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748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748B1
KR102618748B1 KR1020217034636A KR20217034636A KR102618748B1 KR 102618748 B1 KR102618748 B1 KR 102618748B1 KR 1020217034636 A KR1020217034636 A KR 1020217034636A KR 20217034636 A KR20217034636 A KR 20217034636A KR 102618748 B1 KR102618748 B1 KR 102618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mage quality
genre
control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335A (ko
Inventor
남연오
강석판
남상철
이명영
임정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35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영상의 장르에 따라 영상의 화질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의 장르별로 화질을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영상의 장르를 획득하고, 영상의 화질을 장르에 대응하는 화질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르에 따라 최적의 화질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resolution)란 화면을 구성하는 각각의 면이 얼마나 많은 수의 픽셀로 이루어져 있는가를 나타낸다.
기술 발전에 힘입어 해상도가 계속해서 높아지는 추세이고, 해상도가 높을수록 영상을 더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픽셀수가 많아짐에 따라 픽셀을 구성하는 데이터도 증가하기 때문에 더 많은 저장 공간이 필요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장르에 따라 적합하게 화면이 구현되도록 여러 가지 영상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보다 선명하게 표현하는 선명한 영상 모드, 빠른 움직임을 선명하게 표현 가능한 스포츠 모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에코 모드 등을 제공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모드에 따라 계조, 컬러 밸런스, 색재현성, 콘트라스트 등을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영상에 적절한 화질(picture quality)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와 같은 영상 모드의 존재를 모르기 때문에 영상 모드를 변경하지 못하거나, 영상에 따라 일일이 영상 모드를 변경하는 불편 때문에 그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시청 중인 영상의 장르에 따라 적절한 화질로 영상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영상에 따라 화질을 자동으로 변경시, 화질 변경을 사용자가 인식하는 경우를 최소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불필요한 화질 변경을 최소화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영상의 장르를 보다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장르별로 화질을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영상의 장르를 획득하고, 영상의 화질을 장르에 대응하는 화질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장르에 대응하는 화질을 목표 화질로 설정하고, 영상의 화질을 현재 화질에서 목표 화질로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영상의 화질이 설정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설정시간 동안에는 영상의 장르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목표 화질이 현재 화질 보다 높으면 영상의 화질을 증가시키고, 목표 화질이 현재 화질 보다 낮으면 영상의 화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목표 화질이 현재 화질 보다 높으면 화질 조절 방향 변수를 양수로 설정하고, 목표 화질이 현재 화질 보다 낮으면 화질 조절 방향 변수를 음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영상의 화질이 목표 화질까지 변경되도록 설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화질 조절 스텝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화질 조절 스텝과 화질 조절 변수의 곱을 통해 영상의 화질이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설정 주기마다 영상의 장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질은 명암, 밝기, 선명도, 색농도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영상 신호에서 EPG,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EPG,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의 장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EPG에서 영상의 장르를 검출할 수 있으면 EPG에 기초하여 영상의 장르를 획득하고, EPG에서 영상의 장르를 검출할 수 없으면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의 장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복수의 장르에 대해 영상이 각각의 장르에 해당할 확률들을 산출하고, 확률들 중 최대 확률에 대응하는 장르를 영상의 장르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최대 확률이 기준 확률 이하이면, 영상의 장르를 현재 장르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모드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영상 모드의 선택 명령에 따라 영상 모드가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영상의 장르에 따라 영상의 화질을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의 장르에 따라 화질이 자동으로 변경되므로,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영상에 최적인 화질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영상에 따라 화질을 일일이 변경해야 하는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영상의 화질을 변경하는 경우, 설정 시간 동안 화질이 점차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화질 변경으로 인한 사용자의 영상 시청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채널을 계속해서 변경하거나, 방송 도중 광고가 표시되는 등의 경우에 화질이 변경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불필요한 화질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EPG,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등을 이용하여 영상의 장르를 보다 정확하게 구별함으로써, 영상의 장르에 적절한 화질을 제공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의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에 따라 화질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의 장르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의 종류를 분석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의 화질을 변경하는 경우 화질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의 예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영상 모드 설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 모드 설정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 중인 영상의 화질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
영상 모드 설정 화면은 복수개의 영상 모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모드 설정 화면은 '선명한 영상' 모드, '표준 영상' 모드, '에코' 모드, '영화' 모드, '스포츠' 모드, '게임' 모드 및 '자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명한 영상' 모드는 명암과 밝기, 선명도를 높게하여 화면이 선명하게 표시되는 모드이고, '표준 영상' 모드는 일반적인 명암과 밝기, 선명도의 화면으로 나타나는 모드이고, '에코' 코드는 화면 밝기를 조절하여 소비 전력을 줄여주는 모드이고, '영화' 모드는 영화에 최적화된 화면으로 나타나는 모드이고, '스포츠' 모드는 스포츠에 최적화된 화면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공을 차거나 던지는 등의 빠른 움직임에도 선명한 화면으로 구현되는 모드이고, '게임' 모드는 게임에 최적화된 화면으로 나타나는 모드이고, '자동' 모드는 영상에 따라 자동으로 화질이 변경되는 모드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영상 모드 항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으로, 영상 모드 항목의 개수, 종류 및 명칭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 모드 설정 화면을 통해 원하는 화질로 화면이 표시되도록 영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영상 모드의 선택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복수개의 영상 모드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선택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영상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영상 모드 설정 화면을 통해 영상 모드를 '자동' 모드로 설정한 경우, 영상의 장르에 따라 화질을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영상 모드가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영상의 장르에 따라 화질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영상 모드 설정 화면을 별도로 제공하지 않고, 영상의 장르에 따라 화질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에 따라 화질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어부(170)는 설정 주기마다 영상의 장르를 획득할 수 있다(S11).
제어부(17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 무선 통신부(173) 등을 통해 영상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 중인 영상의 장르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의 장르는 영상의 종류(type)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종류는 영화, 스포츠, 게임, 애니메이션, 사진, 드라마, 예능, 다큐멘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70)는 영상의 장르를 영화, 스포츠, 게임, 애니메이션, 사진, 드라마, 예능, 다큐멘터리 등 중 어느 하나로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서 EPG,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EPG,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의 장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의 장르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어부(170)는 영상 신호에서 메타 데이터,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S101).
영상 신호는 메타 데이터,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meta data)는 영상 신호의 속성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할 수 있다. EPG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간, 제목, 채널, 장르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는 오디오 음역의 신호로, 가청 주파수 범위에 있는 음성 및 모든 자연 소리를 전기적인 파형 신호로 변환시킨 것일 수 있다.
비디오 신호(video signal)는 화면 상에서 각 점의 색이나 밝기, 위치 등을 알려주는 신호로, 카메라 등에 의해 찍힌 동영상을 전기적인 파형 신호로 바꾼 전기적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코더(미도시)를 이용하여 메타 데이터,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타 데이터에서 영상의 장르를 검출 가능한가 판단할 수 있다(S103).
제어부(170)는 EPG가 영상의 장르를 포함하면, 메타 데이터에서 영상의 장르를 검출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170)는 EPG가 영상의 장르를 포함하지 않으면, 메타 데이터에서 영상의 장르를 검출 불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타 데이터에서 영상의 장르를 검출 가능하면,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의 장르를 획득할 수 있다(S105).
한편, 제어부(170)는 메타 데이터에서 영상의 장르를 검출할 수 없으면,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의 장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영상의 종류를 분류하고(S107), 비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영상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S109).
도 7에 따르면, 단계 S107이 수행된 후 단계 S109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단계 S107과 단계 S109의 순서는 변경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의 종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의 종류를 뉴스, 영화, 음악, 표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오디오 신호에서 사람의 목소리가 소정 범위의 크기로 일정 시간 이상 인식되는 경우 영상의 종류를 뉴스로 분류하고, 오디오 신호에 사람의 목소리, 효과음 등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영상의 종류를 뉴스로 분류하고, 오디오 신호에 멜로디가 포함되는 경우 영상의 종류를 음악으로 분류하고, 오디오 신호가 뉴스, 영화 및 음악 중 어느 하나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의 종류를 만화, 영화, 드라마, 스포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신호에서 2차색이 설정 기준 이상 포함된 경우 영상의 종류를 만화로 분류하고, 비디오 신호에서 사람이 검출될 경우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 영상의 종류를 영화 또는 드라마로 분류하고, 비디오 신호에 일정 장소 내에서 사람들의 움직임이 검출될 경우 영상의 종류를 스포츠로 분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의 종류를 분석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제어부(170)가 비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의 장르를 분류하기 위한 최소한의 정보는 영상의 밝기 및 색상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비디오 신호에서 n개의 프레임 마다 하나의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비디오 신호에서 제n 프레임 이미지(801), 제2n 프레임 이미지(802), 제3n 프레임 이미지(803), 제4n 프레임 이미지(804)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801 내지 804) 각각에서 일부 영역만을 오려냄으로써, 제1 내지 제4 클리핑(clipping) 이미지(801a, 802a, 803a, 804a)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1 클리핑 이미지(801a)는 YCbCr 색공간으로 변환된 이미지이고, 제2 내지 제4 클리핑 이미지(802a, 803a, 804a) 각각은 Y(밝기 성분)만으로 표현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클리핑 이미지(801a)에서 색차 정보(Cb, Cr)만 추출한 후 색상(Hue)으로 표현된 이미지(801b)와, 채도(Saturation)로 표현된 이미지(801c)를 획득하고, 밝기 성분(Y)만으로 표현된 이미지(801d)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 이미지(801)에서 추출된 색상 이미지(801b), 채도 이미지(801c) 및 밝기 이미지(801d)와, 제2 내지 제4 프레임 이미지(802 내지 804) 각각에서 추출된 밝기 이미지(802a, 803a, 804a)에 기초하여 영상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영상에서 특정 프레임 이미지들을 획득한 후, 프레임 이미지들의 색상, 채도, 밝기 변화에 기초하여 영상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영상의 종류를 분석하는 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어부(17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영상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영상의 밝기와 색상 정보 외에 고주파 성분, 움직임 성분, 장면 전환의 빈도, 텍스트 정보 등을 고려하여, 영상의 종류를 분석할 수도 있다.
다시, 도 7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영상의 종류를 분류한 결과에 기초하여 장르별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S111).
제어부(170)는 복수의 장르 각각에 대해 영상이 각각의 장르에 해당할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한 결과 영상의 종류를 영화로 분류하고, 비디오 신호를 분석할 결과 영상의 종류를 영화 또는 스포츠로 분류한 경우, 영상의 장르가 영화일 확률을 80%, 스포츠일 확률을 20%로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에 가중치를 줄 수 있고, 이 경우, 장르별 확률은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즉, 장르별 확률을 산출하는 방법은 예시적에 것에 불과하므로, 다양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최대 확률의 기준 확률 초과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S113).
최대 확률은 산출된 장르별 확률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확률을 의미할 수 있다.
기준 확률은 장르 획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미리 정해진 확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확률은 70%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최대 확률이 기준 확률을 초과하면 영상의 장르를 최대 확률을 갖는 장르로 인식하고(S115), 최대 확률이 기준 확률 이하이면 영상의 장르를 현재 장르로 유지할 수 있다(S117).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장르별 확률 산출 결과 영화일 확률을 80%, 스포츠일 확률을 20%인 경우, 최대 확률 80%는 기준 확률 70%를 초과하므로, 최대 확률인 80%에 대응하는 장르인 영화를 영상의 장르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장르별 확률 산출 결과 영화일 확률 50%, 드라마일 확률 25%, 뉴스일 확률 25%인 경우, 최대 확률 50%는 기준 확률 50% 이하이므로, 영상의 장르를 현재 장르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최대 확률이 기준 확률 이하인 경우, 영상의 장르를 변경하지 않고, 현재 영상의 장르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영상의 장르가 스포츠인 경우에는 영상의 장르를 스포츠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EPG를 통해 영상의 장르를 검출 가능한 경우에는, EPG에 포함된 장르를 영상의 장르로 인식할 수 있다. EPG는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EPG에 장르가 포함된 경우에는 EPG에 따른 장르 인식 정확도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에 따른 장르 인식 정확도 보다 높기 때문이다. 한편, 제어부(170)는 EPG에서 장르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서 특징을 추출하여 장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고, 이 때 외부 서버(미도시)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에 따른 장르를 분류하는 방법을 학습 가능한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영상의 장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70)는 다양한 방법으로 영상의 장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영상을 장르를 획득한 후, 획득된 장르에 따른 목표 화질을 설정할 수 있다(S13).
제어부(170)는 영상의 화질을 영상의 장르에 대응하는 화질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영상의 장르별로 화질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화질은 명암, 밝기, 선명도, 색농도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영상의 장르가 '영화'인 경우 명암 95, 밝기 50, 선명도 25, 색농도 55, 색온도 20을 포함하는 화질 정보, 영상의 장르가 '스포츠'인 경우 명암 100, 밝기 50, 선명도 30, 색농도 70, 색온도 50을 포함하는 화질 정보, 영상의 장르가 '뉴스'인 경우 명암 80, 밝기 70, 선명도 15, 색농도 60, 색온도 40을 포함하는 화질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70)는 획득한 장르에 따른 화질을 목표 화질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영상의 장르로 '영화'를 획득한 경우 목표 화질을 명암 95, 밝기 50, 선명도 25, 색농도 55, 색온도 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을 설정한 후, 영상의 화질을 현재 화질에서 목표 화질로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현재 화질은 디스플레이부(180)가 현재 표시 중인 영상의 화질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이 현재 화질 보다 높으면 영상의 화질을 증가시키고, 목표 화질이 현재 화질 보다 낮으면 영상의 화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가 영상의 화질을 목표 화질로 변경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영상의 화질을 현재 화질에서 목표 화질로 즉시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영상의 화질이 설정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영상의 화질을 점차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이 현재 화질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5).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과 현재 화질을 비교하여, 목표 화질이 현재 화질 보다 높은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이 현재 화질 보다 낮으면 화질 조절 변수를 -1(감소)로 설정하고(S17), 목표 화질이 현재 화질 보다 높으면 화질 조절 변수를 +1(증가)로 설정할 수 있다(S19).
화질 조절 변수는 화질 조절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이 현재 화질 보다 높으면 화질 조절 방향 변수를 양수로 설정하고, 목표 화질이 현재 화질 보다 낮으면 화질 조절 방향 변수를 음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화질 조절 변수는 +1 또는 -1로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70)는 화질 조절 변수의 절대값을 높임으로써 영상의 화질 변화 속도를 증가시키고, 화질 조절 변수의 절대값을 낮춤으로써 영상의 화질 변화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영상의 화질 변화 속도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이 경우 화질 변화 속도에 따라 화질 조절 변수의 절대값을 변경할 수 있다.
화질 조절 변수가 음수인 경우 화질이 낮게 변경되고, 화질 조절 변수가 양수인 경우 화질이 높게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화질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마다 화질 조절 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이 명암 95, 밝기 50, 선명도 25, 색농도 55, 색온도 20이고, 현재 화질이 명암 80, 밝기 70, 선명도 25, 색농도 55, 색온도 40인 경우, 명암의 화질 조절 변수를 +1, 밝기의 화질 조절 변수를 -1, 색온도의 화질 조절 변수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화질 조절 변수에 따라 화질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S21).
제어부(170)는 화질 조절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화질 조절 시간 동안 영상의 화질이 현재 화질에서 목표 화질까지 단계적으로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화질 조절 시간은 화질의 급작스런 변화로 인해 사용자가 영상 시청에 불편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정되는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질 조절 시간은 3분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과 현재 화질의 차이 값을 화질 조절 시간으로 나누어 화질 조절 스텝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에 해당하는 명암이 95이고, 현재 화질에 해당하는 명암이 80인 경우, 목표 화질과 현재 화질의 차이 값인 15를 화질 조절 시간인 3분으로 나누는 연산을 통해 화질 조절 스텝 0.08을 획득할 수 있다. 명암에 대해서만 예시를 들었으나, 제어부(170)는 화질을 구성하는 요소 각각에 대한 화질 조절 스텝을 획득할 수 있다. 화질 조절 스텝은 화질을 구성하는 요소에 따라 각각 다를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화질 조절 스텝과 화질 조절 변수의 곱을 통해 영상의 화질이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1회에 화질 조절 스텝 0.08과 화질 조절 변수 +1 또는 -1을 곱한 값만큼 화질이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화질 설정을 현재 화질에서 화질 조절 스텝 0.08과 화질 조절 변수 +1 또는 -1을 곱한 값만큼 변경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과 현재 화질의 동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과 현재 화질이 동일하지 않으면, 화질 조절 변수에 따라 화질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과 현재 화질이 동일해질 때까지 디스플레이부(180)의 화질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이 현재 화질과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 화질을 유지할 수 있다(S25).
즉,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과 현재 화질이 동일해진 경우, 화질 변경을 중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의 화질을 변경하는 경우 화질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제어부(170)는 t1 시점에서 목표 화질을 설정하고, (t2-t1) 시간을 화질 조절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목표 화질과 현재 화질의 차와, (t2-t1) 시간에 기초하여 화질 조절 스텝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t1 시점부터 t2 시점까지 영상의 화질을 점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매초마다 화질 조절 스텝에 해당하는 만큼 영상의 화질이 변경되도록 화질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하는 영상의 화질은 점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의 화질 변화를 인식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어 영상의 화질을 보다 자연스럽게 변경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화질 조절 시간 동안에는 영상의 장르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화질 조절 시간 동안에는 영상의 장르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영상 화질을 불필요한 화질 변경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디스플레이부(180)가 특정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경우, 프로그램 도중에 광고 방송이 잠깐 표시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광고 방송이 표시되는 동안 영상의 장르가 변경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이 경우 광고 방송에 따라 변경된 장르로 영상의 화질을 변경하면, 광고가 종료된 후 다시 프로그램에 따른 장르로 영상의 화질을 변경하게 되므로, 영상의 화질을 짧은 시간 동안 계속해서 변경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화질 조절 시간 동안에는 영상의 장르를 고정함으로써, 영상 화질의 불필요한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단계 S11에서 영상의 장르를 획득한 후, 즉시 목표 화질을 설정하여 영상의 화질을 목표 화질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단계 S11에서 영상의 장르를 획득한 후, 획득한 영상의 장르가 소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에만 영상의 장르에 따른 목표 화질을 설정하고, 영상의 화질을 목표 화질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영상의 장르를 획득한 경우, 영상의 장르가 현재 장르에서 다른 장르로 변경된 것으로 인식된 경우, 변경된 장르가 소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에만 화질이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채널을 단순히 변경하는 경우에 까지 화질을 계속해서 변경하는 것은 불필요한 화질 변경에 해당하므로, 사용자가 특정 채널을 계속해서 시청하는 것으로만 인식될 경우에만 영상의 화질을 변경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EPG,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등의 변경에 의해, 명암, 밝기, 색온도 등과 같은 화질이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영상의 장르 또는 채널 번호 등에 기초하여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 TV 스피커 모드,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 및 스피커 확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함으로써, 영상에 적합한 음원을 출력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영상의 장르별로 화질을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영상의 장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의 화질을 상기 장르에 대응하는 화질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화질이 설정시간 동안 점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설정시간 동안에는 상기 영상의 장르를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르에 대응하는 화질을 목표 화질로 설정하고, 상기 영상의 화질을 현재 화질에서 상기 목표 화질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화질이 상기 현재 화질 보다 높으면 상기 영상의 화질을 증가시키고, 상기 목표 화질이 상기 현재 화질 보다 낮으면 상기 영상의 화질을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화질이 상기 현재 화질 보다 높으면 화질 조절 방향 변수를 양수로 설정하고, 상기 목표 화질이 상기 현재 화질 보다 낮으면 상기 화질 조절 방향 변수를 음수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화질이 목표 화질까지 변경되도록 설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화질 조절 스텝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질 조절 스텝과 상기 화질 조절 변수의 곱을 통해 상기 영상의 화질이 변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 주기마다 상기 영상의 장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은
    명암, 밝기, 선명도, 색농도 및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에서 EPG,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EPG,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장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PG에서 영상의 장르를 검출할 수 있으면 상기 EPG에 기초하여 영상의 장르를 획득하고,
    상기 EPG에서 영상의 장르를 검출할 수 없으면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장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장르에 대해 상기 영상이 각각의 장르에 해당할 확률들을 산출하고, 상기 확률들 중 최대 확률에 대응하는 장르를 상기 영상의 장르로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대 확률이 기준 확률 이하이면, 상기 영상의 장르를 현재 장르로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영상 모드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모드의 선택 명령에 따라 영상 모드가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영상의 장르에 따라 상기 영상의 화질을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7034636A 2019-05-23 2019-05-23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8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6161 WO2020235722A1 (ko) 2019-05-23 2019-05-2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335A KR20210135335A (ko) 2021-11-12
KR102618748B1 true KR102618748B1 (ko) 2023-12-29

Family

ID=73459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636A KR102618748B1 (ko) 2019-05-23 2019-05-2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98457B2 (ko)
EP (1) EP3975579A4 (ko)
KR (1) KR102618748B1 (ko)
WO (1) WO202023572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9392A1 (en) 2009-07-28 2011-02-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earch Result Content Sequencing
JP2012129847A (ja) * 2010-12-16 2012-07-05 Mega Chips Corp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システムの動作方法、ホスト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の作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4730B2 (ja) * 2005-03-01 2010-06-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139430B1 (ja) 2007-04-27 2008-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KR20110008781A (ko) 2009-07-21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와 리모콘을 이용한 시청환경 설정 방법
EP2495962A4 (en) 2009-10-27 2013-03-27 Sharp Kk DISPLAY DEVICE, CONTROL PROCEDURE FOR DESCRIBED DISPLAY DEVICE,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WITH THE PROGRAM SAVED THEREFROM
WO2014024553A1 (ja) * 2012-08-10 2014-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表示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WO2015115850A1 (ko) 2014-01-29 2015-08-06 엘지전자(주) 방송 수신 장치
KR102229156B1 (ko) * 2014-03-05 2021-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493904B1 (ko) 2014-03-31 2015-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9214A (ko) 2016-04-18 2017-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특성 추론 장치 및 방법
KR102402513B1 (ko) 2017-09-15 2022-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80310B1 (ko) 2017-11-06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9607B1 (ko) 2018-01-03 2019-07-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의 출력 특성 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9583501B (zh) * 2018-11-30 2021-05-07 广州市百果园信息技术有限公司 图片分类、分类识别模型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介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9392A1 (en) 2009-07-28 2011-02-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earch Result Content Sequencing
JP2012129847A (ja) * 2010-12-16 2012-07-05 Mega Chips Corp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システムの動作方法、ホスト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の作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75579A1 (en) 2022-03-30
EP3975579A4 (en) 2022-12-14
US20220215792A1 (en) 2022-07-07
WO2020235722A1 (ko) 2020-11-26
KR20210135335A (ko) 2021-11-12
US11798457B2 (en)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6634B (zh) 显示装置及操作显示装置的方法
KR10166824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148203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KR20150137499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139376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050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0279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87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23184A (ko)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67194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047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4114027A1 (en) Display device
KR202100304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3155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2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905707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611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40015814A1 (en) Display device and audio output system
US20230319376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099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0865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03575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5784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256245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