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482B1 -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482B1
KR100828482B1 KR1020027000929A KR20027000929A KR100828482B1 KR 100828482 B1 KR100828482 B1 KR 100828482B1 KR 1020027000929 A KR1020027000929 A KR 1020027000929A KR 20027000929 A KR20027000929 A KR 20027000929A KR 100828482 B1 KR100828482 B1 KR 100828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solution
wavelength
absorbance
electroless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911A (ko
Inventor
지바다다시
요시카와가즈키
다치바나신지
몬덴고지
Original Assignee
우에무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무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무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33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75Process conditions
    • C23C18/1683Control of electrolyte composition, e.g. measurement, adjus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2Condition responsive contr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Abstract

무전해 복합 도금액을 자동분석하고,적절한 액조성 및/ 또는 사용 조건에 자동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도금액 중의 금속성분의 액중 농도를 흡광 광도법에 의하여 측정하는 수법으로서,자동으로 도금액을 분석 셀내에 도입한 후,적어도 2개이상의 다른 파장으로 투과율 또는 흡광도를 측정하는 기구와,그 측정치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농도를 연산처리에 의하여 산출하여 결과를 표시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
Figure 112002002003326-pct00004
무전해 복합 도금액, 흡광도, 도금액.

Description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AUTOMATIC ANALYZING/CONTROLLING DEVICE FOR ELECTROLESS COMPOSITE PLATING SOLUTION}
본 발명은,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금 품질에 대한 요구는 해마다 고도화되고 있고,도금액의 적절한 관리는 생산현장의 큰 부담으로 되고 있지만,한편에서는,가격경쟁에 따른 비용삭감 노력의 일환으로서 도금처리의 자동화가 추진되고 있으며,이 결과로서,도금액의 자동관리장치는 필요 불가결하게 되고 있다.
특히 근래의 도금산업에 있어서, 무전해도금,특히 무전해 니켈도금의 수요는 매우 많고,광범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이 무전해 도금은 전기도금에 비하여 매우 높은 분석 빈도가 필요하고,동시에 보급 빈도도 매우 높기 때문에,예전부터 자동분석과 자동보급을 조합시킨 액관리장치가 개발되어,실용화되고 있다.그리고,무전해도금 설비의 중요한 요소로서 폭넓은 사용자에게 이미 침투하고 있다.
상술의 장치에 관한 내용은,「도금욕의 자동관리」(표면기술,Vol.34,No.6,1983)나 「무전해 도금욕의 자동관리」(실무표면기술,Vol.31,No.10,1984)등의 문헌에서 해설되어 있다.
도금액에는 여러가지 성분이 배합되어 있는데,자동 액관리장치에서 분석하는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보급의 목표로 하는 성분이나 도금품질을 확보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성분 등,극히 한정된 성분만을 분석하고 있는 것이 많고,전체성분을 분석하는 것은 개무하다고 할 수 있다.
만일 자동 액관리장치에서는 분석하고 있지 않지만,정기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는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수동분석을 행하여,필요가 있으면 조정을 행하게 되지만,현실적으로는,대부분의 성분이 전혀 분석 및 관리는 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무전해 니켈 도금액의 자동 액관리장치에 있어서도,분석되는 성분으로서는 Ni농도와 pH의 두 성분인 것이 많다.특히,무전해 니켈도금에서는 Ni농도의 관리는 가장 중요하다.무전해 니켈도금을 행하면,Ni성분은 소모하여 서서히 농도가 저하되기 때문에,Ni농도를 기정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Ni성분을 순서대로 보급하는데,이 Ni성분의 보급량을 목표로 그 외의 성분도 비례적으로 보급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액관리수단으로 되고 있다.환언하면,모든 성분을 이상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Ni농도가 이용되고 있기때문에,액관리에 있어서의 Ni농도의 분석 정밀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Ni농도의 분석방법으로서는 킬레이트 적정법이나 흡광 분석법이 일반적인데,현재,무전해 니켈도금의 자동 액관리장치에서는 흡광 분석법이 일반화되고 있다.흡광 분석법은,기기분석에 의한 조성분석의 수단으로서는 역사적으로 매우 오래되고,용액의 색을 비교함으로써 농도를 측정하는 비색법으로부터,단색광에 가까운 매우 좁은 범위의 파장의 빛을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는 분광 광도법까지 다양한 수법이 있다.그 원리나 해석 수법 등은,「기기분석 가이드북」(사단법인 일본 분석 화학회편,마루젠(주)발행,1996년 7월 10일)이나 「정량분석의 실험과 계산」등(다카기세이지 편저,교리쓰 출판(주)발행,초판,1961년 11월 5일)등에서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구체적으로 무전해 니켈도금액 중의 Ni농도를 흡광분석법으로 정량 분석하는 경우에는,가시광영역의 녹색계의 파장에 있어서의 광의 흡수정도를 측정하고 있다.
무전해 니켈도금액에는 각종 착화제가 배합되어 있고,Ni성분은 Ni착이온으로서 존재하고,그 Ni착체는 녹색계의 파장범위의 광을 강하게 흡수하고,이 파장 범위에서의 흡광도와 Ni농도에는 양호한 비례관계가 존재한다.이 특징을 이용하여 고정밀도로 정량분석이 행하여진다.특정한 파장 범위에서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광을 분광할 필요가 있는데,장치의 대부분은,간섭 필터로 광을 선택하는 수법을 채용하고 있다.이 외에,회절 격자나 프리즘 등을 이용한 모노크로미터를 사용하여 단색광에 매우 가까운 파장을 얻는 방법도 있는데,기구적으로 복잡해지고,비교적 고가가 되는 것,또,종래의 액관리장치에 요구되는 Ni농도의 분석 정밀도에 있어서, 그다지 높은 분광정도는 필요없었기때문에,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무전해 도금에 한정되지 않고,자동 액관리장치나 액분석방법으로서 흡광 분석법을 이용하는 사례는 매우 많고,특허 조사에 있어서도 다수의 출원이 확인된다.
그러나,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 액관리장치에 있어서의 측정방법에 관한 제안사례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이미 무전해 도금액의 자동액 관리장치는 실용화되어,보급되고 있는데,무전해 복합 도금액을 관리하는 목적에서,기존의 액관리장치를 유용한 경우,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우선,무전해 니켈 도금액의 경우,기존의 장치에서는 Ni농도의 측정방법에 흡광 분석법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그 때,측정하는 광의 파장은 Ni착체에 기인하는 광의 흡수가 있는 파장에서 측정이 행하여진다.그 대부분은,가시광 영역(VIS,파장범위 400∼750nm)에 있어서의 하나의 파장에서의 측정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복합 도금액을 측정하는 경우에는,입사하는 광은,직진하여 투과·흡수되는 광뿐만 아니라,현탁입자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이나 회절·산란되는 광이 발생한다.이 현탁입자에 의한 반사광이나 회절·산란광은,외관상은 투과광의 감소가 되고,목적 성분에 의한 흡광에 의하여 투과광이 감소한 것과는 구별되지않아,결과적으로 목적 성분이 많이 존재하는 것처럼 오인해 버린다.또,이 현탁 입자의 영향정도는 현탁 입자의 종류,입도 분포,농도 등에서 변화하고,또,도금액의 여러가지 요인에서도 변화할 수 있다.예를 들면,도금액을 특정한 경우에는,현탁 입자의 영향은 비교적 안정되기 때문에 일정치를 탁도에 의한 투과율의 감소로서 예상해둠으로써,비교적 정밀도 좋게 성분농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그러나,무전해 도금액은 사용함으로써 조성이 크게 변동하기때문에,그 영향을 보정할 필요가 있어, 일정치로 탁도의 영향을 예상해 두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특이한 불량이 발생한 경우,예를 들면,미립자가 특이적인 뛰어들기 성분으로 분산불량을 일으킨 경우는,탁도가 현저히 변화하여 목적 성분의 분석 결과에 큰 오차가 생긴다.또,마찬가지의 문제로서,도금액의 샘플링 기구의 상태가 좋지 않고,균일하게 미립자가 분산된 도금액을 채취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도,중대하고 치명적인 분석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종래 장치에 있어서의 분석수법의 상태에서는,필요로 하는 정밀도와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은,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이와 같이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분석에 있어서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에는 몇가지 있지만,각각 결점이 있다.
예를 들면,도금액에 분산하는 미립자를 필트레이션이나 침강,원심 분리 등으로 분리하고 나서 측정하는 방법은,분리를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하기 위한 기구에 곤란함이나 비용 단점이 수반하는 것외에,분석에 따라서 도금액이 낭비되기 때문에 액조정이 매우 어려워진다.또,분석방법을 킬레이트 적정법으로 분석하는 방법도 있지만,장치가 매우 복잡화하고,더욱이,정밀도 확보에는 매우 정밀하고 신뢰성이 높은 샘플링장치가 필요하게 된다.게다가,분석에 의한 폐액이 다량으로 발생하거나,지시약이나 적정액 등의 분석용의 소모약품이 필요한 등,흡광 분석법과 비교하여 마이너스 인자가 매우 많이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무전해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와 같이,도금액을 분석용으로 가공하거나,낭비하는 일이 없이,가능한 그대로 측정하여,도금조(槽)로 되돌리는 순환 사이클로 하는 것이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무전해 복합 도금액,특히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 중의 Ni농도를 분석하는 수법에 있어서, 플루오르수지(PTFE,FEP,PFA,TFE 올리고머 등),플루오르화 흑연(CF),그라파이트,알루미나(AlO),탄화규소(SiC),질화붕소(BN)등으로 대표되는 현탁 입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분석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여,실용상 충분한 분석 정밀도를 확보할 수가 있고,게다가 저렴한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무전해 도금액에,플루오르수지 미립자를 비롯하여,플루오르화 흑연,그라파이트,알루미나,탄화 규소,질화붕소 등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무전해 복합 도금액을 자동분석하고,또한,그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보급이나 액조정을 행하는 자동분석·관리장치에 있어서, 필요한 분석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한 분석 방법 및 장치상의 각종 고안을 제공하는 것으로,상술한 바와 같이,무전해 복합 도금액중의 석출 금속이온의 농도를 흡광 광도법에 의해 정량분석하는 데 있어서 장해가 되고 있는 주된 요인은,공석(共析)시키기 위해 도금액 중에 분산시키고 있는 미립자에 의한 탁함이다.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특징적인 2개이상의 측정 파장으로 흡광도 측정을 행하여,얻어진 값을 연립 방정식에 의해 연산처리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석출금속 이온농도를 필요한 정밀도로 도출할 수 있는 것,또한 이 방법에 의거하여 자동분석·관리 장치를 만들어 내는 가운데,측정 오차가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가 생겼지만,이 대책으로서 특징적인 도금액의 샘플링기구나 측정조건,장치의 동작조건 등의 연구를 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은 것으로부터,본 발명을 이루게 되었다.
따라서,본 발명은,하기의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를 제공한다.
(1)무전해 복합 도금액을 자동분석하고,적절한 액조성 및/ 또는 사용 조건에 자동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도금액 중의 금속성분의 액중 농도를 흡광 광도법에 의해 측정하는 수법으로서,자동으로 도금액을 분석셀내에 도입한 후,적어도 2개이상의 다른 파장으로 투과율 또는 흡광도를 측정하는 기구와,그 측정치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농도를 연산처리에 의하여 산출하여 결과를 표시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
(2)측정 파장의 적어도 1개의 파장이 반값 폭 1∼100nm 이하로 분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1)기재의 자동분석·관리장치.
(3)측정 파장의 조합이,적어도 1개의 측정파장으로서 250∼350nm 또는 450∼550nm의 파장범위를 선택하고,이 파장과 중복되지 않는 그 외의 측정파장으로서,그 적어도 1개의 측정파장으로서 350∼450nm 또는 550∼800nm의 파장범위를 선택한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기재의 자동분석·관리장치.
(4)분석셀내에 도금액을 자동으로 도입한 후,투과율 또는 흡광도의 측정 을 개시하기까지 15초 이상의 정치(靜置)시간을 확보하도록 측정 타임 테이블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1),(2) 또는 (3)기재의 자동분석·관리장치.
(5)정기적으로 분석셀 내에 순수(純水)를 도입하여 분석셀내를 세정함과 동시에,셀내에 이 순수를 채운 상태에서 설정하고 있는 측정파장에 있어서 투과율 또는 흡광도의 측정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그 후 같은 순수에서의 측정을 행하기까지의 시간내에 실시되는 도금액에서의 투과율 또는 흡광도의 측정치에 대해서 이들의 측정치를 100%투과율 또는 흡광도 제로의 기준치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1)∼(4)의 어느 1항 기재의 자동분석·관리장치.
(6)분석셀에 도금액을 도입하는 샘플링 경로의 도중에,샘플링배관의 단면적보다도 2배 이상의 단면적을 가지는 수직방향으로 긴 도금액 체류부분을 가지고,그 도금액 체류부분의 입구를 상부에 설치하고,출구를 하부에 설치함으로써,도금액에 싸여진 미세한 거품을 분석셀내에 들어가지 않게 하기위한 트랩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1)∼(5)중 어느 1항 기재의 자동분석·관리장치.
(7)무전해 복합 도금액이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으로,이 도금 액 중의 니켈성분을 측정하도록 한(1)∼(6)중 어느 1항 기재의 자동분석·관리장치.
도 1은 PTFE를 함유하지 않는 무전해 니켈 도금액에 있어서, Ni농도를 0∼5g/L로 변화시킨 경우의 측정파장과 흡광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다.
도 2는 PTFE를 복합재 입자로 하고,금속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무전해 도금액(Ni농도 0g/L)에 있어서, PTFE농도를 0∼10g/L로 변화시킨 경우의 측정파장과 흡광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PTFE를 복합재 입자로 하는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에 있어서, Ni농도를 5g/L로 일정하게 하고,PTFE 농도를 0∼10g/L로 변화시킨 경우의 측정파장과 흡광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PTFE를 복합재 입자로 하는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에 있어서, PTFE 농도를 0∼10g/L로 변화시킨 경우의,파장 400nm에서의 Ni농도와 흡광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PTFE를 복합재 입자로 하는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에 있어서, Ni농도를 0∼5g/L로 변화시킨 경우의,파장 400nm에서의 PTFE 농도와 흡광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PTFE를 복합재 입자로 하는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에 있어서, PTFE 농도를 0∼10g/L로 변화시킨 경우의,파장 520nm에서의 Ni농도와 흡광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PTFE를 복합재 입자로 하는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에 있어서, Ni농도를 0∼5g/L로 변화시킨 경우의,파장 520nm에서의 PTFE 농도와 흡광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자동분석·관리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9는 동일 장치의 측정부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동일 장치를 이용하여,Ni농도를 일정하게 하고,PTFE 농도를 변화시킨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에 관하여 측정한 파장 660nm의 흡광도와 파장 520nm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동일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에 관한 K값과 Ni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동일 장치를 이용하여,Ni농도를 일정하게 하고,PTFE 농도를 변화시킨 다른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에 관하여 측정한 파장 660nm의 흡광도와 파장 520nm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동일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에 관한 K값과 Ni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을 연속적으로 행한 경우에 있어서의 턴 수(MTO)와 Ni농도 측정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을 연속적을 행한 경우에 있어서의 턴수와 pH 측정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턴보정계수를 산출하기 위한 그래프로,턴 수와 Ni농도 표준값-오차값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7은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을 연속적으로 행한 경우에 있어서의 턴 수와 520nm에서 측정한 탁도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 장치를 조립한 무전해 복합 도금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 장치를 조립한 무전해 복합 도금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는,도금액 중의 금속성분의 액중 농도를 흡광 광도법에 의해 측정하는 수법으로서,자동으로 도금액을 분석셀내에 도입한 후,적어도 2개 이상의 다른 파장으로 투과율 또는 흡광도를 측정하는 기구와,그 측정치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농도를 연산처리에 의해 산출하여 결과를 표시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무전해 복합 도금액으로서는, 무전해 도금액에 수불용성의 복합재 입자를 분산시킨 것으로,무전해 도금액으로서는, 차아인산나트륨,디메틸아민보란 등의 붕소계 환원제 등을 환원제에 이용한 무전해 니켈도금액,무전해 니켈-코발트 도금액,무전해 코발트 도금액,무전해 구리 도금액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또,복합재로서는, 플루오르수지 PTFE,FEP,PFA,TFE 올리고머 등),플루오르화 흑연(CFx),그라파이트,알루미나(AlO),탄화규소(SiC),질화 붕소(BN)등이 예시된다.이와 같은 무전해 복합 도금액으로서,공지의 액조성의 것,시판욕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특히 본 발명은,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 중의 니켈성분의 측정에 적합하게 채용된다.여기서,측정에 이용되는 무전해 복합 니켈도금액 조성은,한 정되는 것은 아니지만,일례를 들면,Ni이온농도가 1∼10g/L,특히 3∼7g/L,플루오르수지 등의 복합재입자가 30g/L이하,특히 10g/L이하로 함유되는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복합재 입자의 함유량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통상 0.5g/L이상,특히 1g/L이상이다.그 환원제는 차아인산나트륨 등의 차아인산염인 것이 바람직하고,그 농도가 5∼50g/L,특히 10∼30g/L이고,또 도금의 진행에 의해 차아인산염이 산화함으로써 발생하는 아인산나트륨 등의 아인산염이 0∼300g/L,특히 0∼200g/L의 넓은 범위에서 축적한 무전해 복합 니켈도금액에 대하여 본 발명법은 유효하게 채용된다. 또한, 이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의 pH는,통상 3∼9,특히 4∼8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상기 무전해 복합 도금액 중의 금속성분,예를 들면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의 경우이면 Ni성분을 분석할 때,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파장에서 투과율 또는 흡광도를 측정한다.즉,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의 경우이면,흡광도를 측정하는 광의 파장으로서,Ni농도를 측정하는 파장(예를 들면 660nm)과 그것보다도 짧은 파장 영역의 특정 범위의 파장(예를 들면 520nm)에서의 측정을 조합시킨 방법을 채용한다.
이하,환원제로서 차아인산나트륨,복합재 입자로서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입자를 이용한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무전해 Ni-P/PTFE 복합 도금액)을 대표예로서,2개 이상의 파장으로 측정하는 방법과 그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무전해 Ni-P/PTFE 복합 도금액으로서,우에무라 고교 (주)에서 시판되고 있는 상표명「니무프론」이라는 무전해 Ni-P/PTFE 복합도금약품을 이용하여,Ni농도나 PTFE농도를 의도적으로 변경한 샘플액을 작성하여,그것을 흡광 광도법으로 측정했을 때에 얻어진 흡수패턴의 대표예이다.
도 1에서는,PTFE 입자를 도금액에 부여하기 위한 약품인「니무프론F」라는 슬러리형상으로 한 PTFE용액(고형분농도 약 66w t%)을 첨가하지 않은 도금액에 있어서, Ni농도를 단계적으로 변경한 도금액에서 얻어진 흡수패턴을 정리한 것이다.여기에 있어서, Ni농도의 증가와 함께 350∼450nm 및 550∼800nm의 파장 범위에서 흡광도가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도 2는,Ni농도 0g/L로서,니무프론F(슬러리형상 PTFE용액)를 단계적으로 농도변경한 도금액에서 얻어진 흡수패턴을 정리한 것이다.PTFE농도의 증가와 함께 측정한 모든 파장 범위에 있어서 흡광도가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있고,특히 특징적인 것은 짧은 파장으로 됨에 따라서 흡광도의 증가경향이 가속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도 3은,Ni농도 5g/L로 일정하게 하여 도2의 경우와 같이,니무프론F(슬러리형상 PTFE용액)를 단계적으로 변경한 도금액에서 얻어진 흡수패턴을 정리한 것이다.도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Ni에 기인하는 흡수가 350∼450nm 및 550∼800nm의 파장 범위에서 확인되지만,PTFE농도의 증가와 함께 측정한 모든 파장 범위에 있어서 흡광도가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있고,짧은 파장으로 됨에 따라서 흡광도가 가속도적으로 증가하는 특징적인 경향도 확인되었다.
이 도 3의 흡수패턴은,Ni농도 5g/L의 무전해 도금액의 흡수패턴에 PTFE농도변화에 따른 도2에서와 같은 흡수패턴을 합산한 흡수패턴으로서 이해할 수가 있다.이것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예로서,400nm과 520nm에 있어서 측정된 흡광도에 관하여,Ni농도 또는 니무프론F농도(또는 PTFE농도)에 대한 관계로 정리한 것이 도 4∼7이다.이것에 의해,흡광도의 변화는 Ni농도 및 PTFE 농도의 쌍방에 대하여 매우 양호한 비례 관계가 있고, 소위,임의의 Ni농도와 입자농도에 있어서의 흡광도는 도금액 중의 금속이온농도 및 분산입자에 의한 탁도의 합산으로서 이해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그리고,이것으로부터 사전에 쌍방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측정(검량선 작성)을 행하여 두면 탁도의 악영향을 회피하여,목적으로 하는 Ni농도가 측정 가능하게 되는 것이 시사되었다.
그러나,무전해 복합도금에 있어서, 분산입자의 농도나 그 탁도는 사전의 설정조건 이외의 요인,예를 들면,도금액을 사용하는 것이나 샘플의 상황 등의 여러가지 요인으로 변동하기때문에,측정시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정확성으로 수시 파악하여 연산처리에 반영시키지 않으면 오차가 커진다.이 방법으로서,2개 이상의 파장조건에 있어서 측정된 결과를 기초로,2개의 미지의 값인 Ni농도와 분산입자의 존재에 유래하는 탁도를 연립 방정식을 풀므로써 도출시킨다는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도 1∼7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여러가지 측정파장의 조합에 의한 검량선을 작성하여,임의의 도금액을 상정했을 때의 오차의 발생 정도를 검토하 였다.그 결과,Ni농도의 변동이나 탁도의 변동에 대하여 필요한 정밀도로 Ni농도를 산출할 수 있는 조합으로서,우선,2개의 측정파장으로 측정을 행하는 방법으로서는, 제1파장으로서,Ni의 흡수가 있는 350∼450nm 또는 550∼800nm의 파장범위,보다 바람직하게는 370∼430nm 또는 600∼770nm,가장 바람직하게는 390∼410nm 또는 640∼740nm의 파장범위 중의 임의의 파장에서의 측정과,제1파장과는 중복되지 않는 제2파장으로서 250∼350nm 또는 450∼550nm의 파장범위,보다 바람직하게는 275∼335nm 또는 480∼535nm,가장 바람직하게는 300∼320nm 또는 500∼535nm의 파장범위 중의 임의의 파장에서의 측정을 조합시키는 것이,오차의 발생을 작게 할 수 있는 파장의 조합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본 발명에 있어서는,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금속이온,예를 들면 니켈이온농도를 일정하게 하고,복합재,예를 들면 PTFE농도가 다른 복수종(바람직하게는 3종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4종 이상)의 도금액에 관하여,제1파장(WL1)의 흡광도(A)과 제2파장(WL)의 흡광도(A)를 각각 측정하여,흡광도(A1)와 (A)와의 관계로부터 하기의 관계식을 구한다(또한,A>A 로 한다).
y=αx+β
x:제2파장의 흡광도
y:제1파장의 흡광도
α,β:계수
한편,상기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금속이온,예를 들면 니켈이온농도를 변화시키고,복합재,예를 들면 PTFE농도도 각종 변화시킨 복수종(바람직하게는 3종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6종이상)의 도금액에 관하여,마찬가지로 흡광도(A) 및 (A)를 측정하고,K값과 금속이온농도와의 관계로부터 하기의 관계식을 구한다.
M=γK-δ
M:금속이온농도
K:제1파장의 흡광도-α×제2파장의 흡광도
γ,δ:계수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K값과 금속이온농도와의 관계식으로부터,제1 및 제2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금속이온농도가 구해지는 것이다.
합금계의 복합 도금액의 경우, 또한 제1의 금속이온에 대하여 이것과 합금화하는 제2의 금속이온을 더한 관계식을 미리 구해둠으로써,이들 금속이온농도가 구해진다.예를 들면 제3의 파장을 설정하고,제2의 금속 이온에 의한 흡광도에의 영향을 더한 관계식으로서 구할 수가 있다.
또,구리나 코발트의 복합 도금액의 경우는,니켈일 때와 마찬가지로,구리나 코발트에 관하여 흡수성이 있는 파장과 구리나 코발트에 관하여 흡수성이 없는 파장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금속이온농도를 정밀도 좋게 분석할 수 있다. 구리의 경우, 2가의 구리이온으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실제로 장치를 실용화할 때에 특정의 파장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분광이 필요하게 되는데,그 방법으로서 간섭필터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저렴하고 심플한 장치구조로 할 수가 있다.그러나,간섭필터를 이용하여 분광을 하는 방법에서는 분광 정밀도가 문제가 되어,분광된 광은 어느 정도 파장에 폭이 생긴다.이것은 간섭필터의 파장의 반값폭으로서 표현되고,품질의 하나이다.이 반값폭이 좁은 것일수록 고가인 필터로 되기때문에,저렴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면 반값폭이 비교적 넓은 간섭 필터를 선택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중요해진다.그래서,본 발명을 실용화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분석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필요한 간섭필터의 품질로서,반값폭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그 결과,앞에 기술한 2개의 측정파장의 범위 중에서,가장 바람직한 파장범위의 임의의 파장을 중심값으로 하는 간섭필터를 상정하면,반값 폭 100nm이하이면 분석 오차는 허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바람직하게는 반값 폭 50nm 이하,가장 바람직하게는 20nm 이하인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후술하는 장치의 흡광도 측정유닛을 사용하여 실증 테스트를 진행하던 중,1nm 미만의 매우 좁은 반값폭의 간섭 필터를 이용한 경우는,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없었다.이 대책으로는,필연적으로 수광부의 성능향상이나 광원의 광량향상 등 비용이 걸리므로,간섭 필터의 반값폭을 무용으로 좁게 하는 것은 필터 자신의 비용상승이외에도 장치 비용을 인상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 명백해졌다.반값폭의 하한치로서는 1nm이상이 적당하고,보다 바람직하게는 5nm이상,가장 바람직하게는 10nm이상으로 판단된 것이다.
다음에,본 발명 장치의 일례에 관하여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9에 있어서, A는 연산처리나 각종 동작지시를 담당하는 제어부,B는 농도 측정부이고,이 측정부(B)에서 측정된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분석치가 상기 제어부(A)에 전달되고,이 분석치를 연산하여,그것에 따른 소정의 동작지시가 도금 장치에 부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A)에는,컴퓨터가 내장되고,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연산처리나 각종 동작지시 등을 행하는 것 외에,분석결과나 장치의 동작상황 등이 수시로 표시되는 표시기구를 가지고,또 장치의 동작 조건의 설정이나 수동조작 등도 포함하여 제어조건 설정을 이 부분에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또한,이 제어부에 통신 포트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를 접속하면,전용 소프트로 분석 결과의 데이터 처리나 동작 환경으로부터 동작지시 등 주된 제어를 모두 퍼스널 컴퓨터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각종 보급 유닛이나 도금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조절기와의 통신 등을,복수 동시에 제어하는 통신라인 등을 접속할 수도 있다.
상기 측정부(B)는,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광도 측정유닛(10) 및 pH셀(12)을 구비한다.pH셀(12)까지의 배관은 내경 3mm이고,pH셀(12)의 내경은 14mm로 되어 있다.이 pH셀(12)에는,KC1 포화용액을 공급·저장하는 칼럼(14)이 연결되어 있고,또 온도센서(16)를 구비한다.이 온도센서(16)의 어느 개소로부터 흡광도 셀(10a)를 통하지 않고 배관되는 튜브의 내경은,흡광도 셀(10a)에의 튜브 내경보다도 크게 하여,거품을 함유한 도금액은 흡광도 셀(10a)에 유통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광도 측정유닛(10)에는,도시되어 있지 않지만,흡광도 셀(10a)를 사이에 끼고 한쪽에는 수광부,반대측에는,셀(10a)측으로부터 차례로 2차 조리개,간섭필터,1차 조리개,광원램프의 순서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고,또한,간섭필터는 2종류를 자동으로 정밀도 좋게 자동 전환이 가능하도록,저속 모터의 축으로부터 부채꼴로 2매의 필터를 가능한 짧은 축으로 고정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모터가 정회전 및 역회전함으로써 광로내의 소정의 위치에 어느 한쪽의 필터를 이동시켜서 정지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도9에 있어서, 18은 샘플링 펌프,V1∼V8은 각각 전자밸브이고,전자밸브는 V1에는 순수 공급부가,V2에는 제1샘플 공급부가,V3에는 제2샘플 공급부가,V4에는 pH4 표준용액 공급부가,V5에는 pH7 표준용액 공급부가 각각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전자밸브(V6)은 드레인과,V7은 제1샘플 배출부와,V8은 제2샘플 배출부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그리고,상기 전자밸브(V1∼V5) 및 (V6∼V8)을 적절히 개폐하고,예를 들면 V2,V7을 열고,다른 것은 닫고,샘플링 펌프(18)를 작동시키면,제1샘플이,제1도금조로부터 V2를 통하여 pH셀(12)내에 유입,유통하고,제1샘플의 pH가 측정됨과 동시에,흡광도 측정유닛(10)에 유입,유통하고,V7로부터 제1도금조내에 유통한다.샘플링 펌프(18)를 정지한 후,6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그 후 흡광도 유닛(10)의 간섭필터를 전환하여,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흡광도를 모두 측정한 후,V2를 닫고 샘플링 펌프(18)를 소정시간 작동시키면, 도시되지않은 KCL 포화용액이 pH셀(12),흡광도 측정유닛 (10)내에 유입,유통하고,V7을 닫고 V6을 열어 드레인에 배출한다.이들의 동작을 적절한 간격으로 행한다.
또,상기 분석작동 후,정기적으로 교정,세정을 행한다.pH전극의 교정은,상기 KCL포화용액의 도입 후,V4를 열고,샘플링 펌프(18)를 작동하여,pH4 표준액을 pH 셀(12),흡광도 측정유닛(10)에 유통시키고,드레인에 배출 후,V4를 닫고,V5를 열어,마찬가지로 pH7 표준액을 유통,배출시킨다.그 후,상기 분석 동작을 행한다.또,세정 공정은,상기 KCL 포화용액의 도입 후,V5를 닫고,V1을 열어,순수를 pH 셀(12)에 유입,유통하고,흡광도 측정유닛(10)내에 유입,유통시키고 드레인에 배출함과 동시에,순수에서의 흡광도를 상기와 같이 하여 2개의 파장에 관하여 측정한다.
다음에,이 장치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실증시험을 행한 결과를 기술한다.
우선,측정파장인데,과거의 일반적인 무전해 니켈 도금액의 자동 분석,관리장치에서는 측정파장은 600∼800nm의 임의의 파장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이 이유는,광원 및 수광부의 성능에 있어서, 가시광 범위가 비교적 약간 긴 파장의 쪽이 충분한 수광량이 확보되기 쉬운 경향에 있기 때문으로,우선,본 발명자는 1개의 측정파장으로서 660nm의 파장을 선택하였다.또한,2번째의 측정 파장에는 앞의 기초 검토와 마찬가지로 520nm의 거의 Ni농도에 기인하는 흡수가 없는 파장을 선택하여,이 2개의 측정 파장에서의 검토를 행하였 다.
처음에,이 장치에 있어서의 검량선의 작성을,상술의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은 내용으로,무전해 Ni-P/PTFE 복합 도금의 수 종류의 타입의 도금액에 대하여 실시하였다.그 일례로서,상기와 같이 니무프론 도금액에서의 결과를 표1과 도 10,11,또한 베이스액 조성이 다른 니무프론 FUL도금액(우에무라고교(주)제)에서의 결과를 표 2와 도 12,1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2002003326-pct00001
Figure 112002002003326-pct00002
여기서, 도 10 및 도 12는, 각각 니무프론 및 니무프론 FUL도금액에 있어서, Ni농도를 일정하게 하고, PTFE농도를 변화시킨 샘플(샘플No. 5∼9)에서의, 파장 660nm의 흡광도(ABS)와 파장 520nm의 흡광도(ABS)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
도 10 : y=0. 7116x + 0. 2338, R2=0. 9964
도 12 : y=0. 6765x + 0. 2364, R2=0. 9905
의 관계가 부여된다.
한편,도 11 및 도 13은,각각 각 샘플 No.1∼9에서의 K값과 Ni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이 경우,K값은,
K값=ABS(660)-α×ABS(520)
(단,ABS(660):파장 660nm에서의 흡광도,
ABS(520):파장 520nm에서의 흡광도,
α:상기 도10,12로부터 얻어지는 관계식x의 계수,즉 도 10의 니무프론의 경우는 0.7116,도 12의
니무프론FUL의 경우는 0.6765)
로 표시된다. 따라서,도 11,13으로부터 각각
도 11:Ni=27.652×〔ABS(660)-0.7116×A BS(520)] - 1. 4267,R=0.9989
도 13 : Ni=22.857×〔ABS(660)-0.6765× ABS(520)]-0.811,R=0.9983의 관계식이 부여된다.
이 도 11,13에서 얻어지는 관계식은,니무프론 및 니무프론FUL에 있어서, 각각 실제로 Ni농도 및 PTFE농도가 미지의 샘플액에 있어서, 2개의 측정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했을 때에 얻어지는 2개의 흡광도,660nm에서의 흡광도(ABS660)와 520nm에서의 흡광도(ABS520)의 값을 이용하여,Ni농도를 구하는 검량선으로 이루어지는 방정식으로,장치에서 연산처리시킬 때에 이용하는 계산식이다.여기서 예시한 2종류의 무전해 Ni-P/PTFE 복합 도금액에서는,앞의 기초적인 검토 결과와 마찬가지로 Ni농도 및 PTFE농도에 대하여 양호한 비례관계가 존재하고,최종 계산식에서 도출된 Ni농도는,별도로,적정 분석에서 구한 값과의 차이는 최대에서도 0.04g/L로,매우 높 은 정밀도로 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로,만일 종래의 일반적인 무전해 도금용의 장치와 마찬가지로,1개의 파장,여기서는 660nm에서의 흡광도 측정으로부터 Ni농도를 계산한 경우,탁도에 의한 영향으로 어느 정도 오차가 생기는지를 시뮬레이션해 본 바,최대에서는 0.8g/L정도의 오차가 생길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었다.2개의 측정 파장을 이용함으로써 단순히 계산하면 약 20배나 분석 정밀도가 향상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어,효과가 매우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상기 장치를 이용하여,상기 관계식을 사용하고,실제로 무전해 복합 도금액을 자동으로 분석·관리시키는 시험을 행한 결과에 관하여 기술한다.대표예로서,무전해 Ni-P/PTFE 복합 도금인 니무프론 FUL 도금액(또한,PTFE농도는 4.0g/L이고,또한,얻어지는 무전해 도금 피막중의 PTFE함유량은 25vol%이었다.)을 이용하여,건욕시부터 연속적으로 Ni이온(황산니켈),차아인산나트륨,PTFE를 보급하여 이들 성분의 농도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수산화나트륨을 보급하여 pH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면서,MTO(턴 수,1턴이란 도금 욕 1L당 Ni2+가 4.46g 소비 내지는 석출된 시기를 나타내고,무전해 니켈 도금액의 노화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까지 런닝을 행하고,적절한 간격마다 Ni농도 분석을 행하였다. 또한, 도금액 용량은 50L이었다.결과를 표 3,도 14∼17에 나타낸다.예를 들면,도 16의 경우이면,직선식의 x의 계수,즉 0.1165를 Ni농도 표준치 4.5(g/l)로 나눈 값을 1턴의 보정계수로 할 수 있고,
1+(0.1165÷4.5)=1.026
을 1턴의 장치의 Ni농도를 곱한 값을 보정후의 Ni농도로 할 수가 있다.
Figure 112002002003326-pct00003
표3에는 분석결과의 대표적인 수치를 정리하고 있고,그 결과에 관하여,도 14에는 Ni농도에 관한 결과,도 15에는 pH에 관한 결과를 정리하고 있다.런닝 중의 도금액의 Ni농도를 수동분석으로 구한 값과 상기 장치의 분석에서 보정없음으로서 나타낸 값에는 그다지 큰 오차는 없었다.그런데, 런닝이 진행됨과 동시에 오차는 무시할 수 없는 레벨까지 커져 가는 경향이었다.이 원인은,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이 사용됨과 동시에 도금액 중에는 노화축적 성분으로서 아인산염이나 황산염이 축적되어감으로써 Ni착이온에 기인하는 흡광정도가 서서히 작아지기 때문에 생기는 오차이다.여기에서 예시한 패턴과는 반대로,흡광정도가 서서 히 커지는 타입의 무전해 복합 도금액도 있지만,그 경우는,노화 축적물에 의한 흡광정도의 저하를 상회할 정도로 착화제가 보급에 의하여 증가해 가는 타입의 무전해 도금액이기 때문으로,이 부분은 시판의 무전해 도금액이면,그 도금액의 성질을 사전에 파악해 두고,분석치에 대하여 적절한 보정을 하면 해결할 수 있다.실제로 여기에서 예시한 니무프론 FUL 도금액에서도,비례적인 보정 계수에 약간의 가산도 가한 일정한 보정을 실시하면,도 14의 보정후의 값은 수동 분석치에 대체로 중복되는 양호한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보정 계수의 산출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턴 수에 대해서 Ni 농도 표준치(예를 들면 4.5g/1)로부터 오차(즉,보정없음 장치의 분석치-수동 분석치)를 뺀 값을 플롯한 그래프에 관하여 비례관계가 존재하고,그 직선식으로부터 보정계수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도금액의 관리항목으로서 중요한 pH의 값이라도 장치에 의한 일정한 오차가 생기는데,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1.4턴 정도까지는 보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수동 분석치와 분석 장치에서의 값에는 약 0.06의 오차가 있었지만,이것을 보정한 후는 오차는 허용할 수 있는 레벨까지 작아지고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결과는,장치에 있어서 측정된 주로 탁도에 기인하여 변화하는 520nm의 측정 파장에 있어서 측정된 투과율에 관하여 턴과의 관계로 정리한 것이다.실제는,도금액 중에는 턴의 진행과 함께 보급에 의해 PTFE입자의 양은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이것은,투과율이 서서히 저하하는 것을 예상시키지만,실제로는 투과율은 서서히 상승하여 탁함이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낸 다.이 원인도 앞에서도 기술한 노화물의 축적에 의한 변화이다. 이 값의 변화는 약 2.6턴까지로 4% 가까운 큰 투과율의 변동이 되어 나타나고 있다.만일 이 변동을 무시하고 1개의 파장에서의 측정을 하고 있다고 가정하면,이 변동에 따른 오차는 약 1.0g/L 정도의 오차에 이르게 될 가능성이 있다.2개의 파장에서의 측정뿐만 아니라,종래부터 시판되고 있는 일반적인 무전해 도금용의 장치에 있는 기존의 각종 턴 보정 기능에 관해서는,베이스액이 무전해 도금액으로 공통되고 있는 이상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이 결과로부터 이해할 수가 있다.
한편,각종 도금액으로 런닝을 행하는 중에서 특이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그 문제란,Ni농도의 분석치가 돌연 이상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당초는 원인을 좀처럼 특정할 수 없었지만,원인의 조사·검토를 진행한 결과,이하의 요인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1)샘플링한 도금액 중에 포함되어 흡광 셀내에 수송되어 온 거품을,샘플링 정지 후,흡광도 측정까지의 짧은 시간내에 충분히 분리할 수 없었기 때문에 흡광도의 측정중에 값이 변동되기 쉬웠기때문에,결과적으로 분석 정밀도의 악화를 초래하였다.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요인으로서는, 복합 도금액의 종류나 도금액의 노화가 있다.
(2)약제의 보급 위치와 도금액의 샘플링 위치가 가깝기 때문에 보급된 약품이 충분히 확산 균일화되지 않은 채 샘플링이 행하여지고,결과로서,분석치가 이상하게 높아졌다.
(3)간섭필터의 전환기구의 안정성이 부족해 있어,장치에 대한 약간의 진 동 또는 충격으로 오차가 발생하였다.
그리고,이들 문제의 원인에 대하여,이하와 같은 대책이 유효하다.
(1)흡광셀에 거품이 들어가는 것을 가능한 억제하기 위해서,장치 배관내에서 도금액이 흡광셀에 이르기까지의 적당한 장소에서,샘플링 배관의 단면적보다도 2배 이상의 단면적을 가지는 수직방향으로 긴 도금액 체류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거품이 분리되기쉬워지는 트랩부분을 설치한다.구체적으로는,도금액이 pH 셀에 유입하는 입구를 pH 셀의 상부에 설치하는 한편,출구는 하부에 설치한다.pH셀에서는 샘플링튜브보다도 단면적이 매우 커지고 있으므로 유속이 극단적으로 저하되기때문에,이 부분에서,조금 큰 거품은 pH셀의 상부로 달아날 수가 있고,한편,pH셀 하부에서는 거품이 비교적 감소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그 하부측에 위치하는 흡광 셀에는 거품이 적은 도금액이 공급되기 쉬워진다.
(2)흡광 셀내에 들어간 거품의 영향을 가능한 배제하여 흡광 측정을 하기 위해서,도금액의 샘플링을 정지하고 나서,흡광 측정의 개시까지의 시간을 15초 이상으로 한다.
「샘플링을 정지하고 나서」란,예를 들면 도9의 장치에서는 제1 또는 제2샘플을 샘플링 펌프(18)에 의하여,흡광도 측정유닛(10)내로 유입시킨 후,샘플링 펌프(18)를 정지하고 나서라는 것을 의미한다.
(3) 약품을 자동 보급하는 위치에서 가능한 멀리 샘플링 위치를 설정한다.
(4) 간섭 필터 전환기구의 동작제어와 기계강도가 증가하는 개조를 행하여, 정지위치의 변동이나 진동·충격의 영향의 억제를 행한다.
이들의 개량에 의하여,이상한 분석치는 거의 발생하지 않게된다.특히 개선책(2)의 샘플링 정지로부터 흡광도 측정개시까지 정지시간 연장은 효과적으로,15초이상의 정치시간을 확보하면,거의 문제가 없을 정도까지 변동은 억제되었지만,보다 바람직하게는 30초 이상,가장 바람직하게는 60초 이상이다.이 정치시간은 가능한 좀 길게 설정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도금액의 분석 빈도에 대한 니즈로서는, 짧으면 120초 정도부터 존재하기 때문에,무용으로 장시간 정치할 수는 없다.
이 외에,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과제가 되는 특유의 문제로서는, 흡수 셀에의 분산입자의 부착오염이다.셀의 오염은 도금액 중의 분산입자와 마찬가지로 투과율 또는 흡광도가 변동하는 요인이다.본 발명의 복수의 측정파장으로 분석하는 것은,이 문제에 개선효과를 부여하는데,일반적인 무전해 도금액과는 비교할 수 없는 레벨에서 흡광 셀에 분산입자의 부착오염이 일어난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비교적 고빈도로 세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장치에 조립된 흡광 셀을 세정하는데는,장치로부터 셀을 떼어내는 등의 수고가 상당히 걸리고,게다가,부착된 오염은 제거하기 매우 어려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초음파 세정,산성(염산이나 질산 등) 또는 염기성(가성소다나 암모니아 등)의 용액이나 세제의 병용 및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 등을 이용한 세정 등이 필요하게 된다.장치에서는,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등의 설계상의 연구도 행하고있는데,자동분석·관리장치에 흡수 셀 내면의 자동세정을 위해서 초음파 장치나 상술한 각종 세정액을 이송하는 기구를 조립하는 것은 비용적으로 마 이너스가 크고,장치의 구조도 복잡해지고,산,알칼리,유기용매 등의 폐액발생 등은 사용자에게 큰 부담이 되며,결론적으로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복수의 측정파장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은,분석 대상의 도금액에 있어서의 탁도가 분석때마다 변동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필요 불가결하다.그러나,흡광 셀의 오염에 관해서는 비교적 완만하게 변화하는 경우가 많고,그 때의 문제의 대부분은 기준이 되는 순수에 있어서의 투과율 100% 또는 흡광도 제로의 기준이 변화하는 것에 의한 오차뿐이고,어느 정도는 2개 이상의 측정파장에서 측정하고 있음으로써 보정되어 버린다.이 때문에,1개의 흡수 셀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고,예를 들면 측정 파장마다 흡광 셀을 설치하는 흡광도 측정 유닛을 설계한 경우를 상정하면,순수에서의 기준치 측정후에 오염의 차이가 생기면 그 후의 분석치에 큰 오차가 생겨 버린다. 따라서,정기적으로 순수를 이용한 투과율 100% 또는 흡광도 제로의 기준치를 측정하는 것은 중요하고,1개의 셀을 이용한 상기 예의 장치에서는 이 문제는 충분히 완화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순수에서의 투과율/100×분석샘플의 투과율」로서,다음에 행하는 도금액의 분석 결과를 연산함으로써,흡광 셀의 오염에 의해 생기는 오차를 완화할 수가 있다.또,흡광 셀의 오염이 분석 결과에 영향이 나오는 것과 같은 간과할 수 없을 때까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전회의 순수에서의 투과율의 측정에서 순수에서의 투과율이 소정 이상(예를 들면,1%이상)으로 변동한 경우에 는,경보를 발하고,흡광셀의 세정 또는 교환을 촉구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8,19는,본 장치를 조립한 도금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즉,도 18은,주로 정량 펌프를 이용하여 주성분의 약액을 보급하도록 구성한 예이고,정량 펌프 형식의 장점으로서는, 설비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보급량을 동작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매회의 분석 결과에 대하여,보급량을 임의로 자동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 등을 들 수 있다.한편,도 19는,주성분의 약액을 칼럼에 의해 행하도록 한 예로,정량 펌프보다도 보급량의 칭량 안정성이 높은 것이 이점이다.
여기서,도 18에 있어서, 20은 도금조이고,오버플로우조(22)가 부설되어 있다.또,24는 정량펌프,26은 보급제(니켈염,환원제,착화제 등)탱크,28은 알칼리 공급탱크,30은 복합재 공급칼럼으로,보급제,알칼리,복합재가 오버플로우조에 공급되어,이것이 도금조내의 도금액에 유입되는 것이다.또,도 19에 있어서, 32는 정량 펌프,34는 보급칼럼으로서,주보급제를 칼럼을 이용하여 보급하는 것 이외는 도 18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한편,도 18,19에 있어서, 36은 냉각기구이고,여기서 실온까지 냉각된 도금액이 자동분석·관리장치(1)에 공급되어,상술한 바와 같이 분석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또한, 도면 중,38은 순수탱크,40은 pH4 표준액 탱크,42는 pH7 표준액 탱크이다.
상술과 같이,농도 측정부(B)의 분석치를 받아,제어부(A)가 분석 결과를 연산한다.이 분석 결과에 따라서,제어부(A)에 의하여 정량 펌프 (24),복합재 공급칼럼(30)의 작동제어가 행하여진다.예를 들면,분석 결과로부터 도금액 중의 금속농도가 부족해 있는 것을 알면,보급제 탱크의 정량 펌프(24)를 미리 설정되어 있던 시간 작동하여 정지시킨다.또는,보급제 탱크의 정량 펌프(24)를 작동하고,이후의 분석 결과에서 금속 농도의 부족이 해소된 것을 알면,상기 정량 펌프(24)를 정지하여도 좋다.pH 조정용의 알칼리 공급탱크의 정량 펌프(24)의 작동도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복합재 공급칼럼의 제어는,예를 들면 상기 보급제의 정량 펌프(24)의 작동회수가 소정회수가 된 경우에 1회 작동시키고,또는,상기 보급제의 정량 펌프(24)의 작동시간으로부터 도금액 중에 보급된 금속량을 산출하고,보급된 금속량이 소정량이 된 경우에 1회 작동시킴으로써,소정량을 도금액 중에 보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무전해 복합 도금액 중의 금속이온농도를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자동분석할 수가 있다.







Claims (7)

  1. 무전해 복합 도금액을 자동분석하고,적절한 액조성과 사용조건 중 한 가지 이상을 얻도록 자동관리하는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에 있어서,
    도금액 중의 금속성분의 액중 농도를 흡광 광도법에 의해 측정하기 위해,
    목적으로 하는 금속 이온에 대하여 흡수성이 있는 파장(제1파장)과, 이 제1파장과 중복되지 않는 파장(제2파장)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파장을 사용하여, 이들 파장에 의해 투과율 또는 흡광도를 측정하는 기구;
    제1파장 및 제2파장의 측정값과 아래의 식:
    제1파장의 흡광도=α×제2파장의 흡광도 +β
    의 연산 처리에 의해 계수 α, β를 산출하는 기구; 그리고
    제1파장의 흡광도-α×제2파장의 흡광도를 K값으로 한 경우, 이 K값과 표준 시료로서 미리 정량된 금속 이온의 농도(M)와의 관계에 있어서, 아래의 식:
    M=γK-δ
    의 연산 처리에 의해 계수 γ, δ를 산출하고, 이 γ, δ가 정해진 상기 식을 검량선으로 하여, 이 검량선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금속 이온의 미지의 농도를 구하고, 그 측정값을 표시하는 기구;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측정 파장의 적어도 1개의 파장에 대한 반값폭이 1∼100nm 이하로 되도록 분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측정파장의 조합이,적어도 1개의 측정파장으로서 250∼350nm 또는 450∼550nm의 파장범위를 선택하고,이 파장과 중복되지 않는 그 외의 측정파장으로서,그 적어도 1개의 측정 파장으로서 350∼450nm 또는 550∼800nm의 파장 범위를 선택한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분석 셀내에 도금액을 자동으로 도입한 후, 투과율 또는 흡광도의 측정을 개시하기까지 15초 이상의 정치시간을 확보하도록 측정 타임 테이블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정기적으로 분석 셀내에 순수를 도입하여 분석 셀내를 세정함과 동시에,셀 내에 이 순수를 채운 상태에서 설정하고 있는 측정파장에 있어서 투과율 또는 흡광도의 측정을 하는 기능을 가지고,상기와 같이 순수를 채운 상태에서 측정한 투과율 또는 흡광도의 측정치를, 다음번 순수를 채운 상태에서의 측정을 하기까지의 시간내에 실시되는 도금액에서의 투과율 또는 흡광도의 측정치에 대한 100% 투과율 또는 흡광도 제로의 기준치로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분석 셀에 도금액을 도입하는 샘플링 경로의 도중에,샘플링배관의 단면적보다도 2배 이상의 단면적을 가지는 수직 방향으로 긴 도금액 체류부분을 가지고,그 도금액 체류부분의 입구를 상부에 설치하고,출구를 하부에 설치함으로써,도금액에 싸여진 미세한 거품을 분석 셀내에 들어가지 않게 하기위한 트랩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무전해 복합 도금액이 무전해 복합 니켈 도금액이고,이 도금액 중의 니켈성분을 측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
KR1020027000929A 2000-05-22 2001-05-21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 KR100828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50474 2000-05-22
JPJP-P-2000-00150474 2000-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911A KR20020016911A (ko) 2002-03-06
KR100828482B1 true KR100828482B1 (ko) 2008-05-13

Family

ID=1865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929A KR100828482B1 (ko) 2000-05-22 2001-05-21 무전해 복합 도금액의 자동분석·관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30049169A1 (ko)
KR (1) KR100828482B1 (ko)
CN (1) CN100399012C (ko)
HK (1) HK1051568A1 (ko)
TW (1) TWI259215B (ko)
WO (1) WO20010907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013B1 (ko) 2016-02-15 2016-11-21 주식회사 베프스 금속성분의 액중 농도 지시체를 포함하는 도금액 및 이를 이용한 도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8848A1 (en) * 2003-05-23 2004-12-23 Akira Fukunag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substrate
US20080236619A1 (en) * 2007-04-02 2008-10-02 Enthone Inc. Cobalt capping surface preparation in microelectronics manufacture
CN103498134B (zh) * 2013-10-18 2015-11-18 北京吉阳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槽式化学镀设备及化学镀方法
CN103785314B (zh) * 2014-03-04 2016-05-11 厦门大学 一种混合器及流通式光度检测自动化分析仪
WO2017004303A1 (en) 2015-06-30 2017-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bulk, closely-fitting disposable absorbent pant for children
US10206823B2 (en) 2015-10-06 2019-0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with convenient lay-open featur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9081A (en) * 1986-08-25 1987-10-13 Harshaw/Filtrol Partnership Means for detecting and adjusting metal salt concentration in an electroless plating bath
JPH1090275A (ja) * 1996-09-12 1998-04-10 Hitachi Ltd 自動化学分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3329A (en) * 1931-01-22 1934-04-03 Hoover Co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liquefied refrigerant from freezing
JPS4860694A (ko) * 1971-11-27 1973-08-25
BE793263A (fr) * 1971-12-22 1973-06-22 Ici Ltd Procede de depot du cobalt
JPS52703B2 (ko) * 1972-03-31 1977-01-10
JPS5523433A (en) * 1978-08-09 1980-02-19 Toshiba Corp Automatic analyzer
US4229218A (en) * 1979-02-05 1980-10-21 Shipley Company Inc. Self-monitoring electroless plating solution
US4324589A (en) * 1979-02-05 1982-04-13 Shipley Company Inc. Solute monitoring process
US4353933A (en) * 1979-11-14 1982-10-12 C. Uyemura &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less plating bath
JPS6016517B2 (ja) * 1979-12-29 1985-04-25 上村工業株式会社 無電解めつき制御方法
JPS6344083Y2 (ko) * 1981-04-21 1988-11-16
CN85202765U (zh) * 1985-06-29 1986-04-30 上海自立仪器合作工厂 可直读浓度的双波长光度计
US4774101A (en) * 1986-12-10 1988-09-27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Technologies, Inc. Automated method for the analysis and control of the electroless metal plating solution
JPS6490275A (en) * 1987-09-30 1989-04-06 Ohtsu Tire & Rubber Co Ltd Emulsion type lustering agent
JPH0220149A (ja) 1988-07-08 1990-01-23 Fujitsu Ltd パケット通信における送受信制御方法
JPH0220149U (ko) * 1988-07-26 1990-02-09
JPH02110348A (ja) * 1988-10-20 1990-04-23 Fujitsu Ltd 金メッキ液の管理装置
JPH03104856A (ja) 1989-09-18 1991-05-01 Toyota Motor Corp 多孔質基板への成膜方法
JP2512828Y2 (ja) * 1990-02-08 1996-10-02 日本テクトロン株式会社 自動分析装置における水処理機構
JP2602760B2 (ja) * 1992-07-23 1997-04-23 石原薬品株式会社 無電解メッキ浴の自動管理方法
JPH0815266A (ja) * 1994-06-28 1996-01-19 Nippon Tectron Co Ltd 脱ガス装置
JP3211196B2 (ja) * 1995-06-08 2001-09-25 花王株式会社 配管内濁度評価装置
JPH10142143A (ja) * 1996-11-11 1998-05-29 Chuo Seisakusho Ltd 無電解ニッケルめっき液のニッケル濃度測定方法
JP3753815B2 (ja) * 1996-11-13 2006-03-08 株式会社中央製作所 無電解めっき液の金属イオン濃度測定方法
JPH10267935A (ja) * 1997-03-25 1998-10-09 Olympus Optical Co Ltd キュベット補正方法
JP3297650B2 (ja) * 1999-04-23 2002-07-02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半導体処理装置
JP3104856U (ja) * 2004-04-27 2004-10-14 史郎 本田 使い捨てのスリッパ用中敷
JP2007334463A (ja) * 2006-06-13 2007-12-27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補助記憶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9081A (en) * 1986-08-25 1987-10-13 Harshaw/Filtrol Partnership Means for detecting and adjusting metal salt concentration in an electroless plating bath
JPH1090275A (ja) * 1996-09-12 1998-04-10 Hitachi Ltd 自動化学分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013B1 (ko) 2016-02-15 2016-11-21 주식회사 베프스 금속성분의 액중 농도 지시체를 포함하는 도금액 및 이를 이용한 도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911A (ko) 2002-03-06
US20030049169A1 (en) 2003-03-13
TWI259215B (en) 2006-08-01
WO2001090727A1 (fr) 2001-11-29
HK1051568A1 (en) 2003-08-08
CN1383484A (zh) 2002-12-04
US20060078465A1 (en) 2006-04-13
US7507587B2 (en) 2009-03-24
CN100399012C (zh) 200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84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ting solution analysis and control
US7507587B2 (en) Automatic analysis and control system for electroless composite plating solution
US5364510A (en) Scheme for bath chemistry measurement and control for improved semiconductor wet processing
KR101248213B1 (ko) 에칭액 관리장치
KR101984674B1 (ko) 원유 시설의 부식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파라미터 측정 방법 및 장치
Barwell-Clarke et al. Institute of Ocean Sciences nutrient methods and analysis
KR101984682B1 (ko) 원유 시설의 부식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파라미터 측정 방법 및 장치
EP2096441A2 (en) Automatic analyzer
JP2017028089A (ja) 現像液の成分濃度測定方法及び装置、並びに、現像液管理方法及び装置
JP4654534B2 (ja) 無電解複合ニッケルめっき液の自動分析・管理装置
TWI695236B (zh) 顯影液之管理方法及裝置
JP6713658B2 (ja) 現像液の成分濃度測定装置、成分濃度測定方法、現像液管理装置、及び現像液管理方法
EP0536059A2 (en) Test kit an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metal ion concentration in solution
KR101229725B1 (ko) 편광판 염색액 조성물 농도의 자동관리장치 및 그 방법
JP3972015B2 (ja) 薬液装置
KR20180087124A (ko) 현상액 관리 장치
TWI695971B (zh) 測定器、蝕刻系統、矽濃度測定方法及矽濃度測定程式
US20200333304A1 (en) Colorimetric detection of fluoride in an aqueous sample
JPH0364482A (ja) めっき液の濃度測定方法と濃度調整方法および濃度調整装置
RU2393457C2 (ru) Оперативный/полевой анализ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раствора в процессе байера
TW201828333A (zh) 顯影液的成分濃度測定裝置、及顯影液管理裝置
TW201828334A (zh) 顯影液的濃度監視裝置及顯影液管理裝置
US20230058190A1 (en) Stabilized reagent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 same
JP2011122987A (ja) 金属濃度測定方法および金属濃度自動管理装置
JP2024013945A (ja) 分析容器、x線分析方法およびx線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