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321Y1 - 스프링 너트 - Google Patents

스프링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321Y1
KR0138321Y1 KR2019940033912U KR19940033912U KR0138321Y1 KR 0138321 Y1 KR0138321 Y1 KR 0138321Y1 KR 2019940033912 U KR2019940033912 U KR 2019940033912U KR 19940033912 U KR19940033912 U KR 19940033912U KR 0138321 Y1 KR0138321 Y1 KR 0138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nut
lower plates
fastening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3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535U (ko
Inventor
장성환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3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321Y1/ko
Publication of KR9600235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5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321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연결부의 양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상,하부판이 구비되어 그 상,하부판의 중앙부에는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공이 각각 천공된 본체와 상기 하부판에 천공된 볼트공의 상부로 돌출되어 보디 또는 브래킷에 형성된 체결공내로 삽입되는 유동방지용 지지턱과 상기 하부판에 천공된 볼트공의 하부로 형성되어 내부에 볼트체결용 너트가 인서트되는 인서트 박스가 일체형의 합성수지로 성형제작되어 작업시에 보디등이 흠이 생기어 녹이 발생하는 경우등을 방지하며, 작업성 향상 및 정확한 체결이 가능하도록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스프링 너트
제1도는 종래의 스프링 너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연결부 2 : 상부판
3 : 하부판 4 : 볼트공
5 : 본체 6 : 보디 또는 브래킷
7 : 체결공 8 : 지지턱
9 : 볼트 체결용 너트 10 : 너트 박스
본 고안은 스프링 너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디(BODY)나 브래킷(BRACKET)을 고정시키는 경우 작업시 긁히는 경우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상 및 재질을 종래와는 다르게 하여 작업성 향상 및 정확한 체결을 가능하게 한 스프링 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스프링 너트의 전체 구조는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너트(21)의 상부에 볼트를 삽입할 수 있는 볼트공(22)이 천공되며 상하부판(23)(24)으로 나누어진 'ㄷ'자 형상의 본체(25)를 용접 고정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스프링 너트의 구조는 보디등이 삽입되는 본체(25)가 철판으로 되어 있어, 삽입시 보디나 브래킷이 긁히게 되거나 작업시 로테이션에 의한 흠집이 발생하며, 그 흠집부위에 녹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재질 및 형상을 변경하여 작업시에 흠집이 생기는 경우를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녹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려는데 있다.
또한, 볼트가 정확히 체결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지지턱을 설치하여 작업성의 향상 및 정확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연결부(1)의 양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상,하부판(2)(3)이 구비되어 그 상,하부판(2)(3)의 중앙부에는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공(4)이 각각 천공된 본체(5)와; 상기 하부판(3)에 천공된 볼트공(4)의 상부로 돌출되어 보디 또는 브래킷(6)에 형성된 체결공(7)내로 삽입되는 유동방지용 지지턱(8)과; 상기 하부판(3)에 천공된 볼트공(4)의 하부로 형성되어 내부에 볼트체결용 너트(9)가 인서트되는 너트박스(10)가 일체형의 합성수지로 성형제작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제2도를 살펴보면, 보디 또는 브래킷(6)을 상술한 상하부판(2)(3) 사이에 삽입하되 보디 또는 브래킷(6)에 형성된 체결공(7)이 상술한 유동방지용 지지턱(8)에 걸릴 수 있도록 하고, 상술한 볼트공(4)에 볼트를 삽입하여 볼트체결용 너트(9)와 체결시키어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재질은 녹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를 사용하며, 너트를 미리 삽입하여 성형시키는 인서트(INSERT) 성형으로 실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볼트를 삽입하는 부위와 보디 등을 고정시키는 부분을 일체로 하고 합성수지로 재질을 변경하여 작업시에 보디등이 흠이 생기어 녹이 발생하는 경우등을 방지하며, 별도의 지지턱을 설치하여 작업성 향상 및 정확한 체결이 가능하도록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수직연결부(1)의 양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상,하부판(2)(3)이 구비되어 그 상,하부판(2)(3)의 중앙부에는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공(4)이 각각 천공된 본체(5)와; 상기 하부판(3)에 천공된 볼트공(4)의 상부로 돌출되어 보디 또는 브래킷(6)에 형성된 체결공(7)내로 삽입되는 유동방지용 지지턱(8)과; 상기 하부판(3)에 천공된 볼트공(4)의 하부로 형성되어 내부에 볼트체결용 너트(9)가 인서트되는 너트박스(10)가 일체형의 합성수지로 성형제작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너트.
KR2019940033912U 1994-12-13 1994-12-13 스프링 너트 KR0138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912U KR0138321Y1 (ko) 1994-12-13 1994-12-13 스프링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912U KR0138321Y1 (ko) 1994-12-13 1994-12-13 스프링 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535U KR960023535U (ko) 1996-07-22
KR0138321Y1 true KR0138321Y1 (ko) 1999-05-15

Family

ID=1940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3912U KR0138321Y1 (ko) 1994-12-13 1994-12-13 스프링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3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243B1 (ko) * 2001-04-19 2008-04-08 와카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너트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243B1 (ko) * 2001-04-19 2008-04-08 와카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너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535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0510C (fi) Haollare.
KR0138321Y1 (ko) 스프링 너트
US6378967B1 (en) Clamp-on drawer slide
KR200165711Y1 (ko) 냉장고의 힌지고정구조
KR20020044018A (ko) 너트 홀더 구조
KR950005760Y1 (ko) VTR의 코드 홀더(Cord Holder)고정 구조
KR0132515Y1 (ko) 파이프 취부용 브라켓
KR100239659B1 (ko) 전선 및 호스류 고정클립
JPS6350557Y2 (ko)
KR100391636B1 (ko) 자동차의 윈도우글래스 장착구조
KR200147665Y1 (ko) 고정용 클립
JPH0517035Y2 (ko)
KR200148733Y1 (ko) 차량용 라디에타그릴의 설치구조
KR200153531Y1 (ko) 세탁기의 걸이봉 지지구조
KR940005201Y1 (ko) 스탠드옷걸이의 걸이봉 체결장치
JPS637030Y2 (ko)
JPS6133798Y2 (ko)
JP2000092665A (ja) 杆体取付型配線案内装置
KR960004747Y1 (ko) 자동차후사경의 덮개착탈구조
KR19990019275U (ko) 차량의 도어 힌지 고정지그 부착용 클린칭 지그
KR910002894Y1 (ko) 냉장고의 상판
KR200158221Y1 (ko) 냉장고의 응축기 조립구조
KR200152240Y1 (ko) 파이프 홀더
KR100569477B1 (ko) 자동차용 타이밍벨트 커버의 클립장치
KR200148219Y1 (ko) 자동차용 커버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