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599B1 -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화상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화상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599B1
KR100821599B1 KR1020030003238A KR20030003238A KR100821599B1 KR 100821599 B1 KR100821599 B1 KR 100821599B1 KR 1020030003238 A KR1020030003238 A KR 1020030003238A KR 20030003238 A KR20030003238 A KR 20030003238A KR 100821599 B1 KR100821599 B1 KR 10082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aminate film
electrophotographic
film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5196A (ko
Inventor
고바야시도모오
사쿠라이구니오
도리코시가오루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03G7/0013Inorganic compon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03G7/002Organic components thereof
    • G03G7/002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03G7/002Organic components thereof
    • G03G7/002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 G03G7/004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6Substrates for image-receiving members; Image-receiving members comprising only on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13Heat or solvent activated or sealable
    • Y10T428/2817Heat seal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13Heat or solvent activated or sealable
    • Y10T428/2817Heat sealable
    • Y10T428/2826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0Self-sustaining carbon mass or layer with impregnant or oth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전자 사진 장치를 크게 개조하는 일없이, 그대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라미네이트 할 수 있는 적성을 갖고, 비교적 저온에서 연화하는 필름 표면으로의 고해상도의 직접 화상 인자가 가능하고, 또한, 옥외 사용에도 충분한 내열성, 내광성을 갖는 고품질의 화상을 시인성 좋게 형성할 수 있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화상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기체의 한쪽면의 표면 저항값이 108~1013 Ω/□의 범위이고, 또한, 상기 기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13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이다.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 화상 형성 방법

Description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화상 형성 방법{ELECTROPHOTOGRAPHIC LAMINATION FILM,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A METHOD OF FORMING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부호의 설명
10 기체
20 기능성 제어 수단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서 직접 화상 형성(기록)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얼굴 사진을 넣는 캐쉬 카드나 사원증, 학생증, 개인 회원증, 주민등록증, 각종 운전 면허증, 각종 자격 취득 증명 등의 비접촉식 또는 접촉식 개인 정보 및 화상을 넣은 정보 매체, 또한 의료 현장 등에서 사용하는 본인 조회용 화상 시트나 화상 표시판, 표시 라벨 등에 사용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근년, 화상 형성 기술의 발달에 수반하여, 오목판 인쇄, 볼록판 인쇄, 평판 인쇄, 그라비아 인쇄 및 스크린 인쇄 등의 여러 인쇄법에 의해, 동일 품질의 화상을, 대량으로 또한 염가로 형성하는 수단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쇄법은 IC카드, 자기 카드, 광카드, 혹은 이들이 조합된 카드 등, 소정의 정보를 담아, 외부 장치와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교신 가능한 정보 매체의 표면 인쇄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상기 스크린 인쇄는 인쇄하려는 화상의 수에 따른 인쇄판이 다수 필요하여, 컬러 인쇄의 경우에는, 그 색의 수만큼 인쇄판이 더 필요하다. 그 때문에, 이들 인쇄 방법은 개인의 식별 정보(얼굴 사진, 이름, 주소, 생년월일, 각종 면허증 등)에 개개로 대응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상기 문제점에 대해서, 현재 가장 주류로 되어 있는 화상 형성 수단은, 잉크 리본 등을 사용한 승화형이나 용융형의 열전사 방식을 채용한 프린터 등에 의한 화상 형성 방법이다. 그러나, 이들은 개인의 식별 정보를 용이하게 인자할 수 있지만, 인쇄 속도를 올리면 해상도가 저하하고, 해상도를 올리면 인쇄 속도가 저하하는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다.
한편,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화상 형성(인쇄)은, 상 담지체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화상 신호에 따라 노광하고, 노광 부분과 비노광 부분의 전위차에 의한 정전 잠상을 형성시키고, 그 후, 상기 대전과 반대(혹은 동일)의 극성을 갖는 토너라고 하는 색분(화상 형성 재료)을 정전 현상시킴으로써, 상기 상 담지체 표면에 가시 화상(토너 화상)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행하여진다. 컬러 화상의 경우 는, 이 공정을 복수회 반복하는 것, 혹은 화상 형성기를 복수 배치함으로써 컬러의 가시 화상을 형성하고, 이들을 화상 기록체에 전사, 정착(고정화: 주로 열에 의한 색분의 용융과 냉각에 의한 고화)함으로써 컬러 화상을 얻는 방법으로 행하여진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사진 방식에서는, 상 담지체 표면의 정전 잠상을 화상 신호에 의해 전기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같은 화상을 몇 번이고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화상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대응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 담지체 표면의 토너 화상은 거의 완전히 화상 기록체 표면에 전이시킬 수 있고, 상 담지체 표면에 약간 잔존하는 토너 화상도, 수지 블레이드이나 블러시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한 인쇄물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너는 통상, 핫멜트 수지 및 안료, 및 경우에 따라서는 대전 제어제 등의 첨가제를 용융 혼합하고, 이 혼련물을 분쇄, 미립자화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자 사진 방식에서의 정전 잠상은, 상기 미립자화된 토너에 비해서 상당히 높은 해상도를 갖고 있어, 상기 스크린 인쇄나 잉크 리본의 열전사 방식의 해상도와 비교해도 충분한 해상도를 기대할 수 있다.
컬러 화상에 대해서, 컬러 토너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및 블랙의 4원색을 가지며, 이들을 혼합함으로써, 이론적으로 인쇄와 동일한 색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 토너에서는 토너 수지와 안료를 비교적 자유롭게 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토너에 의한 화상 은폐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옥외에서의 사용을 상정한 내열성 및 내광성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거의 검토 되지 않았지만, 특히 운전 면허증 등을 차중의 직사 광선이 쬐는 장소에 놓아두면, 색재로서 염료를 사용하는 열전사형의 화상은 퇴색한다. 그러나,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컬러 화상의 출력에서는, 상기 컬러 토너 중에,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의 각각의 색에 대응한 내광성이 우수한 안료가 사용되고 있어, 전자 사진 방식에서의 화상 기록체의 내광성은 충분히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내열성의 토너를 선택하면, 화상 기록체의 내열성도, 옥외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각종 카드의 기재(코어)는 염화비닐 시트이고, 그 이유는 인쇄 특성이 우수하고, 엠보싱 가공 적성(문자 등의 요철 처리)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염화비닐 시트는 기한 마감 등에 의한 폐기 처리시, 가열로 등에 의한 소각에서 다이옥신이 발생하는 문제를 갖고 있어, 환경 대응의 관점에서, 현재 탈염화비닐로서 각종 시트 필름이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엠보싱 가공을 행하지 않은 것을 전제로 한 경우는, 종래부터 있는 2축연신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부터의 카드의 기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하여, 엠보싱 가공은 빠뜨릴 수 없는 경우가 많아. 현재는 비교적 저온에서 연화하는 ABS 수지 필름이나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 PETG라고 하는 변성 PET 수지 필름이나, 변성 PET 수지 필름과 PET 필름, 아모퍼스 PET 수지 필름 혹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의 일체성형 필름 등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의 전자 사진 장치를 사용하여, 각종 카드의 인자(印字)를 행한 예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특개2001-92255호 공보에서는, 각종 개인 정보 외에, 불가시 바 코드를 두께 250㎛의 염화비닐 시트나 두께 280㎛의 폴리에스테르 시트에 전자 사진법으로 인자하고, 각각 인자면에 오버 필름을 중첩하고, 열프레스기로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시트에서는 시트간 마찰 계수가 너무 커서 시트간에 밀착하기 때문에 시트 반송성이 나빠서, 전자 사진 장치가 멈추어 버리거나, 상기와 같은 250㎛ 이상 두께의 절연물(시트)에는 화상 형성 재료(토너)가 충분히 전사하기 어려워 화상 결함이 증대한다. 또한, 상기 비교적 저온에서 연화하는 수지 필름을 전자 사진 장치에 사용하여 인자하려고 하면, 정착 공정에서, 정착 온도가 필름의 연화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점착성이 발현하여, 정착 장치에 감겨 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재료가 정착 장치에 오프셋 하거나, 상기 250㎛ 두께의 시트의 정착을 계속하면, 시트의 에지(코너)에서 정착 장치를 필요 이상으로 충격을 주는 경우도 있다.
또한, 특개평11-334265호 공보에서는, 광투과성 시트에 개인 식별 정보를 인자하고, 또한 상기 인자는 경상(鏡像)으로 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광투과성의 라미네이트 시트에 관해서는, 적어도 일부가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ABS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되는 필름/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염화비닐이라도 좋다라고 기재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 사양에서는 필름이 단순한 절연체이므로, 필름 표면으로의 화상 형성 재료의 전사 불량 등이 일어나, 열전사 방식 등과 동등한 해상도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생산성 향상에 중점을 둔 이 장치에서는 사용되는 라미네이트 시트는 롤상이기 때문에, 카드 한사람분으로부터 수인분의 다른 인자를 행하는 등의, 긴급 또는 다품종 생산 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많은 로스나 웨이스트를 생기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전자 사진 장치를 크게 개조하는 일 없이, 그대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라미네이트할 수 있는 적성을 갖고, 비교적 저온에서 연화하는 필름 표면으로의 고해상도의 직접 화상 인자가 가능하고, 또한, 옥외 사용에서도 충분한 내광성을 갖는 고품질의 화상을 시인성 좋게 형성할 수 있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화상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의 결과, 예를 들어 투명성과 라미네이트 적성을 갖는 기체와 그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의 표면 저항치를 제어하여, 화상을 형성한 면과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기체를 통하여 화상을 보았을 때에, 당해 화상이 정전 화상(통상 이미지)으로서 보이도록, 경상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또한, 화상이 형성되는 기체의 면의 반대측의 면에 기능성 제어층을 형성함으로써, 카드 표면으로의 각종 가공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름 표면 코팅층의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고, 해당 층 중에 필러를 포함함으로써, 필름 간 마찰 계수를 저하시켜 반송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자외선 흡수제나 산화 방지제를 첨가함으로써 내광성도 개선된다. 환경 대책으로는 기재로서 비염소계 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이것에 대응한 인자 방법(printing method)으로서 화상 정착 방법에 대해서 고려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체(substrate)를 포함하며, 상기 기체의 적어도 한쪽면의 표면 저항치가 108~1013 Ω/□의 범위이고, 또, 상기 기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130℃의 범위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화상이 형성되는 기체의 면과 반대측의 면에, 기능성 제어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기능성 제어 수단이 광택성, 내광성, 항균성, 난연성, 이형성 및 대전성을 제어하는 기능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1개의 기능을 갖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기체가 투명한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기체가 비염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된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체와 이 기체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코팅층을 가지며, 상기 코팅층의 최표면의 표면 저항치가 108~1013 Ω/□의 범위이고, 또, 이 기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130℃의 범위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코팅층이 수지 및 필러를 함유하는 화상 수상층(image-receving layer)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화상 수상층에 함유되는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코팅층이 대전 제어제, 항균제,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기체가 비염소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된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기체 표면에, 코팅층 및 기능성 제어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코팅액을 사용하여 형성할 때에,
이 코팅액에 사용되는 용매가 상기 기체 표면에 대해서 양(good) 용매이고, 상기 코팅층 및 상기 기능 제어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체의 표면이 용해되면서 형성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체의 적어도 한쪽면의 표면 저항치가 108~1013 Ω/□의 범위이고, 또, 상기 기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130℃의 범위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이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는 토너 화상이, 화상 형성면이 라미네이트면이 되도록, 경상으로 형성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의 정착을, 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의 온도가 130℃ 이하가 되도록 행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기체와 이 기체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코팅층을 가지며, 상기 코팅층의 최표면의 표면 저항치가 108~1013 Ω/□의 범위이고, 또, 이 기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130℃의 범위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이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는 토너 화상이, 화상 형성면이 라미네이트면이 되도록, 경상으로 형성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자 사진용 감광체(photoreceptor), 이 감광체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유닛, 대전된 감광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잠상 형성기,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기, 및 감광체 상에 형성된 토너 이미지를 기록 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장치로 되며, 상기 기록 매체는, 기체의 적어도 한쪽면의 표면 저항치가 108~1013 Ω/□의 범위이고, 또, 상기 기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130℃의 범위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이고, 이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는 토너 화상이, 화상 형성면이 라미네이트면이 되도록, 경상으로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자 사진용 감광체, 이 감광체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유닛, 대전된 감광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잠상 형성기,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기, 및 감광체 상에 형성된 토너 이미지를 기록 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장치로 되며, 상기 기록 매체는, 기체와 이 기체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코팅층을 가지며, 상기 코팅층의 최표면의 표면 저항치가 108~1013 Ω/□의 범위이고, 또, 이 기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130℃의 범위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이고, 이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는 토너 화상이, 화상 형성면이 라미네이트면이 되도록, 경상으로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은 기체(10)와, 기능성 제어 수단(20)으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체(10)에서의 기능성 제어 수단(20)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코팅층(화상 수상층)을 더 갖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에서, 기능성 제어 수단(20)은 층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표시되어 있지만, 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체(10)의 표면을 기계적 처리함으로써, 직접 기체(10) 표면에 기능성 제어 수단(20)을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은 예를 들어 투명성을 갖는 상기 기체(10)의 표면에, 화상을 형성한 면과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상기 기체(10)를 통하여 화상을 보았을 때에, 당해 화상이 정전 화상(통상 이미지)으로서 보이도록, 반전 화상(경상)을 형성하고, 또한, 그 반전 화상이 형성되지 않은 측의 면에, 기능성 제어 수단(20)을 설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은 화살표 B가 나타내는 면에 형성되며, 화살표 A가 나타내는 면에 광택 제어 수단(기능성 제어 수단(20))이 설치된다. 이러한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하면, 기체에서, 화상이 형성되는 면과, 광택 제어 수단이 설치되는 면이 다르기 때문에, 형성된 화상 품질에 악영향을 주는 일 없이, 동시에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사용 가능한 기체(10)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명성이란, 예를 들어, 가시광영역의 광을 어느 정도 투과하는 성질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형성된 화상이 기체(10)를 통하여 볼 수 있을 정도로 투명하면 좋다.
상기 기체(10)로는 플라스틱 필름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그 중에서, OHP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광투과성이 있는 필름인, 폴리아세테이트 필름, 3초산 셀룰로오스 필름, 나일론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셀로판,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수지 필름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종 플라스틱 필름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필름, 특히,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에틸렌글리콜 성분의 약반 정도를 1,4-시클로헥산 메탄올 성분으로 치환한 PETG라고 불리는 폴리에스테르, 상기 PET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섞어 알로이화시킨 것, 또는 2축 연신하지 않는 PET로써, A-PET라고 하는 비정질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등의 재료는, 종래 카드용의 기재(코어) 재료로서 사용되어 온 폴리염화비닐이 가연물 폐기시의 연소에 의하여 다이옥신을 발생시켜 환경에 좋지 않음이 인식되어 사용되지 않게 되는 것에도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염소를 포함하지 않은 기재의 사용을 고려하여, 새로운 재료로서, 상기 폴리스티렌계 수지 필름, ABS 수지 필름, AS(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필름, 또 PET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폴리에스테르나 EVA 등의 핫멜트계 접착제가 부가되어 있는 필름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사용되는 기체(10)의 비컷트 연화 온도는 70~130℃의 범위일 필요가 있고, 80~12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 미만이면, 라미네이트 공정에서, 기재(코어) 에 라미네이트 필름을 충분히 밀착·접착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비컷트 연화 온도가 130℃을 넘으면, 상기 밀착·접착은 충분하여도 화상(화상 형성 재료) 또는 후술하는 코팅층이 너무 연화하여, 화상에 결함(화상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비컷트 연화 온도는 열가소성 수지의 연화 온도 평가의 하나의 방법으로 측정되는 것으로서, 그 측정 방법은 성형된 플라스틱 재료의 내열성을 시험하는 방법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서는 JIS K7206나 ASTM D1525, ISO 306에 그 방법이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두께 2.5mm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그 표면에 단면적이 1mm2의 침상 압자를 세트하고, 이 압자에 1kg의 하중을 실어, 시험편을 가열하는 오일조의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켜 가서, 상기 압자가 시험편 내에 1mm 진입했을 때의 오일 온도를 비컷트 연화점 온도로 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사용되는 기체(10) 중 적어도 한쪽면의 표면 저항치가 108~1013 Ω/□의 범위인 것이 필요하고, 109~10 11 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저항치가 108 Ω/□ 미만이면, 특히, 고온 고습시에 화상 기록체의 저항치가 너무 낮게 되어, 예를 들어 전사부재로부터의 전사 토너가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표면 저항치가 1013 Ω/□을 넘으면, 화상 기록체로서 사용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의 저항치가 너무 높게 되어, 예를 들어 전사부재로부터의 토너를 필름 표면으로 이행할 없어, 전사 불량에 의한 화상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저항치는 23℃, 55%RH의 환경하에서, 원형 전극(예를 들어, 미쓰비시유카(주)제 하이레스타 IP의 "HR 프로브")을 사용하여, JIS K6991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서, 한쪽면만이 상기 범위의 표면 저항치를 갖는 경우에는, 해당면은 화상이 형성되는 측의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체(10) 중 적어도 한쪽면의 표면 저항치를 108~1013 Ω/□의 범위로 제어할 때에는, 기체(10)로 되는 필름 제조시, 직접 계면 활성제, 고분자 도전제나 도전성 미립자 등을 수지중에 첨가하거나, 상기 필름 표면에 계면 활성제를 코팅 하거나, 금속 박막을 증착하거나, 혹은 접착제 등에 계면 활성제 등을 적당량 첨가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의 예로는 폴리아민류, 암모늄 염류, 설포늄 염류, 포스포늄 염류, 베타인계 염류 등의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알킬 인산염 등의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의 계면 활성제 중에서도, 작금의 전자 사진용의 부대전형 토너와 상호 작용이 큰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전사성의 향상에 유효하게 된다.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중에서도, 4급 암모늄 염류가 바람직하다. 4급 암모늄 염류로는 하기 일반식(I)으로 표기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3001656443-pat00001
식 중, R1는 탄소수 6~22의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를 나타내며, R2는 탄소수 1~6의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를 나타낸다. R3, R4, R5는 동일 또는 다른 지방족기, 방향족기, 헤테로환기를 나타낸다. 상기 지방족기란 직쇄, 분기 또는 환상의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를 말한다. 상기 방향족기란 벤젠 단환, 축합 다환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이들 기는 수산기와 같은 치환기를 가져도 좋다. A는 아미드 결합, 에테르 결합, 에스테르 결합, 페닐기를 나타내지만, 이것은 없어도 좋다. X-은 할로겐 이온, 황산 이온, 질산 이온을 나타내며, 이들 이온은 치환기를 가져도 좋다.
또한, 기체(10)로는 이미 상술한 플라스틱 필름 이외에, 투명성을 갖는 다른 수지나, 투명성을 갖는 세라믹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에 안료나 염료 등이 첨가되어 착색되어도 좋다. 또한, 기체(10)는 필름상, 판상이라도 좋고, 가요성을 갖지 않을 정도, 또는 기체(10)로서의 요구에 필요한 강도를 갖는 정도로 두께를 갖는 형상이라도 좋다.
상기 기능성 제어 수단(20)은 광택성, 내광성, 항균성, 난연성, 이형성, 및 대전성을 제어하는 기능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1개 이상의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 직하고, 구체적으로는 기체(10)의 표면에 대해, 광택성, 내광성, 항균성, 난연성, 이형성, 도전성, 또한 바람직하게는 내습성, 내열성, 발수성, 내마모성 및 내상처성(mar resistance) 등의 여러 기능을 부가 및/또는 향상시키기 위해서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기능성 제어 수단(20)을 갖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은 다양한 사용 조건에 대해서 내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특히, 광택성의 제어에 대해서의 기능성 제어 수단(20)을 예시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광택성의 제어는 기체(10)의 표면에 형성된 화상의 "글리터링(glittering)"를 억제하여, 어느 각도로부터 보아도 시인성이 향상하도록 행하여진다. 광택성을 제어하는 기능성 제어 수단(20)의 예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10)의 표면에 설치된 광택 제어층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기체(10)의 표면에, 직접 광택성을 제어하는 기계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기체(10)가 광택 제어 기능을 갖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상기 기체(10)의 표면에, 직접 광택성을 제어하는 기계적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는 기계적 수단을 사용하여, 기체(10)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기체(10)의 표면에 깊이 3~30㎛정도의 요철이 형성되면, 그 기체의 표면에 광산란이 생기게 되어, 요철의 사이즈, 조도, 깊이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소망하는 광택성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수단으로는 샌드 블래스트법, 엠보스법, 플라즈마 에칭법이나, 기타의 공지의 기계적 표면 처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샌드 블래스트법은 유기 수지, 세라믹 및 금속 등의 부정형, 또는 정형 입자를 연마용 입자로 하여, 재료 표면을 연속적으로 블래스팅하여, 표면을 조면화하는 방법이다. 엠보스법은, 미리, 요철을 형성한 금형을 제작하고, 이것과 재료를 접촉시킴으로써, 금형의 요철을 재료 표면에 전사하는 방법이다. 플라즈마 에칭법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한 분자 해리의 결과, 발생하는 여기 분자, 래디칼, 이온 등을 이용하여 에칭하는 방법이다. 에칭은 생성하는 여기종과 재료와의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휘발성 화합물의 증발에 의해서 진행한다.
광택성을 제어하는 기능 제어 수단(20)이 광택 제어층으로서 구성되는 경우, 당해 광택 제어층은 중합체의 상분리를 이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광택 제어층을 형성하는 수지중에, 이것과 상용성이 없는 수지를 첨가하여 층 형성 후, 건조중에 상분리를 발생시키고, 그것에 의하여 표면에 요철을 발생시키는 방법이다. 상용성이 없는 수지의 종류, 첨가량, 건조 조건 등을 제어함으로써, 상분리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표면의 요철이 제어되어, 결과적으로, 표면의 광택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광택성을 제어하는 기능 제어 수단(20)이 광택 제어층으로서 구성되는 경우, 당해 광택 제어층은 적어도, 결착제와 필러로 구성되어도 좋다. 광택 제어층에 함유하는 결착제로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수지로는 기체와의 친화성, 재료 선택의 다양성, 안정성, 비용, 제작 공정의 용이함 등에서 화상 형성 재료(토너)에서 사용되고 있는 핫멜트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택 제어층의 막두께는 피막 형성의 안정성을 위해서 0.01~2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필러를 안정적으로 내포하여, 기체와의 접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0.1~5㎛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능성 제어 수단(20)으로서의 층이나 후술하는 코팅층에 사용되는 핫멜트 수지는, 화상 형성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스티렌, 비닐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등의 스티렌류;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등의 모노 올레핀류; 초산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벤조산 비닐, 락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류;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도데실, 아크릴산 옥틸, 아크릴산 페닐,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도데실 등의 α-불포화 지방산 모노 카복실산의 에스테르류;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비닐부틸에테르 등의 비닐 에테르류; 비닐메틸케톤, 비닐헥실케톤, 비닐이소프로페닐케톤 등의 비닐 케톤류; 이소프렌, 2-클로로부타디엔 등의 디엔계 단량체류; 등 중의 1종 이상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특히 스티렌류, α-불포화 지방산 모노 카복실산의 에스테르류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다가 하이드록시 화합물과 다염기성 카복실산 또는 그 반응성 산유도체와의 반응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다가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부탄디올 등의 디올류; 수첨 비스페놀 A, 폴리옥시에틸렌화 비스페놀 A, 폴리옥시프로필렌화 비스페놀 A 등의 비스페놀 A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기타의 2가 알콜, 비스페놀 A 등의 2가 페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염기성 카복실산의 예로는 마론산, 숙신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알킬 숙신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메사콘산, 시트라콘산, 이타콘산, 글루타콘산, 시클로헥산 디카복실산, 프탈산(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기타의 2가 카복실산, 혹은 이들의 산무수물, 알킬 에스테르, 산할라이드 등의 반응성 산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2가의 하이드록시화합물 및 카복실산에 더하여, 얻어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테트라하이드록시푸란 불용물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비선형화하기 위해서, 3가 이상의 다가 하이드록실 화합물 및/또는 3가 이상의 다염기성 카복실산을 첨가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2가의 카복실산으로서 프탈산을 사용하고, 다가 하이드록시화합물로서 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을 사용하여, 소정의 조성비로 중축합시킨 선상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상기 조성비로는, 상기 프탈산으로서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을 몰비로 1:1정도, 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을 몰비로 7:3~1:9의 범위로 하여, 2가의 카복실산과 다가 하이드록시 화합물을 약 1:1로 혼합하여 중합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택 제어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그 피막 강도를 올리기 위해서, 열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전자선 경화 수지 등의 경화성 수지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는 가열하면 경화(불용화)하는 수지로서 통상 알려져 있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아크릴 폴리올을 이소시아네이트로 경화시킨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멜라민으로 경화시킨 수지, 및 아크릴산을 멜라민으로 경화시킨 수지 등이다. 또 열경화성 수지의 구성 성분인 단량체를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기타, 열가소성 수지라도 가교에 의해서 경화하여 내열성을 갖는 수지이면, 본 발명에서의 열경화성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열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는 적어도 1종의 아크릴계 단량체, 혹은 아크릴계 단량체 및 스티렌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되는 공중합체를, 멜라민계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에 의해서 가교시킨 것이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의 예로는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옥틸, 메타크릴산스테아릴 등의 메타크릴산알킬 에스테르류;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옥틸 등의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디메틸아미노 에틸에스테르, 메타크릴산디에틸아미노 에틸에스테르, 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 에틸에스테르,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노기 함유 비닐 단량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 스티렌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 p-에틸스티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화가 열경화에 한정되지 않지만, 경화성 실리콘 수지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리콘 수지는 그 분자 구조에 의해, 실리콘 오일이나 실리콘 고무 등의 재료가 되는 직쇄상 구조를 취하는 실리콘 수지와, 3차원으로 가교한 구조의 실리콘 수지로 분류된다. 또한, 이형성, 접착성, 내열성, 절연성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의 제 성질은, 실리콘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분자(유기 분자)나 그 중합도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경화성 실리콘 수지는 상기 3차원으로 가교한 구조의 실리콘 수지이다. 그 3차원으로 가교한 구조의 실리콘 수지는 통상, 다관능성(3관능성, 4관능성) 단위로부터 중합되어, 가교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직쇄상 구조를 취하는 실리콘 수지에는, 분자량이 낮고, 실리콘 오일로서, 절연유, 액체 커플링, 완충유, 윤활유, 열매, 발수제, 표면 처리제, 이형제, 소포제 등에 사용되는 것이나, 가황제 등을 첨가한 후, 가열 경화에 의해서, 분자량(실록산 단위) 5000~10000정도로 중합된 실리콘 고무 등이 있지만, 상기 경화성 실리콘 수지로는 적절하지 않다.
상기 경화성 실리콘 수지는, 그 분자량 단위에 따라서, 유기 용매에 용해 가능하고 비교적 저분자량인 실리콘 바니스와, 고중합도의 실리콘 수지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상기 경화성 실리콘 수지는, 생성 단계에서의 경화 반응에 따라, 축합형, 부가형, 복사선형(자외선 경화형, 전자선 경화형)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도포 형태에 따라서는 용제형, 무용제형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경화 반응을 지배하는 인자로는 반응기 종류, 반응기 수, 경화 시간, 온도, 조사 에너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당해 경화 반응을 제어하는 방법의 예로는 단관능성이나 2관능성의 폴리디메틸실록산이나, 반응 억제제(아세틸렌 알콜류, 환상 메틸비닐시클로실록산, 실록산 변성 아세틸렌 알콜류 등) 등을 첨가하는 방법이나, 촉매양, 반응 온도, 반응 시간, UV조사 강도 등을 조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경화 반응을 제어함으로써, 경화성 실리콘 수지의 분자량, 반응기로서의 실라놀 잔존양 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형성, 경도, 접착성, 표면 경도, 투명성, 내열성, 화학적 안정성 등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화성 실리콘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체(10)와 그 경화성 실리콘 수지 간에 강고한 결합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체(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광택 제어층은 기체(10)에 대해서 우수한 접착 강도를 갖기 때문에, 기체(10)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조성물의 예로는, 분자중에 비닐기 등의 반응성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저분자량물에 한정되지 않고, 고분자도 포함함)과, 광경화에 필요한 개시제와, 자외선 흡수제 등의 하지(착색층, 경우에 따라 기체층) 보호층과, 또한 필요에 따라 시트 유지성 개량을 위한 수지 등의 고분자량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전자선 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조성물의 예로는 분자중에 비닐기 등의 반응성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하지 보호 재료(자외선 흡수제)와, 필요에 따라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자중에 반응성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로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 는, 예를 들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1관능 타입이나,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타입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 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키드 아크릴레이트, 폴리올 아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등도 있다. 또한 비닐기나 알릴기를 갖는, 예를 들어, 스티렌 단량체, α-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초산비닐, 펜텐, 헥센, 불포화 화합물 등이 있다.
이들 화합물에는, 광택 제어층의 밀착성이나 하지 보호 재료와의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수산기, 아미노기, 카복실기, 카보닐기, 에폭시기 등의 극성기를 도입할 수도 있다.
광경화용 중합 개시제는, 특히, 자외선으로 경화시키는 경우에 첨가된다. 이 광경화용 중합 개시제는 통상 광개시제로 불리는 것으로, 예를 들어, 벤조인 알킬 에테르계,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 등의 광개시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벤조인 에테르계로는 벤질,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프로필 에테르 등이 있다. 아세토페논계로는 2,2'-디에톡시 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p-ter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등이 있다. 벤조페논계로는 벤조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 -디클로로벤조페논,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디벤조스베레논등이 있다. 티오크산톤계로는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에틸안트라퀴논 등이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반응성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0.05~1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1~5질량부의 범위로 첨가된다. 또한, 광개시제는 1종에 한정되지 않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 하지 보호용의 재료로는 시판되고 있는 자외선 흡수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첨가하는 재료는, 조성물중에서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고, 또한, 광의 조사로 변성하지 않는 것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유기계의 재료에서는 페닐 살리실레이트, p-tert-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옥틸옥시 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도데실옥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 2H-벤조트리아졸, 2-(2' -하이드록시-5'-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 -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 아크릴레이트, 에틸-2-시아노-3,3' -디페닐 아크릴레이트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하지 보호 재료로는 산화아연, 산화티탄 등의 산화물 미립자, 기타, 산화철, 산화세륨 등의 금속 산화물 미립자등의 무기계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특히 상기 유기계재료가 바람직하고, 상기 반응성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4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1~25질량부의 범위로 첨가된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는 하지 보호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1종에 한정되지 않고, 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나 산화 방지제를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하지 보호용의 다른 내광성 재료로는, 시판되고 있는 산화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첨가하는 재료는, 자외선 흡수제와 마찬가지로 조성물중에서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고, 또한, 광의 조사로 변성하지 않는 것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인산계, 황계, 페놀계, 힌더드 아민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인산계 산화 방지제로서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메틸포스파이트, 트리 에틸포스파이트, 트리-n-부틸포스파이트, 트리옥틸포스파이트,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포스파이트, 트리올레일 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세틸포스파이트, 디라우릴하이드로디엔포스파이트, 디페닐 모노데실포스파이트, 디페닐 모노(트리데실)포스파이트, 테트라페닐디프로필렌글리콜 디포스파이트,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닐-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트리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 노닐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페닐옥틸포스파이트, 테트라(트리데실)-4,4'-이소프로필리덴 디페닐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등의 아인산 에스테르 화합물 등이 있다.
인산계 산화 방지제의 3가의 유기 인 화합물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 고, 예를 들어 특공소51-40589호, 동 25064호, 동 50-35097호, 동 49-20928호, 동 48-22330호, 동 51-35193호 각공보 등에 기재되는 것도 사용할 수 있다.
황계 산화 방지제의 예로는 이하와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3,3', -티오디프로피온산-디-n-도데실, 3,3'-티오디프로피온산-디-미리스틸, 3,3' -티오디프로피온산-디-n-옥타데실, 2-머캅토벤조이미다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β-라우릴, 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디트리데실-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3,3'-티오디프로피온산디메틸, 티오글리콜산옥타데실, 페노티아진, β, β'-티오디프로피온산, 티오글리콜산-n-부틸, 티오글리콜산에틸, 티오글리콜산-2-에틸헥실, 티오글리콜산이소옥틸, 티오글리콜산-n-옥틸, 디-t-도데실-디설파이드, n-부틸설파이드, 디-n-아밀디설파이드, n-도데실 설파이드, n-옥타데실 설파이드, p-티오크레졸 등이 있다.
페놀계 산화 방지제의 예로는 이하와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2,6-디-t-부틸-p-크레졸(BHT), 2,6-디-t-부틸페놀, 2,4-디-메틸-6-t-부틸페놀, 부틸하이드록시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비스페놀 A, DL-α-1-토코페롤, 스티렌화 페놀, 스티렌화 크레졸, 3,5-디-t-부틸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 2,6-디-t-부틸-4-하이드록시메틸페놀, 2,6-디-s-부틸페놀, 2,4-디-t-부틸페놀, 3,5-디-t-부틸페놀, o-n-부톡시페놀, o-t-부틸페놀, m-t-부틸페놀, p-t-부틸페놀, o-이소부톡시페놀, o-n-프로폭시페놀, o-크레졸, 4,6-디-t-부틸-3-메틸페놀, 2,6-디메틸페놀, 2,3,5,6-테트라메틸페놀, 3-(3', 5'-디-t-부틸-4' -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스테아릴에스테르, 2,4,6-트리-t-부틸페놀, 2,4,6-트리메틸페놀, 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메시틸렌, 1,6-헥산디올-비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티오디에틸렌비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티오비스(4-메틸-6-t-부틸페놀), 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 포스페이트, o-n-프로폭시페놀, o-크레졸, 4,6-디-t-부틸-3-메틸페놀, 2,6-디메틸페놀, 2,3,5,6-테트라메틸페놀, 3-(3', 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스테아릴 에스테르, 2,4,6-트리-t-부틸페놀, 2,4,6-트리메틸페놀, 2,4,6-트리스(3', 5', -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메시틸렌, 1,6-헥산디올-비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티오디에틸렌비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티오비스(4-메틸-6-t-부틸페놀), 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 포스페이트 디에틸에스테르, 1,3,5-트리메틸-2,4,6-트리스 (3,5-디-t-부틸-4-하이드록실벤질벤젠, n-옥타데실-3-(3', 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t-부틸-6(3'-t-부틸-5'-메틸-2-하이드록시벤질)-4-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하이드로퀴논, 2,5-디-t-부틸하이드로퀴논, 테트라메틸하이드로퀴논 등이 있다.
힌더드 아민계 산화 방지제의 예로는 이하와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1-(2-[3-(3,5-디-t-부틸-4-하이드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4-(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2,2,6,6-테트라메틸피리딘, 8-벤질-7,7,9,9-테트라메틸-3-옥틸-1,3,8-트리아자스피로[4,5]운데칸-2,4-디온, 벤조일 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 테트라키스 (2,2,6,6-ter-테트라메틸-4-피페리딜/데실)-1,2,3,4-부탄 테트라카복시레이트 등이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난연성의 제어는 제어면측에서 가해지는 연소염에 대해서 내성을 나타내도록 행하여진다. 난연성 재료로는 할로겐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무기계 난연제 등의 첨가형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할로겐계 난연제로는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TBA), 헥사브로모 벤젠, 데카브로모 디페닐 에테르, 테트라브로모 에탄(TBE), 테트라브로모 부탄(TBB), 헥사브로모 시클로데칸(HBCD) 등의 브롬계, 및 염소화 파라핀, 염소화 폴리페닐, 염화 디페닐, 퍼클로로펜타시클로데칸, 염소화 나프탈렌 등의 염소계를 들 수 있고, 이들은 삼산화안티몬 등과 병용함으로써, 보다 효과를 발휘한다.
인계 난연제로는 트리크레질 포스페이트, 트리(β-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디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트리(디브로모프로필)포스페이트, 2,3-디브로모 프로필-2,3-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무기계 난연제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인산 에스테르 또는 할로겐화 인산 에스테르 등, 수산화 지르코늄,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돌로마이트, 하이드로탈사이트,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산화주석의 수화물, 붕사 등의 무기 금속 화합물의 수화물, 붕산아연, 메타붕산아연, 메타붕산바륨, 탄산아연, 탄산마그 네슘-칼슘, 탄산칼슘, 탄산바륨, 산화마그네슘, 산화 몰리브덴, 산화 지르코늄, 산화주석, 적인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지르코늄,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돌로마이트, 하이드로탈사이트로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 화합물의 수화물, 특히,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은 난연효과가 높고, 경제적으로도 유용하다.
상기 무기계 난연제의 바람직한 입경은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에서는 평균 입경이 20㎛이하, 바람직하게는 10㎛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들 난연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난연제로서, 할로겐계나 인계 난연제를 선택한 경우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서, 이들의 난연제 총량이 5~50질량부의 범위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40질량부의 범위로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난연제의 배합양이 5질량부 미만에서는 고도의 난연화가 어렵고, 한편, 50질량부를 초과하는 양을 배합하여도 난연화는 그다지 개량되지 않아, 비경제가 되는 문제를 갖는다.
한편, 난연재료로서, 무기계 난연제를 선택한 경우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서, 무기계 난연제가 30~200질량부의 범위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150질량부의 범위로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계 난연제 배합양이 30질량부 미만에서는 무기계 난연제 단독으로는 충분한 난연화가 어려워서, 유기계 난연제의 병용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200질량부를 초과하는 양을 배합한 경우에는 내마모 성이 떨어지고, 내충격 강도의 저하 등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 가요성이 없어지고, 또한 저온 특성이 떨어진다.
무기계 난연제는, 연소했을 때에 할로겐 가스 등의 유해 가스의 발생이 없다는 이점을 갖기 때문에, 난연제로서 특히 유용하다.
상기 시트 유지성 개량재로서의 고분자량물은, 시트의 취급성(가요성)개선이나 시트 표면의 태크(tack) 개선을 위해서 첨가하는 반응성 이중결합을 갖지 않은 것이므로,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과 상용성의 양호한 재료가 선정된다. 예를 들어,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이 우레탄 골격으로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것이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되는 아크릴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량물 선택의 기준으로는 SP(solubility parameter)값이 있고, 이 값 근방 재료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이 고분자량물로는, 상기 외에,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이 사용된다.
이들 고분자량물에는, 광택 제어층의 기체(10)와의 밀착성이나 하지 보호 재료와의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수산기, 아미노기, 카복실기, 카보닐기, 에폭시기 등의 극성기를 도입할 수도 있다. 또한, 광택 제어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과산화물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로는 통상의 유기 과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의 저장 안정성의 면에서, 분해 온도가 100℃ 이상의 유기 과산화물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2,2-비스(tert-부틸퍼옥시)부탄, ter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tert-부틸퍼옥시 이소프탈레이트,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디큐밀퍼옥사이 드, ter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의 첨가량은 상기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저분자량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0.5~5.0질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과산화물은 1종에 한정되지 않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 과산화물의 첨가에 의해서, 광의 조사로 경화하기 어려운 부분을 열경화할 수 있다.
또한, 광택 제어층을 구성하는 결착제로는, 상기 수지 대신에 수용성의 결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수용성의 결착제로는 산화 전분, 인산 에스테르화 전분, 양이온화 전분, 자가 변성 전분 및 각종 변성 전분,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 아미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아르긴산 나트륨, 하이드록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콜 또는 그 유도체 등의 수용성 고분자가 사용된다. 이들 수용성 고분자는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택 제어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소량의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나 경도를 높이기 위한 고경도의 미립자 재료가 첨가된다. 상기 착색제로는 도료로 사용되는 안료,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안료로는 산화티탄, 산화철, 카본블랙, 시아닌계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등이 있다. 상기 염료로는 아조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인디고이드계 염료, 스틸벤계 염료 등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 플레이크, 니켈가루, 금가루, 은가루 등의 금속가루 등을 착색제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이들 재료는 가능한 한 미립자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도를 높이기 위한 재료로는 필요에 따라, 미립자(체적 평균 입자경: 20nm이하)의 산화티탄이나 실리카, 다이아몬드 등이 사용된다. 이들 착색제 등을 첨가한 경우는 상기 광개시제로는 착색제의 흡수가 적은 파장의 광에서 개시 반응을 행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광택 제어층에 관하여, 아크릴계를 중심으로 한 재료의 조합의 예에 대해서 나타낸다. 기타의 계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재료를 조합할 수 있다.
I: (a)질량 평균 분자량이 20,000~1,000,000의 범위이고 상온에서 고체상의 아크릴 수지와, (b)분자중에 이중결합을 갖는 저분자량물과, (c)광개시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경화성의 광택 제어층.
II: (d)분자중에 수산기, 아미노기 및 카복실기로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1종의 관능기를 복수 갖고, 질량 평균 분자량이 20,000~1,000,000의 범위이고 상온에서 고체상의 아크릴 수지와, (b)분자중에 이중결합을 갖는 저분자량물과, (c)광개시제와, (e)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로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1종의 가교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경화성의 광택 제어층.
III: (f)분자중에 반응성 이중결합을 복수 갖고, 질량 평균 분자량이 20,000~1,000,000의 범위이고 상온에서 고체상의 아크릴 수지와, (b)분자중에 이중결합을 갖는 저분자량물과, (c)광개시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경화성의 광택 제어층.
IV: (g)분자중에 수산기, 아미노기 및 카복실기로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1종의 관능기와 반응성 이중결합을 복수 갖고, 질량 평균 분자량이 20,000~1,000,000이고 상온에서 고체상의 아크릴 수지와, (b)분자중에 이중결합을 갖는 저분자량물과, (c)광개시제와, (e)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로 되는 군에서 선택하는 적어도 1종의 가교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경화성의 광택 제어층.
또한, 전자선 경화성의 광택 제어층은 예를 들어, 상술의 광경화성 광택 제어층의 배합으로부터 광개시제를 제거한 것이 사용된다.
상기 광택 제어층의 배합중에 나타낸 (a)질량 평균 분자량이 20,000~1,000,000이고 상온에서 고체상의 아크릴 수지는 예를 들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와, 스티렌 유도체 단량체 등이나 말레인산계 단량체 등을 반응 개시제(각종 과산화물이나 연쇄 이동제 등)의 존재하에서 공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광택 제어층의 배합중에 나타낸 (d)분자중에 수산기, 아미노기 및 카복실기로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관능기를 복수 갖고, 질량 평균 분자량이 20,000~1,000,000이고 상온에서 고체상의 아크릴 수지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등의 카복실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와, 2-아미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아미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등 중, 적어도 1종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와, 기타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나 스티렌 유도체 단량체나 말레인산계 단량체 등을 반응 개시제(각종 과산화물이나 연쇄 이동제 등)의 존재하에서 공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광택 제어층의 배합중에 나타낸 (f) 분자중에(메타)아크릴로일기를 복수 갖고, 질량 평균 분자량이 20,000~1,000,000이고 상온에서 고체상의 아크릴 수지, (g) 분자중에 수산기, 아미노기 및 카복실기로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1종의 관능기와 반응성 이중결합을 복수 갖고, 질량 평균 분자량이 20,000~1,000,000이고 상온에서 고체상의 아크릴 수지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등의 카복실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과;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와; 2-아미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아미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와; 2-(1-아지리디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2-아지리디닐)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아지리디닐을 갖는(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와;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를 갖는(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등 중, 적어도 1종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와, 기타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나 스티렌 유도체 단량체나 말레인산계 단량체 등을 반응 개시제(각종 과산화물이나 연쇄 이동제 등)의 존재하에서 공중합시켜 얻을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상기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를 부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들 아크릴 수지(a), (d), (f), (g)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반응 개시제를 사용하여 중합 반응을 행할 때의 조건에 의해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는 그 질량 평균 분자량이 20,000~1,000,000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질량 평균 분자량이 20,000을 하회하면, 라미네이트 필름의 첨부 작업시의 연신에 대해서 충분한 신율이 얻어지지 않아,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질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을 상회하면, 수지의 용제로의 용해가 어렵게 되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광택 제어층을 제작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용제 캐스팅에 의해 광택 제어층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용제 점도가 높게 되므로 수지를 저농도로 밖에 캐스팅할 수 없어, 그 때문에 광택 제어층의 막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들 아크릴 수지는, 광택 제어층 경화후의 경도와 내손상성 과의 관계에서, Tg(유리 전이점)가 -20~100℃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다지 높지 않은 표면 경도, 예를 들어, 연필 경도법으로의 경도에서 2B이하(23℃)의 경우나, 광택 제어층의 신율이 거의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이들 범위외라도 적용 가능하다. 아크릴 수지는 상기의 분자량 범위이면 다른 종류의 것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아크릴 수지(d), (g)는 수산기, 아미노기 및 카복실기 등의 관능기를 갖기 때문에, 상기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되면, 그것에 의하여 시트의 가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d), (g)의 관능기 값{OH기 가와 NH2기 가(NH2:중합시 첨가하는 NH2기의 양을 OH가와 같은 계산 또는 NH2기를 아질산과 반응시켜 OH기로 바꾸어 정량한 값)와 COOH기 값(COOH 가: 중합시 첨가하는 COOH 기의 양을 OH가와 같은 계산 또는 COOH 기를 KOH로 적정한 값)}의 합계가 2~5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능기 값이 2미만이면, 광택 제어층의 가요성의 향상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관능기값이 50을 넘으면, 충분한 광택 제어층의 신율이 얻어지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러나, 광택 제어층의 신율이 거의 필요하지 않은 경우나, 광택 제어층의 가요성이 충분한 경우는 이들 범위외라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들 아크릴 수지 재료는 아크릴 수지의 반응성 부분을 블록 또는 빗 형상으로 한 블록 공중합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들 반응성 아크릴 수지 재료와 블록화하는 재료로는 아크릴계는 물론, 스티렌계, 말레인산계, 이미드계 재료 등의 아크릴과 상용성이 좋은 재료 외에, 실리콘계, 불소계 재료 등, 블록화할 수 있는 재료라면 어느 조합이라도 상관없다. 이 경우, 이들 재료의 질량 평균 분자량을 상기 범위내로 사용하는 방법과, 상기한 반응성 아크릴 수지에 이들 블록 중합체를 브렌드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광택 제어층의 배합중에 나타낸 (b)분자중에 이중결합을 갖는 저분자량물의 예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 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1관능 타입이나,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타입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폭시 아 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 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키드 아크릴레이트, 폴리올 아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등도 있다. 이들의 저분자량물은 수산기, 아미노기, 카복실기 등의 관능기를 더 가져도 좋다.
상기 (e)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란, 분자내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고,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진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리스(이소시아네이트페닐)티오포스파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단량체 또는 이들단량체의 트리메틸올 프로판 부가체,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뷰렛트 변성체, 카보 디이미드 변성체, 우레탄 변성체, 아로파네이트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e)의 멜라민계 가교제란, 멜라민을 비롯하여 우레아, 티오우레아, 구아니딘, 구아나민, 아세토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 디시안디아미드, 구아나민 등의 다관능의 아미노기를 갖는 재료와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 얻어진 트리메틸올 멜라민, 헥사메틸올 멜라민, 디메틸올우레아 디메틸올구아니딘, 디메틸올 아세토구아나민, 디메틸올 벤조구아나민 등을 부틸알콜이나 프로필 알콜 등의 알코올과 반응시켜 얻은 에테르화 멜라민 수지를 말한다.
또한 상기 (e)의 에폭시계 가교제란, 에폭시기를 복수 포함하는 다가 알콜의 글리시딜 화합물을 말하며, 루이스산 촉매와 함께 사용된다. 이 루이스산으로는 반응을 늦추기 위해서 마이크로 캡슐화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타디엔 디옥사이드, 헥사딘 디옥사이드나 프탈산의 디글리시딜 에스테르,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파라아미노 페놀의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아민, 아닐린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페닐렌디아민의 테트라글리시딜 에테르, 설폰 아미드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린의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등의 글리시딜 화합물이나 폴리에테르 변성 디글리시딜, 폴리에스테르 변성 디글리시딜, 우레탄 변성 디글리시딜 화합물(중합체)이나 비닐시클로헥센 디옥사이드,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의 첨가량은 아크릴 수지의 관능기값:가교제의 관능기값이 1:0.7~1.3정도가 되는 양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는 사용하는 아크릴 수지와의 반응성에 의해 아크릴 수지의 관능기와 가교제끼리, 예를 들어, 멜라민계 가교제끼리, 멜라민계 가교제와 에폭시계 가교제 등의 반응이 일어나므로, 예비 실험을 행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택 제어층을 구성하는 필러는 한정되지 않지만, 유기 수지 입자로 구성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스티렌, 비닐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등의 스티렌류;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등의 모노 올레핀류; 초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벤조산비닐, 부틸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류;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도데실, 아크릴산옥틸, 아크릴산페닐,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도데실 등의 α-불포화 지방산 모노카 복실산의 에스테르류; 비닐 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비닐부틸에테르 등의 비닐 에테르류; 비닐 메틸케톤, 비닐헥실 케톤, 비닐이소프로페닐 케톤 등의 비닐 케톤류; 이소프렌, 2-클로로부타디엔 등의 디엔계 단량체의 1종 이상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스티렌류, α-불포화 지방산 모노카복실산의 에스테르류 등이 바람직하고, 이들 핫멜트 수지를 필러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이들 수지를 용해하지 않는 용매로 코팅 함으로써, 광택 제어층을 구성하는 필러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이들 핫멜트 수지에 가교제 등을 첨가하여, 가교 구조를 가지게 한 열경화성 수지, 앞서 기재한 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전자선 경화 수지 등을 미립자화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광택 제어층을 구성하는 필러가 무기 미립자로 구성되는 경우, 구체적인 예시물로는 마이카, 탈크, 실리카, 탄산칼슘, 아연화, 할로사이트클레이, 카올린,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석영가루,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황산칼슘,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필러의 형상으로는 구상 입자가 일반적이지만, 판상, 침상, 부정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필러와 수지의 굴절율 차는 0.01이상인 것이 표면 광택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굴절율 차가 0.1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필러의 체적 평균 입자경으로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광택 제어층 막두께를 고려하면, 0.01~5㎛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택 제어층 중에서의 필러와 결착제의 질량비(필러:결착제)는 0.3:1~3: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2:1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러의 비율이 상기 범위내의 경우는 화상 형성의 전후에서 광택이 거의 변화하지 않지만, 상기 범위보다도 적은 경우는 광산란성이 저하하며, 상기 범위보다도 많은 경우는 광택 제어층의 형성이 곤란해 지는 경우가 있다.
이상, 기능성 제어 수단(20)으로서의 광택 제어층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당해 기능성 제어 수단(20)은 상기와 같이 내광성, 항균성, 난연성, 이형성, 대전성 제어의 관점에서도 설치되는 것이다. 즉, 기능성 제어 수단은 상기와 같이, 기체(10)를 통하여 화상이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라미네이트된 경우에는, 기능성 제어 수단(20)이 설치된 면이 외측으로 되기 때문에, 내광성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사용중에 필름면에 물이 뭍은 경우에, 곧바로 닦아내도록 이형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고, 또, 필름 표면에는 먼지가 부착하기 어렵도록, 표면 저항치를 1012 Ω/□로 이하로 하는 대전성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화상 표시물을 병원내에서 손으로 집어 열람하거나, 벽으로의 표시 등에서 항균성이 요구된다. 또한, 화재시 등 가열에 의한 연소 또는 , 유해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는 난연성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내광성, 항균성, 난연성, 이형성, 대전성의 제어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체나 광택 제어층 등에서 설명한 재료, 방법을 적당히 사용함에 따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은 화상이 양호하게 형성되도록, 상 기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130℃의 범위인 기체(10)의 표면에, 화상 수상층으로서 적어도 1층 이상의 코팅층을 갖는 구조를 하고 있어도 좋다. 그 화상 수상층은 상술한 광택 제어층을 구성하는 수지와 같은 수지를 사용하여도 좋지만, 본 발명에서는 핫멜트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다가 하이드록시 화합물과 다염기성카복실산 또는 그 반응성 산유도체와의 반응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다가 하이드록시화합물의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디올류가 있지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염기성 카복실산의 예로는 마론산, 숙신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알킬 숙신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메사콘산, 시트라콘산, 이타콘산, 글루타콘산, 시클로헥산 디카복실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기타의 2가 카복실산 등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소프탈산과 테레프탈산이 제조상, 또는 재료 입수성, 비용 등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상 프탈산은 이소프탈산과 테레프탈산이라는 구조 이성체를 가지며, 그 때문에,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할 때, 상기 양자가 거의 반의 비율로 필연적으로 혼입한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배합은 다가 하이드록시 화합물에서의 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의 비율(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이 몰비로 3:7~1:9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수평균 분자량으로는 12000~45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0~30000의 범위인 보다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이 12000미만이면, 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의 몰비가 소망한 범위라도, 수지의 연화점이 너무 낮아 상온에서도 점성이 발현하는 경우가 있다. 수평균 분자량이 45000을 넘으면, 연화 온도가 너무 높아 져서, 화상(토너)의 정착성이 악화된다.
상기 코팅층은 화상의 정착시, 정착부재로의 부착, 감김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착부재에 저부착성 재료인 천연 왁스나 합성 왁스, 혹은 이형성 수지, 반응성 실리콘 화합물, 변성 실리콘 오일 등의 이형성 재료를 함유시킴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카르나우바 왁스, 밀납, 몬탄 왁스,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등의 천연 왁스나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왁스, 저분자량 산화형 폴리에틸렌 왁스,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 왁스, 저분자량 산화형 폴리프로필렌 왁스, 고급 지방산 왁스,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왁스, 사조르 왁스 등의 합성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사용에 한정되지 않고 혼합하여 복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형성 수지로는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혹은 실리콘 수지와 각종 수지의 변성체인 변성 실리콘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수지, 우레탄 변성 실리콘 수지, 아크릴 변성 실리콘 수지, 폴리이미드 변성 실리콘 수지, 올레핀 변성 실리콘 수지, 에테르 변성 실리콘 수지, 알콜 변성 실리콘 수지, 불소 변성 실리콘 수지, 아미노 변성 실리콘 수지, 머캅토 변성 실리콘 수지, 카복시 변성 실리콘 수지 등의 변성 실리콘 수지, 열경화성 실리콘 수지, 광경화성 실리콘 수지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변성 실리콘 수지는 화상 형성 재료로서의 토너 수지나 본 발명의 핫멜트 수지로 되는 수지 입자와의 친화성이 높아, 적당히 혼화, 상용하고, 용융 혼화하기 때문에, 토너중에 포함되는 안료의 발색성이 우수하고, 또 동시에, 실리콘 수지에 의한 이형성 때문에 정착부재와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이 열용융시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다 저부착성으로 하기 위해 반응성 실란 화합물과 변성 실리콘 오일을 혼입시켜도 좋다. 반응성 실란 화합물은 코팅층 수지와 반응하는 동시에 변성 실리콘 오일과 반응함으로써, 이들이 실리콘 오일이 갖는 액체 윤활제 이상의 이형제로서 역할을 하고, 또한 경화 반응함으로써 이형제로서 코팅층 중에 강고하게 고정화되어, 기계적 마모나 용매 추출 등에 의해도 이형제가 탈락하지 않음이 알려져 있다.
이들 왁스나 이형성제 수지는 상기 핫멜트 수지로 되는 수지 입자와 마찬가지로, 입자 상태 등으로 공존시켜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핫멜트 수지중에 첨가하고, 수지중에 분산, 상용한 상태에서, 핫멜트 수지중에 넣어진 상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에 코팅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서는 적어도 최표면의 코팅층의 표면 저항치가 108~1013 Ω/□의 범위인 것이 필요하고, 109 ~1011 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저항치가 상기 범위내가 아니면, 상기 코팅층을 갖지 않은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과 같은 불편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 다.
상기 코팅층의 표면 저항치는, 대전 제어제로서 고분자 도전제, 계면 활성제나 도전성 금속 산화물 입자를 코팅층 중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반송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매팅제(matting agent)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는 상기 기체(10)의 표면 저항치 제어를 위해서 첨가되는 4급 암모늄 염류 등의 계면 활성제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금속 산화물 입자로는 ZnO, TiO, TiO2, SnO2, Al2O3 , In203, SiO, SiO2, MgO, BaO 및 Mo03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금속 산화물로는 다른 원소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ZnO에 대해서 Al, In 등, TiO에 대해서 Nb, Ta 등, SnO2에 대해서는 Sb, Nb, 할로겐 원소 등을 함유(도핑)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Sb를 도핑한 SnO2는 경시적으로도 도전성의 변화가 적고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매팅제로 사용되는 윤활성을 갖는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테플론(R)) 등의 불소 수지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분자량 폴리올레핀계 왁스(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계 왁스, 분자량 1000~5000), 고밀도 폴리에틸렌계 왁스, 파라핀계 또는 마이크로 크리스탈린계의 왁스를 들 수 있다.
또한, 불소 수지의 예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분산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의 매팅제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0.1~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체적 평균 입자경은 큰 쪽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크면 매팅제가 코팅층으로부터 이탈하여 가루 낙하 현상이 발생하여, 표면이 마모 손상하기 쉽고, 또한 헤이즈가 증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매팅제(matting agent)의 함유량은 상기 코팅층 형성 수지에 대해서 0.1~10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질량%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매팅제는 편평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미리 편평상의 매팅제를 사용하여도 좋고, 연화 온도가 비교적 낮은 매팅제를 사용하여 색재 수용층의 도포, 건조시의 가열하에 편평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가열하에 압압하면서 편평상으로 하여도 좋다. 단, 코팅층의 표면으로부터 매팅제가 볼록한 모양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팅제로는 상기 이외에 무기 미립자(예를 들어, SiO2, Al2O3, 탈크 또는 카올린) 및 비드상 플라스틱 파우더(예를 들어, 가교형 PMMA,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를 병용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라미네이트 필름의 반송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매팅제등에 의해 필름 표면의 마찰을 저감할 필요가 있지만, 실제의 사용상, 필름 표면의 정지(stationary) 마찰 계수는 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필름 표면의 동(dynamic)마찰 계수는 0.2~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3~0.65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에 코팅층을 갖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서는, 적어도 최표면의 코팅층에, 목적에 따라 항균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하는 재료는 조성물중에서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고, 또한, 광의 조사로 변성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유기계의 재료로는, 티오시아네이트 화합물, 로도 프로파길 유도체, 이소티아졸리논 유도체, 트리할로 메틸티오화합물, 제4급 암모늄염, 비구아니드 화합물, 알데히드류, 페놀류,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피리딘 옥시드, 카바닐리노, 디페닐 에테르 등의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무기계의 재료로는 제오라이트계, 실리카겔계, 유리계, 인산칼슘계, 인산 지르코늄계, 규산염계, 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계의 항균제로서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0.1~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3~5㎛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항균제는 기본적으로 상기 코팅층 표면에 노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코팅층의 막두께에 따라 사용하는 항균제의 체적 평균 입자경을 선택한다. 체적 평균 입경이 너무 크면, 항균제가 코팅층으로부터 이탈하여 가루 낙하 현상이 발생하여, 필름 표면이 손상하기 쉽게 되거나, 또는 헤이즈가 증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항균제의 코팅층 중의 함유량은 상기 코팅층 형성 수지에 대해서 0.05~5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1~3질량%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 화상 수상층으로서의 코팅층에 첨가하는 내광성 재료, 항균성 재료, 난연성 재료, 이형성 재료, 전하 제어제 및 매팅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들 첨가제는 같은 효과를 부가시키기 때문에, 이미 서술한 수지 및 필러 등으로 되는 광택 제어층에 첨가되어도 좋다. 그러나, 상기 매팅제는 필러와의 관계로부터, 광택 제어층에는 0.1~10질량%의 범위로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5~5질량%의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광택 제어층에 첨가되는 매팅제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0.1~1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수상층(코팅층) 및 광택 제어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열안정제, 산화 안정제, 광안정제, 윤활제, 안료, 가소제, 가교제, 내충격성 향상제, 항균제, 난연제, 난연조제, 및 대전 방지제 등의 각종 플라스틱 첨가제를 병용할 수 있다.
적어도, 수지와 필러로 구성되는 화상 수상층이나 기능성 제어 수단(20)으로서의 기능성 제어층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서 기체(10)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각층은 적어도 수지와 필러 등을 유기 용매, 또는 물 등을 사용하여 혼합하고, 초음파, 웨이브로터, 아트라이터(attritor)나 샌드밀 등의 장치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하여 코팅액을 제작하고, 그 코팅액을 그대로의 상태에서, 기체(10)의 표면에 도포 혹은 함침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포 혹은 함침시키는 방법으로는 블레이드 코팅법, (와이어)바 코팅법, 스 프레이 코팅법, 침지 코팅법, 비드 코팅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커텐 코팅법, 롤 코팅법 등의 통상 사용되는 방법이 채용된다.
상기 코팅은, 예를 들어 광택 제어층과 코팅층을 모두 갖는 경우에는 어느 쪽을 먼저 코팅해도 좋고, 동시에 코팅해도 좋다.
단, 상기 코팅액의 제작에서, 용매로서 기체(10)의 표면을 용해시키는 양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양 용매를 사용하면, 기체(10)와 코팅층의 결합이 매우 높아 진다. 그 원인은 빈용매를 사용한 경우, 코팅층과 기체(10)와 사이에 명확한 계면이 존재함으로써, 라미네이트 후, 필름의 기체(10)와의 접착성이 불충분함에 비해, 양 용매를 사용한 경우는 상기 명확한 계면이 존재하지 않아, 기체(10)의 표면과 코팅층이 융합한 것으로 되어, 접착성이 충분히 높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체(10) 표면에 대해서 양 용매란, 용매가 기체(10)의 표면에 접촉한 경우, 기체(10)에 어떠한 작용을 미쳐서, 기체(10)의 표면이 약간 침식되는(용매 제거 후, 표면에 연무가 조금 관찰된다) 정도 이상의 용해성을 갖는 것을 말한다.
기체(1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할 때의 건조는, 바람 건조하여도 좋지만, 열건조를 행하면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다. 건조 방법으로는 오븐에 넣는 방법, 오븐에 통과시키는 방법, 혹은 가열 롤러에 접촉시키는 방법 등 통상 사용되는 방법이 채용된다. 또한, 상술한 광택 제어층도 같은 방법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기체(10)의 표면에 형성되는 기능성 제어 수단으로서의 층의 막두께는 0.1~2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팅층의 막두께는 0.1~2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의 방법으로 형성한 기능성 제어 수단(20)으로서의 기능성 제어층 및 화상 수상층으로서의 코팅층을 갖는 미인쇄 라미네이트 필름(P)에,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을 이하에 서술한다.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미인쇄 라미네이트 필름(P)으로의 화상 형성은, 전자 사진용 감광체(화상 담지체)의 표면에 균일하게 전하를 주어 대전시킨 후, 그 표면에, 얻어진 화상 정보를 노광하여, 노광에 대응한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감광체 표면의 정전 잠상에 현상기로부터 화상 형성 재료인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정전 잠상이 토너에 의해서 가시화 현상된다(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형성된 토너 화상을, 미인쇄 라미네이트 필름(P) 표면의 화상 수상층이 형성된 면에 전사하고, 마지막으로 열이나 압력 등에 의해 토너가 화상 수상층 표면에 정착되어, 화상 기록체가 완성된다. 여기서 말하는 화상 기록체란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이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은 화상 형성면을 라미네이트면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인쇄 라미네이트 필름(P)의 표면의 화상 수상층에 형성되는 화상은 반전 화상(경상 화상)으로 할 필요가 있고, 상기 감광체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할 때에는 상기 감광체 표면에 노광되는 화상 정보로는 경상의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착시에 토너는 열과 압력이 동시에 인가되기 때문에 화상 수상층 표면에 정착되지만, 동시에 토너는 정착부재와 접촉하기 때문에, 토너가 저점성이거나, 정착부재와의 친화성이 높은 경우 등은, 정착부재로 일부 이행하여, 오프셋으로서 정착부재에 잔류하기 때문에, 정착부재의 열화를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정착기의 수명을 단축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이 화상 기록체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토너 화상의 충분한 정착성과 정착부재와의 박리성을 얻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하는 화상 수상층 표면이나 기체(10) 표면은 토너와의 접착성이 좋기 때문에, 토너가 용융하고, 점성이 생기는 온도 이하에서 충분히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에 정착한다. 이 용융 온도를 넘어 필요이상으로 정착 온도를 올리면, 기체(10)의 비컷트 연화 온도를 크게 초과하는 영역이 되어, 기체(10)가 수축하여 주름이 지거나, 변형이 커져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정착부재에 감겨 결과적으로 정착기의 수명을 단축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의 정착을, 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의 온도가, 토너의 용융 온도 이하가 되도록 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토너의 용융 온도를 고려하면, 상기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표면 온도가 130℃ 이하가 되도록 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 이하가 되도록 하여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의 온도를 130℃ 이하로 토너의 정착을 행 하는 경우라도,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정착시의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의 온도는 상기 기체(10)의 비컷트 연화 온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정착시의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의 온도는 토너의 연화 온도와 동등 정도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건으로 정착을 행하는 경우라도, 기체(10)에 따라서는 열변형을 일으키는 온도 영역에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특히 라미네이트 필름의 강성(stifness)이 약하게 되어, 정착 장치의 가열 롤에 감겨 붙기 쉽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종이 등과 중첩하여 반송하여, 정착 장치에서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강성을 보충하거나, 필름 에지 부분에 가이드가 접촉하도록 정착 장치를 개조/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서는 정착시에 비화상부에서도 정착부재와 접촉하게 되어, 토너와 같은 이형성 등의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핫멜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되는 화상 수상층을 기체(10)의 한쪽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핫멜트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전자선 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와, 필러를 포함하는 광택성 제어층(기능성 제어 수단(20))을, 라미네이트 필름의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반대측의 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층에 첨가제로서 이형제 등을 바람직하게 함유시킴으로써, 정착 공정에서의 정착부재으로의 부착 방지를 도모하고, 또한, 전하 제어제 등의 첨가에 의해 전자 사진 방식에서의 전사 성능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기체(10)의 한쪽면에 기능성 제어층을 형성하고, 기체(10)를 통하여 그 반대측의 면에는 경상의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소망한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은 의장성이 높은 인쇄물에 요구되는 화상 품질(색, 광택, 은폐성 등)이나 화상 형성 공정의 반복 안정성이 우수하고, 기스나 이물 등에 의한 화상 결함의 발생이 없고, 또한 옥외 사용에도 충분한 내열성, 내광성을 확보한 라미네이트 필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성능을 갖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오일 레스 토나에 대해서도, 오프셋하지 않는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들을 사용한 화상 형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은 기체(10)를 통하여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기능성 제어 수단(20)을 설치함으로써, 광택성 외에, 내열성, 내광성, 내습성, 발수성, 내마모성 및 내상처성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 및/또는 향상시킬 수 있다. 기능이 부가 및/또는 향상된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구체적인 예로는, 화상 기록체(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이면에 경상을 형성하고, 표면에는 광택 제어성, 내광성, 항균성, 난연성, 내열성, 발수성, 내마모성 등을 갖는 실리콘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들 수 있고, 이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은 ID카드 등 권면 인쇄나 표시 라벨에 적합하다. 또한, 표면에 광택 제어층이 형성된 광택을 억제한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은 ID 카드용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에는 여러 사용 태양에 대응 가능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부"는 질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라미네이트 필름 1)을 제조했다. 이하, 그 제조 방법을 공정마다 설명한다.
<기체,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작>
투명 고분자 도전제 10부(Ciba Speciality Chemicals 사제:Irgastat P-22)과 PETG 수지(Eastman Chemical 사제:Eastar PETG 6763, 비컷트 연화 온도 85℃) 90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벤트 부착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40℃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했다. 계속해서 다이로부터 아래로 용융 필름 상태로 압출하고, 다이의 동일 직선에 배치된 냉각 맨드릴의 외주면에 접촉시켜 80℃로 냉각하여, 막두께 100.0㎛의 투명한 필름인 기체(1)를 얻었다. 이 기체(1)의 표면 저항치는 2.8×1010 Ω/□이고, 비컷트 연화 온도는 78℃ 이었다. 이것을 A4 사이즈로 커팅하여 라미네이트 필름(1)을 제작했다.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성능 평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1)(화상 미형성)의 표면에, 후지 제록스(주)사제 컬러 복사기 DocuCentre Color 1250 개조기(정착시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표면 온도가 95~100℃ 이 되도록 개조한 것)에서 솔리드 화상을 포함하는 컬러의 경상 화상을 인자하여, 그 화상이 형성된 라미네이트 필름(1)을 제작했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1)의 기내 반송에서의 주행성, 화상의 정착성, 화상 인자후의 화상 농도 등을 측정했다. 또한, 형성된 화상의 내광성을 평가하여, 카드로서의 접착(밀착)성에 대해서, 이들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의 성능을 확인했다.
-주행성 평가 -
제작된 라미네이트 필름(1)의 컬러 복사기에서의 주행성은, 상기 컬러 복사기 DocuCentre Color 1250 개조기의 트레이에 손으로, 라미네이트 필름(1)을 30매 세트하고, 연속으로 30매 인자 작업을 행한 때의, 잼의 발생 회수를 카운트 한다. 평가 기준은 발생 회수가 0회이면 O, 1회의 경우는 △, 2회 이상의 경우는 ×로 했다.
-정착성 평가-
토너 정착성의 평가는 상기 전자 사진 장치에서, 라미네이트 필름(1)의 표면에 정착된 화상의 화상 농도 약 1.8의 솔리드 화상부에, 시판의 18mm폭 셀로판 점착 테이프(Nichiban 사제: 셀로판 테이프)를 300g/cm의 선압으로 붙이고, 10mm/sec의 속도로 박리한 때의, 박리전의 화상 농도에 대한 박리후의 화상 농도의 비(박리후의 화상 농도/박리전의 화상 농도, 이하 0D비라고 함)를 지표로서 평가했다. 전자 사진용 기록 매체로는, 일반적으로, 0D비로 0.8 이상의 토너 정착성이 요구된다. 본 평가에서는 0D비가 0.9 이상인 것을 ◎ , 0.8이상 0.9미만인 것을 O, 0.8미만인 것을 ×로 하였다.
-화상 농도, 화질 평가-
화상 농도는 솔리드 화상부를 X-Rite 968 농도계(X-Rite 사제)로 측정하여, 화상 농도가 1.5이상인 것을 O, 1.5미만 1·3이상인 것을 △, 그 이하인 것을 ×로 했다.
또한, 화질에 관해서는 고온 고습 조건(28℃, 80%RH, A조건), 실온 조건(22℃, 50%RH, B조건), 저온 저습 조건(15℃, 15%RH, C조건)에서 화상을 출력했을 때의, 문자의 정확한 인자성(인자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어느 조건에서도 문제가 없는 경우는 O, 문제가 있던 경우는 문제가 있던 조건에 ×로 표시했다(예 A ×, C × 등).
-내광성 평가-
내광성 평가는 내광성 시험기(Toyo Seiki Seisaku-sho 사제: SUNTEST CPS+)내에, 솔리드 화상이 인자되어 있는 면을 아래로 한 라미네이트 필름(1)을 설치하고, 63℃ 분위기하, Xe 램프로 760W/m2의 강도에서 100시간 조사했다. 다음에 조사 전후 솔리드 화상의 화상 농도를 측정하고, 화상 농도의 차가 0.1 미만인 것을 ◎, 0.1이상 0.5이하인 것을 O, 0.5이상 1.0이하인 것을△, 1.0을 초과하는 것을 ×로 하였다.
-라미네이트성-
라미네이트성에 관해서는, 양 표면이 PETG이고, 코어가 A-PET인 A4 사이즈의 백색 시트(Mitsubishi Plastic 사제: Diakrail W2012, 두께: 500㎛)의 표리에,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1)을 화상면에서 중첩하여 맞추고, 라미네이터(Fujipla(주)사제: Lamipacker LPD3206 City)을 사용하여, 160℃, 송출 속도 0.3m/min(5mm/s)의 조건으로 라미네이트했다.
평가는 상기 백색 시트와 라미네이트 필름(1)의 계면을 커터 나이프로 벗기고, 그 부분을 잡고 손으로 벗겼을 때의 상황에 의해 행하였다. 전혀 벗겨지지 않는 것을 ◎, 벗겨지지만 곧바로 라미네이트 필름이 찢겨 떨어지는 것을 O, 라미네이트 필름은 벗겨지지만 벗겨진 면의 화상이 흐트러져, 위조가 곤란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 그 이외를 ×로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기재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기체 재료로서, 투명 고분자 도전제 18부(Ciba Specialty Chemicals 사제:Irgastat P-18)와 PETG 수지(Eastman chemical 사제:Eastar PETG6763, 비컷트 연화 온도 85℃) 82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체(2)를 얻었다. 이 기체(2)의 표면 저항치는 8.5×1012 Ω/□이고, 비컷트 연화 온도는 75℃ 이었다. 이것을 A4사이즈로 커팅하여 라미네이트 필름(2)를 제작했다. 라미네이트 필름(2)의 평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고, 이들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기체 재료로서, 투명 고분자 도전제 7부(Ciba Speciality Chemicals 사제:Irgastat P-18)와, 계면 활성제 3부(Nippon Oil & Fats사제:Elegan 264WAX)와, PETG와 폴리카보네이트의 알로이 수지(Eastman Chemical 사제: Eastalloy DA003, 비컷트 연화 온도 118℃) 90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체(3)을 얻었다. 이 기체(3)의 표면 저항치는 5.8×109 Ω/□이고, 비컷트 연화 온도는 107℃ 이었다. 이것을 A4사이즈로 커팅하여 라미네이트 필름(3)을 제작했다.
라미네이트 필름 3의 평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고, 이들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했다.
(실시예 4)
<기체의 제작>
계면 활성제 3부(Nippon Oil & Fats사제:Elegan 264WAX)와 ABS 수지(Asahi Chemical Industry 사제:Stylac A3824, 비컷트 연화 온도 126℃) 97부를 혼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75㎛의 기체(4)를 제작했다. 이 기체(4)의 표면 저항치는 3.7×1011 Ω/□이고, 비컷트 연화 온도는 124℃이었다.
<기능성 제어층 코팅액 A-1의 제조>
열경화성 수지로서 실리콘 수지(GE Toshiba Silicones 사제:SHC 900, 고형분 30질량%) 10부, 필러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 미립자(GE Toshiba Silicones 사제:TP130, 체적 평균 입자경: 3㎛) 0.05부, 자외선 흡수제로서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스미토모화학 사제:Sumisorb200) 0.3부, 및 대전 제 어제로서 계면 활성제(타케모토 유지 사제:Bionin B144V) 0.3부를 시클로헥사논/메틸에틸케톤을 20/80의 질량비로 혼합한 액 60부에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표면 저항 조정과 내광성과 이형성의 기능을 가지게 한 기능성 제어층 코팅액(A-1)을 제조했다.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작, 평가>
이 기능성 제어층 코팅액(A-1)을, 상기 기체(4)의 한면측에만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코팅하고, 10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막두께 0.5㎛의 기능성 제어층(기능성 제어 수단)을 형성했다. 이 필름을 A4사이즈로 커팅하여 라미네이트 필름(4)을 제작했다.
라미네이트 필름(4)의 평가는 화상 형성을 기능성 제어층과는 반대의 면에 인자하여,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행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하였다.
(실시예 5)
<기체의 제작>
계면 활성제 2.5부(Nippon Oil & Fats사제: Elegan A-2000SP)와 스티렌계 수지(Asahi Chemical Industry 사제:Asaflex 835, 비컷트 연화 온도 72℃) 97.5부를 혼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75㎛의 기체(5)를 얻었다. 이 기체(5)의 표면 저항치는 7.1×1010 Ω/□이고, 비컷트 연화 온도는 71℃ 이었다.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작, 평가>
실시예 4에서 사용한 기능성 제어층 코팅액(A-1)을, 상기 기체(5)의 한면측 에만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코팅하고, 10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막두께 0.5㎛의 기능성 제어층을 형성했다. 이 필름을 A4사이즈로 커팅하여, 라미네이트 필름(5)를 제작했다.
라미네이트 필름(5)의 평가는 화상 형성을 기능성 제어층과는 반대의 면에 인자하여,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행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기체 재료로서, 투명 고분자 도전제 12.5부(Ciba Speciality Chemicals 사제:Irgastat P-18)와 PETG 수지(Eastman chemical 사제:Eastar PETG6763, 비컷트 연화 온도 85℃) 87.5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기체(6)을 얻었다. 이 기체(6)의 표면 저항치는 1.0×1014 Ω/□이고, 비컷트 연화 온도는 80℃ 이었다. 이것을 A4사이즈로 커팅하여 라미네이트 필름(6)을 제작했다.
라미네이트 필름(6) 평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였지만, 화상 형성 재료(토너)의 필름으로의 전사성이 나빠서, 화상 농도가 저하하고, 또 저온 저습 조건에서 문자 누락 등이 발생하여 화질이 나빴다. 또한, 잼을 일으키는 문제도 발생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했다.
(비교예 2)
<코팅층액(B-1)의 제조>
폴리에스테르 수지(Soken Chemical 사제:Thermolac F-1, 메틸에틸케톤 용액중의 고형분 30질량%) 10부, 도전성의 IT0 미분체(미츠이금속 사제:Pastran IT0) 12부, 톨루엔 7부, 및 부탄올 3부를 혼합하고, 페인트 쉐이커로 충분히 교반하여, 코팅층액(B-1)을 제조했다.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작, 평가>
이 코팅층액(B-1)를, 표리가 PETG 층이고 코어가 PET인 필름(DuPont 사제:Merinex 342, 표면 PETG의 비컷트 연화 온도 85℃, 두께:100㎛)를 기체(7)로 하여, 그 표리에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코팅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막두께 0.5㎛의 대전 방지층을 형성한 라미네이트 필름(7)을 얻었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7)의 표면 저항치는 1.0×107 Ω/□이었다. 이것을 A4사이즈로 커팅하여 사용했다.
라미네이트 필름(7)의 평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행하였지만, 고온 고습하에서 문자의 번짐이 발생하여, 화질이 나빴다. 평가 결과를 모아 표 1에 기재했다.
(비교예 3)
실시예 4에서, ABS 수지를 Stylac A4921(Asahi Chemical Industry 사제, 비컷트 연화 온도 138℃)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기체(8)을 얻었다. 이 기체(8)의 표면 저항치는 4.8×1011 Ω/□이고, 비컷트 연화 온도는 135℃ 이었다. 이것을 A4사이즈로 커팅하여 라미네이트 필름(8)을 제작했다.
라미네이트 필름(8)의 평가는 실시예 4와 같은 평가를 행하였지만, 정착성과, 라미네이트성이 나빴다.
평가 결과를 모아서 표 1에 기재했다.
(비교예 4)
비교예 2에서, 코팅층액(B-1)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필름(Asahi Chemicals 사제:Suntek EVA:EF1530, 비컷트 연화 온도: 66℃, 두께 100㎛)인 기체(9)의 표면에 코팅 한 것 이외는 비교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라미네이트 필름(9)을 제작했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9)의 표면 저항치는 1.8×1011 Ω/□ 이었다.
라미네이트 필름(9)의 평가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행하였지만, 필름의 연화 온도가 낮기 때문에, 모든 샘플이 컬러 복사기의 정착 장치에 감겨 붙어, 화상을 정착한 라미네이트 필름이 얻어지지 않았다. 그 때문에, 이후의 평가를 할 수 없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기재했다.
(비교예 5)
대전 방지제가 혼입된 두께 100㎛의 2축연신 PET 필름(Toray industries 사제:Lumirror 100X53, 비컷트 연화 온도는 240℃)을 기체(10)로 했다. 이 기체(10)의 표면 저항치는 1.8×1010 Ω/□이었다. 이것을 A4사이즈로 커팅하여 라미네이트 필름(10)을 제작했다.
라미네이트 필름(10)의 평가는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행했지만, 결과는 정 착성과 내광성이 나쁘고, 라미네이트(접착) 시킬 수 없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했다.
(실시예 6)
<기능성 제어층 코팅액(A-2)의 제조>
핫멜트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Soken Chemical 사제:Thermolac F1, 메틸에틸케톤 중의 고형분 30질량%) 10부, 필러로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미립자(니혼쇼쿠바이 사제:Eposter S, 평균 입자경: 0.3㎛) 9부, 계면 활성제(Nippon Oil & Fats사제: Elegan 264WAX) 0.2부, 메틸에틸케톤 20부,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10부를 혼합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표면 광택과 표면 저항을 제어하는 기능성 제어층 코팅액(A-2)을 제조했다.
<화상 수상층 코팅액(B-2)의 제조>
핫멜트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도요보우세키 사제:Biron 200) 3부, 매팅제로서 가교형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물 미립자(Soken Chemical 사제:MP-150, 체적 평균 입자경: 5㎛) 0.05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스미토모화학 사제: Sumisorb200) 0.3부, 및 계면 활성제(Nippon Oil & Fats사제: Elegan 264WAX) 0.1부를,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5부의 혼합 용매중에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화상 수상층 코팅액(B-2)을 제조했다.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작, 평가>
상기 기능성 제어층 코팅액(A-2)을, 폴리에스테르계 알로이 필름(Toray Gosei Film 사제:Torepaloy GN, 비컷트 연화 온도: 80℃, 두께: 100㎛)인 기체(11)의 한면측에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코팅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하여 막두께 1㎛의 광택성을 제어하는 기능성 제어층을 형성했다. 또한 상기 화상 수상층 코팅액(B-2)을, 기체(11)의 상기 코팅면과 반대측의 미코팅면에 마찬가지로 코팅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하여 막두께 1㎛의 화상 수상층(코팅층)을 형성하여, 라미네이트 필름(11)을 제작했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11)의 표면 저항치는 기능성 제어층 면에서 1.0×1013 Ω/□, 화상 수상층 면에서 2.0×1011 Ω/□이다. 이 필름을 A4사이즈로 커팅하여 사용했다.
라미네이트 필름(11)의 평가는 화상 수상층 표면에(기능성 제어층과는 반대의 면에) 경상 화상을 인자하여,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했다.
(실시예 7)
<기능성 제어층 코팅액(A-3)의 제조>
열경화성 수지로서 실리콘 수지(GE Toshiba Silicones사제:SI 코트 801, 고형분 30질량%) 10부, 필러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 미립자(GE Toshiba Silicones사제: TP145, 평균 입자경 :4.5㎛) 0.4부, 계면 활성제(타케모토 유지 사제:Pionin B144V) 0.2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스미토모화학 사제: Sumisorb 200) 0.3부, 항균제로서 은을 담지한 인산칼슘계 무 기 항균제(Sangi 사제:Apacider AW) 0.03부를, 시클로헥사논/메틸에틸케톤을 25/75질량비로 혼합한 액 30부에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이형성과 표면 저항과 내광성의 기능성 제어층 코팅액(A-3)을 제조했다.
<화상 수상층 코팅액(B-3)의 제조>
수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도요보우세키 사제:Bironal MD-1900, 고형분 30질량%) 10부, 매팅제로서 가교형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물 미립자(Soken Chemical 사제: MP-180, 체적 평균 입자경: 8㎛)를 0.05부, 또한 계면 활성제(Nippon Oil & Fats사제: Elegan 264WAX) 0.1부를, 증류수 45부의 용매중에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화상 수상층 코팅액(B-3)를 제조했다.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 평가>
이 기능성 제어층 코팅액(A-3)를, 표리가 PETG이고 코어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필름(Mitsubishi Plastic 사제: Diafix, 비컷트 연화 온도 :86℃, 두께 100㎛)인 기체(12)의 한면측에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코팅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막두께 1㎛의 표면 저항과 이형성을 제어하는 기능성 제어층을 형성했다. 또한 화상 수상층 코팅액(B-3)을, 상기 코팅한 면과 반대측의 미코팅면에 마찬가지로 코팅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하여 막두께 1㎛의 화상 수상층(코팅층)을 형성하여, 라미네이트 필름(12)을 제작했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12)의 표면 저항치는 기능성 제어면에서 4.4×1012 Ω/□, 화상 수상층 면에서 2.0×1011 Ω/□ 이었다. 이 필름을 A4사이즈로 커팅하여 사용했다.
라미네이트 필름(12)의 평가는 화상 수상층 표면에(기능성 제어층과는 반대의 면에) 경상 화상을 인자하여,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했다.
또한, 항균성의 평가는, 항균 제품 기술 협회(Society of Industrial Technology for Antimicrobial Articles)의 필름 밀착법에 의해서, 상기 필름에 대장균과 황색 포도상 구균을 존재시켜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4시간후의 생균수가 극히 적어, 항균성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됨을 알았다.
(실시예 8)
<기능성 제어층 코팅액(A-4)의 제조>
계면 활성제(Nippon Oil & Fats사제: Elegan T0F 4530)를 30배로 증류수로 희석한, 표면 저항의 기능성 제어층 코팅액(A-4)를 제조했다.
<화상 수상층 코팅액(B-4)의 제조>
폴리에스테르 수지(Soken Chemical 사제:포 렛 FF-4, 고형분 30질량%) 10부, 매팅제로서 가교형태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물 폴리디메틸메타크릴레이트 미립자(Soken Chemical 사제:MP-1000, 체적 평균 입자경 :10㎛) 0.05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스미토모화학 사제: Sumisob200) 0.5부, 산화 방지제(사카이 화학공업(주)사제: Chelex-500) 0.1부, 또한 계면 활성제(Nippon Oil & Fats사제: Elegan 264WAX) 0.2부, 또한 난연제로서 퍼클로로펜타시클로데칸 0.6부를, 톨루엔 10부와 메틸에틸케톤 30부의 혼합 용매중에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화상 수상층 코팅액(B-4)을 제조했다.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 평가>
상기 기능성 제어층 코팅액(A-4)을, 폴리에스테르계 알로이 필름(Toray Gosei Film 사제: Torepaloy UN, 비컷트 연화 온도: 120℃, 두께 100㎛)인 기체(13)의 한면측에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코팅하고, 100℃에서 1분간 건조시켜, 표면 저항을 제어하는 기능성 제어층을 형성했다. 또한 상기 화상 수상층 코팅액(B-4)을, 상기 코팅면과는 반대측의 미코팅면에 마찬가지로 코팅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하여 막두께 1㎛의 화상 수상층을 형성하여, 라미네이트 필름(13)을 제작하였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13)의 표면 저항치는, 기능성 제어면에서 6.7×109 Ω/□, 화상 수상층 면에서 7.2×109 Ω/□ 이었다. 이 필름을 A4사이즈로 컷팅하여 사용했다.
라미네이트 필름(13)의 평가는 화상 수상층 표면에(기능성 제어층과는 반대의 면에) 경상 화상을 인자하여,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했다.
또한 난연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소성 시험을 행했다. 폭 60mm, 길이 150mm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시료로 하여, 이 시료를 U자형 유지구에 부착하고, 수평으로 배치하고 발화시켰을 때, 10초 이내에 자기 소화한 것을 O, 20초 이내에 자기 소화한 것을 △, 20초 이내에 소화하지 않았던 것을 ×로 판정했 다. 그 결과, 실시예 8에서의 라미네이트 필름(13)은 거의 10초에서 자기 소화하여, O으로 판정되었다.
(실시예 9)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 평가>
실시예 8에서 사용한 화상 수상층 코팅액(B-4)을, 표리가 PETG 층이고 코어가 PET인 필름(Dupont 사제: Merinex 342, 표면 PETG의 비컷트 연화 온도: 85℃, 두께 100㎛)을 기체(14)로 하고, 그 표리에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코팅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막두께 2.0㎛의 화상 수상층을 형성한 라미네이트 필름(14)을 제작했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14)의 표면 저항치는 5.8×109 Ω/□이었다. 이것을 A4사이즈로 커팅하여 사용했다.
라미네이트 필름(14)의 평가는 화상 수상층 표면에 (기능성 제어층과는 반대의 면에) 경상 화상을 인자하여,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하였다. 또한, 연소성 시험도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행한 결과, 8초에서 자기 소화하여, O으로 판정 되었다.
(실시예 10)
<화상 수상층 코팅액(B-5)의 제조>
폴리에스테르 수지(Soken Chemical & Engineering 사제: Thermolac F-1, 고형분 30질량%) 30부, 매팅제로서 가교형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물 미립자(Soken Chemical & Engineering 사제: MP-1000, 체적 평균 입자경: 10㎛)을 0.15부, 계면 활성제(Nippon Oil & Fats사제:Elegan 264WAX) 0.6부, 은을 담지한 인산 지르코늄계 무기 항균제(Toagosei 사제: Novalon AG300) 0.03부를, 톨루엔 30부와 메틸에틸케톤 90부의 혼합 용매중에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화상 수상층 코팅액(B-5)을 제조했다.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 평가>
이 수상층 코팅액(B-5)을, PETG와 폴리카보네이트의 알로이 필름(Eastman Chemical 사제:Eastar PCTG Copo1yester5445, 비컷트 연화 온도 :86℃, 두께 100㎛)을 기체(15)로서, 그 양면에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코팅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막두께 2㎛의 화상 수상층을 형성하여 라미네이트 필름(15)를 제작했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15)의 표면 저항치는 8.3×109 Ω/□이었다. 이 필름을 A4 사이즈로 커팅하여 사용했다.
라미네이트 필름(15)의 평가는 화상 수상층 표면에 경상 화상을 인자하여,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했다.
또한, 라미네이트 필름(15)의 항균성의 평가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항균 제품 기술 협회의 필름 밀착법에 의해서, 대장균과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서 평가했다. 그 결과, 표 2나타내는 바와 같이, 24시간후의 생균수가 극히 적어, 항균성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고 있음을 알았다.
(실시예 11)
실시예 8에서 사용한 화상 수상층 코팅액(B-4)을, 실시예 4에서 사용한 기체(4)의 표리에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코팅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막두께 2.0㎛의 화상 수상층을 형성하여 라미네이트 필름(16)을 제작했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16)의 표면 저항치는 6.7×109 Ω/□이었다.
이것을 A4 사이즈로 커팅하여 사용했다.
라미네이트 필름(16)의 평가는 화상 수상층 표면에 경상 화상을 인자하여,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했다.
(실시예 12)
실시예 10에서 사용한 화상 수상층 코팅액(B-5)을, 실시예 5에서 사용한 기체(5)의 표리에 마이크로 그라비아를 사용하여 코팅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막두께 2.0㎛의 화상 수상층을 형성하여 라미네이트 필름(17)을 제작했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17)의 표면 저항치는 9.1×109 Ω/□이었다. 이것을 A4사이즈로 커팅하여 사용했다.
라미네이트 필름(17)의 평가는 화상 수상층 표면에 경상 화상을 인자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했다.
(비교예 6)
실시예 8에서 사용한 화상 수상층 코팅액(B-4)를, 비교예 5에서 사용한 PET 필름인 기체(10)의 표리에 마이크로 그라비아를 사용하여 코팅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막두께 2.0㎛의 화상 수상층을 형성하여 라미네이트 필름(18)을 제작했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18)의 표면 저항치는 6.3×109 Ω/□이었다. 이것을 A4사이즈로 커팅하여 사용했다.
라미네이트 필름(18)의 평가는, 화상 수상층 표면에(기능성 제어층과는 반대의 면에) 경상 화상을 인자하여,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행했지만, 결과는 라미네이트 후의 박리에서, 화상 수상층과 PET 필름과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아, PET 필름만이 완전히 벗겨지고, 위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였다.
평과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했다.
(비교예 7)
실시예 10에서 제조한 화상 수상층 코팅액(B-5)을, 트리아세테이트 필름(후지필름 사제: fuji Tack FT, 비컷트 연화 온도: 272℃, 두께 100㎛)인 기체(19)의 표리에 코팅하고, 90℃에서 1분간 건조시켜, 막두께 2.0㎛의 화상 수상층을 형성하여 라미네이트 필름(19)을 제작했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19)의 표면 저항치는 1.3×1010 Ω/□이었다. 이것을 A4사이즈로 커팅하여 사용했다.
라미네이트 필름(19)의 평가는, 한쪽면측의 화상 수상층 표면에 경상 화상을 인자하여,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행했지만, 결과는 라미네이트후의 박리에서, 화상 수상층과 트리아세테이트 필름과의 밀착성이 부족하여, 트리아세테이트 필름만이 완전히 벗겨져, 위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상태이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모아 기재했다.
<표 1>
Figure 112003001656443-pat00002
<표 2>
Figure 112006056370438-pat00005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2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은 각각, 충분한 정착성, 일정 이상의 화상 농도, 내광성, 및 라미네이트성을 갖고 있음을 알았다. 또한, 실시예 7, 10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은 충분한 항균성을 갖고 있음을 알았다. 또한, 실시예 8, 9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은 난연성을 가짐을 알았다. 또한 실시예 9, 11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은, 비교예 6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과 비교하여, 용제에 의한 필름 기재 표면의 용해성의 차가, 라미네이트성에 큰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 서술한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당해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표면에, 옥외 사용에도 충분한 내광성을 갖는 고품질의 화상을 시인성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체에서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의 면에 기능성 제어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사용 태양에 대응할 수 있다.

Claims (20)

  1. 기체(substrate)를 포함하며,
    상기 기체의 적어도 한쪽면의 표면 저항치가 108~1013 Ω/□의 범위이고, 또, 상기 기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13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기체의 면과 반대측의 면에, 기능성 제어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기능성 제어 수단이 광택성, 내광성, 항균성, 난연성, 이형성 및 대전성을 제어하는 기능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1개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가 비염소계 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5. 기체와 이 기체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코팅층을 가지며, 상기 코팅층의 최표면의 표면 저항치가 108~1013 Ω/□의 범위이고, 또, 이 기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13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이 수지 및 필러를 함유하는 화상 수상층(image-receving lay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수상층에 함유되는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이 대전 제어제, 항균제,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가 비염소계 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11. 제5항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기체의 면과 반대측의 면에, 기능성 제어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기능성 제어 수단이 광택성, 내광성, 항균성, 난연성, 이형성, 및 대전성을 제어하는 기능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12. 기체 표면에, 코팅층 및 기능성 제어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코팅액을 사용하여 형성할 때에,
    이 코팅액에 사용되는 용매가 상기 기체 표면에 대해서 양(good) 용매이고, 상기 코팅층 및 상기 기능 제어층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체의 표면이 용해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5항 또는 제 8항 기재의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
  13. 기체의 적어도 한쪽면의 표면 저항치가 108~1013 Ω/□의 범위이고, 또, 상기 기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130℃의 범위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이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는 토너 화상이, 화상 형성면이 라미네이트면이 되도록, 경상(鏡像)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의 정착을, 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의 온도가 130℃ 이하가 되도록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5. 기체와 이 기체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코팅층을 가지며, 상기 코팅층의 최표면의 표면 저항치가 108~1013 Ω/□의 범위이고, 또, 이 기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130℃의 범위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이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는 토너 화상이, 화상 형성면이 라미네이트면이 되도록, 경상(鏡像)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의 정착을, 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의 온도가 130℃ 이하가 되도록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7. 전자 사진용 감광체, 이 감광체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유닛, 대전된 감광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잠상 형성기,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기, 및 감광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 매체는, 기체의 적어도 한쪽면의 표면 저항치가 108~1013 Ω/□의 범위이고, 또, 상기 기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130℃의 범위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이고,
    이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는 토너 화상이, 화상 형성면이 라미네이트면이 되도록, 경상(鏡像)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의 정착을, 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의 온도가 130℃ 이하가 되도록 행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전자 사진용 감광체, 이 감광체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유닛, 대전된 감광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잠상 형성기,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기, 및 감광체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 매체는, 기체와 이 기체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코팅층을 가지며, 상기 코팅층의 최표면의 표면 저항치가 108~1013 Ω/□의 범위이고, 또, 이 기체의 비컷트 연화 온도가 70~130℃의 범위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이고,
    이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의 표면에 형성되는 토너 화상이, 화상 형성면이 라미네이트면이 되도록, 경상(鏡像)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의 정착을, 그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 표면의 온도가 130℃ 이하가 되도록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30003238A 2002-06-04 2003-01-17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화상형성 방법 KR100821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62654A JP4013658B2 (ja) 2002-06-04 2002-06-04 電子写真用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画像形成方法
JPJP-P-2002-00162654 2002-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196A KR20030095196A (ko) 2003-12-18
KR100821599B1 true KR100821599B1 (ko) 2008-04-15

Family

ID=2954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238A KR100821599B1 (ko) 2002-06-04 2003-01-17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화상형성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05046B2 (ko)
EP (1) EP1369747A3 (ko)
JP (1) JP4013658B2 (ko)
KR (1) KR100821599B1 (ko)
CN (1) CN1467572A (ko)
TW (1) TWI2617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2951B2 (en) 2003-01-13 2012-10-09 EnviroCare Corporation Antimicrobial coatings for treatment of surfaces in a building setting and method of applying same
US7641912B1 (en) * 2003-01-13 2010-01-05 EnviroCare Corporation Antimicrobial coatings for treatment of surfaces in a building setting and method of applying same
US20050018257A1 (en) * 2003-07-21 2005-01-27 Andersen Eric L.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transparency sheet media
JP4765279B2 (ja) * 2004-08-16 2011-09-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成型加工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画像形成方法、成型加工品の製造方法並びに成型加工品
JP4475186B2 (ja) 2005-06-30 2010-06-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の製造方法
EP2252459B1 (de) * 2008-02-18 2013-04-17 Hologram Industries Research GmbH Verfahren zur individuellen heissprägefolienapplikation und damit hergestellte sicherheitsdokumente
JP2009280654A (ja) * 2008-05-20 2009-12-03 Fujifilm Corp 導電性ポリマー組成物、導電性ポリマー材料、及び導電性ポリマー材料の製造方法
US9144464B2 (en) * 2009-08-14 2015-09-29 Ufp Technologies, Inc. Composite for packaging a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8816211B2 (en) * 2011-02-14 2014-08-26 Eastman Kodak Company Articles with photocurable and photocured compositions
JP5920617B2 (ja) * 2011-12-09 2016-05-18 ダイニック株式会社 複写防止用印刷素材
JP5919839B2 (ja) * 2012-01-24 2016-05-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方法
JP5825283B2 (ja) 2013-03-27 2015-1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転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5970724B (zh) * 2016-05-06 2017-07-07 浙江骏马数码科技有限公司 转移涂布喷墨打印高光泽印相纸
JP6845788B2 (ja) * 2017-11-17 2021-03-24 三菱製紙株式会社 電子写真記録材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4858A (ja) * 1992-12-22 1994-07-15 Oji Kako Kk 電子写真用透明フィルム
JPH07306541A (ja) * 1994-05-09 1995-11-21 Minnesota Mining & Mfg Co <3M> 透光性画像の上に透明な樹脂層を形成するためのラミネートフィルム、透光性画像の上に透明な樹脂層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画像面の上に透明な樹脂層を有する透光性画像支持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4734B2 (ko) 1972-02-01 1976-09-28
US4071362A (en) * 1973-01-05 1978-01-31 Fuji Photo Film Co., Ltd. Electrophotographic copying film
DE2644089A1 (de) 1976-09-30 1978-04-06 Celfa Ag Folie fuer die elektrostatische reprographie
US4529650A (en) * 1981-11-02 1985-07-16 Coulter Systems Corporation Image transfer material
JPS58102245A (ja) 1981-12-14 1983-06-17 Teijin Ltd 電子x線写真用フイルム
US4480003A (en) * 1982-09-20 1984-10-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nstruction for transparency film for plain paper copiers
JPS61239230A (ja) 1985-04-16 1986-10-24 Sharp Corp エレクトロクロミツク表示装置
EP0227417B1 (en) * 1985-12-18 1994-03-23 Canon Kabushiki Kaisha Light-transmissive recording medium and image form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551595B2 (ja) * 1987-07-31 1996-11-06 工業技術院長 半導体不揮発性メモリ素子
DE3736075A1 (de) * 1987-10-24 1989-05-03 Schott Glaswerke Elektrochromes schichtenpaket
US5731116A (en) * 1989-05-17 1998-03-24 Dai Nippon Printing Co., Ltd. Electrostatic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electrostatic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US5104731A (en) 1990-08-24 1992-04-14 Arkwright Incorporated Dry toner imaging films possessing an anti-static matrix layer
JPH04125567A (ja) 1990-09-18 1992-04-27 Toshiba Corp 透光性転写媒体
US5378576A (en) * 1991-05-14 1995-01-03 Fuji Xerox Co., Ltd. Electrophotographic transfer film and process for forming image
JPH0598050A (ja) 1991-10-08 1993-04-20 Toray Ind Inc 複合フイルム
CA2090748A1 (en) 1992-02-25 1993-08-26 Kenji Kushi Recording medium for sublimation type heat-sensitive transfer recording process
KR100271537B1 (ko) 1992-04-10 2000-11-15 존 이. 밴 다인 전자크롬장치 및 그 제조방법
CA2159594C (en) 1993-04-02 2002-05-28 Douglas Allan Cahill Electrographic element and process
US5437913A (en) * 1993-04-16 1995-08-01 Fuji Xerox Co., Ltd. Electrophotographic transfer film
IL110098A (en) 1993-08-13 1998-02-08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Method for double-sided printing of laminate and its Louis product
JPH07209895A (ja) 1994-01-26 1995-08-11 Matsui Shikiso Kagaku Kogyosho:Kk 画像転写シート
JPH07333882A (ja) 1994-06-09 1995-12-22 Matsui Shikiso Kagaku Kogyosho:Kk 画像転写紙
JP2963844B2 (ja) 1994-07-11 1999-10-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転写記録装置
JPH07266723A (ja) 1995-02-03 1995-10-17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ード類の製造方法
JPH0976648A (ja) 1995-09-20 1997-03-25 Alps Electric Co Ltd フィルムシートへの印刷方法
JPH1086562A (ja) 1996-04-12 1998-04-07 Konica Corp 認証識別媒体、その作成方法、作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516159A (ja) 1996-07-25 2000-12-05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画像受容媒体上に画像を形成する方法
US5733480A (en) * 1996-09-24 1998-03-31 Quantum Chemical Corporation Semiconductive extrudable polyolefin compositions and articles
JPH1165156A (ja) 1996-09-30 1999-03-05 Canon Inc 電子写真用光透過性被記録材及びこれを用いた加熱定着方法
US6051305A (en) * 1997-01-22 2000-04-18 Cryovac, Inc. Printed polymeric film and process for making same
DE19816352B4 (de) * 1998-04-02 2005-12-08 Magna Auteca Zweigniederlassung Der Magna Holding Ag Elektrochromes Schichtsystem,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spiegel
JPH11334265A (ja) 1998-05-25 1999-12-07 Konica Corp 個人識別材の作成方法、個人識別材及び個人識別材の作成装置
JPH11334297A (ja) 1998-05-25 1999-12-07 Tsuyakin Kogyo Kk 転写体及びその被転写体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転写方法
US6395387B1 (en) * 1998-07-02 2002-05-28 Canon Kabushiki Kaisha Transparent film for electrophotography and toner image forming method using same
JP2000181115A (ja) * 1998-12-16 2000-06-30 Dainippon Printing Co Ltd 受像シート及び記録方法
JP2000181116A (ja) * 1998-12-16 2000-06-30 Dainippon Printing Co Ltd 受像シート
KR100499958B1 (ko) * 1999-01-22 2005-07-1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이미지 수용층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이미지수용층을 구비한 고분자 필름
JP2001092255A (ja) 1999-09-27 2001-04-06 Hitachi Maxell Ltd 電子写真式記録装置、情報媒体及び印刷方法
JP2001100449A (ja) * 1999-09-28 2001-04-13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写真用記録材料及び画像記録方法
US6444383B2 (en) * 2000-01-28 2002-09-03 Dai Nippon Printing Co., Ltd. Image receiving sheet and method of forming OHP image
JP2002219879A (ja) * 2001-01-26 2002-08-0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材料、カラーフィルター形成材料、画像形成方法並びにカラーフィルター形成方法
US6730401B2 (en) * 2001-03-16 2004-05-04 Eastman Chemical Company Multilayered packaging materials for electrostatic applications
JP4013509B2 (ja) * 2001-03-19 2007-11-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記録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41152B1 (ko) * 2002-05-20 2004-07-21 주식회사 인포피아 바이오 센서
JP2004020950A (ja) * 2002-06-17 2004-01-22 Fuji Xerox Co Ltd 画像記録体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体
JP4019921B2 (ja) * 2002-12-12 2007-12-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写真用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100189B2 (ja) * 2003-02-18 2008-06-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4858A (ja) * 1992-12-22 1994-07-15 Oji Kako Kk 電子写真用透明フィルム
JPH07306541A (ja) * 1994-05-09 1995-11-21 Minnesota Mining & Mfg Co <3M> 透光性画像の上に透明な樹脂層を形成するためのラミネートフィルム、透光性画像の上に透明な樹脂層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画像面の上に透明な樹脂層を有する透光性画像支持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69747A3 (en) 2005-02-02
US7205046B2 (en) 2007-04-17
KR20030095196A (ko) 2003-12-18
US20030224169A1 (en) 2003-12-04
TWI261736B (en) 2006-09-11
TW200400424A (en) 2004-01-01
CN1467572A (zh) 2004-01-14
EP1369747A2 (en) 2003-12-10
JP2004012575A (ja) 2004-01-15
JP4013658B2 (ja)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090B1 (ko)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화상형성 방법
CN100492212C (zh) 电子照相用图像转印片、使用该转印片制作图像记录介质的方法和图像记录介质
US7820272B2 (en) Image transfer sheet for electrophotography, and image recorded medium, as well a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21599B1 (ko) 전자 사진용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 방법 및 화상형성 방법
US7429417B2 (en) Sheet for forming proc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mage forming method, method for manufacturing forming processed product and the forming processed product
EP1376247B1 (en) Image recording material and image display material using the same
US7052817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5227377A (ja) 電子写真用画像形成材料転写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記録体の作製方法、画像記録体の作製装置、並びに画像記録体
JP2002351116A (ja) 画像記録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645553B2 (ja) 電子写真用画像転写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記録体の作製方法、並びに画像記録体
JP4168846B2 (ja) 情報記録媒体用コア基材とラミネートするための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JP4168847B2 (ja) 情報記録媒体用コア基材とラミネートするため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JP4193605B2 (ja) 電子写真用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形成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JP4168849B2 (ja) 電子写真用ラミネートフィルム、情報記録媒体、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画像形成方法
JP2004354861A (ja) 電子写真用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