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489B1 - 잉크 용기 - Google Patents

잉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489B1
KR100837489B1 KR1020050046976A KR20050046976A KR100837489B1 KR 100837489 B1 KR100837489 B1 KR 100837489B1 KR 1020050046976 A KR1020050046976 A KR 1020050046976A KR 20050046976 A KR20050046976 A KR 20050046976A KR 100837489 B1 KR100837489 B1 KR 100837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bubbles
chamber
partition wal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475A (ko
Inventor
하지메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Abstract

잉크 용기는 잉크를 직접 수용하는 잉크 수용 챔버와, 잉크 수용 챔버 내의 잉크의 잔류량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와, 잉크 수용 챔버의 내측 바닥부로부터 대략 상방으로 연장된 분할벽을 포함하며, 잉크 제트 기록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데 수반하여 잉크 수용 챔버의 외부로부터 잉크에 대기를 도입시키며, 분할벽은 잉크 수용 챔버 내의 잉크로 공기를 도입시키는 대기 도입부와 공기의 도입시 생성되는 기포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며 잉크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센서부 사이의 공간을 분할한다.
잉크 용기, 잉크 수용 챔버, 센서부, 잔류량, 잉크 제트 기록 헤드, 분할벽

Description

잉크 용기 {INK CONTAINE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잉기 용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2는 실시예1에 따른 잉크 용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작동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용기를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용기를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
도11은 종래의 잉크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종래의 잉크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13은 종래의 잉크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종래의 잉크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종래의 잉크 용기의 정상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16은 종래의 잉크 용기에 대한 문제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문제점이 없는 잉크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잉크 용기
5 :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
6 : 잉크 수용 챔버
8 : 공기 연통구
9 : 연통부
10 : 잉크 공급 포트
11 : 부압 발생 부재
본 발명은 잉크 제트 기록 헤드에 공급될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 용기, 및 잉크 용기와 함께 사용 가능한 잉크 제트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잔류 잉크량의 검출에 대해서 우선 설명될 것이다.
잉크 제트 기록 분야에서 사용되는 잉크 용기는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기록 헤드에 연속적으로 잉크 공급을 하기 위해 유한의 잉크 수용량을 갖은 잉크 용기를 가지며, 기록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잉크가 소모되었을 때, 잉크 용기는 새로운 잉크 용기로 교환되고, 기록 장치(기록 헤드)의 수명이 끝날 때까지 잉 크 공급이 가능하다.
잉크 용기 내의 잉크의 부족을 검출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구성이 제안되고, 실제로 적용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잉크의 전기 전도도를 이용하여 잉크 레벨(잉크 액면의 높이)이 충분한가를 검출하는 방법과, 잉크를 수용하는 공간과 잉크가 없어진 공간과의 굴절률 차를 이용하여, 비교적 잉크의 굴절율에 가까운 재료로 반사 프리즘이 사용되는, 잉크 레벨(잉크액면의 높이)이 충분한가를 검출하는 방법과, 잉크와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을 이용하여, 잉크 레벨(잉크액면의 높이)이 충분한가를 검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이들 방법 중 하나는 다단계적 방식으로 잉크 레벨을 검출하도록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중 몇몇은 조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잉크 토출량 등으로부터 잔류 잉크량이 환산되는 다른 소위 "도트 카운트법(dot count method)"과 조합될 수 있다.
잉크 용기 내에 잉크 수용 기술이 설명될 것이다.
잉크 제트 기록 분야에서 사용되는 잉크 용기(액체 용기)는 잉크를 토출하는 기록 헤드에 잉크를 충분하게 공급하기 위해서, 잉크 카트리지 내에 저류되어 있는 잉크의 보유력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다. 보유력은 기록 헤드의 잉크 토출부의 압력을 대기압에 대해 부압으로 유지하도록 부압을 제공한다. 공지된 잉크 용기에서, 기록 장치에 대한 착탈을 포함하는 용이한 취급을 위해, 잉크는 잉크 수용 효율을 강화하기 위해 단단한 케이스에 (예컨대, 부압 생성 재료 없이) 직접 수용되고, 공기(대기)는 잉크가 사용되는 도중 잉크의 공급이 중단되는 것에 상응하여, 잉크 용기 외측으로부터 잉크를 직접 수용하는 잉크 수용 챔버로 도입되어, 기록 헤드의 잉크 공급 작업 중 적절한 정압 및 부압 범위를 초과(과도하게 높은 압력)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잉크가 용기 내에 수용되도록 한다. 우선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이러한 구성의 잉크 용기의 예가 도시된다. 도11의 잉크 용기(1001)에서, 잉크는 용기 내에 직접 수용되고, 공기는 용기 내의 상부 공간(1009)에 존재하고, 용기 저면에는 잉크 공급 포트(1003)와 대기 도입부가 제공된다. 대기 도입부는 용기 외측 표면의 구멍(1004)과, 용기 내측 표면의 구멍(1006)과, 벽을 통해 연장되는 구멍(1004)과 구멍(1006)을 상호 연결하는 사행형의 유체 연통로(100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잉크 공급 포트(1003)를 통해 잉크 제트 기록 헤드(도시되지 않음)로 용기로부터 잉크를 공급하여 기체-액체 경계면(1008)이 저하됨과 동시에 상기 대기 도입부로부터 용기 내의 적절한 정압 및 부압을 유지하도록 상부 공간(1009)에 기포(1007)가 도입된다. 한편, 도12에 도시되는 잉크 용기(1011)(일본 공개 특허 출원 평5-96744)에서는, 잉크(1012)는 내부에 직접 수용되고, 용기의 상부 공간(1019)은 공기로 충전되고, 용기의 저면은 길이가 다른 연통 부재(1022,1023)가 장착된다. 잉크 용기(1011)가 도시되지 않는 잉크 제트 기록 헤드의 잉크 수납부(1021)에 장착될 때, 잉크(1024)는 잉크 수납부(1021)에 설치된 잉크 수납 챔버 내로 유체 연통 부재(1022)를 통해 공급된다. 그 결과, 용기 내의 기체-액체 경계면(1018)이 하강되고, 용기 내의 적정 부압을 유지하도록, 잉크 수납부 챔버 내의 상측에 존재하는 공기(1025)가 연통부(1023)를 통해 상부 공간(1019)으로 기포(1017) 형태로 도입된다. 잉크 수납 챔버 내의 잉크 레벨이 유체 연통로(1023)의 바닥부에 도달하면, 잉크 공급이 정지된다.
도11 및 도12의 잉크 용기와는 동작 원리가 다르지만, 부압 발생 부재를 수용하는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를 통하여 잉크 수용 챔버에 대기를 도입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제2951818호(미국 특허 제5,509,140호) 도13, 후술됨]
전술한 바와 같이, 직접 잉크를 수용하는 것과 적정 부압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대기를 도입하는 것이 공지되었다. 또한, 직접 잉크를 수용하는 수용 챔버의 내부에 일본 특허 제2951818호(미국 특허 제5,509,140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바닥면 또는 바닥부에 인접한 부근에 광학 반사 구조체가 제공되는 것은 공지되었다.
상기 특허가 추가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일본 특허 제2951818호(미국 특허 제5,509,140호)등에서 잉크 부압 발생 부재를 이용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증가된 잉크 용기의 단위 부피당의 잉크 수용량을 가져 안정된 잉크 공급이 구현된 잉크 수용 챔버를 갖는 잉크 용기를 제안한다.
도13의 (a)는 이러한 구성의 잉크 용기(1031)의 개략 단면 구성도이다. 잉크 용기(1031)의 내부는 연통부(1036)를 갖는 구획벽(1040)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한쪽의 공간은 구획벽(1040)의 연통부(1036)를 제외하고 밀폐되고, 잉크(1032)를 직접 수용하는 잉크 수용 챔버(1031a)(저장실)를 구성하고, 다른 쪽의 공간은 부압 발생 부재(1035)를 수용하는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1031b)이다. 이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1031b)를 형성하는 벽면은 잉크 소비에 수반하여 잉 크 용기(1031) 내로 대기를 도입하기 위한 공기 연통구(1034)를 구비하고, 기록 헤드부(도시되지 않음)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 포트(1033)도 구비된다. 도13의 (a)에서, 부압 발생 부재(1035) 내의 잉크를 보유하고 있는 이러한 영역에 대해서는 사선부(1039)로 도시된다.
전술된 구조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기록 헤드의 잉크를 소비하여 부압 발생 부재(1035) 내의 기체-액체 경계면(1038)이 하강하여 도13의 (a)에 도시된 레벨에 이르면, 공기(1037)는 잉크 소비에 수반하여 공기 연통구(1034)를 통해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1031b) 내로 도입되어 구획벽(1040)의 연통부(1036)를 통해 잉크 수용 챔버(1031a)로 도입된다. 대신에, 잉크는 잉크 수용 챔버(1031a)로부터 구획벽의 연통부(1036)를 통하여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1031b) 내의 부압 발생 부재(1035) 내로 공급된다(기체-액체 교환 동작). 이러한 방식에서, 잉크가 기록 헤드에 의해 소비된다면, 잉크의 대응량이 부압 발생 부재(1035) 내로 공급되어 부압 발생 부재(1035)는 소정의 잉크량을 유지하고[즉, 기체-액체 계면(1038)의 소정 레벨을 유지하고], 기록 헤드에 공급될 잉크의 부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기록 헤드로 안정된 잉크 공급을 달성한다.
도13의 (a)의 예시에서, 대기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잉크 수용 챔버(1031a)와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1031b) 사이에서 연통부(1036)의 근방에 기체 도입 홈(1040a)이 제공되는 한편, 대체로 부압 발생 부재(1035)가 없는 공간(버퍼실)(1054)이 공기 연통구(1034) 근방에 제공된다.
도13의 (b)에 도시된 예시는 유사하며, 용기는 잉크 용기(1041)의 내부 공간 을 잉크 수용 챔버(1041a) 및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1041b)로 구획하는 구획벽(1050)과, 근방에 배치된 연통부(1044), 기체 도입 홈(1050a), 잉크 공급 포트(1043), 공기 연통구(1044) 및 부압 발생 부재(1045) 등을 포함한다. 부압 발생 부재(1035)가 없는 공간(버퍼실)을 제공하도록 공기 연통부(1044)의 근방에는 리브(1052)가 돌출된다.
잉크 용기(1041)의 잉크 수용 챔버(1041a)의 바닥면은 잉크 용기(1041)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일체로 성형된 삼각형 프리즘 구조를 가진 광학 반사 부재(1051)를 구비하고, 두 개의 반사면은 이들 사이의 정점에서 90°를 형성한다. 광학 반사 부재(1051) 아래의 주 조립체의 일부에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도시되지 않은) 광학 센서가 구비된다. 광은 발광부로부터 광학 반사 부재(1051)의 바닥면으로 방사되어 광학 반사 부재(1051)의 두 개의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다. 광학 센서의 수광부에 의해 수신된 광량에 기초하여 잉크 수용 챔버(1041a)의 광학 반사 부재(1051)의 레벨에 잉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잔류 잉크량 검출).
이러한 소형화화 고효율 잉크 카트리지 또는 용기는 현재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구조에서, 잔류 잉크량은 (대체로 부압 발생 부재 등이 없이) 잉크를 직접 수납하는 수용 챔버에 제공된 광학 구조물의 레벨 이상으로 잉크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하기에 효율적인 광학 반사 부재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토출 노즐 개수의 증가와 잉크 토출 주파수의 향상 때문에 단위 시간 당 잉크 용기로부터 기록 헤드로의 잉크 공급량을 증가시켜 잉크젯 기록 장치의 기록 속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활자, 패턴 또는 표를 인쇄하는 경우와는 다르게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과 같이) 시트의 전체 영역에 잉크를 공급해야 하는 사진 화상이 점점 더 많이 인쇄되기 때문에 사진 화상 품질 인쇄를 연속하여 인쇄하는 빈도도 높아졌다. 또한, 이러한 화상은 종종 연속적으로 인쇄된다. 결국, 단위 토출 노즐 당 잉크 소비량(인쇄 듀티)이 급격히 증가하고, 연속적으로 높은 듀티 인쇄 작동이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에, 전술된 잉크 용기에서 인식하지 못한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한 문제점들이 설명될 것이다.
기체-액체 교환에 의해 잉크 수용 챔버 내로 도입된 대기는 공기 기포가 되어 도13의 (b)에 기포(1047)로 표시된 것과 같이 잉크 액면 위로 상승하고, 액면 상의 기포는 기포가 사라지기까지 액면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한다. 기포가 사라지는 시간은 잉크 특성 및 대기 조건에 따른다. 기포가 광학 반사 부재의 위치 레벨과 동일한 검출 레벨까지 하강되면, 실제 잉크 레벨이 그보다 낮아지더라도 광학 반사 부재 주위의 기포가 사라질때 까지 그 레벨에 잉크가 존재한다고 결정한다.
잉크가 없다는 것이 처음으로 검출되면, 검출 결과는 실제 잉크 수용 상태(수용량)과는 일치하지 않고, 그 결과 잉크 부족이 처음으로 검출되는 때는 이미 잉크는 공급될 수 없다. 전술한 최근의 고속 인쇄 경향에 수반하여, 단위 시간 당 공급되는 잉크의 유량의 증가로 인해 몇몇 경우에서 기포가 사라지는 시간적 여유가 없다.
또한, 고속으로 잉크를 지면에 흡수시키기 위해, 몇몇 잉크는 기록 종이 내로의 투과성을 강화시키도록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고, 이러한 경우에 기포 발생 경향은 비교적 높고, 기포가 사라지기까지 요구되는 시간은 비교적 길어진다. 또한, 다른 색상을 생성하도록 직렬로 배열된 독립적인 용기를 사용하는 프린터의 경우에 대부분의 잉크 용기는 (배열 방향으로 측정되었을 때) 폭이 작다. 이러한 경우에, 수용 챔버의 내부 바닥부 상의 삼각형 프리즘 구조의 광학 반사 부재와 잉크 수용 챔버의 내부 측벽 사이의 거리는 짧고, 따라서 기포는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잉크 수용 챔버 내의 잉크 잔류량이 잉크 수용 챔버 내의 광학 반사 부재 약간 위까지 감소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위 시간당 기록 헤드로의 잉크 공급량이 종래의 공급량보다 상당히 많다면,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다. 기록 헤드로의 잉크 공급량이 잉크 수용 챔버 내의 잉크 잔류량과 상관없는 종래의 공급량보다 상당히 많은 경우도 동일하다.
이런 경우, 기포의 상향 이동 과정에서, 기포는 광학 반사 부재 주위에 집중되어 정상 검출을 방해하거나, 잉크 액면으로 상승되지만 잉크가 소비되는 잉크 액면의 하단부와 함께 낮아져서 광학 반사 부재 주위에 집중된다.
도14 및 도15를 참조하여, 기포의 거동을 설명한다.
도14는 종래의 잉크 제트 기록 장치 및 잉크 용기의 전형적인 배치를 나타낸 것이고, (a)는 시간당 잉크 공급량 q (㎕/s 또는 ㎖/min)가 문자 및/또는 도표가 인쇄되는 때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 기체-액체 교환 동작(기체-액체 경계면은 1062a에 의해 표시됨)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시간당 잉크 공급량이 작기 때문에, 발생하는 기포(1067)의 양은 작고, 인쇄 매수는 매우 크지 않고, 총 기포 발생량도 매우 크지 않다.
따라서, 기포(1067)는 도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인쇄 작동(시간 간격은 5분임, 통상 1시간 또는 3일) 전에 사라지게 되어, 광학 반사 부재(프리즘)의 오작동, 즉 기록 장치에 제공된 [발광부(1072) 및 수광부(1073)를 포함하는] 검출 수단의 오류 검출을 발생시키지 않게 한다.
잉크 수용 챔버 내의 잉크 액면이 도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반사 부재(1070) 상측 근방에까지 저하되어 있고, 잉크의 레벨은 참조 번호 1061c로 표시된 경우, 연통부(1044)를 통해 잉크 수용 챔버 내로 도입된 기포(1074)는 잉크 내에서 상승하여 그 잉크 액면(1061c) 위로 또는 바로 아래로 그것이 소멸할 때까지 광학 반사 부재(1070) 주위에 실질적으로 체류한다.
잉크 수용 챔버가 비워짐(empty)에 도달할 경우(즉, 정확한 검출이 필요할 바로 그 경우), 도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1075)가 잉크와 접촉하는 측에서 광학 반사 부재의 반사면에 부착되어, 프린터의 본체 측으로부터 사출된 광의 일부가 반사되지 않지만 굴절 및 투과되어 잉크가 존재한다고 오류 검출한다 하더라도, 도15의 (a)상태로부터 다음 인쇄 시간으로의 시간 간격은 종래의 프린터 설계에 있어서서 기포가 사라지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도15의 (b)에 도시된 정상 상태로의 복구에 의해 실제적인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잉크의 존재가 도15의 (a)의 상태로 오류 검출되면, 도15의 (b) 상태가 발생될 때까지 공급될 잉크의 양은 매우 작고, 따라서 잉크 부족의 검출이 지연된다 하더라도 공급량은 작고, 연속적인 인쇄가 드물고, 따라서 기체-액체 경계면은 아무리 나빠도 도15의 (b)에서 참조 번호 1062e로 표시된 레벨로 낮아진다. 이런 이유로, 검출의 편차(예를 들면, 0.1-0.2g)은 잔류량 검출 기능(비움 검출)의 궁극적인 목적의 관점에서 문제되지 않는다.
잉크 용기의 이러한 예에서, 도15에 도시된 기체-액체 경계면(1062a) 아래의 부압 발생 부재에 보유되고 소비 가능한 잉크량은 대략 3g이다.
보통의 잉크로, 최대 화상 밀도로 A4 크기 용지에 고체 화상을 인쇄하기에 필요한 잉크량은 적절한 색상 농도 및 번짐을 고려하면 대략 1g이다. 보통 텍스트 서류의 경우에서, 인쇄비는 5%(대략 0.05g) 또는 7.5%(대략 0.075g)이고, 상기 편차량은 실제적인 견지에서 충분히 작다.
본 발명의 문제를 설명하는 도16의 경우에서, 시간당 공급된 잉크량은 도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고, 따라서 시간당 잉크 내로 도입된 기포(1081)의 양 및 잉크 액면 위에 체류하는 기포(1082)의 절대량은 모두 현저하게 크다. 또한, 잉크 공급량이 크기 때문에, 기포들은 도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수용 챔버 내의 잉크 액면과 함께 참조 번호 1061b로 표시된 범위로 빠르게 저하하여, 기포는 참조 번호 1083으로 표시된 레벨로 되고, 잉크는 정상적으로 검출 가능한 상태로 복구되기에 충분한 시간 없이 공급이 계속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16의 (c) 상태로, 잉크 수용 챔버 내의 잉크는 완전히 사용되지만, 잉크 액면(1061b)의 하부와 함께 저하되는 기포들은 광학 반사 부재의 반사면을 덮어 사출된 광이 수광부로 광이 복귀될 수 없기 때문에 기포를 이루는 잉크의 얇은 층을 통해 탈출된다. 따라서, 광학 센서(1071; 기록 장치 측의 검출 수단)는 잉크의 존재를 오류 검출한다. 즉, 잉크 수용 챔버의 비워짐은 정확하게 검출되지 않는다. 잉크 공급이 계속되면, 인쇄 주기가 1분 또는 인쇄량이 2 내지3면이 될지라도 인쇄 듀티가 높은 경우, 오류 잔류량 검출, 즉 도16의 (d)에서의 참조 번호 1090으로 표시된 잔류 잉크량으로부터의 편차는 상당하다.
그 결과, 최종 잉크 부족이 경고되기 전에 잉크가 실제로 부족하고, 희미하거나 긁힘 인쇄가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이 사진 인쇄용 고가의 용지 상에 인쇄한 경우이면, 용지 및 시간의 낭비는 막대하고, 기록 헤드로부터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작동은 정상 인쇄 작동을 복구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직접 잉크를 수용한 수용 챔버내에 광학 반사 부재를 설치하여, 잉크 잔량을 검출하며, 잉크 공급 동작에 수반하여 기체-액체 교환 동작 등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용 챔버내에 대기를 저장하며, 잉크 잔량에 대한 오류 검출이 억제되는 잉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궁극적으로 잉크 수용 챔버에서 잉크의 상측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잉크를 통하지 않고 도입되는 잉크 용기는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문제점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17은 잉크(1102)가 잉크 용기(1101)에 직접 수용되어, 상부 공간(1107)에 공기가 체류하는 그러한 예를 도시한다. 용기 저면에는 탄성 부재로 압박된 마개로 폐쇄된 잉크 공급 포트(1103)가 설치된다. 상부에는 용기 외부로부터 대기를 도입하는 대기 도입부(1104)가 설치된다. 잉크 공급 포트로부터 잉크 제트 기록 헤드에 잉크(1102)를 공급하는 것에 수반하여, 기체-액체 경계면(1106)이 저하하고, 이에 따라, 공기는 대기 도입부(1104)를 통해 상부 공간(1107)으로 도입된다.
오작동으로 인해 반사면 상에 잔류하는 잉크 액적으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은 알려져 있으나, 기체-액체 교환 동작이 일어나는 잉크 용기에서의 기포와 광학 반사 부재와의 관계로부터 발생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잉크를 직접 수용하는 잉크 수용 챔버와, 상기 잉크 수용 챔버 내의 잉크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잉크 수용 챔버의 내부 바닥부로부터 대략 상향 연장하는 분할벽을 포함하고, 잉크 제트 기록 헤드로의 잉크 공급에 따라 주변 공기가 상기 잉크 수용 챔버 외측으로부터 도입되고, 상기 분할벽은 잉크가 관통하도록 하며 공기의 도입과 함께 생성된 기포가 관통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공기를 잉크 수용 챔버 내의 잉크로 도입하는 대기 도입부와 센서부 사이에 공간을 분할하는 잉크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잉크 수용 챔버의 센서부와 대기 도입부 사이에 분할벽 기판을 설치하여, 공기 기포가 잉크 잔량을 검출하는 센서부로의 접근이 실질적으로 방지되기에 효과적이므로, 잉크 수용 챔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기포를 신속하게 안내하고, 그리고/또는 잉크 액면이 저하됨에 의해 공기 기포가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고 인쇄 효율에 의한 연속적인 인쇄가 실행될지라도, 잉크 잔량의 오류 검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므로, 매우 신뢰 가능한 잉크 용기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이 첨부 도면과 관련되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하 설명을 참조할 때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용기를 도시한다. 잉크 용기(1)의 내부는 구획벽(14)에 의해 하부에 제공된 연통부(9)를 통해 서로 유체 연통하는 독립된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들 중 하나는, 부압 발생 부재(11)를 수용하는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5)이고 공기 연통구(8) 및 잉크 공급 포트(10)가 설치되며, 다른 하나는 직접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수용 챔버(6)이다.
잉크 수용 챔버(6) 내에는 분할벽(17)이 제공되어 있다. 분할벽(17)은 일 측이 기체(공기)가 도입되는 연통부(9)를 향하고, 타 측이 잉크 잔량을 검출하는 광학 반사 부재(13)(광학 구조체)를 향한다.
잉크 용기(1)가 프린터 내에 장착되고, 잉크 공급 포트(10)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잉크 제트 기록 헤드로 잉크 공급이 수행될 때,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5)의 잉크는 잉크 레벨이 도면 부호 1la의 위치, 즉 기체 도입 홈(19)의 상단 레벨로 하강하는 정도까지 소비된다. 그 후, 대기가 기체 도입구(19) 및 연통부(9)를 통해 잉크 수용 챔버(6) 내로 기포 형태로 도입되며, 이에 따라 잉크(15)가 잉크 수용 챔버(6)로부터 유체 연통로(9)를 통해 부압 발생 부재(11)로 공급된다. 잉크 수용 챔버(6) 내의 잉크(15)가 소비되는 이러한 기체-액체 교환 동작 동안에, 부압 발생 부재(11) 내의 잉크 액면은 대략 위치 1la에서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분할벽(17)은 광학 반사 부재(13)와 연통부(9) 사이에 제공되어서, 기체-액체 교환에 의해 생성되며 상향 이동하는 기포를 잉크 잔량 검출을 위한 광학 반사 부재(13)에 근접하지 않으면서 상부를 향해 신속하게 안내하는 수단(A)으로서 기능한다.
분할벽(17)은 구획벽(14)에 인접하지만 기포의 상승을 저해하지 않는 충분한 거리만큼 구획벽(14)으로부터 떨어지고, 잉크 수용 챔버(6)의 천장 근방까지 연장하여서, 잉크 수용 챔버 내에서 상향으로 기포를 안내하는 수단(B)으로서 기능한다.
기포를 안내하는 수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특히 이 실시예에서 분할벽(17)의 상단부에는 잉크 액면의 하강에 수반하여 기포의 하강을 억제하는 수단(C)이 제공된다. 기포를 체류시키는 돌기 등의 형태인 수단(C)는 도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이 지속 시간은 기포가 소멸될 때까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와 같이 저속으로 간헐적으로 인쇄될 때뿐만 아니라 잉크 공급 유량이 높은 상태로 연속 인쇄가 수행될 때에도, 잉크 액면과 함께 하강되는 기포에 기인하는 프리즘을 이용한 잉크 잔량의 오검출이 방지될 수 있는 간단한 잉크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액체 공급 방법 및 액체 공급 시스템에 이용 가능한 액체로서의 잉크가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잉크로 이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잉크 제트 기록 분 야에서 기록 재료 등에 인가될 수 있는 소위 처리액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와 잉크 수용 챔버의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고 이 챔버들은 구획벽의 하부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서만 서로 유체 연통하는 구성과 같이,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수용 챔버 내의 부압을 제어하기 위해 대기가 기포 형태로 도입되는 구성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를 갖는 구성 또는 구획벽을 갖는 구성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에서는 부압 발생 부재 내의 잉크가 잉크 수용 챔버 내의 잉크가 소비되는(즉, 기체-액체 교환이 발생하는) 정도로 소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1)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잉크 용기(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1에서, 잉크 용기(1)는 상부에서 개방하는 케이스(2)와,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5) 및 잉크 수용 챔버(6)를 덮는 캡(3)을 포함한다. 구획벽(14)은 내부에 부압 발생 부재(l1)를 수용하고 상부에서 대기와 유체 연통하고, 하부에서 잉크 공급 포트(10)와 유체 연통하는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5)와, 대략 밀봉되고 잉크(15)를 수용하는 잉크 수용 챔버(6)로 잉크 용기를 구획한다. 구획벽(14)의 하부에는,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5)와 잉크 수용 챔버(6) 사이에서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연통부(9)(개구)가 제공된다.
잉크 수용 챔버(6)의 저면에는, 정점에서 대략 90도인 2개의 반사면을 갖는 삼각 프리즘 형태의 광학 반사 부재(13)가 제공된다. 광학 반사 부재(13)는 케이스(2)와 일체로 형성된다. 분할벽(17)(구조체)은 잉크 수용 챔버(6) 내에서 광학 반사 부재(13) 측과 유체 연통로(9) 측을 대략 분리하며, 잉크 수용 챔버(6)의 바닥부 근방으로부터 상부 캡(3)의 근방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분할벽(17)은 잉크 수용 챔버(6)의 유체 연통로(9) 측에서 섹션(7)(중간 챔버)을 제공한다.
분할벽(17)의 하부에는, 섹션 내의 잉크가 섹션 내에 남지 않으면서 유체 연통로(9)를 통하여 부압 발생 부재(11) 안으로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허용하며, 기포가 유체 연통로(9)로부터 광학 반사 부재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기를 갖는 개구(18a)가 있다. 분할벽(17)의 상부에는, 하부 개구(18a)에서 기포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챔버들의 잉크 높이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분할벽(17)을 개재하는 챔버들[광학 반사 부재(13)를 갖는 잉크 수용 챔버(6)와 챔버(7)] 사이의 유체 연통용 개구(18b)가 있다. 도2는 실시예 1의 잉크 용기의 개략적인 투시 사시도이다. 도3의 (a) 내지 도3의 (g)는 도2의 A-A와 B-B 그리고 C-C를 따라 각각 취한 단면도이다.
도3의 (a)에는 잉크 수용 챔버(6)와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5)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벽과 잉크와 대기를 교환하기 위한 연통부(9)가 도시되어 있다. 도3의 (g)에는 잉크 수용 챔버(6)의 바닥부에 구비된 광학 반사 부재와, 중간 챔버(7)를 제공하기 위한 분할벽(17)과,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개구(18b, 18a)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3의 (b) 내지 도3의 (f)에는 구획벽(14)과 분할벽(17) 사이에서 상승하는 기포를 체류시키기 위한, 그리고 반대측(광학 반사 부재를 갖는 잉크 수용 챔버(6) 부분)에 기포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수용 챔버(6)의 천장과 액면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된 개구(18b)가 도시되어 있으며, 개구(18b)는 더 상세히는 본 실시예에서의 분할벽(17)의 상단부(18c)는 기포의 통과를 방해하도록 삼각 치형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충분한 개구 면적을 보증하면서 개구의 원주 길이가 길게 되어, 비록 그 양이 많더라도 기포가 활발히 소실되고, 기포 소실을 위한 긴 시간이 제공되도록 기포가 효과적으로 포획된다. 큰 메니스커스 힘을 제공하도록 기포들을 완전하게 포획함으로써 분할벽(17)을 개재하는 챔버들 사이의 압력차를 제공하지 않도록 개구(18a)는 치수 결정되며 배치되고, 따라서 분할벽(17)을 개재하는 챔버들 안에서 동일한 높이가 보장된다.
도3의 (d)에 도시된 구성은 복수의 개구가 설치되고, 기포들이 천장 및/또는 정점 구성부에서 포획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천장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배치되었다는 데 차이가 있으나, 본 발명의 효과는 동일하다.
도3의 (e)는 개구(18b)를 형성하는 분할벽(17)의 상단부(18c)의 구성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분할벽(17)을 잉크 용기 본체(2)와 일체로 구성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분리 부재가 용기의 개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 부재를 개구(18a, 18b)를 제외한 잉크 수용 챔버(6)의 벽의 내측 표면에 완전 밀착 접촉시킬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간극 또는 간극들이 형성된 부분적으로 가압 끼워 맞춤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간극이 기포의 통과를 저지하기에 충분히 작으면, 액면의 모서리 선 또는 선들이 기포를 포획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기포는 공기 기포이므로, 잉크 액면에 도달하지 않는 한 소실 되지 않는다. 그러나, 임시로 포획되면, 시간과 함께 상승하여 잉크 공급양에 해당하는 기포의 발생을 균일화할 수 있다.
도3의 (f)는 도3의 (e)의 구성의 변형예이며, 도면 부호 18e는 분할벽(17) 내에 형성된 슬릿 형태의 미소 개구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포가 광학 반사 부재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분할벽(17)의 하부는 기포를 위쪽으로 재빨리 유도하며, 분할벽(17) 전체가 잉크 수용 챔버 내에 형성된 중간 챔버(7) 내에서 위쪽으로 기포를 안내하며, 분할벽의 상부에서는 기포들이 거기서 체류된다.
본 발명에서의 기포의 거동이 도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 도면에서 도면 부호 80은 기포들이다. 기포들이 잉크 액면 쪽으로 상승할 때, 기포들이 잉크 표면 바로 아래에 체류된다. 잉크를 소비하여 잉크 액면이 하강하면, 체류하는 기포들이 액면 위로 나타나 소실되기를 기다린다. 잉크가 중간 챔버(7)를 포함하는 잉크 수용 챔버(6) 내에 충분하게 포함되어 있는 경우, 따라서 액면 높이가 상부 개구(18b)에 가까운 경우에, 분할벽(17) 및 상부 개구(18b)의 효과가 가장 크다. 액면이 낮아지면, 분할벽(17)의 효과는 상대적으로 더 크게 된다.
(실시예 2)
도5의 (b)는 기록 헤드부(53)와 잉크 용기(50)를 일체로 포함하는 잉크 카트리지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르는 잉크 카트리지의 실질적인 단면도이다. 도5의 (a)는 종래 잉크 카트리지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기록 헤드(53)와 잉크 용기 사이의 연결을 위한 잉크 공급관(52)의 우측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간단히 생략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대응 기능을 갖는 요소들에 부여된다.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성에서는, 구획벽(14)의 표면이 광학 반사 부재로 사용되고 광학 센서(1071)가 구획벽(14)에 대향 배치된다. 광학 센서(1071)의 발광부(1072)로부터의 적외선이 한번 반사되고 그 다음 광학 센서(1071)의 수광부(1073)로 복귀한다. 더 상세히는, 잉크 수용 챔버(6)가 투명 재료로 만들어지고, 구획벽(14)은 흰색으로 채색되어 반사면을 제공한다. 잔류 잉크양은 잉크와 공기의 빛 투과율 차이를 이용하여 검출된다.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 반사 부재로서 흰색으로 채색된 분할벽(17)의 표면이 사용된다. 이렇게 하여, 기체-액체 교환 동작으로 인한 기포들이 분할벽(17)의 후방측에만 존재하므로, 광학 센서용 빛에 간섭이 생기지 않고, 따라서 잔류 잉크양의 잘못된 검출을 피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6은 잉크(1112)가 용기 내에 직접 수용되고 용기의 상부 공간(1117) 내에 공기가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르는 잉크 용기를 도시한다. 용기의 바닥면에는 탄성 부재로 압박된 마개에 의해 폐쇄된 잉크 공급 포트(1113)가 설치되어 있다. 잉크 용기의 바닥부에는 대기를 도입하기 위한 미세 구멍의 형태인 공기 연통구(1114)가 설치되어 있다. 직경, 형상 및 잉크의 물성은 메니스커스 힘이 생겨서 용기 내에 부압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잉크(1112)가 잉크 공급 포트(1113)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잉크 젯 기록 헤드로 공급됨에 따라, 기체-액체 경계면(1116) 은 낮아지고, 기포(1118)는 공기 연통구(1114)를 통해 상부 공간(1117)으로 도입된다.
잉크 용기의 바닥부는 잔류 잉크양을 검출하기 위한 광학 반사 부재(1119)가 설치된다.
실시예 1 및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에서, 광학 반사 부재(1119)와 공기 연통구(1114) 사이를 구획하기 위한 분할벽(17)과 그 상부 부분에는 개구(18b)가 설치되며, 그 하부 부분에는 개구(18a)가 설치된다. 그 동작 및 효과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유사하며, 그 설명은 간단히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연통구 측에 있는 분할벽(17)의 표면에는 제1 실시예[도3, (f)]와 유사하게 기포 포획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상어 치형을 가진 복수개의 돌기(1121)가 제공된다. 따라서, 잉크의 발생 기포에 대한 보조 포획 효과와 잉크 액면 근처에 체류하는 기포에 대한 포획 효과가 제공되며, 이에 따라 기포는 상부 개구(18b)를 통해 분할벽(17)의 대향 측으로 이동하고, 잉크 액면에서의 기포의 하강이 억제될 수 있다. 분할벽(17)과 상부 개구(18b)에 의해 탁월한 효과가 제공되기 때문에, 기포가 상부 개구(18b)를 통해 분할벽(17)의 대향 측으로 이동하다는 것을 고려하여 돌기(1121)는 분할벽(17)의 광학 반사 부재의 측에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도8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1 실시예와 같은 동일한 도면부호가 본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부여되고, 이 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단순함을 위하여 생략되었다.
도8에 도시된 잉크 용기에서, 광학 반사 부재(13)는 구획벽(14)에 대향하는 잉크 수용 챔버(6)의 내측에 배치된다. 구획벽(14)의 유체 연통로(9)와 광학 반사 부재(13) 사이를 분할하는 분할벽(17)을 제공함으로써,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같은 유사한 기능 및 효과가 제공된다.
도9에 도시된 잉크 용기는 잉크 수용 챔버의 하부면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잉크 수용 챔버(6)의 구획벽(14)에 대향하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벽(1141)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잉크 수용 챔버(6)의 하부면 상에 제공되는 광학 반사 부재(13) 위에 배치된다. 이런 구조에서, 기체-액체 교환 동작으로 인하여 잉크 수용 챔버의 잉크 액면에 체류되는 기포가 잉크의 소비에 따라 잉크 액면과 함께 하강할 경우에, 기포는 복수단의 벽(1141)에 의해 포획되고, 이에 따라 기포가 광학 반사 부재(13)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10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작동 원리는 제1 실시예의 작동 원리와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10을 참조하면, 잉크 수용 챔버(6)의 바닥부에는 잉크 공급 포트(10)가 제공된다. 구획벽(14)은 잉크 용기를 잉크 수용 챔버(6)와, 부압 발생 부재(11)를 수용하고 연통구(8)가 제공되는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5)로 구분하며, 상기 두 챔버는 구획벽(14)의 하부에 제공된 미세 유체 연통로(9)를 통해 유체가 흐르도록 상호 연통한다. 잉크 수용 챔버(6)의 하부면에는 광학 반사 부재(13)가 제공되고, 상부 개구(18b)와 하부 개구(18a)를 구비한 분할벽(17)은 미 세 유체 연통로(9)와 광학 반사 부재(13)를 구비한 구획벽(14) 사이에 제공된다.
잉크가 잉크젯 기록 헤드에 공급되는 경우에,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5)에 수용된 잉크(15)는 소비된다.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5)에 있는 잉크가 소비된 후에, 기포는 미세 유체 연통로(9)를 통해 잉크 수용 챔버(6)로 도입된다. 부압은 미세 유체 연통로(9)에서 메니스커스 힘에 의해 생성되고, 잉크가 소비된 후에,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11)는 잉크 수용 챔버(6)에 있는 잉크가 대기온도 및/또는 압력의 변화하에서 공기 팽창 수축으로 인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이런 잉크 용기에서, 잉크로 도입된 기포에 기인하는 잔류량 검출의 오작동은 분할벽(17), 개구(18b),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잉크 수용 챔버에 잉크를 주입하는 개구 및 개구용 밀봉 마개부(18c)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3 또는 도7에 도시된 구조도 본 실시예에 사용가능하다.
전술한 내용에서, 상세한 설명은 광학 반사 부재가 잉크 용기에 제공되는 예에 대하여 기술되었지만, 잔류량의 잘못된 검출의 이런 범위에 대한 기포의 침전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는 정전 용량형 검출기 또는 음향 특성을 이용하는 검출기와 같은 다른 검출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런 센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분할벽(17)은 사용시에 구획벽(14)에 평행하게 또는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내부 주형이 (캡으로 덮기 전에) 용기의 개방 상부로 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용이한 제작단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런 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유리한 효 과, 즉 기포 안내 기능 및/또는 기포 체류 기능 포함하는 범위에 대해 분할벽은 구획벽으로부터 또는 구획벽으로 경사지게 또는 만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가 잉크를 통해 잉크 수용 챔버로 도입되고, 대기의 도입에 의해 생성된 기포가 분할벽의 제공에 의해 광학 반사 부재로 도달하는 것이 방지되는 용기가 제공되는데, 기포는 광학 반사 부재로부터 잉크 액면으로 상방으로 유도되고, 또한 기포의 소멸에 대해 긴 시간을 제공하도록 기포를 침전시키는 구조는 잔류하는 잉크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잉크 수용 챔버에 제공된 광학 반사 부재를 둘러싸는 기포에 기인하는 잔류량의 잘못된 검출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공지된 구조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설명된 부재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특허청구범위 또는 개선의 목적에서 구현될 수 있는 변형 또는 변경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접 잉크를 수용한 수용 챔버내에 광학 반사 부재를 설치하여, 잉크 잔량을 검출하며, 잉크 공급 동작에 수반하여 기체-액체 교환 동작 등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용 챔버내에 대기를 저장하며, 잉크 잔량에 대한 오류 검출이 억제되는 잉크 용기를 제공한다.

Claims (10)

  1. 잉크를 직접 수용하는 잉크 수용 챔버와,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와,
    상기 잉크 수용 챔버와 상기 부압 발생 부재 수용 챔버 사이의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의 바닥부에 제공된 공기 도입 경로와,
    상기 잉크 수용 챔버 내의 잉크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광학 센서부와,
    상기 잉크 수용 챔버의 내부 바닥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분할벽을 포함하고,
    잉크 제트 기록 헤드로의 잉크 공급에 수반하여 대기가 상기 잉크 수용 챔버 외측으로부터 잉크 내로 도입되고,
    상기 분할벽은 잉크의 통과는 허용하지만 공기의 도입시 생성된 기포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공기를 상기 잉크 수용 챔버 내의 잉크로 도입하는 대기 도입부와 상기 센서부 사이의 공간을 분할하는 잉크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은 상기 잉크 수용 챔버의 내측 천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단부와 기포의 통과는 방지하지만 잉크의 통과는 허용하는 개구부를 갖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잉크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의 적어도 한 벽면에는, 기포의 상승을 지연시키기 위해 상승하는 기포를 일시적으로 포획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 돌기를 더 포함하는 잉크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의 적어도 한 벽면에는, 잉크 표면이 하강할 때 상기 기포의 하강을 저지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 돌기를 더 포함하는 잉크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도입부는 상기 잉크 수용 챔버 내측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잉크 수용 챔버의 바닥부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는 잉크 용기.
  7. 잉크를 직접 수용하는 잉크 수용 챔버와,
    잉크 용기 외측에 제공된 광학 검출 수단과 상호 작용하여 잉크 수용 챔버 내의 잉크 잔량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잉크 수용 챔버의 바닥부에 제공된 광학 반사 부재와,
    상기 광학 반사 부재 위에 배치되어 잉크를 통과하도록 공기의 도입에 수반하여 생성된 기포의 상승은 가능하게 하고 잉크 표면이 하강할 때 기포의 하강은 억제하는 구조체를 포함하고,
    잉크 제트 기록 헤드로의 잉크 공급에 수반하여 대기가 잉크 수용 챔버 외측으로부터 잉크 내부로 도입되는 잉크 용기.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용기를 상기 잉크 수용 챔버로 구획하는 구획벽과 부압 발생 부재를 수용하는 부압 발생 수용 부재를 더 포함하고, 공기 도입부는 구획벽 하부에 제공된 잉크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벽은 구획벽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잉크 용기.
KR1020050046976A 2004-06-02 2005-06-02 잉크 용기 KR100837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64547 2004-06-02
JP2004164547A JP4217659B2 (ja) 2004-06-02 2004-06-02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タン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475A KR20060049475A (ko) 2006-05-19
KR100837489B1 true KR100837489B1 (ko) 2008-06-12

Family

ID=3493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976A KR100837489B1 (ko) 2004-06-02 2005-06-02 잉크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293850B2 (ko)
EP (1) EP1602489B1 (ko)
JP (1) JP4217659B2 (ko)
KR (1) KR100837489B1 (ko)
CN (1) CN10034842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716U (ko) 2015-01-27 2016-08-04 정팔성 잉크 충전용 스파우트 파우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3542A (ja) * 2004-04-30 2005-11-10 Canon Inc 液体タンクおよび液体吐出記録装置
JP3840237B2 (ja) * 2004-06-02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該液体収納容器を用いた記録装置
JP4217659B2 (ja) * 2004-06-02 2009-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タンク
JP2005343037A (ja) * 2004-06-03 2005-12-15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の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該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を備えた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5343036A (ja) * 2004-06-03 2005-12-15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の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該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を備えた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762651B2 (en) * 2005-06-30 2010-07-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device fluid reservoir
US7682004B2 (en) * 2005-09-29 2010-03-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8025376B2 (en) * 2005-09-29 2011-09-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7837311B2 (en) * 2005-09-29 2010-11-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7810916B2 (en) * 2005-09-29 2010-10-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7775645B2 (en) * 2005-09-29 2010-08-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s of forming cartridges, such as ink cartridges
US7828421B2 (en) * 2005-09-29 2010-11-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arrangements
US7553007B2 (en) * 2005-09-29 2009-06-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US8313185B2 (en) 2006-03-31 2012-11-2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and liquid container package
JP2008023979A (ja) * 2006-06-19 2008-02-07 Seiko Epson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装置
US7857441B2 (en) * 2006-12-18 2010-12-2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 pressure regulator
US7794038B2 (en) 2006-12-18 2010-09-1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 pressure regulator with regulator channel fluidically isolated from ink reservoir
US7784925B2 (en) * 2006-12-18 2010-08-3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 cartridge with pressure regulation
US7703900B2 (en) * 2006-12-18 2010-04-2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 pressure regulator using air bubbles drawn into ink
US7722170B2 (en) * 2006-12-18 2010-05-2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 pressure regulator using air bubbles drawn into headspace
US7703901B2 (en) * 2006-12-18 2010-04-2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ink supply system comprising ink pressure regulator
US8066360B2 (en) * 2007-04-18 2011-11-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cartridge for a fluid supply system
JP4655134B2 (ja) 2008-09-30 2011-03-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滴噴射装置
JP5838654B2 (ja) * 2011-08-24 2016-01-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
JP5920019B2 (ja) 2012-05-23 2016-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155556B2 (ja) * 2012-05-31 2017-07-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JP6019972B2 (ja) 2012-09-13 2016-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6307887B2 (ja) * 2014-01-14 2018-04-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プリンター
JP6617708B2 (ja) * 2014-09-18 2019-12-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気泡除去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気泡除去装置
JP6328091B2 (ja) * 2015-12-02 2018-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容器および液体吐出装置
JP6790424B2 (ja) * 2016-03-31 2020-1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
EP3445588B1 (en) 2016-04-20 2023-08-16 Videojet Technologies Inc. Cartridge and printer
JP6961947B2 (ja) 2017-01-31 2021-1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US10442206B2 (en) 2017-02-28 2019-10-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first tank, second tank connectable to first tank, and head for ejecting liquid supplied from second tank
JP6988174B2 (ja) * 2017-05-31 2022-0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
US11209303B2 (en) 2017-12-18 2021-12-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illing level detection in a printing fluid waste container
JP7024453B2 (ja) * 2018-01-30 2022-0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インク測定システムおよびインク測定方法
JP6594476B2 (ja) * 2018-04-11 2019-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容器および液体吐出装置
JP2021088111A (ja) * 2019-12-04 2021-06-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WO2021185621A1 (en) * 2020-03-17 2021-09-23 Memjet Technology Limited Ink tank with integrated filter
JP7183222B2 (ja) * 2020-08-20 2022-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及び記録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4405A (ja) * 1996-03-22 1997-09-30 Canon Inc 記録装置及びその記録装置を用いたファクシミ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29238T2 (de) 1988-04-22 2001-03-08 Seiko Epson Corp Tintenstrahlaufzeichn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JP2929804B2 (ja) 1991-10-05 1999-08-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インク供給機構
CA2100977C (en) 1992-07-24 2000-02-08 Noribumi Koitabashi Ink container, ink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ing ink container
JP2951818B2 (ja) 1993-05-25 1999-09-20 キヤノン株式会社 交換型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MX9801290A (es) * 1997-02-19 1998-11-30 Canon Cabushiki Kaisha Envase de liquido para cabeza de chorron de tinta.
JPH10232157A (ja) 1997-02-19 1998-09-02 Canon Inc 液体残量検知装置および液体吐出装置
US6257712B1 (en) * 1997-11-14 2001-07-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feeder
US6454400B1 (en) * 1998-09-01 2002-09-2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cartridge including liquid container, printing apparatus using cartridge and liquid discharge printing apparatus
JP2000263806A (ja) * 1999-03-18 2000-09-26 Copyer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793305B2 (en) * 2000-05-18 2004-09-21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onsumption of ink
DE60214813T2 (de) * 2001-11-26 2007-09-13 Seiko Epson Corp. Tintenpatrone und Tintenstrahldruckvorrichtung mit einer derartigen Tintenpatrone
JP4013642B2 (ja) 2002-05-15 2007-1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3237097A (ja) 2002-02-14 2003-08-26 Seiko Epson Corp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3334970A (ja) 2002-05-22 2003-11-25 Canon Inc 記録装置
JP2004142326A (ja) 2002-10-25 2004-05-20 Canon Inc 記録装置及びインク検出センサ
US7137688B1 (en) * 2004-04-19 2006-11-21 Nu-Kote International, Inc. Optical ink level detecting arrangements for ink cartridges
JP3840237B2 (ja) 2004-06-02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該液体収納容器を用いた記録装置
JP4217659B2 (ja) * 2004-06-02 2009-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タンク
JP2005343037A (ja) 2004-06-03 2005-12-15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の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該インク残量検出モジュールを備えた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137010B2 (ja) 2004-06-11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に用いる液体収納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4405A (ja) * 1996-03-22 1997-09-30 Canon Inc 記録装置及びその記録装置を用いたファクシミリ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716U (ko) 2015-01-27 2016-08-04 정팔성 잉크 충전용 스파우트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12885A1 (en) 2008-01-17
CN1704245A (zh) 2005-12-07
JP4217659B2 (ja) 2009-02-04
US7293850B2 (en) 2007-11-13
EP1602489B1 (en) 2011-10-05
US7726793B2 (en) 2010-06-01
CN100348421C (zh) 2007-11-14
US20050270347A1 (en) 2005-12-08
JP2005342992A (ja) 2005-12-15
EP1602489A3 (en) 2007-05-09
EP1602489A2 (en) 2005-12-07
KR20060049475A (ko) 200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489B1 (ko) 잉크 용기
US11472192B2 (en) Printing fluid cartridge, printing apparatus, and use of printing fluid cartridge
EP3225401B1 (en) Liquid cartridge
JP385225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974439B2 (ja)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EP3925782B1 (en) Printing fluid cartridge, printing apparatus, and use of printing fluid cartridge
US8226219B2 (en) Liquid-droplet ejecting apparatus
JP5929166B2 (ja)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及び規制部材
US8141992B2 (en) Liquid storage container
JP2012152998A (ja) 液体噴射装置に装着される液体収容容器
JP4746843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8030292A (ja) 液体収容体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4474960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8235509B2 (en) Liquid-droplet ejecting apparatus
KR100518613B1 (ko) 잉크 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
JP4492161B2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17177734A (ja) 液体カートリッジ
US7735987B2 (en) Liquid-droplet ejecting apparatus
EP3366479A1 (en) Liquid container
JP2007223116A (ja) インクタンク
JP2008000919A (ja) 液体残量検知システム、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タンク
US20190329548A1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JP2006102970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5074839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6102969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