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961A -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및 이를 사용한 트레이닝 기구 - Google Patents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및 이를 사용한 트레이닝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961A
KR20240005961A KR1020237043113A KR20237043113A KR20240005961A KR 20240005961 A KR20240005961 A KR 20240005961A KR 1020237043113 A KR1020237043113 A KR 1020237043113A KR 20237043113 A KR20237043113 A KR 20237043113A KR 20240005961 A KR20240005961 A KR 20240005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raining device
grip
shaft portion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코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윙 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윙 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윙 엔터프라이즈
Publication of KR20240005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9Rotational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는 파지부가 제1 단부에 접속되어 회동하는 파지축부와, 파지축부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중간축부와, 파지축부와 중간축부 사이에 현가되어 서로의 회동을 전달하는 전달부와, 중간축부와 직교하는 크랭크축부에 설치되는 중간축부의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 변환부와, 크랭크축부의 회전을 중간축부와 평행이 되는 위치에 배치한 슬라이딩 축부의 상하 동작으로 변환하는 크랭크축부를 하우징부에 수용하고, 파지축부의 제1 단부는 전달부와 직교하여 하우징부에 형성된 축 개구부로부터 돌출되고, 파지축부의 제1 단부는 하우징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단부와 반대측의 제2 단부는 축 개구부 내에서 요동한다.

Description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및 이를 사용한 트레이닝 기구
본 발명은,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및 이를 사용한 트레이닝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사용자의 팔, 어깨 등의 부위를 단련하는 각종 트레이닝 기구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양팔의 운동을 할 수 있는 트레이닝 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에 따르면, 근육의 경화를 수반하지 않고, 근육통, 피로 등의 신체에 주는 부담이 적으며, 또한, 유연하고 탄력성이 뛰어난 어깨부나 등부의 근육 등을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1의 트레이닝 기구는, 트레이닝 기구측의 웨이트(추)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 사이에, 승강 요동 부재라 칭해지는 회동(回動)축과 기어 등을 구비하는 부하 전달 기구부를 설치하고 있다. 단순히 웨이트측의 와이어를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와 접속하는 구성의 트레이닝 기구와 비교하여, 특허문헌 1의 트레이닝 기구와 같이 승강 요동 부재(부하 전달 기구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단련하고자 하는 팔 근육에 비틀림 등의 복잡한 동작이 더해진다. 그 때문에, 단조로운 방향의 근육 단련에 머무르지 않고, 팔의 뼈 둘레의 근육을 보다 많이 움직이게 되어, 유연성을 높인 근육 단련이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87317호 공보
발명자는 특허문헌 1의 트레이닝 기구의 승강 요동 부재(부하 전달 기구부)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리고, 발명자는 승강 요동 부재(부하 전달 기구부)에 있어서의 축의 동작을 개량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하 전달 기구부를 구성하는 축의 동작 자유도를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단련하고자 하는 근육에 복잡한 동작을 더할 수 있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및 이를 사용한 트레이닝 기구를 제공한다.
즉,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가 제1 단부에 접속되어 회동하는 파지축부와, 파지축부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중간축부와, 파지축부와 중간축부 사이에 현가(懸架)되어 파지축부와 중간축부의 상호 회동을 전달하는 전달부와, 중간축부와 직교하는 크랭크축부에 설치되는 중간축부의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 변환부와, 크랭크축부의 회전을 중간축부와 평행이 되는 위치에 배치한 슬라이딩 축부의 상하 동작으로 변환하는 크랭크축부가, 하우징부에 수용되고, 파지축부의 제1 단부는 전달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우징부에 형성된 축 개구부로부터 돌출되고, 파지축부의 제1 단부는 하우징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파지축부의 제1 단부와 반대측의 제2 단부는 축 개구부 내에서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에 있어서, 회전 변환부는 중간축부에 구비되는 중간축 베벨 기어와, 크랭크축부에 구비되어 중간축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크랭크축 베벨 기어를 구비하고, 크랭크축부에는 크랭크축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결편부와, 연결편부에 접속되고 중간축부와 평행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크랭크축부의 회동이 연결편부를 통하여 전후 동작으로 변환되는 슬라이딩 축부가, 하우징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축 개구부에 있어서의 파지축부의 제1 단부측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판부가 하우징부에 구비되어도 좋다.
또한, 규제판부는 갈고리부를 구비하고 갈고리부에 의해 파지축부와 걸림 결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규제판부는 축 개구부에 전진하여 갈고리부에 의해 파지축부와 걸림 결합하는 동시에, 규제판부는 축 개구부로부터 후퇴하여 파지축부의 제1 단부측과의 걸림 결합을 해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전달부는 전달 체인이며, 파지축부에 파지축 스프로킷이 구비되고, 중간축부에 중간축 스프로킷이 구비되고, 전달 체인이 파지축부 스프로킷과 중간축부 스프로킷 사이에 현가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파지축부와 중간축부 사이에 전달부의 장력을 부가하는 가압축부가 구비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가압축부에 전달부와 접촉하는 원반부가 구비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파지부가 환형상물이어도 좋고, 또는, 파지부가 반원 기둥 형상물이어도 좋다.
파지축부의 제2 단부에 구형상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슬라이딩 축부는 트레이닝 기구의 부하의 크기를 조정 가능한 부하 부여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하우징부에 트레이닝 기구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구비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에 따르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가 제1 단부에 접속되어 회동하는 파지축부와, 파지축부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중간축부와, 파지축부와 중간축부 사이에 현가되어 파지축부와 중간축부의 상호 회동을 전달하는 전달부와, 중간축부와 직교하는 크랭크축부에 설치되는 중간축부의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 변환부와, 크랭크축부의 회전을 중간축부와 평행이 되는 위치에 배치한 슬라이딩 축부의 상하 동작으로 변환하는 크랭크축부가, 하우징부에 수용되고, 파지축부의 제1 단부는 전달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우징부에 형성된 축 개구부로부터 돌출되고, 파지축부의 제1 단부는 하우징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파지축부의 제1 단부와 반대측의 제2 단부는 축 개구부 내에서 요동하므로, 부하 전달 기구부를 구성하는 축의 동작 자유도를 높임으로써, 사용자가 단련하고자 하는 팔의 근육에 복잡한 동작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시에, 본 발명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를 사용한 트레이닝 기구로 함으로써, 사용자의 희망에 부합하는 트레이닝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방측으로부터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은, 파지축부 부근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A)는 규제판부의 전진 시의 모식도이며, (B)는 규제판부의 후퇴 시의 모식도이다.
도 5는, (A)는 다른 규제판부의 전진 시의 모식도이며, (B)는 다른 규제판부의 후퇴 시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1 트레이닝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트레이닝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제1 트레이닝 기구의 제1 사용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 트레이닝 기구의 제1 사용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제1 트레이닝 기구의 제2 사용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 트레이닝 기구의 제2 사용 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제2 트레이닝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2 트레이닝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2 트레이닝 기구의 사용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2 트레이닝 기구의 사용 형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1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를 구비한 제1 트레이닝 기구의 사용시에 대한, (A) 제1 사진, (B) 제2 사진, (C) 제3 사진, (D) 제4 사진, (E) 제5 사진이다.
도 21은, 또한 (A) 제6 사진, (B) 제7 사진, (C) 제8 사진, (D) 제9 사진, (E) 제10 사진이다.
도 22는, 또한 (A) 제11 사진, (B) 제12 사진, (C) 제13 사진, (D) 제14 사진, (E) 제15 사진이다.
도 23은, (A) 파지축부의 요동이 있을 때의 근전도 그래프이며, (B) 파지축부의 요동이 없을 때의 근전도 그래프이다.
도 1, 도 2, 도 6 내지 도 9에 개시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 1B 및 1C)는, 후술하는 트레이닝 기구(100 또는, 200)에 접속된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 1B 및 1C)는, 트레이닝 기구측의 웨이트 등의 부하를 트레이닝 기구의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기구를 구비한 기계 부재이다.
<제1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는, 하우징부(2)에 파지축부(10)와 중간축부(20)와 크랭크축부(40)와 슬라이딩 축부(50)를 구비한다. 파지축부(10)와 슬라이딩 축부(50) 사이의 각 축부를 통하여 파지축부(10)와 슬라이딩 축부(50) 상호간에 동력이 전달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에서는, 중간축부(20), 크랭크축부(40) 및 슬라이딩 축부(50)의 각 축부는 하우징부(2)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축부는 하우징부(2)의 상면(2a) 및 하면(2b), 나아가, 하우징부(2)의 내부의 면 부분에 축지지된다. 원활한 회동을 위하여, 축지지 개소에는 적절한 베어링이 개재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를 후술하는 트레이닝 기구(100)(도 9 등 참조)에 접속하기 위하여, 접속부(7)가 하우징부(2)에 구비된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의 접속부(7)가 채용하는 형태는 통 형상의 접속 통부(8)이다. 안내 지주(140)(도 10 등 참조)가 접속 통부(8) 내에 삽입 관통된다. 접속 통부(8)에는 예를 들어 불소 수지 등의 슬라이딩 저항이 낮은 부재가 사용된다. 그 결과,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는 트레이닝 기구(100)에 있어서 원활하게 상하로 승강 또한 선회 가능해진다.
파지축부(10)는 제1 단부(11)와 제2 단부(12)로 이루어지고, 제1 단부(11)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160)(도 10 등 참조)가 접속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 팔의 동작은 파지부(160)를 통하여 파지축부(10)에 전달되고 파지축부(10) 자체도 회동한다. 후술하는 트레이닝 기구(100)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지축부(10)에 접속되는 파지부(160)는 환형상물, 특히 손가락에 의해 파지되므로, 직사각형의 환형상이다.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60)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사각형) 형상이며, 끊어진 곳 없이 연결된 환을 형성하고 있다.
중간축부(20)는 파지축부(10)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파지축부(10)와 중간축부(20) 사이에 현가되어 파지축부(10)와 중간축부(20)의 상호 회동을 전달하는 전달부(15)가 구비된다. 파지축부(10)와 중간축부(20)는 서로 평행이 되는 배치이다. 파지축부(10)와 하우징부(2)의 접속은 후술하는 도 4에서 설명한다. 중간축부(20)의 양단은 하우징부(2)의 벽면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에서는, 전달부(15)는 전달 체인(16)이다(도 1 중, 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전달부(15)의 전달 체인(16)의 현가와 맞물림을 위하여, 파지축부(10)에 파지축 스프로킷(13)과 중간축부(20)에 중간축 스프로킷(23)이 구비된다. 전달부(15)는 전달 체인(16)을 채용하는 대신에 벨트와 풀리의 조합(도시하지 않음)으로 해도 좋다.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축부(20)와 크랭크축부(40)는 직교하는 관계에 있고, 중간축부(20)와 크랭크축부(40)에는 중간축부(20)의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 변환부가 구비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당해 회전 변환부는 중간축부(20)에 구비되는 중간축 베벨 기어(22)와, 크랭크축부(40)에 구비되어 중간축 베벨 기어(22)와 맞물리는 크랭크축 베벨 기어(42)를 구비한다. 따라서, 중간축부(20)의 회동 동작은 크랭크축부(40)에 직각으로 연동한다. 또한, 중간축부와 크랭크축부를 직교하여 접속하는 회전 변환부의 기구로서, 예를 들어 크라운 기어와 평 기어, 웜과 웜 휠의 조합 등의 기구를 들 수 있다.
크랭크축부(40)에는 연결편부(41)가 접속된다. 연결편부(41)는 크랭크축부(40)로부터 돌출 설치된 연결편부(41)와의 접속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슬라이딩 축부(50)의 말단은 연결편부(4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슬라이딩 축부(50)는 중간축부(20)와 평행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크랭크축부(40)의 회동은 연결편부(41)를 통하여, 지면(紙面) 상에서는 상하 이동 동작으로 변환되고, 슬라이딩 축부(50)에 전달된다. 슬라이딩 축부(50)는 트레이닝 기구(100)(도 10 참조)의 부하의 크기를 조정 가능한 부하 부여부(130)에 연결된다.
크랭크축부(40)의 회동에 따라 연결편부(41)도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연결편부(41)를 통하여 슬라이딩 축부(50)에 상하 이동 동작이 발생한다. 즉, 파지축부(10)의 축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축부(50)가 상하 이동하고, 슬라이딩 축부(50)에 연결된 트레이닝 기구(100)(도 10 참조)의 부하 부여부(130)(웨이트)가 상하 이동한다. 또한,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에 있어서, 회전 전달부(1S)는 파지축부(10)에 설치된 파지축 스프로킷(13)과, 중간축 스프로킷(23)과, 파지축 스프로킷(13)과 중간축 스프로킷(23) 사이에 현가된 전달부(15)(전달 체인(16))와, 중간축부(20)에 설치된 중간축부 베벨 기어(22)와, 상기 중간축부 베벨 기어(22)와 맞물리는 크랭크축 베벨 기어(42)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파지축부(10)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축부(40)도 회전한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에 있어서, 크랭크 기구부(1K)는 크랭크축부(40)와, 상기 크랭크축부(40)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에 일단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슬라이딩 축부(50)측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편부(41)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크랭크축부(40)의 회동에 의해 슬라이딩 축부(50)가 진퇴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파지축부(10)(파지부(160))는 부하 부여부(130)(모두 도 10 등 참조)의 부하에 비례하는 힘에 의해 회전 가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파지부(160)를 파지축부(10)에 대하여 회전 가압력에 저항하여 축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전달부(1S) 및 크랭크 기구부(1K)를 통하여 슬라이딩 축부(50)는 하우징부(2)의 내부로 인입되고, 슬라이딩 축부(50)에 연결된 부하 부여부(130)는 인장된다(끌어올려진다).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후술하는 1B 및 1C)의 특징으로서, 파지축부(10)는 하우징부(2)에 완전히 축지지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요동이 허용되어 있다. 도 2의 하방측으로부터의 사시도와 같이, 하우징부(2)의 하면(2b)에 축 개구부(3)가 형성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축 개구부(3)는 전달부(15)(전달 체인(16)의 현가 방향)와 직교하는 방향을 이루며 개구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 형태에서는 축 개구부(3)는 크랭크축부(40)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이루며 개구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부(2)에 형성된 축 개구부(3)는 하우징부(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이다. 파지축부(10)의 제1 단부(11)는 축 개구부(3)로부터 돌출된다. 파지축부(10)에서는 제2 단부(12)를 지지점으로 하여 축 개구부(3)의 개구 길이 방향(전달부(15)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단부(11)를 요동 가능하게 한다(도 1 참조).
도 3의 단면 모식도는 파지축부(10)의 제2 단부(12) 근방을 나타낸다. 하우징부(2)에는 파지축부(10)가 관통하는 요동 개구부(4)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제2 단부(12)가 요동 개구부(4)에 삽입되어 있다. 파지축부(10)의 제2 단부(12)에는 구형상부(12r)가 형성된다. 그리고, 요동 개구부(4)에는 구형상부(12r)와 대응하는 슬라이딩 면부(4r)가 형성된다. 즉, 구형상부(12r)와 슬라이딩 면부(4r)에 의해, 볼 조인트가 형성된다. 파지축부(10)의 제2 단부(12)의 구형상부(12r)를 요동 가능하게 보호지지하기 위하여, 요동 보호지지판부(14)가 구형상부(12r)에 씌워진다. 구형상부(12r)가 슬라이딩 면부(4r)와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때의 마찰의 가감을 위하여, 요동 보호지지판부(14)와 하우징부(2)의 간격은 간격 부재(14v)에 의해 조정된다. 구형상부(12r)와 슬라이딩 면부(4r) 사이의 볼 조인트 접속 구조로 인해, 파지축부(10)는 제2 단부(12)(구상부(12r))를 중심으로 하여 원호 형상으로 요동 가능해진다(도면 중의 이점쇄선 참조). 단, 축 개구부(3)의 개구 방향에 의해, 파지축부(10)의 제1 단부(11)의 요동은 제약된다. 실시 형태의 파지축부(10)의 구형상부(12r)에 있어서의 볼 조인트의 슬라이딩의 구성에 더하여, 예를 들어 도시는 생략하나, 파지축부의 제2 단부측에 축을 삽입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하우징부측에 구비된 축을 통하여 상기 구멍에서 요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지축부의 요동 시에 파지축부에 발생하는 비틀림에 대응하기 위하여, 파지축부에 베어링 등의 선회 기구가 구비된다.
또한,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는 도 2의 사시도와 같이, 하우징부(2)의 하면(2b)에 규제판부(5)가 구비된다. 규제판부(5)는 축 개구부(3)에 있어서의 파지축부(10)의 제1 단부(11)측의 요동을 규제한다. 상세하게는 도 4 또는 도 5의 모식도가 참조된다. 도 4와 도 5에서는 갈고리부의 개수가 다르며, 규제판부 자체의 동작은 공통이다. 도 4(A)의 모식도는 도 2의 상태에 대응한다. 하우징부(2)의 하면(2b)에 구비되는 규제판부(5)는 지면 좌우 방향의 양측이 슬라이드 보호지지부(6)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후퇴 위치). 이 규제판부(5)에는 갈고리부(5e)가 축 개구부(3)측으로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이어서, 도 4(B)의 모식도에서는 규제판부(5)가 축 개구부(3)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전진하여 갈고리부(5e)가 파지축부(10)와 걸림 결합하고 있는 상태이다(전진 위치). 이 경우, 파지축부(10)는 2개의 갈고리부(5e)에 끼워져 지면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규제판부(5)는 파지축부(10)와의 걸림 결합 상태와 걸림 결합 해제 상태 모두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용이하게 이행할 수 있다. 또한, 규제판부(5)를 전진 위치에 고정하는 경우, 규제판부(5)는 적절히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하우징부(2)의 하면(2b)에 임시 고정된다.
도 5의 모식도는 도 4의 규제판부(5)의 다른 형태예가 되는 규제판부(5w)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규제판부(5w)에서는 2개의 갈고리부(5e)의 좌우에 갈고리부(5f)가 더 구비되어 있다(도 5(A) 참조). 도 4의 규제판부(5)에서는 2개의 갈고리부(5e)의 위치로부터 파지축부(10)는 축 개구부(3)의 길이 방향 중앙부분에 위치가 규제된다. 이에 대하여, 도 5의 규제판부(5w)에서는 갈고리부(5e)에 갈고리부(5f)도 더해지므로, 파지축부(10)는 갈고리부(5e)와 갈고리부(5f) 사이에 끼워져 축 개구부(3)의 단부의 위치에 규제 가능해진다(도 5(B) 참조). 따라서, 규제판부(5w)가 채용되면, 사용자의 동작, 트레이닝 내용 등에 의해 대응시킨 위치에 파지축부(10)가 규제된다.
<제2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도 6 및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는 주로 후술하는 트레이닝 기구(200)(도 16 등 참조)에 접속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와 공통되는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에 있어서, 회전 전달부(1S) 및 크랭크 기구부(1K)의 기구, 장치 구성은 전술한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와 마찬가지이다. 단, 파지축부(10)의 제1 단부(11)와 제2 단부(12)의 방향은 상하 반대로 된다. 또한, 파지축부(10)가 축 개구부(3)측에 있어서 요동하기 위한 요동 보호지지판부(14)도 구비된다. 또한,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에 있어서도 상기 규제판부(5)(도 4 참조)는 장비 가능하고, 규제판부(5)에 의해 파지축부(10)의 축 개구부(3)에서의 요동은 규제 가능해진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는 트레이닝 기구(200)(도 16 등 참조)와의 접속 시에의 접속부(7)를 구비한다. 도시한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의 접속부(7)는 복수의 롤러(9)로 구성된다. 트레이닝 기구(200)의 안내 지주(240)는 복수의 롤러(9)에 끼움 지지되고,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는 상하 이동 및 선회 이동 가능해진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의 파지축부(10)에 접속되는 파지부(260)는 반원 기둥 형상물이며, 사용자는 파지부(260)의 곡면 부분에 손바닥을 얹어 파지부(260)를 손가락으로 파지한다. 또한, 트레이닝 내용에 따라, 사용자는 파지부(260)를 파지축부(10)에 접속하는 방향, 각도는 적절히 조정된다. 또한, 파지부(260)를 파지할 때의 손가락 끝의 방향도 임의이다.
<제3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도 8 및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C)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C)는 주로 후술하는 트레이닝 기구(200)(도 16 등 참조)에 접속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와 공통되는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C)에 있어서, 회전 전달부(1S) 및 크랭크 기구부(1K)의 기구, 장치 구성은 전술한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 및 1B)와 공통이다. 단, 파지축부(10)의 제1 단부(11)와 제2 단부(12)의 방향은 상하 반대로 된다. 또한, 파지축부(10)가 축 개구부(3)측에 있어서 요동하기 위한 요동 보호지지판부(14)도 구비된다. 또한,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C)에 있어서도 상기 규제판부(5)(도 4 참조)는 장비 가능하고, 규제판부(5)에 의해 파지축부(10)의 축 개구부(3)에서의 요동은 규제 가능해진다. 또한, 트레이닝 기구(200)(도 16 등 참조)와의 접속 시에의 접속부(7) 및 복수의 롤러(9)의 구성은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와 마찬가지이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C)의 특징으로서, 회전 전달부(1S)의 파지축부(10)와 중간축부(20) 사이에 가압축부(30)가 구비된다. 가압축부(30)는 파지축부(10)의 파지축 스프로킷(13)과 중간축부(20)의 중간축 스프로킷(23) 사이에 현가된 전달부(15)(전달 체인(16))에 대하여 장력을 부가한다. 특히, 도시한 가압축부(30)에서는 가압축부(30)에 원반부(31)가 구비된다. 따라서, 전달부(15)(전달 체인(16))는 원반부(31)의 직경의 넓이에 따라 인장된다.
도 8 및 도 9에 개시한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C)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파지부(260)는 파지축부(10)의 상방측이 되는 제1 단부(11)에 접속된다. 여기서, 파지축부(10)는 축 개구부(3)에 있어서 요동 가능하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와 같이, 파지부(160)가 연직으로 매달려 있는 경우, 파지축부(10)는 대략 축 개구부(3)의 중앙에 위치한다. 여기서, 전달부(15)(전달 체인(16))를 견고하게 파지축부(10)와 중간축부(20)에 현가하면, 회동 시의 파지축부(10)와 중간축부(20)의 저항이 커지는 것에 더하여, 전달부(15)(전달 체인(16)) 자체의 마모가 커진다. 그 결과, 트레이닝 기구 사용 시의 사용자의 동작에 여분의 부담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파지축부(10)를 비롯한 각 부의 원활한 회동을 위하여, 전달부(15)(전달 체인(16))는 적절히 느슨하게 하여 파지축부(10)와 중간축부(20)에 현가된다. 당해 구성에 대해서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 및 1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전달부(15)(전달 체인(16))는 느슨하게 하여 현가되므로, 상기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의 파지축부(10)는 파지부(260)의 자중의 영향을 받아 축 개구부(3)의 어느 한쪽의 단부로 쓰러지기 쉽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C)에서는, 가압축부(30)(그 원반부(31))의 직경은 파지축 스프로킷(13)과 중간축 스프로킷(23)의 직경보다 크다. 그 때문에, 전달부(15)(전달 체인(16))에 적당한 장력이 발생하더라도, 전달부(15)(전달 체인(16)), 파지축 스프로킷(13) 및 중간축 스프로킷(23) 사이의 맞물림은 저감된다. 그 결과, 파지축부(10)측의 회동 시, 전달부(15)(전달 체인(16)), 파지축 스프로킷(13) 및 중간축 스프로킷(23) 사이의 저항도 저감된다. 이와 같이 하여, 트레이닝 기구의 사용 시의 사용자의 동작에 여분의 부담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전달부(15)(전달 체인(16))에 인장을 부여하는 기구는, 상기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 및 1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제1 트레이닝 기구>
제1 트레이닝 기구(100)의 구성은 도 10 내지 도 15에서 도시된다. 제1 트레이닝 기구(100)는 제1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를 장착한 기구이다.
제1 트레이닝 기구(100)는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석부(110)와, 상기 착석부(110)를 지지하는 프레임(120)과, 상기 프레임(120)에 설치된 부하의 크기가 조정 가능한 부하 부여부(130)와, 프레임(120)에 착석부(110)가 그 중앙 위치가 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직 방향으로 고정된 2개의 안내 지주(140)와, 2개의 안내 지주(140)의 그 일단부측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또한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감합된 2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와, 이 2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의 파지축부(10)의 제1 단부(11)에 연결된 파지부(160)와, 일단부가 부하 부여부(13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프레임(120)에 설치한 방향 전환 안내차(170)를 권회하여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의 안내 지주(140)의 감합 위치보다도 타단부측에 연결된 인장부재(180)가 구비되고,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 내에서 인장부재(180)의 타단부측과 연결하여 부하 부여부(130)에 의해 파지부(160)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부하가 부여된다.
착석부(110)는, 트레이닝 기구(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정면 방향을 향하여 착석하기 위하여 적절한 좌석(111)과, 당해 좌석(111) 하면에 연직으로 설치된 좌석 지주(112)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20)은 트레이닝 기구(100)를 바닥면에 안정시켜 설치함과 함께, 트레이닝 기구(100) 전체의 골격이 되며, 착석부(110), 부하 부여부(130), 2개의 안내 지주(140) 등이 고정된다. 프레임(120)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전방에서 연직 방향으로 관통 설치된 구멍에, 좌석 지주(112)는 삽입 관통되고, 착석부(110)는 프레임(120)에 지지된다. 프레임(120)은 좌석(111)에 착석한 사용자의 대퇴부가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대퇴부 누름부(121)를 구비한다. 대퇴부 누름부(121)는 사용자가 트레이닝 중에, 등에 적절한 아치를 만들기 위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하 부여부(130)는 프레임(120)에 설치된 부하의 크기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금속제 중량 부재인 복수매의 판상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웨이트(131)와, 상기 웨이트(131)를 프레임(1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웨이트 안내 지주(132)와, 웨이트(131)를 서로 연결 이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클램프(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웨이트(131)의 매수가 가감되어 부하 부여부(130)의 하중(부하)은 조정된다. 한 쌍의 원기둥 형상의 웨이트 안내 지주(132)는, 착석부(110) 후방에서 프레임(120)에 상하 단부가 소정의 좌우 간격을 두고 각각 연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웨이트(131)의 각 판상 플레이트가 그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되어 적층되고, 프레임(1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2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는, 2개의 안내 지주(140)에 접속부(7)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또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각각 감합되어 있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의 파지축부(10)에 접속되는 파지부(160)는, 사용자가 손으로 각각 파지하는 환형상물의 핸들이다. 각 파지부(160)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에 대하여 각각 수평 방향으로 축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파지축부(10)의 요동도 가능하다. 각 파지부(160)는 초기 상태(도 10 및 도 11 참조)에서는, 각 파지부(16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등이 트레이닝 기구(100)의 외측을 향하는 위치이다. 각 파지부(160)는 초기 상태에서는, 좌석(111)에 착석한 사용자가 팔을 상방으로 뻗은 손의 위치보다 더욱 상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파지부(160)를 통하여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를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는 양팔을 정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앞가슴에서 벌릴 수 있다(도 12 및 도 13 참조).
인장부재(180)는 동일한 길이의 로프 또는 와이어이며, 인장부재(180)의 일단부는 웨이트(131)에 연결되어 있다. 웨이트(131)에 일단부가 고정된 인장부재(180)는 각각 방향 전환 안내차(170)에 권회되어 있다. 당해 방향 전환 안내차(70)는 웨이트(131)에 의해 인장부재(80)에 부여되는 하측 방향에의 부하를 상측 방향에의 부하로 전환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의 경우,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의 회전은 규제된다. 이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의 상태에서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가 정면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가압시키는 힘에 저항하여, 사용자가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를 소정 각도까지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가 정면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가압하는 힘은 부하 부여부(130)의 부하에 비례하는 동시에,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의 상하 위치에 대략 반비례하고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와 같이, 트레이닝 기구(100)에서는 좌우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의 승강 동작을 다르게 하여 트레이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트레이닝 기구의 사용 방법>
트레이닝 기구(100)에 대해서, 대표적인 사용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근력, 목적 등을 고려한 부하에 맞추어 중량의 웨이트(131)가 배치된다. 사용자는 정면을 향하여 좌석(111)에 착석하고, 발바닥이 바닥면에 접지하도록 좌석(111)을 적절한 높이로 조정하여 고정한다. 또한, 좌석(111)에 착석한 사용자의 대퇴부 상면과 접할 정도로 대퇴부 누름부(121)를 적절한 높이로 조정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일어서서, 정면 방향을 향한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의 초기 상태(도 10 및 도 11 참조)에 맞추어, 손등을 트레이닝 기구(100)의 좌우를 향하여, 파지부(160)를 각각 파지한다. 그리고, 파지부(160)를 상방으로 뻗은 손으로 파지하면서, 또한 파지부(160)를 하방으로 끌어당기면서 좌석(111)에 정면 방향을 향하여 착석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부하 부여부(130)의 부하에 비례한 힘에 의해 파지부(160)에 작용하는 회전 가압력에 저항하여, 양쪽 상완을 외측으로 비틀고, 각 파지부(160)를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축 회전시켜서, 각 파지부(160)를 파지한 손등을 각각 트레이닝 기구(100)의 정면 방향을 향한다. 이 "회피 동작"의 포지션을 취함으로써, 굴근과 신근이 모두 "이완"되어 어깨나 팔이 릴랙스된 상태가 된다. 또한, 부하 부여부(130)의 부하에 의해 파지부(160)가 상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어, 견갑대 부근 등의 근육이 적절히 "신장"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적절히 "신장"된 견갑대 부근 등의 근육이 "반사"를 일으키도록, 부하 부여부(130)의 부하에 저항하여 양팔을 굴곡시켜 근육을 “단축"시켜서 파지부(160)를 끌어내린다. 이때, 다시 상완을 외측으로 비트는 "이완"과 "신장" 동작을 가하면서, 양손으로 파지부(160)를 끌어내린다. 이 상완을 외측으로 비트는 동작에 의해 각 파지부(160)를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에 대하여 더욱 외측 수평 방향으로 축 회전시킴으로써 웨이트(131)를 끌어올리게 되고, 양팔을 끌어내리는 첫 동작에 있어서의 부하가 감소한다. 이와 같이, 양팔을 굴곡시켜 파지부(160)를 끌어내려서 근육을 "단축"시킬 때, 더욱 상완을 외측으로 비틈으로써, "이완"과 "신장" 동작을 가하면서 적절한 "단축" 타이밍을 출현시킴으로써, 각 근육군이 "이완-신장-단축"의 타이밍을 얻어, 연동성 있게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양팔을 굴곡시켜 파지부(160)를 끌어내릴 때, 각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가 정면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가압되는 힘에 저항하여, 각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가 각각 외측을 향하도록 양팔을 외측으로 점차 벌린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가 정면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가압되는 힘은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의 위치(높이)에 대략 반비례하기 때문에, 양팔을 굴곡시켜서 파지부(160)를 끌어내리는 것에 수반하여, 양팔을 외측으로 벌리는 것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한다. 그 때문에, 양팔을 굴곡시켜서 파지부(160)를 끌어내릴 때, 사용자는 양팔을 외측으로 벌리도록 대략 일정한 근력을 출력시킴으로써, 파지부(160)를 끌어내리면서, 양팔을 점차 외측으로 벌리는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근육의 공동수축(co-contraction)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사용자는 각 파지부(160)를 대략 어깨부의 높이까지 끌어내린 후, 부하 부여부(130)의 부하에 의한 각 가압력에 따르면서, 상완을 내측으로 비틀어 양팔을 내측으로 닫으면서 양팔을 뻗음으로써, 손등을 파지부(160)에 따라 착석한 상태로 천천히 복귀시킨다. 이에 의해, 트레이닝의 1 사이클이 종료된다. 그리고, 이 트레이닝을 적절한 횟수의 사이클만큼 반복한다.
<제2 트레이닝 기구>
제2 트레이닝 기구(200)의 구성은 도 16 내지 도 19에서 도시된다. 제2 트레이닝 기구(200)는 제2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 또는 제2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C)를 장착한 기구이다.
제2 트레이닝 기구(200)는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석부(210)와, 상기 착석부(210)를 지지하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220)에 설치되어 부하의 크기가 조정 가능한 부하 부여부(230)와, 프레임(220)에 착석부(210)가 그 중앙 위치로 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각 2개로 이루어지는 안내 지주(240)와, 좌우의 안내 지주(240)에 안내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2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와, 2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에 구비되는 파지축부(10)에 접속되어 회동 가능한 파지부(260)와, 일단부가 부하 부여부(23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프레임(220)에 설치된 방향 전환 안내차(270)를 권회하여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에 연결된 인장부재(280)와,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 내에서 인장부재(280)의 타단부와 연결하여 부하 부여부(230)에 의해 파지부(260)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부하가 부여된다.
착석부(210)는, 트레이닝 기구(2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후방 방향(부하 부여부(230)측)을 향하여 착석하기 위하여 적절한 좌석(211)과, 당해 좌석(211)의 하면에 연직으로 설치된 2개의 좌석 지주(212) 로 이루어진다.
프레임(220)은 적어도 네 코너부가 바닥면에 놓이는 하부 프레임(221)과, 하부 프레임(221)의 후방부로부터 소정의 좌우 간격을 두고 연직으로 고정된 2개의 연직 기둥(222)과, 2개의 연직 기둥(222)에 지지 고정된 상부 프레임(22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프레임(220)에는 착석부(210), 부하 부여부(230), 좌우의 안내 지주(240), 방향 전환 안내차(270) 등이 설치된다. 프레임(220)은 좌석(211)에 착석한 사용자의 대퇴부가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대퇴부 누름부(225)를 지지한다. 이 대퇴부 누름부(225)는 사용자가 트레이닝 중에, 등에 적절한 아치를 만들기 위하여 구비된다.
부하 부여부(230)는 프레임(220)에 설치되어 부하의 크기가 조정 가능하며, 금속제 중량 부재인 복수매의 판상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웨이트(231)와, 상기 웨이트(231)를 프레임(2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웨이트 안내 지주(232)와, 웨이트(231)를 서로 연결 이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클램프(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웨이트(231)의 매수가 가감되어 부하 부여부(230)의 하중(부하)은 조정된다. 한 쌍의 원기둥 형상의 웨이트 안내 지주(232)는, 2개의 연직 기둥(222)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221)과 상부 프레임(223)에 상하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웨이트(231)의 각 판상 플레이트는, 그 양측의 관통 구멍이 웨이트 안내 지주(232)에 각각 삽입 관통되어 적층되어 있고, 웨이트 안내 지주(23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2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는, 2개의 안내 지주(240)에 접속부(7)(그 롤러(9))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또한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2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는,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각각 파지하여 누르는 반원 기둥 형상물의 파지부(260)를 구비한다. 파지부(260)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에 대하여 각각 수평 방향으로 축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파지부(260)는 파지축부(10)에 의해 요동 가능하다. 각 파지부(260)는 초기 상태(도 16 및 도 17 참조)에서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와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다. 각 파지부(260)는 초기 상태에서는, 부하 부여부(230)의 작용에 의해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와 함께 좌석(211)에 착석한 사용자의 어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부하 부여부(230)의 작용에 저항하여 파지부(260)를 가장 하강시킨 상태에서는 각 파지부(260)는 좌석(211)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리부 부근 혹은 허리부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장부재(280)는 동일한 길이의 로프 또는 와이어이며, 인장부재(280)의 일단부는 웨이트(231)에 연결되어 있다. 웨이트(131)에 일단부가 고정된 인장부재(280)는 각각 방향 전환 안내차(270)에 권회되어 있다. 당해 방향 전환 안내차(270)는 웨이트(231)에 의해 인장부재(280)에 부여되는 하측 방향에의 부하를 상측 방향에의 부하로 전환하고 있다.
<제2 트레이닝 기구의 사용 방법>
트레이닝 기구(200)에 대해서, 대표적인 사용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근력, 목적 등을 고려한 부하에 맞추어 중량의 웨이트(231)가 배치된다. 사용자는 웨이트(231)측을 향하여 좌석(211)에 착석하고, 발바닥이 바닥면에 접지하도록 좌석(211)을 적절한 높이로 조정하여 고정한다. 또한, 좌석(211)에 착석한 사용자의 대퇴부 상면과 접할 정도로 대퇴부 누름부(225)를 적절한 높이로 조정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일어나서, 각 파지부(260)의 서로 대향하는 측을 손바닥으로 위로부터 파지하여 누르면서, 파지부(260)와 함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를 밀어 내리고, 좌석(211)에 착석한다. 이때, 사용자는 어깨를 들어 올리고, 팔 꿈치를 구부리고, 전완을 내측으로 조금 끌어당기고, 손목을 전완으로부터 전방으로 구부리고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파지부(260)의 높이 위치를 유지하면서, 부하 부여부(230)의 부하에 비례하는 회전 가압력에 저항하여, 손목을 내측으로 비틀고, 파지부(260)를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에 대하여 축 회전시켜서, 파지부(260)를 파지하는 손을 각각 정면 방향으로부터 내측과 외측으로 움직이게 한다(도 18 및 도 19 참조).
사용자는 도 18 및 도 19와 같은 "회피 동작"의 자세(포지션)를 취함으로써, 굴근과 신근이 모두 "이완"하여 어깨부, 팔부, 등부가 릴랙스된 상태가 된다. 또한, 부하 부여부(230)의 부하에 의해 파지부(260)는 상측 방향으로도 힘을 받고 있는 점에서, 광배근 등의 등부의 근육이 적절히 "신장"된다. 또한, 사용자는 파지부(260)를 축 회전시키므로, 회전 가압력에 저항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파지부(260)를 축 회전시킬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도 18 및 도 19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 위치와 반대 위치(도시하지 않음)로 동작함으로써, 적절히 "신장"된 등부의 근육이 "반사"를 일으키도록, 부하 부여부(230)의 부하에 저항하여 양팔을 뻗어 근육을 "단축"시키고, 또한 손목을 외측으로 비트는 "이완"과 "신장" 동작을 가하면서, 파지부(260)의 밀어 내림과 그 해제를 행한다. 이 손목을 외측으로 비트는 동작에 의해 파지부(260)를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축 회전시키게 되고, 밀어 내림의 첫 동작에 있어서의 부하는 감소한다. 이와 같이, 파지부(260)를 밀어 내려서 근육을 "단축"시킬 때, 손목을 더욱 외측으로 비틂으로써, "이완"과 "신장" 동작을 가하면서 적절한 "단축" 타이밍을 출현시킴으로써, 각 근육군이 "이완-신장-단축"의 타이밍을 얻어, 연동성 있게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양팔을 뻗어서 파지부(260)를 밀어 내릴 때,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는 안내 지주(240)에 안내되어 파지부(260)와 함께 연직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사용자는 양팔을 뻗어 파지부(260)를 밀어 내리는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근육의 공동수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용자는 파지부(260)를 허리부 높이까지 밀어 내린 후, 파지부(260)를 손바닥으로 파지하여 누르면서, 부하 부여부(230)의 부하에 의한 상방에의 가압력에 따라, 상완을 내측으로 비틀어 팔 꿈치를 구부림으로써, 착석한 상태로 천천히 복귀시킨다. 이에 의해, 트레이닝의 1 사이클이 종료된다. 그리고, 이 트레이닝을 적절한 횟수의 사이클만큼 반복한다. 도 21 및 도 22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1C)의 승강을 좌우에서 엇갈리게 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좌우의 승강을 동시에 해도 좋다.
<트레이닝 기구의 정리>
전술한 트레이닝 기구(100 및 200)는 초동 부하 트레이닝(등록 상표)에 의해 어깨부, 팔부, 등부의 근육 등에 대한 트레이닝을 적절히 행하는 기구이다. 여기서, 초동 부하 트레이닝이란, "반사가 일어나는 포지션에의 신체 변화 및 그에 수반하는 무게 중심 위치 변화 등을 이용하고, 주동근의 이완-신장-단축의 일련의 동작 과정을 촉진시킴과 함께, 그 길항근 및 길항적으로 작용하는 근육의 공동수축을 방지하면서 행하는 트레이닝"으로 정의된다. 초동 부하 트레이닝은, 마지막까지 부하를 부여하여 근육의 긴장 상태(경화)를 수반하면서 근육을 비대화하는 종동 부하 트레이닝과는 전혀 다른 트레이닝이다. 초동 부하 트레이닝은, 부하를 부여하는 포인트, 부하를 해방하는 포인트와 각도, 리듬, 근육 출력의 연속성 등, 전체로서의 동작 이미지를 파악하여 트레이닝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부하 트레이닝은, 신체의 밸런스나 부분적 경화 등에 의해 적절한 동작이나 폼을 취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초동 부하 트레이닝을 실현하는 트레이닝 기구(100 또는 200)에 의해 이상적인 일련의 동작이나 폼을 수반한 트레이닝이 용이하게 유도된다.
트레이닝 기구(100 및 200)를 사용한 초동 부하 트레이닝에 의해, "중심부(신체 근간부)로부터 말단부에의 분절간의 힘 전달", 즉, 스스로는 자라려고 하지 않고 줄어드는 특성을 갖는 인체의 근육을 이완시켜 릴랙스된 상태로 하고, 감각 수용기인 근방추·건(腱) 기관에 적절한 부하를 부여하여, 적절히 근육을 신장한 곳으로부터, 혹은 수동적으로 신장된 곳으로부터 근육이 단축할 때의 힘의 발휘를 유발하고, 순시, 연속성을 가지고 부하가 점차 감소함으로써, 공동수축을 일으키지 않는 것은 심근뿐이라고 해 온 인체의 다른 근육이, 심근과 같이 공동수축을 일으키지 않는 활동 상태를 얻을 수 있고, 신경 근육 제어를 촉진·발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트레이닝 기구(100 및 200)를 사용한 초동 부하 트레이닝은, 당해 트레이닝 기구의 부하를 이용하여 근육에 반사를 일으키고, 원래 작동해야만 하는 근육이 잘 작동하여, 근육과 신경의 기능을 높이는 트레이닝이다. 이완된 근육에 좋은 타이밍의 신축, 단축을 촉진하기 위한 촉매로서 부하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트레이닝에 의해, 이완-신장-단축의 일련의 동작의 촉진이 도모되고, 또한 공동수축이 방지됨으로써, 신경과 근육의 기능이나 협조성을 높이고, 근육통이나 피로 등 신체에의 부담이 적고, 근육의 경화를 수반하는 일없이, 유연하고 탄력성이 좋은 근육이 얻어진다. 또한, 강제적인 심박수나 혈압의 상승이 적고 유산소적으로 대사를 촉진시킴으로써, 당뇨병, 고혈압 등 생활 습관병의 예방이나 인대 손상, 골절 등의 치유 촉진에 유효함과 함께, 신경·근육·관절의 스트레스 해제, 노폐물 제거 등, 신체에 유익한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제1 트레이닝 기구의 사용 시의 모습>
여기서, 제1 트레이닝 기구(100)에 제1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를 장착하여 실제로 사용자에게 제1 트레이닝 기구를 사용하게 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목, 팔의 동작을 0.5초 간격으로 촬영하였다. 도 20, 도 21, 도 22의 사진은 촬영 시의 모습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사진은 (A) 내지 (E)의 5장씩 도시되어 있다.
도 20의 사진에서는, 사용자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의 파지축부에 접속된 파지부에 우측 손을 댄 상태이다. 기구의 부하(웨이트 하중)에 의해 상기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는 들어 올려진 위치이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의 파지축부가 구비되어 있는 선단측이, 수평 방향의 방향이 외측 방향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되는 모습은 도 20의 (A), (B), (C), (D), (E)의 순서대로이다. 처음에, 사용자는 팔을 들어 올려서 뻗은 상태로부터, 서서히 팔을 구부려서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를 끌어당기고 있다. 여기서, 도 20의 (C), (D)의 사진으로부터, 파지축부는 지면 손 좌측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각 기구의 배치에 의해 사용자의 손목에 가해지는 비틀림의 각도가, 파지축부의 경사에 수반하여 완화되어 동작을 받아 넘기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1의 사진에서는, 상기 도 20의 위치보다도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가 사용자에 의해 다시 기구의 부하(웨이트 하중)에 저항하여 끌어당겨 내려져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1의 (A), (B), (C), (D), (E)의 순서로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는 강하하고, 또한, 수평 방향의 방향이 외측 방향으로 되어 있다.
도 22의 사진에서는, 사용자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의 파지축부에 접속된 파지부에 우측 손을 대고, 기구의 부하(웨이트 하중)에 저항하여 상기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를 끌어당겨 내리고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2의 (A)와 같이, 사용자의 우측 손등이 동체를 향하는 측으로 되어 있다. 도 22의 (A)에서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의 파지축부가 요동 가능하다는 점에서, 파지축부는 지면 전방측(사용자의 정면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트레이닝 기구의 부하(웨이트 하중)에 순응하여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는 상승하고, 그 파지부에 끌어당겨져 사용자의 팔이 들어 올려져 있다. 이 모습은 도 22의 (B), (C), (D), (E)의 순서로 도시된다.
도시한 트레이닝 기구에 있어서 파지축부는 요동 가능하기 때문에,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의 위치(트레이닝 기구에 있어서의 높이) 및 방향이 도 20, 도 21, 도 22의 사진과 같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경우에도, 파지부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목에 가해지는 굽힘량의 완화가 가능하게 되고, 손목에의 부담이 경감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시한 사진의 제1 트레이닝 기구(100)에 제1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를 적용한 트레이닝 기구 외에, 제2 트레이닝 기구(200)에 제2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B 또는 1C)를 적용한 트레이닝 기구에 있어서도, 당해 트레이닝 기구의 동작에 있어서 파지부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목에 가해지는 굽힘량의 완화가 예상된다.
이상과 같이, 실제의 트레이닝 기구에 실시 형태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를 장착하고, 사용자를 통한 동작 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종전의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의 파지축부(파지부) 자체의 선회에 더하여, 축 자체의 요동이 수반됨으로써, 파지부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목에 가해지는 비틀림의 부하가 완화되어, 사용자는 보다 자연스럽게 트레이닝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이상으로 트레이닝 시에 무리없는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근육의 "이완-신장-단축"의 일련의 동작이 원활화되기 쉬워진다.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의 검증>
발명자는 상기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도 1 등 참조)를 제1 트레이닝 기구(100)(도 10 내지 도 15 참조)에 접속하였다. 그리고, 파지축부(10)가 요동 가능한 상태로 하여 피험자에게 제1 트레이닝 기구(100)를 사용하여 트레이닝하게 하여 근전위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상기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1A)에 있어서 규제판부(5)를 사용하여 파지축부(10)가 요동하지 않는 상태로 하여 피험자에게 제1 트레이닝 기구(100)를 사용하여 트레이닝하게 하여 근전위를 측정하였다.
근전위의 측정 결과는 도 23의 그래프이다. 도 23의 (A)는 파지축부의 요동이 있을 때의 근전도 그래프이며, 도 23의 (B)는 파지축부의 요동이 없을 때의 근전도 그래프이다. 양쪽 그래프 모두, 상단으로부터, "앞톱니근, 광배근, 삼각근(중부), 상완 이두근, 상완 삼두근, 전완 굴근(긴손바닥근), 전완 신근(요측수근신근), 그리고 Gonio(각도계)"이다.
파지축부(10)가 요동 가능한 상태일 때, 앞톱니근의 활동이 활발해진다(양 도면의 실선 테두리 참조). 이에 대하여, 파지축부(10)가 요동하지 않는 상태일 때, 전완 굴근의 활동이 활발해진다(양 도면의 파선 테두리 참조). 즉, 파지축부(10)의 요동 유무를 선택함으로써, 단련하는 근육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트레이닝하는 사용자의 몸 상태, 체격, 강화하고 싶은 근육 등의 개별 요인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1A, 1B, 1C: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2: 하우징부
3: 축 개구부
4: 요동 개구부
5, 5w: 규제판부
5e, 5f: 갈고리부
6: 슬라이드 보호지지부
7: 접속부
8: 접속 통부
9: 롤러
10: 파지축부
11: 제1 단부
12: 제2 단부
12r: 구형상부
13: 파지축 스프로킷
14: 요동 보호지지판부
15: 전달부
16: 전달 체인
20: 중간축부
22: 중간축부 베벨 기어
23: 중간축 스프로킷
30: 가압축부
31: 원반부
40: 크랭크축부
41: 연결편부
42: 크랭크축 베벨 기어
50: 슬라이딩 축부
1S: 회전 전달부
1K: 크랭크 기구부
100, 200: 트레이닝 기구
130, 230: 부하 부여부
160, 260: 파지부

Claims (14)

  1.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가 제1 단부에 접속되어 회동(回動)하는 파지축부와,
    상기 파지축부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중간축부와,
    상기 파지축부와 상기 중간축부 사이에 현가(懸架)되어 상기 파지축부와 상기 중간축부의 상호 회동을 전달하는 전달부와,
    상기 중간축부와 직교하는 크랭크축부에 설치되는 상기 중간축부의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 변환부와 상기 크랭크축부의 회전을 상기 중간축부와 평행이 되는 위치에 배치한 슬라이딩 축부의 상하 동작으로 변환하는 크랭크축부가, 하우징부에 수용되고,
    상기 파지축부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전달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부에 형성된 축 개구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파지축부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파지축부의 상기 제1 단부와 반대측의 제2 단부는 상기 축 개구부 내에서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변환부는
    상기 중간축부에 구비되는 중간축 베벨 기어와,
    상기 크랭크축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축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크랭크축 베벨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크랭크축부에는 상기 크랭크축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결편부와,
    상기 연결편부에 접속되고 상기 중간축부와 평행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크랭크축부의 회동이 상기 연결편부를 통하여 전후 동작으로 변환되는 슬라이딩 축부가, 하우징부에 수용되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개구부에 있어서의 상기 파지축부의 상기 제1 단부측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판부가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판부는 갈고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갈고리부에 의해 상기 파지축부와 걸림 결합하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판부는 상기 축 개구부에 전진하여 상기 갈고리부에 의해 상기 파지축부와 걸림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규제판부는 상기 축 개구부로부터 후퇴하여 상기 파지축부의 상기 제1 단부측과의 걸림 결합을 해제하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전달 체인이며,
    상기 파지축부에 파지축 스프로킷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축부에 중간축 스프로킷이 구비되고,
    상기 전달 체인이 상기 파지축 스프로킷과 상기 중간축 스프로킷 사이에 현가되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축부와 상기 중간축부 사이에 상기 전달부의 장력을 부가하는 가압축부가 구비되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축부에 상기 전달부와 접촉하는 원반부가 구비되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환형상물인 청구항 1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가 반원 기둥 형상물인,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축부의 상기 제2 단부에 구형상부가 구비되어 있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축부는 트레이닝 기구의 부하의 크기를 조정 가능한 부하 부여부에 연결되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에 트레이닝 기구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가 구비되는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14. 제1항에 기재된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기구.
KR1020237043113A 2021-08-16 2021-12-27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및 이를 사용한 트레이닝 기구 KR202400059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32129 2021-08-16
JPJP-P-2021-132129 2021-08-16
PCT/JP2021/048581 WO2023021720A1 (ja) 2021-08-16 2021-12-27 トレーニング器具用負荷伝達機構部及びこれを用いたトレーニング器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961A true KR20240005961A (ko) 2024-01-12

Family

ID=8524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113A KR20240005961A (ko) 2021-08-16 2021-12-27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및 이를 사용한 트레이닝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08941A1 (ko)
JP (1) JPWO2023021720A1 (ko)
KR (1) KR20240005961A (ko)
CN (1) CN117500566A (ko)
TW (1) TWI808583B (ko)
WO (1) WO202302172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317A (ja) 2004-12-28 2006-07-20 World Wing Enterprise Corp トレーニング器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855A (ja) * 1998-07-06 2000-01-18 Sakai Medical Co Ltd 滑車を利用した運動具
JP3939720B2 (ja) * 2004-10-18 2007-07-04 株式会社コナミスポーツ&ライフ トレーニング装置
JP5116064B2 (ja) * 2011-04-28 2013-01-09 井桁 雅彦 ベンチプレス・フルスクワット・懸垂装置
JP3201283U (ja) * 2015-09-04 2015-12-03 大三 月田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トレーニング機器
CN205683502U (zh) * 2016-06-22 2016-11-16 张金发 一种体育用手臂高效锻炼装置
CN111714841B (zh) * 2020-07-01 2021-11-12 营口春港康复辅助器具科技有限公司 下肢康复训练器及其训练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317A (ja) 2004-12-28 2006-07-20 World Wing Enterprise Corp トレーニング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08941A1 (en) 2024-04-04
CN117500566A (zh) 2024-02-02
TWI808583B (zh) 2023-07-11
JPWO2023021720A1 (ko) 2023-02-23
TW202308728A (zh) 2023-03-01
WO2023021720A1 (ja)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3827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
US9993683B2 (en)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lower body peda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90160327A1 (en) Exercise Apparatus
US20210038941A1 (en) Adjustable shoulder exercise device
CN212118908U (zh) 身体拉伸训练器材
EP2907548A1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KR20240005961A (ko) 트레이닝 기구용 부하 전달 기구부 및 이를 사용한 트레이닝 기구
US20190336816A1 (en)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lower body peda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0388130B1 (ko)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JP3212138U (ja) 運動器具
CN210205771U (zh) 一种康复科用手臂锻炼装置
WO2024009742A1 (ja) トレーニング器具用負荷伝達機構部及びこれを用いたトレーニング器具
RU2494783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спортивный тренажер комлева
KR20190091232A (ko) 회전축을 이용한 다각도 근력운동 기구
RU166876U1 (ru) Реабилитационный тренажер
JP2023119062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JP2023119061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JP4559440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
CN104922854A (zh) 屈臂上抬练肌器
CN211935429U (zh) 手部多组件康复训练器
US20210283459A1 (en) Exercise equipment
JP6786062B1 (ja) 腕や肩の運動補助具
JPH0127803Y2 (ko)
JPH0246927Y2 (ko)
RU148742U1 (ru) Аппарат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мыш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