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376A -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376A
KR20150139376A KR1020140067920A KR20140067920A KR20150139376A KR 20150139376 A KR20150139376 A KR 20150139376A KR 1020140067920 A KR1020140067920 A KR 1020140067920A KR 20140067920 A KR20140067920 A KR 20140067920A KR 20150139376 A KR20150139376 A KR 20150139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us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7289B1 (ko
Inventor
안우석
강상규
오형철
박세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7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289B1/ko
Priority to US15/316,452 priority patent/US10162423B2/en
Priority to PCT/KR2014/006080 priority patent/WO2015186857A1/ko
Publication of KR2015013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8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motion or position input signals, e.g. signals representing the rotation of an input controller or a player's arm motions sensed by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5Rule-based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06T7/251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involving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54Analysis of motion involving subtraction of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은 영상 표시 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제스처에 대한 제어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제스처 및 산출된 제어량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제공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한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최근의 스마트 TV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해서,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하지만, 스마트 TV가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한정적이고, 제스처만으로 음량의 크기와 같은 제어량을 입력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TV가 사용자의 복수의 제스처 조합을 인식하여 다양한 제어 동작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복수의 제스처 조합을 인식하는 방법은 복수의 제스처 각각을 사용자가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복수의 제스처 조합이 사용자에게 직관적이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 및 제어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한번의 제스처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 동작 및 제어 동작에 대한 제어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은 영상 표시 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제스처에 대한 제어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제스처 및 산출된 제어량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영상 표시 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제스처에 대한 제어량을 산출하고, 상기 인식된 제스처 및 산출된 제어량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어량이 필요한 제어 동작을 한번의 제스처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한번의 제스처만으로 원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량에 대한 직관적인 입력 방법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에 직관적인 제스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획득부의 영상 획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좌우 방향 제스처를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좌우 방향 제스처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나타낸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상하 방향 제스처를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전후 방향의 제스처 인식에 대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비율 비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길이 비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면적 비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좌우 방향 제스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 표시 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 표시 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영상 획득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terminal)를 포함할 수 있어서, 외부 장치의 커넥터(connecter)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연결된 외부 장치에 구동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가 송신한 동작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제어부(170)가 송신한 음성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포함될 수 있어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인식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영상 표시 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 표시 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60)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어서,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획득부(160)는 획득한 영상을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로부터 외부 장치의 연결에 대한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에 구동 전원이 전달되도록 전원 공급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 획득부(160)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기초로, 획득한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 표시 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 표시 기기(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영상 표시 기기(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전원 버튼(291), 채널 버튼(293), 선호 채널 버튼(295) 및 LIVE 버튼(297)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291)은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버튼(293)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선호 채널 버튼(295)은 선호 채널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LIVE 버튼(297)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영상 표시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영상표시기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의 영상 획득부(160)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S101).
영상 획득부(160)는 영상 획득부(160)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획득부(160)의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에 대한 이미지 획득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획득부(160)의 영상 획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영상 획득부(16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면에 구비되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획득부(160)는 영상 표시 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획득부(16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면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60)는 획득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여기서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에는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에 대한 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는 영상 표시 기기(100)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한다(S103).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영상 획득부(160)가 획득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에서 제스처 오브젝트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구분된 제스처 오브젝트 영역에서 제스처 오브젝트의 형상,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형상,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이 기 저장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형상, 움직임 중 하나 이상에 매칭된다고 판단하면,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형상,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의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스처 오브젝트는 손, 손가락, 발, 머리, 얼굴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스처 오브젝트 영역은 획득된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한 영상에서 상술한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분이 포함되는 제스처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한다(S105).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영상에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획득된 영상에서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획득된 영상에서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가락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획득된 영상에서 제스처 오브젝트인 머리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스처 오브젝트는 손, 손가락, 발, 머리, 얼굴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제스처 오브젝트는 하나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어서, 복수의 오브젝트가 제스처 오브젝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스처 오브젝트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105는 후술할 단계 S109에 포함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기준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한다(S107).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영상에서 기준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획득된 영상에서 기준 오브젝트인 머리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획득된 영상에서 기준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오브젝트인 손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과 동일한 손일 수도 있고, 다른 손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70)는 획득된 영상에서 기준 오브젝트인 손가락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오브젝트인 손가락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가락과 동일한 손가락일 수도 있고, 다른 손가락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준 오브젝트는 손, 손가락, 발, 머리, 얼굴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 중 일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기준 오브젝트는 하나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어서, 복수의 오브젝트가 기준 오브젝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준 오브젝트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107은 후술할 단계 S109에 포함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와 기준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한다(S109).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와 기준 오브젝트의 위치를 기초로, 제스처 오브젝트와 기준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도 6a, 7a, 8a 및 9a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좌우 방향 제스처를 나타낸다.
도 6a를 참고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기기(100)는 기준 오브젝트의 중심과 제스처 오브젝트의 중심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영상 표시 기기는(100)는 기준 오브젝트인 머리의 중심에 대응하는 기준선 L1과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중심에 대응하는 기준선 L2 간의 거리인 d1을 산출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좌우 방향 제스처를 나타낸다.
도 7a를 참고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왼손과 제스처 오브젝트인 오른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기기(100)는 기준 오브젝트의 중심과 제스처 오브젝트의 중심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영상 표시 기기는(100)는 기준 오브젝트인 왼손의 중심에 대응하는 기준선 L1과 제스처 오브젝트인 오른손의 중심에 대응하는 기준선 L2 간의 거리인 d1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7a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기준 오브젝트를 오른손으로 인식하고, 제스처 오브젝트를 왼손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a를 참고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과 제스처 오브젝트인 검지 손가락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기기(100)는 기준 오브젝트의 중심과 제스처 오브젝트의 중심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영상 표시 기기는(100)는 기준 오브젝트인 엄지 손가락의 중심에 대응하는 기준선 L1과 제스처 오브젝트인 검지 손가락의 중심에 대응하는 기준선 L2 간의 거리인 d1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8a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기준 오브젝트를 검지 손가락으로 인식하고, 제스처 오브젝트를 엄지 손가락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상하 방향 제스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a를 참고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기기(100)는 기준 오브젝트의 중심과 제스처 오브젝트의 중심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영상 표시 기기는(100)는 기준 오브젝트인 머리의 중심에 대응하는 기준선 L1과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중심에 대응하는 기준선 L2 간의 거리인 d1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기기(100)는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기준 오브젝트 및 제스처 오브젝트 각각의 면적, 크기, 길이 및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비율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산출할 수도 있다.
이를 도 10a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전후 방향의 제스처 인식에 대한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10a를 참고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b를 참고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기준 오브젝트의 중심과 제스처 오브젝트의 중심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영상 표시 기기는(100)는 기준 오브젝트인 머리의 중심에 대응하는 기준선 L1과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중심에 대응하는 기준선 L2 간의 거리인 d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비율을 기초로,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비율 비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 (a)는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기준 오브젝트인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이 동일한 기준선인 L1에 위치하는 경우이고, 도 11 (b)는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손이 기준선 L1과 다른 기준선 L2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도 11 (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의 크기, 면적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하고,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크기, 면적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산출된 기준 오브젝트의 크기, 면적 중 하나 이상과 제스처 오브젝트의 크기, 면적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1 (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의 크기, 면적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하고,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크기, 면적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산출된 기준 오브젝트의 크기, 면적 중 하나 이상과 제스처 오브젝트의 크기, 면적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11 (a)에서 산출한 비율과 도 11 (b)에서 산출한 비율을 비교하여,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기준 오브젝트인 머리의 위치는 동일하다. 따라서, 기준 오브젝트인 머리의 크기, 면적 중 하나 이상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동일하다. 그래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스처 오브젝트의 전후 이동에 따른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비율을 기초로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스처 오브젝트의 이동에 따른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비율의 변화를 기초로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스처 오브젝트의 면적, 크기, 길이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영상 표시 기기(100)가 제스처 오브젝트의 길이를 기초로,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길이 비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 (a)는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기준 오브젝트인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이 동일한 기준선인 L1에 위치하는 경우이고, 도 12 (b)는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손이 기준선 L1과 다른 기준선 L2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도 12 (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제스처 오브젝트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스처 오브젝트의 높이, 폭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폭에 대한 길이인 w1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2 (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제스처 오브젝트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스처 오브젝트의 높이, 폭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폭에 대한 길이인 w2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12 (a)에서 산출한 길이와 도 12 (b)에서 산출한 길이를 비교하여,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실제 크기는 동일하다. 그러나 영상 표시 기기(100)가 획득한 영상에서 제스처 오브젝트의 크기는 달라진다. 그래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스처 오브젝트의 전후 이동에 따른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제스처 오브젝트의 크기 변화를 기초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스처 오브젝트의 면적을 기초로,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면적 비교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 (a)는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기준 오브젝트인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이 동일한 기준선인 L1에 위치하는 경우이고, 도 13 (b)는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손이 기준선 L1과 다른 기준선 L2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도 13 (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제스처 오브젝트의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1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게 표시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면적인 a1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3 (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제스처 오브젝트의 면적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1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게 표시된 제스처 오브젝트의 면적인 a2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13 (a)에서 산출한 면적과 도 13 (b)에서 산출한 면적을 비교하여,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실제 면적은 동일하다. 그러나 영상 표시 기기(100)가 획득한 영상에서 제스처 오브젝트의 면적은 달라진다. 그래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스처 오브젝트의 전후 이동에 따른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제스처 오브젝트의 면적 변화를 기초로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기기(100)의 영상 획득부(160)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어서,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기준 오브젝트의 중심과 제스처 오브젝트의 중심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획득부(160)는 TOF 카메라(Time Of Flight Camera, 미도시)를 통해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TOF 카메라는 빛을 쏘아서 반사되어 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카메라를 의미하며,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인식된 제스처 및 산출된 거리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S111).
영상 표시 기기(100)는 인식된 제스처의 형상,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산출된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인식된 제스처를 제어 동작으로, 산출된 거리를 제어량 또는 실행량으로 인식하여, 인식된 제스처와 산출된 거리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산출된 거리에 따라 제어량 또는 실행량을 양수(positive number) 또는 음수(negative number)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기기(100)가 수행할 수 있는 제어 동작은 영상 표시 기기(100)가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제어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채널 전환, 음량 조절, 화면 확대, 화면 축소, 화면 이동, 포인터 이동, 화면 설정 및 음향 설정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좌우 방향 제스처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 도 6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을 펼치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거리가 d1인 경우 음량 조절량을 +3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음량을 볼륨값 3만큼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6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을 펼치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거리가 d2인 경우 음량 조절량을 +5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음량을 볼륨값 5만큼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6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을 펼치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거리가 d3인 경우 음량 조절량을 +1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음량을 볼륨값 1만큼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6d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을 펼치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거리가 d4인 경우 음량 조절량을 -3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음량을 볼륨값 3만큼 낮출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동작의 수행을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좌우 방향 제스처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 도 14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을 쥐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표시되는 채널을 전환하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거리가 d1인 경우 채널 이동량을 +3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표시하는 채널을 3개 채널 이후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표시 중인 채널이 채널 10이었다면, 채널 13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4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을 쥐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표시되는 채널을 전환하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거리가 d2인 경우 채널 이동량을 +5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표시하는 채널을 5개 채널 이후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표시 중인 채널이 채널 10이었다면, 채널 15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4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을 쥐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표시되는 채널을 전환하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거리가 d3인 경우 채널 이동량을 +1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표시하는 채널을 1개 채널 이후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표시 중인 채널이 채널 10이었다면, 채널 11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4d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을 쥐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표시되는 채널을 전환하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거리가 d4인 경우 채널 이동량을 -3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표시하는 채널을 3개 채널 이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표시 중인 채널이 채널 10이었다면, 채널 7로 전환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동작의 수행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좌우 방향 제스처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 도 7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두 손을 각각 펼치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스처 오브젝트인 두 손 중 하나의 손을 기준 오브젝트로 인식하고, 다른 손을 제스처 오브젝트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한 손과 제스처 오브젝트인 다른 손의 거리가 d1인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2배로 확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7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두 손을 각각 펼치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스처 오브젝트인 두 손 중 하나의 손을 기준 오브젝트로 인식하고, 다른 손을 제스처 오브젝트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한 손과 제스처 오브젝트인 다른 손의 거리가 d2인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3배로 확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두 손을 각각 펼치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스처 오브젝트인 두 손 중 하나의 손을 기준 오브젝트로 인식하고, 다른 손을 제스처 오브젝트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한 손과 제스처 오브젝트인 다른 손의 거리가 d3인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0.8배로 축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가 사용자의 복수의 손가락 각각을 기준 오브젝트와 제스처 오브젝트로 인식하여 동작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 도 8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검지 손가락과 기준 오브젝트인 엄지 손가락을 벌리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엄지 손가락과 제스처 오브젝트인 검지 손가락의 거리가 d1인 경우 음량 조절량을 +1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음량을 볼륨값 1만큼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8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검지 손가락과 기준 오브젝트인 엄지 손가락을 벌리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엄지 손가락과 제스처 오브젝트인 검지 손가락의 거리가 d2인 경우 음량 조절량을 +3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음량을 볼륨값 3만큼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검지 손가락과 기준 오브젝트인 엄지 손가락을 벌리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음량을 조절하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엄지 손가락과 제스처 오브젝트인 검지 손가락의 거리가 d3인 경우 음량 조절량을 -1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음량을 볼륨값 1만큼 낮출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동작의 수행을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상하 방향 제스처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 도 9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을 펴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화면,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거리가 d1인 경우 이동량을 -2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화면,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 중 하나 이상을 이동량 2만큼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표시된 전체 채널의 목록에서 3번째 채널에 대해 포인터가 표시 중이었다면, 5번째 채널에 대해 포인터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9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을 펴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화면,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거리가 d2인 경우 이동량을 +1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화면,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 중 하나 이상을 이동량 1만큼 상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표시된 전체 채널의 목록에서 3번째 채널에 대해 포인터가 표시 중이었다면, 2번째 채널에 대해 포인터가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을 펴는 제스처를 영상 표시 기기(100)의 화면,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 중 하나 이상을 이동시키는 제어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기준 오브젝트인 사용자의 머리와 제스처 오브젝트인 손의 거리가 d3인 경우 이동량을 -4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화면, 화면에 표시된 포인터 중 하나 이상을 이동량 4만큼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표시된 전체 채널의 목록에서 3번째 채널에 대해 포인터가 표시 중이었다면, 7번째 채널에 대해 포인터가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영상 표시 기기(100)의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제어 동작 수행은 설명의 위한 예시로써,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스처의 형상 또는 움직임 및 산출된 거리에 따라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채널 전환, 음량 조절, 화면 확대, 화면 축소, 화면 이동, 포인터 이동, 화면 설정 및 음향 설정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제스처에 대응하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 동작이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해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영상 표시 기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제스처에 대한 제어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제스처 및 산출된 제어량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 및 기준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와 인식된 기준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거리를 기초로 상기 제어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오브젝트 및 기준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제스처 오브젝트의 위치 및 상기 기준 오브젝트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 오브젝트 및 상기 기준 오브젝트 각각의 면적, 크기, 길이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제스처 오브젝트와 상기 기준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 오브젝트와 상기 기준 오브젝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제스처 오브젝트와 상기 기준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오브젝트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오브젝트는
    상기 제어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인 오브젝트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오브젝트 및 상기 기준 오브젝트는 서로 다른 오브젝트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제스처의 형상,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기 저장된 제스처의 형상,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채널 전환, 음량 조절, 화면 확대, 화면 축소, 화면 이동, 포인터 이동, 화면 설정 및 음향 설정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은
    양수 또는 음수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12. 영상 표시 기기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사용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획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제스처에 대한 제어량을 산출하고, 상기 인식된 제스처 및 산출된 제어량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제스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오브젝트 및 기준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 오브젝트와 인식된 기준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를 기초로 상기 제어량을 산출하는
    영상 표시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오브젝트 및 상기 기준 오브젝트 각각의 면적, 크기, 길이 중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제스처 오브젝트와 상기 기준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영상 표시 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오브젝트와 상기 기준 오브젝트 간의 비율을 기초로 상기 제스처 오브젝트와 상기 기준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영상 표시 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오브젝트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인
    영상 표시 기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오브젝트는
    상기 제어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인 오브젝트인
    영상 표시 기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제스처의 형상,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제어량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제스처의 형상, 움직임 중 하나 이상을 기 저장된 제스처의 형상, 움직임 중 하나 이상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영상 표시 기기.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제스처 및 산출된 제어량을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채널 전환, 음량 조절, 화면 확대, 화면 축소, 화면 이동, 포인터 이동, 화면 설정 및 음향 설정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기기.
KR1020140067920A 2014-06-03 2014-06-03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67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920A KR102167289B1 (ko) 2014-06-03 2014-06-03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15/316,452 US10162423B2 (en) 2014-06-03 2014-07-08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CT/KR2014/006080 WO2015186857A1 (ko) 2014-06-03 2014-07-08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920A KR102167289B1 (ko) 2014-06-03 2014-06-03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376A true KR20150139376A (ko) 2015-12-11
KR102167289B1 KR102167289B1 (ko) 2020-10-19

Family

ID=5476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920A KR102167289B1 (ko) 2014-06-03 2014-06-03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62423B2 (ko)
KR (1) KR102167289B1 (ko)
WO (1) WO20151868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0504B2 (en) * 2013-02-05 2017-08-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for system engagement via 3D object detection
KR102209354B1 (ko) * 2014-06-20 2021-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JP6870264B2 (ja) * 2016-09-30 2021-05-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運動訓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825013A (zh) * 2019-11-20 2021-05-2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终端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5321A (ko) * 2012-03-15 2013-09-25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제스처 인식 장치, 전자기기,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35244A (ko) * 2012-09-10 2014-03-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4533B2 (en) * 2009-12-17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mera navigation for presentations
JP2011232894A (ja) * 2010-04-26 2011-11-17 Renesas Electronics Corp インタフェース装置、ジェスチャ認識方法及びジェスチャ認識プログラム
US8396252B2 (en) * 2010-05-20 2013-03-12 Edge 3 Technologi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three dimensional gesture recognition in vehicles
KR101396488B1 (ko) * 2011-11-09 2014-05-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신호 입력 장치 및 신호 입력 방법
US9697418B2 (en) * 2012-07-09 2017-07-04 Qualcomm Incorporated Unsupervised movement detection and gesture recognition
US20140071044A1 (en) * 2012-09-10 2014-03-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vice and method for user interfacing,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40046197A (ko)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씨씨 동작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9459697B2 (en) * 2013-01-15 2016-10-04 Leap Motion, Inc. Dynamic, free-space user interactions for machine control
US9857876B2 (en) * 2013-07-22 2018-01-02 Leap Motion, Inc. Non-linear motion capture using Frenet-Serret frames
US20150029092A1 (en) * 2013-07-23 2015-01-29 Leap Motion, Inc. Systems and methods of interpreting complex gestures
US10152136B2 (en) * 2013-10-16 2018-12-11 Leap Motion, Inc. Velocity field interaction for free space gesture interface and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5321A (ko) * 2012-03-15 2013-09-25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제스처 인식 장치, 전자기기,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35244A (ko) * 2012-09-10 2014-03-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39482A1 (en) 2017-05-18
KR102167289B1 (ko) 2020-10-19
WO2015186857A1 (ko) 2015-12-10
US10162423B2 (en) 201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472B1 (ko)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CN106973323B (zh) 电子设备和在电子设备中扫描频道的方法
KR1017904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09354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1216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595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67289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137499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94011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123184A (ko)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953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1028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67194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201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68340B1 (ko) 영상 표시 기기
KR10258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196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047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231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94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348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431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13814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