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050B1 -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050B1
KR100840050B1 KR1020067019127A KR20067019127A KR100840050B1 KR 100840050 B1 KR100840050 B1 KR 100840050B1 KR 1020067019127 A KR1020067019127 A KR 1020067019127A KR 20067019127 A KR20067019127 A KR 20067019127A KR 100840050 B1 KR100840050 B1 KR 100840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pressure
endoscope
pump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0228A (ko
Inventor
다까또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0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ctum, e.g. proctoscopes, sigmoidoscopes, colon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2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5Oversleeves mounted on the endoscope prior to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 벌룬 및 선단 외주부에 고정용 벌룬(11)을 설치하고, 상기 내시경을 삽입 관통시키는 오버 튜브의 선단부 외주에 설치한 고정용 벌룬에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제1 및 제2 펌프와, 상기 각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 시간을 검출하는 타이머 카운터와, 이 타이머 카운터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각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있다.
고정용 벌룬, 펌프, 타이머 카운트, 오버 튜브, 내시경

Description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 외주부에 설치된 벌룬 및 오버 튜브의 삽입부 선단 외주부에 설치된 벌룬 내의 압력 제어가 가능한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 기관 검사에 있어서는 내시경 검사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 검사에 있어서, 내시경의 삽입부를 심부 소화 기관, 예를 들어 소장에 삽입하는 경우 단순히 상기 삽입부를 밀어 넣는 것만으로는 복잡한 장 기관의 굴곡으로 인해 상기 삽입부 선단에 힘이 전달되기 어려워, 심부로의 삽입은 곤란하다. 예를 들어, 상기 내시경은 심부 삽입에 의해 발생된 상기 내시경의 여분의 굴곡이나 휨을 신장시키고자 하여 되돌리면, 상기 삽입부 선단도 빠져나오므로 굴곡이나 휨이 없어지지 않고 심부 삽입이 곤란해져 버린다.
그래서, 상기 내시경의 상기 삽입부 선단 외주부에 벌룬을 설치하고, 이 벌룬을 팽창시켜 상기 장 기관에 일시 고정함으로써 상기 내시경의 여분의 굴곡이나 휨을 신장시킬 때에, 상기 삽입부의 선단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내시경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내시경의 상기 삽입부를 삽입 관통하는 오버 튜 브를 설치하여 이 오버 튜브의 선단 외주부에 벌룬을 설치하고, 이 오버 튜브의 벌룬과 상기 내시경의 벌룬을 적절하게 팽창시키거나, 수축시키도록 하여 상기 내시경 장치에 대해 시술 성능의 향상을 가능하게 한 내시경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1019호에는 상기 내시경의 벌룬과 상기 오버 튜브의 벌룬에 대해 제어 수단에 의해 각 벌룬 내의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각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면서 펌프 장치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 내시경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내시경 장치는, 상기 내시경의 벌룬과 상기 오버 튜브의 벌룬의 재질이 다른 경우나, 벌룬의 교환마다 재질이 다른 경우에는 동일한 유량이라도 벌룬의 팽창 방법이 달라져 버린다. 그로 인해, 벌룬의 재질 및 종류가 달라도 일정한 팽창 방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 벌룬에 대한 송기 유량을 벌룬의 재질에 따라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각 벌룬에 대한 송기 유량이나 송기압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 벌룬에 대한 송기 시간을 계측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1019호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내시경의 벌룬 내와 상기 오버 튜브의 벌룬 내의 공기 압력을 제어하고 있지만, 상기 각 벌룬의 송기 유량에 대해서는 제어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장치에서는 상기 각 벌룬에 대한 송기 유량이나 송기압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각 벌룬에 대한 송기 시간이나 흡기 시간에 대해서는 계측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내시경의 벌룬과 오버 튜브의 벌룬에 대한 송기 또는 흡기 시간을 계측할 수 있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는,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 벌룬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와, 상기 벌룬 내의 기체 압력을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시간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하여,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적용한 내시경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2는 도1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3은 도2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도2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5 내지 도11은 각 벌룬을 이용하여 내시경 및 오버 튜브의 조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각 벌룬을 수축시켜 내시경을 오버 튜브에 삽입 관통하여 장 기관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6은 오버 튜브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 기관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 도.
도7은 도6의 상태로부터 더욱 내시경을 오버 튜브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8은 도7의 상태에서 내시경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벽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9는 도8의 상태에서 오버 튜브의 벌룬을 수축시켜 더욱 오버 튜브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10은 도9의 상태로부터 오버 튜브의 선단이 내시경 선단부까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11은 도10의 상태에서 오버 튜브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벽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12 내지 도15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의 메인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3은 도12의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4는 도13의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5는 도13의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6은 제2 실시예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하여,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적용한 내시경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갖는 내시경 시스템(1)은 내시경(2), 오버 튜브(3), 광원 장치(4), 비디오 프로세서(5), 모니터(6),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 리모트 컨트롤러(8)를 갖고 있다.
상기 내시경(2)은, 예를 들어 소화 기관 내 내시경 검사에 이용되는 것으로, 체강 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2B)와, 이 삽입부(2B)의 기단측에 설치된 조작부(2A)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2B)의 선단부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명 광학계 및 촬상 소자인 CCD를 포함하는 관찰 광학계가 설치되어 있어, 피검체의 소화 기관 내의 관찰 부위를 조명하고, 피검체의 소화 기관 내의 관찰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작부(2A)에는 유니버설 코드(2C)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 유니버설 코드(2C)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신호선 및 라이트 가이드 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유니버설 코드(2C)의 기단부는 상기 광원 장치(4)의 커넥터(4a),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의 커넥터(5a)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조명 광학계에는 상기 유니버설 코드(2C) 내의 라이트 가이드 케이블을 거쳐서 광원 장치(4)로부터의 조명광이 공급되어 관찰 부위를 조명하고, 상기 CCD로부터 출력되는 소화 기관 내의 촬상 신호를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에 출력한다.
이러한 내시경(2)은, 시술시 상기 오버 튜브(3)에 삽입 관통되어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오버 튜브(3)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광원 장치(4)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케이블 내의 라이트 가이드(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상기 내시경(2)에 설치된 조명 광학계에 대해 조명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 장치이다.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는 상기 내시경(2)의 상기 CCD로부터의 촬상 신호에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촬상 신호를 기초로 하는 화상 데이터(예를 들어, 내시경 라이브 화상 데이터)를 모니터(6)에 공급한다.
상기 모니터(6)는 접속 케이블(5A)에 의해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6)는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내시경 화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내시경 시스템(1)에서는,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의 선단 외주부에는 고정용 벌룬(9)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벌룬(9)에는, 상기 삽입부(2B)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에 걸쳐 상기 삽입부(2B)에 따라 설치한 공기 공급 튜브(1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기 공급 튜브(10)의 상기 조작부(2A)측 기단부는 상기 조작부(2A)의 하부에 설치된 커넥터(2a)에 접속되어 있다. 이 커넥터(2a)에는, 일단부가 후술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접속되고, 내시경 벌룬 송기용 튜브(이하, 제1 송기용 튜브라 함)(13)의 타단부에 설치된 커넥터(13A)가 접속된다. 이에 의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로부터의 송기에 의해 상기 벌룬(9) 내를 팽창시켜 장 기관 등의 소화 기관에 일시 고정한다.
상기 오버 튜브(3)는 상기 내시경(2)을 삽입 관통시켜 상기 삽입부(2B)를, 예를 들어 소화 기관에 삽입할 때의 가이드를 행하는 것으로, 상기 내시경의 상기 삽입부(2B)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갖고 있다. 또한, 이 오버 튜브(3)는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와 마찬가지로 가요성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오버 튜브(3)의 선단 외주부에는 튜브 고정용 벌룬(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벌룬(11)에는 상기 오버 튜브(3)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에 걸쳐 설치된 공기 공급 튜브(12)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기 공급 튜브(12)의 상기 벌룬(11)과는 반대측의 기단부[상기 오버 튜브(3)의 내시경(2)을 삽입하는 삽입구측]는 상기 오버 튜브(3)의 상기 삽입구 근방에 설치된 커넥터(3a)에 접속되어 있다. 이 커넥터(3a)에는 일단부가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접속되고, 오버 튜브 벌룬 송기용 튜브(이하, 제2 송기용 튜브라 함)(14)의 타단부에 설치된 커넥터(14A)가 접속된다. 이에 의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로부터의 송기에 의해 상기 벌룬(11) 내를 팽창시켜 장 기관 등의 소화 기관에 일시 고정한다.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 및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의 송기 유량 등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2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역류 방지용 탱크(15)가 설치되고, 전방면에는 압력 표시기(16) 및 전원 스위치(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역류 방지용 탱크(15)는 액체의 역류를 방지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용 탱크(15A)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용 탱크(15B)를 갖고 있다. 이들 탱크(15A, 15B)에는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 송기용 튜브(13, 14)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탱크(15A, 15B)는 각각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제어에 의해 후술하는 제1 및 제2 펌프(32a, 32b)(도4 참조)를 거쳐서 내부의 압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송기용 튜브(13, 14)를 거쳐서 각 벌룬(9, 11)에 송기한다. 이 경우, 상기 탱크(15A, 15B)는 도시하지 않은 역류 방지 기구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송기용 튜브(13, 14)로부터의 액체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에 접속되는 공기 공급 튜브(10), 제1 송기용 튜브(13), 상기 탱크(15A)를 거친 송기 관로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에 접속되는 공기 공급 튜브(12), 제2 송기용 튜브(14), 상기 탱크(15B)를 거친 송기 관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력 표시기(16)는 검출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벌룬(9, 11)에 접속되어 있는 관로의 압력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압력 표시기(16)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용 표시기(16A)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용 표시기(16B)를 갖고 있다.
상기 표시기(16A)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용 관로 내의 압력치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기(16B)는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용 관로 내의 압력치를 표시한다.
상기 전원 스위치(17)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전원을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로 절환하는 스위치이다.
또한,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일면에는, 접속 케이블(8A)을 거쳐서 리모트 컨트롤러(8)가 접속되어 있다. 이 리모트 컨트롤러(8)는 상기 접속 케이블(8A)을 거쳐서, 후술하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시술 중 시술자에 의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 벌룬(9, 11)의 압력 제어 및 송기량 제어를 위한 조작 신호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도3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는 시술자가 조작하기 쉽도록, 예를 들어 내시경측 벌룬 제어용 각종 버튼과 튜브측 벌룬 제어용 각종 버튼이 리모트 컨트롤러 본체의 좌우로 나뉘어져 배치되어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좌측에는, 상기 내시경측 벌룬 제어용 조작 버튼으로서 개방 버튼(18a), 송기 개시 버튼(19a), 흡기 개시 버튼(20a), 정지 버튼(21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우측에는 상기 오버 튜브측 벌룬 제어용 조작 버튼으로서, 개방 버튼(18b), 송기 개시 버튼(19b), 흡기 개시 버튼(20b), 정지 버튼(21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하부에는 전원 버튼(22), 긴급 정지 버 튼(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방 버튼(18a)은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의 관로 내의 공기 개방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기 송기 개시 버튼(19a)은 상기 내시경(2)의 벌룬(9) 내로의 송기 개시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상기 흡기 개시 버튼(20a)은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으로부터의 흡기 개시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또한, 상기 정지 버튼(21a)은 상기 송기 개시 버튼(19a)에 의한 송기 동작이나, 상기 흡기 개시 버튼(20a)에 의한 흡기 동작을 정지시키는 지시를 행하는 버튼이며, 이 정지 버튼(21a)을 누름으로써 상기 벌룬(9) 내의 공기압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개방 버튼(18b)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의 관로 내의 공기 개방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기 송기 개시 버튼(19b)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 내로의 송기 개시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상기 흡기 개시 버튼(20b)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으로부터의 흡기 개시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또한, 상기 정지 버튼(21b)은 상기 송기 개시 버튼(19b)에 의한 송기 동작이나, 상기 흡기 개시 버튼(20b)에 의한 흡기 동작을 정지시키는 지시를 행하는 버튼이며, 이 정지 버튼(21b)을 누름으로써 상기 벌룬(11) 내나 관로 내의 공기압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스위치(22)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전원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절환하는 버튼이다.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은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후술하는 제1 내지 제3 브레이커(31a 내지 31c)를 직접적으로 오프하여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의한 각 벌룬(9, 11)의 송기 제어 등을 긴급 정지하기 위한 버튼이다.
다음에,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내부 구성에 대해 도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4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스위칭 전원부(30), 제1 내지 제3 브레이커(31a 내지 31c), 제1 및 제2 펌프(32a, 32b), 제1 및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 관로 절환부(33), 제1 및 제2 압력 센서(34a, 34b) 및 상기 제어 수단인 제어부(제어 유닛)(35)를 갖고 있다.
상기 스위칭 전원부(30)에는, 도시하지 않은 접속 코드를 거쳐서 외부의 상용 전원부로부터 교류 전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전원부(30)는 공급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브레이커(31a 내지 31c), 제1 및 제2 압력 센서(34a, 34b), 제어부(35)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에 공급한다.
상기 제1 브레이커(31a)는 상기 제1 및 제2 펌프(32a, 32b)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긴급 정지 버튼(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브레이커(31a)는 상기 제1 및 제2 펌프(32a, 32b)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있어,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으로부터 조작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펌프(32a, 32b)에의 직류 전원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 브레이커(31b)는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긴급 정지 버튼(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 브레이 커(31b)는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있어,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으로부터 조작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는 상기 관로 절환부(33)에의 직류 전원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3 브레이커(31c)는 상기 제1 및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긴급 정지 버튼(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3 브레이커(31c)는 상기 제1 및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있어,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으로부터 조작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에의 직류 전원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펌프(32a, 32b)는 상기 관로 절환부(33)의 입력측에 각각 공기 라인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펌프(32a, 32b)는 상기 제어부(35)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구동 제어되도록 되어 있고, 예를 들어 상기 공기 라인을 거쳐서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대해 송기하거나, 또는 반대로 상기 공기 라인을 거쳐서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대해 흡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관로 절환부(33)의 출력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가 각각 공기 라인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는, 상기 제어부(35)에 의해 개폐 조정 가능한 밸브이며, 상기 제어부(35)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출력하는 공기의 유량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는 각각 송기 라인을 거쳐 서 제1 및 제2 압력 센서(34a, 34b)에 소정 범위 내에서 조정된 유량의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센서(34a, 34b)는 상기 제1 및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계측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압력 센서(34a, 35b)에 의한 계측 결과를 상기 제어부(35)에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35)는 각각 공급된 계측 결과를 기초로 하여, 원하는 공기압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펌프(32a, 32b)를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센서(34a, 34b)의 출력은, 각각 송기 라인, 커넥터(7A, 7B, 13B, 14B)를 거쳐서 상기 제1 및 제2 송기용 튜브(13, 14)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제1 펌프(32a), 상기 관로 절환부(33)를 거쳐서 제1 유량 조정 밸브(32c), 제1 압력 센서(34a)로 구성되는 송기 관로와, 상기 제2 펌프(32b), 상기 관로 절환부(33)를 거쳐서 제2 유량 조정 밸브(32d), 제2 압력 센서(34b)로 구성되는 송기 관로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관로 절환부(33)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 내의 실행 모드에 따른 관로 상태가 되도록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관로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상기 실행 모드로서는 송기 모드, 흡기 모드, 유지 모드, 개방 모드의 4개의 실행 모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관로 절환부(33)는 상기 4개의 모드에 따른 상태, 즉 송기 상태, 흡기 상태, 유지 상태, 개방 상태가 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내부 관로를 절환할 수 있고, 이 절환은 상기 제어부(35)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후방단측에 접속된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측의 관로와 상기 오버 튜브측(3)의 벌룬(11)측의 관로를 각각 원하는 실행 모드를 기초로 하는 관로 상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5)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내시경(2)의 벌룬(9) 및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에의 송기 유량을 카운트하는 유량 카운터와, 상기 각 벌룬(9, 11)의 각 송기 시간이나 흡기 시간 등을 카운트하는 상기 송기 시간 검출 수단인 타이머 카운터나 소정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와, 후술하는 메인 프로그램이나 각종 모듈을 기초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제어부(35)는 전방 리모트 컨트롤러(8)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유량 카운터 및 타이머 카운터를 이용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펌프(32a, 32b),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및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과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에의 송기 시간이나 흡기 시간, 송기 유량 시간 등을 계측할 수 있어, 이들 계측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내시경(2)의 벌룬(9)과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에 대한 송기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내시경 시스템(1)의 기본적인 조작 상태에 대해 도5 내지 도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5 내지 도11은 상기 내시경(2)의 벌룬과 상기 오버 튜브의 벌룬을 이용하 여 내시경 및 오버 튜브의 조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5는 각 벌룬을 수축시켜 내시경을 오버 튜브에 삽입 관통하여 장 기관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6은 오버 튜브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 기관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7은 도6의 상태로부터 더욱 내시경을 오버 튜브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8은 도7의 상태에서 내시경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벽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9는 도8의 상태에서 오버 튜브의 벌룬을 수축시켜 더욱 오버 튜브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10은 도9의 상태로부터 오버 튜브의 선단이 내시경 선단부까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11은 도10의 상태에서 오버 튜브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벽에 고정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는 오버 튜브(3) 내에 내시경(2)을 삽입 관통시킨다. 이 경우, 상기 내시경(2)의 벌룬(9) 및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은 각각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수축시킨 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시술자는 피험자에 대한 내시경(2)의 삽입을 개시한다.
다음에, 시술자는 내시경(2) 및 오버 튜브(3)의 선단을, 예를 들어 십이지장 하행각까지 삽입한 시점에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8)의 오버 튜브측의 송기 개시 버튼(19b)(도3 참조)을 눌러 상기 제2 펌프(32b)로부터 상기 오버 튜브(3)의 선단에 설치한 본체 고정용 상기 벌룬(11)에 공기를 공급하고, 이 벌룬(11)을 팽창시켜 상기 오버 튜브(3)를 장 기관(40)에 고정한다. 다음에, 시술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버 튜브(3)를 장 기관(40)에 대해 유지하고,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만 심부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시술자는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를 소정 거리 삽입한 상태에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8)의 내시경측의 송기 개시 버튼(19a)(도3 참조)을 눌러 상기 제1 펌프(32a)로부터 내시경(2)의 선단에 설치한 본체 고정용 벌룬(9) 내에 공기를 공급하고, 이 벌룬(9)을 팽창시켜 장 기관(41)에 고정한다.
또한, 환자에 따라서는 상기 장 기관(40, 41)이 좁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는데, 시술자는 상기 정지 버튼(21a, 21b)을 누르면 각 벌룬(9, 11)에의 공기 공급이 정지됨으로써 상기 장 기관(40, 41)의 크기에 따라서 가장 적절하게 각 벌룬(9, 11)을 팽창시켜 장 기관(40, 41)에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시술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오버 튜브측의 개방 버튼(18b) 또는 흡기 개시 버튼(20b)(도3 참조)을 눌러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의해 상기 벌룬(11) 내의 공기를 해방하거나, 혹은 상기 제2 펌프(32b)로부터 상기 오버 튜브(3)의 상기 벌룬(11) 내의 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벌룬(11)을 수축시킨다(도9 참조).
계속해서, 시술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버 튜브(3)를 상기 내시경(2)에 따르게 하여 심부에 삽입하고,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의 선단 근방까지 상기 오버 튜브(3)의 선단을 삽입한다.
그리고, 시술자는 상기 오버 튜브(3)의 선단을 상기 삽입부(2B)의 선단 근방까지 삽입한 상태에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오버 튜브측의 송기 개시 버튼(19b)(도3 참조)을 눌러 상기 제2 펌프(32b)로부터 상기 오버 튜브(3)의 상기 벌룬(11)에 공기를 공급하고, 이 벌룬(11)을 팽창시켜 상기 오버 튜브(3)를 장벽(41)에 고정한다.
또한, 시술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내시경측의 개방 버튼(18a) 또는 흡기 개시 버튼(20a)(도3 참조)을 눌러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의해 상기 벌룬(9) 내의 공기를 해방하거나, 혹은 상기 제1 펌프(32a)로부터 상기 내시경(2)의 상기 벌룬(9) 내의 공기를 흡기하고, 상기 벌룬(9)을 수축시켜 더욱 상기 삽입부(2B)를 심부에 삽입시킨다.
이상과 같은 도5 내지 도11의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내시경(2) 및 상기 오버 튜브(3)의 심부 삽입을 진행하게 되어,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를 원하는 위치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12 내지 도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2 내지 도15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12는 제어부의 메인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3은 도12의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4는 도13의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5는 도13의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현재, 시술자가 도1의 내시경 시스템(1)을 이용하여 소화 기관 내 내시경 검사를 행하는 것으로 하자. 그리고, 시술자가 도3에 도시한 리모트 컨트롤러(8)의 전원 버튼(22)[혹은 도2에 도시하는 전원 스위치(17)]을 누르면, 제어부(35)는 내 부의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로부터 도12에 나타내는 메인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기동시킨다.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1의 처리에서 전원의 온 상태를 확인하면, 스텝 S2의 처리에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 내의 각종 기기 등의 초기화를 행한다. 이 초기화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제1 및 제2 펌프(32a, 32b)를 시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의해 관로 개방 상태가 되도록 초기화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제어부(35) 중 도시하지 않은 유량 카운터나 타이머 카운트 등의 리셋을 행하여 초기화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계속되는 스텝 S3의 판단 처리에서 20 msec 타이머 인터럽트를 판단하여, 있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4로 이행하고, 없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계속해서 이 판단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타이머는 도12에 나타내는 처리 루틴을 20 msec마다 동작시키기 위해 20 msec를 계측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의 20 msec마다 1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카운터의 카운터치가 10과 동등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동등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5의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 카운터 및 상기 유량 카운터를 리셋하여 처리를 스텝 S6으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카운터치가 10과 동등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처리를 스텝 S6으로 이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12에 나타내는 처리 루틴을 10회, 즉, 200 msec의 시간 단위로 상기 시술자의 컨트롤러(8)에 의한 각종 버튼 조작에 따른 벌룬 제어 를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6, 스텝 S7의 처리에서 후술하는 제1 펌프 및 제2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의 완료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8의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 카운터에 의한 카운터치에 1을 더한 후, 처리를 상기 스텝 S3의 판단 처리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상기 스텝 S6에 의한 상기 제1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의 처리 루틴에 대해 도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스텝 S6의 처리를 실행하면, 도13에 나타내는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의 처리 루틴을 기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11의 판단 처리에서, 리모트 컨트롤러(8)의 긴급 정지 버튼(23)이 눌러졌는지 여부에 따라 경고의 유무를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35)는 경고 플러그의 온/오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판단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경고 플러그는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의 누름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문제점이 생기면 경고 상태가 되어, 상기 제어부(35)에 의해 온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경고 플러그가 온되어 있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의 눌림 등에 의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가 경고 상태라 판단하고, 현상의 경고 처리를 유지하기 위해 스텝 S20의 처리에서 상기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하고, 도12의 스텝 S7의 처리 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1의 판단 처리에서, 경고 플러그가 오프라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이 눌러지지 않고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가 경고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스텝 S12의 판단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12의 판단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도3에 도시한 리모트 컨트롤러(8)의 개방 버튼(18a)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4로 이행한다. 한편,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13의 처리에서 상기 개방 버튼(18a)에 대응하는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를 해방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 후 상기 스텝 S20으로 이행하고, 상기 제1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스텝 S14의 판단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도3에 도시한 리모트 컨트롤러(8)의 정지 버튼(21a)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이행한다. 한편,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15의 처리에서 관로를 폐쇄(관로 유지 상태)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정지 버튼(21a)에 대응하는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 상기 스텝 S20으로 이행하고, 상기 제1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스텝 S16의 판단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도3에 도시하는 리모트 컨 트롤러(8)의 흡기 개시 버튼(20a)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8로 이행한다. 한편,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17의 처리에서 후술하는 도15에 나타내는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기동시켜, 상기 흡기 개시 버튼(20a)에 대응하는 흡기 제어를 행한 후 상기 스텝 S20으로 이행하고, 상기 제1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스텝 S18의 판단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도3에 도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8)의 송기 개시 버튼(19a)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스텝 S20으로 이행한다. 한편, 눌러졌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19의 처리에서 후술하는 도14에 나타내는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기동시켜, 상기 송기 개시 버튼(19a)에 대응하는 송기 제어를 행한 후 상기 스텝 S20으로 이행하고, 상기 제1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다음에, 상기 스텝 S19에 의한 상기 송기 모듈의 처리 루틴에 대해 도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5)에는 미리 상기 제1 및 제2 센서(34a, 34b)로부터의 압력 측정 결과와 비교를 행하기 위한 압력 최대치 및 압력 상한치가 미리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상한치와 상기 압력 최대치는 상기 압력 상한치〈 상기 압력 최대치가 되는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력 최대치는 상기 각 벌룬(9, 11)이 팽창되어 위험한 상태가 되는 것에 상당하는 압력치이며, 상기 압력 상한치는 상기 각 벌룬(9, 11)이 팽창되어 장 기관에 고정하는 것에 상당하는 압력치를 의미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스텝 S19의 처리를 실행하면, 도14에 나타내는 송기 모듈의 처리 루틴을 기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21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34a)로부터의 측정 결과(예를 들어, 압력 아날로그치)와 미리 설정된 압력 최대치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압력 최대치보다도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2로 이행하고, 반대로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9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29의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를 해방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다. 그 후에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30의 처리에서 상기 경고 플러그를 온시킨 후 스텝 S37로 이행하고, 상기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내부의 타이머에 의해 송기 시간을 계측한 계측 결과(송기 시간)와 미리 설정된 최대 송기 시간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송기 시간이 상기 최대 송기 시간보다도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3으로 이행하고, 반대로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31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31의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스텝 S29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를 해방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35)는 상 기 스텝 S30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스텝 S32의 처리에서 상기 경고 플러그를 온시킨 후 스텝 S37로 이행하고, 상기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23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의 20 msec마다 1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카운터의 카운터치가 1과 동등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등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33의 처리에서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34의 처리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센서(34a, 34b)에 의한 압력 측정을 행하여 측정 압력치를 취득한 후, 스텝 S24로 이행한다.
또한, 상기 스텝 S23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 카운터의 카운터치가 1과 동등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스텝 S24로 이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24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34a)에 의한 압력 측정을 행하여 측정 압력치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측정 압력치(상기 스텝 S33, 34의 루프를 거친 경우에는 상기 스텝 S34에서 얻어진 측정 압력치)와 미리 설정된 압력 상한치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압력 상한치보다도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5로 이행하고, 반대로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35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35의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 브(32c)를 제어한 후 상기 스텝 S37로 이행하고, 상기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다음에,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25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유량 카운터치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송기량(송기 유량)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유량 카운터치가 상기 소정의 송기량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36의 처리에서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 후 스텝 S37로 이행하고, 상기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또한, 상기 유량 카운터치라 함은, 200 msec(20 msec×10)에서 어느 정도의 송기량을 송기할 수 있는지 결정하기 위한 변수이며,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 카운터치(0 내지 9)에 따른 0 내지 9까지의 설정이 가능하다. 실제로는, 상기 유량 카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유량 카운터치를 20 msec마다 카운트하고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송기량이라 함은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20 msec마다 송기 가능한 대강의 송기량(송기 유량)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스텝 S25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유량 카운터치가 상기 소정의 송기량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27의 처리에서 송기 개시 버튼(19a, 19b)을 기초로 하는 송기 관로를 설정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를 제어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27의 처리에서 상기 유량 카운터치에 1을 더하고, 계속되는 스텝 S28의 처리에서 상기 송기 시간에 1을 더하여 상기 스텝 S37로 이행하여, 상기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상기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35)는 도13에 나타내는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완료한 것으로 하여, 도12에 나타내는 스텝 S7의 제2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고, 이후 도12에 나타내는 처리 루틴에 따라서 반복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2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의 동작 및 펌프, 스위치, 제어 대상이 변경이 될 뿐이므로 생략한다.
다음에, 도13에 나타내는 상기 스텝 S17에 의한 상기 흡기 모듈의 처리 루틴에 대해 도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스텝 S17의 처리를 실행하면 도15에 나타내는 흡기 모듈의 처리 루틴을 기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0의 판단 처리에서, 내부의 타이머에 의해 흡기 시간을 계측한 계측 결과(흡기 시간)와 미리 설정된 최대 흡기 시간과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흡기 시간이 상기 최대 흡기 시간보다도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41로 이행하고, 반대로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47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47의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를 해방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8의 처리에서 상기 경고 플러그를 온시킨 후 스텝 S53으로 이행하고, 상기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1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의 20 msec마다 1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카운터의 카운터치가 1과 동등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등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49의 처리에서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5O의 처리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34a)에 의한 압력 측정을 행하여 측정 압력치를 취득한 후, 스텝 S42로 이행한다.
또한, 상기 스텝 S41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 카운터의 카운터치가 1과 동등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스텝 S42로 이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2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34a)에 의한 압력 측정을 행하여 측정 압력치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측정 압력치(상기 스텝 S49, 50의 루프를 거친 경우에는 상기 스텝 S50에서 얻어진 측정 압력치)와 미리 설정된 압력 하한치와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압력 하한치보다도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51로 이행하고, 반대로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43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51의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제1 및 제2 펌프(32a, 32b)에 의해 흡기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를 유지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및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를 제어한 후 상기 스텝 S53으로 이행하고, 상기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다음에,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3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유량 카운터치와 미리 설정된 소정의 흡기량(흡기 유량)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유량 카운터치가 상기 소정의 흡기량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52의 처리에서 제1 펌프(32a)의 흡기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 후 상기 스텝 S54로 이행하고, 상기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또한, 상기 소정의 흡기량이라 함은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20 msec마다 흡기 가능한 대강의 흡기량(흡기 유량)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스텝 S43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유량 카운터치가 상기 소정의 흡기량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4의 처리에서 흡기 개시 버튼(20a)을 기초로 하는 흡기 관로를 설정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를 제어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5의 처리에서 상기 유량 카운터치에 1을 더하고, 계속되는 스텝 S46의 처리에서 상기 흡기 시간에 1을 더하여 상기 스텝 S53로 이행하고, 상기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상기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35)는 도13에 나타내는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여 처리 루틴을 완료한 것으로 하여, 도12에 나타내는 스텝 S7의 제1 펌프 제어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고, 이후 도12에 나타내는 처리 루틴에 따라서 반복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내시경(2)의 벌룬(9)과 오버 튜브(3)의 벌룬(11)에 대한 송기 시간을 계측할 수 있으므로, 최대 송기 시간, 최대 흡기 시간, 최대 송기압 및 최대 흡기압을 넘은 것을 검출하여 관로를 해방하도록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장벽에 대해 많은 힘을 가하는 일 없이 기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각 벌룬(9, 11)에 대한 송기 유량 및 흡기 유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재질의 벌룬이나 다양한 부위에 적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송기용 튜브(13, 14) 등의 관로가 떨어진 경우에 발생하는 연속된 송기 동작 또는 흡기 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를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접속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시술자의 손 근처인 상기 내시경(2)의 조작부(2A) 상부나, 시술자의 발 밑인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를 컨트롤하는 풋 스위치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8)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각종 리모콘 조작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설치된 수광부에 의해 상기 적외선을 수광 하여 상기 리모콘 신호를 취입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시술자에 의한 조작이 더욱 용이해진다.
<제2 실시예>
도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16은 상기 제1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2계통인 송기 관로(송기 라인) 상에, 상기 벌룬 내 압력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1 및 제2 릴리프 밸브(36a, 36b)를 설치하고 있다.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릴리프 밸브(36a)는 제1 압력 센서(34a)의 출력 단부측의 관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릴리프 밸브(36b)는 제2 압력 센서(34b)의 출력 단부측의 관로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릴리프 밸브(36a, 36b)는 관로의 압력을 감시하고, 관로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릴리프압) 이상이 되었을 때에 관로를 외부로 해방하여, 관로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릴리프 밸브(36a, 36b)는 예를 들어 기계식 릴리프 밸브가 이용되고 있고, 이 기계식 릴리프 밸브는 관로 내 압력 상승에 의해 탄성재로 고정되어 있는 밸브가 외부로 해방되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도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6에 나타내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릴리프압은,
압력 상한치〈 압력 최대치 = 릴리프압
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통상, 상기 압력 상한치 및 상기 압력 최대치는 상기 벌룬 내 압력 제어 수 단[제1 및 제2 릴리프 밸브(36a, 36b)]과는 다른 압력 제어 방법이며 전기식의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센서(34a, 34b)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 내에 포함되고, 유량을 조절하는 전자 밸브(도시하지 않음)도 전기식인 것으로 제어부(35)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센서(34a, 34b) 및 상기 제1 및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는 모두 전기식이므로, 예를 들어 상기 장치 내의 전기계가 고장난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압력 센서(34a, 34b) 및 상기 제1 및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가 모두 동작이 정지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 펌프(32a, 32b)의 출력이 직접 생체 내에 인가되어, 많은 압력이 인가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어느 한쪽의 송기 관로에 대응하는 압력 센서 및 유량 조정 밸브의 동작이 정지한 경우라도, 대응하는 펌프의 출력이 직접 생체 내에 인가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한 고장시에 상기 생체 내로의 압력이 릴리프압을 넘은 경우, 전기계의 고장과는 관계없이 동작 가능한 기계식의 상기 제1 및 제2 릴리프 밸브(36a, 36b)가 동작함으로써 생체 내에의 인가 압력을 감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2계통의 송기 관로(송기 라인) 중, 어느 한쪽의 송기 관로에 대응하는 압력 센서 및 유량 조정 밸브의 동작이 정지한 경우라도, 생체 내에의 압력이 릴리프압을 넘은 경우에는 대응하는 릴리프 밸브가 동작함으로써 생체 내에의 인가 압력을 감압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시에 다른 쪽 송기 관로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 외에, 전기계 등의 고장에 대해서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벌룬 내 압력 제어 수단을 구비한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넓은 범위에 있어서 다른 실시 형태가,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것 이외에는, 그 특정한 실시예에 의해서는 제약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는, 내시경의 벌룬과 오버 튜브의 벌룬에 대한 송기 또는 흡기 시간을 계측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각 벌룬에 대한 송기 유량이나 송기압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벌룬의 재질을 바꾸어 행하는 증례나 다양한 부위의 관찰 및 처치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특히 유효하다.

Claims (36)

  1.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의 벌룬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와,
    상기 벌룬 내의 기체 압력을 측정해서 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서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한편,상기 시간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역류 방지 기구를 구비해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벌룬용의 탱크를 갖고,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를 통해서 상기 벌룬에 유체를 공급하는 역류 방지용 탱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을 삽입 관통시키는 오버 튜브의 선단부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 벌룬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를 갖고, 상기 시간 검출부는 상기 내시경의 벌룬 및 오버 튜브의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 시간을 검출하며, 상기 오버 튜브의 벌룬 내의 기체 압력을 측정하여 이 측정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오버 튜브의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한편, 상기 시간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오버 튜브의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를 갖고, 이 유량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의 벌룬 및 오버 튜브의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를 갖고, 이 유량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가 설정한 임계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가 설정한 임계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1 압력치와 제2 압력치 사이에서 제어하고,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이 상기 제1 압력치보다 큰 상기 제2 압력치를 넘었을 때,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감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시경의 벌룬 및 오버 튜브의 벌룬 내의 압력을 제1 압력치와 제2 압력치 사이에서 제어하고,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이 상 기 제1 압력치보다 큰 상기 제2 압력치를 넘었을 때,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감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방법 중, 고장난 제어 방법이 발생되어도 나머지 제어 방법으로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시경의 벌룬 및 오버 튜브의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방법 중, 고장난 제어 방법이 발생되어도 나머지 제어 방법으로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벌룬에의 상기 펌프로부터의 관로에 상기 관로 내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 외부로 개방되는 릴리프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각 벌룬에의 상기 각 펌프로부터의 각 관로에 상기 관로 내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 외부로 개방되는 릴리프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13.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의 벌룬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내의 기체 압력을 측정해 그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역류 방지 기구를 구비해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벌룬용의 탱크를 갖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를 통해서 상기 벌룬에 유체를 공급하는 역류 방지용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와,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를 갖고, 상기 유량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 및 상기 시간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서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14.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의 벌룬과,
    상기 내시경을 삽입 관통시켜 상기 내시경 삽입시의 가이드를 행하는 오버코트 튜브 선단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의 벌룬에 기체를 공급하는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각 벌룬내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해 그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서 상기 각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역류 방지 기구를 구비해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벌룬용의 탱크를 갖고,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를 통해서 상기 벌룬에 유체를 공급하는 역류 방지용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와,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를 갖고,상기 유량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 및 상기 시간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상기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각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 및 상 기 시간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가 설정한 임계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 및 상기 시간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가 설정한 임계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검출부는 상기 제어부 내에 설치된 타이머 카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검출부는 상기 제어부 내에 설치된 타이머 카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부에 지시를 부여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버튼과 긴급 정지 버튼을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 정지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에는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부에 지시를 부여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버튼과 긴급 정지 버튼을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 정지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에는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벌룬에의 상기 펌프로부터의 관로에 상기 관로 내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 외부로 개방되는 릴리프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각 벌룬에의 상기 각 펌프로부터의 각 관로에 상기 관로 내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 외부로 개방되는 릴리프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25. 내시경을 삽입 관통시키는 오버코트 튜브의 선단부 외주에 설치한 고정용 벌룬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시간을 검출 하는 시간 검출부와,
    상기 벌룬 내의 기체 압력을 측정해서 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서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한편,상기 시간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역류 방지 기구를 구비해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벌룬용의 탱크를 갖고,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를 통해서 상기 벌룬에 유체를 공급하는 역류 방지용 탱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를 갖고,이 유량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서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검출부에서의 검출 결과가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했을 때에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1의 압력값과 제2의 압력값 사이에서 제어하고,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이 상기 제1의 압력값보다 큰 제2의 압력값을 초과했을 때,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감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벌룬에의 상기 펌프로부터의 관로에 상기 관로 내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 되었을 때 외부에 압력을 해방하는 릴리프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벌룬 내의 기체 압력을 측정해서 이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펌프를 동작시켜서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방법과, 시간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벌룬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방법 중,고장난 제어 방법이 생겨도 나머지의 제어 방법에서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31. 내시경을 삽입 관통시키는 오버코트 튜브의 선단부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의 벌룬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 내의 기체 압력을 측정해 그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서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역류 방지 기구를 구비해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벌룬용의 탱크를 갖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를 통해서 상기 벌룬에 유체를 공급하는 역류 방지용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와,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를 갖고, 상기 유량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 및 상기 시간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서 상기 벌룬에의 송기 또는 흡기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 및 상기 시간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가,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했을 때에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컨트롤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벌룬에의 상기 펌프로부터의 관로에 상기 관로 내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 되었을 때 외부에 압력을 해방하는 릴리프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검출부는, 상기 제어부 내에 설치된 타이머 카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는, 상기 제어부에 지시를 부여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버튼과 긴급 정지 버튼을 갖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 정지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에는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KR1020067019127A 2004-03-19 2005-03-15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KR100840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81655 2004-03-19
JP2004081655 2004-03-19
JP2004329522A JP4756851B2 (ja) 2004-03-19 2004-11-12 内視鏡バルーン制御装置
JPJP-P-2004-00329522 2004-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228A KR20060130228A (ko) 2006-12-18
KR100840050B1 true KR100840050B1 (ko) 2008-06-19

Family

ID=3499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127A KR100840050B1 (ko) 2004-03-19 2005-03-15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38025A1 (ko)
EP (1) EP1726249A4 (ko)
JP (1) JP4756851B2 (ko)
KR (1) KR100840050B1 (ko)
WO (1) WO20050896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4820B2 (ja) 2004-11-04 2006-10-18 フジノン株式会社 内視鏡装置用のバルーン制御装置
JP5019757B2 (ja) * 2006-02-10 2012-09-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バルーン制御装置
CN104887171B (zh) * 2006-05-18 2018-03-20 智能医疗系统有限公司 柔性内窥系统及其功能
JP2008200127A (ja) * 2007-02-16 2008-09-04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医療装置
IL286546B (en) * 2011-03-07 2022-09-01 Smart Medical Systems Ltd Balloon-equipped endoscopic devices and methods thereof
JP5400841B2 (ja) * 2011-08-23 2014-01-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JP6143516B2 (ja) * 2013-03-26 2017-06-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挿入装置
JP6033147B2 (ja) * 2013-03-26 2016-11-3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挿入装置
CN108495582B (zh) 2015-09-03 2020-10-02 海王星医疗公司 用于使内窥镜穿过小肠推进的器械
US10765304B2 (en) * 2015-09-28 2020-09-08 Bio-Medical Engineering (HK) Limited Endoscopi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in vivo procedures
WO2018035452A1 (en) 2016-08-18 2018-02-22 Neptune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enhanced visualization of the small intestine
WO2020018934A1 (en) 2018-07-19 2020-01-23 Nep Tune Medical Inc. Dynamically rigidizing composite medical structures
US11793392B2 (en) 2019-04-17 2023-10-24 Neptune Medical Inc. External working channels
AU2021245989A1 (en) 2020-03-30 2022-10-27 Neptune Medical Inc. Layered walls for rigidizing devices
KR102486929B1 (ko) * 2020-10-29 2023-01-09 김응석 흉부 카테터용 공기 주입 스토퍼
WO2022208737A1 (ja) * 2021-03-31 2022-10-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オーバーチューブ
CN114081421A (zh) * 2021-11-19 2022-02-25 湖南省华芯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插入部、内窥镜及驱动方法
US11937778B2 (en) 2022-04-27 2024-03-26 Neptune Medical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if an endoscope is contaminate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462A (ja) * 2000-06-05 2001-12-11 Hironori Yamamoto 内視鏡挿入補助用バルーン付きチューブ
JP2003144378A (ja) * 2001-11-15 2003-05-20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シース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0488A (en) * 1969-05-12 1971-03-16 Technion Res & Dev Foundation Automatic apparatus for urinary bladder irrigation
US4040413A (en) * 1974-07-18 1977-08-09 Fuji Photo Optical Co. Ltd. Endoscope
US4227407A (en) * 1978-11-30 1980-10-14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Volume flow measurement system
US4445892A (en) * 1982-05-06 1984-05-01 Laserscope, Inc. Dual balloon catheter device
US4924862A (en) * 1987-08-19 1990-05-15 Gary Levinson Pressure controller and leak detector for tracheal tube cuff
JP2984296B2 (ja) * 1990-02-05 1999-11-2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自動挿入装置
US5191878A (en) * 1990-04-12 1993-03-09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device
US5215523A (en) * 1991-05-30 1993-06-01 Eli Williams Balloon catheter inflation syringe with remote display
US5259838A (en) * 1992-06-18 1993-11-09 Merit Medical Systems, Inc. Syringe apparatus with attached pressure gauge and timer
US5342298A (en) * 1992-07-31 1994-08-30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Automated fluid pressure control system
JPH06269392A (ja) * 1993-03-22 1994-09-27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US5460609A (en) * 1993-11-22 1995-10-24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Electromechanical inflation/deflation system
US5599301A (en) * 1993-11-22 1997-02-04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Motor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catheter inflation system
US5749853A (en) * 1995-03-17 1998-05-12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Inflation control system with elapsed time measurement
US5800493A (en) * 1995-04-26 1998-09-01 Gynecare, Inc. Intrauterine ablation system
WO1997022373A1 (fr) * 1995-12-18 1997-06-26 Nippon Zeon Co., Ltd. Mecanisme d'entrainement pour equipement medical
US5891134A (en) * 1996-09-24 1999-04-06 Goble; Coli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thermal energy to tissue
US6402744B2 (en) * 1998-02-19 2002-06-11 Curon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composite lesions to treat dysfunction in sphincters and adjoining tissue regions
US6179815B1 (en) * 1998-07-21 2001-01-30 Merit Medical Systems, Inc. Low compliance inflation/deflation system
US6585639B1 (en) * 2000-10-27 2003-07-01 Pulmonx Sheath and method for reconfiguring lung viewing scope
JP2002301019A (ja) * 2001-04-09 2002-10-15 Hironori Yamamoto 内視鏡装置
JP4632577B2 (ja) * 2001-05-30 2011-02-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計測内視鏡装置
US20030060813A1 (en) * 2001-09-22 2003-03-27 Loeb Marvin P. Devices and methods for safely shrinking tissues surrounding a duct, hollow organ or body cavity
JP2003204920A (ja) * 2002-01-11 2003-07-22 Olympus Optical Co Ltd 挿入補助具
US7641668B2 (en) * 2003-05-16 2010-01-05 Scimed Life Systems, Inc. Fluid delivery system and related methods of use
WO2005089625A1 (ja) * 2004-03-19 2005-09-29 Olympus Corporation 内視鏡バルーン制御装置及び内視鏡バルーン制御装置の異常判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462A (ja) * 2000-06-05 2001-12-11 Hironori Yamamoto 内視鏡挿入補助用バルーン付きチューブ
JP2003144378A (ja) * 2001-11-15 2003-05-20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シ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96619A (ja) 2005-10-27
EP1726249A1 (en) 2006-11-29
US20070038025A1 (en) 2007-02-15
JP4756851B2 (ja) 2011-08-24
EP1726249A4 (en) 2014-11-12
KR20060130228A (ko) 2006-12-18
WO2005089626A1 (ja)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050B1 (ko)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JP4409340B2 (ja) 内視鏡バルーン制御装置
KR100840051B1 (ko)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및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판정 방법
JP4481692B2 (ja) 内視鏡バルーン制御装置
JP5242733B2 (ja) 内視鏡バルーン制御装置
EP1582141B1 (en) Balloon control apparatus
US20060095063A1 (en) Balloon controller for endoscopic apparatus
US7585276B2 (en) Endoscop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endoscope
JP5019757B2 (ja) バルーン制御装置
US8012084B2 (en) Endoscop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070163585A1 (en) Method for accessing abdominal cavity and medical procedure via natural orifice
EP1902661B1 (en) Endoscope device
JP2008035908A (ja) 内視鏡用挿入補助具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JP2005287839A (ja) 送気装置及び腹腔鏡下外科手術システム
EP3111868A1 (en) Medical device, medical system, and mode transi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JP2003010105A (ja) 内視鏡装置
KR100848771B1 (ko)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JP5400841B2 (ja) 内視鏡システム
WO2016009709A1 (ja) 内視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