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278B1 - 식품 리필 및 그러한 리필을 포함하는 조립체 - Google Patents

식품 리필 및 그러한 리필을 포함하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278B1
KR100832278B1 KR1020010056761A KR20010056761A KR100832278B1 KR 100832278 B1 KR100832278 B1 KR 100832278B1 KR 1020010056761 A KR1020010056761 A KR 1020010056761A KR 20010056761 A KR20010056761 A KR 20010056761A KR 100832278 B1 KR100832278 B1 KR 100832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ill
food
sealing
tip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615A (ko
Inventor
리스테레알랭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2002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5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draining or discharging the liquid contents, e.g. soup, mi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20)와; 식품을 배출하기 위한 통로부(24)와; 적어도 한쌍의 대향하는 제1 선단부(210a, 210b)와, 밀봉 공간부(26)가 형성되도록 상기 통로부를 밀봉하는 수단(25)을 포함하는, 장치의 선단부(21)와; 상기 밀봉 수단을 개봉하는 수단(3)을 포함하고; 상기 개봉 수단은, 리필이 장치에 삽입될 때, 장치의 보지(保持) 수단과 만나서 걸리게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수단(4)을 포함하는, 식품을 계량, 분배 및/또는 준비하는 장치의 식품 공급 영역에 삽입되기 위한 식품 리필(2)로서, 상기 개봉 수단(3)이, 상기 밀봉 수단(25)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또한 상기 제1 선단부를 따라 습동하는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게 리필에 연결되어, 장치내에 리필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밀봉 수단(2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봉되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식품 리필 및 그러한 리필을 포함하는 조립체{FOODSTUFF REFILL AND ASSEMBLY COMPRISING SUCH A REFI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필에 있어서, A-A선으로 절단하여 취한 상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필에 있어서, 개봉 수단이 젖혀지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대한 상세 부분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7은, 리필의 개략 정면도로서, 준비 또는 분배 장치에 삽입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8은, 리필이 장치에 삽입됨에 따라, 그 리필이 개봉되는 원리를, 밑에서 올려다 본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있어서, B-B선을 중심으로 절단하여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부터 도 12는, 식품의 재보충을 위해서 장치내로 삽입되는 작용을, 단계별로 보여준다.
도 13은, 제조중인 리필의 일부를 보여준다.
도 14는, 또다른 형태의 리필에 대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또다른 형태의 리필에 있어서, 장치내로 삽입되고 나서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음료수, 소스(sauce) 또는 그와 유사한 제품 같은 식품을 계량, 분배 및/또는 준비하는 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러한 장치에 공급되는 식품을 수용하는 리필(refill)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식 서비스업, 특히, 대중 장소에서의 음료 분배, 또는 항공기나 기차 같은 교통 수단내에서의 음식 제공 서비스에 있어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음료수 또는 다른 미리 만들어진 제품을 분배 및/또는 준비하는 장치는, 식품을 정기적으로 공급받아야 하며, 서비스의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고객에게 충분한 양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장치는, 밀봉된 통이나 주머니에 헐겁게 포장된 식품을 보충식 저장 용기에 수작업으로 채워넣는 방식으로 공급받는다. 이러한 방법은, 처리 과정과 그러한 처리를 수행함에 필요한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만족스럽지 못하다. 상기의 처리 과정은, 혼잡을 야기시키며 식품의 다량 손실이 야기될 위험을 수반하는데, 특히 상기의 장치가, 항공기의 기내(機內)처럼 불안정하거나 요동이 심한 곳에 설치되면 그러하다.
가용성 분말 재료로 채워져서, 장치내에 삽입되기 이전에 개봉되는 카트리지(cartridge)나 용기(容器)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장치는 기 존재한다. 예컨대, 특허 GB 1,325,478호는 그러한 원리를 개시하는데, 이 특정한 예에서, 용기는 점착성의 스트립(strip)을 포함하는데, 이는 용기가 장치에 수용되기 전에 박리된다. 이 것의 단점은, 용기를 완전히 개방하여 재보충(refilling) 작업을 수행한다는 사실에서 비롯되며, 따라서 전술된 단점과 동일하다.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 출원 EP 1,028,068호는 상기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바, 이 방안은, 식품 손실에 대한 위험 없이 식품을 쉽고도 신속하게 재보충하도록 설계되어, 어울린다면, 항공기의 기내 같은 까다로운 요구 조건의 환경에서도 만족스럽게 사용될 수 있는, 리필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트리지는,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와, 이 용기와 함께 작용하여 밀봉 공간부를 형성하는 밀폐 수단을 포함한다. 이 밀폐 수단은, 리필이 분배 장치내로 도입되는 과정에서, 그 밀폐 수단의 적어도 일부가 개봉되게 해주는 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개봉 수단은, 상기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보지부(保持部)(기계적인 걸림 수단과 상호 보완적이다)와 만나서 접촉하는 기계적인 걸림 수단을 구비하는 비(非)고정부를 포함하며, 이 비고정부를 개봉 수단위로 젖히면, 상기 밀폐 수단이 용기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실하게 개봉되도록, 상기 비고정부를 배치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상기 개봉 수단은, 밀폐 수단 또는 밀봉 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며, 정지 상태로 자유롭게 매달려 있고, 또한 상기 장치내로 물려 들어 가는 형태로 상기 용기상에 젖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는, 그 장치내로 카트리지를 삽입하면, 기본적으로 리필이 충분히 개봉되고, 따라서 상기 장치가 충분히 재보충된다는 점에서, 사용의 편의성 측면의 여러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필을 사전에 개봉할 필요 없이 또는 절단 도구를 장치에 내장시킬 필요 없이, 내용물을 적절한 장치내로 배출하도록 설계된 식품 리필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허 출원 EP 1,028,068호에 개시된 기본 원리를 개량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리필 작업을 보다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하게 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중의 하나는, 모든 상황하에서 최적의 안전이 제공되도록, 예컨대, 리필이 장치내로 물려들어갈 때, 리필의 밀봉 수단에 있어서의 파열, 구겨짐 또는 망가짐의 위험이 방지되도록, 리필을 개봉하기 위해 가해지는 힘이 더 잘 분산되도록 해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장치의 외부에서 리필이 뜻하지 않게 개봉될 위험성이나, 또는 리필을 개봉 및/또는 밀봉하기 위한 수단에 대한 부분적 또는 전체적 열화(劣化) 및/또는 손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실제로, 리필은 식품에 대한 포장용으로 사용되므로, 기밀이 유지되는 상태로, 또한 산소의 출입이 차단될 수 있는 상태로 장시간 식품을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밀봉 수단이 파열되면, 그 파열된 정도가 아무리 작다 해도, 식품의 보관 수명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개봉 수단이 손상되면, 더 이상 그 리필을 적 절히 개봉할 수 없게 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리필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공간을 낭비하지 않고 합리적이고도 간결한 방법으로, 상자, 바구니 및 서랍 등과 같은 제한된 공간에 다량으로 쉽게 저장가능한 리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과 장점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다량의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와; 식품을 배출하기 위한 통로부와; 적어도 한쌍의 대향하는 제1 선단부와, 밀봉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통로부를 밀봉하는 수단(25)을 포함하는, 장치의 선단부와; 상기 밀봉 수단을 개봉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봉 수단은, 리필이 장치에 삽입될 때, 장치의 보지(保持) 수단과 만나서 걸리게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수단을 포함하는, 음료수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계량, 분배 및/또는 준비하는 장치의 식품 공급 영역에 삽입되기 위한 식품 리필을 제공함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근본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개봉 수단은, 상기 밀봉 수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리필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선단부를 따라 습동가능하게 연결되므로써, 장치에 리필이 삽입됨에 따라, 적어도 상기 밀봉 수단이 부분적으로 개봉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봉 수단을 습동가능하게 연결시키면, 밀봉 수단을 개봉 하는데 필요한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효과가 나타나므로, 리필의 개봉에 있어 신뢰성이 더 높아진다. 즉, 상기 밀봉 수단의 파열 위험성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균일하게 개봉된다. 만일 그렇게 되지 않는다면, 용기에 수용된 식품 전부를 배출하는 데 필요한 개구(開口)면적이 침해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봉 수단은, 분리 위치와 상기 밀봉 수단 위로 젖혀진 연결 위치(상기 습동 선단부를 따라 습동할 때 삽입 위치가 된다)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요성(可撓性)인 상기 제1 선단부와의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배치하면, 상기 개봉 수단이, 어떤 상황에서도, 예컨대, 리필의 제조시에 또는 리필을 수용하기 위한 장치내로 리필을 삽입하기 직전에, 리필의 습동 선단부를 따른 습동 조작 위치에 놓이게 되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치에 속하는 보지 수단과 만나서 걸리는, 상기 개봉 수단의 걸림 수단은, 리필이 장치에 맞물려 들어가는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구간(abutment zone)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리필의 삽입 방향은 그 리필의 종방향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 수단은 리필의 선단부 위를 밀봉하는 가요성의 막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밀봉 수단" 이라 함은, 상기 막과 선단부를 적절히 연결해 주는 수단을 의미하며, 충분한 기계적인 견인력이 가해지면 연결이 끊어지게 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한 끊김 작용은, 일반적으로는 "박리(delamination)" 또는 "껍질 벗김(peeling)"이라는 용어로 표현된다. 따라서, 밀봉의 방법으로서는, 접합, 용접 또는 접합과 용접의 조합에 의한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 구간과 그 공급 구간에 채워질 적어도 하나의 식품 리필을 포함하고; 상기 리필이,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와, 개봉 수단에 견고하게 고 정되고 또한 박리될 수 있도록 용기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리필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는 막을 포함하며; 상기 개봉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걸림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구간이, 상기 리필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과, 그 리필이 하우징에 삽입될 때,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걸림 수단과 협력하면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지(保持) 수단을 포함하는, 음료수를 계량, 분배 및/또는 조리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체로서, 상기 개봉 수단이, 상기 리필에 대하여 습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해주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과, 리필을 삽입하는 움직임에 의해, 적어도 상기 막의 부분 박리가 야기되고 또한 식품이 상기 공급 구간내로 배출되도록, 상기 개봉 수단이 습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치의 특징과 장점은, 특허 출원 EP 1,028,068호에 부분적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그 전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루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다수의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부터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리필(2)은, 소정의 양의 리필용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20)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식품으로서는, 커피, 차 또는 가용분유 같은 분말체가 바람직하다. 용기의 용량은, 가변적으로서, 재보충될 장치의 유형과, 본 장치에 속하는 계량 수단에 의해 계량된 후에 공급될 개별적인 투여 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각각의 투여 횟수 n에 상당하는 식품의 양을 포함 하는데, n값은 1에서 200의 범위에서 가변적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용기(20)는, 상단면(23)과, 상자의 측면을 이루는 벽면(22)을 갖고, 종방향(Ⅰ)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상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상기 벽면(22)에 직각으로 선단부(21)가 짧게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부(21)는 대략적으로 평평한 가장자리부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선단부(21)는, 밀봉 수단이 없는 경우에, 통로부(24)의 경계를 형성해준다. 상기 선단부는, 종방향(Ⅰ)으로 배치된 제1 대향 측면 선단부(210a, 210b)와, 횡방향의 제2 선단부, 즉 전방 선단부(211a)와 후방 선단부(211b)를 갖고 있다.
용기의 개구(開口)는, 리필의 상단을 이루고 또한 통로부(24)를 밀폐시켜 주는, 밀봉 수단(25)에 의해 덮이는데, 이러한 형태로 되어 있어, 리필을 구성하는 식품의 대부분이 상기 밀봉 수단(25)위에 놓일 수 있게 된다. 용기와 밀봉 수단을 결합시키면, 밀폐가능하게 밀봉되는 공간부(26)가 형성된다. 여기서, "밀폐가능하게"라 함은, 상기 통로부가, 수분, 수증기 및 산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에 대해 선택적임을 의미한다.
용기의 선단부(21)는, 그 용기의 개구(開口)의 모서리 주위로 연장되어, 평면 P 또는 밀봉면에 살짝 접하는 대략적으로 평평한 바닥면을 형성하므로써, 밀봉 수단(25)의 밀봉과, 장치내에서 리필의 보관, 안정 및 안내를 도와주는 바,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밀봉 수단은, 외곽선(27)이 폐곡선이 되도록, 용기의 선단부(21)위로 밀봉되는 가요성(可撓性)의 막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기의 외곽 선단부를 따라 열 에 의해 밀봉된 막의 형태로 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막은, 내인열성(耐刃裂性) 막으로 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면 P와 평행하게 종방향으로 힘 F가 가해질 때, 밀봉선을 따른 박리에 대한 저항보다 인열(刃裂)에 대한 저항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 수단(25)은 개봉 수단(3)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 상기 밀봉 수단은, 상기 폐곡선(27)에 의해 규정되는 밀봉 구간의 외측이 되며 또한 리필의 전방인 위치에, 상기 밀봉 수단의 앞쪽 밀봉부 위로, 거꾸로 접히거나 구부러진 부분(250)을 포함한다.
상기 개봉 수단(3)은, 종방향의 대향 선단부(210a, 210b)에 대하여 습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또한, 밀봉 막에 비해 강체 또는 반강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봉 수단은, 내측의 접촉 표면(30)을 갖고 있는 바, 접합, 용융, 용접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해 상기 밀봉 막이 그 접촉 표면에 점착된다. 상기 개봉 수단의 외측 면(31)에는, 장치에 속하는 보지(保持) 요소와 접촉을 이루어 협력하면서 작용하는 기계적인 걸림 수단(4)이 포함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최종적으로, 개봉 수단(3)은, 바람직하게도, 상기 밀봉 수단위로 거꾸로 젖혀진 위치에 있을 때의 용기의 선단부의 방향을 따라 만곡된, 측면 선단부를 형성하는 습동 수단(33, 34)을 갖는다. 이 습동 수단(33, 34)은, 개봉 수단과 용기의 습동 선단부(210a, 210b)를 연결해 준다. 더욱 특별하게는, 상기 습동 수단은, 상기 개봉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밀봉면 P에 평행한 평면에서, 장치내에 리필이 삽입되는 방향과 일치하는 종방향(Ⅰ)으로 습동하게 해주며, 또한, O 방향 즉, 밀 봉면 P에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지지해 주기도 한다.
상기 개봉 수단이 도 3에 표시된 F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습동 수단은, 종방향(Ⅰ)에서 옆으로 벗어나는 상기 개봉 수단의 어떠한 움직임도 방지해주며, 이는, 양(兩) 측면 선단부(210a, 210b)에 박리력(delamination force)이 거의 동일하게 분배되는 효과를 가져다 준다. 그러한 방식으로 힘의 균형을 이루면, 박리가 양 선단부를 따라 동시에 발생되고, 따라서 밀봉 수단의 파열 위험성이 낮아진다.
도 4와 도 6은, 상기 개봉 수단이, 용기 밖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때의, 리필의 형태를 나타낸다. 그와 같은 형태는, 리필의 설치되었을 때의 형태에 해당한다. 상기 개봉 수단(3)은, 용기의 전방 선단(211a)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접히는 구간(또는 직선)(250a)을 갖는 부분(250)에 의해서 밀봉 수단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개봉 수단은, 접히는 구간에서 비 고정부(250)가 거꾸로 접혀서 젖혀지면 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 연결 수단(33, 34)은, 양(兩) 연결 수단이, 초기에 치수(d)만큼 이격되었다가, 선단부(210a, 210b)의 폭에 해당되는 거리(D)보다 더 크게 이격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예컨대 손으로 꽉 쥐어서, 측면 선단부에 대하여, 개봉 수단의 양측에 충분한 힘을 가하면, 만곡된 부위가 이격되어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전방 선단부(211a)는, 리필의 삽입 사이클이 막 시작될 때 박리력을 받는 밀봉부(270)를 포함하는데, 이 부위는, 비고정부의 방향으로 전방을 가리키며 종방향 축(Ⅰ)과의 일직선상에 놓인 정점(271)을 갖는, 비(非)선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부(270)가 그러한 형태를 가지면, 종축(Ⅰ)에 대하여 횡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을 때에 비해, 박리가 시작될 때 박리에 대한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부분은, V 또는 U의 뒤집힌 형상 또는 기타 다른 형상으로도 될 수도 있다.
도 7부터 도 12는, 리필이,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설계된 계량 및/또는 분배 장치의 공급 구간(6)내로 삽입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특징중의 하나는, 개봉 수단이, 삽입 방향(도 8)과 일치하는 리필의 종방향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구간으로 형성된, 기계적인 걸림 수단(4)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기계적인 걸림 수단은, 장치의 공급 구간(6)을 이루는 하우징(14)으로의 삽입에 있어서 범위를 정해주는, 대응 선단(14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정렬되는 돌출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4)은, 그 높이(H)를 결정하는 상단면(142)과 하단면(140)을 갖고 있는 바, 상기 돌출부(40)와 하단부(140)가 만나서 접촉함으로써, 개봉 수단(3)이 하우징의 내측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되고, 리필(2)은 습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높이에 공차가 주어진다. 따라서, 높이(H)는, 공차 범위내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을 이중으로 형성시키는 밀봉 막의 선단부와 고리 모양부(250)를 포함하는 리필의 높이(H0)보다는 약간 크지만, 기계적인 걸림 수단의 두께를 포함하는 리필의 전체 높이(H1)보다는 작게 설계된다.
또한, 상기 습동 수단(33, 34)이, 장치에 속하는 하우징의 측면 선단부(143, 144)에 맞물리는 걸림 수단이 되면 바람직하다. 이것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하려면, 개봉 수단의 폭(L1)이 하우징의 폭(선단면(142, 143)간의 간격)(L0)보다 크고, 리필의 습동 선단부간의 간격(L0)이 상기 하우징의 폭(L)보다 작기만 하면 된다. 그렇게 배치하면, 리필의 측면을 따라, 즉 측면 밀봉선 근처에 힘이 집중되고, 따라서 막이 파열될 위험성이 없이 박리가 촉진되는 장점이 있다.
도 10부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필을 하우징의 입구에 배치하고, 개봉 수단을 포함하는 리필의 전방 선단을, 밀봉 표면상에 거꾸로 접혀서 젖혀지는 위치에(도 1에 따른 형태로) 배치하며, 걸림 수단(4)이 하우징의 대응 선단(140)과 만나서 접촉하게 한 다음, 리필이 하우징내로 밀려들어가도록 리필의 종방향으로 충분한 힘을 가하여, 리필의 선단부를 따라 밀봉 수단의 박리가 일어나도록 구성하면, 리필(2)을 삽입하고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과정이 특히 단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박리가 일어남에 따라, 식품이 중력을 받아서, 장치의 외부로 유출될 위험이 없이, 장치의 공급 구간내로 계량 장치(5)를 향하여 배출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밀봉 수단 또는 막은, 접혀서 뒤로 젖혀진 부분(250)을 이루며, 리필이 하우징내로 삽입될 수록 그 접힌 부분의 길이가 증가한다. 상기 막은, 접혀서 고리 모양이 되므로, 접혀서 뒤로 젖혀진 부분의 길이는 대략적으로 하우징내에 삽입된 리필의 길이의 절반이 되며, 따라서, 용기가 하우징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용기의 통로부(24)의 대략 절반은 덮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개봉 수단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당기면, 밀봉 수단 또는 막이 용기로 부터 분리되는 완전한 박리가 이루어진다.
그러한 리필을 수용하게 되어 있는, 음료수나 소스를 분배하는 장치는, 특허 출원 EP 1,028,068 A1호에 상세히 개시된다. 여기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그러한 장치의 일반적인 작동 원리를 실시예로서 참조 인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특징에 따르면, 밀봉 수단으로는, 내인열성과 내습성이 있는 소재로 된 가요성의 막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층 또는 다층의 플라스틱 막으로서, 경화될 수도 있으며, 단층 또는 2층의 열 융해성 플라스틱과 알루미늄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적층물일 수도 있다. 가용성의 커피의 경우에는, 증기나 기체에 대한 불침투성(不浸透性)이 있는, 예컨대, 경화된 플라스틱 막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막은, 진공에서, 알루미늄 또는 다른 금속의 증기를 막이 표면에 응축됨으로써 경화된다. 그러한 작업은, 고(高)진공이 발생되는 밀봉된 챔버내에서 수행된다. 경화층은 300Å 정도로 매우 얇으며, 보호 랙커(lacquer) 또는 금속측에 결합되는 또다른 막과의 복합 막에 의해서 피복될 수 있다. 경화된 막이든 경화되지 않은 막이든 간에, 밀봉선을 형성할 수 있는 내부 층을 갖고 있어서, 용기의 선단부에 압력과 열이 가해지면 열로 밀봉된 선이 형성된다.
용기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별도의 부품이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밀봉 선단부를 포함하는 단일체로 된 기다란 상자의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필은, 열성형, 사출성형, 압출-블로우(blow)-성형으로부터 선택된 성형법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을 모재로 할 수 있다. 용기를 형성하는 소재는, 폴리프 로필렌(PP),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PVC, 초산 셀룰로오스(cellulose acetate), EVOH,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群)에 속하는 여러 플라스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용기는, 단층 또는 다층으로 될 수 있고, 수증기 및/또는 산소가 침투 불가능한, 낮은 침투도를 갖는 특수한 차단 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선단부의 용접이 잘 이루어지도록 용접성이 향상된 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여러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용기(20)과 개봉 수단(3)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시킨 다음, 예컨대, 취약한 선으로서, 2 부품간에 형성된 선(220)을 절단 또는 파단하여 분리시킨다. 2 부품간에 개구부(331)를 형성시켜, 상기 절단선 또는 파단선의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밀봉 막은, 상기 개봉 수단과 용기가 분리되기 이전에 밀봉될 수 있으며, 수증기에 대한 침투성이 우수하고, 용접성이 양호하며, 비교적 저가인 PP 계열 소재가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폴리프로필렌이 단독으로 사용되면, 비교적 산소가 잘 스며들기 때문에, 분유 같이 산화에 민감한 식품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 방법은, 하나의 몰드(mold)로 2 부품을 제작하여, 절단 또는 파단에 의해 분리시킬 수 있게 해주므로, 경제적이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용기는, 단층으로 된 PP 같은 소재, 또는 PP/EVOH/PP와 같이 다층으로 된 소재를 열성형하여 형성된다. 습동 경로(slide way)는, PP 또는 폴리스티렌 소재, 폴리에틸렌 등의 기타 다른 적절한 소재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용기를 열성형하면, 경제적이면서, 산소를 차단해 주는, EVOH 같은 하나 이상의 차단 층을 포함하는, 다층의 플라스틱 판을 기본으로 하여 용기를 만들수 있 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열성형법으로는, 개봉 수단이, 성형 방향과 반대가 되는 방향으로 접히거나 변형되는 구간(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자가 아래쪽으로 형성됨에 비해 위로 구부러지는 부분)을 갖는, 용기와 개봉 수단을 포함하는 일체형 부품을 얻을 수 없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와 개봉 수단은, PP 같은 플라스틱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별도로 형성된다. 용기의 제작에 있어서, 사출성형법은, 열성형법에 비해 정확하면서도 오프컷(off-cut)이 발생되지 않게 원하는 형상으로, 선단부를 성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용기의 강화와, 막이 밀봉되고 난 후의 뒤틀림 방지에 적합하며, 외관도 보다 수려하게 해준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리필(2)은, 가요성 주머니(28)와, 용접이나 점착제에 의한 점착 또는 그와 유사한 방법 같은 적절한 연결 수단(280)에 의해 상기 가요성 주머니에 부착되는, 상대적으로 더 강한 선단편(29)을 포함한다. 상기 선단편은, 바닥에 밀봉 선단부를 구비하며, 전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그 밀봉 선단부에는, 측면 선단부(210a, 210b)를 따라 습동할 수 있는 개봉 수단(3)이 구비되어 있다. 도 15는, 리필이 수용되는 장치의 하우징에 속하는 안내 수단과 접촉하고 있는 선단편의 바닥을 보여준다. 상기 안내 수단은, 하단면(140)과 측면 선단면(143, 144) 및 상단면(142a, 142b)으로 이루어지며, 이 모두가, 공급 구간의 안내면(P)를 따라 상기 선단편의 측면 선단부(210a, 210b)를 안내하는 궤도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 수단의 치수는 상기 개봉 수단(3)의 치수보다 작게 만들어서, 상기 선단편이 상기 안내 수단에 삽입됨 에 의해, 상기 개봉 수단이 상기 안내 수단의 입구에서 멈추게 되고, 따라서,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밀봉 막이 박리되게 한다. 특허 출원 US/SN 09/518661호는, 가요성 주머니와 밀봉 선단편으로 된 리필과, 그러한 리필을 수용하기 위한 장치를 상세히 개시하는데, 그에 대한 내용은 본 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의 리필은, 식품의 계량, 분배 및/또는 준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유형의 장치에 재보충되는 식품을 저장하기에 적합하다. 상정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기본적으로, 음료수의 제조에 사용되는 분말로 된 물질이 있다. 그러한 물질로는, 원두 커피, 가용성의 인스턴트 커피, 차, 우유, 초콜릿, 치커리, 농작물 또는 채소, 천연 또는 인공 향료 및 상기의 물질이 임의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0)

  1. 식품을 계량, 분배 및/또는 준비하는 장치의 식품 공급 영역에 삽입되기 위한 식품 리필(2)로서, 상기 식품 리필(2)은
    다량의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20)와,
    식품을 배출하기 위한 통로부(24)와,
    적어도 한쌍의 대향하는 제1 선단부(210a, 210b)와, 밀봉 공간부(26)가 형성되도록 상기 통로부를 밀봉하는 수단(25)을 포함하는 선단부(21)와,
    상기 밀봉 수단을 개봉하는 수단(3)을 포함하고,
    상기 개봉 수단은, 리필이 장치에 삽입될 때, 장치의 보지(保持) 수단과 만나서 걸리게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수단(4)을 포함하며,
    상기 개봉 수단(3)은, 상기 밀봉 수단(25)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또한 상기 제1 선단부를 따라 습동하는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게 리필에 연결되어, 장치내에 리필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밀봉 수단(2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봉되게 해주고,
    상기 개봉 수단(3)은, 분리 위치와 밀봉 수단의 일부분(250)이 접혀서 뒤로 젖혀진 연결 위치의 사이에 배치되어, 대향 선단부(210a, 210b)를 따른 습동에 있어서의 연결 위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대향 선단부(210a, 210b)에 연결되는 가요성의 연결 수단(33, 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리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수단에 연결되는 걸림 수단(4)이, 리필이 장치에 맞물리는 방향과 일치하는 리필의 종방향(Ⅰ)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구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리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33, 34)이, 상기 개봉 수단(3)의 만곡된 선단부를 포함하여, 그 선단부에 힘이 가해지면,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대향 선단부(210a, 210b)를 따라 맞물리는 위치로 접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리필.
  5. 제 1 항에 있어서, 리필이 한 쌍의 제2 대향 선단부(211a, 211b)를 포함하고, 용기의 제1 선단부(210a, 210b) 및 제2 선단부(211a, 211b)상에 있는 밀봉선(27)의 적어도 일부분을 박리시키면 밀봉 수단이 개봉되도록, 상기 밀봉 수단이, 상기 리필의 제1 선단부 및 제2 선단부에, 상기 밀봉선을 따라 조립되는 가요성(可撓性)의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리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단부가, 비(非)고정부를 향하게 정점을 형성하며 또한 비선형 형상으로 된 밀봉부를 구비하는, 상기 밀봉 수단의 비(非)고정부에 인접한 전방 선단(21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리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가, 대략적으로 역(逆) V형 또는 역(逆) U형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리필.
  8.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긴 상자 모양으로 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가 그 상자의 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리필.
  9.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선단부(210a, 210b)를 포함하는 다소 강성이 큰 선단편(29)에 연장되는 가요성 주머니(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리필.
  10. 공급 구간(6)과 그 공급 구간(6)에 채워질 적어도 하나의 식품 리필(2)을 포함하고,
    상기 리필이,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20)와, 개봉 수단(3)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또한 박리될 수 있도록 용기의 선단부(21)상에 결합되어, 그 리필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는 막(25)을 포함하며,
    상기 개봉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걸림 수단(4, 40, 33, 34)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구간(6)이, 리필(2)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4)과, 리필이 하우징에 삽입될 때,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걸림 수단(4, 40, 33, 34)과 협력하면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지(保持) 수단(140, 142, 142a, 142b, 143, 144)을 포함하는, 음료수를 계량, 분배 및/또는 준비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체로서,
    상기 개봉 수단(3)이, 리필에 대해 습동가능하게 연결되게 해주는 수단(33, 34)을 포함하는 것과,
    상기 개봉 수단이, 리필을 삽입하는 움직임에 의해, 적어도 막(25)의 부분 박리가 일어나고 또한 식품이 공급 구간(6)내로 배출되도록, 습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KR1020010056761A 2000-09-15 2001-09-14 식품 리필 및 그러한 리필을 포함하는 조립체 KR100832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203185.4 2000-09-15
EP00203185A EP1188684B1 (fr) 2000-09-15 2000-09-15 Elément de recharge en substance alimentaire et dispositif destiné à recevoir un tel élé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615A KR20020021615A (ko) 2002-03-21
KR100832278B1 true KR100832278B1 (ko) 2008-05-26

Family

ID=817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761A KR100832278B1 (ko) 2000-09-15 2001-09-14 식품 리필 및 그러한 리필을 포함하는 조립체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6557597B2 (ko)
EP (1) EP1188684B1 (ko)
JP (1) JP4751547B2 (ko)
KR (1) KR100832278B1 (ko)
CN (1) CN1221449C (ko)
AR (1) AR030743A1 (ko)
AT (1) ATE261872T1 (ko)
AU (1) AU776111B2 (ko)
BR (1) BR0104092B1 (ko)
CA (1) CA2357257C (ko)
CO (1) CO5300449A1 (ko)
CZ (1) CZ296690B6 (ko)
DE (1) DE60009062T2 (ko)
DK (1) DK1188684T3 (ko)
ES (1) ES2215565T3 (ko)
HK (1) HK1047419B (ko)
IL (1) IL145400A (ko)
MA (1) MA25395A1 (ko)
MX (1) MXPA01009202A (ko)
NZ (1) NZ514093A (ko)
PT (1) PT1188684E (ko)
RU (1) RU2264962C2 (ko)
SG (1) SG96238A1 (ko)
SK (1) SK286570B6 (ko)
TW (1) TWI2337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20367A1 (it) * 2002-05-03 2003-11-03 Tetra Laval Holdings E Finance Metodo e macchina confezionatrice per la realizzazione di confezioni sigillate di prodotti alimentari varsabili a partire da sbozzati pre-tr
US7257560B2 (en) * 2003-07-31 2007-08-14 Cisco Technology, Inc. Cost minimization of services provided by multiple service providers
US20080073349A1 (en) * 2006-08-30 2008-03-27 Ellswood Mark R Easy-opening package with slide
CN102144897B (zh) * 2010-02-05 2014-05-28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自制面包的方法、面包机和面包配料盒
US9664437B2 (en) 2010-10-29 2017-05-30 Whirlpool Corporation Refillable consumable beverage flavoring cartridge
US9428328B2 (en) 2011-09-01 2016-08-30 2266170 Ontario Inc. Beverage capsule
WO2013144838A1 (en) * 2012-03-26 2013-10-03 Sarong Societa' Per Azioni Capsule for bever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capsule
EP2730523B1 (en) 2012-11-12 2016-04-06 2266170 Ontario, Inc. Beverage capsule and process and system for making same
CN103284583B (zh) * 2013-02-28 2015-05-06 许锦标 适用于全自动炒菜机的自动上料装置
CA2905217C (en) 2013-04-03 2016-11-08 2266170 Ontario Inc. Capsule machine and components
CA2912723C (en) 2013-05-23 2017-02-07 2266170 Ontario Inc. Capsule housing
WO2015024125A1 (en) 2013-08-20 2015-02-26 2266170 Ontario Inc. A capsule containing a dosing agent and system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10314319B2 (en) * 2013-11-20 2019-06-11 2266170 Ontar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or controlled degassing of roasted coffee
US10336531B2 (en) 2014-03-21 2019-07-02 2266170 Ontario Inc. Capsule with steeping chamber
CN112337757B (zh) 2014-07-28 2022-09-30 克里奥瓦克公司 分送系统、包装系统、包装、分送枪系统及分送产品方法
EP3599837A1 (en) 2017-03-29 2020-02-05 Mars,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product from a flexible package
CN109965702B (zh) * 2019-05-22 2024-01-05 岭南师范学院 一种便携式婴儿冲奶机
US20220257044A1 (en) * 2021-02-12 2022-08-18 Starbucks Corporatio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brewing a bever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1161A (en) * 1982-08-23 1985-01-01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Toner Dispensing apparatus
US4650070A (en) * 1984-02-24 1987-03-17 Ricoh Company, Ltd. Toner cartridge
US5040024A (en) * 1988-11-30 1991-08-13 Mita Industrial Co., Ltd. Vessel for develop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25478A (en) 1970-11-12 1973-08-01 Magnussen J H Beverage dispensing device
JPS5814865A (ja) * 1981-07-20 1983-01-27 Fuji Xerox Co Ltd 電子複写機における現像機用トナ−カ−トリツジ
JPS597453U (ja) * 1982-07-02 1984-01-18 コニカ株式会社 トナ−容器ユニツト
US4469258A (en) * 1982-08-06 1984-09-04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y with compound sealed lid
US4858821A (en) * 1988-11-14 1989-08-22 Baxter International Inc. Package and lid with controlled tearing means
JP2541650B2 (ja) * 1989-01-27 1996-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H03107880A (ja) * 1989-09-22 1991-05-08 Mita Ind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5246126A (en) * 1992-11-16 1993-09-21 Lewis Jr John I Oil container
JPH08160727A (ja) * 1994-12-05 1996-06-21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装着機構
PT1028068E (pt) * 1999-02-12 2003-06-30 Nestle Sa Cartucho de recarga para dispositivo de distribuicao de bebidas e dispositivo adaptado a esse cartuch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1161A (en) * 1982-08-23 1985-01-01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Toner Dispensing apparatus
US4650070A (en) * 1984-02-24 1987-03-17 Ricoh Company, Ltd. Toner cartridge
US5040024A (en) * 1988-11-30 1991-08-13 Mita Industrial Co., Ltd. Vessel for develo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96690B6 (cs) 2006-05-17
SK286570B6 (sk) 2009-01-07
DE60009062T2 (de) 2004-07-29
EP1188684A1 (fr) 2002-03-20
ES2215565T3 (es) 2004-10-16
KR20020021615A (ko) 2002-03-21
BR0104092B1 (pt) 2009-01-13
CN1343613A (zh) 2002-04-10
DE60009062D1 (de) 2004-04-22
CA2357257A1 (en) 2002-03-15
TWI233790B (en) 2005-06-11
JP2002145361A (ja) 2002-05-22
HK1047419B (zh) 2004-12-24
DK1188684T3 (da) 2004-07-26
US6557597B2 (en) 2003-05-06
AR030743A1 (es) 2003-09-03
MXPA01009202A (es) 2002-04-12
AU776111B2 (en) 2004-08-26
IL145400A0 (en) 2002-06-30
HK1047419A1 (en) 2003-02-21
BR0104092A (pt) 2002-05-07
SK13042001A3 (sk) 2002-04-04
SG96238A1 (en) 2003-05-23
PT1188684E (pt) 2004-07-30
IL145400A (en) 2006-10-31
US20020033103A1 (en) 2002-03-21
EP1188684B1 (fr) 2004-03-17
CO5300449A1 (es) 2003-07-31
PL349684A1 (en) 2002-03-25
MA25395A1 (fr) 2002-04-01
CN1221449C (zh) 2005-10-05
RU2264962C2 (ru) 2005-11-27
CZ20013329A3 (cs) 2002-08-14
NZ514093A (en) 2003-02-28
CA2357257C (en) 2009-12-29
AU7210801A (en) 2002-03-21
ATE261872T1 (de) 2004-04-15
JP4751547B2 (ja)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278B1 (ko) 식품 리필 및 그러한 리필을 포함하는 조립체
EP1123875B1 (en) Dual compartment package
US6478190B2 (en) Cartridge and cartridge assembly for fl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rtridge
EP2496498B1 (en) Robust pouch and valve assembly for a fluent substance
CN102007050A (zh) 复合容器及其制造方法
IT9022563A1 (it) Contenitore in laminato flessibile con inserto di apertura e richiusura.
US20100159083A1 (en) Container for cooking foodstuff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R2698852A1 (fr) Distributeur de liquide, et cartouche pour ce distributeur.
CN101163625B (zh) 带有外包装的包装袋
AU2006200413A1 (en) Package
DK3186169T3 (en) PACKING AND PROCEDURE FOR BEVERAGE DRINKING
EP0887026A1 (en) Packed in-pack filled product on stick
JP7025419B2 (ja) 噴口のリザーバー/保持構造部を有するパッケージ
KR102141539B1 (ko) 리필 용기
KR20070088133A (ko) 가열팩유니트
JP2017007696A (ja) 包装袋
JP3747543B2 (ja) 容器及び容器用口部材
PL203600B1 (pl) Wk lad zapasowy artyku lu spo zywczego i zespó l zawieraj acy urz adzenie do odmierzania, dozowania i/lub przygotowania artyku lów spo zywczych zawieraj ace przynajmniej jeden wk lad zapasowy artyku lu spo zywczego
JP2024517268A (ja) パッケージ、そのようなパッケージのための支持体、及びそのようなパッケージを備える供給システム
JP7456325B2 (ja) 包装袋
JP2017159955A (ja) 流体吐出具
JP2000226041A (ja) プラスチックチャック及びチャック付包装袋
JP2021102443A (ja) 包装袋
JP2019182491A (ja) 電子レンジ加熱用の包装袋及び包装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