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346B1 - 포장용 필름 - Google Patents

포장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346B1
KR100825346B1 KR20057018564A KR20057018564A KR100825346B1 KR 100825346 B1 KR100825346 B1 KR 100825346B1 KR 20057018564 A KR20057018564 A KR 20057018564A KR 20057018564 A KR20057018564 A KR 20057018564A KR 100825346 B1 KR100825346 B1 KR 100825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thylene
density
mfr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701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869A (ko
Inventor
도시히로 니시무라
미치오 다케우치
사토루 고야마
츠토무 다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프라임 폴리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프라임 폴리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프라임 폴리머
Publication of KR20060059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내층과, 하기 중간층과, 외층의 3층을 갖는 포장용 필름으로서, 중간층은,
(M-1) MFR이 0.1~100g/10분, 밀도가 0.90~0.94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0~75중량%와,
(M-2) MFR이 0.001~50g/10분, 밀도가 0.942~0.97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M-2) 20~70중량%와,
(M-3) MFR이 0.01~20g/10분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5~20중량%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포장용 필름은 히트실링 강도, 광택, 탄성률 및 충격 강도가 우수하고, 얇고 튼튼하다.
포장용 필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포장용 필름{FILM FOR PACKAGING}
본 발명은 포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히트실링 강도 및 광택이 우수하며, 또한 탄력 및 충격 강도가 우수하며, 얇고 튼튼한 포장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 기저귀나 생리용품 등의 위생용품 포장용 필름에는, 히트실링 강도나 광택이 우수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을 것, 집적하기 쉬울 것 및 운반하기 쉬울 것 등이 요구되며, 또, 최근에는 지구 환경을 지키기 위해서 쓰레기를 삭감한다는 관점에서, 박막화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위생용품 포장용 필름에는, 탄력(탄성률) 및 충격 강도가 우수하고, 얇고 튼튼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02-273843호 공보에는, 인렬(引裂) 강도 및 충격 강도가 우수한 압축포장용 폴리에틸렌계 필름으로서, MFR이 0.1~10g/10분이며, 밀도가 0.910~0.93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로 이루어진 외층 및 내층과, MFR이 0.1~10g/10분이며, 밀도가 0.925~0.945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로 이루어진 중간층의 3층으로 이루어진 압축포장용 폴리에틸렌계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공개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압축포장용 폴리에틸렌계 필름에 있어서도, 히트실링 강도 및 광택의 더욱 개량이 요구되고, 보다 얇고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 탄력 및 충격 강도에 대해서도 더욱 개량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히트실링 강도 및 광택이 우수하며, 또한 탄력(탄성률) 및 충격 강도가 우수하고, 얇고 튼튼한 포장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적어도 내층과, 중간층과, 외층의 3층을 가지며, 중간층으로 특정 성질을 만족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적어도 하기의 내층과, 중간층과, 외층의 3층을 가지며, 중간층은 내층과 외층의 사이에 위치하며, 또 각 층이 하기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이다.
중간층은,
(M-1) MFR이 0.1~100g/10분이며, 밀도가 0.90~0.94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0~75중량%와,
(M-2) MFR이 0.001~50g/10분이며, 밀도가 0.942~0.97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20~70중량%와,
(M-3) MFR이 0.01~20g/10분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5~20중량%,
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이다. (단, 상기 공중합체 (M-1)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M-2)와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M-3)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
 내층 및 외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내지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그 폴리에틸렌 수지 내지 수지 조성물은, MFR이 0.01~20g/10분의 범위에 있으며, 밀도는 0.90~0.95g/cm3의 범위에 있다. 내층과 외층의 수지 내지 수지 조성물은, 각각 같아도 달라도 된다.
또한 내층은,
(I-1) MFR이 0.1~100g/10분이며, 밀도가 0.90~0.95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45~90중량%와,
(I-2) MFR이 0.01~20g/10분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55중량%,
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단, 상기 공중합체 (I-1)과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I-2)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
외층은,
(O-1) MFR이 0.1~100g/10분이며, 밀도가 0.90~0.95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70~90중량%와,
(O-2) MFR이 0.01~20g/10분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30중량%,
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단, 상기 공중합체 (O-1)과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O-2)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
또한 중간층의(M-2) 성분은,
(LL-3) MFR이 0.1~2g/10분이며, 밀도가 0.88g/cm3 이상 0.93g/cm3 미만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0~80중량%와,
(LL-4) MFR이 2~100g/10분이며, 밀도가 0.93~0.97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0~80중량%,
(단, (LL-3)과 (LL-4)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중간층>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의 중간층은,
(M-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0~75중량%와,
(M-2) 고밀도 폴리에틸렌 20~70중량%와,
(M-3)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5~20중량%,
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단, (M-1)과 (M-2)와 (M-3)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 (M-1)은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이며, (M-2)는 바람직하게는 20~65중량%이다. (M-1)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필름 강도가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M-2)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필름의 탄성률과 히트실링 강도가 양립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M-3)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필름의 히트실링 강도가 향상하여 바람직하다.
(M-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M-1)은, MFR이 0.1~100g/10분이며, 밀도가 0.90~0.940g/cm3이다.
MFR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압출 가공성 및 포장용 필름의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밀도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포장용 필름의 탄력 및 강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M-2)
중간층으로 사용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M-2)의 MFR은 0.001~5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03~10g/10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g/10분이다. MFR이 0.001g/10분 이상이면, 압출 가공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고, 2g/10분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 및 성형시에 버블의 안정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M-2)의 밀도는 0.942~0.97g/cm3이며, 바람직하게는 0.945~0.970g/cm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45를 넘고 0.960g/cm3 이하이다. 밀도가 0.942g/cm3 이상이면, 포장용 필름의 탄력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0.97g/cm3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M-3)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의 중간층으로 사용되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M-3)의 MFR은 0.01~2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1~5g/10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2g/10분이다. MFR이 0.01g/10분 이상이면, (M-1)과의 상용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20g/10분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 및 성형시에 버블의 안정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M-3)의 밀도는 특별히 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917~0.930g/cm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9~0.925g/cm3이다. 밀도가 0.917g/cm3 이상이면, 포장용 필름의 탄력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0.93g/cm3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LL-3)
또한 상기 (M-1)은, 2종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3) 및 (LL-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M-1) 성분을 100중량%로 할 때, (LL-3)은 20~80중량%, 바람직하게는 50~70중량%이며, (LL-4)는 20~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50중량%이다.
공중합체 (LL-3)의 MFR은 0.1~2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3~1g/10분이다. MFR이 0.1g/10분 이상이면, 압출 가공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고, 2g/10분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 및 성형시에 버블의 안정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LL-3)의 밀도는 0.88~0.93g/cm3이며, 바람직하게는 0.90~0.91 g/cm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03~0.907g/cm3이다. 밀도가 0.88g/cm3 이상이면, 포장용 필름의 탄력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0.93g/cm3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LL-4)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4)의 MFR은 2~10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20~80g/10분이다. MFR이 2g/10분 이상이면, 압출 가공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고, 100g/10분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 및 성형시에 버블의 안정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LL-4)의 밀도는 0.93~0.97g/cm3이며, 바람직하게는 0.930~0.949 g/cm3이다. 밀도가 0.93g/cm3 이상이면, 포장용 필름의 탄력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0.97g/cm3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M-1)이 (LL-3)과 (LL-4)로 이루어진 경우, 중간층에 대해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3)의 함유량은 15~60중량%이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4)의 함유량은 5~25중량%이며, 고밀도 폴리에틸렌 (M-2)의 함유량은 20~70중량%이며,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M-3)의 함유량은 5~20중량%이다. 그리고,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3)의 함유량으로서 바람 직하게는 15~50중량%이며, 고밀도 폴리에틸렌 (M-2)의 함유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0~60중량%이다.
<내층>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의 내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그 폴리에틸렌 수지 내지 수지 조성물은, MFR이 0.01~20g/10분의 범위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10g/10분의 범위에 있다. 밀도는 0.90~0.95g/cm3의 범위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91~0.93g/cm3 범위에 있다. 폴리에틸렌 수지 내지 수지 조성물로서는, 직쇄상 내지 분기 폴리에틸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내층은,
(I-1) MFR이 0.1~100g/10분이며, 밀도가 0.90~0.95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45~90중량%와,
(I-2) MFR이 0.01~20g/10분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55중량%,
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공중합체 (I-1)과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I-2)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 (I-1)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필름 강도가 향상하여 바람직하다. (I-2)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필름의 히트실링 강도가 향상하여 바람직하다.
(I-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I-1)의 MFR은 0.1~10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5~50g/10분이다. MFR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 및 압출 가 공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I-1)의 밀도는 0.90~0.95g/cm3이며, 바람직하게는 0.91~0.94g/cm3이다. 밀도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포장용 필름의 탄력 및 강도가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I-1)은 2종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1) 및 (LL-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1) 전체를 100중량%로 할 때, (LL-1)은 20~80중량%, (LL-2)는 20~80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LL-1)이 55~75중량%, (LL-2)가 25~45중량%이다.
(LL-1)
공중합체 (LL-1)의 MFR은 0.1~1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2~5g/10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1g/10분이다. MFR이 0.1g/10분 이상이면, 압출 가공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고, 10g/10분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나 내열성 및 성형시에 버블의 안정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LL-1)의 밀도는 0.88~0.93g/cm3이며, 바람직하게는 0.91~0.92 g/cm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3~0.918g/cm3이다. 밀도가 0.88g/cm3 이상이면, 포장용 필름의 탄력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0.93g/cm3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히트실링성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LL-2)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2)의 MFR은 2~10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2~80g/10분이다. MFR이 2g/10분 이상이면, 압출 가공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고, 100g/10분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LL-2)의 밀도는 0.93~0.97g/cm3이며, 바람직하게는 0.925~0.950 g/cm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35~0.945g/cm3이다. 밀도가 0.93g/cm3 이상이면, 포장용 필름의 탄력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0.97g/cm3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I-2)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I-2)의 MFR은 0.01~2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3~5g/10분이다. 0.01g/10분 이상이면, (I-1)과의 상용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20g/10분 이하이면, 성형시에 버블의 안정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I-2)의 밀도는, 특별히 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917~0.930g/cm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0~0.925g/cm3이다. 밀도가 0.917g/cm3 이상이면, 포장용 필름의 탄력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0.930g/cm3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I-1)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1) 및 (LL-2)로 이루어진 경우, 내층 전체에 대해 (LL-1)의 함유량은 20~60중량%이며, (LL-2)의 함유량은 25~40중량%이며,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I-2)의 함유량은 10~55중량%이다. 단, 상 기 공중합체 (LL-1)과 상기 공중합체 (LL-2)와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I-2)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
내층으로 사용되는 공중합체 (LL-1)의 함유량이 20중량% 미만인 경우,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저하하는 일이 있으며, 60중량%를 넘을 경우, 내층으로 이용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압출 부하가 증대하거나 포장용 필름의 광택이 저하하는 일이 있다.
공중합체 (LL-2)의 함유량이 25중량% 미만인 경우, 포장용 필름의 탄력이 저하하는 일이 있으며, 40중량%를 넘을 경우,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저하하는 일이 있다.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I-2)의 함유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5~60중량%이다. (I-2)의 함유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 포장용 필름의 광택이 저하하는 일이 있고, 또 내층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성형할 때에, 버블이 불안정해지는 일이 있으며, 60중량%를 넘을 경우,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저하하는 일이 있다.
<외층>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의 외층은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그 폴리에틸렌 수지 내지 수지 조성물은, MFR이 0.01~20g/10분의 범위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10g/10분의 범위에 있다. 밀도는 0.90~0.95g/cm3의 범위에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91~0.93g/cm3의 범위에 있다. 폴리에틸렌 수지 내지 수지 조성물로서 는, 직쇄상 내지 분기 폴리에틸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외층은,
(O-1) MFR이 0.1~100g/10분이며, 밀도가 0.90~0.95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70~90중량%와,
(O-2) MFR이 0.01~20g/10분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30중량%,
로 이루어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공중합체 (O-1)과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O-2)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 (O-1)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필름 강도가 향상하여 바람직하다. (O-2)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필름의 히트실링 강도가 향상하여 바람직하다.
(O-1)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O-1)의 MFR은 0.1~10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5~50g/10분이다. MFR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 및 압출 가공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O-1)의 밀도는 0.90~0.95g/cm3이며, 바람직하게는 0.91~0.94g/cm3이다. 밀도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포장용 필름의 탄력 및 강도가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O-2)
외층으로 사용하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O-2)의 MFR은 0.01~2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3~5g/10분이다. 0.01g/10분 이상이면, (O-1)과의 상용성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20g/10분 이하이면, 성형시에 버블의 안정성이 양호한 점 에서 바람직하다.
(O-2)의 밀도는, 특별히 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917~0.930g/cm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0~0.925g/cm3이다. 밀도가 0.917g/cm3 이상이면, 포장용 필름의 탄력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0.930g/cm3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LL-1)
또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O-1)은, 2종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1) 및 (LL-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O-1) 전체를 100중량%로 할 때, (LL-1)은 20~80중량%, (LL-2)는 20~80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LL-1)이 55~75중량%, (LL-2)가 25~45중량%이다.
공중합체 (LL-1)의 MFR은 0.1~1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0.2~5g/10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1g/10분이다. MFR이 0.1g/10분 이상이면, 압출 가공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고, 10g/10분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나 내열성 및 성형시에 버블의 안정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LL-1)의 밀도는 0.88~0.93g/cm3이며, 바람직하게는 0.91~0.92 g/cm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3~0.918g/cm3이다. 밀도가 0.88g/cm3 이상이면, 포장용 필름의 탄력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0.93g/cm3 이하이면, 포장용 필 름의 히트실링성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LL-2)
공중합체 (LL-2)의 MFR은 2~100g/10분이며, 바람직하게는 2~80g/10분이다. MFR이 2g/10분 이상이면, 압출 가공성이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고, 100g/10분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양호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LL-2)의 밀도는 0.93~0.97g/cm3이며, 바람직하게는 0.925~0.950 g/cm3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35~0.945g/cm3이다. 밀도가 0.93g/cm3 이상이면, 포장용 필름의 탄력이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0.97g/cm3 이하이면,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향상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O-1)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1) 및 (LL-2)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층 전체에 대해 (LL-1)의 함유량은 20~60중량%이며, (LL-2)의 함유량은 25~40중량%이며,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O-2)의 함유량은 10~55중량%이다. 단, 상기 공중합체 (LL-1)과 상기 공중합체 (LL-2)와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O-2)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
외층으로 사용되는 공중합체 (LL-1)의 함유량이 20중량% 미만인 경우,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저하하는 일이 있으며, 60중량%를 넘을 경우, 내층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압출 부하가 증대하거나 포장용 필름의 광택이 저하하는 일이 있다.
공중합체 (LL-2)의 함유량이 25중량% 미만인 경우, 포장용 필름의 탄력이 저하하는 일이 있으며, 40중량%를 넘을 경우,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저하하는 일이 있다.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O-2)의 함유량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5~60중량%이다. (O-2)의 함유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 포장용 필름의 광택이 저하하는 일이 있고, 또 내층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성형할 때에, 버블이 불안정해지는 일이 있으며, 60중량%를 넘을 경우, 포장용 필름의 강도가 저하하는 일이 있다.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1)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3)은,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4~12의 α-올레핀을 공중합하여 얻어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2)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4)는, 메탈로센 촉매 또는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4~12의 α-올레핀을 공중합하여 얻어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공중합체 (LL-1)과 공중합체 (LL-2)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하여 공중합체 (LL-1)를 제조한 후, 연속해서,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하여 공중합체 (LL-2)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공중합체 (LL-1)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α-올레핀과 공중합체 (LL-2)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α-올레핀은 같아도 되며, 달라도 된다. 또, 공중합체 (LL-1)과 공중합체 (LL-2)는, 각각, 개별적으로 공중합하여 제조된 공중합체 (LL-1)과 공중합체 (LL-2)를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얻어진 것이어도 좋다.
 공중합체 (LL-3)과 공중합체 (LL-4)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하여 공중합체 (LL-3)을 제조한 후, 연속해서,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하여 공중합체 (LL-4)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공중합체 (LL-3)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α-올레핀과 공중합체 (LL-4)의 제조에 있어서 이용되는 α-올레핀은 같아도 되며, 달라도 된다.
또, 공중합체 (LL-3)과 공중합체 (LL-4)는, 각각, 개별적으로 공중합하여 제조된 공중합체 (LL-3)과 공중합체 (LL-4)를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얻어진 것이어도 좋다.
탄소 원자수 4~12의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부텐-1, 펜텐-1, 헥센-1, 헵텐-1, 옥텐-1, 노넨-1, 데센-1, 도데센-1, 4-메틸-펜텐 1, 4-메틸-헥센-1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센-1, 4-메틸-펜텐-1, 옥텐-1이다. 또, 상기의 탄소 원자수 4~12의 α-올레핀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적어도 2종을 병용해도 좋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인 공중합체 (LL-1), 공중합체 (LL-2), 공중합체 (LL-3) 및 공중합체 (LL-4)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펜텐-1 공중합체,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 에틸렌-옥텐-1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펜텐-1 공중합체, 에틸렌-옥텐-1 공중합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LL-1)~(LL-4)]는, 에틸렌과 상기의 α-올레핀을 메탈로센 촉매, 또는,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용액 중합법, 슬러리 중합법, 고압 이온 중합법, 기상 중합법에 의해, 중합하여 얻어진다.
<중합 방법>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1)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3)은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공중합체로서, 사용되는 메탈로센 촉매로서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펜타디엔형 음이온 골격을 가지는 기를 가지는 천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이다. 시클로펜타디엔형 음이온 골격을 가지는 기를 가지는 천이금속 화합물이란, 이른바 메탈로센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식 MLaX(n-a)(식 중, M은 원소 주기율표의 제4족 또는 란타나이드 계열의 천이금속 원자이다. L은 시클로펜타디엔형 음이온 골격을 가지는 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기이며, 적어도 하나는 시클로펜타디엔형 음이온 골격을 가지는 기이다. 복수의 L은 서로 가교하고 있어도 된다. X는 할로겐 원자, 수소 또는 탄소 원자수 1~20의 탄화수소기이다. n은 천이금속 원자의 원자가를 나타내며, a는 0<a≤n이 되는 정수이다)으로 나타나며,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적어도 2종류를 병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메탈로센 화합물에는,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등의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메틸알목산 등의 알목산 화합물, 및/또는 트리틸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N,N-디메틸아닐륨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 닐보레이트 등의 이온성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또, 상기의 메탈로센 촉매는, 상기 메탈로센 화합물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과 알목산 화합물 및/또는 이온성 화합물을, Si02, A1203 등의 미립자상의 무기 담체,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등의 미립자상의 유기 폴리머 담체에 담지 또는 함침시킨 촉매여도 된다.
상기의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는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9-18381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2)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4)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상기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에틸렌과 α-올레핀을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용매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기상-고상, 액상-고상, 또는, 균일 액상하에서 중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중합 온도는 통상 30~300℃이며, 중합 압력은 통상 상압~3000kg/cm2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I-2), (O-2) 및 (M-3)의 제조방법은, 조형반응기 또는 관형반응기를 이용하여, 래디칼 발생제의 존재하, 중합 압력 1400~3000Kg/cm2, 중합 온도 200~300℃의 조건하에서 에틸렌을 중합하는 방법이다. 또, 분자량 조절제로서 수소나 메탄, 에탄 등의 탄화수소를 사용하여, 멜트 플로 레이트(melt flow rate)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M-2)의 제조방법은,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3~18의 α-올레핀을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용매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 하, 기상-고상, 액상-고상 또는 균일 액상하에서 중합하는 방법이다. 중합 온도는 통상 30~300℃이며, 중합 압력은 통상 상압~3000kg/cm2이다. 또,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 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다.
<제조방법>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의 내층, 중간층, 외층으로 사용되는 각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각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을 펠렛 드라이블렌딩하는 방법, 또는 멜트블렌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드라이블렌드에는 헨셀 믹서, 텀블러 믹서 등의 각종 블렌더를 이용할 수가 있으며, 멜트블렌드에는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 열롤용의 각종 믹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이용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바람직한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1) 하나의 중합기를 이용하여 2조건 이상의 반응조건으로 나누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1~4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연속적으로 중합한 후에,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하는 방법.
(2) 다단 중합 프로세스에 의해, 복수의 중합기로 각각의 성분을 중합하여,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조성물을 얻는 방법.
(3) 각 성분 가운데 어느 2 성분을 다단중합에 의해 제조한 후에, 나머지의 2 성분을 혼합하는 방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1)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2)에 있어서, α-올레핀은 동일한 α-올레핀이어도 되고, 각각 다른 α-올레핀이어도 된다. 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3)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4)에 있어서, α-올레핀은 같은 α-올레핀이어도 좋고, 각각 다른 α-올레핀이어도 좋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1)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2)를 혼련하는 경우, 또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3)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L-4)를 혼련하는 경우는, 혼련방법으로서는, 외관이나 강도가 우수한 포장용 필름을 얻기 위해서, 수지의 돌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분산을 균일하게 하는 관점에서, 2축 압출혼련기를 이용하는 혼련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의 내층, 중간층, 외층에 이용되는 각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인플레이션 필름 제조장치나 T다이 캐스트 필름 제조장치 등에 의해, 다층 필름으로 성형되어 포장용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에 있어서, 내층과, 중간층과, 외층의 각각의 두께 비는, 충분한 강성 및 충분한 히트실링 강도를 얻는다는 관점에서, 통상 1/1/1~1/4/1이며, 바람직하게는 1/1/1~1/3/1이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은 필름 전체의 밀도가 0.93를 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기계 물성이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의 내층, 중간층, 외층에 사용되는 각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수지 이외의 수지를 블렌 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충격 강도의 개량을 위해, 저밀도 엘라스토머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블렌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의 내층, 중간층, 외층에 사용되는 각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2,6-디-t-부틸-P-크레졸(BHT),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상품명:IRGANOX1010)이나 n-옥타데실-3-(4'-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브로피오네이트(상품명:IRGANOX1076) 등으로 대표되는 페놀계 안정제,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등으로 대표되는 포스파이트계 안정제, 스미라이저 GP 등의 2관능형 안정제, 고급 지방산 아미드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대표되는 윤활제, 탄소 원자수 8~22의 지방산의 글리세린 에스테르나 솔비탄산 에스테르, 탄소 원자수 8~22의 지방산의 알킬디알카놀아미드, 폴리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대전(帶電)방지제, 스테아린산 칼슘의 지방산 금속염 등으로 대표되는 가공성 개량제, 산화 티탄 등의 안료를 첨가해도 된다.
여러 목적에 따라 배합하는, 저밀도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 산화 방지제, 항(抗)블로킹제, 윤활제, 가공성 개량제 등의 첨가제는, 미리,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의 내층, 중간층, 외층에 사용되는 각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용해 혼련해도 되며, 각각 드라이블렌딩해도 되며, 또, 적어도 일종의 마스터 배치로 하여 드라이블렌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에는, 인쇄를 실시하기 위해서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적당히 실시할 수가 있어, 표면처리 등의 2차 가공이 실시된 처리면의 히트실링성이 우수하여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용 필름은, 위생용품인 종이 기저귀나 생리용품 등의 포장용 필름에 특히 적합하게 이용된다.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양태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는, 이하와 같은 방법에 따라 행하였다.
(1) 밀도:MFR측정시의 압출물(스트랜드)을 120℃에서 2시간 열처리하여, 1시간에 걸쳐 실온까지 서서히 냉각한 후, JIS K7112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밀도구배관으로 측정했다.
(2)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 단위:g/10분) JIS K6760에 규정된 방법에 따랐다. 하중 2.16kg, 온도는 190℃였다.
(3) 광택도(단위:%)
ASTM D1003에 규정된 방법에 따랐다. 튜브의 외면을 반사 각도 20°로 측정했다. 이 값이 높을수록 광택이 좋은 것을 나타낸다.
(4) 인장 시험
필름으로부터 JIS K6781에 따르는 크기의 덤벨형 시험편을 펀칭하여, 척 간 거리 86mm, 인장 속도 200mm/분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인장 속도 500mm/분으로 잡아당겨, 파단되었을 때의 강도(단위:MPa)와 신율(단위:%)을 구했다.
(5) 탄성률(단위:MPa)
필름으로부터 JIS K6781에 따르는 크기의 덤벨형 시험편을 펀칭하여, 척 간 거리 86mm, 인장 속도 200mm/분으로 잡아당겨 시험을 실시하여 초기 응력의 변위에 대한 기울기를 탄성률로서 구했다.
(6) 엘멘도르프 인렬강도(단위:kN/m)
ASTM D1922에 따라 측정했다.
(7) 다트임팩트(단위:N)
ASTM 1709 A법에 따라 측정했다.
(8) 히트실링 강도(단위:N/15mm)
히트실링러를 이용하여 여러 온도로 시일한 필름, 혹은 시일된 필름제품으로부터 15mm 폭의 시험편을 채취하여,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180°의 인장 하중(200mm/분)을 가했을 때의 히트실링부의 박리 강도를 구했다.
사용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성분(A), 고압 래디칼 중합법에 의한 저밀도 폴리에틸렌(B), 고밀도 폴리에틸렌(C)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MFR[g/10분] 밀도[g/cm3]
A1 0.5 0.904 미쓰이 스미토모 폴리올레핀(주)제,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에볼류
A2 0.5 0.913 미쓰이 스미토모 폴리올레핀(주)제,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에볼류
A3 5 0.940 미쓰이 스미토모 폴리올레핀(주)제,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에볼류
A4 50 0.945 미쓰이 스미토모 폴리올레핀(주)제,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에볼류
A5 60 0.930 미쓰이 스미토모 폴리올레핀(주)제,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에볼류
A6 1 0.920 니혼폴리켐(주)제, 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B1 0.5 0.923 미쓰이 스미토모 폴리올레핀(주)제,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스미카센
B2 0.6 0.922 미쓰이 스미토모 폴리올레핀(주)제,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스미카센
B3 1.1 0.923 미쓰이 스미토모 폴리올레핀(주)제,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스미카센
C1 0.1 0.956 미쓰이 스미토모 폴리올레핀(주)제, 고밀도폴리에틸렌하이젝스
C2 1 0.947 미쓰이 스미토모 폴리올레핀(주)제, 고밀도폴리에틸렌하이젝스
C3 5 0.960 미쓰이 스미토모 폴리올레핀(주)제, 고밀도폴리에틸렌하이젝스
C4 0.35 0.955 미쓰이 스미토모 폴리올레핀(주)제, 고밀도폴리에틸렌하이젝스
C5 0.03 0.947 미쓰이 스미토모 폴리올레핀(주)제, 고밀도폴리에틸렌하이젝스
(실시예 1~5)
3층 인플레이션 필름 가공기, 50ø 압출기 x3대, 다이 200ø-갭 2.0mm를 이용하여, 실린더 온도 190℃, 다이 온도 200℃, 블로우업 비(blow-up ratio) 2.0, 인취 속도 30m/min, 두께 구성 비율:내층/중간층/외층=1/2/1로 두께 50㎛의 필름을 가공했다. 얻어진 필름의 조성·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중간층 (M-1) 성분으로서 A1/A3=65/35(중량비)의 혼합물을 사용했다. 내층 (I-1) 성분으로서 실시예 1 및 5에서는 A2/A4=60/40(중량비)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2부터 4에서는, A2/A5=60/40(중량비)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외층 (O-1) 성분으로서 실시예 1,2 및 5에서는 A2/A4=60/40(중량비)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3 및 4에서는, A2/A5=60/40(중량비)의 혼합물을 사용했다.
내층에는, 내층 100중량부에 대해서, 항블로킹제로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0.4중량부, 윤활제로서 에루크산 아미드 0.2중량부, 외층에는, 외층 100중량부에 대해서, 항블로킹제로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0.2중량부, 윤활제로서 에루크산 아미드 0.04중량부를 각각 첨가했다. 필름 각 층의 밀도는 사용한 각 중합체의 밀도에 중량분율을 곱하여 구했다. 필름의 전체 층 밀도는 각 층의 밀도에 두께 비율을 곱하여 산출했다.
(비교예 1~4)
실시예 1의 가공설비로 두께 구성비율을 내층/중간층/외층=1/1/1으로서 3층 모두 같은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1종 3층의 필름으로 하여 두께를 바꾼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가공조건으로 하였다. 필름 100중량부에 대해서, 항블로킹제로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0.4중량부, 윤활제로서 에루크산 아미드 0.07중량부를 첨가했다.
(M-1) 및 (I-1) 및 (O-1) 성분으로서, 비교예 1 및 2에서는 A2/A4=60/40(중량비)의 혼합물을 이용하고, 비교예 3에서는 A6을 사용하고, 비교예 4에서는 A1/A3=65/35(중량비)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조성·물성 및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필름의 각 층 및 전체 층 밀도는, 실시예 1과 동일게 구하였다.
중간층이 본 발명의 조성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1, 2, 4는, 실시예에 비해 히트실링 강도가 뒤떨어지고 있다. 또,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조성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3은, 실시예에 비해 광택과 인렬 강도가 뒤떨어지고 있다.
단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내층 조성 중량% A2=51 A4=34 B1=15 A2=51 A5=34 B1=15 A2=51 A5=34 B1=15 A2=26 A5=17 B1=57 A2=46 A4=30 B1=14 B4=10
(i-1)성분 (i-1)밀도 (i-1)MFR (LL-1)/(LL-2) [kg/m3] [g/10min] 60/40 926 2.5 60/40 920 2.6 60/40 920 2.6 60/40 920 2.6 60/40 926 2.5
내층 전체 밀도 [kg/m3] 925 920 920 921 925
내층 MFR [g/10min] 1.9 1.9 1.9 1.0 1.9
중간층 조성 중량% (주) A1=42 A3=23 B2=15 C1=20 A1=21 A3=12 B2=7 C1=10 C2=50 A1=21 A3=12 B2=7 C1=l0 C3=50 W-MB=5 A1=21 A3=12 B2=7 C1=60 W-MB=5 A1=19 A3=10 C1=9 B2=7 C4=55 W-MB=5
(M-1)성분 (M-1)밀도 (M-1)MFR (LL-3)/(LL-4) [kg/m3] [g/10min] 65/35 916 1.4 65/35 916 1.4 65/35 916 1.4 65/35 916 1.4 65/35 916 1.4
중간층 밀도 [kg/m3] 926 937 943 941 938
중간층 MFR [g/10min] 0.9 1.0 2.1 0.33 0.5
외층 조성 중량% A2=51 A4=34 B1=15 A2=51 A4=34 B1=15 A2=51 A5=34 B1=15 A2=51 A5=34 B1=15 A2=46 A4=30 B1=14 B4=10
(O-1)성분 (O-1)밀도 (O-1)MFR (LL-1)/(LL-2) [kg/m3] [g/10min] 60/40 926 2.5 60/40 926 2.5 60/40 920 2.6 60/40 920 2.6 60/40 926 2.5
외층 밀도 [kg/m3] 925 925 920 920 925
외층 MFR [g/10min] 1.9 1.9 1.9 1.9 1.9
전체층 밀도 [kg/m3] 926 931 931 931 931
광택도 % 93 93 43 51 32
탄성률 MPa  MD TD 550 700 590 760 640 580 560 710 720 1000
인장파단 강도 MPa  MD TD 48 51 48 47 42 40 39 40 49 20
인장파단점 신율 %   MD TD 480 740 580 760 580 760 480 720 440 720
인렬강도 kN/m  MD TD 27 270 38 230 43 280 28 290 19 340
다트임팩트 N 3.0 2.1 2.0 1.7 1.2
히트실링 강도 N/15㎜ 130℃ N/15㎜ 135℃ N/15㎜ 140℃ 12 15 16 14 15 15 15 15 15 15 17 17 17 20 19
(주) W-MB:화이트 안료 60중량% 농도
중합체 합계 100중량부에 W-MB를 5중량부 첨가했다.
단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중간층조성 중량% (주) A2=25 A4=17 B2=28 C4=30 W-MB=3 A2=25 A4=17 B2=28 C2=30 W-MB=3 A6=35 B3=65 W-MB=3 A1=42 A3=23 B2=15 C1=20 W-MB=3
(M-1)성분 (LL-3)/(LL-4) 60/40 60/40 100/0 65/35
(M-1)밀도 [kg/m3] 926 926 920 916
(M-1)MFR [g/10min] 2.5 2.6 1 1.4
중간층 밀도 [kg/m3] 933 929 922 926
중간층MFR [g/10min] 1.0 1.0 1.1 0.9
내층 조성 (중간층과 동일)
내층 밀도/MFR (중간층과 동일)
외층 조성 (중간층과 동일)
외층밀도/MFR (중간층과 동일)
층 구성 1종 3층 1종 3층 1종 3층 1종 3층
필름 두께 μm 60 70 80 50
전층 밀도 [kg/m3] 933 929 922 926
광택도 % 1 6 16 30
탄성률 MPa  MD TD 620 890 650 780 400 510 470 670
인장파단점 강도 MPa  MD TD 29 29 39 39 29 27 61 57
인장파단점 신율 %  MD TD 610 720 670 790 510 680 470 690
인렬강도 kN/m  MD TD 29 290 31 220 8.4 2.1 92 270
다트 임펙트 N 1.3 1.0 3.5 3.8
히트실링 강도 N/15㎜ 130℃ N/15㎜ 135℃ N/15㎜ 140℃ N/15㎜ 150℃ 3 7 11 11 3 6 9 10 14 17 18 18 11 12 12 13
(주) W-MB:화이트 안료 60중량% 농도
중합체 합계 100중량부에 W-MB를 5중량부 첨가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히트실링 강도 및 광택이 우수하며, 또한 탄력 및 충격 강도가 우수하고, 얇고 튼튼한 포장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적어도 하기의 내층과, 중간층과, 외층의 3층을 가지며, 중간층은 내층과 외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필름으로서, 하기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
    중간층은,
    (M-1) MFR이 0.1~100g/10분이며, 밀도가 0.90~0.940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상기 (M-1)은, (LL-3) MFR이 0.1~2g/10분이며, 밀도가 0.88g/cm3를 넘고 0.93g/cm3 미만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0~80중량%와, (LL-4) MFR이 2~100g/10분이며, 밀도가 0.93~0.97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0~80중량%를 함유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단, (LL-3)과 (LL-4)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 20~75중량%와,
    (M-2) MFR이 0.001~50g/10분이며, 밀도가 0.942~0.97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20~70중량%와,
    (M-3) MFR이 0.01~20g/10분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5~20중량%
    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층이며 (단, 상기 공중합체 (M-1)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M-2)와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M-3)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
    내층 및 외층은, 각각 폴리에틸렌 수지 내지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내지 수지 조성물은, MFR이 0.01~20g/10분의 범위에 있으며, 밀도가 0.90~0.95g/cm3의 범위에 있으며, 내층 및 외층의 수지 내지 수지 조성물은 같아도 달라도 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이,
    (I-1) MFR이 0.1~100g/10분이며, 밀도가 0.90~0.95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45~90중량%와,
    (I-2) MFR이 0.01~20g/10분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55중량%,
    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단, 상기 공중합체 (I-1)과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I-2)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
    또, 상기 외층이,
    (O-1) MFR이 0.1~100g/10분이며, 밀도가 0.90~0.95g/cm3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70~90중량%와,
    (O-2) MFR이 0.01~20g/10분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30중량%,
    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단, 상기 공중합체 (O-1)과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O-2)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I-1)과, 상기 외층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O-1)이, 하기 (LL-1)과 (LL-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필름;
    (LL-1) MFR이 0. 1~10g/10분이며, 밀도가 0.88g/cm3를 넘고 0.93g/cm3 미만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0~80중량%와,
    (LL-2) MFR이 2~100g/10분이며, 밀도가 0.93~0.97g/cm3인 에틸렌-α-올레핀공중합체 20~80중량%.
    (단, (LL-1)과 (LL-2)의 합계량을 100중량%로 한다. 내층과 외층의 중합체 조성물은 같아도 달라도 된다.)
  5.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용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포장용 필름.
KR20057018564A 2003-04-03 2004-04-01 포장용 필름 KR100825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99976 2003-04-03
JP2003099976 2003-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869A KR20060059869A (ko) 2006-06-02
KR100825346B1 true KR100825346B1 (ko) 2008-04-28

Family

ID=3315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18564A KR100825346B1 (ko) 2003-04-03 2004-04-01 포장용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59850B2 (ko)
KR (1) KR100825346B1 (ko)
CN (1) CN100448667C (ko)
WO (1) WO20040896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18577B (zh) * 2008-07-07 2011-08-17 苏州天加新材料有限公司 用于带骨肉包装的热收缩片状薄膜
CN101787155B (zh) * 2010-03-16 2012-07-25 南阳金牛彩印集团有限公司 饮料包装用蒸煮膜制备方法
CN103112228B (zh) * 2011-11-16 2016-04-27 李军 聚酰胺多功能保鲜薄膜
JP6314510B2 (ja) * 2014-02-03 2018-04-25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包装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4098819A (zh) * 2014-05-17 2014-10-15 重庆四平塑料包装股份有限公司 卫生巾外袋自动包装膜
JP7380345B2 (ja) 2020-03-09 2023-11-15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レトルト食品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
KR102559970B1 (ko) * 2020-12-30 2023-07-28 삼영화학공업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다층 랩 필름
KR102559983B1 (ko) * 2022-04-19 2023-07-28 삼영화학공업주식회사 우수한 점착력을 가진 다층구조의 폴리올레핀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3843A (ja) * 2001-03-22 2002-09-25 Sumitomo Chem Co Ltd 圧縮包装用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14A (zh) * 1990-10-16 1991-05-29 漳州师范学院 造纸与磷肥废液的综合利用方法
JP3093020B2 (ja) * 1992-02-14 2000-10-0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
NZ248674A (en) * 1992-09-18 1996-03-26 Grace W R & Co Heat-shrinkable multilayer film comprising a layer of propylene polymer or copolymer and hydrocarbon resin, and outer layers of various other polymers
US5614315A (en) * 1995-01-20 1997-03-25 Okura Industrial Co., Ltd. Heat-shrinkable multi-layer polyolefin films
JPH0924587A (ja) * 1995-07-12 1997-01-28 Nippon Petrochem Co Ltd 積層体、チャック袋および圧縮収納袋
SG70064A1 (en) * 1997-01-30 2000-01-25 Mitsui Chemicals Inc Multilayer film for packaging
JP2000169598A (ja) * 1998-12-04 2000-06-20 Daiya Plastic Kk 包装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33096B1 (en) * 1999-12-21 2001-12-25 Montell Technology Company Bv Co-extruded, multilayer packaging film made from propylene polymer materi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3843A (ja) * 2001-03-22 2002-09-25 Sumitomo Chem Co Ltd 圧縮包装用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59850B2 (ja) 2009-11-11
WO2004089626A1 (ja) 2004-10-21
KR20060059869A (ko) 2006-06-02
JPWO2004089626A1 (ja) 2006-07-06
CN100448667C (zh) 2009-01-07
CN1767947A (zh)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9522B2 (en) Blends of polypropylene impact copolymer with other polymers
JP3270056B2 (ja) 樹脂成形体
US7422786B2 (en) Collation shrink
KR100746253B1 (ko) 폴리에틸렌계 필름
KR100825346B1 (ko) 포장용 필름
JP5078838B2 (ja) 延伸フィルム
JP4624721B2 (ja) 積層樹脂一軸延伸フィルム
JP2004099679A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レトルト包装用フィルム
JP6589369B2 (ja) 無延伸艶消しフィルム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フィルム
JP2002273842A (ja) レトルト包装用多層フィルム
JP4624729B2 (ja) 積層樹脂一軸延伸フィルム
JP4212348B2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組成物からなるフィルム
JP5135647B2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低光沢性ポリエチレンフィルム
JP4752187B2 (ja) 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2005089693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
JP4228447B2 (ja) 易引裂性フィルム
JP2859356B2 (ja) 多孔性フイルム
JP200321306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樹脂組成物からなるフィルム
US20230357550A1 (en) Polyolefin compositions and products
JP2022150852A (ja) 多層二軸延伸フィルム
JP2005059243A (ja) 樹脂積層フィルム
JP2002273781A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の溶融押出成形方法
JP2016043552A (ja) 空冷インフレーション成形多層フィルムからなるクリーニングカバー
JP2010106103A (ja) 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516

Effective date: 200802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100519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516

Effective date: 200802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