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828A -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828A
KR20150068828A KR1020130154943A KR20130154943A KR20150068828A KR 20150068828 A KR20150068828 A KR 20150068828A KR 1020130154943 A KR1020130154943 A KR 1020130154943A KR 20130154943 A KR20130154943 A KR 20130154943A KR 20150068828 A KR20150068828 A KR 20150068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udio
unit
sig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선화
웬바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828A/ko
Priority to US14/334,891 priority patent/US20150172766A1/en
Publication of KR2015006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복수 개로 분할된 화면 각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복수 개의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선택된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음성이 출력되도록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예컨대 하나의 화면에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멀티뷰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컨텐츠에 대하여는 음성을 출력하고, 나머지 컨텐츠에 대하여는 표시화면에 음성정보를 표시하려는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멀티윈도우(multivindow)는 화면을 복수의 영역(window)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 서로 다른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기능으로서, 일상적인 사무작업에서 테이블 위에 복수의 서류를 펼쳐 놓은 상태를 모델화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상에 복수의 영상을 구현시키는 것을 의도하여 고안된 것이다.
이러한 멀티윈도우가 TV에 적용된 경우, 가령 사용자는 TV 스피커로 송출하기 위한 음성 소스를 임의로 선택한다. 사용자는 여러 화면을 동시에 보고 있지만, 한 순간에 하나의 음성 데이터를 들을 수 있으며, 다른 화면의 음성 정보를 알고자 할 경우 해당 화면을 선택하여 음성을 출력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멀티윈도우 환경에서 사용자는 TV가 물리적으로 하나의 스피커만을 가지므로 듣고자 하는 음성 정보에 대한 소스를 선택해야만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멀티윈도우 환경 하에서 자신이 원하는 채널의 음성 정보를 듣기 위하여 해당 화면을 일일이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제품에 대한 고객의 욕구가 다양화되면서 제품의 수요 증대를 위하여 고객에게 맞춤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컨대 하나의 화면에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멀티뷰가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컨텐츠에 대하여는 음성을 출력하고, 나머지 컨텐츠에 대하여는 표시화면에 음성 정보를 표시하려는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복수 개로 분할된 화면 각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 개의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된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음성이 출력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상기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면은 상기 선택된 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화면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를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상기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 상기 분리한 비디오신호 및 상기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상기 분리한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디코딩한 비디오신호를 스케일링하며, 상기 스케일링한 비디오신호에 상기 부가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비디오처리부, 및 상기 디코딩한 오디오신호를 스케일링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로 제공하는 오디오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방송신호로서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일부 컨텐츠 이외의 나머지 컨텐츠를 상기 방송신호 이외의 영상신호로서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방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튜닝하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방송신호와 다른 종류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입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각각의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음성정보를 포함한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뉴화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근거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선택 경로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GUI 생성부는 상기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부가정보가 있는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여 표시할지를 알리는 메시지를 추가로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고자 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한 임의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정보가 있는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기 위하여 수신되는 컨텐츠를 재탐색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컨텐츠들에 대한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력정보를 근거로 상기 변경을 위한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음성을 분석하여 문자화하는 음성 문자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문자화부에서 생성된 문자를 상기 음성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은 디스플레이부가, 복수 개로 분할된 화면 각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음향 출력부가, 상기 선택된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이 출력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상기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면은 상기 선택된 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화면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영상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신호를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상기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상기 비디오신호 및 상기 오디오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한 비디오신호를 스케일링하며, 상기 스케일링한 비디오신호에 상기 부가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한 오디오신호를 스케일링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방송신호로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일부 컨텐츠 이외의 나머지 컨텐츠를 상기 방송신호 이외의 영상신호로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신호 및 상기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신호로서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신호로서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입력단자를 통해 상기 방송신호와 다른 종류의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각각의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화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가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부가정보가 있는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여 표시할지를 알리는 메시지를 추가로 생성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고자 할 때, 상기 변경한 임의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정보가 있는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기 위하여 수신되는 컨텐츠를 재탐색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컨텐츠들에 대한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력정보를 근거로 상기 변경을 위한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상기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를 분석하여 문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화하여 생성된 문자를 상기 음성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방법은, 디스플레이부상의 복수 개로 분할된 화면 각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화면 중 음성 출력을 위해 선택된 하나의 화면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상기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음성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가 있는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표시방법은, 상기 음성정보가 없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상기 음성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영상표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방법은, 디스플레이부상의 복수 개로 분할된 화면 각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화면 중 음성 출력을 위해 선택된 하나의 화면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상기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음성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가 있는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3A 내지 도 3B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화면 구성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분할된 화면에 캡션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B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화면 구성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분할된 화면에 캡션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시스템(90)은 영상표시장치(100), 통신망(110) 및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장치(120_1, 120_2)를 포함하며, 셋탑 박스(Set-Top Box)와 같은 영상중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영상표시장치이거나, OLED와 같은 자발광 표시장치, 또는 LCD 장치와 같은 수광형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물론 TV가 아닌 컴퓨터, 휴대폰과 같은 표시장치이어도 무관하다. 여기서, 수광형 표시장치란 광을 제공하는 별도의 백라이트부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백라이트부는 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화면의 분할 구동이 가능하다. 가령 사용자로부터 화면을 분할하여 구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있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에서와 같이 4개의 영역으로 화면을 분할하거나, 도 3A에서와 같이 2개의 영역으로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나아가 실질적으로 분할이라 보기는 어렵지만, 도 3B에서와 같이 PIP(Picture-In-Picture) 방식으로 화면을 구분하여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분할은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므로 서로 다른 영역에서 데이터가 각각 입력되는 것이라면, PIP 방식은 두 종류의 데이터가 결합되어 하나의 영역에서 입력되는 것으로 이해해도 좋을 것이다.
영상표시장치(100)의 분할된 영역에는 방송 컨텐츠와 같이 동일 특성을 갖는 컨텐츠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일부는 방송 컨텐츠이고 다른 일부는 방송 컨텐츠와 다른 경로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 예컨대 인터넷 업체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및 유투브 동영상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VCR(Video Cassetee Recorder), 캠코더, 게임기 등에서 제공되는 HDMI(High Definition Interface) 영상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2의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분할된 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음성을 듣고자 하는 컨텐츠를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받을 수 있다. 그러면, 선택된 컨텐츠 이외의 나머지 컨텐츠를 표시하는 영역, 즉 표시화면에는 음성정보가 표시된다. 즉 해당 컨텐츠의 음성 내용이 문자화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문자화되어 표시되는 음성 내용은 자막이 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자막은 사용자의 흥미를 돋우기 위한 자막이라기보다는 음성 내용, 예컨대 영화 영상에서 배우의 대사나 야구 프로그램에서 아나운서와 해설자의 대화 내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가 음성을 듣고자 하는 컨텐츠를 변경하게 되면, 변경된 컨텐츠에 대한 음성을 출력하고, 그 이외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표시화면에는 음성 내용을 문자화하여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분할 화면의 스타일, 가령 도 2, 도 3A 및 도 3B와 같은 스타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호하는 채널 정보 등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뉴화면을 통해 시간대별로 자신이 선호하는 채널 정보를 설정해 둘 수 있다. 가령 저녁 7시에는 방송 채널 5, 7, 9, 11번을 볼 수 있도록 각각 설정하였다면, 저녁 9시에는 방송 채널 9 및 11번, 특정 인터넷 사이트, 그리고 유투브 동영상을 제공받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 방식은 다양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의 메뉴화면은 메인 영상에 결합되어 표시되거나, 중첩되어 표시되므로 OSD(On Screen Display) 화면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화면이라 명명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은 메인 영상과 동일 레이어상에서 형성되는 것이라면 중첩은 서로 다른 레이어에 형성되어 표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분할된 특정 영역에 사용자가 설정한 채널의 컨텐츠와 음성 내용을 문자화하여 표시하는 과정에서 시간대가 변경되어 컨텐츠가 변경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변경된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 내용을 포함하는 부가정보, 즉 캡션정보가 없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4에서와 같이 특정 영역에 캡션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표시장치(100)는 이러한 메시지와 함께 선택 채널을 변경할지를 묻는 별도의 메시지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캡션정보가 없는 특정 채널의 컨텐츠에 대하여는 인터넷 경로를 통해 캡션정보를 찾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장치 2(120_2)가 다큐멘터리 및 영화 컨텐츠 등을 제공하는 장치라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컨텐츠 제공장치 2(120_2)와의 페어링(pairing) 과정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 즉 캡션정보를 가져와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통해 부가정보가 없음을 알리지 않는다 하더라도, 부가정보가 있는 채널을 자동으로 재탐색하여 탐색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재탐색은 인접 채널을 탐색하거나,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치(10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채널에 대한 횟수를 시간대별로 저장할 수 있는데, 가령 위의 메뉴화면을 통해 9시에 사용자가 설정된 특정 채널에서 캡션정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9시경에 사용자가 자주 선택했던 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채널을 재탐색하여 부가정보가 있는 채널의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과정이 아니라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수신된 영상신호에서 분리된 오디오신호를 분석하여 분석한 오디오신호에 따라 표현되는 문자를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음의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매칭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에 근거해 볼 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음성 문자화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셋탑 박스와 같은 영상중계장치에 연동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따라서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110)은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AP)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영상표시장치(10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AP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P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영상표시장치(100)로 전달한다.
컨텐츠 제공장치 1(120_1)은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방송국 및 케이블 방송사 등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장치 1(120_1)은 방송 편성표에 따라 구성된 방송신호를 시간대별로 영상표시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방송신호는 시간대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부가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부가정보는 음성정보를 포함하며, 음성정보로서 비디오신호에 관련된 음성 내용을 문자로 나타낸 캡션(혹은 자막) 정보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특정 방송 프로그램은 캡션정보 없이 영상표시장치(100)로 제공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장치 2(120_2)는 위의 방송신호와 다른 종류의 컨텐츠(혹은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장치 2(120_2)는 인터넷 포탈 업체의 서버이거나, 유투브 동영상 등을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일 수 있다. 또는 영화 및 연속극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일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 제공장치 2(120_2)는 캡션정보가 없는 특정 컨텐츠에 대한 캡션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의 분할된 특정 영역에 블루레이디스크(BD)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외국 영화를 표시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디스크에 저장된 외국 영화 컨텐츠에 대한 캡션정보 즉 자막이 손실되었다면, 컨텐츠 제공장치 2(120_2)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캡션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멀티윈도우 환경 하에서 음성 데이터를 문자화하여 표시함으로써 복수의 컨텐츠를 시청하려는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캡션정보가 없는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여 표시할 때, 최대한 사용자의 이력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변경하므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제어부(500), 디스플레이부(51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컨텐츠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부(510)가 터치 패널인 경우, 사용자 명령은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디스플레이부(5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50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디스플레이부(51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20)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10)를 분할 구동한다. 다시 말해, 분할된 디스플레이부(510)의 표시화면에 외부에서 입력된 복수의 컨텐츠를 각각 표시하고, 음성 출력을 원하는 하나의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컨텐츠의 표시화면에 음성 출력을 대체할 수 있도록 음성 내용을 문자화하여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500)는 위의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한 결과 음성 내용을 문자화하여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최종적으로 판단될 때, 오디오신호(혹은 음성)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에 매칭되는 문자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00)는 오디오 신호의 분석 및 문자 매칭을 위한 음성 문자화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어디까지나 선택사항에 불과하므로 다른 방법에 비해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도 있을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부(510)를 분할 구동하기 위한 요청이 있는 경우,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기설정된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이거나 인터넷 포탈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일 수 있다. 물론 복수의 컨텐츠 수신은 사용자가 분할구동시 선택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제어부(500)는 방송신호의 형태로 제공되는 일부 컨텐츠는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부가정보로 분리하고, 분리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는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신호를 다시 스케일링하며, 스케일링된 비디오신호에 부가정보를 다시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부(5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부가정보는 비디오신호에 관련된 음성 내용을 문자로 표현한 캡션정보를 포함한다. 만약 제어부(500)가 VCR과 같은 재생기로부터 HDMI 신호의 형태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비디오신호에 대하여 스케일링하는 과정만을 수행한 후, 부가정보를 조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신호처리와 관련한 부분은 컨텐츠처리부를 별도로 구성하는 경우, 컨텐츠처리부에 위임할 수 있다. 이는 어디까지나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가능한 부분이다. 만약 컨텐츠처리부가 위의 신호처리 동작을 담당하는 경우라면, 제어부(500)는 분리된 부가정보를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 일정 시점에서 저장된 부가정보를 독출하여 스케일링된 비디오신호와 조합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컨텐츠처리부의 세부 동작과 관련해서는 이후의 도 6에서 충분히 설명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컨텐츠처리부는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이 사용자 경험, 가령 사용자가 선택한 횟수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접속하여 처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가령, 도 2에서와 같이 4개의 표시화면으로 분할한 경우, 선택 횟수가 많은 1에서 4순위까지의 컨텐츠를 각각 표시하고, 그 중 하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표시화면에 음성 내용과 관련한 문자가 표시되지 않을 때 문자에 대한 부가정보가 있는 다음 순위의 컨텐츠를 찾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510)는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510)는 화면을 물리적으로 분할 구동하기 위하여 화면의 각 영역을 담당하기 위한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화면을 최대 4면으로 분할하여 구동하려면 상측에 2개의 소스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하측에 2개의 소스 드라이버를 구비할 수 있다. 만약 도 3에서와 같은 2면 분할 구동이라면 화면의 좌측에서 상하측 소스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고, 화면의 우측에서 상하측 소스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소스 드라이버는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제어부(500)에서 입력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들을 직렬로 입력받아 병렬로 제공하고, 입력된 디지털 정보를 아날로그의 전압 형태로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20)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컨과 같은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분할 구동을 요청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20)는 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500)에 전달해 주면, 제어부(500)는 해당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신호수신부(600), 신호분리부(610), 제어부 및 디코딩부(620), 비디오처리부(630), 디스플레이부(640), 오디오 처리부(650), 음향 출력부(660), GUI 생성부(670), 저장부(68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9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신호수신부(600)는 복수의 입력단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입력단자는 방송국으로부터의 제1 영상신호, 즉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입력단자(혹은 제1 수신부), 인터넷 또는 VCR과 같은 주변기기에 연결되어 제2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자(혹은 제2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입력단자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신호수신부(600)는 수신된 방송신호를 튜닝하고 튜닝된 방송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튜너 및 복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튜너는 복수 채널의 방송을 동시에 수신하기 위하여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조기는 변조되어 제공된 방송신호를 복원(demodulation)한다.
또한 신호수신부(600)는 제어부 및 디코딩부(620), 더 정확하게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입력단자를 통해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뉴화면을 통해 방송채널 5, 7, 9, 11번의 시청을 설정하고 분할 구동을 요청하였다면, 신호수신부(600)는 스위칭부를 통해 선택된 4개의 방송채널에 대한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복수의 튜너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튜닝에 의해 수신되는 해당 채널의 방송신호들을 신호분리부(610)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3개의 방송채널과 인터넷 방송의 시청을 원하였다면 신호수신부(600)는 제2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경로를 오픈시킴으로써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제어부 및 디코딩부(620)로 바로 제공할 수 있다. 주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HDMI 영상신호의 경우에도 제어부 및 디코딩부(620)로 바로 제공될 수 있다.
신호분리부(610)는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신호분리부(610)는 입력된 하나의 방송신호를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부가정보로 분리하여 제어부 및 디코딩부(620)로 제공한다. 이때 부가정보는 가령 광고 방송의 경우 제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640)의 분할된 표시화면에 각각 표시되는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 내용을 문자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캡션(혹은 자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 및 디코딩부(620)는 제어부와 디코딩부로 구분된다. 디코딩부는 신호분리부(610)에서 제공되는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수신한 비디오 및 오디오신호를 디코딩하여 비디오처리부(630) 및 오디오처리부(650)로 제공한다. 이때 디코딩은 인코딩되어 제공된 방송신호를 복호화하는 과정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컨텐츠, 가령 복수 채널의 방송신호를 처리해야 하므로, 복수의 디코딩부를 포함함으로써 각각의 방송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디코딩부를 갖는다 하더라도 일정 시간 단위로 각 방송신호의 디코딩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그러한 구성에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을 것이다.
제어부는 신호분리부(610)에서 제공된 부가정보를 저장부(680)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비디오처리부(630)에서 비디오신호의 처리가 완료되면 저장부(680)에 저장된 부가정보를 독출하여 비디오처리부(630)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9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이를 근거로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분할 구동을 요청한 경우, 신호수신부(600)를 제어하여 복수의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선택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예시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로부터 분할 구동을 위한 요청이 있을 때, 제어부는 GUI 생성부(670)를 제어하여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부(640)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러한 메뉴화면은 비디오처리부(630)에서 현재 디스플레이부(640)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에 조합되어 표시될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메뉴화면을 통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는 이를 근거로 신호수신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입력된 제1 영상신호 및 제2 영상신호 내에 캡션정보와 같은 부가정보가 없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는 제공되지만, 부가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해당 비디오신호에 관련된 부가정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는 GUI 생성부(670)를 제어하여 부가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64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는 부가정보가 없는 영상신호가 발견되면 저장부(680)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정보를 근거로 혹은 인접 채널을 탐색하여 부가정보가 있는 새로운 영상신호가 수신되도록 신호수신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방송신호의 경우 해당 채널을 튜닝한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는 앞서 설명하였지만, 어떤 특정 채널의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한 결과 전혀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또는 이러한 경우가 아니라 하더라도 입력된 영상신호에서 분리된 오디오신호를 분석하고, 그 분석한 결과에 따라 문자를 생성하기 위한 음성 문자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비디오처리부(630)는 입력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신호를 처리한다. 여기서 처리한다는 것은 비디오신호를 스케일링하는 과정으로 이해해도 좋다. 스케일링은 8비트 데이터를 6비트로 변환하는 등의 비트 변환을 의미할 수 있다. 비디오처리부(6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비디오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처리부(630)는 GUI 생성부(670)에서 제공된 메뉴화면 및 메시지를 메인 영상에 조합하기 위한 믹서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640)는 도 5를 참조하여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오디오처리부(650)는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스케일링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스케일링은 입력된 오디오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이퀄라이징하는 등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왜곡된 오디오신호를 바로 잡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디오처리부(650)는 사용자가 음성을 듣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한 오디오신호만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향 출력부(66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스피커를 제외한 부하단, 즉 커넥터만을 의미할 수 있다.
GUI 생성부(670)는 앞서 제어부를 설명하면서 언급된 바 있지만,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메뉴화면을 생성하거나, 기생성된 메뉴화면을 제공해 줄 수 있고, 나아가 부가정보가 없다고 판단될 때, 이를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해 준다. 또한 GUI 생성부(670)는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부가정보가 있는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여 표시할지를 사용자에게 묻는 별도의 메시지를 추가로 생성해 제공할 수 있다. 위의 메뉴화면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분할 구동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또는 영상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화면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부(680)는 제어부 및 디코딩부(620)에서 제공되는 부가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고, 저장된 부가정보를 제어부의 요청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8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채널 및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이력으로서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 이력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및 방송 프로그램 등의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90)와 관련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화면을 분할하고, 복수 개로 분할된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한다(S700). 이러한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한 리모컨에 의해 인터페이스가 형성되거나, 영상표시장치(100)가 터치 패널을 갖는 경우에는 터치 패널을 통해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선택된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되는 컨텐츠의 음성을 출력한다(S710).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는 복수 개의 화면에 각각의 컨텐츠를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상기 표시한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정보를 표시한다(S720). 즉 음성 내용을 문자화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성 출력을 선택한 하나의 컨텐츠 이외에 나머지 컨텐츠의 표시화면에 모두 문자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라 나머지 컨텐츠가 표시되는 표시화면 중 하나에 대하여만 문자를 표시해 주어도 좋다.
나아가 영상표시장치(100)는 음성 출력 및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720).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화면을 분할하여 분할된 표시화면에 복수의 컨텐츠를 각각 표시한다(S800).
이후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가 음성 출력을 위해 선택한 하나의 컨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컨텐츠의 표시화면에 나머지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정보를 표시한다(S810). 가령 음성 내용을 문자화하여 각각 표시한다.
이의 과정에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음성정보를 포함한 부가정보가 없는 나머지 컨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820). 예를 들어, 특정 영상신호가 수신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한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는 제공되는데, 부가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해당 영상신호가 부가정보가 없음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판단 결과 부가정보가 있다면, 계속해서 해당 컨텐츠들의 음성정보를 표시하겠지만, 부가정보가 없다고 판단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부가정보가 있는 컨텐츠를 탐색(또는 검색)한다(S830). 이를 위하여 영상표시장치(100)는 선택된 컨텐츠가 방송신호의 특정 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한 컨텐츠였다면 그 특정 채널의 인접 채널을 탐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이력이 있는 경우 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탐색할 수 있을 것이다.
탐색 결과, 음성정보가 포함된 부가정보가 있는 컨텐츠가 검색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나머지 컨텐츠 중 음성정보가 포함된 부가정보가 없는 컨텐츠를 검색된 컨텐츠로 변경하여 표시한다(S84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를 도 1, 도 5 및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510, 640)의 분할된 복수 개의 표시화면에 각각 컨텐츠를 표시한다(S900).
이어 영상표시장치(100)는 복수 개의 화면 중 음성 출력을 위해 선택된 하나의 화면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상기 표시한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정보를 표시한다(S910).
이의 과정에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음성정보가 없는 경우, 음성정보가 있는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여 표시하게 된다(S920). 여기서, 임의의 컨텐츠를 변경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의 과정에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부가정보가 없는 표시화면의 컨텐츠를 변경할지를 묻는 별도의 메시지를 표시해 줄 수 있고, 사용자가 메시지를 통해 변경하겠다고 승낙할 때,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영상표시장치 110: 통신망
120_1: 컨텐츠 제공장치 1 120_2: 컨텐츠 제공장치 2
500: 제어부 510, 640: 디스플레이부
520, 69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600: 신호수신부
610: 신호분리부 620: 제어부 및 디코딩부
630: 비디오처리부 650: 오디오처리부
660: 음향 출력부 670: GUI 생성부
680: 저장부

Claims (23)

  1. 복수 개로 분할된 화면 각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 개의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선택된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음성이 출력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상기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면은 상기 선택된 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화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대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수신한 영상신호를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상기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
    상기 분리한 비디오신호 및 상기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상기 분리한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디코딩한 비디오신호를 스케일링하며, 상기 스케일링한 비디오신호에 상기 부가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비디오처리부; 및
    상기 디코딩한 오디오신호를 스케일링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로 제공하는 오디오처리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방송신호로서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일부 컨텐츠 이외의 나머지 컨텐츠를 상기 방송신호 이외의 영상신호로서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수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방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튜닝하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방송신호와 다른 종류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각각의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음성정보를 포함한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뉴화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근거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선택 경로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GUI 생성부는 상기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부가정보가 있는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여 표시할지를 알리는 메시지를 추가로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고자 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한 임의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정보가 있는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기 위하여 수신되는 컨텐츠를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컨텐츠들에 대한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력정보를 근거로 상기 변경을 위한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음성을 분석하여 문자화하는 음성 문자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문자화부에서 생성된 문자를 상기 음성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디스플레이부가, 복수 개로 분할된 화면 각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화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음향 출력부가, 상기 선택된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이 출력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상기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면은 상기 선택된 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화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영상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신호를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 및 상기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상기 비디오신호 및 상기 오디오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한 비디오신호를 스케일링하며, 상기 스케일링한 비디오신호에 상기 부가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딩한 오디오신호를 스케일링하여 상기 음향 출력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를 방송신호로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일부 컨텐츠 이외의 나머지 컨텐츠를 상기 방송신호 이외의 영상신호로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신호 및 상기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로서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신호로서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입력단자를 통해 상기 방송신호와 다른 종류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각각의 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화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가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부가정보가 있는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여 표시할지를 알리는 메시지를 추가로 생성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고자 할 때, 상기 변경한 임의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정보가 있는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기 위하여 수신되는 컨텐츠를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컨텐츠들에 대한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력정보를 근거로 상기 변경을 위한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를 분석하여 문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화하여 생성된 문자를 상기 음성정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1. 디스플레이부상의 복수 개로 분할된 화면 각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화면 중 음성 출력을 위해 선택된 하나의 화면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상기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음성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가 있는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정보가 없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상기 음성정보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23. 영상표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방법은,
    디스플레이부상의 복수 개로 분할된 화면 각각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화면 중 음성 출력을 위해 선택된 하나의 화면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상기 컨텐츠와 관련한 음성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음성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가 있는 임의의 컨텐츠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30154943A 2013-12-12 2013-12-12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50068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43A KR20150068828A (ko) 2013-12-12 2013-12-12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4/334,891 US20150172766A1 (en) 2013-12-12 2014-07-18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43A KR20150068828A (ko) 2013-12-12 2013-12-12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28A true KR20150068828A (ko) 2015-06-22

Family

ID=5337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943A KR20150068828A (ko) 2013-12-12 2013-12-12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72766A1 (ko)
KR (1) KR201500688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24993A1 (en) * 2014-11-17 2017-11-09 Nec Corporation Video processing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video processing method
CN106060622B (zh) 2016-07-26 2019-02-19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电视的截屏方法及电视
US10521187B2 (en) * 2016-08-31 2019-12-31 Lenovo (Singapore) Pte. Ltd. Presenting visual information on a display
US10262010B2 (en) * 2016-11-02 2019-04-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reen capture data amalgamation
CN108196675B (zh) * 2017-12-29 2021-04-16 珠海市君天电子科技有限公司 用于触控终端的交互方法、装置及触控终端
CN110797024A (zh) * 2019-11-07 2020-02-14 大连海事大学 基于语音识别与字幕显示的vhf海上安全通信系统
CN113573108B (zh) * 2020-04-28 2023-04-25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CN111818381B (zh) * 2020-07-10 2022-09-13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终端、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7956219A (zh) * 2022-10-18 2024-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屏多设备交互方法、电子设备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1175B2 (ja) * 2000-12-07 2009-10-07 ソニー株式会社 再生システム及び再生方法、並びに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送信方法
JP4005374B2 (ja) * 2002-01-22 2007-11-0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機
US20050071782A1 (en) * 2003-09-30 2005-03-31 Barrett Peter T. Miniaturized video feed generation and user-interface
US20100293575A1 (en) * 2009-05-12 2010-11-18 Bryan Biniak Live indexing and program guide
US20110069043A1 (en) * 2009-09-24 2011-03-24 Jong Ha Lee Method for displaying data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2766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8828A (ko)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6171B1 (ko) 미디어 서비스들을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US93323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information on a television
KR20120080985A (ko)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
US200902657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selection i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terminal
KR20110080351A (ko) 영상표시장치
US8904434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4498093B2 (ja) 放送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3011645A1 (ja) 映像コンテンツ選択装置及び映像コンテンツ選択方法
EP2028847A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JP5158894B2 (ja) 放送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WO200607550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15019561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0710265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08988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JP201413271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30111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26187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150734A (ja) 電子番組ガイドを備えた受信装置
JP6431288B2 (ja) 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16725A (ja) 電子番組表表示装置
JP2016063526A (ja) 再生装置
KR20060071666A (ko) 방송 프로그램 녹화/재생 장치 및 방법
JP2012105218A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KR2013006548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