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024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024B1
KR102505024B1 KR1020217005728A KR20217005728A KR102505024B1 KR 102505024 B1 KR102505024 B1 KR 102505024B1 KR 1020217005728 A KR1020217005728 A KR 1020217005728A KR 20217005728 A KR20217005728 A KR 20217005728A KR 102505024 B1 KR102505024 B1 KR 102505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urround
audio
display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469A (ko
Inventor
이은정
황순형
이장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30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0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audio data, e.g. different tracks for different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3Connection circuits to selectively connect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라운드 효과를 보다 적절하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블루투스 연결하는 무선 통신부, 영상에 따라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 또는 비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스피커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디오 기술 뿐만 아니라 오디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TV를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들도 좋은 음향의 오디오를 청취하고자 하는 니즈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사용자는 TV에 여러 대의 스피커를 연결할 수 있고, TV는 내부 스피커와 TV에 연결된 여러 대의 스피커를 통해 입체 음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TV는 1 채널로 사운드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2 이상의 채널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 그 곳에 있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효과를 서라운드(surround) 효과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게 서라운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무조건 좋다고 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화, 콘서트 영상 등을 시청할 때에는 서라운드 효과를 통해 더 풍부한 음향 효과를 경험할 수 있으나, 뉴스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더 명료한 음성을 듣길 원하기 때문에 서라운드 효과로 인해 오히려 방해 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할 때에만 서라운드 효과를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서라운드 효과를 제공받고 싶어할 때에만 서라운드 모드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서라운드 모드로 사운드 출력시 사용자 선호 설정대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블루투스 연결하는 무선 통신부, 영상에 따라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 또는 비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서라운드 모드시 오디오 출력부 및 외부 스피커를 통해 2채널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비서라운드 모드시 오디오 출력부 및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1채널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영상의 장르를 획득하고, 장르가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장르이면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서 영상의 장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장르를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대상으로 설정하는 장르 설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영상의 채널 번호를 획득하고, 채널 번호가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채널 번호이면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번호를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대상으로 설정하는 채널 설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영상의 표시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면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이면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이면, 서라운드 모드로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서라운드 모드로의 동작 명령을 수신하면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고, 서라운드 모드로의 동작 명령을 수신하지 않으면 오디오 모드를 비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에 해당하면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고,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에 해당하지 않으면 오디오 모드를 비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오디오 모드를 비서라운드 모드에서 서라운드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외부 스피커와의 연결 여부를 획득하고, 외부 스피커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스피커와 블루투스 연결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시 사용된 서라운드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외부 스피커와 블루투스 연결시 서라운드 환경 정보에 따라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라운드 모드는 오디오 출력부와 외부 스피커 각각에서 서로 다른 사운드가 출력되는 모드이고, 비서라운드 모드는 오디오 출력부에서만 사운드가 출력되는 TV 스피커 모드, 외부 스피커에서만 사운드가 출력되는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 오디오 출력부와 외부 스피커에서 동일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 확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영상에 따라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 TV 스피커 모드,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 및 스피커 확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드를 영상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서라운드 기능으로 풍부한 음향 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서라운드 기능으로 인한 사용자의 영상 시청을 방해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영상 장르에 따라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서라운드 효과가 필요한 영상과 서라운드 효과가 불필요한 영상을 구분하는 정확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채널 번호에 따라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 채널 특성(영화 채널, 뉴스 채널 등)에 따라 서라운드 효과의 적용 여부를 결정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시 사용자 선호 서라운드 환경 정보에 따라 스피커를 제어함으로써,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시마다 사용자가 선호 환경을 변경하는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비서라운드 모드로 동작하는 모습의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하는 모습의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의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의 예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의 예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라운드 모드로 오디오를 출력하는 방법의 예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라운드 모드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스피커 확장 모드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스피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스피커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스피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스피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포터블 스피커, 사운드 바 등 오디오 출력 기능을 구비하며, 블루투스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연결 가능한 모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블루투스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가 출력하는 영상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오디오 출력부(185) 및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오디오 모드에 따라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의 종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종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운드를 출력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드는 서라운드 모드(surround mode) 및 비서라운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모드시에는 오디오 출력부(185) 및 외부 스피커를 통해 2채널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비서라운드 모드시에는 오디오 출력부(185) 및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1채널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비서라운드 모드로 동작하는 모습의 예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하는 모습의 예시 도면이다.
도 5을 참고하면, 제어부(170)는 비서라운드 모드로 동작시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스피커(300)가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는 사운드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비서라운드 모드에서는, 외부 스피커(300)에서만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스피커(300)에서만 사운드가 출력되는 오디오 모드를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는 비서라운드 모드의 하나를 예시로 든 도면이고, 비서라운드 모드는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 외에 TV 스피커 모드 및 스피커 확장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서라운드 모드는 TV 스피커 모드,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 스피커 확장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TV 스피커 모드는 오디오 출력부(185)에서만 사운드가 출력되는 모드이고,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는 외부 스피커(300)에서만 사운드가 출력되는 모드이고, 스피커 확장 모드는 오디오 출력부(185)와 외부 스피커(300)에서 동일 사운드가 출력되는 모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비서라운드 모드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300)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는 오디오 모드를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로 제어하고, 외부 스피커(300)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오디오 모드를 TV 스피커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설정 정보에 따라, 제어부(170)는 외부 스피커(300)가 연결된 경우에도 비서라운드 모드시 오디오 모드를 TV 스피커 모드로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는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스피커(300)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 이상의 외부 스피커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시 블루투스 연결된 외부 스피커(300)와 오디오 출력부(185) 각각에서 사운드를 출력시킬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모드시 외부 스피커(300)와 오디오 출력부(185)에서 서로 다른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하나의 외부 스피커(300)만 연결된 경우의 예시 도면이고, 도 6(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두 개의 스피커(300a)(300b)가 연결된 경우의 예시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도 6에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외부 스피커(300)가 블루투스 연결된 경우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2 이상의 외부 스피커가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복수개의 스피커(300a)(300b)가 연결된 경우, 복수개의 스피커(300a)(300b) 각각과 오디오 출력부(185)는 동일한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서로 다른 사운드를 출력할 수도 있다.
서라운드 모드는 음상 정위(sound image fixing), 사운드 믹스(sound mix) 등을 통해 외부 스피커(300)와 오디오 출력부(185) 각각에서 서로 다른 사운드를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속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모드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의 예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오디오 관련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오디오 설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설정 화면은 서라운드 기능을 실행하지 않기 위한 제1 아이콘과, 서라운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2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아이콘은 'BT only MODE'이고, 제2 아이콘은 'BT surround MODE' 일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기능을 실행하지 않기 위한 아이콘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 스피커(300)에서만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서라운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 스피커(300) 및 오디오 출력부(185) 각각에서 동시에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기능을 실행하기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오디오 모드를 항상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고, 영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9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오디오 설정 화면은 외부 스피커(300)의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블루투스 설정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설정 아이콘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스피커(300) 각각의 볼륨, 스피커 위치 등을 설정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위치를 설정하는 아이콘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L), 오른쪽(R)을 선택하는 아이콘을 포함하고, 실시 예에 따라 왼쪽 서라운드(Left surround), 오른쪽 서라운드(Right surround)를 선택하는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설정 화면은 오디오 모드를 TV 스피커 모드로 제어하는 제1 아이콘과, 오디오 모드를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로 제어하는 제2 아이콘과, 서라운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3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아이콘은 'Internal TV Speaker'이고, 제2 아이콘은 'Bluetooth Speaker'이고, 제3 아이콘은 'Internal TV speaker + Bluetooth Speaker'일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70)는 오디오 모드를 TV 스피커 모드로 설정하는 아이콘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오디오 출력부(185)에서만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오디오 모드를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로 설정하는 아이콘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 스피커(300)에서만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서라운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영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9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오디오 설정 화면은 외부 스피커(300)의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블루투스 설정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 잇고,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오디오 설정 화면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어부(170)는 다양한 방법으로 오디오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영상에 따라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 TV 스피커 모드,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 및 스피커 확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S11).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오디오 모드를 항상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지 않고, 영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영상에 따라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 또는 비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될 영상과, 비서라운드 모드로 제어될 영상을 구분하기 위한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영상에서 서라운드 모드로 사운드가 출력되고, 나머지 다른 영상에서는 비서라운드 모드로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환경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기능 적용 환경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서라운드 기능 적용 환경 설정 화면은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될 영상의 장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될 채널의 번호 등을 선택받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라운드 기능 적용 환경 설정 화면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스포츠', '드라마', '시사/다큐', '연예/오락', '쇼핑', '뉴스', '영화', '어린이', '취미/레저', '교육', '기타' 등의 영상 장르를 포함하고, 'CH1', 'CH2', 'CH3', 'CH4', 'CH5', 'CH6', 'CH7', 'CH8', 'CH9', 'CH10', 'CH11', 'CH12' 등의 채널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기능 적용 환경 설정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르를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대상으로 설정하는 장르 설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기능 적용 환경 설정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채널 번호를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대상으로 설정하는 채널 설정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영상 장르와 채널 번호가 모두 도시되어 있으나, 서라운드 기능 적용 환경 설정 화면은 영상 장르만을 표시하거나, 혹은 채널 번호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장르 설정 명령 및 채널 설정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선택된 영상 장르 또는 채널 번호를 서라운드 기능 적용 영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영상 시청시 서라운드 모드를 선택하는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자동으로 서라운드 기능 적용 영상의 대상이 되는 장르, 채널 번호를 설정할 수도 있다.
다시, 도 9를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서라운드 기능 적용 환경 설정 화면을 통해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될 영상의 종류를 미리 설정하고 있을 수 있다. 만약,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될 영상의 종류가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서라운드 기능이 실행된 경우 영상의 종류에 관계없이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3).
영상은 방송 수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영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영상은 방송 수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영상뿐만 아니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무선 통신부(173) 등을 통해 수신되는 모든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였는가 판단할 수 있다(S14).
제어부(170)는 채널이 변경되는 등의 이유로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하는 영상이 변경되면, 변경된 영상의 표시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카운트한 영상의 표시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단순히 채널을 돌리는 경우에도 오디오 모드를 사운드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불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설정 시간은 1분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반면에, 제어부(170)는 카운트한 영상 표시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면, 시청 중인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에 해당하는가 판단할 수 있다(S15).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미리 설정된 영상의 장르, 채널의 번호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시청 중인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인가 판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70)가 영상의 장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시청 중인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 중인 영상의 장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서 디스플레이부(180)가 현재 표시 중인 영상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의 정보에는 프로그램명, 출연진, 장르, 방송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PG에서 추출된 영상의 정보에서 현재 방송 영상의 장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한 영상의 장르가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장르에 해당하는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라운드 기능 적용 환경 설정 화면에서 '음악', '영화'인 영상 장르를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는 환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 중인 영상의 장르가 '음악' 또는 '영화' 등과 같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장르이면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고, '음악' 및 영화'에 해당하지 않으면 오디오 모드를 비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70)가 채널 번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시청 중인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 중인 영상의 채널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수신한 채널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 중인 영상의 채널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채널 번호가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채널 번호에 해당하는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라운드 기능 적용 환경 설정 화면에서 'CH6'인 채널 번호를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는 환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 중인 영상의 채널 번호가 'CH6' 등과 같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채널 번호이면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고, 'CH6'에 해당하지 않으면 오디오 모드를 비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 중인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에의 해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 중인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에 해당하지 않으면, 오디오 모드를 비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S17).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70)가 표시 중인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이면,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인 경우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이면, 서라운드 모드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19).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모드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서라운드 모드의 동작 명령을 수신하였는가 판단할 수 있다(S21).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모드의 동작 명령을 수신하지 않으면, 오디오 모드를 비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S17).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모드의 동작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 스피커와 연결할 수 있다(S23).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모드의 동작 명령을 수신하면, 오디오 모드를 비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외부 스피커와의 연결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오디오 모드를 비서라운드 모드에서 서라운드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외부 스피커(300)와의 연결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외부 스피커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 스피커와 연결되도록 무선 통신부(173)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외부 스피커에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외부 스피커와의 연결을 실패하면, 연결을 재시도 하도록 메시지(미도시)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외부 스피커와 이미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외부 스피커와의 추가 연결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외부 스피커와 연결하면, 사용자 선호 서라운드 환경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S25).
저장부(140)는 사용자 선호 서라운드 환경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선호 서라운드 환경 정보는 이전에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될 때의 사용 환경으로, 사용자가 서라운드 모드를 재 사용할 때 동일한 서라운드 환경을 반복하여 설정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장부(140)에 저장한 서라운드 환경 정보일 수 있다.
서라운드 환경 정보는 외부 스피커(300)의 무선 연결 주소(예를 들어, 블루투스 mac address), 외부 스피커(300)의 볼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볼륨, 음향 모드(예를 들어, 표준, 시네마, 축구, 클리어보이스, 음악, 게임 등), 외부 스피커의 이름(사용자가 특정한 스피커 이름을 포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된 서라운드 환경 정보가 복수인 경우, 제어부(170)는 복수의 서라운드 환경 정보를 나타내는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서라운드 환경 정보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선택된 서라운드 환경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서라운드 환경 정보를 로드한 후, 로드된 서라운드 환경 정보에 따라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부(185) 및 외부 스피커(30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환경을 로드한 후, 서라운드 모드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S27).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도록 설정된 영상인 경우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는 방법의 예시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의 예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의 예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라운드 모드로 오디오를 출력하는 방법의 예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하고, 영상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8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 중인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이면, 서라운드 모드로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40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400)는 서라운드 기능을 안내하는 텍스트(예를 들어, '서라운드 모들 전환하시겠습니까?')와, 서라운드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아이콘(예를 들어, '예'), 서라운드 모드로 전환하지 않기 위한 아이콘(예를 들어, '아니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서라운드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아이콘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오디오 출력부(185) 및 외부 스피커(300)를 통해 2채널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라운드 모드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제어부(170)는 디코더(170a), 믹서(172), 제1 음장효과 생성부(174) 및 제2 음장효과 생성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171)는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믹서(185b)는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들을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오디오 신호는 제1 음장효과 생성부(174)와 제2 음장효과 생성부(175)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음장효과 생성부(174)는 믹싱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음원을 생성하여 오디오 출력부(185)로 전송하고, 제2 음장효과 생성부(175)는 믹싱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음원을 생성하여 외부 스피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1 음원을 출력하고, 외부 스피커(300)가 제2 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서라운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음원은 영상 속 사람이 말하는 음성이고, 제2 음원은 영상 속 배경음일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순서도와 달리, 제어부(170)는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이면, 자동으로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이면, 별도의 추가 입력을 수신하지 않아도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서는, 제1 음장효과 생성부(174)와 제2 음장효과 생성부(175)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제어부(170)는 2 이상의 음장효과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2 이상의 멀티 채널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1 음원을 출력하고, 제1 외부 스피커(300a)가 제2 음원을 출력하고 제2 외부 스피커(300b)가 제3 음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스피커 확장 모드로 사운드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앞에서,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하는 영상을 특정 장르 또는 특정 채널 번호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한편, 제어부(170)는 스피커 확장 모드로 동작하는 영상을 특정 장르 및 특정 채널 번호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영상 장르 '뉴스'를 스피커 확장 모드의 적용 환경으로 설정할 수 있고, 스피커 확장 모드의 적용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은 도 10에서 설명한 방법과 유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780)가 표시 중인 영상의 장르가 '뉴스'인 경우 오디오 모드를 스피커 확장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스피커 확장 모드시, 외부 스피커(300)와 연결하고, 서라운드 모드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85) 및 외부 스피커(30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70)는 디코더(170a), 믹서(172), 제1 음장효과 생성부(174) 및 제2 음장효과 생성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스피커 확장 모드시에는 제2 음장효과 생성부(175)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디코더(171)는 영상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믹서(185b)는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들을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오디오 신호는 제1 음장효과 생성부(174)에만 제공될 수 있다.
제1 음장효과 생성부(174)는 믹싱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음원을 생성하고, 제1 음원을 오디오 출력부(185)와 외부 스피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와 외부 스피커(300)는 제1 음원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영상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좀 더 명확하게 들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영상의 장르 또는 채널 번호 등에 기초하여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 TV 스피커 모드,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 및 스피커 확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함으로써, 영상에 적합한 음원을 출력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운드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블루투스 연결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영상에 따라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 또는 비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고, 제1 음원을 생성하는 제1 음장효과 생성부 및 제2 음원을 생성하는 제2 음장효과 생성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서라운드 모드는 스피커 확장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모드를 비서라운드 모드에서 서라운드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외부 스피커와의 연결 여부를 획득하고,
    상기 외부 스피커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외부 스피커와 블루투스 연결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오디오 모드가 상기 서라운드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음원을 상기 오디오 출력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2 음원을 상기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고,
    상기 오디오 모드가 상기 스피커 확장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음원을 상기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라운드 모드시 상기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외부 스피커를 통해 2채널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비서라운드 모드시 상기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1채널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장르를 획득하고,
    상기 장르가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장르이면 상기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서 상기 영상의 장르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장르를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대상으로 설정하는 장르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채널 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채널 번호가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채널 번호이면 상기 오디오 모드를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번호를 서라운드 기능의 적용 대상으로 설정하는 채널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표시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이면 상기 오디오 모드를 상기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이면, 상기 서라운드 모드로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라운드 모드로의 동작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오디오 모드를 상기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서라운드 모드로의 동작 명령을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오디오 모드를 상기 비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에 해당하면 상기 오디오 모드를 상기 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영상이 서라운드 기능이 적용되도록 설정된 영상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오디오 모드를 상기 비서라운드 모드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시 사용된 서라운드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스피커와 블루투스 연결시 상기 서라운드 환경 정보에 따라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드 모드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와 상기 외부 스피커 각각에서 서로 다른 사운드가 출력되는 모드이고,
    상기 비서라운드 모드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서만 사운드가 출력되는 TV 스피커 모드,
    상기 외부 스피커에서만 사운드가 출력되는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확장 모드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와 상기 외부 스피커에서 동일 사운드를 출력하는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따라 상기 오디오 모드를 상기 서라운드 모드, 상기 TV 스피커 모드,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 모드 및 상기 스피커 확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7005728A 2019-05-20 2019-05-2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5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5983 WO2020235699A1 (ko) 2019-05-20 2019-05-2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469A KR20210030469A (ko) 2021-03-17
KR102505024B1 true KR102505024B1 (ko) 2023-03-03

Family

ID=7345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728A KR102505024B1 (ko) 2019-05-20 2019-05-2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24415A1 (ko)
EP (1) EP3975577A4 (ko)
KR (1) KR102505024B1 (ko)
WO (1) WO20202356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447A1 (ko) * 2019-08-09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21100161A (ja) * 2019-12-20 2021-07-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動作方法および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4619A1 (en) * 2003-02-24 2004-09-23 Alps Electric Co., Ltd. Sound control system, sound contro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US20150058877A1 (en) * 2013-08-21 2015-02-2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Content-based audio/video adjust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752A (ko) * 1997-04-14 1998-11-16 윤종용 화면 및 음향을 자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수신 장치
KR100604016B1 (ko) * 2003-08-11 2006-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리레벨 제어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5054542B2 (ja) * 2005-12-20 2012-10-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機器連携装置、機器連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KR100960982B1 (ko) * 2008-07-24 2010-06-03 (주)보성전자 입력모드에 매칭시키기 위한 오디오신호의 스위칭 제어장치및 방법
US7975285B2 (en) * 2008-12-26 2011-07-05 Kabushiki Kaisha Toshiba Broadcast receiver and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CN102550022A (zh) * 2009-09-30 2012-07-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家庭影院系统、视频音频重放装置、音频输出控制装置以及音量控制方法
KR101269702B1 (ko) * 2010-10-20 2013-05-30 윤기정 다차원 스크린을 이용한 오디오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086188B2 (ja) * 2012-09-04 2017-03-01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効果調整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5174753A1 (en) * 2014-05-16 2015-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output apparatus, mobil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US9820048B2 (en) * 2015-12-26 2017-11-14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location-dependent wireless speaker configu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4619A1 (en) * 2003-02-24 2004-09-23 Alps Electric Co., Ltd. Sound control system, sound contro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US20150058877A1 (en) * 2013-08-21 2015-02-2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Content-based audio/video adjus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469A (ko) 2021-03-17
EP3975577A1 (en) 2022-03-30
WO2020235699A1 (ko) 2020-11-26
US20220124415A1 (en) 2022-04-21
EP3975577A4 (en)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1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72573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327030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050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2799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94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286318A1 (en) Display device
KR202101217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997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300230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9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155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96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82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671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KR102057862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015814A1 (en) Display device and audio output system
US20240107109A1 (en) Display device
KR2017010865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81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847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8289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4400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5335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