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817B1 -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817B1
KR100828817B1 KR1020060106046A KR20060106046A KR100828817B1 KR 100828817 B1 KR100828817 B1 KR 100828817B1 KR 1020060106046 A KR1020060106046 A KR 1020060106046A KR 20060106046 A KR20060106046 A KR 20060106046A KR 100828817 B1 KR100828817 B1 KR 100828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airbag door
airbag
chut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8736A (ko
Inventor
공병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817B1/ko
Priority to DE102006058546A priority patent/DE102006058546A1/de
Priority to CN2006101694602A priority patent/CN101172386B/zh
Publication of KR2008003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8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21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expansible or collapsible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29C2045/0056Shaping folding back undercut forming parts, e.g. tabs of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a soft material and a rigid material, e.g. making articles with a seal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수석 전면쪽의 크러쉬 패드에 승객용 에어백 도어를 투샷(TWO-SHOT) 몰딩공법을 이용하여 금형 취출이 용이한 각도로 일체로 사출하고, 그 사출된 에어백 도어가 에어백 하우징과의 결합시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에어백 도어와 크러쉬패드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되, 크러쉬패드 금형각에 맞게 에어백 도어를 사출 성형할 수 있는 금형의 구비 단계와; 금형의 에어백 도어용 캐비티와, 크러쉬패드용 캐비티에 사출액을 동시에 주입하여, 크러쉬패드와 에어백 도어가 일체가 되도록 사출 성형하되, 에어백 도어의 저면에 상하슈트가 일체가 되도록 하는 사출 성형 단계와; 서로 일체가 된 크러쉬패드와 에어백 도어 제품의 취출 단계와; 상기 제품 취출 단계후, 상기 에어백 도어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하슈트를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의 장착각과 일치되도록 벤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승객용 에어백 도어, 제조 방법, 상하슈트, 좌우슈트, 에어백 하우징, 금형

Description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Air bag door for passens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하 슈트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좌우 슈트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에 에어백 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종래의 승객용 에어백 도어 제작시, 금형 취출상 언더컷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백 도어 12 : 크러쉬패드
14 : 상형 16 : 하형
18 : 사이드금형 20 : 슬라이드 금형
22 : 빼기용 금형 24 : 에어백도어용 캐비티
26 : 크러쉬패드용 캐비티 28 : 상하슈트
30 : 2단계 홈 32 : 에어백 하우징
34 : 좌우슈트 36 : 노치
38 : 체결단 40 : 체결턱
42 : 체결홀 44 : 에어백 하우징 결합용 홀
46 : 결합돌기
본 발명은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수석 전면쪽의 크러쉬 패드에 승객용 에어백 도어를 투샷(TWO-SHOT) 몰딩공법을 이용하여 금형 취출이 용이한 각도로 일체로 사출하고, 그 사출된 에어백 도어가 에어백 하우징과의 결합시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는 운전석 및 조수석 전면에 걸쳐 설치되는 내장재로서, 계기판, 센터페시아 패널, 에어덕트 등이 설치되는 개방구를 갖는다.
대개, 운전석용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에 내설되지만, 조수석쪽 에어백은 조수석 앞쪽의 크러쉬 패드내에 설치된다.
즉, 상기 크러쉬 패드에 에어백 도어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고, 이 에어백 도어의 저부에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을 장착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기술로서 크러쉬 패드에 승객용 에어백 도어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방법을 첨부한 도 7a 및 도 7b를 참조로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러쉬패드용 캐비티(26)가 상면에 형성된 제1하형(1)과 제2하형(2)이 좌우측에 이격 배치되는 동시에 에어백 도어용 캐비티(24)가 상면에 형성된 제3하형(3)이 제 1및 제2하형(1,2) 사이에 배치되고, 제1,2,3하형 (1,2,3)위에 상형(14)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3하형(1,3) 사이공간과, 상기 제2 및 제3하형(2,3)의 사이공간으로 슬라이드 금형(20)이 삽입되어, 에어백 도어용 캐비티(24)를 마감시켜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출성형용 주입기로부터 상기 크러쉬패드용 캐비티(26)로 PPF 재질의 사출액을 주입하는 동시에 상기 에어백 도어용 캐비티(24)에 TPO재질의 사출액이 주입되어, 탈형후에는 상기 크러쉬패드(12)와 에어백 도어(10)가 서로 일체로 성형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종래에 크러쉬패드와 에어백 도어를 일체로 사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첨부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러쉬패드(CRASH PAD)의 금형 셋업(SET- UP)각도는 일반적으로 25~35°를 형성하는 반면에, 에어백 도어의 저부에 장착되는 에어백모듈의 장착각은 60도~75°를 가지므로, 서로 25도~50도°각도 차이를 갖게 된다.
이에, 에어백 도어의 슈트(CHUTE: 에어백 모듈의 장착을 위하여 에어백 도어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종의 장착단)의 각도가 상기 에어백 모듈의 장착각과 평행을 이루어야 하는데, 평행을 이루지 못함에 따라 금형 취출상의 언더컷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에어백 도어의 후면 금형각과 크러쉬패드의 금형각의 차이에 의하여 금형 취출에 어려움이 있고, 그에따라 에어백 도어와 크러쉬패드가 서로 일체가 되는부분에 언더컷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투-샷(TWO-SHOT) 몰딩 공법을 사용하여 연성이 높은 TPO재질의 에어백 도어와 PPF재질의 하드 타입 크러쉬패드(HARD TYPE CRASH PAD)를 일체 사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에어백 도어의 후면 금형각과 크러쉬패드의 금형각의 차이에 의한 금형 취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금형 구조를 이용하여 승객용 에어백 도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 도어를 크러쉬패드 금형각으로 사출하되, 그 저면에 2단계홈을 갖는 상하슈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에어백 모듈 장착각에 맞게 벤 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러쉬패드와의 금형각 일치로 금형 취출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에어백 모듈이 그 장착각대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백 도어의 측면쪽에 좌우슈트를 별도로 장착함과 함께 에어백 하우징과 상하슈트를 엇갈리게 장착하고, 에어백 하우징이 못 미치는 상단부위는 상하슈트와 좌우슈트간에 자가클립을 설치하여 서로 체결되게 함으로써, 상하 및 좌우슈트가 독립적으로 설치됨에 따른 강성 보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백 도어와 크러쉬패드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되, 크러쉬패드 금형각에 맞게 에어백 도어를 사출 성형할 수 있는 금형의 구비 단계와; 금형의 에어백 도어용 캐비티와, 크러쉬패드용 캐비티에 사출액을 동시에 주입하여, 크러쉬패드와 에어백 도어가 일체가 되도록 사출 성형하되, 에어백 도어의 저면에 상하슈트가 일체가 되도록 하는 사출 성형 단계와; 서로 일체가 된 크러쉬패드와 에어백 도어 제품의 취출 단계와; 상기 제품 취출 단계후, 상기 에어백 도어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하슈트를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의 장착각과 일치되도록 벤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금형의 구비 단계는: 하형의 상면에 형성된 중공부에 크러쉬패드 금형각과 일치되는 각도로 사이드금형을 내설하는 단계와; 상기 사이드금형에 슬라이드 금형을 밀착시키고, 각 슬라이드 도어 사이에 빼기용 금형을 내설하는 단계와; 상기 하형의 상면에 상형을 체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사출 성형 단계는: 상기 상형의 저면과, 상기 사이드금형과 슬라이드금형과 빼기용 금형의 상면 사이공간이 되는 에어백 도어용 캐비티에 TPO재질의 사출액을 주입하는 단계와; 동시에 상기 상형의 저면과, 상기 하형의 상면 사이공간이 되는 크러쉬패드용 캐비티에 PPF재질의 사출액을 주입하는 단계; 를 통하여, 상기 크러쉬패드용 캐비티에서 크러쉬패드가 성형되고, 이 크러쉬패드와 일체가 되면서 상기 에어백 도어용 캐비티에서 에어백 도어가 성형되는 동시에 상기 사이드금형과 그 옆쪽의 슬라이드 금형 사이공간에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저면에 일체가 되도록 상하 슈트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제품 취출 단계는: 상기 상형을 탈형시킨 다음, 상기 빼기용 금형을 아래쪽으로 빼내는 동시에 그 옆쪽의 슬라이드 금형이 에어백 도어 및 상하슈트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서로 일체로 성형되어진 크러쉬패드 및 에어백 도어 제품을 취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저면에 상하 슈트가 일체로 성형될 때, 상기 에어백 도어와 상하슈트의 일체가 되는 부분에 2단계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러쉬패드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 는 에어백 도어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저면에 크러쉬패드 금형각에 맞게 일체로 형성되는 상하 슈트와; 상기 에어백 도어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의 장착각에 맞게 상하슈트를 벤딩시킬 수 지점이 되도록 상기 상하 슈트의 상단 내측면에 형성된 2단계 홈과; 상기 상하슈트의 양측부에 별도로 결합되는 좌우슈트로 구성하여, 상기 상하슈트 및 좌우슈트에 에어백 하우징이 삽입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좌우슈트의 전단 및 후단부에는 노치가 형성되고, 이 노치에는 상기 전후슈트에 형성된 체결홀에 끼워지도록 체결턱을 갖는 체결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단과 후단은 상기 상하슈트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양측단은 상기 좌우슈트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상하슈트에는 에어백 하우징 결합용 홀이 관통 형성되고, 이 에어백 하우징 결합용 홀에 끼워지도록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단 및 후단의 외측면에는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하 슈트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투-샷(TWO-SHOT) 몰딩 공법을 사용하여 연성이 높은 TPO재질의 에어백 도어와 PPF재질의 하드 타입 크러쉬패드(HARD TYPE CRASH PAD)를 일체 사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에어백 도어의 후면 금형각과 크러쉬패드의 금형각의 차이에 의한 금형 취출 문제를 해결하고,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이 그 장착각대로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장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금형의 구조를 기존과 달리 적용하게 되는 바, 금형의 구조를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10)와 크러쉬패드(12)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되, 크러쉬패드 금형각에 맞게 에어백 도어를 사출 성형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한다.
즉, 상형(14)과 하형(16)으로 이루어진 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형(16)의 상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중공부에 크러쉬패드 금형각과 일치되는 각도로 사이드금형(18)과 슬라이드 금형(20) 그리고 빼기용 금형(22)을 내설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사이드금형(18)은 일정한 두께의 금형으로서 하형(16)의 중공부 전후 내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 금형(20)은 위쪽은 크고 아래쪽은 좁은 두께를 갖는 금혐으로서 사이드 금형(18)의 각 안쪽면에 밀착되게 내설되며, 상기 빼기용 금형(22)은 위쪽은 좁고 아래쪽은 큰 두께의 금형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금형(20) 사이로 삽입되며 내설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금형(18) 및 슬라이드 금형(20) 그리고 빼기용 금형(22)의 상면은 상형(14)과 이격되는 바, 그 이격공간이 에어백 도어용 캐비티(24)가 되고, 그 양쪽으로 상형(14)과 하형(16)간의 공간이 크러쉬패드용 캐비티(26)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비된 금형의 에어백 도어용 캐비티(24)와, 크러쉬패드용 캐비티(26)에 사출액을 동시에 주입하여, 크러쉬패드(12)와 에어백 도어(10)가 일체가 되도록 사출 성형하되, 에어백 도어(10)의 저면에 상하슈트(28)가 일체가 되도록 하는 사출 성형 단계가 진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에어백 도어용 캐비티(24)에 TPO재질의 사출액을 주입하는 동시에 상기 크러쉬패드용 캐비티(26)에 PPF재질의 사출액을 주입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러한 사출 성형 단계를 통하여, 상기 크러쉬패드용 캐비티(26)에서 크러쉬패드(12)가 성형되고, 동시에 이 크러쉬패드(12)와 일체가 되면서 상기 에어백 도어용 캐비티(24)에서 에어백 도어(10)가 성형되며, 특히 상기 사이드금형(18)과 그 옆쪽의 슬라이드 금형(20) 사이공간에서 상하슈트(28)가 성형되는 바, 이 상하슈트(28)는 상기 에어백 도어(10)의 저면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 도어(10)의 저면에 한 쌍의 상하슈트(28)가 일체로 성형될 때, 상기 에어백 도어(10)와 상하슈트(28)의 일체가 되는 부분에 2단계 홈(30)이 형성되는 바, 이 2단계 홈(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슈트(28)가 에어백 장착 각도와 일치되는 위치로 벤딩되는 것을 용이하게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백 도어(10) 및 상하슈트(28)의 재질이 TPO와 같은 연질이므로, 성형 후 상하슈트(28)를 바로 벤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2단계 홈(30)은 크러쉬패드 표면에 벤딩(휨)에 의한 백화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형성되는 바, 2단계 홈(30) 중 위쪽의 홈은 에어백 도 어(10)의 표면 싱크(SINK)방지를 위한 살빼기 역할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백 도어(10)와 크러쉬패드(12)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 제품의 취출 단계가 진행된다.
즉, 상기 상형(14)을 탈형시킨 다음, 상기 빼기용 금형(22)을 아래쪽으로 빼내는 동시에 그 옆쪽의 각 슬라이드 금형(20)이 빼기용 금형(22)이 빠져나간 자리로 무너지게 되고, 결국 슬라이드 금형(20)이 에어백 도어(10) 및 상하슈트(28)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서로 일체로 성형되어진 크러쉬패드(12) 및 에어백 도어(10) 제품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기존에 에어백 도어의 후면 금형각과 크러쉬패드의 금형각의 차이에 의한 언더컷 등의 발생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품 취출 단계후, 상기 에어백 도어(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하슈트(28)를 상기 2단계 홈(30)을 지점을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백 하우징(32)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의 장착각과 일치되는 각도로 벤딩시킴으로써, 에어백 도어의 제조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에어백 도어에 에어백 모듈의 외곽을 이루는 에어백 하우징을 장착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좌우 슈트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에 에어백 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에어백 도어(10)는 그 저면에 크러쉬패드 금형각에 맞게 일체 로 성형된 상하슈트(28)가 2단계 홈(30)을 지점으로 벤딩된 상태, 즉 상기 에어백 도어(32)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의 장착각에 맞게 벤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슈트(28)의 사이공간은 개방된 상태인 바, 이 개방된 공간을 커버하면서 상하슈트(28)에 좌우슈트(34)가 별도로 결합되는 바, 그 결합방법은 첨부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 클립식 구조를 이용한다.
즉, 상기 좌우슈트(34)의 전단 및 후단부에는 노치(36)를 중심으로 휘어질 수 있는 복수개의 체결단(38)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체결단(38)의 끝에는 체결턱(40)이 형성된다.
반면에, 상기 상하슈트(28)의 사출 성형시, 상기 체결단(38)과 일치되는 위치에는 체결홀(42)이 관통 형성되는 바, 상기 노치(36)를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체결단(38)의 체결턱(40)이 상기 체결홀(42)에 끼워짐으로써, 상하슈트(28)에 대한 좌우슈트(34)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하슈트(28) 및 좌우슈트(34)에 에어백 하우징(32)을 엇갈림 체결 방식으로 장착시키는 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하우징(32)의 전단과 후단을 상기 상하슈트(28)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삽입하고, 동시에 상기 에어백 하우징(32)의 양측단은 상기 좌우슈트(34)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삽입한다.
이에,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슈트(28)의 사출 성형시 형성된 에어백 하우징 결합용 홀(44)에 상기 에어백 하우징(32)의 전단 및 후단 외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46)가 끼워지게 함으로써, 에어백 하우징(32)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에어백 도어를 크러쉬패드 금형각에 맞추어 사출 성형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에어백 도어의 후면 금형각과 크러쉬패드의 금형각의 차이에 의한 언더컷 등의 발생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2) 에어백 도어를 크러쉬패드 금형각으로 사출하되, 그 저면에 2단계홈을 갖는 상하슈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 상하슈트가 2단계 홈을 중심으로 에어백 모듈 장착각에 맞게 벤딩되도록 함으로써,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백모듈이 그 장착각대로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3) 에어백 도어의 측면쪽에 좌우슈트를 별도로 장착함과 함께 에어백 하우징과 상하슈트를 엇갈리게 장착하고, 에어백 하우징이 못 미치는 상단부위는 상하슈트와 좌우슈트간이 자가클립 구조에 의하여 서로 체결되게 함으로써, 상하 및 좌우슈트가 독립적으로 설치됨에 따른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Claims (9)

  1. 에어백 도어와 크러쉬패드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되, 크러쉬패드 금형각에 맞게 에어백 도어를 사출 성형할 수 있는 금형의 구비 단계와;
    금형의 에어백 도어용 캐비티와, 크러쉬패드용 캐비티에 사출액을 동시에 주입하여, 크러쉬패드와 에어백 도어가 일체가 되도록 사출 성형하되, 에어백 도어의 저면에 상하슈트가 일체가 되도록 하는 사출 성형 단계와;
    서로 일체가 된 크러쉬패드와 에어백 도어 제품의 취출 단계와;
    상기 제품 취출 단계후, 상기 에어백 도어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하슈트를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의 장착각과 일치되도록 벤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구비 단계는:
    하형의 상면에 형성된 중공부에 크러쉬패드 금형각과 일치되는 각도로 사이드금형을 내설하는 단계와;
    상기 사이드금형에 슬라이드 금형을 밀착시키고, 각 슬라이드 도어 사이에 빼기용 금형을 내설하는 단계와;
    상기 하형의 상면에 상형을 체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 단계는:
    상기 상형의 저면과, 상기 사이드금형과 슬라이드금형과 빼기용 금형의 상면 사이공간이 되는 에어백 도어용 캐비티에 TPO재질의 사출액을 주입하는 단계와;
    동시에 상기 상형의 저면과, 상기 하형의 상면 사이공간이 되는 크러쉬패드용 캐비티에 PPF재질의 사출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통하여,
    상기 크러쉬패드용 캐비티에서 크러쉬패드가 성형되고, 이 크러쉬패드와 일체가 되면서 상기 에어백 도어용 캐비티에서 에어백 도어가 성형되는 동시에 상기 사이드금형과 그 옆쪽의 슬라이드 금형 사이공간에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저면에 일체가 되도록 상하 슈트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품 취출 단계는:
    상기 상형을 탈형시킨 다음, 상기 빼기용 금형을 아래쪽으로 빼내는 동시에 그 옆쪽의 슬라이드 금형이 에어백 도어 및 상하슈트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서로 일체로 성형되어진 크러쉬패드 및 에어백 도어 제품을 취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저면에 상하 슈트가 일체로 성형될 때, 상기 에어백 도어와 상하슈트의 일체가 되는 부분에 2단계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 제조 방법.
  6. 크러쉬패드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에어백 도어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의 저면에 크러쉬패드 금형각에 맞게 일체로 형성되는 상하 슈트와;
    상기 에어백 도어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의 장착각에 맞게 상하슈트를 벤딩시킬 수 지점이 되도록 상기 상하 슈트의 상단 내측면에 형성된 2단계 홈과;
    상기 상하슈트의 양측부에 별도로 결합되는 좌우슈트; 로 구성하여,
    상기 상하슈트 및 좌우슈트에 에어백 하우징이 삽입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좌우슈트의 전단 및 후단부에는 노치가 형성되고, 이 노치에는 상기 전후슈트에 형성된 체결홀에 끼워지도록 체결턱을 갖는 체결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단과 후단은 상기 상하슈트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양측단은 상기 좌우슈트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승객용 에어백 도어.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하슈트에는 에어백 하우징 결합용 홀이 관통 형성되고, 이 에어백 하우징 결합용 홀에 끼워지도록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전단 및 후단의 외측면에는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용 에어백 도어.
KR1020060106046A 2006-10-31 2006-10-31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 KR100828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046A KR100828817B1 (ko) 2006-10-31 2006-10-31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
DE102006058546A DE102006058546A1 (de) 2006-10-31 2006-12-12 Airbagklappe für einen Beifahrersit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CN2006101694602A CN101172386B (zh) 2006-10-31 2006-12-15 乘客座椅气囊门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046A KR100828817B1 (ko) 2006-10-31 2006-10-31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736A KR20080038736A (ko) 2008-05-07
KR100828817B1 true KR100828817B1 (ko) 2008-05-09

Family

ID=3926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046A KR100828817B1 (ko) 2006-10-31 2006-10-31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28817B1 (ko)
CN (1) CN101172386B (ko)
DE (1) DE10200605854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0501B2 (en) 2010-12-03 2014-12-02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crash pad for vehicle and crash pad manufactured thereby
CN107627643A (zh) * 2017-10-11 2018-01-26 上海蓥石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侧出风口叶片的制作工艺
US10093267B2 (en) 2016-03-15 2018-10-09 Hyundai Motor Company Crash pad for vehicle having integrated airbag door and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1150728A1 (en) * 2020-01-22 2021-07-29 Inoac Usa, Inc. Airbag chute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982B1 (ko) * 2009-08-20 2015-1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도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DE102016007253A1 (de) * 2016-06-15 2017-1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Armaturenbrettanordung für ein Fahrzeug, Fahrzeug mit der Armaturenbrett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rmaturenbrettanordnung
DE102016213963A1 (de) 2016-07-28 2018-02-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uteilverbundes für ein Kraftfahrzeug, Bauteilverbund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mit dem Bauteilverbun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112A (ko) * 1998-02-19 2001-05-15 마이클 피. 오루키 에어백 커버 조립체와 그 제조방법
JP2002225663A (ja) 2001-01-29 2002-08-14 Toyota Auto Body Co Ltd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31077A (ja) 2003-01-30 2004-08-19 Mitsuboshi Belting Ltd エアバッグドア一体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成形型
US20060082109A1 (en) 2004-10-20 2006-04-20 Hier Michael J Method of making an automotive trim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airbag do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912081A (pt) * 1998-07-16 2002-01-29 Textron Automotive Co Inc Componentes de interior de veìculo a motor
JP2000177525A (ja) * 1998-12-21 2000-06-27 Inoac Corp エアバッグドアの構造及びエアバッグドアの製造方法
CN1684810B (zh) * 2002-09-30 2010-05-05 大发工业株式会社 气囊盖体的成形装置
CN1922059A (zh) * 2004-02-17 2007-02-28 福罗西内空间体系有限公司 气囊组件
JP2006001326A (ja) * 2004-06-15 2006-01-05 Takata Corp エアバッグカバー、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112A (ko) * 1998-02-19 2001-05-15 마이클 피. 오루키 에어백 커버 조립체와 그 제조방법
JP2002225663A (ja) 2001-01-29 2002-08-14 Toyota Auto Body Co Ltd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31077A (ja) 2003-01-30 2004-08-19 Mitsuboshi Belting Ltd エアバッグドア一体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成形型
US20060082109A1 (en) 2004-10-20 2006-04-20 Hier Michael J Method of making an automotive trim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airbag do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0501B2 (en) 2010-12-03 2014-12-02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crash pad for vehicle and crash pad manufactured thereby
US10093267B2 (en) 2016-03-15 2018-10-09 Hyundai Motor Company Crash pad for vehicle having integrated airbag door and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7627643A (zh) * 2017-10-11 2018-01-26 上海蓥石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侧出风口叶片的制作工艺
WO2021150728A1 (en) * 2020-01-22 2021-07-29 Inoac Usa, Inc. Airbag chute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332095B2 (en) 2020-01-22 2022-05-17 Inoac Usa, Inc. Airbag chute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8736A (ko) 2008-05-07
DE102006058546A1 (de) 2008-05-08
CN101172386B (zh) 2012-09-05
CN101172386A (zh)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817B1 (ko) 승객용 에어백 도어 및 그 제조 방법
EP0904994B1 (en) Interior member having an airbag door section for use in vehicles, and its molding method
US5183615A (en) Molding method of air bag cover
JP3298503B2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用内装部材
JP6713396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ドア及びハウジング一体型クラッシュパッド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5947511A (en) Integrally molded air-bag cover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926842B2 (en) Airbag for front passenger seat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762362A (en) Automotive air bag cover and method of molding same
JPH10250519A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成形方法
EP1393990B1 (en) Air-bag-door-equipped vehicle interior trim artic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3765166B2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用内装部材
EP073491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ad
JP3430915B2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用内装部材
JP2007160886A (ja) エアバッグドア部付車両用内装品の成形方法
KR100986529B1 (ko) 차량의 크래쉬패널 및 그 성형방법
KR20120137822A (ko)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153232A (ja) 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JP3922122B2 (ja) 自動車内装品本体
JP4832103B2 (ja) 溝状模様を有する表皮一体発泡品の製造方法
JP3899903B2 (ja) 自動車内装品本体の製造方法
JP3440706B2 (ja) エアバッグ装置用カバー体の製造方法
JP4067355B2 (ja) 自動車内装品本体
JP3879609B2 (ja) 自動車内装品本体の製造方法
WO2022022389A1 (zh) 加工装置和注塑成型方法
JPH0577278A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