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661B1 - 칼슘-강화된 포도 기재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칼슘-강화된 포도 기재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661B1
KR100815661B1 KR1020027010661A KR20027010661A KR100815661B1 KR 100815661 B1 KR100815661 B1 KR 100815661B1 KR 1020027010661 A KR1020027010661 A KR 1020027010661A KR 20027010661 A KR20027010661 A KR 20027010661A KR 100815661 B1 KR100815661 B1 KR 100815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tartaric acid
precursor
adjusted
gr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1302A (ko
Inventor
스테이시 에이. 리비세이
제임스 피. 라보이에
Original Assignee
웰치 후드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치 후드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웰치 후드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6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기본적으로 타르트레이트 침전물이 없는 칼슘 강화된 타르타르산-함유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전구물질의 타르타르산 농도는 조정되어 조정된 전구물질을 형성한다. 칼슘-기재 화합물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조정된 전구물질과 혼합하여 강화 제품을 제조한다. 화합물은 칼슘 글루코네이트, 각종의 다른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강화 제품은 대략 21 ℃ (70 ℉)에서 보관시 16 주 이상동안 기본적으로 타르트레이트 침전물이 없는 채로 남아있을 수 있다. 강화 타르타르산-함유 제품은 본 개시된 방법에 의하여 가공된다.
칼슘 강화 제품, 포도-기재, 타르타르산, 타르트레이트 침전물

Description

칼슘-강화된 포도 기재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alcium-Fortified, Grape-Based Product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본 출원은 현저한 양의 생체이용성 칼슘을 함유하는 즙, 즙-블렌딩 음료, 및 와인과 같은 그러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 포도-기재 제품의 제조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분야는 냉장, 냉동 및 농축물 형태로 보관-안정한 칼슘-강화된 자색, 적색 및 백색 포도즙 및 즙 음료를 제조, 보관 및 분배하는 것을 포함한다. 포함되는 음료에는 비-포도 액체와 블렌딩된 포도-기재 액체가 포함된다.
칼슘은 인간 건강의 보존을 위해 인간의 규정식에서 필수적인 무기물이다. 칼슘은 골격 강도를 위한 중요 영양소로 확립되었으며, 또한 대사, 근육, 신경, 순환 및 효소촉매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칼슘 결핍은 골 매스의 손실에 의하여 표현되는 쇠약해지는 골 질환인 골다공증의 원인이 된다.
칼슘은 많은 음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된다. 생체이용성 칼슘의 중요한 공급원은 우유이고, 더욱 일반적으로 낙농 제품이다. 사람이 초기 성인기에 들어가면서 낙농 제품의 소모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만성 칼슘 결핍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젊은 여성에서 발견되며, 후반기 생애에서 높은 골다공증 발생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외에, 많은 사람들은 연령에 따라 락토스 불내성이거나 또는 불내성이 되며, 이에 따라 이러한 무기물의 자연적인 통상적으로 풍부한 공급원을 얻는 능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식품, 음료 및 보충물의 많은 대안적인 공급원이 현재 다양한 유기 및 무기 칼슘염으로 강화되고 있다. 이들 대안적인 공급원에는, 환약, 분말, 식품 제품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과일 및 비과일-기재의 즙 및 음료가 포함된다. 많은 귀찮은 문제들이 이들 칼슘-강화 공급원의 관능적 품질 및 생체이용성의 해결을 가로막고 있다. 강화 음료와 관련된 공통의 불만은 부가된 칼슘염의 일부의 상대적인 불용성, 용인될 수 없는 고형물의 침전, 및 마시는 동안 입안에서의 "가루가 있는 듯한" 느낌이다. 이외에, 바람직하지 못한 향 및 보관 불안정성이 불량한 식품 제품의 원인이 된다.
오렌지, 사과 및 다른 즙 및 음료를 포함하여 다양한 액체를 칼슘으로 강화하는 것은 즙 및 음료수 제조업자에 의해 현재 당분야에서 수행되고 있다. 과일즙의 칼슘 강화를 설명하는 특허에는 헥커트에게 허여되고 프록터 앤드 갬블 컴패니에 양도된 여러 특허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722,847호). 이들 특허는 칼슘-시트레이트-말레이트 (CCM) 기술을 설명하며, 각종 칼슘 시트레이트 및 말레이트 화합물이 개시된 가공 방법에 따라 배합될 때 적어도 우유에서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것에 상응하는 칼슘 수준 (즉, 350 mg/8 액량 온스)을 함유하는 안정하고, 강화된 즙을 생산함을 교시한다.
멜라코우리스 등의 미국특허 제4,740,380호는 각종 칼슘 공급원을 사용하여 제조된 칼슘-강화 산성 음료를 개시한다. 리브레히 등의 미국특허 제6,106,874호는 단일 농도 즙으로 제조될 수 있는 칼슘-강화 영양 음료를 개시한다. 거기의 칼슘 공급원은 천연 우유 무기물 및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 (글루코나 아메리카에 의해 제조)이다.
포도-기재 음료의 칼슘 강화는 특히 해결해야할 것이다. 과일-유래 액체 중에서 포도-기재 액체 (예를 들면, 즙, 와인, 등)에서의 지배적인 유기산은 독특하게도 타르타르산이다. 약 2.8 이상의 pH에서, 타르타르산은 타르트레이트, 비타르트레이트, 및 수소 이온으로 화학적으로 분해된다. 포도즙의 pH가 증가하면서, 타르타르산의 분해는 점점 더 커지게된다. 비티스 라브루스카 (Vitis labrusca), 브이. 비니페라 (V. vinifera), 및 브이. 라브루스카 x 브이. 비니페라 잡종 (V. labrusca x V. vinifera hybrid) 포도로부터의 자색, 적색 및 백색 포도즙의 경우 타르트레이트 이온은 약 2.8 내지 약 3.9의 pH 범위에 걸쳐 임의의 부가된 칼슘과의 반응으로 불용성 결정성 칼슘 타르트레이트를 형성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정말로, 비교적 높은 pH에서 칼슘의 존재없이, 포도-기재 제품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칼륨 농도에 의해 칼륨 비타르트레이트 결정 또는 즙 중의 "아르골 (argol)" (또는 와인 중의 "와인 석")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와인제조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며, 관련 문헌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주장하는 방법이 많이 있다.
포도-기재 액체에서 칼슘 타르트레이트 결정의 형성은 와인에 대한 과거 연구에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형성은 예를 들면 음료의 pH, 칼슘+음료 혼합물의 보 관 온도, 억제제의 존재, 용액의 이온 강도, 용액의 교반, 및 혼합물의 보관이 유지되는 시간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Abgueguen and Boulton, (1993); McKinnon, 1993). 칼슘 타르트레이트 결정의 형성은 파스테르멸균된 즙-칼슘 혼합물의 냉각시 즉시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 결정은 상당한 기간의 시간동안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칼슘 타르트레이트 결정은 포도즙과 같은 수용액에서 매우 낮은 용해도를 가져, 한번 형성되면 이들 결정은 불용성의 침전물로 남아 있는 경향이 있어 음료를 관능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도록 하여 생체이용성 칼슘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이들 결정의 초기 응집 이후, 일반적으로 용액 포화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결정 크기가 성장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첫 번째 구현예에 따라, 강화된 타르타르산-함유 제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품은 지정된 양의 생체이용성 칼슘으로 강화되며, 기본적으로 타르트레이트 침전물이 없다. 타르타르산-함유 전구물질이 제공된다. 전구물질 중의 타르타르산의 농도는 대략 0.005 g/100 ml 내지 1.31 g/100 ml일 수 있다. 상기 전구물질은 포도-기재 액체일 수 있으며, 유색 또는 백색 포도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생체이용성 칼슘의 지정된 양은 인간에게 필요한 일일 섭취량의 8% 내지 약 35%일 수 있다. 전구물질의 타르타르산 농도를 조정하여 조정된 전구물질을 형성한다. 한 구현예에서, 측정 조정된 타르타르산 농도는 0.17g/100 ml 이하일 수 있다. 칼슘-기재 화합물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조정된 전구물질과 혼합하여 강화제품을 제조한다. 상기 화합물은 칼슘 글루코네이트, 각종의 다른 화합물 또 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강화 제품은 대략 21 ℃ (70 ℉)에서 저장될 때 16주 이상동안 기본적으로 타르트레이트 침전물이 없는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설명된 방법으로 가공된 강화된 타르타르산-함유 제품이 제공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강화된 타르타르산-함유 제품을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이 제공된다. 이 구현예에서, 전구물질은 대략 0.005 g/100 ml 내지 대략 0.26 g/100 ml의 타르타르산을 갖는다. 전구물질을 지정된 양의 칼슘 글루코네이트와 혼합한다. 생성된 제품에서의 생체이용성 칼슘은 인간에게 필요한 칼슘의 일일 섭취량의 대략 20% 이하이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그 생성된 제품이 제공된다.
조정된 전구물질은 제2 전구물질을 액체 타르타르산-함유 전구물질에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구물질은 단일 농도 즙일 수 있다. 이외에 조정동안 물이 첨가될 수 있으며, 조정된 타르타르산 농도는 대략 0.08 g/100 ml 이하일 수 있다. 칼슘-기재 화합물은 칼슘 락테이트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인간에게 필요한 일일 섭취량의 대략 35%와 동일한 양으로 생체이용성 칼슘을 갖는 강화된 타르타르산-함유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유색 포도로부터 유래된 전구물질의 타르타르산 농도를 조정하여 조정된 전구물질을 형성하고, 칼슘 글루코네이트를 조정된 전구물질과 혼합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인간에게 필요한 일일 섭취량의 대략 8% 내지 대략 35%와 동일한 양으로 생체이용성 칼슘을 갖는 강화된 타르타르산-함유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백색 포도로부터 유래된 전구물질의 타르타르산 농도를 조정 하여 조정된 전구물질을 형성하고, 칼슘 락테이트를 조정된 전구물질과 혼합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후자의 두 구현예에 의하여 제조된 제품을 제공한다.
앞서 논의한 것처럼, pH, 보관 온도, 억제제의 존재, 및 용액 보관 시간 모두가 포도-기재 음료 및 액체에서 칼슘 타르트레이트 결정 형성에 기여한다. 강화된 포도-기재 제품의 제조 방법 및 그 자체의 제품을 설명하는 본 발명의 구현예는 타르타르산 농도, 칼슘-기재 첨가제의 양 및 공급원 및 포획제의 존재를 조절하는 것에 대한 필요를 기초로 한다. 포도의 즙 또는 다른 유도 성분을 함유하는 칼슘-강화 제품을 만드는데 많은 요인들 사이의 내부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된 용어 "음료", "즙", 및 "액체"는 모두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단일농도 (약어 SS), 바로 마실수 있는 제품, 농축물 (냉동 및 보관-안정한), 칵테일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 모든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한 즙-유형 제품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단일 농도"는 동질성 표준에서 요구하는 대략적인 브릭스값 (21 CFR 101.30에 기초)을 갖는 즙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전구물질"은 일반적으로 타르타르산의 천연 과일 공급원을 의미하나, 칼슘 강화가 의도되는 임의의 타르타르산-함유 출발 물질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안정한" 및 "보관-안정한"은 기본적으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며, 연장된 시간 기간동안 (칼슘의 생체이용성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관능 및 영양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제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간은 가공, 창고, 선적, 소매, 및 "소비자에게서의" 보관의 총 시간일 수 있 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총 시간은 일반적으로 약 26 내지 52주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현예들은 타르타르산-함유 전구물질을 제공하는 것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전구물질은 타르트레이트 침전물의 불리한 형성 경향에 따라 고려되는 성분이다. 칼슘-기재 첨가제의 도입으로 최종 강화 제품에서 칼슘 타르트레이트 결정 형성에 굴복하지 않는 수준을 달성하도록 이에 따라 (필요하다면) 타르타르산의 함량 및(또는) 이용성은 측정되고, 조정되어야 한다.
전구물질은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포도로부터 유래된다. 타르타르산은 비록 포도의 특성인 것으로 생각되지만 (Hulme, 1970; Nagy and Shaw, 1980) 자연에서 비교적 보기 드물다. 이 산은 사과, 살구, 바나나, 검은 딸기, 나무딸기, 체리, 덩굴월귤, 그레이프프룻, 레몬, 라임, 오렌지, 시계풀 열매, 복숭아, 배, 적 래즈베리, 양딸기, 탕헤르 오렌지, 또는 토마토 변종에서는 발견되지 않거나 또는 단지 소량으로 발견된다 (Nagy and Wade, 1995). 그러나, 때때로 아보카도 (조직에서 0.020%), 오디나무, 타마린드, 래즈베리, 그레이프프룻 (0.0003-0.0007%) 또는 망고에서 나타난다 (Jacobs, 1951; Hulme, 1970). 포도즙에서의 타르타르산의 천연 농도는 포도 종, 변종, 포도재배 방식, 포도원의 지형학적 위치, 기후 조건, 포도 숙성, 및 즙 가공의 구체적인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포도 변종은 일반적으로 3개의 매우 넓은 색상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백색, 적색 및 흑색이다 (Winkler et al., 1974).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색 포도"는 넓은 유형의 "백색" 포도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들 넓은 유형 으로부터, 추가의 판별이 녹색, 청색, 및 자색 포도로 표기하도록 이루어진다. 적색, 청색, 자색 및 흑색 포도의 색상은 모두 안토시아닌 색소에 기인하며, 이것은 글루코스 분자를 함유하도록 개질된다 (Winkler et al., 1974). 타르타르산 수준은 과거에 백색 포도 및 적색의 콘코드 포도 모두의 경우 거의 동일한 것 (즉, 0.39-0.67 g/100 ml)으로 보고되었다 (Nagy and Wade, 1995).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색 포도 (카타우바 (Catawba), 콘코드 (Concord), 아이베스 (Ives) 및 바코 노이 (Baco noir))의 경우보다 백색 포도 (예를 들면, 아우로레 (Aurore), 델라웨어 (Delaware), 및 나이아가라 (Niagara))가 현저히 낮은 타르타르산 수준을 갖는다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들 백색 포도의 타르타르산 수준은 0.34 내지 0.91 g/100ml의 범위인 반면, 유색 포도는 0.48-1.31 g/100 ml의 범위이다 (Gould, 1974). 브이. 라브루스카 (V. labrusca) 종, 특히 콘코드 (Concord), 및 브이. 라브루스카 x 브이. 비니페라 잡종 (V. labrusca x V. vinifiera hybrids), 특히 나이아가라 변종으로부터 제조된 포도즙의 타르타르산 수준의 범위는 통상적으로 0.40 g/100 ml 내지 0.80 g/100 ml이다 (Historical References, Welch's files).
다양한 범주의 포도-기재 제품을 더 분류하기 위하여, 이른바 정화된 포도즙은 해로운 칼슘 타르트레이트 형성과 관련하여 비정화된 즙보다 덜 안정한 것 같다. 정화 절차의 부분으로서 효소에 의해 펙틴은 거의 완전히 분해된다. 펙틴은 칼슘과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펙틴-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칼슘이 첨가되어 겔을 만드는 규정식 또는 저 칼로리 쨈 또는 젤리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외에, 이것은 이러한 이온 무기물의 공지된 결합 때문에 고 섬 유 규정식 (펙틴이 공지된 성분일 수 있는 경우)에서 칼슘의 생체이용성에 대해 오랫동안 영양적인 고려가 있어 왔다. 따라서, 펙틴의 효과적인 제거 (즉, 정화된 즙에서)가 임의의 첨가된 칼슘과 함께 더욱 쉽게 칼슘 타르트레이트 형성을 초래하는 전구물질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Tressler and Joselyn, 1961).
타르타르산의 존재는 양이온성 화학종의 존재하에서 타르트레이트 결정의 형성을 초래한다. 이제 표 1을 참고로 하면, 100% 즙 혼합물을 볼 수 있다. 21 ℃ (70 ℉)의 보관 조건하에서 0.21 g/100 ml 이상의 타르타르산 수준에서 첨가제로서 어떤 칼슘 공급원이 사용될지라도 칼슘 타르트레이트 결정이 형성되었으며, 소정량의 생체이용성 칼슘은 35% RDI였다. 따라서, 전구물질에서 발견되는 타르타르산의 천연 농도는 안정한, 비-결정 형성 강화 제품을 수득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조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칼슘 공급원 (35% RDI) 상이한 전구물질로부터의 100% 즙 블렌드-다르게 구체화되지 않았다면 모두 포도임 (측정된 타르타르산 농도)
46% 농축 포도/ 54% 농축 사과 (0.08g/100ml) 100% 농축물 (0.17g/100ml) 6% SS 즙/ 94% 농축 (0.21g/100ml) 14% SS즙/ 86% 농축 (0.26g/100ml) 20% SS 즙/ 80% 농축 (0.30g/100ml)
칼슘 락테이트 7주 안정 2주후 결정 2주 후 결정 2주 후 결정 du
글루코네이트:락테이트 60:40 du 7주 안정 6주 후 결정 du 4주 후 결정
글루코네이트: 락테이트 80:20 du du 8주 후 결정 du 4주 후 결정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 16주 안정 16주 안정 11주 후 결정 7주 후 결정 3주 후 결정
칼슘 글루코네이트 9주 안정 du 12주 후 결정 7주 후 결정 du
CCM 7주 안정 4주후 결정 1주 후 결정 1주 후 결정 1주 후 결정
du: "데이터 이용가능하지 않음". 전구물질 타르타르산의 측정된 농도는 SS 포도즙의 경우 약 0.80g/100ml, 콘코드 포도 농축물의 경우 약 0.17g/100ml, 사과 농축물의 경우 약 0g/100ml이었다. 모든 값은 70℉에서의 보관에 대한 것이다.
전구물질의 타르타르산 함량은 다양한 구현예에 따라 다양한 기술에 의하여 조정되어 조정된 전구물질을 형성할 수 있다. 단일 농도 즙의 농축도 한 방법이다. 이 기술은 또한 재구성에 앞서 제거되는 천연 칼륨 비타르트레이트 형성의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포도즙, 특히 농축된 후 단일 농도로 재구성되는 브이. 라브루스카 (V. labrusca) 및 브이. 라브루스카 x 브이. 비니페라 잡종 (V. labrusca x V. vinifera hybrid) 유래의 즙은 대략 75% 미만의 타르타르산, 또는 대략 0.10 g/100 ml 내지 0.18 g/100 ml을 함유한다 (Historical References, Welch's files).
대안적인 방법은 염기를 첨가하여 전구물질의 pH를 높이는 것이다. 이것은 타르트레이트 이온 형성을 높이고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칼륨과의 반응성을 유사하게 증가시킨다. 콘코드나이아가라 변종 유래의 포도즙의 pH는 통상적으로 2.8-3.7이며, 이 값으로부터 pH가 증가하면 칼륨 타르트레이트 형성의 증가가 촉진된다. 증가된 pH 이외에, 염기의 선택도 또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염기는 타르트레이트 이온에 대한 공지된 친화도를 가지며 생성된 염 형성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불량한 용해도를 갖는 임의의 공급원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온도 감소도 또한 타르타르산의 침전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온도의 감소는 타르트레이트 염의 용해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는 예를 들면 와인 산업에서 냉 안정화 시험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냉각도 또한 결정 형성 동력학을 증가시킴으로써 타르타르산 수준을 급격히 증가시킬 수 있어, 냉각-농축도 또한 사용가능한 기술이다. 더욱이, 타르타르산의 감소는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가능한 타르타르산 농축 조정의 추가의 구현예는 상이한 공급원의 포도-기재 액체 (예를 들면, 유색 및 "비유색/백색")를 간단히 혼합하거나 포도를 비-포도 액체 (다른 과일즙, 물 등 포함)와 혼합하는 것이다. 하기는 이러한 구현예를 포함하는 오렌지, 사과, 배, 덩굴월귤 및 다른 딸기류 과일과, 열대 및 외래 과일을 포함하는 비-포도즙의 서술적인 (비제한적인) 예이다. 전구물질에서 타르타르산의 조정은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기술 이외에 임의의 상기 기술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표 1에서, 타르타르산 농도는 상이한 비율의 두 전구물질, 즉 단일 농도 포도즙 (SS) 및 농축물로부터의 포도즙을 사용하여 (0% 타르타르산을 갖는 54% 사과 농축물을 이용한 0.08%/100 ml 조정 수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목적 측정값의 타르타르산 농도로 조정되었다. 적절한 블렌딩을 통하여 타르타르산의 특정의 최종 농도를 목표로 하여 상이한 즙 공급원을 사용할 수 있다. 시료를 제작하기 전에, 초기 타르타르산 농도를 즙 유형에 대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로 측정하였다 (AOAC #986.13에 따라). 이로부터, 각 전구물질의 필요한 수준은 칼슘이 첨가되는 타르타르산의 목적의 조정된 농도를 달성하도록 결정되었다 (블렌딩 비율은 표내에 나타낸다). 100% 즙 제품의 0.17 g/100 ml 미만의 목적의 타르타르산 농도의 경우, 0.08% 타르타르산의 경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낮은 또는 무시할 만한 타르타르산 수준을 함유하는 비-포도즙과의 블렌딩이 수행되었다 (농축물로부터의 사과즙이 사용되었다). 블렌딩 후, 타르타르산의 목적 값을 HPLC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블렌드의 타르타르산 수준의 측정에 있어서, 측정은 최종 제품에서라 기 보다는 조정된 전구물질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한다. 이들 전구물질은 칼슘 첨가제를 제외하고는 최종 제품의 성분 모두를 함유하였다. 이것은 칼슘 타르트레이트 형성에 의해 초래되는 복잡함 및 타르타르산 용액 농도의 잠재적인 손실없이 용액 중의 정확한 타르타르산 수준을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통상적으로 수성의 담체에서 칼슘 첨가제 그 자체의 부가를 기초로 한 조정된 전구물질의 희석이 허용되었다.
전구물질의 타르타르산 농도 이외에, 특정의 칼슘 첨가제가 생성된 강화 제품에서 생체이용성 (용액중에서) 칼슘의 최종 양에 영향을 미친다. 특정 이론에 구애됨없이 칼슘 유지 (타르트레이트로서의 침전에 반하여)를 위한 다소간의 안정성은 일견 이미 용액중의 타르트레이트 이온과 결합하는 칼슘에 대하여 소정의 포획제에 대한 칼슘 결합의 선호를 초래할 수 있다. 표 1의 데이터는 첨가제로 칼슘 글루코네이트의 사용이 다른 첨가제와 비교할 때 칼슘 용해도 및 생체이용성의 더 큰 유지를 초래하는 것을 보여준다. 예로서, 0.21 g/100 ml의 타르타르산 농도에서 모든 시험 칼슘 첨가제 (즉, 순수한 칼슘 글루코네이트, 순수한 칼슘 락테이트, 소정 비율의 글루코네이트 대 락테이트, 특정 상업적 혼합물인 글루코나 아메리카 (위스콘신주 매디슨)에서 판매하는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 (칼슘 글루코네이트 및 칼슘 락테이트의 독점 혼합물로 이루어짐) 및 CCM)로 제조되고 21 ℃ (70 ℉)에서 보관된 제품 (35% RDI 칼슘으로 의도된)은 칼슘 타르트레이트 결정 형성을 나타내었다.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 및 순수한 칼슘 글루코네이트로 제조된 제품의 경우 침전물이 나타나기까지 각각 11 및 12주가 걸렸다. CCM으로 제조된 제품은 단지 1주만에 침전을 나타내었고, 순수한 칼슘 락테이트로 제조된 제품은 단지 2주만에 결정 성장을 나타내었다. 이제까지의 소정 결과인 시간에 따른 안정성은 의도된 35% RDI 제품의 경우 칼슘 글루코네이트 첨가제 함량에 따라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주: 표 1의 열을 아래로 읽으면 CCM 결과를 나타내는 최종 열을 제외하고는 글루코네이트 첨가제의 백분율 양의 증가에 대한 데이터가 나타난다). 0.08 g/100 ml 및 0.17 g/100 ml의 낮은 타르타르산 농도의 전구물질의 경우, 칼슘 글루코네이트를 함유하는 임의의 첨가제로 제조된 제품은 7주 이상동안 침전을 나타내지 않는다. 아직 시험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칼슘 공급원도 또한 이러한 타르타르산 수준에서 타르트레이트 침전없이 허용가능한 수준의 생체이용성 칼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들에는, 칼슘 카보네이트, 산화칼슘, 칼슘 오르토포스페이트, 칼슘 글루비오네이트, 칼슘 글루셉테이트, 칼슘 레불리네이트, 칼슘 락토포스페이트, 염화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칼슘 락테이트 및 예를 들면 칼슘 시트레이트 및 칼슘 말레이트도 전구물질에서 현저히 감소된 수준의 타르타르산 농도에서 또는 35% RDI 미만의 의도된 제품에서 허용될 수 있는 첨가제일 수 있다.
pH도 또한 이용가능한 타르트레이트 이온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타르트레이트 결정 형성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 1에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모든 즙은 3.0 내지 4.0 (통상적으로 3.5)의 조정되지 않은 pH를 가졌다. 관능 품질을 최소화하지 않으면서 (예를 들면, 낮은 pH 음료에서 너무 많이 신) 칼슘 공급원의 생체이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pH는 가능한 낮아야한다. 즙은 이러한 관능 요건 때문에 조정되지 않았다.
타르타르산 수준 및 칼슘 공급원 이외에, 칼슘 양도 또한 기여하는 역할이 있다. 원자 흡수 분광계 (AA)를 사용하여 제품에서 칼슘 농도를 측정하고 확인하였다. 모든 시험된 칼슘 첨가제가 35% RDI 및 0.21 g/100 ml 타르타르산 농도에서 칼슘 타르트레이트 결정화를 초래한다는 발견과 달리 (표 1 참조), 20% RDI 이하로 강화된 제품은 이러한 타르타르산 농도에서 첨가제로서 칼슘 글루코네이트를 사용하여 이제까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표 2 참조).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로 제조된 강화 제품도 또한 10% RDI 이하의 0.30 g 타르타르산/100 ml에서 결정화에 대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표 2 참조). 따라서, 강화 제품에서 고농도의 타르타르산은 칼슘 첨가제의 양 (목적의 생체이용성 칼슘 수준)이 35% RDI 미만으로 저하된다면 용인될 수 있다.
표 2는 또한 35% RDI 및 0.26 g/100 ml에서 사과 및 포도의 100% 즙 블렌드의 경우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 및 CCM 기술로 제조된 제품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 결과는 35% RDI에서 0.26 g 타르타르산/100 ml에서 안정한 것을 유지할 수는 칼슘 첨가제가 없다는 것이 표 1의 경우와 유사하다. 그러나, CCM의 경우보다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가 더 큰 안정성 유지를 갖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35% RDI의 콘코드 및 백색 포도즙의 100% 즙 블렌드로 제조된 제품의 경우 또 다른 비교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CCM의 제품은 실제로 0.15 g 타르타르산/100 ml의 경우 39주에 칼슘 비타르트레이트 결정을 형성한다. 그러나,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를 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타르타르산 수준에서 99주 동안 침전이 없었 다는 것은 분명하다. 표 2는 또한 단지 0.07 g 타르타르산/100 ml로 제조된 즙 칵테일 제품의 경우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 및 칼슘 락테이트 모두의 경우 결정 형성에 안정한 채로 남아있는 안정성 데이터를 보여준다. 이러한 매우 감소된 타르타르산 수준에서는, 경제성이 사용하는 첨가제를 결정하는데 역할을 할 수 있다. 칼슘 락테이트는 매우 값싼 첨가제이다.
강화 제품 %RDI g타르타르산/100ml 칼슘 타르트레이트 형성 결과
100% 포도즙 w/칼슘 글루코네이트 100% 포도즙 w/칼슘 글루코네이트 100% 포도즙 w/칼슘 글루코네이트 100% 포도즙 w/칼슘 글루코네이트 35% 20% 10% 8% 0.21 0.21 0.21 0.21 12주 후 결정 8주 안정 8주 안정 8주 안정
100% 포도즙 w/글루코날 CAL(등록상표) 100% 포도즙 w/글루코날 CAL(등록상표) 100% 포도즙 w/글루코날 CAL(등록상표) 100% 포도즙 w/글루코날 CAL(등록상표) 35% 20% 10% 8% 0.30 0.30 0.30 0.30 2주 후 결정 4주 후 결정 17주 안정 17주 안정
100% 포도/사과즙 블렌드w/ 글루코날 CAL(등록상표) 100% 포도/사과즙 블렌드w/CCM 기술 35% 35% 0.26 0.26 8주 후 결정 1주 후 결정
30% 백색 포도 칵테일w/ 글루코날 CAL(등록상표) 30% 백색 포도 칵테일w/칼슘 락테이트 35% 35% 0.07 0.07 26주 안정 26주 안정
100% 콘코드 및 백색 포도 블렌드w/ 글루코날 CAL(등록상표) 100% 콘코드 및 백색 포도 블렌드w/CCM 35% 35% 0.15 0.15 99주 안정 39주 결정
모든 값은 70℉에서의 보관에 대한 것이다.
칼슘-강화 포도 액체의 제조를 위한 배치 공정은 4개의 구별되는 조건하에서 수행되었다. 이들 특정 가공 작업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배치 공정 A: 63.17 g의 칼슘 글루코네이트 (일수화물)을 2673.2 g의 물에 분산시켜 1 갤론의 칼슘 글루코네이트 첨가제의 수성 배치를 제조하였다. 252.6 g의 SS 콘코드 포도즙 (15.3 브릭스)를 별도로 1059.1 g의 콘코드 농축물 (57.2 브릭스)과 블렌딩하여 SS 즙의 타르타르산 수준을 조정하였다. 2.15 g의 아스코르브 산을 또한 첨가하였다. 신속히 혼합하면서 칼슘 글루코네이트 수용액을 과일즙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 후, 시료를 16 온스의 유리병에 담고, 병을 91 ℃ (195 ℉)로 가열하여 파스테르멸균하였다. 파스테르멸균 후, 브릭스, 적정 산도, pH, %타르타르산 (HPLC로 측정) 및 %칼슘 (AA로 측정)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17.5 브릭스, pH 3.6, 0.52% 적정 산도 (시트레이트로서), 0.21g 타르타르산/100 ml, 및 350 mg/8 온스 칼슘이었다. 시료를 21 ℃ (70 ℉) 챔버에서 보관하고, 매주 가시적 조사를 수행하여 임의의 결정 형성에 대해 관찰하였다. 이외에, 매월 시료를 취해 브릭스, 적정 산도, pH, 감각, 및 (구체적으로 타르트레이트 결정에 대해 특이적으로) 여과를 수행하였다.
배치 공정 B: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를 사용하여 공장 규모의 배치 공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성분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웰치 콘코드 포도즙 농축물 - 브이. 라브루스카 (57.0 내지 68.0°의 브릭스 및 단일 농도 즙으로서 0.10 g/100 ml의 타르타르산)
b) 백색 포도즙 농축물 - 브이. 비니페라 (농축물으로서 57.0 내지 68.0°의 브릭스 및 농축물으로부터의 단일 농도로서 0.9 g/100 ml 내지 0.24 g/100 ml의 타르타르산을 카나다이구아 (캘리포니아주 마데라)로부터 얻었다).
c) 글루코나 아메리카 (위스콘신주 매디슨)의 1.14% (w/w) 용해된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
d) 4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의 브릭스
e) 물.
본 구현예에 대한 특정의 제품 배치처리동안 첨가 순서, 여과, 가열 공정, 충진 및 냉각은 특정 방법을 포함한다. 포도즙의 배치처리에 앞서, 25%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칼슘 글루코네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제한된 용해도 때문에 낮은 수용액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배치의 경우, 52 내지 57 ℃ (125 내지 135 ℉)의 대략 158.9 파운드의 물을 55 갤론의 혼합 용기에 부가하였다. 칼슘-기재 첨가제의 첨가에 앞서 물을 고속 혼합기 (≥3600 rpm)를 사용하여 교반하였다. 약 52.9 파운드의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를 55 갤론 용기에 신속히 (1분 미만내에) 첨가하였다. 용액을 2 분 이상동안 혼합하였다. 브릭스를 측정하여 25.0 내지 25.3%로 결정하였다. 용액의 최종 중량은 대략 211.8 파운드였다. 1200-갤론 배치의 경우, 2055 파운드의 콘코드 포도즙 농축물, 875 파운드의 백색 포도즙 농축물, 512 파운드의 25%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 2304 g의 아스코르브산, 18 파운드의 시트르산 및 7231 파운드의 여과된 물의 성분이 필요하였다. 즙을 농축물, 칼슘 용액, 여과된 물, 시트르산 및 아스코르브산의 첨가 순서로 배치처리하였다. 배치를 브릭스 및 적정 산도를 측정하기에 앞서 15 내지 30분 동안 적당한 교반으로 서서히 혼합하였다. 배치는 브릭스 (17.4±0.3) 및 적정 산도 (0.58±0.02g/100g)의 제품 목표에 부응하도록 물 및 산으로 조정된다.
최대 정화를 얻기 위하여, 즙을 충분한 양의 규조토 여과 셀이 예비도포된 압력 엽 여과지를 통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지의 각 엽은 1/8" 이상의 필터 셀 피복물을 함유한다. 셀 등급은 JM503, FW20, 디칼라이트 스피덱스 또는 상응물이었 다. 즙을 필터 보조제로 JM503, FW20, 디칼라이트 스피덱스 또는 상응물을 사용하는 플레이트 및 프레임 필터를 통하여 연마 여과하였다. 여액에 임의의 여과 보조제 또는 다른 침전물이 100% 없을 때까지 제품을 재순환하였다.
여과된 즙 제품을 144 갤론/분의 유속으로 플레이트 열교환기를 통하여 펌핑하고 82 ℃ (180 ℉)의 온도로 가열하였다. 제품을 14 초 동안 유지하고, 64 액량 온스의 PET 병에 충진하였다. 충진 후, 제품을 냉각 터널에 옮기고, 41 ℃ (105 ℉)의 온도로 냉각하였다.
이러한 방법의 결과는 100% 포도즙이었으며, 부가된 선택 성분 (예를 들면, 비타민 C를 위한 아스코르브산 및 신맛을 위한 시트르산)을 함유한다. 이것은 300 mg/8 액량 온스 서빙 (또는 30% RDI)으로 강화된 칼슘이다.
배치 공정 C: 칼슘 락테이트를 사용하여 하기 성분을 사용하는 백색 포도즙 칵테일을 강화하였다.
a) 10 내지 30%의 백색 포도 농축물
b) 0 내지 20%의 단일 농도의 정화된 나이아가라 포도즙
c) 4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의 브릭스
d) 0.24% 내지 1.07% (w/w) 용해된 칼슘 락테이트 (즉, 8 내지 35% RDI)
e) 2 내지 10% 42F 옥수수 시럽
f) 1 내지 8% 당
g) 향과 영양을 조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및 시트르산나트륨 (일반적으로 각각 <1%)
h) 물.
칼슘 락테이트는 칼슘 글루코네이트에 비해 타르타르산 농도에 현저히 덜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더 작은 타르타르산 농도가 달성되었다. 이것은 백색 포도 농축물 및 단일 농도의 정화된 나이아가라 포도즙을 이용하여 달성되었으며, 30% 즙에서 0.07 g/100 ml 타르타르산이 얻어졌다. 백색 농축물의 경우 통상적인 타르타르산 농도는 0.097 g/100 ml인데 반하여 SS 백색 포도즙은 0.4 g/100 ml을 가졌다. 15 갤런 배치의 경우, 6.73 kg SS 나이아가라, 3.09 kg의 백색 포도 농축물, 3.50 kg의 42F 옥수수 시럽, 2.74 kg의 당, 194.1 g의 시트르산, 22.5 g의 시트르산 나트륨 및 2 kg의 물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제조하였다. 그 후, 이 기재를 41.16 kg의 물로 희석하고 27.2 g의 아스코르브산 및 612.3 g의 칼슘 락테이트를 첨가하고, 완전히 혼합하였다. 목표 즙 매개변수는 0.07 g/100 ml의 타르타르산 및 350 mg의 칼슘/8 온스 서빙이었다.
시료를 가시적인 칼슘 타르트레이트 형성없이 0, 21 및 32 ℃ (32, 70 및 90 ℉)에서 26 주동안 보관하였다.
배치 공정 D: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를 사용하고 하기 성분을 이용하여 사과 및 포도즙의 블렌드를 강화하였다.
a) 5 내지 46%의 기본 포도 농축물
b) 54 내지 95%의 사과 농축물
c) 4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의 브릭스
d) 0.24% 내지 1.07% (w/w) 용해된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 (즉, 8 내지 35% RDI)
e) 물.
타르타르산은 이러한 제조에 의한 100% 즙에서 단지 0.08 g/100 ml이었다. 이것은 대략 0.17 g/100 ml의 타르타르산을 갖는 기본 농축물이기 때문이며, 이러한 성분의 46%는 0.08 g/100 ml 타르타르산을 생성한다. 사과 농축물은 타르타르산이 0으로 무시할 수 있어, 0.08 g/100 ml은 이들 비율의 100% 즙 블렌드에서의 양일 수 있다. 52.76 g의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을 200 g의 물에 분산시켜 1 갤론 배치를 제조하였다. 518.3 g의 SS 콘코드 포도즙 (57.2 브릭스)를 별도로 349.1 g의 사과 농축물 (70.3 브릭스)과 블렌딩하고, 2884.9 g의 물 및 2.15 g의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였다. 글루코날 CAL (등록상표) 수용액을 과일즙 용액에 신속한 혼합하에서 첨가하였다. 혼합 후, 시료를 16 온스의 유리 병에 담고, 85 ℃ (185 ℉)로 병을 가열하여 파스퇴르멸균하였다. 파스테르멸균 후, 브릭스, 적정 산도, pH, %타르타르산 (HPLC) 및 %칼슘 (AA)을 모두 측정하였다. 결과는 14.1 브릭스, pH 3.6, 0.48% 적정 산도 (시트레이트로서), 0.08 g 타르타르산/100 ml, 및 350 mg/8 온스 칼슘이었다. 시료를 21 ℃ (70 ℉) 챔버에서 보관하고, 매주 가시적 조사를 수행하여 임의의 결정 형성에 대해 관찰하였다.
본 발명은 여러 구현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하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Claims (41)

  1. 0.005 g/100 ml 내지 1.31 g/100 ml의 타르타르산 농도를 갖는 타르타르산-함유 전구물질을 제공하고,
    전구물질의 타르타르산 농도를 조정하여 조정된 전구물질을 형성하고,
    조정된 전구물질을 칼슘-기재 화합물을 포함하는 첨가제와 혼합하여 지정된 양의 생체이용성 칼슘으로 강화되고 본질적으로 타르트레이트 침전물이 없는 칼슘 강화된 타르타르산-함유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칼슘 강화된 타르타르산-함유 제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공시 타르타르산-함유 전구물질이 액체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공시 타르타르산-함유 전구물질이 포도-기재 액체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공시 타르타르산-함유 전구물질이 유색 포도로부터 유래되는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지정된 양이 인간에게 필요한 일일 섭취량의 8% 내지 100%에 해당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지정된 양이 인간에게 필요한 일일 섭취량의 35%에 해당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조정시 조정된 전구물질이 0 g/100ml 내지 0.17 g/100 ml의 측정 조정된 타르타르산 농도를 갖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혼합시 칼슘-기재 화합물이 칼슘 글루코네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산화칼슘, 칼슘 오르토포스페이트, 칼슘 글루비오네이트, 칼슘 락테이트, 칼슘 글루셉테이트, 칼슘 레불리네이트, 칼슘 락토포스페이트, 칼슘 시트레이트, 염화칼슘, 칼슘 말레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이나트륨 EDTA, 및 이들의 배합물에서 선택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혼합시 칼슘-기재 화합물이 칼슘 글루코네이트, 칼슘 락테이트, 및 이들의 배합물에서 선택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혼합시 칼슘-기재 화합물이 칼슘 글루코네이트인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혼합시 칼슘-기재 화합물이 칼슘 글루코네이트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품이 70 ℉의 온도에서 보관될 때 16주 동안 기본적으로 타르트레이트 침전물이 없는 채로 남아 있는 방법.
  14. 제4항에 있어서, 지정된 양이 인간에게 필요한 일일 섭취량의 8% 내지 100%에 해당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조정시 조정된 전구물질이 0g/100ml 내지 0.17 g/100 ml의 측정 조정된 타르타르산 농도를 갖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칼슘-기재 화합물이 칼슘 글루코네이트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제품이 70 ℉의 온도에서 보관될 때 16주 동안 본질적으로 타르트레이트 침전물이 없는 채로 남아 있는 방법.
  18. 제1항에 따라 가공된, 강화 타르타르산-함유 제품.
  19. 제8항에 따라 가공된, 강화 타르타르산-함유 제품.
  20. 제12항에 따라 가공된, 강화 타르타르산-함유 제품.
  21. 제16항에 따라 가공된, 강화 타르타르산-함유 제품.
  22. 그 제품에서의 생체이용성 칼슘이 인간에게 필요한 칼슘 일일 섭취량의 0% 내지 20%가 되고 본질적으로 타르트레이트 침전이 없도록,
    0.005 g/100 ml 내지 0.26 g/100 ml의 타르타르산을 포함하는 타르타르산-함유 전구물질을 제공하고,
    전구물질을 칼슘 글루코네이트를 포함하는 지정된 양의 첨가제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강화된 타르타르산-함유 제품의 제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제공시 전구물질이 액체인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제공시 전구물질이 포도-기재 액체인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제공시 전구물질이 유색 포도로부터 유래되는 방법.
  26. 제22항에 따라 가공된 강화 타르타르산-함유 제품.
  27. 제2항에 있어서, 조정시 조정된 전구물질이 제2 전구물질을 액체 타르타르산-함유 전구물질에 첨가하여 형성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조정시 제2 전구물질이 단일 농도 포도즙인 방법.
  29. 제27항에 따라 가공된 강화 타르타르산-함유 제품.
  30. 제28항에 있어서, 조정시 제2 전구물질이 단일 농도 백색 포도즙이고 액체 타르타르산-함유 전구물질이 백색 포도 농축물인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조정시 조정된 전구물질이 측정 조정된 타르타르산 농도를 가지며, 조정시 측정 조정된 타르타르산 농도가 0 g/100ml 내지 0.08 g/100 ml가 되도록 물이 첨가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혼합시 칼슘-기재 화합물이 칼슘 글루코네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산화칼슘, 칼슘 오르토포스페이트, 칼슘 글루비오네이트, 칼슘 락테이트, 칼슘 글루셉테이트, 칼슘 레불리네이트, 칼슘 락토포스페이트, 칼슘 시트레이트, 염화칼슘, 칼슘 말레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이나트륨 EDTA, 및 이들의 배합물에서 선택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혼합시 칼슘-기재 화합물이 칼슘 글루코네이트, 칼슘 락테 이트, 및 이들의 배합물에서 선택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혼합시 칼슘-기재 화합물이 칼슘 락테이트인 방법.
  35. 제33항에 따라 가공된 강화 타르타르산-함유 제품.
  36. 제34항에 따라 가공된 강화 타르타르산-함유 제품.
  37. 유색 포도로부터 유래된 타르타르산-함유 전구물질을 제공하고,
    전구물질의 타르타르산 농도를 조정하여 조정된 전구물질을 형성하고,
    조정된 전구물질을 칼슘 글루코네이트를 포함하는 첨가제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에게 필요한 일일 섭취량의 35%와 동일한 양의 생체이용성 칼슘으로 강화되고 본질적으로 타르트레이트 침전물이 없는 강화 타르타르산-함유 제품의 제조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조정시 조정된 전구물질이 0 g/100ml 내지 0.17 g/100 ml의 측정 조정된 타르타르산 농도를 갖는 방법.
  39. 제37항에 따라 가공된 강화 타르타르산-함유 제품.
  40. 백색 포도로부터 유래된 타르타르산-함유 전구물질을 제공하고,
    전구물질의 타르타르산 농도를 조정하여 0 g/100ml 내지 0.08 g/100 ml의 측정 조정된 타르타르산 농도를 갖는 조정된 전구물질을 형성하고,
    조정된 전구물질을 칼슘 락테이트를 포함하는 첨가제와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에게 필요한 일일 섭취량의 8% 내지 35%와 동일한 지정된 양의 생체이용성 칼슘으로 강화되고 본질적으로 타르트레이트 침전물이 없는 강화 타르타르산-함유 제품의 제조 방법.
  41. 제40항에 따라 가공된 강화 타르타르산-함유 제품.
KR1020027010661A 2000-02-17 2001-02-16 칼슘-강화된 포도 기재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15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329900P 2000-02-17 2000-02-17
US60/183,299 2000-02-17
PCT/US2001/005080 WO2001060183A2 (en) 2000-02-17 2001-02-16 Calcium-fortified, grape-based product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302A KR20030061302A (ko) 2003-07-18
KR100815661B1 true KR100815661B1 (ko) 2008-03-20

Family

ID=2267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661A KR100815661B1 (ko) 2000-02-17 2001-02-16 칼슘-강화된 포도 기재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6576277B2 (ko)
EP (1) EP1255455A2 (ko)
JP (1) JP2004500090A (ko)
KR (1) KR100815661B1 (ko)
CN (1) CN1245897C (ko)
AR (1) AR029802A1 (ko)
AU (1) AU2001238417A1 (ko)
BR (1) BR0108446A (ko)
CA (1) CA2400208A1 (ko)
DO (1) DOP2001000129A (ko)
MX (1) MXPA02008070A (ko)
TW (1) TWI248344B (ko)
WO (1) WO20010601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2008070A (es) * 2000-02-17 2004-04-05 Welch Foods Inc Productos basados en uvas, fortificados con calcio y metodos para elaborarlos.
US8790727B2 (en) * 2000-12-05 2014-07-29 Tahitian Noni International, Inc. Morinda citrifolia and iridoid based formulations
US6793732B1 (en) * 2001-02-02 2004-09-21 Dr. Dabrain Science Toys, Inc. Method and kit for growing cross-shaped crystals
JPWO2007086362A1 (ja) * 2006-01-25 2009-06-18 株式会社アガベ ミネラル含有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162490A1 (en) * 2007-12-20 2009-06-25 Tropicana Products, Inc. Calcium-fortified beverage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CA2736391A1 (en) * 2008-09-09 2010-03-18 The Coca-Cola Company Reduced calorie sweetened acidic beverages with nutritive sweetener
TWI401091B (zh) * 2008-12-10 2013-07-11 Univ Taipei Medical 一種新型改善卜特蘭水泥操作性之非晶性金屬鹽材料及其在牙科領域之應用
JP6302170B2 (ja) * 2012-05-18 2018-03-28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ワイン風味飲料
WO2014097272A2 (en) 2012-12-21 2014-06-26 Mankind Research Centre Method for production of (s,s)-6-benzyloctahydro-1h-pyrrolo[3,4-b]pyridine, an intermediate of azabicyclo pyridine derivatives
CN107287135A (zh) * 2017-06-25 2017-10-24 罗建华 一种苹果酸‑乳酸发酵菌株及其培养方法和应用
US11186784B2 (en) 2018-10-15 2021-11-30 Uop Llc Dehydrogenation process having improved run ti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1554A (en) * 1987-08-12 1989-10-03 Coca-Cola Company Calcium fortified food product
EP0397232A1 (en) 1989-05-08 1990-1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408A (en) * 1911-05-10 1912-04-23 Hugh J Puckett Grain-drier.
US1915273A (en) * 1930-09-20 1933-06-27 Viniardists Inc Process for removing tartaric acid and tartrates from must, grape juice, and wine
GB1024408A (en) 1964-10-30 1966-03-30 Sandoz Product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concentrates
CH556143A (fr) 1972-09-11 1974-11-29 Nestle Sa Procede de preparation d'une fraction soluble des proteines du petit lait.
US3958017A (en) 1973-08-27 1976-05-18 Merck & Co., Inc. Beverage containing stabilized vitamin C and ir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949098A (en) 1974-06-05 1976-04-06 Nabisco, Inc. Nutritious orange drink concentrate, process and drink resultant therefrom
US4309417A (en) 1980-07-10 1982-01-05 Stauffer Chemical Company Protein fortified isotonic beverages
DE3137440A1 (de) 1981-09-21 1983-03-31 Eckes, Peter, 6501 Nieder-Olm Proteinhaltiges konditionsgetraenk
BR8107901A (pt) * 1981-12-04 1983-08-30 Roger Boyd Walker Bombas dosadoras e tubos distribuidores para alimentar os cilindros de motores de explosao
CA1200416A (en) 1983-05-13 1986-02-11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Food process
US4738856A (en) 1985-05-13 1988-04-19 Nutrition Technologies, Inc. Beverage and method for making a beverage for the nutritional supplementation of calcium in humans
US4737367A (en) 1985-07-26 1988-04-12 Langer David W Fruit drink with vitamins
JPS6269976A (ja) * 1985-09-24 1987-03-31 Kansai Kagaku Kikai Seisaku Kk 酒石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US4740380A (en) 1986-02-18 1988-04-26 Stauffer Chemical Company Calcium fortified acid beverages
US4722847A (en) 1986-05-07 1988-0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uit juice beverages and juice concentrates nutritionally supplemented with calcium
US4919963A (en) 1986-05-07 1990-04-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reparing fruit juice beverages and juice concentrates nutritionally supplemented with calcium
US4786510A (en) 1987-07-02 1988-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lcium-iron mineral supplements
US4830862A (en) 1987-07-31 1989-05-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lcium-supplemented beverages and beverage concentrates containing low levels of sulfate
US5225221A (en) 1987-12-28 1993-07-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paration of calcium-supplemented beverages by dispersing calcium hydroxide in pasteurized juice stream
US4873112A (en) * 1988-07-26 1989-10-10 Fruitsource Associates Fruit concentrate sweetner and process of manufacture
WO1990006060A1 (en) * 1988-12-07 1990-06-14 San-Ei Chemical Industries, Ltd. Method for preparing milk/mineral concentrate and mineralized drink
DK0486425T3 (da) 1990-11-01 1994-11-07 Sandoz Nutrition Ltd Højsyresystem af næringsformuleringer
US5141758A (en) 1991-11-13 1992-08-25 Monte Woodrow C Method for extending life of vitamin C in drink
EP0622992B1 (en) 1991-12-26 1998-10-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orage stable calcium-supplemented beverage concentrates
US5322702A (en) 1992-06-15 1994-06-21 Fmc Corporation Microgranular protein opacifying material
US5474793A (en) 1994-05-10 1995-12-12 Meyer; Larry E. Process for preparing calcium-supplemented not-from-concentrate fruit juice beverages
US5500232A (en) * 1994-10-06 1996-03-1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alcium fortified beverages
US5597595A (en) 1995-04-07 1997-01-28 Abbott Laboratories Low pH beverage fortified with calcium and vitamin D
US5817351A (en) * 1995-04-07 1998-10-06 Abbott Laboratories Calcium fortified low pH beverage
US5641531A (en) 1995-09-28 1997-06-24 Abbott Laboratories Nutritional liquid supplement beverag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780081A (en) 1996-10-28 1998-07-14 Nestec S.A. Fortification of food with calcium and process of making
US6086927A (en) 1998-08-06 2000-07-11 Pasco Beverage Co. Process for preparing calcium enriched food products and the products therefrom
US6106874A (en) * 1998-11-18 2000-08-22 Abbott Laboratories Calcium fortified juice-based nutritional supplement and process of making
US6235322B1 (en) 1999-03-09 2001-05-22 Mintech, Inc. Highly soluble and stable mineral supplements containing calcium and magnesium
MXPA02008070A (es) * 2000-02-17 2004-04-05 Welch Foods Inc Productos basados en uvas, fortificados con calcio y metodos para elaborarlo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1554A (en) * 1987-08-12 1989-10-03 Coca-Cola Company Calcium fortified food product
EP0397232A1 (en) 1989-05-08 1990-1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US4992282A (en) * 1989-05-08 1991-0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ble nutritional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ed beverage
JP2995416B2 (ja) * 1989-05-08 1999-12-27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ビタミン及びミネラル補給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40241A (zh) 2003-09-03
AR029802A1 (es) 2003-07-16
WO2001060183A3 (en) 2002-01-17
US20020001642A1 (en) 2002-01-03
KR20030061302A (ko) 2003-07-18
CN1245897C (zh) 2006-03-22
EP1255455A2 (en) 2002-11-13
BR0108446A (pt) 2005-01-11
AU2001238417A1 (en) 2001-08-27
MXPA02008070A (es) 2004-04-05
US6576277B2 (en) 2003-06-10
WO2001060183A2 (en) 2001-08-23
TWI248344B (en) 2006-02-01
DOP2001000129A (es) 2002-09-30
JP2004500090A (ja) 2004-01-08
US20030203073A1 (en) 2003-10-30
US7033630B2 (en) 2006-04-25
CA2400208A1 (en) 200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7611B2 (en) Calcium fortified beverages
RU2437569C2 (ru)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обогащенный калием,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PL191418B1 (pl) Zastosowanie wapnia i kwasu
KR100815661B1 (ko) 칼슘-강화된 포도 기재 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30045314A1 (en) Liquid sucralose sweetener composition
US7927645B2 (en) Enhancing clarity and/or stability properties of protein-containing liquids and gels
TWI739845B (zh) 含酸性乳之高澄清飲料、容器裝飲料及含酸性乳之飲料的高澄清化方法
JP4486814B2 (ja) 果実をベースとする食品をカルシウムで強化する方法
US20040161496A1 (en) Process for the fortification of a fruit-based food product with calcium
EP1040766B1 (en) Iron-enriched beverage
CA2232263A1 (en) Process for preparing hemipotassium phosphate
US20040258801A1 (en) Vitamin fortification of foodstuffs
JP4302916B2 (ja) 乳性酸性飲料及び製造方法
CN112868797A (zh) 一种含有水果果浆的中性乳饮料及其制备方法
JPS6053581B2 (ja) 乳酸菌飲料の製造法
JP2019170238A (ja) スピルリナ含有緑色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EP1295536A1 (en) Process for the fortification of a fruit based food product with calcium
AU2020413063A1 (en) Iron-containing beverage
RU2520149C2 (ru) Диетический низкокалорийный осветленный облепиховый сок
US20030059499A1 (en) Process for the fortification of a fruit based food product with calcium
JP2020089277A (ja) アルコール飲料、アルコール飲料の製造方法、及び、香味向上方法
JP2006000029A (ja) 高濃度のカルシウム含有飲料の製法及びその清涼飲料水
WO2001087093A2 (en) Metal ion compositions for preservation of fruit juice
KR20110067530A (ko) 과즙이 함유된 유음료의 제조방법
MXPA98006724A (en) Liquid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a compound of calcium and acidu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