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786B1 -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786B1
KR100827786B1 KR1020027000360A KR20027000360A KR100827786B1 KR 100827786 B1 KR100827786 B1 KR 100827786B1 KR 1020027000360 A KR1020027000360 A KR 1020027000360A KR 20027000360 A KR20027000360 A KR 20027000360A KR 100827786 B1 KR100827786 B1 KR 100827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personal computer
pda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2799A (ko
Inventor
쿠리야시노부
쿠리하라아키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29Authenticate client device independently of the user

Abstract

인증기능(221)은, 네트워크를 거쳐서 PDA를 인증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는,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정보를 유지한다. 통신기능(225)은, PDA에서 송신된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정보의 수신을 제어한다.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수신한 이용조건 및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이것에 의해, 신속히 소망의 콘텐츠를 찾아낸다.

Description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에 관하여, 특히, 이용조건을 기초로 조작이 제한되어 있는 콘텐츠를 취급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비롯한 디지털기기의 발달에 수반하여, 음악 또는 화상 등의 디지털 콘텐츠(이하, 단순히 콘텐츠라고 칭한다)가 취급되도록 되어 왔다.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디지털기기의 내부에 설치된 기억장치, 또는 외부에 설치된 외부 기억장치에 디렉터리구조로 기억된다. 콘텐츠에는 콘텐츠명, 기록일 또는 독출전용을 나타내는 정보 등의 부가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퍼스널컴퓨터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용이하게 콘텐츠의 검색, 이동 또는 복사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엑스플로러(상표)는, 콘텐츠를 나무구조로 표시한다. 엑스플로러를 실행하는 퍼스널컴퓨터에 복수의 디지털기기가 접속되어 있을 때, 엑스플로러는 퍼스널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기기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엑스플로러는, 콘텐츠의 종류를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또 엑스플로러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드래그 앤드 드롭되었을 때, 그 콘텐츠를 복사 또는 이동한다.
이와 같이,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콘텐츠의 저작권보호의 문제가 받아들여지게 되어 왔다.
이 때문에 콘텐츠를 암호화하고, 콘텐츠에 이용조건과 콘텐츠의 암호화(복호)에 이용되는 콘텐츠키를 부여함으로써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술(저작권 보호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콘텐츠의 이용조건으로서 재생회수, 재생기한, 이동회수, 복사회수 또는 체크아웃회수 등이 규정된다. 저작권 보호기술은, 이용조건 및 콘텐츠키가 부착된, 암호화된 콘텐츠 및 저작권 보호기술에 대응한 장치가 갖추어서 처음으로 이용 가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저작권이 보호된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기술에 따른 수속을 취하지 않으면 이동 또는 복사할 수 없으므로, 지금까지의 방법으로는 콘텐츠를 이동 또는 복사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조작이 번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콘텐츠를 취급하는 기기, 또는 콘텐츠의 양이 증가하면 사용자가 소망하는 콘텐츠를 찾아내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룩된 것이며, 신속히 소망의 콘텐츠를 찾아낼 수 있는 동시에, 저작권이 보호된 콘텐츠를 이용조건에 따라서 간단히 이동 또는 복사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보제공장치는, 전송로를 거쳐서 제 1정보 처리장치를 인증하는 장치인증수단과,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하는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제 1정보 처리장치에서 송신된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 1수신 제어수단과, 수신한 이용조건 및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수단을 포함한다.
정보제공장치는, 정보가 갱신된 경우, 제 2정보 처리장치로의 정보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제어수단을 또한 설치할 수 있다.
정보제공장치는,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을 또한 설치할 수 있다.
정보제공장치는, 제 1정보 처리장치에서 송신된 콘텐츠의 조작요구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 2수신 제어수단과, 제 2정보 처리장치로의 콘텐츠의 조작요구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제어수단을 또한 설치할 수 있다.
정보제공장치는,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을 기초로 콘텐츠의 조작을 허가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콘텐츠의 조작을 허가한다고 판정된 경우, 콘텐츠를 조작하는 조작수단을 또한 설치할 수 있다.
정보제공장치는, 자기자신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수단을 또한 설치할 수 있다.
정보제공장치는, 제 1정보 처리장치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수단을 또한 설치할 수 있다.
유지수단은, 전송로를 거쳐서 제 1정보 처리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또한 유지하고, 갱신수단은 플래그를 또한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보제공방법은, 전송로를 거쳐서 정보처리장치를 인증하는 장치인증 처리스텝과,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처리스텝과, 정보처리장치에서 송신된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제어 처리스텝과, 수신한 이용조건 및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처리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매체의 프로그램은, 전송로를 거쳐서 정보처리장치를 인증하는 장치인증 처리스텝과,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처리스텝과, 정보처리장치에서 송신된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제어 처리스텝과, 수신한 이용조건 및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처리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보처리장치는,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콘텐츠의 조작에 대응하여,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를 갱신하는 제 1갱신수단과, 전송로를 거쳐서 정보제공장치를 인증하는 장치인증수단과,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정보제공장치로의 이용조건 및 정보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 1송신 제어수단과, 정보제공장치에서 송신된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제어수단과, 수신한 이용조건 및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를 갱신하는 제 2갱신수단과,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정보처리장치는,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을 기초로, 콘텐츠의 조작을 허가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콘텐츠의 조작을 허가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콘텐츠를 조작하는 조작수단을 또한 설치할 수 있다.
정보처리장치는, 정보제공장치로의 콘텐츠의 조작요구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 2송신 제어수단을 또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보처리방법은,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처리스텝과,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콘텐츠의 조작에 대응하여,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를 갱신하는 제 1갱신 처리스텝과, 전송로를 거쳐서 정보제공장치를 인증하는 장치인증 처리스텝과,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정보제공장치로의 이용조건 및 정보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제어 처리스텝과, 정보처리장치에서 송신된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제어 처리스텝과, 수신한 이용조건 및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를 갱신하는 제 2갱신 처리스텝과,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 처리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매체의 프로그램은,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처리스텝과,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콘텐츠의 조작에 대응하여,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를 갱신하는 제 1갱신 처리스텝과, 전송로를 거쳐서 정보제공장치를 인증하는 장치인증 처리스텝과,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정보제공장치로의 이용조건 및 정보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제어 처리스텝과, 정보제공장치에서 송신된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제어 처리스텝과, 수신한 이용조건 및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를 갱신하는 제 2갱신 처리스텝과,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 처리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전송로를 거쳐서 정보처리장치가 인증되고,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가 유지되고, 정보처리장치에서 송신된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의 수신이 제어되고, 수신한 이용조건 및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가 갱신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가 유지되고,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콘텐츠의 조작에 대응하여,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가 갱신되고, 전송로를 거쳐서 정보제공장치가 인증되고,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정보제공장치로의 이용조건 및 정보의 송신이 제어되고, 정보제공장치로부터 송신된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의 수신이 제어되고, 수신한 이용조건 및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가 갱신되고, 정보의 표시가 제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콘텐츠 표시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서버(201)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서버(201)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표시기능(252)이 표시부(26)에 표시시키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콘텐츠의 표시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초기설정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재생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콘텐츠의 이동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콘텐츠의 이동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콘텐츠정보의 갱신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종료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서버(201)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표시기능(252)이 표시부(26)에 표시시키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초기설정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콘텐츠정보의 갱신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종료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콘텐츠 표시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서버(201)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퍼스널컴퓨터(204)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콘텐츠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퍼스널컴퓨터(204)가 표시하는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퍼스널컴퓨터(204)가 표시하는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콘텐츠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퍼스널컴퓨터(204)가 표시하는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콘텐츠정보의 표시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8은 기기접속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9는 콘텐츠의 이동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30은 콘텐츠의 이동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31은 콘텐츠정보의 분배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32는 기기접속의 절단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콘텐츠 표시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퍼스널컴퓨터(1)는, 예를 들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1394에 의해 규정되는 네트워크,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등으로 구성되는 네트워크(3)를 거쳐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2)에 접속한다.
퍼스널컴퓨터(1)는, 콘텐츠의 부가정보(예를 들면, 콘텐츠명, 기록일 또는 저작권자명 등), 이용조건(예를 들면, 재생가능횟수, 이동 가능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복사 가능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체크아웃횟수 등) 및 콘텐츠키와 함께, 음악 또는 동화상 혹은 정지화상의 화상 등의 콘텐츠를 기록한다. 콘텐츠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등의 방식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다.
퍼스널컴퓨터(1)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사용자ID 또는 패스워드 등을 기초로, 퍼스널컴퓨터(1)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퍼스널컴퓨터(1)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인증키 등을 사용하여, 네트워크(3)를 거쳐서, PDA(2)를 인증한다.
퍼스널컴퓨터(1)는, PDA(2)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부가정보 및 이용조건을 네트워크(3)를 거쳐서 PDA(2)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부가정보 및 이용조건을 표시한다.
퍼스널컴퓨터(1)는, 자기자신이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의 부가정보 및 이용조건을, 네트워크(3)를 거쳐서 PDA(2)에 송신한다.
퍼스널컴퓨터(1)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자기자신이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의 이용조건, 또는 PDA(2)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이용조건(퍼스널컴퓨터(1)가 기록하고 있는)에 의거하여, 퍼스널컴퓨터(1) 혹은 PDA(2)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하고, 또는 복사한다.
퍼스널컴퓨터(1)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자기자신이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의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퍼스널컴퓨터(1)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복호하고 재생한다.
이용조건에는, 콘텐츠의 재생조건, 이동조건, 복사조건 또는 이용 가능한 사용자 등이 포함되어 있다.
PDA(2)는 콘텐츠의 부가정보, 이용조건 및 콘텐츠키와 함께, 콘텐츠를 기억한다.
PDA(2)는 PDA(2)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PDA(2)는 네트워크(3)를 거쳐서 퍼스널컴퓨터(1)를 인증한다.
PDA(2)는, 퍼스널컴퓨터(1)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부가정보 및 이용조건을 네트워크(3)를 거쳐서 퍼스널컴퓨터(1)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부가정보 및 이용조건을 표시한다.
PDA(2)는, 자기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의 부가정보 및 이용조건을 네트워크(3)를 거쳐서 퍼스널컴퓨터(1)에 송신한다.
PDA(2)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자기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의 이용조건 또는 퍼스널컴퓨터(1)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이용조건(PDA(2)가 기억하고 있는)에 의거하여, 퍼스널컴퓨터(1) 혹은 PDA(2)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하고, 또는 복사한다.
PDA(2)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자기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의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PDA(2)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도 2는, 퍼스널컴퓨터(1)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21)은, ROM(Read-Only Memory)(22) 또는 RAM(Random-Access Memory)(23)에 격납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ROM(22)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또는 플래시메모리 등으로 구성되고, 일반적으로는 CPU(2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용의 파라미터 중의 기본적으로 고정의 데이터를 격납한다. RAM(23)은, DRAM(Dynamic RAM) 등으로 구성되고, CPU(21)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실행에 있어서 적당히 변화하는 파라미터를 격납한다.
입력부(25)는, 마우스 또는 입력키 등으로 구성되고, CPU(21)에 각종의 지령을 입력할 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표시부(26)는 액정표시장치 등으로 이루어지고, 각종 정보를 텍스트나 이미지로 표시한다. 음성재생부(27)는, 통신부(28)에서 공급된 콘텐츠에 포함되는 음성데이터, 또는 기록부(29)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음성데이터 등을 재생하여 음성을 출력한다.
통신부(28)는, 네트워크(3)를 거쳐서, CPU(21)에서 공급된 데이터(예를 들면, 콘텐츠의 이동요구 등)를 소정방식의 패킷에 격납하여 PDA(2)에 송신한다. 또 통신부(28)는, 네트워크(3)를 거쳐서, PDA(2)에서 수신한 패킷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예를 들면, 콘텐츠 등), 또는 프로그램을 CPU(21), RAM(23) 또는 기록부(29)에 출력한다.
기록부(29)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구성되고, 콘텐츠의 부가정보, 이용조건 및 콘텐츠키와 함께 콘텐츠를 기록한다. 기록부(29)는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를 콘텐츠의 부가정보, 이용조건 및 콘텐츠키와 함께 CPU(21) 또는 RAM(23)에 공급한다.
드라이브(30)는, 장착되어 있는 자기디스크(51), 광디스크(52), 광자기디스크(53) 또는 반도체메모리(5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그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버스(24)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ROM(22) 또는 RAM(23)에 공급한다.
CPU(21) 내지 드라이브(30)는, 버스(24)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PDA(2)는, 퍼스널컴퓨터(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CPU(21)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퍼스널컴퓨터(1)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퍼스널컴퓨터(1)는, 인증기능(71), 콘텐츠 표시기능(72), 콘텐츠 재생기능(73), 콘텐츠 관리기능(74), 저작권 관리기능(75),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 및 통신기능(77) 등을 가진다.
인증기능(71)은, 내부에 사용자 데이터베이스(81)를 가진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81)는, 사용자의 인증정보(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ID 또는 패스워드 등)를 기록하고 있다. 인증기능(71)은, 입력부(25)에서 공급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베이스(81)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인증한다.
인증기능(71)은, 인증처리에 필요한 인증키 등을 미리 기억하고, 챌린지 앤드 리스폰스 등의 방식에 의해, 통신기능(77)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통신부(28)가 수신한 데이터 및 통신부(28)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네트워크(3)를 거쳐서 PDA(2)를 인증한다.
콘텐츠 표시기능(72)은, 표시기능(82) 및 조작지시기능(83)을 가진다. 표시기능(82)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정보에 포함되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부가정보 등을 표시부(26)에, 예를 들면 나무구조를 기초로 표 시한다. 콘텐츠정보는 기기를 특정하기 위한 기기ID,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일명(소위, 패스를 포함), 콘텐츠ID, 콘텐츠의 부가정보 및 이용조건 등을 포함한다.
도 4는, 표시기능(82)이 표시부(26)에 표시시키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퍼스널컴퓨터(1)가 디렉터리“¥MUSIC¥POPS”에 콘텐츠“POPS1”및 콘텐츠“POPS2”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PDA(2)가 디렉터리“¥AUDIO¥ROCK”에 콘텐츠“rock1”및 콘텐츠“rock2”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기능이 디먼(demon)으로서 동작할 때, 표시기능(82)은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부(26)에 표시하지 않는다.
조작지시기능(83)은, 화면의 클릭 등의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부(25)에서 공급되었을 때, 콘텐츠 재생기능(73)에 콘텐츠의 재생을 지시하고, 표시기능(82)에 표시를 갱신시킨다.
조작지시기능(83)은,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의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부(25)에서 공급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74)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를 지시하고, 표시기능(82)에 표시를 갱신시킨다.
조작지시기능(83)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정보의 갱신을 요구받았을 때, 콘텐츠관리기능(74)에 콘텐츠정보의 갱신을 지시하고, 표시기능(82)에 표시를 갱신시킨다.
조작지시기능(83)은, 사용자로부터 종료를 요구받았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74)에, PDA(2)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파기시키고,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
콘텐츠 재생기능(73)은, 조작지시기능(83)의 지시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복호하여 재생한다. 콘텐츠 재생기능(73)은,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되어 있는 이용조건을 갱신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74)은, 통신기능(77)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통신부(28)가 수신한, PDA(2)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입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74)은, 네트워크(3)를 거쳐서 통신기능(77)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통신부(28)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PDA(2)에 송신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조작지시기능(83)에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 내에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의 지시를 받았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하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되어 있는 이용조건을 기초로,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콘텐츠를 이동 또는 복사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소스(이동원)와 데스티네이션(이동처) 쌍방의 이용조건의 갱신을 지시한다.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의해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를 실행하지 않는다.
콘텐츠 관리기능(74)은, PDA(2)에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의 지시를 조작지시기능(83)에서 받았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하고,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통신기능(77)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통신부(28)에 콘텐츠의 요구를 송신시킨다. 통신부(28)가 PDA(2)에 송신하는 콘텐츠의 요구는, 콘텐츠ID, 패스를 포함하는 파일명, 이동 또는 복사 등의 조작지시를 포함한다.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의해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74)은, 통신부(28)에 콘텐츠의 요구를 송신시키지 않는다.
콘텐츠 관리기능(74)은, 통신부(28)에 PDA(2)가 송신한 콘텐츠를 수신시키고, 수신한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시키고,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수신한 콘텐츠 이용조건의 갱신을 지시한다. 이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는, 기록된 콘텐츠에 새로운 콘텐츠ID를 대응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서 PDA(2)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의 지시를 조작지시기능(83)에서 받았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75)에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시키고,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통신기능(77)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통신부(28)에 콘텐츠ID 및 패스명을 포함하는 이동(복사)처의 파일명과 함께, 콘텐츠를 PDA(2)에 송신시킨다.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의해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74)은 통신부(28)에, 콘텐츠를 송신시키지 않는다.
통신부(28)가 PDA(2)에서 콘텐츠의 수신확인을 수신하였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송신한 콘텐츠의 이용조건의 갱신을 지시한다. 콘텐츠를 이동하는 경우, 통신부(28)가 PDA(2)에서 콘텐츠의 수신확인을 수신하였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이용조건의 설정에 의해 이동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게 하거나, 또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이동한 콘텐츠를 소거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74)은, PDA(2)가 송신한 퍼스널컴퓨터(1)에 이동 또는 복사하는 콘텐츠를 통신기능(77)이 수신하였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하고,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수신한 콘텐츠를 기록시키고,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수신한 콘텐츠의 이용조건의 갱신을 지시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는, 기록된 콘텐츠에 새로운 콘텐츠ID를 대응시킨다.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수신한 콘텐츠를 파기한다.
콘텐츠 관리기능(74)은, 퍼스널컴퓨터(1)가 네트워크(3)에서 분리되었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되어 있는, PDA(2)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파기한다.
저작권 관리기능(75)은, 콘텐츠의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재생, 이동 또는 복사를 허가 또는 금지하는 동시에, 콘텐츠를 재생, 이동 또는 복사하였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콘텐츠의 이용조건을 갱신시킨다. 저작권 관리기능(75)은, 콘텐츠의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PDA(2)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를 허가 또는 금지하는 동시에, 콘텐츠를 이동 또는 복사하였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콘텐츠의 이용조건을 갱신시킨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는, 콘텐츠, 콘텐츠ID, 부가정보, 이용조건 및 콘텐츠키를 하나의 파일로서, 디렉터리구조에 의해 기록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는, 네트워크(3)를 거쳐서 PDA(2)와 접속되었을 때, PDA(2)에서 수신한 PDA(2)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기록한다.
도 5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콘텐츠ID가 “AAA”인 콘텐츠는, 기기ID가 “DDD”인 기기(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1))에 기록되고, 이름이 “111”이고, 기록일이 “YYMMDD”이다. 콘텐츠ID가 “AAA”인 콘텐츠는, 이용가능자가 “UUU”이고,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0회이고, 이동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3회이고, 재생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10회이다. 콘텐츠ID가 “AAA”인 콘텐츠는, 기기ID가 “DDD”인 기기의 패스가 ¥ROOT¥AUDIO로 표시되는 디렉터리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명이 audio1인 파일에 격납되어 있다.
콘텐츠ID가 “BBB”인 콘텐츠는, 기기ID가 “ddd”인 기기(예를 들면, PDA(2))에 기록되고, 이름이 “222”이고, 기록일이 “yymmdd”이다. 콘텐츠ID가 “BBB”인 콘텐츠는, 이용 가능자가 “uuu”이고,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0회이고, 이동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3회이고, 재생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10회이다. 콘텐츠ID가 “BBB”인 콘텐츠는, 기기ID가 “ddd”인 기기의 패스가 ¥ROOT¥AUDIO로 표시되는, 파일명이 audio2인 파일에 격납되어 있다.
통신기능(77)은 통신부(28)를 제어하고, 통신부(28)에 네트워크(3)를 거쳐서, PDA(2)에서 콘텐츠 또는 콘텐츠정보 등을 수신시키는 동시에, PDA(2)에 콘텐츠 또는 콘텐츠정보 등을 송신시킨다.
또한, PDA(2)의 기능은, 퍼스널컴퓨터(1)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콘텐츠 표시시스템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1)가 콘텐츠의 표시를 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한다.
퍼스널컴퓨터(1)에 의한 콘텐츠의 표시처리를 도 6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S1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1)는 초기설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초기설정의 처리의 상세는, 도 7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S12)에 있어서, 콘텐츠 표시기능(72)의 조작지시기능(83)은, 입력부(25)에서 공급되는 신호를 기초로, 재생이 요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재생이 요구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S13)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재생기능(73)에 암호화되어 있는 콘텐츠를 콘텐츠키로 복호시켜서, 재생처리를 실행시킨다. 재생처리를 종료한 후, 수속은 스텝(S12)으로 복귀하고, 판정의 처리를 반복한다. 재생처리의 상세는, 도 8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S12)에 있어서, 재생이 요구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S14)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표시기능(72)의 조작지시기능(83)은,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의 조작에 대응하는, 입력부(25)에서 공급되는 신호 또는 통신기능(77)에서 공급된 데이터(예를 들면, PDA(2)로부터의 콘텐츠의 이동요구에 대응하는)를 기초로, 콘텐츠의 이동이 요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콘텐츠의 이동이 요구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S15)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관리기능(74)에 콘텐츠의 이동처리를 실행시킨다. 콘텐츠의 이동처리를 종료한 후, 수속은 스텝(S12)으로 복귀하고, 판정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동처리의 상세는, 도 9 및 도 10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S14)에 있어서, 콘텐츠의 이동이 요구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S16)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표시기능(72)의 조작지시기능(83)은, 입력부(25)에서 공급되는 신호 또는 통신기능(77)에서 공급된 데이터를 기초로, 콘텐츠정보의 갱신이 요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콘텐츠정보의 갱신이 요구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S17)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관리기능(74)에 콘텐츠정보 갱신처리를 실행시킨다. 콘텐츠정보의 갱신처리가 종료한 후, 수속은 스텝(S12)으로 복귀하고, 판정의 처리를 반복한다.
콘텐츠정보 갱신처리의 상세는, 도 11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텝(S16)에 있어서, 콘텐츠정보의 갱신이 요구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S18)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표시기능(72)의 조작지시기능(83)은, 입력부(25)에서 공급되는 신호를 기초로, 표시처리를 종료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 고, 표시처리를 종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S12)으로 복귀하고, 판정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18)에 있어서, 표시처리를 종료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S19)으로 진행하고, 조작지시기능(83)은 콘텐츠 관리기능(74)에 종료처리를 실행시키고, 처리는 종료한다. 종료처리의 상세는, 도 12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퍼스널컴퓨터(1)는, 퍼스널컴퓨터(1) 자신이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 및 PDA(2)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퍼스널컴퓨터(1)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 또는 PDA(2)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를 이동 또는 복사할 수 있다.
PDA(2)의 콘텐츠의 표시처리는, 퍼스널컴퓨터(1)의 콘텐츠의 표시처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6의 스텝(S11)의 처리에 대응하는 초기설정의 처리의 상세를, 도 7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S1101)에 있어서, 인증기능(71)은 챌린지 앤드 리스폰스 등의 방식에 의해, PDA(2)를 인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1101)에 있어서, PDA(2)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하고, 콘텐츠정보는 갱신되지 않는다.
스텝(S2101)에 있어서, PDA(2)는 퍼스널컴퓨터(1)를 인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210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1)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하고, 콘텐츠정보는 갱신되지 않는다.
스텝(S1101)에 있어서, PDA(2)가 정당한 것으로 판정되어서 PDA(2)가 인증되 고, 스텝(S210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1)가 정당한 것으로 판정되어서, 퍼스널컴퓨터(1)가 인증된 경우, 스텝(S1102)으로 진행하고, 인증기능(71)은 입력부(25)에서 공급된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베이스(81)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인증한다. 스텝(S1101)에 있어서, 사용자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하고, 콘텐츠정보는 갱신되지 않는다.
스텝(S1102)에 있어서, 사용자가 정당하다고 판정되어서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 스텝(S1103)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서 자기자신이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독출하여, 통신기능(77)에 독출한 콘텐츠정보를 네트워크(3)를 거쳐서 PDA(2)에 송신시킨다.
스텝(S2102)에 있어서, PDA(2)는 퍼스널컴퓨터(1)가 송신한 콘텐츠정보를 수신한다. 스텝(S2103)에 있어서, PDA(2)의 도시하지 않은 콘텐츠 관리기능은,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즉, PDA(2)는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정보에, 퍼스널컴퓨터(1)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추가한다.
스텝(S2104)에 있어서, PDA(2)의 콘텐츠 관리기능은, 자기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네트워크(3)를 거쳐서 퍼스널컴퓨터(1)에 송신한다.
스텝(S1104)에 있어서, 통신기능(77)은 PDA(2)가 송신한 콘텐츠정보를 수신한다. 스텝(S1105)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킨다. 즉,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는, 스텝(S1104)의 처리에서 수신한, PDA(2)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기록한다.
스텝(S1106)에 있어서, 표시기능(82)은 퍼스널컴퓨터(1)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 및 PDA(2)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키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상호 인증처리 후, 퍼스널컴퓨터(1) 및 PDA(2)는, 콘텐츠정보를 교환하여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퍼스널컴퓨터(1)는, 자지자신이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 및 PDA(2)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6의 스텝(S13)의 처리에 대응하는 재생처리의 상세를 도 8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S1201)에 있어서, 저작권 관리기능(75)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되어 있는, 재생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을 체크한다. 이용조건에 재생을 허가하는 뜻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 콘텐츠를 재생하지 않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용조건에 재생을 허가하는 뜻이 설정되어 있을 때, 스텝(S1202)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재생기능(73)은 암호화 되어 있는 콘텐츠를 콘텐츠키로 복호하여, 콘텐츠를 재생한다. 스텝(S1203)에 있어서, 저작권 관리기능(75)은, 재생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을 갱신하고(예를 들면, 재생횟수를 1 줄이는 등),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퍼스널컴퓨터(1)는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콘텐츠의 재생이 허가 되었을 때, 콘텐츠를 재생한다.
다음에, 도 6의 스텝(S15)의 처리에 대응하는, PDA(2)에서 퍼스널컴퓨터(1)로의 콘텐츠의 이동처리의 상세를 도 9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S1301)에 있어서, 저작권 관리기능(75)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되어 있는, 이동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을 체크한다. PDA(2)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은, 초기설정의 처리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되어 있다.
이동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으로 이동을 허가하는 뜻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 콘텐츠를 이동하지 않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동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으로 이동을 허가하는 뜻이 설정되어 있을 때, 스텝(S1302)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관리기능(74)은 통신기능(77)에 콘텐츠의 이동요구를 네트워크(3)를 거쳐서 PDA(2)에 송신시킨다.
스텝(S2301)에 있어서, PDA(2)는 콘텐츠의 이동요구를 수신한다. 스텝(S2302)에 있어서, PDA(2)의 도시하지 않은 저작권 관리기능은, 이동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PDA(2)가 기억하고 있는)을 체크한다. 이동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으로 이동을 허가하는 뜻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 콘텐츠를 이동하지 않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동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으로 이동을 허가하는 뜻이 설정되어 있을 때, 스텝(S2303)으로 진행하고, PDA(2)는 이동이 요구된 콘텐츠를 네트워크(3)를 거쳐서 퍼스널컴퓨터(1)에 송신한다.
스텝(S1303)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1)의 통신기능(77)은 통신부(28)에 콘텐츠를 수신시킨다. 스텝(S1304)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수신한 콘텐츠를 기록시킨다. 스텝(S1305)에 있어서, 저작권 관리기능(75)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을 갱신시킨다. 스텝(S1306)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킨다.
스텝(S2304)에 있어서, PDA(2)의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송신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을 갱신한다. 스텝(S2305)에 있어서, PDA(2)의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송신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갱신하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이용조건에 의거한 퍼스널컴퓨터(1)의 요구에 대응하여, PDA(2)는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를 퍼스널컴퓨터(1)에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의 스텝(S15)의 처리에 대응하는, 퍼스널컴퓨터(1)에서 PDA(2)로의 콘텐츠의 이동처리의 상세를 도 10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S1401)에 있어서, 저작권 관리기능(75)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되어 있는, 이동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을 체크한다. 이동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으로 이동을 허가하는 뜻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 콘텐츠를 이동하지 않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동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으로 이동을 허가하는 뜻이 설정되어 있을 때, 스텝(S1402)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관리기능(74)은, 통신기능(77)에 콘텐츠를 네트워크(3)를 거쳐서 PDA(2)에 송신시킨다.
스텝(S2401)에 있어서, PDA(2)는 콘텐츠를 수신한다. 스텝(S2402)에 있어서, PDA(2)의 저작권 관리기능은, 이동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을 체크한다. 이용조건에 이동을 허가하는 뜻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 수신한 콘텐츠를 파기하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동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에 이동을 허가하는 뜻이 설정되어 있을 때, 스텝(S2403)으로 진행하고, PDA(2)의 도시하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는, 수신한 콘텐츠를 기억한다. 스텝(S2404)에 있어서, PDA(2)의 콘텐츠 관리기능은, 콘텐츠의 수신확인을 네트워크(3)를 거쳐서 퍼스널컴퓨터(1)에 송신한다.
스텝(S1403)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1)의 통신기능(77)은, 통신부(28)에 콘텐츠의 수신확인을 수신시킨다. 스텝(S1404)에 있어서, 저작권 관리기능(75)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송신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을 갱신시킨다. 스텝(S1405)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송신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킨다.
스텝(S2405)에 있어서, PDA(2)의 콘텐츠 관리기능은, 기억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을 갱신한다. 스텝(S2406)에 있어서, PDA(2)의 콘텐츠 관리기능은, 기억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갱신하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퍼스널컴퓨터(1)는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를 PDA(2)에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의 복사처리는, 콘텐츠의 이동처리와 동일하게 실행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6의 스텝(S17)의 처리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 갱신처리의 상세를 도 11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S1501)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서 자기자신이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독출하여, 통신기능(77)에 독출한 콘텐츠정보를 네트워크(3)를 거쳐서 PDA(2)에 송신시킨다.
스텝(S2501)에 있어서, PDA(2)는 퍼스널컴퓨터(1)가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수신한다. 스텝(S2502)에 있어서, PDA(2)는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정보를, 퍼스널컴퓨터(1)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갱신한다. 스텝(S2503)에 있어서, PDA(2)는 자기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네트워크(3)를 거쳐서 퍼스널컴퓨터(1)에 송신한다.
스텝(S1502)에 있어서, 통신기능(77)은 PDA(2)가 송신한 콘텐츠정보를 수신한다. 스텝(S1503)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스텝(S1502)의 처리로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킨다. 스텝(S1504)에 있어서, 표시기능(82)은, 갱신된 콘텐츠정보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키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퍼스널컴퓨터(1)는 PDA(2)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PDA(2)는, 퍼스널컴퓨터(1)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다음에, 도 6의 스텝(S19)의 처리에 대응하는, 종료처리의 상세를 도 12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S1601)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PDA(2)의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기기ID가 PDA(2)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파기시키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콘텐츠의 표시처리를 종료할 때, 퍼스널컴퓨터(1)는 PDA(2)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파기한다. 따라서, 퍼스널컴퓨터(1)는 접속되어 있는 기기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만을 표시부(26)에 표시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콘텐츠 표시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CPU(21)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퍼스널컴퓨터(1)의 다른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경우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있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콘텐츠 표시기능(72)은, 표시기능(111) 및 조작지시기능(112)을 가진다. 표시기능(111)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부(26)에 나무구조를 기초로 표시한다.
표시기능(111)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기록되어 있는 접속상황 플래그를 기초로, 콘텐츠를 기록하고 있는 기기가 접속되어 있을 때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다른 색 또는 형태의 화상으로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표시한다.
도 14는, 표시기능(111)이 표시부(26)에 표시시키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퍼스널컴퓨터(1)가 디렉터리“¥MUSIC¥POPS”에 콘텐츠“POPS1”및 콘텐츠“POPS2”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퍼스널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는 PDA(2)가, 디렉터리“¥AUDIO¥ROCK”에 콘텐츠“rock1”및 콘텐츠“rock2”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내는 표시예는, 퍼스널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기ID가 “DDD”인 기기(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휴대형의 퍼스널컴퓨터)가, 디렉터리“¥ROOT¥AUDIO”에 콘텐츠“audio1”및 콘텐츠“audio2”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기능(111)은 퍼스널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청으로 표시하고, 퍼스널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기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적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퍼스널컴퓨터(1)의 사용자는 퍼스널컴퓨터(1)에, 소망의 콘텐츠를 기억하고 있는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순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표시기능(111)은 퍼스널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의 배경의 형상과, 퍼스널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기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의 배경의 형상을 다르게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표시기능(111)은 퍼스널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의 배경을 사각으로 표시하고, 퍼스널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기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의 배경을 원형으로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3에 나타내는 기능이 디먼으로서 동작할 때, 표시기능(111)은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부(26)에 표시하지 않는다.
조작지시기능(112)은, 화면의 클릭 등의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부(25)에서 공급되었을 때, 콘텐츠 재생기능(73)에 콘텐츠의 재생을 지시하고, 표시기능(111)에 표시를 갱신시킨다. 조작지시기능(112)은,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의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부(25)에서 공급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101)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를 지시하고, 표시기능(111)에 표시를 갱신시킨다.
조작지시기능(112)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정보의 갱신이 요구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101)에 콘텐츠정보의 갱신을 지시하고, 표시기능(111)에 표시를 갱신시킨다.
조작지시기능(112)은, 퍼스널컴퓨터(1)에 PDA(2)가 접속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101)에 PDA(2)의 콘텐츠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상황 플래그를 갱신시킨다. 조작지시기능(112)은, 퍼스널컴퓨터(1)와 PDA(2)와의 접속이 절단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101)에 PDA(2)의 콘텐츠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상황 플래그를 갱신시킨다.
조작지시기능(112)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의 표시처리의 종료가 요구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101)에 PDA(2)의 콘텐츠정보에 대응하는 접속상황 플래그를 갱신시키고,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
통신기능(77)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통신부(28)가, PDA(2)에서 PDA(2)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PDA(2)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파기시키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입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네트워크(3)를 거쳐서 통신기능(77)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통신부(28)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PDA(2)에 송신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퍼스널컴퓨터(1)가 네트워크(3)를 거쳐서 PDA(2)에 접속되었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기록되어 있는, PDA(2)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에 포함되는 접속상황 플래그를,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true로 고쳐 쓴다.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네트워크(3)를 거치는 퍼스널컴퓨터(1)와 PDA(2)와의 접속이 절단되었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기록되어 있는, PDA(2)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에 포함되는 접속상황 플래그를,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false로 고쳐 쓴다.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조작지시기능(112)에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 내에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의 지시를 받았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하고,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콘텐츠 를 이동 또는 복사시키고,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소스와 데스티네이션 쌍방의 이용조건의 갱신을 지시한다.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의해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를 실행하지 않는다.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PDA(2)에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지시를 조작지시기능(112)에서 받았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하고,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통신기능(77)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통신부(28)에 콘텐츠의 요구를 송신시킨다. 통신부(28)가 PDA(2)에 송신하는 콘텐츠의 요구는, 콘텐츠ID, 패스를 포함하는 파일명, 이동 또는 복사 등의 조작지시를 포함한다.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의해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콘텐츠의 요구를 송신하지 않는다.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통신부(28)에 PDA(2)가 송신한 콘텐츠를 수신시키고,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수신한 콘텐츠의 이용조건의 갱신을 지시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는, 기록된 콘텐츠에 새로운 콘텐츠ID를 대응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서 PDA(2)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지시를 조작지시기능(112)에서 받았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하고,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통신기능(77)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통신부(28)에, 콘텐츠ID 및 패스명을 포함하는 이동(복사)처의 파일명과 함께, 콘텐츠를 PDA(2)에 송신시킨다.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콘텐츠를 송신시키지 않는다.
콘텐츠를 송신시켜서, 통신부(28)가 PDA(2)에서 콘텐츠의 수신확인을 수신하였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송신한 콘텐츠의 이용조건의 갱신을 지시한다.
콘텐츠의 이동처리시,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송신한 콘텐츠를 소거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서 PDA(2)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의 요구를 PDA(2)에서 받았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하고,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통신기능(77)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통신부(28)에, 콘텐츠ID 및 패스명을 포함하는 이동(복사)처의 파일명과 함께, 콘텐츠를 PDA(2)에 송신시킨다.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콘텐츠를 송신시키지 않는다.
콘텐츠를 송신시켜서, 통신부(28)가 PDA(2)에서 수신확인을 수신하였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송신한 콘텐츠의 이용조건의 갱신 을 지시한다. 콘텐츠의 이동이 요구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로 이동한 콘텐츠를 소거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PDA(2)에서 퍼스널컴퓨터(1)에 이동 또는 복사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였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하고,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수신한 콘텐츠를 기록시키고, 저작권 관리기능(75)에 수신한 콘텐츠의 이용조건의 갱신을 지시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는, 기록된 콘텐츠에 새로운 콘텐츠ID를 대응시킨다.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수신한 콘텐츠를 파기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는, 콘텐츠, 콘텐츠ID, 기기ID, 접속상황 플래그, 부가정보, 이용조건 및 콘텐츠키를 하나의 파일로서, 디렉터리구조에 의해 기록한다.
접속상황 플래그는, 대응하는 기기ID에 의해 특정되는 기기가 퍼스널컴퓨터(1)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낸다. true인 접속상황 플래그는 대응하는 기기ID에 의해 특정되는 기기가 퍼스널컴퓨터(1)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false인 접속상황 플래그는, 대응하는 기기ID에 의해 특정되는 기기가 퍼스널컴퓨터(1)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네트워크(3)를 거쳐서, 퍼스널컴퓨터(1)와 PDA(2)가 접속된 경우, PDA(2)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는, 거기까지 기록하고 있던 PDA(2)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파기하고, 수 신한 콘텐츠정보를 기록한다.
도 15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콘텐츠ID가 “AAA”인 콘텐츠는, 기기ID가 “DDD”인 기기에 기록되고, 이름이 “111”이고, 기록일이 “YYMMDD”이다. “DDD”인 기기ID에 대응하는 접속상황 플래그가 false이므로, 기기ID가 “DDD”인 기기는, 퍼스널컴퓨터(1)와 접속되어 있지 않다.
콘텐츠ID가 “AAA”인 콘텐츠는, 이용가능자가 “UUU”이고,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0회이고, 이동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3회이고, 재생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10회이다. 콘텐츠ID가 “AAA”인 콘텐츠는, 기기ID가 “DDD”인 기기의 패스가 ¥ROOT¥AUDIO인, 파일명이 audio1인 파일에 격납되어 있다.
콘텐츠ID가 “BBB”인 콘텐츠는, 기기ID가 “DDD”인 기기에 기록되고, 이름이 “222”이고, 기록일이 “yymmdd”이다. 콘텐츠ID가 “BBB”인 콘텐츠는, 이용 가능자가 “uuu”이고,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0회이고, 이동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3회이고, 재생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10회이다. 콘텐츠ID가 “BBB”인 콘텐츠는, 기기ID가 “DDD”인 기기의 패스가 ¥ROOT¥AUDIO¥인, 파일명이 audio2인 파일에 격납되어 있다.
다음에, 도 13에 나타내는 다른 기능을 가지는 경우의 콘텐츠 표시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한다.
콘텐츠의 표시처리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초기설정의 처리의 상세를 도 16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S1701) 내지 스텝(S1704)의 처리는, 도 7의 스텝(S1101) 내지 스텝(S1104)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S1705)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PDA(2)의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파기시킨다. 스텝(S1706)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스텝(S1704)의 처리로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킨다. 즉,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는, 수신한 PDA(2)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기록하는 동시에, PDA(2)의 기기ID에 대응하는 접속상황 플래그를 true로 설정한다.
스텝(S1707)에 있어서, 표시기능(82)은 갱신된 콘텐츠정보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키고, 처리는 종료한다. 표시기능(82)은, 접속상황 플래그가 true인 콘텐츠정보와, 접속상황 플래그가 false인 콘텐츠정보를 다른 화상으로, 예를 들면, 접속상황 플래그가 true인 콘텐츠정보를 청으로, 접속상황 플래그가 false인 콘텐츠정보를 적으로 표시부(26)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퍼스널컴퓨터(1)는 PDA(2)의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갱신하는 동시에, 접속상황 플래그를 갱신할 수 있다. 퍼스널컴퓨터(1)는, 접속상황 플래그의 값에 대응하는 색 또는 형상 등을 기초로, 콘텐츠정보를 표시한다.
재생의 처리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의 처리는, 도 9 또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콘텐츠정보의 갱신처리를 도 17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S1801) 내지 스텝(S1802)의 처리는, 도 11의 스텝(S1501) 내지 스텝(S1502)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S1705)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PDA(2)의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파기시킨다. 스텝(S1804)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101)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스텝(S1802)의 처리로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킨다.
스텝(S1805)에 있어서, 표시기능(82)은 갱신된 콘텐츠정보를 표시부(26)에 표시시키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퍼스널컴퓨터(1)는 콘텐츠정보를 갱신하고, 갱신한 콘텐츠정보를 표시한다.
다음에, 종료의 처리를 도 18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S1901)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7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76)에, PDA(2)의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의 접속상황 플래그를 false로 설정하도록 갱신시키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콘텐츠의 표시처리를 종료할 때, 퍼스널컴퓨터(1)는 PDA(2)의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에 포함되는 접속상황 플래그를 갱신한다.
또한, 퍼스널컴퓨터(1)는 네트워크(3)를 거쳐서 PDA(2)와 접속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PDA(2)에 한하지 않고, 휴대전화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단말기, 디지털 스틸카메라,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카네비게이션장치, 텔레비전수상기, 라디오수신기,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 등과 접속하여,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퍼스널컴퓨터(1)는 PDA(2)와 네트워크(3)를 거쳐서 접속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공중전화회선, 휴대전화기의 통신회선, PHS, 인터넷, Bluetooth, 디지털 위성방송이라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매체를 거쳐서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퍼스널컴퓨터(1) 또는 PDA(2)가 기록 또는 기억하는 콘텐츠는, 음악 또는 화상에 한하지 않고, 음성, 문자,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 등이라도 좋다.
또, 콘텐츠는 DES에 한하지 않고, 공통 키방식의 다른 블록암호, 스트림암호, 또는 공개 키방식의 암호에 의해 암호화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콘텐츠 표시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버(201)는,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PDA(203) 및 퍼스널컴퓨터(204)에 접속한다.
네트워크(202)는, IEEE1394에 의해 규정되는 네트워크 혹은 IEEE802.3에 의해 규정되는 네트워크 등의 로컬영역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등에 의해 구성된다.
서버(201)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 및 콘텐츠키와 함께, 음악 또는 동화상 혹은 정지화상의 화상 등의 콘텐츠를 기록한다. 콘텐츠는 DES 등의 방식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다.
서버(201)는, PDA(203),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 등을 기록한다.
서버(201)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사용자ID 또는 패스워드 등을 기초로, 서버(201)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서버(201)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인증키 등을 사용하여,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를 인증한다. 서버(201)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패스워드 등을 사용하여,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서버(201)는, PDA(203)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PDA(203)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자기자신이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서버(201)는, 퍼스널컴퓨터(204)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퍼스널컴퓨터(204)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자기자신이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서버(20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퍼스널컴퓨터(204)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자기자신이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서버(201)는, PDA(203),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갱신하였을 때,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갱신한 콘텐츠정보를 PDA(203) 및 퍼스널컴퓨터(204)에 송신한다.
서버(201)는,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의 요구에 대응하여, 자기자 신이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의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자기자신이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를 PDA(203),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이동하고, 또는 복사한다.
서버(201)는, PDA(203)의 요구에 대응하여 퍼스널컴퓨터(204)에,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의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를 PDA(203)에 이동시키고, 또는 복사시킨다.
서버(201)는, 퍼스널컴퓨터(204)의 요구에 대응하여 PDA(203)에, PDA(203)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의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PDA(203)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를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이동시키고, 또는 복사시킨다.
서버(201)는, PDA(203)의 요구에 대응하여 퍼스널컴퓨터(204)에, 퍼스널컴퓨터(204)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의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퍼스널컴퓨터(204)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이동시키고, 또는 복사시킨다.
서버(201)는, PDA(203)의 요구에 대응하여 퍼스널컴퓨터(204)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의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를 퍼스널컴퓨터(204)에 이동시키고, 또는 복사시킨다.
PDA(203)는, 콘텐츠의 콘텐츠정보 및 콘텐츠키와 함께, 콘텐츠를 기억한다.
PDA(203)는, PDA(203)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PDA(203)는, 네트워크(202) 를 거쳐서 서버(201)를 인증한다.
PDA(203)는, PDA(203),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서버(201)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PDA(203)는, PDA(203),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표시한다.
PDA(203)는, 자기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서버(201)에 송신한다.
PDA(203)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서버(201)에, 서버(201),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를 요구한다.
PDA(203)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자기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의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PDA(203)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퍼스널컴퓨터(204)는, 콘텐츠의 콘텐츠정보 및 콘텐츠키와 함께 콘텐츠를 기록한다.
퍼스널컴퓨터(204)는, 퍼스널컴퓨터(204)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퍼스널컴퓨터(204)는,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서버(201)를 인증한다.
퍼스널컴퓨터(204)는, PDA(203),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서버(201)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퍼스널컴퓨터(204)는, PDA(203),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표시한다.
퍼스널컴퓨터(204)는,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서버(201)에 송신한다.
퍼스널컴퓨터(2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서버(201)에, 서버(201) 또는 PDA(203)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를 요구한다.
퍼스널컴퓨터(204)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의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는, 퍼스널컴퓨터(204)의 제어에 의거하여, 콘텐츠의 콘텐츠정보 및 콘텐츠키와 함께 콘텐츠를 기록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는, 퍼스널컴퓨터(204)의 제어에 의거하여,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 콘텐츠정보 및 콘텐츠키를 퍼스널컴퓨터(204)에 공급한다.
서버(201)는, 도 2에 나타내는 퍼스널컴퓨터(204)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PDA(203)는, 도 2에 나타내는 퍼스널컴퓨터(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퍼스널컴퓨터(204)는, 도 2에 나타내는 퍼스널컴퓨터(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은, 서버(201)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서버(201)는, 인증기능(221), 콘텐츠 관리기능(222), 저작권 관리기능(223),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 및 통신기능(225) 등을 가진다.
인증기능(221)은, 내부에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31)를 가진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31)는, 서버(201),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의 사용자의 인증정보(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ID, 또는 패스워드 등)를 기록하고 있다. 인증기능(221)은,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31)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기초로, 서버(201),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인증기능(221)은, 인증처리에 필요한 인증키 등을 미리 기억하고, 챌린지 앤드 리스폰스 등의 방식에 의해, 통신기능(225)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통신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 및 송신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를 인증한다.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로부터 송신되고, 통신기능(225)이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통신기능(225)에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정보를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에 송신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통신기능(225)이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 로부터, 서버(201)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이동요구를 수신하였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223)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한다. 저작권 관리기능(223)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기록되어 있는 이용조건을 기초로,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콘텐츠를 이동 또는 복사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저작권 관리기능(223)에 소스(이동원)와 데스티네이션(이동처) 쌍방의 이용조건의 갱신을 지시한다.
예를 들면, 서버(201)에서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로의 콘텐츠의 이동이 요구되었을 때,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콘텐츠를 독출시키고, 통신기능(225)에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독출한 콘텐츠를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에 송신시킨다.
저작권 관리기능(223)에 의해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를 실행하지 않는다.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통신기능(225)이 PDA(203)에서 퍼스널컴퓨터(204)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요구를 수신하였을 때, 통신기능(225)에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요구를 퍼스널컴퓨터(204)에 송신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통신기능(225)이 퍼스널컴퓨터(204)에서 PDA(203)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요구를 수신하였을 때, 통신기능(225)에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요구를 PDA(203)에 송신시킨다.
통신기능(225)이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에 송신하는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요구는, 콘텐츠ID, 패스를 포함하는 파일명 및 이동 또는 복사 등의 조작지시를 포함한다.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통신기능(225)이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였을 때, 수신한 콘텐츠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기록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에 콘텐츠를 이동 또는 복사하였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이동 또는 복사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의 갱신을 지시한다.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에서, 콘텐츠를 이동 또는 복사하였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로, 이동 또는 복사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의 갱신을 지시한다.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PDA(203)가 네트워크(202)에서 분리되었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PDA(203)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퍼스널컴퓨터(204)가 네트워크(202)에서 분리되었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퍼스널컴퓨터(204)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킨다.
저작권 관리기능(223)은, 콘텐츠의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를 허가 또는 금지하는 동시에, 콘텐츠를 이동 또는 복사하였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콘텐츠의 이용조건을 갱신시킨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는, 콘텐츠, 콘텐츠ID, 콘텐츠정보 및 콘텐츠키를 하나의 파일로서, 디렉터리구조에 의해 기록한다.
통신기능(225)은,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에서 송신된, 콘텐츠 또는 콘텐츠정보 등을 수신한다. 통신기능(225)은,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에 콘텐츠 또는 콘텐츠정보 등을 송신한다.
도 21은, 퍼스널컴퓨터(204)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퍼스널컴퓨터(204)는, 인증기능(241), 콘텐츠 표시기능(242), 콘텐츠 재생기능(243), 콘텐츠 관리기능(244), 저작권 관리기능(245),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 및 통신기능(247) 등을 가진다.
인증기능(241)은, 내부에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51)를 가진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51)는, 퍼스널컴퓨터(204)의 사용자의 인증정보(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ID 또는 패스워드 등)를 기록하고 있다. 인증기능(241)은,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51)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기초로, 퍼스널컴퓨터(204)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인증기능(241)은, 인증처리에 필요한 인증키 등을 미리 기억하고, 챌린지 앤 드 리스폰스 등의 방식에 의해, 통신기능(247)이 수신한 데이터 및 송신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서버(201)를 인증한다.
콘텐츠 표시기능(242)은, 표시기능(252) 및 조작지시기능(253)을 가진다. 표시기능(252)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정보에 포함되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부가정보 등을 표시한다.
조작지시기능(253)은, 화면의 클릭 등의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가 공급되었을 때, 콘텐츠 재생기능(243)에 콘텐츠의 재생을 지시하고, 표시기능(252)에 표시를 갱신시킨다.
조작지시기능(253)은,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의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소정의 데이터가 공급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244)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를 지시할 것인지, 또는 통신기능(247)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의 요구를 서버(201)에 송신시킨다.
콘텐츠 재생기능(243)은, 조작지시기능(253)의 지시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복호하여 재생한다. 콘텐츠 재생기능(243)은, 콘텐츠를 재생하였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기록되어 있는 이용조건을 갱신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통신기능(247)이 서버(201)에서 콘텐츠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콘텐츠를 재생, 이동 또는 복사하였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키고,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통신기능(247)에, 갱신한 콘텐츠정보를 서버(201)에 송신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조작지시기능(253)에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 내에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지시(퍼스널컴퓨터(204)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지시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서 퍼스널컴퓨터(204)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지시를 포함함)를 받았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하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기록되어 있는 이용조건을 기초로,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콘텐츠를 이동 또는 복사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소스(이동원)와 데스티네이션(이동처) 쌍방의 이용조건의 갱신을 지시한다.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서버(20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 내에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요구(퍼스널컴퓨터(204)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요구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서 퍼스널컴퓨터(204)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요구를 포함함)을 받았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하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기록되어 있는 이용조건을 기초로,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콘텐츠를 이동 또는 복사시킨다.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소스(이동원)와 데스티네이션(이동처) 쌍방의 이용조건의 갱신을 지시한다.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의해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 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를 실행하지 않는다.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서 서버(201)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의 지시를 조작지시기능(253)에서 받았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하고,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통신기능(247)에 콘텐츠ID 및 패스명을 포함하는 이동(복사)처의 파일명과 함께, 콘텐츠를 서버(201)에 송신시킨다.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의해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통신기능(247)에, 콘텐츠를 송신시키지 않는다.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서 PDA(203)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의 지시를 조작지시기능(253)에서 받았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하고,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통신기능(247)에 콘텐츠ID 및 패스명을 포함하는 이동(복사)처의 파일명과 함께, 콘텐츠를 PDA(203)에 송신시킨다.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의해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통신기능(247)에, 콘텐츠를 송신시키지 않는다.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서 서버(201)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요구를 서버(201)에서 통신기능(247)이 수신하였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하고,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통신기능(247)에 콘텐츠ID 및 패스명을 포함하는 이동(복사)처의 파일명과 함께, 콘텐츠를 서버(201)에 송신시킨다.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의해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통신기능(247)에, 콘텐츠를 송신시키지 않는다.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서 PDA(203)로의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요구를 서버(201)에서 통신기능(247)이 수신하였을 때,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문의하고,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통신기능(247)에 콘텐츠ID 및 패스명을 포함하는 이동(복사)처의 파일명과 함께, 콘텐츠를 PDA(203)에 송신시킨다.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의해 콘텐츠의 이동 또는 복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통신기능(247)에, 콘텐츠를 송신시키지 않는다.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퍼스널컴퓨터(204)에 이동 또는 복사하는 콘텐츠를 통신기능(247)이 수신하였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수신한 콘텐츠를 기 록시키고, 저작권 관리기능(245)에 수신한 콘텐츠의 이용조건의 갱신을 지시한다.
저작권 관리기능(245)은, 콘텐츠의 이용조건에 의거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재생, 이동 또는 복사를 허가 또는 금지하는 동시에, 콘텐츠를 재생, 이동 또는 복사하였을 때,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콘텐츠의 이용조건을 갱신시킨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는, 콘텐츠, 콘텐츠ID, 부가정보, 이용조건 및 콘텐츠키를 하나의 파일로서, 디렉터리구조에 의해 기록한다.
통신기능(247)은,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서버(201) 또는 PDA(203)에서 송신된 콘텐츠 또는 콘텐츠정보 등을 수신한다. 통신기능(247)은,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서버(201) 또는 PDA(203)에 콘텐츠 또는 콘텐츠정보 등을 송신한다.
PDA(203)의 기능의 구성은, 퍼스널컴퓨터(204)의 기능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는, 서버(201)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 퍼스널컴퓨터(204)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 또는 PDA(203)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가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콘텐츠정보는, 예를 들면 접속기기, 콘텐츠ID, 기기ID, 기기명, 접속정보, 부가정보, 이용조건, 파일명 및 표시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접속기기는 서버(201)와의 접속에 있어서,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보다 서버(201)에 가까운 기기의 기기ID이다.
접속정보는,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기기와 서버(201)와의 접속상태를 나타 낸다. 접속정보가 “TRUE”일 때,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기기와 서버(201)와는 접속되어 있다. 서버(201)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접속정보는 “TRUE”로 된다. 접속정보가 “FALSE”일 때,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기기와 서버(201)와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기기명은, 기기ID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기기의 명칭이다. 기기명은, 사용자가 소망의 이름을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부가정보는, 또한 콘텐츠의 기록일 및 콘텐츠의 종별로 구성된다.
이용조건은, 또한 이용가능자, 복사횟수 이동횟수 및 재생횟수로 구성된다. 이용가능자는, 이용가능자를 특정하는 사용자ID로 하여도 좋다. 또, 이용가능자의 이름과 함께, 사용자ID가 이용조건에 포함되도록 하여도 좋다.
파일명은, 소위 패스를 포함한다.
표시정보는, 예를 들면 아티스트명, 릴리스 연월일 및 알범명 등을 포함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기ID가 “0001”인 서버(201)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ID “0001”로 특정되는 콘텐츠의 이름이 음악A이고, 콘텐츠ID “0001”로 특정되는 콘텐츠의 기록일이 2000/1/15이며, 콘텐츠ID “0001”로 특정되는 콘텐츠가 MP3(MPEG audio layer-3)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1”에 대응하는 기기ID는 “0001”로 되고, 콘텐츠ID “0001”에 대응하는 이름은 “음악A”로 되며, 콘텐츠ID “0001”에 대응하는 기록일은 2000/1/15로 되고, 콘텐츠ID “0001”에 대응하는 콘텐츠종별은 “mp3”으로 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기ID가 “0001”인 서버(201)의 기기명은 “서버”로 설정되어 있다.
콘텐츠ID가 “0001”인 콘텐츠가 서버(201)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1”에 대응하는 접속정보는 “TRUE”로 된다. 콘텐츠ID가 “0001”인 콘텐츠가 서버(201)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1”에 대응하는 접속기기는 “null”로 된다.
콘텐츠ID가 “0001”인 콘텐츠의 이용가능자가 “paul”이므로, 콘텐츠ID “0001”에 대응하는 이용가능자는 “paul”로 된다. 콘텐츠ID가 “0001”인 콘텐츠에 대하여,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0회이므로, 콘텐츠ID “0001”에 대응하는 복사횟수는 “0”으로 된다.
콘텐츠ID가 “0001”인 콘텐츠에 대하여, 이동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3회이므로, 콘텐츠ID “0001”에 대응하는 이동횟수는 “3”으로 된다. 콘텐츠ID가 “0001”인 콘텐츠에 대하여, 재생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10회이므로, 콘텐츠ID “0001”에 대응하는 재생횟수는 “10”으로 된다.
콘텐츠ID가 “0001”인 콘텐츠가, 패스가 ¥ROOT¥AUDIO로 표시되는 디렉터리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명이 audio1인 파일에 격납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1”에 대응하는 파일명은 “¥ROOT¥AUDIO¥audio1”로 된다.
콘텐츠ID “0001”에 대응하는 표시정보는, “aaa”인 아티스트명 및 “bbb”인 릴리스 연월일을 포함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기ID가 “0002”인 퍼스널컴퓨터(204)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ID “0002”로 특정되는 콘텐츠의 이름이 음악B이고, 콘텐츠ID “0002”로 특정되는 콘텐츠의 기록일이 2000/2/5이고, 콘텐츠ID “0002”로 특정되는 콘텐츠가 MP3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2”에 대응하는 기기ID는 “0002”로 되고, 콘텐츠ID “0002”에 대응하는 이름은 “음악B”로 되고, 콘텐츠ID “0002”에 대응하는 기록일은 "2000/2/5"로 되고, 콘텐츠ID “0002”에 대응하는 콘텐츠종별은 “mp3”으로 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기ID가 “0002”인 퍼스널컴퓨터(204)의 기기명은 “PC”로 설정되어 있다.
콘텐츠ID가 “0002”인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퍼스널컴퓨터(204)와 서버(201)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2”에 대응하는 접속정보는 “TRUE”로 된다. 콘텐츠ID가 “0002”인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퍼스널컴퓨터(204)가 서버(201)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2”에 대응하는 접속기기는 서버(201)의 기기ID인 “000l”로 된다.
콘텐츠ID가 “0002”인 콘텐츠의 이용가능자가 “paul”이므로, 콘텐츠ID “0002”에 대응하는 이용가능자는 “paul”로 된다. 콘텐츠ID가 “0002”인 콘텐츠에 대하여,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0회이므로, 콘텐츠ID “0002”에 대응하는 복사횟수는 “0”으로 된다.
콘텐츠ID가 “0002”인 콘텐츠에 대하여, 이동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3회이므로, 콘텐츠ID “0002”에 대응하는 이동횟수는 “3”으로 된다. 콘텐츠ID가 “0002”인 콘텐츠에 대하여, 재생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10회이므로, 콘텐츠ID “0002”에 대응하는 재생횟수는 “10”으로 된다.
콘텐츠ID가 “0002”인 콘텐츠가, 패스가 ¥ROOT¥AUDIO로 표시되는 디렉터리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명이 audio2인 파일에 격납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2”에 대응하는 파일명은 “¥ROOT¥AUDIO¥audio2”로 된다.
콘텐츠ID “0002”에 대응하는 표시정보는, “ccc”인 아티스트명 및 “ddd”인 릴리스 연월일을 포함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기ID가 “0002”인 퍼스널컴퓨터(204)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ID “0003”으로 특정되는 콘텐츠의 이름이 화상C이고, 콘텐츠ID “0003”으로 특정되는 콘텐츠의 기록일이 2000/8/30이고, 콘텐츠ID “0003”으로 특정되는 콘텐츠가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기기ID는 “0002”로 되고,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이름은 “화상C”로 되고,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기록일은 "2000/8/30"으로 되고,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콘텐츠종별은 “jpeg”로 된다.
콘텐츠ID가 “0003”인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퍼스널컴퓨터(204)와 서버(201)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접속정보는 “TRUE”로 된다. 콘텐츠ID가 “0003”인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퍼스널컴퓨터(204)가 서버(201)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접속기기는 서버(201)의 기기ID인 “000l”로 된다.
콘텐츠ID가 “0003”인 콘텐츠의 이용가능자가 “paul”이므로,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이용가능자는 “paul”로 된다. 콘텐츠ID가 “0003”인 콘텐츠에 대하여,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1회이므로,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복사횟수는 “1”로 된다.
콘텐츠ID가 “0003”인 콘텐츠에 대하여, 이동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3회이므로,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이동횟수는 “3”으로 된다. 콘텐츠ID가 “0003”인 콘텐츠에 대하여, 재생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10회이므로,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재생횟수는 “10”으로 된다.
콘텐츠ID가 “0003”인 콘텐츠가, 패스가 ¥ROOT¥IMAGE로 표시되는 디렉터리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명이 imge1인 파일에 격납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파일명은 “¥ROOT¥IMAGE¥image1”로 된다.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표시정보는, “eee”인 아티스트명 및 “fff”인 릴리스 연월일을 포함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기ID가 “0003”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ID “0004”로 특정되는 콘텐츠의 이름이 음악D이고, 콘텐츠ID “0004”로 특정되는 콘텐츠의 기록일이 2000/9/15이고, 콘텐츠ID “0004”로 특정되는 콘텐츠가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3(상표)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4”에 대응하는 기기ID는 “0003”으로 되고, 콘텐츠ID “0004”에 대응하는 이름은 “음악D”로 되고, 콘텐츠ID “0004”에 대응하는 기록일은 "2000/9/15"로 되고, 콘텐츠ID “0004”에 대응하는 콘텐츠종별은 “at3”으로 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기ID가 “0003”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의 기기명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라고 설정되어 있다.
콘텐츠ID가 “0004”인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와 서버(201)가 퍼스널컴퓨터(204)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4”에 대응하는 접속정보는 “TRUE”가 된다. 콘텐츠ID가 “0004”인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가 퍼스널컴퓨터(204)를 거쳐서 서버(201)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4”에 대응하는 접속기기는, 퍼스널컴퓨터(204)의 기기ID인 “0002”가 된다.
콘텐츠ID가 “0004”인 콘텐츠의 이용가능자가 “kevin”이므로, 콘텐츠ID “0004”에 대응하는 이용가능자는 “kevin”으로 된다. 콘텐츠ID가 “0004”인 콘텐츠에 대하여,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2회이므로, 콘텐츠ID “0004”에 대응하는 복사횟수는 “2”로 된다.
콘텐츠ID가 “0004”인 콘텐츠에 대하여, 이동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2회이므로, 콘텐츠ID “0004”에 대응하는 이동횟수는 “2”가 된다. 콘텐츠ID가 “0004”인 콘텐츠에 대하여, 재생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20회이므로, 콘텐츠ID “0004”에 대응하는 재생횟수는 “20”으로 된다.
콘텐츠ID가 “0004”인 콘텐츠가, 패스가 ¥ROOT¥AUDIO로 표시되는 디렉터리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명이 audio3인 파일에 격납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4”에 대응하는 파일명은 “¥ROOT¥AUDIO¥audio3”으로 된다.
콘텐츠ID “0004”에 대응하는 표시정보는, “ggg”인 아티스트명 및 “hhh ”인 릴리스 연월일을 포함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기ID가 “0004”인 PDA(203)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ID “0005”로 특정되는 콘텐츠의 이름이 화상E이고, 콘텐츠ID “0005”로 특정되는 콘텐츠의 기록일이 2000/6/1이고, 콘텐츠ID “0005”로 특정되는 콘텐츠가 GIF(Graphic Interchange Format)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5”에 대응하는 기기ID는 “0004”로 되고, 콘텐츠ID “0005”에 대응하는 이름은 “화상E”가 되고, 콘텐츠ID “0005”에 대응하는 기록일은 "2000/6/1"로 되고, 콘텐츠ID “0005”에 대응하는 콘텐츠종별은 “gif”로 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기ID가 “0004”인 PDA(203)의 기기명은, “PDA”로 설정되어 있다.
콘텐츠ID가 “0005”인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PDA(203)와 서버(201)가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콘텐츠ID “0005”에 대응하는 접속정보는 “FALSE”가 된다. 콘텐츠ID가 “0005”인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PDA(203)가 서버(201)에 접속되어 있었으므로, 콘텐츠ID “0005”에 대응하는 접속기기는, 서버(201)의 기기ID인 “0001”로 된다.
콘텐츠ID가 “0005”인 콘텐츠의 이용가능자가 “jamie”이므로, 콘텐츠ID “0005”에 대응하는 이용가능자는 “jamie”로 된다. 콘텐츠ID가 “0005”인 콘텐츠에 대하여, 복사가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5회이므로, 콘텐츠ID “0005”에 대응하는 복사횟수는 “5”로 된다.
콘텐츠ID가 “0005”인 콘텐츠에 대하여, 이동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4회 이므로, 콘텐츠ID “0005”에 대응하는 이동횟수는 “4”가 된다. 콘텐츠ID가 “0005”인 콘텐츠에 대하여, 재생이 허가되어 있는 횟수가 50회이므로, 콘텐츠ID “0005”에 대응하는 재생횟수는 “50”으로 된다.
콘텐츠ID가 “0005”인 콘텐츠가, 패스가 ¥ROOT¥IMAGE로 표시되는 디렉터리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명이 image2인 파일에 격납되어 있으므로, 콘텐츠ID “0005”에 대응하는 파일명은 “¥ROOT¥IMAGE¥image2”로 된다.
콘텐츠ID “0005”에 대응하는 표시정보는, “iii”인 아티스트명 및 “jjj”인 릴리스 연월일을 포함한다.
도 23은, 도 22에 예를 나타내는 콘텐츠정보를 수신한 퍼스널컴퓨터(204)가 표시하는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표시예에 있어서, 루트인 서버(201)에 콘텐츠 “음악A”가 기록되고, 서버(201)에 퍼스널컴퓨터(204) 및 PDA(203)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서버(201)에 대응하는 서버의 아이콘에 대응하여, 서버의 아이콘의 우측에, 콘텐츠 “음악A”의 아이콘, 퍼스널컴퓨터(204)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PDA(203)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다.
퍼스널컴퓨터(204)에 콘텐츠 “음악B”및 콘텐츠 “화상C”가 기록되고, 퍼스널컴퓨터(204)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퍼스널컴퓨터(204)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대응하여, 퍼스널컴퓨터(204)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우측에, 콘텐츠 “음악B”의 아이콘, 콘텐츠 “화상C”의 아이콘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콘텐츠 “음악D”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대응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우측에, 콘텐츠 “음악D”의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다.
PDA(203)에 콘텐츠 “화상E”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PDA(203)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대응하여, PDA(203)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우측에, 콘텐츠 “화상E”의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다.
PDA(203)가 서버(201)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PDA(203)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콘텐츠 “화상E”의 아이콘은, 콘텐츠 “음악A”등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고, PDA(203)가 서버(201)에 접속되어 있었을 때, 콘텐츠 “화상E”를 기록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텐츠 “음악B”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클릭되었을 때, 퍼스널컴퓨터(204)는 콘텐츠 "음악B"에 대응하는 표시정보인, “ccc”인 아티스트명 및 “ddd”인 릴리스 연월일 등을 표시한다.
또 퍼스널컴퓨터(204)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클릭되었을 때,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콘텐츠 “화상C”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드래그되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드롭되었을 때, 또 퍼스널컴퓨터(204)는, 기록하고 있는 콘텐츠 “화상C”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이동한다.
콘텐츠 “화상C”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이동하였을 때, 퍼스널컴퓨터(204)는, 콘텐츠 “화상C”의 이동에 대응하여 콘텐츠정보를 갱신하고, 갱신한 콘텐츠정보를 서버(201)에 공급한다.
서버(201)는, 퍼스널컴퓨터(204)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정보를 갱신하고, 갱신한 콘텐츠정보를 퍼스널컴퓨터(204)에 공급한다.
도 25는, 콘텐츠 “화상C”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이동되었을 때의 콘텐츠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콘텐츠ID “0003”으로 특정되는 콘텐츠 “화상C”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이동되었으므로,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기기ID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대응하는 “0003”으로 되고,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기기명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된다.
또, 콘텐츠ID “0003”에 대응하는 접속기기는, 퍼스널컴퓨터(204)에 대응하는 “0002”로 된다.
콘텐츠 “화상C”의 이동에 대응하여, 갱신된 콘텐츠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퍼스널컴퓨터(204)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대응하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05)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우측에, 콘텐츠 “음악D”의 아이콘 및 콘텐츠 “화상C”의 아이콘을 배치한다.
도 27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도 19에 구성을 나타내는 콘텐츠 표시시스템에 의한, 콘텐츠정보의 표시처리를 설명한다.
스텝(S201)에 있어서, 서버(201)는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 등의 기기가 접속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기기가 접속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S202)으로 진행하여 기기의 접속처리를 실행한다. 기기의 접속처리의 상세는 후술한다.
스텝(S201)에 있어서, 기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기기의 접속처리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스텝(S202)의 처리는 스킵되고, 수속은 스텝(S203)으로 진행한다.
스텝(S203)에 있어서, 서버(201),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는, 콘텐츠의 이동이 요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콘텐츠의 이동이 요구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S204)으로 진행하고, 서버(201),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는, 콘텐츠의 이동처리를 실행한다. 콘텐츠가 이동되었을 때, 서버(201)는 콘텐츠의 이동에 대응하여,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콘텐츠의 이동처리의 상세는 후술한다.
스텝(S203)에 있어서, 콘텐츠의 이동이 요구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콘텐츠의 이동처리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스텝(S204)의 처리는 스킵되고, 수속은 스텝(S205)으로 진행한다.
스텝(S205)에 있어서, 서버(201)는 콘텐츠정보가 갱신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콘텐츠정보가 갱신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S206)으로 진행하고, 서버(201)는 콘텐츠정보의 분배처리를 실행한다. 서버(201)로부터 분배된 콘텐츠정보를 수신한 PDA(203) 및 퍼스널컴퓨터(204)는, 수신한 콘텐츠정보에 의거하여, 콘텐츠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콘텐츠정보의 분배처리의 상세는 후술한다.
스텝(S205)에 있어서, 콘텐츠정보가 갱신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콘텐츠정보의 분배처리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스텝(S206)의 처리는 스킵되고, 수속은 스텝(S207)으로 진행한다.
스텝(S207)에 있어서, 서버(201)는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 등의 기기의 접속이 절단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기기의 접속이 절단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스텝(S208)으로 진행하고, 기기접속의 절단처리를 실행하고, 스텝(S201)으로 복귀하고,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207)에 있어서, 기기의 접속이 절단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기기의 접속의 절단처리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수속은 스텝(S201)으로 복귀하고,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도 19에 구성을 나타내는 콘텐츠 표시시스템은, 콘텐츠의 이동이 요구되었을 때 콘텐츠를 이동하고, 콘텐츠정보가 갱신되었을 때, 갱신된 콘텐츠정보를 분배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PDA(203) 및 퍼스널컴퓨터(204)는, 콘텐츠가 이동되었을 때, 콘텐츠의 이동에 대응하여 갱신된 콘텐츠정보에 의거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콘텐츠 표시시스템은, 콘텐츠의 이동에 한하지 않고, 콘텐츠의 재생, 콘텐츠의 복사, 콘텐츠의 삭제 등의 콘텐츠의 조작을 실행하고, 콘텐츠의 상태가 변화하였을 때 콘텐츠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콘텐츠정보를 분배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28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스텝(S202)에 대응하는,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204)가 접속되었을 때의 기기접속의 처리를 설명한다.
스텝(S11001)에 있어서, 서버(201)의 인증기능(221)은, 챌린지 앤드 리스폰 스 등의 방식에 의해, 퍼스널컴퓨터(204)를 인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1100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하고, 퍼스널컴퓨터(204)는 이 이후의 처리대상으로 되지 않는다.
스텝(S2100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인증기능(241)은, 서버(201)를 인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21001)에 있어서, 서버(201)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하고, 콘텐츠정보는 갱신되지 않는다.
스텝(S1100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가 정당한 것으로 판정되어서 퍼스널컴퓨터(204)가 인증되고, 스텝(S21001)에 있어서, 서버(201)가 정당한 것으로 판정되어서 서버(201)가 인증된 경우, 수속은 스텝(S11002)으로 진행하고, 서버(201)의 인증기능(221)은, 퍼스널컴퓨터(204)에서 공급된 정보를 기초로, 퍼스널컴퓨터(204)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스텝(S11002)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사용자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하고, 콘텐츠정보는 갱신되지 않는다.
스텝(S11002)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사용자가 정당한 것으로 판정되어서,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 스텝(S11003)으로 진행하고,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서 콘텐츠정보를 독출하고 통신기능(225)에,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독출한 콘텐츠정보를 퍼스널컴퓨터(204)에 송신시킨다.
스텝(S21002)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통신기능(247)은, 서버(201)가 송신한 콘텐츠정보를 수신한다. 스텝(S21003)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킨다.
스텝(S21004)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콘텐 츠 데이터베이스(246)에, 콘텐츠정보를 독출시키고, 통신기능(247)에 독출한 콘텐츠정보를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서버(201)에 송신시킨다.
스텝(S11004)에 있어서, 서버(201)의 통신기능(225)은, 퍼스널컴퓨터(204)가 송신한 콘텐츠정보를 수신한다. 스텝(S11005)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퍼스널컴퓨터(204)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파기시킨다.
스텝(S11006)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퍼스널컴퓨터(204)로부터 수신하여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키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서버(201)에 기기가 접속되었을 때, 서버(201) 및 접속된 기기가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정보가 갱신된다.
다음에, 도 29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PDA(203)에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의 아이콘의 드래그 앤드 드롭에 의해, 콘텐츠의 이동이 PDA(203)에서 서버(201)로 요구되었을 때의 스텝(S204)에 대응하는 처리의 일 예이다. 퍼스널컴퓨터(204)에서 PDA(203)로의 콘텐츠의 이동처리를 설명한다.
스텝(S12001)에 있어서, 서버(201)의 통신기능(225)은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콘텐츠의 이동요구를 퍼스널컴퓨터(204)에 송신한다.
스텝(S2200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통신기능(247)은, 콘텐츠의 이동요구를 수신한다. 스텝(S22002)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저작권 관리기능(245)은, 퍼스널컴퓨터(204)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기록되어 있는, 이 동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을 체크한다. 이용조건에 이동을 허가하는 뜻이 한정되어 있지 않을 때, 콘텐츠를 이동하지 않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용조건에 이동을 허가하는 뜻이 설정되어 있을 때, 스텝(S22003)으로 진행하고, 퍼스널컴퓨터(204)의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퍼스널컴퓨터(204)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서 콘텐츠를 독출하고, 통신기능(247)에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독출한 콘텐츠를 PDA(2)에 송신시킨다.
스텝(S32001)에 있어서, PDA(203)의 통신기능은 콘텐츠를 수신한다. 스텝(S32002)에 있어서, PDA(203)의 저작권 관리기능은, 수신한 콘텐츠에 대응하여 이용조건을 갱신한다.
스텝(S22004)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저작권 관리기능(245)은, 퍼스널컴퓨터(204)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송신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을 갱신시킨다. 스텝(S22005)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송신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킨다. 스텝(S22006)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통신기능(247)에, 콘텐츠정보를 서버(201)에 송신시킨다.
스텝(S12002)에 있어서, 서버(201)의 통신기능(225)은, 퍼스널컴퓨터(204)로부터 송신된 콘텐츠정보를 수신한다. 스텝(S12003)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퍼스널컴퓨터(204)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파기시킨다.
스텝(S32003)에 있어서, PDA(203)의 콘텐츠 관리기능은, 수신한 콘텐츠에 대응하여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스텝(S32004)에 있어서, PDA(203)의 통신기능은,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콘텐츠정보를 서버(201)에 송신한다.
스텝(S12004)에 있어서, 서버(201)의 통신기능(225)은, PDA(203)에서 송신된 콘텐츠정보를 수신한다. 스텝(S12005)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PDA(203)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파기시킨다.
스텝(S12006)에 있어서, 서버(201)의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퍼스널컴퓨터(204)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정보 및 PDA(203)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키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서버(201), 퍼스널컴퓨터(204) 및 PDA(203)는 콘텐츠를 이동하는 동시에, 이동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킬 수 있다.
또한, PDA(203)에서 퍼스널컴퓨터(204)로의 콘텐츠의 이동은, 동일한 처리로 실행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30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204)에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의 아이콘의 드래그 앤드 드롭에 의해, 콘텐츠의 이동이 퍼스널컴퓨터(204)에서 서버(201)로 요구되었을 때의 스텝(S204)에 대응하는 처리의 다른 일 예인, 서버(201)에서 퍼스널컴퓨터(204)로의 콘텐츠의 이동처리를 설명한다.
스텝(S13001)에 있어서, 서버(201)의 저작권 관리기능(223)은, 서버(201)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기록되어 있는, 이동이 요구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을 체크한다. 이용조건에 이동을 허가하는 뜻이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 콘텐츠를 이동하지 않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용조건에 이동을 허가하는 뜻이 설정되어 있을 때, 스텝(S13002)으로 진행하고, 서버(201)의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서버(201)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서 콘텐츠를 독출하고, 통신기능(225)에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독출한 콘텐츠를 퍼스널컴퓨터(204)에 송신시킨다.
스텝(S13003)에 있어서, 서버(201)의 저작권 관리기능(223)은, 서버(201)의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송신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이용조건을 갱신시킨다.
스텝(S2300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통신기능(247)은 콘텐츠를 수신한다. 스텝(S23002)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저작권 관리기능(245)은, 수신한 콘텐츠에 대응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이용조건을 갱신시킨다.
스텝(S23003)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수신한 콘텐츠에 대응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46)에,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킨다. 스텝(S23004)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통신기능(247)은,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콘텐츠정보를 서버(201)에 송신한다.
스텝(S13004)에 있어서, 서버(201)의 통신기능(225)은, 퍼스널컴퓨터(204)에서 송신된 콘텐츠정보를 수신한다. 스텝(S13005)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퍼스널컴퓨터(204)에 관한 콘텐츠정보를 파기시킨다.
스텝(S13006)에 있어서, 서버(201)의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퍼스널컴퓨터(204)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키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서버(201) 및 퍼스널컴퓨터(204)는, 콘텐츠를 이동하는 동시에, 이동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1)에서 PDA(203)로의 콘텐츠의 이동, 퍼스널컴퓨터(204)에서 서버(201)로의 콘텐츠의 이동 및 PDA(203)에서 서버(201)로의 콘텐츠의 이동은, 동일한 처리로 실행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31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도 27의 스텝(S206)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가 갱신되었을 때에 실행되는, 콘텐츠정보의 분배의 처리를 설명한다.
스텝(S14001)에 있어서, 서버(201)의 통신기능(225)은,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콘텐츠정보를 PDA(203)에 송신한다.
스텝(S34001)에 있어서, PDA(203)의 통신기능은, 서버(201)에서 송신된 콘텐츠정보를 수신한다. 스텝(S34002)에 있어서, PDA(203)의 콘텐츠 관리기능은, 수신한 콘텐츠정보에 의거하여,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스텝(S34003)에 있어서, PDA(203)의 콘텐츠 표시기능은, 갱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정보를 표시한다.
스텝(S14002)에 있어서, 서버(201)의 통신기능(225)은,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콘텐츠정보를 퍼스널컴퓨터(204)에 송신한다.
스텝(S2400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통신기능(247)은, 서버(201)에서 송신된 콘텐츠정보를 수신한다. 스텝(S24002)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콘텐츠 관리기능(244)은, 수신한 콘텐츠정보에 의거하여,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정보를 갱신한다. 스텝(S24003)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204)의 콘텐츠 표시기 능(242)은, 갱신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정보를 표시하고,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콘텐츠정보가 갱신되었을 때, 콘텐츠정보는 서버(201)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에 분배된다.
또한, 서버(201)에 N개의 기기가 접속되어 있을 때, 서버(201)는 N개의 기기의 각각에 갱신된 콘텐츠정보를 분배한다.
다음에, 도 32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도 27의 스텝(S208)에 대응하는, 기기의 접속절단의 처리를 설명한다.
스텝(S15001)에 있어서, 서버(201)의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접속이 절단된 기기의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의 접속상황 플래그를 false로 설정하도록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키고, 처리는 종료한다.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204)의 접속이 절단되었을 때, 콘텐츠 관리기능(222)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4)에, 퍼스널컴퓨터(204)의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의 접속상황 플래그를 false로 설정하도록 콘텐츠정보를 갱신시킨다.
이와 같이, 콘텐츠의 표시처리를 종료할 때, 서버(201)는 접속이 절단된 기기의 콘텐츠에 관한 콘텐츠정보에 포함되는 접속상황 플래그를 갱신한다.
또한, 서버(201)는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PDA(203) 및 퍼스널컴퓨터(204)와 접속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에 한하지 않고, 휴대전화기, PHS단말기, 디지털 스틸카메라,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카네비게이션장치, 텔레비전수상기, 라디오수신기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 등과 접속하여, 동일 한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 서버(201)는 네트워크(202)를 거쳐서 PDA(203) 및 퍼스널컴퓨터(204)와 접속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공중전화회선, 휴대전화기의 통신회선, PHS, 인터넷, Bluetooth, 디지털 위성방송이라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매체를 거쳐서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서버(201), PDA(203) 또는 퍼스널컴퓨터(204)가 기록 또는 기억하는 콘텐츠는, 음악 또는 화상에 한하지 않고, 음성, 문자,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 등이라도 좋다.
또 콘텐츠는, DES에 한하지 않고, 공통키방식의 다른 블록암호, 스트림암호 또는 공개키방식의 암호에 의해 암호화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으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짜 넣어져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하는 것으로,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컴퓨터 등에, 기록매체에서 인스톨된다.
이 기록매체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컴퓨터와는 별개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디스크(51)(플로피디스크를 포함), 광디스크(52)(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 광자기디스크(53)(MD(Mini-Disc)를 포함), 혹은 반도체메모리(5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만아니라, 컴퓨터에 미리 짜 넣어진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22)이나, 기억부(29)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서 루터, 모뎀 등의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로컬영역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방송이라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매체를 거쳐서 컴퓨터에 인스톨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격납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는 않아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에 의하면, 전송로를 거쳐서 정보처리장치가 인증되고,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가 유지되고, 정보처리장치에서 송신된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의 수신이 제어되고, 수신한 이용조건 및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가 갱신되도록 하였으므로, 신속히 소망의 콘텐츠를 찾아낼 수 있는 동시에, 저작권이 보호된 콘텐츠를 이용조건에 따라서 간단히 이동 또는 복사 등이 가능하도록 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보처리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에 의하면,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가 유지되고,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콘텐츠의 조작에 대응하여,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가 갱신되고, 전송로를 거쳐서 정보제공장치가 인증되고,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정보제공장치로의 이용조건 및 정보의 송신이 제어되고, 정보제공장치에서 송신된 콘텐츠의 이용조건 및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의 수신이 제어되고, 수신한 이용조건 및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이용조건 및 정보가 갱신되고, 정보의 표시가 제어되도록 하였으므로, 신속히 소망의 콘텐츠를 찾아낼 수 있는 동시에, 저작권이 보호된 콘텐츠를 이용조건에 따라서 간단히 이동 또는 복사 등이 가능하도록 된다.

Claims (16)

  1. 조작의 제한이 기술되어 있는 이용조건을 기초로, 콘텐츠를 취급하는 제 1정보 처리장치에, 전송로를 거쳐서,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상기 제 1정보 처리장치를 인증하는 장치인증수단과,
    상기 콘텐츠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상기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상기 제 1정보 처리장치에서 송신된, 상기 콘텐츠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상기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 1수신 제어수단과,
    수신한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수단을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갱신된 경우, 제 2정보 처리장치로의 상기 정보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제어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상기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정보 처리장치에서 송신된, 상기 콘텐츠의 조작요구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 2수신 제어수단과,
    제 2정보 처리장치로의, 상기 콘텐츠의 조작요구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제어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유지하고 있는 상기 이용조건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의 조작을 허가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콘텐츠의 조작을 허가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콘텐츠를 조작하는 조작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자기자신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정보 처리장치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정보제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상기 제 1정보 처리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또한 유지하고,
    상기 갱신수단은, 상기 플래그를 또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제공장치.
  9. 조작의 제한이 기술되어 있는 이용조건을 기초로 콘텐츠를 취급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전송로를 거쳐서,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를 인증하는 장치인증 처리스텝과,
    상기 콘텐츠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상기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처리스텝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송신된, 상기 콘텐츠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상기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제어 처리스텝과,
    수신한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처리스텝을 포함하는 정보제공방법.
  10. 조작의 제한이 기술되어 있는 이용조건을 기초로 콘텐츠를 취급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전송로를 거쳐서,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용 의 프로그램이며,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를 인증하는 장치인증 처리스텝과,
    상기 콘텐츠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상기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처리스텝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송신된, 상기 콘텐츠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상기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제어 처리스텝과,
    수신한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처리스텝을 포함하는 컴퓨터가 독해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11. 전송로를 거쳐서 정보제공장치에 접속되는 동시에, 조작의 제한이 기술되어 있는 이용조건을 기초로 콘텐츠를 취급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상기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상기 콘텐츠의 조작에 대응하여, 유지하고 있는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갱신하는 제 1갱신수단과,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상기 정보제공장치를 인증하는 장치인증수단과,
    상기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상기 정보제공장치로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 1송신 제어수단과,
    상기 정보제공장치에서 송신된, 상기 콘텐츠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상기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제어수단과,
    수신한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갱신하는 제 2갱신수단과,
    상기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유지하고 있는 상기 이용조건을 기초로, 상기 콘텐츠의 조작을 허가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콘텐츠의 조작을 허가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콘텐츠를 조작하는 조작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자기자신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장치로의, 상기 콘텐츠의 조작요구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 2송신 제어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15. 전송로를 거쳐서 정보제공장치에 접속되는 동시에, 조작의 제한이 기술되어 있는 이용조건을 기초로 콘텐츠를 취급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정보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처리스텝과,
    상기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상기 콘텐츠의 조작에 대응하여, 유지하고 있는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갱신하는 제 1갱신 처리스텝과,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상기 정보제공장치를 인증하는 장치인증 처리스텝과,
    상기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상기 정보제공장치로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제어 처리스텝과,
    상기 정보제공장치에서 송신된, 상기 콘텐츠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상기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제어 처리스텝과,
    수신한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갱신하는 제 2갱신 처리스텝과,
    상기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 처리스텝을 포함하는 정보처리방법.
  16. 전송로를 거쳐서 정보제공장치에 접속되는 동시에, 조작의 제한이 기술되어 있는 이용조건을 기초로 콘텐츠를 취급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정보처리용 프로그램이며,
    상기 콘텐츠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처리스텝과,
    상기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상기 콘텐츠의 조작에 대응하여, 유지하고 있는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갱신하는 제 1갱신 처리스텝과,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상기 정보제공장치를 인증하는 장치인증 처리스텝과,
    상기 콘텐츠가 조작된 경우, 상기 정보제공장치로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제어 처리스텝과,
    상기 정보제공장치에서 송신된, 상기 콘텐츠의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콘텐츠에 관계되는 상기 정보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제어 처리스텝과,
    수신한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기초로, 유지하고 있는 상기 이용조건 및 상기 정보를 갱신하는 제 2갱신 처리스텝과,
    상기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 처리스텝을 포함하는 컴퓨터가 독해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KR1020027000360A 2000-05-29 2001-05-29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KR100827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58547 2000-05-29
JP2000158547 2000-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799A KR20020042799A (ko) 2002-06-07
KR100827786B1 true KR100827786B1 (ko) 2008-05-07

Family

ID=1866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360A KR100827786B1 (ko) 2000-05-29 2001-05-29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272859B2 (ko)
EP (1) EP1286286A4 (ko)
JP (1) JP2009054162A (ko)
KR (1) KR100827786B1 (ko)
CN (1) CN1279459C (ko)
HK (1) HK1053363A1 (ko)
TW (1) TW569130B (ko)
WO (1) WO20010931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5361A (ja) * 2000-03-14 2001-09-28 Sony Corp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617533B2 (ja) * 2000-03-14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EP1134643A3 (en) * 2000-03-14 2007-01-17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W569130B (en) * 2000-05-29 2004-01-01 Sony Corp Data providing device and method,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a
JP4029569B2 (ja) 2000-12-13 2008-01-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記録装置、受信装置および送信装置
US7904392B2 (en) * 2001-10-25 2011-03-08 Panasonic Corporation Content usage rule management system
JP4279146B2 (ja) * 2001-11-27 2009-06-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複製システム
AU2002359001A1 (en) * 2001-12-28 2003-07-24 Access Co., Ltd. Usage period management system for applications
US20030174838A1 (en) * 2002-03-14 2003-09-1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friendly peer-to-peer distribution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protected content and mechanism for detecting illegal content distributors
US20030216136A1 (en) * 2002-05-16 2003-1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storage device for providing secure and mobile information
JP2004117798A (ja) * 2002-09-26 2004-04-15 Yamaha Corp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並びに情報処理端末及び処理プログラム
JP3826100B2 (ja) * 2002-11-27 2006-09-27 株式会社東芝 通信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20040117279A1 (en) * 2002-12-12 2004-06-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accessibility privileges
US20040117248A1 (en) * 2002-12-12 2004-06-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d for providing accessibility advertisement
US20040117278A1 (en) * 2002-12-12 2004-06-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bility accounting services
US7376623B2 (en) * 2002-12-12 2008-05-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bility content copyright permission
US7480622B2 (en) * 2002-12-12 2009-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ccessibility insurance coverage management
FR2856500B1 (fr) * 2003-06-23 2009-01-16 Somfy Sas Dispositif relie a un ordinateur de commande a distance d'equipements electriques
JP2005038411A (ja) * 2003-06-30 2005-02-10 Sony Corp 機器認証情報組込システム、端末機器、機器認証情報処理方法、機器認証情報処理プログラム、提供サーバ、機器認証情報提供方法、機器認証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5141413A (ja) * 2003-11-05 2005-06-0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情報処理方法、並びに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方法
JP4613487B2 (ja) * 2003-11-07 2011-01-19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CA2548542C (en) 2003-11-13 2011-08-09 Commvault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snapshot and for restoring data
KR100568235B1 (ko) * 2003-11-20 200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요청 장치 및 방법
US20060265329A1 (en) * 2003-11-21 2006-11-23 Realnetwork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dynamically changing content
US8738537B2 (en) 2003-11-21 2014-05-27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licensing content
US8996420B2 (en) 2003-11-21 2015-03-31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ching data
US7412547B2 (en) * 2003-12-23 2008-08-12 Lenovo Pte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processing with a peripheral input/output channel based device
JP4466148B2 (ja) * 2004-03-25 2010-05-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転送対応コンテンツ利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転送システム
JP4626221B2 (ja) * 2004-06-24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55190B2 (ja) * 2004-08-06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823214B2 (en) * 2005-01-07 2010-10-26 Apple Inc. Accessory authentication for electronic devices
US8516093B2 (en) 2005-04-22 2013-08-20 Intel Corporation Playlist compilation system and method
US7720981B2 (en) * 2005-05-11 2010-05-18 Sony Corpor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establishing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sess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559943B2 (ja) * 2005-06-24 2010-10-13 株式会社東芝 プレイリスト作成装置、プレイリスト作成方法、プレイリスト作成プログラム、著作権情報管理装置、および視聴端末装置
US8271549B2 (en) 2005-08-05 2012-09-18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managing media content
JP2007156512A (ja) * 2005-11-30 2007-06-21 Brother Ind Ltd 状態情報取得処理プログラム、状態情報取得装置、および状態情報取得システム
JP5153651B2 (ja) 2006-02-02 2013-02-27 シーティーエス・コーポレーション 乗物用アクセルペダル
US7949301B2 (en) * 2006-07-21 2011-05-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ccess from personal computer
KR101324187B1 (ko) * 2006-08-24 201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정보갱신방법
KR101112736B1 (ko) 2006-11-03 2012-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콘텐츠 재생 장치와 콘텐츠 저장 장치 간 콘텐츠상태 목록의 동기화 방법, 휴대용 콘텐츠 재생 장치,콘텐츠 저장 장치
US8391775B2 (en) * 2007-03-09 2013-03-05 Airbiquity Inc. Mobile digital radio playlist system
JP4636058B2 (ja) * 2007-08-08 2011-02-2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会議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出力方法およびデータ出力プログラム
CN101227424A (zh) * 2007-12-20 2008-07-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展示方法以及用户终端
JP5134998B2 (ja) * 2008-02-22 2013-01-30 株式会社東芝 コピー制限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とコンテンツ蓄積装置
US20090276700A1 (en) * 2008-04-30 2009-11-05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user status indicators
US20090276855A1 (en) * 2008-04-30 2009-11-05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at provide for presentation of event items
US20090276412A1 (en) * 2008-04-30 2009-11-05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usage analysis
JP4459284B2 (ja) 2008-07-14 2010-04-2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JP4752884B2 (ja) * 2008-08-21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00262929A1 (en) * 2009-04-08 2010-10-14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remote control inputs
US9542058B2 (en) * 2009-04-21 2017-01-10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competitive release board
US8595191B2 (en) 2009-12-31 2013-11-26 Commvaul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data management operations using snapshots
JP5415296B2 (ja) * 2010-01-07 2014-02-12 日置電機株式会社 測定データ記録装置
JP5947295B2 (ja) 2011-06-13 2016-07-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記録制御システム、記録方法及び記録許否制御方法
JP5497811B2 (ja) * 2012-02-09 2014-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US9471578B2 (en) 2012-03-07 2016-10-18 Commvault Systems, Inc. Data storage system utilizing proxy device for storage operations
US9298715B2 (en) 2012-03-07 2016-03-29 Commvault Systems, Inc. Data storage system utilizing proxy device for storage operations
US9342537B2 (en) 2012-04-23 2016-05-17 Commvault Systems, Inc. Integrated snapshot interface for a data storage system
US9886346B2 (en) 2013-01-11 2018-02-06 Commvault Systems, Inc. Single snapshot for multiple agents
US9495251B2 (en) 2014-01-24 2016-11-15 Commvault Systems, Inc. Snapshot readiness checking and reporting
US9753812B2 (en) 2014-01-24 2017-09-05 Commvault Systems, Inc. Generating mapping information for single snapshot for multiple applications
US9639426B2 (en) 2014-01-24 2017-05-02 Commvault Systems, Inc. Single snapshot for multiple applications
US9632874B2 (en) 2014-01-24 2017-04-25 Commvault Systems, Inc. Database application backup in single snapshot for multiple applications
US10042716B2 (en) 2014-09-03 2018-08-07 Commvault Systems, Inc. Consolidated processing of storage-array commands using a forwarder media agent in conjunction with a snapshot-control media agent
US9774672B2 (en) 2014-09-03 2017-09-26 Commvault Systems, Inc. Consolidated processing of storage-array commands by a snapshot-control media agent
US9648105B2 (en) 2014-11-14 2017-05-09 Commvault Systems, Inc. Unified snapshot storage management, using an enhanced storage manager and enhanced media agents
US9448731B2 (en) 2014-11-14 2016-09-20 Commvault Systems, Inc. Unified snapshot storage management
CN105047170B (zh) * 2015-09-09 2017-08-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驱动装置及液晶显示装置
US10503753B2 (en) 2016-03-10 2019-12-10 Commvault Systems, Inc. Snapshot replication operations based on incremental block change tracking
US10732885B2 (en) 2018-02-14 2020-08-04 Commvault Systems, Inc. Block-level live browsing and private writable snapshots using an ISCSI ser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144A (ja) * 1997-03-24 1998-10-09 Sony Corp 情報記録再生方法とその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とその装置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JPH1185848A (ja) 1997-09-11 1999-03-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ライセンス流通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ライセンス流通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H11213010A (ja) 1998-01-29 1999-08-06 Planet Computer:Kk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配信システム
JPH11345261A (ja) * 1998-06-01 1999-12-14 Pfu Ltd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8712A (en) * 1989-10-02 1992-08-11 Sun Micro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licensing software on a network of computers
WO1992020021A1 (en) * 1991-05-08 1992-11-12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License management system
JPH06208583A (ja) 1992-10-21 1994-07-26 Toshiba Corp 画像検索システム
JPH07104993A (ja) 1993-09-30 1995-04-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開発支援装置
JPH08137728A (ja) 1994-09-14 1996-05-31 Toshiba Corp 携帯ファイルシステム及びファイルデータ処理方法
EP0715241B1 (en) * 1994-10-27 2004-01-14 Mitsubishi Corporation Apparatus for data copyright management system
US5715403A (en) 1994-11-23 1998-02-03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digital works having attached usage rights where the usage rights are defined by a usage rights grammar
US5838319A (en) * 1994-12-13 1998-11-1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provided child window control for displaying items in a hierarchical fashion
JPH08305714A (ja) * 1995-04-28 1996-11-22 Fujitsu Ltd 分散データベース管理システム
US5644736A (en) * 1995-05-25 1997-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components of a hierarchical file structure
JPH10333857A (ja) 1997-05-28 1998-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編集装置
JPH1125583A (ja) 1997-07-03 1999-01-29 Sharp Corp ファイル操作装置
ID20673A (id) * 1997-08-06 1999-02-11 Sony Corp Sistem distribusi, metode distribusi, aparat penerimaan dan metode penerimaan
US6363411B1 (en) * 1998-08-05 2002-03-26 Mci Worldcom, Inc. Intelligent network
JPH11149403A (ja) * 1997-11-14 1999-06-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共有方式およびデータ共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6272537B1 (en) * 1997-11-17 2001-08-07 Fujitsu Limited Method for building element manager for a computer network element using a visual element manager builder process
JP4320817B2 (ja) 1998-02-09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システム、記録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022976B2 (ja) 1998-03-06 2007-12-1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システム
US6189146B1 (en) * 1998-03-18 2001-02-1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oftware licensing
JP4304734B2 (ja) 1998-04-17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データの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EP1096443B1 (en) * 1998-07-02 2008-07-16 Sharp Kabushiki Kaisha Copyright management device, electronic-production sales device, electronic-book display device, ke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electronic-production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ese devices are connected via communication lines
US6226618B1 (en) 1998-08-13 2001-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content delivery system
US6229538B1 (en) * 1998-09-11 2001-05-08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ort-centric graphic representations of network controllers
JP2000092058A (ja) * 1998-09-14 2000-03-31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モニタ装置、被モニタ装置、アダプタ、およびモニ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0082003A (ja) * 1999-09-10 2000-03-21 Hitachi Ltd 異種ファイルへのアクセスを可能とする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236081A (ja) * 1999-11-12 2001-08-3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TW569130B (en) * 2000-05-29 2004-01-01 Sony Corp Data providing device and method,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a
JP4254077B2 (ja) 2000-05-29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385511B2 (ja) * 2000-10-12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147795B2 (ja) * 2002-03-25 2008-09-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画像利用システム、情報画像管理装置、情報画像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3622913B2 (ja) * 2002-03-25 2005-02-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画像利用システム、情報画像管理装置、情報画像管理方法、ユーザ情報画像、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RU2327233C2 (ru) * 2004-07-21 2008-06-2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содержания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EP1783655A4 (en) * 2004-07-21 2009-11-11 Sony Corp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CONTENT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4784245B2 (ja) * 2005-10-04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サーバ装置,通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44270B2 (ja) * 2006-07-21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記録媒体、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144A (ja) * 1997-03-24 1998-10-09 Sony Corp 情報記録再生方法とその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とその装置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JPH1185848A (ja) 1997-09-11 1999-03-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ライセンス流通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ライセンス流通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H11213010A (ja) 1998-01-29 1999-08-06 Planet Computer:Kk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配信システム
JPH11345261A (ja) * 1998-06-01 1999-12-14 Pfu Ltd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6286A1 (en) 2003-02-26
HK1053363A1 (en) 2003-10-17
WO2001093136A1 (fr) 2001-12-06
US7891010B2 (en) 2011-02-15
WO2001093136A9 (fr) 2003-10-02
US20020152381A1 (en) 2002-10-17
US7272859B2 (en) 2007-09-18
JP2009054162A (ja) 2009-03-12
KR20020042799A (ko) 2002-06-07
CN1381016A (zh) 2002-11-20
TW569130B (en) 2004-01-01
US20080005805A1 (en) 2008-01-03
CN1279459C (zh) 2006-10-11
EP1286286A4 (en)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786B1 (ko)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JP442441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JP4270252B2 (ja) 情報処理装置、ダウンロード方法、ダウンロード中断方法、ダウンロード再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3393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705916B2 (ja) 記録媒体、記録媒体に対する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020181355A1 (en) Method of managing the copying of contents-representing data
JP2002358241A (ja) コンテンツのコピー管理方法、記録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
US20060222177A1 (en) Information network system and information apparatus
JP2004038988A (ja) 外部記憶媒体を用いたホスト処理装置
US20060059104A1 (en) Rent component, program, and rent component method
JP4585233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転送を管理するプログラム
JP4254077B2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5075250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8278256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を用いる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2004110309A (ja) データコピー及びムーブ処理装置並びにデータコピー及びムーブ処理方法
JPWO2002093825A1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配布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配布システム
JP5179408B2 (ja) ライセンス管理装置及びライセンス管理システム
JP2003067526A (ja) 相手先に応じたコンテンツ管理方法
JP2007028142A (ja) コンテンツ管理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0285591A (ja) ディジタル情報配信システム
CN101640051A (zh) 拷贝控制方法
JP2006285753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20060016951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악 파일 재생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2005141546A (ja) 記録メディア、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9163765A (ja) 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