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188B1 -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2188B1 KR100702188B1 KR1020060097986A KR20060097986A KR100702188B1 KR 100702188 B1 KR100702188 B1 KR 100702188B1 KR 1020060097986 A KR1020060097986 A KR 1020060097986A KR 20060097986 A KR20060097986 A KR 20060097986A KR 100702188 B1 KR100702188 B1 KR 1007021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nter
- gravity
- frame
- rotation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60G9/04—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or housing not being pivotally mounted on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transvers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a motion involving steering operation, e.g. cornering, overt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07—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means for adjusting the wheel inclin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5/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 B60G5/01—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the set being characterised by having more than two successive ax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60G99/002—Suspension details of the suspension of the vehicle body on the vehicle chas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07—Automatic balancing machines with single main ground engaging wheel or coaxial wheels supporting a rid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3—Hydraulic actua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2—Electric actua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1—Pivoted lever mechanism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e.g. Watt link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12—Cycles; Motorcycles
- B60G2300/122—Trik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45—Rolling frame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4—Steering, corne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1—Suspension Control
- B60G2800/915—Suspension load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무게중심 이동장치는 일측이 차체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되, 일부 또는 전부가 차체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소정 형상의 프레임; 및 프레임의 좌우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차체의 무게중심을 요구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로서, 회전 중심을 포함한 내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 형상의 회전체, 회전체의 회전 중심과 동축으로 결합되어,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바아; 각각의 일측이 회전체의 내측에 속한 회전 바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 1 링크 부재 및 일측은 각각의 제 1 링크 부재의 타측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프레임의 상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호 교차되어 배치되어 있는 제 2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게중심 이동장치는 3륜 또는 그 이상의 차에서 무게중심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정밀하게 이동 및 복귀시킬 수 있으며, 차의 정지시에도 좌우 흔들림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무게중심 이동장치, 무게중심 이동 차량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게중심 이동장치에서의 무게중심이동 제어부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게중심이동 제어부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게중심 이동장치의 정면도;
도 5는 직선 주행시 프레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곡선 주행시 프레임의 이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무게중심이동 제어부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의 요부 사시도; 및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다 양한 차종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은 역삼륜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정삼륜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마름모 형태의 자동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게중심 이동장치 10 : 프레임
20 : 회전체 22 : 기어부
30 : 회전 바아
40 : 제 1 링크 부재(도면상 좌우를 구별하여 각각 40a, 40b)
42 : 제 2 링크 부재(도면상 좌우를 구별하여 각각 42a, 42b)
50 : 스프링 60 : 볼스크류 장치
62 : 볼스크류 64 : 볼너트
66 : 선형 기어부 70 : 휨방지 바퀴 또는 레일
본 발명은 3륜 또는 그 이상의 차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의 주행시, 특히 곡선 주행시 이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하여야 하는 3륜 또는 그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3륜 자동차는 운전자를 기준으로 하여 운전자의 앞쪽에 2개의 바퀴가 장착되 어 있고 뒤쪽에 1개의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차(통상, 역삼륜 자동차라 불리움) 또는 운전자의 뒤쪽에 2개의 바퀴가 장착되어 있고 앞쪽에 1개의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차(통상, 정삼륜 자동차라 불리움)를 일컫는다.
이러한 3륜 자동차에서의 직선 주행 및 곡선 주행시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2개의 바퀴가 나란하게 장착되는 자동차 부분에서의 차폭이 통상적인 4륜 자동차의 차폭 보다 크게 하거나 오토바이처럼 원심력에 반대되는 구심력 방향으로 일부 또는 전체의 무게중심이 순간적으로 이동되게 하여야 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차폭의 증대로 인해 오히려 대형화를 초래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순간적인 무게중심 이동시 이의 안정성 및 안전성 확보가 문제된다. 그러한 연유로, 전자는 배제되고 후자의 문제가 해결되게 하는 방향으로 3륜 자동차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최근, 보다 구체적으로는 1997년 프랑크 푸르트 모터쇼에서는 독일의 벤츠사가 'F300 Life-jet'이라는 이름의 신개념 역삼륜 자동차를 발표하여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역삼륜 자동차는 이의 무게중심 이동시 차체와 모든 바퀴가 운전자의 조작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계되어 있어 필요 이상의 동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차체의 무게중심 이동 자체에 요구되는 동력 또한 필요 이상으로 소요된다. 또한, 이러한 역삼륜 자동차는 무게중심 이동 후의 정위치로의 복귀 및 정지했을 때와 탑승했을 때의 흔들림이 여전히 문제된다.
더욱 최근, 일본의 도쿄 모터쇼에서도 일본의 '피아로'(Phiaro)라는 회사에서 '피아로 삼륜'("P67b ETERNITY")이라는 이름으로 정삼륜 자동차를 발표하여 또 다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정삼륜 자동차는 무게중심이동 원호의 중심점이 지면으로부터 위쪽에 자리잡고 있어 무게중심을 이동할 때 바퀴가 옆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한바퀴 쪽의 타이어가 심하게 마모될 것이다. 특히, 차의 곡선 주행시에는 더욱 더 그러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자동차는 차체에서 가장 큰 중량을 차지하는 뒷바퀴 쪽에 장착된 엔진의 무게중심이 이동되지 않게 설계되어 있어 곡선 주행시에는 상기한 역삼륜 자동차 보다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무게중심의 이동이 요구되는 3륜 또는 그 이상의 차에서 이의 운행시 요구에 따라 무게중심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정밀하게 이동 및 복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의 정지시에도 좌우 흔들림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로서,
(a) 일측이 차체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되, 일부 또는 전부가 차체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소정 형상, 예를 들어, 역사다리꼴, 정사다리꼴, 정사각꼴, 직사각꼴, 정삼각꼴 또는 역삼각꼴 형상의 유동성 프 레임; 및
(b) 상기 프레임의 좌우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차체의 무게중심을 요구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로서, (i) 회전 중심을 포함한 내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 형상의 회전체, (ii)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과 동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바아; (iii) 각각의 일측이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 속한 상기 회전 바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 1 링크 부재; 및 (iv) 일측은 각각의 상기 제 1 링크 부재의 타측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호 교차되어 배치되어 있는 제 2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에서, 상기 프레임의 좌우 측면과 차체의 하부 사이에는 탄성 지지부재가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재로는, 인장력이 동일한 일반적인 압축 스프링 형태의 탄성 지지부재, 와이어와 압축 스프링의 조합 형태로서 와이어의 길이가 다른 형태의 탄성 지지부재, 또는 피스톤과 압축 스프링의 조합 형태로서 피스톤의 크기 또는 길이가 다른 형태의 탄성 지지부재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재는 차의 곡선 주행시 무게중심이 이동되어 한쪽으로 편향된 프레임이 최소한의 동력으로 그 위치에 그대로 머무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이러한 탄성 지지부재는 차의 곡선 주행으로부터 직선 주행으로의 전환시 한쪽으로 편향된 프레임이 최소한의 동력으로 용이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에서, 상기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는 볼스크류와 볼너트로 구성된 볼스크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의 원통형 부분에는 상기 회전체와 일체로 또는 별도로 기어부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볼너트와 상기 기어부가 접하는 상기 볼너트에는 상기 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기어부의 회전 동작을 유발시키는 선형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스크류 장치에서, 상기 볼스크류에 대한 상기 볼너트의 셔틀 운동은 전동 모터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전동 모터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E.C.U.에 의해 제어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는 차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무게중심의 이동이 요구되는 3륜 또는 그 이상의 차에서 이의 운행시 요구에 따라 무게중심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정밀하게 이동 및 복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의 정지시에도 좌우 흔들림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중의 하나로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 및 이에 대한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명세서를 숙지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이하, "무게중심 이동장치")의 요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에서의 무게중심이동 제어부가 도시되어 있으며(도 3은 사시도이고, 도 4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1)는 소정 형상의 유동성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좌우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차체의 무게중심을 요구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유동성 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차체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일부가 차체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동성 프레임(10)이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정사다리꼴, 정사각꼴, 직사각꼴, 정삼각꼴 및 역삼각꼴 형상을 포함한 다른 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특히, 역사다리꼴 형상의 프레임(10)은 보다 적은 힘으로도 프레임(10)의 좌우 동작이 가능하여, 차의 제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20), 회전체(20)의 회전 중심과 동축으로 결합되어 있는 회전 바아(30), 회전체(20)의 회전에 구속되는 제 1 링크 부재(40) 및 일측은 제 1 링크 부재(40)와 결합되고 타측은 프레임(10)의 상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 2 링크 부재(42)를 포함한다. 회전체(20)는 이의 회전 중심을 포함한 내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는, 회전체(20)가 원통형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의 회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어떠한 다른 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회전 바아(30)는 회전체(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 1 링크 부재(40)는 일측이 회전체(20)의 내측에 속한 회전 바아(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링크 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교차 배치된다.
또한,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는 상기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상기한 회전체(20)를 정밀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볼스크류(62)와 볼너트(64)로 구성된 볼스크류 장치(60)를 더 포함한다. 한편, 회전체(20)의 원통형 부분에는 회전체(20)와 일체로 기어부(22)가 더 구비되어 있고, 볼너트(64)와 회전체(20)의 기어부(22)가 접하는 볼너트(64)에는 기어부(22)와 맞물려 기어부(22)의 회전 동작을 유발시키는 선형 기어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부(22)가 회전체(20)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나, 회전체(20)의 회전 동작을 유발시킬 수 있다면 회전체(20)와 별도로 구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볼스크류 장치(60)는 볼너트(64)측의 내부와 볼스크류(62) 사이에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어 볼너트(64)의 정밀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볼스크류 장치(60)에 의해 회전체(20)의 회전 동작은 더욱 더 정밀해진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볼스크류 장치(60)는 차가 정지되어 있을 때 뿐만 아니라 운행중일 때에도 차의 좌우 흔들림이 억제되게 한다.
이러한 볼스크류 장치(60)에서의 볼스크류(62)에 대한 볼너트(64)의 셔틀 운동은 전동 모터(M1)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동 모터(M1)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장치는 E.C.U.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볼너트(64)의 하부에는 이의 휨방지 및 보다 원활한 선형 이동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휨방지 바퀴 또는 레일(70)이 배치된다. 이러한 휨방지 바퀴 또는 레일(70)은 볼너트(64) 하부의 차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체(20)는 전동 모터(M1)에 의해 볼스크류 장치(60)의 구동에 의해 특정 방향(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중심을 포함한 내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상이어서 회전체(20)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면상 우측에 도면부호 40b로 도시되어 있는 제 1 링크 부재가 회전체(20)의 내측 부분에 의해 눌려, 제 1 링크 부재(40b)가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이러한 제 1 링크 부재(40b)의 하향 동작에 의해 유동성 프레임(10) 전체가 특정 방향(이 경우에는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기울게 된다(특히 도 4 참조). 즉, 차의 원심력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구심력 방향)으로 차체의 중심이 이동하게 되어 차의 곡선 주행시에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1)의 무게중심이동 제어부에는 상기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탄성 지지부재(50)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지지부재(50)로서 압축 스프링이 사용된다. 이들 스프링(50)은 프레임(10)의 좌측면과 프레임(10)의 좌측에 속한 차체의 하부 사이에 그리고 프레임(10)의 우측면과 프레임(10)의 우측에 속한 차체의 하부 사이에 결합된다.
이러한 스프링(50)은 회전체(20)의 도움으로 프레임(10)이 특정 방향으로 그 무게중심을 이동하여도 이의 반대편을 지지하여 요망하는 정도로 무게중심이 이동되게 하며, 또한 무게중심 이동에 대한 요구가 없을 때에는 차체가 원상태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스프링(50)은 프레임(10)의 좌측면과 프레임(10)의 좌측에 속한 차체의 하부 사이에 그리고 프레임(10)의 우측면과 프레임(10)의 우측에 속한 차체의 하부 사이에 결합된다. 이 경우에는, 동일한 인장 강도를 지닌 다수의 스프링(50)이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되는 스프링(50)의 수의 증가는 차의 주행중 안정성을 더욱 더 확보하게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인장 강도를 지닌 다수의 스프링(50)이 이용되고 있으나, 프레임의 좌우 각 측면상에 차체가 인장 강도를 달리하거나 인장 강도를 달리하는 구조를 갖는 스프링(50)이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에는 프레임(5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적용되는 각각의 스프링(50)은 동일한 인장 강도를 갖는 것이 제어하기 용이할 것이다. 각 측면상에서 스프링(50)의 인장 강도를 달리하는 이유는 스프링에 적용되는 힘이 순차적으로 적용되게 하기 위함이며, 힘이 1차적으로 적용되는 스프링이 끊어져도 2차, 3차로 적용되는 스프링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운전이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지게 할 것이다.
도 7에는 무게중심이동 제어부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1)의 무게중심이동 제어부와 달리 회전 바아(30)에 전동 모터(M2)가 직접 결합되어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무게중심 이동장치(1)는 탄성 지지부재가 와이어와 압축 스프링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무게중심 이동장치(1)와 동일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1)에서 사용되는 탄성 지지부재(52a)(52b)(52c)는 와이어(상부쪽)와 압축 스프링(하부)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재(52a)(52b)(52c)에서 사용되는 압축 스프링은 동일하지만 와이어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채택된다. 와이어의 길이를 다르게 한 것은 프레임(10)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될 때 그 반대편에 위치하는 탄성 지지부재(52a)(52b)(52c)가 순차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도면부호 52a로 도시된 탄성 지지부재가 먼저 작용하고, 그 다음으로 느슨한 와이어를 채택한 탄성 지지부재(52b)가 작용하며, 마지막으로 더 느슨한 와이어가 채택된 탄성 지지부재(52c)가 작용하게 된다. 탄성 지지부재(52a)(52b)(52c)의 수는 차체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의 선택에 의존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무게중심 이동장치(1)는 탄성 지지부재가 피스톤과 압축 스프링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무게중심 이동장치(1)와 동일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1)에서 사용되는 탄성 지지부재(54a)(54b)(54c)는 피스톤(상부쪽)과 압축 스프링(하부)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재(54a)(54b)(54c)에서 사용되는 피스톤과 압축 스프링은 서로 반비례하여 상호 다르게 채택된다. 피스톤의 또는 크기를 다르게 한 것은 프레임(10)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될 때 그 반대편에 위치하는 탄성 지지부재(54a)(54b)(54c)가 순차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도면부호 54a로 도시된 탄성 지지부재가 먼저 작용하고, 그 다음으로 크거나 길이가 긴 피스톤을 채택한 탄성 지지부재(54b)가 작용하며, 마지막으로 더 크거나 길이가 더 긴 피스톤이 채택된 탄성 지지부재(52c)가 작용하게 된다. 이들 탄성 지지부재(54a)(54b)(54c)의 수는 차체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의 선택에 의존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중심 이동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차종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0은 역삼륜 자동차이고, 도 11은 정삼륜 자동차이고, 도 12는 마름모 형태의 자동차이다. 이들 차의 공통점은 운전자의 운전 동작에 의해 순간적으로 차체의 무게중심이 이동되어야 운전자 뿐만 아니라 차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차들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는 차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무게중심의 이동이 요구되는 3륜 또는 그 이상의 차에서 이의 운행시 요구에 따라 무게중심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정밀하게 이동 및 복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의 정지시에도 좌우 흔들림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3)
-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로서,(a) 일측이 차체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되, 일부 또는 전부가 차체의 운행 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소정 형상의 유동성 프레임(10); 및(b) 상기 프레임(10)의 좌우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차체의 무게중심을 요구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로서, (i) 회전 중심을 포함한 내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 형상의 회전체(20), (ii) 상기 회전체(20)의 회전 중심과 동축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체(2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바아(30); (iii) 각각의 일측이 상기 회전체(20)의 내측에 속한 상기 회전 바아(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 1 링크 부재(40); 및 (iv) 일측은 각각의 상기 제 1 링크 부재(40)의 타측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호 교차되어 배치되어 있는 제 2 링크 부재(42)를 포함하는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를 포함하며,상기 무게중심이동 제어부는 볼스크류(62)와 볼너트(64)로 구성된 볼스크류 장치(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20)의 원통형 부분에는 상기 회전체(20)와 일체로 또는 별도로 기어부(22)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볼너트(64)와 상기 기어부(22)가 접하는 상기 볼너트(64)에는 상기 기어부(22)와 맞물려 상기 기어부(22)의 회전 동작을 유발시키는 선형 기어부(6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좌우 측면과 차체의 하부 사이에는 탄성 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탄성 지지부재가 거의 동일한 인장 강도의 압축 스프링(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탄성 지지부재가 와이어와 압축 스프링의 조합 형태로서 와이어의 길이가 다른 형태의 탄성 지지부재(52), 또는 피스톤과 압축 스프링의 조합 형태로서 피스톤의 크기 또는 길이가 다른 형태의 탄성 지지부재(5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삭제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너트(64)의 하부에 휨방지 바퀴 또는 레일(70)이 배치되고, 상기 휨방지 바퀴 또는 레일(70)은 상기 볼너트(64) 하부의 차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크류(62)에 대한 상기 볼너트(64)의 셔틀 운동이 전동 모터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장치가 전자제어유닛(E.C.U. : 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형상은 역사다리꼴, 정사다리꼴, 정사각꼴, 직사각꼴, 정삼각꼴 및 역삼각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삭제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형상은 역사다리꼴, 정사다리꼴, 정사각꼴, 직사각꼴, 정삼각꼴 및 역삼각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형상은 역사다리꼴, 정사다리꼴, 정사 각꼴, 직사각꼴, 정삼각꼴 및 역삼각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형상은 역사다리꼴, 정사다리꼴, 정사각꼴, 직사각꼴, 정삼각꼴 및 역삼각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06/005026 WO2007119917A1 (en) | 2006-04-18 | 2006-11-27 | Apparatus for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a vehicle having three wheels or more |
JP2009506401A JP2009533278A (ja) | 2006-04-18 | 2006-11-27 | 3輪以上の車両に適用される重心移動装置 |
EP06823734A EP2015944A4 (en) | 2006-04-18 | 2006-11-27 | DEVICE FOR MOVING THE HEAVY DUTY OF A VEHICLE WITH THREE OR MORE WHEELS |
US12/226,391 US8016299B2 (en) | 2006-04-18 | 2006-11-27 | Apparatus for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a vehicle having three wheels or mo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0294 | 2006-04-18 | ||
KR20060010294 | 2006-04-1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2188B1 true KR100702188B1 (ko) | 2007-04-02 |
Family
ID=38160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7986A KR100702188B1 (ko) | 2006-04-18 | 2006-10-09 |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016299B2 (ko) |
EP (1) | EP2015944A4 (ko) |
JP (1) | JP2009533278A (ko) |
KR (1) | KR100702188B1 (ko) |
WO (1) | WO200711991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BG20130021A1 (it) * | 2013-08-09 | 2015-02-10 | Supermarioway S R L | Mezzo di locomozione elettrico |
US9061564B1 (en) * | 2013-12-18 | 2015-06-23 | Automotive Research & Testing Center | Active vehicle with a variable inclin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CN115320763B (zh) * | 2021-11-19 | 2024-06-07 | 钭俊龙 | 一种操作容易的两轮电动平衡车及控制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50926A (en) * | 1984-03-28 | 1985-11-05 | Macisaac William L | Vehicle suspension system |
JPS61129368A (ja) * | 1984-11-28 | 1986-06-17 | Honda Motor Co Ltd | 車両の車体傾動装置 |
KR960017360U (ko) * | 1994-11-30 | 1996-06-17 | 유제우 | 무게중심이 가변되는 역삼륜자동차 |
KR20010070662A (ko) * | 2001-05-29 | 2001-07-27 | 박용희 | 원심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정차시와 주행 중 조향시무게중심과 차체를 원심력작용 반대방향으로 기울여 주는장치 |
JP2004001705A (ja) * | 2002-03-29 | 2004-01-08 | Sanyo Electric Co Ltd | 移動台車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600612B1 (fr) * | 1986-06-27 | 1990-11-30 | Patin Pierre | Procede et dispositifs de stabilisation pour vehicule inclinable |
JPS63277199A (ja) * | 1987-05-08 | 1988-11-15 | 工業技術院長 | 昇降装置のばね式バランサ装置 |
JPH0394375U (ko) * | 1990-01-17 | 1991-09-26 | ||
US5396423A (en) * | 1991-01-22 | 1995-03-07 | Nissan Motor Co., Ltd. | Automotive active suspension system for regulating vehicular height level during anti-rolling control |
US5116069A (en) | 1991-03-11 | 1992-05-26 | Miller Robert H | Three-wheel vehicle |
NL9401303A (nl) * | 1994-08-11 | 1996-03-01 | Brinks Westmaas Bv | Zelfstabiliserend, richtingbestuurbaar voertuig met tenminste drie wielen. |
KR960017431A (ko) * | 1994-11-09 | 1996-06-17 | 유제우 | 무게중심이 가변되는 마름모자동차 |
DE4444115C2 (de) * | 1994-12-12 | 1996-09-26 | Frank Dipl Ing Schliewert | Mehrspuriges Leichtfahrzeug |
US6039335A (en) * | 1998-12-30 | 2000-03-21 | Sheridan Racing Design, Llc | Adjustable cross-loading go-cart chassis |
KR100444193B1 (ko) * | 1999-02-09 | 2004-08-21 |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 휠식 작업차량 |
NO20033026L (no) * | 2003-07-01 | 2005-01-03 | Friend Internat As | Trehjuls kjoretoy |
JP4650327B2 (ja) * | 2005-04-14 | 2011-03-1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同軸二輪車 |
TWI406782B (zh) * | 2006-04-26 | 2013-09-01 | Vectrix Internat Ltd | 具有可鎖定傾斜系統之車輛 |
-
2006
- 2006-10-09 KR KR1020060097986A patent/KR10070218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1-27 WO PCT/KR2006/005026 patent/WO200711991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11-27 JP JP2009506401A patent/JP2009533278A/ja active Pending
- 2006-11-27 EP EP06823734A patent/EP2015944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6-11-27 US US12/226,391 patent/US801629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50926A (en) * | 1984-03-28 | 1985-11-05 | Macisaac William L | Vehicle suspension system |
JPS61129368A (ja) * | 1984-11-28 | 1986-06-17 | Honda Motor Co Ltd | 車両の車体傾動装置 |
KR960017360U (ko) * | 1994-11-30 | 1996-06-17 | 유제우 | 무게중심이 가변되는 역삼륜자동차 |
KR20010070662A (ko) * | 2001-05-29 | 2001-07-27 | 박용희 | 원심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정차시와 주행 중 조향시무게중심과 차체를 원심력작용 반대방향으로 기울여 주는장치 |
JP2004001705A (ja) * | 2002-03-29 | 2004-01-08 | Sanyo Electric Co Ltd | 移動台車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9533278A (ja) | 2009-09-17 |
US20090322043A1 (en) | 2009-12-31 |
EP2015944A1 (en) | 2009-01-21 |
US8016299B2 (en) | 2011-09-13 |
WO2007119917A1 (en) | 2007-10-25 |
EP2015944A4 (en) | 2011-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35843A (en) | Traveling carriage | |
EP1721808A1 (en) | Variable wheelbase type vehicle | |
WO2002051738A1 (fr) | Vehicule de chantier avec systeme de deplacement transversal | |
KR100702188B1 (ko) |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
KR100830664B1 (ko) |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
JP4147581B2 (ja) | 全方向移動車 | |
JP5181942B2 (ja) | 車両 | |
CN1144139A (zh) | 游乐车的转向装置 | |
JP2008137631A (ja) | 電動キャスタ付き搬送車 | |
CN218806289U (zh) | 转向机构及车辆 | |
KR101592352B1 (ko) |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 |
WO2011152274A1 (ja) | 走行玩具 | |
KR100739915B1 (ko) |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및 그것을갖는 마름모꼴 자동차 | |
JP2007153024A (ja) | 車両 | |
WO2007119918A1 (en) | Apparatus for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a vehicle having three wheels or more and a lozenge-shaped automobile having the same | |
KR100789179B1 (ko) |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 |
CN104786769B (zh) | 机动车辆用车轮悬架 | |
JP2020203629A (ja) | リーン型車両及び車両用リーンユニット | |
JPH11116200A (ja) | リーチ型フォークリフト | |
KR101020540B1 (ko) | 랙 스트로크 가변장치 | |
KR100926557B1 (ko) | 스티어링 컬럼에 장착 된 브이알에스 장치. | |
WO2007126294A1 (en) | Apparatus for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a vehicle having three wheels or more | |
CN204307357U (zh) | 一种手摇式玩具车 | |
KR20120033581A (ko) | 랙 모터 드리븐 파워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의 가변 랙 스트로크 장치 | |
JP4080525B1 (ja) | 自転車の走行駆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