料とそれを使用する該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2000290336A (ja) 重合反応の停止方法
JP4605322B2 (ja) 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2008195755A (ja) 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
JP2008195777A (ja) 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
JP2000290335A (ja) 重合反応の停止方法
KR100542901B1 (ko) 안정화된옥시메틸렌공중합체의제조방법
JP3093148B2 (ja) ポリアセタール共重合体の製造方法
KR101147948B1 (ko) 환식 포르말 보존 방법
JP3208373B2 (ja) ポリアセタール共重合体の製造法
KR100521732B1 (ko) 안정화옥시메틸렌공중합체제조방법
JP4471050B2 (ja) 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6853737B2 (ja) ポリアセタール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808

Effective date: 200804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