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051B1 -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및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판정 방법 - Google Patents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및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051B1
KR100840051B1 KR1020067019128A KR20067019128A KR100840051B1 KR 100840051 B1 KR100840051 B1 KR 100840051B1 KR 1020067019128 A KR1020067019128 A KR 1020067019128A KR 20067019128 A KR20067019128 A KR 20067019128A KR 100840051 B1 KR100840051 B1 KR 100840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pump
flow rate
endosco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0229A (ko
Inventor
다까또시 요시다
스미히로 우찌무라
아끼라 다니구찌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816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16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15847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8285B2/ja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2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의 외주부에 설치된 고정용 벌룬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 내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펌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를 갖고, 이 유량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상기 펌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제어한다.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내시경 삽입부, 유량 검출부, 펌프, 리모트 컨트롤러

Description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및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 판정 방법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ABNORMALITY OF EN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 외주부에 설치된 벌룬 및 오버 튜브의 삽입부 선단부 외주부에 설치된 벌룬에 대한 송기 유량의 조정 제어가 가능한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및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 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관 검사에 있어서는 내시경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내시경의 검사에 있어서, 내시경의 삽입부를 심부 소화관, 예를 들어 소장으로 삽입하는 경우, 단순히 상기 삽입부를 압압하는 것만으로는 복잡한 장관의 굴곡때문에 상기 삽입부 선단부로 힘이 전해지기 어려워, 심부로의 삽입은 곤란하다.
예를 들어, 상기 내시경은 심부 삽입에 의해 생긴 상기 내시경의 여분인 굴곡이나 휨을 늘리고자 하여 다시 당기면, 상기 삽입부 선단부도 빠지기 때문에, 굴곡이나 휨이 취해지지 않아, 심부 삽입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상기 내시경의 상기 삽입부 선단부 외주부에 벌룬을 설치하고, 이 벌룬을 팽창시켜 상기 장관에 일시 고정함으로써, 상기 내시경에 생긴 여분의 굴곡이나 휨을 늘릴 때에 상기 삽입부의 선단부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내시경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내시경의 상기 삽입부를 삽입 관통하는 오버 튜브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오버 튜브의 선단부 외주부에 벌룬을 설치하고, 이 벌룬과 상기 내시경의 벌룬을 적절하게 팽창시키거나, 오므라들도록 하여 상기 내시경 장치에 대해 수술 성능의 향상을 도모한 내시경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01019호 공보에는 상기 내시경의 상기 벌룬과 상기 오버 튜브의 상기 벌룬에 대해, 제어 수단으로 각 벌룬 내의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각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면서 펌프 장치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 내시경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제 2001-340462호 공보에 개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의 선단부에 설치된 내시경 선단부 벌룬과, 내시경에 설치된 튜브 본체와, 튜브 본체의 선단부에 설치된 튜브 선단부 벌룬을 구비한 내시경 삽입 보조용 벌룬이 부착된 튜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은 모두 내시경 및 내시경에 설치하는 튜브에 각각 1개씩 벌룬이 설치되어 있고, 이 벌룬에 의해 내시경의 생체로의 삽입성 및 내시경의 생체 내에서의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내시경 장치 및 내시경 삽입 보조용 벌룬이 부착된 튜브는 상기 내시경의 벌룬과 상기 오버 튜브의 벌룬과의 재질이 다른 경우나, 벌룬의 교환마다 재질이 다른 경우에는 동일한 유량이라도 벌룬이 팽창되는 방법이 달라진다. 그로 인해, 벌룬의 재질 및 종류가 달라도 일정한 부풀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 벌룬에 대한 송기 유량을 벌룬의 재질에 따라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벌룬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고, 다양한 용량을 갖는 것이 있고, 처치의 내용, 처치에 이용되는 내시경의 종류 및 생체의 개체 차 등에 의해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생체에 대해 처치를 행하는 현장에 있어서는 벌룬의 교환을 몇 번이나 행하이면서 처치를 행하는 경우도 고려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종래예는 벌룬의 교환마다 교환용 벌룬에 대해 생체 내에 있어서의 고정 불량이 일어날 가능성을 시술자 및 시술자의 보조자 등이 생체 외에서 확인할 필요가 생기고, 결과적으로 생체에 대한 처치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내시경의 벌룬과 오버 튜브의 벌룬에 대한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벌룬의 재질 및 종류가 달라도 일정한 부풀기를 유지할 수 있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벌룬에 대한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제어할 때에 벌룬 관로의 이상을 간편하고 또한 자동적으로 판정할 수 있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및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 판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는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의 외주부에 설치된 고정용 벌룬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 내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를 갖고, 이 유량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송기 또는 흡기를 위한 동작 시간을 소정 시간 내에서 가변 가능하게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는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의 외주부에 설치된 고정용 벌룬에 접속되는 관로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 또는 상기 관로의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상기 펌프의 상기 관로에 대한 송기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부와,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와,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와, 상기 압력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와 상기 유량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 및 상기 시간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제어하여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것이며, 상기 유량 조정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관로로의 송기 유량을 변화시켜 상기 관로에 기체를 공급하고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및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관로의 제1 내압치 및 제2 내압치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내압치와 상기 제2 내압치의 차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넘을 경우에는 상기 벌룬이 이상한 것을 판정하는 이상 판정부를 갖는 제어부와, 상기 이상 판정부의 판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관로의 이상을 통지하는 이상 상태 통지부를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 판정 방법은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의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 벌룬에 접속되는 관로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 또는 상기 관로의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상기 펌프의 상기 관로에 대한 송기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부를 구비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 판정 방법이며, 상기 펌프 및 상기 유량 조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펌프의 상기 관로로의 송기 유량을 최소 송기 유량으로 변화시키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의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관로의 내압의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치를 넘은 경우, 상기 펌프 또는 상기 관로가 이상한 것을 판정하는 제2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의 판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펌프와 상기 관로 중 적어도 한쪽이 이상한 것을 통지하는 제3 스텝을 갖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적용한 내시경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2는 도1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3은 도2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도2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5는 각 벌룬을 오므라들도록 하여 내시경을 오버 튜브에 삽입 관통하여 장 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6은 오버 튜브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관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7은 도6의 상태로부터 내시경을 오버 튜브에 더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8은 도7의 상태에서 내시경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벽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9는 도8의 상태에서 오버 튜브의 벌룬을 오므라들도록 하여 오버 튜브를 더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0은 도9의 상태로부터 오버 튜브의 선단부가 내시경 선단부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1은 도10의 상태에서 오버 튜브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벽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2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부의 메인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3은 도12의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14는 도13의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15는 도13의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17은 도16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18은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제어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19는 도18의 펌프의 최소 유량 설정에 있어서 이상 조정 종료 통지라 판정되는 경우의 내시경용 벌룬 또는 오버 튜브용 벌룬의 내압과 송기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20은 도18의 펌프의 최대 유량 설정에 있어서 이상 조정 종료 통지라 판정되는 경우의 내시경용 벌룬 또는 오버 튜브용 벌룬의 내압과 송기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21은 도18의 펌프의 유량 설정을 최소 유량 설정으로부터 최대 유량 설정으로 변화시켜도 이상이 확인되지 않았던 경우의 내시경용 벌룬 또는 오버 튜브용 벌룬의 내압과 송기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22는 도18의 펌프의 유량 설정을 조정 후 유량 설정으로 한 후에 내시경용 벌룬 또는 오버 튜브용 벌룬의 내압을 대략 평형 상태가 되는 소정의 내압치로 하여 관로의 내압의 변화를 확인하는 경우의 내시경용 벌룬 또는 오버 튜브용 벌룬의 내압과 송기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23은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행하는 검사에 있어서, 내시경용 벌룬 및 오버 튜브용 벌룬의 대용이 되는 검사용 지그와, 조정 프로세서를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에 설치하여 검사를 행할 때의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서술한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적용한 내시경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를 갖는 내시경 시스템(1)은, 내시경(2), 오버 튜브(3), 광원 장치(4), 비디오 프로세서(5), 모니터(6),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 리모트 컨트롤러(8)를 갖고 있다.
상기 내시경(2)은, 예를 들어 소화관내 내시경 검사에 이용되는 것으로, 체강 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2B)와, 이 삽입부(2B)의 기단부측에 설치된 조작부(2A)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2B)의 선단부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명 광학계 및 촬상 소자인 CCD를 포함하는 관찰 광학계가 설치되어 있고, 피검체의 소화관 내의 관찰 부위를 조명하여 피검체의 소화관 내의 관찰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작부(2A)에는 유니버설 코드(2C)이 연장되어 있다. 이 유니버설 코드(2C)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신호선 및 라이트 가이드 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유니버설 코드(2C)의 기단부는 상기 광원 장치(4)의 커넥터(4a),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의 커넥터(5a)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조명 광학계에는 상기 유니버설 코드(2C) 내의 라이트 가이드 케이블을 거쳐서 광원 장치(4)로부터의 조명광이 공급되어 관찰 부위를 조명하고, 상기 CCD로부터 출력되는 소화관 내의 촬상 신호를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내시경(2)은 수술 시, 상기 오버 튜브(3)에 삽입 관통되어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오버 튜브(3)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광원 장치(4)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 케이블 내의 라이트 가이드(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상기 내시경(2)에 설치된 조명 광학계에 대해 조명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 장치이다.
상기 광원 장치(4)는 외부에 커넥터(4a)를 갖고, 커넥터(4a)는 내시경(2)의 유니버설 코드(2C)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는 유니버설 코드(2C)로부터 분기된 접속 케이블과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는 상기 내시경(2)의 상기 CCD로부터의 촬상 신호로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촬상 신호를 기초로 하는 화상 데이터(예를 들어, 내시경 라이브 화상 데이터)를 모니터(6)에 공급한다.
상기 모니터(6)는 접속 케이블(5A)에 의해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6)는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5)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내시경 화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의 내시경 시스템(1)에서는,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의 선단부 외주부에는 고정용 내시경용 벌룬(9)[이하, 벌룬(9)이라 칭함]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벌룬(9)에는 상기 삽입부(2B)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에 걸쳐서 상기 삽입부(2B)를 따라서 설치한 공기 공급 튜브(10)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기 공급 튜브(10)의 상기 조작부(2A)측 기단부는 상기 조작부(2A)의 하부에 설치된 커넥터(2a)에 접속되어 있다. 이 커넥터(2a)에는 일단부를 후술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접속된 내시경 벌룬 송기용 튜브(이하, 제1 송기용 튜브라 칭함)(13)의 타단부에 설치된 커넥터(13A)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1 송기용 튜브(13)는 일단부에 커넥터(13A)를 갖고, 타단부에 커넥터(13B)를 갖는다. 이 제1 송기용 튜브(13)의 타단부의 커넥터(13B)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커넥터(7A)에 접속된다.
또한, 커넥터(13B)와 커넥터(7A)의 접속에 의해 제1 송기용 튜브(13)의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커넥터(2a)와 커넥터(13A)의 접속에 의해 공기 공급 튜브(10)와 제1 송기용 튜브(13)의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로부터의 송기에 의해 상기 벌룬(9) 내를 팽창시켜 장관 등의 소화관에 일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오버 튜브(3)는 상기 내시경(2)을 삽입 관통시켜 상기 삽입부(2B)를, 예를 들어 소화관에 삽입할 때의 가이드를 행하는 것으로, 상기 내시경의 상기 삽입부(2B)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갖고 있다. 또한, 이 오버 튜브(3)는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와 마찬가지로 가요성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오버 튜브(3)의 선단부 외주부에는 튜브 고정용 오버 튜브용 벌룬(11)[이하, 벌룬(11)이라 칭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벌룬(11)에는 상기 오버 튜브(3)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에 걸쳐서 설치된 공기 공급 튜브(12)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기 공급 튜브(12)의 상기 벌룬(11)과는 역측의 기단부[상기 오버 튜브(3)의 내시경(2)을 삽입하는 삽입구측]는 상기 오버 튜브(3)의 상기 삽입구 근방에 설치된 커넥터(3a)에 접속되어 있다. 이 커넥터(3a)에는 일단부를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접속된 오버 튜브 벌룬 송기용 튜브(이하, 제2 송기용 튜브라 칭함)(14)의 타단부에 설치된 커넥터(14A)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2 송기용 튜브(14)는 일단부에 커넥터(14A)를 갖고, 타단부에 커넥터(14B)을 갖는다. 이 제2 송기용 튜브(14)의 타단부의 커넥터(14B)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커넥터(7B)에 접속된다.
또한, 커넥터(14B)와 커넥터(7B)의 접속에 의해 제2 송기용 튜브(14)의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커넥터(3a)와 커넥터(14A)의 접속에 의해 공기 공급 튜브(12)와 제2 송기용 튜브(14)의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로부터의 송기에 의해 상기 벌룬(11) 내를 팽창시켜 장관 등의 소화관에 일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 및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의 송기 유량 등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2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역류 방지용 탱크(15)가 설치되고, 전방면에는 압력 표시기(16), 전원 스위치(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역류 방지용 탱크(15)는 액체의 역류를 방지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용 탱크(15A)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용 탱크(15B)를 갖고 있다. 이들 탱크(15A, 15B)에는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 제2 송기용 튜브(13, 14)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탱크(15A, 15B)는 각각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제어에 의해 후술하는 제1, 제2 펌프(32a, 32b)(도4 참조)를 거쳐서 내부의 압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제2 송기용 튜브(13, 14)를 거쳐서 각 벌룬(9, 11)으로 송기한다. 이 경우, 상기 탱크(15A, 15B)는 도시는 하지 않은 역류 방지 기구에 의해 상기 제1, 제2 송기용 튜브(13, 14)로부터의 액체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에 접속되는 공기 공급 튜브(10), 제1 송기용 튜브(13), 상기 탱크(15B)를 경유하는 송기 관로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에 접속되는 공기 공급 튜브(12), 제2 송기용 튜브(14), 상기 탱크(15A)를 경유하는 송기 관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력 표시기(16)는 검출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벌룬(9, 11)에 접속되어 있는 관로의 압력치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압력 표시기(16)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용 표시기(16A)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용 표시기(16B)를 갖고 있다.
상기 표시기(16A)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용 관로 내의 압력치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기(16B)는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용 관로 내의 압력치를 표시 한다.
상기 전원 스위치(17)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전원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절환하는 스위치이다.
또한,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한면에는 접속 케이블(8A)을 거쳐서 리모트 컨트롤러(8)가 접속되어 있다. 이 리모트 컨트롤러(8)는, 상기 접속 케이블(8A)을 거쳐서 후술하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수술 중 시술자에 의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 벌룬(9, 11)의 압력 제어 및 송기량 제어를 위한 조작 신호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도3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는 시술자가 조작하기 쉽도록, 예를 들어 내시경측 벌룬 제어용 각종 버튼과 오버 튜브측 벌룬 제어용 각종 버튼이 리모트 컨트롤러 본체의 좌우로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좌측에는 상기 내시경측 벌룬 제어용 조작 버튼으로서, 개방 버튼(18a), 송기 개시 버튼(19a), 흡기 개시 버튼(20a), 정지 버튼(21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우측에는 상기 오버 튜브측 벌룬 제어용 조작 버튼으로서, 개방 버튼(18b), 송기 개시 버튼(19b), 흡기 개시 버튼(20b), 정지 버튼(21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하부에는 전원 버튼(22), 긴급 정지 버튼(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방 버튼(18a)은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의 관로 내의 공기 개방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기 송기 개시 버튼(19a)은 상기 내시경(2)의 벌룬(9) 내로의 송기 개시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상기 흡기 개시 버튼(20a)은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으로부터의 흡기 개시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또한, 상기 정지 버튼(21a)은 상기 송기 개시 버튼(19a)에 의한 송기 동작이나, 상기 흡기 개시 버튼(20a)에 의한 흡기 동작을 정지시키는 지시를 행하는 버튼이고, 이 정지 버튼(21a)을 누름으로써 상기 벌룬(9) 내의 공기압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개방 버튼(18b)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의 관로 내의 공기 개방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기 송기 개시 버튼(19b)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 내로의 송기 개시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상기 흡기 개시 버튼(20b)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으로부터의 흡기 개시를 지시하는 버튼이다. 또한, 상기 정지 버튼(21b)은 상기 송기 개시 버튼(19b)에 의한 송기 동작이나, 상기 흡기 개시 버튼(20b)에 의한 흡기 동작을 정지시키는 지시를 행하는 버튼이고, 이 정지 버튼(21b)을 누름으로써 상기 벌룬(11) 내나 관로 내의 공기압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버튼(22)은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전원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절환하는 버튼이다.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은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후술하는 제1 내지 제3 브레이커(31a 내지 31c)를 직접적으로 오프하여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의한 각 벌룬(9, 11)의 송기 제어 등을 긴급 정지하기 위한 버튼이다.
다음에,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내부 구성에 대해 도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4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스위칭 전원부(30), 제1 내지 제3 브레이커(31a 내지 31c), 제1, 제2 펌프(32a, 32b),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 관로 절환부(33), 제1, 제2 압력 센서(34a, 34b) 및 상기 이상 판정부를 갖는 제어부(제어 유닛)(35)를 갖고 있다.
상기 스위칭 전원부(30)에는 도시하지 않은 접속 코드를 거쳐서 외부의 상용 전원부로부터 교류 전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 전원부(30)는 공급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브레이커(31a 내지 31c), 제1, 제2 압력 센서(34a, 34b), 제어부(35)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에 공급한다.
상기 제1 브레이커(31a)는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긴급 정지 버튼(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브레이커(31a)는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있고,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으로부터 조작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로의 직류 전원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 브레이커(31b)은,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 러(8)의 긴급 정지 버튼(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 브레이커(31b)는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있고,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으로부터 조작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는 상기 관로 절환부(33)로의 직류 전원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3 브레이커(31c)는 상기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 및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긴급 정지 버튼(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3 브레이커(31c)는 상기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있고,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으로부터 조작 신호가 공급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로의 직류 전원의 공급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는 상기 관로 절환부(33)의 입력측에 각각 공기 라인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는 상기 제어부(35)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구동 제어되도록 되어 있고, 예를 들어 상기 공기 라인을 거쳐서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대해 기체인 공기를 송기하거나, 또는 반대로 상기 공기 라인을 거쳐서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대해 공기를 흡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관로 절환부(33)의 출력측에는 상기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가 각각 공기 라인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는 상기 제어부(35)에 의해 개폐 조정 가능한 밸브이고, 상기 제어부(35)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출력하는 공기의 유량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는 각각 송기 라인을 거쳐서 제1, 제2 압력 센서(34a, 34b)에 소정 범위 내에서 조정된 유량의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제1, 제2 압력 센서(34a, 34b)는 상기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계측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압력 센서(34a, 34b)에 의한 계측 결과를 상기 제어부(35)에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35)는 각각 공급된 계측 결과를 기초로 원하는 공기압이 되도록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를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제1, 제2 압력 센서(34a, 34b)의 출력은 각각 송기 라인, 커넥터(7A, 7B, 13B, 14B)를 거쳐서 상기 제1, 제2 송기용 튜브(13, 14)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제1 펌프(32a), 상기 관로 절환부(33)를 거쳐서 제1 유량 조정 밸브(32c), 제1 압력 센서(34a)로 구성되는 송기 관로와, 상기 제2 펌프(32b), 상기 관로 절환부(33)를 거쳐서 제2 유량 조정 밸브(32d), 제2 압력 센서(34b)로 구성되는 송기 관로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관로 절환부(33)는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 내의 실행 모드에 따른 관로 상태가 되도록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관로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상기 실행 모드로서는 송기 모드, 흡기 모드, 보유 지지 모드, 개방 모드의 4개의 실행 모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관로 절환부(33)는 상기 4개의 모드에 따른 상태, 즉 송기 상태, 흡기 상태, 보유 지지 상태, 개방 상태가 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내부 관로를 절환할 수 있고, 이 절환은 상기 제어부(35)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후단부측에 접속된 상기 내시경(2)의 벌룬(9)측의 관로와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측의 관로를 각각 원하는 실행 모드를 기초로 하는 관로 상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5)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내시경(2)의 벌룬(9) 및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으로의 송기 유량을 카운트하는 상기 유량 검출부인 유량 카운터와, 상기 각 벌룬(9, 11)의 각 송기 시간이나 흡기 시간 등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카운터나 소정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와, 후술하는 메인 프로그램이나 각종 모듈을 기초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기초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유량 카운터 및 타이머 카운터를 이용하면서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내시경(2)의 벌룬(9)과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으로의 송기 시간이나 흡기 시간, 송기 유량 시간 등을 계측할 수 있고, 이들의 계측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내시경(2)의 벌룬(9)과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에 대한 송기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내시경 시스템(1)의 기본적인 조작 상태에 대해 도5 내지 도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5 내지 도11은 상기 내시경의 벌룬과 상기 오버 튜브의 벌룬을 이용하여 내시경 및 오버 튜브의 조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5는 각 벌룬을 오므라들도록 하여 내시경을 오버 튜브에 삽입 관통하여 장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6은 오버 튜브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관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7은 도6의 상태로부터 내시경을 오버 튜브에 더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8은 도7의 상태에서 내시경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벽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9는 도8의 상태에서 오버 튜브의 벌룬을 오므라들도록 하여 오버 튜브를 더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10은 도9의 상태로부터 오버 튜브의 선단부가 내시경 선단부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11은 도10의 상태에서 오버 튜브의 벌룬을 팽창시켜 장벽에 고정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는 오버 튜브(3) 내에 내시경(2)을 삽입 관통시킨다. 이 경우, 상기 내시경(2)의 벌룬(9) 및 상기 오버 튜브(3)의 벌룬(11)은 각각 내부의 공기를 빼고 오므라들게 한 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시술자는 피험자에 대한 내시경(2)의 삽입을 개시한다.
다음에, 시술자는 내시경(2) 및 오버 튜브(3)의 선단부를, 예를 들어 십이지장 하행각(下行脚)까지 삽입한 후,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8)의 오버 튜브측의 송기 개시 버튼(19b)(도3 참조)을 눌러 상기 제2 펌프(32b)로부터 상기 오버 튜브(3)의 선단부에 설치한 본체 고정용 상기 벌룬(11)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이 벌룬(11)을 팽창시켜 상기 오버 튜브(3)를 장관(40)에 고정한다.
다음에, 시술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버 튜브(3)를 장관(40)에 대해 보유 지지하고,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만 심부에 삽입시켜 간다.
그리고, 시술자는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를 소정 거리 삽입한 상 태에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8)의 내시경측의 송기 개시 버튼(19a)(도3 참조)을 눌러 상기 제1 펌프(32a)로부터 내시경(2)의 선단부에 설치한 본체 고정용 벌룬(9) 내로 공기를 공급하고, 이 벌룬(9)을 팽창시켜 장벽(41)에 고정한다.
또한, 환자에 따라서는 상기 장관(40)이 좁은 경우가 고려되지만, 시술자는 상기 정지 버튼(21a, 21b)을 누르면, 각 벌룬(9, 11)으로의 공기 공급이 정지됨으로써 상기 장관(40)의 크기에 따라서 가장 적절하게 각 벌룬(9, 11)을 팽창시켜 장관(40)에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시술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오버 튜브측의 개방 버튼(18b) 또는 흡기 개시 버튼(20b)(도3 참조)을 누르고,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의해 상기 벌룬(11) 내의 공기를 개방하거나, 혹은 상기 제2 펌프(32b)로부터 상기 오버 튜브(3)의 상기 벌룬(11) 내의 공기를 흡기하고, 상기 벌룬(11)을 오므라들게 한다(도9 참조).
계속해서, 시술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버 튜브(3)를 상기 내시경(2)에 따르도록 하여 심부에 삽입해 가고,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의 선단부 근처까지 상기 오버 튜브(3)의 선단부를 삽입한다.
그리고, 시술자는 상기 오버 튜브(3)의 선단부를 상기 삽입부(2B)의 선단부 근처까지 삽입한 상태에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오버 튜브측의 송기 개시 버튼(19b)(도3 참조)을 눌러 상기 제2 펌프(32b)로부터 상기 오버 튜브(3)의 상기 벌룬(11)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이 벌룬(11)을 팽창시켜 상기 오버 튜브(3)를 장벽(41)에 고정한다.
또한, 시술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의 내시경측의 개방 버튼(18a) 또는 흡기 개시 버튼(20a)(도3 참조)을 눌러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의해 상기 벌룬(9) 내의 공기를 개방하거나, 혹은 상기 제1 펌프(32a)로부터 상기 내시경(2)의 상기 벌룬(9) 내의 공기를 흡기하고, 상기 벌룬(9)을 오므라들도록 하여 상기 삽입부(2B)를 심부에 더 삽입시킨다.
이상과 같은 도5 내지 도11의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내시경(2) 및 상기 오버 튜브(3)의 심부 삽입을 진행시켜 가게 되고, 상기 내시경(2)의 상기 삽입부(2B)를 원하는 위치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12 내지 도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2 내지 도15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12는 제어부의 메인 프로그램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13은 도12의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14는 도13의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15는 도13의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지금, 시술자가 도1의 내시경 시스템(1)을 이용하여 소화관 내 내시경 검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시술자가 도3에 도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8)의 전원 버튼(22)[혹은 도2에 도시하는 전원 스위치(17)]을 누르면, 제어부(35)는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기억부에서 도12에 도시하는 메인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기동시 킨다.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1의 처리에서 전원의 온 상태를 확인하면, 스텝 S2의 처리에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 내의 각종 기기 등의 초기화를 행한다. 이 초기화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제1, 제2 펌프(32a, 32b)를 시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관로 절환부(33)에 의해 관로 개방 상태가 되도록 초기화를 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제어부(35) 내의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유량 카운터나 타이머 카운트 등의 리셋를 행하여 초기화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계속되는 스텝 S3의 판단 처리에서 20 msec 타이머 인터럽트를 판단하여, 있었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4로 이행하고, 없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계속해서 이 판단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타이머는 도12에 도시하는 처리 루틴을 20 msec마다 동작시키기 위해 2O msec를 계측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의 20 msec마다 1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10과 동등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등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5의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 카운터 및 상기 유량 카운터를 리셋하고, 처리를 스텝 S6으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카운터값이 10과 동등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처리를 스텝 S6으로 이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12에 도시하는 처리 루틴을 10회, 즉 200 msec의 시간 단위로 상기 시술자의 제어기(8)에 의한 각종 버튼 조작에 따른 벌룬 제어를 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6, 스텝 S7의 처리에서 후술하는 제1 펌프, 제2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의 완료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8의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 카운터에 의한 카운터값에 1을 더한 후, 처리를 상기 스텝 S3의 판단 처리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상기 스텝 S6에 의한 상기 제1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의 처리 루틴에 대해 도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스텝 S6의 처리를 실행하면 도13에 도시하는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의 처리 루틴을 기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11의 판단 처리에서 리모트 컨트롤러(8)의 긴급 정지 버튼(23)이 눌렸는지 여부에 따라서 경고의 유무를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35)는 경고 플래그의 온/오프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판단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경고 플래그는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의 누름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문제점이 생기면 경고 상태가 되고, 상기 제어부(35)에 의해 온이 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경고 플래그가 온으로 되어 있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이 눌려진 것 등에 의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가 경고 상태라고 판단하고, 현상의 경고 처리를 유지하기 위해 스텝 S20의 처리에서 상기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하고, 도12 의 스텝 S7의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1의 판단 처리에서 경고 플래그가 오프라고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긴급 정지 버튼(23)이 눌려있지 않아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가 경고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스텝 S12의 판단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12의 판단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도3에 도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8)의 개방 버튼(18a)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눌려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4로 이행한다. 한편, 눌렸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13의 처리에서 상기 개방 버튼(18a)에 대응하는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 후, 상기 스텝 S20으로 이행하고, 상기 제1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스텝 S14의 판단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도3에 도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8)의 정지 버튼(21a)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눌려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이행한다. 한편, 눌렸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15의 처리에서 관로를 폐쇄(관로 보유 지지 상태)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정지 버튼(21a)에 대응하는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 상기 스텝 S20으로 이행하고, 상기 제1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스텝 S16의 판단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도3에 도시하는 리모트 컨 트롤러(8)의 흡기 개시 버튼(20a)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눌려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8로 이행한다. 한편, 눌렸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17의 처리에서 후술하는 도15에 도시하는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기동시키고, 상기 흡기 개시 버튼(20a)에 대응하는 흡기 제어를 행한 후, 상기 스텝 S20으로 이행하고, 상기 제1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스텝 S18의 판단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도3에 도시하는 리모트 컨트롤러(8)의 송기 개시 버튼(19a)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눌려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스텝 S20으로 이행한다. 한편, 눌렸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19의 처리에서 후술하는 도14에 도시하는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기동시키고, 상기 송기 개시 버튼(19a)에 대응하는 송기 제어를 행한 후, 상기 스텝 S20으로 이행하고, 상기 제1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다음에, 상기 스텝 S19에 의한 상기 송기 모듈의 처리 루틴에 대해 도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5)에는 미리 상기 제1, 제2 센서(34a, 34b)로부터의 압력 측정 결과와 비교를 행하기 위한 압력 최대치 및 압력 상한치가 미리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상한치와 상기 압력 최대치는 상기 압력 상한치 < 상기 압력 최대치가 되는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력 최대치는 상기 각 벌룬(9, 11)이 팽창되어 위험한 상태가 되는 것에 상당하는 압력치이고, 상기 압력 상한치는 상기 각 벌룬(9, 11)이 팽창되어 장관에 고정하는 것에 상당하는 압력치를 의미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스텝 S19의 처리를 실행하면 도14에 도시하는 송기 모듈의 처리 루틴을 기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21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34a)로부터의 측정 결과(예를 들어, 압력 아날로그값)와 미리 설정된 압력 최대치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압력 최대치보다도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2로 이행하고, 반대로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9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29의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30의 처리에서 상기 경고 플래그를 온으로 한 후, 스텝 S37로 이행하고, 상기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상기 스텝 S22의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내부의 타이머에 의해 송기 시간을 계측한 계측 결과(송기 시간)와 미리 설정된 최대 송기 시간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송기 시간이 상기 최대 송기 시간보다도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3으로 이행하고, 반대로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31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31의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스텝 S29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관로 절 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다. 그 후에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스텝 S30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스텝 S32의 처리에서 상기 경고 플래그를 온으로 한 후, 스텝 S37로 이행하고, 상기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23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의 20 msec마다 1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1과 동등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등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33의 처리에서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34의 처리에서 상기 제1, 제2 압력 센서(34a, 34b)에 의한 압력 측정을 행하여 측정 압력치를 취득한 후, 스텝 S24로 이행한다.
또한, 상기 스텝 S23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 카운터의 카운터값이(1)로 같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스텝 S24에 이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24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34a)에 의한 압력 측정을 행하여 측정 압력치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측정 압력치(상기 스텝 S33, 34의 루프를 경유한 경우에는 상기 스텝 S34에서 얻게 된 측정 압력치)와 미리 설정된 압력 상한치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압력 상한치보다도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5에 이행하고, 반대로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35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35의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 키는 동시에, 관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 후, 상기 스텝 S37로 이행하고, 상기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다음에,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25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유량 카운터값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송기량(송기 유량)과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유량 카운터값이 상기 소정의 송기량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36의 처리에서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 후, 스텝 S37로 이행하고, 상기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또한, 상기 유량 카운터값이라 함은, 200 msec(20 msec × 10)에서 어느 정도의 송기량을 송기할 수 있는지 결정하기 위한 변수이고,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 카운터값 0 내지 9에 따른 0 내지 9까지의 설정이 가능하다. 실제로는, 상기 유량 카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유량 카운터값을 20 msec마다 카운트하고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송기량이라 함은,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20 msec마다 송기 가능한 대강의 송기량(송기 유량)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스텝 S25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유량 카운터값이 상기 소정의 송기량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27의 처리에서 송기 개시 버튼(19a, 19b)을 기초로 하는 송기 관로를 설정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를 제어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27의 처리에서 상기 유량 카운터값에 1을 더하고, 계속되는 스텝 S28의 처리에서 상기 송기 시간에 1을 더하여 상기 스텝 S37로 이행하고, 상기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상기 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35)는 도13에 도시하는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완료한 것으로서, 도12에 도시하는 스텝 S7의 제2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고, 이후, 도12에 도시하는 처리 루틴에 따라서 반복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2 펌프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의 동작 및 펌프, 스위치, 제어 대상이 변경될 뿐이므로 생략한다.
다음에, 도13에 도시하는 상기 스텝 S17에 의한 상기 흡기 모듈의 처리 루틴에 대해 도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스텝 S17의 처리를 실행하면 도15에 도시하는 흡기 모듈의 처리 루틴을 기동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0의 판단 처리에서 내부의 타이머에 의해 흡기 시간을 계측한 계측 결과(흡기 시간)와 미리 설정된 최대 흡기 시간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흡기 시간이 상기 최대 흡기 시간보다도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41로 이행하고, 반대로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47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41의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8의 처리에서 상기 경고 플래그를 온으로 한 후, 스텝 S53으로 이행하고, 상기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 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1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의 20 msec마다 1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1과 동등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등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49의 처리에서 제1 펌프(32a)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50의 처리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34a)에 의한 압력 측정을 행하여 측정 압력치를 취득한 후, 스텝 S42로 이행한다.
또한, 상기 스텝 S41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타이머 카운터의 카운터값이 1과 동등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스텝 S42로 이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2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34a)에 의한 압력 측정을 행하여 측정 압력치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측정 압력치(상기 스텝 S49, 50의 루프를 경유한 경우에는 상기 스텝 S50에서 얻게 된 측정 압력치)와 미리 설정된 압력 하한치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압력 하한치보다도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51로 이행하고, 반대로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43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51의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부(35)는 제1, 제2 펌프(32a, 32b)에 의해 흡기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를 제어한 후, 상기 스텝 S53으로 이행하고, 상기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다음에,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3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유량 카운터값과 미리 설정된 소정의 흡기량(흡기 유량)의 비교를 행하여, 상기 유량 카운터값이 상기 소정의 흡기량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52의 처리에서 제1 펌프(32a)의 흡기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관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 및 제1 유량 조정 밸브(32c)를 제어한 후, 상기 스텝 S54로 이행하고, 상기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또한, 상기 소정의 흡기량이라 함은,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20 msec마다 흡기 가능한 대강의 흡기량(흡기 유량)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스텝 S43의 판단 처리에서 상기 유량 카운터값이 상기 소정의 흡기량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4의 처리에서 흡기 개시 버튼(20a)을 기초로 하는 흡기 관로를 설정하도록 상기 관로 절환부(33)를 제어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45의 처리에서 상기 유량 카운터값에 1을 더하고, 계속되는 스텝 S46의 처리에서 상기 흡기 시간에 1을 더하여 상기 스텝 S53으로 이행하고, 상기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을 종료시킨다.
상기 흡기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 루틴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35)는 도13에 도시하는 스위치 상태 확인 모듈을 기초로 처리 루틴을 완료한 것으로서, 도12에 도시하는 스텝 S7의 제1 펌프 제어 모듈을 기초로 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고, 이후, 도12에 도시하는 처리 루틴을 따라서 반복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각 벌룬(9, 11)에 대한 송기 유량 및 흡기 유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 양한 재질의 벌룬이나 다양한 부위에 적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송기용 튜브(13, 14) 등의 관로가 어긋난 경우에 생기는 연속된 송기 동작 또는 흡기 동작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최대 송기 시간, 최대 흡기 시간, 최대 송기압 및 최대 흡기압을 초과한 것을 검출하여 관로를 개방하도록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장벽에 대해 많은 힘을 가하지 않고 손 기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8)를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접속한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시술자의 손잡이인 상기 내시경(2)의 조작부(2A) 위나, 시술자의 발 아래인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를 컨트롤하는 풋 스위치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기(8)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각종 리모콘 조작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설치된 수광부에 의해 상기 적외선을 수광하여 상기 리모콘 신호를 취입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시술자에 의한 조작이 더 용이해진다.
(제2 실시예)
다음에, 제2 실시예에 관한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에 대해 도16 내지 도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6 내지 도22는 제2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16은 제2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17은 도16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18은 제2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제어 내용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19는 도18의 흐름도에 있어서 펌프의 최소 유량 설정에 있어서 이상 조정 종료 통지로 판정되는 경우의, 관로의 내압과 송기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20은 도18의 흐름도에 있어서 펌프의 최대 유량 설정에 있어서 이상 조정 종료 통지로 판정되는 경우의, 관로의 내압과 송기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21은 도18의 흐름도에 있어서 펌프의 유량 설정을 최소 유량 설정으로부터 최대 유량 설정으로 변화시켜도 이상이 확인되지 않았던 경우의, 관로의 내압과 송기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22는 도18의 흐름도에 있어서 펌프의 유량 설정을 조정 후 유량 설정으로 후에 관로의 내압을 대략 평형 상태가 되는 소정의 내압치로 하여 관로의 내압의 변화를 확인하는 경우의, 관로의 내압과 송기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실시예의 내시경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은, 도1에 도시하는 내시경 시스템(1)의 구성과 대략 마찬가지이다. 이 내시경 시스템(1)에 이용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검사 스위치(50)와, 이상 상태 통지부인 제1 LED(Light Emitting Diode : 발광 다이오드)(50a)와, 마찬가지로 이상 상태 통지부인 제2 LED(50b)를 외장 표면 상에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 표시기(16)의 표시기(16A)는 압력 측정부인 제1 압력 센서(34a)가 벌룬(9)에 연통하는 관로의 내압을 기초로 측정한 벌룬(9)의 내압치의 표시를 행한다. 또한, 압력 표시기(16)의 표시기(16B)는 압력 측정부인 제2 압력 센서(34b)가 벌룬(11)에 연통하는 관로의 내압을 기초로 측정한 벌룬(11)의 내압치의 표시를 행한다.
상기 검사 스위치(50)는 온으로 함으로써 소정의 관로인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연통하는 벌룬(9) 및 벌룬(11)에 대해 소정의 검사를 행할 수 있는 스위치이다. 이 소정의 검사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을 행한다.
상기 소정의 검사가 종료한 후,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35)의 판정 결과의 내용을 받고, 벌룬(9)의 검사 결과가 제1 LED(50a)에, 벌룬(11)의 검사 결과가 제2 LED(50b)에 표시된다.
이상 상태 통지부인 제1 LED(50a) 및 제2 LED(50b)는, 예를 들어 검사가 정상 종료된 경우에는 점등하고, 검사가 이상 종료(ABEND)인 경우에는 점멸하여 이상을 통지하는 등의 수단으로 시술자에게 벌룬(9) 또는 벌룬(11)의 이상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상태 통지부인 제1 LED(50a) 및 제2 LED(50b)는 소정의 검사 종료 시의 통지부로서는 상기한 것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라도 좋고, 예를 들어 소정의 검사가 정상 종료된 경우에는 청색의 LED가 점등되고, 이상 종료(ABEND)된 경우에는 적색의 LED가 점등되는 등, 정상 종료 시와 이상 종료(ABEND) 시의 LED의 색을 가른 것을 함으로써 벌룬(9) 또는 벌룬(11)이 이상한 상태에서 검사가 종료된 것을 눈으로 확인하기 쉽게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이상 상태 통지부는 LED에 의한 시각적인 통지부만이 아니라도 좋다. 예를 들어, 벌룬(9) 또는 벌룬(11)이 이상하다는 검사 결과의 내용을 받은 경우, LED의 점등과 동시에 소정의 소리를 울림으로써 시술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소리에 의한 통지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16에 있어서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외표면 상에 설치된 LED의 수는 2개이지만, 이 LED의 수에 관해서도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LED의 수를 증감시켜도 좋다.
다음에, 도17을 이용하여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내부의 구조, 제어 내용 및 제어 내용에 대한 동작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대략 마찬가지이지만,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 및 제3 브레이커(31c)를 삭제하고, 상기 제1, 제2 압력 센서(34a, 34b)를 관로 절환부(33)와 내시경(2)의 벌룬(9), 오버 튜브(3)의 벌룬(11) 사이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1, 제2 유량 조정 밸브(32c, 32d) 및 제3 브레이커(31c)를 삭제하지 않고,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도4 참조)으로 해도 좋다.
상기 전원 스위치(17)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8)에 설치된 전원 버튼(22)이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 스위칭 전원부(30)는 제1 펌프(32a), 제2 펌프(32b), 관로 절환부(33), 리모트 컨트롤러(8) 및 제어부(35)에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외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교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기초로 각각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이 각 부에 공급되면, 초기 설정 상태로 하여 제1 펌프(32a)와, 제2 펌프(32b)가 작동을 개시하고, 또한 관로 절환부(33)가 개방 상태, 즉 관로 절환부(33)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관로의 내압이 외기압과 대략 동등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1 펌프(32a)는 관로 절환부(33)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관로에 연통되어 있고, 벌룬(9)이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35)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의 내용을 기초로 소정의 관로인 제1 펌프(32a)에 연통하여 벌룬(9)에 이르기까지의 제1 관로에 대한 송기 또는 흡기를 행한다.
상기 제2 펌프(32b)는 관로 절환부(33)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관로에 연통되어 있고, 벌룬(11)이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35)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의 내용을 기초로 소정의 관로인 제2 펌프(32b)에 연통하여 벌룬(11)에 이르기까지의 제2 관로에 대한 송기 또는 흡기를 행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34a)는 압력 측정부이고, 측정한 벌룬(9)의 내압치를 제어부(35)로 송신한다. 제2 압력 센서(34b)는 압력 측정부이고, 측정한 벌룬(11)의 내압치를 제어부(35)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35)는 나중에 설명을 행하는 소정의 검사 시에 있어서의 이상 판정부를 구비한 제어 수단이고, 제1 압력 센서(34a)가 측정한 벌룬(9)의 내압치와, 제2 압력 센서(34b)가 측정한 벌룬(11)의 내압치를 기초로 제1 펌프(32a), 제2 펌프(32b) 및 관로 절환부(33)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35)는 리모트 컨트롤러(8)에 설치된 각종 버튼의 조작에 의한 신호에 기초로 벌룬(9) 및 벌룬(11)의 확장 및 수축을 행하기 위한 신호를 제1 펌프(32a)와, 제2 펌프(32b)와, 관로 절환부(33)로 송신한다.
그것에 의해, 벌룬(9) 및 벌룬(11)이 리모트 컨트롤러(8)에 설치된 각종 버튼(도3 참조)의 조작에 연동하여 확장 및 수축을 행할 수 있도록 제1 펌프(32a)와, 제2 펌프(32b)와, 관로 절환부(33)의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35)는 내부에 중앙 연산 장치(CPU), 메모리 등의 기억부로 이루어지는 이상 판정부(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타이머 카운터)와 연휴하여 소정의 시간 및 소정의 설정치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소정의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미리 프로그래밍 등의 방법으로 상기 소정의 시간, 상기 소정의 설정치, 상기 소정의 제어의 내용 등을 정해 둘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도4 참조)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는 소정의 검사, 즉 소정의 관로인 벌룬(9) 및 벌룬(11)에 대한 이상 판정 방법인 이상 검사에 대한 설명을, 도18을 이용하여 행한다.
상기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를 이용하여 벌룬(9) 및 벌룬(11)에 대한 이상 검사를 행할 때에는, 우선 커넥터(2a)에 커넥터(13A)를 설치하여 공기 공급 튜브(10)와 제1 송기용 튜브(내시경용 벌룬 송기 튜브)(13)를 연통시키고, 커넥터(3a)에 커넥터(14A)를 설치하여 공기 공급 튜브(12)와 제2 송기용 튜브(오버 튜브용 벌룬 송기 튜브)(14)를 연통시킨다. 이와 같이, 벌룬(9) 및 벌룬(11)에 송기할 수 있는 상태로 한 후, 전원 스위치(17)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8)에 설치된 전원 버튼(22)을 온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검사 스위치(50)를 온으로 하면, 벌룬(9) 및 벌룬(11)에 대한 이상 검사가 개시된다. 또한, 상기한 소정의 검사인 상기 이상 검사의 내용, 순서 및 상기 이상 검사에 있어서의 소정의 설정치는 미리 제어부(35) 내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등에 프로그램, 데이터 등으로서 미리 기억 및 설정된 것이다.
검사 개시후, 우선 상기 제어부(35)는 제1 펌프(32a) 및 제2 펌프(32b)를 작동시키고, 또한 관로 절환부(33)에 있어서 관로 개방 상태의 설정을 행한다(스텝 S100). 그 후, 제어부(35)는 제1 펌프(32a)와, 제2 펌프(32b)와, 관로 절환부(33)에 대해 최소 송기 유량(Q0)에 의해 공기의 송기를 행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설정을 행한다(스텝 S101).
그리고, 제1 스텝, 즉 최소 송기 유량 조정 스텝(스텝 S102 및 스텝 S103)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의 초기화가 행해진(스텝 S102) 후에 제어부(35)는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받은 관로 절환부(33)는 관로 절환부(33)가 내부에 갖는 도시하지 않은 밸브 등의 유량 조정부를 이용하여 제1 펌프(32a) 및 제2 펌프(32b)로부터 벌룬(9) 및 벌룬(11)에 대해 최소 송기 유량(Q0)으로 공기의 송기를 행하도록 송기 유량의 조정을 행한다(스텝 S103).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벌룬(9) 및 벌룬(11)에 대한 최소 송기 유량(Q0)은 동일한 송기 유량으로 하여 이하의 설명을 행하지만, 이들 최소 송기 유량(Q0)은 각각 다른 송기 유량이라도 좋다.
송기 유량 조정 스텝이 행해진 후, 제어부(35)가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을 때 의 내압치를 취득하고, 내압치 취득 스텝(스텝 S104 내지 스텝 S109)이 계속해서 행해진다.
내압치 취득 스텝에 있어서는, 우선 최소 송기 유량(Q0)을 기초로 벌룬(9) 및 벌룬(11)에 대한 송기를 행하여 미리 제어부(35) 내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인 시간 1(t1)이 경과했을 때에(스텝 S104), 제어부(35)는 제1 압력 센서(34a)가 측정한 벌룬(9)의 내압치 및 제2 압력 센서(34b)가 측정한 벌룬(11)의 내압치인 압력 1(P1)의 취득을 행한다(스텝 S105).
그 후, 상기 제어부(35)는 미리 제어부(35) 내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인 시간 2(t2)이 경과했을 때에(스텝 S106), 제1 압력 센서(34a)가 측정한 벌룬(9)의 내압치 및 제2 압력 센서(34b)가 측정한 벌룬(11)의 내압치인 압력 2(P2)의 취득을 행한다(스텝 S107).
또한, 상기 제어부(35)는 미리 제어부(35) 내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인 시간3(t3)이 경과했을 때에(스텝 S108), 제1 압력 센서(34a)가 측정한 벌룬(9)의 내압치 및 제2 압력 센서(34b)가 측정한 벌룬(11)의 내압치인 압력 3(P3)의 취득을 행한다(스텝 S109).
시간 3(t3)에 있어서 압력 3(P3)을 취득한 후, 제어부(35)는 내부에 갖는 이상 판정부(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미리 제어부(35) 내에 설정된 제1 임계치인 도달 압력 상한치와, 압력 3(P3)의 비교를 행한다(스텝 S 110 및 스텝 S116). 이때,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3(P3)이 도달 압력 상한치를 초과한 경우, 제2 스텝으로서 제어부(35)는 제1 펌프(32a) 또는 제2 펌프(32b) 또는 관로 중 어느 하 나가 이상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상기 판정 결과는 제3 스텝으로서, 이상 상태 통지부인 제1 LED(50a) 또는 제2 LED(50b)에 의해 시각적인 통지가 행해지고(스텝 S129), 상기 통지에 의해 제1 펌프(32a) 또는 제2 펌프(32b) 또는 관로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인 것을, 시술자 및 시술자의 보조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 상태의 통지가 행해진 후, 제어부(35)는 관로 절환부(33)에 있어서 관로 개방 상태의 설정을 행함으로써 검사를 종료시킨다(스텝 S130).
상기한 도달 압력 상한치와 압력 3(P3)의 비교에 있어서, 압력 3(P3)이 도달 압력 상한치에 도달하지 않았던 경우, 현재의 송기 유량이 최대 송기 유량(Qn)인지 여부의 판정이 이루어진다(스텝 S111). 지금, 송기 유량은 최소 송기 유량(Q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송기 유량 설정 스텝(스텝 S112 내지 스텝 S115)으로서, 제어부(35)는 최소 송기 유량(Q0)으로부터 소정의 설정치(Q2)로 송기 유량을 증가하여 공기의 송기를 행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설정을 행한다(스텝 S112). 상기 설정을 행한 후, 제어부(35)는 제1 펌프(32a)와, 제2 펌프(32b)와, 관로 절환부(33)에 대해 관로의 상태를 흡기 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제1 펌프(32a)와, 제2 펌프(32b)와, 관로 절환부(33)에 의해 관로의 흡기가 개시되면(스텝 S113), 벌룬(9) 및 벌룬(11)은 수축을 개시한다. 그리고, 벌룬(9) 및 벌룬(11)의 내압치가 모두 대략 0이 되는 시간 4(t4)가 경과하면(스텝 S114), 제어부(35)는 제1 펌프(32a)와, 제2 펌프(32b)와, 관로 절환부(33)에 대해 관로의 흡기를 정지시킨다(스텝 S115).
그 후, 다시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의 초기화가 행해진(스텝 S102) 후에 제어부(35)는 소정의 설정치(Q1)의 송기 유량으로 하는 제어 신호를 제1 펌프(32a)와, 제2 펌프(32b)와, 관로 절환부(33)에 대해 송신한다.
이하, 상기 제어부(35)는 스텝 S3 내지 스텝 S16까지의 처리를 송기 유량의 설정치(Qi)(i = 0, 1, …, n - 1, n)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최대 송기 유량(Qn)의 송기 유량이 될 때까지 반복한다.
즉,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의 초기화가 행해지고, 제어부(35)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관로에 대한 각 송기 유량(Q1, Q2, …, Qi, …, Qn - 1)의 조정이 제1 펌프(32a)와, 제2 펌프(32b)와, 관로 절환부(33)에 의해 행해지는 송기 유량 조정 스텝(스텝 S3 및 스텝 S4)과, 각 송기 유량(Q1, Q2, …, Qi, …, Qn - 1)에 있어서, 시간 1(tl)이 경과했을 때의 압력 1(P1)과, 시간 2(t2)이 경과했을 때의 압력 2(P2)와, 시간 3(t3)이 경과했을 때의 압력 3(P3)을 제어부(35)가 취득하는 내압치 취득 스텝(스텝 S104 내지 스텝 S109)과, 관로의 흡기를 개시한 후, 시간 4(t4)가 경과했을 때에 관로의 흡기를 정지하고, 다음 회 측정에 있어서의 관로에 대한 각 송기 유량(Q2, Q3, …, Qi + 1, …, Qn)의 설정이 행해지는 송기 유량 설정 스텝(스텝 S112 내지 스텝 S115)이 미리 제어부(35) 내에 설정된 소정의 횟수분만큼 최대 송기 유량(Qn)이 될 때까지 반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횟수는 최소 송기 유량(Q0)으로부터 최대 송기 유량(Qn)까지의 (n + 1)회로 한다.
그리고, (n + 1)회째의 송기 유량 설정 스텝이 행해진 후, 제4 스텝, 즉 최 대 송기 유량 조정 스텝(스텝 S102 및 스텝 S103)으로서, 제어부(35)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받은 관로 절환부(33)는 관로 절환부(33)가 내부에 갖는 도시하지 않은 밸브 등의 유량 조정부를 이용하여 제1 펌프(32a) 및 제2 펌프(32b)와 연휴하고, 벌룬(9) 및 벌룬(11)에 대해 최대 송기 유량(Qn)으로 송기를 행하도록 송기 유량의 조정을 행한다.
최대 송기 유량(Qn)에 있어서, 상기 내압치 취득 스텝(스텝 S104 내지 스텝 S109)이 종료된 후, 제어부(35)는 내부에 갖는 이상 판정부(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미리 제어부(35) 내에 설정된 제2 임계치인 도달 압력 하한치와, 압력 3(P3)의 비교를 행한다(스텝 S111 및 스텝 S117).
이때,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3(P3)이 도달 압력 하한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제5 스텝으로서 상기 제어부(35)는 제1 펌프(32a) 또는 제2 펌프(32b) 또는 관로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상기 판정 결과는 제6 스텝으로서 이상 상태 통지부인 제1 LED(50a) 또는 제2 LED(50b)에 의해 시각적인 통지가 행해져(스텝 S129), 제1 펌프(32a) 또는 제2 펌프(32b)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인 것을 시술자 및 시술자의 보조자 등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 상태의 통지가 행해진 후, 제어부(35)는 관로 절환부(33)에 있어서 관로 개방 상태의 설정을 행함으로써 검사를 종료시킨다(스텝 S130).
또한, 상기한 도달 압력 하한치와 압력 3(P3)의 비교(스텝 S117)에 있어서, 압력 3(P3)이 도달 압력 하한치를 초과한 경우, 제어부(35)는 관로 개방 상태의 설 정을 행한(스텝 S118) 후, 각 송기 유량에 있어서 취득된 각 압력 3(P3)과, 미리 제어부(35) 내에 설정된 소정의 압력치인 목표 압력치와의 차의 값을 구하기 위한 계산을 최소 송기 유량(Q0)으로부터 최대 송기 유량(Qn)까지의 (n + 1)회분의 압력 3(P3)에 대해 각각 행한다(스텝 S119).
또한, 상기 제어부(35)는 이들 (n + 1)개의 차분치의 비교를 행하고, 도2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그 중에서 가장 차분치가 작아지는 압력 3(P3)이 측정된 송기 유량, 즉 조정 후 설정 유량(Qx)에 의해 벌룬(9) 및 벌룬(11)으로 송기를 행할 수 있도록 제1 펌프(32a)와, 제2 펌프(32b)와, 관로 절환부(33)에 대해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120 및 스텝 S121).
또한, 이 때, 시간 1(t1), 시간 2(t2), 시간 3(t3)의 각각에 대응하는 목표 압력치를 제어부(35) 내에 미리 설정해 두고, 상기 목표 압력치를 기초로 제어부(35)는 최소 송기 유량(Q0)으로부터 최대 송기 유량(Qn)까지의 (n + 1)회 분의 압력 1(P1), 압력 2(P2), 압력 3(P3)에 대해 각각의 차분의 제곱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에 의해 구해진 계산치가 최소가 되는 송기 유량을 조정 후 송기 유량(Qx)으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을 행한 조정 후 설정 유량(Qx)은 시술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각각의 벌룬(9) 및 벌룬(11)에 대해 설정되는 송기 유량이다. 그로 인해, 재질이나 용량이 다른 벌룬(9) 및 벌룬(11)을 구분지어 사용하면서 시술자가 처치를 행할 때에도 각각의 벌룬(9) 및 벌룬(11)에 대해 적절한 송기 유량, 즉 조정 후 설정 유량(Qx)에 의해 공기의 송기를 행할 수 있다.
스텝 S121 이후의 조정 후 설정 유량(Qx)에 있어서의 벌룬(9) 및 벌룬(11)의 이상 검사로서는, 우선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의 초기화가 행해져(스텝 S121), 벌룬(9) 및 벌룬(11)에 대해 송기가 행해진다.
시간 3(t3)이 경과했을 때에 제어부(35)는 관로 보유 지지 상태의 설정을 행하고, 그 후에 제어부(35)는 미리 제어부(35) 내에 설정된 제1 시간이며, 또한 시간 3(t3) 이후의 시간인 시간 5(t5)에 제1 압력 센서(34a)가 측정한 벌룬(9)의 내압치 및 제2 압력 센서(34b)가 측정한 벌룬(11)의 내압치, 즉 제1 내압치인 압력 5(Pt5)의 취득을 행한다(스텝 S123 및 스텝 S124).
또한, 상기 제어부(35)는 미리 제어부(35) 내에 설정된 제2 시간이며, 또한 시간 5(t5) 이후의 시간인 시간 6(t6)에 제1 압력 센서(34a)가 측정한 벌룬(9)의 내압치 및 제2 압력 센서(34b)가 측정한 벌룬(11)의 내압치, 즉 제2 내압치인 압력 6(Pt6)의 취득을 행한다(스텝 S125 및 스텝 S126).
시간 6(t6)에 있어서 압력 6(Pt6)을 취득한 후, 제어부(35)는 압력 5(Pt5)와 압력 6(Pt6)과의 차의 절대치를 구하기 위한 계산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35)는 내부에 갖는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미리 제어부(35) 내에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상기 절대치의 비교를 행하여(스텝 S127), 상기 절대치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벌룬(9) 또는 벌룬(11) 또는 관로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상기 판정 결과는 이상 상태 통지부인 제1 LED(50a) 또는 제2 LED(50b)에 의해 시각적인 통지가 행해져(스텝 S129), 벌룬(9) 또는 벌룬(11)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인 것을 시술자 및 시술자의 보조자 등이 확인할 수 있다. 그리 고, 이상 상태의 통지가 행해진 후, 제어부(35)는 내부에 갖는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관로 절환부(33)에 있어서 관로 개방 상태의 설정을 행함으로써 검사를 종료시킨다(스텝 S130).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펌프(32a) 및 제2 펌프(32b)의 목표 압력치, 조정 후 설정 유량(Qx), 각 관로의 측정치는 각각 동일하다고 했지만, 각각의 펌프 및 관로에 대해 개별적으로 본 플로우를 행하여 개별의 측정을 경유하고, 개별의 목표 압력치에 대해 개별의 조정 후 설정 유량(Qx)을 얻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소정의 임계치와 압력 5(Pt5)와 압력 6(Pt6)과의 차의 절대치가 소정의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았던 경우, 제어부(35)는 벌룬(9) 및 벌룬(11) 및 관로는 모두 정상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상기 판정 결과는 이상 상태 통지부인 제1 LED(50a) 또는 제2 LED(50b)에 의해 시각적인 통지가 행해져(스텝 S128), 벌룬(9) 및 벌룬(11)은 모두 정상인 것을 시술자 및 시술자의 보조자 등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정상 상태의 통지가 행해진 후, 제어부(35)는 내부에 갖는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관로 절환부(33)에 있어서 관로 개방 상태의 설정을 행함으로써 검사를 종료시킨다(스텝 S130).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벌룬(9) 및 벌룬(11)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은 이상 검사를 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고, 생체에 대해 처치를 행하는 현장에 있어서, 시술자 및 시술자의 보조자 등이 간편하고 또한 자동적으로 벌룬(9) 및 벌룬(11)에 있어서의 기밀 불량 등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벌룬(9) 또는 벌룬(11) 그 자체의 이상이 원인이 되 는 생체 내에 있어서의 벌룬(9) 또는 벌룬(11)의 파열 및 고정 불량이 일어날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는,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9) 및 벌룬(11)의 대용이 되는 검사용 지그(51)와, 조정 프로세서(54)를 설치하여 이상 검사를 행할 수도 있다. 검사용 지그(51)는, 예를 들어 소정의 재질로 형성되고, 소정의 용량을 갖는 제1 검사용 관로(52)와, 제2 검사용 관로(53)를 갖는다.
또한, 상기 조정 프로세서(54)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단말 장치이며, 상기 제어부(35)와 유선 혹은 무선에 의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제어부(35) 내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소정의 설정치, 소정의 제어의 내용 등을 상기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임의의 설정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이상 검사에 있어서는, 제어부(35)가 상기 내압치 취득 스텝(스텝 S104 내지 스텝 S109)에 있어서 내압치를 취득하는 횟수는 시간 1(t1)과, 시간 2(t2)와, 시간 3(t3)의 3회였지만, 상기 조정 프로세서(54)를 사용함으로써 이 횟수를 임의의 횟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모니터 등의 표시부를 조정 프로세서(54)에 접속함으로써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외표면 상에 설치된 제1 LED(50a) 및 제2 LED(50b)의 점등, 점멸 등과 함께 검사의 정상 종료, 혹은 이상 종료(ABEND)를 상기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이상 상태 통지부를 설치할 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한 이상 검사를 행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텝 내지 상기 제6 스텝까지의 검사를 행함으로써, 제1 펌프(32a), 제2 펌프(32b) 및 관로 절환부(33)의 이상 판정 방법으로서의 이상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검사용 지그(51)에 대한 조정 후 설정 유량(Qx)의 설정을 행함으로써 제1 검사용 관로(52) 및 제2 검사용 관로(53)에 대응한 벌룬(9) 및 벌룬(11)을 사용하고, 동일 기종인 복수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공기의 송기 유량을 소정의 설정 유량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작용에 의해, 예를 들어 동일 기종인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제조 시 검사 등에 있어서, 검사자가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내부에 설치된 유량 조정부, 즉 제1 펌프(32a), 제2 펌프(32b) 및 관로 절환부(33)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유량 조정부가 정상인 경우에 있어서는 검사자가 동일 기종인 복수의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7)의 공기의 송기 유량을 간편하고 또한 자동적으로 대략 동일한 송기 유량인 조정 후 설정 유량(Qx)으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 외에, 벌룬에 대한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제어할 때에 벌룬 관로의 이상을 간편하고 또한 자동적으로 판정할 수 있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및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 판정 방법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넓은 범위에 있어서 다른 실시 형태가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본 발명을 기초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것 이외에는, 그 특정한 실시예에 의해서는 제약되지 않는다.

Claims (16)

  1.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의 외주부에 설치된 고정용 벌룬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 내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를 갖고, 이 유량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송기 또는 흡기를 위한 동작 시간을 소정 시간 내에서 가변 가능하게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2. 내시경을 삽입 관통시키는 오버 튜브의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 벌룬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 내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 측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를 갖고, 이 유량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송기 또는 흡기를 위한 동작 시간을 소정 시간 내에서 가변 가능하게 상기 펌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가 소정의 임계치보다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결과가 소정의 임계치보다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지시를 부여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버튼과 긴급 정지 버튼을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기 긴급 정지 버튼이 눌린 경우에는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지시를 부여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버튼과 긴급 정지 버튼을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기 긴급 정지 버튼이 눌린 경우에는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제어 장치.
  7.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의 외주부에 설치할 수 있었던 고정용 벌룬에 접속되는 관로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 또는 상기 관로의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상기 펌프의 상기 관로에 대한 송기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부와,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와,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와,
    상기 압력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와 상기 유량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 및 상기 시간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상기 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제어하여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것이며, 상기 유량 조정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관로로의 송기 유량을 변화시키고 상기 관로에 기체를 공급하여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및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관로의 제1 내압치 및 제2 내압치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내압치와 상기 제2 내압치의 차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벌룬이 이상인 것을 판정하는 이상 판정부를 갖는 제어부와,
    상기 이상 판정부의 판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관로의 이상을 통지하는 이상 상태 통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8.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의 외주부에 설치된 고정용 벌룬에 접속되는 관로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내시경을 삽입 관통시키는 오버 튜브의 선단부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 벌룬에 접속되는 관로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 또는 상기 관로의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상기 펌프의 상기 관로에 대한 송기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부와,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검출부와,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와,
    상기 압력 측정부에 의한 측정 결과와 상기 유량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 및 상기 시간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상기 펌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벌룬으로의 송기 또는 흡기 유량을 제어하여 상기 벌룬 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것이며, 상기 유량 조정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관로로의 송기 유량을 변화시키고 상기 관로에 기체를 공급하여 미리 설정된 제1 시간 및 미리 설정된 제2 시간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관로의 제1 내압치 및 제2 내압치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내압치와 상기 제2 내압치의 차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벌룬이 이상인 것을 판정하는 이상 판정부를 갖는 제어부와,
    상기 이상 판정부의 판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관로의 이상을 통지하는 이상 상태 통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판정부는 상기 유량 조정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펌프의 상기 관로로의 송기 유량을 상기 펌프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최소 송기 유량 및 최대 송기 유량으로 변화시켜 상기 관로에 기체를 공급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관로의 내압치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펌프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최소 송기 유량의 기체가 상기 관로에 공급된 후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관로의 내압치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또는 상기 펌프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최대 송기 유량의 기체가 상기 관로에 공급된 후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관로의 내압치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펌프가 이상인 것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판정부는 상기 유량 조정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펌프의 상기 관로로의 송기 유량을 상기 펌프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최소 송기 유량 및 최대 송기 유량에 변화시켜 상기 관로에 기체를 공급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관로의 내압치를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펌프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최소 송기 유량의 기체가 상기 관로에 공급된 후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관로의 내압치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또는 상기 펌프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최대 송기 유량의 기체가 상기 관로에 공급된 후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관로의 내압치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펌프가 이상인 것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판정부는 상기 설정 시간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관로의 내압치와, 미리 설정된 내압의 목표치와의 차분을 최소로 하는 유량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판정부는 상기 설정 시간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관로의 내압치와, 미리 설정된 내압의 목표치와의 차분을 최소로 하는 유량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13.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의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 벌룬에 접속되는 관로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벌룬 또는 상기 관로의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상기 펌프의 상기 관로에 대한 송기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부를 구비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 판정 방법이며,
    상기 펌프 및 상기 유량 조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펌프의 상기 관로로의 송기 유량을 상기 펌프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최소 송기 유량에 변화시키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의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관로의 내압의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상기 펌프 또는 상기 관로가 이상인 것을 판정하는 제2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의 판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펌프와 상기 관로 중 적어도 한쪽이 이상인 것을 통지하는 제3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 판정 방법.
  14.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의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 벌룬에 접속되는 관로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내시경을 삽입 관통시키는 오버 튜브의 선단부 외주부에 설치한 고정용 벌룬에 접속되는 관로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펌프와, 상기 내시경의 벌룬 및 상기 오버 튜브의 벌룬 또는 상기 내시경의 관로 및 오버 튜브의 관로의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상기 펌프의 상기 관로에 대한 송기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부를 구비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 판정 방법이며,
    상기 펌프 및 상기 유량 조정부를 제어하여 상기 펌프의 상기 관로로의 송기 유량을 상기 펌프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최소 송기 유량으로 변화시키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의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관로의 내압의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상기 펌프 또는 상기 관로가 이상인 것을 판정하는 제2 스텝과,
    상기 제2 스텝의 판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펌프와 상기 소정의 관로 중 적어도 한쪽이 이상인 것을 통지하는 제3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 판정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및 상기 유량 조정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펌프의 상기 관로로의 송기 유량을 상기 펌프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최대 송기 유량으로 변화시키는 제4 스텝과,
    상기 제4 스텝의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관로의 내압의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상기 펌프 또는 상기 관로가 이상인 것을 판정하는 제5 스텝과,
    상기 제5 스텝의 판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펌프와 상기 관로 중 적어도 한쪽이 이상인 것을 통지하는 제6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 판정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및 상기 유량 조정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펌프의 상기 관로로의 송기 유량을 상기 펌프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최대 송기 유량으로 변화시키는 제4 스텝과,
    상기 제4 스텝의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관로의 내압의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펌프 또는 상기 관로가 이상인 것을 판정하는 제5 스텝과,
    상기 제5 스텝의 판정 결과를 기초로 상기 펌프와 상기 관로 중 적어도 한쪽이 이상인 것을 통지하는 제6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 판정 방법.
KR1020067019128A 2004-03-19 2005-03-15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및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판정 방법 KR100840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81654 2004-03-19
JP2004081654A JP4481692B2 (ja) 2004-03-19 2004-03-19 内視鏡バルーン制御装置
JP2004115847A JP4418285B2 (ja) 2004-04-09 2004-04-09 内視鏡バルーン制御装置
JPJP-P-2004-00115847 2004-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229A KR20060130229A (ko) 2006-12-18
KR100840051B1 true KR100840051B1 (ko) 2008-06-19

Family

ID=3499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128A KR100840051B1 (ko) 2004-03-19 2005-03-15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및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판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38026A1 (ko)
EP (2) EP1726248B1 (ko)
KR (1) KR100840051B1 (ko)
DE (1) DE602005025456D1 (ko)
WO (1) WO2005089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6851B2 (ja) * 2004-03-19 2011-08-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バルーン制御装置
JP5019757B2 (ja) 2006-02-10 2012-09-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バルーン制御装置
JP2008023256A (ja) * 2006-07-25 2008-02-07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装置
EP2413775A4 (en) * 2009-04-01 2014-01-15 Univ Florida DEVICE FOR LEADING AN ENDOSCOPE THROUGH A PASSAGE
JP2010264060A (ja) * 2009-05-14 2010-11-25 Fujifilm Corp 流体制御装置及び流体制御方法並びに内視鏡装置
EP2544580B1 (en) * 2010-03-09 2021-07-14 Smart Medical Systems Ltd Balloon endoscope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ES2873366T3 (es) * 2011-03-07 2021-11-03 Smart Medical Systems Ltd Sistema de control de presión en bucle abierto para un endoscopio
JP5628261B2 (ja) 2012-09-28 2014-1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医療用駆動装置
JP6700172B2 (ja) 2013-05-21 2020-05-27 スマート・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リミテッド 内視鏡再処理方法
CN110584577A (zh) 2014-12-22 2019-12-20 智能医疗系统有限公司 气囊内窥镜再处理系统和方法
US10835107B2 (en) 2015-04-03 2020-11-17 Smart Medical Systems Ltd. Endoscope electro-pneumatic adaptor
US10765304B2 (en) * 2015-09-28 2020-09-08 Bio-Medical Engineering (HK) Limited Endoscopi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in vivo procedures
US10512391B2 (en) * 2017-04-20 2019-12-24 Resnent, Llc Flexible-rigid hybrid endoscope and instrument attach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462A (ja) * 2000-06-05 2001-12-11 Hironori Yamamoto 内視鏡挿入補助用バルーン付きチューブ
JP2003144378A (ja) * 2001-11-15 2003-05-20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シ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0413A (en) * 1974-07-18 1977-08-09 Fuji Photo Optical Co. Ltd. Endoscope
US4981470A (en) * 1989-06-21 1991-01-01 Synectics Medical, Inc. Intraesophageal catheter with pH sensor
US5196017A (en) * 1989-10-11 1993-03-23 Silva Fidel H Method and apparatus for patient protection against vessel rupture from balloon-tipped catheters
US5098379A (en) 1990-01-10 1992-03-24 Rochester Medical Corporation Catheter having lubricated outer sleev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5400770A (en) * 1992-01-15 1995-03-28 Nakao; Naomi L. Device utilizable with endoscope and related method
US5599301A (en) * 1993-11-22 1997-02-04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Motor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catheter inflation system
WO1997022373A1 (fr) * 1995-12-18 1997-06-26 Nippon Zeon Co., Ltd. Mecanisme d'entrainement pour equipement medical
US6793661B2 (en) * 2000-10-30 2004-09-21 Vision Sciences, Inc. Endoscopic sheath assemblies having longitudinal expansion inhibiting mechanisms
JP2002301019A (ja) 2001-04-09 2002-10-15 Hironori Yamamoto 内視鏡装置
JP4632577B2 (ja) * 2001-05-30 2011-02-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計測内視鏡装置
JP3922211B2 (ja) * 2003-05-14 2007-05-30 フジノン株式会社 ダブルバルーン式内視鏡のバルーン制御装置
US7641668B2 (en) * 2003-05-16 2010-01-05 Scimed Life Systems, Inc. Fluid delivery system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3922217B2 (ja) * 2003-06-20 2007-05-30 フジノン株式会社 内視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462A (ja) * 2000-06-05 2001-12-11 Hironori Yamamoto 内視鏡挿入補助用バルーン付きチューブ
JP2003144378A (ja) * 2001-11-15 2003-05-20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シ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98150A1 (en) 2011-03-23
EP1726248B1 (en) 2010-12-22
EP1726248A4 (en) 2007-07-18
WO2005089625A1 (ja) 2005-09-29
EP2298150B1 (en) 2012-02-29
US20070038026A1 (en) 2007-02-15
DE602005025456D1 (de) 2011-02-03
KR20060130229A (ko) 2006-12-18
EP1726248A1 (en)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051B1 (ko)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및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의 이상판정 방법
KR100840050B1 (ko)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US8096942B2 (en) Endoscope balloon control device
CN1933766B (zh) 内窥镜球囊控制装置和内窥镜球囊控制装置的异常判定方法
EP1582141B1 (en) Balloon control apparatus
US87343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predetermined gas into body cavities of a specimen
EP2850998B1 (en) Gas supply apparatus
US200601290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redetermined gas into body cavities of a patient
CN110799079B (zh) 内窥镜和泄漏测试的通知方法
JP5242733B2 (ja) 内視鏡バルーン制御装置
US11089950B2 (en) Endoscope apparatus, activation method, and video processor for determining an abnormality
JP4418285B2 (ja) 内視鏡バルーン制御装置
JP2003010105A (ja) 内視鏡装置
KR100848771B1 (ko) 내시경 벌룬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