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827B1 - 트레이닝 기구 - Google Patents

트레이닝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827B1
KR100817827B1 KR1020077007402A KR20077007402A KR100817827B1 KR 100817827 B1 KR100817827 B1 KR 100817827B1 KR 1020077007402 A KR1020077007402 A KR 1020077007402A KR 20077007402 A KR20077007402 A KR 20077007402A KR 100817827 B1 KR100817827 B1 KR 100817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lifting
training
rot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0167A (ko
Inventor
야수시 코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윙 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6146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1782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윙 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윙 엔터프라이즈
Publication of KR20070070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3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wound-up and unwound during exercise, e.g. from a r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5Reciprocating movement along, in or on a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9Rotational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wrist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by torsion of the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18Chinning, pull-up, i.e. concentric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과제) 근육의 경화를 수반하는 일 없이, 근육통이나 피로 등 신체로의 부담이 적고,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는 어깨부, 팔부, 등부의 근육 등을 얻을 수 있는 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착좌부(2)와, 부하의 크기가 조정가능한 부하 부여부(3)와, 착좌부(2)가 그 중앙위치가 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안내 지주(4)와, 그 좌우의 안내 지주(4)에 각각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승강부(5)와, 그 2개의 승강부(5)에 각각 고정된 축(6)에 연결해서 상기 승강부(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7)와, 일단이 부하 부여부(3)에 연결되고 타단이 승강부(5)에 연결된 인장부재(8)와, 승강부(5) 내에 있어서 인장부재(8)의 타단과 연결하여 부하 부여부(3)에 의해 회전부(7)의 축(6)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부하를 부여하도록 설치된 부하 전달부(9)를 구비한 트레이닝 기구(1).

Description

트레이닝 기구{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어깨부, 팔부, 등부의 근육 등에 대하여 트레이닝을 행할 때에 이용하는 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이다.
어깨부나 등부의 근육 등에 대하여 트레이닝을 행할 때에 이용하는 트레이닝 기구로서, 풀다운으로 불리우는 트레이닝 기구가 있다. 이 트레이닝 기구는, 좌석에 착좌한 사용자가 상방향으로 뻗은 양손으로 1개의 봉형상의 파지 봉을 파지하고, 이 파지 봉을 끌어내려서 파지 봉에 연결된 웨이트(weight)를 끌어올림으로써, 어깨부나 등부의 근육 등에 대하여 부하를 부여해서 트레이닝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어깨부, 팔부, 등부의 근육 등에 대하여 트레이닝을 행할 때에 이용하는 트레이닝 기구로서, 디핑 머신으로 불리우는 트레이닝 기구가 있다. 이 트레이닝 기구는, 좌석에 착좌한 사용자가 어깨를 끌어올려 팔꿈치를 구부려서 양 몸체측부 근방에 위치하는 파지 봉을 양손으로 각각 파지하고, 이 파지 봉을 눌러 내려서 파지 봉에 연결된 웨이트를 끌어올림으로써, 어깨부, 팔부, 등부의 근육 등에 대하여 부하를 부여해서 트레이닝을 행하는 것이다.
이들 트레이닝에 있어서는, 파지 봉을 눌러 내리는 동작에 대하여 최후까지 웨이트의 중량에 의한 부하가 부여된다. 이러한 트레이닝은 종동 부하 트레이닝으 로 불리고, 최후까지 부하를 부여해 각 관절 각도에 있어서 큰 근력을 발휘시킴으로써, 근육의 강한 긴장(경화)을 수반하면서 근육을 비대화시키는 것이다(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4-187724호 공보
[비특허문헌1] "New Training Revolution, New Version" Yasushi Koyama 저술, Kodansha Ltd., 1994년 9월 12일 발행 8쪽~13쪽
그러나, 종동 부하 트레이닝에 의해 획득한 근육은, 유연성이나 탄력성에 뒤지기 때문에, 실제의 경기 등에 필요한 신체 동작을 손실시키는 요인으로 되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동 부하 트레이닝은, 본래이면 근출력이 적어서 좋은 부분에 근출력을 나오게 하고, 실제 동작과 다른 동작 형태, 출력 형태로 트레이닝을 행하기 때문에, 신체 동작에 위화감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근육세포로의 산소공급이 근육의 긴장에 의해 저해되고, 혈류의 세정(워쉬아웃)을 할 수 없으므로, 산출된 유산 등의 피로 물질이 축적되고, 근육통이나 피로 등 신체로의 부담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근육의 경화가 고장의 큰 원인으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근육의 경화를 수반하는 일 없이, 근육통이나 피로 등 신체로의 부담이 적고,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는 어깨부, 팔부, 등부의 근육 등을 얻을 수 있는 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1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는, 착좌부와, 부하의 크기가 조정가능한 부하 부여부와, 상기 착좌부가 그 중앙위치가 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안내 지주와, 상기 좌우의 안내 지주에 각각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승강부와, 상기 2개의 승강부에 각각 고정된 축에 연결하여 상기 승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와, 일단이 상기 부하 부여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부에 연결된 인장부재와, 상기 승강부 내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의 타단과 연결하여 상기 부하 부여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의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부하를 부여하도록 설치된 부하 전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는, 청구항1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승강부는 그 일단측이 상기 좌우의 안내 지주에 각각 끼워 맞춰짐으로써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축은 상기 2개의 승강부의 타단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축에 연결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장부재의 타단은 상기 승강부의 안내 지주의 끼워맞춤 위치보다 타단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는, 청구항1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승강부는 상기 좌우의 안내 지주에 각각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만 이동가능이고, 상기 축에 연결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4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 상기 부하 부여부 및 상기 좌우의 안내 지주는, 1개의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각각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5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는, 청구항4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부여부는, 상기 프레임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또한 서로 연결이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웨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6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전달부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와, 상기 회전 전달부에 의해 전달된 회전운동을 상기 인장부재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축의 상하 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 기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7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회전전달부와, 그 회전전달부에 의해 전달된 회전운동을 상기 인장부재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축의 상하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 기구부를 구비하는 부하 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1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에 의하면, 착좌부에 착좌한 사용자가 회전부를 적절한 상하 위치에 있어서 양손으로 각각 유지하면서 회전시키면, 사용자의 소정 부위의 근육이 「이완」되서 릴렉스한 상태로 됨과 아울러, 인장부재를 통한 부하 부여부의 부하에 의해 회전부가 상측방향으로 편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소정 부위의 근육이 「신장」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적절하게 「신장」된 근육이 「반사」를 일이키도록, 또한 회전부를 상기 회전시킨 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회전시켜서 비트는 「이완」과 「신장」의 동작을 가하면서, 부하 부여부의 부하에 저항하여 소정 부위의 근육을 「단축」시킨다. 이 각 회전부를 승강부에 대하여 상기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부하 부여부의 부하의 일부에 저항하게 되고, 회전부를 승강부와 함께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초기 동작에 있어서의 부하가 감소된다. 이 이동시킨 승강부는, 손의 힘을 빼면 부하 부여부의 작용에 의해 안내 지주에 가이드되면서 당초의 위치로 되돌아가므로,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에 의해, 이완-신장-단축의 일련 동작의 촉진이 도모되고, 또한 공동수축(co-contraction)이 방지됨으로써, 신경과 근육의 기능이나 협조성을 높이고, 근육통이나 피로 등 신체로의 부담이 적고, 근육의 경화가 수반되는 일 없이,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는 근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강제적인 심박수나 혈압의 상승이 적고 유산소적으로 대사를 촉진시킴으로써 당뇨병, 고혈압 등 생활습관병의 예방이나 인대 손상, 골절 등의 치유 촉진에 유효함과 아울러, 신경ㆍ근육ㆍ관절의 스트레스의 해제, 노폐물의 제거 등, 신체에 유익한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에 의하면, 착좌부에 착좌한 사용자가 상방향으로 편 손으로 각 회전부를 각각 유지하여 상완을 외측으로 비틀면, 사용자의 어깨나 팔이 「이완」해서 릴렉스한 상태로 됨과 아울러, 인장부재를 통한 부하 부여부의 부하에 의해 파지부가 상방향으로 편향되어 있으므로, 견갑대 부근 등의 근육이 「신장」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적절하게 「신장」된 견갑대 부근 등의 근육이 「반사」를 일으키도록, 또한 상완을 외측으로 비트는 「이완」과 「신장」의 동작을 가하면서, 부하 부여부의 부하에 저항하여 양팔을 굴곡하여 근육을 「단축」시켜서 회전부를 끌어내린다. 상완을 외측으로 비틀어 각 회전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부하 부여부의 부하의 일부에 저항하게 되고, 양팔을 끌어내리는 초기 동작에 있어서의 부하가 감소된다. 이와 같이, 양팔을 굴곡하여 파지부를 끌어내려서 근육을 「단축」시킬 때, 또한 상완을 외측으로 비틂으로써, 「이완」과 「신장」의 동작을 가하면서 적절한 「단축」의 타이밍을 출현시킬 수 있게 되고, 각 근육군이 「이완-신장-단축」의 타이밍을 얻어서, 연동성 좋게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의 안내 지주의 끼워맞춤 위치보다 타단측에 인장부재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장부재를 통한 부하 부여부의 부하에 의해 승강부는 회전 편향된다. 사용자는, 이 회전 바이어싱 포오스(rotational biasing force)에 저항하여, 각 승강부가 각각 점차 외측을 향하도록 양팔을 외측으로 벌리면서, 양팔을 굴곡하여 파지부를 끌어내린다. 이 때, 양팔을 굴곡시켜서 파지부를 끌어내림에 따라, 양팔을 외측으로 벌리는 것에 대한 저항력으로 되는 회전 바이어싱 포오스가 감소된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양팔을 굴곡시켜서 회전부를 끌어내릴 때, 양팔을 외측으로 벌리도록 대략 일정한 근력을 출력시킴으로써, 회전부를 끌어내리면서 점차 양팔을 외측으로 벌리는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근육의 공동수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눌러 내린 승강부는, 손의 힘을 빼면 부하 부여부의 작용에 의해 안내 지주에 가이드되면서 회전하면서 상승하므로,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에 의해, 이완-신장-단축의 일련 동작의 촉진이 도모되고, 또한 공동수축이 방지됨으로써, 신경과 근육의 기능이나 협조성을 높이고, 근육통이나 피로 등 신체로의 부담이 적고, 근육의 경화가 수반되는 일 없이,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는 근육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에 의하면, 착좌부에 착좌한 사용자가 어깨 부근까지 끌어올린 손으로 각 회전부를 각각 잡아 누르면서 손목을 내측으로 비틀면, 사용자의 어깨부, 팔부, 등부 등이 「이완」해서 릴렉스한 상태로 됨과 아울러, 인장부재를 통한 부하 부여부의 부하에 의해 승강부 및 회전부가 상측방향으로 편향되어 있으므로, 넓은 등의 근육 등의 등부의 근육이 「신장」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적절하게 「신장」된 등부의 근육이 「반사」를 일으키도록, 또한 상완을 외측으로 비트는 「이완」과 「신장」의 동작을 가하면서, 부하 부여부의 부하에 저항하여 양팔을 펴서 등부의 근육을 「단축」시켜서 회전부를 눌러 내린다. 손목을 내측으로 비틀어 각 회전부를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부하 부여부의 부하의 일부에 저항하게 되고, 양팔을 펴는 초기 동작에 있어서의 부하가 감소된다. 눌러 내린 승강부는, 손의 힘을 빼면 부하 부여부의 작용에 의해 안내 지주에 가이드되면서 상승하므로,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양팔을 펴서 회전부를 눌러 내려서 등부의 근육을 「단축」시킬 때, 또한 상완을 외측으로 비틂으로써, 「이완」과 「신장」의 동작을 가하면서 적절한 「단축」의 타이밍을 출현시킬 수 있게 되고, 각 근육군이 「이완-신장-단축」의 타이밍을 얻어서, 연동성 좋게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는 안내 지주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양팔을 펴서 회전부를 눌러 내리는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근육의 공동수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 의해, 이완-신장-단축의 일련 동작의 촉진이 도모되고, 또한 공동수축이 방지됨으로써, 신경과 근육의 기능이나 협조성을 높이고, 근육통이나 피로 등 신체로의 부담이 적고, 근육의 경화가 수반되는 일 없이,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는 근육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4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에 의하면, 착좌부, 부하 부여부 및 좌우의 안내 지주는, 1개의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각각 고정된 것이므로, 이상적인 일련 동작이나 폼을 수반한 트레이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착좌부, 부하 부여부 및 좌우의 안내 지주가 적절한 위치 관계에 배치된 트레이닝 기구를 통합된 소정 1개의 제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동 대기도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5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에 의하면, 부하 부여부는, 프레임이 상하이동 가능하게 또한 서로 연결이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웨이트로 이루어지므로, 연결하여 끌어 올려지는 웨이트의 중량을 조정함으로써, 부하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6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에 의하면, 회전부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이 회전 전달부와 크랭크 기구부를 통해서, 인장부재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축에 상하 이동으로서 전달되므로, 부하 부여부에 의해 회전부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부하를 부여할 수 있다.
청구항7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에 의하면,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이 회전전달부와 크랭크 기구부를 통해서, 인장부재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축에 상하이동으로서 전달되므로, 부하 부여부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부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기구(1)를 나타내는 개념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트레이닝 기구(100)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초기상태로부터 파지 회전부(7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트레이닝 기구(100)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승강 요동부(5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트레이닝 기구(100)의 좌측 상부를 나타내는 부분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트레이닝 기구(200)의 초기상태에 있어서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초기상태에 있어서의 트레이닝 기구(200)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트레이닝을 개시하여 손 누름 회전부(170)를 축회전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트레이닝 기구(200)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손 누름 회전부(170)를 눌러 내린 상태에 있어서의 트레이닝 기구(200)의 개략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승강부(15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11은 승강부(15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파단 정면도이다.
도 12는 트레이닝 기구(200)의 좌측 상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0,200 : 트레이닝 기구 2,10 : 착좌부
3,30,130 : 부하 부여부 4,40,140 : 안내 지주
5,150 : 승강부 6,60,160 : 축
7 : 회전부 8,80,180 : 인장부재
9,90 : 부하 전달부 20,120 : 프레임
31 : 웨이트 50 : 승강 요동부(승강부)
54 : 슬라이딩 축 70 : 파지 회전부(회전부)
81 : 방향전환 안내차 91 : 회전 전달부
92 : 크랭크 기구부 170 : 손 누름 회전부(회전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기구(1)는, 그 개념 설명도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좌부(2)와, 부하의 크기가 조정가능한 부하 부여부(3)와, 착좌부(2)가 그 중앙위치가 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안내 지주(4)와, 상기 좌우의 안내 지주(4)에 각각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승강부(5)와, 상기 2개의 승강부(5)에 각각 고정된 축(6)에 연결하여 승강부(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7)와, 일단이 상기 부하 부여부(3)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부(5)에 연결된 인장부재(8)와, 승강부(5) 내에 있어서 인장부재(8)의 타단과 연결하여 부하 부여부(3)에 의해 회전부(7)의 축(6)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부하를 부여하도록 설치된 부하 전달부(9)를 구비한 것이다.
이 트레이닝 기구(1)를 이용하여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용자는, 우선, 착좌부에 착좌하고, 회전부(7)를 적절한 상하 위치에 있어서 양손으로 각각 유지하면서, 「회피 동작」의 포지션을 취하는 방향으로 회전부(7)를 회전시킨다. 이 때, 인장부재(8)를 통해서 부하 부여부(3)에 의해 승강부(5)에 부여되는 상하방향의 힘(F)이, 부하 전달부(9)를 통해서 회전부(7)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F')으로서 전달 부 여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 저항력(F')에 대항하여 회전부(7)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회피 동작」의 포지션을 취함으로써, 소정 부위의 굴근과 신근이 함께 이완해서 릴렉스한 상태로 된다. 또한, 이 때, 승강부(5)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부(7)에는 인장부재(8)를 통해서 부하 부여부(3)에 의해 상하방향의 힘(F)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이 힘(F)에 의한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회전부(7)를 유지하는 사용자의 소정 부위의 근육이 「신장」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적절하게 「신장」된 근육이 「반사」를 일으키도록, 회전부(7)를 상기 회전시킨 방향과 역방향으로 각각 회전시켜 비틀어 「이완」과 「신장」의 동작을 가하면서, 힘(F)에 저항한 상하방향으로 회전부(7)를 승강부(5)와 함께 이동시키고, 소정 부위의 근육을 「단축」시킨다. 이 각 회전부(7)를 승강부(5)에 대하여 상기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회전부(7)를 승강부(5)와 함께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초기 동작에 있어서의 저항력이 힘(F)보다 감소된다. 이와 같이, 회전부(7)를 승강부(5)와 함께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소정 부위의 근육을 「단축」시킬 때, 또한 비트는 동작을 행함으로써, 「이완」과 「신장」의 동작을 가하면서 적절한 「단축」의 타이밍을 출현시킴으로써, 각 근육군이 「이완-신장-단축」의 타이밍을 얻어, 연동성 좋게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회전부(7)를 소정의 상하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힘(F)에 따르면서, 착좌한 상태로 천천히 되돌린다. 이것에 의해, 트레이닝의 1사이클이 종료된다. 그리고, 이 트레이닝을 적절한 횟수의 사이클만큼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트레이닝 기구(1)는, 초동 부하 트레이닝(등록상표)에 의해 어깨부, 팔부, 등부의 근육 등에 대한 트레이닝을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초동 부하 트레이닝이란, 「반사가 일어나는 포지션으로의 신체변화 및 그것에 따른 중심 위치 변화 등을 이용하고, 주동근(agonist muscle)의 이완-신장-단축의 일련 동작 과정을 촉진시킴과 아울러, 그 길항근 및 길항적으로 작용하는 근육의 공동수축을 방지하면서 행하는 트레이닝」으로 정의되는 것이며, 최후까지 부하를 부여하여 근육의 긴장 상태(경화)를 수반하면서 근육을 비대화시키는 종동 부하 트레이닝과는 전혀 다른 트레이닝이다. 초동 부하 트레이닝은, 부하를 부여하는 포인트, 부하를 해방하는 포인트와 각도, 리듬, 근출력의 연속성 등 전체적인 동작 이미지를 파악하여 트레이닝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고, 현단계에서의 신체의 밸런스나 부분적 경화 등에 의해 적절한 동작이나 폼을 취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지만, 이 트레이닝 기구(1)에 의해 이상적인 일련 동작이나 폼에 따른 트레이닝이 용이하게 유도된다.
이 트레이닝 기구(1)를 이용한 초동 부하 트레이닝에 의해서, 「중심부(신체 근간부)로부터 말단부로의 분절 간의 힘전달」, 즉, 스스로는 펴지려고 하지 않고 줄어들려는 특성을 가진 인체의 근육을 이완시켜 릴렉스한 상태로 하고, 감각수용기인 근방추(筋紡錘)ㆍ건기관(腱器官)에 적절한 부하를 부여하고, 적절하게 근육을 신장한 것 때문에, 혹은 수동적으로 신장된 것 때문에 근육이 단축될 때의 힘 발휘를 유발하고, 순시, 연속성을 갖고서 부하가 점점 감소됨으로써, 공동수축을 일으키지 않는 것은 심근만이라고 얘기되어 온 인체의 다른 근육이 심근과 같이 공동수 축을 일으키는 일이 없는 활동상태를 얻을 수 있고, 신경근육제어를 촉진ㆍ발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트레이닝 기구(1)를 이용한 초동 부하 트레이닝은, 상기 트레이닝 기구(1)의 부하를 이용하여 근육에 반사를 일으키고, 본래 활동해야만 하는 근육이 잘 활동하고, 근육과 신경의 기능을 높이는 트레이닝이며, 이완된 근육에 타이밍이 좋은 신축, 단축을 촉진하기 위한 촉매로서 부하를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트레이닝에 의해, 이완-신장-단축의 일련 동작의 촉진이 도모되고, 또한 공동수축이 방지됨으로써, 신경과 근육의 기능이나 협조성을 높이고, 근육통이나 피로 등 신체로의 부담이 적고, 근육의 경화가 수반되는 일 없이,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는 근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강제적인 심박수나 혈압의 상승이 적고 유산소적으로 대사를 촉진시킴으로써, 당뇨병, 고혈압 등 생활습관병의 예방이나 인대 손상, 골절 등의 치유 촉진에 유효함과 아울러, 신경ㆍ근육ㆍ관절의 스트레스의 해제, 노폐물의 제거 등, 신체에 유익한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트레이닝 기구(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트레이닝 기구(100)는, 어깨부나 등부의 근육 등에 대하여 트레이닝을 행할 때에 이용되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좌부(10)와, 상기 착좌부(10)를 지지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된 부하의 크기가 조정가능한 부하 부여부(30)와, 프레임(20)에 착좌부(10)가 그 중앙위치가 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직방향(도면 중 Y축방향)으로 고정된 좌우의 안내 지주(40)와, 그 일단측이 좌우의 안내 지주(40)에 각각 끼워 맞춰짐으로써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수평방향(도면 중 XZ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승강 요동부(승강부)(50)와, 상기 2개의 승강 요동부(50)의 타단측에 고정된 축(60)에 연결하여 상기 승강 요동부(50)의 하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파지 회전부(회전부)(70)와, 일단(80a)이 부하 부여부(30)에 연결되고, 타단(80b)이 승강 요동부(50)의 안내 지주(40)의 끼워맞춤 위치보다 타단측에 연결된 인장부재(80)와, 승강 요동부(50) 내에 있어서 인장부재(80)의 타단(80b)과 연결하여 부하 부여부(30)에 의해 파지 회전부(70)의 축(6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부하를 부여하도록 설치된 부하 전달부(90)(도 4 참조)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착좌부(10)는, 트레이닝 기구(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도면 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가 정면방향(도면 중 X축 정(正)방향)을 향해서 착좌하기 위해서 적절한 좌석(11)과, 그 좌석(11)의 하면에 연직으로 설치된 2개의 좌석 지주(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20)은, 적어도 네 구석부가 바닥면에 놓이는 하부 프레임(21)과, 그 하부 프레임(21)의 양측부로부터 소정의 좌우 간격을 두고 연직으로 고정된 2개의 연직기둥(22)과, 그 2개의 연직기둥(22)에 지지 고정된 상부 프레임(23)(도 5 참조)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프레임(20)에는, 착좌부(10), 부하 부여부(30), 좌우의 안내 지주(40), 방향전환 안내차(81) 등이 지지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21)의 좌우방향(도면 중 Z축 정부(正負)방향) 중앙부에 연직으로 설치된 원기둥 파이프 재(24)의 상단으로부터 한쪽의 좌석 지주(12)를 삽입하고, 또한, 원기둥 파이프 재(24)의 상부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재에 형성된 연직방향으로 관통되는 구멍에 다른쪽의 좌석 지주(12)를 삽입통과시킴으로써, 착좌부(10)가 프레임(20)에 지지된다. 또한, 좌석높이 조정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원기둥 파이프 재(24)에 대한 좌석 지주(12)의 고정 높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착좌 높이 등에 맞춰서 좌석(11)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은, 좌석(11)에 착좌한 사용자의 대퇴부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대퇴부 가압부(25)를 지지한다. 이 대퇴부 가압부(25)는, 사용자가 트레이닝 중에 등 중에 적절한 아치를 만들기 위해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므로, 쿠션성이 있는 재질에 의해 그 둘레면이 덮여진 좌우 1쌍의 원기둥형상의 쿠션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1쌍의 쿠션 부재 사이에 설치된 지주를, 상기 원기둥 파이프 재(24)보다 전방에서 하부 프레임(21)의 상면에 연직으로 설치된 각기둥 파이프 재(26)의 상단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대퇴부 가압부(25)가 프레임(20)에 지지된다. 또한, 대퇴부 가압부 높이 조정수단(26a)에 의해, 각기둥 파이프 재(26)에 대한 대퇴부 가압부(25)의 고정 높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좌석(11)의 높이는 독립적으로 사용자의 착좌 높이나 대퇴부 두께 등에 맞춰 대퇴부 가압부(25)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은, 철강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각기둥 파이프 재나 판형상재 등을 가공하고, 볼트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여 구성하지만, 수지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해서 구성해도 된다.
상기 부하 부여부(30)는, 프레임(20)에 설치된 부하의 크기가 조정가능한 것이고, 금속제의 중량부재인 복수장의 판형상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웨이트(31)와, 그 웨이트(31)를 프레임(2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웨이트 안내 지주(32)와, 웨이트(31)를 서로 연결이탈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클램프(도시생략)를 구비한다. 1쌍의 원기둥 형상의 웨이트 안내 지주(32)는, 상기 착좌부(10)의 후방에서 2개의 연직기둥(22)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상부 프레임(23)에 상하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웨이트(31)의 각 판형상 플레이트는, 그 관통구멍이 웨이트 안내 지주(32)에 각각 삽입통과하여 적층되어 있고, 웨이트 안내 지주(32)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는, 최상위로부터 원하는 장수의 웨이트(31)를 일체화하여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클램프에 의해 연결되는 웨이트(31)의 장수를 조정함으로써, 끌어올릴 수 있는 웨이트(31)의 중량에 의한 부하 부여부(30)의 부하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최하위의 판형상 플레이트와 프레임(20) 사이에는, 충격 등을 완화하기 위해서 탄력성을 갖는 충격 흡수부재(도시생략)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좌우의 안내 지주(40)는, 착좌부(10)가 그 중앙위치가 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사용자의 어깨 폭보다 약간 넓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1개의 원기둥형상 부재이다. 이들 안내 지주(40)는, 착좌부(10)보다 후방, 또한 웨이트 안내 지주(32)보다 전방에서, 그 하단이 상기 하부 프레임(21)과 연직기둥(2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1a)에, 상단이 상부 프레임(23)에 고정된 L자 형상부재(27)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 안내 지주(40)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연결부재(21a) 상에, 상기 안내 지주(40)에 안내되어 상하 이동하는 상기 승강 요동 부(50)와 상기 연결부재(21a)의 충돌에 의한 충격 등을 완화하기 위해서 탄력성을 갖는 충격 흡수부재(41)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2개의 승강 요동부(50)는, 좌우의 안내 지주(40)에 그 일단측(후방측, 도면 중 X축 마이너스측)이 각각 끼워 맞춰짐으로써 안내되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 요동부(5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51)의 일단측에, 연직방향으로 개구하는 원통형상의 안내부(52)를 구비하고 있고, 안전을 위해서 상자형상 덮개체(53)에 의해 상방향으로부터 덮어져 있다. 상기 안내부(52)가 안내 지주(40)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안내 지주(40)에 대하여 승강 요동부(5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안내 지주(40)를 중심으로 승강 요동부(5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승강 요동부(50)의 상부 및 하부에 베어링 등의 베어링부재(도시생략)를 통해서, 2장의 수평 연결판(42)을 설치하고 있다. 이들 수평 연결판(42)은, 각각 2개 형성된 각 관통구멍이 안내 지주(40)에 삽입통과됨과 아울러, 서로 연결 봉(43)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승강 요동부(50)는, 수평 연결판(42)에 의해 그 상하방향의 독립된 이동이 규제되고, 함께 상하이동하게 된다. 단, 각 승강 요동부(50)와 수평 연결판(42) 사이에는 상기 베어링부재가 개재되므로, 2개의 승강 요동부(50)는 소정 범위 내의 독립된 상하이동이 허용되기 때문에, 2개의 승강 요동부(50)는 원활하게 상하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각 승강 요동부(50)는, 수평 연결판(42)이나 베어링부재에 의해 서는, 그 수평방향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고 있다.
상기 2개의 파지 회전부(7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각각 파지하는 것이고, 승강 요동부(50)의 타단측(정면측, 도면 중 X축 플러스측)에 고정된 축(60)에 연결하여 상기 승강 요동부(50)의 하방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파지 회전부(7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거는 핸들부(71)와, 그 손등이 닿는 손등 접촉부(72)와, 핸들부(71)와 손등 접촉부(72)를 지지하는 프레임체(73)를 구비한다. 핸들부(71)는,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을 거는 원기둥형의 것이다. 손등 접촉부(72)는, 핸들부(71)보다 하방의 적절한 위치에 있어서, 핸들부(71)에 손가락을 건 사용자의 손등이나 손목의 뒤를 닿게 하여 보호하는 것이고, 쿠션성이 있는 재질에 의해 그 둘레면이 덮여진 원기둥형의 것이다. 프레임체(73)는, 핸들부(71)와 손등 접촉부(72)를 각각 양단에서 지지 고정하는 것이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면에 축(60)이 고정되어 있다. 그 축(60)은, 승강 요동부(50)의 프레임체(51)의 상벽 및 하벽에 설치한 베어링을 통해서 승강 요동부(50)에 축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파지 회전부(70)를 승강 요동부(50)에 대하여 각각 수평방향으로 축회전할 수 있다. 각 파지 회전부(70)는, 도 2에 나타내는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각 파지 회전부(7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등이 대략 정면방향을 향하도록, 손등 접촉부(72)가 핸들부(71)에 대하여 대략 정면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파지 회전부(70)는,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부하 부여부(30)의 작용에 의해 승강 요동부(50)와 함께 좌석(11)에 착좌한 사용자가 상방향으로 편 손보다 더욱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부하 부여부(30)의 작 용에 저항해서 승강 요동부(50)가 안내 지주(40)의 최하단에 설치한 충격 흡수부재(41)에 접촉하는 상태까지 파지 회전부(70)를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 상태에 있어서는, 각 파지 회전부(70)는 좌석(11)에 착좌한 사용자의 어깨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인장부재(80)는, 2개의 동일한 길이의 로프이고, 그 일단(80a)이 웨이트(31)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웨이트(31)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판형상 플레이트는, 그 상면에 T자 형상의 로프 고정부(33)를 구비하고 있고, 그 로프 고정부(33)의 상부 수평재의 양단부에 각 인장부재(80)의 일단(80a)이 각각 고정 체결되어 있다. 또한, 인장부재(80)는 로프에 한정되지 않고, 체인 등의 다른 부재이어도 된다. 또한, 로프 고정부(33)는 T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부하 부여부(30)를 구성하는 웨이트(31)에 일단(80a)이 고정된 각 인장부재(80)는, 각각 방향전환 안내차(81)에 권회되어 있다. 상기 방향전환 안내차(8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도르래(81a,81b,81c)로 이루어지고, 웨이트(31)에 의해 인장부재(80)에 부여되는 하방으로의 부하를 상측방향으로의 부하로 전환하고 있다. 즉, 상기 상부 프레임(23)의 상면에 각각 설치된 축지지 부재(28a,28b,28c)에 도르래(81a,81b,81c)가 각각 축지지되고, 이들 도르래(81a,81b,81c)에 순차적으로 인장부재(80)가 각각 권회되어 있다. 부하 부여부(30)로부터 상향(Y축 정방향)으로 연장된 인장부재(80)는, 상기 상부 프레임(23)에 관통된 구멍(23a)을 삽입통과한 후, YZ평면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제 1도르래(81a)에 의해 좌우방향(Z축 정부방향) 외측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다음에, XZ평면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제2도르래(81b)에 의해 정면방향(X축 정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또한, XY평면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제3도르래(81c)에 의해 하향(Y축 마이너스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23)에 상방향으로부터 설치되는 상자형상의 덮개부재(29)(도면 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는 각 도르래(81a,81b,81c)를 말려들어감 방지를 위해서 덮지만, 제3도르래(81c)의 일부가 개구로부터 정면측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웨이트 안내 지주(32)나 안내 지주(40) 등의 위치 관계에 의해, 도르래(81a,81b,81c)의 개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3도르래(81c)에 의해 하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인장부재(80)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여, 인장부재(80)가 반드시 소정 위치(P)를 경유하도록, 1쌍의 홈이 형성된 롤러(8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홈이 형성된 롤러(82)의 각 롤러 홈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에 위치하는 위치(P)를 인장부재(80)가 통과하도록, YZ평면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1쌍의 홈이 형성된 롤러(82)를 제3도르래(81c)의 바로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들 홈이 형성된 롤러(82)는, 상기 L자 형상부재(27)에 의해 캔틸레버형상으로 프레임(20)에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 L자 형상부재(27)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L자 형상의 부재이고, 안내 지주(40)의 상단부와 함께 체결되어 상부 프레임(23)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인장부재(80)의 타단(80b)을 각각 위치(P)를 향해서 끌어올리도록, 상기 클램프에 의해 연결된 웨이트(31)에 의한 부하를 부하 부여 부(30)가 부여하고 있다.
또한, 각 인장부재(80)의 타단(80b)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승강 요동부(50)의 안내 지주(40)로의 끼워맞춤 위치보다 타단측(정면측, 도면 중 X축 플러스측)에 연결되어 있다. 즉, 각 승강 요동부(5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지주(40)가 관통하는 안내부(52)보다 타단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축(54)을 소정 범위를 상하이동 가능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방향전환 안내차(81)를 통해서 인장부재(80)에 의해 부하 부여부(30)와 승강 요동부(50)의 슬라이딩 축(54)이 각각 접속됨으로써, 슬라이딩 축(54)을 위치(P)를 향해 끌어올리도록 부하 부여부(30)에 의한 부하가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 승강 요동부(50)는, 슬라이딩 축(54)을 통해서, 부하 부여부(30)의 부하에 의해 상측 방향(도면 중 Y축 정방향)으로 편향된다. 또한, 승강 요동부(50)는 안내 지주(4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지만, 좌우방향에 있어서 위치(P)의 하방으로부터 슬라이딩 축(54)의 위치가 벗어난 경우, 부하 부여부(30)의 부하에 의해, 좌우방향에 있어서 위치(P)의 하방에 슬라이딩 축(54)이 위치하도록, 즉, 승강 요동부(50)가 정면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편향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인장부재(80)는 홈이 형성된 롤러(82)에 의해 위치(P)를 통과하도록 규제되므로, 위치(P)와 슬라이딩 축(54)의 거리가 짧을 경우, 예컨대, 도 2에 나타내는 초기상태의 경우에는, 승강 요동부(50)는 그 회전이 규제되어 실질적으로 회전 불가능하다. 한편, 위치(P)와 슬라이딩 축(54)의 거리가 떨 어져 있을 경우, 예컨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상태보다 승강 요동부(50)가 하방에 위치할 경우에는, 승강 요동부(50)가 정면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편향시키는 힘에 저항하여, 사용자가 승강 요동부(50)를 소정 각도까지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승강 요동부(50)가 정면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편향시키는 힘은, 부하 부여부(30)의 부하에 비례함과 아울러, 위치(P)와 승강 요동부(50)의 거리에 대략 역비례하고 있다.
상기 부하 전달부(90)는, 부하 부여부(30)의 힘을 상기 파지 회전부(70)의 축(6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 회전부(70)의 축(6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91)와, 그 회전 전달부(91)에 의해 전달된 회전운동을 인장부재(80)의 타단측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딩 축(54)의 상하 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 기구부(92)를 구비하고 있고, 파지 회전부(70)를 승강 요동부(50)에 대하여 축회전시킴으로써, 회전 전달부(91) 및 크랭크 기구부(92)를 통해서 슬라이딩 축(54)이 상하이동함에 따라, 상기 클램프(도시생략)에 의해 연결된 웨이트(31)가 상하이동된다.
상기 회전 전달부(91)는, 승강 요동부(50) 내에서 파지 회전부(70)의 축(60)에 설치된 스프로킷(91a)과, 프레임체(51)에 상하단이 축지지된 축에 설치된 스프로킷(91b)과, 스프로킷(91a) 및 스프로킷(91b)에 걸쳐진 체인(91c)과, 스프로킷(91b)을 설치한 축에 설치된 베벨기어(91d)와, 그 베벨기어(91d)와 맞물리는 베벨기어(크라운기어)(91e)를 구비하고 있고, 그 베벨기어(91e)는, 프레임체(53)에 수평으로 축지지된 크랭크축(92a)의 파지 회전부(70)측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파지 회전부(70)의 축(60)의 수평방향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축(92a)이 회전한다. 한편, 상기 크랭크 기구부(92)는, 상기 크랭크축(92a)과, 상기 크랭크축(92a)의 중앙부로부터 돌출하는 돌기에 일단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측이 슬라이딩 축(54)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연결편(92b)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크랭크축(92a)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축(54)이 상하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파지 회전부(70)는 부하 부여부(30)의 부하에 비례하는 힘에 의해 정면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편향되어 있다. 그리고, 파지 회전부(70)를 승강 요동부(50)에 대하여 초기상태인 대략 정면방향으로부터 외측 수평방향으로 회전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축회전함으로써, 슬라이딩 축(54)이 승강 요동부(50)에 대하여 하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클램프에 의해 연결된 웨이트(31)가 끌어 올려진다.
이하, 이 트레이닝 기구(100)를 이용한 트레이닝 방법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의 근력이나 목적 등에 적절한 부하에 맞춰서 적절한 중량이 부하 부여부(30)의 부하가 되도록, 적절한 장수의 웨이트(31)를 상기 클램프(도시생략)에 의해 연결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정면을 향해서 좌석(11)에 착좌하고, 발바닥이 바닥면에 접지하도록 좌석(11)을 적절한 높이로 조정하여 고정한다. 또한, 좌석(11)에 착좌한 사용자의 대퇴부의 상면과 접할 정도로 대퇴부 가압부(25)를 적절한 높이로 조정하여 고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등 중에 적절한 아치를 만들면서 트레이닝을 행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일어서고, 정면방향을 향한 각 파지 회전부(70)의 초기상태에 맞추고, 손등을 정면방향을 향해서,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을 핸들부(71)에 걸고, 손등이나 손목의 뒤가 손등 접촉부(72)에 닿도록 하여, 파지 회전부(70)를 각각 파지한다. 그리고, 파지 회전부(70)를 상방향으로 편 손으로 파지하면서, 또한, 파지 회전부(70)를 하방으로 인장하면서 좌석(11)에 정면방향을 향해서 착좌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부하 부여부(30)의 부하에 비례한 힘에 의해 파지 회전부(70)가 정면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편향되는 힘에 저항하여, 양 상완을 외측으로 비틀고, 각 파지 회전부(70)를 승강 요동부(50)에 대하여 외측 수평방향으로 축회전시켜서, 각 파지 회전부(70)를 파지한 손등을 각각 정면방향보다 외측으로 향한다. 이 「회피 동작」의 포지션을 취함으로써, 굴근과 신근이 함께 「이완」해서 어깨나 팔이 릴렉스한 상태로 된다. 또한, 부하 부여부(30)의 부하에 의해 파지 회전부(70)가 상측 방향으로도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견갑대 부근 등의 근육이 적절하게 「신장」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적절하게 「신장」된 견갑대 부근 등의 근육이 「반사」를 일으키도록, 부하 부여부(30)의 부하에 저항하여 양팔을 굴곡하고 근육을 「단축」시켜서 파지 회전부(70)를 끌어내린다. 이 때, 또한 상완을 외측으로 비트는 「이완」과 「신장」의 동작을 가하면서, 양손으로 파지 회전부(70)를 끌어내린다. 이 상완을 외측으로 비트는 동작에 의해 각 파지 회전부(70)를 승강 요동부(50)에 대하여 더욱 외측 수평방향으로 축회전시킴으로써, 웨이트(31)를 끌어올리게 되고, 양팔을 끌어내리는 초기 동작에 있어서의 부하가 감소된다. 이와 같이, 양팔을 굴곡하여 파지 회전부(70)를 끌어 내려서 근육을 「단축」시킬 때, 더욱 상완을 외측으로 비틂으로써, 「이완」과 「신장」의 동작을 가하면서 적절한 「단축」의 타이밍을 출현시킴으로써, 각 근육군이 「이완-신장-단축」의 타이밍을 얻어서, 연동성 좋게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양팔을 굴곡하여 파지 회전부(70)를 끌어내릴 때, 각 승강 요동부(50)가 정면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편향되는 힘에 저항하여, 각 승강 요동부(50)가 각각 외측을 향하도록 양팔을 외측으로 점차 벌린다. 승강 요동부(50)가 정면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편향되는 힘은 위치(P)와 승강 요동부(50)의 거리에 대략 역비례하므로, 양팔을 굴곡시켜서 파지 회전부(70)를 끌어내림에 따라, 양팔을 외측으로 벌리는 것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된다. 그 때문에, 양팔을 굴곡시켜서 파지 회전부(70)를 끌어내릴 때, 사용자는 양팔을 외측으로 벌리도록 대략 일정한 근력을 출력시킴으로써, 파지 회전부(70)를 끌어내리면서, 양팔을 점차 외측으로 벌리는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근육의 공동수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각 파지 회전부(70)를 대략 어깨부의 높이까지 끌어내린 후, 부하 부여부(30)의 부하에 의한 각 바이어싱 포오스에 따르면서, 상완을 내측으로 비틀어 양팔을 내측으로 닫으면서 양팔을 신장함으로써, 손등을 정면방향을 향해서 파지 회전부(70)를 손으로 각각 파지하면서 착좌한 상태로 천천히 되돌린다. 이것에 의해, 트레이닝의 1사이클이 종료된다. 그리고, 이 트레이닝을 적절한 횟수의 사이클만큼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트레이닝 기구(100)는, 상기 초동 부하 트레이닝에 의해 어깨부나 등부의 근육 등에 대한 트레이닝을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초동 부하 트레이닝은, 부하를 부여하는 포인트, 부하를 해방하는 포인트와 각도, 리듬, 근출력의 연속성 등 전체적인 동작 이미지를 파악하여 트레이닝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고, 현단계에서의 신체의 밸런스나 부분적 경화 등에 의해 적절한 동작이나 폼을 취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지만, 이 트레이닝 기구(100)에 의해 이상적인 일련 동작이나 폼에 따른 트레이닝이 용이하게 유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트레이닝 기구(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트레이닝 기구(200)는, 어깨부, 팔부, 등부의 근육 등에 대하여 트레이닝을 행할 때에 이용되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착좌부(10)와, 상기 착좌부(10)를 지지하는 프레임(120)과, 그 프레임(120)에 설치된 부하의 크기가 조정가능한 부하 부여부(130)와, 프레임(120)에 착좌부(10)가 그 중앙위치가 되도록 좌우방향(도면 중 Z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직방향(도면 중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각 2개로 이루어지는 안내 지주(140)와, 그 좌우의 안내 지주(140)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한 2개의 승강부(150)와, 그 2개의 승강부(150)에 각각 고정된 축(160)(도 7 참조)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150)의 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손 누름 회전부(회전부)(170)와, 일단(180a)이 부하 부여부(130)에 연결되고, 타단(180b)이 승강부(150)에 연결된 인장부재(180)와, 승강부(150) 내에 있어서 인장부재(180)의 타단(180b)과 연결하여 부하 부여부(130)에 의해 손 누름 회전부(170)의 축(16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부하를 부여하도록 설치된 부하 전달부(90)(도 10 및 도 11 참조)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120)은, 적어도 네 구석부가 바닥면에 놓이는 하부 프레임(121)과, 그 하부 프레임(121)의 후방부로부터 소정의 좌우 간격을 두고 연직으로 고정된 2개의 연직기둥(122)과, 그 2개의 연직기둥(122)에 지지 고정된 상부 프레임(12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프레임(120)에는, 착좌부(11), 부하 부여부(130), 좌우의 안내 지주(140), 방향전환 안내차(181) 등이 지지 고정되어서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121)의 좌우방향 중앙부의 앞끝 근방에 연직으로 설치된 원기둥 파이프 재(124)의 상단으로부터 착좌부(10)의 한쪽의 좌석 지주(12)를 삽입하고, 또한, 원기둥 파이프 재(124)의 상부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재에 형성된 연직방향으로 관통되는 구멍에 다른쪽의 좌석 지주(12)를 삽입통과시킴으로써, 트레이닝 기구(200)를 사용하는 사용자(도 8 및 도 9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가 후방방향(도면 중 X축 마이너스방향)을 향해서 좌석(11)에 착좌할 수 있도록, 착좌부(10)가 프레임(120)에 지지된다. 또한, 좌석높이 조정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원기둥 파이프 재(124)에 대한 좌석 지주(12)의 고정 높이를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의 착좌 높이 등에 맞춰서 좌석(11)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퇴부 가압부(25)의 지주를 상기 원기둥 파이프 재(124)보다 후방에서 하부 프레임(121)의 상면에 연직으로 설치된 각기둥 파이프 재(126)의 상단 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대퇴부 가압부(25)가 프레임(120)에 지지된다. 또한, 프레임(120)은, 철강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각기둥 파이프 재나 판형상재 등을 가공하고, 볼트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여 구성하지만, 수지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해서 구성해도 된다.
상기 부하 부여부(130)는, 프레임(120)에 설치된 부하의 크기가 조정가능한 것이고, 상기 트레이닝 기구(100)의 부하 부여부(30)와 마찬가지로, 복수장의 판형상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웨이트(31)와, 그 웨이트(31)를 프레임(12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웨이트 안내 지주(132)와, 웨이트(31)를 서로 연결이탈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클램프(도시생략)를 구비한다. 1쌍의 웨이트 안내 지주(132)는, 2개의 연직기둥(122) 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121)과 상부 프레임(123)에 상하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부하 부여부(130) 및 2개의 연직기둥(122)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웨이트 덮개판(135)이 안전을 위해 설치되어 있고, 이 웨이트 덮개판(135)의 전방부 개구로부터 클램프에 의해 연결되는 웨이트(31)의 장수를 조정함으로써, 끌어 올려지는 웨이트(31)의 중량에 의한 부하 부여부(130)의 부하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의 안내 지주(140)는, 착좌부(10)가 그 중앙위치가 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또한 전후방향으로도 소정의 간극을 두며,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각 2개로 이루어지는 원기둥형상 부재이다. 이들 안내 지주(140)는, 그 하단이 하부 프레임(121)에, 상단이 상부 프레임(123)에 고정된 L자 형상부재(127)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승강부(150)는, 좌우의 안내 지주(140)에 그 일단측(좌우방향 외측)이 각각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부(150)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151)의 일단에 복수의 승강부 안내차(152)를 축지지하여 구비하고 있고, 덮개부재(153a)에 의해 좌우방향 외측으로부터, 덮개부재(153b)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부터 각각 안전을 위해 덮어져 있다. 동일한 연직평면(도면 중 YZ평면) 내에서 회전하는 복수의 승강부 안내차(152)가 2쌍, 각각 프레임체(151)의 일단측에 있어서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벽 사이에 축지지되어 있다. 동일한 연직 평면 내에서 회전하는 1쌍의 승강부 안내차(152)의 각 홈부로 형성되는 연직방향(도면 중 Y축방향)의 간극에 안내 지주(140)의 1개가 위치함으로써, 승강부(150)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거의 규제된다. 그리고, 1개의 승강부(150)가 2쌍의 복수의 승강부 안내차(152)를 구비하여 이것이 2개의 안내 지주(140)에 안내됨으로써, 승강부(150)의 수평방향(도면 중 XZ면 방향)의 회전이 거의 규제된다. 이와 같이, 승강부(150)는, 2개의 연직된 안내 지주(140)에 내접되어 안내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지만, 수평방향의 이동ㆍ회전은 규제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손 누름 회전부(170)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각각 잡아 누르는 것이고, 승강부(150)의 타단측에 고정된 연직방향의 축(160)의 상부에 연결하여 상기 승강부(150)의 상방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부(150)와 함께 상하이동한다. 이 각 손 누름 회전부(17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누르는 것에 적합한 돔 형상이고, 쿠션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축(160)은, 승강부(150)의 프레임체(151)의 상벽 및 하벽에 설치한 베어링을 통해서 승강부(150)에 축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손 누름 회전부(170)를 승강부(150)에 대하여 각각 수평방향으로 축회전시킬 수 있다. 각 손 누름 회전부(17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축(160)으로부터 벗어난 타단부가 좌우방향 대략 중앙을 향해서 마주 대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손 누름 회전부(170)는,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부하 부여부(130)의 작용에 의해 승강부(150)와 함께 좌석(11)에 착좌한 사용자의 어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부하 부여부(130)의 작용에 저항해서 손 누름 회전부(170)를 최하강시킨 상태에 있어서는, 각 손 누름 회전부(170)는 좌석(11)에 착좌한 사용자의 허리부 부근 혹은 허리부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인장부재(180)는, 2개의 동일한 길이의 로프이고, 그 일단(180a)이 웨이트(31)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웨이트(31)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판형상 플레이트는, 그 상면에 T자 형의 로프 고정부(33)를 구비하고 있고, 그 로프 고정부(33)의 상부 수평재의 양단부에 각 인장부재(180)의 일단(180a)이 각각 고정 체결되어 있다. 또한, 인장부재(180)는 로프에 한정되지 않고, 체인 등의 다른 부재이어도 된다. 또한, 로프 고정부(33)는 T자 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부하 부여부(130)를 구성하는 웨이트(31)에 일단(180a)이 고정된 각 인장부재(180)는, 각각 방향전환 안내차(81)에 권회되어 있다. 상기 방향전환 안내차(81)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도르래(81a,81b,81c)로 이루어지고, 웨이트(31)에 의해 인장부재(180)에 부여되는 하방으로의 부하를 상측방향으로의 부하로 전환하고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23)에 상방향으로부터 설치되는 상자형상의 덮개부재(129)(도면 중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는 각 도르래(81a,81b,81c)를 말려들어감 방지를 위해서 덮지만, 제3도르래(81c)의 일부가 개구로부터 정면측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웨이트 안내 지주(132)나 안내 지주(140) 등의 위치 관계에 의해, 도르래(81a,81b,81c)의 개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각 인장부재(180)의 타단(180b)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승강부(150)의 안내 지주(140)와의 내접위치보다 타단측에 연결되어 있다. 즉, 각 승강부(150)에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지주(140)의 내접위치보다 타단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 범위를 상하이동 가능하고 슬라이딩가능한 슬라이딩 축(154)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슬라이딩 축(154)의 상단부에 인장부재(180)의 타단(180b)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방향전환 안내차(81)를 통해서 인장부재(180)에 의해 부하 부여부(130)와 승강부(150)의 슬라이딩 축(154)이 각각 접속됨으로써, 승강부(150)는, 슬라이딩 축(154)을 통해서, 부하 부여부(130)의 부하에 의해 상측 방향(도면 중 Y축 정방향)으로 편향된다.
상기 부하 전달부(90)는, 부하 부여부(130)의 힘을 상기 손 누름 회전부(170)의 축(16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닝 기구(100)의 부하 전달부(90)와 마찬가지로, 손 누름 회전부(170)의 축(16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회전 전달 부(91)와, 그 회전 전달부(91)에 의해 전달된 회전운동을 인장부재(180)의 타단(180b)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딩 축(154)의 상하 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 기구부(92)를 구비하고 있고, 손 누름 회전부(170)를 승강부(150)에 대하여 축회전시킴으로써, 회전 전달부(91) 및 크랭크 기구부(92)를 통해서 슬라이딩 축(154)이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기 클램프(도시생략)에 의해 연결된 웨이트(31)가 상하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손 누름 회전부(170)는 부하 부여부(130)의 부하에 비례하는 힘에 의해 초기상태가 되도록 회전 편향되어 있다. 그리고, 손 누름 회전부(170)를 승강부(150)에 대하여 초기상태로부터 회전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축회전함으로써, 슬라이딩 축(154)이 승강부(150)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클램프에 의해 연결된 웨이트(31)가 끌어 올려진다.
이하, 이 트레이닝 기구(200)를 이용한 트레이닝 방법에 대해서, 도 6~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의 근력이나 목적 등에 적절한 부하에 맞춰서 적절한 중량이 부하 부여부(30)의 부하가 되도록, 적절한 장수의 웨이트(31)를 상기 클램프(도시생략)에 의해 연결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후방(도면 중 X축 마이너스방향)을 향해서 좌석(11)에 착좌하고, 발바닥이 바닥면에 접지하도록 좌석(11)을 적절한 높이로 조정해서 고정한다. 또한, 좌석(11)에 착좌한 사용자의 대퇴부의 상면과 접할 정도로 대퇴부 가압부(25)를 적절한 높이로 조정하여 고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등 중에 적절한 아치를 만들면서 트레이닝을 행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일어나고, 각 손 누름 회전부(170)의 축(160)으로부터 벗 어난 타단측, 즉 각 손 누름 회전부(170)의 마주보는 측을 손으로 위로부터 잡아 누르면서, 손 누름 회전부(170)를 승강부(150)와 함께 눌러 내려서, 좌석(11)에 착좌한다. 이 때, 사용자는, 어깨를 들어 올리고, 팔꿈치를 구부리고, 팔뚝을 내측으로 조금 가까이 끌어당기고, 손목을 팔뚝으로부터 전방으로 구부리고 있다.
다음에, 사용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손 누름 회전부(170)의 높이위치를 유지하면서, 부하 부여부(130)의 부하에 비례하는 회전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양 손목을 내측으로 비틀고, 각 손 누름 회전부(170)를 승강부(150)에 대하여 축회전시켜서, 각 손 누름 회전부(170)를 잡는 손을 각각 정면방향보다 내측으로 넣는다.
이 「회피 동작」의 포지션을 취함으로써, 굴근과 신근이 함께 「이완」하여 어깨부, 팔부, 등부가 릴렉스한 상태로 된다. 또한, 부하 부여부(130)의 부하에 의해 손 누름 회전부(170)가 상측 방향으로도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넓은 등의 근육 등의 등부의 근육이 적절하게 「신장」된다. 또한, 사용자는 손 누름 회전부(170)의 축(160)으로부터 벗어난 타단측을 쥐어 각 손 누름 회전부(170)를 축회전시킴으로써, 회전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손 누름 회전부(170)를 축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절하게 「신장」된 등부의 근육이 「반사」를 일으키도록, 부하 부여부(130)의 부하에 저항하여 양팔을 펴서 근육을 「단축」시키고, 더욱 손목을 외측으로 비트는 「이완」과 「신장」의 동작을 가하면서, 양손으로 손 누름 회전부(170)를 눌러 내린다. 이 손목을 외측으로 비트는 동작에 의해 각 손 누름 회전부(170)를 승강부(150)에 대하여 상기 축회전과는 역방향으로 축회전시킴으로써, 손 누름 회전부(170)를 눌러 내리는 초기 동작에 있어서의 부하가 감소된다. 이와 같이, 양팔을 펴서 손 누름 회전부(170)를 눌러 내려 근육을 「단축」시킬 때, 더욱 손목을 외측으로 비틂으로써, 「이완」과 「신장」의 동작을 가하면서 적절한 「단축」의 타이밍을 출현시킴으로써, 각 근육군이 「이완-신장-단축」의 타이밍을 얻어서, 연동성 좋게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양팔을 펴서 손 누름 회전부(170)를 눌러 내릴 때, 각 승강부(150)는 안내 지주(140)에 안내되어서 손 누름 회전부(170)와 함께 연직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사용자는 양팔을 펴서 손 누름 회전부(170)를 눌러 내리는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근육의 공동수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는, 각 손 누름 회전부(170)를 대략 허리부의 높이까지 눌러 내린 후, 손 누름 회전부(170)를 손으로 잡아 누르면서, 부하 부여부(130)의 부하에 의한 상방향으로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따라, 상완을 내측으로 비틀어 팔꿈치를 구부림으로써, 착좌한 상태로 천천히 되돌린다. 이것에 의해, 트레이닝의 1사이클이 종료된다. 그리고, 이 트레이닝을 적절한 횟수의 사이클만큼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트레이닝 기구(200)는, 상기 초동 부하 트레이닝에 의해 어깨부, 팔부, 등부의 근육 등에 대한 트레이닝을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초동 부하 트레이닝은, 부하를 부여하는 포인트, 부하를 해방하는 포인트와 각도, 리듬, 근출력의 연속성 등 전체적인 동작 이미지를 파악하여 트레이닝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고, 현단계에서의 신체의 밸런스나 부분적 경화 등에 의해 적절한 동작이나 폼을 취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지만, 이 트레이닝 기구(200)에 의해 이상적인 일련 동작이나 폼에 따른 트레이닝이 용이하게 유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기구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나타낸 트레이닝 기구(100,2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부하 부여부(30,130)는, 웨이트(31)의 중량에 의해 부하를 부여하는 것 외에, 전자력, 유압, 공기압 등을 이용하여 부하를 부여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부하 부여부(30,130)에 전자력, 유압, 공기압 등을 이용한 경우에는, 부하 부여부(30,130)를 프레임(20,120)의 상부에 설치하고, 방향전환 안내차(81)를 생략해도 된다. 또한, 트레이닝 기구(100,200)는 사용자가 착좌부(10)에 착좌해서 트레이닝을 행하는 것이지만, 사용자가 선 상태에서 트레이닝을 행해도 된다. 단, 사용자가 착좌부(10)에 착좌해서 트레이닝을 하도록 함으로써, 트레이닝 기구(100,200)의 전체 높이가 낮아져, 천장 높이가 낮은 트레이닝실 등에도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사용자의 신장보다 편차가 적은 사용자의 착좌 높이 등에 기초하여 트레이닝 기구(100,200)를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20,120)에 착좌부(10), 부하 부여부(30,130), 안내 지주(40,140), 방향전환 안내차(81)를 부착했지만, 건물 내에서 설치하는 경우에는, 착좌부(10)나 안내 지주(40,140)를 바닥면에 고정하고, 방향전환 안내차(81)를 천정에 고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반드시 1개의 프레임에 모든 구성요소를 부착할 필요는 없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채택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말하는 프레임(20,120)은, 건 조물의 구성 부재, 바닥면 등의 서로 부동의 관계에 있는 구조물도 의미하는 것이다.

Claims (7)

  1. 착좌부;
    부하의 크기가 조정가능한 부하 부여부;
    상기 착좌부가 그 중앙위치가 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안내 지주;
    상기 좌우의 안내 지주에 각각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승강부;
    상기 2개의 승강부에 각각 고정된 축에 연결하여 상기 승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
    일단이 상기 부하 부여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부에 연결된 인장부재; 및
    상기 승강부 내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재의 타단과 연결하여 상기 부하 부여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의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부하를 부여하도록 설치된 부하 전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승강부는 그 일단측이 상기 좌우의 안내 지주에 각각 끼워 맞춰짐으로써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축은 상기 2개의 승강부의 타단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축에 연결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장부재의 타단은 상기 승강부의 안내 지주의 끼워 맞춤 위치보다 타단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승강부는 상기 좌우의 안내 지주에 각각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만 이동가능이고,
    상기 축에 연결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 상기 부하 부여부 및 상기 좌우의 안내 지주는, 1개의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각각 고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부여부는, 상기 프레임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또한 서로 연결이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웨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기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전달부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회전 전달부; 및
    상기 회전 전달부에 의해 전달된 회전운동을 상기 인장부재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축의 상하 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 기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기구.
  7.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회전전달부; 및
    상기 회전전달부에 의해 전달된 회전운동을, 일단이 부하에 연결된 인장부재의 타단측과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축의 상하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 기구부를 구비하는 부하 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기구.
KR1020077007402A 2004-12-28 2005-02-23 트레이닝 기구 KR100817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81653 2004-12-28
JP2004381653A JP4063821B2 (ja) 2004-12-28 2004-12-28 トレーニング器具
JPJP-P-2005-00036340 2005-02-14
JP2005036340A JP4063827B2 (ja) 2004-12-28 2005-02-14 トレーニング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167A KR20070070167A (ko) 2007-07-03
KR100817827B1 true KR100817827B1 (ko) 2008-03-31

Family

ID=3661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402A KR100817827B1 (ko) 2004-12-28 2005-02-23 트레이닝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686746B2 (ko)
EP (1) EP1832316B1 (ko)
JP (2) JP4063821B2 (ko)
KR (1) KR100817827B1 (ko)
CN (2) CN101048204B (ko)
HK (2) HK1107044A1 (ko)
WO (1) WO20060704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302B1 (ko) * 2015-02-09 2015-06-29 양윤식 회전복귀장치가 구비된 운동기구
KR101553051B1 (ko) 2014-07-22 2015-09-15 (주)카이로스 피봇 기구 및 그것이 적용된 재활 치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27893A4 (en) * 2006-06-14 2009-08-26 Grandworks Japan Co Ltd EXERCISE DEVICE
US20080026920A1 (en) * 2006-07-27 2008-01-31 Annaniy Berenshteyn Weightlifting apparatus for pronation and supination exercises
CA2593737A1 (en) * 2007-07-04 2009-01-04 Murray Strand Wall mounted pivoting weight stack apparatus
US8057368B1 (en) * 2007-08-06 2011-11-15 Grzegorz Lyszczarz Three-point adjustable multi-purpose exercise machine
JP5080165B2 (ja) * 2007-08-08 2012-11-21 セノー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マシン
JP5299803B1 (ja) * 2011-09-26 2013-09-25 株式会社グランドワークスジャパン ストレッチ用機器
KR101394117B1 (ko) * 2012-10-09 2014-05-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케이블 운동기구
JP6573780B2 (ja) * 2015-05-29 2019-09-11 ホグレル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装置
US10661112B2 (en) 2016-07-25 2020-05-26 Tonal Systems, Inc. Digital strength training
US11745039B2 (en) 2016-07-25 2023-09-05 Tonal Systems, Inc. Assisted racking of digital resistance
US10335626B2 (en) 2017-10-02 2019-07-02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with pancake motor
US10617903B2 (en) 2017-10-02 2020-04-14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differential
US10486015B2 (en) 2017-10-02 2019-11-26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enhancements
US10589163B2 (en) 2017-10-02 2020-03-17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safety enhancements
CN110251895B (zh) * 2019-06-04 2021-04-06 新乡医学院 体育锻炼引体向上训练装置
US11285355B1 (en) 2020-06-08 2022-03-29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enhancements
CN111840926B (zh) * 2020-08-20 2024-08-27 北京冠之路科技集团有限公司 胸大肌及腹肌训练器械
CN113018101B (zh) * 2021-03-23 2022-10-25 周文华 一种用于神经内科的肩周颈椎辅助治疗方法
CN113018102B (zh) * 2021-03-23 2022-08-30 陕西省康复医院(陕西省残疾人康复中心) 一种神经内科用肩周颈椎辅助治疗装置
US11998804B2 (en) 2021-04-27 2024-06-04 Tonal Systems, Inc. Repetition phase detection
US11878204B2 (en) 2021-04-27 2024-01-23 Tonal Systems, Inc. First repetition detection
US20220355155A1 (en) * 2021-05-06 2022-11-10 Paul Won Exercising apparatus
CN113144510B (zh) * 2021-05-27 2023-07-07 三门峡职业技术学院 一种辅助健美操练习的力量训练装置
CN113289319B (zh) * 2021-07-09 2024-08-13 合肥工业大学 一种曲柄滑块式上肢康复训练装置
KR20240005961A (ko) 2021-08-16 2024-01-12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윙 엔터프라이즈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및 이를 사용한 트레이닝 기구
CN114210027B (zh) * 2021-12-16 2022-08-02 宋宝婵 一种用于体育教学的臂力提升训练装置
WO2024009742A1 (ja) * 2022-07-04 2024-01-11 株式会社ワールドウィングエンタープライズ トレーニング器具用負荷伝達機構部及びこれを用いたトレーニング器具
AU2022475949A1 (en) * 2022-08-24 2024-04-11 Newtech Wellness Co.,Ltd. Adjustable low pulle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3717A (en) * 1978-11-01 1983-02-15 Lambert Jr Lloyd J Wrist curl machine
US4757922A (en) 1986-11-20 1988-07-19 Menda Scientific Products, Inc. Liquid dispenser
US4757992A (en) * 1987-05-01 1988-07-19 Heitsch Richard C Posterior shoulder exercise machine
US4836535A (en) * 1988-01-25 1989-06-06 Pearson Bruce E Upper body building machine
GB2249733B (en) * 1990-11-13 1994-11-23 Vincent Frank Basile A bicep exercise machine
CN2168617Y (zh) * 1993-04-20 1994-06-15 何富生 多功能健身器
JP2897019B2 (ja) * 1996-10-09 1999-05-31 株式会社能率技術研究所 トレーニング装置
JP2897020B2 (ja) * 1996-11-07 1999-05-31 株式会社能率技術研究所 腕力トレーニング装置
IL143819A0 (en) * 2001-06-18 2002-04-21 Regev Yuval Multi-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with adjustable working axis
JP2004135800A (ja) * 2002-10-16 2004-05-13 Hitoshi Matsumoto トレーニング装置
JP2004187724A (ja) 2002-12-06 2004-07-08 Sakai Medical Co Ltd 運動用器具
CN2623282Y (zh) * 2003-05-06 2004-07-07 信隆实业(深圳)有限公司 多功能仰卧起坐机健身器
US7361125B2 (en) * 2003-11-03 2008-04-22 Hoist Fitness Systems, Inc. Rigid arm pull down exercise machine
JP4317141B2 (ja) * 2005-01-18 2009-08-19 英文 佐藤 下肢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US8096929B2 (en) * 2006-03-10 2012-01-17 Dream Visions, Llc Abdominal exercise st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051B1 (ko) 2014-07-22 2015-09-15 (주)카이로스 피봇 기구 및 그것이 적용된 재활 치료 장치
KR101532302B1 (ko) * 2015-02-09 2015-06-29 양윤식 회전복귀장치가 구비된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18194A (ja) 2006-08-24
EP1832316B1 (en) 2016-03-09
CN101791464A (zh) 2010-08-04
WO2006070486A1 (ja) 2006-07-06
JP2006187317A (ja) 2006-07-20
HK1144155A1 (en) 2011-01-28
CN101048204A (zh) 2007-10-03
HK1107044A1 (en) 2008-03-28
KR20070070167A (ko) 2007-07-03
CN101048204B (zh) 2010-05-26
US7686746B2 (en) 2010-03-30
US20100204022A1 (en) 2010-08-12
JP4063821B2 (ja) 2008-03-19
US7892153B2 (en) 2011-02-22
CN101791464B (zh) 2014-02-12
EP1832316A4 (en) 2009-07-22
EP1832316A1 (en) 2007-09-12
US20070287607A1 (en) 2007-12-13
JP4063827B2 (ja)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827B1 (ko) 트레이닝 기구
JP3830486B2 (ja) 運動補助具
JP4317141B2 (ja) 下肢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EP2907548B1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CN212118908U (zh) 身体拉伸训练器材
US3372928A (en) Exercising machines operable independently of the exercising person&#39;s applied force
CN206560640U (zh) 一种多方位健身器械
CN213220730U (zh) 一种可以调节负载的康复健身器材
EP4389241A1 (en) Load transmission mechanism unit for training equipment, and training equipment using same
JP4559440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
CN210904836U (zh) 一种脑卒中患者用上肢锻炼设备
CN113367937A (zh) 一种下肢康复训练装置及系统
JPH09294826A (ja) 筋力鍛練装置
WO2024009742A1 (ja) トレーニング器具用負荷伝達機構部及びこれを用いたトレーニング器具
CN104922854A (zh) 屈臂上抬练肌器
JP2023119061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CN218944249U (zh) 一种坐卧式四肢力量训练拉力机
JP2023119062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CN217987949U (zh) 一种老年人内科护理腿部锻炼装置
CN206081470U (zh) 一种肌肉锻炼器材
CN106264964A (zh) 体动式健身椅主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