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092B1 -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092B1
KR100840092B1 KR1020037004519A KR20037004519A KR100840092B1 KR 100840092 B1 KR100840092 B1 KR 100840092B1 KR 1020037004519 A KR1020037004519 A KR 1020037004519A KR 20037004519 A KR20037004519 A KR 20037004519A KR 100840092 B1 KR100840092 B1 KR 100840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bulin
protein
blood
composition
triglycer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0505A (ko
Inventor
고노미츠타카
히로츠카모토히코
아오야마도시아키
다카마츠기요하루
하시모토유키오
기토마코토
Original Assignee
후지 세이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세이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세이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0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8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23J3/16Vegetable proteins from soy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하고도 효율적으로 혈중의 중성 지방을 저감시키는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대두 단백질로부터 분획된 7S 글로불린을 50% 이상 함유한 피틴산 함량이 단백질당 0.2% 이하인 대두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을 얻는다. 더욱이 지질 회합(會合) 단백질을 제거하고, 클로로포름/메탄올 추출 기름 성분을 저감시킴으로써 효과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COMPOSITION FOR DIMINISHING NEUTRAL FAT IN BLOOD}
본 발명은, 혈중의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두 단백질은 식물성 단백질 중에서 영양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여러가지 생리활성 효과가 발견되어 생리 기능제로서도 주목되는 식품 소재이다.
대두 단백질이 가진 혈중의 중성 지방 저하능력은, 대두 단백질이 체지방율(體脂肪率)을 저하하는 효과 등으로부터 이미 확인되고 있고, 그 메커니즘은 간장에서의 지방산 합성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기 때문인 것을 일본국의 入谷 등(J. Nutr., 126, 380, 1996)이 밝히고 있다. 또한, 전(全)대두 글로불린, 7S 글로불린, 11S 글로불린의 각각에 대해서 혈중 및 간장 지질에 미치는 영향이 검토되고 있고, 그것들은 동물성 단백질인 카제인에 비하여 혈중의 콜레스테롤이나 중성 지방을 저감하는 능력에 있어서 대개 우수하다(沖田 등의 J. Nutr., 27, 379, 1981).
그리고 육종(育種)에 의한 11S 글로불린 결손 대두, 즉 7S 글로불린이 풍부한 종자에 대한 보고가 있고(Breeding Science, 46, 11, 1996), 그것을 응용한 보고(Breeding Science, 50, 101, 2000) 및 특허(US 6,171,640 B1)도 나와 있다.
그러나, 7S 글로불린을 포함하여 대두 단백질은 피틴산(phytic acid)과의 복합체를 형성하고, 대두 단백질의 소화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M. A. Ritter 등, J. Food Sci., 52, 325, 1987).
더욱이 대두 유래의 단백질에는 세포막을 비롯하여 프로틴 보디(protein body) 혹은 오일 보디(oil body) 등의 막(membrane)을 구성하는 극성 지질과의 친화력이 높은 단백질도 존재하고 있으며, 佐本 등에 의해 「지질회합 단백질」(0il-Body Associated Proteins)로 명명되어 있다. 지질회합 단백질은 막 단백질(membrane protein)을 주체로 하는 단백질군의 총칭이며, 특히,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에 의한 추정 분자량에 있어서 주로 34 kDa, 24 kDa, 18 kDa를 나타내는 단백질을 포함하고, 클로로포름:에탄올 = 2:1의 극성 용매에 의해 추출되는 극성 지질을 10∼12 중량% 정도의 극성 지질을 함유하는 획분이며, 공업적으로 생산되는 분리 대두 단백질의 약 35%나 차지하고 있는 것이 佐本 등에 의해 보고되어 있다[B.B.B. 62(5), 935-940 (1998)]. 또한, 지질회합 단백질은 풍미가 나쁘고, 높은 알레르겐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두 단백질의 단백질 조성의 검정에 자주 사용되는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법에서는, 지질회합 단백질은 염색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실제의 존재량보다도 훨씬 낮게 추정하거나, 전혀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즉 종래의 분획법은 7S와 11S에만 주목하고 있어, 각 획분에 혼재하는 지질회합 단백질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생리학적 견지에서, 순도가 높은 7S나 11S를 얻기 위해서는 이 지질회합 단백질의 거동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대두 단백질로부터 7S 글로불린을 효율적으로 제조하고, 또한 복합체로서 결합해 있는 피틴산(phytic acid)을 분해, 제거함과 동시에 지질회합 단백질의 혼재를 억제하여 순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혈중의 중성 지방 저감제로서 안전성이 극히 높은 의약품 소재로서 뿐만 아니라, 식품용 소재로서 이용하는 점에서 중요한 인자이다.
본 발명은, 대두 단백질 중의 혈중의 중성 지방 저하능력을 가지고 있는 획분을 분획하고, 더욱 그 효과를 높이는 처리를 함으로써 식품 혹은 의약품으로서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다음의 것을 발견하였다.
(1) 탈지 대두로부터 대두 단백질 성분의 일반적인 분획법인 Thahn 및 Shibasaki에 의한 방법에 의해 11S 글로불린을 제거한 후, 그것으로부터 7S 글로불린을 분획할 경우, 환원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50% 이상의 순도까지 분획할 수 있다.
(2) 상기 7S 글로불린 및 7S 글로불린에 결합한 피틴산을 분해, 제거한 7S 글로불린(이하, 간단히「저(低)피틴 7S 글로불린」이라 함. 이하 같음)을 사용하고, 카제인을 비교 대조로 한 래트를 사용한 21일간의 동물실험에 의해, 혈중의 중성 지방 저감능력은 카제인에 비하여 7S 글로불린 및 저피틴 7S 글로불린이 우수하고, 특히 저피틴 7S 글로불린이 높은 중성 지방 저감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3) 또한, 이 중성 지방 저감능력의 발현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값도 저 하한다. 이 콜레스테롤 저하능력은, 7S 글로불린에도, 그리고 저피틴 7S 글로불린에도 마찬가지로 나타나지만, HDL-콜레스테롤(HDLC) 레벨은 저피틴 7S 글로불린에 의하여 향상된다.
HDLC는 여분의 콜레스테롤을 회수하는, 유용한(good) 콜레스테롤인데, 이 향상 효과는 총(總)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와 더불어, 아래의 식으로 구해지는 동맥 경화 지수를 크게 저하시킨다.
동맥 경화지수 = (총 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4) 더욱이, 대두 단백질을 피틴산 분해 효소로써 처리함으로써, 피틴산이 분해, 제거된 저피틴 7S 글로불린이 분획된다.
(5) 또한, 대두 단백질에 혼재하는 막 단백질(membrane protein)이 풍부한 지질회합 단백질을 제거함으로써, 유효성분인 7S 글로불린의 효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혈중의 중성 지방 저감능력을 가진 것으로 생각되는 7S 글로불린으로부터 피틴산을 분해, 제거하고, 더욱이 지질회합 단백질을 제거해서 순도를 올림으로써 그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하는 것이 판명되어, 그 만큼, 투여량은 소량으로 끝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7S 글로불린이 풍부한 저피틴산 대두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대두 단백질의 주요 구성 성분인 7S 글로불린이 풍부한 획분을 정제하여 단백질 순도(다음에 설명하는 SPE 기준)로서 50% 이상으로 분획된 7S 글로불린이 풍부한 대두 단백질로서, 지질회합 단백질의 지표인 클로로포름-메탄올에 의해 추출되는 극성 지질을 1/3 이하로 저감하고, 더욱이, 시판의 대두 단백질 제품에서는 단백질당 약 2%인 피틴산 함량을 단백질당 0.2% 이하까지 분해, 제거한 저피틴산 고순도 7S 글로불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막 단백질이 풍부한 지질회합 단백질의 혼재를 극력 억제하여 피틴산을 분해·제거하는 분획수단을 강구함으로써, 보다 효력이 강한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분획 수단으로서, 대두 단백질 제조 공정에 있어서 피틴산 분해 효소를 작용시킴으로써, 7S 글로불린의 분획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피틴산을 단백질당 0.2% 이하, 지질회합 단백질을 10% 이하까지 분해, 제거한 고순도의 저피틴산 7S 글로불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조 공정에 있어서 환원제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7S 글로불린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가용성의 구상(球狀) 단백질의 총칭인 글로불린 중에서 분자량의 초원심 침강 계수가 7S에 상당하는 것을 말한다. 글로불린에는 그 분자량 분포에 근거하여 2S, 7S, 11S, 15S가 존재하고, 그 중에서 7S와 11S가 대두와 같은 콩과 식물의 저장 단백질에는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대두의 7S 글로불린은 면역학적 명명법으로 말하는 β-콩글리시닌(β-conglycinin)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대두 단백질로부터 분획한 7S 글로불린의 함량이 높은 획분을 주성분으로서 사용한다. 대두 단백질로부터 7S 글로불린을 분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11S 글로불린을 제거한다. 그 제거에는, 현재 각 글로불린 성분의 분획방법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hahn 및 Shibasaki의 방법(Thahn, V.H. and Shibasaki, K., J. Agric. Food Chem., 24, 117, 1976)은 물론이고, 그 외 소위 크리오프레시피테이션(cryoprecipitation)(Briggs, D.R., and Mann, R.L., Cereal Chem, 27, 243, 1950)에 의한 냉각 불용(不溶) 획분(Cold-insoluble fraction; CIF로 불린다)이나, Wolf 등에 의한(Wolf, W.J., and Sly, D.A., Cereal Chem, 44, 653, 1967) 0.1 N 염화 칼슘 첨가에 의한 분획법 중의 어느 하나의 분획법에 의해도 좋다. 또한, 다음에 설명하는 제조예 2에 나온 바와 같은 방법으로 11S 및 지질회합 단백질을 제거한 획분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한 어느 한가지 방법에 따라 11S 글로불린을 제거한 후, 7S 글로불린을 통상적인 분리 대두 단백질의 제조 방법에 의해 분획한다. 단, 이 경우, 환원제는 사용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사용하기에 적합한 순도의 7S 글로불린을 분획할 수 있고, 더욱이 중성 지방 저감제로서 사용할 경우도, 환원제를 함유하지 않는 쪽이 보다 넓은 범위의 용도를 기대할 수 있다. 단백질 순도(SPE 기준)로서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으로 분획된 7S 글로불린이 풍부한 대두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얻어진 7S 글로불린이 풍부한 획분에, 피틴산 분해 활성을 가진 피타아제나 포스파타아제와 같은 효소 또는 효소제를 작용시켜 피틴산을 분해, 제거한다. 이렇게 해서 피틴산을 단백질당 0.2%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까지 분해, 제거한 저피틴 7S 글로불린이 본래 가지고 있는 혈중의 중성 지방 저감능력을 증가시킨다.
이 피틴산이 분해, 제거된 저피틴 7S 글로불린을 분획하는 방법으로서, 대두 단백질에 직접 피틴산 분해 활성을 가진 피타아제나 포스파타아제와 같은 효소 또는 효소제를 작용시킴으로써, 11S 글로불린의 제거를 동시에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지질회합 단백질을 제거함으로써, 저피틴화 7S 글로불린의 혈중 중성 지방 저감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방법으로서, 지질회합 단백질이 불용화하기 쉬운 약산성 영역(pH 3.8∼6.8)에서 가온(加溫)(30-75℃)을 하여 pH 5.6에서부터 6.8에서의 침전획분으로 해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얻어진 획분이나 대두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경구투여용의 조성물로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공지의 방법을 따라서 분말상, 당의정, 과립상 등의 제형(劑形)의 조성물로 할 수 있고, 적당히 기타의 부형제,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하는 획분이나 대두 단백질은 식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것이며, 조성물에의 배합량, 섭취량은 특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그대로 섭취해도 좋고, 또한, 식이요법으로서 식품에 첨가해도 좋다. 바람직한 섭취량은, 체중 1 kg당, 7S 글로불린이 풍부한 저피틴산 대두 단백질의 양으로서 5O ∼ 500 mg, 바람직하게는 100 ∼ 300 mg의 범위에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유효성을 실시예와 함께 나타내지만, 이들 예시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한 주된 분석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조(粗)단백질: 케엘다알법(Kjeldahl method)에 근거하여 질소함량을 구하고, 계수 6.25을 곱해서 조단백질(crude protein)로 환산하였다.
*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 Laemmli[Nature, 227, 680 (1970)]의 방법에 근거하여 겔 농도 10 ∼ 20%의 그래디엔트 겔로써 분석하였다. 시료 사용량은 10 ㎍으로 하였다.
* 피틴산: Alii Mohamed의 방법(Cereal Chemistry 63, 475-478, 1986)에 준거해서 측정하였다.
* 클로로포름-메탄올 추출 기름 성분(oil fraction): 건조된 시료에 대하여 클로로포름-메탄올의 혼합액(용량비, 2:1)을 약 50배 가하고, 환류 추출되는 고형분의 중량비를 클로로포름-메탄올 추출 기름 성분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 순도(SPE 기준); 상기의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에서 얻어진 영동 패턴을 덴시토미터(densitometer)로써 측정하고, 그 전체에 대한 해당 획분의 면적비율을 순도(SPE 기준)로 하였다. 여기서 7S 글로불린 함량이라 함은 α,α' 및 β 서브 유닛의 총량을 가리키고, 11S 글로불린 함량은 산성 폴리펩티드 (A)와 염기성 폴리펩티드 (B)의 총량을 가리킨다.
* 보정 순도: 위에서 얻어진 순도(SPE 기준)로부터, 혼재하는 지질회합 단백질의 양도 고려한 보정 순도를 아래와 같이 산출하였다.
즉 시료의 순도(SPE 기준)의 값을 A%로 하고, 이 시료 중에는 7S 글로불린 및 11S 글로불린 이외에 클로로포름-메탄올 추출 기름 성분의 적어도 10 중량배에 상당하는 지질회합 단백질도 존재하므로, 7S 글로불린 및 11S 글로불린에 지질회합 단백질의 양을 포함한 합계 단백질에 대한 순도로서 산출한다.
보정순도(%)=(100(%)-클로로포름-메탄올 추출 기름 성분(%)*10)*A(%)/100
* 중성 지질,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HDLC): 후지 필름사제 DRYCHEM 모델 5500 장치에 의해서 고상법으로 측정.
아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기재한다.
제조예 1 [7S 글로불린 = 「7S」 및 저피틴 7S 글로불린 = 「7S-PH」의 제조]
탈지 대두에 1:10의 중량 비율로 물을 첨가하고, 수시로 pH를 7.0으로 조정하면서 1시간 교반 후 원심분리(4,000 r.p.m., 20℃에서 10분간)하여 상징액(上澄液; supernatant)을 얻었다.
얻어진 상징액을 pH 6.4로 조정하여 4℃에서 하룻밤 방치하고, 원심분리(4,000 r.p,m., 4℃에서 10분간)하여 침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상징액을 pH 4.5로 조정하고, 원심분리(4,000 r.p.m., 4℃에서 10분간)해서 얻어진 침전물을 회수해서 7S 글로불린 커어드(curd)로 하였다.
이 7S 글로불린 커어드에 4배량의 물을 가하고, pH 6.0으로 조정 후, 피타아제(노보사제 「PYTASE NOVO L」)를 단백질당 0.2% 첨가 후, 4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pH 5.0으로 조정 후, 원심분리(4,000 r.p.m., 20℃에서 10분간)해서 훼이(whey) 획분을 제거하여 저(低)피틴 7S 글로불린 커어드를 얻었다.
7S 글로불린 커어드 및 저피틴 7S 글로불린 커어드에 함께 물을 가한 후, pH 7.0으로 중화하고, 140℃에서 15초 동안 살균을 한 후, 즉시 분무건조해서 7S 글로불린 및 저피틴 7S 글로불린을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각 7S 글로불린을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 처리하고, 그 후 염색된 단백질 밴드의 염색도의 측정으로부터 순도가 80%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자의 피틴산 함량은 단백질당 각각 1.8%와 0.05%이고, 피타아제(phytase) 처리에 의하여 피틴산이 거의 완전히 분해, 제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제품의 클로로포름-메탄올 추출 기름 성분 함량은 2.8%이었다. 한편, 시스틴과 메티오닌의 황 함유 아미노산의 합계는 25 mg/g 단백질이었는데, 이것은 본래 5 mg/g 단백질인 정제 7S에 비해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아직 불순물이 많은 것이 시사되었다.
제조예 2 [고순도 저(低)피틴 7S 글로불린: 「7S-PH-LP」의 제조]
저변성 탈지 대두 1 중량부에 10 중량부의 40℃의 추출물(extraction water)을 가하고, 염산에 의해 pH 5.3으로 조정하였다. 이 용액에 단백질 중량당 8 unit 상당의 피타아제(노보사제 「PYTASE NOVO L」)를 가하고 40℃에서 단백질의 추출과 효소반응을 아울러 30분간의 처리를 하여 효소 처리한 추출 슬러리를 얻었다. 이 효소처리 추출 슬러리를 25℃ 부근까지 냉각하여 염산으로 pH 6.1로 조정하고, 뱃치식 원심 분리기(3,000G)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이때, 가용성 획분과 불용성 획분으로 명확한 분리를 하였다. 또한, 이 원심분리 시의 용액온도는 25℃ 부근이었다. 이어서, 가용성 획분을 염산으로 pH 4.9로 조정 후, 원심분리해서 침전 커어드를 얻었다. 이 침전 커어드를 10배 량의 물로 수세 후, 물(4배 중량)을 가하고, 가성 소오다로 중화하여 140℃에서 15초간 살균을 한 즉시 분무건조해서 피타아제 처리한 7S 글로불린이 풍부한 분획 대두 단백질을 얻었다(「7S-PH-LP」).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저피틴 7S 글로불린을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 처리하고, 그 후 염색된 단백질 밴드의 염색도의 측정으로부터 순도가 95%인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피틴산 함량이 단백질당 0.05%이어서, 피틴산이 거의 완전히 분해, 제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이 제품의 클로로포름-메탄올 추출 기름 성분 함량은 0.5%이며, 제조예 1에 비해서 크게 저하해 있음이 확인되었다. 더욱이 시스틴과 메티오닌의 황 함유 아미노산의 합계는 12 mg/g 단백질이었는데, 이것은 본래 5 mg/g 단백질인 정제 7S에 비해서 상당히 불순물이 적은 고순도의 7S인 것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1 (래트에 의한 혈중 중성 지방 저감효과 확인 시험)
래트를 사용해서 혈중 중성 지방 저감효과의 확인 시험을 하였다. 시험 사료(飼料)로서는, 상기한 제조예 2에서 얻어진 대두 단백질과, 더욱이 비교 대조로서 카제인[비타민 프리 카제인(vitamin-free casein), 오리엔탈 효모(주)제]을 각각 식이(食餌) 단백질로 하여 20% 함유하고, 콜레스테롤 0.5%와 콜산 나트륨(sodium cholate) 0.125%을 첨가하고, 더욱이 수크로오스와 콘 스타치의 혼합비율을 1:2로 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 구체적 배합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낸다.
[표 1] 각 시험군의 사료 조성
성분 조성 (%)
단백질 조(粗)단백질로서 20%가 되도록 α-콘 스타치로써 조정 수크로오스 20.0 콘 오일 5.0 비타민 믹스 1.0 미네랄 믹스 3.5 셀룰로오스 분말 5.0 타르타르산 수소 콜린 0.2 콜레스테롤 0.5 콜산 나트륨 0.125 α-콘 스타치 전체가 100이 되도록 조정

실험 동물은 5주령(週齡)(성장기) 및 20주령(성숙기)의 위스타계 수컷 래트(체중 100∼120g, 330∼360g 정도의 것)를 일본 SLC로부터 구입하고, 시판 고형사료(오리엔탈 효모, CRF-1)로 1주간 예비사육한 후, 각 시험 사료군의 체중의 편차가 없도록 1군 6마리로 하여 합계 2군으로 나누고, 시험사료로써 1O일간 사육하였다. 사육은 래트를 개별 케이지에 1마리씩 넣고, 온도 23 ± 1℃, 습도 55 ± 5%에서 12시간 명암(明暗) 사이클(AM 7:00에서부터 PM 7:00까지 조명) 하에서 실시하였다. 사육 기간 동안은 물 및 사료를 자유 섭취시켰다.
시험 기간은 10일간으로 하고, 그 기간의 체중의 증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그리고 각 시험 사이의 체중의 증가량에 유의차(有意差)는 관찰되지 않았다.
[표 2] 5주령 래트의 시험군의 체중의 변화 단위: g
시험군 카제인 저피틴 7S 글로불린(7S-PH)
시험 개시때 153.3 ± 1.3 153.3 ± 1.3 시험 종료후 201.7 ± 1.3 192.0 ± 1.5 체중 증가량 48.4 ± 1.3 38.7 ± 1.6

[표 3] 20주령 래트의 시험군의 체중의 변화 단위: g
시험군 카제인 저피틴 7S 글로불린(7S-PH)
시험 개시때 357.2 ± 2.7 356.4 ± 5.8 시험 종료후 358.7 ± 3.7 352.0 ± 10.3 체중 증가량 0.3 ± 2.1 4.4 ± 4.6

10일간의 시험 종료 후, 11일째의 아침(AM 8:00)부터 7시간 절식(絶食)하고, 넴부탈 마취하에 개복 후, 헤파린 처리한 주사기로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혈액으로부터 원심분리(3,000 r.p.m., 5℃에서 15분간)에 의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중성 지방 및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측정값에 대해서는 군마다 평균치와 표준 편차를 산출하고, 유의차의 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하여 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4 및 표 5에 나타낸다. 그리고 표 중의 중성 지방 저하율(%) 및 콜레스테롤 저하율(%)은 각 항목의 카제인군과 테스트군 사이의 차이의 카제인군에 대한 비율(%)로 나타냈다.
[표 4] 5주령 래트의 시험군의 혈중 중성 지방량의 변화
시험군 카제인 저피틴 7S 글로불린(7S-PH)
중성 지방 농도 176.2 ± 10.9 89.1 ± 5.7 중성 지방 저하율 - 49.6 총 콜레스테롤 농도 144.1 ± 6.0 93.5 ± 2.9 콜레스테롤 저하율 - 35.1
단위: (농도) mg/dl, (율)%
[표 5] 20주령 래트의 시험군의 혈중 중성 지방량의 변화
시험군 카제인 저피틴 7S 글로불린(7S-PH)
중성 지방 농도 261.2 ± 22.5 108.6 ± 21.6 중성 지방 저하율 - 58.4 총 콜레스테롤 농도 132.5 ± 3.5 92.8 ± 14.5 콜레스테롤 저하율 - 30.0
단위: (농도) mg/dl, (율)%
이상과 같이, 저피틴 7S 글로불린은 성장기(5주령) 및 성숙기(20주령)의 어디에 있어서도 현저한 콜레스테롤 및 혈중 중성 지방의 저감효과를 나타냈다.
비교 실시예 1 (래트에 의한 혈중 중성 지방 저감효과 확인시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래트에 의한 혈중 중성 지방 저감효과의 확인시험을 하였다. 시험 사료로서, 실시예 1과 같은 조성의 것을 사용하였다. 단, 대두 단백질로서는, 제조예 1에서 얻은 7S 글로불린(7S)을 사용하였다.
실험 동물은 5주령의 위스타계 수컷 래트(체중 90∼110g 정도의 것)를 일본 SLC로부터 구입하고, 시판 고형사료(오리엔탈 효모, CRF-1)로써 1주간 예비 사육한 후, 각 시험 사료군의 체중의 편차가 없도록 1군 6마리로 하여 합계 3군으로 나누고, 시험사료로써 3주간 사육하였다. 사육은 래트를 개별 케이지에 1마리씩 넣고, 온도 23 ± 1℃, 습도 55 ± 5%에서 12시간 명암 사이클(AM 7:00에서부터 PM 7:00까지 조명) 하에서 하였다. 사육기간 동안은 물과 사료를 자유 섭취시켰다.
시험 기간은 21일로 하고, 그 기간의 체중의 증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6에 나타낸다. 그리고 각 시험간의 체중의 증가량에 유의차는 관찰되지 않았다.
[표 6] 각 시험군의 체중의 변화 단위: g
시험군 카제인 7S 글로불린(7S)
시험 개시때 151.0 ± 1.3 151.1 ± 0.9 시험 종료후 243.8 ± 1.6 240.8 ± 5.5 체중 증가량 92.7 ± 1.5 89.7 ± 6.0

21일간의 시험 종료 후, 22일째의 아침(AM 8:00)부터 6시간 절식하고, 넴부탈 마취하에 개복 후, 헤파린 처리한 주사기에서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혈액으로부터 원심분리(3,00O r.p.m., 5℃에서 10분간)에 의해 혈장을 분리하고, 중성 지방 및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측정값에 대해서는 군마다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유의차의 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하여 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7에 나타낸다. 각 저하율(%)을 구하는 방법은 실시예 1의 표 4 및 5와 동일하다.
[표 7] 각 시험군의 혈중 중성 지방량의 변화 단위: g
시험군 카제인 7S 글로불린(7S)
중성 지방 농도 190.4 ± 12.2 122.7 ± 6.6 중성 지방 저하율 - 35.6 총 콜레스테롤 농도 118.7 ± 4.5 109.9 ± 5.8 콜레스테롤 저하율 - 7.4
단위: (농도) mg/dl, (율)%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저피틴 7S 글로불린의 카제인에 대한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 저감효과와 비교하여, 비교 실시예 1의 7S 글로불린은 저감효과가 약하고, 저피틴 7S 글로불린이 7S 글로불린에 비해서 높은 혈중 지질 개선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 명백해졌다.
실시예 2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정제도가 높은 저피틴 7S 글로불린(7S-PH-LP)을 사용하여 그 혈중 중성 지방 저감효과를 조사하였다. 대조로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카제인, 7S 글로불린(7S), 저피틴 7S 글로불린(7S-PH), 및 시판의 분리 대두 단백질(SPI)을 사용하였다. 각 단백질 시료의 조성은 표 8에 나와 있다.
[표 8] 단위: %
SPI 7S 7S-PH 7S-PH-LP
조(粗)단백질 86.2 88.0 90.5 92.3 순도 (SPE 기준) - 80.0 82.2 95.7 클로로포름/메탄올 3.2 2.8 2.8 0.5 추출 기름 성분 피틴산 1.8 1.8 0.05 0.05 보정 순도 - 57.6 59.2 90.9
동물실험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5주령의 래트를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 조건에서 체중을 측정하면서 2주간 사육하였다. 시험 종료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채혈하여 중성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체중의 추이를 표 9에, 중성 지방, 콜레스테롤, HDLC 및 이상의 데이터에 의해 산출한 동맥경화 지수를 표 10에 나타낸다.
[표 9] 단위: g
카제인 SPI 7S 7S-PH 7S-PH-LP
시험 개시때 138.5 138.7 135.8 135.5 137.8 시험 종료시 210.2 212.9 206.9 179.6 206.5 체중 증가량 71.7 74.3 71.1 44.0 68.8

[표 10] 단위: mg/dl
카제인 SPI 7S 7S-PH 7S-PH-LP
중성 지방 농도 178.3 120.0 105.0 92.7 91.0 총 콜레스테롤 농도 125.6 88.3 88.3 90.8 87.3 HDLC 37.1 36.8 34.2 43.5 44.0 동맥경화 지수 2.39 1.40 1.58 1.09 0.98
이상의 결과로부터, 중성 지방 및 콜레스테롤 저감효과는 거의
카제인 << SPI = 7S < 7S-PH < 7S-PH-LP
의 순서로 나타나고, 또한, HDLC는 피틴산을 제거한 군에서 향상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즉 피틴산을 제거하고, 더욱이 지질회합 단백질도 제거한 고순도의 저피틴 7S 글로불린에서 가장 현저한 혈청 지질 개선효과, 특히 동맥경화 지수 저감효과가 있는 것이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하여, 혈중 중성 지방 농도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더욱이 안전성이 극히 높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중 중성 지방의 농도 저감을 위한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목적으로서의 음식품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Claims (8)

  1. 단백질당 7S 글로불린을 50% 이상 함유하는, 피틴산 함량이 단백질당 0.2% 이하인 대두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단백질 중의 지질회합 단백질이 10% 이하인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단백질 중의 클로로포름:메탄올=2:1의 용매에 용해하는 획분이 1% 이하인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대두 단백질에 피틴산 분해 효소를 작용시켜서 얻어지는 것인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7S 글로불린을 단백질의 50% 이상 함유하는 대두 종자로부터 제조되는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그 제조 공정에 있어서 환원제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되는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
KR1020037004519A 2000-09-29 2001-09-28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 KR100840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00603 2000-09-29
JPJP-P-2000-00300603 2000-09-29
PCT/JP2001/008603 WO2002026243A1 (fr) 2000-09-29 2001-09-28 Composition permettant de reduire les graisses neutres dans le sa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505A KR20030040505A (ko) 2003-05-22
KR100840092B1 true KR100840092B1 (ko) 2008-06-19

Family

ID=1878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519A KR100840092B1 (ko) 2000-09-29 2001-09-28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86425B2 (ko)
EP (1) EP1323425B1 (ko)
JP (1) JP4461680B2 (ko)
KR (1) KR100840092B1 (ko)
CN (2) CN101428137B (ko)
AU (1) AU2001290324A1 (ko)
DE (1) DE60129721T2 (ko)
WO (1) WO2002026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1640B1 (en) 1997-04-04 2001-01-09 Monsanto Company High beta-conglycinin products and their use
JP4453253B2 (ja) * 2000-10-02 2010-04-21 不二製油株式会社 分画された大豆蛋白およびその製造法
WO2003088749A1 (en) * 2002-04-18 2003-10-30 Monsanto Technology Llc Oil body associated prote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or reduc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EP1541160A4 (en) * 2002-07-19 2009-06-17 Fuji Oil Co Ltd PERCENTAGE REDUCING AGENT FOR THE LIPID RESERVES OF THE ORGANISM OR INHIBITOR FOR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LIPID RESERVES OF THE ORGANISM
JPWO2004087199A1 (ja) * 2003-03-31 2006-06-29 不二製油株式会社 インスリン抵抗性改善用組成物
JPWO2005092367A1 (ja) * 2004-03-29 2008-02-07 不二製油株式会社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組成物
WO2007030429A2 (en) * 2005-09-07 2007-03-15 Monsanto Technology Llc Agronomically elite soybeans with high beta-conglycinin content
JP2011184313A (ja) * 2010-03-04 2011-09-22 Kyushu Univ 植物性グロブリンの動脈硬化の処置のための利用
CN103169944B (zh) * 2013-03-07 2014-09-24 珠海博康药业有限公司 辅助调节血脂复合地龙蛋白制剂
KR102028383B1 (ko) * 2018-11-12 2019-10-04 (주)운트바이오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602822A (zh) 2019-02-25 2020-09-01 不二制油集团控股株式会社 用于抑制肝脂肪合成的食品组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22395A1 (en) * 1997-04-01 1999-06-16 Nichimo Company Limited Product comprising health-promotive ingredi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1174516A1 (en) * 1999-03-30 2002-01-23 Fuji Oil Company, Ltd. Fractionation of soybean 7s globulin and 11s globul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6147A (en) * 1971-04-05 1973-05-29 Coca Cola Co Process for preparing protein products
US4072670A (en) * 1976-10-26 1978-02-07 Mead Johnson & Company Low phytate isoelectric precipitated soy protein isolate
US4370267A (en) * 1981-08-10 1983-01-25 A. E. Staley Manufacturing Company Fractionation and isolation of 7S and 11S protein from isoelectrically precipitated vegetable protein mixtures
BE904225A (fr) * 1985-02-14 1986-05-29 Fuji Oil Co Ltd Procede de fractionnement de proteines.
US4697004A (en) * 1985-09-06 1987-09-29 Bristol-Myers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low phytate soy protein isolate
CN1048310A (zh) * 1989-01-25 1991-01-09 阿尔科有限公司 不含或含少量肌醇六磷酸盐的大豆蛋白质提取物和浓缩物的新型制备方法
CS274299B2 (en) * 1989-01-27 1991-04-11 Vaclav Pistek Pressure packing
US5241072A (en) * 1990-05-25 1993-08-31 Genzyne Corporation Oligosaccharide oxazolines, oligosaccharide conjugat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US5270450A (en) * 1991-02-28 1993-12-14 Abbott Laboratories Soy protein isolates
US5248765A (en) * 1991-12-20 1993-09-28 Abbott Laboratories Separation of phytate from plant protein and dietary fiber using alumina
JP3416312B2 (ja) * 1994-12-26 2003-06-16 森永製菓株式会社 大豆蛋白質の製造法
JPH0923822A (ja) 1995-07-14 1997-01-28 Nichimo Co Ltd ペプチド生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03994A (ja) * 1997-01-27 1998-08-04 Ichimaru Pharcos Co Ltd 生理活性作用組成物
US6171640B1 (en) * 1997-04-04 2001-01-09 Monsanto Company High beta-conglycinin products and their use
AU754448B2 (en) * 1998-07-29 2002-11-14 Fuji Oil Company Limited Soybean protein hydrolysates, their production and use
JP2000204369A (ja) * 1999-01-11 2000-07-25 Fuji Oil Co Ltd 抗酸化剤
US6313273B1 (en) * 1999-08-25 2001-11-06 Abbott Laboratories Soy protein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22395A1 (en) * 1997-04-01 1999-06-16 Nichimo Company Limited Product comprising health-promotive ingredi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1174516A1 (en) * 1999-03-30 2002-01-23 Fuji Oil Company, Ltd. Fractionation of soybean 7s globulin and 11s globul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Nutr. Sci. Vitaminol. 27(4), 379-88 (198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23425A1 (en) 2003-07-02
DE60129721D1 (de) 2007-09-13
AU2001290324A1 (en) 2002-04-08
US20040014640A1 (en) 2004-01-22
WO2002026243A1 (fr) 2002-04-04
CN1476333A (zh) 2004-02-18
JP4461680B2 (ja) 2010-05-12
DE60129721T2 (de) 2008-04-30
CN101428137A (zh) 2009-05-13
CN101428137B (zh) 2012-09-05
EP1323425A4 (en) 2004-07-07
JPWO2002026243A1 (ja) 2004-02-05
KR20030040505A (ko) 2003-05-22
EP1323425B1 (en) 2007-08-01
US7186425B2 (en) 200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3396B2 (en) Process for making a soluble rapeseed protein isolate
US9107428B2 (en) Fractionated soybean protein material, processed soybean suitable for the material,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of the soybean protein material and the processed soybean
Sánchez-Vioque et al. Protein isolates from chickpea (Cicer arietinum L.): chemical composition, functional properties and protein characterization
Fukushima Recent progress in research and technology on soybeans
EP2253324A1 (en) Use of a casein-derived peptide and compositions thereof as antihypertensive
KR100840092B1 (ko) 혈중 중성 지방 저감용 조성물
Žilić et al. Characterization of sunflower seed and kernel proteins
KR100754051B1 (ko) 분획된 대두 단백질 및 그 제조법
KR20090009862A (ko) 펩티드
EP1661913B1 (en) Bioactive peptides derived from the proteins of egg white by means of enzymatic hydrolysis
KR100509681B1 (ko) 포유동물의 초유 또는 유즙 유래의 유청분리분획을포함하는 성장 촉진용 식품 조성물
EP3481215A1 (en) Food grade native rapeseed protein isolate and process for obtaining it
NO333937B1 (no) Metode for fremstilling av et næringsmiddel, sammensetning og næringsmiddel for behandling eller forebygging av hyperkolesterolemi, samt anvendelse derav.
US7838633B2 (en) Method for production of fractionated soybean protein material
JPWO2005092367A1 (ja)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組成物
US7264839B2 (en) Protein beverage
Anderson et al. Measurement of lysine damage in proteins heated with gossypol
JP2003088334A (ja) 血中コレステロール低減用組成物
JP2002114694A (ja) 血中コレステロール低減用組成物
US20070299000A1 (en) Method of lowering body fat percentage or inhibiting body fat percentage increase
Eklund Some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a protein fraction from nigerseed (Guizotia abyssinica Cass.) soluble in hot aqueous ethanol
KR19990028359A (ko) 혈중 트리글리세리드의 농도상승을 억제하는 펩티드 및 활성성분으로서 펩티드를 함유한 혈중 트리글리세리드의 농도상승 억제제
WO2004087199A1 (ja) インスリン抵抗性改善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