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873B1 -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873B1
KR100827873B1 KR1020037000697A KR20037000697A KR100827873B1 KR 100827873 B1 KR100827873 B1 KR 100827873B1 KR 1020037000697 A KR1020037000697 A KR 1020037000697A KR 20037000697 A KR20037000697 A KR 20037000697A KR 100827873 B1 KR100827873 B1 KR 100827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plate
teeth
tooth
evaluation circui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7640A (ko
Inventor
쇼프스칼-프리드리히
모리츠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3001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8Means to facilitate passenger entry or ex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2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responsive to, or preventing, jamming by foreign objects
    • B66B29/06Comb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6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interrupting the drive in case of driving element breakage; Braking or stopping loose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6Fixed platforms or combs, e.g. bridges betwee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스텝 벨트를 갖춘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2)는 기부판과, 이동장치의 스텝 벨트 상에 제공되는 홈들과 사용 중에 맞물리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톱니(4)들을 구비하며, 사용 중에 노출되는 상부측과 감추어지는 하부측을 구비하며, 전기적 톱니-파손 모니터링 장치(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장치, 톱니-파손 모니터링 장치, 통전로, 콤 플레이트, 통전로 레일, 신호 발생기, 평가 회로

Description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COMB PLATE FOR PEOPLE MOVER}
본 발명은 기부판과, 스텝 벨트에 제공되는 홈들과 사용 중에 맞물리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일 측면 상에 배열되는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며, 사용 중에 노출되는 상부측과 감추어지는 하부측을 구비하고 스텝 벨트를 갖춘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콤 플레이트들은,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에 사용된다. 이들은 이동하는 손님들의 의류 제품, 신발 또는 심지어는 신체 부분들과 같은 물체들이, 스텝 벨트가 작동시 사라지는 위치를 따라 취하여져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톱니 또는 프롱(prong)이 스텝 벨트의 대응 홈들과 맞물리게 제공된다. 톱니는 스텝 벨트와 함께 이동되는 물체가 치워지게 하는 방식으로 경사지고, 이에 따라 물체가 잡혀지거나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텝 벨트는 사람들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의 구역에 위치한다. 이동로의 노출면을 따라 이동장치 상에서, 이동하는 손님들은 걷거나 또는 서있는 상태로 함께 이송된다. 에스컬레이터에서, 스텝 벨트는 또한 계단 벨트로 불려진다. 이러한 계단 벨트는 홈들이 제공되는 상부측 상에서 서로 연결되는 몇몇 계단 스텝으로 구성된다. 이동 보도들에서, 스텝 밴드는 서로 연결되는 플레이트 본체를 구비하고, 플레이트 벨트로 또한 불려진다. 플레이트는 콤 플레이트와 맞물려지도록 그 상부측 상에 홈들을 또한 구비한다. 스텝 밴드가 상대적으로 탄성인 재료,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전체 스텝 밴드를 따라 이어지는 보강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즉 이러한 종류의 스텝 밴드에서 각각의 플레이트 본체 또는 계단 본체 사이에 슬릿이 없는 이동 보도가 또한 알려져 있다.
콤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주조 주석 또는 주조 알루미늄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경우에 대략 2 mm의 폭과 4 cm의 길이인 대략 80개의 톱니를 구비한다. 콤 플레이트의 톱니는 상대적으로 소형이며 파손이 되기 쉽다. 법적 표준,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이동장치에 대한 유럽 표준 EN115는 예를 들어 매주 또는 매일 이동장치의 정규적인 점검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EN115에 따른 톱니의 매일 점검은 "관리자"를 필요로 한다. EN115에 따르면, 이동장치는 2개의 바로 인접하는 톱니가 파손되면 더이상 작동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요구되는 정규적인 검사는 훨씬 비용이 많이 드는 작동을 하게 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관리자는 교육을 필요로 한다. 또한, 활동에 대한 비용이 지불되어야 한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실질적으로 상이한 전기적 및 기계적 부품들의 기능적인 검사는 원격 모니터링(REM; Remote Escalator Monitoring)에 의해 행해질 수 있는 반면에, 콤 플레이트의 톱니의 파손에 대한 점검은 지금까지 제어자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자의 실질적인 참석이 요구되지 않는 콤 플레이트 또는 콤플레이트를 구비한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톱니-파손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모니터링 장치는 2개의 인접한 톱니가 파손될 때 경고 신호가 발생되는 방식으로 양호하게는 구성된다. 하나의 톱니가 파손될 때 제1 경고 신호가 보수 신호로서 발생될 수 있고, 2개의 인접하는 톱니가 파손될 경우에 시스템의 작동을 차단하는 제2 경고 신호가 정지 신호로서 발생될 수 있는 방식으로 톱니-파손 모니터링 신호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경고 신호는 콤 플레이트는 예방적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비인접 톱니가 파손될 때 또한 발생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는 적어도 파손의 위험이 있는 톱니의 구역을 통과하는, 양호하게는 콤 플레이트의 하부측 상에서 양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통전로(conducting path)를 구비한다. 통전로는, 예를 들어 콤 플레이트 톱니의 만입부 또는 중공 공간에 또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톱니내로 주조될 수 있다. 통전로는, 예를 들어 톱니가 파손되었을 경우에 낮은 개별 안정성을 갖고 쉽게 파손되는, 통전로와 유사한 양호하게는 편평 요소이어서, 전류가 라인을 통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통전로의 개념은 넓은 의미로 판단된다. 편평 도전체가 제조 기술로 인해 양호할 지라도, 비편평 라인, 예를 들어 와이어는 톱니의 최단부들에서 파손을 검출하도록 실질적으로 톱니의 전체 길이를 통해 통전로가 통과할 때 특히 상기가 또한 관여될 수 있다. 톱니는 전형적으로 그 최단부에서 파손되지 않고 톱 니의 기부와 최단부 사이에서 양호하게는 파손된다. 신뢰성있는 파손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통전로는 파손에 가장 약한 콤 플레이트 톱니의 영역을 통과할 것이 요구된다.
통전로들은 콤 플레이트의 모든 톱니를 통해 양호하게는 제공된다.
모니터링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통전로에 연결되게 양호하게는 제공된다. 파손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신호, 예를 들어 전압은 통전로 또는 톱니가 파손될 경우에 모니터링 회로에 주어지는 또는 주어지지 않는 통전로에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회로가 예를 들어 하나의 톱니의 파손 또는 3개 이상의 비인접 톱니의 파손을 감지하면, 그 후에 예를 들어 원격 모니터링 센터 또는 원격 수리 센터에 전송되는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곳으로부터, 이동장치가 그 서비스를 여전히 수행하는 동안에 이러한 파손된 콤 플레이트의 교체가 시작될 수 있다. 콤 플레이트가 교체되기 전에 파손된 톱니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톱니의 파손이 감지되면, 이동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정지 신호가 발생된다. 또한, 원격 모니터링 센터는 필요하다면 이동장치가 작동 중지되었는지 인지할 수 있다.
통전로 레일은 적어도 하나의 통전로가 분기하고, 파손의 위험이 있고 평가 회로에 연결되는 톱니의 구역을 통과하게 또한 양호하게는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파손의 위험이 있고 평가 회로에 연결되는 톱니의 구역을 통하여 각각 이어지는, 콤 플레이트에 톱니들이 있는 만큼 많은 통전로들이 통전로 레일로부터 분기한다.
양호하게는, 인접하는 톱니의 통전로는 각각의 톱니의 쌍에 대한 OR 게이트에 연결되고, OR 게이트의 출력측은 AND 게이트에 연결된다. 2개의 인접한 톱니가 파손되면, 2개의 통전로는 결함이 생기고, 통전로 레일에 인가된 전압은 2개의 인접하는 톱니를 통하여 OR 게이트에 도달하지 않는다. OR 게이트는, 이에 따라 논리적으로 "거짓(false)"이 된다. OR 게이트의 출력측은 AND 게이트를 통해 조합된다. OR 게이트의 출력 중 하나가 논리적으로 "거짓"이면, AND 게이트의 출력은 또한 논리적으로 "거짓"이고, 정지 신호가 발생된다.
다르게는, 몇몇 통전로들은 각각의 통전로에 대한 특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신호 발생기에 양호하게는 연결될 수 있고, 통전로의 대향 단부들은 평가 회로의 입력측에 연결된다. 특성 신호는 예를 들어 각각의 톱니에 대해 설정되는 특성 전압일 수 있다. 구조에 따르면, 각각의 통전로는 평가 회로에 대한 입력측에서 공통의 통전로 레일에 연결될 수 있어서 각각의 톱니들의 특성 전압들은 추가될 수 있다. 다르게는, 특성 전압의 추가가 평가 회로에서 또한 발생할 수 있다. 특성 전압의 합에 대한 목표치와 측정치의 비교는 톱니가 파손되었는지의 여부를 보여준다. 목표치와 실제치 사이의 차이를 결정함으로써, 하나의 톱니 또는 톱니들이 파손되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신호 발생기는 적절한 때에 임의의 특정 지점에서 단지 하나의 신호가 하나의 통전로에 주어지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대응 신호의 기간동안 어떠한 신호도 평가 회로에 도달하지 않으면, 대응 통전로는 파손되었고, 이 특정 톱니는 파손되었다고 간주된다.
통전로는 실질적으로 전체 톱니의 길이를 통해 양호하게는 연장된다. 이는 톱니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파손이 검출될 수 있는 파손의 위험이 있는 구역을 통해서만 연장되는 것과 비교하여 장점을 갖는다. 이는 신뢰성있는 파손 검출 원리로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통전로는 콤 플레이트에 접착된다. 이러한 경우에, 가요성 필름, 예를 들어 PCB 필름으로 콤 플레이트에 통전로를 접착하는 것이 특히 양호하다. 이와 같이, 필름 상에 통전로를 제조하고 콤 플레이트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필름을 절단하는 것은 기존의 공정들, 예를 들어 사진 인쇄 공정에 의해 가능하다. 필름은 콤 플레이트에 이후에 접착되고, 콤 플레이트는 평가 회로가 연결된 후 장착을 준비한다. 필름은 콤 플레이트의 도전성 재료에 대한 통전로를 위한 절연 재료로서 본 경우에 양호하게는 기능을 한다.
양호하게는, 평가 회로는 또한 필름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하게 사진 인쇄 공정에 의해 필름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평가 회로, 즉 통전로 상의 대응 전자 부품들은 필름에 연결되고 필름에 부착되며 접착될 수 있다. 소위 SMD(표면 설치 장치;Surface Mounted Device) 부품을 사용하고 필름에 이들을 부착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콤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벨트를 갖춘 이동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 전환을 통해 이러한 모니터링 장치를 갖춘 기존 시스템들을 구비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는 점에서 또한 특징이 있다는 것은 지적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기존의 콤 플레이트들은 모니터링 장치를 갖춘 콤 플레이트로 대체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다르게는, 그 가능성은 전환 비용이 낮게 유지되는 모니터링 회로를 갖춘 적절한 필름을 접착함으로써 이미 사용중인 후 설비 콤 플레이트에 대해서 또한 존재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은 톱니-파손 모니터링 장치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콤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대표도를 도시한다.
도2는 도1의 톱니-파손 모니터링 장치에서의 시험 절차의 블록 선도를 도시한다.
도3은 톱니-파손 모니터링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콤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4a 내지 도4d는 본 발명에 따른 콤 플레이트에 대한 제조 단계를 도시한다.
도1에서, 톱니(4)를 갖춘 콤 플레이트(2)의 일부, 특히 콤 플레이트(2)의 하부가 도시된다. 전기적 톱니-파손 모니터링 장치(6)는 콤 플레이트(2)의 하부상에 제공된 통전로(8) 및 평가 회로(10)를 구비한 상태로 도시될 수 있다. 통전로(8)는 각각의 톱니의 기부(12)로부터 그 전방 단부(13) 바로 직전까지 실질적으로 톱니(4)의 전체 길이를 따라 이어진다. 통전로(8) 자체는 낮은 독립적인 안정성을 갖는 재료로 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도전성 플라스틱 재료뿐만 아니라 기판 상에 용착될 수 있는 금속 와이어 또는 금속 필름들은 통전로(8)에 대한 재료로서 간주될 수 있다.
각각의 톱니(4)의 파손은 예를 들어 시험 전압을 통전로(8)의 일측에 인가함으로써 점검될 수 있다. 시험 전압이 통전로(8)의 다른 단부에서 측정될 수 있으면, 통전로(8)는 파손되지 않은 것이고, 톱니(4)는 파손되지 않았다고 간주될 수 있다.
2개의 인접한 톱니(4)가 파손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도록, 평가 회로(10)는 예를 들어 콤 플레이트(2) 상에 제공될 수 있게 요구된다. 다르게는, 라인들은 예를 들어 이동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직접 연결되어 이에 의해 평가되는 콤 플레이트(2)의 외향 및 외측으로 또한 연장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평가 회로(10)는 출력들(Y0, Y1, .. Yn)을 갖춘 신호 발생기(14)를 구비하며, 톱니(4)로 향하는 통전로(8)가 그 각각과 연결된다. 콤 플레이트 상에 총 2n개의 톱니가 있다. 통전로(8)들의 대향 단부들은 신호 발생기(14)에 공통 라인(16)를 통해 함께 연결되고, 평가 회로(10)의 입력측(17)에서 평가 회로에 연결된다. 신호 발생기(14)는 데이터 라인(20)을 통해 마이크로제어기(18)에 의해 제어되는 "1-of-n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제어기(18)는 예를 들어 0.25초의 소정의 간격으로 0과 n사이의 계수 상태를 1-of-n 디코더로 전송하는 예를 들어 "8051" 타입일 수 있다. 계수 상태(x)[x는 0과 n사이의 수치이다)와 대응하여, 1-of-n 디코더(14)는 출력(Yx)을 논리 "하이(high)"로 변환하며, 반면에 다른 출력들은 "로우(low)"로 남겨진다. 마이크로제어기(18)의 입력(17)은 논리적으로 "하이"인 수치에 있게 되며, 이때는 대응하는 통전로(8)는 파손되지 않은 것이며, 톱니는 파손되지 않았다고 간주된다. 반대로, 마이크로제어기(18)로의 입력(17)이 "로우"인 값이면, 이때는 이로부터 통전로(8)를 간주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응하는 톱니(4)는 파손된 것이다. 마이크로제어기(18)는 파손된 톱니(4)를 기록하도록 위치에 놓여지고 기억된 값을 서로 비교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방식으로 3개 이상의 비인접 톱니가 파손되었다고 판단되면, 그 때는 보수 신호가 콤 플레이트(2)를 교체하도록 보내진다. 파손이 2개의 인접하는 톱니(4)에서 검출되면, 예를 들어 직렬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이동장치의 제어 시스템으로 정지 신호가 보내진다.
도1의 톱니-파손 모니터링 장치에 대한 가능한 시험 절차는 도2의 블록 선도에 도시된다. 시험 절차의 개시점(24)에서, 계수 상태(26)는 0이 된다. 계수 상태는 포트 0 및 데이터 라인(20)으로 28에서 주어진다. 이 후, 포트 1, 즉 마이크로제어기(18)로의 입력(17)이 30에서 판독되고, 입력(17)의 값은 32에서 점검된다. 그 값이 1이라면, 계수 상태는 34에서 1만큼 증가되고, 카운터[상태]가 n인지의 여부가 36에서 점검된다. 계수 상태가 아직 n이 아니면, 이 후에는 1만큼 증가된 계수 상태가 포트 0로 보내지고, 절차가 반복된다. 마이크로제어기의 입력(17)에 인가된 값이 1이 아니다, 즉 "로우"라고 32에서 판단되면, 대응하는 계수 상태는 38에서 기억된다. 40에서, 마이크로제어기의 입력(17)이 이전 계수 상태에서 0, 즉 이전 톱니가 파손되었는지의 여부가 점검된다. 그러하다면, 2개의 인접하는 톱니가 파손되었다고 판단되고, 42에서 메시지가 이동장치의 제어부로 보내진다. 앞선 톱니가 파손되지 않았다면, 스텝(34)에서 계수 상태는 1만큼 증가되고, 계수 상태 가 이미 n인지 여부가 스텝(36)에서 또 다른 점검이 행해진다. 계수 상태가 스텝(36)에서 n이면, 기억된 계수값, 즉 톱니가 파손되었을 때의 계수 상태값이 스텝(44)의 제어부로 보내지고, 연속하여 스텝(46)에서 계수 상태는 0으로 설정되며, 이후에 0 내지 n에 걸치는 각각의 값들은 스텝(26)으로 시작하면서 다시 반복된다.
도3에서, 톱니(4)를 갖춘 콤 플레이트(2)가 도시된다. 평가 회로(10)가 또한 도시될 수 있다. 콤 플레이트(2)는 톱니(4)를 통하여 평가 회로(10)로 이어지는 각각의 통전로(8)가 분기하는 통전 레일(48)을 구비한다. 도시된 평가 회로는 OR 게이트(50)와 AND 게이트(52)로 구성된다. 2개의 인접하는 톱니의 각각의 쌍의 통전로(8)는 OR 게이트(50)로 이어진다. 각각의 OR 게이트의 출력은 AND 게이트(52)로 이어진다.
시험 전압은 통전로 레일(48)에 인가된다. OR 게이트(50)의 출력은 시험 전압이 OR 게이트(50)의 2개의 입력(54, 56)들 중 하나에 존재하면 논리적으로 "참"이다. 이는 한쌍의 인접하는 톱니의 2개의 톱니(4) 중 하나가 파손될 경우에, 대응 OR 게이트(50)의 출력 신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리적으로 "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단지 2개의 인접하는 톱니가 파손된 경우에는 2개의 입력(54, 56)들에서 시험 전압이 존재하지 않고, OR 게이트의 출력은 논리적으로 "거짓"이다. OR 게이트(50)의 각각의 출력들은 AND 게이트(52)의 입력측에 인가된다. AND 게이트(52)의 입력들 중 단지 하나만이 논리적으로 "거짓"인 경우에, AND 게이트(52)의 출력은 논리적으로 "거짓"이다. AND 게이트(52)의 출력이 논리적으로 "거짓"이면, 이는 2개의 인접하는 톱니(4)들에서 파손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정지 신호가 시스템에 이에 따라 주어진다.
각각의 톱니(4)가 콤 플레이트(2)에서 파손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분기 라인(58)들은 예를 들어 통전로(8)로부터 AND 게이트(60)로 인입된다. 출력이 논리적으로 "거짓"이면, 이는 파손된 톱니(4)에 대한 신호이다. AND 게이트(52, 60)들의 출력들은, 예를 들어 이동장치의 제어 시스템으로 인입될 수 있다.
통전로(8, 58)들은, 예를 들어 캐리어 필름(6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캐리어 필름(62)은, 예를 들어 일측상에 접착제 코팅을 구비하는 PCB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62)은 접착제를 위한 캐리어 및 통전로를 위한 절연체로서 동시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전로들은 필름(62)에 별도로 접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르게는, 통전로들은 사진 인쇄 공정 또는 인쇄 기술의 다른 공정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평가 회로(10)는 필름(62) 상에 미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회로(10)의 각각의 부품들은 필름(62) 상의 SMD 부품들의 방식으로 부착되고 통전로들에 연결될 수 있다.
도4에서, 공정은 모니터링 장치(6)를 이동장치에서의 콤 플레이트(2)에 적용하게 도시된다. 도4a의 최상단 개략도에서, 콤 플레이트(2)가 도시된다. 그 하부가 특별하게 도시될 수 있다. 콤 플레이트(2)는 톱니(4)를 구비한다. 롤러(64)는 그 접착제가 콤 플레이트(2)의 관련 구역들에 인가될 수 있게 또한 도시될 수 있다. 도4b에서, 접착제 롤러(64)로 접착제를 인가하기 위한 공정이 종료된다. 도4c에서, 필름(62)은 콤 플레이트(2)의 하부를 통해 톱니-파손 모니터링 장치와 위치설정된다. 여기에서, 석판술 공정들로부터의 통상적인 위치설정 기술들이 양호하게는 사용될 수 있다. 도4d에서, 필름(62)이 콤 플레이트(2)에 접착되고 필름으로부터 절결부(66)는 제거된다.
도4d에 따라 마무리된 콤 플레이트(2)는 이동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콤 플레이트(2) 상의 도전성 플레이트들 사이 및/또는 콤 플레이트(2) 상의 평가 회로와 접촉하고, 예를 들어 이동장치의 제어부는 케이블-플러그 결합을 통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이동장치 상의 대응 접촉 요소들에 대한 접촉 표면들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Claims (15)

  1. 스텝 벨트를 갖춘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이며,
    기부판과,
    이동장치의 스텝 벨트에 제공된 홈들과 사용 중에 맞물리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톱니(4)들과,
    전기적 톱니-파손 모니터링 장치(6)와,
    평가 회로(10)와,
    통전로 레일(48)을 포함하며,
    상기 콤 플레이트(2)는 사용 중에 노출되는 상부측과 감추어지는 하부측을 구비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6)는 파손되기 쉬운 구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톱니(4)를 통과하는, 콤 플레이트(2)의 하부측 상에 적어도 하나의 통전로(8)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전로(8)는 상기 통전로 레일(48)로부터 분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톱니(4)의 구역을 통과하고 상기 평가 회로(10)에 연결되는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6)는 상기 톱니(4)들 중 2개의 인접하는 톱니가 파손될 때는 경고 신호가 발생되고, 단지 하나의 톱니(4)가 파손되면 경고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로(8)들은 상기 콤 플레이트(2)의 모든 톱니(4)들에 제공되는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4)들 중 인접하는 톱니의 통전로(8)들은 각각의 톱니 쌍에 대하여 OR 게이트(50)로 연결되고, 상기 OR 게이트(50)의 출력측들은 AND 게이트(52)로 연결되는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로(8)들 중 일부는 각각의 통전로(8)에 대해 특성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신호 발생기(14)에 연결되고, 상기 통전로(8)들의 대향 단부들은 평가 회로(10)의 입력측에 연결되는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기(14)는 단지 하나의 신호만을 각각의 통전로(8)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로(8)는 실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톱니(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는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로(8)는 콤 플레이트(2)에 접착되는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로(8)는 가요성 필름(62)으로 콤 플레이트(2) 상에 접착되는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62)은 PCB 필름인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전로(8)에 연결되는 평가 회로(1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평가 회로(10)의 전자 부품들은 가요성 필름(62)으로 콤 플레이트(2) 상에 접착되는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15.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콤 플레이트(2)를 포함하는, 스텝 벨트를 갖춘 이동장치.
KR1020037000697A 2000-07-31 2001-07-03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KR100827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37172A DE10037172B4 (de) 2000-07-31 2000-07-31 Kammplatte für Personenbeförderer
DE10037172.8 2000-07-31
PCT/US2001/021584 WO2002010041A1 (en) 2000-07-31 2001-07-03 Comb plate for people m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640A KR20030017640A (ko) 2003-03-03
KR100827873B1 true KR100827873B1 (ko) 2008-05-07

Family

ID=765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697A KR100827873B1 (ko) 2000-07-31 2001-07-03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311445B1 (ko)
JP (1) JP4986365B2 (ko)
KR (1) KR100827873B1 (ko)
CN (1) CN1221452C (ko)
AU (2) AU2002227493B2 (ko)
BR (1) BR0112419B1 (ko)
DE (1) DE10037172B4 (ko)
ES (1) ES2358186T3 (ko)
TW (1) TW491810B (ko)
WO (1) WO2002010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9483B4 (de) * 2002-04-30 2005-11-03 Kone Corp. Überwachung von Zahnbrüchen im Bereich einer Personenförderanlage
DE10223393B4 (de) * 2002-05-25 2005-11-10 Kone Corp. Ein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Zahnschäden im Bereich einer Rolltreppe oder eines Rollsteiges
DE10262060B4 (de) * 2002-12-18 2006-06-08 Kone Corp. Ein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Bauteilbrüchen im Bereich einer Rolltreppe oder eines Rollsteiges
DE10259149B4 (de) * 2002-12-18 2006-04-27 Kone Corp. Ein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Bauteilbrüchen im Bereich einer Rolltreppe oder eines Rollsteiges
JP5362183B2 (ja) * 2007-03-01 2013-12-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の櫛板異常検出装置
JP4772085B2 (ja) * 2008-06-18 2011-09-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CN102180370A (zh) * 2011-04-09 2011-09-14 台州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传送式的铺布桌
KR101378851B1 (ko) * 2013-06-26 2014-03-27 (주)미주하이텍 에스컬레이터의 안전 콤플레이트
CN105836590B (zh) * 2016-05-12 2017-07-04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扶梯的梳齿板受力检测装置
CN106586797B (zh) * 2016-12-29 2018-07-17 袁江 一种自动扶梯、自动人行道及梳齿装置
ES2762048R1 (es) * 2018-11-19 2020-05-27 Open Mind Ventures S L U Sistema de extracción de materiales laminares cortados para máquinas de corte de materiales laminares flexibles
CN113086550B (zh) * 2021-03-02 2022-04-01 中国矿业大学 一种基于多功能智能托辊的带式输送机状态监测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5771A (en) 1991-07-18 1993-10-26 Montgomery Elevator Company Combplate safety device
JPH0725575A (ja) * 1993-07-14 1995-01-27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スカレータの櫛歯破損検出装置
US5611417A (en) 1995-04-24 1997-03-18 Inventio Ag Apparatus for stopping a passenger conveyor
US6241070B1 (en) 1995-10-18 2001-06-05 Loderway Pty. Limited Systems for the conveyance of standing passenger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7310Y1 (ko) * 1965-02-04 1969-03-19
DE2135864C3 (de) * 1971-07-17 1975-04-17 Jan 8500 Nuernberg Hudecek Sicherheitsvorrichtung für Rolltreppen
NZ214090A (en) * 1985-11-06 1989-01-27 Sps Technologies Pulse width control of ac induction motor
US4800998A (en) * 1988-01-21 1989-01-31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comb safety device
JPH05262489A (ja) * 1992-03-17 1993-10-12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H07274268A (ja) * 1994-03-30 1995-10-20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安全回路の監視装置
JP3478728B2 (ja) * 1998-04-09 2003-12-1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乗降口安全装置
DE19855023B4 (de) * 1998-11-30 2006-10-0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Aufbringen von Leiterstrukturen auf beliebig geformte Oberflächen
DE29907184U1 (de) * 1999-04-22 1999-08-26 Thyssen Fahrtreppen Gmbh Fahrtreppe oder Fahrstei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5771A (en) 1991-07-18 1993-10-26 Montgomery Elevator Company Combplate safety device
JPH0725575A (ja) * 1993-07-14 1995-01-27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スカレータの櫛歯破損検出装置
US5611417A (en) 1995-04-24 1997-03-18 Inventio Ag Apparatus for stopping a passenger conveyor
US6241070B1 (en) 1995-10-18 2001-06-05 Loderway Pty. Limited Systems for the conveyance of standing passeng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1452C (zh) 2005-10-05
JP2004510661A (ja) 2004-04-08
BR0112419B1 (pt) 2010-09-21
AU2749302A (en) 2002-02-13
KR20030017640A (ko) 2003-03-03
DE10037172A1 (de) 2002-02-21
EP1311445B1 (en) 2010-12-29
EP1311445A4 (en) 2004-03-31
WO2002010041A1 (en) 2002-02-07
ES2358186T3 (es) 2011-05-06
JP4986365B2 (ja) 2012-07-25
AU2002227493B2 (en) 2006-02-02
CN1457313A (zh) 2003-11-19
EP1311445A1 (en) 2003-05-21
DE10037172B4 (de) 2007-10-04
BR0112419A (pt) 2004-08-24
TW491810B (en)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873B1 (ko) 이동장치용 콤 플레이트
AU2002227493A1 (en) Comb plate for people mover
US20010052860A1 (en) Electronic car park management system
US9541582B2 (en)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KR910012709A (ko) 습기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0483874C (zh) 监控过电压放电器的漏电流的装置
FR2724749A1 (fr) Lampe a del pour bloc de signalisation routiere, comprenant des moyens de controle de son fonctionnement
US6976571B2 (en) Comb plate for people mover
CN108738354B (zh) 用于检查照明装置的包含至少两个led的模块的方法和ict装置
JP2007046954A (ja) 電線・ケーブルの断線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419542B1 (ko) 승객운송장치를준비상태로복귀시키기위한전환장치
FI69521C (fi) Regleranordning foer en anlaeggning som matar eldstroem fraon en vaexelstroemskaella till en kretsslinga
EP1548410A2 (en) Starting block for swimmers having a capacitive sensor system
US4568923A (en) Fire alarm system
RU2788758C1 (ru) Индикатор контроля входных сигналов на блоках управления на тяговом подвижном составе
JP3671235B2 (ja) 指示素子を有する検査装置
JPH05243617A (ja) Ledホルダ
EP0169125B1 (fr) Clôture électrique constituée par un téseau des lignes de fil conducteur parcourue par un courant électrique
JP2000241103A (ja) 移動体検出装置
CN117203146A (zh) 用于输送系统的监控系统
JP2903686B2 (ja) Ledパネルの検査方法
FR3039667A1 (fr) Systeme de commande de l'alimentation electrique d'un aeronef
JP2002216609A (ja) 配線用遮断器
JPH082792Y2 (ja) 集合動作表示灯回路
JP2645703B2 (ja) 送電線の事故点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