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470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470A
KR20210030470A KR1020217005729A KR20217005729A KR20210030470A KR 20210030470 A KR20210030470 A KR 20210030470A KR 1020217005729 A KR1020217005729 A KR 1020217005729A KR 20217005729 A KR20217005729 A KR 20217005729A KR 20210030470 A KR20210030470 A KR 20210030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isplay
preview image
display device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남
강신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7004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3067A/ko
Publication of KR2021003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8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a video-frame or a video-field (P.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6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a video-frame or a video-field (P.I.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항목의 썸네일만 보고 사용자가 동영상 내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항목을 포함하는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동영상 항목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일부 구간인 미리보기 영상을 동영상 항목의 썸네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유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큰 화면을 통해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영상을 보다 편리하게 시청하고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예를 들어, avi 파일, mp4 파일 등)의 리스트를 표시할 때, 동영상 각각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동영상의 일 프레임을 썸네일(thumbnail)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영상의 첫번째 프레임 혹은 동영상의 임의의 위치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추출하여 썸네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동영상의 시작 부분이 블랙 영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동영상의 첫번째 프레임을 썸네일로 사용할 경우 썸네일이 영상의 내용을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동영상의 임의의 위치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썸네일로 사용할 경우, 항상 고정된 위치의 이미지를 사용하므로 썸네일이 각 영상의 대표성을 나타내기 부족한 경우가 많다. 즉, 종래 동영상 리스트의 썸네일은 동영상 각각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암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썸네일로 사용하기 위한 각 프레임을 내부에 저장해야 하므로, 장치의 성능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동영상에서 추출한 일부 프레임을 저장하지 않아도 해당 동영상을 대표하도록 썸네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 항목 각각의 썸네일이 해당 동영상을 대표하도록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동영상 리스트의 표시 화면에서 특정 동영상의 재생 화면으로 전환하는 경우, 화면 전환 속도를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항목을 포함하는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동영상 항목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일부 구간인 미리보기 영상을 동영상 항목의 썸네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동영상의 지난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재생되는 미리보기 영상을 썸네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동영상의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에 기초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동영상의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영상의 기 설정된 재생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동영상 항목에 포인터가 위치하는 경우 미리보기 영상을 썸네일로 표시하며, 동영상 항목에 포인터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 미리보기 영상 중 일 장면을 썸네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포인터에 의해 동영상 항목이 선택되면, 미리보기 영상에 해당하는 시점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포인터에 의해 동영상 항목이 선택되면, 미리보기 영상의 재생 모드를 썸네일 모드에서 전체화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동영상 항목에 포인터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 미리보기 영상의 첫번째 장면을 썸네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이 변경되는 경우, 미리보기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이 변경되는 경우 썸네일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동영상이 재생 도중에 정지되는 경우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에 기초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고, 동영상이 재생되지 않거나 동영상이 재생 완료된 경우 동영상의 기 설정된 재생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마지막 재생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전부터 마지막 재생 시점까지 재생되는 제1 영상, 마지막 재생 시점이 중간에 표시되며 소정 시간 재생되는 제2 영상, 마지막 재생 시점부터 마지막 재생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까지 재생되는 제3 영상 중 어느 하나를 미리보기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중 설정 비율에 해당하는 재생 위치부터 소정 시간 재생되는 영상을 미리보기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동영상을 처음부터 재생시키는 제1 아이콘 및 동영상을 미리보기 영상에 해당하는 시점부터 재생시키는 제2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동영상 항목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동영상의 일부 구간을 동영상 항목의 썸네일로 표시하므로, 썸네일을 위한 특정 프레임을 저장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별도의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동영상의 지난 재생 정보에 기초하는 미리보기 영상을 썸네일로 표시하므로, 썸네일이 동영상의 대표성을 확보하며, 사용자가 썸네일을 통해 동영상의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 가능한 이점이 있다. 특히, 마지막 재생 시점이 썸네일로 표시될 경우, 사용자가 썸네일을 통해 동영상의 내용을 보다 쉽게 상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동영상의 일부 구간이 썸네일로 재생되므로, 사용자가 썸네일을 통해 동적인 미디어 파일임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동영상 항목이 선택되면, 썸네일로 재생 중인 미리보기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함으로써 동영상을 재생하므로, 화면 전환 속도를 높일 수 있고, 보다 매끄럽게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영상 리스트 표시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에 기초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난 재생 정보가 없는 경우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할 때 미리보기 영상을 썸네일로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영상 리스트에서 동영상 항목이 선택될 때 동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영상이 도중에 정지됨에 따라 썸네일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음성 획득부(175),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영상 리스트 표시 모듈의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영상 리스트 표시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 리스트 표시 모듈(300)은 제어부(170)의 일부일 수 있다.
동영상 리스트 표시 모듈(300)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동영상의 리스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에 저장된 동영상의 리스트 등을 표시할 때 구동될 수 있다.
동영상 리스트 표시 모듈(300)은 이어보기 정보 저장부(301), 썸네일 관리부(303), 리스트화면 표시부(305), 미리보기 구간 설정부(307), 미리보기 동영상 재생부(309), 전체화면 동영상 전환부(311) 및 동영상 플레이어(313) 중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보기 정보 저장부(301)는 동영상 각각의 지난 재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지난 재생 정보(past playback information)는, 동영상이 이전에 재생된 적 있는 경우, 이전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지난 재생 정보는,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 재생 시점(last playback time point)은, 동영상이 마지막으로 재생된 재생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재생 시간이 1시간 50분 35초(01:50:35)인 동영상이 재생되다가 50분 20초(00:50:20)에서 정지된 경우, 마지막 재생 시점은 00:50:20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체 재생 시간이 1시간 50분 35초(01:50:35)인 동영상이 재생 완료된 경우, 마지막 재생 시점은 01:50:35일 수 있다.
동영상이 재생 완료된 경우는, 동영상이 종료 시점까지 재생됨에 따라 자동으로 동영상 재생이 종료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어보기 정보 저장부(301)는 동영상이 재생 도중에 정지되거나, 동영상이 재생 완료된 경우, 지난 재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보기 정보 저장부(301)는 저장부(140)와 구분되는 별도의 저장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어보기 정보 저장부(301)는 동영상이 재생 도중에 정지되거나, 동영상이 재생 완료되면, 내부 저장 공간에 지난 재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이어보기 정보 저장부(301)는 저장부(140)와 동영상이 재생 도중에 정지되거나, 동영상이 재생 완료되면, 지난 재생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보기 정보 저장부(301)는 동영상 리스트 화면에 진입할 때 지난 재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보기 정보 저장부(301)는 내부 저장 공간 또는 저장부(140)에서 지난 재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썸네일 관리부(303)는 동영상 항목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로 표시할 미리보기 영상 및 대표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썸네일 관리부(303)는 이어보기 정보 저장부(301)로부터 지난 재생 정보를 입력받으면, 동영상의 지난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썸네일 관리부(303)는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영상의 기 설정된 재생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대표 프레임은 미리보기 영상 중 일 장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 프레임은 미리보기 영상의 첫번째 장면에 대응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리스트화면 표시부(305)는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항목을 포함하는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동영상 리스트를 구성하는 동영상 항목 각각은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고, 썸네일은 썸네일 관리부(303)에 의해 결정된 미리보기 영상 또는 대표 프레임일 수 있다.
썸네일은 미리보기 영상 또는 대표 프레임일 수 있다. 썸네일은 미리보기 영상에서 대표 프레임으로 전환되거나, 대표 프레임에서 미리보기 영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화면 표시부(305)는 동영상 항목 각각의 썸네일로 동영상 각각의 대표 프레임을 표시하며, 어느 하나의 동영상 항목이 포인터(205)를 통해 포커스 인가되면 대표 프레임 대신 미리보기 영상을 썸네일로 표시할 수 있다.
미리보기 구간 설정부(307)는 썸네일로 표시하고자 하는 미리보기 영상의 구간을 획득할 수 있다. 미리보기 구간 설정부(307)는 포인터(205)를 통해 포커스 인가된 동영상 항목에 대응하는 동영상에서 미리보기 영상으로 재생할 구간을 획득할 수 있다.
미리보기 동영상 재생부(309)는 미리보기 구간 설정부(307)에 의해 획득한 구간의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보기 동영상 재생부(309)는 저장부(14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에 저장된 동영상 중 미리보기 구간 설정부(307)에 의해 획득한 구간의 영상만을 로딩(loading)하여 썸네일 위치에서 반복 재생할 수 있다.
전체화면 동영상 전환부(311)는 미리보기 동영상 재생부(309)에 의해 일 구간이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의 선택 명령을 수신할 때 선택된 동영상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체화면 동영상 전환부(311)는 썸네일 모드로 표시 중인 영상을 전체화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영상 플레이어(313)는 저장부(14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에 저장된 동영상을 로딩하여 전체 화면에서 재생할 수 있다.
이어보기 정보 저장부(301)는 동영상 플레이어(313)가 동영상 재생을 종료할 경우, 지난 재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동영상 리스트 표시 모듈(300)을 구성하는 세부 구성요소들 각각은 동영상 리스트 표시 모듈(3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구분한 것에 불과하다. 즉, 동영상 리스트 표시 모듈(300)을 구성하는 세부 구성요소들 각각은 별개의 구성요소로 존재하거나, 2 이상의 구성요소가 조합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동영상 리스트 표시 모듈(300)은 동영상 리스트의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동영상의 일부 구간인 미리보기 영상을 동영상 항목의 썸네일로 표시함으로써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어부(170)는 동영상 리스트의 표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동영상 리스트의 표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동영상 리스트의 표시 명령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항목의 표시 명령 또는 외부장치(미도시)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항목의 표시 명령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외부장치(미도시)의 연결을 감지함에 따라 동영상 리스트의 표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동영상 리스트의 표시 명령은 외부장치(미도시)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항목의 표시 명령일 수 있다.
그러나, 위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어부(170)는 다양한 방법으로 동영상 리스트의 표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동영상 리스트의 표시 명령을 수신하면,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3).
제어부(170)는 동영상 리스트에 포함되는 동영상 항목 각각에 대해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후술하는 단계 S15, 단계 S17, 및 단계 S19 각각을 동영상 각각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동영상의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에 기초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5).
제어부(170)는 동영상의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지난 재생 정보로부터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영상의 지난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에 기초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영상은 재생 시작 시점, 재생 종료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재생 시작 시점은 00:00:00이고, 재생 종료 시점은 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이 1시간 30분 41초이면, 재생 종료 시점은 01:30:41일 수 있다.
동영상이 이전에 재생된 적 있는 경우에는, 이어보기 정보 저장부(301)가 지난 재생 정보를 저장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지난 재생 정보는 마지막 재생 시점을 포함하며, 마지막 재생 시점은 재생 시작 시점과 재생 종료 시점 사이에 해당하는 일 시점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재생되는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미리보기 영상을 해당 동영상의 썸네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소정 시간은 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T는 10초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T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마지막 재생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재생되는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한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마지막 재생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T) 이전부터 마지막 재생 시점까지 재생되는 영상을 미리보기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마지막 재생 시점이 중간에 재생되며, 소정 시간(T) 동안 재생되는 영상을 미리보기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마지막 재생 시점으로부터 T/2 시간 이전부터 마지막 재생 시점으로부터 T/2 시간 이후까지 재생되는 영상을 미리보기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마지막 재생 시점부터 마지막 재생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T) 이후까지 재생되는 영상을 미리보기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마지막 재생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T) 이전부터 마지막 재생 시점까지 재생되는 영상, 마지막 재생 시점이 중간에 재생되며, 소정 시간(T) 동안 재생되는 영상, 및 마지막 재생 시점부터 마지막 재생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T) 이후까지 재생되는 영상 중 어느 하나를 미리보기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며, 제어부(170)는 마지막 재생 시점이 등장하며, 소정 시간 동안 재생되도록 미리보기 영상을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동영상의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영상의 기 설정된 재생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7).
동영상이 이전에 재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어보기 정보 저장부(301)가 지난 재생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동영상이 이전에 재생된 적 있으나, 동영상이 재생 완료된 경우에도, 이어보기 정보 저장부(301)가 지난 재생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난 재생 정보가 없는 경우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동영상의 기 설정된 재생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중 설정 비율(N%)에 해당하는 재생 위치부터 소정 시간 재생되는 영상을 미리보기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도 8의 예시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중 10%에 해당하는 재생 위치부터 소정 시간(T) 재생되는 영상을 미리보기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중 40%에 해당하는 재생 위치부터 소정 시간(T) 재생되는 영상을 미리보기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중 70%에 해당하는 재생 위치부터 소정 시간(T) 재생되는 영상을 미리보기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중 10%에 해당하는 재생 위치부터 소정 시간(T) 까지의 영상,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중 40%에 해당하는 재생 위치부터 소정 시간(T) 까지의 영상,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중 70%에 해당하는 재생 위치부터 소정 시간(T) 까지의 영상 각각이 순차적으로 재생되는 영상을 미리보기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위 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어부(170)는 다양한 방법으로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고, 미리보기 영상의 일 장면을 동영상 항목의 썸네일로 표시할 수 있다(S19).
제어부(170)는 미리보기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추출하고, 추출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장면을 동영상 항목의 썸네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동영상 항목에의 포인터(205) 위치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S21).
제어부(170)는 동영상 리스트에 포함된 동영상 항목 중 어느 하나에 포인터(205)가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동영상 항목에 포인터(205)가 위치하면, 미리보기 영상을 로드할 수 있다(S23).
제어부(170)는 포인터(205)가 위치한 동영상 항목에 대응하는 동영상 중 미리보기 영상에 해당하는 구간만을 동영상의 저장 위치에서 로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썸네일 위치에서 미리보기 영상을 반복 재생할 수 있다(S25).
제어부(170)는 동영상 중 미리보기 영상에 해당하는 구간만을 로드하여, 미리보기 영상을 썸네일 위치에서 재생되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썸네일로 사용되는 영상 혹은 특정 프레임을 저장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제어부(170)는 동영상 항목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27).
제어부(170)는 포인터(205)에 의한 동영상 항목의 선택 명령의 수신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동영상 항목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지 않고, 포인터(205)가 계속해서 동영상 항목에 위치하면, 미리보기 영상을 반복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동영상 항목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미리보기 영상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S29).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어부(170)는 동영상 항목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선택된 동영상 항목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재생 시작 시점부터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동영상 항목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선택된 동영상 항목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미리보기 영상부터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미리보기 영상부터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도, 미리보기 영상 중 어느 시점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지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미리보기 영상의 첫번째 프레임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미리보기 영상 중 마지막 재생 시점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미리보기 영상의 정 가운데 시점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미리보기 영상 중 마지막 프레임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며, 제어부(170)는 미리보기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을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하여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한 방법에 따라, 재생 시작 시점을 다르게 선택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동영상이 재생 도중에 정지되는지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S31).
여기서, 동영상이 재생 도중에 정지되는 것은, 동영상이 재상 종료 시점까지 재생되기 이전에 재생이 종료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동영상이 재생 도중에 정지되면, 지난 재생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33).
예를 들어, 기 존재하는 지난 재생 정보의 마지막 재생 시점이 00:30:14인 경우, 제어부(170)는 동영상이 재생 도중인 01:00:13에 정지되면, 지난 재생 정보의 마지막 재생 시점을 00:30:14에서 01:00:13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동영상이 재생 도중에 정지되면,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을 변경함으로써 지난 재생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이 변경되는 경우, 미리보기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 예시에 이어서 설명하면, 제어부(170)는 미리보기 영상을 마지막 재생 시점 00:30:14를 기준으로 하는 영상에서 마지막 재생 시점 01:00:13을 기준으로 하는 영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이 변경되는 경우, 썸네일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썸네일은 미리보기 영상 혹은 미리보기 영상의 일 장면인 바, 제어부(170)는 마지막 재생 시점을 변경하면서, 썸네일을 함께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동영상이 재생 도중에 정지되지 않으면, 지난 재생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S35).
여기서, 동영상이 재생 도중에 정지되지 않는 것은, 동영상이 재생 종료 시점까지 재생됨에 따라 재생이 자동 종료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동영상이 재생 도중에 정지되지 않으면 지난 재생 정보를 삭제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미리보기 영상 및 썸네일을 변경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한 후, 미리보기 영상의 일 장면을 썸네일로 사용하는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의 예시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1 내지 제4 동영상 항목(41 내지 44)을 포함하는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동영상 항목(41 내지 44) 각각은 썸네일 위치를 갖을 수 있다.
그리고, 도 9의 예시에서, 포인터(205)는 동영상 항목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썸네일은 미리보기 영상 중 일 장면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제1 동영상 항목(41)의 썸네일 위치에 제1 동영상의 미리보기 영상 중 일 장면(41a)을 썸네일로 표시하고, 제2 동영상 항목(42)의 썸네일 위치에 제2 동영상의 미리보기 영상 중 일 장면(42a)을 썸네일로 표시하고, 제3 동영상 항목(43)의 썸네일 위치에 제3 동영상의 미리보기 영상 중 일 장면(43a)을 썸네일로 표시하고, 제4 동영상 항목(44)의 썸네일 위치에 제4 동영상의 미리보기 영상 중 일 장면(44a)을 썸네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미리보기 영상은 지난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영상일 수 있고, 이 경우 썸네일로 표시되는 일 장면은 지난 재생 정보에 따른 마지막 재생 시점의 장면 혹은 마지막 재생 시점과 인접한 장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썸네일만 보고 각 동영상 항목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내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할 때 미리보기 영상을 썸네일로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제1 내지 제4 동영상 항목(41 내지 44)을 포함하는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 중인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 동영상 항목(41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포인터(205)가 위치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내지 제4 동영상 항목(41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포인터(205)가 위치하는 경우, 포인터(205)가 위치하는 동영상 항목의 썸네일 위치에서 미리보기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즉, 도 10의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70)는 도 10의 (a)에서 제4 동영상 항목(44)에 포인터(205)가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고, 도 10의 (b)와 같이 제4 동영상 항목(44)의 썸네일로 제4 동영상의 미리보기 영상을 반복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썸네일 위치에서 미리보기 영상을 재생할 경우, 사용자가 해당 동영상 항목에 대응하는 파일이 동적 미디어 파일임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마지막 재생 시점에 기초하는 미리보기 영상을 썸네일을 통해 시청하므로, 이전에 시청한 장면을 재생시키지 않아도 상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영상 리스트에서 동영상 항목이 선택될 때 동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포인터(205)가 위치한 동영상 항목(44)에 대응하는 썸네일로 해당 동영상의 미리보기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포인터(205)가 위치한 동영상 항목(44)의 썸네일로 미리보기 영상을 재생하는 상태에서, 포인터(205)로 해당 동영상 항목(44)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썸네일로 표시 중이던 미리보기 영상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썸네일로 재생 중이던 미리보기 영상에 해당하는 시점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포인터(205)로 동영상 항목(44)이 선택되면, 미리보기 영상의 재생 모드를 썸네일 모드에서 전체화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도 11의 (a)에서 제4 동영상의 미리보기 영상을 썸네일 모드로 재생하였다면, 포인터(205)에 의해 동영상 항목(44)이 선택됨에 따라 도 11의 (b)와 같이 제4 동영상을 전체화면 모드로 재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4 동영상의 미리보기 영상을 썸네일 모드에서 전체화면 모드로 전환하여 재생하는 경우, 미리보기 영상을 반복 재생하지 않고, 미리보기 영상이 종료됨과 동시에 미리보기 영상과 이어지는 제4 동영상을 연속하여 재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썸네일 모드에서만 미리보기 영상을 반복 재생하고,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체화면 모드에서는 미리보기 영상부터 동영상 전체를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썸네일을 통해 선택된 영상을 재생할 때, 이미 로드된 미리보기 영상을 바로 재생하므로, 영상 선택 시점에서 새로운 영상을 로드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영상을 전체화면으로 전환할 때 매끄럽게 전환 가능하며, 영상 재생 시작시 버퍼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영상이 도중에 정지됨에 따라 썸네일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의 (c)는, 도 11의 (b)에서 전체화면으로 동영상의 재생이 시작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동영상의 재생 도중에 포인터(205)를 통해 정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동영상이 재생 도중에 정지되는 경우,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을 정지 명령을 수신할 때의 재생 시점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변경된 마지막 재생 시점을 기초로, 미리보기 영상 및 썸네일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제4 동영상 항목(44)의 썸네일과 도 12의 (d)에 도시된 제4 동영상 항목(44)의 썸네일이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4 동영상 항목(44)의 썸네일을 변경된 마지막 재생 시점에 기초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동영상 리스트의 썸네일을 사용자의 마지막 시청 시점을 기초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썸네일만 보고 영상의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할 때 복수의 재생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동영상을 처음부터 재생시키는 제1 아이콘과 동영상을 미리보기 영상부터 재생시키는 제2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동영상 항목 각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의 예시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1 동영상 항목(41)의 썸네일에 제1 아이콘(41b)과 제2 아이콘(41c)을 표시하고, 제2 동영상 항목(42)의 썸네일에 제1 아이콘(42b)과 제2 아이콘(42c)을 표시하고, 제3 동영상 항목(43)의 썸네일에 제1 아이콘(43b)과 제2 아이콘(43c)을 표시하고, 제4 동영상 항목(44)의 썸네일에 제1 아이콘(44b)과 제2 아이콘(44c)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동영상 항목(41)의 제1 아이콘(41b)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1 동영상을 처음부터 재생하고, 제1 동영상 항목(41)의 제2 아이콘(41c)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1 동영상을 제1 동영상의 미리보기 영상부터 재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70)는 제2 동영상 항목(42)의 제1 아이콘(42b)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2 동영상을 처음부터 재생하고, 제2 동영상 항목(42)의 제2 아이콘(42c)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제2 동영상을 제2 동영상의 미리보기 영상부터 재생할 수 있다. 제3 및 제4 동영상 항목(43)(44)도 동일하게 동작하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아이콘 및 제2 아이콘을 이용하여 시청하고 싶은 시점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는 동영상 항목에만 제1 및 제2 아이콘을 표시하고,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동영상 항목에는 제1 아이콘만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는 것은 사용자가 이전에 시청했던 적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바, 사용자가 재생 시점을 처음 혹은 마지막 재생 시점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예측하지 못한 임의의 시점부터 영상이 재생되는 경우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 혼란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항목을 포함하는 동영상 리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동영상 항목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일부 구간인 미리보기 영상을 상기 동영상 항목의 썸네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지난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재생되는 미리보기 영상을 상기 썸네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지난 재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동영상의 기 설정된 재생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항목에 포인터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미리보기 영상을 상기 썸네일로 표시하며, 상기 동영상 항목에 포인터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미리보기 영상 중 일 장면을 상기 썸네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에 의해 상기 동영상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미리보기 영상에 해당하는 시점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에 의해 상기 동영상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미리보기 영상의 재생 모드를 썸네일 모드에서 전체화면 모드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항목에 포인터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미리보기 영상의 첫번째 장면을 상기 썸네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미리보기 영상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이 재생 도중에 정지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의 마지막 재생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지 않거나 상기 동영상이 재생 완료된 경우, 상기 동영상의 기 설정된 재생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보기 영상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지막 재생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전부터 상기 마지막 재생 시점까지 재생되는 제1 영상, 상기 마지막 재생 시점이 중간에 재생되며 소정 시간 동안 재생되는 제2 영상, 상기 마지막 재생 시점부터 상기 마지막 재생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까지 재생되는 제3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미리보기 영상으로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중 설정 비율에 해당하는 재생 위치부터 소정 시간 재생되는 영상을 상기 미리보기 영상으로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을 처음부터 재생시키는 제1 아이콘 및 상기 동영상을 상기 미리보기 영상부터 재생시키는 제2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동영상 항목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7005729A 2019-07-16 2019-07-16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0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4524A KR20230023067A (ko) 2019-07-16 2019-07-16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8739 WO2021010511A1 (ko) 2019-07-16 2019-07-16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524A Division KR20230023067A (ko) 2019-07-16 2019-07-1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470A true KR20210030470A (ko) 2021-03-17

Family

ID=742103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729A KR20210030470A (ko) 2019-07-16 2019-07-16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37004524A KR20230023067A (ko) 2019-07-16 2019-07-16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524A KR20230023067A (ko) 2019-07-16 2019-07-1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57345A1 (ko)
EP (1) EP4002861A4 (ko)
KR (2) KR20210030470A (ko)
WO (1) WO2021010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99702B (zh) * 2021-06-18 2024-05-14 阿里巴巴创新公司 预览图像的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727170A (zh) * 2021-08-27 2021-11-30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交互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4049A1 (en) * 1996-11-12 2002-05-09 Kenji Toyoda Image playback apparatus,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CN1620695A (zh) * 2001-12-25 2005-05-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回放内容的装置、方法与计算机可读程序
KR20060012746A (ko) * 2004-08-04 2006-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재생 시작 위치를 선택 가능한 영상 재생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731378B1 (ko) * 2005-07-18 2007-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화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8078603B1 (en) * 2006-10-05 2011-12-13 Blinkx Uk Ltd Variou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oving thumbnails
JP4356762B2 (ja) * 2007-04-12 2009-11-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009371B2 (ja) * 2007-08-03 2012-08-22 株式会社LoiLo 映像データ編集のための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KR101454025B1 (ko) * 2008-03-31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에서 녹화정보를 이용한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110026808A (ko) * 2009-09-08 201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8732579B2 (en) * 2011-09-23 2014-05-20 Klip, Inc. Rapid preview of remote video content
KR101883373B1 (ko) * 2011-10-10 2018-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8966042B2 (en) * 2011-11-21 2015-02-24 Echostar Technologies L.L.C. Differentiating bookmarks in content access lists shared among multiple content player devices
KR101527038B1 (ko) * 2012-02-24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50092485A (ko) * 2014-02-05 2015-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845982B2 (en) * 2014-04-28 2020-11-24 Facebook, Inc. Providing intelligent transcriptions of sound messages in a messaging application
US9082018B1 (en) * 2014-09-30 2015-07-14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retroactively changing a display characteristic of event indicators on an event timeline
US20160294890A1 (en) * 2015-03-31 2016-10-06 Facebook, Inc. Multi-user media presentation system
US10347294B2 (en) * 2016-06-30 2019-07-09 Google Llc Generating moving thumbnails for vide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0511A1 (ko) 2021-01-21
US20220157345A1 (en) 2022-05-19
EP4002861A1 (en) 2022-05-25
EP4002861A4 (en) 2023-02-15
KR20230023067A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1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72573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60373828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9661809B (zh) 显示设备
KR1024595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304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23184A (ko)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050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7194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300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784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231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9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97400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196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269415A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600216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40107109A1 (en) Display device
KR1025099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0865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671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KR1022045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20798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