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532B1 - 팽창흑연시트 - Google Patents

팽창흑연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532B1
KR100840532B1 KR1020067017574A KR20067017574A KR100840532B1 KR 100840532 B1 KR100840532 B1 KR 100840532B1 KR 1020067017574 A KR1020067017574 A KR 1020067017574A KR 20067017574 A KR20067017574 A KR 20067017574A KR 100840532 B1 KR100840532 B1 KR 100840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expanded graphite
thermal conductivity
graphite sheet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2647A (ko
Inventor
요시아키 히로세
Original Assignee
토요 탄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 탄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 탄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7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53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1After-treatment
    • C01B32/22Intercalation
    • C01B32/225Expansion; Exfol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04B35/53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based on expanded graphite or complexed graphite

Abstract

두께방향에 비해서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크고, 또한, 열전도율이 균일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게다가, 저렴하게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팽창흑연시트를 제공한다.
팽창흑연으로만 형성된 시트로서, 시트의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350W/(mㆍK) 이상이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시트가 팽창흑연으로만 형성된 것이고,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350W/(mㆍK) 이상이기 때문에, 그 두께방향의 열전도율과 그 면방향의 열전도성의 차가 극히 크게 되어 있어, 열의 확산이동에 적합한 시트로 할 수 있다. 또한, 시트의 제조를 용이하고 또한 단시간에 행하는 것이 생산성을 높게 할 수 있어, 시트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팽창흑연시트{Exfoliated graphite sheet}
본 발명은, 두께방향에 비해서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큰, 열이방성(熱異方性)을 가지는 팽창흑연시트에 관한 것이다.
두께방향에 비해서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큰, 열이방성을 가지는 시트는, 열원(熱源)으로부터의 열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고, 그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커질수록 열의 이동을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큰 재료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큰 재료로서, 종래예 1의 시트형상 흑연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종래예 1의 시트형상 흑연 재료는,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필름을 2400℃ 이상으로 열처리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그 면방향의 열전도율을 500∼800W/(mㆍK)로 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런데, 종래예 1의 시트형상 흑연 재료는, 원료가 되는 고분자필름이 고가이고, 또한, 열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생산성도 낮다. 따라서, 제조되는 시트형상 흑연 재료가 극히 고가가 되므로, 이 시트형상 흑연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등이 한정된다.
또한, 종래예 1의 시트형상 흑연 재료는, 그 면방향의 열전도성이 극히 높지만, 고분자필름의 두께나 밀도 등이 균일하지 않으면, 국소적으로 열전도율이 낮은 장소가 생긴다. 그러면, 열원으로부터의 열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사용했을 경우, 열전도율이 낮은 장소가 열점(heat spot)이 되어, 그 근방의 기기나 부재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예 1에는, 이러한 열전도율의 불균일성에 기인하는 열점의 발생을 막는 방법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1-079977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두께방향에 비해서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크고, 또한, 열전도율이 균일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게다가, 저렴하게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팽창흑연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1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흑연을 열처리하여 팽창시킨 팽창흑연을 재료로 하는 시트로서,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350W/(mㆍK)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팽창흑연시트.
제3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있어서, 이 시트의 열전도율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이 시트의 평균 열전도율로 나눈 값이, 0.1 이하가 되도록, 이 시트의 열전도율의 위치에 따른 편차가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제1, 제2 또는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전자파 차폐율이, 전자파의 주파수가 100∼800㎒의 사이에 있어서, 60㏈㎶/m 이상이 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제1, 제2, 제3 또는 제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포함되는 불순물의 총량이, 10ppm 이하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제1, 제2, 제3, 제4 또는 제5 발명에 있어서, 부피밀도가, 1.6M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발명의 팽창흑연시트의 제조방법은, 팽창흑연을, 두께 0.1∼3.0㎜, 부피밀도 0.8∼1.0Mg/m3까지 가압 압축하여 원(原)시트를 형성하고, 이 원시트를, 이 원시트의 이송속도를 3m/min 미만으로 한 상태에서, 두께 0.05∼1.5㎜, 부피밀도 1.6∼2.1Mg/m3이 되도록 롤 압연에 의하여 가압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발명의 팽창흑연시트의 제조방법은, 흑연을 열처리하여 팽창시킨 팽창흑연을 재료로 하여, 이 재료를 가압 압축하여 면방향의 열전도율을 350W/(mㆍK)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제1 발명에 의하면,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350W/(mㆍK) 이상이므로, 그 면방향으로의 열의 이동을 빠르게 할 수 있어, 열의 확산이동에 적합한 시트로 할 수 있다. 특히, 시트를, 팽창흑연으로만 형성하면, 그 면방향의 열전도율을 그 두께방향의 열전도율에 비해서 극히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더한층 열의 확산이동에 적합한 시트로 할 수 있다. 또한, 팽창흑연으로만 형성하는 경우, 일반적인 흑연에 황산 등의 액체를 함침(含浸)시킨 후, 액체가 함침된 흑연을 가열하여 형성된 팽창흑연을, 예컨대, 압연 등에 의해 가압 압축하면 시트를 형성할 수 있고, 특별한 열처리가 불필요하므로, 시트의 제조를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롤 압연에 의해 시트를 형성하면 연속해서 시트의 제조를 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높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팽창흑연으로만 형성한 경우에는, 원재료도 저렴해지므로, 시트 자체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의하면, 시트의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가, 5㎛ 이하이므로, 시트의 열전도율의 위치에 따른 편차를 작게 할 수 있어, 시트 내를 열이 이동할 때에, 시트에 열점이 형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시트의 열전도율의 위치에 따른 편차가 작아져 있으므로, 시트 내를 열이 이동할 때에, 시트에 열점이 형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4 발명에 의하면, 열원으로부터의 열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뿐만 아니라, 전자파 차폐부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의하면, 시트에 포함되는 불순물의 양이 적으므로, 시트를 사용하는 장치 등이 불순물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6 발명에 의하면, 팽창흑연끼리의 결합을 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시트의 강도가 향상되어 파손되기 어려워진다.
제7 발명에 의하면,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350W/(mㆍK) 이상,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가 5㎛ 이하인 시트를, 연속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제8 발명에 의하면,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350W/(mㆍK) 이상, 표면의 산술평균 거칠기가 5㎛ 이하인 시트를, 연속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1)의 제조공정의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와 종래의 팽창흑연시트의 전자파 차폐성의 실험결과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은, 이송속도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있어서의, 팽창흑연시트의 표면 성상(表面性狀)을 비교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팽창흑연시트
11 : 팽창흑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팽창흑연을 가압 압축해서 형성된 시트로서, 실질적으로 팽창흑연만을 원료로 하여 형성된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후술하는 원(原)시트로 압축하기 전의 팽창흑연에, 페놀수지나 고무성분 등의 바인더가 약간(예컨대 5% 정도) 혼합되어 있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지만, 바인더가 혼합되어 있지 않은 쪽이 열전도율이나 내열성에 뛰어나기 때문에 적합하다.
이하에서는, 바인더가 혼합되어 있는 것도 포함시켜서, 팽창흑연시트 또는 팽창흑연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섬유형상의 흑연이 서로 얽혀서 솜 형상으로 된 팽창흑연을, 가압 압축해서 시트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이 팽창흑연시트의 내부에서는, 섬유형상의 흑연이, 그 축방향이 시트의 면(즉, 시트 성형시의 가압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을 따라서 늘어서고, 또한, 시트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겹쳐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섬유형상 흑연의 축방향, 즉, 시트의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시트의 두께방향의 열전도율에 비해서 커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에서는, 그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350W/(mㆍK) 이상이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그리 고,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그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시트의 두께방향의 열전도율에 비해서 극히 크게 되어 있으므로, 열의 확산이동에 적합한 시트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350W/(mㆍK)보다도 작으면, 시트의 두께방향의 열전도율과의 차가 작아져서, 시트의 면방향으로의 열의 확산이 불충분해지므로,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350W/(mㆍK) 이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면방향의 열전도율을 380W/(mㆍK) 이상, 바람직하게는 400W/(mㆍK) 이상으로 하면, 시트의 두께방향의 열전도율과의 차가 더한층 커져서, 시트 두께를 얇게 한 경우이더라도, 면방향과 시트의 두께방향의 열전도율의 차를 크게 할 수 있어, 시트의 면방향으로의 열의 확산에 우수한 시트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그 부피밀도도 크게 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부피밀도가 1.6∼2.1Mg/㎥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섬유형상 흑연의 서로 얽힘이 강해져서, 섬유형상 흑연끼리의 결합이 강해져 있으므로, 시트의 강도도 향상되어, 시트가 파손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상기와 같이 부피밀도가 크게 되어 있으므로, 전자파 차폐성도 높게 되어 있고, 사단법인 간사이(關西) 전자공업진흥센터(KEC)에서 개발된 KEC법으로 측정했을 경우, 전자파의 주파수가 100∼800㎒의 사이에 있어서, 60㏈㎶/m 이상의 감쇠량(減衰量)이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열원으로부터의 열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뿐만 아니라, 전자파 차폐부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팽창흑연시트의 부피밀도를 크게 또한 두께를 두껍게 하면 전자파 차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전자파의 주파수가 100∼800㎒의 사이에 있어서 60㏈㎶/m 이상의 전자파 차폐성을 유지하는 것이라면, 두께 0.10∼3.0㎜, 부피밀도 1.0∼2.1Mg/㎥로 하면 좋고, 전자파의 주파수가 100∼800㎒의 사이에 있어서 40㏈㎶/m 이상의 전자파 차폐성을 유지하면 되는 것이라면, 두께 0.10∼3.0㎜, 부피밀도 0.5∼2.1Mg/㎥로 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그 표면 거칠기가, JISB0601-2001에 규정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에 있어서, 5㎛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시트의 위치에 따른 표면 거칠기의 편차가 작아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시트의 위치에 따른 열전도율의 편차가 작아지므로, 시트 내를 열이 이동할 때에, 시트 내에 있어서 열이 거의 같은 속도로 이동 확산되므로, 시트 내에 열점이 형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시트의 위치에 따른 표면 거칠기의 편차는, 예컨대, 한장의 시트에 있어서 복수 장소에서 열전도율을 측정한 경우에 있어서, 측정된 열전도율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시트의 평균 열전도율로 나눈 값이 0.1 이하, 즉, 평균 열전도율에 대한 열전도율의 편차의 최대폭이, 평균 열전도율의 10%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면 좋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팽창흑연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1)의 제조공정의 플로차트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부호 11은,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의 원료가 되는 팽창흑연을 나타내고 있다.
팽창흑연(11)은, 천연흑연이나 키쉬(KISH)흑연 등을 황산이나 초산 등의 액체에 침지(浸漬)시킨 후, 400℃ 이상으로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형성된 솜 형상의 흑연(팽창흑연)으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의 원료이다.
이 팽창흑연(11)은, 두께가 1.0∼30.0㎜, 부피밀도가 0.1∼0.5Mg/㎥이며, 이 팽창흑연(11)을 두께 0.1∼3.0㎜, 부피밀도 0.8∼1.0Mg/㎥까지 압축해서 가압 성형하여, 원(原)시트(12)를 형성한다.
여기서, 두께 2.0㎜, 부피밀도 0.1Mg/㎥의 팽창흑연(11)을, 두께 0.2㎜, 부피밀도 1.0Mg/㎥의 원시트(12)가 되도록 압축하면, 압축시에 기포 등의 발생을 막을 수 있어서, 균질한 원시트(12)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1)에 있어서의 열전도율의 편차를 보다 확실하게 막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더욱이 또한, 팽창흑연(11)을 압축하는 방법으로서는, 프레스 성형이나 롤 압연이 있는데, 롤 압연으로 하면, 원시트(12)의 생산성, 즉, 팽창흑연시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후, 할로겐 가스 등에 의해 원시트(12)에 포함되는 유황이나 철분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원시트(12)에 포함되는 불순물의 총량이 10ppm 이하, 특히, 유황이 1ppm 이하가 되도록 처리하여, 순화(純化) 시트(13)를 형성한다.
여기서, 순화 시트(13)에 있어서의 불순물의 총량은 바람직하게는 5ppm 이하로 하면,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1)를 장착한 부재나 장치의 열화를 보다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원시트(12)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시트(12)의 두께나 부피밀도에 맞춰 최적의 방법을 채용하면 된다.
상기 순화 시트(13)를 더욱 롤 압연 등에 의해 두께 0.05∼1.5㎜, 부피밀도 1.6∼2.1Mg/㎥이 되도록 가압 압축하면,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1)가 형성된다.
여기서, 순화 시트(13)를 압축하는 방법으로서는, 프레스 성형이나 롤 압연이 있는데, 롤 압연으로 하면, 원시트(12)의 생산성, 즉, 팽창흑연시트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통상, 팽창흑연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두께 1.0∼30.0㎜, 부피밀도 0.1∼0.5Mg/㎥의 팽창흑연(11)을, 두께 0.1∼3.0㎜, 부피밀도 0.8∼1.0Mg/㎥까지 압축해서 원시트(12)를 제조하는데, 두께 0.1∼3.0㎜, 부피밀도 0.8∼1.0Mg/㎥의 원시트(12)(순화 시트(13))를, 롤 압연에 의해 두께 0.05∼1.5㎜, 부피밀도 1.6∼2.1Mg/㎥로 압축해서 팽창흑연시트로 하는 경우, 이송속도는 3m/min 미만으로 한다. 왜냐하면, 이송속도가 3m/min 이상이 되면, 형성된 팽창흑연시트의 표면에 주름이 발생하고, 또한, 표면의 정밀도가 저하된다. 그러면, 주름 부분에 있어서의 열전도율이 저하되고, 또한, 표면으로부터의 방열성도 저하되어 버려서, 원하는 성능을 가지는 팽창흑연시트를 제조할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은, 두께 0.1∼3.0㎜, 부피밀도 0.8∼1.0Mg/㎥의 순화 시트(13)를, 3m/min 미만의 이송속도로 이동시키면서, 두께 0.05∼1.5㎜, 부피밀도 1.6∼2.1Mg/㎥로 압축하면, 제조된 팽창흑연시트(1)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고, 그 표면 거칠기가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순화 시트(13)를, 3m/min 미만의 이송속도로 이동시키면서, 압축 성형하면, 두께 0.05∼1.5㎜, 부피밀도 1.6∼2.1Mg/㎥, 또한, 표면 거칠기가 5㎛ 이하이고 열전도율이 균일한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1)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송속도는, 3m/min 미만이면 되지만, 1∼2m/min으로 하면, 생산성의 저하를 막으면서, 상기와 같은 성질을 가지는 팽창흑연시트(1)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두께가 0.1∼0.5㎜, 부피밀도가 1.6Mg/㎥ 이상의 팽창흑연시트(1)로 하면, 열전도성, 전기 전도성, 전자파 차폐성과 같은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1)로서의 기능을 높게 유지하면서, 제조 코스트나 불량품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부피밀도를 1.75Mg/㎥ 이상, 바람직하게는 1.81Mg/㎥ 이상으로 하면, 팽창흑연시트(1)에 있어서의 상기 기능을 보다 한층 향상할 수 있고, 게다가, 시트 자체의 강도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순화 시트(13)의 두께 및 부피밀도, 즉, 원시트(12)의 두께를 0.2㎜, 부피밀도를 1.0Mg/㎥로 하여, 이 순화 시트(13)를, 두께 0.1㎜, 부피밀도 1.9Mg/㎥의 팽창흑연시트(1)로 하면, 열전도성, 전기 전도성, 공간절약화, 전자파 차폐성을 유지하면서, 제조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1)는, 팽창흑연(11)을 압축하는 공정과, 고순도화하는 공정만 있으면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극히 생산성이 높고, 코스트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팽창흑연(11)을 가압 압축하는 방법은 프레스 성형이 나 압연 등이 있는데 롤 압연에 의해 압축하면, 팽창흑연시트(1)의 생산성을 보다 한층 향상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1)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원시트(12)를 고순도화하지 않고 직접 가압 압축해도 좋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와 종래의 팽창흑연시트의 면방향의 열전도율 및 전자파 차폐성, 및 표면 거칠기를 비교하였다.
비교는, 두께 1.0㎜의 순화(純化) 시트를, 두께 0.5㎜, 부피밀도 1.9Mg/㎥의 팽창흑연시트로 성형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송속도를 1∼2m/min으로 하여 형성된 시트(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 부피밀도 1.9Mg/㎥)와, 이송속도를 3∼10m/min으로 하여 형성된 시트(종래의 팽창흑연시트: 부피밀도 1.0Mg/㎥)의 면방향의 열전도율 및 전자파 차폐성, 표면 성상(表面性狀)을 비교하였다.
면방향의 열전도율은, 200×200×0.1㎜인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로부터, 25×25×0.1㎜의 시험편(試驗片)을 9개 잘라내어, 각 시험편의 면방향의 열전도율을 평균함으로써 구하였다. 열전도율의 측정은, 레이저 플래시법으로 열확산율을 구하고, 측정된 열확산율로부터 열전도율을 구하였다.
전자파 차폐성은, 0∼1000㎒의 각 주파수에 있어서의 전자파의 차폐효과를 KEC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표면 거칠기는, 상기 9개의 시험편에 있어서, 표면 거칠기 형상 측정 기(SURFCOM 473A: 주식회사 동경정밀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력 4mN(400gf) 이하, 측정자로서 선단(先端)이 다이아몬드 5㎛ 90°원추(圓錐), 컷오프 0.8㎜로 하여, 중심선 평균 거칠기(JISB0601-2001에서는, 산술 평균 거칠기)를 측정하였다.
9개의 시험편의 면방향의 열전도율을 평균한 값은,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가 400W/(mㆍK)가 되는 것과 대비하여, 비교예의 팽창흑연시트에서는, 200W/(mㆍK)가 되어,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가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의 경우, 9개의 시험편에 있어서의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최대인 것과 최소인 것의 차는 30W/(mㆍK)인 것과 대비하여, 비교예의 팽창흑연시트에서는, 약 50W/(mㆍK)이어서,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 쪽이 면방향의 열전도율의 균일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가 9개의 시험편에 있어서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의 평균이 2㎛이고, 또한 그 편차가 ±1㎛인 것에 대하여, 비교예의 팽창흑연시트에서는, 9개의 시험편에 있어서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의 평균이 6㎛이고, 또한 그 편차가 ±2㎛이어서,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 쪽이 표면 성상이 향상되고 또한 균일화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표면성상이 향상되고 또한 균일화되면, 팽창흑연시트에 있어서의 면방향의 평균 열전도율 및 그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전자파 차폐성을 비교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의 경우, 100∼800㎒의 주파수대에서는, 60㏈㎶/m 이상의 차폐효과가 보이는 것에 대하여, 비교예의 팽창흑연시트에서는, 100∼800㎒의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차폐효과가 50㏈㎶/m 정도이어서,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가 전자파 차폐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두께 1.0㎜, 부피밀도 1.0Mg/㎥의 순화(純化) 시트를, 두께 0.5㎜, 부피밀도 1.9Mg/㎥의 팽창흑연시트로 성형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송속도를, 1∼10m/min의 사이에서 변화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팽창흑연시트의 표면 거칠기, 그 표면에 있어서의 주름의 형성 상황, 및 열전도율의 편차를 비교하였다.
다만, 열전도율의 편차는, 200×200×0.1㎜인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로부터, 25×25×0.1㎜의 시험편을 9개 잘라내어, 각 시험편의 면방향의 열전도율의 최대값(Max)과 최소값(Min)의 차를 평균 열전도율(Ave.)로 나눈 값을 비교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속도를 증가해 가면, 시트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가 크게 되고, 그에 따라 열전도율의 편차가 크게 되어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심선 평균 거칠기 및 열전도율의 편차는, 이송속도가 2m/min로부터 4m/min이 되면, 그 값이 약 2배로 되고 있다. 이로 인해서, 표면 거칠기의 변화가 열전도율의 편차에 영향을 미치고, 표면 거칠기가 갑자기 악화되면 열전도율의 편차도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속도가 2m/min까지 보이지 않았던 표면의 주름이, 4m/min이 되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표면의 주름의 발생이 열전도율의 편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다만, 이송속도가 6m/min 이상에서는, 중심선 평균 거칠기는 6㎛로 일정함에도 불구하고, 열전도율의 편차는 이송속도의 증가와 함께 커지고 있다. 이는, 급속한 가압에 의해 충분히 시트 내의 탈기(脫氣; 공기제거)를 할 수 없는 것과, 급속한 가압에 의한 내부 크랙의 발생 등이 원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팽창흑연시트는,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열을 확산 전도시키는 부재나, 전자파를 차단하는 시트, 열점(heat spot)의 균열재(均熱材; 열을 균일하게 하는 부재) 등에 적합하다.

Claims (8)

  1. 흑연을 열처리하여 팽창시킨 팽창흑연을 재료로 하는 시트로서,
    면방향의 열전도율이, 350W/(mㆍK)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 표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가, 5㎛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시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있어서, 이 시트의 열전도율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이 시트의 평균 열전도율로 나눈 값이, 0.1 이하가 되도록, 이 시트의 열전도율의 위치에 따른 편차가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시트.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전자파 차폐율이,
    전자파의 주파수가 100∼800㎒의 사이에 있어서, 60㏈㎶/m 이상이 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시트.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포함되는 불순물의 총량이, 10ppm 이하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시트.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부피밀도가, 1.6M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시트.
  7. 팽창흑연을, 두께 0.1∼3.0㎜, 부피밀도 0.8∼1.0Mg/m3까지 가압 압축하여 원(原)시트를 형성하고,
    이 원시트를, 이 원시트의 이송속도를 3m/min 미만으로 한 상태에서, 두께 0.05∼1.5㎜, 부피밀도 1.6∼2.1Mg/m3이 되도록 롤 압연에 의하여 가압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시트의 제조방법.
  8. 흑연을 열처리하여 팽창시킨 팽창흑연을 재료로 하여, 이 재료를 가압 압축하여 면방향의 열전도율을 350W/(mㆍK)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흑연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67017574A 2004-08-27 2005-07-11 팽창흑연시트 KR100840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7574A KR100840532B1 (ko) 2004-08-27 2005-07-11 팽창흑연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9137 2004-08-27
KR1020067017574A KR100840532B1 (ko) 2004-08-27 2005-07-11 팽창흑연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647A KR20070022647A (ko) 2007-02-27
KR100840532B1 true KR100840532B1 (ko) 2008-06-23

Family

ID=4365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574A KR100840532B1 (ko) 2004-08-27 2005-07-11 팽창흑연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5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403A (ko) * 2014-08-05 201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그래핀 시트
KR20160116366A (ko) * 2015-03-30 2016-10-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전도도가 우수한 그라파이트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그라파이트 시트
KR101811310B1 (ko) * 2016-01-25 2017-12-29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초박막 열확산 필름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4063B2 (en) * 2011-08-15 2017-09-26 Advanced Energy Technologies Llc Battery pack assembly having thermal transfer sheets
JP6982320B2 (ja) * 2016-10-19 2021-12-17 株式会社インキュベーション・アライアンス 黒鉛/グラフェン複合材、集熱体、伝熱体、放熱体および放熱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6244B2 (ja) * 1987-07-07 1996-12-25 日本化成株式会社 可撓性黒鉛シ−ト材料
JP2003297770A (ja) * 2002-03-29 2003-10-17 Toshiba Ceramics Co Ltd 半導体熱処理用反射板およびこの半導体熱処理用反射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6244B2 (ja) * 1987-07-07 1996-12-25 日本化成株式会社 可撓性黒鉛シ−ト材料
JP2003297770A (ja) * 2002-03-29 2003-10-17 Toshiba Ceramics Co Ltd 半導体熱処理用反射板およびこの半導体熱処理用反射板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403A (ko) * 2014-08-05 201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그래핀 시트
KR102258442B1 (ko) 2014-08-05 2021-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그래핀 시트
KR20160116366A (ko) * 2015-03-30 2016-10-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전도도가 우수한 그라파이트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그라파이트 시트
KR102234015B1 (ko) * 2015-03-30 2021-03-2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전도도가 우수한 그라파이트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그라파이트 시트
KR101811310B1 (ko) * 2016-01-25 2017-12-29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초박막 열확산 필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647A (ko) 200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22082A1 (ja) 膨張黒鉛シート
KR100840532B1 (ko) 팽창흑연시트
KR102624247B1 (ko) 금속 피복 적층판 및 회로 기판
CN100343313C (zh) 热塑性液晶聚合物薄膜的制造方法
JP5340637B2 (ja) グラファイト複合フィルム
Tang et al. A carbon-fabric/polycarbonate sandwiched film with high tensile and EMI shielding comprehensive properties: An experimental study
TWI609053B (zh) Thermal sheet
EP1564451A2 (en) Sealing memb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TW201704016A (zh) 覆金屬之積層板的製造方法及使用其之覆金屬之積層板
WO2004085728A1 (ja) 多孔質炭素基材、その製造方法、ガス拡散体、膜-電極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EP4116360A1 (en) Liquid crystal polym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TW201731929A (zh) 導熱性片之製造方法
EP415505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electric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ate for high-frequency printed circuit board, dielectric sheet, and substrate for high-frequency printed circuit board
WO2012033168A1 (ja) 多孔質樹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05454A (ko) 판형 복합 재료
JP2007177024A (ja) 芳香族系ポリイミ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グラファイトシート
JP2013213198A (ja) 多孔質樹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08098A (ja) 炭素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
JP4154666B2 (ja) 機能性シートまたは機能性シート複合体の製造方法
WO2022007069A1 (zh) 复合介质覆铜板的制备方法及印刷线路板
KR102493270B1 (ko)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4527835B2 (ja) ドリル加工用バックアップボード
CN117183347B (zh) 液晶聚合物薄膜及其制造方法及柔性电路板
KR102605803B1 (ko) 배관보호용 ptfe 후막필름의 제조장치
WO2022050424A1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メッキ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