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487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487A
KR20130065487A KR1020110132367A KR20110132367A KR20130065487A KR 20130065487 A KR20130065487 A KR 20130065487A KR 1020110132367 A KR1020110132367 A KR 1020110132367A KR 20110132367 A KR20110132367 A KR 20110132367A KR 20130065487 A KR20130065487 A KR 20130065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roadcast
commercial
time
broadcast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소정
이형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2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5487A/ko
Publication of KR2013006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은 제 1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제 1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중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한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 동안 제 2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제 2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HIS AC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고 방송을 효율적으로 스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방송의 경우 상업 광고 방송의 개입은 어떤 의미에서 필연적인 사항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TV 방송은 물론, 디지털 TV 방송, 위성 DMB나 지상파 DMB의 경우에도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상업 방송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공영 방송의 경우에도 상업 광고 방송이 개입되고 있다.
사업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광고 방송의 개입은 수익 창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방송 단말장치 사용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광고 방송은 정보 취득의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광고 방송의 개입 없이, 희망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일관되고 중단없는 시청을 원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시청자들은 TV를 시청하는 과정에서 광고 방송을 시청해야 하며, 이에 따라 상기 광고 방송이 방영되는 시간 동안에는 상기 광고 방송을 시청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광고 방송이 방영 시간을 예측하여 상기 광고 방송이 방영되는 시간 동안 현재 시청 채널이 아닌 다른 추천 채널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은 제 1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제 1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중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한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 동안 제 2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제 2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 수신부;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된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방송신호 출력부; 및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가 광고 방송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방송신호가 광고 방송이면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로 채널 전환 이벤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광고 방송이 방영되는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다른 추천 방송을 제공해줌으로써, 상기 광고 방송이 방영됨에 따른 지루함을 해소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널 맵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공되는 정보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통신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7-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근거리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별도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조명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현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채널에서 광고 방송이 방영되는지 주기적으로 판단한다.
상기 광고 방송의 방영 여부는, 상기 튜너부(11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부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상기 부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가 시청중인 채널에서 광고 방송이 방영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부가정보에는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식별정보(PID)와, 광고 방송에 대응하는 식별정보(PID)가 포함된다.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부가정보 내에 포함된 다수의 테이블 중 PMT(Programe Map Table)을 통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상기 광고 방송에 대응하는 식별정보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광고 방송의 방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어부(170)는 상기 부가정보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내에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채널에서 제 1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영 시간 정보(시작시간 및 종료시간)과,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과 연속적으로 방영되는 제 2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영 시간 정보(시작시간 및 종료시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방송의 시작시간을 유추하고, 상기 제 2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방송의 종료시간을 유추한다. 즉,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시간과 제 2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사이에는 상기 광고 방송이 방영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시간을 상기 광고 방송의 시작시간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2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간을 상기 광고 방송의 종료시간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광고 방송의 방영 여부가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튜너부(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현재 시청중인 채널을 제 1 채널이라 하고, 상기 제 1 채널에서 광고 방송이 방영중이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광고 방송이 방영중인 시간에는 상기 제 1 채널이 아닌 다른 제 2 채널로의 채널 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무의미하게 상기 광고 방송을 보면서 다음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간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광고 방송이 방영되는 시간에는 상기 제 2 채널로의 채널 전환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2 채널은 이전 시청 채널일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채널을 시청하기 이전에 시청했던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 채널에서 광고 방송이 방영되면 상기 저장한 이전 시청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채널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2 채널은 선호 채널일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채널에서 광고 방송이 방영되면, 기설정된 선호 채널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선호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선호 채널로의 채널 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제 1 채널에서 방영중인 방송 프로그램과 동일 카테고리에 속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채널일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채널에서 광고 방송이 방영되면,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과 동일 카테고리에 속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채널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로 채널 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제 1 채널과 이웃하는 상위 채널 및 하위 채널일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채널에서 광고 방송이 방영되면, 상기 제 1 채널과 이웃하는 상위 채널 또는 하위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로 채널 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2 채널로의 채널 전환 시, 상기 판단한 광고 방송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채널로의 채널 재전환이 수행될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제어부(170)는 상기 광고 방송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방영 시간을 기준으로 'x분 후에 상기 이전에 시청했던 제 1 채널로의 채널 전환이 수행된다'라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광고 방송이 방영되는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다른 추천 방송을 제공해줌으로써, 상기 광고 방송이 방영됨에 따른 지루함을 해소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 1 채널의 방송신호가 수신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및 음성이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210단계).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채널을 통해 광고 방송이 방영되는 시간을 확인한다(220단계).
상기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은 상기 튜너부(11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부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상기 부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가 시청중인 채널에서 광고 방송이 방영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부가정보에는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식별정보(PID)와, 광고 방송에 대응하는 식별정보(PID)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상기 광고 방송에 대응하는 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구간의 시간을 상기 광고 방송이 방영되는 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어부(170)는 상기 부가정보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내에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채널에서 제 1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영 시간 정보(시작시간 및 종료시간)과,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과 연속적으로 방영되는 제 2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영 시간 정보(시작시간 및 종료시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방송의 시작시간을 유추하고, 상기 제 2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방송의 종료시간을 유추한다. 즉,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시간과 제 2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사이에는 상기 광고 방송이 방영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시간을 상기 광고 방송의 시작시간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 2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간을 상기 광고 방송의 종료시간으로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70)는 상기 판단한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현 시간이 상기 광고 방송이 방영되는 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230단계).
상기 판단결과(230단계), 현 시간이 광고 방송이 방영 시간이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채널이 아닌 다른 제 2 채널로의 채널 전환이 수행되도록 상기 튜너부(110)를 제어한다(240단계).
이때, 상기 2 채널은 이전 시청 채널일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채널을 시청하기 이전에 시청했던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 채널에서 광고 방송이 방영되면 상기 저장한 이전 시청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채널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2 채널은 선호 채널일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채널에서 광고 방송이 방영되면, 기설정된 선호 채널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선호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선호 채널로의 채널 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제 1 채널에서 방영중인 방송 프로그램과 동일 카테고리에 속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채널일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채널에서 광고 방송이 방영되면,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과 동일 카테고리에 속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채널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로 채널 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제 1 채널과 이웃하는 상위 채널 및 하위 채널일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채널에서 광고 방송이 방영되면, 상기 제 1 채널과 이웃하는 상위 채널 또는 하위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로 채널 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널 맵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선호 채널 목록에 포함된 선호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2 채널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선호 채널 목록에 포함된 선호 채널 중 '7-0 채널'이 상기 제 2 채널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시청중인 제 1 채널이 4번 채널이고, 상기 4번 채널을 시청하기 이전에 시청한 채널이 20번 채널인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20번 채널을 제 2 채널로 결정한다.
또한, 현재 시청중인 제 1 채널이 4번 채널인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채널의 상위 채널인 5번 채널 또는 하위 채널인 3번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상기 제 2 채널로 결정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2 채널로의 채널 전환 시, 상기 판단한 광고 방송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400)을 통해 상기 제 1 채널로의 채널 재전환이 수행될 시점에 대한 정보(410)를 제공한다.
즉, 제어부(170)는 상기 광고 방송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방영 시간을 기준으로 'x분 후에 상기 이전에 시청했던 제 1 채널로의 채널 전환이 수행된다'라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채널에서 방영중인 광고 방송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50단계).
상기 판단결과(250단계), 상기 제 1 채널에서 방영중인 광고 방송이 종료되었다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채널로의 채널 재전환이 수행되도록 상기 튜너부(110)를 제어한다(260단계).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광고 방송이 방영되는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다른 추천 방송을 제공해줌으로써, 상기 광고 방송이 방영됨에 따른 지루함을 해소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튜너부
120: 복조부
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3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40: 저장부
150: 통신부
170: 제어부
180: 디스플레이
185: 오디오 출력부

Claims (13)

  1. 제 1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제 1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의 디스플레이 중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한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 동안 제 2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제 2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채널의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 정보로부터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과 광고 방송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방송에 대응하는 식별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의 구간을 상기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는,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포함된 제 1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시간으로부터 상기 광고 방송의 시작시간을 유추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채널에서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과 연속되어 방송되는 제 3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간으로부터 상기 광고 방송의 종료시간을 유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로의 전환 이전에 시청한 이전 시청 채널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저장한 이전 시청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 동안 제 2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제 2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방송이 시작되는 시점에 상기 제 2 채널로의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방송이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제 1 채널로의 채널 재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로의 채널 전환 시, 상기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채널로의 채널 전환이 수행될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7.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 수신부;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된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방송신호 출력부; 및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가 광고 방송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방송신호가 광고 방송이면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로 채널 전환 이벤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수신되는 제 1 채널을 통해 광고 방송이 방영되면, 상기 제 1채널과 다른 제 2 채널로의 채널 전환이 수행되도록 상기 방송신호 수신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방송의 방영 여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정보로부터 광고 방송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방송에 대응하는 식별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의 구간을 상기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으로 확인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정보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포함된 제 1 방송 프로그램의 종료시간 및 상기 제 1 방송 프로그램과 연속되어 방송되는 제 3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간으로부터 상기 광고 방송의 시작 및 종료시간을 유추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 방송이 시작되는 시점에 상기 제 2 채널로의 채널 전환을 수행하고, 상기 광고 방송이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제 1 채널로의 채널 재전환을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채널로의 채널 전환 시, 상기 광고 방송의 방영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채널로의 채널 전환이 수행될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가 상기 방송신호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10132367A 2011-12-09 2011-12-0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KR20130065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367A KR20130065487A (ko) 2011-12-09 2011-12-0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367A KR20130065487A (ko) 2011-12-09 2011-12-0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487A true KR20130065487A (ko) 2013-06-19

Family

ID=48862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367A KR20130065487A (ko) 2011-12-09 2011-12-09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54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0837A1 (zh) * 2016-01-14 2017-07-20 段春燕 根据时间段插入广告技术的数据采集方法和广告插入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988A (ko) * 2002-02-09 2003-08-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광고 프로그램 제어 장치
KR20070055890A (ko) * 2005-11-28 2007-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 방송 스킵 처리 방법
KR20090074864A (ko) * 2008-01-03 200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광고 스킵 방법
KR20110095628A (ko) * 2010-02-19 2011-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 프로그램 대체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988A (ko) * 2002-02-09 2003-08-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광고 프로그램 제어 장치
KR20070055890A (ko) * 2005-11-28 2007-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 방송 스킵 처리 방법
KR20090074864A (ko) * 2008-01-03 200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광고 스킵 방법
KR20110095628A (ko) * 2010-02-19 2011-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 프로그램 대체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0837A1 (zh) * 2016-01-14 2017-07-20 段春燕 根据时间段插入广告技术的数据采集方法和广告插入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737B1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광고 방송 표시 방법
KR10178186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23609B1 (ko) 컨텐트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2104355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9756398B2 (en) TV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661973B1 (ko) 영상표시장치
US986060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302232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912972B2 (en) Server and client processing multiple sets of channel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150081040A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화면 분할 방법
US9247283B1 (en) Mosaic presentation screen production
KR20170025293A (ko) 방송 수신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8904434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KR20160084202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의 3d 컨텐츠 처리 방법
KR10204060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US975637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65487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165449B1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커서 제어 방법
KR201700837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7646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video content from multiple programming sources
KR100793757B1 (ko) 다양한 epg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제어방법
EP2227007A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mproved in information updat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58997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10145867A1 (en) Method for providing widget according to broadcast service information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60028127A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고화질 컨텐츠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