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패널과, 제1 표시 패널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과, 광원이 실장되는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과,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제1 표시 패널측에 설치하기 위한 제1 양면 테이프를 구비하고, 제1 양면 테이프의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는 제1 양면 테이프의 제1 표시 패널측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보다도 작다.
이 제1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가 제1 표시 패널측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보다도 작은 제1 양면 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제1 양면 테이프를 거쳐서 접착되는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제1 표시 패널측으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제1 표시 패널측에 접착된 제1 양면 테이프의 접착 강도에 비해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접착된 제1 양면 테이프의 접착 강도의 쪽이 작으므로, 제1 표시 패널측으로부터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표시 패널측에 접착된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떼어내는 데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큰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큰 부하가 가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실장되는 광원이 파손되거나,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단선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표시 패널측에 제1 양면 테이프를 거쳐서 접착되는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과 광원을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낼 수 있으므로, 이 재이용 가능한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 및 광원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다시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양면 테이프는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제1 표시 패널측으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제1 가 요성 프린트 배선판 및 광원을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접착 강도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 및 광원을 용이하게 재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실장되는 광원을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과, 제1 표시 패널과 프레임을 접착하기 위한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차광 시트를 더 구비하고, 제1 양면 테이프는 차광 시트와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1 양면 테이프의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는 차광 시트의 제1 양면 테이프에 접착되는 면 및 제1 표시 패널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보다도 작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차광 시트에 제1 양면 테이프를 거쳐서 접착되는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차광 시트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제1 양면 테이프 및 제1 표시 패널에 접착되는 차광 시트의 접착 강도에 비해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접착된 제1 양면 테이프의 접착 강도의 쪽이 작으므로, 차광 시트로부터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그 결과, 차광 시트에 제1 양면 테이프를 거쳐서 접착되는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과 광원을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낼 수 있으므로, 이 재이용 가능한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 및 광원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다시 조립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프레임과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접착하기 위한 제2 양면 테이프를 더 구비하고, 제1 양면 테이프의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는 제2 양면 테이프의 프레임에 접착되는 면 및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보다도 작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접착 강도가 큰 제2 양면 테이프에 의해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프레임에 대해 견고하게 접착하면서 접착 강도가 작은 제1 양면 테이프에 의해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제1 표시 패널에 대해 약한 접착력으로 접착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레임에 견고하게 접착된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제1 표시 패널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상기 차광 시트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양면 테이프는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도록 차광 시트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차광 시트에 배치된 제1 양면 테이프가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접착되므로, 제1 양면 테이프의 접착 강도보다도 큰 접착 강도를 갖는 차광 시트에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의 전체 영역이 접착되는 경우와 달리, 차광 시트가 접착되는 제1 표시 패널측으로부터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상기 차광 시트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차광 시트의 외형은 평면적으로 볼 때 제1 표시 패널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양면 테이프는 사각형의 외형을 갖는 차광 시트의 소정의 1변의 단부 근방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차광 시트의 소정의 1변의 단부 근방을 따라서 설치된 접착 강도가 작은 제1 양면 테이프에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이 접착되므로, 접착 강도가 큰 차광 시트의 소정의 1변의 단부 근방에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이 견고하게 접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광 시트의 단부 근방으로부터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더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상기 제1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표시 패널에 대응하도록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실장되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제1 표시 패널로 유도하기 위한 도광판을 더 구비하고, 광원이 실장되는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은 광원이 도광판의 소정의 1변의 측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1 양면 테이프에 의해 제1 표시 패널측에 접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광원을 도광판의 소정의 1변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한 구조에 있어서도 접착 강도가 작은 제1 양면 테이프의 기능에 의해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과 광원을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제1 표시 패널측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광원은 도광판의 소정의 1변의 측면에 광을 조사하도록 도광판의 소정의 1변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도광판의 소정의 1변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되는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이용한 경우에도 접착 강도가 작은 제1 양면 테이프의 기능에 의해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과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제1 표시 패널측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도광판을 사이에 두고 제1 표시 패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표시 패널을 더 구비하고, 제1 가 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실장되는 광원 및 도광판은 제1 표시 패널 및 제2 표시 패널에 공통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1개의 광원 및 1개의 도광판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제1 표시 패널 및 제2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접착 강도가 작은 제1 양면 테이프의 기능에 의해 제1 표시 패널과 광원이 실장되는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분해한 경우에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 및 광원을 재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표시 패널은 메인 패널이고, 제2 표시 패널은 메인 패널보다도 작은 서브 패널이라도 좋다.
상기 제2 표시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표시 패널 및 제2 표시 패널에 접속되는 제2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더 구비하고, 광원이 실장되는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은 제2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광원이 실장되는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이 제2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접속된 상태에서 제1 표시 패널로부터 광원이 실장되는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떼어내는 경우라도 접착 강도가 작은 제1 양면 테이프의 기능에 의해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제1 표시 패널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으므로,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떼어낼 때에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거쳐서 제2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 제2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 및 광원을 재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는 개구부를 갖는 제1 프레임과,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갖는 동시에, 제1 프레임과 대향하고, 또한 표시 영역이 제1 프레임의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치된 제1 표시 패널과, 제1 프레임과 제1 표시 패널의 표면과의 사이에 제1 표시 패널의 표면에 접착하지 않도록 배치된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프레임과 제1 표시 패널의 표면 사이에 완충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제1 프레임측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완충 부재에 의해 제1 프레임측으로부터 가해진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프레임측으로부터의 외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그 제1 프레임측으로부터의 외력이 제1 표시 패널까지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1 표시 패널이 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를 제1 표시 패널의 표면에 접착하지 않도록 제1 프레임과 제1 표시 패널의 표면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완충 부재가 제1 프레임에 접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제1 프레임을 완충 부재와 함께 제1 표시 패널측으로부터 제거할 때에 제1 프레임이 제1 표시 패널측으로 인장되는 힘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1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의 분해 후(제1 표시 패널측으로부터 제1 프레임을 제거한 후)에 제1 프레임을 재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완충 부재는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완충 부재에 의해 제1 프레임측으로부터 가해진 외력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2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완충 부재는 제1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제1 프레임과 제1 표시 패널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비표시 영역)에 제1 프레임측으로부터 외력이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완충 부재는 제1 프레임의 개구부의 외연부 근방의 제1 표시 패널측의 표면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도록 제1 프레임과 제1 표시 패널의 표면 사이에 완충 부재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1 프레임은 금속제이고, 완충 부재는 제1 프레임의 개구부의 외연부 근방의 표면과 제1 표시 패널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금속제의 제1 프레임의 개구부의 외연부 중 적어도 일부에는 교축 가공(drawing)에 의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교축 가공에 의한 오목부에 의해 금속제의 제1 프레임의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프레임을 제1 표시 패널측으로부터 제거할 때에 제1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교축 가공에 의한 오목부에 의해 제1 프레임의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제1 프레임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프레임의 휨에 의해 완충 부재가 변형되는 것에 기인하여 제1 표시 패널의 표면과 완충 부재가 접촉하지 않는 부분(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표시 패널의 표면과 완충 부재의 간극으로부터의 먼지의 침입이나 광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는 제1 표시 패널과, 제1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과,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와,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과 보강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과 보강 부재를 접착하기 위한 제1 양면 테이프를 구비하고, 제1 양면 테이프의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는 제1 양면 테이프의 보강 부재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보다 작다.
이 제3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양면 테이프의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가 제1 양면 테이프의 보강 부재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보다 작은 제1 양면 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보강 부재에 제1 양면 테이프를 거쳐서 접착된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떼어내는 경우에 제1 양면 테이프와 보강 부재의 접착 강도에 비해 제1 양면 테이프와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의 접착 강도의 쪽이 작으므로, 보강 부재로부터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에 의해, 보강 부재로부터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떼어내는 데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에 접촉 불량이 생기거나,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의 배선에 단선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보강 부재에도 큰 힘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보강 부재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보강 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양면 테이프를 거쳐서 접착되는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 및 보강 부재를 서로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낼 수 있으므로, 이 재이용 가능한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 및 보강 부재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다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보강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으므로, 조립 시에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이 접착되어 있는 위치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의 표면측에는 커넥터가 실장되어 있고, 제1 양면 테이프는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착탈하는 경우에 보강 부재와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의 접착이 떨어지지 않고, 또한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보강 부재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이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접착 강도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의 커넥터에 접속 단자를 착탈하는 것에 기인하여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과 보강 부재의 접착을 떼어내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과 보강 부재의 접착이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보강 부재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낼 수 있는 제1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였다고 해도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과 보강 부재의 접착이 떨어지지 않고,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의 커넥터에 접속 단자를 착탈할 수 있다.
상기 제3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보강 부재는 제1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보강 부재의 제1 개구부의 모서리부에는 제1 표시 패널과 보강 부재를 접착하기 위한 제2 양면 테 이프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양면 테이프의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는 제2 양면 테이프의 제1 표시 패널에 접착되는 면 및 보강 부재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보다도 작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접착 강도가 작은 제1 양면 테이프에 의해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낼 수 있도록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보강 부재에 접착하면서 접착 강도가 큰 제2 양면 테이프에 의해 제1 표시 패널을 보강 부재에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제3 국면에 의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은 제1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노출하도록 마련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1 양면 테이프는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의 제2 개구부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도록 보강 부재의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노출하기 위해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제2 개구부를 마련함으로써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라도 보강 부재로부터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으므로, 제2 개구부가 마련된 기계적 강도가 낮은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에 단선 등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개구부가 마련된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보강 부재로부터 떼어낸 경우라도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을 재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1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한 LCD 유닛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LCD 유닛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패 널(상측 패널)(10)과 메인 패널(하측 패널)(20)을 포함하고 있다.
서브 패널(10)의 구조로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매의 유리 기판(11a 및 11b)이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리 기판(11a)의 유리 기판(11b)은 반대측의 표면 상에는 편광판(12a)이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유리 기판(11b)의 유리 기판(11a)과는 반대측의 표면 상에는 편광판(12b)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편광판(12a)(12b)이 배치된 영역 내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서브 패널(10)의 표시 영역(10a)이 되는 동시에, 표시 영역(10a) 이외의 영역이 비표시 영역(10b)이 된다. 또한, 서브 패널(10)의 비표시 영역(10b) 내의 소정 영역에 있어서, 유리 기판(11a)의 유리 기판(11b)측의 표면 상에는 서브 패널용 구동 IC(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브 패널용 구동 IC(13)에는 서브 패널용 FPC(가요성 프린트 배선판)(1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3의 하방측에 배치되는 메인 패널(20)의 구조로서는, 상기한 서브 패널(10)의 구조와 마찬가지이다. 즉, 메인 패널(20)에서는 2매의 유리 기판(21a 및 21b)이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리 기판(21a)의 유리 기판(21b)과는 반대측의 표면 상에는 편광판(22a)이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유리 기판(21b)의 유리 기판(21a)과는 반대측의 표면 상에는 편광판(22b)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편광판(22a)(22b)이 배치된 영역 내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메인 패널(20)의 표시 영역(20a)이 되는 동시에, 표시 영역(20a) 이외의 영역이 비표시 영역(20b)이 된다. 또한, 메인 패널(20)의 표시 영역(20a)은 서브 패널(10)의 표시 영역(10a)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한, 메인 패널(20)의 비표시 영역(20b) 내의 소정 영역에 있어서, 유리 기판(21a)의 유리 기판(21b)측의 표면 상에는 메인 패널용 구동 IC(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패널용 구동 IC(23)에는 메인 패널용 FPC(24)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LCD 유닛에서는 수지 프레임(31)의 상방측에 서브 패널(10)이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수지 프레임(31)의 하방측에 메인 패널(2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지 프레임(31)은 본 발명의「프레임」의 일 예이다. 구체적으로는, LCD 유닛의 수지 프레임(31)은, 도3,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은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긴 변부와, 길이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짧은 변부를 포함하는 동시에,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 프레임(31)의 2개의 긴 변부의 측면에는 각각 후술하는 베젤(금속제 프레임)(43)용 결합 부재(31a)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3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지 프레임(31)의 한쪽의 짧은 변부의 측면에는 베젤(43)용 결합 부재(31a)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1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지 프레임(31)의 한쪽의 짧은 변부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보강 플레이트(39)용 1개의 결합 부재(31b)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지 프레임(31)의 다른 쪽의 짧은 변부의 측면의 양단부에는 각각 보강 플레이트(39)용 결합 부재(31b)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3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프레임(31)의 다른 쪽의 짧은 변부와 수지 프레임(31)의 2개의 긴 변부의 연결 부분에는 각각 후술하는 공통 FPC(42)용 위치 결정 핀(31c)이 서브 패널(10)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지 프레임(31)의 다른 쪽의 짧은 변부의 메인 패널(20)측에는 절결부(31e)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3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프레임(31)의 절결부(31e)의 메인 패널(20)측의 표면에는 양면이 강한 점착 강도를 갖는 양면 테이프(No. 532, 닛또 덴꼬제)(32)를 거쳐서 LED(발광 다이오드)(33)가 실장된 LED용 FPC(34)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LED(33)는 본 발명의「광원」의 일 예이고, LED용 FPC(34)는 본 발명의「제1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의 일 예이다. 또한, 강점착의 양면 테이프(32)는 약 60 ㎛의 두께를 갖는 동시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면 상에 각각 강점착층이 도포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양면 테이프(32)의 접착 강도에 대해 설명한다. 이 양면 테이프(32)를 스테인레스제의 기재(其材)에 접착한 상태로부터 180°의 방향으로 20 ㎜만큼 떼어내는 경우에는 약 6.0 N의 떼어내는 힘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양면 테이프(32)와 스테인레스제의 기재는 약 6.0 N의 접착 강도로 접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양면 테이프(54)의 LED용 FPC(34)에 접착되는 미세 점착층(54b)의 접착 강도(약 2.5 N)는 양면 테이프(32)의 수지 프레임(31)에 접착되는 면 및 LED용 FPC(34)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약 6.0 N)보다도 작다.
또한, 수지 프레임(31)의 프레임 내에는 LED(33)의 광을 서브 패널(10) 및 메인 패널(20)로 유도하기 위한 도광판(35)이 설치되어 있다. 즉, LED(33) 및 도광판(35)은 서브 패널(10) 및 메인 패널(20)의 양쪽에서 공통으로 사용된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35)의 서브 패널(10)측의 표면 상에 는 도광판(35)측으로부터 차례로 2매의 렌즈 시트(36) 및 1매의 확산 시트(37)가 배치되어 있다. 렌즈 시트(36)는 도광판(35)으로부터의 광을 집광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확산 시트(37)는 렌즈 시트(36)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확산 시트(37)의 서브 패널(10)측의 표면 상에는 개구부(38a)를 갖는 차광 시트(3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차광 시트(38)는 서브 패널(10)측에 있어서, LED(33)로부터의 광이 표시 영역(10a)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차광 시트(38)의 개구부(38a)는 서브 패널(10)의 표시 영역(10a)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차광 시트(38)의 외연부는 수지 프레임(31)의 2개의 긴 변부와 2개의 짧은 변부에 접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광판(35)과 차광 시트(38)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 시트(36) 및 확산 시트(37)가 수지 프레임(31)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차광 시트(38)의 서브 패널(10)측의 표면 상에는 스테인레스제의 판금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보강 플레이트(39)가 배치되어 있다. 이 보강 플레이트(39)는 후술하는 공통 FPC(42)를 보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도3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39)에는 개구부(39a 및 39b)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 플레이트(39)의 개구부(39a)는 서브 패널(10)의 표시 영역(10a)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보강 플레이트(39)의 개구부(39b)는 서브 패널용 구동 IC(13)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39)의 수지 프레임(31)의 3개의 결합 부재(31b)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각각 수지 프레임(31)의 결합 부재(31b)와 결합하는 결합 구멍(39c)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39)의 수지 프레임(31)의 2개의 위치 결정 핀(31c)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각각 긴 구멍(39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플레이트(39)의 3개의 결합 구멍(39c)의 각각이 수지 프레임(31)의 3개의 결합 부재(31b)와 결합함으로써 보강 플레이트(39)가 수지 프레임(31)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수지 프레임(31)의 위치 결정 핀(31c)은 보강 플레이트(39)의 긴 구멍(39d)을 거쳐서 서브 패널(10)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39)에는 서브 패널(10)[유리 기판(11a)]의 3변을 둘러싸도록 서브 패널(10)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위치 결정용 돌출 부재(39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플레이트(39)의 복수의 돌출 부재(39e)는 서브 패널(10)의 표시 영역(10a)이 보강 플레이트(39)의 개구부(39a)에 배치되도록 보강 플레이트(39)에 대해 서브 패널(10)을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39)의 서브 패널(10)측의 표면에는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No. 5690, 닛또 덴꼬제)(40)가 접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40)는 보강 플레이트(39)의 서브 패널(10)에 대응하는 영역을 둘러싸도록 보강 플레이트(39)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강점착의 양면 테이프(41)는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40)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보강 플레이트(39)의 개구부(39a)의 외연부를 따른 영역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40)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12 ㎛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40a)의 한쪽 및 다른 쪽의 표면 상에 각각 약 9 ㎛의 두께를 갖는 미세 점착층(40b) 및 약 9 ㎛의 두께를 갖는 강점착층(40c)이 도포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 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40)의 강점착층(40c)(도9 참조)이 보강 플레이트(39)의 서브 패널(10)측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40)의 미세 점착층(40b)(도9 참조)은 공통 FPC(42)의 메인 패널(20)측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즉, 도3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39)의 서브 패널(10)측의 표면에는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40)를 거쳐서 공통 FPC(42)가 접착되어 있다. 이 공통 FPC(42)는 서브 패널(10) 및 메인 패널(20)의 양쪽에서 공통으로 사용된다. 또한, 공통 FPC는 본 발명의「제2 가요성 프린트 배선판」의 일 예이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양면 테이프(40)의 접착 강도에 대해 설명한다. 이 양면 테이프(40)의 미세 점착층(40b)을 스테인레스제의 기재에 접착한 상태로부터 180°의 방향으로 20 ㎜만큼 떼어내는 경우에는 약 2.5 N의 떼어냄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양면 테이프(40)의 미세 점착층(40b)과 스테인레스제의 기재는 약 2.5 N의 접착 강도로 접착된다. 이에 대해, 양면 테이프(40)의 강점착층(40c)을 스테인레스제의 기재에 접착한 상태로부터 180°의 방향으로 20 ㎜만큼 떼어내는 경우에는 약 8.0 N의 떼어냄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양면 테이프(40)의 강점착층(40c)과 스테인레스제의 기재는 약 8.0 N의 접착 강도로 접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면 테이프(40)의 후술하는 공통 FPC(42)에 접착되는 미세 점착층(40b)의 접착 강도(약 2.5 N)는 양면 테이프(40)의 보강 플레이트(39)에 접착되는 강점착층(40c)의 접착 강도(약 8.0 N)보다 작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면 테이프(40)의 미세 점착층(40b)은 후술하는 공통 FPC(42)의 커넥터(42c)에 접속되는 LED용 FPC(34)의 단자(34a)나, 커넥터(42d)에 접속되는 서브 패널용 FPC(14)의 단자(14a)를 착탈하는 경우에 보강 플레이트(39)와 공통 FPC(42)의 접착이 떨어지지 않고, 또한 공통 FPC(42)를 보강 플레이트(39)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공통 FPC(42)가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접착 강도(약 2.5 N)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 플레이트(39)의 서브 패널(10)측의 표면에는 강점착의 양면 테이프(No. 532, 닛또 덴꼬제)(41)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양면 테이프(41)는 본 발명의「제2 양면 테이프」의 일 예이다. 또한, 강점착의 양면 테이프(41)는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40)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보강 플레이트(39)의 개구부(39a)의 외연부를 따른 영역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양면 테이프(41)의 접착 강도에 대해 설명한다. 이 양면 테이프(41)를 스테인레스제의 기재에 접착한 상태로부터 180°의 방향으로 20 ㎜만큼 떼어내는 경우에는 약 6.0 N의 떼어냄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양면 테이프(41)와 스테인레스제의 기재는 약 6.0 N의 접착 강도로 접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면 테이프(40)의 공통 FPC(42)에 접착되는 미세 점착층(40b)의 접착 강도(약 2.5 N)는 양면 테이프(41)의 서브 패널(10)에 접착되는 면 및 보강 플레이트(39)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약 6.0 N)보다 작다.
또한, 공통 FPC(42)는 개구부(42a)를 갖는 동시에, 그 개구부(42a)는 서브 패널(10)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보강 플레이트(39)와 공통 FPC(42)는 서브 패널(10)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소정 영역에 위치하는 미세 점착 의 양면 테이프(40)만을 거쳐서 접착되어 있다. 또한, 도3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 FPC(42)의 수지 프레임(31)의 2개의 위치 결정 핀(31c)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각각 위치 결정 구멍(4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플레이트(39)에 접착되는 공통 FPC(42)는 공통 FPC(42)의 위치 결정 구멍(42b)과 수지 프레임(31)의 위치 결정 핀(31c)에 의해, 수지 프레임(31)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공통 FPC(42)에는 LED용 FPC(34)의 단자(34a)가 삽입되는 커넥터(42c)와, 서브 패널용 FPC(14)의 단자(14a)가 삽입되는 커넥터(42d)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공통 FPC(42)에는 커넥터(42c 및 42d) 이외의 복수의 커넥터(42e)도 실장되어 있다. 또한, 공통 FPC(42)는 메인 패널용 FPC(2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패널(10)은 공통 FPC(42)의 개구부(42a)를 거쳐서 보강 플레이트(39)에 접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브 패널(10)의 표시 영역(10a)을 둘러싸는 영역[비표시 영역(10b)]이 보강 플레이트(39)의 개구부(39a)의 외연부를 따른 영역에 위치하는 강점착의 양면 테이프(41)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39)에 접착된 서브 패널(10)은 보강 플레이트(39)의 위치 결정용 돌출 부재(39e)에 의해 서브 패널(10)의 표시 영역(10a)이 보강 플레이트(39)의 개구부(39a)에 배치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서브 패널(10)의 상방에는 스테인레스제의 판금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베젤(금속제 프레임)(43)이 배치되어 있다. 이 베젤(43)은, 도3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43a)를 갖는 동시에, 그 개구부(43a)는 서브 패널(10)의 표시 영역(10a)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서브 패널(10)의 표시 영역(10a)이 베젤(43)의 개구부(43a)로부터 노출된다. 또한, 베젤(43)의 짧은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는 각각 결합 구멍(43b)이 3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젤(43)의 길이 방향에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면 중 한쪽에는 1개의 결합 구멍(4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젤(43)의 7개의 결합 구멍(43b)의 각각이 수지 프레임(31)의 7개의 결합 부재(31a)와 결합함으로써 베젤(43)이 수지 프레임(31)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베젤(43)에는 공통 FPC(42)에 실장된 커넥터(42c 내지 42e)의 각각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43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3, 도4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패널(10)과 베젤(43) 사이에, 서브 패널(10)의 표면에 접착하지 않도록 쿠션층(44)이 배치되어 있다. 이 쿠션층(44)은 발포성 재료(SCF-100, 닛또 덴꼬제)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쿠션층(44)은 본 발명의「완충 부재」의 일 예이다. 또한, 이 쿠션층(44)은 강점착의 양면 테이프(No. 532, 닛또 덴꼬제)(45)를 거쳐서 베젤(43)의 개구부(43a)의 외연부 근방의 서브 패널(10)측의 표면을 따라서 접착되어 있다.
또한, 베젤(43)의 개구부(43a)의 외연부의 전체 영역을 따라서 교축 가공에 의한 오목부(43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젤(43)의 오목부(43d)는 베젤(43)의 오목부(43d) 이외의 부분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그리고, 쿠션층(44)은 베젤(43)의 오목부(43d)의 서브 패널(10)측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젤(43)의 오목부(43d)의 서브 패널(10)측의 표면에 접착된 쿠션층(44)은 서브 패널(10)[유리 기판(11a)]의 서브 패널용 구동 IC(13)가 형성된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서브 패널(10)의 표시 영역(10a)을 둘러싸도록 접촉하고 있다. 또한, 도4 및 도5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로 인해, 렌즈 시트(36) 및 확산 시트(37)를 1개의 시트(30)로 나타내고 있는 동시에, 후술하는 렌즈 시트(51) 및 확산 시트(52)를 1개의 시트(50)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3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젤(43)의 서브 패널(10)측의 표면 상의 소정 영역에는 베젤(43)과 공통 FPC(42)에 실장된 전자 부품(도시하지 않음)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 시트(4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프레임(31)의 프레임 내에 있어서, 도광판(35)의 메인 패널(20)측의 표면 상에는 도광판(35)측으로부터 차례로 2매의 렌즈 시트(51) 및 1매의 확산 시트(5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확산 시트(52)의 메인 패널(20)측의 표면 상에는 개구부(53a)를 갖는 직사각형의 차광 시트(5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차광 시트(53)는 메인 패널(20)측에 있어서 LED(33)로부터의 광이 표시 영역(20a)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차광 시트(53)의 개구부(53a)는 메인 패널(20)의 표시 영역(20a)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3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면이 강한 점착 강도를 갖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차광 시트(53)의 LED용 FPC(34)측의 단부를 따라서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No. 5690, 닛또 덴꼬제)(54)가 접착되어 있다. 이 양면 테이프(54)는 차광 시트(53)에 접착된 상태에서 차광 시트(53)의 짧은 방향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54)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12 ㎛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 스테르 필름(54a)의 한쪽 및 다른 쪽 표면 상에 각각 약 9 ㎛의 두께를 갖는 미세 점착층(54b) 및 약 9 ㎛의 두께를 갖는 강점착층(54c)이 도포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54)의 강점착층(54c)은 차광 시트(53)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고,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54)의 미세 점착층(54b)은 LED용 FPC(34)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양면 테이프(54)의 접착 강도에 대해 설명한다. 이 양면 테이프(54)의 미세 점착층(54b)을 스테인레스제의 기재에 접착한 상태로부터 180°의 방향으로 20 ㎜만큼 떼어내는 경우에는 약 2.5 N의 떼어냄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양면 테이프(54)의 미세 점착층(54b)과 스테인레스제의 기재는 약 2.5 N의 접착 강도로 접착된다. 이에 대해, 양면 테이프(54)의 강점착층(54c)을 스테인레스제의 기재에 접착한 상태로부터 180°의 방향으로 20 ㎜만큼 떼어내는 경우에는 약 8.0 N의 떼어냄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양면 테이프(54)의 강점착층(54c)과 스테인레스제의 기재는 약 8.0 N의 접착 강도로 접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면 테이프(54)의 LED용 FPC(34)에 접착되는 미세 점착층(54b)의 접착 강도(약 2.5 N)는 양면 테이프(54)의 차광 시트(53)에 접착되는 강점착층(54c)의 접착 강도(약 8.0 N)보다도 작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양면 테이프(54)의 미세 점착층(54b)의 접착 강도(약 2.5 N)는 LED용 FPC(34)를 메인 패널(20)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LED용 FPC(34) 및 LED(33)를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접착 강도이다. 또한, 양면 테이프(54)의 미세 점착층(54b)의 접착 강도(약 2.5 N)는 양면이 강한 점착 강도를 갖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차광 시트(53)의 접착 강도보다도 작다.
그리고, 차광 시트(53)의 외연부의 양면 테이프(54)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은 수지 프레임(31)의 2개의 긴 변부와 2개의 짧은 변부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도3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 시트(53)의 LED용 FPC(34)측의 단부는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54)를 거쳐서 LED용 FPC(34)에 접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광판(35)과 차광 시트(53)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 시트(51) 및 확산 시트(52)가 수지 프레임(31)에 대해 고정된다.
그리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프레임(31)의 프레임 내에 있어서, 메인 패널(20)의 유리 기판(21a)의 외연부가 차광 시트(53)에 접착되어 있다.
도15 내지 도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LCD 유닛의 분해 시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음에, 도3, 도4, 도10 및 도15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한 LCD 유닛을 분해할 때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LCD 유닛의 서브 패널(10)측을 분해할 때에는 도3에 도시한 베젤(43)의 결합 구멍(43b)과, 수지 프레임(31)의 결합 부재(31a)와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때,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젤(43)에 접착된 쿠션층(44)은 서브 패널(10)에 대해서는 접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한 베젤(43)과 수지 프레임(31)의 결합의 해제 동작을 행함으로써, 수지 프레임(31)으로부터 베젤(43)이 제거된다. 이에 의해, 도10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10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공통 FPC(42)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 FPC(42)와 보강 프레임(39)을 접착하는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40)로부터 공통 FPC(42)를 떼어냄으로써 도16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LCD 유닛의 메인 패널(20)측을 분해할 때에는, 우선,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프레임(31)(도3 참조)에 접착된 차광 시트(53)를 메인 패널(20)과 함께 수지 프레임(31)으로부터 떼어낸다. 또한,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용 FPC(34)에 접착된 미세 점착의 양면 테이프(54)를 차광 시트(53)[메인 패널(20)]와 함께 LED용 FPC(34)로부터 떼어냄으로써 도19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LED용 FPC(34)에 접착되는 미세 점착층(54b)의 접착 강도(약 2.5 N)가 메인 패널(20)측에 접착되는 강점착층(54c)의 접착 강도(약 8.0 N)보다도 작은 양면 테이프(54)를 이용함으로써, 양면 테이프(54)를 거쳐서 접착되는 LED용 FPC(34)를 메인 패널(20)측으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메인 패널(20)측에 접착된 양면 테이프(54)의 강점착층(54c)의 접착 강도에 비해 LED용 FPC(34)에 접착된 양면 테이프(54)의 미세 점착층(54b)의 접착 강도의 쪽이 작으므로, 메인 패널(20)측으로부터 LED용 FPC(34)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에 의해, 약 2.5 N으로 메인 패널(20)측에 접착된 LED용 FPC(34)를 떼어낼 수 있으므로, LED용 FPC(34)에 약 2.5 N 이상의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LED용 FPC(34)에 약 2.5 N 이상의 부하가 가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LED용 FPC(34)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LED용 FPC(34)에 실장되는 LED(33)가 파손되거나, LED용 FPC(34)에 단선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메인 패널(20)[차광 시트(53)]측에 양면 테이프(54)를 거쳐서 접착 되는 LED용 FPC(34)와 LED(33)를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낼 수 있으므로, 이 재이용 가능한 LED용 FPC(34) 및 LED(33)를 이용하여 LCD 유닛을 다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면 테이프(54)의 LED용 FPC(34)에 접착되는 미세 점착층(54b)의 접착 강도(약 2.5 N)를 양면 테이프(32)의 수지 프레임(31)에 접착되는 면 및 LED용 FPC(34)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약 6.0 N)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접착 강도가 큰 양면 테이프(32)에 의해 LED용 FPC(34)를 수지 프레임(31)에 대해 약 6.0 N의 접착력으로 견고하게 접착하면서 접착 강도가 작은 미세 점착층(54b)을 갖는 양면 테이프(54)에 의해 LED용 FPC(34)를 메인 패널(20)에 대해 약 2.5 N의 약한 접착력으로 접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양면 테이프(54) 및 양면 테이프(32)에 접착된 LED용 FPC(34)를 메인 패널(20)[차광 시트(53)]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면 테이프(54)를 직사각형의 차광 시트(53)의 LED용 FPC(34)측의 단부를 따라서 설치함으로써 차광 시트(53)의 LED용 FPC(34)측의 단부를 따라서 설치된 접착 강도가 작은 미세 점착층(54b)을 갖는 양면 테이프(54)에 LED용 FPC(34)가 접착되므로, 접착 강도가 큰 차광 시트(53)의 단부에 LED용 FPC(34)가 견고하게 접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광 시트(53)의 단부측으로부터 LED용 FPC(34)를 더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베젤(43)과 서브 패널(10)의 표면 사이에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쿠션층(44)을 배치함으로써, 베젤(43)측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쿠션층(44)에 의해 베젤(43)측으로부터 가해진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젤(43)측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그 베젤(43)측으로부터의 외력이 서브 패널(10)까지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서브 패널(10)이 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쿠션층(44)을 서브 패널(10)의 표면에 접착하지 않도록 베젤(43)과 서브 패널(10)의 표면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베젤(43)을 쿠션층(44)과 함께 서브 패널(10)측으로부터 제거할 때에 베젤(43)이 서브 패널(10)측으로 인장되는 힘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베젤(43)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LCD 유닛의 분해 후[서브 패널(10)측으로부터 베젤(43)을 제거한 후]에 베젤(43)을 재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브 패널(10)의 표시 영역(10a)을 둘러싸도록 베젤(43)과 서브 패널(10)의 표면 사이에 쿠션층(44)을 배치함으로써, 서브 패널(10)의 표시 영역(10a)을 둘러싸는 영역[비표시 영역(10b)]에 베젤(43)측으로부터의 외력이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쿠션층(44)을 베젤(43)의 개구부(43a)의 외연부 근방의 표면을 따라서 접착함으로써, 용이하게 서브 패널(10)의 표시 영역(10a)을 둘러싸도록 베젤(43)과 서브 패널(10)의 표면 사이에 쿠션층(44)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젤(43)의 개구부(43a)의 외연부를 따라서 교축 가공에 의한 오목부(43d)를 형성함으로써 교축 가공에 의한 오목부(43d)에 의해 베젤(43)의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젤(43)을 쿠션층(44)과 함께 서브 패널(10)측으로부터 제거할 때에 베젤(43)이 변형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교축 가공에 의한 오목부에 의해 베젤(43)의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베젤(43)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젤(43)의 휨에 의해 쿠션층(44)이 변형되는 것에 기인하여 서브 패널(10)의 표면과 쿠션층(44)이 접촉하지 않는 부분(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브 패널(10)의 표면과 쿠션층(44)의 간극으로부터의 먼지의 침입이나 광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젤(43)의 교축 가공에 의한 오목부(43d)를 개구부(43)의 외연부의 전체 영역을 따라서 형성함으로써, 베젤(43)의 개구부(43a)의 외연부의 일부에만 오목부(43d)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베젤(43)의 비틀림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베젤(43)의 변형 및 휨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교축 가공에 의한 오목부(43d)가 형성된 베젤(43)을 도광판(35)이 설치된 수지 프레임(31)에 설치함으로써, 교축 가공에 의한 오목부(43d)에 의해 베젤(43)의 비틀림 강도가 향상되어 있으므로, 베젤(43)과 함께 수지 프레임(31)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지 프레임(31)에 설치된 도광판(35)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도광판(35)의 변형에 의한 표시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지 프레임(31)에 설치되는 도광판(35)과 함께 확산 시트(37)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변형된 확산 시트(37)가 서브 패널(10)에 접촉하여 뉴톤링(Newton Ring)형(줄무늬형)의 모양이 표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서브 패널(10)의 비표시 영역(10b)에 서브 패널용 구동 IC(13)가 설치된 LCD 유닛에 있어서도 쿠션층(44)에 의해 베젤(43)측으로부터의 외력이 서브 패널(10)의 서브 패널용 구동 IC(13)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서브 패널용 구동 IC(13)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패널(10)[유리 기판(11a)]의 쿠션층(44)측의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의 비표시 영역(10b)에 서브 패널용 구동 IC(13)를 설치함으로써, 베젤(43)과 서브 패널(10)의 서브 패널용 구동 IC(13)가 설치된 영역과의 사이의 거리를 쿠션층(44)의 두께와 서브 패널(10)의 유리 기판(11a)의 두께와의 합계의 두께에 대응하는 큰 거리로 할 수 있으므로, 서브 패널(10)의 서브 패널용 구동 IC(13)가 설치된 영역에 베젤(13)측으로부터의 외력이 전해지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브 패널용 구동 IC(13)가 파손되는 것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양면 테이프(40)의 공통 FPC(42)에 접착되는 미세 점착층(40b)의 접착 강도(약 2.5 N)가 양면 테이프(40)의 보강 플레이트(39)에 접착되는 강점착층(40c)의 접착 강도(약 8.0 N)보다 작은 양면 테이프(40)를 이용함으로써, 보강 플레이트(39)에 양면 테이프(40)를 거쳐서 접착된 공통 FPC(42)를 떼어내는 경우에 양면 테이프(40)의 강점착층(40c)과 보강 플레이트(39)의 접착 강도에 비해, 양면 테이프(40)의 미세 점착층(40b)과 공통 FPC(42)의 접착 강도의 쪽이 작으므로, 보강 플레이트(39)로부터 공통 FPC(42)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에 의해, 약 2.5 N의 힘으로 보강 플레이트(39)로부터 공통 FPC(42)를 떼어낼 수 있으므로, 공통 FPC(42)에 약 2.5 N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통 FPC(42)에 약 2.5 N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공통 FPC(42)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공통 FPC(42)에 실장되는 커넥터(42c 내지 42e)에 접촉 불량이 생기거나, 공통 FPC(42)의 배선에 단선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39)에도 약 2.5 N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보강 플레이트(39)에 약 2.5 N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보강 플레이트(39)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양면 테이프(40)를 거쳐서 접착되는 공통 FPC(42) 및 보강 플레이트(39)를 서로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낼 수 있으므로, 이 재이용 가능한 공통 FPC(42) 및 보강 플레이트(39)를 이용하여 LCD 유닛을 다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 FPC(42)를 보강 플레이트(39)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으므로, 조립 시에 공통 FPC(42)가 접착되어 있는 위치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면 테이프(40)를 공통 FPC(42)의 커넥터(42c)에 접속되는 LED용 FPC(34)의 단자(34a)나, 커넥터(42d)에 접속되는 서브 패널용 FPC(14)의 단자(14a)를 착탈하는 경우에 보강 플레이트(39)와 공통 FPC(42)의 접착이 떨어지지 않고, 또한 공통 FPC(42)를 보강 플레이트(39)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공통 FPC(42)가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접착 강도(약 2.5 N)로 함으로써, 공통 FPC(42)의 커넥터(42c 및 42d)에 LED용 FPC(34)의 단자(34a) 및 공통 FPC(42)의 단자(14a)를 착탈하는 것에 기인하여 공통 FPC(42)와 보강 플레 이트(39)의 접착을 떼어내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공통 FPC(42)와 보강 플레이트(39)의 접착이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공통 FPC(42)를 보강 플레이트(39)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공통 FPC(42)를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낼 수 있는 양면 테이프(40)를 이용하였다고 해도 공통 FPC(42)와 보강 플레이트(39)의 접착이 떨어지지 않고, 공통 FPC(42)의 커넥터(42c 및 42d)에 LED용 FPC(34)의 단자(34a) 및 공통 FPC(42)의 단자(14a)를 착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 플레이트(39)의 개구부(39a)의 모서리부에 서브 패널(10)과 보강 플레이트(39)를 접착하기 위한 양면 테이프(41)를 설치하는 동시에, 양면 테이프(40)의 공통 FPC(42)에 접착되는 미세 점착층(40b)의 접착 강도(약 2.5 N)를 양면 테이프(41)의 서브 패널(10)에 접착되는 면 및 보강 플레이트(39)에 접착되는 면의 접착 강도(약 6.0 N)보다 작게 함으로써 접착 강도가 작은 미세 점착층(40b)을 갖는 양면 테이프(40)에 의해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낼 수 있도록 공통 FPC(42)를 보강 플레이트(39)에 접착하면서 접착 강도가 큰 양면 테이프(41)에 의해 서브 패널(10)을 보강 플레이트(39)에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 FPC(42)에 서브 패널(10)의 표시 영역(10a)을 노출하도록 마련된 개구부(42a)를 마련하는 동시에, 양면 테이프(40)를 공통 FPC(42)의 개구부(42a)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도록 보강 플레이트(39)의 표면측에 배치함으로써, 공통 FPC(42)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라도 보강 플레이트(39)로부터 공통 FPC(42)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으므로, 개구부(42a)가 마련된 기계적 강도가 낮은 공통 FPC(42)에 단선 등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개구부(42a)가 마련된 공통 FPC(42)를 보강 플레이트(39)로부터 떼어낸 경우에도 공통 FPC(42)를 재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패널(20)의 비표시 영역(20b)에 메인 패널용 FPC(2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패널용 구동 IC(23)를 설치하였다고 해도 본 실시 형태의 양면 테이프(40)를 사용함으로써, 공통 FPC(42)를 보강 플레이트(39)로부터 떼어낼 때에 공통 FPC(42)와 메인 패널(20)를 접속하는 메인 패널용 FPC(24)에 단선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메인 패널용 구동 IC(23)가 설치된 메인 패널(20)을 재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판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고, 또한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LCD 유닛(액정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LCD 유닛 이외의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LCD 유닛 이외의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LED용 FPC(34)에 접착되는 미세 점착층(54b)이 약 2.5 N의 접착 강도를 갖는 양면 테이프(54)(No. 5690, 닛또 덴꼬제)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LED용 FPC(34)를 메인 패널(20)로 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LED용 FPC(34) 및 LED(33)가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접착 강도이면 상기한 약 2.5 N 이외의 접착 강도를 갖는 미세 점착층을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 시트(53)의 짧은 방향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양면 테이프(54)를 차광 시트(53)의 LED용 FPC(34)측의 단부의 짧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접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20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변형예와 같이 차광 시트(53)의 짧은 방향의 폭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양면 테이프(64)를 차광 시트(53)의 LED용 FPC(34)측의 단부의 짧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부분적으로 따라서 접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매의 양면 테이프(54)를 차광 시트(53)의 LED용 FPC(34)측의 단부의 짧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접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2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변형예와 같이 복수의 양면 테이프(74)를 차광 시트(53)의 LED용 FPC(34)측의 단부의 짧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부분적으로 접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표시 패널(서브 패널 및 메인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표시 패널만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 프레임(31)과 LED용 FPC(34)를 양면이 강 한 점착 강도를 갖는 양면 테이프(No. 532, 닛또 덴꼬제)(32)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LED용 FPC(34)에 실장되는 LED(33)를 고정 가능하게 수지 프레임(31)에 부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LED용 FPC에 실장되는 광원으로서 LED(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LED 이외의 광원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서브 패널측에 있어서, 베젤과 서브 패널 사이에 쿠션층을 배치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 패널측에 베젤을 설치하는 동시에, 그 베젤과 메인 패널 사이에 쿠션층을 배치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젤의 개구부의 외연부의 전체 영역을 따라서 교축 가공에 의한 오목부를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젤의 개구부의 외연부의 일부에만 교축 가공에 의한 오목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완충 부재로서 발포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쿠션층을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포성 재료 이외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쿠션층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브 패널의 유리 기판 상에 서브 패널용 구동 IC를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브 패널용 구동 IC가 서브 패널과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 FPC(42)에 접착되는 미세 점착층(40b)이 약 2.5 N의 접착 강도를 갖는 양면 테이프(40)(No. 5690, 닛또 덴꼬제)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통 FPC(42)의 커넥터(42c)에 접속되는 LED용 FPC(34)의 단자(34a)나, 커넥터(42d)에 접속되는 서브 패널용 FPC(14)의 단자(14a)를 착탈하는 경우에 보강 플레이트(39)와 공통 FPC(42)의 접착이 떨어지지 않고, 또한 공통 FPC(42)를 보강 플레이트(39)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공통 FPC(42)가 재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접착 강도이면, 상기한 약 2.5 N 이외의 접착 강도를 갖는 미세 점착층을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 플레이트(39)의 개구부(39a)의 외연부를 따른 영역에 강점착의 양면 테이프(41)를 설치함으로써 보강 플레이트(39)와 서브 패널(10)을 접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양면 테이프(41)를 이용하지 않고 보강 플레이트(39)의 돌출 부재(39e)에 의해 서브 패널(10)을 계지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패널의 비표시 영역 및 서브 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각각 메인 패널용 구동 IC 및 서브 패널용 구동 IC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 패널용 구동 IC 및 서브 패널용 구동 IC를 공통 FPC 상에 형성해도 좋고, 공통 FPC 이외의 영역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테인레스제의 판금으로 이루어지는 보강 플레이트에 공통 FPC(42)를 접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테인레스 이외의 금속에 의해 형성된 보강 플레이트를 이용해도 좋고, 금속 이외의, 예를 들어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 플레이트를 이용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