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343B1 -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 Google Patents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343B1
KR100827343B1 KR1020077012302A KR20077012302A KR100827343B1 KR 100827343 B1 KR100827343 B1 KR 100827343B1 KR 1020077012302 A KR1020077012302 A KR 1020077012302A KR 20077012302 A KR20077012302 A KR 20077012302A KR 100827343 B1 KR100827343 B1 KR 100827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housing
turbin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4619A (ko
Inventor
신이치 야스다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4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4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01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e.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6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sprayed being axially supplied to the rotating member through a hollow rotating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01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e.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4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5/0415Driving means; Parts thereof, e.g. turbine, shaft,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3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spray heads moved by robots or articulated arms, e.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3D-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4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5/0403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 B05B5/0407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with a spraying edge, e.g. like a cup or a b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4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characterised by having rotary outlet or deflecting elements, i.e. spraying being also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5/0426Means for supplying shaping gas

Landscapes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3)을 구성하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는 회전 무화 헤드(8)를 향해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통로(11)와, 에어 모터(7)의 터빈(7C)을 향하는 터빈 에어가 유통되는 터빈 에어 통로(14)와, 터빈(7C)을 구동한 터빈 에어가 배출 에어로서 외부를 향해 유통되는 배출 에어 통로(18)와, 상기이 배출 에어 통로(18)를 둘러싸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온인 단열 에어가 유통되는 단열 에어 통로(19)의 단열 에어 배출로(19C)를 설치한다. 이로써, 단열 상태에서 팽창하여 온도 저하된 터빈 에어가 배출 에어 통로(18)를 유통되어도, 상기 배출 에어 보다도 고온인 단열 에어를 단열 에어 배출로(19C)에서 유통시킴으로써, 배출 에어에 의해 하우징(3)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무, 무화, 헤드, 도장, 도료, 터빈, 에어 모터, 배출로, 하우징, 단열 팽창

Description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ROTARY ATOMIZING HEAD TYPE COATING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차체, 가구, 전자제품 등을 도장하는데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 가구, 전자제품 등을 도장하는 경우에는, 도료의 도착효율, 도장 마무리가 양호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를 사용하여 도장하고 있다. 이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는, 모터 수용부를 가지는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모터 수용부 내에 수용되고, 터빈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에어 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 모터의 회전축의 선단측에 장착된 벨(bell)형 내지 컵형의 회전 무화 헤드와, 상기 회전 무화 헤드에 공급되는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통로(paint passage)를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0-14959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8-1046호 공보 참조).
또,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의 하우징에는, 상기 에어 모터의 터빈을 구동하는 터빈 에어가 유통되는 터빈 에어 통로와, 상기 에어 모터의 터빈을 구동하여 배출되는 배출 에어가 외부를 향해 유통되는 배출 에어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에어 모터를 구동하는 터빈 에어에는, 청정하여 충분히 건조한 드라이 에어가 사용되고, 소정의 압력, 유량을 가지고 적당히 공급된다.
또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에는, 회전 무화 헤드에 공급되는 도료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로써, 고전압으로 대전한 도료 입자는, 피도료물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력선을 따라 비행할 수 있고, 피도료물에 효율적으로 도착(塗着)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는, 충분히 건조한 드라이 에어를 터빈 에어로서 에어 모터에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도장기에서는, 예를 들면 고점도인 도료로도 회전 무화 헤드로부터 미립화 상태에서 분무 가능하도록, 또한 대유량의 도료를 무화 할 수 있도록, 터빈의 회전수를 3000~ 100000rpm까지 고속으로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에어 모터에 공급하는 터빈 에어는, 압력을 3~ 6kg/cm2 정도, 유량을 100~600NL/min 정도까지 올릴 필요가 있고, 터빈 에어의 온도도 고온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터빈 에어의 압력을 높였을 경우에는, 고온에서, 고압인 터빈 에어는 터빈실에 분출됐을 때에, 단열 팽창의 작용에 의해 온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고, 터빈을 회전 구동한 후의 배출 에어는 저온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에어 모터와 그 주변의 하우징 등은 항상 냉각되게 된다. 또, 배출 에어가 유통되는 배출 에어 통로도 저온 상태가 되고, 배출 에어 통로의 주위에 위치하는 하우징의 뒤쪽 부분도 배출 에어 통로를 유통하는 배출 에어에 의해 냉각되게 된다.
여기에서, 도장 작업을 행하는 도장 부스 내부는, 도장 마무리가 양호하게 되도록 온도와 습도가 관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보디를 도장하는 부스 내부는, 온도가 20~25℃ 정도, 습도가 70~ 90% 정도로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배출 에어에 의해 하우징이 냉각되면 고온 다습한 부스 내에서는 하우징의 표면에 결로가 생긴다.
그리고, 하우징의 표면에 결로가 생기면, 도료에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이 어스(earth) 측에 누설되어 버리기 때문에, 정전(靜電) 도장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결로에 의해 하우징이 어스 측에 접속되면 고전압에 대전한 도료 입자가 하우징 측으로 비행하여 그 표면에 부착되므로, 하우징 표면의 전기 절연성의 저하를 촉진하는 요인으로도 된다.
또한, 하우징 표면의 결로가 진행되면, 결로된 수분이 물방울로 되므로, 이 상태에서 도장기를 동작시켰을 때에는, 물방울이 비산하여 도장면에 부착된다. 이 경우, 극히 입자 직경이 작은 안개형 물방울이라도, 양에 관계 없이 도장면에 부착되었을 때에는 도장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터빈 에어의 단열 팽창의 작용으로 에어 모터가 저온 상태가 되어도, 하우징의 표면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양호한 도장 마무리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는, 모터 수용부를 가지는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모터 수용부에 수용되고 터빈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에어 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앞쪽에 위치되어 상기 에어 모터의 회전축의 선단부에 장착된 회전 무화 헤드와, 상기 회전 무화 헤드에 공급되는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통로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 모터의 터빈을 구동하는 터빈 에어가 유통되는 터빈 에어 통로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 모터의 터빈을 구동하여 배출되는 배출 에어가 외부를 향해 유통되는 배출 에어 통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출 에어 통로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내부를 상기 배출 에어보다 고온인 단열 에어가 유통되는 단열 에어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터빈 에어 통로를 통하여 에어 모터의 터빈에 터빈 에어를 공급하면, 회전축과 함께 회전 무화 헤드가 회전 구동된다. 이 상태에서 도료 통로를 통해서 도료를 회전 무화 헤드에 공급함으로써, 회전 무화 헤드로부터 피도료물을 향해 도료를 분무한다. 한편, 터빈에 공급된 터빈 에어는, 터빈실에 분출되었을 때에 단열 팽창에 의해 온도가 저하되고, 저온 상태의 배출 에어로 되어 배출 에어 통로를 통해서 외부에 배출된다.
여기서, 배출 에어 통로의 외주에는, 상기 배출 에어 통로를 둘러싼 단열 에어 통로가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열 에어 통로에 단열 에어를 유통시킴으로써, 배출 에어 통로를 유통하는 배출 에어에 의해 하우징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단열 에어 통로를 흐르는 에어에 의해 하우징의 온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도료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정전 도장을 행하는 경우에도, 결로에 의해 고전압이 누설되는 사태를 미리 방지할 수 있고, 도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하우징의 표면에 도료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장면에 결로에 의한 물방울이 부착되어 도장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도장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은, 앞쪽에 위치되어 내주측이 상기 모터 수용부가 되는 통부와, 상기 통부의 뒤쪽에 설치된 저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터빈 에어 통로, 배출 에어 통로, 단열 에어 통로는 상기 저부를 통하여 외부에 연통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하우징의 앞쪽을 통부로 함으로써, 상기 통부의 내주측을 모터 수용부로 할 수 있다. 한편, 터빈 에어 통로, 배출 에어 통로, 단열 에어 통로는, 하우징의 저부의 위치에서 외부의 배관을 접속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에어 모터의 터빈실로부터 연장되는 중심측의 내측 통로와 외주측의 외측 통로가 이중구조로 배치된 이중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 에어 통로는 상기 이중 통로의 내측 통로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단열 에어 통로는 상기 이중 통로의 외측 통로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하우징에 형성한 이중 통로의 내측 통로를 에어 모터의 터빈실까지 연장함으로써, 상기 내측 통로를 배출 에어가 유통되는 배출 에어 통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이중 통로의 외측 통로는, 단열 에어를 유통함으로써, 배출 에어 통로를 유통하는 배출 에어에 의해 하우징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서는, 상기 터빈 에어 통로의 외주에는, 상기 단열 에어 통로의 일부를 이루어 상기 터빈 에어 통로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단열 에어 공급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터빈 에어통로와 단열 에어 공급로를 이중 통로로서 한 개소에 통합하고 있기 때문에, 터빈 에어 통로와 단열 에어 공급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 모터의 주위에는, 상기 에어 모터를 둘러싸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는, 단열 에어가 유통되는 상기 단열 에어 통로의 일부로서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터빈 에어의 단열 팽창에 의해 에어 모터의 온도가 저하되고, 이 때의 냉열이 하우징에도 전해지려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에어 모터의 주위에는, 상기 에어 모터를 둘러싸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단열 에어가 유통되고 있으므로, 상기 공간부에 의해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정전 도장을 행했을 때의 고전압의 누설, 결로에 의한 도장 불량 등을 방지하여, 도장 마무리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6).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 모터의 주위에는, 상기 에어 모터를 둘러싸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회전 무화 헤드로부터 분무된 도료의 분무 패턴을 정돈하기 위한 세이핑 에어(shaping air)가 유통되는 세이핑 에어 통로의 일부로서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터빈 에어의 단열 팽창에 의해 에어 모터의 온도가 저하되고, 이 때의 냉열이 하우징에도 전해지려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에어 모터의 주위에는, 상기 에어 모터를 둘러싸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세이핑 에어가 유통되고 있으므로, 상기 공간부에 의해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정전 도장을 행했을 때의 고전압의 누설, 결로에 의한 도장 불량 등을 방지하여, 도장 마무리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7)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간부는, 상기 하우징의 모터 수용부의 내주측과 상기 에어 모터를 구성하는 모터 케이스의 외주측 사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공간부를 하우징의 모터 수용부의 내주측과 에어 모터의 모터 케이스의 외주측 사이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공간부는, 에어 모터에 의해 하우징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8)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모터 수용부가 설치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측을 덮는 커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측과 커버의 내주측 사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하우징을 하우징 본체와 커버에 의해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 본체를 커버로 덮을 때에 공간부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공간부는 커버의 표면이 결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등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중의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이중 통로, 배출 에어 통로, 단열 에어 통로를 도 2중의 화살표 Ⅲ-Ⅲ 방향으로부터 본 주요부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히터 장치를 구비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등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중의 화살표 Ⅷ-Ⅷ 방향으로부터 본 도장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중의 단열 에어 통로를 전개한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중의 단열 에어 통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 중의 화살표 XⅡ-XⅡ 방향으로부터 본 도장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 중의 단열 에어 통로를 전개한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 중의 단열 에어 통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적용되는 도장용 로봇 장치에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를 장착한 상태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 중의 굴곡형 암에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를 장착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은 제1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를 나타내고, 상기 도장기(1)는, 후술하는 고전압 발생기(10)에 의해 도료에 고전압을 직접적으로 인가하는 직접 대전식(帶電式)의 정전 도장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도장기(1)는, 예를 들면 도장 작업용 로봇 장치, 레시프로케이터(reciprocator) 등의 암(arm)(2)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1)는, 후술하는 하우징(3), 에어 모터(7), 회전 무화 헤드(8), 도료 통로(11), 터빈 에어 통로(14), 이 중 통로(17), 배출 에어 통로(18), 및 단열 에어 통로(19)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3은 도장기(1)의 외형을 형성한 하우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하우징(3)은, 후술하는 하우징 본체(4)와 커버(5)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3)은, 내부에 에어 모터(7)를 수용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4는 하우징(3)의 본체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 본체를 나타내고, 상기 하우징 본체(4)는 그 후방측이 암(2)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또, 하우징 본체(4)는, 절연성을 가지는 수지 재료,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 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옥시메틸렌(P0M,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등의 고기능 수지 재료(고성능 플라스틱)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 본체(4)는, 후술하는 커버(5), 세이핑 에어링(6)과 함께 절연성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고전압 발생기(10)에 의한 고전압에 대전하는 에어 모터(7)와 암(2) 사이를 절연하고, 도료에 인가되는 고전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에 위치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된 통부(4A)와, 상기 통부(4A)의 뒤쪽에 형성된 원기둥형의 저부(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통부(4A)의 내주측은, 에어 모터(7)를 결합 상태로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4C)가 되고, 저부(4B)에는, 후술하는 터빈 에어 통로(14), 배출 에어 통로(18), 단열 에어 통로(19) 등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5는 하우징 본체(4)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4)의 외주측에 장 착된 커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커버(5)는, 예를 들면 하우징 본체(4)와 대략 마찬가지의 절연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매끄러운 외주면(5A)를 가지는 원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5)의 앞쪽에는, 후술하는 세이핑 에어링(6)이 장착되어 있다.
참조부호 6은 하우징(3)의 앞쪽에 설치된 세이핑 에어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세이핑 에어링(6)은, 예를 들면 하우징 본체(4)와 대략 마찬가지의 절연성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계단식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세이핑 에어링(6)은, 하우징 본체(4)의 앞부분에 대면한 상태로, 커버(5)의 앞쪽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세이핑 에어링(6)의 전단부에는, 다수개(2개만 도시)의 에어 분출구(6A)가 원주 방향으로 줄지어 배열되어 개구되어 있다. 또, 세이핑 에어링(6)의 후부에는, 후술하는 에어 모터(7)의 앞쪽을 지지하는 지지 단부(6B)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이핑 에어링(6)은, 후술하는 세이핑 에어 통로(21) 등을 통하여 공급되는 세이핑 에어를 에어 분출구(6A)로부터 분출한다. 상기 세이핑 에어는, 후술하는 회전 무화 헤드(8)로부터 분무된 도료의 분무 패턴을 원하는 분무 패턴으로 되도록 정돈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7은 하우징(3)에 설치된 에어 모터를 나타내고, 상기 에어 모터(7)는, 압축 에어를 동력원으로서 회전 무화 헤드(8)를, 예를 들면 3000~ 100000rpm의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 에어 모터(7)는, 하우징(3)을 구성하는 하우징 본체(4)의 모터 수용부(4C) 내에 수용된 원통형의 모터 케이스(7A)와, 상기 모터 케이스(7A)의 뒤쪽 근처에 위치되어 터빈실(7B)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터 빈(7C)과, 축 방향의 기단측이 상기 터빈(7C)의 중심부에 일체적으로 장착되고, 앞쪽에 연장된 선단부가 모터 케이스(7A)로부터 돌출된 중공 회전축(7D)과, 상기 모터 케이스(7A)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7D)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에어 베어링(7E)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모터 케이스(7A), 회전축(7D) 등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 후술하는 고전압 발생기(10)를 모터 케이스(7A)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회전 무화 헤드(8)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이로써, 회전 무화 헤드(8)는, 피드 튜브(feed tube)(9)로부터 토출되는 도료에 직접적으로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참조부호 8은 세이핑 에어링(6)의 앞쪽에 위치되어 에어 모터(7)의 회전축(7D) 선단부에 장착된 회전 무화 헤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회전 무화 헤드(8)는,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벨형 내지 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무화 헤드(8)는, 에어 모터(7)에 의해 고속 회전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피드 튜브(9)로부터 도료가 보조 공급됨으로써, 그 도료를 원심력에 의해 미립화한 무수한 도료 입자로서 분무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9는 에어 모터(7)의 회전축(7D) 내에 삽입하여 설치된 피드 튜브를 나타내고, 상기 피드 튜브(9)의 선단측은, 회전축(7D)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 무화 헤드(8) 내로 연장되고 있다. 또, 피드 튜브(9)의 기단측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도료 통로(11)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피드 튜브(9)는 도료 통로(11) 등을 통하여 공급되는 도료를 회전 무화 헤드(8)로 토출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10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고전압 발생기를 나타내고, 상기 고전압 발생기(10)는, 예를 들면 콕크로프트(Cockcroft) 회로에 의해 구성되며, 고전압 케이블(10A)를 통하여 전원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고전압 발생기(10)는,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예를 들면 -30~-150kV로 승압하고, 에어 모터(7)의 회전축(7D), 회전 무화 헤드(8)를 통하여 도료에 고전압을 직접적으로 인가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11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형성된 도료 통로를 나타내고, 상기 도료 통로(11)는, 저부(4B)의 중앙에 위치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도료 통로(11)의 유입측에는 관 조인트(12A)를 사용하여 외부의 도료 배관(12)이 접속되고, 도료 통로(11)의 유출측은 피드 튜브(9)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료 통로(11)는, 도료 배관(12), 기어 펌프(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하여 복수 색의 도료, 세정 유체(신나,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색 변경 밸브 장치(color change valve device)(13)에 접속되어 있다.
참조부호 14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터빈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터빈 에어 통로(14)는, 에어 모터(7)의 터빈(7C)을 구동하는 터빈 에어가 유통되는 것이다. 상기 터빈 에어 통로(14)는 유입측이 저부(4B)로부터 외부로 연통하고, 유출측이 에어 모터(7)의 모터 케이스(7A)에 형성된 터빈실(7B)로 개구되어 있다. 또, 터빈 에어 통로(14)에는, 관 조인트(15A)를 사용하여 에어 배관(15)이 접속되고, 터빈 에어 통로(14)는, 에어 배관(15),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하여 에어원(16)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터빈 에어는, 압력이 3~6kg/cm2로, 유량이 10O~600NL/min로 되는 고압의 에어이다.
여기서, 터빈 에어 통로(14)로부터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에 터빈 에어를 분출하면, 터빈(7C)은 터빈 에어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 터빈 에어는, 터빈실(7B)에서 단열 팽창되어 배출 에어로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에어로 된 터빈 에어는, 온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고, 냉기로 된다.
참조부호 17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이중 통로를 나타내고, 상기 이중 통로(17)는,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 중앙 근처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이중 통로(17)는, 모터 수용부(4C)의 구멍 저면과 저부(4B)의 후단면 사이에 걸쳐 형성된 외측 통로 구멍(17A)과, 상기 외측 통로 구멍(17A) 내에 원통형의 간극(도 3 참조)을 가지고 삽입된 내측 배관(17B)에 의해 동심원형의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중 통로(17)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구멍 가공을 행하여 외측 통로 구멍(17A)을 천공 형성하고, 그 내부에 내측 배관(17B)을 삽입하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이중 통로(17)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1개의 구멍 가공을 실행하기만 하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배출 에어 통로(18)와 단열 에어 통로(19)의 단열 에어 배출로(19C)를 간단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조부호 18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배출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배출 에어 통로(18)는, 이중 통로(17)의 내측 배관(17B) 내에 내 측 통로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배출 에어 통로(18)는, 유입측이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에 연통되고, 유출측이 저부(4B)를 통하여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 에어 통로(18)는 터빈 에어 통로(14)로부터 에어 모터(7)의 터빈(7C)을 향해 분출된 터빈 에어가, 배출 에어로 되어 터빈실(7B)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때에 유통되는 것이다.
참조부호 19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단열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단열 에어 통로(19)는, 단열 에어 공급로(19A), 단열 에어 연락로(19B), 단열 에어 배출로(19C) 및 배출 개구(19D)에 의해 U 자형으로 구성되며, 저부(4B)를 통하여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단열 에어 통로(19)는, 배출 에어 통로(18)를 유통하는 배출 에어보다 고온인 단열 에어를 단열 에어 공급로(19A), 단열 에어 연락로(19B), 단열 에어 배출로(19C)로 유통하고, 배출 개구(19D)로부터 배출한다. 이 때, 단열 에어 배출로(19C)는, 단열 팽창에 의해 차가워진 배출 에어가 배출 에어 통로(18) 내를 흐를 때에, 냉열이 하우징(3)측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단열 에어 통로(19)의 단열 에어 공급로(19A)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단열 에어 공급로(19A)는, 단열 에어 통로(19)의 유입측을 구성하므로, 이중 통로(17)와 병행하도록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되어 있다. 또, 단열 에어 공급로(19A)는, 유출측이 에어 모터(7)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단열 에어 연락로(19B)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단열 에어 공급로(19A)에는 관 조인트(20A)를 사용하여 에어 배 관(20)이 접속되고, 단열 에어 공급로(19A)는 에어 배관(20),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하여 에어원(16)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단열 에어 공급로(19A)는, 에어원(16)으로부터 에어 배관(20) 등을 통하여 공급되는 단열 에어를 단열 에어 연락로(19B)를 통하여 단열 에어 배출로(19C) 측에 유통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단열 에어 통로(19)를 유통하는 단열 에어는, 에어원(16)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에어로, 공기의 압축 작용에 의해 고온으로 되어 있다. 한편, 배출 에어는, 단열 팽창에 의해 냉각되고, 터빈 에어 통로(14)로부터 공급되는 터빈 에어보다 낮은 온도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단열 에어 통로(19) 내를 흐르는 단열 에어는, 배출 에어 통로(18) 내를 흐르는 배출 에어보다 고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 에어는, 에어원(16)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에어 자체라도 충분한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단열 에어 배출로(19C)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단열 에어 배출로(19C)는, 이중 통로(17)의 외측 통로 구멍(17A)과 내측 배관(17B) 사이의 외측 통로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통로이다. 또, 단열 에어 배출로(19C)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를 통하여 설치되고, 유입측이 에어 모터(7)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단열 에어 연락로(19B)에 접속되고, 유출측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의 후단면에서 배출 개구(19D)로 되어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단열 에어 배출로(19C)는, 내측 배관(17B) 내에 설치된 배출 에어 통로(18)를 둘러싸고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배출 에어 통로(18)로부터 하우징 본체(4)에 열전도 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여기서, 단열 에어 배출로(19C)는, 단열 에어 공급로(19A)로부터의 단열 에어를 유통시킨다. 이 때, 단열 팽창에 의해 온도가 저하된 배출 에어가 배출 에어 통로(18) 내를 흐를 때에, 상기 배출 에어 통로(18)로부터 하우징(3)측으로 전하려고 하는 냉열을 단열 에어로 둘러싸고, 배출 개구(19D)로부터 하우징(3)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 에어는, 배기 에어에 의해 하우징(3)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조부호 21은 하우징 본체(4)의 외주측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세이핑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세이핑 에어 통로(21)는, 세이핑 에어링(6)의 각 에어 분출구(6A)에 공급되는 세이핑 에어가 유통되는 것이다. 또, 세이핑 에어 통로(21)에는, 관 조인트(22A)를 사용하여 에어 배관(22)이 접속되고, 상기 에어 배관(22)은 에어원(16)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의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1)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에, 상기 도장기(1)를 사용하여 도장 작업을 행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에어 배관(15), 터빈 에어 통로(14)를 통해서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에 고압인 터빈 에어를 분사하고, 상기 터빈 에어에 의해 터빈(7C)을 회전 구동시킨다. 이로써, 회전축(7D)과 함께 회전 무화 헤드(8)가 고속으로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색 변경 밸브 장치(13)에서 선택된 도료를 도료 배관(12), 도료 통로(11)를 통하여 피드 튜브(9)로부터 회전 무화 헤드(8)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도료를 회전 무화 헤드(8)로부터 미립화한 도료 입자로서 분무할 수 있다.
이 때에, 도료(도료 입자)에는, 고전압 발생기(1O)에 의해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이로써, 고전압으로 대전한 도료 입자는, 어스에 접속된 피도료물을 향해 비행하여 효율적으로 도착될 수 있다.
한편, 터빈 에어 통로(14)로부터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에 공급되는 고압인 터빈 에어는, 상기 터빈실(7B)에 분출됐을 때에 단열 팽창에 의한 온도 저하를 발생하고, 상기 터빈 에어는 저온인 상태로 배출 에어 통로(18)를 유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도장 작업을 행하는 도장 부스 내부는, 도장 마무리가 양호하게 되도록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예를 들면 도장 부스 내의 온도는 20~25℃ 정도, 습도는 70~90% 정도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저온인 상태로 배출되는 배출 에어에 의해 하우징(3)이 냉각되면, 고온 다습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3)을 구성하는 커버(5)의 외주면(5A)(표면)에는 결로가 생기기 쉬워진다.
그런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을 구성하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는, 저온인 배출 에어가 유통되는 배출 에어 통로(18)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단열 에어 통로(19)의 단열 에어 배출로(19C)를 설치하고, 상기 단열 에어 배출로(19C) 내에는 단열 에어를 항상 유통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배출 에어 통로(18) 내부를 저온인 배출 에어가 흐를 때에, 상기 배출 에어 통로(18)로부터 하우징(3) 측에 전하려고 하는 차가워진 열을 단열 에어에 실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에어 통로(18)를 유통하는 배출 에어에 의해 하우징(3)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제1 실시예에서는, 단열 에어 통로(19)에 항상 단열 에어를 유통시킴으로써, 그 단열 에어 배출로(19C)에 의해 하우징(3)의 온도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도료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정전 도장을 행하는 경우에도, 결로에 의해 고전압이 누설되는 사태를 미리 막을 수 있고, 도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회전 무화 헤드(8)로부터 분무된 도료가 하우징(3)의 커버(5)의 외주면(5A)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피도료물의 도장면에 결로에 의한 물방울이 부착되어 도장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장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압축 에어는 압축열에 의해 고온으로 되기 때문에, 단열 에어 통로(19)를 유통하는 단열 에어는, 에어원(16)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에어로 되고, 히터 등을 사용하여 따뜻하게 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도장 시스템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고, 설비, 유지 관리 등에 필요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중 통로(17)의 내측 배관(17B) 내의 내측 통로에 의해 배출 에어 통로(18)를 형성하고, 외측 통로 구멍(17A)과 내측 배관(17B) 사이의 외측 통로에 의해 단열 에어 통로(19)의 단열 에어 배출로(19C)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이중 통로(17)는, 하우징(3)의 뒤쪽에 외측 통로 구멍(17A)을 천공 형성하고, 그 내부에 내측 배관(17B)을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므로, 이중구조의 배출 에어 통로(18)와 단열 에어 배출로(19C)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 은, 터빈 에어 통로의 외주에는, 단열 에어 통로의 일부를 이루어 터빈 에어 통로를 둘러싸도록 연장하는 단열 에어 공급로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4에서, 참조부호 31은 하우징(3)을 구성하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제1 이중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이중 통로(31)는,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의 외주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이중 통로(31)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중 통로(17)와 마찬가지로, 외측 통로 구멍(31A)과 상기 외측 통로 구멍(31A) 내에 원환형의 간극을 가지고 삽입된 내측 배관(31B)에 의해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이중 통로(31)는, 터빈 에어, 단열 에어의 유입측으로 되므로, 제1 이중 통로(31)의 유입측에는 후술하는 이중관 조인트(32)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이중 통로(31)의 내측 배관(31B) 내에는, 내측 통로로서 후술하는 터빈 에어 통로(34)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1 이중 통로(31)의 외측 통로 구멍(31A)과 내측 배관(31B) 사이에는, 원통형의 외측 통로로서 후술하는 단열 에어 통로(36)의 단열 에어 공급로(36A)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이중 통로(31)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중 통로(17)와 마찬가지로,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외측 통로 구멍(31A)을 천공 형성하고, 그 내부에 내측 배관(31B)를 삽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하우징(3)에 간단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조부호 32는 제1 이중 통로(31)의 유입측에 위치되어 하우징 본체(4)의 저 부(4B)에 장착된 이중관 조인트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이중관 조인트(32)는, 내측 조인트부(32A)와 외측 조인트부(3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내측 조인트부(32A)는, 축 방향의 후단측에 위치되어 제1 이중 통로(31)의 내측 배관(31B) 내, 즉 터빈 에어 통로(34)에 연통되어 있다. 또, 외측 조인트부(32B)는, 외주측에 위치되어 외측 통로 구멍(31A)과 내측 배관(31B) 사이, 즉 단열 에어 통로(36)의 단열 에어 공급로(36A)에 연통되어 있다. 또, 내측 조인트부(32A)에는 에어 배관(15)이 접속되고, 외측 조인트부(32B)는 에어 배관(20)이 접속되어 있다.
참조부호 33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제2 이중 통로를 나타내고, 상기 제2 이중 통로(33)는,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 중앙 근처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이중 통로(33)는, 제1 이중 통로(31)와 대략 마찬가지로, 외측 통로 구멍(33A)과 내측 배관(3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34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터빈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터빈 에어 통로(34)는, 에어 모터(7)의 터빈(7C)을 구동하는 터빈 에어가 유통되는 것이다. 또, 터빈 에어 통로(34)는, 제1 이중 통로(31)의 내측 배관(31B) 내에 내측 통로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터빈 에어 통로(34)의 유입측은 이중관 조인트(32)의 내측 조인트부(32A)에 접속되고, 유출측은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의 외주측에 개구되어 있다.
참조부호 35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배출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배출 에어 통로(35)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배출 에어 통로(18)와 마찬가지로, 제2 이중 통로(33)의 내측 배관(33B) 내의 내측 통로로서 형성되고,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을 하우징(3)의 외부로 개방하고 있다.
참조부호 36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제2 실시예에 의한 단열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단열 에어 통로(36)는, 단열 에어 공급로(36A), 단열 에어 연락로(36B), 단열 에어 배출로(36C) 및 배출구(36D)에 의해 U 자형으로 구성되며, 저부(4B)를 통하여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단열 에어 통로(36)의 유입측을 구성하는 단열 에어 공급로(36A)는, 제1 이중 통로(31)의 외측 통로 구멍(31A)과 내측 배관(31B) 사이의 외측 통로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통로이다. 또, 단열 에어 공급로(36A)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를 통해서 설치되고, 유입측이 저부(4B)의 후단면에서 이중관 조인트(32)의 외측 조인트부(32B)에 접속되고, 유출측이 에어 모터(7)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단열 에어 연락로(36B)에 접속되어 있다.
또, 단열 에어 통로(36)의 유출측을 구성하는 단열 에어 배출로(36C)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단열 에어 통로(19)의 단열 에어 배출로(19C)와 대략 마찬가지로, 제2 이중 통로(33)의 외측 통로 구멍(33A)과 내측 배관(33B) 사이의 외측 통로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통로이다. 또한, 단열 에어 배출로(36C)는, 배출 에어 통로(35)를 둘러싸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단열 에어 배출로(36C)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를 통해서 설치되고, 유입측이 에어 모터(7)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단열 에어 연락로(36B)를 통하여 단열 에어 공급로(36A)에 접속되고, 유출측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의 후단면에서 배출 개구(36D)로 되어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터빈 에어, 단열 에어의 유입측도 제1 이중 통로(31)로 하고, 상기 제1 이중 통로(31)를 이용하여 터빈 에어 통로(34)와 단열 에어 통로(36)의 단열 에어 공급로(36A)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터빈 에어 통로(34)와 단열 에어 공급로(36A)를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배출 에어 통로를 2개 설치하고, 각 통로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단열 에어 통로를 2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5에서, 참조부호 41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제1 이중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이중 통로(41)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중 통로(17)와 마찬가지로,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 중앙 근처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이중 통로(41)는, 외측 통로 구멍(41A)과 내측 배관(41B)으로 이루어지고, 유입측에는 이중관 조인트(4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이중관 조인트(42)는, 축 방향의 후단측에 위치되어 제1 이중 통로(41)의 내측 배관(41B)의 관내를 외부로 개방하는 내측 개구부(42A)와, 외주측에 위치되어 외측 통로 구멍(41A)과 내측 배관(41B) 사이에 연통된 외측 조인트부(42B)를 구비하고 있다.
참조부호 43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제2 이중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2 이중 통로(43)는, 제1 이중 통로(41)와 마찬가지로,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 중앙 근처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측 통로 구멍(43A)과 내측 배관(4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44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제1 배출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배출 에어 통로(44)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배출 에어 통로(18)와 마찬가지로, 제1 이중 통로(41)의 내측 배관(41B) 내의 내측 통로로서 형성되고,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을 이중관 조인트(42)의 내측 개구부(42A)로부터 하우징(3)의 외부로 개방하고 있다.
참조부호 45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제2 배출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2 배출 에어 통로(45)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배출 에어 통로(18)와 마찬가지로, 제2 이중 통로(43)의 내측 배관(43B) 내의 내측 통로로서 형성되고,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을 하우징(3)의 외부로 개방하고 있다.
참조부호 46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제3 실시예에 의한 단열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단열 에어 통로(46)는, 단열 에어 공급로(46A), 단열 에어 연락로(46B), 단열 에어 배출로(46C) 및 배출 개구(46D)에 의해 U 자형으로 구성되며, 저부(4B)를 통하여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단열 에어 통로(46)의 유입측을 구성하는 단열 에어 공급로(46A)는, 제1 이중 통로(41)의 외측 통로 구멍(41A)과 내측 배관(41B) 사이의 외측 통로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통로이다. 또, 단열 에어 공급로(46A)는, 제1 배출 에어 통 로(44)를 둘러싸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단열 에어 공급로(46A)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를 통해서 설치되고, 유입측이 저부(4B)의 후단면에서 이중관 조인트(42)의 외측 조인트부(42B)에 접속되고, 유출측이 에어 모터(7)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단열 에어 연락로(46B)를 통하여 단열 에어 배출로(46C)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조인트부(42B)는, 에어 배관(47)을 통하여 에어원(16)에 접속되어 있다.
또, 단열 에어 통로(46)의 유출측을 구성하는 단열 에어 배출로(46C)는, 제2 이중 통로(43)의 외측 통로 구멍(43A)과 내측 배관(43B) 사이의 외측 통로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통로이다. 또, 단열 에어 배출로(46C)는, 제2 배출 에어 통로(45)를 둘러싸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단열 에어 배출로(46C)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를 통해서 설치되고, 유입측이 에어 모터(7)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단열 에어 연락로(46B)를 통하여 단열 에어 공급로(46A)에 접속되고, 유출측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의 후단면에서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터빈 에어의 배출 경로를 제1 배출 에어 통로(44)와 제2 배출 에어 통로(45)의 2개 설치함으로써, 터빈 에어를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고출력의 에어 모터(7)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출 에어 통로(44)의 주위에는 단열 에어 통로(46)의 단열 에어 공급로(46A)를 설치하고, 제2 배출 에어 통로(45)의 주위에는 단열 에어 배출로(46C)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배출 에어 통로(44, 45) 내부를 유통하는 배출 에어에 의해 하우징(3)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단열 에어는, 히터 장치에 의해 따뜻하게 한 상태에서 단열 에어 통로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제4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에서, 참조부호 51은 단열 에어 통로(19)의 단열 에어 공급로(19A)에 접속된 에어 배관(20)의 도중에 설치된 히터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히터 장치(51)는, 단열 에어 통로(19)에 공급하는 단열 에어를 가온(加溫)하는 것이다. 또, 히터 장치(51)는, 유기용제의 분위기 중에서 사용한 경우라도 인화의 우려가 없는 방폭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단열 에어는, 항상 배출 에어가 차가워진 열을 수령하여 하우징(3)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하우징(3)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단열 에어는, 배출 에어로부터 수령한 냉열을 하우징(3)의 외부로 배출 가능한 만큼의 유량이면 되므로, 터빈 에어와 같이 많은 유량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히터 장치(51)의 출력(열량)은 작게 되고, 또한, 높은 정밀도의 온도 제어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4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 배관(20)의 도중에 히터 장치(51)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단열 에어 통로(19)에 공급하는 단열 에어를 가온할 수 있고, 하우징(3)이 냉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 다.
또, 에어원(16)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온도가 낮은 경우나, 대량의 터빈 에어가 공급되는 고출력형의 에어 모터(7)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출 에어의 차가워진 열을 하우징(3)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에어 모터의 주위에는, 에어 모터를 둘러싸는 공간부를 설치하고, 공간부는, 단열 에어가 유통되는 단열 에어 통로의 일부로서 구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제5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7에서, 참조부호 61은 에어 모터(7)의 모터 케이스(7A)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링형의 공간부를 나타내고, 상기 공간부(61)에는 단열 에어가 유통된다. 또, 공간부(61)는, 하우징(3)을 구성하는 하우징 본체(4)의 통부(4A)에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공간부(6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서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이것을 상류측(61A)과 하류측(61B)이 접근하도록 만곡시킴으로써, 도 8,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이 C 자형의 공간으로서 형성되고, 에어 모터(7)의 터빈(7C) 측의 대략 전체 둘레를 가리고 있다. 그리고, 공간부(61)는, 후술하는 단열 에어 통로(67)의 단열 에어 중간로(67C)를 구성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62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제1 이중 통로를 나타내고, 상기 제1 이중 통로(62)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중 통로(17)와 대략 마찬가지 로,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 중앙 근처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이중 통로(62)는, 외측 통로 구멍(62A)과 내측 배관(62B)으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63은 이중관 조인트를 나타내고, 상기 이중관 조인트(63)는, 제1 이중 통로(62)의 내측 배관(62B)의 관내를 외부로 개방하는 내측 개구부(63A)와, 외주측에 위치되어 외측 통로 구멍(62A)과 내측 배관(62B) 사이에 연통된 외측 조인트부(6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참조부호 64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제2 이중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2 이중 통로(64)는, 제1 이중 통로(62)와 마찬가지로, 외측 통로 구멍(64A)과 내측 배관(6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65는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제1 배출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배출 에어 통로(65)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배출 에어 통로(18)와 대략 마찬가지로, 제1 이중 통로(62)의 내측 배관(62B) 내의 내측 통로로서 형성되고,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을 이중관 조인트(63)의 내측 개구부(63A)로부터 하우징(3)의 외부로 개방하고 있다.
참조부호 66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제2 배출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2 배출 에어 통로(66)는, 제1 배출 에어 통로(65)와 대략 마찬가지로, 제2 이중 통로(64)의 내측 배관(64B) 내의 내측 통로로서 형성되고,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을 하우징(3)의 외부로 개방하고 있다.
참조부호 67은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설치된 제5 실시예에 의한 단열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단열 에어 통로(67)은, 단열 에어 공급로(67A), 공급측 연락로(67B), 단열 에어 중간로(67C), 배출측 연락로(67D), 단열 에어 배출로(67E) 및 배출 개구(67F)에 의해 구성되며, 배출 개구(67F)는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단열 에어 통로(67)의 유입측을 구성하는 단열 에어 공급로(67A)는, 제1 이중 통로(62)의 외측 통로 구멍(62A)과 내측 배관(62B) 사이의 외측 통로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통로이다. 또, 단열 에어 공급로(67A)는, 제1 배출 에어 통로(65)를 둘러싸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단열 에어 공급로(67A)의 유입측은, 이중관 조인트(63)의 외측 조인트부(63B)에 접속되고, 에어 배관(68) 등을 통하여 에어원(16)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단열 에어 공급로(67A)의 유출측에는 공급측 연락로(67B)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급측 연락로(67B)는,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 에어 공급로(67A)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공간부(61)의 원주 방향의 상류측(61A)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공급측 연락로(67B)는, 단열 에어 중간로(67C)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단열 에어 중간로(67C)는, 공간부(61)를 이용하여 설치된 링형으로 형성되고, 에어 모터(7)의 외주측을 덮고 있다. 상기 단열 에어 중간로(67C)는, 단열 에어가 유통됨으로써, 에어 모터(7)로부터 하우징(3)의 커버(5) 측에 전하려고 하는 차가워진 열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 단열 에어 중간로(67C)의 하류측으로 되는 공간부(61)의 원주 방향의 하 류측(61B)에는, 배출측 연락로(67D)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배출측 연락로(67D)는, 하우징 본체(4)의 통부(4A)를 뒤쪽으로 연장하여 단열 에어 배출로(67E)의 유입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열 에어 통로(67)의 유출측을 구성하는 단열 에어 배출로(67E)는, 제2 이중 통로(64)의 외측 통로 구멍(64A)과 내측 배관(64B) 사이의 외측 통로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통로이다. 또, 단열 에어 배출로(67E)는, 제2 배출 에어 통로(66)를 둘러싸고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단열 에어 배출로(67E)의 개구단은, 저부(4B)로부터 외부로 개구된 배출 개구(67F)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5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5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의 하우징 본체(4)에는, 에어 모터(7)의 주위를 둘러싸는 공간부(61)를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61)을 단열 에어 통로(67)의 단열 에어 중간로(67C)로서 사용하고, 상기 단열 에어 중간로(67C)에 단열 에어를 유통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터빈 에어가 단열 팽창에 의한 온도 저하를 발생하고, 이에 따라 에어 모터(7)의 온도가 저하된 경우에도, 단열 에어 통로(67)의 일부를 이루는 단열 에어 중간로(67C)는 에어 모터(7)에 의해 하우징(3)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하우징(3)의 커버(5)의 외주면(5A)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고전압의 누설, 결로에 의한 도장 불량을 방지하여, 도장 마무리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공간부(61)에는, 단열 에어를 유통시킬 수 있다. 이로써, 공간부(61)를 위한 별도 에어 배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공간부는, 하우징의 모터 수용부의 내주측과 에어 모터를 구성하는 모터 케이스의 외주측 사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제6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1에서, 참조부호 71은 제6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을 나타내고, 상기 하우징(71)은, 내부에 에어 모터(7)를 수용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하우징 본체(72)와 커버(73)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72는 하우징(71)의 본체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 본체를 나타내고, 상기 하우징 본체(72)는,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 본체(4)와 대략 마찬가지의 절연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72)는, 앞쪽의 통부(72A)와 뒤쪽의 저부(72B)로 이루어지고, 통부(72A)의 내주측은 에어 모터(7)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72C)가 된다. 또한, 모터 수용부(72C)의 저부에는, 세이핑 에어링(6)의 지지 단부(6B) 사이에서 에어 모터(7)를 지지하는 복수개(예를 들면, 5개)의 지지부(72D)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 본체(72)의 모터 수용부(72C)는,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 본체(4)의 모터 수용부(4C)보다 직경 치수, 축 방향 치수(깊이 치수)의 양쪽 모두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하우징 본체(72)의 모터 수용부(72C)에 에어 모터(7)를 수용했을 때에는, 상기 모터 수용부(72C)와 에어 모터(7)의 모터 케이 스(7A) 사이에 후술하는 공간부(74)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조부호 73은 하우징 본체(72)의 외주측에 장착된 커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커버(73)는, 예를 들면 전술한 하우징 본체(4)와 대략 마찬가지의 절연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외주면(73A)을 가지는 원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74는 에어 모터(7)의 모터 케이스(7A)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공간부를 나타내고, 상기 공간부(74)에는 단열 에어가 유통된다. 또, 공간부(74)는, 하우징 본체(72)의 모터 수용부(72C)의 내주측과 에어 모터(7)의 모터 케이스(7A)의 외주측 사이에 대략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공간부(74)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 수용부(72C)의 내주면과 모터 케이스(7A)의 외주면 사이에 구획된 전체 둘레 공간(74A)과, 모터 수용부(72C)의 저면과 모터 케이스(7A)의 후단면 사이에 구획된 저부 공간(7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공간부(74)의 전체 둘레 공간(74A)은, 도 12,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이 C 자형의 원통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간부(74)는, 저부 공간(74B)이 상류측(74A1)으로 되고, 그 반대측이 하류측(74A2)으로 되어 있다. 또, 저부 공간(74B)은, 대략 원판형의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저부 공간(74B)에는, 전체 둘레 공간(74A)의 상류측(74A1)과 하류측(74A2) 사이를 기점으로 하여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부(74B1)가 설치되고, 상기 분리부(74B1)는, 후술하는 단열 에어 통로(81)의 공급측 접속구(81B)로부터 배출측 연락로(81D)를 향해 단열 에어가 단열 에어 중간로(81C)를 지름길로 흐르는 것을 방 지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75는 하우징 본체(72)의 저부(72B)에 설치된 제1 이중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이중 통로(75)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이중 통로(17)와 대략 마찬가지로, 외측 통로 구멍(75A)과 내측 배관(75B)으로 이루어지고, 유입측에는 후술하는 이중관 조인트(76)가 장착되어 있다.
참조부호 76은 제1 이중 통로(75)의 유입측에 위치되어 하우징 본체(72)에 장착된 이중관 조인트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이중관 조인트(76)는, 제1 이중 통로(75)의 내측 배관(75B) 내에 연통된 내측 조인트부(76A)와, 외측 통로 구멍(75A)과 내측 배관(75B) 사이에 연통된 외측 조인트부(76B)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참조부호 77은 하우징 본체(72)의 저부(72B)에 설치된 제2 이중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2 이중 통로(77)는, 제1 이중 통로(75)와 대략 마찬가지로, 외측 통로 구멍(77A)과 내측 배관(77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78은 하우징 본체(72)의 저부(72B)에 설치된 터빈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터빈 에어 통로(78)는, 제1 이중 통로(75)의 내측 배관(75B) 내에 내측 통로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터빈 에어 통로(78)의 유입측은, 이중관 조인트(76)의 내측 조인트부(76A), 에어 배관(79) 등을 통하여 에어원(16)에 접속되고, 유출측은 에어 모터(7)의 터빈실(7B)의 외주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참조부호 80은 하우징 본체(72)의 저부(72B)에 설치된 배출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배출 에어 통로(80)는, 제2 이중 통로(77)의 내측 배관(77B) 내에 내측 통로로서 형성되고, 배출 에어를 배출하기 위해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참조부호 81은 하우징 본체(72)의 저부(72B)에 설치된 제6 실시예에 의한 단열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단열 에어 통로(81)는, 도 13, 도 1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 에어 공급로(81A), 공급측 접속구(81B), 단열 에어 중간로(81C), 배출측 연락로(81D), 단열 에어 배출로(81E) 및 배출 개구(81F)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배출 개구(81F)는,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단열 에어 통로(81)의 유입측을 구성하는 단열 에어 공급로(81A)는, 제1 이중 통로(75)의 외측 통로 구멍(75A)과 내측 배관(75B) 사이의 외측 통로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통로이다. 또, 단열 에어 공급로(81A)는, 터빈 에어 통로(78)를 둘러싸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단열 에어 공급로(81A)의 유입측은, 이중관 조인트(76)의 외측 조인트부(76B), 에어 배관(82) 등을 통하여 에어원(16)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단열 에어 공급로(81A)의 유출측은 공급측 접속구(81B)로 되고, 상기 공급측 접속구(81B)는,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간부(74)를 구성하는 전체 둘레 공간(74A)의 상류측(74A1)측인 저부 공간(74B)의 각(角) 코너 부위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단열 에어 공급로(81A)는, 공간부(74)를 이용하여 설치된 단열 에어 중간로(81C)의 상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단열 에어 중간로(81C)는, 에어 모터(7)의 외주측과 후단측을 덮는 동시에 단열 에어가 유통됨으로써, 에어 모터(7)로부터 하우징(71)의 커버(73) 측에 전하려고 하는 차가워진 열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 배출측 연락로(81D)는, 단열 에어 중간로(81C)의 하류측으로 되는 전체 둘레 공간(74A)의 하류측(74A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배출측 연락로(81D)는, 하우징 본체(72)의 통부(72A)를 뒤쪽으로 연장하여 단열 에어 배출로(81E)의 유입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열 에어 통로(81)의 유출측을 구성하는 단열 에어 배출로(81E)는, 제2 이중 통로(77)의 외측 통로 구멍(77A)과 내측 배관(77B) 사이의 외측 통로에 의해 형성된 원통형 통로이다. 또, 단열 에어 배출로(81E)는, 제2 배출 에어 통로(80)를 둘러싸고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단열 에어 배출로(81E)의 개구단은, 외부로 개구된 배출 개구(81F)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6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6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에어 통로(81)의 단열 에어 중간로(81C)는, 에어 모터(7)를 외주측과 후단측으로부터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므로, 에어 모터(7)의 온도가 저하된 때에, 상기 에어 모터(7)에 의해 하우징(71)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6 실시예에서도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하우징 본체의 외주측과 커버의 내주측 사이에 공간부를 설치하고, 공간부는, 회전 무화 헤드로부터 분무된 도료의 분무 패턴을 정돈하기 위한 세이핑 에어가 유통되는 세이핑 에어 통로의 일부로서 구성한 것에 있다. 그리고, 제7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5에서, 참조부호 91은 제7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을 나타내고, 상기 하우징(91)은, 내부에 에어 모터(7)를 수용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하우징 본체(92)와 커버(93)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92는 하우징(91)의 본체 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 본체를 나타내고, 상기 하우징 본체(92)는,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 본체(4)와 대략 마찬가지의 절연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 본체(92)는, 앞쪽의 통부(92A)와 뒤쪽의 저부(92B)로 이루어지고, 통부(92A)의 내주측은, 에어 모터(7)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92C)로 되어 있다. 또한, 통부(92A)의 외주측에는, 모터 수용부(92C)에 대응하는 앞쪽 부분을 직경 축소하여 직경 축소 단부(92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경 축소 단부(92D)는, 커버(93) 사이에 후술하는 공간부(94)를 구획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93은 하우징 본체(92)의 외주측에 장착된 커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커버(93)는, 예를 들면 하우징 본체(4)와 대략 마찬가지의 절연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외주면(93A)을 가지는 원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94는 하우징 본체(92)의 외주측과 커버(93)의 내주측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나타내고, 상기 공간부(94)에는, 도료의 분무 패턴을 정돈하기 위한 세이핑 에어가 유통된다. 또, 공간부(94)는, 하우징 본체(92)의 직경 축소 단부(92D)와 커버(93)의 내주면 사이에 구획된 원통형의 공간으로서 형성되고, 에어 모터(7)의 외주측으로 되는 부위를 둘러싸고 있다. 그리고, 공간부(94)는, 후술하는 세이핑 에어 통로(95)의 세이핑 에어 중간로(95B)를 구성하는 것이다.
참조부호 95는 하우징(91)의 외주측에 설치된 세이핑 에어 통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세이핑 에어 통로(95)는, 세이핑 에어 공급로(95A)와 세이핑 에어 중간로(9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세이핑 에어 공급로(95A)의 유입측은, 에어 배관(96),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하여 에어원(16)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세이핑 에어 중간로(95B)는, 공간부(94)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으로, 그 유출측은 세이핑 에어링(6)의 각 에어 분출구(6A)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세이핑 에어 통로(95)는, 에어원(16)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세이핑 에어로서 세이핑 에어링(6)의 에어 분출구(6A)로 안내하는 것이다. 또, 공간부(94)에 설치한 세이핑 에어 중간로(95B)를 유통하는 세이핑 에어는 단열 에어로서도 기능한다. 그러므로, 상기 단열 에어는, 에어 모터(7)로부터 하우징 본체(92)에 전해진 냉열을 차단함으로써, 커버(93)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7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제7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본체(92)를 커버(93)로 덮음으로써 공간부(94)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공간부(94)에 의해 세이핑 에어 중간로(95B)를 겸함으로써, 단열 에어로서 세이핑 에어를 이용할 수 있고, 별도 에어 배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선단부분이 소정 각도를 가지고 절곡된 굴곡형의 암에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그리고, 제8 실시예에서는, 전술 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6에서, 참조부호 101은 제8 실시예에 사용되는 도장 작업용 로봇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로봇 장치(101)는, 선단에 설치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1)를 피도료물(102)에 추종시켜, 상기 피도료물(102)에 도장을 하는 것이다.
또, 로봇 장치(101)는, 받침대(101A)와, 상기 받침대(101A) 상에 회전 가능한 동시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 로드(101B)와, 상기 수직 로드(101B)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평 로드(101C)와, 상기 수평 로드(101C)의 선단에 회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손목(101D)과, 상기 손목(101D)의 선단에 설치되고,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1)가 장착되는 굴곡형의 암(101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로봇 장치(101)의 암(101E)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배관, 배선류가 통과되는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암(101E)의 선단측은, 예를 들면 10~90˚정도의 각도를 가지고 절곡되고, 암(101E)의 선단부에는 도장기(1)의 하우징 본체(4)가 나사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단측을 절곡한 굴곡형의 암(101E)은, 복잡한 도장면, 치형부에 있는 도장면 등에 대하여 도장기(1)를 정확하게 대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제8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실시예와 대략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본체(4)의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이중 통로(17)를 설치하고, 상기 이중 통로(17)는, 외측 통 로 구멍(17A)과, 상기 외측 통로 구멍(17A) 내에 삽입된 내측 배관(17B)에 의해 이중 구조로 형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중 통로는, 외측 배관과, 상기 외측 배관 내에 삽입된 내측 배관에 의해 이중 배관 구조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외측 배관을 하우징 본체(4)의 저부(4B)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이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제1 실시예에서는, 단열 에어 통로(19)를, 단열 에어 공급로(19A), 단열 에어 연락로(19B), 단열 에어 배출로(19C) 및 배출 개구(19D)에 의해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열 에어 연락로(19B)를 생략하고, 단열 에어 공급로(19A)의 유출측을 단열 에어 배출로(19C)의 유입측에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은, 제2 실시예,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제4 실시예에서는, 단열 에어 통로(19)의 단열 에어 공급로(19A)에 접속된 에어 배관(20)의 도중에 히터 장치(51)를 설치하고, 단열 에어 통로(19)에 공급하는 단열 에어를 가온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 대해 히터 장치(51)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세이핑 에어링(6)은 절연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것으로서 기술하였으나, 세이핑 에어링(6)을 도전성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세이핑 에어링(6)은 에어 모터(7)와 동일한 전위(電位)로 유지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차체, 가구, 전자제품 등을 도장하는데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모터 수용부를 가지는 통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모터 수용부에 수용되고 터빈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에어 모터, 상기 하우징의 앞쪽에 위치되어 상기 에어 모터의 회전축의 선단부에 장착된 회전 무화 헤드, 상기 회전 무화 헤드에 공급하는 도료가 유통되는 도료 통로(paint passage),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모터의 터빈을 구동하는 터빈 에어가 유통되는 터빈 에어 통로,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 모터의 터빈을 구동하여 배출되는 배출 에어가 외부를 향해 유통되는 배출 에어 통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에어 모터의 터빈실로부터 연장되는 중심측의 내측 통로와 외주측의 외측 통로가 이중 구조로 배치된 이중 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이중 통로의 내측 통로에 의해 상기 배출 에어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이중 통로의 외측 통로에 의해 상기 배출 에어보다 고온인 단열 에어가 유통되는 단열 에어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앞쪽에 위치되어 내주측이 상기 모터 수용부가 되는 통부와, 상기 통부의 뒤쪽에 설치된 저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터빈 에어 통로, 배출 에어 통로, 단열 에어 통로는 상기 저부를 통하여 외부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 에어 통로의 외주에는, 상기 단열 에어 통로의 일부를 이루고 상기 터빈 에어 통로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단열 에어 공급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모터의 주위에는, 상기 에어 모터를 둘러싸는 공간부를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는, 단열 에어가 유통되는 상기 단열 에어 통로의 일부로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모터의 주위에는, 상기 에어 모터를 둘러싸는 공간부를 설치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회전 무화 헤드로부터 분무된 도료의 분무 패턴을 정돈 하기 위한 세이핑 에어(shaping air)가 유통되는 세이핑 에어 통로의 일부로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하우징의 모터 수용부의 내주측과 상기 에어 모터를 구성하는 모터 케이스의 외주측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모터 수용부가 설치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측을 덮는 커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측과 커버의 내주측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KR1020077012302A 2005-06-02 2006-03-09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KR100827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2986 2005-06-02
JP2005162986 2005-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619A KR20070084619A (ko) 2007-08-24
KR100827343B1 true KR100827343B1 (ko) 2008-05-06

Family

ID=3894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302A KR100827343B1 (ko) 2005-06-02 2006-03-09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03700B2 (ko)
EP (1) EP1886734B1 (ko)
JP (1) JP4705100B2 (ko)
KR (1) KR100827343B1 (ko)
CN (1) CN100512975C (ko)
CA (1) CA2586573A1 (ko)
WO (1) WO20061294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1521B1 (en) * 2005-08-01 2010-07-14 Abb K.K. Electrostatic coating device
JP4612030B2 (ja) * 2005-08-01 2011-01-12 Abb株式会社 静電塗装装置
GB2467492B (en) 2007-11-09 2012-11-07 Jeong Oh Kwon Multi-color paint application apparatus
KR100906256B1 (ko) * 2007-11-09 2009-07-07 권정오 다 색상 페인트 도포장치
DE102008027997A1 (de) * 2008-06-12 2009-12-24 Dürr Systems GmbH Universalzerstäuber
US20140227439A1 (en) * 2009-01-27 2014-08-14 Robert E. Porter Simplified paint applicator and related methods
FR2941877B1 (fr) * 2009-02-09 2011-04-08 Sames Technologies Projecteur electrostatiqu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detection de vitesse de rotation
EP2431098B1 (en) * 2009-05-11 2016-06-29 Abb K.K. Electrostatic coating device
JP5504100B2 (ja) * 2010-08-25 2014-05-28 ランズバーグ・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静電塗装機用の回転霧化頭
JP5602561B2 (ja) 2010-09-27 2014-10-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静電塗装用塗装ガン
JP5489976B2 (ja) * 2010-12-17 2014-05-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複層塗膜形成方法
WO2013111427A1 (ja) 2012-01-25 2013-08-01 Abb株式会社 回転霧化頭型塗装機
CN103796763B (zh) * 2012-04-27 2016-04-06 Abb株式会社 旋转雾化头型涂装机
CA2943337C (en) * 2014-03-25 2018-04-03 Honda Motor Co., Ltd. Electrostatic coating device
WO2017138531A1 (ja) 2016-02-12 2017-08-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塗装装置
WO2018020755A1 (ja) 2016-07-28 2018-02-01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回転霧化頭、回転霧化頭管理システム、および、回転霧化頭管理方法
WO2018163714A1 (ja) * 2017-03-08 2018-09-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塗装装置及び方法
WO2018181917A1 (ja) 2017-03-30 2018-10-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静電塗装装置
JP7363108B2 (ja) 2019-06-06 2023-10-18 日本精工株式会社 静電塗装機用スピンドル装置
FR3109323B1 (fr) * 2020-04-15 2022-09-23 Exel Ind Support pour pulvérisateur et dispositif de pulvérisation comprenant un tel support
FR3123812A1 (fr) * 2021-06-15 2022-12-16 Exel Industries Pulvérisateur rotatif de produit de revêtement et procédé de contrôle d’une température de surface d’un tel pulvérisateu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861A (ja) 1982-09-13 1984-03-22 Nippon Ranzubaagu Kk 回転噴霧装置
JPS6014959A (ja) 1983-07-04 1985-01-25 Nippon Ranzubaagu Kk 静電噴霧装置
JPH0672649U (ja) * 1993-03-31 1994-10-11 日新製鋼株式会社 静電塗布装置
JPH081046A (ja) * 1994-06-22 1996-01-09 Abb Ransburg Kk 回転霧化型静電塗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0057A (en) * 1990-03-30 1992-03-31 Nordson Corporation Rotary atomizer with onboard color changer and fluid pressure regulator
US5078321A (en) * 1990-06-22 1992-01-07 Nordson Corporation Rotary atomizer cup
US5397063A (en) * 1992-04-01 1995-03-14 Asahi Sunac Corporation Rotary atomizer coater
JPH0672649A (ja) 1992-08-31 1994-03-15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情報表示システム
JPH09262509A (ja) * 1996-03-29 1997-10-07 Trinity Ind Corp 多色静電塗装機
KR100255705B1 (ko) * 1996-10-01 2000-05-01 라붸 린도베르 회전무화헤드
JP3333699B2 (ja) * 1996-11-22 2002-10-15 仲道 山崎 連続水熱反応における原料粒子噴霧方法および装置
US6328224B1 (en) * 1997-02-05 2001-12-11 Illinois Tool Works Inc. Replaceable liner for powder coating apparatus
US5853126A (en) * 1997-02-05 1998-12-29 Illinois Tool Works, Inc. Quick disconnect for powder coating apparatus
US5803372A (en) * 1997-04-03 1998-09-08 Asahi Sunac Corporation Hand held rotary atomizer spray gun
US6187096B1 (en) * 1999-03-02 2001-02-13 Bruno H. Thut Spray assembly for molten metal
DE60141457D1 (de) * 2000-12-20 2010-04-15 Abb Kk Beschichtungsvorrichtung mit einem rotationszerstäuberkopf
DE10239517A1 (de) * 2002-08-28 2004-03-11 Dürr Systems GmbH Beschichtungseinrichtung mit einem Rotationszerstäuber und Verfahren zum Steuern ihres Betriebes
FR2860996B1 (fr) * 2003-10-20 2005-12-16 Sames Technologies Projecteur rotatif de produit de revetement et installation de projection de produit de revetement comprenant un tel projecteu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861A (ja) 1982-09-13 1984-03-22 Nippon Ranzubaagu Kk 回転噴霧装置
JPS6014959A (ja) 1983-07-04 1985-01-25 Nippon Ranzubaagu Kk 静電噴霧装置
JPH0672649U (ja) * 1993-03-31 1994-10-11 日新製鋼株式会社 静電塗布装置
JPH081046A (ja) * 1994-06-22 1996-01-09 Abb Ransburg Kk 回転霧化型静電塗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6734B1 (en) 2011-08-24
US20090020635A1 (en) 2009-01-22
JPWO2006129407A1 (ja) 2008-12-25
CN100512975C (zh) 2009-07-15
CN101090773A (zh) 2007-12-19
EP1886734A4 (en) 2010-04-14
EP1886734A1 (en) 2008-02-13
JP4705100B2 (ja) 2011-06-22
US7703700B2 (en) 2010-04-27
KR20070084619A (ko) 2007-08-24
CA2586573A1 (en) 2006-12-07
WO2006129407A1 (ja)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343B1 (ko) 회전 무화 헤드형 도장기
JP5642893B2 (ja) 回転霧化頭型塗装機
US7726586B2 (en) Rotary atomizing head and rotary atomizing coating machine
EP3310490B1 (en) Coating apparatus turbine having internally routed shaping air
TWI272130B (en)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CN103796763B (zh) 旋转雾化头型涂装机
EP3483394A1 (en) Spray nozzle device for delivering a restorative coating through a hole in a case of a turbine engine
KR20150046306A (ko) 회전 무화두형 도장기
US20070210191A1 (en) Electrostatic rotary atomizer with indirect internal charge
WO1999036184A1 (fr) Dispositif de revetement de type tete de pulverisation rotative
KR100738570B1 (ko) 두가지의 타입으로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전도장기
JP2005177607A (ja) 回転霧化塗装装置
JPWO2018181917A1 (ja) 静電塗装装置
JPH06134353A (ja) 静電塗装装置
JPWO2008139599A1 (ja) 回転霧化塗装機
JPH11262696A (ja)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JPH0113570Y2 (ko)
JP2772590B2 (ja) 塗装用スプレーガン
JPS6154249A (ja) 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
JPS5935268B2 (ja) 静電塗装装置
JPH051014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