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198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198B1
KR102220198B1 KR1020140075390A KR20140075390A KR102220198B1 KR 102220198 B1 KR102220198 B1 KR 102220198B1 KR 1020140075390 A KR1020140075390 A KR 1020140075390A KR 20140075390 A KR20140075390 A KR 20140075390A KR 102220198 B1 KR102220198 B1 KR 102220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device
recognized
display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499A (ko
Inventor
이은율
박원배
박세원
오형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5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19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한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TV 시청 시 스토리상의 궁금한 점이나 등장인물 및 프로그램에 대해 모르는 점이 생겨도 모바일 단말기나 컴퓨터를 통해 따로 검색을 해보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이런 불편함 때문에 모르는 정보를 쉽게 간과하고 지나쳐야만 했다.
본 발명은 TV 시청 시 별도의 장치를 통해 검색할 필요 없이 특정 객체에 대한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표시된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TV 시청 시 별도의 장치를 통해 검색할 필요 없이 특정 객체에 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인식된 객체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공간리모콘(200)은, 확인키(Okay key)(291), 메뉴키(292), 사방향키(293), 채널 조정키(294), 볼륨 조정키(296)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키(Okay key)(291)는 메뉴 또는 항목 선택시 사용 가능하며, 메뉴키(292)는 소정 메뉴 표시를 위해 사용 가능하며, 사방향키(293)는 포인터 또는 인디케이터를 상, 하, 좌우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채널 조정 키(294)는 채널 상, 하 조정시 사용 가능하며, 볼륨 조정키(296)는, 볼륨 업, 다운 조정 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0)은, 백 키(back key)(297), 홈 키(home key)(29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키(back key)(297)는 이전 화면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홈 키(298)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같이, 확인키(291)는, 스크롤 기능이 추가된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확인키(291)는 휠 키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즉, 확인키(291)가 눌려지는 경우, 해당 메뉴 또는 항목 선택으로 사용되고, 확인키(291) 가 상,하로 스크롤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 스크롤링 또는 리스트 페이지 전환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보다 더 큰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 탐색을 위해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던 영상 영역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된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80)에 리스트 페이지가 표시되는 경우,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롤 기능은, 확인키(291)가 아닌 별도의 키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방향키(293)는, 도면과 같이, 원형 타입에서, 상, 하, 좌, 우키가 각각 사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사방향키(293)에 대한 터치 입력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방향키(293) 내의 상 키(up key)에서부터 하키(down key)까지 터치 동작이 있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입력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기 위한 미디어 컨텐트 재생 요청을 수신한다(S101).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미디어 컨텐트 재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80)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기능을 구비한 경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디스플레이부(180)가 감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미디어 컨텐트 재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 구비된 로컬 키를 통해 미디어 컨텐트 재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컨텐트는 동영상과 같은 비디오, 사진과 같은 이미지, 음악과 같은 오디오, 자막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 재생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한다(S103).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한다(S105).
일 실시 예에서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은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 내에 등장하는 인물, 상품, 자막, 기타 텍스트 중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된 인물, 상품, 자막, 기타 텍스트에 관련된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300)에는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메뉴를 표시할 수 있고, 메뉴에는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ON/OFF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ON 버튼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OFF 버튼이 선택된 경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설명한다.
ON 버튼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항목들을 표시할 수 있다. 즉, ON 버튼이 선택된 경우, 도 6의 상태에서 도 7의 상태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00)이 변경될 수 있다.
도 7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00)에 표시된 복수의 항목들은 인물 항목, 상품 항목, 자막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400)은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특정 항목만을 인식하기 하기 위해 복수의 항목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항목 중 인물 항목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표시되는 인물만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인물과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항목 중 상품 항목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표시되는 상품만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상품과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항목 중 자막 항목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표시되는 자막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자막과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만이 선택됨을 가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들이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항목들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다시 도 5를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은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별도의 키에 대한 입력을 통해 활성화 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객체 인식 태깅 키(299)를 더 구비 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객체 인식 태깅 키(299)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다시 도 5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수신된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요청에 따라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 내의 객체를 인식한다(S107).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표시되는 인물, 상품, 자막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표시된 객체의 영역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객체의 영역에 기초하여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추출된 객체의 영역을 통해 객체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해당 객체의 특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객체의 경계값 정보, 명암정보, 컬러 정보, 움직임 정보 등을 이용하여 객체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에서 인물 항목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표시되는 인물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표시되는 인물의 얼굴 영역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얼굴 영역에 기초하여 인물을 인식할 수 있다.
만약,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복수의 인물들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복수의 인물들 중 얼굴 영역이 가장 큰 인물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인물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얼굴 영역들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복수의 얼굴 영역들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비교 결과, 복수의 얼굴들 중 얼굴 영역이 가장 큰 얼굴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얼굴에 해당하는 인물을 인식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에서 상품 항목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표시되는 상품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표시되는 상품의 표시 영역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상품을 인식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에서 자막 항목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표시되는 자막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표시되는 자막의 표시 영역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표시 영역에 기초하여 자막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기능을 이용하여 자막 표시 영역에 포함된 자막을 인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인식된 미디어 컨텐트 내의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한다(S109).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미디어 컨텐트 및 미디어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의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외부의 서버로부터 인식된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서버로부터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의 요청에 대응하여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인식된 미디어 컨텐트 내의 객체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S111).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미디어 컨테트의 재생 화면에서 인식된 객체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111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인식된 객체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8 내지 도 15를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인식된 객체가 인물인 경우, 인물과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8 내지 도 11은 미디어 컨텐트가 드라마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의 실시 예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미디어 컨텐트가 스포츠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의 실시 예이고, 도 16 내지 도 18는 미디어 컨텐트가 홈쇼핑 프로그램인 경우의 실시 예이고, 도 19 내지 도 19는 미디어 컨텐트가 뉴스 프로그램인 경우의 실시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드라마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있다.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이 활성화되고, 도 7에 도시된 메뉴에서 인물 항목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표시된 인물의 얼굴 영역(501)을 추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된 얼굴 영역에 해당하는 인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물에 대한 상제 정보를 나타내는 인물 팝업 창(500)을 표시할 수 있다. 인물 팝업 창(500)은 등장 인물 정보 탭(510), 회차 정보 탭(530) 및 태깅 이력 탭(550)을 포함할 수 있다.
등장 인물 정보 탭(510)은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인식된 인물의 신상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탭이다.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등장 인물 정보 탭(510)이 선택된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물의 신상을 나타내는 신상 정보 창(511)과, 해당 인물이 출연했던 방송 프로그램을 보여주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 창(513)을 표시할 수 있다.
회차 정보 탭(530)은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인식된 인물이 출연하는 드라마의 회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탭이다.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회차 정보 탭(530)이 선택된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시청하고 있는 드라마의 회차에 대한 줄거리 등을 포함하는 회차 정보 창(531)을 표시할 수 있다.
태깅 이력 탭(550)은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인식된 인물을 태깅한 이력을 나타내는 탭이다. 태깅은 해당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태깅 이력 탭(550)이 선택된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과거에 태깅했던 인물이 출연한 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태깅 이력 창(551)을 표시한다. 미디어 컨텐츠는 사용자가 과거에 시청했던 컨텐츠이다.
도 8 내지 도 11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드라마를 시청하다가 특정 인물에 대해 알고 싶은 정보를 별도의 검색 없이 쉽게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5를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스포츠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있다.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이 활성화되고, 도 7에 도시된 메뉴에서 인물 항목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표시된 인물의 얼굴 영역(601)을 추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된 얼굴 영역에 해당하는 인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식된 선수에 대한 상제 정보를 나타내는 선수 팝업 창(600)을 표시할 수 있다. 선수 팝업 창(500)은 선수 정보 탭(610), 소속팀 정보 탭(630) 및 경기 정보 탭(650)을 포함할 수 있다.
선수 정보 탭(610)은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인식된 선수의 신상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탭이다.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선수 정보 탭(610)이 선택된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수의 신상을 나타내는 신상 정보 창(611)를 표시할 수 있다.
소속팀 정보 탭(630)은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인식된 선수가 소속되어 있는 소속팀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탭이다.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소속팀 정보 탭(630)이 선택된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선수가 소속되어 있는 소속팀의 이름, 연고지, 소속팀의 감독등을 포함하는 소속팀 정보 창(631)을 표시할 수 있다.
경기 정보 탭(650)은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인식된 선수의 경기 기록을 제공하기 위한 탭이다.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경기 정보 탭(650)이 선택된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선수의 과거 경기 기록 및 현재 라이브로 방송되는 경기에서 기록하고 있는 경기 기록을 포함하는 경기 정보 창(651)을 표시한다.
도 12 내지 도 15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스포츠를 시청하다가 특정 스포츠 선수에 대해 알고 싶은 정보를 별도의 검색 없이 쉽게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8을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홈쇼핑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있다.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이 활성화되고, 도 7에 도시된 메뉴에서 인물 항목 및 자막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상품이 표시되는 영역인 상품 표시 영역(701) 및 자막이 표시되는 영역인 자막 표시 영역(703) 중 하나 이상의 영역들을 추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된 상품 표시 영역(701)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된 상품 표시 영역(701) 및 자막 표시 영역(703)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된 상품 표시 영역(701)에 대응하는 상품이 자막 표시 영역(703)에 대응하는 상품의 명칭과 일치하는 상품인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한 상품에 대한 상제 정보를 나타내는 상품 팝업 창(700)을 표시할 수 있다. 상품 팝업 창(700)은 상품 후기 정보 탭(710) 및 가격 비교 정보 탭(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후기 정보 탭(710)은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인식된 상품의 구매 후기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탭이다.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품 후기 정보 탭(710)이 선택된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품을 구매한 다른 사용자들의 구매 후기를 포함하는 상품 후기 정보 창(711)을 표시할 수 있다.
가격 비교 정보 탭(730)은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인식된 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의 가격을 제공하기 위한 탭이다.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가격 비교 정보 탭(730)이 선택된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식된 상품과 동일한 상품 또는 유사한 상품의 판매 가격을 포함하는 가격 비교 정보 창(73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홈쇼핑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해당 상품에 대해 알고 싶은 정보를 별도의 검색 없이 쉽게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1을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뉴스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있다.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이 활성화되고, 도 7에 도시된 메뉴에서 자막 항목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자막이 표시되는 영역인 자막 표시 영역(801)을 추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된 자막 표시 영역(801)에 기초하여 해당 자막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자막과 관련된 상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한 자막과 관련된 상제 정보를 나타내는 자막 팝업 창(800)을 표시할 수 있다. 자막 팝업 창(800)은 관련 기사 정보 탭(810) 및 타 방송국 정보 탭(83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련 기사 정보 탭(810)은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인식된 자막의 내용과 관련된 관련 기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탭이다.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관련 기사 정보 탭(810)이 선택된 경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막의 내용과 관련된 기사들을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나타내는 관련 기사 정보 창(811)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웹 페이지에 나타난 특정 기사를 선택하여 해당 기사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타 방송국 정보 탭(830)은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서 인식된 자막의 내용과 관련된 타 방송국의 방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탭이다.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타 방송국 정보 탭(830)이 선택된 경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식된 자막의 내용과 관련된 타 방송국의 방송 영상 리스트를 포함하는 타 방송국 정보 창(831)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타 방송국 정보 창(831)에 표시된 방송 영상 리스트 중 하나의 방송 영상을 선택하여 선택된 방송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뉴스 프로그램을 시청하다가 해당 뉴스 영상에 대해 알고 싶은 정보를 별도의 검색 없이 쉽게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 컨텐트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뉴는 인물 항목, 상품 항목 및 자막 항목을 포함함,
    상기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객체들 중 특정 객체만을 인식하도록 설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선택 입력 따라 상기 특정 객체만을 인식하도록 상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객체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 탭들을 포함하는 객체 팝업 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정보 탭들 중 어느 하나의 정보 탭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정보 탭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객체가 인물인 경우, 상기 복수의 정보 탭들은 상기 인물에 대한 신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물 정보 탭, 상기 인물이 출연했던 방송 프로그램의 회차 정보를 제공하는 회차 정보 탭 및 상기 인식된 인물을 태깅한 이력을 나타내는 태깅 이력 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객체가 상품인 경우, 상기 복수의 정보 탭들은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 후기를 포함하는 상품 후기 정보 탭과 상기 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에 대한 가격을 제공하기 위한 가격 비교 정보 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객체가 자막인 경우, 상기 복수의 정보 탭들은 상기 자막의 내용과 관련된 기사를 제공하기 위한 관련 기사 정보 탭 및 상기 자막의 내용과 관련된 다른 방송국의 방송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타 방송국 정보 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키 입력을 수신하거나,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9. 디스플레이 장에 있어서,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표시된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메뉴는 인물 항목, 상품 항목 및 자막 항목을 포함함,
    상기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객체들 중 특정 객체만을 인식하도록 설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선택 입력 따라 상기 특정 객체만을 인식하도록 상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객체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정보 탭들을 포함하는 객체 팝업 창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탭들 중 어느 하나의 정보 탭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정보 탭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객체가 인물인 경우, 상기 복수의 정보 탭들은 상기 인물에 대한 신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인물 정보 탭, 상기 인물이 출연했던 방송 프로그램의 회차 정보를 제공하는 회차 정보 탭 및 상기 인식된 인물을 태깅한 이력을 나타내는 태깅 이력 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객체가 상품인 경우, 상기 복수의 정보 탭들은 상기 상품에 대한 구매 후기를 포함하는 상품 후기 정보 탭과 상기 상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에 대한 가격을 제공하기 위한 가격 비교 정보 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객체가 자막인 경우, 상기 복수의 정보 탭들은 상기 자막의 내용과 관련된 기사를 제공하기 위한 관련 기사 정보 탭 및 상기 자막의 내용과 관련된 다른 방송국의 방송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타 방송국 정보 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키 입력을 수신하거나,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객체 인식 태깅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하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부터 획득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75390A 2014-06-20 2014-06-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20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390A KR102220198B1 (ko) 2014-06-20 2014-06-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390A KR102220198B1 (ko) 2014-06-20 2014-06-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499A KR20150145499A (ko) 2015-12-30
KR102220198B1 true KR102220198B1 (ko) 2021-02-25

Family

ID=5508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390A KR102220198B1 (ko) 2014-06-20 2014-06-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754A (ko) * 2016-09-01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4319174A3 (en) 2018-01-08 2024-04-2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726B1 (ko) * 2007-10-31 2012-03-08 주식회사 소프닉스 양방향 광고 정보 파일 저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양방향 광고 정보 파일 저작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022285B1 (ko) * 2008-05-07 2011-03-21 주식회사 케이티 동영상 객체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53751B1 (ko) * 2009-09-04 2011-08-02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콘텐츠 화면 속에 숨겨진 인터렉티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양방향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123370B1 (ko) * 2010-05-14 2012-03-23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휴대단말용 객체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20080510A (ko) * 2011-01-07 2012-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화면을 통한 영상표시기기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499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597B1 (ko)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CN108886634B (zh) 显示装置及操作显示装置的方法
US1072573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681188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022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090085791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이를 포함하는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60373828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09354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351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137499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587910B2 (en)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scrape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10014572A1 (en) Display device
KR1022201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12627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047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1331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196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99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348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494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905707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924515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17013814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