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570B1 - 파이프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570B1
KR100813570B1 KR1020060120774A KR20060120774A KR100813570B1 KR 100813570 B1 KR100813570 B1 KR 100813570B1 KR 1020060120774 A KR1020060120774 A KR 1020060120774A KR 20060120774 A KR20060120774 A KR 20060120774A KR 100813570 B1 KR100813570 B1 KR 10081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utting
unit
reciprocating
cu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응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테크
Priority to KR1020060120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5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 B26D1/1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mounted on a movable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관기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금속 파이프를 공정을 중단시키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절단할 수 있고, 절단시에 발생하는 버(burr)를 최소화할 수 있는 파이프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인 파이프 절단 장치는, 파이프를 이송시키는 이송 유니트; 이송 유니트에 의하여 이송되는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 유니트; 및 절단 유니트가 이송 중인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 유니트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이동 유니트;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60120774
파이프, 절단, 버

Description

파이프 절단 장치{Cut off machine for pip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절단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절단 장치의 절단 유니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절단 유니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절단 유니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3의 절단 유니트의 톱 부재와, 절단용 모터와, 슬라이딩 평판 및, 절단용 실린더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3의 절단 유니트의 톱 부재와, 절단용 모터와, 슬라이딩 평판 및, 절단용 실린더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3의 절단 유니트의 톱 부재와, 절단용 모터 및, 슬라이딩 평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3의 절단 유니트의 클램프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도 4의 절단 유니트의 수직 유도 롤러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
도 12는 도 4의 절단 유니트의 수평 유도 롤러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
도 14는 도 1의 절단 장치의 지지 롤러와, 절단 유니트의 가이드 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ⅩⅤ-ⅩⅤ' 단면도.
도 16은 도 3의 절단 장치의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 및, 왕복이동용 모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17은 도 3의 절단 장치의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 및, 왕복이동용 모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8은 도 1의 절단 장치의 레일을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도 1의 절단 장치의 왕복이동용 모터와, 피니언 기어와, 가이드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10 : 이송 유니트
30 : 절단 유니트 40 : 가이드부
50 : 왕복이동 유니트 100 : 파이프 절단 장치
본 발명은 파이프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관기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금속 파이프를 공정을 중단시키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절단할 수 있고, 절단시에 발생하는 버(burr)를 최소화할 수 있는 파이프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파이프는 언코일러(uncoiler)로부터 공급된 철판띠가 용접 장치와 루퍼(looper)와 조관기(pipe mill)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제조된다.
철판띠는 롤 형태로 권취된 후, 언코일러에 설치된다. 철판띠는 언코일러의 회전에 의하여 풀려나온 후, 루퍼로 공급된다. 루퍼는 언코일러로부터 공급된 철판띠를 소정 길이만큼 저장하는 장치이다. 루퍼는 용접장치가 선행 철판띠의 후단과 후행 철판띠의 선단을 용접하는 동안에 내부에 저장된 철판띠를 조관기로 공급함으로써 파이프 제조 공정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언코일러는 대한민국 특허 제10-462901호 등에 그 구조가 개시되어 있고, 루퍼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0047201호 등에 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파이프 제조공정은 루퍼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된 파이프를 일정 길이만큼씩 절단하기 위해서는 파이프 제조공정을 중단시키지 않으면서 조관기로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편, 금속 파이프를 절단하면 절단면에 버(burr)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버는 파이프 연결시에 제거되어야 하기 때문에 파이프 작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 부상을 입힐 우려가 있다. 따라서, 파이프 절단시에는 버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인 파이프 절단 장치는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관기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금속 파이프를 파이프 제조 공정을 중단시키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 파이프 절단시에 발생하는 버(burr)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 장치는, 파이프를 이송시키는 이송 유니트; 이송 유니트에 의하여 이송되는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 유니트; 및 절단 유니트가 이송 중인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 유니트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이동 유니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절단 유니트는, 왕복이동 유니트에 의하여 왕복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 이동 프레임에 설치된 절단용 실린더; 절단용 실린더에 의하여 왕복 이동되는 슬라이딩 평판; 슬라이딩 평판에 설치되고, 파이프를 절단하는 톱 부재; 및 톱 부재를 회전시키는 절단용 모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왕복이동 유니트는, 절단 유니트가 설치되는 레일; 절단 유니트에 한쪽 끝단이 연결된 랙기어; 랙기어를 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 및 피너언 기어를 구동시키는 왕복이동용 모터;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절단 유니트는, 이송 유니트의 지지 롤러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이동 프레임에 연결되어 이동 프레임과 함께 이동되며, 이송 중인 파이프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슬라이딩 평판은 톱 부재에 의하여 절단되는 파이프의 버(burr)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25°- 35°로 경사진다.
또한, 절단 유니트는, 파이프의 이송 경로와 대응되도록 이송 평판에 설치된 클램프용 프레임; 클램프용 프레임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상하 왕복이동하며 파이프를 고정하는 클램프; 및 클램프를 상하 왕복이동시키는 클램프용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왕복이동용 모터는, 절단 유니트가 정지 상태에서 파이프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도록 한 후, 절단 유니트가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파이프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절단 유니트를 이송시키며, 파이프 절단이 완료된 후에는 절단 유니트가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절단용 실린더는 절단 유니트의 이송 속도가 파이프의 이송 속도와 동일하게 된 후 신장되어 톱 부재가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전진시키고, 파이프 절단이 완료된 후에는 수축하여 톱 부재를 후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 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절단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절단 장치의 절단 유니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절단 장치(100)는 파이프(1)를 이송시키는 이송 유니트(10)와, 이송 중인 파이프(1)를 절단하는 절단 유니트(30) 및, 절단 유니트(30)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이동 유니트(50)를 포함한다.
이송 유니트(10)는 조관기(미도시)로부터 배출되는 파이프(1)를 이송시킨다. 이송 유니트(10)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지지 롤러(12)를 구비한다. 지지 롤러(12)는 가이드부(40)가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이송 유니트(12)에는 이송된 파이프(1)의 길이를 감지하는 이송길이 감지용 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이송길이 감지용 센서는 이송된 파이프(1)의 길이를 감지하여 왕복이동용 모터(51)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이송길이 감지용 센서는 일정 길이의 파이프(1)가 이송될 때마다 이를 감지하여 왕복이동용 모터(51)를 작동시킨다.
절단 유니트(30)는, 도 3 내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31)과, 이동 프레임(31)에 설치된 절단용 실린더(32)와, 절단용 실린더(32)에 의하여 왕복 이동되는 슬라이딩 평판(33)과, 슬라이딩 평판(33)에 설치된 톱 부재(34) 및, 톱 부재(34)를 회전시키는 절단용 모터(35)를 포함한다. 절단 유니트(30)는 왕복이동 유니트(50)에 의하여 정지 상태에서 파이프(1)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그 이동 속도가 증가된 후, 파이프(1)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파이프(1)를 절단하고, 파이프(1) 절단이 완료되면 왕복이동 유니트(50)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동 프레임(31)은 랙기어(52)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레일(53)을 따라 소정 구간을 왕복 이동한다. 이동 프레임(31)의 하면에는 바퀴(31a)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이동 프레임(31)에는 이동 프레임(31)의 왕복이동 구간의 양끝단에 설치된 센서(14)에 감지되는 돌기(31b)가 설치된다. 돌기(31b)가 센서(14)에 감지됨으로써 이동 프레임(31)의 왕복이동이 제어된다.
또한, 이동 프레임(31)에는 이송 중인 파이프(1)를 고정하는 클램프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부는 파이프(1)의 이송 경로와 대응되도록 이동 프레임(31)에 설치된 클램프용 프레임(36a)과, 클램프용 프레임(36a)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상하 왕복이동하며 파이프(1)를 고정하는 클램프(36b) 및, 클램프(36b)를 왕복 이동시키는 클램프용 실린더(36c)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9에서 중심선(3)을 기준으로 우측은 클램프용 실린더(36c)가 신장되어 파이프(1)가 고정된 것을 나타내고, 중심선(3)을 기준으로 좌측은 클램프용 실린더(36c)가 수축된 것을 나타낸다.
왕복이동용 모터(51)에 의한 절단 유니트(30)의 이동 속도가 파이프(1)의 이송 속도와 동일해지면 클램프용 실린더(36c)가 팽창하여 파이프(1)를 고정하고, 톱 부재(34)에 의한 파이프(1) 절단이 완료되면 클램프용 실린더(36c)가 수축하여 파이프(1)의 고정을 해제한다.
한편, 도면에는 원형의 파이프(1)에 적합한 클램프(36b)가 도시되어 있지만, 클램프(36b)는 파이프(1)의 단면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면이 각형인 경우에는 그 내부면이 상기 각형에 형합하도록 형성된 클램프로 교체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프레임(31)에는 파이프(1)가 클램프부로 가이드되도록 유도하는 수직 유도 롤러부(37)와 수평 유도 롤러부(3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유도 롤러부(37)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이프(1)의 직경 또는 너비에 따라 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한 쌍의 수직 유도롤러(37a)와, 한 쌍의 수직 유도롤러(37a)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재(37b)를 구비한다. 한 쌍의 수직 유도롤러(37a)는 간격 조절축(37c)에 설치되고, 간격 조절축(37c)에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산(37d)(37e)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간격 조절축(37c)이 회전되면 각각의 수직 유도롤러(37a)는 나사산(37d)(37e)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수직 유도롤러(37a)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수평 유도 롤러부(38)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 유도롤러(38a)와, 스프링(38b)에 의하여 지지되는 롤러축(38c)과, 롤러축(38c)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용 볼트(38d)를 구비한다. 이송되는 파이프(1)의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조절용 볼트(38d)를 회전시키면 가이드 박스(38e)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 고, 가이드 박스(38e)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 스프링(38b)에 의하여 지지되는 롤러축(38c)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롤러축(38c)이 스프링(38b)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파이프(1)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절단용 실린더(32)는 슬라이딩 평판(33)을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톱 부재(34)에 의하여 파이프(1)가 절단되도록 한다. 슬라이딩 평판(33)의 하면에는 엘엠 가이더(LM guider)(33a)가 설치되어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한다. 슬라이딩 평판(33)의 상면에는 톱 부재(34)와, 톱 부재(34)를 회전시키는 절단용 모터(35)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절단용 실린더(32)는 슬라이딩 평판(33)의 이동을 감지하는 슬라이딩 평판용 센서(미도시)와 이동 프레임(31)의 이송 속도에 의하여 제어된다. 슬라이딩 평판용 센서는 슬라이딩 평판(33)의 왕복 이동 구간의 끝단에 설치된다. 절단용 실린더(32)는 절단 유니트(30)의 이송 속도가 파이프(1)의 이송 속도와 동일하게 된 후 신장되어 톱 부재(34)가 파이프(1)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전진시키고, 파이프(1) 절단이 완료되면 수축하여 톱 부재(34)를 후진시킨다.
톱 부재(34)는 금속 파이프(1)를 절단하는 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톱이다. 바람직하게, 톱 부재(34)는 보호용 덮개(39)에 의하여 개폐된다. 보호용 덮개(39)는 덮개용 실린더(39a)의 신축에 의하여 회동축(39b)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톱 부재(34)를 개폐한다.
바람직하게, 톱 부재(34)가 전진/후진하는 경로는 이동 프레임(31)에 대하여 25°- 35°로 경사진다. 즉, 슬라이딩 평판(33)은 이동 프레임(31)에 대하여 25°- 35°로 경사진 채로 왕복 이동된다. 톱 부재(34)의 전진/후진 경로가 이동 프레임(31)에 대하여 25°- 35°로 경사지면 각형 파이프 특히, 사각형상의 파이프인 경우에 버(burr)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톱 부재(34)의 전진/후진 경로와 이동 프레임(31) 사이의 각이 25°미만이거나 35°를 초과하게 되면 각형 파이프인 경우에 버(burr)의 발생이 증가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톱 부재(34)의 전진/후진 경로는 이동 프레임(31)에 대하여 30°로 경사진다.
이와 같이, 절단장치(100)는 슬라이딩 평판(33)이 이동 프레임(31)에 대하여 25°- 35°로 경사진 채로 설치되고, 톱 부재(34)가 슬라이딩 평판(33)과 함께 왕복이동하며 파이프(1)를 절단하기 때문에 버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절단 유니트(30)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31)에 연결되어 이동 프레임(31)과 함께 왕복 이동하며 이송 중인 파이프(1)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0)를 구비한다. 가이드부(40)는 이송 중인 파이프(1)의 직경 또는 너비에 따라 그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42)를 구비한다.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42) 사이의 간격은 간격조절용 나사(43)의 회전에 의하여 조절된다.
왕복이동 유니트(50)는 절단 유니트(30)를 왕복 이동시킨다. 왕복이동 유니트(50)는 이동 프레임(31)에 한쪽 끝단이 연결된 랙기어(52)와, 랙기어(52)를 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54)와, 피니언 기어(54)를 구동시키는 왕복이동용 모터(51) 및, 절단 유니트(30)가 설치되는 레일(53)을 포함한다.
랙기어(52)는 피니언 기어(54)를 통하여 왕복이동용 모터(51)의 구동력을 전 달받아 절단 유니트(30)를 왕복 이동시킨다.
왕복이동용 모터(51)는 제어부(미도시)와 왕복이동 구간의 양끝단에 설치된 센서(14) 및 이송길이 감지용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그 작동이 제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길이 감지용 센서는 이송된 파이프(1)의 길이를 감지하여 일정 길이의 파이프(1)가 이송될 때마다 왕복이동용 모터(51)를 작동시킨다. 즉, 이송길이 감지용 센서에 의하여 왕복이동용 모터(51)는 절단 유니트(30)가 정지 상태에서 파이프(1)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도록 작동하고, 이어서 왕복이동용 모터(51)는 절단 유니트(30)가 파이프(1)를 절단할 수 있도록 파이프(1)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절단 유니트(30)를 이송시키며, 파이프(1) 절단이 완료된 후에는 절단 유니트(30)가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작동한다.
이와 같이, 왕복이동용 모터(51)는 절단 유니트(30)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와, 톱 부재(34)에 의한 파이프(1) 절단이 가능하도록 상기 증가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단계와, 파이프(1) 절단이 완료되면 절단 유니트(30)가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역방향으로 작동하는 단계로 각각 작동한다.
한편, 이송된 파이프(1)의 길이를 감지하여 왕복이동용 모터(51)의 작동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일정 시간마다 왕복이동용 모터(51)의 작동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절단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조관기(미도시)로부터 배출된 파이프(1)가 일정한 속도로 절단장 치(100)로 이송된다. 이 때, 수직 유도롤러부(37)와 수평 유도롤러부(38)는 이송되는 파이프(1)를 가이드한다. 이송길이 감지용 센서(미도시)는 이송된 파이프(1)의 길이를 감지한 후, 그 신호를 왕복이동용 모터(51)에 전달한다. 즉, 일정 길이의 파이프(1)가 이송될 때마다 이송길이 감지용 센서는 그 신호를 왕복이동용 모터(51)에 전달하고, 왕복이동용 모터(51)는 상기 신호에 따라 절단 유니트(30)가 파이프(1)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도록 작동한다.
절단 유니트(30)의 이동 속도가 파이프(1)의 이송 속도와 동일하게 되면 클램프용 실린더(36c)가 팽창하여 클램프(36b)가 파이프(1)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절단용 모터(35)가 작동되어 톱 부재(34)를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절단용 실린더(32)가 팽창하여 톱 부재(34)를 파이프(1) 쪽으로 전진시킨다. 톱 부재(34)가 파이프(1)를 절단하는 동안에는 톱 부재(34)가 파이프(1)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기 때문에 이송 중인 파이프(1)를 절단할 수 있다.
한편, 톱 부재(34)의 이동 경로와 이동 프레임(31)은 25°- 35°의 각을 이루기 때문에 각형 파이프인 경우에도 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파이프(1)의 절단이 완료되면, 절단용 실린더(32)가 수축하여 톱 부재(34)를 후진시킨 후, 왕복이동용 모터(5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절단 유니트(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또한, 클램프용 실린더(36c)가 수축하여 클램프(36b)에 의한 파이프(1) 고정이 해제되도록 한다.
이어서, 일정한 길이의 파이프(1)가 이송되었음이 이송길이 감지용 센서에 의하여 다시 감지되면 왕복이동용 모터(51)가 작동하여 절단 유니트(30)가 파이 프(1)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절단장치(100)는 일정한 길이의 파이프(1)가 이송될 때마다 절단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이송 중인 파이프(1)를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절단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조관기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금속 파이프를 파이프 제조 공정을 중단시키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둘째, 파이프 절단시에 발생하는 버(burr)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파이프(1)를 이송시키는 이송 유니트(10);
    이송 유니트(10)에 의하여 이송되는 파이프(1)를 절단하는 절단 유니트(30); 및
    절단 유니트(30)가 이송 중인 파이프(1)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 유니트(30)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이동 유니트(50);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 유니트(30)는,
    왕복이동 유니트(50)에 의하여 왕복 이동되는 이동 프레임(31);
    이동 프레임(31)에 설치된 절단용 실린더(32);
    절단용 실린더(32)에 의하여 왕복 이동되는 슬라이딩 평판(33);
    슬라이딩 평판(33)에 설치되고, 파이프(1)를 절단하는 톱 부재(34); 및
    톱 부재(34)를 회전시키는 절단용 모터(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 장치.
  3. 파이프(1)를 이송시키는 이송 유니트(10);
    이송 유니트(10)에 의하여 이송되는 파이프(1)를 절단하는 절단 유니트(30); 및
    절단 유니트(30)가 이송 중인 파이프(1)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 유니트(30)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이동 유니트(50);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이동 유니트(50)는,
    절단 유니트(30)가 설치되는 레일(53);
    절단 유니트(30)에 한쪽 끝단이 연결된 랙기어(52);
    랙기어(52)를 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54); 및
    피너언 기어(54)를 구동시키는 왕복이동용 모터(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유니트(30)는,
    이송 유니트(10)의 지지 롤러(12)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이동 프레임(31)에 연결되어 이동 프레임(31)과 함께 이동되며, 이송 중인 파이프(1)의 양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 부재(34)에 의하여 절단되는 파이프(1)의 버(burr)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평판(33)은 이동 프레임(31)에 대하여 25°- 35°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유니트(30)는,
    파이프(1)의 이송 경로와 대응되도록 이동 프레임(31)에 설치된 클램프용 프레임(36a);
    클램프용 프레임(36a)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상하 왕복이동하며 파이프(1)를 고정하는 클램프(36b); 및
    클램프(36b)를 상하 왕복이동시키는 클램프용 실린더(36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용 모터(51)는,
    절단 유니트(30)가 정지 상태에서 파이프(1)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되도록 한 후, 절단 유니트(30)가 파이프(1)를 절단할 수 있도록 파이프(1)의 이송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절단 유니트(30)를 이송시키며, 파이프(1) 절단이 완료된 후에는 절단 유니트(30)가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용 실린더(32)는 절단 유니트(30)의 이송 속도가 파이프(1)의 이송 속도와 동일하게 된 후 신장되어 톱 부재(34)가 파이프(1)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전진시키고, 파이프(1) 절단이 완료된 후에는 수축하여 톱 부재(34)를 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절단 장치.
KR1020060120774A 2006-12-01 2006-12-01 파이프 절단 장치 KR100813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774A KR100813570B1 (ko) 2006-12-01 2006-12-01 파이프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774A KR100813570B1 (ko) 2006-12-01 2006-12-01 파이프 절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570B1 true KR100813570B1 (ko) 2008-03-18

Family

ID=3941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774A KR100813570B1 (ko) 2006-12-01 2006-12-01 파이프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5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103B1 (ko) 2008-07-16 2010-06-28 주식회사 대홍전기 배선용 전선보호 덕트 절단 장치
KR101417608B1 (ko) 2013-03-14 2014-07-08 주식회사 퍼팩트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KR101454358B1 (ko) * 2014-07-24 2014-10-23 (주)삼영피팅 대형 파이프 고속 절단기
KR101909145B1 (ko) * 2018-05-28 2018-10-17 (주)동성디에스엠 일체형 절단 면취기
KR20200127304A (ko) * 2019-05-01 2020-11-11 패스코(주)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CN114472752A (zh) * 2021-12-23 2022-05-13 杭州应敏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自动切断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1311A (ja) * 1990-01-23 1991-09-30 Mitsubishi Heavy Ind Ltd ミーリング式走行鋼管切断機
JPH05285721A (ja) * 1992-04-03 1993-11-02 Ishikawajima Plant Kensetsu Kk 管自動切断機
JPH07164237A (ja) * 1993-12-08 1995-06-27 Mitsubishi Heavy Ind Ltd 管切断機
JPH07299642A (ja) * 1994-05-11 1995-11-14 Mitsubishi Heavy Ind Ltd 走行式鋼管切断機のパイプ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1311A (ja) * 1990-01-23 1991-09-30 Mitsubishi Heavy Ind Ltd ミーリング式走行鋼管切断機
JPH05285721A (ja) * 1992-04-03 1993-11-02 Ishikawajima Plant Kensetsu Kk 管自動切断機
JPH07164237A (ja) * 1993-12-08 1995-06-27 Mitsubishi Heavy Ind Ltd 管切断機
JPH07299642A (ja) * 1994-05-11 1995-11-14 Mitsubishi Heavy Ind Ltd 走行式鋼管切断機のパイプ搬送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103B1 (ko) 2008-07-16 2010-06-28 주식회사 대홍전기 배선용 전선보호 덕트 절단 장치
KR101417608B1 (ko) 2013-03-14 2014-07-08 주식회사 퍼팩트 대구경 파이프 절단장치
KR101454358B1 (ko) * 2014-07-24 2014-10-23 (주)삼영피팅 대형 파이프 고속 절단기
WO2016013743A1 (ko) * 2014-07-24 2016-01-28 (주)삼영피팅 대형 파이프 고속 절단기
KR101909145B1 (ko) * 2018-05-28 2018-10-17 (주)동성디에스엠 일체형 절단 면취기
KR20200127304A (ko) * 2019-05-01 2020-11-11 패스코(주)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KR102179274B1 (ko) 2019-05-01 2020-11-16 패스코(주) 링 단조품 자동 절단기
CN114472752A (zh) * 2021-12-23 2022-05-13 杭州应敏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自动切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570B1 (ko) 파이프 절단 장치
KR101410106B1 (ko) 파이프를 가공하는 가공 장치용의 언로딩 장치
KR101498337B1 (ko) 파이프 가공 장치용의 가변적 언로딩 장치
JP2706438B2 (ja) シート材料切断システム、シート材料切断装置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シート材料のセグメント仕上げ方法
US8051755B2 (en) Bar feeder, feed rod vibration prevention support of material feeder and vibration stopper of material feeder
EP2218532B1 (en) Wire saw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160236289A1 (en) Saw table, band saw apparatus and a method for sawing
JP2005219059A (ja) 鉄筋曲げ機の鉄筋送り込み装置
KR20160093617A (ko) 유리판 제조 장치 및 방법
TWI597144B (zh) 線鋸及利用線鋸處理工件的方法
CN215206805U (zh) 一种用于输送皮带机上的皮带跑偏自动检测纠正装置
KR101701611B1 (ko) 소재 안내장치
JP5696313B2 (ja) フライング式枚葉加工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シート加工装置
KR100974864B1 (ko) 플라즈마 컷팅 장치로 컷팅 대상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 공급장치
WO2020185071A1 (en) A method of processing profiles in a profile processing assembly and a profile infeed assembly for transporting profiles towards a working machine
CN107249815A (zh) 长工件的输送装置
KR100353139B1 (ko) 슬리터 리와인더
KR20170075871A (ko) 소재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재절단장치
KR101259319B1 (ko) 스트립 가이드 장치
KR20190072817A (ko) 스크랩 투입장치
KR101259753B1 (ko) 형강 자동 절단 시스템
KR100844890B1 (ko) 금속 파이프 제조용 철판띠 용접 장치
CN109317568B (zh) 一种硅钢片缝合工艺
JP5250376B2 (ja) ワイヤ巻取り装置およびワイヤソー
KR101504843B1 (ko) 금속판재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2