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761B1 - 식물의 뿌리, 잎, 줄기,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의 뿌리, 잎, 줄기,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761B1
KR100830761B1 KR1020060101094A KR20060101094A KR100830761B1 KR 100830761 B1 KR100830761 B1 KR 100830761B1 KR 1020060101094 A KR1020060101094 A KR 1020060101094A KR 20060101094 A KR20060101094 A KR 20060101094A KR 100830761 B1 KR100830761 B1 KR 100830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ermented
plant
leaves
f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034A (ko
Inventor
구성학
Original Assignee
구성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성학 filed Critical 구성학
Priority to KR102006010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761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키는 것으로 기존의 발효에 효소를 첨가하거나 물이나 알콜을 이용하는 방법이 아닌 식용유지에 식물의 잎과 뿌리, 열매, 줄기 등을 침지하여 발효시켜 얻은 것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성분이 함유되거나 식용유지가 전환된 기능 식품 유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알콜이나 물과 효소, 또는 특정 용매를 사용하여 일부 성분을 추출한 후 혼합하거나, 식용유지에 식물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성분이 용출 되도록 하는 방법등이 있었으나 산패의 가속 또는 유효 성분의 함량을 높이는 어려움 등이 있어서 주로 연구를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었다.
본 발명은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식물의 성분과 식용유지가 전환된 것이다. 이렇게 얻은 유지는 기존의 추출물들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다른 제약의 원료들에 첨가가 용이하며 추출물의 변질 우려 등이 해소되는 등 여러 가지 유익한 점들이 있어 발명의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Figure 112007050344748-pat00004
식물 발효 오일, 부추 발효 오일, 당귀 뿌리 발효 오일, 뽕잎 발효 오일, 오미자 발효 오일, 하수오 발효 오일, 구기자 발효 오일, 토사자 발효 오일.

Description

식물의 뿌리, 잎, 줄기,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Fermented Composite oil is made from fermented root, leaf, trunk, fruit of a plant in vegetable oil}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 기능 식품 유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순서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을 건조한 후 식물성 식용유지에 침지하여 교반하며 발효시키므로 식물의 유효한 기능성분들이 발효되거나 혹은 식용유지와 혼합되거나 식용유지가 전환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식물의 잎과 줄기, 뿌리, 열매 등을 사용하여 풍미 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식물의 잎과 줄기, 뿌리, 열매 등을 식용유지에 투입하고 가열하거나, 특수 선을 조사하거나 열을 가열하여 식용유지에 주로 식물의 향미 성분이 선택적으로 함유되게 하였다. 이는 식물들의 향미를 유지에 함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제조하거나 일부는 건강 기능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하였다. 다른 방법으로는 식물의 성분을 물, 에탄올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성분을 추출하고, 일부 정유 성분을 추출하여 유지에 혼합시키는 방법으로 혼합 유를 얻고, 건조한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 등을 물을 첨가하여 중탕 가열로 식물의 성분이 추출되게 하여 건강식품을 얻었다. 즉 오미자, 구기자, 산수유, 토사자 열매 등을 물에 혼합한 후 가열하여 끓인 후 액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오미자와 구기자에 있는 성분이 가열할 때 물에 추출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 추출액을 경구를 통하여 섭취함으로 사람의 건강에 유익을 얻었으며 현재까지 폭넓게 애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식물성 식용유지에 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를 침지하여 발효시키고, 배지로 사용된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가 식용유지에서 발효되어 사람을 유익하게 하는 기능 식품 유지 조성물로 전환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과, 배, 매실, 오미자, 구기자, 산수유, 토사자, 대추, 고추 등 열매를 식용유지에 침지하여 발효시켜 사람을 유익하게 하는 기능 식품 유지 조성물로 전환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추, 깻잎, 쑥, 익모초, 뽕잎, 곰취, 취, 감초, 헛개나무 등 식물의 잎과 줄기를 식용유지에 침지하여 발효시켜 사람을 유익하게 하는 기능 식품 유지 조성물로 전환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귀, 하수오, 산삼, 인삼 등을 식물의 뿌리를 식용유지에 침지하여 발효시켜 사람을 유익하게 하는 기능 식품 유지 조성물로 전환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1종 이상 선택된 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를 식용유지에 발효 시켜 얻은 유지 조성물을 혼합하여 항 당뇨 기능이 있는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의 열매를 1종 이상 선택하여 건조하고 스팀에 증숙한 후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식물의 열매가 발효된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식물의 성분
a, 뽕잎,
집안의 뽕잎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니 각기와 수종을 없애주고 대. 소장을 이롭게 하며 하기하고 통풍을 없앤다. 잎이 아(톱니 같은 것)가 있는 것은 계상이라고 하는데 제일 좋고 여름과 가을 사이 두 번째 나는 것이 좋으니 서리 내린 뒤에 채취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
b. 부추 잎,
구체라고 하고,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맵고 시며 독이 없고 심에 들어가면 오장을 편하게 하고 위열을 없애고 허핍(虛乏)을 보하며 요술을 따듯하게 하고 흉비(胸脾)를 없애준다. 위(胃)속의 나쁜 피와 체기(滯氣)를 없애고 또 간기(肝氣)를 보해 준다. (동의보감(東醫寶鑑))
c. 오미자,
성분이 따듯하고 맛이 시며 독이 없고 허로(虛勞)와 이수를 보해주고 눈을 밝게하며 수장을 따뜻하게 하고 음을 강하게 하며 남자의 정을 더해주고 음 속의 살을 나게하며 지소갈(止消渴)하고 제번열(除煩熱)하며 주독을 풀어주고 기침과 상기를 치료한다. 깊은 산속에서 나니 줄기가 붉고 덩굴이 나고 잎이 은행잎과 같으며 꽃이 황백색이고 시가 완두콩 같이 크고 경두(莖頭)가 총생(叢生)하며 생으로는 푸르고 익으면 홍자색이며 맛이 단 것이 좋으니 8월에 열매를 채취해서 햇빛에 말린다. 껍질과 살은 달고 시며 씨 속은 맵고 쓰고 모두 합하면 5가지 맛이 있으니 이것은 오미가 갖추어진 것이기 때문에 오미자(五味子)라고 하는데 약에 넣는 것은 생으로 푹 말려서 씨를 버리지 않는다. (동의보감(東醫寶鑑))
d. 구기자,
성분이 차고 맛이 쓰며 독이 없고 내상의 대로와 허흡을 낫게하고 견근골하며 강음하고 오로와 칠상을 치료하며 정기를 보기하고 얼굴색을 희게하며 눈을 밝게하고 안신하며 장수한다.
일면 지선이며 선인장이라 하여 여러 곳에 있고 봄과 여름에 잎을 채취하여 가을에 줄기와 열매를 따서 오래 먹으면 모두 몸이 가벼워지고 기를 이롭게 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
e. 산수유,
잎이 유엽과 같고 꽃이 희며 씨가 처음 익은 뒤에 마르기 전에는 붉고 크기가 구기자와 같으면서 속 씨가 있으니 먹을 수 있고 마르면 껍질이 엷으니 매 1근에 씨를 버리고 양 껍질 4냥을 가지고 쓰면 적당한 것이다. 살은 원기를 굳세게 하고 정을 비고하게 하며 씨는 정을 활하게 하기 때문에 버리는 것이다 9~10월에 열매를 따스 그늘에 말린다. (동의보감(東醫寶鑑))
f. 토사자,
성분이 고르고 맛이 맵고 달며 독이 없고 음경 속에서 한정자출과 소변이 여력이 있고 입안이 쓰며 목이 마르는 것을 치료하고 첨정익수 하며 허리가 아프고 무릎이 찬것을 없애준다. 여러 곳에서 나고 특히 콩 밭에서 많이 나는데 뿌리가 없고 기를 빌려서 가는 덩굴이 나고 빛이 누르며 6~7월에 결실하는데 아주 작아서 우에 알과 같으니 9월에 채취해서 푹 말리고 술을 얻으면 좋아진다. 선방과 속방에서 모두 보약으로 쓴다. 속을 온화하게 해주고 정양의 기를 받아서 엉겨 뭉쳐서 위기와 근맥을 편보 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
g. 참 당귀,
당귀(승검초)는 성분이 따뜻하고 맛이 달고 매우며 독이 없고 일체의 풍, 혈, 노를 낫게 하고 악혈을 깨뜨리며 신혈을 기르고 장벽과 부인의 붕루 및 절자와 모든 악창과 온학등 질을 치료하고 오장을 보하며 기육을 낳게 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
h. 하수오,
줄기가 붉고 꽃이 노랗고 희며 잎이 서예과 같으나 광택이 나지 않고 날 때부터 상대하여 크고 뿌리가 주먹만하고 적과 백의 2가지가 있으니 적은 웅이고 백은 자인데 뿌리의 형상이 오수나 산악과 같은 것이 좋다. (동의보감(東醫寶鑑))
상기의 식물은 사람의 건강을 위해서 한의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한약재들이다. 이 약재들의 가공 방법은 대부분 탕재와 분말로 사용하고 있다. 탕재란 일정량의 약재를 항아리에 물과 함께 넣고 가열하여 끓이는 방법이고, 분말은 약재를 분쇄하여 분말로 한 것이며, 분말을 환으로 제형화 해서 섭취하기도 한다. 고래(古來)로부터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를 식용유지에 침지하여 발효시켜 사람에게 우익하게 하는 건강식품이나 유지 조성물로 사용하는 방법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식물들 외에 모든 식물들을 잎이나 줄기, 뿌리, 열매를 선택적으로 식용유지에 침지하여 일정시간 발효시켜 식물의 성분들이 식용유지에서 발효되고, 식용유지가 침투된 배지를 분쇄하여, 분쇄된 배지를 CO₂추출기를 이용하여 오일을 추출하여 얻은 발효 유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구성들은 개개의 식물의 발효 유지 조성물이나, 발효유지 조성물을 1종 이상 선택하여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진 기능 식품 유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가).
a. 식물의 잎과 줄기, 열매, 뿌리를 수분 함량이 20%~25% 이내인 600g을 교반기에 투입하는 단계,
b. 대두유 1.8ℓ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35℃에서 30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c. 발효된 오일과 배지를 분리하는 단계,
d. 분리된 배지를 분쇄하는 단계,
e. 분쇄된 배지에서 오일을 여과하여 분리하는 단계,
f. 분쇄된 배지를 C02 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 절하여 배지에 침투된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g. c에서 분리한 오일과 f의 추출한 오일을 혼합 후 교반하는 단계로 얻어진 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발효 조건 및 CO ₂추출기 내의 추출 조건
가, 식용유지 상태에서 식물의 발효 조건 1.
식물의 잎이나 줄기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잎이나 줄기가 함유하고 있는 성분이 식용유지와 혼합되게 하거나 발효 과정에서 식용유지가 전환되게 하는 것이다. 식용유지에서 발효의 가능한 조건은 식물의 잎이나 줄기가 습도 20%~25% 이내가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식물의 잎과 줄기, 뿌리, 열매 등을 식용유지에 침지하여 발효되도록 하여 식용유지에서 배지가 발효되고 발효 과정에 의하여 식용유지의 성분이 전환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발효의 조건이 요구된다.
1) 식물(잎, 줄기, 뿌리, 열매)의 습도 20%~25% 이내,
2) 온도 35℃,
3) 수소 이온 농도 PH 5,
4) 시간 720 시간으로 하였다.
나, 식용유지 상태에서 식물의 발효 조건 2,
1) 식물(잎, 줄기, 뿌리, 열매) 스팀에 증숙,
2) 습도 20%~25%로 증숙한 식물을 건조시킴,
3) 온도 35℃,
4) 수소 이온 농도 PH 5,
5) 발효시간 720 시간으로 하였다.
다, 초임계 추출 공정에 요구되는 조건은
1) 추출기 내의 압력 : 30~40Mpa,
2) 추출기 내의 온도 : 35℃,
3) 분리기 내의 압력 : 5.5~6.5 Mpa,
4) 추출 진행 시간 : 8~10.5 로 하였다.
구성 (나).
a. 식물의 잎과 줄기, 열매, 뿌리를 채집하는 단계,
b, 스팀기에 넣고 증숙하는 단계,
c, 수분 함량이 20%~25% 이내로 건조시키는 단계,
d, 대두유 1.8ℓ와 함께 교반기에 투입하여 35℃에서 30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e, 발효된 오일과 배지를 분리하는 단계.
f. 분리된 배지를 분쇄하는 단계.
g. 분쇄된 배지에서 오일을 여과하여 분리하는 단계.
h. 분쇄된 배지를 C02 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배지에 침투된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i. c에서 분리한 오일과 f의 추출한 오일을 혼합 후 교반하는 단계로 얻어진 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3. 실시 (가),
a.뽕 나무에서 채집한 뽕잎을 수분함량 20%~25% 이내로 건조된 600g, 대두유 8ℓ, 리파아제효소 0.05ℓ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35℃에서 30일간 발효시킨다. 발효 후 배지로 사용한 뽕잎과 오일을 분리하고 뽕잎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하여 반죽한다. 반죽을 여과하여 오일과 배지를 분리하고 뽕잎 배지를 C02 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오일을 추출한다. 추출기에서 추출한 오일과 발효 후 분리한 오일을 혼합하여 뽕잎 발효 오일 8ℓ를 얻는다.
b. 부추 잎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수분 함량 20%~25% 이내로 건조된 600g, 대두유 5ℓ, 리파아제 효소 0.05ℓ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35℃에서 30일간 발효시킨다. 교반 후 대두유과 부추를 분리하고 부추를 분쇄하여 반죽한다. 반죽에서 배지를 침강시켜 오일과 분리시키고 부추 배지를 C02 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부추 발효 오일를 추출한다. 교반 후 분리한 오일과 추출기에서 추출한 오일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2일간 혼합시켜 교반하고 부추 발효 오일 5ℓ를 얻는다.
c. 오미자 나무에서 수확한 오미자 열매를 수분함량 20%~25%로 건조된 열매 600g, 대두유 1.8ℓ, 리파아제 0.02ℓ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35℃에서 30일간 교반하여 발효시킨다. 발효 후 오미자와 오일을 분리하고 오미자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한 다음 원심분리기로 오일을 별도로 추출하고 남은 배지를 C02 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오미자 오일을 추출한다. 발효 후 분리하여 얻은 오일과 C02 추출기로 추출한 오미자 오일을 혼합 후 3일간 교반시켜 오미자 발효 오일 1.8ℓ를 얻는다.
d. 구기자 나무에서 수확한 구기자 열매를 수분함량 20%~25% 이내로 건조된 열매 600g, 대두유 1.8ℓ, 리파아제 0.02ℓ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35℃에서 30일간 교반하여 발효시킨다. 발효 후 구기자와 오일을 분리하고 구기자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한 다음 오일을 별도로 추출하고, 구기자 배지를 C02 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구기자 오일 추출한다. 발효 후 분리하여 얻은 오일과 C02 추출기로 추출한 구기자 오일을 혼합 후 3일간 혼합, 교반하여 구기자 발효 오일 1.8ℓ를 얻는다.
e, 산수유 나무에서 채취한 산수유 열매를 수분함량 20%~25% 이내로 건조된 열매 600g, 대두유 1.8ℓ, 리파아제 0.02ℓ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35℃에서 30일간 교반하여 발효시킨다. 발효 후 산수유 열매와 오일을 분리하고 산수유 열매를 씨앗과 함께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한 다음 여과기에 투입하여 오일을 별도로 추출하고 분쇄된 배지를 C02 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산수유 오일을 추출한다. 발효 후 분리하여 얻은 오일과 C02 추출기로 추출한 산수유 오일을 혼합 후 3일간 교반하여 산수유 발효 오일 1.8ℓ를 얻는다.
f, 토사자(새삼 씨)를 수분함량 20%~25% 이내로 건조된 600g, 대두유 1.8ℓ, 리파아제 0.02ℓ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35℃에서 30일간 교반하여 발효시킨다. 발효 후 토사자(새삼 씨)와 오일을 분리하고 토사자(새삼 씨)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한 다음 여과기에 투입하여 오일을 별도로 추출하고 분쇄된 배지를 C02 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토사자(새삼 씨) 오일을 추출한다. 발효 후 분리하여 얻은 오일과 C02 추출기로 추출한 토사자(새삼 씨) 오일을 혼합 후 3일간 교반시켜 토사자(새삼 씨) 발효 오일 1.8ℓ를 얻는다.
g, 산삼 잎과 줄기 및 뿌리, 열매를 수분 함량 20%~25% 이내로 건조한 산삼 30g, 대두유 1ℓ, 리파아제 0.02ℓ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35℃에서 30일간 발효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여과기에 투입하여 오일을 별도로 추출하고 분쇄된 산삼 배지를 C02 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산삼 오일 추출한다. 여과 후 분리하여 얻은 오일과 C02 추출기로 추출한 산삼 오일을 혼합 후 3일간 교반시켜 산삼 발효 오일 1ℓ를 얻는다.
h, 홍삼 600g, 대두유 1.8ℓ, 리파아제 0.02ℓ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35℃에서 30일간 교반하여 발효시킨 다음 홍삼과 오일을 분리하고 홍삼을 분쇄하여 반죽한다. 분리한 오일을 반죽에 다시 혼합하여 교반 시키며 15일간 제차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오일을 분리하고, 홍삼 반죽을 C02 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반죽에 함유된 오일을 추출하고, 추출기 내의 가압상태를 해제하고 분리된 홍삼분말을 수거한다. 상기 여과 후 분리한 오일과 추출기에서 추출한 오일 혼합 후 3일간 교반시켜 홍삼 발효 오일 1.8ℓ를 얻는다.
i, 참 당귀 뿌리 600g을 대두유 1.8ℓ와 리파아제 0.02ℓ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35℃에서 30일간 교반하여 발효시키고 대두유이 참 당귀 뿌리에 침투되게 한다. 발효 후 참 당귀 뿌리와 오일을 분리하고 참 당귀 뿌리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한 다음, 분리한 오일을 분쇄한 참 당귀 뿌리에 다시 혼합하여 교반 시키며 15일간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오일을 분리하고, 배지로 사용된 참 당귀 뿌리 분쇄 물을 C02 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오일을 추출한다. 발효 후 분리한 오일과 여과하여 분리한 오일,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한 오일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2일간 교반하여 혼합시켜 참 당귀 뿌리 발효 오일 1.8ℓ를 얻는다.
j, 하수오 뿌리 600g을 대두유 1.8ℓ와 리파아제 0.02ℓ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35℃에서 30일간 교반하여 발효시키고 오일이 하수오 뿌리에 침투되게 한다. 발효 후 하수오 뿌리와 오일을 분리하고 하수오 뿌리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하고 분리한 오일을 분쇄한 하수오 뿌리에 다시 혼합하여 교반 시키며 15일간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오일을 분리하고, 배지로 사용된 하수오 뿌리 분쇄 물을 C02 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오일을 추출한다. 이미 여과하여 분리한 오일과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한 오일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2일간 교반하며 혼합한 하수오 뿌리 발효 오일 1.8ℓ를 얻는다.
상기의 1종 이상 선택된 식물의 발효 오일 조성물을 혼합, 교반하여 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 열매 성분 함유 발효 유지 조성물을 얻었다.
예 1,
뽕잎 발효 오일 0.1ℓ, 부추 잎 발효 오일 0.1ℓ, 오미자 열매 발효 오일 0.15ℓ, 구기자 열매 발효 오일 0.15ℓ, 산수유 열매 발효 오일 0.15ℓ, 토사자(새삼씨) 열매 발효 오일 0.15ℓ, 산삼 발효 오일 0.05ℓ, 홍삼 발효 오일 50.05ℓ, 참 당귀 뿌리 발효 오일 0.05ℓ, 하수오 뿌리 발효 오일 0.15ℓ, 마늘 발효 오일 0.05ℓ를 혼합하여 교반기에 3일간 교반하고 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 기능 식품 유지 조성물 1.7ℓ를 얻었다.
예 2.
뽕잎 발효 오일 0.1ℓ, 부추 잎 발효 오일 0.1ℓ, 오미자 열매 발효 오일 0.15ℓ, 구기자 열매 발효 오일 0.15ℓ, 산삼 발효 오일 0.05ℓ, 홍삼 발효 오일 50.05ℓ, 참 당귀 발효 오일 0.05ℓ, 하수오 발효 오일 0.15ℓ, 마늘 발효 오일 0.05ℓ를 혼합하여 교반기에 3일간 교반하여 얻은 항 당뇨 기능이 있는 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 기능 식품 유지 조성물 1.35ℓ를 얻었다.
실시 (나).
a, 구기자 600g을 스팀기에 넣고 온도 100℃에 20분간 증숙한 후 열풍으로 습도 25% 건조된 것, 대두유 1.8ℓ, 리파아제 효소 0.05ℓ 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35℃에 30일간 교반하여 발효시키고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여과하여 오일을 분리하고 배지를 C02 추출기에 투입하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여 압력을 조절하여 오일을 추출한다. 추출된 오일을 이미 분리한 오일과 혼합하여 구기자 발효 오일 1.65ℓ를 얻는다.
b, 건조한 뽕잎 600g을 스팀기에 넣고 온도 100℃에 10분간 증숙한 후 열풍으로 습도 25% 건조된 것, 대두유 1.8ℓ에 리파아제 효소 0.05ℓ를 첨가하고 35℃에서 30일간 교반하여 발효시키고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하고 뽕잎 배지를 오일과 분리한 다음 배지를 C02 추출기에 투입하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여 압력을 조절하여 오일을 추출한다. 추출한 오일을 이미 분리한 오일과 혼합하여 뽕잎 발효 오일 1.8ℓ를 얻는다.
c. 건조한 당귀 뿌리 600g, 하수오 뿌리 600g, 대두유 3ℓ, 리파아제 효소 500ml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35℃에 30일 동안 교반하여 대두유이 당귀 뿌리와 하수오 뿌리에 침투되도록 하고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하여 반죽을 만들고 침강 여과 방법으로 배지를 침강시키고 배지를 오일과 분리하여 C02 추출기에 투입하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여 압력을 조절하여 오일을 추출한다. 추출한 오일을 이미 여과하여 분리한 오일과 혼합하여 얻은 뿌리 혼합 발효 오일 2.6ℓ를 얻는다.
d. 부추 잎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수분 함량 20%~25% 이내로 건조된 600g, 대두유 3ℓ, 리파아제 효소 0.05ℓ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35℃에서 30일간 발효시킨다. 교반 후 대두유과 부추를 분리하고 부추를 분쇄하여 반죽한다. 반죽에서 배지를 침강시켜 오일과 분리시키고 부추 배지를 C02 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부추발효 오일을 추출한다. 이미 분리한 오일과 추출기에서 추출한 오일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2일간 혼합시켜 부추 발효 오일 2.7ℓ를 얻는다.
e. 산삼 잎, 줄기, 뿌리, 열매를 수분 함량 20%~25% 이내로 건조한 30g, 대두유 0.5ℓ, 리파아제 0.01ml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35℃에서 30일간 교반하여 발효시킨 후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여과기에 투입하여 오일을 별도로 추출하고 분쇄된 산삼 배지를 C02 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산삼 성분이 함유된 유지를 추출한다. 교반 후 분리하여 얻은 오일과 C02 추출기로 추출한 산삼 오일을 혼합 후 3일간 교반시켜 산삼 발효 오일 0.5ℓ를 얻는다.
상기 중, a(구기자 발효 오일 0.3ℓ), b(뽕잎 발효 오일 0.1ℓ), c(당귀 뿌리 발효 오일 0.1ℓ, 하수오 뿌리 발효 오일 0.2ℓ), d(부추 잎 발효 오일 0.15ℓ), e(산삼발효 오일 0.05ℓ), 마늘 발효오일 0.2ℓ, 홍삼 발효 오일 1ℓ를 혼합하여 얻은 항 당뇨 기능이 있는 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 유지 조성물 2.1ℓ을 얻는다.
실시 (다).
a, 구기자 600g, 산수유 600g, 오미자 600g을 스팀기에 넣고 온도 100℃에 20분간 증숙한 후 열풍으로 건조하여 습도 25%가 된 것, 대두유 4ℓ, 리파아제 효소 0.05ℓ 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35℃에 30일간 교반하여 발효시키고 분쇄기로 분쇄한 다음 여과하여 오일을 분리하고 배지를 C02 추출기에 투입하고 C02를 C02 추출기에 공급하여 압력을 조절하여 오일을 추출한다. 추출된 오일을 이미 분리한 오일과 혼합하여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혼합 발효 오일 4ℓ를 얻는다.
b. 상기 혼합 발효 오일 중 1.8ℓ와 홍삼 발효 오일 2ℓ를 혼합 후 3일간 교반시켜 얻은 식물의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4ℓ를 얻었다.
본 발명은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를 식용유지에 침지하여 발효시켜 식용유지에 식물의 성분이 혼합되거나 식물의 성분으로 인해 식용유지를 유용하게 전환시켜 기능성 식품을 만드는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식물의 여러 종들을 효과적으로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유용한 건강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이 점으로 사람의 건강에 유익한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주 식물들이 한약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한약재의 처방과 제제의 어려움을 캡슐화로 편리한 방법이 될 수 있는 잇 점이 있다.
특히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유지를 얻음으로 다양한 용도로 제품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온 것뿐만 아니라 사람의 건강에 유익한 결과들을 얻을 수 있다. 주로 피로 회복, 숙취, 감기 예방에 효과적이었다.

Claims (14)

  1. 식물(뿌리, 줄기, 잎, 열매)을 채집하여 수분함량 20%~25% 이내로 건조한 식물(뿌리, 줄기,잎, 열매) 600g과, 식물성 식용유지 1.8ℓ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35℃에 30일 동안 교반하며 발효시키고, 상기 교반 후 발효된 상태에서 오일[A]과 배지를 분리한 후, 배지를 분쇄하여 반죽하고 반죽을 C02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배지에서 오일[B]을 추출한 후, 상기 오일[A]와 오일[B]를 혼합하여 얻은 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를 식용유지에 발효시키고 식물의 성분이 함유된 유지를 분리하여 얻은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건조한 식물의 잎은 뽕잎, 부추, 쑥 중의 1종을 선택하여 식용유지에 발효시키고 선택된 잎의 성분이 함유된 유지를 분리하여 얻은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건조한 식물의 줄기는 감초, 헛개나무 중의 1종을 선택하여 식용유지에 발효시키고 줄기의 성분이 함유된 유지를 분리하여 얻은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건조한 식물의 열매는 사과, 매실, 배, 감, 오미자, 구기자, 산수유, 토사자(새삼 씨), 고추 중에서 열매 1종을 선택하여 식용유지에 발효시키고 열매의 성분이 함유된 유지를 분리하여 얻은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건조한 식물의 뿌리는 산삼, 하수오, 당귀 식물의 뿌리 1종을 선택하여 식용유지에 발효시키고 뿌리의 성분이 함유된 유지를 분리하여 얻은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식물의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식용유지에 침지하여 발효시켜 얻은 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를 식용유지에 발효시키고 식물의 성분이 함유된 유지를 분리하여 얻은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산삼의 뿌리, 줄기, 잎, 열매를 혼합하여 식용유지에 발효시키고 산삼 성분이 함유된 유지를 분리하여 얻은 산삼 발효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8.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산삼은 인삼으로 대체하여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키고 선택된 1종의 성분이 함유된 유지를 분리하여 얻은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식용유지는 대두 유로 대체하는 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를 식용유지에 발효시키고 식물의 성분이 함유된 유지를 분리하여 얻은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조성물을 캡슐제로 제형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잎, 줄기, 열매, 뿌리를 식용유지에 발효시키고 식물의 성분이 함유된 유지를 분리하여 얻은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11. 건조한 식물(잎, 열매)을 건조한 후 스팀기에 넣고 온도 100℃에 20분간 증숙한 후 열풍으로 습도 25%로 건조된 식물(잎, 열매) 600g과, 식물성 식용유지 1.8ℓ, 리파아제 효소 0.05ℓ를 교반기에 투입하고 35℃에 30일 동안 교반하며 발효시키고, 상기 교반 후 발효된 상태에서 오일[a]와 배지를 분리하여 배지를 반죽하고 반죽을 C02추출기에 넣고 C02를 C02추출기에 공급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배지에서 오일[b]를 추출한 후, 상기 오일[a]와 오일[b]을 혼합하여 얻은 식물의 잎,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키고 식물의 성분이 함유된 유지를 분리하여 얻은 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60101094A 2006-10-18 2006-10-18 식물의 뿌리, 잎, 줄기,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KR100830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094A KR100830761B1 (ko) 2006-10-18 2006-10-18 식물의 뿌리, 잎, 줄기,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094A KR100830761B1 (ko) 2006-10-18 2006-10-18 식물의 뿌리, 잎, 줄기,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034A KR20080035034A (ko) 2008-04-23
KR100830761B1 true KR100830761B1 (ko) 2008-05-20

Family

ID=3957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094A KR100830761B1 (ko) 2006-10-18 2006-10-18 식물의 뿌리, 잎, 줄기,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7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89B1 (ko) 2011-11-24 2013-06-19 김영욱 발효 오일 및 그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CN103651962A (zh) * 2013-11-22 2014-03-26 安徽大平油脂有限公司 一种调经益气保健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628B1 (ko) * 2008-07-18 2009-02-04 주식회사 바이럼 시안화배당체가 제거된 아마씨유의 제조방법
KR101156857B1 (ko) * 2010-04-05 2012-06-20 백관석 참나무 성분을 함침시킨 유지 조성물
KR102020300B1 (ko) * 2019-06-14 2019-09-10 박진옥 우지를 이용한 버터 대용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00842B1 (ko) * 2022-01-28 2023-02-16 (주)내츄럴푸드 생강 발효물과 발효 씨앗을 이용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KR102500843B1 (ko) * 2022-01-28 2023-02-16 (주)내츄럴푸드 생강 발효물과 발효 씨앗을 이용한 산소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및 산소 식용유지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008A (ko) * 2003-07-03 2005-01-12 구성학 인삼식용유지제조방법
KR100604766B1 (ko) * 2004-01-31 2006-07-26 구성학 인삼을 숙성시켜 인삼 식용유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008A (ko) * 2003-07-03 2005-01-12 구성학 인삼식용유지제조방법
KR100604766B1 (ko) * 2004-01-31 2006-07-26 구성학 인삼을 숙성시켜 인삼 식용유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789B1 (ko) 2011-11-24 2013-06-19 김영욱 발효 오일 및 그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CN103651962A (zh) * 2013-11-22 2014-03-26 安徽大平油脂有限公司 一种调经益气保健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034A (ko)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761B1 (ko) 식물의 뿌리, 잎, 줄기, 열매를 식용유지에 발효시켜 얻은기능식품 유지 조성물.
KR102332053B1 (ko) 기능성 소금 제조 방법
KR101280455B1 (ko) 약초 고추장의 제조방법
CN104026399A (zh) 一种促生长鳜鱼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060309B1 (ko) 대추 경옥고
KR101190329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CN102604750A (zh) 一种林下草本基植物生物质洗涤剂的制备方法
CN105713762A (zh) 一种不加二氧化硫酿造梨酒保健酒的方法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653080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CN104026400B (zh) 一种提高抗病性的鳜鱼饲料及其制备方法
CN110184157A (zh) 以桑葚发酵酒为酒基加入鹿血、黄精的露酒及其制备方法
KR101380655B1 (ko) 탐라오가피를 이용한 인스턴트커피 및 그 제조방법
CN105831523A (zh) 一种金银花味冬瓜马齿苋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CN103519182B (zh) 一种防治口腔溃疡的醋饮料的生产方法
CN105368647A (zh) 一种保健型黄酒的制作方法
CN105660884A (zh) 一种富硒黄秋葵山茶油
KR100465898B1 (ko) 합환목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100742353B1 (ko) 마즙을 함유한 장류의 제조방법
CN104171786A (zh) 一种行气通便蜜
KR101397189B1 (ko) 두충 및 오가피를 이용한 추출음료와 이의 제조방법
CN104026357A (zh) 一种易消化高蛋白猪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602548A (zh) 一种何首乌红景天山药桑葚枸杞复合发酵中草药保健酒
KR20090014320A (ko) 오미자, 구기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성분이 함유된유지 조성물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