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528B1 - 디지털 카메라와, 그것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제어 장치,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와, 그것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제어 장치,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528B1
KR100820528B1 KR1020077016032A KR20077016032A KR100820528B1 KR 100820528 B1 KR100820528 B1 KR 100820528B1 KR 1020077016032 A KR1020077016032 A KR 1020077016032A KR 20077016032 A KR20077016032 A KR 20077016032A KR 100820528 B1 KR100820528 B1 KR 100820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isplay
still image
stil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790A (ko
Inventor
시게유끼 오까다
노리아끼 고지마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Motion video recording combined with still video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37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with temporary storage before final recording, e.g. in a frame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동화상의 기록 기간 중에 스냅 숏의 촬영이 지시되면, 촬영된 정지 화상을 프레임 버퍼(7)의 퇴피용 기록 영역(7a)에 일시적으로 퇴피시킨다. 디스플레이(9) 상에 현재 촬영 중인 동화상과 정지 화상이 병행 표시되어, 사용자는 스냅 숏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퇴피 동작 중에도 동화상은 계속하여 기록된다. 동화상 처리 후, 정지 화상은 화상 보정 회로(4)에서 처리된다. 프레임 버퍼(7)는 복수의 프레임 기록 영역을 구비하고, 동화상과 정지 화상의 처리에 공용된다. 통상의 동화상 처리에서는 이들 영역이 주기적으로 이용되고, 정지 화상이 촬영되었을 때, 어느 하나의 영역이 이용된다. 이후, 동화상을 위해 남은 영역이 주기적으로 이용된다. 동화상 및 정지 화상의 기록 기능이 저비용으로 향상되고, 스냅 숏도 촬영하기 용이하고, 상품 사이즈도 커지지 않는다.
Figure R1020077016032
동화상, 정지 화상, 퇴피, 스냅 숏, 디지털 카메라, 촬영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와, 그것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제어 장치,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DIGITAL CAMERA, MEMORY CONTROL DEVICE USABLE FOR IT,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메모리 제어 장치 및 전자 스틸 카메라 등의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에 이용 가능한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를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및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 Group) 규격에 따라 부호화, 또는 복호하는 기술, 및 그 기술을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19세기 이래의 은염 사진 기술을 사용한 카메라 대신에, 전자 스틸 카메라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전자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는 화상 데이터를 전송 및 축적할 때, 화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압축·신장 기술로서 「JPEG」가 이용되고 있다. JPEG 방식의 기술적인 핵심은 이산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이다.
JPEG 방식에 따르면 동화상 데이터의 압축·신장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 방식을 이용한 전자 스틸 카메라에는 동화상의 촬영 기능을 가진 것도 있다. JPEG 방식을 이용하여 동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압축·신장하는 기술은 M-JPEG(Motion-JPEG)라고 불린다.
한편, 동화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압축·신장하는 기술에 「MPEG」가 있다. MPEG 방식 중, 비디오 파트에서 이용되는 기술적인 핵심은 움직임 보상 예측(MC; Motion Compensated prediction)과 DCT이다. MC와 DCT를 병용한 부호화 기술은 하이브리드 부호화 기술이라고 불린다. MPEG 방식은 JPEG 방식에 MC를 조합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MPEG 방식을 이용한 전자 스틸 카메라에서는, 동화상 촬영 중에 동화상의 1프레임분에 상당하는 스냅 숏을 기록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특개평11-75148호 공보에 그와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전자 스틸 카메라에 있어서, 스냅 숏의 데이터를 퇴피·보존하는 전용 기억 영역을 형성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카메라에서는 스냅 숏의 촬영이 지시될 때까지 이 전용 기억 영역은 활용되지 않아, 동화상 촬영 중의 메모리 유효 이용률이 오르지 않는다. 소형화, 저비용화가 상품 가치를 크게 좌우하는 분야이고, 실장 면적 측면에서도 비용 퍼포먼스 측면에서도 개선의 여지가 인정된다. 이것이 본 발명자가 인식한 제1 과제이다.
본 발명자가 인식한 제2 과제도 마찬가지의 개선 여지에 관한 것이다. 촬영된 스냅 숏은 비디오 프린터 등을 사용하여 종이 매체에 프린트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화질이 요구된다. 그러나, 동화상을 마찬가지의 고화질로 기록하면, 곧 메모리 용량이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정지 화상은 촬영 시의 화소 밀도대로 기록하고, 동화상은 필터링 처리를 실시하여 화소 밀도를 저감시킨 후 기록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예를 들면 정지 화상의 엣지 평활 또는 강조 처리 등은 할 수 없고,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필터 회로의 신설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자가 인식한 제3 과제는 스냅 숏의 촬영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편리성 에 관한 것이다. 종래예에서는 촬영한 스냅 숏의 결과를 동화상의 촬영 종료 후에 확인하게 되어, 스냅 숏의 촬영 미스가 있었던 경우, 시간적으로 재촬영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동화상과 스냅 숏의 두 가지 촬영 모드를 설정하여도, 여기서는 사용자 편의적인 설계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 및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실장 면적 측면이나, 비용 퍼포먼스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 및 관련하는 기술 분야에서, 사용자 편의적인 상품을 실현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 및 관련된 목적은, 이하 점차 명료해진다.
본 발명의 임의의 양태는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감마 보정 또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중 적어도 한쪽을 실시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회로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정지 화상으로서 부호화하는 정지 화상 부호화기와, 화상 데이터를 일련의 동화상으로서 부호화하는 동화상 부호화기와, 정지 화상 부호화기 및 동화상 부호화기에 이르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입력 경로 중에 설치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필터링 처리하는 화상 보정부와, 이들 일련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동일한 화상 보정부에 의해, 정지 화상 및 동화상을 모두 필터링 처리할 수 있다. 이들 처리 내용이 다르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정지 화상 부호화기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필터링 처리(이하, 「제1 필터링 처 리」라고도 함)는 화소치 변환 처리를 포함하고, 동화상 부호화기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필터링 처리(이하, 「제2 필터링 처리」라고도 함)는 화소 밀도 변환 처리를 포함하여도 된다. 제1 필터링 처리를 복수 종류 준비하여, 이들 중에서 소망의 필터링 기능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설치하여도 된다. 필터링 처리는 입력과 출력이 일치하는 항등 변환 처리로 설정 가능하여도 된다.
또한, 이 장치는 동화상 부호화기에 의한 부호화 처리 중에서의 정지 화상의 기록 지시 신호에 따라, 1프레임분의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억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이 화상 데이터는 화상 보정부에 의한 보정 전 및 보정 후 중의 어느 화상 데이터라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감마 보정 또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중 적어도 한쪽을 거쳐 생성된 화상 데이터로서, 정지 화상으로서 부호화하여야 할 화상 데이터(이하, 이 데이터를 단순히 「정지 화상 데이터」라고도 함)와 동화상으로서 부호화하여야 할 화상 데이터(이하, 이 데이터를 단순히 「동화상 데이터」라고도 함)를 모두 공통의 화상 보정부에서 필터링 처리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예를 들면 엣지 강조 처리를 실시하고, 동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소 수 저감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와 동화상 데이터의 처리 경로를 통합하여 공통의 화상 보정부에 입력하고, 소정의 처리를 시분할로 실시한다. 즉, 정지 화상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 처리 를 실시하여야 하는 타이밍에서, 화상 보정부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프로세서로서 작용한다. 화상 보정부가 필터링 처리를 행하는 경우, 정지 화상 데이터와 동화상 데이터를 처리할 때, 필터 계수를 동적으로 변경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이 카메라는 촬영된 화상 신호에 A/D 변환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신호 처리 회로와, 신호 처리 회로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정지 화상으로서 부호화하는 정지 화상 부호화기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일련의 동화상으로서 부호화하는 동화상 부호화기와, 상기 정지 화상 부호화기 및 동화상 부호화기에 이르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입력 경로 중에 설치되고,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필터링 처리하는 화상 보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이 카메라는 동화상 촬영 중에 정지 화상을 기록 가능하고,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제어부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동화상으로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있는 동안, 동화상의 일부, 예를 들면 1프레임분에 상당하는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시키도록 표시 제어부에 지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동화상의 기록 중에 스냅 숏을 촬영하였을 때,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만일 그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재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이 카메라는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정지 화상으로서 부호화하는 정지 화상 부호화기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일련의 동화상으로서 부호화하는 동화상 부호화기와, 정지 화상 부호화기 및 동화상 부호화기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부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제어부와, 일련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동화상으로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있는 동안, 정지 화상의 촬영 지시 신호에 응답한 타이밍에서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카메라는 또한, 정지 화상의 촬영 지시를 입력하는 유닛, 예를 들면 조작 버튼, 스위치 등을 구비하여도 된다.
제어부는 동화상과 정지 화상을 병행하여 표시시키도록 표시 제어부를 제어하여도 된다. 제어부의 작용에 의해, 병행 표시되는 정지 화상과 동화상은 그 모두가 디스플레이 상의 주화면에 설정 및 표시되어도 되고, 이들의 전환을 할 수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정지 화상의 표시 허가 여부를 설정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정지 화상은 소정 시간동안 표시되어도 되고,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표시 시간을 정하여도 된다. 정지 화상이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는 예를 들면 소정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것을 지울 수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이 카메라는 동화상 촬영 중에 스냅 숏을 기록 가능하고,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제어부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동화상으로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있는 동안, 상기 스냅 숏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시키도록 표시 제어부에 지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동화상을 촬영하는 처리와, 동화상 촬영 중에 스냅 숏을 촬영하는 처리와, 촬영된 동화상을 표시하는 처리와, 촬영된 스냅 숏을 표시하는 처리를 포함하고, 동화상의 표시와 스냅 숏의 표시가 디지털 카메라에서 동시에 시인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동화상과 스냅 숏은 단일 디스플레이에 병행 표시될 뿐만 아니라, 다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도 되고, 동시에 시인 가능하면 된다. 또한, 소정의 시간에 한하여, 동시에 시인 가능한 상태가 생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메모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입력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갖는 기억부와, 그 기억 영역이 주기적으로 사용되도록 기억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그 제어부가 복수의 기억 영역 중, 임의의 기억 영역에 데이터를 보존하였을 때, 남은 기억 영역이 주기적으로 사용되도록 기억부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개개의 기억 영역에는 데이터가 소정의 블록 단위, 예를 들면 화상 프레임 단위나 데이터의 부호화 그룹 단위로 기억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이 카메라는 상술한 메모리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동화상 촬영 중에 동화상의 일부에 상당하는 정지 화상이 기록 가능하다. 기억부는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기억 영역에 순차적으로 기억한다. 제어부는 복수의 기억 영역 중, 정지 화상의 보존 지시 타이밍에서 데이터를 취득하였을 때, 그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영역을 제외한 남은 기억 영역에 동화상 데이터가 취득되도록 기억부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다시 정지 화상의 보존 지시 타이밍에서 데이터를 취득하였을 때, 전에 보존한 데이터를 캔슬, 즉 다른 데이터에 의한 덮어쓰기를 허가하고, 새롭게 취득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영역을 제외한 남은 기억 영역에 상기 동화상 데이터가 취득되도록 제어하여도 된다. 또는 전에 보존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영역과 새롭게 취득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영역을 제외한 남은 기억 영역에 상기 동화상 데이터가 취득되도록 제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메모리 제어 장치를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메모리는 동화상 및 정지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 이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통화 에리어를 갖는다. 메모리 제어 장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저장에서는 그 공통화 에리어 중 이미 처리가 완료된 동화상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영역을 이용하는 반면, 동화상 데이터의 저장에서는 그 공통화 에리어 중 미처리된 정지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순차적으로 이용한다.
이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하여도 된다. 그 경우, 동화상 촬영 중에 2회째의 정지 화상의 촬영이 지시된 경우, 메모리 제어 장치는 2회째의 정지 화상 데이터의 저장에서는 1회째에 촬영된 정지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이용하여도 된다. 이 디지털 카메라는 또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1회째에 촬영된 정지 화상 데이터와 2회째에 촬영된 정지 화상 데이터 중 한쪽을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보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또는 2 회째의 정지 화상 데이터의 저장에서는 1회째에 촬영된 정지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을 덮어쓰기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또, 이상의 엘리먼트의 임의의 조합이나, 그 표현을 방법, 장치, 기록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사이에서 변경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또는 그것에 이용 가능한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장치 및 메모리 제어 회로에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JPEG 및 MPEG 방식을 이용한,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스틸 카메라(1)의 블록 회로도이다.
전자 스틸 카메라(1)는 촬상 디바이스(2), 신호 처리 회로(3),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 JPEG 코어 회로(5), MPEG 코어 회로(6), 프레임 버퍼(7), 표시 회로(8), 디스플레이(9), 메모리 카드(10), 입출력 회로(11), 데이터 버스(12, 13), 제어 코어 회로(14), 조작 버튼군(15)을 구비한다.
제어 코어 회로(14)는 조작 버튼군(15)의 ON/OFF 신호에 따라, 전자 스틸 카메라(1)의 각 구성 요소(2∼13)를 제어한다. 주사 버튼군(15)은 정지 화상 기록 버튼(15a), 동화상 기록 버튼(15b) 및 그 밖의 선택 버튼(15c)을 갖고 있다.
촬상 디바이스(2)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으로 구성되고, 피사체 화상을 촬영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신호 처리 회로(3)는 A/D 변환 회로를 포함하며, 촬상 디바이스(2)의 출력 신호를 A/D 변환한 후,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나 감마 보정 등을 행하여, 화면 단위로, 예를 들면 화소 수가 세로 1200×가로 1600인 원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신호 처리 회로(3)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의 원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12)를 통해 프레임 버퍼(7) 또는 표시 회로(8)의 한쪽 또는 양방으로 전송된다. 표시 회로(8)는 데이터 버스(12)를 통해 전송되어 온 1화면씩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9)는 표시 회로(8)에 의해 생성된 화상 신호를 피사체 화상으로서 표시한다.
프레임 버퍼(7)는 재기입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 예를 들면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DRAM, 램 버스 DRAM 등으로 구성되고, 데이터 버스(12)를 통해 전송되어 온 화면, 즉 프레임 단위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함과 함께, 기억한 화상 데이터를 1화면씩 판독한다. 이 프레임 버퍼(7)에는 동화상 기록 중, 정지 화상 기록 버튼(15a)의 ON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1프레임분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퇴피하여 기억하는 기억 영역(7a)(이하, 퇴피용 기억 영역(7a)이라고도 함)을 구비한다.
프레임 버퍼(7)로부터 판독된 1화면씩의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12)를 통해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로 전송된다.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는 신호 처리 회로(3)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후술하는 보정 처리를 행한다.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에 의해 생성된 보정 처리 후의 1화면씩의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12)를 통해 JPEG 코어 회로(5) 또는 MPEG 코어 회로(6)로 전송된다.
메모리 카드(10)는 전자 스틸 카메라(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내부에 플래시 메모리(10a)를 갖는다. 플래시 메모리(10a)는 데이터 버 스(13)를 통해 전송되어 온 1화면씩의 압축 화상 데이터를 기억함과 함께, 기억한 압축 화상 데이터를 1화면씩 판독하여 데이터 버스(13)로 출력한다.
입출력 회로(11)는 데이터 버스(13)를 통해 전송되어 온 1화면씩의 화상 데이터를 전자 스틸 카메라(1)에 접속된 외부 기기, 예를 들면 외부 디스플레이, 퍼스널 컴퓨터, 프린터 등으로 출력함과 함께, 해당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13)로 출력한다. 메모리 카드(10)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 또는 입출력 회로(11)를 통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13)를 통해 JPEG 코어 회로(5) 또는 MPEG 코어 회로(6)로 전송된다.
JPEG 코어 회로(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DCT 회로(16), 양자화 회로(17), 하프만 부호화 회로(18), 하프만 복호 회로(19), 역 양자화 회로(20), 역 DCT(IDCT; Inverse DCT) 회로(21)를 포함한다. JPEG 코어 회로(5)에 있어서는 1화면의 화상 데이터가 JPEG 방식의 규격에 의해 정해진 복수의 매크로 블록으로 분할되고, 그 각 블록마다 압축·신장 처리가 행해진다. DCT 회로(16), 양자화 회로(17), 하프만 부호화 회로(18)는 JPEG 인코더를 구성하고, 정지 화상 데이터의 압축·부호화 처리를 행하여, 하프만 복호 회로(19), 역 양자화 회로(20), 역 DCT 회로(21)는 JPEG 디코더를 구성한다. JPEG 코어 회로(5) 또는 JPEG 인코더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정지 화상 부호화기」의 예이다.
DCT 회로(16)는 프레임 버퍼(7)로부터 판독된 1화면씩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1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1블록 단위로 취득하고, 그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2차원의 이산 코사인 변환(DCT: Discrete Cosine Transform)을 행하여 DCT 계수를 생 성한다. 양자화 회로(17)는 DCT 회로(16)로부터 공급된 DCT 계수를 도시하지 않은 RAM에 기억된 양자화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양자화 임계치를 참조하여 양자화한다.
하프만 부호화 회로(18)는 양자화 회로(17)에 의해 양자화된 DCT 계수를 도시하지 않은 RAM에 기억된 하프만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하프만 부호를 참조하여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1화면씩 생성한다. 하프만 부호화 회로(18)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13)를 통해 메모리 카드(10) 또는 입출력 회로(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된다.
MPEG 코어 회로(6)는 JPEG 코어 회로(5)에 제1 및 제2 MC(움직임 보상 예측) 회로(22a, 22b)를 부가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DCT 회로(16), 양자화 회로(17), 하프만 부호화 회로(18), 하프만 복호 회로(19), 역 양자화 회로(20), 역 DCT 회로(21)는 JPEG 코어 회로(5)와 MPEG 코어 회로(6)에서 공유화되고, 제어 코어 회로(14)로부터의 전환 신호에 의해, JPEG 코어 회로(5)를 사용할 것인지, 또는 이것에 제1, 제2 MC 회로(22a, 22b)를 부가한 MPEG 코어 회로(6)를 사용할 것인지가 선택된다. 단, JPEG와 MPEG는 상기한 양자화 테이블 및 하프만 테이블을 각각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MPEG 코어 회로(6)에 있어서는 1화면의 화상 데이터가 MPEG 방식의 규격에 의해 정해진 복수의 매크로 블록으로 분할되고, 그 각 블록에 압축·신장 처리가 행해진다. DCT 회로(16), 양자화 회로(17), 하프만 부호화 회로(18), 제1 MC 회로(22a)는 MPEG 인코더를 구성하여, 동화상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하프만 복호 회로(19), 역 양자화 회로(20), 역 DCT 회로(21), 제2 MC 회로(22b)는 MPEG 디코더를 구성한다. MPEG 코어 회로(6) 또는 MPEG 인코더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동화상 부호화기」의 예이다. MPEG 인코더에 의해 생성된 압축 화상 데이터도, 데이터 버스(13)를 통해 메모리 카드(10) 또는 입출력 회로(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된다.
JPEG 코어 회로(5) 또는 MPEG 코어 회로(6)에 있어서, 하프만 복호 회로(19)는 데이터 버스(13)를 통해 전송되어 온 1화면씩의 압축 화상 데이터를, 하프만 부호를 참조하여 가변 길이 복호함으로써, 신장된 화상 데이터를 1화면씩 생성한다. 역 양자화 회로(20)는 하프만 복호 회로(19)에 의해 생성된 1화면씩의 신장 화상 데이터를, 양자화 임계치를 참조하여 역 양자화함으로써, DCT 계수를 생성한다.
역 DCT 회로(21)는 역 양자화 회로(20)에 의해 생성된 DCT 계수에 대하여 2차원의 이산 코사인 역 변환(IDCT: Inverse DCT)을 행한다. MPEG 코어 회로(6)에 있어서는 역 DCT 회로(21)에 의해 이산 코사인 역 변환이 행해진 1화면씩의 신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제2 MC 회로(22b)에 의해 MC 처리를 실시한다.
JPEG 코어 회로(5) 또는 MPEG 코어 회로(6)로부터의 신장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12)를 통해 프레임 버퍼(7)로 전송된다. 프레임 버퍼(7)는 전송된 1화면씩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표시 회로(8)는 프레임 버퍼(7)로부터 데이터 버스(12)를 통해 전송되어 온 1화면씩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그 신호가 디스플레이(9) 상에서 피사체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필터부(23), ROM(24) 및 타이밍 제어부(25)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필터부(23)는 비순환형 디지털 필터인 공간 필터, 예를 들면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를 포함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회로(3)로부터 입력된 n비트의 입력 신호를 샘플링 주기마다 지연시키기 위한 n개의 지연기(26, …)와, n+1개의 승산기(27, …)와, 이 승산기(27, …)로부터의 신호를 콘볼루션하기 위한 가산기(28)로 구성된다. 승산기(27, …)의 각 계수 an, an -1, …, a2, a1은 필터의 특성을 결정하는 계수로서, 동화상 데이터를 필터링 처리하는 경우의 계수와 정지 화상 데이터를 필터링 처리하는 경우의 계수가 사전에 ROM(24) 내에 기입되어 있다. 이들 계수는 사전에 제조 단계에서 시뮬레이션에 의해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동화상 데이터를 필터링 처리하는 경우, 선형 보간 등의 개념을 이용하고, 샘플링 주기마다 각 계수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양호한 저화소 밀도 화상을 얻는다. 일례로서, 가로 방향의 화소 수를 2/3로 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지금, 만일 원화상에 있어서 3개의 화소 p1∼p3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이들 화소를 2개의 화소 q1, q2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q1과 q2를 각각 p1, p2, p3의 1차 선형 합으로 표현한다. 즉, 화소 수를 어느 정도 줄일지, 그 비율을 정한 후, 선형 합의 각 계수를 실험 등으로 정하면 데이터량 저감을 위한 필터링 처리가 실현한다. 일례로서, 화소 수를 예를 들면 세로 480×가로 720으로 저감하여도 된다.
한편, 정지 화상 데이터를 필터링 처리하는 경우, 고주파 영역을 강조하도록 각 계수의 값을 설정하고, 고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여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소 수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엣지부의 열화가 없는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실시 형태에서는 n=8로 설정하고 있지만, 이것에는 당연히 설계의 자유도가 있다.
타이밍 제어부(25)는 제어 코어 회로(14)의 제어에 따라, ROM(24)으로부터의 계수의 판독 타이밍, 입출력 데이터의 래치 타이밍, 필터 연산 타이밍 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기초하여, 도 5∼도 8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화상 데이터의 기록 동작을 설명한다. 도 5에서, 정지 화상 기록 버튼(15a)이 ON 되면, 도 6에 도시한 정지 화상 처리가 행해지고, 동화상 기록 버튼(15b)이 ON 되면, 도 7에 도시한 동화상 처리가 행해진다.
(정지 화상 기록)
도 6에서, 촬상 디바이스(2)로부터 취득한 원화상 신호는 정지 화상 기록 버튼(15a)의 ON 신호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신호 처리 회로(3)에 입력되고, 여기서 1화면의 디지털 원화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프레임 버퍼(7)에 취득한다(단계 S1). 프레임 버퍼(7)로부터 1화면의 원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로 송출됨과 함께 표시 회로(8)로 송출되어 디스플레이(9) 상에 정지 화상이 표시된다(단계 S2).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에 취득한 데이터에는 상술한 정지 화상 대응의 보정 처리가 행해지고(단계 S3), 보정 후의 데이터가 JPEG 코어 회로(5)에 입력되어, 소정의 압축·부호화 처리가 행해진 후(단계 S4), 플래시 메모리(10a)에 기록된다(단계 S5).
(동화상 기록)
도 7에서, 촬상 디바이스(2)로부터 취득한 원화상 신호는 동화상 기록 버튼(15b)의 ON 신호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신호 처리 회로(3)에 입력되고, 여기서 1화면씩의 디지털 원화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프레임 버퍼(7)에 순차적으로 취득한다(단계 S11). 프레임 버퍼(7)로부터 1화면씩의 원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로 송출됨과 함께 표시 회로(8)로 송출되어 디스플레이(9) 상에 동화상이 표시된다(단계 S12).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에 순차적으로 취득한 데이터에는 상술한 동화상 대응의 보정 처리가 행해지고(단계 S13), 보정 후의 데이터가 MPEG 코어 회로(6)에 입력되어, 소정의 압축·부호화 처리가 행해진 후(단계 S14), 플래시 메모리(10a)에 기록된다(단계 S15). 이 동작은 동화상 기록 버튼(15b)으로부터 다시 ON 신호가 송출될 때까지 속행된다(단계 S16).
(스냅 숏 기록)
도 7에서, 동화상의 기록 기간 중에 정지 화상 기록 버튼(15a)으로부터 ON 신호가 송출되면, 제어 코어 회로(14)는 스냅 숏의 촬영이 외부로부터 지시된 것으로 판단하고, 도 8에 도시한 스냅 숏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7). 이 때, 1프레임분의 화상 데이터가 프레임 버퍼(7)의 퇴피용 기억 영역(7a)에 일시적으로 퇴피·기억된다(단계 S21). 이 퇴피 동작 동안, 동화상의 기록 동작은 계속된다. 즉, 촬상 디바이스(2)로부터 취득한 원화상 신호가 신호 처리 회로(3)에 입력되고, 여기서 1화면씩의 디지털 원화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프레임 버퍼(7)에 순차적으로 취득한다(단계 S22). 프레임 버퍼(7)로부터 1화면씩의 원화상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로 송출됨과 함께 표시 회로(8)로 송출된다.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에 순차적으로 취득한 데이터에는 상술한 동화상 대응의 보정 처리가 행해지고(단계 S23), 보정 후의 데이터가 MPEG 코어 회로(6)에 입력되어, 소정의 압축·부호화 처리가 행해진 후(단계 S24), 플래시 메모리(10a)에 기록된다(단계 S25).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프레임 버퍼(7)로부터 표시 회로에 대하여 1화면씩의 원화상 데이터를 송출함과 함께 퇴피용 기억 영역(7a)에 퇴피한 1프레임분의 화상 데이터를 송출한다. 디스플레이(9) 상에는 현재 촬영 중인 동화상과 스냅 숏으로서 기록하고자 하는 정지 화상이 병행 표시된다(단계 S26). 도 9는 디스플레이(9) 상에서의 동화상과 정지 화상을 병행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며, 정지 화상(100)을 주화면으로 하여, 화면 우측 상에, 화면의 1/16의 크기로 동화상(200)을 표시한다.
정지 화상의 표시는 소정 시간, 예를 들면 5초 동안 행해지고, 그 후 동화상만의 표시로 전환되고(단계 S27), 도 7에 도시한 통상의 동화상 처리로 되돌아간다(단계 S28). 사용자는 정지 화상이 병행 표시되어 있는 동안, 소망의 스냅 숏을 촬영할 수 있는지를 디스플레이(9) 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지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 다시 정지 화상 기록 버튼(15a)으로부터 ON 신호가 송출되면, 그 ON 신호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취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S21∼S27의 처리를 행한다(단 계 S29). 이 경우, 퇴피용 기억 영역(7a)의 내용은 새로운 데이터로 교체된다.
도 10은 동화상 처리 및 스냅 숏 처리에 있어서의 프레임 버퍼(7)의 사용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프레임 버퍼(7)는 4개의 통상의 기억 영역 A∼D를 구비하고, 각 기억 영역 A∼D에는 각각 1화면, 즉 1프레임분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물론, 기억 영역의 수는 카메라(1)의 사양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된다.
도 7에 도시한 통상의 동화상 처리에서는 도 10의 (a)과 같이, 신호 처리 회로(3)로부터의 1화면씩의 디지털 원화상 데이터는 A→B→C→D의 순서로 저장되고, 먼저 저장된 것부터 순서대로 데이터 버스(12)로 출력된다(First-In First-Out). 마지막 기억 영역 D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다시 기억 영역 A가 사용된다. 즉, 기억 영역 A∼D가 주기적으로 사용된다. 프레임 버퍼(7)의 주기적인 이용에는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 그 밖의 페이지 메모리 제어 방법이 채용되어도 된다.
동화상 처리 중, 스냅 숏을 위해서 정지 화상 기록 버튼(15a)으로부터 ON 신호가 송출되면, 그 신호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취득한 데이터가 임의의 기억 영역에 저장되고, 그 영역이 그대로 정지 화상 데이터의 퇴피용 기억 영역(7a)으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스냅 숏 기록 타이밍에서 취득한 데이터가 3번째의 기억 영역 C에 저장된 경우, 도 10의 (b)과 같이, 그 기억 영역 C가 퇴피용 기억 영역(7a)으로서 사용되고, 그 이후의 동화상 처리에 있어서는 남은 기억 영역 A, B, D가 주기적으로 사용된다. 그 후, 다시 스냅 숏 기록의 타이밍에서 취득한 데이터가 이번에는 2번째의 기억 영역 B에 저장된 경우, 도 10의 (c)과 같이, 3번째의 기억 영 역 C의 데이터가 캔슬, 즉 보호 대상에서 제외되어, 2번째의 기억 영역 B가 퇴피용 기억 영역(7a)으로서 사용되고, 이후의 동화상 처리에서는 그 이외의 기억 영역 A, C, D가 주기적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의 기억 영역 A∼D의 사용 순서는 실장하는 알고리즘에 의존하며, 예를 들면, ACDBAC …나 ACDABC …와 같이 사용하여도 된다. 요컨대 처리 완료된, 따라서 덮어쓰기가 허용되는 동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기억 영역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어느 기억 영역을 퇴피용으로 이용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도 「주기적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당초, 기억 영역을 2개만 준비한 경우에는 스냅 숏의 기록 데이터를 보존함으로써, 이후의 동화상 데이터는 하나의 기억 영역에 취득된 후, 순차적으로 출력되게 된다. 이 경우도 「주기적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동화상 기록이 종료하면, 도 7에서, 제어 코어 회로(14)는 동화상의 기록 동작 중에 정지 화상의 퇴피 동작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18), 행해져 있는 경우, 퇴피용 기억 영역(7a)에 기억되어 있는 1프레임분의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12)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로 전송하여, 상술한 정지 화상 기록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단계 S19).
본 실시 형태의 전자 스틸 카메라(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1) 동화상 촬영 중에, 스냅 숏으로서 정지 화상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스틸 카메라로서의 기능이 향상된다.
(2) 스냅 숏으로서 촬영한 정지 화상을 디스플레이(9) 상에 표시시키기 때문 에, 사용자는 스냅 숏의 촬영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즉시 재촬영하면 되고, 스냅 숏의 촬영 미스의 발생 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스틸 카메라로서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3) 상기 (2)에 부가하여, 현재 촬영 중인 동화상을 병행 표시시키기 때문에, 동화상의 촬영 상태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4) 상기 (2), (3)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9) 상에서는 스냅 숏으로서 기록하여야 할 정지 화상을 주화면으로 하고, 동화상을 작게 표시함으로써, 스냅 숏의 촬영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5) 상기 (2)에 부가하여, 스냅 숏으로서 기록하여야 할 정지 화상은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9) 상에 표시될 뿐이기 때문에, 동화상 기록의 디스플레이(9) 상에서의 확인 작업을 장시간 저해하지 않는다.
(6)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냅 숏을 위한 스틸 촬영이 지시될 때까지는 퇴피용 기억 영역(7a)을 설정하지 않고, 전부 통상의 기억 영역으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프레임 버퍼(7)의 이용 효율이 높아진다.
(7) 정지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보정 회로(4)를 이용하여, 보다 최적의 화상으로 보정할 수 있다.
(8) 동화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정지 화상 데이터도 데이터 보정 회로(4)를 통과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ROM(24) 내에 계수를 기억시키는 것만으로 정지 화상에도 보정 처리를 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기능 향상이 실현된다. 정지 화상 전용의 보정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기의 대형화 및 소비 전력의 증대 를 방지할 수 있다.
(9) JPEG 코어 회로(5) 및 MPEG 코어 회로(6)에 있어서, DCT 회로(16), 양자화 회로(17), 하프만 부호화 회로(18), 하프만 복호 회로(19), 역 양자화 회로(20), 역 DCT(IDCT; Inverse DCT) 회로(21)를 공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 스틸 카메라(1)의 구성이나 연산 처리 알고리즘 등을 간략화할 수 있다.
(10) 스냅 숏을 위해 퇴피용 기억 영역(7a)을 설정하였기 때문에, 정지 화상과 동화상의 구분 및 검색이 용이하게 되어, 보다 신속한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11) 스냅 숏을 위한 촬영이 지시되었을 때,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에 입력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퇴피하기 때문에, 그 후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에 있어서 처리할 때, 수직 방향으로 필터링 처리하거나 줌 처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동화상 기록을 중단없이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는 다음과 같이 변형예가 있다.
(ⅰ) 도 8의 단계 S26에서, 디스플레이(9) 상에 정지 화상만을 표시시킨다.
(ⅱ) 도 8의 단계 S26에서, 디스플레이(9) 상에 병행 표시시키는 정지 화상과 동화상의 사이즈를 역전시켜, 동화상을 주화면으로 한다. 또한, 정지 화상의 표시의 허가 여부를 사용자가 버튼 등으로 지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ⅲ) 도 8의 단계 S29에서, 새롭게 촬영된 스냅 숏을 위한 화상 데이터를 오래된 데이터로 교체하지 않고, 병렬적으로 기억시킨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동화상 처리에서는 프레임 버퍼(7)의 기억 영역 A∼D를 주기적으로 사용한다(도 11의 (a)). 다음으로, 1장째의 스냅 숏 기록의 타이밍에서 취득한 데 이터가 3번째 기억 영역 C에 저장된 경우에는, 그 기억 영역 C를 퇴피용 기억 영역(7a)으로서 사용하고(도 11의 (b)), 이후의 동화상 처리에서는 그 이외의 3개의 기억 영역 A, B, D를 주기적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2장째의 스냅 숏 기록의 타이밍에서 취득한 데이터가 2번째 기억 영역 B에 저장된 경우에는, 2번째와 3번째 기억 영역 B, C를 퇴피용 기억 영역(7a)으로서 사용하고(도 11의 (c)), 이후의 동화상 처리에서는 2개의 기억 영역 A, D를 주기적으로, 즉 교대로 사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복수매의 스냅 숏을 기록할 수 있다. 스냅 숏을 기록할 수 있는 매수를 늘리면, 동화상 처리에 있어서 프레임 버퍼(7)를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이 감소한다. 따라서, 동화상 처리 시에 프레임 버퍼(7)의 오버 플로우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ⅳ) 메모리 카드(10) 대신에, 광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을 이용한다.
(ⅴ) 스냅 숏을 위한 촬영이 지시된 경우,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에 의해 처리가 종료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퇴피용 기억 영역(7a)에 일시적으로 퇴피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 후 JPEG 코어 회로(5)에서 소정의 압축 처리를 행할 때에 데이터의 추출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ⅵ) 정지 화상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를 통과하지 않는다.
(ⅶ) 동화상 데이터의 압축·신장에 M-JPEG 기술을 이용한다.
(ⅷ) 정지 화상 데이터의 압축·신장에 JPEG 이외에도, 정지 화상 데이터의 압축에, 차분 처리를 베이스로 하는 차분 YUV나 블록 베이스의 아다마르(Hadamard) 변환, 슬랜트 변환(Slant) 변환, 하르(Haar) 변환 방식을 이용한 압축 기술을 이용한다.
(ⅸ) 정지 화상 데이터를 필터링 처리하는 경우, 고주파 영역을 강조하지 않도록 각 계수의 값을 설정하고, 저역 통과 필터, 대역 통과 필터 등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에일리어싱(aliasing) 또는 샤기(shaggy)를 억제할 수 있다.
(ⅹ) 정지 화상 데이터를 필터링 처리하는 경우, 색 신호의 동적 범위를 확대하여, 선명한 화상을 얻도록 각 계수의 값을 설정한다. 그 외에, 용도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임의의 선형, 비선형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ⅹ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ix), (x)의 보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15c)을 설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정지 화상을 작성할 수 있어, 전자 스틸 카메라(1)로서의 기능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선택 버튼(15c)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선택부」의 예이다.
(ⅹⅱ)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의 필터링 처리를 항등 변환 처리로 설정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그 경우, 입력된 정지 화상 데이터가 그대로 출력된다. 이 구성이면, 필요할 때 용이하게 필터 기능을 유효화할 수 있다. 또, 항등 변환을 실현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도 4에서, 계수 αn만을 1로 하고, 그 밖의 계수 αn-1, …, α2, α1을 전부 0으로 설정하면 된다. 본 발명은 정지 화상 데이터 및 동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4)에 통과시키는 것에 특징을 갖는 것이고, 항등 변환 처리도 당연히 필터링 처리의 개념에 속한다.
(ⅹⅲ) 스냅 숏과 동화상의 한쪽을 주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어느 것을 주화면에 설정할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 가능하게 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어 코어 회로(14)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 버튼(15c) 등의 조작에 따라, 어느 것을 주화면에 표시할지 전환하여도 된다. 또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제어 코어 회로(14)는 스냅 숏의 표시를 금지하는 모드를 가져도 되고, 사용자가 표시를 지시하는 시간 동안 표시하여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스틸 카메라의 블록 회로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JPEG 코어 회로 및 MPEG 코어 회로의 개략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의 개략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보정 회로의 필터부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스틸 카메라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스틸 카메라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스틸 카메라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스틸 카메라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스틸 카메라의 스냅 숏 기록 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 버퍼의 사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 버퍼의 사용 형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화상 보정 회로
7 : 프레임 버퍼
7a : 퇴피용 기록 영역
9 : 디스플레이

Claims (13)

  1. 동화상의 촬영 중에 동화상의 일부에 상당하는 정지 화상을 기록 지시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촬영 중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기억하기 위한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갖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제어부와,
    일련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기억 영역을 사이클릭하게 사용하면서 순차적으로 기억하고, 상기 복수의 기억 영역 중 상기 정지 화상의 기록 지시의 타이밍에서 1프레임 분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임의의 기억 영역에 일시적으로 퇴피 및 기억했을 때에,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영역을 제외한 남은 기억 영역을 사이클릭하게 사용하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도록 상기 기억부의 입출력을 제어함과 함께, 이 기억시킨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제어부에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2. 동화상의 촬영 중에 동화상의 일부에 상당하는 정지 화상을 기록 지시 가능 한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촬영 중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기억하기 위한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갖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내어진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정지 화상으로서 부호화하는 정지 화상 부호화기와,
    상기 기억부로부터 읽어내어진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프레임에 미치는 일련의 동화상으로서 부호화하는 동화상 부호화기와,
    상기 정지 화상 부호화기 및 동화상 부호화기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표시 제어부와,
    일련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기억 영역을 사이클릭하게 사용하면서 순차적으로 기억하고, 상기 복수의 기억 영역 중 상기 정지 화상의 기록 지시의 타이밍에서 1프레임 분의 정지화상 데이터를 임의의 기억 영역에 일시적으로 퇴피 및 기억했을 때에,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영역을 제외한 남은 기억 영역을 사이클릭하게 사용하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도록 상기 기억부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이 기억시킨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시킴과 함께, 상기 동화상 부호화기에 의한 부호화 처리 의 종료 후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부에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정지 화상 부호화기에 송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다시 상기 정지 화상의 기록 지시의 타이밍에서 1프레임 분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임의의 기억 영역에 일시적으로 퇴피 및 기억했을 때, 전에 기억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캔슬하고, 새롭게 기억한 정지 화상 데이터의 기억 영역을 제외한 남은 기억 영역을 사이클릭하게 사용하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도록 상기 기억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다시 상기 정지 화상의 기록 지시의 타이밍에서 1프레임 분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임의의 기억 영역에 일시적으로 퇴피 및 기억했을 때, 전에 기억한 정지 화상 데이터의 기억 영역과 새롭게 기억한 정지 화상 데이터의 기억 영역을 제외한 남은 기억 영역을 사이클릭하게 사용하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도록 상기 기억부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화상의 촬영 지시를 행하는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화상의 표시중에 표시되는 정지 화상을, 상기 동화상과 병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병행 표시되는 정지 화상과 동화상에서, 상기 정지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주화면에 설정해서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병행 표시되는 정지 화상과 동화상에서, 상기 동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주화면에 설정해서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화상 부호화기 및 동화상 부호화기의 부호화부를 공유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병행 표시되는 정지 화상과 동화상에서, 상기 정지 화상과 상기 동화상 중 한쪽을 전환 가능하게 선택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주화면에 설정해서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제어부에 대하여, 상기 정지 화상의 표시의 허가 여부를 전환 가능하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지 화상을 사용자의 지시에 따르는 시간만큼 표시시키도록 상기 표시 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KR1020077016032A 1999-12-24 2000-12-18 디지털 카메라와, 그것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제어 장치,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0820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597899 1999-12-24
JPJP-P-1999-00365978 1999-12-24
JP2000071782 2000-03-15
JPJP-P-2000-00071782 2000-03-15
JPJP-P-2000-00095699 2000-03-30
JP2000095699 2000-03-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932A Division KR100803492B1 (ko) 1999-12-24 2000-12-18 디지털 카메라와, 그것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제어 장치,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790A KR20070088790A (ko) 2007-08-29
KR100820528B1 true KR100820528B1 (ko) 2008-04-08

Family

ID=2734172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032A KR100820528B1 (ko) 1999-12-24 2000-12-18 디지털 카메라와, 그것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제어 장치,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20087008539A KR20080034525A (ko) 1999-12-24 2000-12-18 디지털 카메라
KR1020077016033A KR100812907B1 (ko) 1999-12-24 2000-12-18 디지털 카메라와, 그것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제어 장치,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20077016031A KR100837992B1 (ko) 1999-12-24 2000-12-18 디지털 카메라 및 화상 처리 장치
KR1020027007932A KR100803492B1 (ko) 1999-12-24 2000-12-18 디지털 카메라와, 그것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제어 장치,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539A KR20080034525A (ko) 1999-12-24 2000-12-18 디지털 카메라
KR1020077016033A KR100812907B1 (ko) 1999-12-24 2000-12-18 디지털 카메라와, 그것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제어 장치,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20077016031A KR100837992B1 (ko) 1999-12-24 2000-12-18 디지털 카메라 및 화상 처리 장치
KR1020027007932A KR100803492B1 (ko) 1999-12-24 2000-12-18 디지털 카메라와, 그것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제어 장치,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6) US7489348B2 (ko)
KR (5) KR100820528B1 (ko)
CN (2) CN101252634B (ko)
AU (1) AU1894401A (ko)
TW (1) TW502532B (ko)
WO (1) WO2001049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0462B2 (ja) * 2000-02-22 2006-03-01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記録媒体
JP2002158893A (ja) * 2000-11-22 2002-05-31 Minolta Co Ltd 画像補正装置、画像補正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4564190B2 (ja) * 2001-03-06 2010-10-20 株式会社リコー テレビ会議システムにおける画像入力に適したデジタルカメラ
JP3664123B2 (ja) * 2001-10-03 2005-06-22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画質補正方法
JP2004201282A (ja) * 2002-12-06 2004-07-15 Casio Comput Co Ltd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TWI225367B (en) * 2003-04-30 2004-12-11 Benq Corp Intellectual button feature in a digital image acquisition apparatus and mode switching method of the same
JP3992659B2 (ja) * 2003-08-08 2007-10-17 三洋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5123858A (ja) * 2003-10-16 2005-05-12 Mega Chips Corp カメラ制御装置
TWI227840B (en) * 2003-12-03 2005-02-11 Via Te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ying based on Booth's algorithm
JP4035543B2 (ja) * 2005-04-04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4902136B2 (ja) * 2005-04-28 2012-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86006B2 (ja) * 2005-06-28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858747B2 (ja) * 2005-07-20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441882B2 (ja) * 2005-11-18 2010-03-31 ソニー株式会社 撮影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7675550B1 (en) 2006-04-28 2010-03-09 Ambarella, Inc. Camera with high-quality still capture during continuous video capture
US9179046B1 (en) 2006-04-28 2015-11-03 Ambarella, Inc. Camera with high-quality still capture during continuous video capture
JP4225339B2 (ja) * 2006-09-11 2009-02-1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0790160B1 (ko) 2006-10-09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녹화 중에 정지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JP2009038649A (ja) * 2007-08-02 2009-02-19 Panasonic Corp 信号処理回路、及び撮影装置
US8144233B2 (en) * 2007-10-03 2012-03-27 Sony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for superimposing images to create a composite image
JP5274205B2 (ja) * 2007-11-13 2013-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056370B2 (ja) * 2007-11-22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KR20100013705A (ko) * 2008-07-31 2010-02-10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US20100186234A1 (en) 2009-01-28 2010-07-29 Yehuda Binder Electric shaver with imaging capability
KR101709935B1 (ko) 2009-06-23 2017-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409154B2 (ja) * 2009-07-16 201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影画像表示装置及び撮影画像表示方法
JP5436975B2 (ja) * 2009-08-21 2014-03-05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カメラの表示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20110102616A1 (en) * 2009-08-28 2011-05-05 Nikon Corporation Data structure for still image file, image file generation device, image reproduction device, and electronic camera
US20110149111A1 (en) * 2009-12-22 2011-06-23 Prentice Wayne E Creating an image using still and preview
US8737755B2 (en) * 2009-12-22 2014-05-27 Apple Inc. Method for creating high dynamic range image
US8675086B1 (en) 2010-03-26 2014-03-18 Ambarella, Inc. Architecture for video, fast still and high quality still picture processing
KR101770298B1 (ko) * 2011-01-11 2017-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808485B2 (ja) * 2011-06-23 2015-11-10 ▲華▼▲為▼終端有限公司Huawei Device Co., Ltd. 移動端末の録画方法、関連装置及びシステム
JP5785038B2 (ja) * 2011-08-31 2015-09-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影機器
US9448067B2 (en) * 2011-09-23 2016-09-20 Creatz Inc. System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moving subject by means of multiple cameras, and acquiring actual movement trajectory of subject based on photographed images
KR101910110B1 (ko) 2011-09-26 2018-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264627B2 (en) * 2012-01-09 2016-02-16 Lifetouch Inc. Video photography system
KR101989152B1 (ko) * 2012-02-10 2019-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촬영 또는 재생 중, 정지 영상을 캡쳐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99851B1 (ko) * 2012-05-03 2018-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TWI486057B (zh) * 2012-05-17 2015-05-21 Altek Corp 影像擷取裝置及其影像合成方法
US20140078343A1 (en) * 2012-09-20 2014-03-20 Htc Corporation Methods for generating video and multiple still images simultaneously and apparatuses using the same
US20140195917A1 (en) * 2013-01-06 2014-07-10 Takes Llc Determining start and end points of a video clip based on a single click
CN104869381B (zh) * 2014-02-25 2017-07-25 炬芯(珠海)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系统、方法及装置
US10356312B2 (en) 2014-03-27 2019-07-16 Htc Corporation Camera device, video auto-tagg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JP6604750B2 (ja) * 2015-06-12 2019-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368269B (zh) * 2016-05-11 2019-03-26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传输屏幕图像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80343414A1 (en) * 2017-05-23 2018-11-29 Qualcomm Incorporated Frame buffering technology for camera-inclusive devices
KR101967998B1 (ko) 2017-09-05 2019-04-11 주식회사 카카오 키 입력에 기초한 움직임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CN111970440A (zh) * 2020-08-11 2020-11-20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图像获取方法、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17499601B (zh) * 2024-01-02 2024-04-05 上海励驰半导体有限公司 用于SoC的调用多摄像头数据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6402A (ja) * 1997-03-27 1998-10-13 Sanyo Electric Co Ltd 画像記録装置
JPH1155617A (ja) * 1997-08-04 1999-02-26 Hitachi Ltd 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0837A (en) * 1980-11-21 1993-11-09 Lemelson Jerome H Portable television camera-record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4693253A (en) * 1981-03-23 1987-09-15 Medtronic, Inc. Automatic implantable defibrillator and pacer
US4691253A (en) * 1985-05-13 1987-09-01 Polaroid Corporation Electronic imaging camera for recording either moving or still images
JP2922598B2 (ja) 1990-07-05 1999-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式
JPH04129488A (ja) 1990-09-20 1992-04-30 Fujitsu Ltd 画像データ符号化前の適応フィルタ方式
JP2956213B2 (ja) * 1990-11-30 1999-10-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887924B2 (ja) 1991-02-25 1999-05-10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電子内視鏡装置
DE69222580T2 (de) * 1991-07-15 1998-04-16 Hitachi Ltd Bildkoder-Dekoder und Telekonferenzendstellengerät
JPH0528727A (ja) * 1991-07-25 1993-02-05 Canon Inc 磁気記録装置
JP3297746B2 (ja) 1992-02-24 2002-07-02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記録装置
US5367332A (en) * 1992-10-09 1994-11-22 Apple Computer, Inc. Digital camera with time bracketing feature
EP0633693B1 (en) * 1993-07-01 2001-04-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agged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499057A (en) * 1993-08-27 1996-03-12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a noise-reducded image signal from an input image signal
US6771888B1 (en) * 1993-10-29 2004-08-03 Christopher J. Cookson Data structure for allowing play of a video program in multiple aspect ratios
JP3182289B2 (ja) * 1994-04-06 2001-07-03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記録装置
JPH08275034A (ja) 1995-04-04 1996-10-18 Canon Inc スチルカメラ付きビデオカメラ
US6359649B1 (en) * 1995-04-04 2002-03-19 Canon Kabushiki Kaisa Video camera integrated with still camera
JP3562049B2 (ja) * 1995-07-21 2004-09-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映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US5844627A (en) * 1995-09-11 1998-12-01 Minerya System, Inc. Structure and method for reducing spatial noise
US6636635B2 (en) 1995-11-01 2003-10-21 Canon Kabushiki Kaisha Object extraction method, and image sens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0215304B1 (ko) 1995-11-22 1999-08-16 유무성 정지화상 기록기능을 가지는 비디오 카메라
JPH10108121A (ja) 1996-09-25 1998-04-24 Nikon Corp 電子カメラ
US20050041132A1 (en) * 1996-12-02 2005-02-24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JP3740235B2 (ja) * 1996-12-20 2006-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記録再生装置
JP3671270B2 (ja) 1996-12-27 2005-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3902824B2 (ja) * 1997-01-08 2007-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JPH09284718A (ja) 1997-01-20 1997-10-31 Hitachi Ltd 画像記録再生装置
US6606451B2 (en) * 1997-02-12 2003-08-12 Minolta Co., Lt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image control method
JP3886068B2 (ja) 1997-05-07 2007-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ィジタル撮像記録装置
EP0985317B1 (de) 1997-05-07 2001-11-21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codierung und decodierung eines digitalisierten bildes
JPH10327339A (ja) 1997-05-22 1998-12-08 Canon Inc 信号処理装置及び記録装置
JPH1175148A (ja) * 1997-08-29 1999-03-16 Konica Corp ディジタルカメラ
US6486914B1 (en) * 1998-02-27 2002-11-26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user interaction in a digital imaging device using dynamic overlay bars
JPH11308488A (ja) 1998-04-17 1999-11-05 Canon Inc ビデオカメラ、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撮影方法、ビデオ信号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H11341418A (ja) 1998-05-27 1999-12-10 Nikon Corp 画像信号記録装置
US20020106199A1 (en) * 1998-05-27 2002-08-08 Osamu Ikeda Image signal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method employed therein, and image signal recording apparatus
US6522352B1 (en) * 1998-06-22 2003-02-18 Motorola, Inc. Self-contained wireless camera device, wireless camera system and method
JP2000023079A (ja) * 1998-07-03 2000-01-21 Sony Corp 画像記録再生装置
JP2000050263A (ja) 1998-07-28 2000-02-18 Hitachi Ltd 画像符号化並びに復号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0078486A (ja) 1998-09-02 2000-03-14 Sony Corp 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再生装置
SE522856C2 (sv) * 1999-01-29 2004-03-09 Axis Ab En datalagrings- och reduceringsmetod för digitala bilder, samt ett övervakningssystem som använder nämnda metod
JP3454304B2 (ja) 1999-03-10 2003-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符号化復号化装置
US6665453B2 (en) * 1999-03-16 2003-12-16 Intel Corporation Multi-resolution support for video images
US6804638B2 (en) 1999-04-30 2004-10-12 Recent Memory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ve recall and preservation of events prior to decision to record the events
JP2001016490A (ja) 1999-06-29 2001-01-19 Canon Inc 撮像装置と撮像データの処理方法
US6873658B2 (en) * 1999-12-20 2005-03-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gital still camera system and method
JP3398138B2 (ja) 1999-12-24 2003-04-21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3877538B2 (ja) 2000-03-15 2007-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US7110027B2 (en) * 2001-12-13 2006-09-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till video images using electronic motion video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6402A (ja) * 1997-03-27 1998-10-13 Sanyo Electric Co Ltd 画像記録装置
JPH1155617A (ja) * 1997-08-04 1999-02-26 Hitachi Ltd 撮影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 평10-276402 (1998.10.13 공개)
일본공개특허 평11-055617 (1999.02.26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74668A1 (en) 2008-07-24
KR20080034525A (ko) 2008-04-21
US8120672B2 (en) 2012-02-21
US7990434B2 (en) 2011-08-02
KR20070088789A (ko) 2007-08-29
US8134612B2 (en) 2012-03-13
KR20070087057A (ko) 2007-08-27
KR100803492B1 (ko) 2008-02-14
US20080174669A1 (en) 2008-07-24
CN1413414A (zh) 2003-04-23
CN101252634A (zh) 2008-08-27
KR20020073480A (ko) 2002-09-26
CN101252634B (zh) 2011-04-13
TW502532B (en) 2002-09-11
US7999859B2 (en) 2011-08-16
KR20070088790A (ko) 2007-08-29
US20080174681A1 (en) 2008-07-24
KR100812907B1 (ko) 2008-03-11
KR100837992B1 (ko) 2008-06-13
AU1894401A (en) 2001-07-09
US7489348B2 (en) 2009-02-10
US20030112340A1 (en) 2003-06-19
US20080174667A1 (en) 2008-07-24
US20080174666A1 (en) 2008-07-24
WO2001049026A1 (fr) 2001-07-05
CN100388775C (zh) 2008-05-14
US8120671B2 (en) 201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528B1 (ko) 디지털 카메라와, 그것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제어 장치,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US7903162B2 (en) Electronic camera that display information representative of its selected mode
JP340692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3398141B2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3877538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3398138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4312070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051810A (ja) デジタルカメラ
JP3877742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4338727B2 (ja) 画像処理装置
JP4338725B2 (ja) 画像処理装置
JP4338726B2 (ja) 画像処理装置
JP2011239240A (ja) 撮像装置
JP2005348428A (ja) 画像処理装置
JP2005033830A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