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900B1 - 재생 시스템과 재생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와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원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시스템과 재생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와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원격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900B1
KR100838900B1 KR1020027010107A KR20027010107A KR100838900B1 KR 100838900 B1 KR100838900 B1 KR 100838900B1 KR 1020027010107 A KR1020027010107 A KR 1020027010107A KR 20027010107 A KR20027010107 A KR 20027010107A KR 100838900 B1 KR100838900 B1 KR 100838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information
data
additio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3533A (ko
Inventor
마사까즈 하또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7Remotely controll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3Brakes for tapes or tape ree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2Synthesis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4Reels or cores; positioning of the reels in the casset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38Visual features other than those contained in record tracks or represented by sprocket holes the visual signals being auxiliary signals
    • G11B23/44Information for display simultaneously with playback of the record, e.g. photographic mat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13Frequency hopping
    • H04B2201/71346Blue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디스크 재생부(12) 및 인코더(13)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한 A/V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통신 패킷으로 함과 함께 해당 통신 패킷 내에 해당 재생 플레이어(1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패킷 처리부(14)를 구비하는 재생 플레이어(10)와, 수신부(24)가 수신한 통신 패킷으로부터 A/V 데이터와 함께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패킷 처리부(25)와, A/V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악 및/또는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21)와,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플레이어(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2)를 구비하는 리모콘(20)을 이용하여,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하는 재생 시스템을 구성한다. 사용자는 A/V 데이터를 재생하는 송신측의 장치의 상태를 원격 출력 기기에서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A/V, 통신 패킷, 용장 비트, 인코더, 부가 정보, 재생, 원격, 리모콘

Description

재생 시스템과 재생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와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원격 제어 방법{REPRODUCTION SYSTEM AND REPRODUCTION METHOD,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REMOTE CONTRO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시스템 및 재생 방법과,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송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악 및/또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와 음악 및/또는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를 구비한 재생 시스템 및 그와 같은 재생 시스템에서의 재생 방법과, 음악 및/또는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에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기기 사이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이하, A/V라고 칭함)의 데이터(이하, A/V 데이터라고 칭함)를 송수신하고,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시스템이 있다. 떨어져 있는 장소에 있는 A/V 기기를 조작하여, 가까운 모니터나 스피커로 콘텐츠를 수취하여 재생하는 시스템이 그 예이다. 이러한 떨어져 있는 장소에 있는 A/V 기기를 조작하는 기기(이하, 원격 출력 기기라고 칭함)로서는, 스피커 혹은 이어폰을 갖는 리모트 컨트롤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만의 경우, 비디오 데이터만의 경우도 있다.
통신에 패킷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송신측은 A/V 데이터를 인코드하여, 프레임으로 분할한다. 또한, 송신측은 분할한 개개의 프레임에,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헤더를 추가하여, 통신 패킷으로서 송신한다. 이것에 대응하여 수신측에서는, 수취한 통신 패킷으로부터 헤더를 제거하고, 제거한 남은 데이터 부분을 디코드하여 재생한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에 의해, 송신측에서 재생된 A/V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신측에서는 오디오 및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A/V 데이터 이외의 정보도 함께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음악을 플레이어로 재생하면서, 사용자가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원격 출력 기기로 플레이어의 상태를 알고자 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플레이어로서는, 소위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혹은 MD(Mini Disc) 등의 기록 매체를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알고 싶은 플레이어의 상태로서는, 플레이어가 재생 중인 곡의 타이틀, 곡의 연주 잔여 시간 혹은 플레이어의 내부 상태(예를 들면, 재생, 2 배속 재생, 정지, 일시정지 등)를 들 수 있다.
그러나, 통상, 이 기능은 A/V 데이터 이외의 통신을 병행하여 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서만 가능하다. 이 경우, A/V 데이터 이외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메카니즘을 별도로 정의하고, 그에 따라서 통신을 행한다. 또한, 2개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기에 실장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정의가 사전에 되어 있지 않은 A/V 데이터의 통신 프로토콜에만 대응하여 설계된 플레이어는 재생 중인 곡의 타이틀, 곡의 연주 잔여 시간 혹은 플레이어의 내부 상태 등의 정보를 실시간에 원격 출력 기기에 보낼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으로 A/V 데이터를 재생하는 송신측의 장치의 상태를 원격 출력 기기에 있어서 알 수 있는 재생 시스템 및 재생 방법과,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시스템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통신 패킷으로 함과 함께 해당 통신 패킷 내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패킷화 수단과, 패킷화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통신 패킷을 통신로 상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갖는 재생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재생 시스템은 통신로 상의 통신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 수단이 수신한 통신 패킷으로부터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수단과, 데이터 추출 수단이 추출한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악 및/또는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외부 출력 수단과, 데이터 추출 수단이 추출한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동작 수단을 갖는 외부 출력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재생 장치는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통신 패킷으로 할 때에, 패킷화 수단에 의해서 통신 패킷 내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고, 송신 수단에 의해서 패킷화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통신 패킷을 통신로 상에 송신한다. 외부 출력 장치는 수신 수단이 통신로 상에서 수신한 통신 패킷으로부터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부가 정보를 데이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하고, 데이터 추출 수단이 추출한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악 및/또는 영상을 외부 출력 수단이 외부로 출력하고, 또한 데이터 추출 수단이 추출한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수단이 동작한다.
즉, 재생 시스템은, 재생 중에 재생 장치로부터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의 송신용으로 사용하는 통신 패킷에 부가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재생 중에 송신되는 통신 패킷 내의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출력 장치의 동작 수단을 동작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방법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재생 장치에서 기록 매체로부터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통신 패킷으로 함과 함께 해당 통신 패킷 내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여, 통신 패킷을 통신로 상에 송신하는 재생 송신 공정과, 외부 출력 장치에서, 재생 송신 공정에서 통신로 상에 송신된 상기 통신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통신 패킷으로부터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부가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악 및/또는 영상을 외부로 출력함과 함께,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수단을 동작시키는 외부 출력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재생 방법에서는, 재생 중에 재생 장치로부터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의 송신용으로 사용하는 통신 패킷에 부가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재생 중에 송신되는 통신 패킷 내의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출력 장치의 동작 수단을 동 작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신 장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통신 패킷으로 할 때에 통신 패킷 내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패킷화 수단과, 패킷화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통신 패킷을 통신로 상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는,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통신 패킷으로 할 때에, 통신 패킷 내에 부가 정보를 패킷화 수단에 의해 삽입하고, 패킷화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통신 패킷을 통신로 상에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한다.
즉, 데이터 송신 장치는 통신 패킷에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에 부가 정보를 포함해서 송신하고, 외부 출력 장치는 송신되는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악 및/또는 영상을 외부로 출력함과 함께,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수단을 동작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상기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통신 패킷으로 할 때에 통신 패킷 내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패킷화 공정과, 패킷화 공정에서 출력된 상기 통신 패킷을 통신로 상에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 송신 방법에 의해, 데이터 송신 장치는, 통신 패킷에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에 부가 정보를 포함해서 송신하고, 외부 출력 장치는, 송신되는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악 및/또는 영상을 외부로 출력함과 함 께,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수단을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도시하는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재생 시스템의 재생 플레이어 및 리모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재생 시스템의 재생 플레이어와 리모콘 사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재생 플레이어의 패킷 처리부에서의 일련의 처리예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리모콘의 패킷 처리부에서의 일련의 처리예를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구체예는, 본 발명을 재생 전용의 재생 플레이어와, 이 재생 플레이어를 무선으로 원격 조작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이하, 리모콘이라고 칭함)를 구비한 재생 시스템, 특히 포터블 재생 시스템 혹은 휴대형 재생 시스템에 적용한 것이다.
본 구체예로서 제시한 재생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플레이어(10)와 리모콘(20)을 구비한다. 재생 플레이어(10)는, 이 시스템에 있어서 기록 매체가 장전되는 측의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재생 플레이어(10)는, 소형으로 휴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재생 플레이어(10)가 재생하는 기록 매체로서는, 음악이나 영상 데이터(A/V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를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위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혹은 MD(Mini Disc)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 또는 박형 대략 판 형상으로 된 반도체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리모콘(20)은 재생 플레이어(10)를 무선으로 원격 조작하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재생 플레이어(10)에서 재생한 음악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음악을 외부로 출력하는 외부 출력 기기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이 리모콘(20)은, 구체적으로는 외부 출력 수단으로서 헤드폰(21)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리모콘(20)은 리모콘이 장착된 헤드폰을 구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상술한 재생 플레이어(10)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부분을 구성하고, 이 리모콘(20)은 재생 플레이어(10)에서 재생되어 음악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악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성한다.
또한, 이 리모콘(20)은 표시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22)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부이다. 리모콘(20)은, 이 표시부(22)에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각종 정보로서는, 앨범의 타이틀 등의 정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앨범의 타이틀명은 TOC(Table of Contents) 데이터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리모콘(20)은 안테나(23)를 구비하여, 동일하게 안테나(11)를 구비한 재생 플레이어(10)와 음악 데이터 등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기 사이에서 행하는 무선에 의한 송수신 수단으로서는, 소위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들 수 있다. 블루투스는 복수의 기기 사이에서의 무선에 의한 디지털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송수신 수단이 이 블루투스에 한정되지 않은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재생 플레이어(10) 및 리모콘(20)을 구비한 재생 시스템에서는, 재생 플레이어(10)는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한 음악 데이터에 인코드(Encode), 통신 패킷화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안테나(11)를 통해 무선으로 리모콘(20)에 송신한다.
리모콘(20)으로부터는 재생 플레이어(10)가 기록 매체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재생 개시하는 등의 제어 신호가 송신된다. 리모콘(20)은 재생 플레이어(20)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안테나(23)를 통해 수신하여, 디코드(Decode)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헤드폰(21)으로부터 음악으로서 출력한다.
이러한 음악 시스템에서의 재생 형태는 종래부터 사용되어 온 것이지만, 본 발명이 적용된 재생 시스템에서는, 또한 리모콘(20)이 재생 플레이어(10)의 현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나 재생 플레이어(10)가 재생 중인 곡의 트랙 번호나 곡 의 타이틀, 혹은 곡의 연주 잔여 시간, 재생 시간 등의 정보(이하, 곡 재생 정보라고 칭함)를 실시간으로 표시부(22)에 표시할 수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여기서, 현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동작 상태 정보라고 칭함)로서는 재생 플레이어(10)의 내부 상태(예를 들면, 재생, 2 배속 재생, 정지, 일시정지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재생 시스템은, 사용자가 재생 플레이어(10)의 동작 상태나 곡의 재생 상황을 리모콘(20)에서 알 수 있다. 재생 시스템은 음악 재생 중에 재생 플레이어(10)로부터 해당 리모콘(20)에 항상 송신되는 음악 데이터의 통신 패킷에, 표시부(22)에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 등을 포함시킴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즉, 리모콘(20)에서는 재생 플레이어(10)로부터 송신된 음악 데이터를 이어폰(21)으로부터 출력함과 함께, 이 음악 데이터의 통신 패킷에 포함된 혹은 부가된 다른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부(22)에 표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되어, 실현되어 있는 부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재생 플레이어(10) 및 리모콘(20)의 회로 구성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재생 플레이어(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재생부(12), 인코더(13), 패킷 처리부(14), 정보 관리부(15) 및 송신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재생 플레이어(10)는 디스크 재생부(12) 등을 구비한 것으로, CD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이하, 단순히 디스크라고 칭함)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의 재생용으로서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리모콘(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부(24), 패킷 처리부(25), 디코더(26), 정보 관리부(27), 출력부(21) 및 상술한 표시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재생 플레이어(10)에 있어서, 디스크 재생부(12) 및 인코더(13)는 기록 매체로부터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구성하고, 패킷 처리부(14)는 이러한 재생 수단이 재생한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통신 패킷으로 할 때에, 통신 패킷 내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패킷화 수단을 구성하며, 송신부(16)는 패킷 처리부(14)로부터 출력된 통신 패킷을 통신로 상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리모콘(20)에 있어서, 수신부(24)는 통신로 상의 통신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구성하고, 패킷 처리부(25)는 수신부(24)가 수신한 통신 패킷으로부터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 출력부(21)는 패킷 처리부(25)가 추출한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악 및/또는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외부 출력 수단을 구성하고, 표시부(22)는 패킷 처리부(25)가 추출한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동작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하, 본 구체예로서 제시하는 재생 플레이어(10) 및 리모콘(20)의 각 구성부에 대하여, 재생 플레이어(10)에 의해 음악이 재생되고, 리모콘(20)에 의해 음악이 외부로 출력되기까지의 처리 수순을 설명한다.
재생 플레이어(10)에 있어서, 디스크 재생부(12)는 디스크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디스크 재생부(12)는 디스크로부터 TOC(Table of Contents) 데이터를 판독한다. TOC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앨범명, 각곡의 제목, 각곡의 연주 시간 등의 디스크에 기록된 음악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TOC 데이터는 후술하는 정보 관리부(15)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인코더(13)는 디스크 재생부(12)로부터 스트림으로서 판독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 등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코더(13)는 오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을 프레임으로서 분할하고, 필요에 따라서 프레임 헤더, 태그를 추가한다.
인코더(13)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MP3을 사용할 수 있다. MP3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 준거한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방법의 하나로서, 정식으로는 MPEG-1 Audio Layer3을 의미한다. 이 MP3의 압축 방식은, 「최소 가청 한계」와 「마스킹 효과」라는 인간의 청각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압축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예를 들면, MP3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일 포맷이 정의되어 있다. 파일(90)은 헤더(91), 오디오 데이터(92) 및 태그(Tag)(9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헤더(91)에는, 예를 들면 코덱(CODEC)의 종류(예를 들면, MPEG Audio 중에서, 더 세세하게 분류된 종류), 비트레이트, 샘플링 주파수 및 채널 모드(예를 들면, 스테레오나 모노럴 등의 모드) 등의 인코드 방식에 관련되는 코덱 정보 등이 저장된다. 또한, 태그(93)에는 곡명, 아티스트명, 앨범명, 년 및 장르 등의 TOC 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MP3에서는 파일(90)의 오디오 데이터를 시간마다 구획하고, 그 하나 하나를 패킷화한 것을 MPEG 오디오 프레임(100)으로서, 프레임 포맷을 정의하고 있다.
프레임 헤더(101)에는, 파일(90)의 헤더(91)와 마찬가지로, 해당 프레임(100)의 정보가 들어 간다. 예를 들면, 프레임 내의 길이의 정보도 포함된다. 또한, 프레임 헤더(101)에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프라이빗 비트(Private Bit)도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인코더(13)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102)에 대하여 부가되는 정보는, 정보 관리부(15)로부터 얻은 정보이다. 정보 관리부(15)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정보 관리부(15)는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TOC 데이터의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또한, 이 정보 관리부(15)는 TOC 데이터 외에, 이 재생 플레이어(1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나 현재 재생하고 있는 트랙의 번호 등의 곡 재생 정보도 관리하고 있다. 동작 상태 정보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 플레이어(10)의 재생, 일시 정지 혹은 빨리 감기 등의 정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 관리부(15)에 의해 관리되는 동작 상태 정보나 곡 재생 정보 등의 관리 정보는, 이 재생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실현되는 것으로, 이 관리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단독의 정보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정보 관리부(15)는 관리하고 있는 각종 정보를 후술하는 패킷 처리부(14)에 공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관리부(15)는 동작 상태 정보 및 곡 재생 정보를 패킷 처리부(14)에 송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정보 관리부(15)는 패킷 처리부(14)로부터 요구된 타이밍에서 이들 정보를 출력하고 있다.
인코더(13)는 디스크로부터 판독한 오디오 데이터를 분할하여, 상술한 프레임 포맷에 준거한 프레임으로서, 패킷 처리부(14)에 출력한다.
패킷 처리부(14)는 인코더(13)로부터 받은 프레임에 대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헤더를 부가하는 것에 주된 기능을 갖는다. 부가하는 헤더의 종류는, 통신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의존하여 결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IP) 상의 실시간 스트리밍의 경우, 프로토콜은 RTP(Real Time Transport Protcol)/UDP(User Datagram Protocol)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 스트리밍이란, 데이터의 인코드 혹은 디코드를 행하면서, 그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다.
패킷 처리부(14)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코더(13)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여기서는, 프레임 데이터)(100)에 대하여, UDP 헤더(111) 및 RTP 헤더(112)를 부가하여, 통신 패킷(110)을 생성한다.
여기서, RTP 헤더(112)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측이 올바른 순서와 타이밍에서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비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된다. 즉, 보조적인 헤더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RTP 헤더(112)에는 페이로드 타입, 순서 번호(재생해야 할 순서) 및 타임 스탬프(재생하는 시각)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페이로드 타입은 데이터로서 포함하는 코덱의 종별, MPEG Audio, PCM(Pulse Code Modulation) Audio, 혹은 소위 G. 721 등이다. 또한, RTP 헤더(112)에는 사 용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마커 비트(Marker Bit)도 포함되어 있다.
UDP 헤더(111)는, 인터넷 프로토콜 상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불가결한 헤더이고, 구체적으로는 UDP 헤더(111)에는 송신원 데이터(121), 송신처 데이터(122), 총 데이터 길이(123), 체크섬(124)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총 데이터 길이(123)는 UDP 헤더(111) 이후의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체크섬(124)은 통신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는지를, 통신 패킷 수신측에서 체크하기 위한 정보이다.
패킷 처리부(14)는 이 UDP 헤더(111) 및 RTP 헤더(112)를 인코더(13)로부터 출력된 프레임 데이터(100)에 부가함과 함께, 또 하나의 처리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100) 다음에 계속하여 부가 정보(113)를 부가한다.
여기서, 패킷 처리부(14)가 프레임 데이터(100)에 부가하는 부가 정보(113)가 재생 플레이어(1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이고, 정보 관리부(15)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프레임 데이터(100) 다음에 부가되는 부가 정보의 구체적 양태는, 부가 정보 길이(1131), 그 이후를 헤더를 포함하는 데이터(1132)로 한다.
예를 들면, 이 부가 정보(113)는 리모콘(20)의 표시부(22)에 표시되는 정보이고, 재생 플레이어(10)가 현재 재생 중인 곡의 트랙 번호, 곡의 타이틀, 곡의 연주 잔여 시간, 혹은 플레이어의 내부 상태(예를 들면, 재생, 2배속 재생, 정지, 일시 정지 등)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재생 플레이어(10)는 프레임 데이터(100)에 대하여 부가 정보(113)를 부가한 경우에는 그 부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도 컨트롤러(20)에 보내고 있다. 이 경우, 재생 플레이어(10)는, 예를 들면, 프레임 헤더(101) 내의 용장 비트인 프라이빗 비트(Private Bit), 혹은 RTP 헤더(112) 내의 용장 비트인 마커 비트(Marker Bit)를 사용한다.
여기서, 프라이빗 비트(Private Bit)를 사용하여 부가 정보의 유무를 알리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을 임플리먼트할 때에, 이러한 상호 협정을 행해 둔다. 이에 따라, 수신측에서는 부가 정보의 유무를 알리는 정보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사전에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라이빗 비트가 "1"인 경우, 부가 정보가 있는 것으로 하고, "0"이면 부가 정보가 없는 것으로 한다는 상호 협정을 한다. 즉, 수신측에서는 프라이빗 비트가 "1"이면, 프레임 데이터(100)에 계속해서, 부가 데이터 길이(1131) 및 헤더를 포함하는 데이터(1132)라는 부가 정보(113)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패킷 처리부(14)는, 단계 S1에서, 인코더(13)로부터 프레임 데이터(100)의 송신이 있었는지를 판별하고, 인코더(13)로부터 프레임 데이터(100)가 공급된 경우, 단계 S2에서, 우선 UDP 헤더(111) 및 RTP 헤더(112)를 프레임 데이터(100)에 부가한다.
다음에, 패킷 처리부(14)는 단계 S3에서, 프레임 데이터(100) 다음에 부가할 부가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프레임 다음에 부가할 부가 정보가 없는 경우, 패킷 처리부(14)는, 단계 S6로 스킵하여, UDP 패킷의 총 데이터 길이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는, 패킷 처리부(14)는 RTP 헤더(112) 및 프레임 데이터(100)의 데이터 길이의 합을 계산한다.
또한, 단계 S3에서 프레임 다음에 부가할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패킷 처리부(14)는 단계 S4로 진행하여 부가 정보(정보 데이터)를 부가한다. 구체적으로는, 패킷 처리부(14)는 부가 정보로서 정보 관리부(15)에서 관리되고 있는 정보 중, 리모콘(20)에 송신하여야 할 정보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데이터(100) 다음에 부가한다. 부가 정보는, 프레임 데이터(100) 다음에 부가되고, 부가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부가 데이터 길이(1131)에 후속하여, 실제의 정보(1132)가 부가되어 있다.
계속되는 단계 S5에서, 패킷 처리부(14)는 프레임 헤더(101) 중의 프라이빗 비트를 설정한다. 즉, 부가 정보가 프레임 데이터 다음에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 플래그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통신 패킷(110)의 수신측인 리모콘(20)에서는 프레임 데이터(100) 다음에 부가된 부가 정보(113)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부가 정보의 유무를 알리는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소위 리저브 비트인 프라이빗 비트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영역에 설정되거나 혹은 데이터 형성의 다른 단계에서 설정된 리저브 비트인 마커 비트를 사용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패킷 처리부(14)를 거쳐서, 통신 패킷이 형성된다. 재생 플레이어(10)는, 이와 같이 생성된 통신 패킷을 안테나(11)를 포함하는 송신부(16)를 통해, 실제의 통신로로 송출한다. 블루투스를 채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송신부(16)는 이에 대응한 기저 대역 처리 및 RF 처리 등을 실시한다.
한편, 리모콘(20)에서는, 재생 플레이어(10)로부터의 전파가 안테나(23)를 포함하는 수신부(24)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부(24)에서는 수신한 신호를 복조 처리한다. 이에 따라, 수신부(24)에서 재생 플레이어(10)의 패킷 처리부(14)로 생성한 통신 패킷과 동일한 형태의 데이터가 복원된다. 그 후, 수신부(24)는, 복조 처리한 데이터를 후단의 패킷 처리부(25)에 출력한다.
패킷 처리부(25)는, 수신한 통신 패킷으로부터 프레임 데이터(혹은 오디오 프레임이라고도 함) 및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패킷 처리부(25)는, 추출한 프레임 데이터를 디코더(26)에 출력한다. 또한, 패킷 처리부(25)는, 추출한 부가 정보를 정보 관리부(27)에 출력한다.
도 5는 패킷 처리부(25)에서의 일련의 처리 수순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패킷 처리부(25)는, 단계 S11에 있어서, 통신 패킷의 수신이 있었는지를 판별한다. 수신부(24)로부터 통신 패킷을 받은 경우, 단계 S12에서 통신 패킷의 헤더를 체크한다. 구체적으로는, 패킷 처리부(25)는 UDP 헤더(111)에 저장되어 있는 총 데이터 길이(123) 및 체크섬(124)과, 그에 후속하는 RTP 헤더(112), 프레임 데이터(100) 및 부가 정보(113)를 비교하여, 통신이 정확하게 행해졌는지를 조사한다.
다음에, 패킷 처리부(25)는 RTP 헤더(112)의 순서 번호를 조사하여, 프레임 데이터(100)를 디코더(126)로 재생할 때에 올바른 순서대로 되도록, 수신한 통신 패킷을 재배열한다.
또한, 패킷 처리부(25)는 RTP 헤더(112)의 페이로드 타입을 조사하고, 그에 따라 프레임 헤더(101)를 해석한다. 이에 따라, 패킷 처리부(25)는 페이로드 타입이 MPEG Audio이면, MPEG Audio의 프레임 헤더(101)가 RTP 헤더(112) 다음에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그에 대응한 처리를 행한다.
패킷 처리부(25)는 단계 S13에서, 부가 정보의 유무를 조사한다. 구체적으로는, 패킷 처리부(25)는 사전에 결정된 상호 협정에 기초하여, 프레임 헤더(101)의 프라이빗 비트의 상태를 조사하고, 프라이빗 비트가 "1"인 경우에는 부가 정보가 있고, "0"인 경우에는 부가 정보가 없다고 판별한다.
프라이빗 비트가 "1"이 되어 부가 정보가 있다고 한 경우, 패킷 처리부(25)는 단계 S14에서, 프레임 데이터(100)로부터 부가 정보(113)를 추출한다.
이 부가 정보(113)의 추출 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패킷 처리부(25)는 우선, 프레임 헤더(101)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RTP 헤더(112)에 후속하는 프레임 데이터(100)의 길이를 계산한다. 이에 따라, 부가 정보의 개시 위치가 구해진다. 부가 정보의 길이는 UDP 헤더(111)에 저장되어 있는 총 데이터 길이(데이터)(123)로부터 프레임 데이터(100)의 데이터 길이와 RTP 헤더(112)의 데이터 길이와의 합을 뺀 차로서 구해진다.
이에 따라, 통신 패킷(110) 내에서의 부가 정보(113)의 위치와, 그 데이터 길이의 특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 데이터(100)로부터의 부가 정보(113)의 추출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패킷 처리부(25)는 얻은 부가 정보(113)를 정보 관리부(27)에 출력하고 있다.
또한, 패킷 처리부(25)는 부가 정보(113)를 추출한 후, RTP 헤더(112)와 프레임 데이터로 구성되는 남은 데이터 부분으로부터 RTP 헤더(112)를 제거하여, 오디오 프레임인 프레임 데이터(100)를 추출한다. 패킷 처리부(25)는 얻은 프레임 데이터(100)를 디코더(26)에 출력한다.
디코더(26)는 프레임 데이터(100)를 디코드하여, 출력부(21)에 출력한다. 헤드폰(21) 등의 음성 출력 수단인 출력부(21)는 디코더(26)에 의해서 디코드된 음악을 외부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정보 관리부(27)에는 부가 정보, 곡 정보 등이 입력된다. 표시부(22)로부터는 정보 관리부(27)에서 관리되는 정보가 출력된다.
예를 들면, 표시부(22)에는 재생 중인 앨범명, 곡의 제명 및 곡의 연주 시간 등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22)에는 곡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재생 중인 곡의 트랙 번호, 곡의 타이틀, 혹은 곡의 연주 잔여 시간 등이 표시된다. 또한,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2 배속 재생, 정지, 혹은 일시 정지 등의 재생 플레이어(10)의 동작 상태가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또, 수신측인 리모콘(20)에 부가 정보의 유무를 알리기 위해서, 프레임 헤더(102), 혹은 RTP 헤더(112)의 리저브 비트를 사용하는 점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리모콘(20)은 리저브 비트를 사용하지 않고 부가 정보의 유무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리모콘(20)의 패킷 처리부(25)에서, UDP 헤더(111) 등의 통신 패킷 헤더에 포함되는 총 데이터 길이(데이터)(123)와, 프레임 데이터(100)의 프레임 헤더(101)에 포함되는 데이터로부터 계산되는 프레임 길이(데이터)의 차분을 조사하도록 한다. 이 차분 결과는, 부가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패킷 처리부(25)는 리저브 비트를 사용하지 않고, 필요한 데이터 길이의 차분을 조사하여 부가 정보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패킷 처리부(25)는 검출한 부가 정보의 유무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부가 정보의 추출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재생 시스템은 재생 플레이어(10)에서 재생한 음악을 리모콘(20)의 이어폰(21)으로부터 출력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표시부(22)에 재생 중인 곡명을 표시하고, 또한 재생 플레이어(10)에서의 동작 상태 정보나 곡 재생 정보를 실시간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생 시스템은 재생 플레이어(10)로부터 음악 데이터와 함께 부가 정보를 보냄으로써, 수신측인 리모콘(20)에 있어서, 재생 중인 곡의 트랙 번호, 곡의 타이틀, 연주 잔여 시간 등, 나아가서는 재생 플레이어(10)의 동작 상태(재생, 2배속 재생, 정지, 일시정지 및 빨리 감기 등)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재생 시스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하고자 하는 정보가 음악 데이터의 프레임 내 또는 송신 시에 부가하는 헤더에 정의되어 있지 않아도, 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이 재생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데이터 송신을 위한 프레임이나 송신 시에 부가하는 헤더가 정의된 후에 제공된 경우(이러한 경우가 오히려 일반적이지만)에, 본 발명은 특히 유효하다.
또한, 재생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이 적용된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전제로서, 프레임 데이터에 헤더를 추가하여 통신 패킷화할 때에 정보를 부가하거나 부가 정보의 부가 방법의 포맷을 정해두는 것 등이 조건으로 되지만, 기본적인 통신 프로토콜의 변경, 프레임 및 통신 패킷 헤더의 포맷의 변경, 인코더(13)나 디코더(26)에서의 기본 기능의 변경 등을 행하지 않고 부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재생 시스템은 수속이나 장치의 구조를 복잡화하지 않고, 재생 플레이어(10)에서의 동작 상태 정보나 곡 재생 정보를 리모콘(20)의 표시부(22)에 표시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리모콘(20)의 이어폰(21)으로부터 음악을 외부로 출력할 때에는, 재생 플레이어(10)로부터 리모콘(20)에 대하여 프레임 데이터(100)가 통신 패킷(110)으로서 항상 송신되고, 이 프레임 데이터(100)에 대하여 부가 정보(113)를 부가하고 있다. 즉, 프레임 데이터(100)에 대하여, 부가 정보를 항상 부가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부가 정보의 부가를 필요할 때에만 행하도록 해도 된다. 즉, 곡의 재생 중의 일련의 통신 처리 중에, 재생 플레이어(10)로부터 리모콘(20)에 부가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와, 송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리모콘(20)은 부가 정보를 항상 판독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구체예에서는, 음악을 재생하는 재생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음악의 재생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은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영상, 영상 및 음악을 취급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시스템, 기록 및 재생을 하는 기록 재생 시스템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구체예에서는 프로토콜로서 MPEG 등이 이미 적용되어 있는 방식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통신에 대해서는 블루투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다른 프로토콜이나 통신 방식을 채용하는 장치 혹은 시스템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구체예에서는 부가 정보가 재생 플레이어(10)에서의 재생이나 일시정지 등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예를 들면 부가 정보는 적어도 재생 플레이어(10)에 있어서 취득 가능한 정보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부가 정보는, 이 재생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해서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단독의 정보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시스템에 따르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재생한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통신 패킷으로 함과 함께, 해당 통신 패킷 내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여 송신하고, 외부 출력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음악 및/또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악 및/또는 영상을 외부로 출력할 뿐만 아니라, 통신 패킷에 삽입된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수단을 동작시킬 수 있다.

Claims (48)

  1.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패킷화하여 통신 패킷으로 함과 함께, 해당 통신 패킷 내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패킷화 수단과, 상기 패킷화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통신 패킷을 통신로 상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재생 장치와,
    상기 통신로 상의 상기 통신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통신 패킷으로부터 상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수단과, 상기 데이터 추출 수단이 추출한 상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음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출력하는 외부 출력 수단과, 상기 데이터 추출 수단이 추출한 상기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동작 수단을 구비하는 외부 출력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가, 상기 재생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재생 장치가 현재 재생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단은 외부에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 표시 수단이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동작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재생 장치가 현재 재생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장치는, 적어도 상기 재생 장치의 재생 제어를 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장치는, 상기 통신 패킷 내에서의 사용자 사용이 허가되어 있는 용장 비트를 사용하여 상기 부가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고,
    상기 외부 출력 장치는, 상기 통신 패킷의 상기 용장 비트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의 유무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화 수단은, 상기 통신 패킷 내의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부가 정보와의 총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길이 정보를 해당 통신 패킷 내에 삽입하고,
    상기 데이터 추출 수단은, 상기 통신 패킷 내의 상기 데이터 길이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총 데이터 길이로부터의 상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정보의 유무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총 데이터 길이 정보가 상기 통신 패킷의 헤더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8. 재생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하고, 상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패킷화하여 통신 패킷으로 함과 함께, 해당 통신 패킷 내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통신 패킷을 통신로 상에 송신하는 재생 송신 공정과,
    외부 출력 장치에 의해, 상기 재생 송신 공정에서 통신로 상에 송신된 상기 통신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통신 패킷으로부터 상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음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출력함과 함께, 상기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수단을 동작시키는 외부 출력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가, 상기 재생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재생 장치가 현재 재생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10.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음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출력함과 함께,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수단을 동작시키는 외부 출력 장치에 대하여, 상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상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패킷화하여 통신 패킷으로 함과 함께 해당 통신 패킷 내에 상기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패킷화 수단과,
    상기 패킷화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통신 패킷을 통신로 상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동작에 관한 동작 상태 정보 및 현재 재생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단은 외부에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 표시 수단이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재생 장치가 현재 재생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장치가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적어도 상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재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장치가, 상기 통신 패킷의 상기 용장 비트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의 유무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추출 수단에 의해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하고 있고,
    상기 통신 패킷 내에서의 사용자 사용이 허가되어 있는 용장 비트를 사용하여 상기 부가 정보가 유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장치가, 상기 통신 패킷 내의 상기 데이터 길이 정보가 나타내는 총 데이터 길이로부터의 상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정보의 유무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하고 있고,
    상기 패킷화 수단은, 상기 통신 패킷 내의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부가 정보와의 총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길이 정보를 해당 통신 패킷 내에 삽입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총 데이터 길이 정보가 상기 통신 패킷의 헤더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17.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음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출력함과 함께,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수단을 동작시키는 외부 출력 장치에 대하여, 상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재생 장치에 의해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상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패킷화하여 통신 패킷으로 함과 함께 해당 통신 패킷 내에 상기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패킷화 공정과,
    상기 패킷화 공정에서 출력된 상기 통신 패킷을 통신로 상에 송신하는 송신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8.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의 재생과 관련된 관리 정보를 통신로 상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재생 장치와,
    적어도 상기 재생 장치의 재생 제어를 무선으로 원격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통신로 상의 상기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관리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원격 제어 장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재생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재생 장치가 현재 재생하고 있는 상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정보는 재생, 2배속 재생, 정지, 일시정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재생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재생중인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의 트랙 번호, 타이틀, 재생 잔여 시간,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기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23.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장치의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관리 정보와 함께 상기 재생된 상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송신하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해 수신한 상기 패킷화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재생된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악 또는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외부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와 함께 패킷화된 상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는 MPEG 형식을 이용하여 압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25. 기록 매체로부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용의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재생 장치의 재생 제어를 무선으로 원격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의 재생과 관련된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관리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 출력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재생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재생 장치가 현재 재생하고 있는 상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정보는 재생, 2배속 재생, 정지, 일시정지를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재생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재생 중인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의 트랙 번호, 타이틀, 재생 잔여 시간,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29.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블루트스 방식으로 상기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30.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장치는 상기 관리 정보와 함께 상기 재생된 상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송신하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해 수신한 상기 패킷화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재생된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악 또는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외부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와 함께 패킷화된 상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는 MPEG 형식을 이용하여 압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32. 재생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로부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의 재생과 관련된 관리 정보를 통신로 상에 송신하는 재생 송신 단계와,
    원격 장치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재생 장치의 재생 제어를 무선으로 원격 제어하고, 상기 통신로 상의 상기 관리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관리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재생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재생 장치가 현재 재생하고 있는 상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재생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재생 중인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의 트랙 번호, 타이틀, 재생 잔여 시간,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35. 기록 매체로부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용의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재생 장치의 재생 제어를 무선으로 하는 원격 제어하는 제어 단계와,
    상기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의 재생과 관련된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관리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재생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재생 장치가 현재 재생하고 있는 상기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재생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재생 중인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의 트랙 번호, 타이틀, 재생 잔여 시간,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3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단은 외부에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 표시 수단이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동작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재생 장치가 현재 재생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3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장치는, 적어도 상기 재생 장치의 재생 제어를 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4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장치는, 상기 통신 패킷 내에서의 사용자 사용이 허가되어 있는 용장 비트를 사용하여 상기 부가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고,
    상기 외부 출력 장치는, 상기 통신 패킷의 상기 용장 비트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의 유무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4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장치는, 상기 통신 패킷 내의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부가 정보와의 총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길이 정보를 해당 통신 패킷 내에 삽입하고,
    상기 외부 출력 장치는, 상기 통신 패킷 내의 상기 데이터 길이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총 데이터 길이로부터의 상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정보의 유무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총 데이터 길이 정보가 상기 통신 패킷의 헤더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4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가, 상기 재생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동작 상태 정보 및 상기 재생 장치가 현재 재생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단은 외부에 정보를 표시 출력하는 표시 수단이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동작 상태 정보 또는 상기 현재 재생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표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장치는, 적어도 상기 재생 장치의 재생 제어를 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장치는, 상기 통신 패킷 내에서의 사용자 사용이 허가되어 있는 용장 비트를 사용하여 상기 부가 정보의 유무를 나타내고,
    상기 외부 출력 장치는, 상기 통신 패킷의 상기 용장 비트로부터 상기 부가 정보의 유무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화 공정에서는, 상기 통신 패킷 내의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부가 정보와의 총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길이 정보가 해당 통신 패킷 내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 출력 장치는, 상기 통신 패킷 내의 상기 데이터 길이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총 데이터 길이로부터의 상기 음악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정보의 유무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총 데이터 길이 정보가 상기 통신 패킷의 헤더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KR1020027010107A 2000-12-07 2001-12-06 재생 시스템과 재생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와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원격 제어 방법 KR100838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73007 2000-12-07
JP2000373007A JP4341175B2 (ja) 2000-12-07 2000-12-07 再生システム及び再生方法、並びに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送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533A KR20020073533A (ko) 2002-09-26
KR100838900B1 true KR100838900B1 (ko) 2008-06-16

Family

ID=1884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107A KR100838900B1 (ko) 2000-12-07 2001-12-06 재생 시스템과 재생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와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원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80396B2 (ko)
EP (1) EP1341178A4 (ko)
JP (1) JP4341175B2 (ko)
KR (1) KR100838900B1 (ko)
WO (1) WO2002047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1086B2 (ja) * 2002-11-01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ストリーミングシステム及びストリーミング方法、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データ復号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179688A (ja) 2002-11-22 2004-06-24 Canon Inc 再生装置および記録装置
US20040247138A1 (en) * 2003-06-03 2004-12-09 Randall Wang Audio/video remote control with built-in earphone system
US11650784B2 (en) 2003-07-28 2023-05-16 Sonos, Inc. Adjusting volume levels
US8290603B1 (en) 2004-06-05 2012-10-16 Sonos, Inc. User interfaces for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groupings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8234395B2 (en) 2003-07-28 2012-07-31 Sonos,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11106425B2 (en) 2003-07-28 2021-08-31 Sonos, Inc.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11106424B2 (en) 2003-07-28 2021-08-31 Sonos, Inc.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9207905B2 (en) 2003-07-28 2015-12-08 Sono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ynchrony group status information
US11294618B2 (en) 2003-07-28 2022-04-05 Sonos, Inc. Media player system
US9977561B2 (en) 2004-04-01 2018-05-22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provide guest access
KR100608056B1 (ko) * 2004-06-05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 재생 방법, 생성 장치,생성 방법, 및 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한 저장 매체
US7430158B1 (en) 2004-12-13 2008-09-30 Chris Tanner Music player with adjustable pitch controller
JP4859925B2 (ja) * 2005-08-30 2012-01-2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オーディオ信号デ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US8265617B2 (en) 2007-04-10 2012-09-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dia transfer and control system
US7881744B2 (en) 2007-04-10 2011-02-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dia transfer and control system
US9888115B2 (en) 2013-02-28 2018-02-06 Lennard A. Gumaer Media device and method of using a media device
KR20150068828A (ko) * 2013-12-12 201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8566A (ja) * 1988-02-03 1989-08-10 Kubo Gijutsu Jimusho:Kk 焦電セラミック保健治療触身物と製法
WO1999009718A1 (fr) * 1997-08-15 1999-02-25 Sony Corporation Emetteur de donnees, procede de reproduction de donnees et procede de transfert de l'emetteur de donnees
JPH11213639A (ja) * 1997-08-06 1999-08-06 Sony Corp 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00209280A (ja) * 1999-01-12 2000-07-28 Sony Corp 信号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890A (ja) 1990-05-11 1992-01-23 Sony Corp 無線伝送式の音声信号再生装置
NL9002114A (nl) * 1990-09-19 1992-04-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eeldopslagsysteem.
JP3326675B2 (ja) 1996-03-07 2002-09-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フロー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JP3824699B2 (ja) * 1996-03-15 2006-09-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その記録装置及び方法、その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WO1997039451A1 (fr) * 1996-04-12 1997-10-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que optique multimedia contenant des titres d'images de sorte qu'il soit possible de determiner instantanement si des fonctions av sont necessaires pour leur reproduction, appareil et procede pour reproduire ceux-ci
US6199076B1 (en) * 1996-10-02 2001-03-06 James Logan Audio program player including a dynamic program selection controller
JP3655433B2 (ja) * 1997-06-20 2005-06-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JPH1198566A (ja) * 1997-09-19 1999-04-09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ならびに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無線伝送装置
US6788710B1 (en) * 1998-03-19 2004-09-07 Thomson Licensing S.A. Auxiliary data insertion in a transport datastream
JPH11296997A (ja) * 1998-04-10 1999-10-29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KR100267731B1 (ko) * 1998-06-23 2000-10-16 윤종용 고속 검색이 가능한 브이씨알
US6687308B1 (en) * 1999-01-12 2004-02-03 Sony Corporat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EP1021048A3 (en) * 1999-01-14 2002-10-02 Kabushiki Kaisha Toshiba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and its recording medium
JP3376314B2 (ja) * 1999-05-12 2003-02-10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映像情報媒体、デジタル映像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デジタル映像情報処理方法
WO2001002183A1 (fr) * 1999-07-05 2001-01-11 Sony Corporation Systeme et procede d'impression de donnees, et support d'enregistrement
JP2004088619A (ja) * 2002-08-28 2004-03-18 Sony Corp 符号列暗号化方法、装置および暗号解除方法、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7926080B2 (en) * 2002-11-07 2011-04-12 Microsoft Corporation Trick mode support for VOD with long intra-frame interva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8566A (ja) * 1988-02-03 1989-08-10 Kubo Gijutsu Jimusho:Kk 焦電セラミック保健治療触身物と製法
JPH11213639A (ja) * 1997-08-06 1999-08-06 Sony Corp 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WO1999009718A1 (fr) * 1997-08-15 1999-02-25 Sony Corporation Emetteur de donnees, procede de reproduction de donnees et procede de transfert de l'emetteur de donnees
JP2000209280A (ja) * 1999-01-12 2000-07-28 Sony Corp 信号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533A (ko) 2002-09-26
WO2002047087A1 (fr) 2002-06-13
JP2002175087A (ja) 2002-06-21
EP1341178A1 (en) 2003-09-03
JP4341175B2 (ja) 2009-10-07
US20030118158A1 (en) 2003-06-26
EP1341178A4 (en) 2006-06-07
US7680396B2 (en) 201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900B1 (ko) 재생 시스템과 재생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와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와 원격 제어 방법
KR100709484B1 (ko) 컨텐츠 수신기 및 컨텐츠 송신기
CN102216873B (zh) 用于再现媒体内容的系统
KR101320756B1 (ko) 재생 장치, 재생 방법, 프로그램
EP28021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content
KR100800716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동영상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송수신 장치에서의 동영상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7970602B2 (en) Data reproduction device
US20060029139A1 (en) Data transmission synchronization scheme
KR20100087715A (ko) 미디어 전송 스트림에서의 햅틱 효과 데이터의 동기화
EP1379051B1 (en) Data send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a defect-free data transmission
WO2013114939A1 (ja) 生成装置、再生装置、データ構造、生成方法、再生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8015469A (ja) 音楽データに文字データを埋め込んだ複合音響信号を再生する文字データ再生装置
JP2004320394A (ja) デジタル放送送信システム,デジタル放送の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再生方法
JP2009033649A (ja) コンテンツ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データ送信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受信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送信方法、コンテンツデータ受信処理方法
JPH1173729A (ja) 記録再生装置
KR100609173B1 (ko) Aac복호화 방법
CN114448955B (zh) 一种数字音频网络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6050387A (ja) 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
JP2003110646A (ja) 伝送システム、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
KR20020028825A (ko)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JP2000041011A (ja) 情報出力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4654798B2 (ja) セクション分散方法
KR101233169B1 (ko) 방송 미디어 재생시간 산출 방법과 그를 위한 단말기
JP2003125018A (ja) 伝送システム、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
JP2005285298A (ja) Av装置、avシステムおよびav装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