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664B1 -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664B1
KR100830664B1 KR1020060097993A KR20060097993A KR100830664B1 KR 100830664 B1 KR100830664 B1 KR 100830664B1 KR 1020060097993 A KR1020060097993 A KR 1020060097993A KR 20060097993 A KR20060097993 A KR 20060097993A KR 100830664 B1 KR100830664 B1 KR 100830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gravity
frame
vehicle
elast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3281A (ko
Inventor
유제우
Original Assignee
유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제우 filed Critical 유제우
Priority to KR1020060097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664B1/ko
Priority to PCT/KR2007/001807 priority patent/WO2007119978A1/en
Publication of KR20070103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a motion involving steering operation, e.g. cornering,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2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9Gears
    • B60G2204/4192Gears rack and pin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12Cycles; Motorcycles
    • B60G2300/122Tr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45Rolling frame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무게중심 이동장치는 일측이 차체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되, 일부 또는 전부가 차체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소정 형상의 유동성 프레임; 및 프레임의 좌우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차체의 무게중심을 요구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로서, 볼스크류와 볼너트로 구성된 볼스크류 장치 및 각각의 일측은 볼너트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측은 차체의 운행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좌우 대칭인 프레임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게중심 이동장치는 3륜 또는 그 이상의 차에서 무게중심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정밀하게 이동 및 복귀시킬 수 있으며, 차의 정지시에도 좌우 흔들림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무게중심 이동장치, 무게중심 이동 차량

Description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APPARATUS FOR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A VEHICLE HAVING THREE WHEELS OR MO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게중심 이동장치의 정면도로서, 도 2는 직선 주행시의 무게중심 이동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곡선 주행시의 무게중심 이동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무게중심 이동장치에서의 무게중심이동 제어부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무게중심 이동장치에서의 무게중심이동 제어부의 부분 요부 단면도;
도 6은 직선 주행시 프레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곡선 주행시 프레임의 이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의 요부 사시도; 및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차종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은 역삼륜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정삼륜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마름모 형태의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게중심 이동장치 10 : 유동성 프레임
20 : 와이어 (좌측과 우측에 도시된 와이어를 각각 20a, 20b)
30 : 휨방지 바퀴 또는 레일 50, 52, 54 : 탄성 지지부재
60 : 볼스크류 장치 62 : 볼스크류
64 : 볼너트 M : 전동 모터
S : 스위치 E.C.U. :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본 발명은 3륜 또는 그 이상의 차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의 주행시, 특히 곡선 주행시에 이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하여야 하는 3륜 또는 그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3륜 자동차는 운전자를 기준으로 하여 운전자의 앞쪽에 2개의 바퀴가 장착되 어 있고 뒤쪽에 1개의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차(통상, 역삼륜 자동차라 불리움) 또는 운전자의 뒤쪽에 2개의 바퀴가 장착되어 있고 앞쪽에 1개의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차(통상, 정삼륜 자동차라 불리움)를 일컫는다.
이러한 3륜 자동차에서의 직선 주행 및 곡선 주행시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2개의 바퀴가 나란하게 장착되는 자동차 부분에서의 차폭이 통상적인 4륜 자동차의 차폭 보다 크게 하거나 오토바이처럼 원심력에 반대되는 구심력 방향으로 일부 또는 전체의 무게중심이 순간적으로 이동되게 하여야 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차폭의 증대로 인해 오히려 대형화를 초래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순간적인 무게중심 이동시 이의 안정성 및 안전성 확보가 문제된다. 그러한 연유로, 전자는 배제되고 후자의 문제가 해결되게 하는 방향으로 3륜 자동차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최근, 보다 구체적으로는 1997년 프랑크 푸르트 모터쇼에서는 독일의 벤츠사가 'F300 Life-jet' 라는 이름의 신개념 역삼륜 자동차를 발표하여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역삼륜 자동차는 이의 무게중심 이동시 차체와 모든 바퀴가 운전자의 조작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계되어 있어 필요 이상의 동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차체의 무게중심 이동 자체에 요구되는 동력 또한 필요 이상으로 소요된다. 또한, 이러한 역삼륜 자동차는 무게중심 이동 후의 정위치로의 복귀 및 정지했을 때와 탑승했을 때의 흔들림이 여전히 문제된다.
더욱 최근, 일본의 도쿄 모터쇼에서도 일본의 '피아로'(Phiaro)라는 회사에서 '피아로 삼륜'("P67b ETERNITY")이라는 이름으로 정삼륜 자동차를 발표하여 또 다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정삼륜 자동차는 무게중심이동 원호의 중심점이 지면으로부터 위쪽에 자리잡고 있어 무게중심을 이동할 때 바퀴가 옆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한바퀴 쪽의 타이어가 심하게 마모될 것이다. 차의 곡선 주행시에는 더욱 더 그러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자동차는 차체에서 가장 큰 중량을 차지하는 뒷바퀴 쪽에 장착된 엔진의 무게중심이 이동되지 않게 설계되어 있어 곡선 주행시에는 상기한 역삼륜 자동차 보다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무게중심의 이동이 요구되는 3륜 또는 그 이상의 차에서 이의 운행시 요구에 따라 무게중심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정밀하게 이동 및 복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의 정지시에도 좌우 흔들림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로서,
(a) 일측이 차체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되, 일부 또는 전부가 차체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소정 형상, 예를 들어, 역사다리꼴, 정사다리꼴, 정사각꼴, 직사각꼴, 정삼각꼴 또는 역삼각꼴 형상의 유동성 프 레임; 및
(b) 상기 프레임의 좌우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차체의 무게중심을 요구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로서, (i) 볼스크류와 볼너트로 구성된 볼스크류 장치, (ii) 각각의 일측은 상기 볼너트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측은 차체의 운행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좌우 대칭인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좌우 측면과 차체의 하부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 지지부재가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재로는, 인장력이 동일한 일반적인 압축 스프링 형태의 탄성 지지부재, 와이어와 압축 스프링의 조합 형태로서 와이어의 길이가 다른 형태의 탄성 지지부재, 또는 피스톤과 압축 스프링의 조합 형태로서 피스톤의 크기 또는 길이가 다른 형태의 탄성 지지부재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재는 차의 곡선 주행시 무게중심이 이동되어 한쪽으로 편향된 프레임이 최소한의 동력으로 그 위치에 그대로 머무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이러한 탄성 지지부재는 차의 곡선 주행으로부터 직선 주행으로의 전환시 한쪽으로 편향된 프레임이 최소한의 동력으로 용이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볼스크류 장치에서, 상기 볼스크류에 대한 상기 볼너트의 셔틀 운동은 전동 모터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전동 모터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장치는 전원 스위치에 의해 전원 이 공급된다.
상기 전원 스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좌우 각각 또는 함께 차량의 핸들, 또는 운전자의 손이나 발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전원 스위치는 차의 핸들의 회전 각도와 차량의 무게, 운전자의 체중 또는 이들의 조합 무게에 따른 원심력의 조합에 따라서 E.C.U. (Electronic Control Unit) 장치를 통해 자동제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볼너트의 상부에는 휨방지 바퀴 또는 레일이 배치되고, 상기 휨방지 바퀴 또는 레일은 상기 볼너트 하부의 차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중의 하나로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 및 이에 대한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명세서를 숙지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이하, "무게중심 이동장치")의 요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에서의 무게중심이동 제어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1)는 소정 형상의 유동성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좌우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차체의 무게중심을 요구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유동성 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차체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일부가 차체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동성 프레임(10)이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정사다리꼴, 정사각꼴, 직사각꼴, 정삼각꼴 및 역삼각꼴 형상을 포함한 다른 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특히, 역사다리꼴 형상의 프레임(10)은 보다 적은 힘으로도 프레임(10)의 좌우 동작이 가능하여, 차의 제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스크류 장치(60)와 볼스크류 장치(60)에 의해 직접적으로 구동되는 각각의 와이어(20a)(20b)를 포함한다. 볼스크류 장치(60)에 의한 와이어(20a)(20b)의 1차적인 동작에 의해 상기한 유동성 프레임(10)이 요구방향으로 중심이동하게 된다. 볼스크류 장치(60)는 볼스크류(62)와 볼너트(64)로 구성되며, 볼스크류(62)는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볼너트(64)는 볼스크류(62)에 대하여 선형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와이어(20a)(20b)의 각각의 일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너트(64)에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타측은 차체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좌우 대칭은 프레임(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볼스크류 장치(60)는 볼너트(64)측의 내부와 볼스크류(62) 사이에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어 볼너트(64)의 정밀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볼 스크류 장치(60)는 차가 정지되어 있을 때 뿐만 아니라 운행중일 때에도 차의 좌우 흔들림이 억제되게 한다.
무게중심이동 제어부에서의 볼스크류(62)의 이와 같은 회전 동작은 전동 모터(M)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러한 전동 모터(M)는 전원 스위치(S)에 의한 전원 인가에 의해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 모터(M)에 의해 볼스크류 장치(60)가 작동되지만, 본 명세서를 숙지한 당업자라면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장치에 의해서도 볼스크류 장치(60)가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원 스위치(S)는 좌우 각각 또는 함께 차량의 핸들, 또는 운전자의 손이나 발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스위치(S)는 차의 핸들의 회전 각도와 차량의 무게, 운전자의 체중 또는 이들의 조합 무게에 따른 원심력의 조합에 따라서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 자동제어된다.
볼너트(64)의 상부에는 볼스크류 장치(60)가 휘지 않도록 휨방지 바퀴 또는 레일이 배치되고, 이러한 휨방지 바퀴 또는 레일은 볼너트(64) 하부의 차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1)의 무게중심이동 제어부에는 상기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탄성 지지부재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지지부재로서 압축 스프링(50)이 사용된다. 이들 스프링(50)은 프레임(10)의 좌측면과 프레임(10)의 좌측에 속한 차체의 하부 사이에 그리고 프레임(10)의 우측면과 프레임(10)의 우측에 속한 차체의 하부 사이에 결합된다.
이러한 스프링(50)은 프레임(10)이 특정 방향으로 그 무게중심을 이동하여도 이의 반대편을 지지하여 요망하는 정도로 무게중심이 이동되게 하며, 또한 무게중심 이동에 대한 요구가 없을 때에는 차체가 원상태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스프링(50)은 프레임(10)의 좌측면과 프레임(10)의 좌측에 속한 차체의 하부 사이에 그리고 프레임(10)의 우측면과 프레임(10)의 우측에 속한 차체의 하부 사이에 결합된다. 이 경우에는, 동일한 인장 강도를 지닌 다수의 스프링(50)이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되는 스프링(50)의 수의 증가는 차의 주행중 안정성을 더욱 더 확보하게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인장 강도를 지닌 다수의 스프링(50)이 이용되고 있으나, 프레임의 좌우 각 측면상에 차체가 인장 강도를 달리하거나 인장 강도를 달리하는 구조를 갖는 스프링(50)이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에는 프레임(5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적용되는 각각의 스프링(50)은 동일한 인장 강도를 갖는 것이 제어하기 용이할 것이다. 각 측면상에서 스프링(50)의 인장 강도를 달리하는 이유는 스프링에 적용되는 힘이 순차적으로 적용되게 하기 위함이며, 힘이 1차적으로 적용되는 스프링이 끊어져도 2차, 3차로 적용되는 스프링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운전이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지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1)에서는, 전동 모터(M)의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62)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볼스크류(62)의 회전에 따라 볼너트(64)가 특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볼너트(64)가 볼스크류(62)의 회전에 의해 도면상 화살표 방향인 우측으로 (운전자의 입장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면부호 20a로 도시된 와이어는 팽팽해져 와이어(20a)가 연 결된 프레임(10)의 상부를 당기고, 반대로 도면부호 20b로 도시된 와이어는 느슨해져 와이어(20b)가 연결된 프레임(10)의 상부에 더 이상 인력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도면부호 50b로 도시된 스프링은 와이어(20b)가 결합되어 있는 측면의 프레임(10)을 잡아당겨 프레임(1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그 중심을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10)은 도면부호 50b로 도시된 스프링의 반대편에 구비된 스프링(50a)에 의해 지지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무게중심 이동장치(1)는 탄성 지지부재가 와이어와 압축 스프링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무게중심 이동장치(1)와 동일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1)에서 사용되는 탄성 지지부재(52a)(52b)(52c)는 와이어(상부쪽)와 압축 스프링(하부)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재(52a)(52b)(52c)에서 사용되는 압축 스프링은 동일하지만 와이어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채택된다. 와이어의 길이를 다르게 한 것은 프레임(10)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될 때 그 반대편에 위치하는 탄성 지지부재(52a)(52b)(52c)가 순차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도면부호 52a로 도시된 탄성 지지부재가 먼저 작용하고, 그 다음으로 느슨한 와이어를 채택한 탄성 지지부재(52b)가 작용하며, 마지막으로 더 느슨한 와이어가 채택된 탄성 지지부재(52c)가 작용하게 된다. 탄성 지지부재(52a)(52b)(52c)의 수는 차체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의 선택에 의존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무게중심 이동장치(1)는 탄성 지지부재가 피스톤과 압축 스프링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무게중심 이동장치(1)와 동일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1)에서 사용되는 탄성 지지부재(54a)(54b)(54c)는 피스톤(상부쪽)과 압축 스프링(하부)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재(54a)(54b)(54c)에서 사용되는 피스톤과 압축 스프링은 서로 반비례하여 상호 다르게 채택된다. 피스톤의 또는 크기를 다르게 한 것은 프레임(10)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될 때 그 반대편에 위치하는 탄성 지지부재(54a)(54b)(54c)가 순차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도면부호 54a로 도시된 탄성 지지부재가 먼저 작용하고, 그 다음으로 크거나 길이가 긴 피스톤을 채택한 탄성 지지부재(54b)가 작용하며, 마지막으로 더 크거나 길이가 더 긴 피스톤이 채택된 탄성 지지부재(52c)가 작용하게 된다. 이들 탄성 지지부재(54a)(54b)(54c)의 수는 차체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의 선택에 의존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차종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0은 역삼륜 자동차이고, 도 11은정삼륜 자동차이며, 도 12는 마름모 형태의 자동차이다. 이들 차의 공통점은 운전자의 운전 동작에 의해 순간적으로 차체의 무게중심이 이동되어야 운전자 뿐만 아니라 차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차들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는 차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무게중심의 이동이 요구되는 3륜 또는 그 이상의 차에서 이의 운행시 요구에 따라 무게중심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정밀하게 이동 및 복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의 정지시에도 좌우 흔들림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1)

  1.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로서,
    (a) 일측이 차체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되, 일부 또는 전부가 차체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소정 형상의 유동성 프레임(10); 및
    (b) 상기 프레임(10)의 좌우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차체의 무게중심을 요구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로서, (i) 볼스크류(62)와 볼너트(64)로 구성된 볼스크류 장치(60), (ii) 각각의 일측은 상기 볼너트(64)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측은 차체의 운행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좌우 대칭인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와이어(20a)(20b)를 포함하는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좌우 측면과 차체의 하부 사이에는 탄성 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탄성 지지부재가 거의 동일한 인장 강도의 압축 스프링(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탄성 지지부재가 와이어와 압축 스프링의 조합 형태로서 와이어의 길이가 다른 형태의 탄성 지지부재(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탄성 지지부재가 피스톤과 압축 스프링의 조합 형태로서 피스톤의 크기 또는 길이가 다른 형태의 탄성 지지부재(5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크류(62)에 대한 상기 볼너트(64)의 셔틀 운동이 전동 모터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장치는 전원 스위치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는 좌우 각각 또는 함께 차량의 핸들, 또는 운전자의 손이나 발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는 차의 핸들의 회전 각도와 차량의 무게, 운전자의 체중 또는 이들의 조합 무게에 따른 원심력의 조합에 따라서 E.C.U. (Electronic Control Unit) 장치를 통해 자동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형상은 역사다리꼴, 정사다리꼴, 정사각꼴, 직사각꼴, 정삼각꼴 및 역삼각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너트(64)의 상부에 휨방지 바퀴 또는 레일(30)이 배치되고, 상기 휨방지 바퀴 또는 레일(30)은 상기 볼너트(64) 하부의 차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KR1020060097993A 2006-04-13 2006-10-09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KR100830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993A KR100830664B1 (ko) 2006-04-13 2006-10-09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PCT/KR2007/001807 WO2007119978A1 (en) 2006-04-13 2007-04-13 Apparatus for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a vehicle having three wheels or m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9881 2006-04-13
KR2020060010296 2006-04-18
KR20060010296 2006-04-18
KR1020060097993A KR100830664B1 (ko) 2006-04-13 2006-10-09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281A KR20070103281A (ko) 2007-10-23
KR100830664B1 true KR100830664B1 (ko) 2008-05-20

Family

ID=3860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993A KR100830664B1 (ko) 2006-04-13 2006-10-09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0664B1 (ko)
WO (1) WO20071199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296A (ko) * 2014-11-03 2016-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주행 안정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1397A1 (en) * 2008-07-01 2010-01-07 Ofer Tzipman Vehicle with tiltable structure for a vehicle and related method of controlling
CN108928199B (zh) * 2018-07-20 2021-10-01 太原科技大学 一种仿袋鼠腿双菱形悬架的防倾倒及姿态调节装置
CN110745060A (zh) * 2019-11-26 2020-02-04 江苏理工学院 一种基于丝杠的工型防护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888A (ko) * 1994-08-24 1996-03-22 배순훈 인버터세탁기의 파워모듈방열 제어장치 및 방법
KR960017360A (ko) * 1994-11-07 1996-06-17 정몽훈 자동차 안전벨트의 웨빙로크장치 및 그 조립시스템
KR960017431A (ko) * 1994-11-09 1996-06-17 유제우 무게중심이 가변되는 마름모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6423A (en) * 1991-01-22 1995-03-07 Nissan Motor Co., Ltd. Automotive active suspension system for regulating vehicular height level during anti-rolling control
US5116069A (en) * 1991-03-11 1992-05-26 Miller Robert H Three-wheel vehicle
KR960017360U (ko) * 1994-11-30 1996-06-17 유제우 무게중심이 가변되는 역삼륜자동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888A (ko) * 1994-08-24 1996-03-22 배순훈 인버터세탁기의 파워모듈방열 제어장치 및 방법
KR960017360A (ko) * 1994-11-07 1996-06-17 정몽훈 자동차 안전벨트의 웨빙로크장치 및 그 조립시스템
KR960017431A (ko) * 1994-11-09 1996-06-17 유제우 무게중심이 가변되는 마름모자동차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 2019960007888호
공개실용 2019960010965호
공개실용 2019960017360호
공개특허 1019960017431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296A (ko) * 2014-11-03 2016-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주행 안정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59585B1 (ko) 2014-11-03 2019-03-18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지게차 주행 안정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9978A1 (en) 2007-10-25
KR20070103281A (ko) 200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97181B (zh) 车辆座椅装置
KR100830664B1 (ko)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JPWO2007052676A1 (ja) 車両
JP2018188010A (ja) 自動傾斜車両
JP2013233895A (ja) 車両
KR0126881Y1 (ko) 놀이용 차량의 방향 전환장치
KR20070079739A (ko)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의 액튜에이터 구조
JP2017065403A (ja) 作業車
KR100702188B1 (ko)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CN218806289U (zh) 转向机构及车辆
KR101592352B1 (ko)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JP2007153024A (ja) 車両
JP6210852B2 (ja) 鞍乗り型車両
KR100872627B1 (ko) 차량의 가변 스테빌라이저
KR100739915B1 (ko)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및 그것을갖는 마름모꼴 자동차
JP7420699B2 (ja) 車両
JP5181941B2 (ja) 車両
JP4296515B2 (ja) オートバイゲーム機の操作装置
JP2019001200A (ja) 自動傾斜車両
KR100789179B1 (ko)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JP3822744B2 (ja) 作業車
JP6239945B2 (ja) 鞍乗り型車両
WO2007119918A1 (en) Apparatus for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a vehicle having three wheels or more and a lozenge-shaped automobile having the same
WO2007126294A1 (en) Apparatus for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a vehicle having three wheels or more
JP4080525B1 (ja) 自転車の走行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