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280B1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280B1
KR100839280B1 KR1020060099925A KR20060099925A KR100839280B1 KR 100839280 B1 KR100839280 B1 KR 100839280B1 KR 1020060099925 A KR1020060099925 A KR 1020060099925A KR 20060099925 A KR20060099925 A KR 20060099925A KR 100839280 B1 KR100839280 B1 KR 100839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ousing
connector
brush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063A (ko
Inventor
게이이치 우에하라
도시히코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04Commut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02K5/145Fixedly supported brushes or brush holders, e.g. leaf or leaf-mounted 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Dc Machiner (AREA)

Abstract

하니스의 사양 변경에 따른 부품 관리, 제품 관리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모터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는, 요크(1)와, 이 요크(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5)와, 이 샤프트(5)에 고정된 전기자(6)와, 샤프트(5)에 고정된 정류자(7)와, 요크(1)의 개구부에 개구부를 막아서 고정된 하우징(8)과, 하우징(8)에 고정되는 동시에, 인서트 플레이트가 인서트 성형된 베이스에 고정된 브러시 홀더에, 정류자(7)의 표면에 접촉하는 브러시(14)가 수납된 브러시 장치(12)와, 하우징(8)에 형성된 개구부(8a)에 삽입되어 전류가 흐르는 인서트 도체편을 갖는 커넥터(19)를 구비하고, 인서트 도체편의 단부에 형성된 커넥터 측 터미널은, 인서트 플레이트에 형성된 브러시 측 터미널과 암수 접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브러시 장치를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의 내부로부터 볼 때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브러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의 브러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브러시 장치를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의 내부로부 터 볼 때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의 요부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의 브러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의 요부 측단면도,
도 16의 (a)는 도 15의 요부 확대도,
도 16의 (b)는 도 15의 다른 부위의 요부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의 요부 측단면도,
도 18의 (a)는 도 17의 요부 확대도,
도 18의 (b)는 도 17의 다른 부위의 요부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1의 (a)는 도 20의 커넥터에 조립된 그로밋의 측면도,
도 21의 (b)는 도 21의 (a)의 그로밋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23은 도 22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4는 도 22의 브러시 장치를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의 내부로부터 관측한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의 요부 측단면도,
도 26은 O링부와 일체의 그로밋이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을 때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7은 도 26의 O링부가 제거된 그로밋이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을 때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요크 5 : 샤프트
6 : 전기자 7 : 정류자
8 : 하우징 12, 30, 34, 38 : 브러시 장치
14 : 브러시 15, 32, 37, 40 : 인서트 플레이트
16 : 베이스 17 : 브러시 홀더
19, 31, 35, 39, 46, 51 : 커넥터
21, 33, 36, 43 : 인서트 도체편
22, 23, 48 : O링(밀봉 수단)
15a, 32a : 브러시 측 터미널
33a : 커넥터 측 터미널 36a : 커넥터 측 용접부
37a : 브러시 측 용접부 40a : 브러시 측 접합부
43a : 커넥터 측 접합부 45 : 리벳
47 : 나사 50, 52 : 그로밋
52a : O링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스티어링 기구에 조타 보조 토크를 발생시키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에 적용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터로서, 하니스(harness)의 선단부에 접속된 커넥터를 통해서 외부로부터의 전류가, 하니스, 브러시 장치를 거쳐서 전기자의 코일에 공급되어, 전기자에 생기는 회전 전자 작용에 의해 샤프트가 회전하고, 그 회전력이 스티어링 기구에 조타 보조 토크로서 이바지하게 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 2000-197314 호 공보
이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에서는, 일단부에 커넥터가 접속된 하니스의 타단부가 브러시 장치의 인서트 플레이트에 점용접으로 접속되어, 커넥터, 하니스 및 브러시 장치가 일체화되어 있다.
그 때문,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하니스의 사양이 다를 때마다, 새로운 하니스와 일체화된 커넥터, 브러시 장치를 정렬할 필요성이 있고, 부품 관리의 점에서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또한, 일체화된 커넥터, 하니스 및 브러시 장치가 모터 본체에 조립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에서는, 하니스의 사양 변경에 따라 일체화된 이들을 모터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샤프트에 고착된 베어링 등을 파괴해야만 하기 때문에, 모터 본체와는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하니스의 사양 변경을 실행할 수 없고, 모터도 장치 사양마다 기종을 설정해 둘 필요성이 있으며, 그만큼 기종이 많아지고, 제조 관리의 점에서도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과제로 하는 것이며, 하니스의 사양 변경에 따르는 부품 관리, 제품 관리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등의 모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바닥을 구비한 원통형 요크와, 이 요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와, 이 샤프트에 고정된 전기자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고정된 정류자와, 상기 요크의 개구부에 개구부를 막아서 고정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인서트 플레이트가 인서트 성형된 베이스에 고정된 브러시 홀더에, 선단면이 상기 정류자의 표면에 접촉하는 브러시가 수납된 브러시 장치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의 전류가 흐르는 인서트 도체편을 갖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 도체편의 단부에 형성된 커넥터 측 터미널은,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에 형성된 브러시 측 터미널과 접합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할 것이며,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재,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이하, "전동 모터"로 약칭함)를 도시하는 측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전동 모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브러시 장치(12)를 전동 모터의 내부로부터 관측했을 때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브러시 장치(12)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전동 모터에서는, 바닥을 구비한 원통형의 요크(1)의 내벽에 대향하여 4극의 계자 영구자석(2)이 고정되어 있다. 이 요크(1) 내에서는, 제 1 베어링(3)과 제 2 베어링(4)에 의해 샤프트(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샤프트(5)에는, 전기자(armature; 6)가 고정되어 있다. 이 샤프트(5)의 단부에는, 복수의 세그먼 트(7a)를 갖는 정류자(7)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5)의 제 2 베어링(4)의 정류자(7)의 반대측에는, 연결 부재(26)가 압입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요크(1)의 개구부에는, 하우징(8)이 체결 나사(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8)에는 브러시 장치(12)가 체결 나사(1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기자(6)는 축선 방향으로 연기된 복수의 슬롯을 갖는 코어(24)와, 슬롯에 도선이 중권 방식(복수회로 권취한 방식)으로 권취되어 구성된 코일(25)을 구비하고 있다.
브러시 장치(12)에서는, 인서트 부재인 인서트 플레이트(15)가 인서트 성형된 베이스(16)에 금속제의 4개의 브러시 홀더(17)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각 브러시 홀더(17) 내에는, 정류자(7)의 세그먼트(7a)의 표면에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선단부가 접촉한 브러시(14)가 수납되어 있다. 각 브러시(14)의 중간부에는,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인서트 플레이트(15)의 부위에 접속된 리드선(18)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인서트 플레이트(15)에는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수형의 브러시 측 터미널(15a)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8)에는 커넥터(19)가 체결 나사(20)로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8)의 개구부(8a)에는 커넥터(19)의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하우징(8)의 개구부(8a)의 상면의 홈부에는 밀봉 수단인 O링(22)이 마련된다. 이 O링(22)은, 하우징(8)과 커넥터(19) 사이를 밀봉하여 방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방진성도 확보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예를 들면 고무제의 것이 사용된다.
또한, 하우징(8)과 요크(1) 사이에도, 하우징(8)과 요크(1)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수단인 O링(23)이 마련된다. 이 O링(23)도, 방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방진성도 확보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예를 들면 고무제의 것이 사용된다.
커넥터(19)는 인서트 부재인 인서트 도체편(21)이 인서트 성형된 인서트 성형품이다. 이 인서트 도체편(21)에는 선단부에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암형의 커넥터 측 터미널(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 측 터미널(21a)과 브러시 장치(12)의 브러시 측 터미널(15a)과는 접합 수단인 암수 접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전동 모터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전류가, 커넥터(19)의 인서트 도체편(21), 브러시 장치(12)의 인서트 플레이트(15), 리드선(18), 브러시(14) 및 세그먼트(7a)를 거쳐서 전기자(6)의 코일(25)에 공급된다.
그 결과, 전기자(6)에는 회전자계가 생기고, 계자 영구자석(2)과의 협동 작용에 의해, 샤프트(5)에는 회전력이 주어져, 그 회전력이 연결 부재(26)를 통해 스티어링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스티어링 보조 토크로서 이바지하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모터에 의하면, 커넥터(19)의 커넥터 측 터미널(21a)은, 브러시 장치(12)의 브러시 측 터미널(15a)과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되어 있으며, 종래에 필요하였던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고,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장치의 사양이 달라질 때마다, 새로운 장치와 일체화된 커넥터, 브러시 장치를 배열할 필요성이 없어지고, 부품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전동 모터도 장치 사양마다 기종 설정할 필요성이 없어지고, 그만큼 기종 설정수도 삭감되어, 제조 관리라는 점에서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예컨대 형상, 외부와 접속되는 인서트 도체편(21)의 인출 방향 등의 변경 등에 의한 커넥터(19)의 사양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는, 사양 변경된 커넥터(19)만을 교체하면 되고, 커넥터(19)를 제외한 전동 모터의 모터 본체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모터 본체의 공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암형의 커넥터 측 터미널(21a)에 수형의 브러시 측 터미널(15a)을 삽입하는 것으로, 커넥터(19)와 브러시 장치(12)는 간단히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하우징(8)의 개구부(8a)에는, 하우징(8)과 커넥터(19)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수단인 O링(22)이 마련되고, 또한 하우징(8)과 요크(1) 사이에는, 하우징(8)과 요크(1)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수단인 O링(23)이 마련되므로, 전동 모터의 방수성이 확보된다.
또한, O링(22, 23)은 방진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동 모터 작동시의 진동, 소음이 억제된다.
또한, O링(22, 23)을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비방수성 수단의 전동 모터로 변경 가능하다.
실시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전동 모터의 브러시 장치(3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전동 모터의 커넥터(31)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브러시 장치(30)의 인서트 플레이트(32)에는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암형의 브러시 측 터미널(32a)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31)는 인서트 부재인 인서트 도체편(33)이 인서트 성형된 인서트 성형품이다. 이 인서트 도체편(33)에는 선단부에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수형의 커넥터 측 터미널(3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형의 커넥터 측 터미널(33a)을 암형의 브러시 측 터미널(32a)에 삽입하는 것으로 커넥터(31)와 브러시 장치(30)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모터에 의하면, 실시형태 1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전동 모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전동 모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브러시 장치(34)를 전동 모터의 내부로부터 보았을 때의 정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브러시 장치(34)의 인서트 플레이트(37)에는, 브러시 측 터미널인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브러시 측 용접부(37a)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35)는 인서트 부재인 인서트 도체편(36)이 인서트 성형된 인서트 성형품이다. 이 인서트 도체편(36)에는 커넥터 측 터미널인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커넥터 측 용접부(36a)가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35)의 단부가 하우징(8)의 개구부(8a)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커넥터 측 용접부(36a)와 브러시 측 용접부(37a)는 포개지도록 되어 있다. 이 포개진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하는 접합용 구멍(8b)을 통해서 커넥터 측 용접부(36a)와 브 러시 측 용접부(37a)가 티그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모터에 의하면, 커넥터 측 용접부(36a)와 브러시 측 용접부(37a)는 접합 수단인 용접 접합에 의해 접합 됨으로써, 커넥터(35)와 브러시 장치(34)는 간단히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른 작용 효과는 실시형태 1과 같다.
또한, 용접 접합으로서, 티그 용접 이외에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한 용접, 프로젝션 용접 등 이여도 좋다.
실시형태 4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동 모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동 모터의 브러시 장치(38)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커넥터(39)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브러시 장치(38)의 인서트 플레이트(40)에는 브러시 측 터미널인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브러시 측 접합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 측 접합부(40a)에는, 브러시 측 관통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브러시 측 관통 구멍(41)에는, 통형상의 부쉬(42)가 삽입되어 있다.
커넥터(39)는 인서트 부재인 인서트 도체편(43)이 인서트 성형된 인서트 성형품이다. 이 인서트 도체편(43)에는, 커넥터 측 터미널인 외부로 노출된 한 쌍의 커넥터 측 접합부(43a)가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 측 접합부(43a)에는 커넥터 측 관통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39)의 단부가 하우징(8)의 개구부(8a)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커넥터 측 접합부(43a)의 커넥터 측 관통 구멍(44)과 브러시 측 접합부(40a)의 브러시 측 관통 구멍(41)은 포개어 진다. 이 포개어진 상태에서, 도 15, 도 16의 (a)에 도시하는 접합용 구멍(8b)을 통해서 관통 구멍(44, 41)에 리벳(45)을 삽입하고, 코킹(caulking)가공에 의해 커넥터(39)와 브러시 장치(38)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코킹 가공에 있어서, 리벳(45)의 삽입은 제조공정의 형편에 따라 요크(1) 측으로부터 삽입이어도 좋다.
또한, 도 1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8)의 개구부(8a)의 코너부에는 테이퍼부(8d)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부(8d)에는, 밀봉 수단인 O링(22)이 마련된다. 이 O링(22)은 하우징(8)과 커넥터(39) 사이를 밀봉하여 방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방진성도 확보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예를 들면, 고무제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모터에 의하면, 커넥터 측 접합부(43a)와 브러시 측 접합부(40a)는 접합 수단인 리벳 접합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커넥터(39)와 브러시 장치(38)는 간단히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른 작용, 효과는 실시형태 1과 같다.
실시형태 5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전동 모터를 도시하는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18의 (a), 도 18의 (b)는 도 17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측 접합부(43a)와 브러시 측 접합부(40a)는 접합 수단인 나사 접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브러시 측 접합부(40a)에 형성된 브러시 측 관통 구멍(41)에는 통형상의 내벽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부쉬(42A)가 삽입되어 있다. 이 부쉬(42A)에 나사(47)가 융착되어서, 커넥터(46)와 브러시 장치(38)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46)의 단부에는 홈(4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46a)에는 밀봉 수단인 O링(48)이 마련되어 있다. 이 O링(48)은 하우징(8)과 커넥터(46) 사이를 밀봉하여 방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방진성도 확보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예를 들면 고무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4와 같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모터에 의하면, 커넥터 측 접합부(43a)와 브러시 측 접합부(40a)는 접합 수단인 나사 접합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커넥터(46)와 브러시 장치(38)는 간단히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른 작용, 효과는 실시형태 4와 같다.
실시형태 6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의 전동 모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커넥터(19)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21의 (a)는 도 19의 그로밋(50)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1의 (b)는 도 19의 그로밋(50)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8)의 개구부(8a)에 하우징(8)과 커넥터(19)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수단인 그로밋(50)이 마련된다. 이 그로밋(50)은 방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방진성도 확보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예를 들면 고무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모터에 의하면, 그로밋(50)을 구비하는 것으로 전동 모터의 방수성이 확보되는 동시에, 전동 모터 작동시의 진동, 소음이 억제된다.
다른 작용, 효과는 실시형태 1과 같다.
실시형태 7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따른 전동 모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23은 도 22의 전동 모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브러시 장치(34)를 전동 모터의 내부로부터 볼 때의 정면도이며, 도 25는 도 22에 도시한 전동 모터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로밋(52)과 O링부(52a)는 일체화되어 있다.
그로밋(52)은 하우징(8)의 개구부(8a)에 마련되어 하우징(8)과 커넥터(51)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O링부(52a)는 하우징(8)과 요크(1) 사이에 마련되어 하우징(8)과 요크(1)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일체화된 그로밋(52)과 O링부(52a)는 방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방진성도 확보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예를 들면 고무제의 것이 이용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3과 같다.
이 실시형태에 의한 전동 모터에 의하면, 일체화된 그로밋(52) 및 O링부(52a)를 구비하는 것으로, 전동 모터의 방수성이 확보되는 동시에, 전동 모터 작동시의 진동, 소음이 억제된다.
또한, 그로밋(52) 및 O링부(52a)는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하우징(8)과 커넥터(51) 사이 및 하우징(8)과 요크(1) 사이 각각의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다른 작용, 효과는 실시형태 3과 같다.
또한, 비방수 사양의 전동 모터의 경우에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링부(52a)를 제거한 그로밋(52)이 적용된다.
또한, 그로밋(52) 및 O링부(52a)에 대해서는, 커넥터 측 터미널과 브러시 측 터미널이 접합 수단으로서 용접 접합에 의해 접속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 이외에, 실시형태 1, 2, 4, 5에 있어서의 각 접합 수단을 채용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에도 당연히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밀봉 수단으로서, O링(22, 23, 48), 그로밋(50, 52)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밀봉재로서 예를 들면 실리콘계 수지를 도포하는 것으로, 하우징(8)과 요크(1) 사이, 하우징(8)과 커넥터(19, 31, 35, 39, 46, 51) 사이를 밀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모터로서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모터에도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에 의하면, 하니스의 사양 변경에 따르는 부품 관리, 제품 관리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Claims (12)

  1. 바닥을 구비한 원통형 요크와,
    상기 요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된 전기자와,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고정된 정류자와,
    상기 요크의 개구부에 개구부를 막아서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됨과 동시에, 인서트 플레이트가 인서트 성형된 베이스에 고정된 브러시 홀더에, 선단면이 상기 정류자의 표면에 접촉하는 브러시가 수납된 브러시 장치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고 외부로부터의 전류가 흐르는 인서트 도체편을 갖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인서트 도체편의 단부에 형성된 커넥터 측 터미널은,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에 형성된 브러시 측 터미널과 접합 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수단은 암수 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수단은 나사 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수단은 리벳 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수단은 용접 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요크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요크 사이를 밀봉하 는 밀봉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은 O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은 밀봉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은 그로밋(gromm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사이를 밀봉하는 그로밋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요크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요크 사이를 밀봉하는 O링부는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060099925A 2006-07-14 2006-10-13 모터 KR100839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93594A JP2008022659A (ja) 2006-07-14 2006-07-14 モータ
JPJP-P-2006-00193594 2006-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063A KR20080007063A (ko) 2008-01-17
KR100839280B1 true KR100839280B1 (ko) 2008-06-17

Family

ID=3900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925A KR100839280B1 (ko) 2006-07-14 2006-10-13 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022659A (ko)
KR (1) KR100839280B1 (ko)
CN (1) CN1011063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3125B2 (ja) * 2008-04-07 2011-02-0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ステアリング用電動モ−タ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408034B2 (ja) * 2010-05-25 2014-02-05 日本精工株式会社 ブラシモータ用バスバーユニット及びブラシモータ並びに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2666701B1 (en) * 2011-01-18 2020-03-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 motor device for electric power steering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5377710B2 (ja) * 2012-05-24 2013-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装置一体型回転電機
JP5506858B2 (ja) * 2012-05-30 2014-05-28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JP5377718B1 (ja) * 2012-07-23 2013-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モータ用可動式コネクタおよびモータ用可動式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185826B2 (ja) * 2013-11-27 2017-08-2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モータ用コネクタ及びモータ用コネクタ組立体
CN105305696A (zh) * 2014-07-04 2016-02-03 沈阳兴华航空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高防护等级的无刷直流电动机
DE102016222532A1 (de) * 2016-11-16 2018-05-17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mit einem Bürstenhalter-Bauteil und einem Steckermodul
JP2019030142A (ja) * 2017-07-31 2019-02-21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たモータ
WO2019038850A1 (ja) * 2017-08-23 2019-02-2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7117205B2 (ja) * 2018-09-13 2022-08-12 日立Astemo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のハウジング構造
DE102019202370A1 (de) * 2019-02-21 2020-08-27 Bühler Motor GmbH Elektrischer Antrieb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314A (ja) * 1998-12-28 2000-07-14 Mitsubishi Electric Corp 整流子モ―タ
KR20020041670A (ko) * 2000-11-28 2002-06-03 김민박,라이문트하이넨 차량 모터용 홀센서 결합구조
KR20020076328A (ko) * 2000-12-21 2002-10-09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전기 기계 및 그 조립 방법
KR20030068416A (ko) * 2002-02-12 2003-08-21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라디오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접지구조를 구비한 모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7314A (ja) * 1998-12-28 2000-07-14 Mitsubishi Electric Corp 整流子モ―タ
KR20020041670A (ko) * 2000-11-28 2002-06-03 김민박,라이문트하이넨 차량 모터용 홀센서 결합구조
KR20020076328A (ko) * 2000-12-21 2002-10-09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전기 기계 및 그 조립 방법
KR20030068416A (ko) * 2002-02-12 2003-08-21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라디오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접지구조를 구비한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06303A (zh) 2008-01-16
KR20080007063A (ko) 2008-01-17
JP2008022659A (ja)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280B1 (ko) 모터
JP4774888B2 (ja) モータ
JP5354889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5186180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WO2006109714A1 (ja) モータ装置
CN111327142B (zh) 马达
CN109792187B (zh) 用于使电机的绕组与印刷电路板电接触的方法
KR102566067B1 (ko) 브러시 홀딩 부품 및 플러그 모듈을 포함한 전기 기계
AU2006326062B2 (en) Stator end disk for a commutator motor and corresponding commutator motor
JP5261159B2 (ja) モータ
KR101229459B1 (ko) 차량용 센서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753155B (zh) 马达
JP2006311639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モータ
JP3717496B2 (ja) 電動機
CN112564424A (zh) 汇流条单元和马达
CN108886295B (zh) 马达和马达的制造方法
KR101969889B1 (ko) 방수수단을 갖는 브러시리스 모터
JP4118552B2 (ja) 電子部品の保持構造及び電子部品の保持方法
KR101569432B1 (ko) 와이어리스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 유닛
CN110323899A (zh) 马达
JP2009254127A (ja) モータ
JP2010166680A (ja) 制御回路部材及びモータ
CN109327105B (zh) 连接器和具有连接器的马达
WO2023188591A1 (ja) 端子及び電動機
JP2019030144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た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