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243B1 - 너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너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243B1
KR100820243B1 KR1020020021123A KR20020021123A KR100820243B1 KR 100820243 B1 KR100820243 B1 KR 100820243B1 KR 1020020021123 A KR1020020021123 A KR 1020020021123A KR 20020021123 A KR20020021123 A KR 20020021123A KR 100820243 B1 KR100820243 B1 KR 100820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ole
screw hole
bol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2754A (ko
Inventor
이쿠타가즈이치
Original Assignee
와카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카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와카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2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 F16B13/080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by a toggle-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너트에 형성된 나사구멍의 끝에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암나사의 변형에 특별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없는 너트 조립체가 제안된다. 너트는 프레임의 마주보는 아암 사이에 피벗가능하고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다. 나사구멍은 관통하여 뻗도록 너트에 형성되고, 리지는 배면상에 일체로 구비되며, 구멍은 나사구멍과 동축으로 구비된다. 구멍은 나사구멍의 암나사 골 지름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더 큰 내경을 가지고 있다.
너트 조립체, 나사구멍, 핀, 프레임, 플랜지부, 아암, 입방체, 배면, 리지

Description

너트 조립체{NUT ASSEMBLY}
도 1a 는 본 발명의 너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 는 너트가 도 1a의 상태로부터 90°회전된 동일한 너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너트 조립체의 너트를 나타내는 종단정면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너트 조립체의 너트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너트 조립체를 사용하여 어떻게 부재가 체결되는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a 는 종래의 너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 는 너트가 도 4a의 상태로부터 90°회전된 동일한 너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는 종래의 너트 조립체의 너트를 나타내는 종단정면도이다.
도 5b 는 종래의 너트 조립체의 너트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너트 조립체를 사용하여 어떻게 부재가 체결되는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배면에 손이 미치지 않는 부재에 기구 등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너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4 내지 6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너트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너트 조립체(1)는 관통 나사구멍(2)과 양측면에 핀(3)을 가지며 볼트(A)에 의해 눌려질 때 피벗하기 위한 경사진 안내면(4)이 한쪽 끝에 형성된 너트(5), 중앙에 볼트 구멍(6)을 가진 플랜지부(7)의 양측면에 구비된 한쌍의 마주보는 아암(8)을 가진 프레임(9)을 포함하고 있다. 아암(8)에 형성된 길다란 구멍(10)에 핀(3)을 지지함으로써, 너트(5)는 마주보는 아암(8) 사이에 장착되어 핀(3)에 대하여 피벗되며 길다란 구멍(10)을 따라 그 안에서 미끄럼가능하게 된다.
너트(5)의 양측면에 돌기부(11)가 구비됨으로써 길다란 구멍(10)의 선단에 핀(3)이 위치된 상태에서, 너트(5)는 너트(5)의 길이방향이 아암(8)의 길이방향과 정렬되는 위치로부터 한방향으로 단지 90°회전할 수 있으며 너트(5)의 길이방향이 아암(8)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위치로부터 길다란 구멍(10)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더욱이 아암(8)의 선단에는, 너트(5)의 길이방향이 아암(8)의 길이방향과 정렬될 때 돌기부(11)와 맞물리기 적합하게 된 돌기부(12)가 구비되어 있다.
프레임(9)의 플랜지부(7)는 장방형이다. 플랜지부(7)의 볼트 구멍(6) 둘레에는, 볼트 구멍(6)을 통하여 삽입된 볼트(A)를 축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볼트 안내벽(13)이 구비되어 볼트는 나사구멍(2)내로 확실하게 나사결합된다.
너트(5)는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뻗은 정상부를 가진 리지(14)를 가지고 있 고, 실질적으로 그 중앙에 관통하여 뻗은 나사구멍을 가지고 있다. 볼트(A)가 진입하는 나사구멍(2)의 측면은 테이퍼진 안내 구멍(15)으로 형성되어 볼트(A)가 나사구멍(2)내로 쉽게 진입할 수 있다. 안내 구멍(15)의 개구 끝은 볼트 안내벽(13)이 그 안에 끼워맞춰지는 내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나사구멍(2)의 내경은 안내 구멍(15)으로부터 배면상의 리지(14)에서 개방되는 그 끝까지 균일하다.
도 6 은 부재(B)에 형성된 구멍(D)내로 삽입된 종래의 너트 조립체(1)를 나타낸다. 이것은 너트 조립체(1)내로 조여지는 볼트(A)에 의해서 어떻게 기구(C)가 부재(B)에 체결되는지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너트 조립체(1)는 먼저 너트(5)와 함께 구멍(D)내로 삽입되고 플랜지부(7)가 부재(B)의 표면과 맞닿을 때까지 더욱더 밀어넣어진다. 기구(C)가 너트 조립체(1)의 플랜지부(7)에 겹쳐지면, 기구(C)의 구멍(E)내로 볼트(A)가 삽입되고, 한편 볼트의 선단으로 너트(5)의 경사진 안내면(4)를 밀게 되며 이에 의해, 너트(5)를 90°회전시킨다. 볼트의 선단은 너트(5)의 테이퍼진 안내면(15)내로 안내되어 나사구멍(2)의 암나사와 나사결합한다. 볼트가 더욱더 회전될 때, 너트(5)는 접근하도록 당겨진다. 이제 장착이 완료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너트 조립체(1)에 있어서 너트(5)는 배면에 말안장 형상의 리지(14)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리지(14)에서 나사구멍(2)의 마지막 나사산은 일부분이 빠진 불완전한 원으로 된다. 그러므로, 구멍(2)의 내부 둘 레에 태핑에 의해 암나사(2a)가 형성되면, 불완전한 암나사가 끝에 형성된다.
특히, 끝에 가까운 일부 암나사(2a)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독립적인 작은 리브로 성형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너트(5)의 제조 단계에 있어서, 암나사(2a)의 성형후에 너트는 일반적으로 연마나 도금을 하게 된다. 이들 단계에서 너트(5)는 서로 부딪치므로, 각각의 너트의 배면의 리지(14)가 다른 너트(5)의 엣지부와 부딪친다. 다른 너트의 엣지가 나사구멍(2)의 끝과 부딪칠 때, 이전 단계에서 형성된 암나사(2a)의 작은 리브는 쉽게 변형된다.
이것은 리지(14)가 말안장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안에 형성된 나사구멍(2)이 변형에 완전히 무방비이기 때문이다.
만약 작은 나사산이 변형되면, 볼트(A)가 들어가고 그 선단이 배면으로 돌출할 때 볼트(A)의 숫나사와 암나사(2a)의 변형된 부분이 맞물리게 되므로, 볼트(A)는 전진하지 못하게 된다.
통상의 너트는 손이나 공구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이런 정도의 변형은 많은 경우에 실질적인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이 지향하는 너트에 있어서는, 만약 손이 닿지않는 중공부에서 프레임(9)의 플랜지(7)로부터 뻗은 아암(8)에 의해서 너트가 단순히 지지된 상태로 맞물림이 일어나면, 이러한 약간의 맞물림 조차도 너트(5)가 볼트(A)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아암(8)이 파손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나사구멍의 끝에서 나사산의 약간의 변형을 허용하도록 크기가 약 간 더 큰 암나사를 형성하거나 또는 높은 수준의 품질관리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면에 형성된 리지에서 너트에 형성된 나사구멍의 개구 끝이 완전한 원으로 되어, 외부 충격에 대하여 보호되기 때문에 연마 또는 도금 단계에서 암나사의 끝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암나사 형성에 특별한 고려가 필요없는 너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관통 나사구멍과 양측면에 핀을 가지고 있는 피벗가능한 너트, 볼트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와 플랜지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뻗은 마주보는 한쌍의 아암을 가지고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아암에는 각각 길다란 구멍이 형성되고, 너트의 한쪽 끝에는 볼트에 의해 밀릴 때 너트를 피벗시키기 위한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되고, 핀이 아암에 형성된 길다란 구멍에 수용된 상태에서 너트가 아암 사이에 피벗가능하고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는 너트 조립체에 있어서, 너트는 길다란 입방체 형상이며, 길이방향 측면의 한쪽으로부터 배면쪽으로 실질적으로 중앙에 관통하여 뻗은 나사구멍을 갖도록 형성되고, 배면에 리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나사구멍의 한쪽 끝이 리지에서 개방하는 위치에 구멍이 나사구멍과 동축으로 구비되고, 구멍은 나사구멍에 형성된 암나사 골 지름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큰 내경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리지에 구비된 구멍은 나사구멍의 암사사 골 지름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큰 내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암나사는 리지에 구비된 구멍에 거의 형성되지 않는다. 불완전한 원의 형태인 구멍과 완전한 원의 형태인 나사구멍 의 끝 사이의 경계에 테이퍼진 표면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구멍의 볼트 진입 측면은 테이퍼진 안내면으로 형성되므로 볼트가 나사구멍내로 쉽게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목적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너트 조립체의 기본 구조는 도 4 내지 6에 근거한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참조부호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사용되며 본 발명의 본질적인 내용에 대해서만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너트 조립체(1)의 너트(5)는 길다란 입방체 형상이며 길이방향 표면의 한쪽으로부터 배면으로 실질적으로 중앙에 관통하여 뻗은 나사구멍(2)을 가지고 있다. 그 배면상에는 말안장 형상을 가진 리지(14)가 일체로 형성된다. 나사구멍의 한쪽 끝이 개방되는 위치에는 나사산이 없는 구멍(21)이 나사구멍(2)과 동축으로 구비된다. 구멍(21)은 나사구멍(2)의 암나사(2a) 골 지름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큰 내경을 가지고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지(14)에 구비된 구멍(21)은 불완전한 원이며 반면에, 구멍(21)과 나사구멍(2) 사이의 경계에서 나사구멍(2)의 끝은 완전한 원이다.
그 내경이 나사구멍(2)의 암나사(2a) 골 지름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크 게 되도록 구멍(21)을 형성하므로써, 암나사(2a)가 태핑에 의해 형성될 때 리지(14)에 구비된 구멍(21)에는 암나사(2a)가 전혀 형성되지 않는다. 불완전한 원의 형태인 구멍(21)과 완전한 원의 형태인 나사구멍(2)의 끝 사이의 경계에는 테이퍼진 표면(22)이 형성될 수 있다.
너트(5)의 나사구멍(2)의 볼트 진입측은 원형의 테이퍼진 안내구멍(15)으로 형성되므로 볼트(A)가 나사구멍(2)내로 쉽게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너트 조립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너트(5)의 리지(14)에서 나사구멍(2)의 끝이 개방하는 위치에 나사없는 구멍(21)이 구비되고 그리고 구멍(21)의 내경을 나사구멍(2)의 암나사(2a) 골 지름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크게 형성함으로써, 배면의 리지(14)에서 너트에 구비된 나사구멍(2)의 끝은 완전한 원의 형태가 된다. 그러므로, 나사구멍(2)의 끝을 외부로부터 충격에 대하여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연마 또는 도금 단계에서 암나사(2a)의 끝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암나사(2a)의 형성에 특별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나사구멍(2)의 암나사(2a)에는, 리지(14)의 개방 끝에서 나사산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볼트(A)가 체결되어 뒷면으로 돌출하게 될 때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볼트는 나사구멍(2)으로 부드럽게 전진하게 된다. 이것은 너트(5)가 볼트(A)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아암이 파손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볼트(A)로 부재(B)에 도구(C)를 확실하고 정확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너트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정상부를 가진 돌출부가 너트의 배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돌출부에서 나사구멍의 끝이 개방되는 위치에 개방된 구멍이 나사구멍과 동축으로 구비되고 개방된 구멍의 내경이 나사구멍의 암나사 골 지름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크기 때문에, 배면의 리지에서 너트에 구비된 나사구멍의 개방된 끝은 완전한 원의 형태가 된다. 게다가, 나사구멍의 개방된 끝을 리지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가게 함으로써, 나사구멍의 끝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하여 보호된다. 그러므로 연마 또는 도금 단계에서 암나사의 끝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암나사의 형성에 특별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없으며 높은 수준의 품질관리가 필요없다. 그러므로, 너트 조립체의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암나사의 끝에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볼트는 나사구멍으로 부드럽게 전진한다. 이것은 너트가 볼트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암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부재는 볼트에 의해서 확실하게 체결될 수 있다.

Claims (1)

  1. 관통 나사구멍과 양측면에 핀을 가지고 있는 피벗가능한 너트와, 볼트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양측으로부터 뻗은 마주보는 한쌍의 아암을 가지고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너트 조립체로서, 상기 아암에는 길다란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너트의 한쪽 끝에는 볼트에 의해 밀릴 때 상기 너트를 피벗시키기 위한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핀이 상기 아암에 형성된 상기 길다란 구멍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가 아암 사이에 피벗가능하고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너트 조립체에 있어서,
    너트는 길다란 입방체 형상이며, 그 길이방향 측면의 한쪽으로부터 배면쪽으로 실질적으로 중앙에 관통하여 뻗은 나사구멍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면에 리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리지에서 나사구멍의 한쪽 끝이 개방되는 곳에 구멍이 상기 나사구멍과 동축으로 구비되고, 상기 구멍은 상기 나사구멍에 형성된 암나사 골 지름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또는 큰 내경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조립체.
KR1020020021123A 2001-04-19 2002-04-18 너트 조립체 KR100820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20680A JP4590125B2 (ja) 2001-04-19 2001-04-19 回転ナット
JPJP-P-2001-00120680 2001-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754A KR20020082754A (ko) 2002-10-31
KR100820243B1 true KR100820243B1 (ko) 2008-04-08

Family

ID=1897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123A KR100820243B1 (ko) 2001-04-19 2002-04-18 너트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69420B2 (ko)
JP (1) JP4590125B2 (ko)
KR (1) KR100820243B1 (ko)
CN (1) CN1247907C (ko)
AU (1) AU780615B2 (ko)
DE (1) DE10217331A1 (ko)
FR (1) FR2823809B1 (ko)
TW (1) TWI2339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28971C (en) * 2003-06-30 2010-10-19 Master Lock Company Llc Integrated receiver pin and clip
CA2502008A1 (en) * 2005-03-21 2006-09-21 Cobra Fixations Cie Ltee - Cobra Anchors Co. Ltd. Anchor with toggle for hollow walls
JP2008267427A (ja) * 2007-04-17 2008-11-06 Sanko Techno Co Ltd 中空構造物用取付金具及び中空構造物用取付金具ユニット
JP2009002481A (ja) * 2007-06-25 2009-01-0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ナット
US8172280B2 (en) * 2008-05-16 2012-05-08 Fischer Herbert J Sheet metal corner for duct flanges
KR100974056B1 (ko) * 2008-06-26 2010-08-04 이근태 히팅 롤브러쉬
NL2002187C2 (nl) * 2008-11-07 2010-05-10 Bm Constructies B V Bevestigingsinrichting.
KR101106160B1 (ko) * 2009-12-16 2012-01-19 이만혁 외부장착이 가능한 거푸집 연결구
US20110176865A1 (en) * 2010-01-21 2011-07-21 Q.E.D. Environmental Systems, Inc. Cam-bolt assembly
JP5295990B2 (ja) * 2010-02-10 2013-09-18 株式会社ニフコ 留め具
US8511003B2 (en) * 2011-11-01 2013-08-20 Jesse B. Trebil Wall anchoring device and method of installation requiring no soil excavation
JP5265802B1 (ja) * 2012-10-04 2013-08-14 株式会社双和 取付け具
JP5315451B1 (ja) * 2012-10-23 2013-10-16 株式会社三原金属工業 固定用ボルト
JP6329780B2 (ja) * 2014-02-24 2018-05-23 株式会社オノダネイル 固定装置
DE102015104963A1 (de) 2014-03-31 2015-10-01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Verbinder, Verbindungsverfahren sowie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JP6472257B2 (ja) * 2015-02-04 2019-02-20 若井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ナット
JP2016196941A (ja) * 2015-04-06 2016-11-24 イイファス株式会社 ブラインドトグルナットアンカー
EP3482087B1 (en) * 2016-07-05 2023-01-18 Grapplefix Limited Fixing device
WO2018144774A1 (en) * 2017-02-01 2018-08-09 Theodore Garfield Metal channel anchor with enhanced holding strength
FR3071566A1 (fr) * 2017-09-25 2019-03-29 Salvatore Fidaleo Insert filete composite
JP6980258B2 (ja) 2017-09-25 2021-12-15 若井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留め具のホルダー
JP6954610B2 (ja) * 2017-10-30 2021-10-27 若井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ブラインド用の板ナット
US11592052B2 (en) 2018-11-27 2023-02-28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assembly with pivoting nut
CN112870622B (zh) * 2021-01-13 2021-11-05 湖南文理学院 基于壁挂折叠式的体育单杠器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0758A (en) * 1973-02-28 1975-06-24 Michel Bouchard Anchoring device for securing and positioning equipment
JPS56138987U (ko) * 1980-03-21 1981-10-21
KR970042357A (ko) * 1995-12-29 1997-07-24 한승준 자동차 유리의 단면 구조
JPH116516A (ja) * 1997-06-18 1999-01-12 Hard Lock Kogyo Kk 緩み止めナット
KR0138321Y1 (ko) * 1994-12-13 1999-05-15 전성원 스프링 너트
KR100220998B1 (ko) * 1996-06-03 1999-09-15 진인주 구조물의 부착물 부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1024A (en) * 1923-08-08 1924-12-30 Diamond Expansion Bolt Co Anchor-bolt nut
NL127458C (ko) * 1963-02-26
JPS5333073Y2 (ko) * 1974-11-11 1978-08-15
JPS51135868A (en) * 1975-05-20 1976-11-25 Yoshiichi Sakamura Equipment for heading of materials for specially shaped nuts
SE8502114L (sv) * 1985-04-30 1986-10-31 Thorsman & Co Ab Festanordning for infestning i genomgaende hal i vegg- eller takplattor
JPH0445662Y2 (ko) * 1989-07-31 1992-10-27
JPH066727U (ja) * 1992-06-30 1994-01-28 ダイコー化学工業株式会社 回転式ナット
DE9314641U1 (de) * 1993-09-28 1995-02-09 Wilke Heinrich Hewi Gmbh Vorrichtung und deren Anwendung zur Befestigung eines Gegenstandes an einer Wand
JPH07167129A (ja) * 1993-12-13 1995-07-04 Nippon Fastener Kogyo Kk 高力ボルト・六角ナット・平座金のセット
JPH0738729U (ja) * 1993-12-14 1995-07-14 株式会社協和製作所 座付きナット
JPH10220448A (ja) * 1997-02-04 1998-08-21 Wakai Sangyo Kk 組み合わせナット体
JP4400970B2 (ja) * 1999-11-22 2010-01-20 若井産業株式会社 ナットの包装方法と包装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0758A (en) * 1973-02-28 1975-06-24 Michel Bouchard Anchoring device for securing and positioning equipment
JPS56138987U (ko) * 1980-03-21 1981-10-21
KR0138321Y1 (ko) * 1994-12-13 1999-05-15 전성원 스프링 너트
KR970042357A (ko) * 1995-12-29 1997-07-24 한승준 자동차 유리의 단면 구조
KR100220998B1 (ko) * 1996-06-03 1999-09-15 진인주 구조물의 부착물 부착장치
JPH116516A (ja) * 1997-06-18 1999-01-12 Hard Lock Kogyo Kk 緩み止めナ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17807A (ja) 2002-10-31
FR2823809A1 (fr) 2002-10-25
AU3298802A (en) 2002-10-24
FR2823809B1 (fr) 2004-10-29
CN1247907C (zh) 2006-03-29
TWI233965B (en) 2005-06-11
US20020154965A1 (en) 2002-10-24
US6669420B2 (en) 2003-12-30
DE10217331A1 (de) 2002-11-28
AU780615B2 (en) 2005-04-07
KR20020082754A (ko) 2002-10-31
CN1381678A (zh) 2002-11-27
JP4590125B2 (ja)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243B1 (ko) 너트 조립체
EP1223354B1 (en) Fastener
US4957449A (en) Connector housing unit having threaded fastener
US6176158B1 (en) Pincers
US5539152A (en) Cable connector
KR100777763B1 (ko) 선회 가능한 너트를 구비한 너트 조립체
KR20110008702A (ko) 로크너트
CA2313288C (en) A bolt
JP2005163834A (ja) ねじ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連結具
JP4425160B2 (ja) クリップ
KR102231745B1 (ko) 신속 체결 장치
US20070243046A1 (en) Simple Fastening Device
US5030964A (en) Telescopic antennas for use in vehicles
US7338312B2 (en) Universal cable and work box connector
JP3575211B2 (ja) 付属装置
US20200158160A1 (en) Captive screw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JP4741719B2 (ja) 部品の連結装置
EP1495260B1 (en) Articulated mechanical device particularly for lighting apparatuses
JP2007327555A (ja) 電子機器筐体
JP7249923B2 (ja) 封止構造
JPH11182521A (ja) ね じ
JP2009289685A (ja) コネクタ固定ネジの緩み止めキャップ
KR102107681B1 (ko) 이중나사선 볼트, 너트 및 스냅링 너트
JP2009114660A (ja) キャビネット用蝶番
KR19980058280U (ko) 낚시용 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